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0132B1 - Manufacturing method for korean traditional cookie having grain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method for korean traditional cookie having gra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0132B1
KR101660132B1 KR1020140188107A KR20140188107A KR101660132B1 KR 101660132 B1 KR101660132 B1 KR 101660132B1 KR 1020140188107 A KR1020140188107 A KR 1020140188107A KR 20140188107 A KR20140188107 A KR 20140188107A KR 101660132 B1 KR101660132 B1 KR 101660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utinous rice
grain
grains
delete delete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81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77782A (en
Inventor
김주희
Original Assignee
김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희 filed Critical 김주희
Priority to KR1020140188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0132B1/en
Publication of KR20160077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77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1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6/00Food or edible material: processes, compositions, and products
    • Y10S426/804Low calorie, low sodium or hypoallergi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곡물이 부착된 한과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한과 제조방법은, 찹쌀을 물에 침지하여 발효시킨 후 분쇄한 찹쌀 가루를 반죽하고, 반죽된 찹쌀 가루를 증숙 및 건조한 후 기름에 튀겨서 찹쌀바탕을 형성하는 단계와, 곡물을 물에 침지하여 불린 후 증숙하는 단계와, 증숙된 곡물을 건조 후 숙성하는 단계와, 곡물을 볶는 단계와, 찹쌀바탕 표면에 조청을 코팅한 후 볶은 곡물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process is disclosed in which the grain is adhered.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oybean paste comprising the steps of: dipping glutinous rice in water to ferment, pulverizing the glutinous rice flour, kneading and kneading the glutinous rice flour to form glutinous rice flour, And aging the matured grain, aging the grain, roasting the grain, and coating the roasted rice on the surface of the glutinous rice surface, followed by adhering the roasted grain.

Description

곡물이 부착된 한과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KOREAN TRADITIONAL COOKIE HAVING GRAIN}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grain-

본 발명은 곡물이 부착되어 있는 한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s long as grains are attached and to a manufacturing method.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과자인 한과(韓菓)는 순 우리말로 과줄이라고 하며, 서양의 과자나 중국의 한과(漢菓)와 구분하여 부르는 우리나라 전통의 과자이다. 한과는 쌀, 밀가루, 견과류 등을 주재료로 하고 꿀과 기름 등을 부재료로 하여 만든 우리나라 전통 과자로서, 한과의 종류는 만드는 방법 및 재료에 따라서 유밀과류, 유과류, 다식류, 정과류, 숙실과류, 과편류, 엿강정류, 당류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유과류(유과)는 기름에 튀긴 것으로 산자라고도 한다. Korean traditional confectionery Han-ka (Korean confectionery) is called Korean traditional Korean soup, and is a traditional Korean confectionery called Korean confection or Chinese confection. Korea is a traditional Korean confectionery made of rice, flour, nuts, etc. and made from honey and oil as a basic ingredient. The kinds of Korean confectionery are confectionery, confectionery, , And sedimentation, sugarcane, and sugar. Among them, the luteolate (yuwa) is fried in oil and is said to be a lion.

최근에는 쌀의 소비촉진과 함께 슬로 푸드(slow food)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우리나라 전통 음식인 한과가 새롭게 주목 받고 있다. 한과는 제품이 완성되기까지 약 한달 정도가 소요되는 슬로우 푸드이며 또한 설탕 및 화학 첨가제가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는 자연 건강 식품이다. In recent years, with the increasing consumption of rice and the interest in slow food (slow food), Korean traditional food has attracted attention. It is a slow food that takes about a month to complete, and is a natural health food that does not contain any sugar or chemical additive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83524호 공보Korean Patent No. 1083524

