KR101664152B1 - 조사강도 유지를 위한 불용성 하이드로겔층이 구비된 피부 부착형 발광다이오드 패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조사강도 유지를 위한 불용성 하이드로겔층이 구비된 피부 부착형 발광다이오드 패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4152B1
KR101664152B1 KR1020160087597A KR20160087597A KR101664152B1 KR 101664152 B1 KR101664152 B1 KR 101664152B1 KR 1020160087597 A KR1020160087597 A KR 1020160087597A KR 20160087597 A KR20160087597 A KR 20160087597A KR 101664152 B1 KR101664152 B1 KR 101664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l layer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insoluble hydrogel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원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진엘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진엘이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진엘이디
Priority to KR1020160087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1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carbazole
    • A61K31/404Indoles, e.g. pindo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1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five membered rings, e.g. pyrrolidone carboxylic acid
    • A61K8/49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five membered rings, e.g. pyrrolidone carboxylic acid having condensed rings, e.g. ind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불용성 하이드로겔이 구비된 발광다이오드 패치 어셈블리는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가 실장된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에 의해 방출되는 광에너지를 투과시켜 피부에 상기 광에너지를 전달하는 불용성 하이드로겔층 및 상기 불용성 하이드로겔층에 구비되는 약제층을 포함하며, 시간에 따른 조사강도를 균일하게 유지함에 따라 필요 이상의 광에너지 조사로 인한 생체 세포파괴가 없이 초기 설정된 피부 개선(또는 재생)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사강도 유지를 위한 불용성 하이드로겔층이 구비된 피부 부착형 발광다이오드 패치 어셈블리{A LED PATCH ASSEMBLY COMPRISING A INSOLUBLE HYDROGEL LAYER FOR MAINTAINIG IRRADIATION STRENGTH}
본 발명은 피부 부착형 발광다이오드 패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불용성 하이드로겔층이 구비되어 조사강도를 유지하는 피부 부착형 발광다이오드 패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식물의 탄소동화작용에서 볼 수 있는 광화학적 치료법은, 생체에 대해서 생체 세포를 과도하게 손상시키지 않을 정도의 광에너지를 조사하여 세포를 활성화시켜서 피부의 자연치유력을 증진시키는 치료법이다.
광원으로는 크기나 가격 면에서 유리한 레이저다이오드(LD; Laser diode)나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반도체 발광소자가 사용된다.
기존에 출원된 선행기술인 KR 10-2015-0135618 A은 발광다이오드의 상면을 화장품 또는 연고로 이루어지는 도포층이 구비되는 발광모듈을 게시한다.
그러나 화장품 또는 연고로 이루어지는 도포층이 사용에 의해 피부에 흡수됨에 따라 또는 대기 중으로 증발됨에 따라 단면이 줄어들고, 광조사강도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하여 필요 이상의 과도한 광조사에 따른 과도한 생체 세포 손상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KR 10-2015-0135618 A
본 발명은 시간에 따른 조사강도를 균일하게 유지함에 따라 필요 이상의 광에너지 조사로 인한 과도한 생체 세포 손상이 없이 초기 설정된 피부 개선(또는 재생)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 패치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산성이 향상된 발광다이오드 패치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요한 최소 조사강도를 확보하면서 에너지 절감을 통해 배터리의 지속시간을 증가시키는 발광다이오드 패치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불용성 하이드로겔층이 구비된 피부 부착형 발광다이오드 패치 어셈블리는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가 실장된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에 의해 방출되는 광에너지를 투과시켜 피부에 상기 광에너지를 전달하는 불용성 하이드로겔층, 및 상기 불용성 하이드로겔층에 구비되는 약제층을 포함한다.
그리고 불용성 하이드로겔층의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불용성 하이드로겔층을 지지하는 지지층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C.O.B(Chip On Board)타입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불용성 하이드로겔층의 사용에 따른 단면 길이 감소에 대응하여 상기 발광다이오드에 공급되는 전력을 감소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불용성 하이드로겔층 표본의 사용에 따른 단면 길이 감소 추이에 대한 값이 저장된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다이오드에 공급되는 전력을 감소시킨다.
