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3429B1 - 데이터 저장 공간의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데이터 저장 공간의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3429B1
KR101663429B1 KR1020150107172A KR20150107172A KR101663429B1 KR 101663429 B1 KR101663429 B1 KR 101663429B1 KR 1020150107172 A KR1020150107172 A KR 1020150107172A KR 20150107172 A KR20150107172 A KR 20150107172A KR 101663429 B1 KR101663429 B1 KR 101663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torage space
event
rate
ra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7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인휘
장성균
강진영
이경락
임덕선
이동빈
장민기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07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4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데이터 저장 공간의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 공간 관리 장치는 촬영 장치로부터 획득된 영상에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이벤트를 나타내는 태그를 상기 영상에 포함시키는 이벤트 영상 판단부, 상기 영상이 저장 공간에 저장될 때, 상기 저장 공간의 현재 사용률이 상기 저장 공간의 최대 가용률에 도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저장 공간에 저장된 영상들 중 상기 태그가 포함된 영상의 비율을 계산하는 이벤트 영상 비율 계산부 및 상기 최대 가용률의 도달 여부와 상기 태그가 포함된 영상의 비율에 따라서 상기 최대 가용률을 변경하는 저장 공간 비율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저장 공간의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MANAGING DATA STORAGE AREA}
본 발명은 데이터 저장 공간을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요 데이터의 저장 비율에 따라서 데이터 저장 공간을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크기가 작은 정형화된 텍스트 데이터에서 비정형화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고성능 공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위해서 비정형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공간 저장 관리 프로그램의 사용이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종래의 CCTV용 영상 저장은 USB메모리나 SD카드 등과 같이 비교적 가용 용량이 작은 저장 장치를 이용하고 있다.
그리고, 가용 용량이 작은 저장 장치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최근에는 물체의 움직임이 있는 이벤트 발생 시에만 데이터가 저장 공간에 저장되도록 하는 동작 감지 모듈, 저장 공간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 획득된 영상보다 파일 크기가 작은 영상으로 압축하여 저장하는 인코딩 모듈을 부착하여 구성된 CCTV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동작 감지 모듈을 통해 이벤트가 감지된 영상만을 저장하는 경우, 저장 장치의 가용 공간이 항상 최대이기 때문에 이벤트가 감지된 영상들 중에서도 특정 영상을 찾을 때 모든 영상을 식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CPU에 의해 동작 감지 및 압축이 최종적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영상을 저장함에 있어 에러 발생의 위험성이 존재한다.
또한 이벤트가 발생한 획득 영상보다 크기가 작은 영상으로 압축하게 되면, 추후 영상의 판별이 필요 할 때, 영상의 화질로 인해 진위 여부가 불투명해 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저장 공간의 최대 가용 용량의 기준치를 정하고, 영상 관리(저장, 삭제 등) 측면에서 가치가 있는 영상의 보존 기간을 늘릴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 공간 관리 장치는 촬영 장치로부터 획득된 영상에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이벤트를 나타내는 태그를 상기 영상에 포함시키는 이벤트 영상 판단부, 상기 영상이 저장 공간에 저장될 때, 상기 저장 공간의 현재 사용률이 상기 저장 공간의 최대 가용률에 도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저장 공간에 저장된 영상들 중 상기 태그가 포함된 영상의 비율을 계산하는 이벤트 영상 비율 계산부 및 상기 최대 가용률의 도달 여부와 상기 태그가 포함된 영상의 비율에 따라서 상기 최대 가용률을 변경하는 저장 공간 비율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 공간 관리 장치가 데이터 저장 공간을 관리하는 방법은 (a) 촬영 장치로부터 획득된 영상에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이벤트를 나타내는 태그를 상기 영상에 포함시키는 단계, (b) 상기 영상이 저장 공간에 저장될 때, 상기 저장 공간의 현재 사용률이 상기 저장 공간의 최대 가용률에 도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저장 공간에 저장된 영상들 중 상기 태그가 포함된 영상의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 및 (c) 상기 최대 가용률의 도달 여부와 상기 태그가 포함된 영상의 비율에 따라서 상기 최대 가용률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블랙박스, CCTV, 도어락 등 실시간 감시가 필요한 환경에서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측면에서 중요한 영상의 보존 기간을 늘릴 수 있어 사고의 진위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확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사건의 