본 발명은 자연의 곡물을 첨가제 없이 단순 가공하는 최근의 식품 트렌드에 부합하는 것으로, 곡물이 부착되어 있는 한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eet the recent food trends in which natural grains are simply processed without additive, and it is intended to provide an as long as grains are attached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한과 제조방법은, 찹쌀을 물에 침지하여 발효시킨 후 분쇄한 찹쌀 가루를 반죽하고, 반죽된 찹쌀 가루를 증숙 및 건조한 후 기름에 튀겨서 찹쌀바탕을 형성하는 단계와, 곡물을 물에 침지하여 불린 후 증숙하는 단계와, 증숙된 곡물을 건조 후 숙성하는 단계와, 곡물을 볶는 단계와, 찹쌀바탕 표면에 조청을 코팅한 후 볶은 곡물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oybean paste comprising the steps of: dipping glutinous rice in water to ferment, pulverizing the glutinous rice flour, kneading and kneading the glutinous rice flour to form glutinous rice flour, And aging the matured grain, aging the grain, roasting the grain, and coating the roasted rice on the surface of the glutinous rice surface, followed by adhering the roasted grain.

본 발명에 따른 한과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물을 물에 침지하여 불리는 과정에서 천일염 및 숯가루를 첨가하고, 곡물을 물에 불린 후 세척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and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For exampl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adding sun-salt and charcoal powder in the course of soaking the grains in water, washing the grains after they are soaked in water

곡물을 물에 20~30 시간 침지한 후 증숙할 수 있다. 그리고 곡물을 물에 3~4시간 침지한 후 고압으로 증숙할 수도 있다. Grains can be immersed in water for 20 to 30 hours. Grains can be immersed in water for 3 to 4 hours and then boiled under high pressure.

곡물은 현미, 수수, 율무, 통밀, 보리, 기장, 조, 밀, 호밀, 귀리, 메밀, 옥수수, 팥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grain may include one selected from brown rice, sorghum, yulmu, whole wheat, barley, millet, millet, wheat, rye, oats, buckwheat, cor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은 곡물 본래의 맛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부드러운 식감을 갖는 한과와 조화되어 우수한 맛을 제공하는 한과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ethod of producing a soya sauce which is harmonized with a soba having a soft texture and retains the original taste of the grain to provide an excellent taste.

또한, 본 발명은 곡물 이외 다른 첨가물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건강에 유익한 한과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additives other than grain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ealthful and long-lasting preparation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과 제조방법에서, 찹쌀바탕을 형성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곡물이 부착된 한과 제조방법을 예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한과를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현미가 부착된 한과를 예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한과를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수수가 부착된 한과를 예시한다.
1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forming a glutinous rice background in a method and 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one method and a method of attaching grai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one examp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brown rice is attached.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one examp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ilk is attached.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찹쌀바탕에 곡물 또는 과일 중 하나를 부착한 한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한과를 제조하기 위한 찹쌀바탕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1을 참고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attaching one of grains or fruit to a glutinous rice ground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Hereinafter, a method for producing a glutinous rice base for manufacturing a rice gru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과 제조방법에서, 찹쌀바탕을 형성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순서도이다. 1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forming a glutinous rice background in a method and 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찹쌀바탕을 형성하는 방법은, 찹쌀을 세척한 후 물에 침지하여 발효하는 단계, 발효된 찹쌀을 고운 가루 형태로 분쇄하는 단계, 분쇄된 찹쌀에 콩물을 추가하여 반죽하는 단계, 찹쌀 반죽을 증숙한 후 교반하는 단계, 성형 및 건조하는 단계 및 튀겨서 찹쌀바탕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method for forming a glutinous rice ground comprises the steps of washing glutinous rice and immersing it in water and fermenting it, pulverizing the fermented glutinous rice into a fine powder form, adding soybean powder to the ground glutinous rice, , Stirring the glutinous rice dough after stirring, forming and drying, and frying to form a glutinous rice ground

찹쌀을 세척한 후 찹쌀을 발효하는 단계에서, 찹쌀을 28~32℃의 맑은 물에 침지한 후 첨가물을 첨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온도 및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약 10~20일 정도 발효시킨다. 발효를 위한 물의 온도가 28℃ 미만인 경우 발효가 안되거나 진행이 느리고, 물의 온도가 32℃ 초과인 경우 부패하기 쉽다. 발효 과정에서 약간의 냄새가 나지만, 발효 과정에 의해서 유익한 미생물이 생성된다. 발효된 찹쌀을 추가로 세척할 수 있다. After washing the glutinous rice, the glutinous rice is immersed in clear water at 28 ~ 32 ℃ and fermented for about 10 ~ 20 days without adding any additives while keep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constant. If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for fermentation is less than 28 ° C, the fermentation is slow or inefficient, and if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is more than 32 ° C, it is likely to become rotten. A slight odor is produced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but beneficial microorganisms are produced by the fermentation process. The fermented glutinous rice can be further washed.

