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0087B1 - Sewage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ewage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0087B1
KR101660087B1 KR1020130043981A KR20130043981A KR101660087B1 KR 101660087 B1 KR101660087 B1 KR 101660087B1 KR 1020130043981 A KR1020130043981 A KR 1020130043981A KR 20130043981 A KR20130043981 A KR 20130043981A KR 101660087 B1 KR101660087 B1 KR 101660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electrolytic
level sensor
storage tank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39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26019A (en
Inventor
박세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광마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광마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광마린텍
Priority to KR1020130043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0087B1/en
Publication of KR20140126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0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0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45Fluid flow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오수처리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처리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은, 오수 및 처리수의 저장량을 감지하는 레벨센서의 수가 최소화 되도록 함으로써 제조 및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될 수 있고, 오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이상이 발생된 경우 점검이 필요한 부분에 따라 서로 다른 경보가 발생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수리 및 점검에 소요되는 시간 및 노력이 절약되며 운영 상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are disclosed. The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 the number of level sensors that sense the amount of stored sewage and treated water,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costs, In the event of an abnormality in the proces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for repair and inspection, thereby improving safety in operation.

Figure R1020130043981
Figure R1020130043981

Description

오수처리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SEWAGE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wage treatment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오수를 전기분해 하여 처리하는 오수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오수의 저장량 및 오수가 전기분해 되어 생성된 처리수의 저장량을 감지하는 레벨센서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오수처리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for electrolyzing wastewater and treating the wastewater, and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capable of minimizing the number of level sensors for sensing a storage amount of wastewater and a storage amount of wastewater generated by electrolysis of wastewater, And a control method.

화장실에서 배출되는 분뇨 및 생활하수 등을 포함한 오수를 전기분해 처리하는 오수처리시스템에는 오수를 저장하는 오수저장조가 구비되며, 오수저장조 내에는 저장된 오수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for electrolyzing wastewater containing waste manure and domestic wastewater discharged from a toilet is provided with a wastewater storage tank for storing wastewater and a means for measuring the amount of stored wastewater is generally provided in the wastewater storage tank .

오수저장조에 저장된 오수에서는 메탄가스와 같은 가연성가스가 발생될 수 있으며, 오수를 전기분해 하는 과정에서는 폭발성을 갖는 수소가스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이 발화되면 폭발이나 화재 등의 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오수처리시스템은 이러한 물질에 전기에 의한 스파크 등이 접촉되지 않도록 주의 깊게 설계되고 있다.Flammable gas such as methane gas may be generated in the wastewater stored in the wastewater storage tank, and explosive hydrogen gas may b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electrolyzing the wastewater. When these materials are ignite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an accident such as an explosion or a fire. Therefore,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is carefully designed so that the electric sparks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se materials.

특히 오수저장조 및 오수가 전기분해 되어 생성되는 처리수가 저장되는 처리수저장조에 설치되는 레벨센서들은 오수 및 처리수에 직접 접촉되므로, 방폭형으로 설계된 레벨센서를 사용여야 한다. 방폭형 레벨센서는 밀폐성이 높도록 제조되므로 일반적인 레벨센서에 비하여 상당히 가격이 높다.In particular, the level sensors installed in the treatment water storage tank storing the treatment water generated by electrolysis of the wastewater storage tank and the wastewater are in direct contact with the wastewater and the treatment water, so that a level sensor designed to be explosion-proof type should be used. Since the explosion-proof level sensor is manufactured to have high airtightness, the price is considerably higher than that of a general level sensor.

레벨센서가 사용된 오수처리시스템의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57145호(이하, '선행기술 1'이라 칭함)를 들 수 있다. 예시한 선행기술 1에는 오수 또는 처리수의 양을 감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레벨센서가 구비되어 있다.An example of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a level sensor i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57145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In the illustrated prior art 1, a plurality of level sensors are provided to sense the amount of wastewater or treated water.

그런데, 이러한 레벨센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당히 고가이므로, 다수의 레벨센서를 적용하는 것은 오수처리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이 증가되도록 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가 된다. 그러므로, 오수처리시스템에 구비되는 레벨센서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However, since such a level sensor is quite expensive as described above, application of a plurality of level sensors becomes one of the main causes for increasing the cost of constructing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reduce the number of level sensors provided in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또한, 오수처리시스템에 의해 처리되는 오수에는 다량의 고형물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오수처리시스템이 작동되는 중 배관에 고형물이 누적되어 배관이 막히거나 오수 또는 처리수 등이 원활히 유동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Also, since the sewage treated by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contains a large amount of solid matter, there is a case where the solidification is accumulated in the pip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the pipe is clogged, the wastewater or the treated water does not flow smoothly .

현재 오수처리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은 이상이 발생된 경우 단순히 비상경보가 발생되도록 하고 있으나, 비상경보가 발생될 경우 시스템 전체를 점검하여 문제가 발생된 부분을 찾아야 하므로, 오수처리시스템의 수리 또는 정비에 많은 시간 및 노력이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At present,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merely generates an emergency alarm when an abnormality as described above occurs. However, when an emergency alarm occurs, the entire system must be inspected to find the problematic part, so that the repair or maintenance of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It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57145호(발명의 명칭: 분뇨처리시스템 및 분뇨처리시스템을 이용한 분뇨처리방법, 등록일: 2012년 6월 11일)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157145 (Title of the Invention: Manure disposal system and manure disposal method using manure disposal system, registered on June 11, 2012)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오수 및 처리수의 저장량을 감지하는 레벨센서의 수가 최소화 되도록 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minimize the number of level sensors that sense the amount of stored sewage and treated wat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상이 발생된 부분에 따라 서로 다른 경보가 발생되도록 하고자 한다.Als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generate different alarms according to the part where the abnormality occur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오수가 저장되는 오수저장조와, 상기 오수저장조의 내부 하측에 배치된 제1 레벨센서와 상기 제1 레벨센서의 상측에 배치된 제2 레벨센서와 상기 제2 레벨센서의 상측에 배치된 제3 레벨센서를 갖는 오수량 감지수단과, 상기 오수저장조와 연결관을 통하여 연결된 전기분해수단과, 상기 연결관에 설치된 이송펌프와, 상기 전기분해수단에 연결되고 전해수가 유입되는 전해수유입관과, 상기 전해수유입관에 설치되고 상기 전해수유입관을 개폐하는 전해수유입밸브와, 상기 전기분해수단과 이송관을 통하여 연결된 처리수저장조와, 상기 이송관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관을 개폐하는 이송밸브와, 상기 처리수저장조의 내부 하측에 배치된 제4 레벨센서와 상기 제4 레벨센서의 상측에 배치된 제5 레벨센서를 갖는 처리수량 감지수단과, 상기 처리수저장조에 연결된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에 설치된 배출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오수량 감지수단이 발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전기분해수단의 작동여부, 상기 이송밸브의 개폐, 상기 전해수유입밸브의 개폐 및 상기 이송펌프의 작동여부와 이송방향이 조절되고, 상기 처리수량 감지수단이 발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배출펌프의 작동여부가 조절되며, 상기 전해수유입밸브가 개방되고 상기 이송펌프가 상기 전해수유입관을 통하여 상기 전해수가 유입되도록 작동될 경우에는 상기 전해수가 상기 전기분해수단을 거쳐 상기 오수저장조로 유입되는 오수처리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including a wastewater storage tank for storing wastewater, a first level sensor disposed inside the wastewater storage tank, a second level sensor disposed above the first level sensor, An electrolytic unit connected to the waste water storage tank through a connection pipe, a transfer pump installed in the connection pipe, and an electrolytic water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electrolytic unit, An electrolytic water feeding inlet, an electrolytic water inlet valve provided at the electrolytic milk feeding inlet and opening / closing the electrolytic milk feeding inlet, a process water storage tank connected to the electrolytic means through a feeding pipe, And a fifth level sensor disposed above the fourth level sensor, wherein the fourth level sensor is disposed inside the process water storage tank, And a drain pump connected to the treated water storage tank, and a drain pump installed in the drain pipe. According to a signal generated by the water amount sensing means, the electrolyzer is operated, the transfer valve is opened and closed, the electrolytic water inlet valve is opened and closed And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pump is controlled according to a signal generated by the processed water sensing means, and the electrolytic water inflow valve is opened and the transfer pump regulates the electrolytic milk infusion The electrolytic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waste water storage tank through the electrolytic means.

