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3933B1 - 여행용 가방 무게 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여행용 가방 무게 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3933B1
KR101663933B1 KR1020160066224A KR20160066224A KR101663933B1 KR 101663933 B1 KR101663933 B1 KR 101663933B1 KR 1020160066224 A KR1020160066224 A KR 1020160066224A KR 20160066224 A KR20160066224 A KR 20160066224A KR 101663933 B1 KR101663933 B1 KR 101663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information
unit
luggage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6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윤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66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9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04Trunks; Travelling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03Suitca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52Weighing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e.g. furni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62Over or under weigh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2003/008Travelling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은 제1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와 결합하고 제2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제2 케이스; 상기 제1 수납공간에 배치된 제1 무게측정부; 상기 제2 수납공간에 배치된 제2 무게측정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무게측정부로부터의 센싱된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 상의 수납물의 무게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여행용 가방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여행용 가방 무게 측정 시스템{LUGGAGE WEIGHT MEASURING SYSTEM}
본 발명은 여행용 가방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여행용 가방에 수납된 수납물의 무게를 측정하여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의 단말기로 무게 정보를 제공하여 수하물의 기초 정보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여행용 가방에 관한 것이다.
노동 중심의 생활 양식에서 여가 중심의 생활 양식으로 변화함에 따라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이 변화되고, 레저 및 여행 시장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함께 국내 여행뿐만 아니라 해외 여행이 대중화됨에 따라 한번에 많은 짐을 옮길 수 있는 여행용 가방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여행용 가방은 많은 짐을 수납할 수 있으나, 이동 수단으로 항공을 이용하는 경우, 항공사별, 국가별 여행용 가방의 무게 제한 및 초과 화물에 대한 오버 차징의 부담 때문에 여행용 가방에 수납되는 짐의 무게를 일일 확인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과 관련하여 한국등록공보(등록번호 10-0923779)는 무게감지장치를 구비한 가방중량측정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등록공보(등록번호 10-0923779)는 가방의 손잡이나 가방의 하중에 집중되는 바퀴영역에 무게감지장치를 구비하기 때문에 가방에 짐을 수납한 후 가방을 닫은 상태에서 가방의 무게를 확인을 해야만 한다. 즉 선행기술은 여행용 가방은 서로 연결된 두 개의 케이스 각각의 수납 공간에 짐을 수납하고, 두 개의 케이스를 잠금 수단을 통해 결합한 후에 가방의 무게를 감지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가방의 무게가 원하는 무게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가방을 다시 개방하여 짐을 추가하고 가방을 닫아 무게를 측정해야 하고, 원하는 무게를 초과하는 경우 가방을 다시 개방하여 짐을 추가하고 가방을 닫아 무게를 측정해야 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공보(등록번호 10-0923779)
본 발명의 목적은 가방을 닫지 않은 상태에서 짐을 수납하는 과정 중에 측정되는 수납된 수납물의 무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여행용 가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여행용 가방과 사용자의 단말기 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연동하여 각 항공사별, 국가별 그리고 위탁 및 휴대 수화물 등의 규정에 따른 무게 규정과 사용자의 여행용 가방의 무게를 비교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고, 초과 무게에 따른 각 항공사별 초과 금액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는 여행용 가방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자체적으로 이동 가능한 로보틱스 기능을 가진 여행용 가방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위치정보서비스를 이용하여 여행용 가방의 위치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표시할 수 있는 여행용 가방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무게감지센싱 시 유입되는 노이즈 신호를 최소화하고, 무게감지 신호 증폭에 따라 신호 지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여행용 가방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여행용 가방의 케이스의 영역별로 무게를 감지하여 전체 수화물의 무게 중심 정보를 사용자에게 피드백 함으로써, 사용자가 여행용 가방의 무게 중심을 고려하여 짐을 수납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여행용 가방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구매한 물품을 여행용 가방에 수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여행용 가방에 수납한 경우의 무게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여행용 가방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은 제1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와 결합하고 제2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제2 케이스; 상기 제1 수납공간에 배치된 제1 무게측정부; 및 상기 제2 수납공간에 배치된 제2 무게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무게측정부로부터의 센싱된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 상의 수납물의 무게 정보를 검출하는 여행용 가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에서, 상기 제1 케이스는 제1 바닥부와 상기 제1 바닥부를 둘러싼 제1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케이스는 제2 바닥부와 상기 제2 바닥부를 둘러싼 제2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무게측정부는 상기 제1 바닥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무게측정부는 상기 제2 바닥부에 배치되는 여행용 가방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에서, 상기 제1 무게측정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수납공간에 수납된 수납물의 무게를 상기 제1 무게측정부로 전달하고 상기 제1 바닥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제1 무게분배패드; 및 상기 제2 무게측정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수납공간에 수납된 수납물의 무게를 상기 제2 무게측정부로 전달하고 상기 제2 바닥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제2 무게분배패드; 를 더 포함하는 여행용 가방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에서, 상기 제1 및 제2 무게측정부 각각은 외력에 의해 비례적으로 변화하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변화량을 전기적인 신호로 바꾸어주고 휘트스톤브릿지 구조의 스테레인게이지를 구비한 로드셀부를 포함하는 여행용 가방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에서, 상기 제1 및 제2 무게측정부 각각은 상기 스트레인게이지로부터의 출력 전압을 1차 증폭하는 제1 증폭부 및 상기 제1 증폭부의 출력 전압을 2차 증폭하는 제2 증폭부를 더 포함하는 여행용 가방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에서, 상기 제1 및 제2 무게측정부 각각으로부터의 무게 정보를 센싱하여 센싱 결과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블루투스통신부를 구비한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여행용 가방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에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 상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코일과의 접촉을 감지하는 근거리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근거리통신부와 상기 NFC 코일의 통신에 따라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무게감지장치를 구동하여 수납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여행용 가방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에서, 상기 제어장치는 GPS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GPS 통신부에 의한 여행용 가방의 위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여행용 가방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에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수납물의 무게 정보, 항공사별 및 국가별 허용 수하물 무게 정보와 항공사의 무게 별 물류비 정보에 기초하여 수하물 무게 규정 준수 여부 및 미 준수 시 부가되는 추가 요금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여행용 가방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은, 제1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와 결합하고 제2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제2 케이스; 상기 제1 수납공간에 배치된 제1 무게측정부; 상기 제2 수납공간에 배치된 제2 무게측정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무게측정부로부터의 센싱된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 상의 수납물의 무게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여행용 가방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에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수납물의 무게 정보, 항공사별 및 국가별 허용 수하물 무게 정보와 항공사의 무게 별 물류비 정보에 기초하여 수하물 무게 규정 준수 여부 및 미 준수 시 부가되는 추가 요금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여행용 가방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가방을 닫지 않은 상태에서도 현재까지 수납된 수납물의 무게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가방을 닫아 무게를 측정하고 다시 열어서 짐을 빼거나 넣는 등의 수고로운 과정을 제거할 수 있는 여행용 가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항공사별, 국가별 그리고 위탁 및 휴대 수화물 등의 규정에 따른 무게 규정에 기초하여, 현재의 여행용 가방의 무게 정보와 적정 무게의 여행용 가방의 무게 정보 그리고 초과 무게에 따른 초과 금액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통일되지 않은 규정을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한 여행용 가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자동으로 이동 가능한 로보틱스 기능을 가짐에 따라 사용자가 여행용 가방을 끌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여행용 가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행용 가방의 위치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표시함에 따라 여행용 가방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여행용 가방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센싱된 무게 감지 신호를 2단에 걸쳐 증폭하여 노이즈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미소 변화량에 대한 증폭에 따른 신호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여행용 가방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사용자가 여행용 가방의 무게 중심을 고려하여 짐을 수납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수납물이 여행용 가방 내에서 적절히 분배되도록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가 여행용 가방을 이동시킬 때 들어가는 힘을 줄일 수 있는 여행용 가방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사용자가 구매한 물품을 여행용 가방에 수납한 경우의 무게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물품을 여행용 가방에 수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구매한 물품과 여행용 가방의 총 무게 정보 및 총 무게에 따른 수하물 규정 준수 여부 및 미 준수에 따른 추가 요금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추가 여행용 가방에 물품을 수납할 경우의 무게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구매한 물품의 수납 대상 여행용 가방을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여행용 가방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에 배치된 복수의 더미무게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무게측정부 및 상기 복수의 더미무게측정부 각각으로부터 검출된 무게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기가 상기 검출된 무게 정보를 상기 제1 및 제2 무게측정부 및 복수의 더미무게측정부 각각에 대응하는 영역별로 무게를 표시하도록 하는 여행용 가방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의 제1 및 제2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제1 및 제2 케이스 각각에 설치된 무게측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무게측정부의 블록도이다.