발효된 찹쌀을 고운 가루 형태로 분쇄하여 찹쌀 가루를 형성한다. 발효된 찹쌀은 두 번 이상의 분쇄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분쇄 과정은 일반적인 분쇄 기계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지만, 수작업에 의해서도 진행될 수 있다. Fermented glutinous rice is crushed into fine powder form to form glutinous rice flour. Fermented glutinous rice may be subjected to two or more pulverization processes. The grinding process can be performed by a general grinding machine, but can also be performed manually.

분쇄된 찹쌀 가루를 반죽하기에 앞서서 반죽에 사용될 콩물을 제조한다. 콩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콩으로는, 대두, 녹두, 완두, 강낭콩, 검정콩 등 다양한 콩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콩의 종류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콩을 물에 침지하여 하루 정도 물에 불린 후 콩물을 추출한다. 추후 찹쌀 가루를 반죽한 후 증숙할 때, 콩물은 그 단백질 성분에 의해서 조직이 서로 잘 붙고 엉기게 하며 과자의 식감을 더욱 부드럽게 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콩물을 첨가하지 않고 찹쌀 가루를 반죽할 수도 있다. A bean to be used in the dough is prepared prior to kneading the ground glutinous rice flour. As soybeans used for the production of beans, various soybeans such as soybean, mung bean, pea, kidney bean, black soybean can be us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kind of soybean. Soak the beans in water, soak them in water for a day and then extract the beans. When the glutinous rice flour is kneaded, the bean sprouts are firmly adhered to each other by the protein component, and the texture of the confection is further softened.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knead glutinous rice flour without adding soybean concentrate if necessary.

찹쌀 가루에 콩물을 첨가하여 묽게 반죽한다. 그리고 반죽한 찹쌀을 필요에 따라서 하루 이상 숙성하는데, 이는 부드러운 식감을 얻기 위한 것이다. Add soybean powder to glutinous rice flour and knead it thinly. Then, the kneaded glutinous rice is matured for more than one day as needed, in order to obtain a soft texture.

반죽한 찹쌀 가루를 스팀 등을 이용하여 4~5시간 증숙하여 골고루 익도록 한다. Mix the kneaded glutinous rice powder with steam for 4 ~ 5 hours and let it boil evenly.

증숙된 찹쌀 반죽은 교반되는데, 이로 인해 공기가 반죽에 골고루 혼합되어서 과자 내부에 포자가 형성된다. 과자 내부에 포함된 포자가 많을수록 씹는 식감이 향상된다. 또한, 이와 같은 교반은 찹쌀 반죽을 더욱 부드럽고 찰지게 만든다. The cooked glutinous rice dough is agitated, which causes air to mix evenly into the dough, forming spores inside the cookie. The more spores contained in the cookies, the better the texture of chewing. Such stirring also makes the glutinous rice dough more smooth and tacky.

교반된 찹쌀 반죽은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 및 건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한과의 경우에는 찹쌀 반죽이 구(sphere) 또는 다면체 형상으로 그 모양이 결정된다. 물론, 본 발명은 찹쌀 반죽이 제작되는 형상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The stirred glutinous rice dough is shaped and dried in a certain shape. In the case of the on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ape of the glutinous rice paste is determined in the shape of a sphere or a polyhedron.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hape in which the glutinous rice dough is produced.