여기서, 상기 전해수는 해수 또는 전해질이 혼합된 담수일 수 있다.Here, the electrolytic water may be seawater or an electrolyte mixed with fresh water.

그리고, 상기 오수량 감지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오수저장조의 저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오수저장조의 상측에 연결된 제1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레벨센서, 상기 제2 레벨센서 및 상기 제3 레벨센서는 상기 지지부재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The sewage amount sensing means includes a first support member, one end of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astewater storage tank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waste water storage tank, and the first level sensor, The third level sensor may be fixed to the support member.

또한, 상기 처리수량 감지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처리수저장조의 저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처리수저장조의 상측에 연결된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레벨센서 및 상기 제5 레벨센서는 상기 제2 지지부재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The treatment amount sensing means may include a support member, one end of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reated water storage tank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treated water storage tank, and the fourth level sensor and the fifth level sensor May be fixed to the second support member, respectively.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오수처리시스템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전해수의 수위가 상기 제2 레벨센서에 이르도록 상기 전해수가 상기 전기분해수단을 거쳐 상기 오수저장조로 유입되는 역세척단계와, 상기 오수가 상기 오수저장조에 저장되는 저장단계와, 상기 오수저장조 내의 상기 오수 및 상기 전해수가 혼합된 혼합물의 수위가 상기 제3 레벨센서에 이르렀음이 감지되면 상기 혼합물이 상기 전기분해수단으로 이송되고, 상기 혼합물은 상기 전기분해수단을 거치며 전기분해 되어 처리수가 생성되며, 상기 처리수는 상기 처리조로 이송되는 전기분해단계를 포함하는 오수처리시스템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comprising: a back washing step in which the electrolytic water flows into the wastewater storage tank through the electrolytic means so that the water level of the electrolytic water reaches the second level sensor; A storage step in which the wastewater is stored in the wastewater storage tank; and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level of the mixture in which the wastewater and the electrolytic water are mixed reaches the third level sensor, the mixture is transferred to the electrolysis means , The mixture is electrolyzed through the electrolytic means to generate treated water, and the treated water is transferred to the treating bath.

여기서, 상기 전기분해단계에서는, 상기 이송펌프가 작동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상기 혼합물의 수위가 상기 제2 레벨센서를 거쳐 상기 제1 레벨센서까지 도달되지 않을 경우 상기 이송펌프의 작동이 중지되고 이송이상경보가 발생될 수 있다.Here, in the electrolysis step, when the level of the mixture is not reached to the first level sensor through the second level sensor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transfer pump is operated,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pump is stopped, An abnormal alarm may be generated.

또는, 상기 전기분해단계에서는, 상기 이송펌프가 작동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여 상기 혼합물의 수위가 상기 제3 레벨센서에 의해 감지될 경우 상기 이송펌프의 작동이 중지되고 오수고수위경보가 발생될 수 있다.Alternatively, in the electrolysis step, when the level of the mixture is sensed by the third level sensor beyond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transfer pump is activated,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pump is stopped and a sewage water level alarm is generated .

상술한 오수처리시스템의 제어방법에는, 상기 처리수량 감지수단에 의해 상기 처리수저장조에 저장된 상기 처리수의 수위가 상기 제5 레벨센서에 이르렀음이 감지되면, 상기 처리수가 상기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상기 배출펌프가 작동되는 배출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of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treated water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when the level of the treated water stored in the treated water storage tank is detected by the treated water detection unit And a discharge step in which the discharge pump is operated.

여기서, 상기 배출단계에서는, 상기 배출펌프가 작동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상기 처리수의 수위가 상기 제4 레벨센서까지 도달되지 않을 경우 상기 배출펌프의 작동이 중지되고 배출이상경보가 발생될 수 있다.Here, in the discharging step, if the level of the treated water is not reached to the fourth level sensor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discharge pump is operated, the discharge pump may be stopped and a discharge abnormal alarm may be generated .

또는, 상기 배출단계에서는, 상기 배출펌프가 작동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여 상기 처리수의 수위가 상기 제5 레벨센서에 의해 감지될 경우 상기 배출펌프의 작동이 중지되고 처리수고수위경보가 발생될 수 있다.Alternatively, in the discharging step, when the level of the treated water is sensed by the fifth level sensor beyond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discharge pump is operated, the discharge pump is stopped and a treatment water level alarm is generated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수 및 처리수의 저장량을 감지하는 레벨센서의 수가 최소화 되도록 함으로써, 오수처리시스템의 제조 및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level sensors for sensing the amount of stored wastewater and treated water is minimized,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manufacturing and installing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이상이 발생된 경우 점검이 필요한 부분에 따라 서로 다른 경보가 발생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수리 및 점검에 소요되는 시간 및 노력이 절약되며 운영 상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ave time and effort required for repair and inspection by controlling different alarms to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parts that need to be inspected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process of processing wastewater,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수처리시스템의 계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오수처리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control method of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shown in FIG. 1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수처리시스템의 계통도가 도시되어 있다.1 is a block diagram of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수처리시스템(1)에는 오수저장조(10), 오수량 감지수단(20), 전기분해수단(40), 처리수저장조(50), 처리수량 감지수단(60), 오수유입관(71), 전해수유입관(72), 연결관(73, 74), 이송관(75), 배출관(76), 이송펌프(81), 배출펌프(82), 전해수유입밸브(83), 이송밸브(84), 체크밸브(88) 등이 포함된다.1,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stewater storage tank 10, a waste water amount sensing means 20, an electrolysis means 40, a treated water storage tank 50, The sensing unit 60, the water inlet 71, the electrolytic water supply inlet 72, the connection pipes 73 and 74, the transfer pipe 75, the discharge pipe 76, the transfer pump 81, the discharge pump 82, An electrolytic water inflow valve 83, a transfer valve 84, a check valve 88, and the like.

오수저장조(10)는 오수유입관(71)을 통하여 유입되는 오수가 저장되는 탱크이다. 오수저장조(10)는 설치되는 장소에 적합한 용량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The wastewater storage tank 10 is a tank in which wastewater flowing through the wastewater inlet 71 is stored. The waste water storage tank 10 may be manufactured to have a proper capacity at a place where it is installed.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수처리시스템(1)은 선박이나 열차와 같은 다수의 승객이 탑승하여 장시간 이동하는 교통수단, 공사장이나 공원 등에 설치된 간이화장실 등 다양한 곳에 적용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places such as a transportation means that a large number of passengers such as a ship or a train are aboarded to move for a long time, a portable toilet installed on a construction site or a park.

따라서, 오수는 화장실에서 배출되는 분뇨, 욕실이나 주방 등에서 배출되는 생활하수 등 다양한 종류의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오수에는 분변과 같은 고형물이 다량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wage may include various kinds of sewage discharged from the toilet, living sewage discharged from the bathroom or kitchen, and the like. Such sewage may contain a large amount of solids such as feces.

오수량 감지수단(20)은 오수저장조(10) 내에 설치되는데, 오수량 감지수단(20)에는 제1 레벨센서(21), 제2 레벨센서(22), 제3 레벨센서(23), 헤드(25) 및 제1 지지부재(26) 등이 포함된다.The sewage amount sensing means 20 is installed in the waste water storage tank 10. The sewage amount sensing means 20 includes a first level sensor 21, a second level sensor 22, a third level sensor 23, a head 25 And a first support member 26 and the like.

제1 지지부재(26)의 일단부는 오수저장조(10)의 내측 저면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26)는 오수저장조(10) 내에서 제1 내지 제3 레벨센서(21, 22, 23)가 일정한 위치에 고정 배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One end of the first supporting member 26 may be coupl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waste water storage tank 10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The first support member 26 is for fixing the first to third level sensors 21, 22, 23 in a fixed position in the waste water storage tank 10.

헤드(25) 내에는 제1 내지 제3 레벨센서(21, 22, 23)의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회로가 내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내지 제3 레벨센서(21, 22, 23)는 복수의 케이블(24)에 의해 헤드(25)에 연결된다.A circuit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electrical signals of the first to third level sensors 21, 22, 23 may be incorporated in the head 25. To this end, the first to third level sensors 21, 22, 23 are connected to the head 25 by a plurality of cables 24.