도 3b는 스트레인게이지의 회로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c는 결합기를 포함하는 무게측정부의 블록도이다.
도 4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게측정부의 블록도이다.
도 4b는 스트레인게이지과 스트레인게이지에 연결된 변환부의 회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게측정부의 블록도이다.
도 5a는 제2 증폭부의 회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디스플레이부와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의 사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의 제1 및 제2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의 제1 및 제2 케이스의 영역별 무게정보가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과 연동되고 단말기에 설치된 캐리어정보어플리케이션의 세부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단말기에 표시된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여행용 가방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여행용 가방>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의 제1 및 제2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100)은 흔히 캐리어라는 명칭으로 불리고, 항공기를 이용하는 사람이 자신의 짐을 수납하기 위한 가방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100)은 항공 규정에 따라 무게 제한을 가진 가방에 해당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100)은 수납물을 수납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와 이동의 편의성을 위하여 바퀴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행용 가방(100)은 제1 케이스(110)와 제2 케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110)는 제1 바닥부(115)와 상기 제1 바닥부(115)의 가장자리를 둘러싼 제1-1 내지 제1-4 측벽(111, 112, 113, 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110)는 상기 제1 바닥부(115)와 상기 제1-1 내지 제1-4 측벽(111, 112, 113, 114)들에 의해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1 수납공간(116)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닥부(115)는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바닥부(115)는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영역이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1 측벽(111)과 제1-2 측벽(112)은 서로 마주하고, 서로 평행할 수 있고, 상기 제1-3 측벽(113)과 제1-4 측벽(114)은 서로 마주하고, 서로 평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제1-1 측벽(111)과 제1-2 측벽(112)은 상기 제1-3 측벽(113)과 제1-4 측벽(114)과 서로 수직할 수 있으며, 상기 측벽(111, 112, 113, 114)들은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위는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바닥부(115)의 모서리 영역이 라운드 형상인 경우, 이에 대응하여 연결 부위는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1 내지 제1-4 측벽(111, 112, 113, 114) 중 적어도 하나는 전체적으로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1 케이스(110)의 디자인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스(210)는 제2 바닥부(215)와 상기 제2 바닥부(215)의 가장자리를 둘러싼 제2-1 내지 제2-4 측벽(211, 212, 213, 2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스(210)는 상기 제2 바닥부(215)와 상기 제2-1 내지 제2-4 측벽(211, 212, 213, 214)들에 의해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 수납공간(216)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바닥부(215)는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바닥부(215)는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영역이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1 측벽(211)과 제2-2 측벽(212)은 서로 마주하고, 서로 평행할 수 있고, 상기 제2-3 측벽(213)과 제2-4 측벽(214)은 서로 마주하고, 서로 평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제2-1 측벽(211)과 제2-2 측벽(212)은 상기 제2-3 측벽(113)과 제2-4 측벽(214)과 서로 수직할 수 있으며, 상기 측벽(211, 212, 213, 214)들은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위는 곡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2 바닥부(215)의 모서리 영역이 라운드 형상인 경우, 이에 대응하여 연결 부위는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한편 상기 제2-1 내지 제2-4 측벽(211, 212, 213, 214) 중 적어도 하나는 전체적으로 곡면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 케이스(210)의 디자인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3 측벽(113)과 상기 제2-3 측벽(213)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케이스(110)와 상기 제2 케이스(210)는 서로 연결부재(미도시)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116, 216)은 하나의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1-1 측벽(111)은 상기 제2-1 측벽(211)과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2 측벽(112)은 상기 제2-2 측벽(212)과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4 측벽(114)는 상기 제2-4 측벽(214)과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미도시)는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된 톱니를 서로 맞물려 열고 닫게 한 장치인 슬라이드 패스너(slide fastener)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1 및 제2 케이스(110, 120)를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어떠한 장치라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 케이스(110)와 상기 제2 케이스(210)가 상기 제1-3 측벽(113)과 상기 제2-3 측벽(213)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개방되는 경우, 제1 및 제2 수납공간(116, 216)에 따른 개구 영역은 상부 방향을 향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116, 216) 중 적어도 하나에 수납물을 수납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110, 210)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수납물을 안정적으로 수납하고, 외부의 충격 등의 영향으로부터 상기 수납물을 보호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110, 210)의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시인되는 외부면 중 일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가 설치될 수 있고, 여행용 가방(100)의 이동을 위한 바퀴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무게측정부>
도 2는 제1 및 제2 케이스 각각에 설치된 무게측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여행용 가방(100)은 무게측정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게측정부(200)는 제1 및 제2 무게측정부(201, 2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무게측정부(201)는 제1 케이스(110)의 제1 수납공간(116) 상의 제1 바닥부(115)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무게측정부(202)는 제2 케이스(210)의 제2 수납공간(216) 상의 제2 바닥부(215)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행용 가방(100)은 제1 및 제2 무게분배패드(203, 2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무게분배패드(203)는 제1 케이스(110)의 제1 바닥부(115)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무게측정부(201)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무게측정부(201)가 상기 제1 바닥부(115)와 제1 무게분배패드(203)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제1 무게측정부(201)가 외부로 시인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무게분배패드(204)는 제2 케이스(210)의 제2 바닥부(215)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 무게측정부(202)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무게측정부(202)가 상기 제2 바닥부(215)와 제2 무게분배패드(204)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제2 무게측정부(202)가 외부로 시인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무게분배패드(203, 204) 상의 어느 영역이든 수납물이 위치하면, 상기 수납물의 하중이 상기 무게분배패드(203, 204)에 균형있게 전달되고, 전달된 하중은 상기 무게측정부(200)로 전달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무게분배패드(203, 204)가 수납된 수납물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및 제2 무게분배패드(203, 204)는 플라스틱이나 금속 재질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 및 제2 무게분배패드(203, 204)의 일 영역에 질량이 형성되는 경우, 해당 질량이 상기 제1 또는 제2 무게분배패드(203, 204)에 전체적으로 균형 있게 분배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가진 재질이라면 가능하다.