성형 및 건조 방법은, 우선 교반한 찹쌀 반죽을 틀 등에 부어서 원하는 형상을 갖도록 한다. 이때, 틀에는 발효 감자 전분이 첨가될 수 있다. 발효 감자 전분은 찹쌀 반죽이 틀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찹쌀 반죽을 성형한 후 건조를 수행할 수 있고, 1차 건조, 성형 및 2차 건조의 순서로 진행할 수도 있다. 찹쌀 반죽은 수분율이 5% 이하로 건조될 수 있다. 찹쌀 반죽에 대한 건조가 충분히 진행되지 않는 경우, 추후 수행되는 튀김 공정에 의해서 팽창하는 과정에서 잘 부서지기 때문에 수분을 충분히 제거한다. In the molding and drying method, stir the kneaded glutinous rice dough into a mold or the like to have a desired shape. At this time, fermented potato starch may be added to the mold. Fermented potato starch prevents glue rice paste from sticking to the frame. The glutinous rice dough may be molded and then dried, and the first drying, the forming, and the second drying may be performed in this order. Glutinous rice dough can be dried to a moisture content of less than 5%. If the glutinous rice dough is not sufficiently dried, it is broken by the frying process, which is performed later, so that the moisture is sufficiently removed.

건조된 찹쌀 반죽을 기름에 튀겨서 찹쌀바탕을 형성한다. 찹쌀바탕은 기름에 튀겨서 부피가 팽창한 것으로, 그 형태가 반드시 볼(ball)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면체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찹쌀바탕의 형상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건조된 찹쌀 반죽은 80~110℃의 기름에서 1차로 튀겨져서 약간 도톰하게 되고, 190~230℃의 기름에서 2차로 튀겨져서 부피가 팽창한다. 이때 사용되는 기름은 콩기름 등 다양한 기름이 사용될 수 있다. Dried glutinous rice dough is fried in oil to form glutinous rice ground. The glutinous rice base is expanded in volume by frying in oil, and its shap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 ball, but it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polyhedr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hape of the glutinous rice ground. Dried glutinous rice dough is firstly fried in 80-110 ° C oil, slightly dormant, and fried in oil at 190-230 ° C, causing the volume to expand. The oil used herein may be various oils such as soybean oil.

기름에 튀겨서 완성된 찹쌀바탕을 하루 정도 숙성하는데, 이로 인해 과자의 강도가 높아지고 기름이 제거될 수 있다. It is fried in oil and rips the finished glutinous rice base for a day, which can increase the intensity of the cookie and remove the oil.

이상에서는 찹쌀바탕을 제작하기 위해서, 찹쌀 세척 및 발효, 분쇄, 콩물 제조, 반죽, 증숙, 교반, 1차 건조, 성형, 2차 건조, 1차 튀기기, 2차 튀기기 및 숙성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찹쌀바탕은 반드시 상기와 같은 공정에 의해서 제작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서 상기 공정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또는 상기 공정 이외 다른 공정을 추가하여 제작될 수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glue rice washing and fermentation, pulverization, bean production, dough, cooking, stirring, primary drying, molding, secondary drying, primary frying, secondary frying, and aging are exemplified , The glutinous rice background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produced by the above-mentioned process, and at least one of the processes may be omitted or a process other than the process may be added as necessary.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과 및 그 제조방법 중에서 곡물이 부착된 한과(100, 120)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4. FIG.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곡물이 부착된 한과 제조방법을 예시하는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한과를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3은 현미(104)가 부착된 한과(100)를 예시하고 도 4는 수수(124)가 부착된 한과(120)를 예시한다. FIG. 2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one method and a method of attaching grai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illustrate one example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FIG. 3 illustrates a section 100 with a brown rice 104 attached thereto, FIG. 124 are attached.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한과 제조방법은, 도 1에 예시된 방법 등에 의해서 제작된 찹쌀바탕에 곡물을 부착하는 것으로, 곡물을 물에 침지하여 불린 후 증숙하는 단계와, 증숙된 곡물을 건조 후 숙성하는 단계와, 곡물을 볶는 단계와, 찹쌀바탕 표면에 조청을 코팅한 후 볶은 곡물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a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taching grains to a glutinous rice substrate prepared by the method illustrated in FIG. 1 or the like, Drying and aging the matured grains, roasting the grains, and coating the roasted rice with the roasted grains.