진위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영상의 검색 시, 저장된 영상을 일일이 확인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고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추가적인 장치 없이 기존의 저장 공간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영상을 데이터화, 부호화 및 압축하는 작업이 없어 자원의 소묘율을 나줄 수 있으며, 원본 데이터의 훼손이 없어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 공간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 공간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 공간을 관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 공간에 저장된 영상 파일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 공간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 공간 관리 시스템은 촬영 장치(100), 저장 공간 관리 장치(200) 및 저장 공간(300)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데이터 저장 공간 관리 시스템은 차량용 블랙박스, CCTV 및 도어락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각 구성 요소가 하나의 시스템에 모두 포함될 수도 있고, 일부 구성 요소는 외부의 시스템에 존재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각 구성 요소를 간략히 설명하면, 촬영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 공간 관리 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저장 공간 관리 장치(200)는 촬영 장치(100)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저장 공간(300)에 특정 시간 단위로 상시 저장할 수 있으며, 이때,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영상(이하, ‘이벤트 영상’이라 칭함)을 관리하기 위해, 영상 내에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나타내는 별도의 태그를 포함시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경우 주변 차량의 차량 번호 인식, 특정 강도 이상의 충격 감지, 차량의 주행 위치(특정 지역 내에 진입한 경우 등), 차량 주변의 움직임 감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CCTV나 도어락 장치의 경우 움직이는 물체 감지, 특정 밝기 이상의 광원 감지(산불 감지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 공간 관리 장치(200)는 적용 시스템에 따라서 차량 번호 인식 모듈, 가속도 센서, GPS 모듈 등을 포함하거나 해당 모듈들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저장 공간 관리 장치(200)는 저장 공간(300)에 상시로 저장된 영상들 중 이벤트 영상의 비율에 따라서 저장 공간(300)의 최대 가용률을 변경시켜 영상을 관리(삭제나 저장 등)함으로써, 압축으로 인해 저장되는 중요 영상의 화질이 저하되는 위험 부담을 감수하기 보다는 중요 영상의 보존 기간을 늘리고 원본의 고화질로 해당 영상들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저장 공간(300)은 SD 카드 형태의 메모리나 하드디스크와 같은 저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공간(300)은 저장 공간 관리 장치(200)에 포함될 수도 있고, 별도로 외부에 존재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 공간 관리 장치(2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 공간 관리 장치(200)는 영상 저장부(210), 이벤트 영상 판단부(220), 이벤트 영상 비율 계산부(230) 및 가용 공간 비율 설정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저장 공간 관리 장치(200)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와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메모리에는 프로세서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하는 저장 공간 관리 장치(200)의 동작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명령어들이 저장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를 설명하면, 영상 저장부(210)는 촬영 장치(100)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저장 공간(30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저장부(210)는 촬영 장치(100)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예를 들어, 30초 단위, 1분 단위, 2분 단위 등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파일 이름, 파일 사이즈, 저장 시간, 해상도, 프레임 레이트 및 비트 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영상 파라미터를 파일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이벤트 영상 판단부(220)는 촬영 장치(100)로부터 획득된 영상에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이벤트가 발생된 것이 확인되면 해당 영상에 이벤트가 포함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태그를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이벤트’에 대해서는 전술한바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벤트 영상 판단부(220)는 상기 각각의 이벤트에 대응하는 태그를 영상에 포함시킬 수도 있고, 단순히 이벤트의 발생 여부만을 고려하여 태그를 포함시킬 수도 있다.
상기 이벤트는 각 이벤트별로 서로 다른 가중치가 설정될 수 있다. 물론 특정 이벤트들은 동일한 가중치가 설정될 수도 있다.