복수의 케이블(24)은 바인더(27a, 27b, 27c)에 의해 제1 지지부재(26)에 각각 고정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레벨센서(21, 22, 23)가 적합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각각 고정된다.The plurality of cables 24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s 26 by the binders 27a, 27b and 27c so that the first to third level sensors 21, 22, Respectively.

제1 내지 제3 레벨센서(21, 22, 23)는 오수저장조(10)의 내부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레벨센서(21)는 오수저장조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고, 제2 레벨센서(22)는 제1 레벨센서(21)의 상측에 배치되며, 제3 레벨센서(23)는 제2 레벨센서(22)의 상측에 배치된다.The first to third level sensors 21, 22 and 23 are sequentially arrang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of the wastewater storage tank 10. That is,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level sensor 21 is disposed inside the wastewater storage tank, the second level sensor 22 is disposed above the first level sensor 21, and the third level sensor 23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level sensor 22.

따라서, 제1 내지 제3 레벨센서(21, 22, 23)로 오수의 수위를 감지함에 따라 오수저장조(10) 내에 저장된 오수의 양을 산출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mount of wastewater stored in the wastewater storage tank 10 can be calculated by sensing the level of wastewater by the first to third level sensors 21, 22, and 23.

한편, 제1 내지 제3 레벨센서(21, 22, 23)는 장시간 사용에 따른 노후화 등의 이유로 교체가 필요한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교체의 편의를 위해 제1 지지부재(26)의 하단부는 오수저장조(10)의 저면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to third level sensors 21, 22, and 23 may be required to be replaced due to aging due to long-term use. Therefore, the lower end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6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aste water storage tank 10 for the convenience of replacement.

여기서 분리 가능한 결합으로는 오수저장조(10)의 저면에 설치된 브라켓 및 제1 지지부재(26)의 일단부가 볼트 및 너트와 같은 해제 가능한 체결부재로 결합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Here, as the detachable coupling, a bracket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ste water storage tank 10 and an end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6 are coupled to a releasable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and a nut.

참고로,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레벨센서(21, 22, 23) 및 아래에서 설명할 제4 및 제5 레벨센서(61, 62)로는 방폭인증을 받은 것들이 사용되며, 이들을 구동시키는 과정에서도 점접에서 스파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급되는 전압 및 전류를 감소시키는 베리어(barrier)라 칭해지는 전기부품이 함께 사용된다. 도시되지 않은 베리어는 헤드(25) 내에 설치될 수 있다.For referenc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to third level sensors 21, 22, and 23 and the fourth and fifth level sensors 61 and 62 to be described below are those that are subjected to explosion-proof authentication, An electric part called a barrier for reducing a voltage and a current to be supplied is used together to prevent spark from being generated in the contact. A barrier (not shown) may be installed in the head 25.

여기서, 방폭인증을 받은 레벨센서는 10만원 선이고 베리어는 20 내지 30만원 선으로, 1 내지 2만원 선인 일반 레벨센서에 비하여 그 단가가 수십 배까지 차이가 날 수 있다. 그러므로 오수처리시스템(1)에 사용되는 레벨센서(21, 22, 23, 61, 62)의 수를 최소화할수록 오수처리시스템(1)의 제조 및 설치비용이 감소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Here, the level sensor having explosion-proof certification is 100,000 won line, and the barrier is 20-300 thousand won line, the unit price thereof may be several tens times higher than the general level sensor having 1 to 20,000 won line. Therefore, as the number of level sensors 21, 22, 23, 61, 62 used in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1 is minimized, the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cost of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1 can be reduced. This is explained below again.

전기분해수단(40)은 오수저장조(10) 내에 저장되었던 오수 및 아래에서 설명할 전해수가 혼합된 혼합물(S)을 전기분해 하는 수단으로, 오수에 포함된 각종 물질이 외부로 유출되었을 때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 상태가 되도록 변화시킨다. 전기분해수단(40)은 앞에서 언급한 선행기술 1에 자세하게 예시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electrolytic means 40 is a means for electrolyzing the mixture S in which the wastewater stored in the wastewater storage tank 10 and the electrolytic water to be described below is electrolyzed. When the various substances contained in the wastewater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So as to be in a non-contaminated state. The electrolytic means 40 is exemplified in detail i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1,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오수저장조(10) 및 전기분해수단(40)은 연결관(74)을 통하여 연결되며, 연결관(74)에는 이송펌프(81) 및 밸브(86)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전기분해수단(4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연결관(73)이 더 연결된다. 연결관(73)에는 밸브(85)가 설치되며, 연결관(73)에는 전해수유입관(72)이 연결된다. 밸브(85)는 연결관(73)을 개폐한다.The waste water storage tank 10 and the electrolytic means 4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nection pipe 74. The connection pipe 74 is provided with a transfer pump 81 and a valve 86, Further, the electrolytic means 40 is connected to another connection pipe 73 as shown in the figure. The connection pipe 73 is provided with a valve 85 and the connection pipe 73 is connected with the electrolytic water supply inlet pipe 72. The valve 85 opens and closes the connection pipe 73.

전해수유입관(72)으로는 전해수가 유입될 수 있는데, 오수처리시스템(1)에서 사용되는 전해수로는 해수 또는 담수에 전해질이 혼합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Electrolytic wat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electrolytic water supply inlet pipe 72. The electrolytic water used in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1 may be a mixture of electrolytes in seawater or fresh water.

예를 들어, 오수처리시스템(1)이 선박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 선박이 해양에서 운항 중일 때에는 전해수유입관(72)을 통하여 유입된 해수가 전해수로 사용되도록 할 수 있고, 선박이 하천에서 운항 중일 때에는 유입된 하천수에 소금과 같은 전해질을 혼합시켜 전해수로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1) is installed on a ship, it is possible that the marin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electrolytic milking inlet (72) is used as electrolytic water when the vessel is operating in the ocean, In the middle, it is possible to mix electrolytes such as salt into the river water to be used as electrolytic water.

전해수유입관(72)에는 전해수유입밸브(83) 및 스트레이너(89) 등이 설치될 수 있는데, 전해수유입밸브(83)는 전해수유입관(72)을 개폐하며, 스트레이너(89)는 전해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른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해수유입관(72)의 단부에는 유입되는 해수 또는 담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 또는 스크린 등이 더 설치될 수 있다.The electrolytic water inflow valve 83 may be provided with an electrolytic water inflow valve 83 and a strainer 89. The electrolytic water inflow valve 83 opens and closes the electrolytic water inflow inlet 72 and the strainer 89 is included in electrolytic water Filtered foreign matter. Although not shown, a filter or a screen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seawater or fresh water may be further provided at the end of the electrolytic water inflow inlet 72.

한편, 전해수유입관(72) 및 연결관(73)의 연결부위에는 이송관(75)이 연결되며, 이송관(75)은 처리수저장조(50)에 연결된다. 따라서, 전기분해수단(40) 및 처리수저장조(50)는 이송관(75)을 통하여 연결된다. 이송관(75)에는 이송밸브(84)가 설치되는데, 이송밸브(84)는 이송관(75)을 개폐한다.A transfer pipe 75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electrolytic water supply inlet pipe 72 and the connection pipe 73 and the transfer pipe 75 is connected to the process water storage tank 50. Therefore, the electrolytic means 40 and the treated water storage tank 50 are connected through the transfer pipe 75. The transfer pipe 75 is provided with a transfer valve 84 which opens and closes the transfer pipe 75.

처리수저장조(50)는 앞에서 언급한 처리수(W)가 저장되는 탱크로, 처리수량 감지수단(60)은 처리수저장조(50) 내에 설치되어 처리수(W)가 저장된 양을 감지한다.The treated water storage means 50 is a tank in which the aforementioned treated water W is stored and the treated water detecting means 60 is installed in the treated water storage tank 50 to detect the stored amount of the treated water W.

처리수량 감지수단(60)에는 제4 레벨센서(61), 제5 레벨센서(62), 헤드(65) 및 제2 지지부재(66) 등이 포함된다.The processed quantity sensing means 60 includes a fourth level sensor 61, a fifth level sensor 62, a head 65 and a second support member 66.

