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2390B1 -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2390B1
KR101662390B1 KR1020140115635A KR20140115635A KR101662390B1 KR 101662390 B1 KR101662390 B1 KR 101662390B1 KR 1020140115635 A KR1020140115635 A KR 1020140115635A KR 20140115635 A KR20140115635 A KR 20140115635A KR 101662390 B1 KR101662390 B1 KR 101662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ushion
extension
panel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56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27599A (en
Inventor
박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140115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390B1/en
Publication of KR20160027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75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3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2Thigh-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착좌면의 확장을 위해 시트 쿠션부의 전단부위에 설치되는 익스텐션 패널을 스윙 및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방을 향해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지게 함으로써 하체의 대퇴부를 지지할 수 있는 부위를 보다 넓게 확보하고 이를 통해 운전자에게 보다 안락한 착좌감을 제공할 수 있는 시트 쿠션 익스텐션 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는 쿠션 프레임(3)에 대해 전방으로 스윙 및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개 가능하게 설치되는 익스텐션 패널(7), 상기 쿠션 프레임(3)에 대해 상기 익스텐션 패널(7)을 상향 선회의 스윙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스윙 가이드부(30), 상기 쿠션 프레임(3)에 대해 상기 익스텐션 패널(7)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슬라이딩 가이드부(50), 및 상기 쿠션 프레임(3)에 대해 상기 익스텐션 패널(7)을 스윙 및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개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익스텐션 구동부(70)를 구비한다.
The extension panel provided a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eat cushion portion is lifted upwards in a swinging and sliding manner in order to expand the seating surface, thereby securing a larger portion capable of supporting the thigh portion of the lower body, A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 more comfortable seat feeling.
The above-described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comprises an extension panel 7 installed to be able to expand forward and swingably with respect to the cushion frame 3 in a swinging and sliding manner, an extension panel 7 for the upwardly pivoting of the extension panel 7 with respect to the cushion frame 3, A sliding guide portion (50) for movably mounting the extension panel (7) with respect to the cushion frame (3), and a sliding guide portion And an extension driving unit 70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expanding the extension panel 7 in a swinging and sliding manner.

Description

시트 쿠션 익스텐션 장치{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0001] DESCRIPTION [0002]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

본 발명은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체의 대퇴부가 긴 탑승자의 신체적 특성에 맞춰 시트의 쿠션부에 대한 착좌면을 보다 넓게 확장하여 대퇴부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시트 쿠션 익스텐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for extending a seating surface of a seat relative to a cushion portion of a seat in accordance with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 passenger with a long thigh portion, To an extension device.

특히, 본 발명은 시트의 쿠션부에 대한 착좌면을 보다 넓게 확장하는 부위가 전방을 향해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지게 하는 스윙 및 슬라이딩 방식으로 동작되도록 구성하여 탑승자의 대퇴부를 압박하지 않게 함으로써 보다 안락한 착좌감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시트 쿠션 익스텐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operate in a swinging and sliding manner in which a portion of the seat that extends more widely than the cushion portion of the seat is lifted upwards toward the front, so that the thigh of the occupant is not pressed, To the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되는 시트는 쿠션의 전후방향 길이가 일정한 형태로 제작되어 있어 탑승자의 체형과 같은 신체적 특성에 맞춰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체형이 큰 탑승자의 경우에는 하체부위 중에서 대퇴부의 하중을 쿠션부위에서 상대적으로 덜 받기 때문에 많은 불편함이 있게 된다. Generally, a seat installed in an automobile interior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length of the cush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constant, so that it can not be variably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body shape of the occupant. Accordingly, in the case of a passenger with a large body, there is a great inconvenience because the load of the thigh is relatively less at the cushion portion in the lower body portion.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시트의 쿠션부위에 대한 넓이를 보다 넓게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었는바, 일례로, 공개특허 제10-2013-0064139호에 개시된 차량용 시트는 시트 쿠션을 지탱하기 위한 시트 팬, 조절 방향을 따라 상기 시트 팬에 대해 조절가능하며, 그 시트 팬의 시트 쿠션에 대해 조절 가능한 추가적인 쿠션을 지탱하기 위한 지지 요소, 및 상기 시트 팬에 대해 상기 지지 요소를 조절하기 위해 그 시트 팬 상에 배치되는 시트 깊이 조절 장치를 갖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In order to overcome such a problem, various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to widely use the area of the cushion portion of the seat. For example, the vehicle seat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3-0064139 has a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seat cushion A seat fan, a support element adjustable relative to the seat fan along an adjustment direction, for supporting an additional cushion adjustable to the seat cushion of the seat fan, and a seat element for supporting the seat element, And a seat depth adjusting device disposed on the fan.

이 경우, 시트 깊이 조절 장치는 상기 지지 요소를 지탱하는 안내 어셈블리, 및 시트 깊이 조절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안내 어셈블리는 안내 수단에 의해 조절 방향을 따라 시트 팬에서 이동가능하게 안내되도록 구성되고, 안내 수단은 시트 팬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장치를 포함한다. In this case, the seat depth adjusting device includes a guide assembly for supporting the support element, and an operation assembly for operating the seat depth adjusting device. The guide assembly is configured to be movably guided in the sheet pan along the adjustment direction by the guide means and the guide means includes at least one guide devic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heet pan.