하나의 영상에 복수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동일한 이벤트가 여러 번 발생한 경우도 포함됨), 이벤트 영상 판단부(220)는 복수의 이벤트 태그를 해당 영상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때, 이벤트 영상 판단부(220)는 각 이벤트의 발생 회수 및 가중치 중 하나 이상을 영상에 포함시킬 수도 있고, 이벤트의 종류를 구분하지 않고 단순히 이벤트의 발생 여부만을 고려하는 경우, 이벤트 발생 여부만을 나타내는 태그와 함께 이벤트의 발생 회수와 가중치를 합산하여 영상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참고로, 이벤트 영상 판단부(220)는 촬영 장치(100)로부터 획득된 영상의 파일 사이즈에 따라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즉, 이벤트가 발생한 영상과 그렇지 않은 영상의 파일 사이즈는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이벤트가 발생한 영상의 파일 사이즈에 대한 평균 값(기준 값)을 설정하고 촬영 장치(100)로부터 획득된 영상의 파일 사이즈가 상기 평균 값 이상이면 이벤트 영상 판단부(220)는 해당 영상에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이벤트 영상 비율 계산부(230)는 촬영 장치(100)로부터 획득된 영상이 저장 공간(300)에 저장될 때, 저장 공간(300)의 현재 사용률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영상 비율 계산부(230)는 저장 공간(300)의 현재 사용률이 미리 설정된 최대 가용률에 도달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이벤트 영상 비율 계산부(230)는 영상의 저장과 삭제가 원할하게 진행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최대 가용률의 특정 시점 이전에 최대 가용률의 도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대 가용률이 60%로 설정된 경우, 이벤트 영상 비율 계산부(230)는 저장 공간(300)의 현재 사용률이 최대 가용률로부터 3% 이전 시점인 57%에 도달하면 최대 가용률에 도달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저장 공간(300)의 현재 사용률이 미리 설정된 최대 가용률에 도달하면, 이벤트 영상 비율 계산부(230)는 저장 공간(300)에 저장된 전체 영상 중 이벤트 영상의 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
참고로, 저장 공간(300)의 최대 가용률은 가용 공간 비율 설정부(240)에 의해서 특정 비율로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으며, 이벤트 영상 비율 계산부(230)는 특정 비율로 증가되거나 감소된 최대 가용률의 특정 시점 이전에 전술한 최대 가용률의 도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가용 공간 비율 설정부(240)는 이벤트 영상 비율 계산부(230)에서 계산된 이벤트 영상의 비율이 미리 설정된 제 1 특정 비율 이상인 경우, 저장 공간(300)의 최대 가용률을 특정 비율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저장 공간(300)의 최대 가용률이 상기 특정 비율로 증가된 상태에서, 이벤트 영상 비율 계산부(230)에서 계산된 이벤트 영상의 비율이 미리 설정된 제 2 특정 비율 이하이면, 가용 공간 비율 설정부(240)는 저장 공간(300)의 최대 가용률을 미리 설정된 특정 비율로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저장 공간(300)의 최대 가용률(기본으로 설정된)이 60%이고, 이벤트 영상의 비율이 제 1 특정 비율인 80% 이상이면 가용 공간 비율 설정부(240)는 저장 공간(300)의 최대 가용률을 20% 증가시켜 80%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저장 공간(300)의 최대 가용률이 80%를 유지하고 있을 때 이벤트 영상의 비율이 제 2 특정 비율인 40% 이하이면, 가용 공간 비율 설정부(240)는 저장 공간(300)의 최대 가용률을 20% 감소시켜 60%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 공간(300)의 최대 가용률 변경을 위한 이벤트 영상의 특정 비율은 중요 데이터의 보존 시간이 최대가 되는 시점을 계산하여 적용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 공간을 관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의 흐름도는 도 2에 도시된 저장 공간 관리 장치(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하, 저장 공간 관리 장치(200)를 동작의 수행 주체로 하여 도 3의 흐름도를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저장 공간 관리 장치(200)는 촬영 장치(100)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특정 시간 단위로 상시 저장할 수 있으며, 기본으로 설정된 저장 공간(300)의 최대 가용률은 60%, 최대 가용률의 증가 또는 감소 비율은 20%, 최대 가용률을 증가시키는 이벤트 영상의 비율은 80% 이상, 최대 가용률을 감소시키는 이벤트 영상의 비율은 40% 이하이다.
저장 공간 관리 장치(200)는 촬영 장치(100)로부터 영상이 획득되면, 저장 공간(300)의 현재 사용률을 계산한다(S301).
S301 후, 저장 공간 관리 장치(200)는 저장 공간(300)의 현재 사용률이 저장 공간(300)의 최대 가용률 60%에 도달했는지 판단한다(S302).
이때, 저장 공간 관리 장치(200)는 영상의 원활한 저장 또는 삭제를 위하여 최대 가용률 60%의 특정 시점 이전(57%)에 상기 도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302 의 판단 결과, 저장 공간(300)의 현재 사용률이 최대 가용률 60%에 도달한 경우, 저장 공간 관리 장치(200)는 현재 저장 공간(300)에 저장된 모든 영상 중 이벤트 영상의 비율이 80% 이상인지 판단한다(S303).