한편 도면에 따르면 상기 무게측정부(200)는 제1 및 제2 무게측정부(201, 202)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수납 공간의 사이즈에 따라서 더 많은 더미 무게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수납공간(116) 상에는 2개 이상의 무게측정부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수납공간(216) 상에는 2개 이상의 무게측정부가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a는 무게측정부의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3b는 스트레인게이지의 회로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c는 결합기를 포함하는 무게측정부의 블록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무게측정부(200)는 로드셀부(210)과 변환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드셀부(210)는 외력에 의해 비례적으로 변화하는 탄성체(211)와 상기 탄성체(211)의 변화량을 전기적인 신호로 바꾸어주는 스트레인게이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211)에는 질량이 가해지면 탄성 거동을 하고, 상기 스트레인게이지(212)는 가해진 질량에 직접적으로 상응하는 저항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레인게이지(212)는 4개의 스트레인게이지로 구성되고, 휘트스톤브릿지(Wheststone Bridge) 구조로 배선될 수 있다.
상기 변환부(240)는 로드셀부(210)의 저항 변화에 따른 전압의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의 변화를 감지하고,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가 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4개의 스트레인게이지(212)는 휘트스톤브릿지 구조로 배선될 수 있다.
4개의 스트레인게이지(212)의 저항치를 각각 R1. R2. R3 및 R4라고 하고, 입력 전압을 Vi라고 하면, 탄성체(211)에 수납물에 의한 힘이 가해지지 않을 때의 출력 전압 Vb-Va는 이하 수학식 1을 충족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6051606852-pat00001
또한 탄성체(211)가 수납물에 의해 힘을 받으면, 4개의 스트레인게이지(212) 중 일부는 수축하고, 나머지는 팽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1, R3로 대표되는 스트레인게이지가 수축하는 경우 R1, R3는 감소하고, R2, R4로 대표되는 스트레인게이지가 팽창하는 경우 R2, R4는 증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출력 전압은 수학식 2를 충족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16051606852-pat00002
이 경우, 만약 힘을 가하지 않았을 때의 브릿지 구조가 초기 평형을 이루어 출력 전압이 0이었다면, R1R3=R2R4를 만족하므로, R1R3=R2R4를 수학식 2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하기 수학식3을 충족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16051606852-pat00003
만약 4개의 스테레인게이지(212)가 모두 동일한 저항치를 가지고, 이를 저항 R이라고 한다면, 출력 전압은 하기 수학식 4를 충족할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112016051606852-pat00004
이와 같이 무게측정부(200)는 수학식 4에 따라, 수납물의 무게에 따른 스트레인게이지(212)의 저항 값의 변화를 통해 출력 전압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무게 측정을 위한 필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또한 스트레인게이지(212)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는 변환부(240)로 입력되고, 상기 변환부(240)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무게측정부(200)가 제1 및 제2 무게측정부(201, 202)와 같이 2개 이상의 무게측정부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무게측정부(201, 202) 각각은 로드셀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무게측정부(201, 202) 각각의 로드셀부(210)로부터 검출된 신호는 결합기(217)에 입력되고, 결합된 신호가 상기 결합기(217)에 의해 결합되어, 변환부(240)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무게측정부(200)가 2개보다 많은 경우, 각 무게측정부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상기 결합기(217)로 입력되어 신호가 결합되어, 총 무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3c는 복수의 무게측정부의 출력이 결합기(217)로 입력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복수의 무게측정부의 출력이 결합기(217)로 입력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무게측정부 각각의 출력이 변환부(240)로 입력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복수의 무게측정부 각각로부터 센싱되는 무게 정보와 상기 복수의 무게측정부 모두로부터 센싱되는 총 무게 정보를 모두 검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게측정부의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4b는 스트레인게이지과 스트레인게이지에 연결된 변환부의 회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게측정부(200)는 로드셀부(210)과 변환부(240)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증폭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증폭부(220)는 로드셀부(210)로부터 감지되는 저항 변화에 따른 출력 전압의 미세한 변화까지도 감지하고, 감지된 전압의 변화를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1 증폭부(220)는 복수의 저항과 제1 내지 제3 연산증폭기(OP1, OP2, OP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단자는 Va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반전단자는 Ra저항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산증폭기(OP2)의 비반전단자는 Vb의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반전단자는 상기 Ra저항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산증폭기(OP1)의 출력 단자와 반전 단자 사이에는 Rb 저항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 연산증폭기(OP2)의 출력 단자와 반전 단자 사이에는 Rc 저항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연산증폭기(OP3)의 반전단자와 제1 연산증폭기(OP1)의 출력 단자 사이에는 Rd 저항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3 연산증폭기(OP3)의 비반전단자와 제2 연산증폭기(OP2)의 출력 단자 사이에는 Re 저항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연산증폭기(OP3)의 반전단자와 출력 단자 사이에는 피드백 저항인 Rf 저항이 연결될 수 있고, 제3 연산증폭기(OP3)의 비반전단자와 접지전원 사이에는 Rg 저항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증폭부(220)의 Rb저항과 Rc 저항은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고, RdRg=ReRf를 충족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테레인게이지(212)의 출력 전압(Vb-Va)는 제1 및 제2 연산증폭기(OP1, OP2)로 입력될 때, 상기 제1 및 제2 연산증폭기(OP1, OP2)는 버퍼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연산증폭기(OP1, OP2)를 통과한 스테레인게이지(212)의 출력 전압(Vb-Va)은 제3 연산증폭기(OP3)에서 증폭되어 출력(Vo1)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연산증폭기(OP1, OP2)는 스트레인게이지(212)의 출력 단자에서 바라본 임피던스가 매우 크도록 함으로써, 부하효과를 최소화하여, 상기 스트레인게이지(212)의 출력 단자 상의 회로의 특성 변화가 상기 스트레인게이지(212)의 출력 전압이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제3 연산증폭기(OP3)는 상기 제1 및 제2 연산증폭기(OP1, OP2)를 통과한 스트레인게이지(212)의 출력 전압(Vb-Va)을 증폭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스트레인게이지(212)의 출력 전압(Vb-Va)의 미소 변화량도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게측정부의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5a는 제2 증폭부의 회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게측정부(200)는 로드셀부(210)과 변환부(240) 그리고 제1 증폭부(220) 및 제2 증폭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증폭부(230)는 로드셀부(210)로부터의 감지된 신호가 제1 증폭부(220)를 통과하면서 지연된 시간을 보상함과 동시에 2차 증폭하여 출력하는 회로가 될 수 있다.