그리고 상기 발광다이오드에 공급되는 전력의 감소 추이는, 상기 단면 길이 감소 추이의 제곱에 비례한다.
여기서 상기 발광다이오드에 공급되는 시간에 따른 전력(P)은,
Figure 112016066921511-pat00001
Figure 112016066921511-pat00002
,
여기서, P0는 발광다이오드의 초기 출력, t는 시간, a는 불용성 하이드로겔층의 특성계수이다.
그리고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배터리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절연시트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절연시트의 일단은 패키지와 결합되며, 상기 절연시트는 상기 패키지의 제거에 따라 종속적으로 제거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사강도 유지를 위한 불용성 하이드로겔층이 구비된 피부 부착형 발광다이오드 패치 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시간에 따른 조사강도를 균일하게 유지함에 따라 필요 이상의 광에너지 조사로 인한 과도한 생체 세포 손상이 없이 초기 설정된 피부 개선(또는 재생)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둘째, 시간에 따른 광확산 범위 변화가 적기 때문에, 시간의 경과에도 피부에 균일한 광에너지를 조사할 수 있다.
셋째, 발광다이오드가 구비된 회로기판과 불용성 하이드로겔층을 분리 생산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필요한 최소 광에너지를 확보하면서 소모전력을 줄일 수 있어서, 에너지 절감을 통해 배터리의 지속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섯째, 발광다이오드의 소모전력 감소에 따라, 발광다이오드의 발열량이 감소하여 발열에 따른 약제층의 대기 중 증발 및 확산을 감소시키고 약제층의 피부흡수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부착형 발광다이오드 패치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패치 어셈블리의 분해단면도;
도 3은 하이드로겔층의 사용에 따른 단면 길이 변화와 이에 따른 광확산 변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수용성 하이드로겔층(초기 단면 길이: 1.0mm)의 표본의 평균 단면 길이 감소 추이{Ls(t)}와 불용성 하이드로겔층(초기 단면 길이: 1.4mm)의 표본의 평균 단면 길이 감소 추이{Li(t)}를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념도;
도 6은 수학식10에 따른 전력 감소 추이를 도시한 그래프;
도 7의 <a> 및 <b>는 전력 감소 추이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의 절연시트(180)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부착형 발광다이오드 패치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패치 어셈블리의 분해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회로기판(110), 발광다이오드(120), 불용성 하이드로겔층(130), 약제층(140), 배터리(150)으로 구성된다.
회로기판(110)에는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120)가 실장된다. 회로기판(110)은 피부에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부착부위의 굴곡에 대응하여 유연하게 휘어지는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회로기판(110)은 부착 부위의 면적을 고려하여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120)는 피부에 광에너지를 조사하여 피부 개선(또는 재생)을 촉진시킨다. 발광다이오드(120)는 소형화되고, 소비전력이 낮도록 설계된 S.M.D(Surface Mount Device)타입 또는 C.O.B(Chip On Board)타입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C.O.B타입인 것이 좋다.
C.O.B타입이란 회로기판에 칩을 와이어 본딩(wire bonding) 연결하고 난 뒤 몰딩(molding)하는 방법으로서, C.O.B타입의 발광다이오드(120)는 극소형이며, 방열기능이 좋고, 발광다이오드(120)가 실장된 경계부의 돌출이 미소하여 환부에 부착 시 사용자가 느끼는 이질감이 적다. 또한 접지가 불필요하여 전기제품을 피부에 부착하는데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전류에 의한 사고 가능성을 방지할 수 있다.
불용성 하이드로겔층(130)은 발광다이오드(120)의 상면에 구비된다. 불용성 하이드로겔층(130)은 발광다이오드(120)에 의해 방출되는 광에너지를 투과시켜 피부에 전달한다.
하이드로겔(수화겔; hydrogel)은 공유 결합, 수소결합, van der waals 결합 또는 물리적 결합 등과 같은 응집력에 의해 가교된 친수성 고분자를 의미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불용성 하이드로겔층(130)은 균일한 조사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의미를 갖는다.
도 3을 참조하여 하이드로겔층의 사용에 따른 단면 길이 변화와 이에 따른 조사강도 변화 및 이에 따른 광확산 변화를 설명한다.