제2 지지부재(66)의 일단부는 처리수저장조(50)의 내측 저면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4 레벨센서(61)와 제5 레벨센서(62)는 복수의 케이블(64)에 의해 처리수저장조(60) 상측에 설치된 헤드(65)에 연결되며, 케이블(64)은 바인더(67a, 67b)에 의해 제2 지지부재(66)에 각각 고정되어 제4 및 제5 레벨센서(61, 62)가 적합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66 may be coupl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process water storage tank 50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The fourth level sensor 61 and the fifth level sensor 62 are connected to a head 65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process water reservoir 60 by a plurality of cables 64. The cable 64 is connected to the binders 67a, 67b so that the fourth and fifth level sensors 61, 62 are disposed at suitable positions.

여기서, 처리수량 감지수단(60)의 구성요소들은 앞에서 설명한 오수량 감지수단(20)의 구성요소에 비하여 레벨센서(61, 62)의 수가 하나 적은 것을 제외하고 서로 상응하므로, 처리수량 감지수단(6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앞의 오수량 감지수단(20)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Since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processed quantity sensing means 60 correspond to each other except that the number of the level sensors 61 and 62 is one less than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water amount sensing means 20 described above, )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escription of the sewage amount detecting means 20.

처리수저장조(50)에는 배출관(76)이 연결되며, 배출관(76)에는 배출펌프(82) 및 체크밸브(88)가 설치된다.A discharge pipe 76 is connected to the process water storage tank 50 and a discharge pump 82 and a check valve 88 are installed in the discharge pipe 76.

여기서, 배출펌프(82)는 처리수(W)가 배출관(76)을 통하여 오수처리시스템(1)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의 작동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체크밸브(88)는 배출관(76)의 통하여 처리수(W)는 배출되지만 외부의 물질이 오수처리시스템(1)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Here, the discharge pump 82 causes the treated water W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76 to the outside of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1, the operation of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The check valve 88 discharges the treated water W through the discharge pipe 76 but does not allow an external substance to flow into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1. [

한편,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오수저장조(10) 상측 공간 내의 공기에는 오수에서 발생된 메탄가스 등의 가연성가스가 혼입되어 있을 수 있고, 처리수저장조(50) 상측 공간 내의 공기에는 전기분해수단(40)에서 발생된 수소가스가 혼입되어 있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ir in the upper space of the waste water storage tank 10 may be mixed with a combustible gas such as methane gas generated in the wastewater. ) May be mixed with the hydrogen gas generated from the hydrogen gas.

가연성가스 및 수소가스가 공기와 특정 범위의 비율로 혼입되어 있는 경우 오수처리시스템(1)에 포함된 전기부품의 단자에서 발생되는 스파크 등에 의해 발화되어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오수저장조(10) 및 처리수저장조(50)의 상측에는 가연성가스 및 수소가스가 배출되도록 하는 벤트관(77, 78)이 설치될 수 있다.When the combustible gas and the hydrogen gas are mixed with air at a certain ratio, an explosion may occur due to the spark or the like generated at the terminals of the electric parts included in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1. Vent pipes 77 and 78 for discharging flammable gas and hydrogen gas may be installed above the wastewater storage tank 10 and the treated water storage tank 50 to prevent this.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벤트관(77, 78)의 단부는 오수처리시스템(1) 외부로 연장되어 메탄가스 및 수소가스 등이 대기 중으로 방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end portions of the vent pipes 77 and 78 may extend outside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1 so that methane gas, hydrogen gas, or the like is discharged into the atmospher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오수처리시스템(1)은 오수량 감지수단(20)이 발하는 신호에 따라 전기분해수단(40)의 작동여부, 이송밸브(84)의 개폐, 전해수유입밸브(83)의 개폐 및 이송펌프(81)의 작동여부와 이송방향이 조절되고, 처리수량 감지수단(60)이 발하는 신호에 따라 배출펌프(82)의 작동여부가 조절된다.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1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ctrolytic means 40,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eed valve 84,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electrolytic water inflow valve 83, The opera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ump 81 are controlled and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pump 82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ignal emitted by the treated water sensing means 60.

한편, 오수처리시스템(1)은 전해수유입밸브(83)가 개방되고 이송펌프(84)가 전해수유입관(72)을 통하여 전해수가 유입되도록 작동될 경우에는 전해수가 전기분해수단(40)을 거쳐 오수저장조(10)로 유입된다. 이 과정에서 전기분해수단(40) 내에 잔류하던 물질들은 전해수의 유동에 따라 오수저장조(10)로 유입되므로 전기분해수단(40)의 내부가 세척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1, when the electrolytic water inflow valve 83 is opened and the transfer pump 84 is operated to introduce the electrolytic water through the electrolytic water inflow inlet 72, the electrolytic water passes through the electrolytic means 40 And flows into the waste water storage tank 10. In this process, the substances remaining in the electrolytic unit 40 flow into the waste water storage tank 10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electrolytic water, so that the inside of the electrolytic unit 40 can be washed.

여기서, 오수저장조(10)에 전해수를 유입시키는 이유는, 전기분해수단(40) 내의 잔류물을 제거하는 역세척(back flushing) 효과 외에, 오수저장조(10) 내로 오수가 유입되기 전에 전해수가 적정량 충전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오수저장조(10)의 저면에 오수에 포함된 고형물이 침전되어 고착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고, 만약 고착된 침전물이 있을 경우 이를 저면으로부터 박리되도록 하며, 오수의 점도가 낮아지도록 하여 유동성이 증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reason why the electrolytic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wastewater storage tank 10 is that the electrolytic water is discharged in an appropriate amount before the wastewater is introduced into the wastewater storage tank 10 in addition to the back flushing effect of removing the residues in the electrolytic means 40 So that the solids contained in the wastewat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ttled and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astewater storage tank 10, and if there is any settled sediment, the sediment can be stripped from the bottom surface, .

따라서, 전해수의 유입에 의한 오수저장조(10) 저면의 고형물의 부유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연결관(74)은 최대한 오수저장조(10)의 저면에 가까운 부분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오수 및 전해수의 혼합물(S)이 전기분해수단(40)으로 유동될 때에도 오수저장조(10) 내의 혼합물의 잔류량이 최소화 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floating effect of the solid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ste water storage tank 10 due to the inflow of the electrolytic water, the connection pipe 74 can be connected to a portion near the bottom of the waste water storage tank 10 as much as possible, Even when the mixture S flows into the electrolytic means 40, the residual amount of the mixture in the waste water storage tank 10 can be minimized.

위와 같은 오수처리시스템(1)의 작동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sewage treatment system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오수처리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FIG. 2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control method of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together.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수처리시스템의 제어방법에는 역세척단계(S10), 저장단계(S20) 및 전기분해단계(S30)가 포함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 method of controlling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ckwashing step (S10), a storing step (S20), and an electrolyzing step (S30).

역세척단계(S10)는 전해수의 수위가 제2 레벨센서(22)에 이르도록 전해수가 전기분해수단(40)을 거쳐 오수저장조(10)로 유입되도록 하는 단계이다.The backwashing step S10 is a step for allowing the electrolytic water to flow into the waste water storage tank 10 through the electrolytic means 40 so that the water level of the electrolytic water reaches the second level sensor 22. [

즉, 역세척단계(S10)에서는 전해수유입밸브(83)가 개방되고 이송펌프(81)가 작동되어, 전해수가 도면에 점선 화살표로 표시된 경로와 같이 전해수유입관(72), 연결관(73), 전기분해수단(40) 및 연결관(74)을 거쳐 오수저장조(10)로 유입된다. That is, in the backwashing step S10, the electrolytic water inflow valve 83 is opened and the transfer pump 81 is operated so that the electrolytic water flows through the electrolytic water inflow inlet 72, the connection pipe 73, The electrolytic solution 40, and the connection pipe 74 to the waste water storage tank 10.