즉, 제1 증폭부(220)에 의해 1차 증폭 및 제2 증폭부(230)에 의한 2차 증폭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면서, 한번의 큰 증폭 시 노이즈 유입이 큰 문제를 방지하고자, 분할 증폭을 진행하고, 제1 증폭부(220)의 연산증폭기들에 의한 신호 지연을 보상하기 위하여 로드셀부(210)로부터의 감지된 신호가 제2 증폭부(230)를 거쳐 지연 시간이 보상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제2 증폭부(230)는 제4 및 제5 연산증폭기(OP4, OP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연산증폭기(OP4)의 비반전단자는 제1 커패시터(C1)의 일단에 연결되고, 반전단자는 제2 커패시터(C2)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고, 출력 단자는 제7 저항(R7)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5 연산증폭기(OP5)의 반전단자는 상기 제2 커패시터(C2)의 일단과 제6 저항(R6)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고, 출력단자는 제5 저항(R5) 및 상기 제2 커패시터(C2)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8 저항(R8)은 제4 연산증폭기(OP4)의 비반전단자와 접지전원 사이에 연결될 수 있고, 제5 저항(R5)은 제2 증폭부(230)의 출력단(Vo2)과 상기 제2 커패시터(C2)의 타단자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6 저항(R6)은 제4 및 제5 연산증폭기(OP4, OP5)의 반전단자에 일단이 연결되고, 제7 저항(R7)과 제4 연산증폭기(OP4)의 출력 단자에 타단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9 저항(R9)은 제5 연산증폭기(OP5)의 비반전단자와 상기 제1 커패시터(C1)의 타단자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증폭부(230)는 제1 커패시터(C1)의 타 단자로 입력되는 제1 증폭부(220)의 출력전압(Vo1)을 입력 전압으로 하고, 입력된 신호의 지연 속도를 보상하여, 출력 전압 Vo2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2 증폭부(230)는 R8=R9를 충족함과 동시에 저항들과 커패시터의 관계는 수학식 5를 충족할 수 있다.
수학식 5
Figure 112016051606852-pat00005
이 경우, 제2 증폭부(230)의 회로의 극점의 복소평면상의 허수축으로 이동함에 따라 빠른 응답속도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출력전압(Vo1)을 증폭함과 아울러 제2 출력전압(Vo2)의 원하는 목표 전압의 도달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여행용 가방(100)을 닫기 전에 물품을 케이스에 수납할 때 수납되는 물품의 무게 정보를 빠르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무게측정부(200)는 제1 케이스(110)에 설치되는 제1 무게측정부(201)와 제1 케이스(210)에 설치되는 제2 무게측정부(202)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더미 무게측정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더미 무게측정부는 제1 케이스(110)와 제2 케이스(210)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하나 이상 더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무게측정부(200)는 온도에 따라 스트레인게이지(212)의 고유저항이 달라질 수 있고, 탄성체(211)의 탄성계수가 변화할 수 있으므로, 온도에 따른 영향을 보상하기 위하여 영점온도보상이나 감도온도보상 그리고 입출력보정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와 제어장치>
도 6은 디스플레이부와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100)은 디스플레이부(300)와 제어장치(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는 제1 또는 제2 케이스(110, 120)의 외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여행용 가방(100)을 닫은 경우에도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케이스(110, 120)의 내면의 영역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400)는 제1 또는 제2 케이스(110, 120) 중 어느 하나에 수납되고, 상기 제1 또는 제2 케이스(110, 120)의 내피에 수납되어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제어장치(400)는 무게측정부(200)로부터 측정된 무게 정보(Vb-Va or Vo1 or Vo2)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 사용자가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수납물의 무게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는 제1 무게측정부(201)로부터 제1 케이스(110)에 수납된 수납물의 무게와 상기 제2 무게측정부(202)로부터 제2 케이스(210)에 수납된 수납물의 무게를 각각 표시할 수 있고, 수납물 전체의 총 무게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400)는 미리 저장된 여행용 가방(100)의 무게와 수납물의 무게를 합산하여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수납물을 포함한 여행용 가방(100)의 무게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줄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방식,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방식,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방식, 전계발광 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evice, EL) 방식, 전기영동 표시 방식,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방식 중 어느 하나에 따라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여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그 구조에 따라 부착형(add-on type), 상판형(on-cell type) 및 일체형(in-cell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착형은 디스플레이부(300)와 터치스크린을 개별적으로 제조한 후에, 디스플레이부(300)를 구성하는 상부 유리 기판에 터치스크린을 부착하는 방식이고, 상판형은 디스플레이부(300)를 구성하는 상부 유리 기판의 표면에 터치 스크린을 구성하는 소자들을 직접 형성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일체형은 디스플레이부(300)에 터치스크린을 내장한 방식이다.
상기 제어장치(400)는 근거리통신부(410)와 프로세서(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NFC; 410)는 단말기(10)의 NFC 코일과 근거리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50)는 상기 근거리통신부(410)에 의해 단말기(10)의 NFC 코일과의 접촉이 감지되는 경우, 무게측정부(200)로부터 감지되는 무게를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450)는 상기 근거리통신부(410)에 의해 단말기(10)의 NFC 코일과의 접촉이 감지되는 경우, 단말기(10)에 미리 설치된 캐리어정보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400)는 블루투스통신부(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통신부(420)는 단말기(10)와 페어링되어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400)는 상기 블루투스통신부(420)를 통해 상기 단말기(10)로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되는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단말기(10)에서도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10)의 조작을 통해 상기 제어장치(400)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제어장치(400)의 제어에 따라 무게측정부(200)가 무게를 측정하도록 하거나, 디스플레이부(300)의 초기화, 재시작, 전원 제어 등의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400)는 외부로 시인되는 버튼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상기 버튼의 조작함에 따라 무게측정부(200)가 무게를 측정하도록 하거나, 디스플레이부(300)의 초기화, 재시작, 전원 제어 등의 조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버튼은 물리적인 버튼이 아닌 디스플레이부(300)의 터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300)가 터치패널을 포함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100)은 디스플레이부(30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어장치(400)는 검출된 무게 정보는 단말기(10)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10) 상에 검출된 무게 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여행용 가방(100)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디스플레이부(300)를 포함하거나, 여행용 가방(100)의 수화물 취급 시 여러 요인에 의한 충격 등에 의해 디스플레이부가 파손되는 현상이나, 여행용 가방(100)의 제조 원가 절감을 위하여 디스플레이부를 삭제할 수도 있다.