도 2에 예시된 제1 실시예에 다른 한과 제조방법은 볶은 곡물을 찹쌀바탕에 조청을 이용하여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볶은 곡물은 한과에서는 엿강정의 재료로 주로 사용되지만, 엿강정은 식감이 딱딱하고 곡물과 물엿의 맛만 나는 단조로움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한과 제조방법은 발효된 찹쌀에 의해 제조되어 부드러운 식감을 갖는 찹쌀바탕에 볶은 곡물을 부착하기 때문에, 식감이 부드럽고 고소한 곡물과 찹쌀 과자 그리고 조청의 맛이 어우러져서 우수한 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곡물을 볶아서 부착함으로써 더욱 바삭한 맛을 제공할 수 있고, 설탕 등 기타 인공 재료를 첨가하지 않고 조청을 이용함으로써 감칠맛과 함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illustrated in FIG. 2, roasted grains are attached to the ground of glutinous rice using a sweet potato. Roasted grains are mainly used as a raw material of gangjeong in Han - gwa, but Gang - jung has a simple texture and monotony of grain and syrup.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roasted grains are attached to a glutinous rice background, which is produced by fermented glutinous rice and has a smooth textu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good taste by combining the smooth and fine grain of the food, the glutinous rice cake, . In addition, by roasting and attaching the grain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re crispy taste, and healthiness can be enhanced with richness by using sweeteners without adding any artificial materials such as sugar.

제1 실시예에 따른 한과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곡물은 현미, 수수, 율무, 통밀, 보리, 기장, 조, 밀, 호밀, 귀리, 메밀, 옥수수, 팥 중에서 선택된 하나에 해당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곡물의 종류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The cereal used in the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may correspond to one selected from brown rice, millet, sorghum, whole wheat, barley, millet, millet, wheat, rye, oats, buckwheat, corn and red bean, Is not limited by the type of grain.

찹쌀바탕에 곡물을 부착하기 위해서, 상기와 같은 곡물을 우선 물에 침지한 후 20~30 시간 정도 불린다. 곡물을 물에 침지하여 불리는 것은, 수분이 곡물에 균일하게 흡수되어 추후 증숙하는 과정에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익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물에 불려야 증숙시 곡물이 부드럽게 잘 익는다. 또한, 물에 침지되어 있는 동안 곡물에 포함되어 있는 독소 및 중금속 등이 제거될 수 있다.In order to attach grains to glutinous rice, the grains are dipped in water for 20 to 30 hours. The reason why the grains are soaked in water is that the moisture is uniformly absorbed in the grains and is uniformly ripened in the course of the later ripening. In addition, toxins and heavy metals contained in cereals can be removed while immersed in water.

곡물을 물에 불리는 과정에서, 물에 천일염 및 활성탄 숯가루를 추가할 수 있다. 천일염은 물에 침지되는 곡물 중량의 약 0.5~2% 그리고 활성탄 숯가루는 곡물 중량의 0.5~2% 정도 투입될 수 있다. 활성탄 숯가루는 물을 정화하여 곡물에 포함되어 있는 중금속 등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천일염은 곡물에 미네랄을 추가하여 최종 볶은 곡물에 미네랄 함량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In the process of calling the grains into water, you can add sun salt and activated charcoal powder to the water. About 0.5 ~ 2% of the weight of grains immersed in water and 0.5 ~ 2% of charcoal powder can be added to the weight of grain. Activated charcoal powder purifies water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heavy metals contained in grains. In addition, sun-dried salt adds minerals to the grain to increase the mineral content in the final roasted grain.

곡물을 물에 불린 후 맑은 물을 이용하여 수 내지 수십 번 곡물을 세척하는데, 이로 인해 침지 과정에서 추가된 천일염 및 활성탄 숯가루가 제거될 수 있다. The grain is called water and then cleaned several to several times with clear water, which can remove the added sun-salt and charcoal powder during the immersion process.