오수저장조(10)로 전해수가 유입됨에 따라 전해수의 수위가 점차 증가되는데, 증가되는 전해수의 수위가 제2 레벨센서(22)에 이르렀음이 감지되면 이송펌프(81)의 작동이 중지되고 전해수유입밸브(83)가 전해수유입관(72)을 폐쇄하도록 한다.The level of the electrolytic water gradually increases as the electrolytic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wastewater storage tank 10. When the level of the electrolytic water is detected to reach the second level sensor 22,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pump 81 is stopped, So that the valve 83 closes the electrolytic water supply inlet tube 72.

따라서, 역세척단계(S10)에서는 전기분해수단(40)을 통과하는 전해수에 의해 전기분해수단(40) 내에 잔류하는 물질이 오수저장조(10)로 유동되도록 하는 역세척이 행해지는 동시에, 전해수의 수위가 제2 레벨센서(22)에 이를 때까지 오수저장조(10) 내로 전해수가 유입된다.Therefore, in the backwashing step S10, the electrolytic water passing through the electrolytic means 40 is backwashed to allow the substances remaining in the electrolytic means 40 to flow into the waste water storage tank 10, The electrolytic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waste water storage tank 10 until the water level reaches the second level sensor 22.

저장단계(S20)는 오수가 오수저장조(10)에 저장되는 단계이다.The storing step S20 is a step in which the wastewater is stored in the wastewater storage tank 10.

오수유입관(71)을 통하여 유입되는 오수가 오수저장조(10)에 저장됨에 따라, 오수저장조(10) 내에 유입되어 있던 전해수에 오수가 혼합된 혼합물(S)의 수위가 점차 증가된다. 즉, 혼합물(S)의 수위는 제2 레벨센서(21)에 의해 감지되다가 점차 제3 레벨센서(23)에 근접하게 된다.As the wastewater flowing through the wastewater inlet 71 is stored in the wastewater storage tank 10, the water level of the mixture S mixed with the electrolytic water flowing into the wastewater storage tank 10 gradually increases. That is, the water level of the mixture S is sensed by the second level sensor 21 and gradually becomes close to the third level sensor 23.

이때, 이송펌프(81) 및 전기분해수단(40)은 작동되지 않으며, 전해수유입밸브(83)는 전해수유입관(72)를 폐쇄한 상태로 유지된다.At this time, the transfer pump 81 and the electrolytic means 40 are not operated, and the electrolytic water inflow valve 83 is maintained in a state in which the electrolytic water inflow inlet 72 is closed.

오수저장조(10)에 오수가 더 유입되어 수위가 제3 레벨센서(23)에 이르렀음이 감지되면, 즉 오수의 수위가 제3 레벨센서(23)에 의해 감지되면 전기분해단계(S30)가 개시된다.When the wastewater flows into the wastewater storage tank 10 and the level reaches the third level sensor 23, that is, when the level of the wastewater is sensed by the third level sensor 23, the electrolysis step S30 .

전기분해단계(S30)에서는 혼합물(S)이 전기분해수단(40)으로 이송되고, 전기분해수단(40)에 의해 전기분해되어 처리수가 생성되며, 생성된 처리수는 처리수저장조(50)에 유입된다. In the electrolysis step S30, the mixture S is transferred to the electrolytic means 40, electrolyzed by the electrolytic means 40 to generate treated water, and the generated treated water is supplied to the treated water storage tank 50 ≪ / RTI >

이를 위하여, 전기분해단계(S30)에서는 이송밸브(84)가 개방되고, 이송펌프(81)는 오수저장조(10) 내의 혼합물(S)이 연결관(74), 전기분해수단(40), 연결관(73), 이송관(75)를 거쳐 처리수저장조(50)로 유입되도록 작동되며, 전기분해수단(40)에 전력이 공급되어 혼합물(S)의 전기분해가 이루어진다. 즉, 오수 및 전해수의 혼합물(S)은 도면에 실선 화살표로 표시된 경로를 따라 오수저장조(10)로부터 처리수저장조(50)로 유동된다.For this, in the electrolysis step S30, the transfer valve 84 is opened, and the transfer pump 81 transfers the mixture S in the waste water storage tank 10 to the connection pipe 74, the electrolytic means 40, The electrolytic solution 40 is operated to be introduced into the treatment water reservoir 50 via the pipe 73 and the transfer pipe 75 and electric power is supplied to the electrolytic means 40 to electrolyze the mixture S. That is, the mixture S of the wastewater and the electrolytic water flows from the wastewater storage tank 10 to the treated water storage tank 50 along the path indicated by the solid arrow in the figure.

혼합물(S)이 전기분해되는 과정에서 전극에는 수소가스 및 염소이온이 발생된다. 따라서, 처리수 내에는 다량의 염소이온이 포함되어 있어서, 처리수가 해양이나 하천에 그대로 배출될 경우 환경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Hydrogen gas and chlorine ions are generated in the electrode during the electrolysis of the mixture (S). Therefore, a large amount of chlorine ions is contained in the treated water, so that when the treated water is directly discharged to the ocean or river, it can adversely affect the environment.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기분해단계(S30)에서는 처리수에 전해수가 혼합되어 염소이온의 농도가 낮아지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전기분해단계(S30)에서 전해수유입밸브(83)가 개방되도록 하여 처리수 및 전해수가 이송관(75)을 통하여 처리수저장조(50)로 함께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is, in the electrolysis step (S30) electrolytic water is mixed in the treated water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chlorine ion can be lowered. This can be implemented by causing the electrolytic water inlet valve 83 to open in the electrolysis step S30 so that the treated water and the electrolytic water flow together into the treated water storage tank 50 through the transfer pipe 75. [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해수유입관(72)에는 전해수유입밸브(83)가 개방되면 전해수유입관(72)을 통하여 전해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펌프가 설치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electrolytic water supply inlet pipe 72 may be provided with a pump for allowing the electrolytic water to flow through the electrolytic water supply inlet pipe 72 when the electrolytic water inlet valve 83 is opened.

참고로, 전기분해단계(S30)에서 전해수가 처리수와 함께 처리수저장조(50)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은 선택적 사항이므로, 아래에서는 전기분해수단(40)에서 생성된 처리수에 전해수가 혼합되어 처리수저장조(50) 내로 유입된 것을 처리수(W)로 통칭하기로 한다.For reference, it is optional to allow the electrolytic water to flow into the treated water storage tank 50 together with the electrolytic water in the electrolytic step S30. In the following, electrolytic water is mixed with the treated water generated by the electrolytic means 40 The water that has flowed into the water storage tank 50 will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reated water W.

이와 같이 전기분해단계(S30)가 진행되는 동안 처리수저장조(50) 내로 유입된 처리수(W)의 양이 점차 증가됨에 따라 처리수(W)의 수위가 점차 상승된다.As the amount of the treated water W introduced into the treated water storage tank 50 gradually increases during the electrolysis step S30, the water level of the treated water W gradually increases.

따라서, 전기분해단계(S30)에서는 처리수저장조(50)의 하측에 배치된 제4 레벨센서(61)에 의해 처리수(W)의 수위가 우선 감지되며, 처리수(W)의 유입량이 증가됨에 따라 상승되는 수위가 제5 레벨센서(62)에 이르렀음이 감지되면, 즉 제5 레벨센서(62)에 의해 처리수(W)의 수위가 감지되면, 도시되지 않은 배출단계가 개시된다.Therefore, in the electrolysis step S30, the level of the treated water W is first sensed by the fourth level sensor 61 disposed below the treated water storage tank 50, and the inflow amount of the treated water W is increased The level of the treated water W is sensed by the fifth level sensor 62, an unillustrated discharge step is started.

배출단계에서는 처리수(W)가 배출관(76)을 통하여 처리수저장조(50)로부터 오수처리시스템(1)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펌프(82)가 작동된다.In the discharge step, the discharge pump 82 is operated so that the process water W is discharged from the treatment water storage tank 50 through the discharge pipe 76 to the outside of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1. [

한편, 앞에서 설명한 전기분해단계(S30)가 진행됨에 따라, 오수저장조(10) 내의 혼합물(S)의 수위는 점차 감소된다. 따라서, 혼합물(S)의 수위는 제3 레벨센서(23)로부터 제2 레벨센서(22)를 거쳐 제1 레벨센서(21)에 의해 순차적으로 감지되는 것이 정상이다.On the other hand, as the electrolysis step S30 described above proceeds, the water level of the mixture S in the waste water storage tank 10 gradually decreases. Therefore, it is normal that the water level of the mixture S is sequentially sensed by the first level sensor 21 from the third level sensor 23 via the second level sensor 22.