상기 단말기(10)에는 캐리어정보어플리케이션(11)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정보어플리케이션(11)은 상기 블루투스통신부(420)를 통해 수신한 수납물의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여행용 가방(10)의 무게 정보와 항공사별 허용 수하물 무게 정보, 항공사의 무게별 물류비 정보와 여행용 가방(10)의 무게에 따른 초과요금 정보를 단말기(1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리어정보어플리케이션(11)은 상기 항공사의 무게별 물류비 정보와 여행용 가방(10)의 무게에 따른 초과요금 정보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요청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100)은 개방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케이스(110, 120) 각각에 수납되는 수납물의 무게를 측정하여, 디스플레이부(300)나 사용자의 단말기(10)로 표시하여 줌으로써, 여행용 가방(100)에 수납물을 넣는 과정 중에 실시간으로 여행용 가방(100) 전체의 무게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여행용 가방을 닫아 무게를 측정하고, 다시 개봉하여 수납물을 빼거나 넣는 등의 수고로운 과정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여행용 가방(100)의 무게 정보의 단순한 표시가 아닌 캐리어정보어플리케이션(11)을 통한 항공사별, 국가별, 좌석등급, 위탁수하물 및 휴대수하물에 따른 수하물 무게 규정에 준수 여부 및 미 준수 시 부가되는 추가 요금 등에 관한 정보를 한번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각 항공사별, 국가별 수하물 규정을 일일이 확인할 필요 없이 적정 수준의 수하물 무게 정보와 비용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리어정보어플리케이션(11)은 항공사별, 국가별, 좌석등급, 위탁수하물 및 휴대수하물에 따른 수하물 무게 규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단말기(10)를 통해 수신된 외부 서버로부터의 수하물 무게 규정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캐리어정보어플리케이션(11)은 단말기(10)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수화물코드를 스캐닝하여 항공사 서버와의 통신을 통하여 항공사 서버에서 제공하는 수화물 트래킹(luggage trackimg) 정보를 단말기(10)에 표시할 수 도 있다.
또한 제어장치(400)는 여행용 가방(100)의 위치를 감지하는 움직임감지센서(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감지센서(430)는 자이로센서로 가속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여행용 가방(100)의 이동이 감지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여행용 가방(100)이 소정의 기울기 이상으로 기울어지는 경우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450)는 상기 움직임감지센서(430)로부터 여행용 가방(100)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무게측정부(200)의 동작을 중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300)의 전원을 오프할 수 있다. 즉, 여행용 가방(100)에 짐이 수납되고, 닫힌 상태의 경우, 더 이상 여행용 가방(100)의 무게 정보를 측정하고 표시할 필요가 없으므로, 전원 절약을 위하여 무게측정부(200)와 디스플레이부(300)의 전원을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여행용 가방(100)은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터리는 무게측정부(200), 디스플레이부(300) 그리고 제어장치(400)의 전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40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통신부(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50)는 상기 GPS 통신부(440)를 통해 감지된 여행용 가방(100)의 GPS 위치 좌표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고, 상기 단말기(10)에는 여행용 가방(100)의 위치 정보가 표시될 수 있어, 여행용 가방(100)의 위치 추적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450)는 블루투스통신부(420)와 단말기(10)의 페어링이 유지되는지 주기적으로 감지할 수 있고, 페어링이 끊기는 경우, GPS 통신부(440)를 통해 감지된 여행용 가방(100)의 GPS 위치 좌표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10)로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여행용 가방(100)의 분실에 따른 여행용 가방(100)의 위치 정보의 자동 확인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100)은 제1 및 제2 케이스(110, 12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여행용 가방(100)의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제1 및 제2 바퀴(103, 104)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바퀴(103, 104)는 제1 및 제2 모터(105, 106) 각각으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에 의하여 회전함에 따라 여행용 가방(100)이 이동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모터(105, 106)의 제어는 프로세서(4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400)는 카메라장치(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장치(460)는 제1 또는 제2 케이스(110, 120)에 설치되고, 블루투스통신부(420)를 통하여 사용자의 단말기(10)와 블루투스 페어링이 이루어진 후, 상기 카메라장치(460)로부터 사용자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사용자가 이동 시 자체 동력을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400)는 제1 및 제2 케이스(110, 120)에 설치된 복수의 적외선 센서(47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적외선 센서(47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장애물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모터(105, 106)를 제어하여 여행용 가방(100)이 장애물을 피해 이동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의 제1 및 제2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의 제1 및 제2 케이스의 영역별 무게정보가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도 8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100)의 제1 케이스(110)는 제1-1 내지 제1-4 더미무게측정부(511, 512, 513, 5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1 내지 제1-4 더미무게측정부(511, 512, 513, 514)는 제1 케이스(110)의 제1 바닥부(115)의 가장자리를 따라 순서대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1 더미무게측정부(511)는 제1 바닥부(115)의 가장자리 영역 중 제1-1 및 제1-4 측벽(111, 114)의 연결 지점과 인접한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2 더미무게측정부(512)는 제1 바닥부(115)의 가장자리 영역 중 제1-1 및 제1-3 측벽(111, 113)의 연결 지점과 인접한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3 더미무게측정부(513)는 제1 바닥부(115)의 가장자리 영역 중 제1-4 및 제1-2 측벽(114, 112)의 연결 지점과 인접한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4 더미무게측정부(514)는 제1 바닥부(115)의 가장자리 영역 중 제1-3 및 제1-2 측벽(113, 112)의 연결 지점과 인접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100)의 제2 케이스(210)는 제2-1 내지 제2-4 더미무게측정부(521, 522, 523, 5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1 내지 제2-4 더미무게측정부(521, 522, 523, 524)는 제2 케이스(210)의 제2 바닥부(215)의 가장자리를 따라 순서대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1 더미무게측정부(521)는 제2 바닥부(215)의 가장자리 영역 중 제2-1 및 제2-4 측벽(211, 214)의 연결 지점과 인접한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2 더미무게측정부(522)는 제2 바닥부(215)의 가장자리 영역 중 제2-1 및 제2-3 측벽(211, 213)의 연결 지점과 인접한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3 더미무게측정부(523)는 제2 바닥부(215)의 가장자리 영역 중 제2-4 및 제2-2 측벽(214, 212)의 연결 지점과 인접한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2-4 더미무게측정부(524)는 제2 바닥부(215)의 가장자리 영역 중 제2-3 및 제2-2 측벽(213, 212)의 연결 지점과 인접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장치(400)의 프로세서(450)는 제1-1 내지 제1-4 더미무게측정부(511, 512, 513, 514) 각각으로부터 센싱되는 무게 정보와 제2-1 내지 제2-4 더미무게측정부(521, 522, 523, 524) 각각으로부터 센싱되는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여행용 가방(100)의 무게 중심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1 측벽(111)과 제2-1 측벽(211)의 외면에 손잡이가 장착되고 제1-2 측벽(112)과 제2-2 측벽(212)의 외면에 바퀴가 장착된다고 가정하면, 사용자가 여행용 가방(100)을 거치하여 이동시킬 때, 상기 여행용 가방(100)의 하부 영역에 수납물의 무게 중심이 집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프로세서(450)는 제1-1 