곡물을 세척한 후, 곡물을 일반적인 찜 통 등에 넣고 약 1시간 정도 증숙한다. 곡물을 증숙함으로써 추후 볶는 과정에서 덜 익는 부분이 없게 되어서 식감을 우수하게 할 수 있고 볶은 곡물이 바삭한 식감을 낼 수 있게 된다. After washing the grain, put the grain in a common hothouse and boil it for about 1 hour. As the grain is cooked, there will be no ripe parts in the subsequent roasting process, so that the texture can be improved and the roasted grain can produce a crispy texture.

곡물을 증숙한 후 일정 시간 동안 건조한다. 곡물을 자연 건조하는 경우에는 약 24~48 시간 정도 건조하고, 열풍 건조하는 경우에는 약 12~20 시간 정도 건조한다. 물론, 곡물의 건조 방법 및 시간은 곡물의 종류 및 양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고, 증숙된 곡물이 고슬고슬하게 될 때까지 건조할 수 있다. After the grain is matured, it is dried for a certain time. When the grain is naturally dried, it is dried for about 24 to 48 hours, and when it is dried by hot air, it is dried for about 12 to 20 hours. Of course, the drying method and time of the grain can vary depending on the type and amount of grain and can be dried until the matured grains become dull.

건조한 곡물은 24~48 시간 정도 밀봉하여 숙성한다. 곡물을 숙성함으로써 영양 상태가 개선되고 우수한 식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ried grains are aged by sealing for 24 to 48 hours. By aging the grain, nutritional status can be improved and a good texture can be provided.

건조된 곡물은 무쇠 솥 재질 또는 팬(pan) 등을 이용하여 볶는데, 볶는 과정에서 아래 쪽이 타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휘저어 줄 수 있다. 곡물의 수분이 거의 제거되고 바삭한 식감을 낼 정도로 볶을 수 있다. Dried grains are roasted using a cast iron kettle or pan, which can be stirred continuously to prevent the lower side from burning during roasting. The grain can be roasted enough to remove moisture and crisp texture.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곡물 볶는 방법은, 곡물을 물에 침지한 후 불리는 상기 단계에서 불리는 시간을 2~3 시간 정도로 하고, 증숙하는 단계에서 고압의 상태에서 증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압의 상태에서 곡물을 증숙할 때 압력솥과 같은 압력 용기를 사용할 수 있다. 압력솥에 물에 불린 곡물을 넣고 물의 높이는 곡물의 높이를 넘지 않도록 한 후, 압력솥에서 증기가 나오기 시작하면 5분 정도 경과 후 가열을 중단하고 약 3분 정도 뜸을 들일 수 있다. The method of frying a grai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ime period referred to in the step of soaking the grains in water is about 2 to 3 hours and the steaming is performed at a high pressure in the steaming step. Pressure vessels such as autoclaves can be used to steepen cereals at high pressure. Put the grains called water in the autoclave and make sure that the height of the water does not exceed the height of the grain. After the steam starts to come out from the autoclave, after about 5 minutes, the heating can be stopped and the steam can be steamed for about 3 minutes.

물론, 고압의 상태에서 곡물을 증숙하는 시간 및 물의 투입량 등은 증숙되는 곡물의 양 및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time for steaming the grain under high pressure and the amount of water to be injected may vary depending on the amount and kind of the grain to be cooked.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곡물 볶는 방법에서 침지 및 증숙을 제외한 나머지 공정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곡물 볶는 방법의 곡물 씻기, 증숙된 곡물 건조, 건조한 곡물 숙성, 곡물 볶음 공정과 동일하다. The remaining processes except for immersion and steaming in the grain roasting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grain roasting method of the first embodiment, the drying of the wheat grains, the drying of the grain grains and the roasting of the grain .

이와 같이, 물에 불려서 볶은 곡물은, 곡물 고유의 맛을 상실한 종래의 뻥튀기와는 달리, 곡물 본연의 고소한 맛이 더욱 강화되면서도 바삭한 식감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바삭한 식감을 갖는 볶은 곡물은 부드러운 맛을 갖는 찹쌀바탕과 어우러져서 전체적으로 조화로운 맛을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way, roasted grains, which are called roasted in water, can maintain crispy texture while enhancing the flavor that is inherent to grains, unlike the conventional crab that has lost its original flavor. In addition, roasted grains with a crispy texture can be combined with a glutinous rice background that has a mild flavor, thus providing a harmonious taste as a whole.