그런데, 앞에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오수 및 전해수가 혼합된 혼합물(S)에 고형물이 다량 함유되어 있을 경우에는 혼합물(S)이 오수저장조(10)로부터 전기분해수단(40)을 거쳐 처리수저장조(50)로 유동되는 경로가 부분적으로 막히거나 완전히 막힐 수 있다. 즉, 전기분해단계(S30) 중 혼합물(S)의 유동속도가 느려지거나 혼합물(S)의 유동이 정지될 수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ixture S containing the wastewater and the electrolytic water contains a large amount of solid matter, the mixture S is discharged from the wastewater storage tank 10 through the electrolytic means 40, 50 may be partially clogged or completely blocked. That is, the flow rate of the mixture S during the electrolysis step S30 may be slowed or the flow of the mixture S may be stopped.

이 상태로 장시간 방치될 경우에는 오수저장조(10) 내의 혼합물(S)이 만수위에 이르게 되어 오수유입관(71)으로 오수가 더 유입되지 못하고 오수유입관(71)에 연결된 화장실 등으로 오수가 역류되거나, 이송펌프(81)에 과부하가 걸려 과열 또는 고장 등이 발생될 수 있다.When the mixture S is left in this state for a long time, the mixture S in the wastewater storage tank 10 reaches the full water level, the wastewater can not flow into the wastewater inlet 71 and the wastewater flows back to the toilet connected to the wastewater inlet 71, The transfer pump 81 may be overloaded, resulting in overheating or failure.

따라서, 전기분해단계(S30)에서는 혼합물(S)의 이송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하는 확인단계(S40)가 행해질 수 있으며, 이송이 비정상적일 경우에는 오수처리시스템(1)이 점검되도록 경보가 발생되는 점검단계(S41)가 추가로 행해질 수 있다.Therefore, in the electrolysis step S30, a confirmation step (S40) for confirming whether the mixture S is normally carried out can be performed. If the transfer is abnormal, an alarm is generated so that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1 is checked An additional checking step S41 may be performed.

점검단계(S41)에서 발생되는 경보는 상황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뉠 수 있다.The alarm generated in the checking step S41 may be divided into two types depending on the situation.

첫 번째 경보는 이송이상경보로서, 혼합물(S)이 오수저장조(10)로부터 처리수저장조(50)로 유동은 되지만 유동속도가 느린 경우에 발생된다. 즉, 혼합물(S)의 유동경로가 부분적으로 막히거나 이송펌프(81)의 성능이 저하된 경우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The first alarm is a transfer abnormal alarm, which occurs when the mixture S flows from the waste water storage tank 10 to the process water storage tank 50, but the flow rate is slow. That is, this may be the case where the flow path of the mixture S is partially blocked or the performance of the transfer pump 81 is deteriorated.

혼합물(S)의 수위가 제3 레벨센서(23)에 이르러 이송펌프(81)가 혼합물(S)이 처리수저장조(50)로 유동되도록 작동되기 시작된 이후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혼합물(S)의 수위가 제2 레벨센서(22)를 거쳐 제1 레벨센서(21)까지 도달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이송펌프(81)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하고 이송이상경보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시간은 계산 또는 실험 등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The water level of the mixture S reaches the third level sensor 23 and the water level of the mixture S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transfer pump 81 starts to be operated to flow the mixture S to the process water storage tank 50 When the first level sensor 21 is not reached via the second level sensor 22,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pump 81 is stopped and a transfer abnormal alarm can be generated. Here,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determined by calculation or experiment.

두 번째 경보는 오수고수위경보로서, 혼합물(S)이 오수저장조(10)로부터 처리수저장조(50)로 거의 유동되지 않거나, 전혀 유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발생된다. 즉, 혼합물(S)의 유동경로가 심하게 막히거나 이송펌프(81)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The second alarm is a sludge high water level alarm, which occurs when the mixture S flows from the wastewater reservoir 10 to the process water reservoir 50 little or none at all. That is, this may be the case where the flow path of the mixture S is severely clogged or the feed pump 81 is not operated.

혼합물(S)의 수위가 제3 레벨센서(23)에 이르러 이송펌프(81)가 혼합물(S)이 처리수저장조(50)로 유동되도록 작동되기 시작된 이후 미리 정해진 시간을 초과할 때까지 혼합물(S)의 수위가 제3 레벨센서(23)에 의해 계속 감지될 경우에는 이송펌프(81)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하고 오수고수위경보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시간은 계산 또는 실험 등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Until the level of the mixture S reaches the third level sensor 23 and the transfer pump 81 starts to operate the mixture S to flow into the process water reservoir 50 until the predetermined time is exceeded S is continuously sensed by the third level sensor 23,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pump 81 is stopped and a sewage high water level alarm is generated. Here,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determined by calculation or experiment.

상술한 바와 같이 이송이상경보 또는 오수고수위경보가 발생된 경우, 이송펌프(81)의 상태를 점검하여 이송펌프(81)에 이상이 있으면 이송펌프(81)를 수리 또는 교체할 수 있으며, 혼합물(S)의 유동경로에 설치된 밸브(84, 85, 86)를 폐쇄한 후 전기분해수단(40), 연결관(73, 74) 및 이송관(75)이 고형물에 의해 막혔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적절한 처치를 행할 수 있다.When the feeding abnormality alarm or the sewage high water level alarm is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the state of the feeding pump 81 is checked, and if the feeding pump 81 is abnormal, the feeding pump 81 can be repaired or replaced, The valves 84, 85, and 86 installed in the flow path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40, the electrolytic solution 40, the connection pipes 73 and 74, and the transfer pipe 75 are blocked by the solids Appropriate treatment can be performed.

이와 같은 점검단계(S41)가 완료된 후에는 중단된 전기분해단계(S30)가 마무리될 수 있도록 하고, 오수처리시스템(1)의 연속가동여부를 확인(S50)한 후 다시 상술한 역세척단계(S10)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After the completion of the inspection step S41, the electrolysis step S30 can be completed and the continuous operation of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1 is confirmed (S50). Thereafter, the backwashing step S10).

다시 역세척단계(S10)가 진행되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해수가 전기분해수단(40)을 거쳐 오수저장조(10)로 유동되므로, 전기분해단계(S30)에서 혼합물(S)이 분해되는 동안 전기분해수단(40) 내에 잔류하였던 물질들이 유동되는 전해수에 의해 세척되는 역세척이 행해질 수 있다. 따라서, 전기분해수단(40) 내에 이물질이 장시간 방치되어 고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As the electrolytic water flows into the waste water storage tank 10 through the electrolytic means 4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backwashing step S10 is performed again, Backwashing can be performed in which the materials remaining in the decomposing means 40 are washed by the flowing electrolytic wat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being left in the electrolytic means 40 for a long time to be fixed.

한편, 배출단계에서도 처리수(W)가 처리수저장조(50)로부터 원활히 배출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즉, 배출펌프(82)에 이상이 발생되거나, 배출관(76)이 어떠한 이유로 막힌 경우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discharge stage, the treated water W may not be discharged smoothly from the treated water storage tank 50. That is, this may be the case where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discharge pump 82 or the discharge pipe 76 is blocked for some reason.

이러한 상태로 장시간 방치될 경우에는 처리수저장조(50)로 처리수가 더 이상 저장될 수 없으므로 상술한 전기분해단계(S30)가 행해질 수 없게 되거나, 배출펌프(82)에 과부하가 걸려 과열 또는 고장 등이 발생될 수 있다.The electrolytic step S30 can not be performed because the treated water can not be stored in the treated water storage tank 50 for a long time or the drain pump 82 is overloaded, May occur.

따라서, 도시되지 않은 배출단계에서는 처리수(W)의 배출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가 행해질 수 있으며, 배출이 비정상적일 경우에는 오수처리시스템(1)이 점검되도록 경보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unexplored discharge stage, a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discharge of the treated water W is normal can be performed, and in the case where the discharge is abnormal, the alarm can be generated so that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1 is checked .