더미무게측정부(511)로부터 센싱되는 제1-1 센싱값과 제2-1 더미무게측정부(521)로부터 센싱되는 제2-1 센싱값을 합산하여, 상기 여행용 가방(100) 상단의 일 측 영역의 무게를 감지하고, 제1-2 더미무게측정부(512)로부터 센싱되는 제1-2 센싱값과 제2-2 더미무게측정부(522)로부터 센싱되는 제2-2 센싱값을 합산하여, 상기 여행용 가방(100) 상단의 타 측 영역의 무게를 감지하고, 제1-3 더미무게측정부(513)로부터 센싱되는 제1-3 센싱값과 제2-3 더미무게측정부(523)로부터 센싱되는 제2-3 센싱값을 합산하여, 상기 여행용 가방(100) 하단의 일 측 영역의 무게를 감지하고, 제1-4 더미무게측정부(514)로부터 센싱되는 제1-4 센싱값과 제2-4 더미무게측정부(524)로부터 센싱되는 제2-4 센싱값을 합산하여, 상기 여행용 가방(100) 하단의 타 측 영역의 무게를 감지하고, 제1 및 제2 무게측정부(201, 202)로부터 센싱되는 센싱값을 합산하여 상기 여행용 가방(100)의 중심 영역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50)는 상기 여행용 가방(100)의 무게 중심을 검출하여 기 설정된 기준치들과 비교하여 비교결과를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 표시하거나, 사용자의 단말기(10)로 전송하여 단말기(10)에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무게 중심을 검출하여, 여행용 가방(100)의 형상과 손잡이와 바퀴의 위치에 따른 무게 중심의 적정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와 적정 위치로부터 벗어나는 경우를 세분화하여 사용자에게 도식화된 그림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여행용 가방(100)에 짐을 수납할 때, 상기 그림을 확인하면서, 짐을 수납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여행용 가방(100)의 이동에 따른 무게 중심의 적정 위치를 고려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여행용 가방(100)에 무게가 다양하고 부피가 다양한 각종 짐을 수납하는 경우가 흔하다. 이 경우 무게 중심의 적절치 못한 상태 예를 들어 손잡이에 인접한 영역에 무거운 짐이 수납되고 바퀴에 인접한 영역에 가벼운 짐이 수납되는 경우 등에서 여행용 가방(100)을 이동시키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여행용 가방(100) 이동 시 불필요한 힘이 많이 들어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1 내지 제1-4 더미무게측정부(511, 512, 513, 514) 각각은 로드셀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드셀부(210)는 탄성체(211) 및 스트레인게이지(2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400)의 변환부(240)는 상기 제1-1 내지 제1-4 더미무게측정부(511, 512, 513, 514) 및 무게측정부(200)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1 내지 제1-4 더미무게측정부(511, 512, 513, 514) 및 무게측정부(200) 각각으로부터 감지되는 무게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400)의 결합기(217)는 상기 제1-1 내지 제1-4 더미무게측정부(511, 512, 513, 514)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무게측정부(2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결합하고 이를 상기 변환부(240)를 입력하여, 모든 무게측정부로부터 감지되는 총 무게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400)는 제1 증폭부(220)를 포함하여 상기 제1-1 내지 제1-4 더미무게측정부(511, 512, 513, 514)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400)는 제2 증폭부(230)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증폭부(2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할 수도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단말기(10)는 여행용 가방(100)과 통신하여 상기 여행용 가방(100)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무게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케이스(110, 120)를 디스플레이하고, 무게측정부(200)와 제1-1 내지 제1-4 더미무게측정부(511, 512, 513, 514) 각각에 대응하는 영역별로 구분된 복수의 무게검출영역(18)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복수의 무게검출영역(18) 별로 검출되는 무게 정보를 개별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하는 방법으로는 색상을 달리하거나, 숫자 등의 형태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1 및 제2 케이스(110, 120)에 수납된 물품의 총 무게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110, 120)의 무게검출영역(18)별로 무게 정보를 확인하여, 무게중심의 위치를 파악하고, 물품의 적절한 수납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과 연동되고 단말기에 설치된 캐리어정보어플리케이션의 세부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단말기에 표시된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용 가방 무게 측정 시스템은, 서로 개폐가 가능한 제1 및 제2 케이스(110, 120) 및 상기 제1 케이스(110)의 제1 수납 공간(116)에 배치된 제1 무게측정부(201)와 상기 제2 케이스(120)의 제2 수납 공간(216)에 배치된 제2 무게측정부(202) 및 상기 제1 및 제2 무게측정부(201, 202)로부터 검출된 무게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여행용 가방(100) 및 상기 여행용 가방(100)에 수납되지 않은 물품의 바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물품의 종류를 식별하고, 상기 물품의 무게와 상기 여행용 가방(100)의 무게를 합산하여 표시하는 단말기(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행용 가방(100)에 설치된 통신부는 상기 단말기(10)의 단말기통신부와 통신하는 근거리통신부(410), 블루투스통신부(420)가 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10)와 통신할 수도 있고, 시스템 구현 방식에 따라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단말기(10)와 통신할 수도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여행용 가방 무게 측정 시스템에서, 여행용 가방(100)의 제어장치(400)와 통신하여 상기 여행용 가방(100)의 무게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10)에는 캐리어정보어플리케이션(11)이 설치되고, 상기 캐리어정보어플리케이션(11)은 코드분석부(12), 상품분석부(13), 무게합산부(14), 가방 추가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정보어플리케이션(11)은 단말기(10)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인식된 물품의 바코드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바코드의 코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정보어플리케이션(11)의 코드분석부(12)은 수신된 바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국가식별코드, 제조업체코드, 물품품목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정보어플리케이션(11)의 상품분석부(13)는 상기 코드분석부(12)의 코드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바코드가 부착된 물품의 출처 국가와 제조업체 정보 그리고 물품 정보에 기초하여 물품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고, 해당 물품에 대응하는 물품을 단말기(10) 상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거나, 외부 서버로부터 해당 물품에 대응하는 물품의 정보를 단말기통신부(16)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물품의 정보에는 물품의 무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 서버는 해당 물품의 제조사나 판매사의 서버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서버는 상기 캐리어정보어플리케이션(11)을 제공하는 서버가 될 수도 있고, 이 경우의 서버는 물품의 무게 정보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가 구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품분석부(13)는 단말기(10)의 인터넷 기능을 이용하여 해당 물품을 자동으로 검색하고, 매칭되는 물품의 무게 정보를 인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품분석부(13)는 식별된 물품을 무게정보미포함물품과 무게정보포함물품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식별된 물품이 무게정보미포함물품인 경우, 해당 물품을 단말기(10)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할 수 있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물품의 정보에는 해당 물품의 평균적인 무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게정보미포함물품은 일 예로 의류, 벨트, 넥타이 등과 같이 제조사나 판매사에서 별도의 무게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된 물품이 무게정보포함물품인 경우, 해당 물품의 정보를 단말기(10)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거나, 외부 서버로부터 물품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검색되거나 수신된 물품의 정보에는 실제 물품의 무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게정보포함물품 일 예로 카메라, 노트북과 같이 제조사나 판매사에서 별도의 무게 정보를 제공하는 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게합산부(14)는 상기와 같이 인식된 물품의 무게 정보와 여행용 가방(100)의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물품과 