이에 따라 공개특허 제10-2013-0064139호는 시트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를 제공할 수 있고, 특히 시트 깊이 조절 장치는 단순한 설계 구조를 가짐과 동시에 차량용 시트의 경량화 설계를 위한 중량의 최적화를 가능하게 한다. Accordingly, th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3-0064139 can provide a vehicle seat including a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depth of a seat, and in particular, a seat depth adjusting device has a simple design structure, Enabling optimization of the weight for the < / RTI >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시트 깊이 조절기능을 갖춘 차량용 시트는 하체의 대퇴부 길이가 긴 탑승자의 경우, 시트 쿠션(110)과 추가 쿠션(50)에 의해 설정되는 착좌면이 대퇴부의 전 부위를 만족할 정도로 충분하게 지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시트의 구성에 있어, 안내 수단은 시트 팬(6)에 형성되는 함몰부(611)를 포함하는 제1안내장치(61)를 포함하고, 안내 어셈블리(3)는 조절방향(x)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지지 요소(5)와 연결되는 안내 웨브(33)를 포함하고, 이 안내 웨브(33)는 상기 함몰부(611)를 따라 안내되며, 상기 안내 어셈블리(3)의 안내 웨브(33)는 시트 쿠션(110)과 대면하는 시트 팬(6)의 일측에서 그 시트 팬(6) 위에 배치되며, 이에 따라 적절한 사용시 지지요소(5)에 중량(F)이 작용할 때 상기 안내 웨브(33)는 시트 팬(6)에 지지되고, 상기 제1안내 장치(61)는 조절방향(x)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개구(610)를 포함하고, 이 개구를 통해 시트 깊이 조절 장치(2)의 안내 어셈블리(3)의 안내 웨브(33)가 시트 팬(6) 밑에 배치되어 있는 시트 깊이 조절 장치(2)의 작동 어셈블리(4)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그 구성과 작동 메커니즘이 매우 복잡하여 조립성을 저하시키면서 제품의 전체 중량을 증가시키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However, in the vehicle seat having the above conventional seat depth adjusting function, in the case of a passenger with a long femoral portion of the lower body, the seating surface set by the seat cushion 110 and the additional cushion 50 is sufficient to satisfy the entire area of the thigh The guide means includes a first guide device 61 including a depression 611 formed in the sheet pan 6 and the guide assembly 3 is provided with Which comprises a guide web 33 extending along the direction of adjustment x and connected to a support element 5 which is guided along the depression 611 and which guides the guide assembly 3 Is disposed on the seat pan 6 at one side of the seat fan 6 facing the seat cushion 110 so that the weight F is applied to the support element 5 during proper use The guide web 33 is supported by the seat fan 6, and the first guide device 61 Includes an opening 610 extending along the adjustment direction x through which the guide web 33 of the guide assembly 3 of the seat depth regulating device 2 is guided under the seat pan 6 The structure and the operation mechanism are so complicated that they are connected with the operation assembly 4 of the seat depth adjusting device 2 in which the seat depth adjusting device 2 is disposed.

또한, 미국공개특허 제2008-0231099호의 시트는 대퇴부 서포트(55)의 하단면에 슬라이드(60)를 구비하고,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만곡 연장부(53)가 시트 팬(52)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슬라이드(60)는 만곡 연장부(53)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대퇴부 서포트(55)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에서도 대퇴부 서포트(55)가 전방으로 출몰하여 확보할 수 있는 착좌면의 면적이 대퇴부의 길이가 긴 탑승자의 하체부위를 충분하게 지지할 수 없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개선의 요구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The seat of U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8-0231099 has a slide 60 on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thigh support 55 and a curved extension portion 53 extending toward the front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fan 52 And the slide 60 slides along the curved extension portion 53 to move the femoral support 55 forward / backward. However, even in such a case, since the area of the seating surface that can be secured by protruding and retracting the femoral support 55 forward can not sufficiently support the lower body portion of the passenger with the longer femoral region, there is a demand for improvement thereof It is true.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64139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64139 미국 공개특허 제2008-0231099호U.S.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2008-0231099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안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착좌면의 확장을 위해 시트 쿠션부의 전단부위에 설치되는 익스텐션 패널을 스윙 및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방을 향해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지게 함으로써 하체의 대퇴부를 지지할 수 있는 부위를 보다 넓게 확장할 수 있는 시트 쿠션 익스텐션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at cushion for a seat cushion,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capable of widening a region capable of supporting the thigh.