볶은 곡물을 찹쌀바탕에 부착하기 위해서, 찹쌀바탕 표면에 조청을 얇게 발라서 코팅한다. 그 후 볶은 곡물을 찹쌀바탕 표면에 묻혀서 곡물을 찹쌀바탕에 부착한다. In order to attach roasted grains to the glutinous rice background, thinly coat the glutinous rice on the surface of the glutinous rice. After that, roasted grains are buried on the surface of glutinous rice, and grains are attached to glutinous rice ground.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과(100, 120)를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3은 찹쌀바탕(102)에 현미(104)가 부착된 한과(100)를 예시하고, 도 4는 찹쌀바탕(122)에 수수(124)가 부착된 한과(120)를 예시한다. Figures 3 and 4 illustrate one embodiment 100 and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llustrates a section 100 with a brown rice 104 attached to a glutinous rice ground 102, 4 illustrates one where rice millet 124 is attached to glutinous rice ground 122 and 120. FIG.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찹쌀바탕(102, 122)의 표면에는 볶은 곡물에 해당하는 현미(104) 또는 수수(124) 등이 조청(도면부호 없음)에 의해서 골고루 부착된다. 찹쌀바탕(102, 122)은 구 형상이 아니라 임의의 형상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찹쌀바탕(102, 122)에는 많은 수의 볶은 곡물(104, 124)이 부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3 and 4, brown rice (104) or sorghum (124) corresponding to roasted grains are evenly adhered to the surface of glue rice bins (102, 122) It can be seen that the glue rice bins 102 and 122 have an arbitrary shape, not a spherical shape.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a large number of roasted grains 104 and 124 are attached to one glue rice base 102 and 122.

본 실시예에 따른 곡물을 부착한 한과(100, 120)는, 설탕 및 화학 조미료 등의 첨가물을 배제하고 곡물만을 볶아서 사용하기 때문에, 곡물 고유의 고소한 맛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강에도 유리한 웰빙 식품으로서의 장점을 갖는다.
Since the cereals 100 and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xclude additives such as sugar and chemical seasonings and are used only by roasting the cereals, it is possible not only to maximize the flavor inherent to the cereals, but also to promote well- It has an advantage as a foo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varied and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0, 120: 한과
102, 122: 찹쌀바탕
104: 현미 124: 수수
100, 120: Han
102, 122: glutinous rice background
104: brown rice 124: sorghum

Claims (10)

찹쌀을 28~32℃의 물에 침지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발효된 찹쌀 가루를 분쇄하고 반죽한 후 숙성하는 단계;
숙성된 찹쌀 가루를 증숙하고 발효 감자 전분이 첨가된 틀에 부어서 성형한 후 건조하는 단계;
성형 및 건조된 찹쌀 반죽을 기름에 튀겨서 찹쌀바탕을 형성하는 단계;
곡물을 천일염 및 활성탄 숯가루가 투입된 물에 20~30 시간 침지하여 불린 후 세척 및 증숙하는 단계;
증숙된 곡물을 건조 후 24~48시간 밀봉하여 숙성하는 단계;
건조 및 숙성된 곡물을 볶는 단계; 및
상기 찹쌀바탕의 표면에 조청을 코팅한 후 볶은 곡물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곡물이 부착된 한과 제조방법.
Fermenting the glutinous rice by immersing it in water at 28 to 32 ° C;
Pulverizing and kneading fermented glutinous rice powder and aging;
Pouring the aged glutinous rice flour into a mold to which the fermented potato starch is added, shaping and drying;
Frying the formed and dried glutinous rice dough into oil to form a glutinous rice ground;
Immersing the grains in water for 20 to 30 hours in which the sunflower and activated charcoal powder have been introduced, washing, and boiling them;
Aging the matured grains by drying for 24 to 48 hours after drying;
Frying dried and aged cereals; And
And coating roasted rice on the surface of the glutinous rice ground and attaching roasted grains.
제1항에 있어서,
곡물은 현미, 수수, 율무, 통밀, 보리, 기장, 조, 밀, 호밀, 귀리, 메밀, 옥수수, 팥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이 부착된 한과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rain comprises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rown rice, millet, sorghum, whole wheat, barley, millet, millet, wheat, rye, oats, buckwheat, corn and red bean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188107A 2014-12-24 2014-12-24 Manufacturing method for korean traditional cookie having grain KR1016601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107A KR101660132B1 (en) 2014-12-24 2014-12-24 Manufacturing method for korean traditional cookie having gra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107A KR101660132B1 (en) 2014-12-24 2014-12-24 Manufacturing method for korean traditional cookie having grai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571A Division KR101704977B1 (en) 2016-06-28 2016-06-28 Korean traditional cookie manufacturing method having frui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782A KR20160077782A (en) 2016-07-04
KR101660132B1 true KR101660132B1 (en) 2016-09-26