처리수(W)의 배출에 이상이 있을 경우 발생되는 경보는 상황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뉠 수 있다.If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discharge of the treated water (W), the alarm generated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depending on the situation.

첫 번째 경보는 배출이상경보로서, 제5 레벨센서(62)에 의해 처리수(W)의 수위가 감지되어 배출펌프(82)가 작동된 이후,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처리수(W)의 수위가 제4 레벨센서(61)까지 도달되지 않을 경우 이송펌프(82)의 작동이 중단되도록 하고 배출이상경보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시간은 계산 또는 실험 등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The first alarm is a discharge abnormality alarm. After the level of the treated water W is sensed by the fifth level sensor 62 and the discharge pump 82 is operated, the water level of the treated water W is rais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fourth level sensor 61 is not reached,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pump 82 may be stopped and a discharge abnormality alarm may be generated. Here,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determined by calculation or experiment.

두 번째 경보는 처리수고수위경보로서, 처리수(W)가 배출관(76)을 통하여 거의 또는 전혀 배출되지 않는 경우에 발생된다. 즉, 배출관(76)이 심하게 막히거나 배출펌프(82)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The second alarm occurs when the treated water W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76 with little or no discharge. That is, the discharge pipe 76 may be severely clogged or the discharge pump 82 may not be operated.

처리수(W)의 수위가 제5 레벨센서(62)에 이르러 배출펌프(82)가 작동되기 시작된 이후 미리 정해진 시간을 초과할 때까지 처리수(W)의 수위가 제5 레벨센서(62)에 의해 계속 감지될 경우에는, 배출펌프(82)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하고 처리수고수위경보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시간은 계산 또는 실험 등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The water level of the process water W is supplied to the fifth level sensor 62 until the level of the process water W reaches the fifth level sensor 62 and exceeds the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discharge pump 82 starts to operate,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pump 82 can be stopped and a treatment water level alarm can be generated. Here,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determined by calculation or experiment.

배출이상경보 또는 처리수고수위경보가 발생되면 밸브(87)를 폐쇄한 후 배출펌프(82) 및 배출관(76)을 점검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If an abnormal discharge alarm or disposal water level alarm occurs, the valve 87 may be closed and the discharge pump 82 and the discharge pipe 76 may be checked to take appropriate measure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수처리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오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이상이 발생된 경우 점검 또는 수리가 필요한 부분에 따라 서로 다른 경보가 발생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process of wastewater treatment, different alarms may be generated depending on the parts requiring inspection or repair.

따라서, 오수처리시스템(1)의 수리 및 점검에 소요되는 시간 및 노력이 절약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오수처리시스템(1)의 작동이 즉시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refore,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for repairing and inspecting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1 can be saved, and the safety can be improved b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1 immediately depending on the situation.

한편, 오수저장조(10) 내에 제1 내지 제3 레벨센서(21, 22, 23)가 배치되는 위치 및 처리수저장조(50) 내에 제4 및 제5 레벨센서(61, 62)가 배치되는 위치는, 오수저장조(10) 및 처리수저장조(50)의 형상이나 용량 등을 고려하여 정할 수 있다.The position where the first to third level sensors 21, 22 and 23 are disposed and the position where the fourth and fifth level sensors 61 and 62 are disposed in the process water storage tank 50 Can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and the capacity of the wastewater storage tank 10 and the treated water storage tank 50.

참고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수처리시스템(1)에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가 포함된다.For reference, although not shown, a sewage treatment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not shown.

제어부는 오수량 감지수단(20)에 의해 감지된 혼합물(S)의 수위에 따른 신호 및 처리수량 감지수단(60)에 의해 감지된 처리수(W)의 수위에 따른 신호를 각각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들을 바탕으로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이송펌프(81)와 배출펌프(82)의 작동여부 및 작동방향을 조절하며, 전해수유입밸브(83) 및 이송밸브(84)의 개폐를 조절하고, 이상이 발생된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경보신호들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receives a signal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mixture S sensed by the waste water amount sensing means 20 and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treated water W sensed by the treatment amount sensing means 60,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electrolytic water inflow valve 83 and the transfer valve 84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pump 81 and the discharge pump 82 according to the program It is possible to generate the alarm signals as described above.

즉,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수처리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따라 이루어지는 일련의 작동들은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a series of operations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처리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embodiments may easily be proposed by adding, changing, deleting, adding, or the like of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also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오수처리시스템 10: 오수저장조
20: 오수량 감지수단 21: 제1 레벨센서
22: 제2 레벨센서 23: 제3 레벨센서
24: 케이블 26: 제1 지지부재
27a, 27b, 27c: 바인더 40: 전기분해수단
50: 처리수저장조 60: 처리수량 감지수단
61: 제4 레벨센서 62: 제5 레벨센서
64: 케이블 66: 제2 지지부재
67a, 67b: 바인더 71: 오수유입관
72: 전해수유입관 73: 연결관
74: 연결관 75: 이송관
76: 배출관 81: 이송펌프
82: 배출펌프 83: 전해수유입밸브
84: 이송밸브 85, 86, 87: 밸브
88: 체크밸브 S: 혼합물
W: 처리수
1: sewage treatment system 10: sewage storage tank
20: sewage amount detecting means 21: first level sensor
22: second level sensor 23: third level sensor
24: cable 26: first supporting member
27a, 27b, 27c: binder 40: electrolytic means
50: treated water storage tank 60: treated water detecting means
61: fourth level sensor 62: fifth level sensor
64: cable 66: second supporting member
67a, 67b: binder 71:
72: electrolytic feeding infusion 73: connection pipe
74: connector 75: transfer pipe
76: discharge pipe 81: transfer pump
82: discharge pump 83: electrolytic water inflow valve
84: Transfer valve 85, 86, 87: Valve
88: Check valve S: Mixture
W: Processed

Claims (10)