또한, 본 발명은 스윙 및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방을 향해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지는 익스텐션 패널을 매개로 탑승자의 하체부위를 보다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는 착좌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ating feeling that can comfortably support a lower body part of an occupant through an extension panel lifted upward in a swinging and sliding mann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쿠션 프레임에 대해 전방으로 스윙 및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개 가능하게 설치되는 익스텐션 패널, 상기 쿠션 프레임에 대해 상기 익스텐션 패널을 상향 선회의 스윙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스윙 가이드부, 상기 쿠션 프레임에 대해 상기 익스텐션 패널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슬라이딩 가이드부, 및 상기 쿠션 프레임에 대해 상기 익스텐션 패널을 스윙 및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개 또는 수납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익스텐션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쿠션 프레임과 상기 익스텐션 패널 사이에 대한 상기 스윙 가이드부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의 위치는 상기 익스텐션 구동부의 위치보다 높게 설정되고, 상기 익스텐션 구동부에 의한 작동 스트로크는 상기 스윙 가이드부에 의한 작동 스트로크 보다 더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xtensible panel comprising: an extension panel installed forwardly and swingably and slidingly with respect to a cushion frame; and an extension panel movably installed on the cushion frame in an upward swinging manner A sliding guide portion for slidingly installing the extension panel with respect to the cushion frame, and an extension portion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expanding or accommodating the extension panel in a swinging and sliding manner with respect to the cushion frame. Wherein a position of the swing guide part and the sliding guide part between the cushion frame and the extension panel is set to be higher than a position of the extension driving part and the operation stroke of the extension driving part is set to a 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et larger than the operating stroke of the unit.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스윙 가이드부는 상기 쿠션 프레임에 설치되는 쿠션 패널에 고정되고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진 형태의 곡선형 가이드 슬롯을 갖춘 고정 브라켓트, 상기 익스텐션 패널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브라켓트, 및 상기 이동 브라켓트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트의 가이드 슬롯 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ng guide portion includes a fixed bracket fixed to a cushion panel provided on the cushion frame and having a curved guide slot sloping downward toward the front, And a guide pin fixed to the moving bracket and movably inserted in the guide slot of the fixing bracket.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고정 브라켓트는 상기 쿠션 패널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가이드 슬롯으로부터 수평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마운팅 플랜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bracket includes a mounting flange that is bent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guide slot for engagement with the cushion panel.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 슬롯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핀과 직접적으로 접촉 가능한 곡선형 가이드 홈을 갖춘 보조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 슬롯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핀의 자유단부를 직접적으로 안내함과 동시에 외부로의 노출을 제한하도록 상기 가이드 핀의 자유단부를 향해 일면이 개구되는 가이드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guide inserted into the guide slot and having a curved guide groove capable of directly contacting the guide pin, the auxiliary guide being inserted into the guide slot, And guide grooves are formed at one side of the guide pin toward the free end of the guide pin so as to limit exposure to the outside.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는 상기 쿠션 프레임에 설치되는 쿠션 패널에 고정되고 전방을 향해 직선형 가이드 홈을 갖춘 슬라이딩 레일, 상기 익스텐션 패널과 연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직선형 가이드 홈에 안착되어 가이드 홈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와 결합되고 상기 익스텐션 패널의 배면에 고정되는 틸트 바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ing guide portion may include a sliding rail fixed to a cushion panel provided on the cushion frame and having a straight guide groove forward, a guide rail mounted on the linear guide groove in a state of being engaged with the extension panel, And a tilt bar coupled to the slider and fix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extension panel.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슬라이딩 레일은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이탈을 억제하는 슬라이딩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과 상기 슬라이딩 커버는 착탈 가능한 조립을 위해 리브와 삽입홈 형태의 상호 끼움방식의 구조로 이루어진 걸림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ing rail further includes a sliding cover detachably assembled to the top of the slider so as to prevent the slid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liding rail. And an engaging mechanism having a structure of an engaging type.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슬라이딩 레일은 상기 쿠션 패널의 저면부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자유단부에 상기 틸트 바아와의 힌지결합을 위해 만곡진 형태의 안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ing rail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ushion panel, and the slider is formed at its free end with a bent portion for hinging with the tilting bar.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익스텐션 구동부는 상기 쿠션 프레임에 설치되는 쿠션 패널에 결합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직선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고 자유단부가 상기 익스텐션 패널에 고정되는 리드 스크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extension driving unit may include a driving motor coupled to the cushion panel mounted on the cushion frame, and a lead screw that reciprocates linearly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and has a free end fixed to the extension panel .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쿠션 패널의 저면부에 대해 고정 힌지지점을 매개로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 힌지지점은 상기 구동모터의 하우징과 상기 쿠션 패널의 저면부에 결합되는 마운팅 브라켓트 사이를 상호 결합시키는 체결 핀이 위치하는 부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motor is pivotally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cushion panel via a fixed hinge point, and the fixed hinge point is mounted on the housing of the driving motor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ushion panel. And the brackets are set to positions where fastening pins for coupling the brackets to each other are located.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쿠션 익스텐션 장치는 쿠션 프레임에 대해 스윙 가이드부와 슬라이딩 가이드부를 매개로 전방으로 전개되는 익스텐션 패널의 설치를 통해 탑승자의 착좌면을 보다 넓게 확장할 수 있으므로 대퇴부가 긴 탑승자의 신체적 특성에 부합하는 시트 쿠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The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nlarge the seating surface of the occupant through the installation of the extension panel which is spread forward through the swing guide part and the sliding guide part with respect to the cushion fram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at cushion corresponding to the seat cushion.

이 경우, 익스텐션 패널은 쿠션부에 대해 스윙 및 슬라이딩 방식으로 동작되어 전방을 향해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지게 되므로 탑승자의 대퇴부를 압박하지 않고 보다 안락한 착좌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extension panel operates in a swinging and sliding manner with respect to the cushion portion, and is lifted upwards toward the front, thereby realizing a more comfortable seat feeling without pressing the thigh of the occupant.

특히, 본 발명은 쿠션 프레임에 대해 익스텐션 패널의 전개를 위한 일련의 동작이 전동 방식의 익스텐션 구동부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므로 조작의 편의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익스텐션 패널의 전개 위치를 탑승자의 신체적 특성에 맞춰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ushion frame which can be operated by an extension driving unit for a series of operations for expanding the extension panel,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of opera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extension position of the extension panel is suitably adjusted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occupant And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쿠션 익스텐션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쿠션 익스텐션 장치에서 주요 구성부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쿠션 익스텐션 장치에서 주요 구성부위를 분해하여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쿠션 익스텐션 장치에서 익스텐션 패널이 전방으로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쿠션 익스텐션 장치에 있어, 수납위치에서 전개위치에 이르는 동작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특히 스윙 및 슬라이딩에 관여하는 주요 구성부위만을 국부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main components in a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major constituent parts are exploded.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xtension panel is deployed forward in the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 to 7 sequentially illustrate the operation of the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receiving position to the deploying position. In particular, only the main constituent parts involved in swing and sliding are locally Fig.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쿠션 익스텐션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쿠션 익스텐션 장치에서 주요 구성부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쿠션 익스텐션 장치에서 주요 구성부위를 분해하여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major components in a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로 하면, 자동차의 시트는 차실내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좌면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그 구성은 크게 탑승자의 상체부위를 지지하는 시트 백부(미도시)와, 탑승자의 하체부위를 지지하는 시트 쿠션부(1)로 구분된다. 시트 백부는 내부에 탑승자의 상체부위에 대한 하중 지지를 위한 백 프레임(미도시)을 구비하고, 시트 쿠션부(1)는 내부에 탑승자의 하체부위에 대한 하중 지지를 위한 쿠션 프레임(3)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쿠션 프레임(3)은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설치를 위해 착좌면의 전방에서 장착부위의 확보를 위해 조립되는 쿠션 패널(5)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1, a seat of an automobile is provided in a passenger compartment of a vehicle for securing a passenger seat. The passenger seat is largely composed of a seat back (not shown) for supporting an upper body portion of a passenger, And a seat cushion portion (1). The seat cushion part 1 has a cushion frame 3 for supporting the load on the lower body part of the passenger inside the seat cushion part 1 Respectively. The cushion frame 3 is provided with a cushion panel 5 that is assembled to secure a mounting site in front of the seating surface for installation of the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는 상기 시트 쿠션부(1)에 의해 형성되는 전체 착좌면 중에서 상기 쿠션 패널(5)의 전방측 단부에 위치한 좌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상방향으로 전개되도록 설치되는 익스텐션 패널(7)을 구비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쿠션 패널(5)의 전단부위에서 전방을 향해 상기 익스텐션 패널(7)을 스윙 및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개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The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comprises an extension panel (1) provided so as to be deployed upward from the seating surface located at the front side end portion of the cushion panel (5) (7).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have a mechanism for expanding the extension panel 7 forward i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cushion panel 5 in a swinging and sliding manner.