Family

ID=56501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8107A KR101660132B1 (en) 2014-12-24 2014-12-24 Manufacturing method for korean traditional cookie having grai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013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297007A1 (en) * 2016-08-01 2020-09-24 Shaklee Corporation Removing heavy metals from rice
KR102653327B1 (en) * 2018-12-11 2024-04-0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솔룸 Korean traditional snack manufacturing method using mixed grain powd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740B1 (en) * 2006-11-08 2007-09-11 주충수 The manufacture method of popped hulled adlay of tasty fortify
KR100985093B1 (en) * 2008-05-21 2010-10-04 안창귀 Manufacturing method of korean cookie containing mulberry leaves
KR101083524B1 (en) 2011-07-19 2011-11-16 금산군 Process for manufacturing red ginseng korean sweets and cookies using red ginseng rice syrup
KR20140075317A (en) * 2012-12-11 2014-06-19 백석올미영농조합법인 Manufacturing method of Korean cookie using plum and Korean cookie using plum manufactured by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782A (en) 201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36740B2 (en) Method for producing miso containing matsutake mushroom
KR101908538B1 (en) Lingshi Mushroom Nurungji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634364B1 (en) Bread including seaweed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KR101447502B1 (en) manufacture method of cereals cookie
CN112971036A (en) Fermented bean curd with sauc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110045919A (en) scorched rice from the bottom of the pot
KR101660132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korean traditional cookie having grain
CN103919185A (en) Low-grease and high-protein peanut, and making methods of peanut with primary taste and peanut with Chinese pepper taste
KR101704977B1 (en) Korean traditional cookie manufacturing method having fruits
CN102696719A (en) Method for producing coarse cereal biscuit
KR101695654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dried fish covered with gochujang and dried fish covered with gochujang
KR102046805B1 (en) Fish meat-bugak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101570077B1 (e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korean cracker containing the powder of a sweet persimmon and the korean cracker made by the method
KR20090041034A (en) Manufacturing method of instant the scorched rice
CN101999714A (en) Method for processing spicy salt and bamboo charcoal peanuts
KR20110138127A (en) Process for preparing rice-cake using figures
KR20140005000A (en) Manufacturing method of nonglutinous rice cake for frying only
KR101927849B1 (en) Process for producing korean traditional confectionery including purple sweet potato and korean traditional confectionery using the same
KR20150031620A (en) Manufacturing Method of Premix Flour of Bindaetteok
KR102337313B1 (en) Processing methods of soybean and soybean processed foods
KR102285413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song-pyon with improved texture
KR20180057158A (en) Manufacturing method of barley GOCHUJANG with mulberry and barley GOCHUJANG with mulberry prepared thereby
KR101861505B1 (en) Method for Producing Snack Including Swimming Crab and Snack Including Swimming Crab for Producing The Same
KR101926824B1 (en) Method Making A Maple Rice Cake
KR102245484B1 (en) Production Of Grain Cake Including Hordeum vulgare 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