도 3의 하이드로겔층(200)은 불용성 하이드로겔층 또는 수용성 하이드로겔층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도 3의 <a>는 초기의 하이드로겔층(200)을 도시하고, <b>는 t분이 경과한 후의 하이드로겔층(200)을 도시한다. 초기의 하이드로겔층(200)의 단면 길이는 L1이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하이드로겔층의 단면 길이가 감소하여 t분 후에는 단면 길이가 L2가 된다. t분 동안 L1- L2 만큼의 단면 길이가 감소한 것이며, 이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발생하는 하이드로겔층(200)에 포함된 성분의 증발이기도 하고, 하이드로겔층(200)을 피부에 부착하여 사용함에 따라 피부에 하이드로겔층(200)에 함유된 성분이 흡수됨으로 인한 것이기도 하다.
하이드로겔층(200)의 단면 길이 감소 추이는 하이드로겔층(200)의 특성, 주변 환경에 영향을 받는다. 하이드로겔층(200)의 특성에 따른 단면 길이 감소 추이를 설명하기 위해 도 4를 참조한다.
도 4는 초기 단면 길이가 1mm인 수용성 하이드로겔층의 표본의 평균 단면 길이 감소 추이{Ls(t)}와 초기 단면 길이가 1.4mm인 불용성 하이드로겔층의 표본의 평균 단면 길이 감소 추이{Li(t)}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먼저, 수용성 하이드로겔층의 표본의 평균 단면 길이 감소 추이{Ls(t)}를 살펴보면, 30분 경과 후의 단면 길이가 0.39mm로서 단면 길이 변화율이 61%가량(수학식1 참조)이고, 50분 경과 후 단면 길이가 0.21mm로서 단면 길이 변화율이 79%가량(수학식2 참조)이다.
Figure 112016066921511-pat00003
Figure 112016066921511-pat00004
반면, 불용성 하이드로겔층의 표본의 평균 단면 길이 감소 추이{Li(t)}를 살펴보면, 30분 경과 후의 단면 길이가 1.3mm로서 단면 길이 변화율이 7% 가량(수학식3 참조)이고, 50분 경과 후 단면 길이가 1.2mm로서 단면 길이 변화율이 14%가량(수학식4 참조)이다.
Figure 112016066921511-pat00005
Figure 112016066921511-pat00006
50분 경과 후 수용성 하이드로겔층의 단면 길이 변화율이 79%인 것에 반해 불용성 하이드로겔층의 단면 길이 변화율은 14%에 그친다.
발광다이오드가 방출하는 광에너지가 피부에 조사될 때 그 조사강도(E)는 하기 수학식5와 같이 하이드로겔층의 단면 길이의 제곱에 비례한다.
Figure 112016066921511-pat00007
E(t)는 시간에 따른 조사강도, P는 발광다이오드가 방출하는 광에너지, L(t)는 하이드로겔층(200)의 시간에 따른 단면 길이이다.
즉, 수용성 하이드로겔층은 50분 경과 후 피부에 조사되는 조사강도(Es)가 하기 수학식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2000% 가량 증가하고,
Figure 112016066921511-pat00008
불용성 하이드로겔층은 50분 경과 후 피부에 조사되는 조사강도(Ei)가 하기 수학식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16% 가량 증가하는 것에 그친다.
Figure 112016066921511-pat00009
수용성 하이드로겔층은 단면 길이 감소가 급격하게 증가하여 초기에 조사되는 조사강도(Eio)와 50분 경과 후 조사강도{Ei(50m)}의 차이가 현저하다. 광에너지가 지나친 경우 생체 세포를 손상시키기 때문에, 시간의 경과 후 생체 세포를 손상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초기의 조사강도를 효과적인 조사강도보다 적게 설정할 수 밖에 없다.
이에 반해, 상술한 바와 같이 불용성 하이드로겔층은 단면 길이 감소가 더디기 때문에 조사강도(Es)가 급격하게 증가하지 않음에 따라 균일한 조사강도로 광에너지를 조사할 수 있다.