이 경우, 상기 쿠션 프레임(3)을 포함하는 쿠션 패널(5)과 상기 익스텐션 패널(7)은 모두 외부에 완충성 소재의 쿠션 패드(미도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에서 미설명 부호 9는 차실내의 플로워 패널에 설치되는 고정레일에 해당하고, 미설명 부호 11은 상기 고정레일(9)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쿠션 프레임(3)을 지지하는 이동레일에 해당한다.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cushion panel 5 including the cushion frame 3 and the extension panel 7 are both provided with cushion pads (not shown) of a buffer material. 1, reference numeral 9 denotes a fixed rail provided on a floor panel of a passenger compartment of a vehicle, and reference numeral 11 denotes a movable rail which is movably assembled with respect to the fixed rail 9 to support the cushion frame 3 Which corresponds to the moving rail.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쿠션 익스텐션 장치는 도 2와 도 3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 쿠션부(1)에 대해 상기 익스텐션 패널(7)을 스윙 방식으로 상측방향을 향해 선회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스윙 가이드부(30), 상기 시트 쿠션부(1)에 대해 상기 익스텐션 패널(7)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직선방향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슬라이딩 가이드부(50), 및 상기 시트 쿠션부(1)에 대한 상기 익스텐션 패널(7)의 스윙 및 슬라이딩 방식의 전개 또는 수납에 각각 필요로 하는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익스텐션 구동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eat cushion 1, the extension panel 7 swingably mounted on the seat cushion 1 so as to be swingable upward, , A sliding guide portion (50) for moving the extension panel (7) relative to the seat cushion portion (1) such that the extension panel (7) can be moved in a linear direction in a sliding manner, and a seat cushion portion And an extension driving unit 70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required for developing or storing the swinging and sliding manner of the extension panel 7 with respect to the driving unit 1.

이때, 상기 쿠션 프레임(3)과 상기 익스텐션 패널(7) 사이에 대한 상기 스윙 가이드부(30)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50)의 위치는 상기 익스텐션 구동부(70)의 위치보다 높게 설정되고, 상기 익스텐션 구동부(70)에 의한 작동 스트로크는 상기 스윙 가이드부(30)에 의한 작동 스트로크 보다 더 크게 설정된다.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swing guide part 30 and the sliding guide part 50 between the cushion frame 3 and the extension panel 7 is set higher than the position of the extension driving part 70, The operation stroke by the extension driving unit 70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operation stroke by the swing guide unit 30. [

상기 스윙 가이드부(30)는 상기 쿠션 프레임(3)의 상부에 설치되는 쿠션 패널(5)에 고정되고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진 형태의 곡선형태의 가이드 슬롯(32a)을 갖춘 고정 브라켓트(32), 상기 익스텐션 패널(7)의 배면에 일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슬롯(32a)을 따라 타단부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브라켓트(40), 및 상기 이동 브라켓트(40)의 타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 브라켓트(32)의 가이드 슬롯(32a) 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핀(34)을 구비한다. The swing guide unit 30 includes a fixed bracket 32 fixed to a cushion panel 5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ushion frame 3 and having a curved guide slot 32a inclined downward, A movable bracket 40 to which the other end is movably engaged along the guide slot 32a while one end of the movable bracket 40 is fix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extension panel 7, And a guide pin 34 movably inserted in the guide slot 32a of the fixed bracket 32. [

즉, 상기 가이드 핀(34)은 상기 이동 브라켓트(40)의 자유단부에 위치한 관통구멍(40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브라켓트(32)의 곡선형 가이드 슬롯(32a)을 따라 이동경로를 안내받을 수 있도록 조립된다. 특히, 상기 스윙 가이드부(30)는 상기 쿠션 패널(5)의 전방단부와 상기 익스텐션 패널(7) 사이에서 좌우측에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익스텐션 패널(7)의 스윙방식의 선회 운동을 안정적으로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guide pin 34 is guided along the curved guide slot 32a of the fixed bracket 32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40a located at the free end of the movable bracket 40 Assembled. Particularly, the swing guide portion 30 is provided separately on the left and right sides betwee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cushion panel 5 and the extension panel 7, so that the swing motion of the extension panel 7 can be stably .

상기 고정 브라켓트(32)는 상기 쿠션 패널(5)의 저면부와의 나사체결 방식에 의한 결합을 위해 상기 가이드 슬롯(32a)으로부터 수평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마운팅 플랜지(36)를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마운팅 플랜지(36)는 나사체결을 위한 관통구멍(36a)을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한다.The fixing bracket 32 integrally includes a mounting flange 36 that is bent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guide slot 32a for engagement with a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cushion panel 5 by a screw fastening method, The mounting flange 36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6a for screw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mber.

또한, 상기 고정 브라켓트(32)는 상기 가이드 슬롯(32a)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핀(34)의 자유단부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가이드 핀(34)의 이동을 보다 부드럽게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 핀(34)의 자유단부를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보조 가이드(38)를 구비한다. The fixed bracket 32 is inserted into the guide slot 32a to smoothly guide the movement of the guide pin 34 through direct contact with the free end of the guide pin 34, And an auxiliary guide 38 for preventing the free end of the guide pin 34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이를 위해, 상기 보조 가이드(38)는 상기 가이드 슬롯(32a)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핀(34)의 자유단부와 직접적으로 접촉 가능한 곡선형 가이드 홈(38a)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보조 가이드(38)는 상기 곡선형 가이드 홈(38a)을 상기 가이드 핀(34)의 자유단부를 향해 일방향으로만 개구된 형태의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For this purpose, the auxiliary guide 38 is inserted into the guide slot 32a and forms a curved guide groove 38a which can directly contact with the free end of the guide pin 34. As shown in FIG. The auxiliary guide 38 is configured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curved guide groove 38a is opened only in one direction toward the free end of the guide pin 34. [