S303의 판단 결과, 이벤트 영상의 비율이 80% 이상이면, 저장 공간 관리 장치(200)는 저장 공간(300)의 최대 가용률을 80%로 증가시킨다(S304).
저장 공간(300)의 최대 가용률이 80%로 변경된 상태에서, S302 판단 결과 저장 공간(300)의 현재 사용률이 최대 가용률 80% 미만인 경우, 저장 공간 관리 장치(200)는 현재 저장 공간(300)에 저장된 모든 영상 중 이벤트 영상의 비율이 40% 이하인지 판단한다(S305).
S305의 판단 결과, 이벤트 영상의 비율이 40% 이하이면, 저장 공간 관리 장치(200)는 저장 공간(300)의 최대 가용률을 60%로 감소시킨다(S306).
S304 또는 S306 후, 저장 공간 관리 장치(200)는 촬영 장치(100)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특정 시간 단위로 저장한다(S307).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 공간에 저장된 영상 파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저장 공간(300)에 저장되는 영상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이름, 파일 사이즈, 저장 공간, 최대 가용 공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가 발생된 영상은 이벤트 영상임을 나타내는 태그(#1)포함되어 있으며,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은 영상에도 별도의 태그(#0)가 포함되어 있다.
물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벤트 영상과 일반 영상을 각각 구분하는 태그가 포함될 수도 있고, 이벤트 영상에만 태그가 부여될 수도 있다.
추후에 이벤트 영상만을 조회 시, 저장 공간 관리 장치(200)는 이벤트 영상임을 나타내는 태그(#1)를 참조하여 이벤트 영상만을 신속하게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파일 사이즈를 살펴보면, 이벤트 영상의 파일 사이즈가 일반 영상의 파일 사이즈보다 크고 약 1.2~3Mb 이상인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촬영 장치(100)로부터 획득된 영상이 이벤트 영상임을 판단할 때 파일 사이즈가 1.2Mb 이상인 경우 해당 영상을 이벤트 영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참고로 도 4에서, 파일 이름, 파일 사이즈, 저장 공간, 최대 가용 공간에 대한 정보만 포함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이 외에도 이벤트 영상의 경우 이벤트의 종류와 발생 횟수, 가중치, 해상도, 프레임 레이트, 비트 레이트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촬영 장치
200 : 저장 공간 관리 장치
210 : 영상 저장부
220 : 이벤트 영상 판단부
230 : 이벤트 영상 비율 계산부
240 : 가용 공간 비율 설정부
300 : 저장 공간

Claims (11)

  1. 데이터 저장 공간 관리 장치에 있어서,
    촬영 장치로부터 획득된 영상에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이벤트를 나타내는 태그를 상기 영상에 포함시키는 이벤트 영상 판단부;
    상기 영상이 저장 공간에 저장될 때, 상기 저장 공간의 현재 사용률이 상기 저장 공간의 최대 가용률에 도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저장 공간에 저장된 영상들 중 상기 태그가 포함된 영상의 비율을 계산하는 이벤트 영상 비율 계산부; 및
    상기 최대 가용률의 도달 여부와 상기 태그가 포함된 영상의 비율에 따라서 상기 최대 가용률을 변경하는 저장 공간 비율 설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 공간 비율 설정부는
    상기 저장 공간의 현재 사용률이 상기 저장 공간의 최대 가용률에 도달하고,
    상기 계산된 이벤트 영상의 비율이 미리 설정된 제 1 비율 이상이면 상기 최대 가용률을 제 1 최대 가용률로 증가시키며,
    상기 저장 공간의 현재 사용률이 상기 저장 공간의 최대 가용률에 도달하지 못하고, 상기 계산된 이벤트 영상의 비율이 미리 설정된 제 2 비율 이하이면 상기 최대 가용률을 제 2 최대 가용률로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공간 관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영상 판단부는
    상기 영상의 파일 크기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영상에서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공간 관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영상 판단부는
    미리 정해진 이벤트의 종류별로 상기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종류별 발생 회수 및 가중치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영상에 더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공간 관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영상 판단부는
    발생된 이벤트의 수를 합산하여 상기 영상에 더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공간 관리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영상 비율 계산부는
    상기 저장 공간의 현재 사용률이 상기 저장 공간의 최대 가용률에 도달하는지 판단 시, 상기 최대 가용률의 특정 시점 이전에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공간 관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가용률을 변경하는 기준이되는 상기 태그가 포함된 영상의 비율은 상기 태그가 포함된 영상의 보존 기간이 최대가 되는 시점을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공간 관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가용률이 변경된 상기 저장 공간에 상기 촬영 장치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공간 관리 장치.