여행용 가방(100)의 무게를 합산하여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캐리어정보어플리케이션(11)은 여행용 가방(100)의 무게와 인식된 물품의 무게를 합산한 무게가 항공사별 허용치를 초과하는 경우나 미달되는 경우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단말기(10)를 통해 인식한 물품을 여행용 가방(100)에 수납할 경우, 예상되는 여행용 가방(100)의 무게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방 추가부(15)는 사용자의 여행용 가방(100)외에 추가적인 여행용 가방의 무게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즉, 단말기통신부(16)는 추가 여행용 가방과의 통신을 통해 추가 여행용 가방의 무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가방 추가부(15)는 추가 여행용 가방의 무게 정보를 무게합산부(14)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무게합산부(14)는 식별된 물품이 사용자의 여행용 가방(100)에 수납되는 경우의 무게 및 추가 여행용 가방에 수납되는 경우의 무게 중 적어도 하나를 단말기(1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캐리어정보어플리케이션(11)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도 10과 같은 형태의 형태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 상의 터치 기능을 이용하여 식별된 물품을 A 여행용 가방에 드레그 앤 드롭하여 수납하는 경우, A 여행용 가방의 16Kg 무게와 물품 a의 무게가 합산된 무게 정보가 표시될 수 있고, 식별된 물품을 B 여행용 가방에 드레그 앤 드롭하여 수납하는 경우, B 여행용 가방의 15Kg 무게와 물품 a의 무게가 합산된 무게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A 여행용 가방은 사용자의 여행용 가방(100)이고, B 여행용 가방은 추가 여행용 가방이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식별된 물품을 가방 추가부(15)에 의해 추가된 추가 가방과 본인의 가방 중 어느 하나에 가상으로 수납하는 경우, 여행용 가방의 총 무게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여행지에서 쇼핑을 하는 경우, 각종 물품을 구매하는 경우 여행용 가방(100)의 총 무게가 증가할 수 있다. 이 때 여행용 가방(100)를 개방하여 물품을 여행용 가방(100)에 담이 여행용 가방(100)의 무게를 측정할 필요 없이, 구매 예정인 물품의 바코드를 단말기(10)를 통해 인식하여 물품의 무게 정보를 획득하고 구매할 물품을 여행용 가방(100)에 수납하였을 때의 여행용 가방(100)의 총 무게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무게가 증가한 여행용 가방(100)의 항공사별, 국가별, 좌석등급, 위탁수하물 및 휴대수하물에 따른 수하물 무게 규정에 준수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미 준수 시 부가되는 추가 요금 등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여행지에 동반자가 존재하고, 동반자의 여행용 가방을 추가 여행용 가방으로 사용자의 단말기(10)의 캐리어정보어플리케이션(11)에 추가할 수 있다. 그리고 식별된 물품을 사용자의 여행용 가방이나 동반자의 여행용 가방인 추가 여행용 가방 중 어느 하나에 가상으로 수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의 물품을 수납한 여행용 가방의 총 무게 정보 실시간으로 단말기(10)에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항공사별, 국가별, 좌석등급, 위탁수하물 및 휴대수하물에 따른 수하물 무게 규정에 준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미 준수 시 부가되는 추가 요금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규정을 고려하여 복수의 여행용 가방 중에서 구매 물품을 수납할 여행용 가방을 빠르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 10과 같은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된 이미지에 사용자가 간편하게 드레그 앤 드롭을 통해 식별된 물품을 어느 하나의 여행용 가방에 수납하고, 추가적인 식별된 물품을 어느 하나의 여행용 가방에 수납하는 과정을 반복함에 따라, 물품이 가상으로 여행용 가방에 수납될 때 여행용 가방의 총 무게는 업데이트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구매한 모든 물품을 여행용 가방에 수납한 경우, 여행용 가방의 예상되는 총 무게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고, 여행용 가방의 총 무게 확인을 위하여 여행용 가방을 실제로 개방하여 물품을 담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기(10)가 여행용 가방(100)에 수납될 수 있는 물품을 인식하는 방법으로 물품의 바코드 정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물품의 명칭을 수신할 수도 있고, 물품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말기(10)는 물품을 식별하고, 데이터베이스의 검색이나 외부 서버로부터의 정보 수신 형태로 해당 물품의 평균적인 무게 정보나 실제 무게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는 무게측정부(200)와 제1-1 내지 제1-4 더미무게측정부(511, 512, 513, 514) 각각에 대응하는 영역별로 구분된 복수의 무게검출영역(18)을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구매하여 수납할 예정인 물품의 적정 수납 위치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단말기(10)
캐리어정보어플리케이션(11)
코드분석부(12)
상품분석부(13)
무게합산부(14)
가방 추가부(15)
단말기통신부(16)
무게검출영역(18)
여행용 가방(100)
제1 및 제2 바퀴(103, 104)
제1 및 제2 모터(105, 106)
제1 케이스(110)
제1-1 내지 제1-4 측벽(111, 112, 113, 114)
제1 바닥부(115)
제1 수납공간(116)
제2 케이스(120)
제2-1 내지 제2-4 측벽(211, 212, 213, 214)
제2 바닥부(215)
제2 수납공간(216)
무게측정부(200)
제1 및 제2 무게측정부(201, 202)
제1 및 제2 무게분배패드(203, 204)
로드셀부(210)
탄성체(211)
스트레인게이지(212)
결합기(217)
제1 증폭부(220)
제2 증폭부(230)
변환부(240)
디스플레이부(300)
제어장치(400)
근거리통신부(410)
블루투스통신부(420)
움직임감지센서(430)
GPS 통신부(440)
프로세서(450)
카메라장치(460)
적외선 센서(470)
제1-1 내지 제1-4 더미무게측정부(511, 512, 513, 514)
제2-1 내지 제2-4 더미무게측정부(521, 522, 523, 524)

Claims (12)

  1. 제1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와 결합하고 제2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제2 케이스, 상기 제1 수납공간에 배치된 제1 무게측정부, 상기 제2 수납공간에 배치된 제2 무게측정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무게측정부로부터의 센싱된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 상의 수납물의 무게 정보를 검출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여행용 가방; 및
    코드분석부, 상품분석부, 무게합산부, 가방추가부를 포함한 케리어정보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통신부, 카메라 및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코드분석부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인식된 물품의 바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국가식별코드, 제조업체코드, 물품 품목을 식별하고,
    상기 상품분석부는 상기 코드분석부의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물품의 종류를 식별하여 상기 물품을 무게정보미포함물품과 무게정보포함물품으로 구분하고, 상기 물품이 무게정보포함물품인 경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무게정보포함물품에 대응하고 상기 무게정보포함물품의 무게 정보를 포함한 물품의 정보를 상기 단말기의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물품이 무게정보미포함물품인 경우 상기 단말기 내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무게정보미포함물품에 대응하는 물품의 평균적인 무게 정보를 읽어들이고,
    상기 무게합산부는 상기 제1 여행용 가방의 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여행용 가방의 무게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인식된 물품의 무게를 합산한 합산 무게를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가방추가부는 상기 제2 여행용 가방의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제2 여행용 가방의 무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무게합산부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인식된 물품의 무게와 상기 제1 여행용 가방의 무게를 합산하고, 상기 카메라로부터 인식된 물품의 무게와 상기 제2 여행용 가방의 무게를 합산하여 이들 각각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고,
    상기 제1 케이스는 제1 바닥부와 상기 제1 바닥부를 둘러싼 제1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케이스는 제2 바닥부와 상기 제2 바닥부를 둘러싼 제2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무게측정부는 상기 제1 바닥부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무게측정부는 상기 제2 바닥부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여행용 가방은 상기 제1 바닥부의 가장자리를 둘러싼 제1 내지 제4 더미무게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여행용 가방은 상기 제2 바닥부의 가장자리를 둘러싼 제5 내지 제8 더미무게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여행용 가방의 제어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무게측정부와 상기 제1 내지 제4 더미무게측정부의 무게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여행용 가방의 무게 중심을 검출하고,