부연하자면, 상기 보조 가이드(38)는 상기 가이드 슬롯(32a)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핀(34)의 자유단부를 직접적으로 안내함과 동시에 외부로의 노출을 제한하도록 상기 가이드 핀(34)의 자유단부를 향해 일면이 개구되는 가이드 홈(38a)을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보조 가이드(38)는 상기 가이드 핀(34)과의 마찰 및 소음의 저감을 위해 상기 곡선형 가이드 홈(38a)의 표면이 저마찰용 재료로 코팅된 수지재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auxiliary guide 38 is inserted into the guide slot 32a to directly guide the free end of the guide pin 34 and to limit the exposure of the guide pin 34 to the outside, And a guide groove 38a whose one surface is opened toward the free end of the guide groove 38a. More preferably, the auxiliary guide 38 is made of a resin material whose surface of the curved guide groove 38a is coated with a low friction material so as to reduce friction and noise with the guide pin 34 Do.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50)는 상기 쿠션 프레임(3)의 상부에 설치되는 쿠션 패널(5)에 고정되고 전방을 향해 직선형 가이드 홈(52a)을 갖춘 슬라이딩 레일(52), 상기 익스텐션 패널(7)과 연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직선형 가이드 홈(52a)에 안착되어 가이드 홈(52a)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54), 및 상기 슬라이더(54)와 연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익스텐션 패널(7)의 배면에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고정되는 틸트 바아(58)를 구비한다. The sliding guide portion 50 includes a sliding rail 52 fixed to a cushion panel 5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ushion frame 3 and having a straight guide groove 52a extending forward, A slider 54 mounted in the linear guide groove 52a so as to be coupled to the slider 54 so as to be movable in a forward direction along the guide groove 52a, And a tilt bar 58 fixed to the rear of the extension panel 7 so as to be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 경우에도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50)는 상기 쿠션 패널(5)의 전방단부와 상기 익스텐션 패널(7) 사이에서 좌우측에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익스텐션 패널(7)의 스윙방식의 선회 운동을 안정적으로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직선형 가이드 홈(52a)은 상기 슬라이딩 레일(52)의 상부면에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요홈부로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더(54)는 상기 직선형 가이드 홈(52a)과의 안정적인 접촉을 위해 하향 절곡된 돌출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Also in this case, the sliding guide portion 50 is separately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betwee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cushion panel 5 and the extension panel 7, so that the swing motion of the extension panel 7 It is preferable to induce it stably. The linear guide groove 52a is formed of at least a pair of grooves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rail 52. The slider 54 is formed in a stable manner with respect to the linear guide groove 52a. And is configured to form downwardly bent protrusions for contact.

상기 슬라이딩 레일(52)은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직선형 가이드 홈(52a)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슬라이더(54)의 이탈을 억제하기 위한 슬라이딩 커버(56)를 구비한다. 즉, 상기 슬라이더(54)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52)의 직선형 가이드 홈(52a)의 상부에 안착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56)에 의해 이탈이 억제되는 구조로 설치된다.The sliding rail 52 includes a sliding cover 56 for detachment of the slider 54, which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liding rail 52 and is movable along the linear guide groove 52a. That is, the slider 54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inear guide groove 52a of the sliding rail 52 and is supported by the sliding cover 56 to prevent the slider 54 from being separated.

이 경우, 상기 슬라이딩 레일(52)과 상기 슬라이딩 커버(56)는 착탈 가능한 조립을 위해 리브와 삽입홈 형태의 상호 끼움방식의 구조로 이루어진 걸림기구(53,57)를 구비한다. 즉, 상기 걸림기구(53,57)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52)과 상기 슬라이딩 커버(56)의 양측에서 상호 대향되는 부위로 끼움 조립을 위한 돌출 구조물에 해당하는 리브와, 상기 리브와 조립을 통해 리브의 이탈을 억제하기 위한 삽입홈의 형태로 이루어진다.In this case, the sliding rail (52) and the sliding cover (56) are provided with hooking mechanisms (53, 57) having a structure of mutually interlocking type in the form of ribs and insertion grooves for assembly. That is, the latching mechanisms 53 and 57 include ribs corresponding to protruding structures for fitting into the sliding rail 52 and the sliding cover 56, respectively, which are opposed to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sliding rail 52 and the sliding cover 56, And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insertion groove for suppressing the deviation of the rib.

또한, 상기 슬라이딩 레일(52)은 상기 쿠션 패널(5)의 저면부에 대해 나사체결의 방식으로 결합되어 지지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슬라이딩 레일(52)은 상기 쿠션 패널(5)과의 나사결합을 위해 다수의 관통구멍을 형성한다. The sliding rail 52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ushion panel 5 in a screwed manner. Also in this case, the sliding rail 52 form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 screw connection with the cushion panel 5.

상기 슬라이더(54)는 자유단부에 상기 틸트 바아(58)와의 힌지결합을 위해 상부를 향해 만곡진 형상으로 개구된 형태의 안착부(54a)를 형성한다. 즉, 상기 슬라이더(54)는 상기 안착부(54a)의 형성을 매개로 상기 틸트 바아(58)와의 조립과 분해가 용이한 결합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조립 및 분해 작업을 용이하게 해 준다. The slider 54 forms a seating portion 54a, which is opened at its free end in a curved shape toward the upper side for hinge engagement with the tilt bar 58. [ That is, the slider 54 can easily be assembled and disassembled with the tilt bar 58 through the formation of the seating portion 54a, thereby facilitating assembly and disassembly.

상기 틸트 바아(58)는 상기 익스텐션 패널(7)의 배면에 대해 마운팅 브라켓트(58a)를 매개로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58a)는 상기 틸트 바아(58)의 양단부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익스텐션 패널(7)의 배면과 나사체결의 방식으로 결합되어 고정된다.The tilting bar 58 is installed to be stably suppor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extension panel 7 via a mounting bracket 58a. In this case, the mounting bracket 58a is fixedly coupl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extension panel 7 in a state of being assembled at both ends of the tilting bar 58 in a screw-tight manner.

상기 익스텐션 구동부(70)는 상기 쿠션 프레임(3)의 상부에 설치되는 쿠션 패널(5)에 결합되는 구동모터(72), 및 상기 구동모터(72)의 회전에 따라 직선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고 자유단부가 상기 익스텐션 패널(7)의 배면에 고정되는 리드 스크류(74)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익스텐션 구동부(70)는 상기 구동모터(72)의 회전축에 의한 회전운동을 상기 리드 스크류(74)의 직선방향 왕복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너트를 포함한 기어박스(미도시)를 함께 구비한다. The extension driving unit 70 includes a driving motor 72 coupled to the cushion panel 5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ushion frame 3 and a driving motor 72 reciprocating in a linear direction And a lead screw (74) whose end is fix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extension panel (7). In this case, the extension driving unit 70 includes a gear box (not shown) including a nut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driving motor 72 into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lead screw 74 do.