따라서 불용성 하이드로겔층을 투과하여 광에너지를 균일 조사함에 따라 피부에 필요 이상의 광에너지 조사에 따른 과도한 생체 세포 손상 없이 초기 설정된 개선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불용성 하이드로겔층은 수용성 하이드로겔층과 비교하여 시간에 따른 단면 길이 변화가 적음에 따라 광확산 범위 변화도 적기 때문에, 시간의 경과에도 피부에 균일한 광에너지를 조사할 수 있다.
약제층(140)은 피부에 흡수되어 피부의 개선(또는 재생)을 촉진하는 성분으로서, 불용성 하이드로겔층(130)에 구비된다. 약제층(140)은 불용성 하이드로겔층(130)의 상면에 도포되거나, 불용성 하이드로겔층(130)에 함유될 수 있다.
약제층(140)의 성분의 일 실시 예로서 IAA(indole-3-acetic acid)가 될 수 있다. IAA는 식물의 성장 호르몬으로서 HRP(horseradish peroxidase)에 의해 활성화 되면 암세포를 사멸시키며, 자외선 및 가시광선에 의해 활성화되면 여드름균을 파괴한다. 이에 따르면, 발광다이오드(120)에 의해 활성화된 IAA는 패치 어셈블리(100)가 부착된 피부면의 여드름균을 파괴하여 피부를 개선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배터리(150)는 발광다이오드(120)에 전력을 공급하며, 회로기판(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배터리(150)는 경량, 소형의 것이 적합하다. 배터리는 배터리커버(155)에 의해 회로기판(110)에 결합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불용성 하이드로겔층(130)의 사용에 따른 단면 길이 감소에 대응하여 발광다이오드(120)에 공급되는 전력을 감소시킨다. 도 5는 제어부(160)를 포함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념도이다.
불용성 하이드로겔층(130)은 단면 길이 감소에 따라 사용 시간이 50분 경과된 후에는 조사강도가 16% 가량 증가하는데, 이는 피부의 재선(또는 재생)에 필요한 조사량을 초과하는 조사량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60)는 피부 개선(또는 재생)에 가장 효과적인 조사량을 시간의 경과에도 불구하고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피부 개선(또는 재생)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불용성 하이드로겔층의 단면 길이 감소 추이는 수학식8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16066921511-pat00010
여기서 k는 불용성 하이드로겔층의 초기값, a는 불용성 하이드로겔층의 특성계수이다. 도 4에 따른 불용성 하이드로겔층의 경우 k=1.4, a=0.003의 값을 갖는다.
불용성 하이드로겔(130)층의 단면 길이가 완전히 수학식8과 같이 감소하는 것은 아니며, 습도, 온도 등 주변의 환경요인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메모리부(170)는 상기 단면 감소 추이에 대한 값이 저장된 소자이다.
제어부(160)는 메모리부(170)에 저장된 값에 기초하여 발광다이오드(120)에 공급되는 전력을 감소시킨다.
수학식7에 의해, 피부에 조사되는 조사강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위한 발광다이오드(120)의 전력 감소 추이는, 수학식9의 과정을 통해 수학식10과 같이 불용성 하이드로겔층의 단면 길이 감소 추이의 제곱에 비례하도록 도출된다.
Figure 112016066921511-pat00011
Figure 112016066921511-pat00012
Figure 112016066921511-pat00013
도 6은 수학식10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과 같은 전력 감소 추이 외에, 도 7의 <a>와 같이 시간에 따라 선형적으로 전력을 점차 감소시킬 수 있으며, <b>와 같이 계단식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제어부(160)이 발광다이오드(120)에 공급되는 전력을 감소시킴으로 최소 필요한 정도의 조사강도를 확보하면서 소모전력을 줄일 수 있어서, 에너지 절감을 통해 배터리(150)의 지속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발광다이오드(120)의 소모전력 감소에 따라, 발광다이오드(120)의 발열량이 감소하여 패치 어셈블리(100)의 온도 증가로 인한 약제층(140)의 대기 중으로의 증발 및 확산을 감소시키고 약제층(140)의 피부흡수율을 높일 수 있다.
다시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지지층(135) 및 절연시트(180) 대해서 설명한다.