오수가 저장되는 오수저장조;
상기 오수저장조의 내부 하측에 배치된 제1 레벨센서와, 상기 제1 레벨센서의 상측에 배치된 제2 레벨센서와, 상기 제2 레벨센서의 상측에 배치된 제3 레벨센서를 갖는 오수량 감지수단;
상기 오수저장조와 연결관을 통하여 연결된 전기분해수단;
상기 연결관에 설치된 이송펌프;
상기 전기분해수단에 연결되고 전해수가 유입되는 전해수유입관;
상기 전해수유입관에 설치되고, 상기 전해수유입관을 개폐하는 전해수유입밸브;
상기 전기분해수단과 이송관을 통하여 연결된 처리수저장조;
상기 이송관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관을 개폐하는 이송밸브;
상기 처리수저장조의 내부 하측에 배치된 제4 레벨센서와, 상기 제4 레벨센서의 상측에 배치된 제5 레벨센서를 갖는 처리수량 감지수단;
상기 처리수저장조에 연결된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에 설치된 배출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오수량 감지수단이 발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전기분해수단의 작동여부, 상기 이송밸브의 개폐, 상기 전해수유입밸브의 개폐 및 상기 이송펌프의 작동여부와 이송방향이 조절되고,
상기 처리수량 감지수단이 발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배출펌프의 작동여부가 조절되며,
상기 전해수유입밸브가 개방되고 상기 이송펌프가 상기 전해수유입관을 통하여 상기 전해수가 유입되도록 작동될 경우에는 상기 전해수가 상기 전기분해수단을 거쳐 상기 오수저장조로 유입되며 상기 전기분해수단이 역세척되고,
상기 전해수유입밸브가 개방되고, 상기 전해수의 수위가 상기 제2 레벨센서에 이를 때까지 상기 이송펌프가 작동되어 상기 전해수가 상기 전기분해수단을 거쳐 상기 오수저장조로 유입되어 역세척하는 오수처리시스템.
A sewage reservoir in which sewage is stored;
A second level sensor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level sensor and a third level sensor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level sensor, ;
An electrolytic unit connected to the waste water storage tank through a connection pipe;
A transfer pump installed in the coupling pipe;
An electrolytic feeding inlet connected to the electrolytic means and having electrolytic water introduced therein;
An electrolytic water inflow valve installed in the electrolytic water inflow inlet and opening / closing the electrolytic water inflow inlet;
A treated water storage tank connected to the electrolytic means through a transfer pipe;
A transfer valve installed in the transfer tub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ransfer tube;
A fourth level sensor disposed in the lower side of the treated water storage tank, and a fifth level sensor disposed above the fourth level sensor;
A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process water storage tank; And
And a discharge pump installed in the discharge pipe,
The electrolytic water supply valve is opened and closed and whether or not the feed pump is operated and the feeding direction are adjusted according to a signal generated by the water amount sensing means,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pump is controlled according to a signal generated by the processed water sensing means,
When the electrolytic water inflow valve is opened and the transfer pump is operated to introduce the electrolytic water through the electrolytic water inflow inlet, the electrolytic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waste water reservoir through the electrolytic means, the electrolytic means is backwashed,
The electrolytic water inflow valve is opened and the transfer pump is operated until the level of the electrolytic water reaches the second level sensor so that the electrolytic water flows into the waste water storage tank through the electrolytic means and backwash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저장조 및 상기 오수저장조의 상측에 연결되어 내부의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벤트관을 더 포함하는 오수처리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vent pipe connected to an upper side of the treated water storage tank and the wastewater storage tank to discharge gas in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량 감지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오수저장조의 저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오수저장조의 상측에 연결된 제1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레벨센서, 상기 제2 레벨센서 및 상기 제3 레벨센서는 상기 지지부재에 각각 고정된 오수처리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wage amount sensing means includes a first support member, one end of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astewater storage tank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wastewater storage tank,
Wherein the first level sensor, the second level sensor, and the third level sensor are fixed to the support member,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량 감지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처리수저장조의 저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처리수저장조의 상측에 연결된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레벨센서 및 상기 제5 레벨센서는 상기 지지부재에 각각 고정된 오수처리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eated water sensing means includes a second support member, one end of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process water reservoir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process water reservoir,
And the fourth level sensor and the fifth level sensor are fixed to the support member, respectively.
상기 제1항 내지 상기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오수처리시스템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전해수유입밸브가 개방되고, 상기 전해수의 수위가 상기 제2 레벨센서에 이를 때까지 상기 이송펌프가 작동되어 상기 전해수가 상기 전기분해수단을 거쳐 상기 오수저장조로 유입되는 역세척단계;
상기 오수가 상기 오수저장조에 저장되는 저장단계; 및
상기 오수저장조 내의 상기 오수 및 상기 전해수가 혼합된 혼합물의 수위가 상기 제3 레벨센서에 이르렀음이 감지되면, 상기 혼합물이 상기 전기분해수단으로 이송되고, 상기 혼합물은 상기 전기분해수단을 거치며 전기분해 되어 처리수가 생성되며, 상기 처리수는 상기 처리수저장조로 이송되는 전기분해단계를 포함하는 오수처리시스템의 제어방법.
A control method of the sewage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 backwashing step in which the electrolytic water inflow valve is opened, the transfer pump is operated until the level of the electrolytic water reaches the second level sensor, and the electrolytic water flows into the waste water storage tank through the electrolytic means;
Storing the wastewater in the wastewater reservoir; And
When the level of the mixture of the wastewater and the electrolytic water in the wastewater storage tank is detected to reach the third level sensor, the mixture is transferred to the electrolytic means, and the mixture passes through the electrolytic means, Wherein the process water is transferred to the process water storage tank, and the process water is transferred to the process water storage tank.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분해단계에서는,
상기 이송펌프가 작동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상기 혼합물의 수위가 상기 제2 레벨센서를 거쳐 상기 제1 레벨센서까지 도달되지 않을 경우 상기 이송펌프의 작동이 중지되고 이송이상경보가 발생되는 오수처리시스템의 제어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electrolysis step,
Wherein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pump is stopped and a transfer abnormality alarm is generated when the level of the mixture is not reached to the first level sensor via the second level sensor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transfer pump is operated, / RTI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분해단계에서는,
상기 이송펌프가 작동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여 상기 혼합물의 수위가 상기 제3 레벨센서에 의해 감지될 경우 상기 이송펌프의 작동이 중지되고 오수고수위경보가 발생되는 오수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electrolysis step,
Wherein when the level of the mixture is sensed by the third level sensor beyond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transfer pump is operated,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pump is stopped and a sewage high water level alarm is generat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량 감지수단에 의해 상기 처리수저장조에 저장된 상기 처리수의 수위가 상기 제5 레벨센서에 이르렀음이 감지되면, 상기 처리수가 상기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상기 배출펌프가 작동되는 배출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수처리시스템의 제어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 discharge step in which the discharge pump is operated so that the process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when the level of the treated water stored in the process water storage tank reaches the fifth level sensor by the processed water detection means A control method of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단계에서는,
상기 배출펌프가 작동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상기 처리수의 수위가 상기 제4 레벨센서까지 도달되지 않을 경우 상기 배출펌프의 작동이 중지되고 배출이상경보가 발생되는 오수처리시스템의 제어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discharging step,
Wherein when the level of the treated water is not reached to the fourth level sensor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discharge pump is operated,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pump is stopped and an discharge abnormality alarm is generat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단계에서는,
상기 배출펌프가 작동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여 상기 처리수의 수위가 상기 제5 레벨센서에 의해 감지될 경우 상기 배출펌프의 작동이 중지되고 처리수고수위경보가 발생되는 오수처리시스템의 제어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discharging step,
A control method of a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pump is stopped and a treatment water level alarm is generated when the level of the treated water is sensed by the fifth level sensor exceeding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discharge pump is operated .
KR1020130043981A 2013-04-22 2013-04-22 Sewage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6600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981A KR101660087B1 (en) 2013-04-22 2013-04-22 Sewage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981A KR101660087B1 (en) 2013-04-22 2013-04-22 Sewage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019A KR20140126019A (en) 2014-10-30
KR101660087B1 true KR101660087B1 (en) 2016-09-26

Family

ID=51995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3981A KR101660087B1 (en) 2013-04-22 2013-04-22 Sewage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008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59719A (en) * 2020-12-29 2021-05-28 深圳万宏业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monitoring system for sewage treat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145B1 (en) * 2012-05-04 2012-06-22 주식회사 세광마린텍 Sewage disposal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the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5763A (en) * 1993-12-08 1995-06-20 Brother Ind Ltd Device for producing electrolyzed water
KR100360936B1 (en) * 2000-01-31 2002-11-22 주식회사 티엠디 Mass storage electrolytic water making apparatus
KR101145039B1 (en) * 2010-04-30 2012-05-16 창원환경산업 주식회사 Sewage disposal apparatus for ship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145B1 (en) * 2012-05-04 2012-06-22 주식회사 세광마린텍 Sewage disposal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th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019A (en) 2014-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86490C (en) Method for oxidative treatment of aqueous liquids
AU2017225104A1 (en) Device for manufacturing sodium hypochlorite or hypochlorous acid and water treatment system in general
CN102215926B (en) Marine wastewater treatment
US8465653B2 (en) Marine wastewater treatment
JP2007301550A (en) Apparatus for treating turbid water
KR102172075B1 (en) Electrolysis of tubular type for water waste and sweage treatment device including thereof
KR101660087B1 (en) Sewage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4518826B2 (en) Electrolytic wastewater treatment system, electrolysis control device, electrolytic wastewater treatment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KR20160046687A (en) Sewage treatment system
KR20160046686A (en) Sewage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8053209A (en) Fuel cell device
JP2008012511A (en) Water purifying device, and water-ozone mixing device
KR101492393B1 (en) Total residual oxidant concentration measure module
JP5230073B2 (en) Membrane damage detection test method for filtration membranes
KR101045390B1 (en) Sewage disposal apparatus by electrolysis
JP4537962B2 (en) Portable wastewater inspection system
KR20160130370A (en) Sewage treatment system
CN207755837U (en) A kind of sludge pipe exclusion device
KR20160130195A (en) Sewage treatment system
EP1726521A2 (en) Sewage treatment system on board sea craft
KR20160130194A (en) Sewage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6449130B2 (en) Immersion detector cleaning apparatus and cleaning method
KR20160047084A (en) Sewage treatment system
KR102076674B1 (en) Circulation System of Sludge Tank and Control Method
JP2003328979A (en) Water level control method for liquid tank and water level control device for liquid ta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