또한, 상기 익스텐션 구동부(70)는 상기 쿠션 패널(5)의 전방단부와 상기 익스텐션 패널(7) 사이에서 중앙부위의 단일 개소로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특히, 상기 구동모터(72)는 사용자에 의한 스위치(미도시)의 조작을 통해 정/역회전이 가변적으로 조절됨과 동시에 정/역회전의 정도, 즉 상기 리드 스크류(74)의 이동 스트로크도 사용자에 의한 조작을 통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으므로, 상기 익스텐션 패널(7)에 대한 전개의 정도는 상기 구동모터(72)에 대한 작동 제어에 의해 종속적으로 구현된다. The extension driving unit 70 may be provided at a single location in the central portion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cushion panel 5 and the extension panel 7. In particular, the driving motor 72 is controlled by a user (not shown) to vary the forward / reverse rotation and the degree of forward / reverse rotation, that is, the moving stroke of the lead screw 74, The degree of deployment with respect to the extension panel 7 is dependent on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drive motor 72. [

상기 구동모터(72)는 상기 쿠션 패널(5)에 대해 고정 힌지지점을 매개로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 상기 고정 힌지지점은 상기 구동모터(72)의 하우징과 상기 쿠션 패널(5)의 저면부에 결합되는 마운팅 브라켓트(76) 사이를 상호 결합시키는 체결 핀(78)이 위치하는 부위로 설정된다. 이 경우, 상기 체결 핀(78)에 의해 설정되는 고정 힌지지점은 상기 구동모터(72)의 작동시 상기 익스텐션 패널(7)과 함께 직선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상기 리드 스크류(74)에 대한 거동자세의 변화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고정 힌지지점은 상기 리드 스크류(74)의 이동 스트로크의 정도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구동모터(72)와 상기 익스텐션 패널(7) 사이의 상대각도의 변화를 흡수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The driving motor 72 is pivotally coupled to the cushion panel 5 via a fixed hinge point. The fixed hinge point is located between the housing of the driving motor 72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ushion panel 5 And the mounting brackets 76, which are engaged with the mounting brackets 76, are located. In this case, the fixed hinge point set by the coupling pin 78 is set to a moving posture 74 for the lead screw 74 which reciprocates in a linear direction together with the extension panel 7 during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72 The change in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is supported more stably. That is, the fixed hinge point serves to absorb a change in the relative angle between the drive motor 72 and the extension panel 7, which chang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movement stroke of the lead screw 74.

상기 리드 스크류(74)는 상기 익스텐션 패널(7)의 배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마운팅 브라켓트(75a)를 매개로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리드 스크류(74)는 자유단부에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75a)와의 결합을 위한 접속부(74a)를 형성하고, 상기 접속부(74a)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75a)와의 체결 핀(75)을 이용한 결합을 위한 관통구멍(74b)을 형성한다. The lead screw 74 is installed to be stably supported via a mounting bracket 75a which is firmly fix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extension panel 7. In this case, the lead screw 74 forms a connecting portion 74a for coupling with the mounting bracket 75a at a free end thereof, and the connecting portion 74a connects the connecting pin 75 with the mounting bracket 75a Thereby forming a through hole 74b for use coupling.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쿠션 익스텐션 장치는 상기 쿠션 프레임(3)에 설치되는 쿠션 패널(5)에 대해 스윙 가이드부(30)와 슬라이딩 가이드부(50) 및 익스텐션 구동부(70)를 매개로 전방을 향해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전개되는 익스텐션 패널(7)을 통해 탑승자가 확보할 수 있는 착좌면의 면적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되므로 대퇴부가 긴 탑승자의 하체부위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The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swing guide portion 30, the sliding guide portion 50 and the extension driving portion 70 via the cushion panel 5 mounted on the cushion frame 3 The area of the seating surface that the occupant can secure through the extension panel 7 that is developed so as to be lifted up toward the upper direction can be secured as shown in Fig. 4, so that the lower body portion of the occupant So that it can be stably supported.

이와 같이 스윙 및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개되는 상기 익스텐션 패널(7)에 대한 일련의 움직임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도면을 참고로 하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The movement of the extension panel 7 in the swing and sliding manner can be more clearly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도 5 내지 도 7을 각각 참조로 하면, 탑승자의 스위치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72)의 정방향 회전이 이루어지면, 상기 리드 스크류(74)는 전방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익스텐션 패널(7)의 저면부를 전방으로 밀게 된다. 5 to 7, when the forward rotation of the drive motor 72 i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switch operation of the occupant, the lead screw 74 moves forward,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extension panel 7 The part is pushed forward.

이 과정에서 상기 스윙 가이드부(30)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50)는 상기 쿠션 패널(5)에 대한 상기 익스텐션 패널(7)의 위치를 스윙 및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개하여 탑승자의 대퇴부를 지지할 수 있는 착좌면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The swing guide portion 30 and the sliding guide portion 50 can support the fuselage portion of the passenger by expanding the position of the extension panel 7 with respect to the cushion panel 5 in a swinging and sliding manner It is possible to secure a seating surface having a larger width.

즉, 상기 스윙 가이드부(30)는 상기 고정 브라켓트(32)의 곡선형 가이드 슬롯(32a)을 따라 상기 이동 브라켓트(40)의 움직임을 설정된 방향으로 안내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50)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52)의 직선형 가이드 홈(52a)을 따라 상기 슬라이더(54)의 움직임을 설정된 방향으로 안내하게 된다. That is, the swing guide portion 30 guides the movement of the movable bracket 40 along the curved guide slot 32a of the fixed bracket 32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sliding guide portion 50 Guides the movement of the slider 54 along a straight guide groove 52a of the sliding rail 52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특히, 상기 익스텐션 패널(7)에 대한 상기 스윙 가이드부(30)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50)의 위치는 상기 익스텐션 구동부(70)의 위치보다 높게 설정되고, 상기 익스텐션 구동부(70)에 의한 작동 스트로크는 상기 스윙 가이드부(30)에 의한 작동 스트로크 보다 더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익스텐션 패널(7)의 거동자세는 전방을 향해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지는 상태로 전환될 수 있게 된다.Particularly, the position of the swing guide part 30 and the sliding guide part 50 relative to the extension panel 7 is set higher than the position of the extension driving part 70, and the operation by the extension driving part 70 Since the stroke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stroke of operation by the swing guide portion 30, the movement posture of the extension panel 7 can be switched to a state of lifting upward in the upward direction.