지지층(135)은 불용성 하이드로겔층(130)을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불용성 하이드로겔층(130)의 하면에 구비된다.
지지층(135)으로 인해 불용성 하이드로겔층(130)의 분리 이탈을 막을 수 있으며, 거즈와 같은 섬유시트인 것이 적합하다.
지지층(135)을 구비함으로써, 발광다이오드(120)가 구비된 회로기판(110)과 불용성 하이드로겔층(130)을 분리 생산하는 선 공정 후에 회로기판(110)과 불용성 하이드로겔층(130)을 접착하는 후 공정을 거쳐 패치 어셈블리(100)를 생산할 수 있다. 이는 발광다이오드(120)가 구비된 회로기판(110)과 불용성 하이드로겔층(130)을 분리 생산함으로써 제조 공정을 간소화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지지층(135)은 불용성 하이드로겔층(130)과 회로기판(110)의 직접 접촉을 막음으로써, 회로기판(110)과 피부가 접촉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느끼는 이질감을 감소시킨다.
절연시트(180)는 패치 어셈블리(100)가 패키징되어 미사용 상태일 경우 회로기판(110)과 배터리(150)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여 배터리(150)의 방전을 방지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절연시트(180)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절연시트(180)의 일단(180a)은 패키지(제품포장; package)와 결합되며, 패키지의 도면은 생략한다. 패키지와 결합된 절연시트(180)는 패치 어셈블리(100)의 사용을 위해 패키지가 제거됨에 따라 종속적으로 제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절연시트(180) 외에 동작시키기 위한 별도의 스위치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패치 어셈블리;
110: 회로기판, 120: 발광다이오드;
130: 불용성 하이드로겔층, 135: 지지층;
140: 약제층, 150: 배터리;
155: 배터리커버;
160: 제어부, 170: 메모리부;
180: 절연시트;
200: 하이드로겔층.

Claims (9)

  1.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가 실장된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에 의해 방출되는 광에너지를 투과시켜 피부에 상기 광에너지를 전달하는 불용성 하이드로겔층;
    상기 불용성 하이드로겔층에 구비되는 약제층; 및
    상기 불용성 하이드로겔층의 사용에 따른 단면 길이 감소에 대응하여 상기 발광다이오드에 공급되는 전력을 감소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불용성 하이드로겔층이 구비된 피부 부착형 발광다이오드 패치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용성 하이드로겔층의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불용성 하이드로겔층을 지지하는 지지층;
    을 더 포함하는 불용성 하이드로겔층이 구비된 피부 부착형 발광다이오드 패치 어셈블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C.O.B(Chip On Board)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용성 하이드로겔층이 구비된 피부 부착형 발광다이오드 패치 어셈블리.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불용성 하이드로겔층 표본의 사용에 따른 단면 길이 감소 추이에 대한 값이 저장된 메모리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다이오드에 공급되는 전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용성 하이드로겔층이 구비된 피부 부착형 발광다이오드 패치 어셈블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에 공급되는 전력의 감소 추이는,
    상기 단면 길이 감소 추이의 제곱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용성 하이드로겔층이 구비된 피부 부착형 발광다이오드 패치 어셈블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에 공급되는 시간에 따른 전력(P)은,
    Figure 112016080294037-pat00014
    Figure 112016080294037-pat00015
    ,
    여기서, P0는 발광다이오드의 초기 출력, t는 시간, a는 불용성 하이드로겔층의 특성계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용성 하이드로겔층이 구비된 피부 부착형 발광다이오드 패치 어셈블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배터리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절연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용성 하이드로겔층이 구비된 피부 부착형 발광다이오드 패치 어셈블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시트의 일단은 패키지와 결합되며, 상기 절연시트는 상기 패키지의 제거에 따라 종속적으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용성 하이드로겔층이 구비된 피부 부착형 발광다이오드 패치 어셈블리.