    상기 제2 여행용 가방의 제어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무게측정부와 상기 제5 내지 제8 더미무게측정부의 무게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여행용 가방의 무게 중심을 검출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 여행용 가방의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제1 여행용 가방의 무게 중심의 정보와 상기 제2 여행용 가방의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제2 여행용 가방의 무게 중심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표시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단말기 상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코일과의 접촉을 감지하는 근거리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근거리통신부와 상기 NFC 코일의 통신에 따라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무게감지장치를 구동하여 수납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여행용 가방 무게 측정 시스템.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게측정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수납공간에 수납된 수납물의 무게를 상기 제1 무게측정부로 전달하고 상기 제1 바닥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제1 무게분배패드; 및
    상기 제2 무게측정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수납공간에 수납된 수납물의 무게를 상기 제2 무게측정부로 전달하고 상기 제2 바닥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제2 무게분배패드; 를 더 포함하는 여행용 가방 무게 측정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무게측정부 각각은 외력에 의해 비례적으로 변화하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변화량을 전기적인 신호로 바꾸어주고 휘트스톤브릿지 구조의 스트레인게이지를 구비한 로드셀부를 포함하는 여행용 가방 무게 측정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무게측정부 각각은 상기 스트레인게이지로부터의 출력 전압을 1차 증폭하는 제1 증폭부 및 상기 제1 증폭부의 출력 전압을 2차 증폭하는 제2 증폭부를 더 포함하는 여행용 가방 무게 측정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단말기와 통신하는 블루투스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여행용 가방 무게 측정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GPS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GPS 통신부에 의한 여행용 가방의 위치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여행용 가방 무게 측정 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수납물의 무게 정보, 항공사별 및 국가별 허용 수하물 무게 정보와 항공사의 무게 별 물류비 정보에 기초하여 수하물 무게 규정 준수 여부 및 미 준수 시 부가되는 추가 요금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여행용 가방 무게 측정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KR1020160066224A 2016-05-30 2016-05-30 여행용 가방 무게 측정 시스템 KR101663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224A KR101663933B1 (ko) 2016-05-30 2016-05-30 여행용 가방 무게 측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224A KR101663933B1 (ko) 2016-05-30 2016-05-30 여행용 가방 무게 측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3933B1 true KR101663933B1 (ko) 2016-10-14

Family

ID=57157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224A KR101663933B1 (ko) 2016-05-30 2016-05-30 여행용 가방 무게 측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93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490B1 (ko) * 2017-05-12 2018-07-10 권혁준 사물 인식 스마트 가방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 가방 정보 제공 시스템
WO2019072056A1 (en) * 2017-10-12 2019-04-18 Lingdong Technology (Beijing) Co., Ltd MOBILE CONTAINER, ASSOCIATED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CN109655140A (zh) * 2019-01-29 2019-04-19 深圳市伊欧乐科技有限公司 电子秤
KR102005422B1 (ko) * 2018-03-06 2019-07-30 이창환 캐리어 가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0536A (ko) * 2006-07-27 2008-01-31 송창곤 무선 디지털 로드셀
KR100923779B1 (ko) 2006-04-11 2009-10-27 이성무 중량 측정 장치 및 상기 장치가 장착된 가방
JP2014132747A (ja) * 2012-11-30 2014-07-17 Airbus Operation GmbH ディスプレイを備えたカバン物品及びカバン物品のための通信システム
KR20150128085A (ko) * 2014-05-08 2015-11-18 김변호 다기능성가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779B1 (ko) 2006-04-11 2009-10-27 이성무 중량 측정 장치 및 상기 장치가 장착된 가방
KR20080010536A (ko) * 2006-07-27 2008-01-31 송창곤 무선 디지털 로드셀
JP2014132747A (ja) * 2012-11-30 2014-07-17 Airbus Operation GmbH ディスプレイを備えたカバン物品及びカバン物品のための通信システム
KR20150128085A (ko) * 2014-05-08 2015-11-18 김변호 다기능성가방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490B1 (ko) * 2017-05-12 2018-07-10 권혁준 사물 인식 스마트 가방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 가방 정보 제공 시스템
WO2019072056A1 (en) * 2017-10-12 2019-04-18 Lingdong Technology (Beijing) Co., Ltd MOBILE CONTAINER, ASSOCIATED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US11143544B2 (en) 2017-10-12 2021-10-12 Lingdong Technology (Beijing) Co. Ltd. Movable container, associated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KR102005422B1 (ko) * 2018-03-06 2019-07-30 이창환 캐리어 가방
CN109655140A (zh) * 2019-01-29 2019-04-19 深圳市伊欧乐科技有限公司 电子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3933B1 (ko) 여행용 가방 무게 측정 시스템
US11340373B1 (en) System to determine portable device presence at a portal
US11057751B1 (en) User identification system using directional antennas and cameras
US7265302B2 (en) Article of luggage with internally built-in weight measurement and display and method therefor
US10760947B1 (en) Modular item stowage system
US10573135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elf-service shopping
EP3829953B1 (en) Smart shopping trolley
US10753787B1 (en) Sensor data processing for detection of changes in item quantities
US10064502B1 (en) Shelf with integrated electronics
US10713803B1 (en) Testing validity of items using image data analysis
US10262293B1 (en) Item management system using multiple scales
US10969267B1 (en) Parallel planar weight sensing device
US10206519B1 (en) Auto-facing unit with sensors
US7151231B2 (en) Combined suitcase and weighing scale
US8901442B1 (en) Luggage incorporating a weight determination mechanism and location determination system
US10039362B2 (en) Luggage with weight sensors
US10706587B1 (en) Calibration of multiple cameras
US7501591B1 (en) Device for measuring and annunciating weight of luggage articles
US20130140097A1 (en) Handle integrated scale
US11125607B1 (en) Integrated multi-lane weight measuring device
US11085809B1 (en) Multi-channel weight sensing system
US11222305B1 (en) Instrumented item hook system
US11195140B1 (en) Determination of untidy item return to an inventory location using weight
US11436557B1 (en) Interaction determination using data from weight sensors
US11117744B1 (en) Determination of untidy item return to an inventory lo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