이 결과, 하체의 대퇴부가 긴 탑승자의 신체적 특성에 맞춰 상기 시트 쿠션부(1)의 전체 착좌면은 보다 넓게 확보됨과 동시에 대퇴부의 저면을 상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압박하게 않게 되므로 안락한 착좌감의 제공과 함께 보다 편안하게 운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As a result, the entire seating surface of the seat cushion portion 1 is secured to a greater extent in accordance with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ssenger with a long thigh portion of the lower body,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thigh portion is stably supported upwardly, To provide a more comfortable environmen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particular details of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시트 쿠션부 3-쿠션 프레임
5-쿠션 패널 7-익스텐션 패널
30-스윙 가이드부 32-고정 브라켓트
34-가이드 핀 36-마운팅 플랜지
38-보조 가이드 40-이동 브라켓트
50-슬라이딩 가이드부 52-슬라이딩 레일
54-슬라이더 56-슬라이딩 커버
58-틸트 바아 70-익스텐션 구동부
72-구동모터 74-리드 스크류
76-마운팅 브라켓트 78-체결 핀
1-seat cushion part 3-cushion frame
5-Cushion Panel 7-Extension Panel
30-Swing guide part 32-Fixing bracket
34- Guide pin 36-Mounting flange
38-Auxiliary Guide 40-Moving Bracket
50-Sliding guide part 52-Sliding rail
54-slider 56-sliding cover
58-tilt bar 70-extension driving part
72-drive motor 74-leadscrew
76-Mounting bracket 78-Locking pin

Claims (13)

쿠션 프레임(3)에 대해 전방으로 스윙 및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개 가능하게 설치되는 익스텐션 패널(7);
상기 쿠션 프레임(3)에 대해 상기 익스텐션 패널(7)을 상향 선회의 스윙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스윙 가이드부(30);
상기 쿠션 프레임(3)에 대해 상기 익스텐션 패널(7)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슬라이딩 가이드부(50); 및
상기 쿠션 프레임(3)에 대해 상기 익스텐션 패널(7)을 스윙 및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개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익스텐션 구동부(70)를 구비하고,
상기 스윙 가이드부(30)는 상기 쿠션 프레임(3)에 설치되는 쿠션 패널(5)에 고정되고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진 곡선형 가이드 슬롯(32a)을 갖춘 고정 브라켓트(32), 상기 익스텐션 패널(7)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슬롯(32a)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브라켓트(40), 및 상기 이동 브라켓트(40)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트(32)의 가이드 슬롯(32a) 내에 삽입되는 가이드 핀(34)을 구비하고,
상기 익스텐션 구동부(70)는 상기 쿠션 프레임(3)에 설치되는 쿠션 패널(5)에 결합되는 구동모터(72), 및 상기 구동모터(72)의 회전에 따라 직선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고 자유단부가 상기 익스텐션 패널(7)에 고정되는 리드 스크류(74)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모터(72)의 하우징은 상기 쿠션 패널(5)의 저면에 결합되는 마운팅 브라켓트(76)과 체결 핀(78)을 매개로 결합되며,
상기 리드 스크류(74)는 상기 익스텐션 패널(7)의 배면에 고정되는 마운팅 브라켓트(75a)와의 결합을 위한 접속부(74a)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부(74a)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75a)과 체결 핀(75)을 매개로 결합되며,
상기 쿠션 프레임(3)과 상기 익스텐션 패널(7) 사이에 대한 상기 스윙 가이드부(30)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50)의 위치는 상기 익스텐션 구동부(70)의 위치보다 높게 설정되고, 상기 익스텐션 구동부(70)에 의한 작동 스트로크는 상기 스윙 가이드부(30)에 의한 작동 스트로크 보다 더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An extension panel 7 installed so as to be deployable forward and swingably in a sliding manner with respect to the cushion frame 3;
A swing guide part (30) for movably mounting the extension panel (7) with respect to the cushion frame (3) in a swinging manner of upward swing;
A sliding guide part (50) for movably mounting the extension panel (7) on the cushion frame (3) in a sliding manner; And
And an extension driving unit (70)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developing the extension panel (7) in a swinging and sliding manner with respect to the cushion frame (3)
The swing guide unit 30 includes a fixed bracket 32 fixed to the cushion panel 5 mounted on the cushion frame 3 and having a curved guide slot 32a inclined downward forward, A movable bracket 40 fixed to the movable bracket 40 and movably coupled along the guide slot 32a in a state of being fixed to the movable bracket 40 and a guide slot 32a of the fixed bracket 32, And a guide pin (34)
The extension driving unit 70 includes a driving motor 72 coupled to the cushion panel 5 mounted on the cushion frame 3 and a driving motor 72 reciprocating in a linear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72, And a lead screw 74 fixed to the extension panel 7 and the housing of the driving motor 72 includes a mounting bracket 76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ushion panel 5 and a fastening pin 78 ≪ / RTI >
The lead screw 74 has a connecting portion 74a for engaging with a mounting bracket 75a fix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extension panel 7 and the connecting portion 74a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bracket 75a, (75), respectively,
The position of the swing guide part 30 and the sliding guide part 50 between the cushion frame 3 and the extension panel 7 is set higher than the position of the extension driving part 70, (70) is set to be larger than an operation stroke by the swing guide portion (30).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트(32)는 상기 쿠션 패널(5)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가이드 슬롯(32a)으로부터 수평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마운팅 플랜지(3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said fixing bracket (32) comprises a mounting flange (36) that is bent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said guide slot (32a) for engagement with said cushion panel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롯(32a)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핀(34)과 직접적으로 접촉 가능한 곡선형 가이드 홈(38a)을 갖춘 보조 가이드(3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guide (38) inserted into the guide slot (32a) and having a curved guide groove (38a) capable of directly contacting the guide pin (34).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조 가이드(38)는 상기 가이드 슬롯(32a)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핀(34)의 자유단부를 직접적으로 안내함과 동시에 외부로의 노출을 제한하도록 상기 가이드 핀(34)의 자유단부를 향해 일면이 개구되는 가이드 홈(38a)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auxiliary guide 38 is inserted into the guide slot 32a to directly guide the free end of the guide pin 34 and to limit the exposure to the outside,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38a) whose one surface is opened toward the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조 가이드(38)는 상기 가이드 핀(34)과의 마찰 및 소음의 저감을 위해 표면이 저마찰용 재료로 코팅된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auxiliary guide (38) is made of a resin material whose surface is coated with a low friction material so as to reduce friction and noise with the guide pin (3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50)는 상기 쿠션 프레임(3)에 설치되는 쿠션 패널(5)에 고정되고 전방을 향해 직선형 가이드 홈(52a)을 갖춘 슬라이딩 레일(52), 상기 익스텐션 패널(7)과 연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직선형 가이드 홈(38a)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54), 및 상기 슬라이더(54)와 결합되고 상기 익스텐션 패널(7)의 배면에 고정되는 틸트 바아(5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liding guide portion 50 includes a sliding rail 52 fixed to the cushion panel 5 provided on the cushion frame 3 and having a straight guide groove 52a forwardly, A slider 54 movably installed forward along the linear guide groove 38a in a state where the tilting bar is coupled with the slider 54 and a tilting bar 54 coupled to the slider 54 and fix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extension panel 7 58). ≪ / RTI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레일(52)은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슬라이더(54)의 이탈을 억제하는 슬라이딩 커버(5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52)과 상기 슬라이딩 커버(56)는 착탈 가능한 조립을 위해 리브와 삽입홈 형태의 상호 끼움방식의 구조로 이루어진 걸림기구(53,5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sliding rail (52)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sliding rail (52), and further includes a sliding cover (56) for preventing the slider (54) And an engagement mechanism (53, 57)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rib and an insertion groove are mutually fitted to each other for assembling the seat cushion.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레일(52)은 상기 쿠션 패널(5)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더(54)는 자유단부에 상기 틸트 바아(58)와의 힌지결합을 위해 만곡진 형태의 안착부(54a)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sliding rail 52 is coupled to the cushion panel 5 and the slider 54 is formed at its free end with an angled seating portion 54a for hinged engagement with the tilt bar 58 And a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115635A 2014-09-01 2014-09-01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KR1016623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635A KR101662390B1 (en) 2014-09-01 2014-09-01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635A KR101662390B1 (en) 2014-09-01 2014-09-01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599A KR20160027599A (en) 2016-03-10
KR101662390B1 true KR101662390B1 (en) 2016-10-05