KR1020160087597A 2016-07-11 2016-07-11 조사강도 유지를 위한 불용성 하이드로겔층이 구비된 피부 부착형 발광다이오드 패치 어셈블리 KR101664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597A KR101664152B1 (ko) 2016-07-11 2016-07-11 조사강도 유지를 위한 불용성 하이드로겔층이 구비된 피부 부착형 발광다이오드 패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597A KR101664152B1 (ko) 2016-07-11 2016-07-11 조사강도 유지를 위한 불용성 하이드로겔층이 구비된 피부 부착형 발광다이오드 패치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4152B1 true KR101664152B1 (ko) 2016-10-10

Family

ID=57145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597A KR101664152B1 (ko) 2016-07-11 2016-07-11 조사강도 유지를 위한 불용성 하이드로겔층이 구비된 피부 부착형 발광다이오드 패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415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254U (ko) 2018-02-28 2019-09-05 주식회사 에코웰 Led 미용 패치
KR102216077B1 (ko) 2020-04-10 2021-02-16 최미영 광원을 이용한 광 테라피 기능을 갖는 마스크 팩
WO2021182701A1 (ko) * 2020-03-11 2021-09-16 주식회사 에보레이 피부질환 치료용 초소형 광 치료장치
KR20230021872A (ko) 2021-08-06 2023-02-14 주식회사 넥스프레스 엘이디 스팟 패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4922A (ko) * 2009-08-06 2011-02-14 주식회사 리직스 광학적 치료시트 및 치료장치
KR20150135618A (ko) 2014-05-22 2015-12-03 주식회사 유진엘이디 치료 또는 미용용 발광모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4922A (ko) * 2009-08-06 2011-02-14 주식회사 리직스 광학적 치료시트 및 치료장치
KR20150135618A (ko) 2014-05-22 2015-12-03 주식회사 유진엘이디 치료 또는 미용용 발광모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254U (ko) 2018-02-28 2019-09-05 주식회사 에코웰 Led 미용 패치
WO2021182701A1 (ko) * 2020-03-11 2021-09-16 주식회사 에보레이 피부질환 치료용 초소형 광 치료장치
KR20210114738A (ko) 2020-03-11 2021-09-24 주식회사 에보레이 피부질환 치료용 초소형 광 치료장치
KR102216077B1 (ko) 2020-04-10 2021-02-16 최미영 광원을 이용한 광 테라피 기능을 갖는 마스크 팩
KR20230021872A (ko) 2021-08-06 2023-02-14 주식회사 넥스프레스 엘이디 스팟 패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4152B1 (ko) 조사강도 유지를 위한 불용성 하이드로겔층이 구비된 피부 부착형 발광다이오드 패치 어셈블리
KR102536680B1 (ko) 포충기
US10639497B2 (en) Conformal treatment device for delivering radiation
US20210283421A1 (en) Ultra-compact phototherapy apparatus for treating skin disease and healing wounds
US20060100675A1 (en) Device and method for phototherapy of jaundiced infants
CN207539677U (zh) 一种新型驱蚊贴片led装饰灯
US20090290608A1 (en) Photochemistry Laser Diode Assembly And Photochemistry Sheet Having The Same
WO2005023361A3 (en) Disposable electric bandage
CN107405500A (zh) 光照射用基板
CN111542370B (zh) 具有细胞激活功能的led照明装置
RU2018123770A (ru) Тонкое гиб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с источником питания
KR200472454Y1 (ko) 휴대가 용이한 led를 이용한 피부개선용 치료기
JPWO2016136340A1 (ja) 光照射用基板および光照射装置
WO2014037625A1 (en) Led chip-on-board component and lighting module
KR102097047B1 (ko) Led를 이용한 광치료 장치
KR200425133Y1 (ko) 고휘도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내장한 휴대용 칫솔살균장치
KR101346590B1 (ko) 엘이디 램프 연결 구조
CN220799758U (zh) 一种超声波驱蚊器
CN219921853U (zh) 一种自除菌脸部美容仪
CN201657716U (zh) 一种粘虫板
WO2005065777A1 (fr) Dispositif de phototherapie, del utilisee dans celui-ci et methode de traitement de l&#39;acne
JP2001086916A (ja) 紫外線昆虫誘引装置及び殺虫装置
JP3090065U (ja) 健康と殺菌機能を有する紫外光ダイオード応用装置
CN210567598U (zh) 一种新型具有粗糙面的led灯珠
KR102454502B1 (ko) 의료용 엘이디 패치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