  9. 데이터 저장 공간 관리 장치가 데이터 저장 공간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촬영 장치로부터 획득된 영상에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이벤트를 나타내는 태그를 상기 영상에 포함시키는 단계;
    (b) 상기 영상이 저장 공간에 저장될 때, 상기 저장 공간의 현재 사용률이 상기 저장 공간의 최대 가용률에 도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저장 공간에 저장된 영상들 중 상기 태그가 포함된 영상의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 및
    (c) 상기 최대 가용률의 도달 여부와 상기 태그가 포함된 영상의 비율에 따라서 상기 최대 가용률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c) 단계는
    상기 저장 공간의 현재 사용률이 상기 저장 공간의 최대 가용률에 도달하고,
    상기 계산된 이벤트 영상의 비율이 미리 설정된 제 1 비율 이상이면 상기 최대 가용률을 제 1 최대 가용률로 증가시키며,
    상기 저장 공간의 현재 사용률이 상기 저장 공간의 최대 가용률에 도달하지 못하고, 상기 계산된 이벤트 영상의 비율이 미리 설정된 제 2 비율 이하이면 상기 최대 가용률을 제 2 최대 가용률로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공간 관리 방법.
  10. 삭제
  11. 제 9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을 포함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107172A 2015-07-29 2015-07-29 데이터 저장 공간의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663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172A KR101663429B1 (ko) 2015-07-29 2015-07-29 데이터 저장 공간의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172A KR101663429B1 (ko) 2015-07-29 2015-07-29 데이터 저장 공간의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3429B1 true KR101663429B1 (ko) 2016-10-07

Family

ID=57145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7172A KR101663429B1 (ko) 2015-07-29 2015-07-29 데이터 저장 공간의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42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7803A (ja) * 2001-07-24 2003-02-07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ータ記録システム及びデータ記録方法
KR20070098480A (ko) * 2006-03-31 2007-10-05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영상 감시 시스템, 감시 영상의 이상 검출 방법 및 감시영상의 이상 검출 프로그램
KR101119846B1 (ko) * 2011-08-09 2012-02-28 (주)리얼허브 원격 비디오 시스템의 저장 공간 장애 판별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7803A (ja) * 2001-07-24 2003-02-07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ータ記録システム及びデータ記録方法
KR20070098480A (ko) * 2006-03-31 2007-10-05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영상 감시 시스템, 감시 영상의 이상 검출 방법 및 감시영상의 이상 검출 프로그램
KR101119846B1 (ko) * 2011-08-09 2012-02-28 (주)리얼허브 원격 비디오 시스템의 저장 공간 장애 판별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ontent-based video retrieval(cbvr) system for cctv surveillance videos, Digital Image Computing Techniques and Applications, 2009 IEEE(20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07774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в системе захвата изображения,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и машиночитаемый носитель данных
US10298970B2 (en) Image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US20130311742A1 (en) Image management method, mobile terminal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20120078864A1 (en) Electronic data integrity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and data monitoring system
CN111031348B (zh) 一种视频加扰方法、装置、服务器和存储介质
US201500491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rtual 3d model generation and navigation using opportunistically captured images
US11688078B2 (en) Video object detection
US98465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image
US20200019788A1 (en) Computer system, resource arrangement method thereof and image recognition method thereof
US1087827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EP3890312A1 (en) Distributed image analysis method and system, and storage medium
US2018031489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video image monitor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10783365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system
KR20120052864A (ko) 송신장치 및 송신방법
KR101663429B1 (ko) 데이터 저장 공간의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200065979A1 (en) Imaging system and method with motion detection
US9894291B2 (en) Still image provision device
US11201683B2 (en) Monitoring video broadcasts
CN106274799A (zh) 一种汽车报警系统和汽车
JP5676210B2 (ja) 監視装置、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4740975A (zh) 目标内容的获取方法及相关设备
KR101984070B1 (ko) 지능형 스테레오 영상 기반 시설물 진동 감시 방법
JP2012511194A (ja) 画像の動き検出方法および装置
CN112863096A (zh) 监控方法和装置
JP2009239804A (ja) 監視システム及び画像検索サー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