Family

ID=55538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5635A KR101662390B1 (en) 2014-09-01 2014-09-01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239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402A (en) *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다스 Tilt extension apparatus for cushion part of seat
KR102042426B1 (en) * 2018-06-18 2019-11-08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Cushion extention device for sea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4278B1 (en) * 2016-11-29 2023-04-21 주식회사 다스 Extensible apparatus for seat cushion in vehicle
KR101994880B1 (en) * 2017-06-30 2019-07-01 주식회사 다스 Seat cushion dual extension apparatus
KR102402993B1 (en) * 2017-11-21 2022-05-27 주식회사 다스 Locking structure for manual cushion extension apparatus
KR102236680B1 (en) * 2017-11-21 2021-04-06 주식회사 다스 Multistage manual cushion extension apparatus
KR102014860B1 (en) * 2018-02-05 2019-08-27 주식회사 오스템 Extension system for seat cushion
DE102018122198B4 (en) * 2018-09-12 2022-06-23 Adient Engineering and IP GmbH Backrest for a vehicle seat with an inclination-adjustable backrest head, and vehicle sea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16180A2 (en) 2007-03-22 2008-09-25 Szczepkowski Michael Przemysla Seat with adjustable thigh support assembly
KR101034310B1 (en) * 2008-09-22 2011-05-16 현대다이모스(주)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KR20110137995A (en) * 2010-06-18 2011-12-26 현대다이모스(주) Driving apparatus of seat for vehicle
CN103209859B (en) 2010-10-25 2016-01-20 布罗泽汽车部件制造科堡有限公司 There is the seat of depth of seat cushion control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402A (en) *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다스 Tilt extension apparatus for cushion part of seat
KR101904976B1 (en) * 2016-11-29 2018-11-28 주식회사 다스 Tilt extension apparatus for cushion part of seat
KR102042426B1 (en) * 2018-06-18 2019-11-08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Cushion extention device for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599A (en) 201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2390B1 (en)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KR102299335B1 (en) Seat position adjustment apparatus for vehicle
EP1820687B1 (en) Vehicle driving posture adjusting device
US9527414B2 (en) Power articulating headrest assembly
US5664841A (en) Motor-vehicle seat
US8449029B2 (en) Single slot lift and rotate mechanism
RU2695548C2 (en) Vehicle seat (embodiments) and flexible closing element
KR101398321B1 (en) Lumber support the operation of the device in car seat
US8292360B2 (en) Deflector device for a sunroof device
US20050225148A1 (en) Slideable armrest
JP2007238081A (en) Rear seat back member having height-adjustable center armrest
US10675996B2 (en) Vehicle seat easy-entry system
KR101904976B1 (en) Tilt extension apparatus for cushion part of seat
RU2662881C1 (en) Headrest (variants)
KR101784154B1 (en) Headrest apparatus
JP2009279952A (en) Vehicle seat with variable length of seat cushion
KR101725413B1 (en) Apparatus for seat side bolster of vehicle
KR20070118701A (en) Regulating device for a lateral part of a seat and method for producing a lateral part
KR101559181B1 (en)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KR101470223B1 (en) Apparatus for seat side bolster of vehicle
KR101440147B1 (en) Apparatus for seat side bolster of vehicle
KR20180033132A (en) Shoulder adjuster
KR101372108B1 (en) Sliding lever with linkage of control of seat's height
KR102409216B1 (en) Armrest device with angle maintaining and adjusting function
KR102522891B1 (en) Height adjusting device of armrest for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