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9998B1 -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formation and autostereoscopic screen - Google Patents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formation and autostereoscopic 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9998B1
KR101659998B1 KR1020100090398A KR20100090398A KR101659998B1 KR 101659998 B1 KR101659998 B1 KR 101659998B1 KR 1020100090398 A KR1020100090398 A KR 1020100090398A KR 20100090398 A KR20100090398 A KR 20100090398A KR 101659998 B1 KR101659998 B1 KR 101659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creen
stereoscopic
viewer
sub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3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00123A (en
Inventor
르네 데 라 바레 닥터.
주르크 실비오
Original Assignee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filed Critical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Publication of KR20110100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1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9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3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parallax b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7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slanted parallax op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24Colour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49Multi-view displays for displaying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without viewer tracking
    • H04N13/351Multi-view displays for displaying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without viewer tracking for displaying simultaneous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 H04N13/368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for two or more view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2013/40Privacy aspects, i.e. devices showing different images to different viewers, the images not being viewpoints of the same scene
    • H04N2013/405Privacy aspects, i.e. devices showing different images to different viewers, the images not being viewpoints of the same scene the images being stereoscopic or three dimensio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옆으로 어긋나 있는(offset) 시역(viewing zone; 12) 중 적어도 하나에서 각각 보이는 다수의 둘 이상의 뷰(view)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에 적당한 자동입체 스크린(sutostereoscopic screen)에 이미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입체이미지를 동시에 감지할 수 있고 함께 생성되는, 제1 반-입체이미지(streoscopic half-image) 및 제2 반-입체이미지(streoscopic half-image)가 상기 스크린에 재생되며, 상기 제1 반-입체이미지(streoscopic half-image)가 옆으로 어긋나 있고 각각 연속하는 두 영역(16)에서 보이고, 상기 제2 반-입체이미지(streoscopic half-image)가 상기 두 영역(16)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각각의 두 영역(16)보다 작은 입체영역(17)에서 보이도록 반-이미지가 재생된다. 본 발명은 또한 대응하는 자동입체(autostereoscopic) 스크린에 관련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mage information to a sutostereoscopic screen suitable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a plurality of two or more views each visible in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offset viewing zones 12, A first stereoscopic half-image and a second stereoscopic half-image, which can simultaneously detect a stereoscopic image and are generated together, are reproduced on the screen , The first stereoscopic half-image is laterally shifted and is seen in two successive regions (16), and the second stereoscopic half-image is seen in the two regions (16) Image is reproduced so as to be seen in the three-dimensional region (17) located between the two regions (16). 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a corresponding autostereoscopic screen.

Description

이미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자동입체 스크린{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formation and autostereoscopic screen}[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formation and an autostereoscopic screen,

본 발명은 주요 청구항의 전문에 따라 자동입체(autostereoscopic) 스크린에 이미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또한 조화된 청구항의 전문에 따라 다수의 옆으로 어긋난(offset) 시역(viewing zone) 중 적어도 하나에서 각각 보이는 다수의 둘 이상의 뷰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데 적당한 대응하는 자동입체(autostereoscopic)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The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displaying image information on an autostereoscopic screen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the main claim and also relates to a method of displaying image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offset viewing zones To a corresponding autostereoscopic screen suitable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a plurality of two or more views, each of which is visible.

자동입체(autostereoscopic) 디스플레이라고도 불리는 이 유형의 스크린은 종래의 작동 방식에서, 다수의 둘 이상의 보완되는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가 재생되어 또한 다수의 사람이 3차원적으로 재생된 장면을 감지할 수 있는, 특히 멀티유저 디스플레이(multiuser display) 또는 다자-스크린(multiperson screen)으로 공지되어 있다. 많은 서브픽셀(subpixel)을 가지는 매트릭스 스크린 이외에, 일반적인 스크린은 시역(viewing zone) 중 적어도 하나로 서브픽셀(subpixel)에서 각각 방출되는 빛을 가이드하는데 적당한 빔 스플리터 그리드(beam splitter grid)를 포함한다. 그로 인하여 그런 스크린은 단지 두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 재생하기에 적당하고, 단지 한 뷰어만 만족할만한 질의 입체이미지(stereoimage)를 볼 수 있고 이 뷰어에 대하여 옆으로 어긋나 위치하는 다른 사람은 모노이미지(monoimage)조차도 탐지할 수 없는 한 소위 단일 시야 디스플레이(single view display)와 다르다. This type of screen, which is also referred to as an autostereoscopic display, is a type of screen in which, in a conventional mode of operation, a plurality of two or more complementary half-stereoscopic images are reproduced and a large number of people are reproduced three- In particular a multiuser display or a multiperson screen, which is capable of detecting the presence of a user. In addition to a matrix screen with many subpixels, a typical screen includes a beam splitter grid suitable for guiding light emitted from each subpixel in at least one of the viewing zones. Thereby, such a screen is only suitable for reproducing a stereoscopic half-image, and is capable of viewing a stereo image that is satisfactory to only one viewer, Differs from a so-called single view display in that even a monoimage can not be detected.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 다자-스크린(multiperson screen)으로 알려진 방식의 스크린의 작동은 먼저 대응하는 많은 뷰의 이미지 정보가 존재한다고 전제한다. 그런 스크린은 기술적으로 매우 복잡한, 옆으로 어긋난(offset) 대응하는 많은 카메라에 의해 기록되어야 하며 특히 마찬가지로 복잡한 방법으로, 단지 두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의 이미지 정보에서 다루기 힘든 카메라 시스템의 필요성을 컴퓨터에 의해 결정해야 한다. 게다가, 인접한 이미지 채널의 혼란을 일으키는 혼선(cross-talk)을 실제로 피하기 수 없기 때문에, 그리고 스크린을 보는 사람이 입체이미지(stereoimage)를 형성하기 위하여 정확하고 적합한 특정한 위치에서만 두 반-이미지를 정확하게 보기 때문에 재생 품질(reproduction quality)이 매우 제한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뷰어(viewer)가 전형적으로 적어도 약간은 움직이기 때문에, 입체이미지(stereoimage)를 상술한 사람의 아무도 만족할만하게 볼 수 없다. However, in the prior art, the operation of a screen in a manner known as a multiperson screen presumes that there is image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number of views first. Such a screen would have to be recorded by many technically complicated, offset, corresponding cameras, and in a particularly complex way, only a camera system which is difficult to handle in the image information of two stereoscopic half-images The necessity must be determined by the computer. Furthermore, since the cross-talk that causes confusion of adjacent image channels can not actually be avoided, and because the viewer of the screen can view the two half-images precisely and at a specific location in order to form a stereimage, Therefore, reproduction quality can be achieved with very limited accuracy. However, since the viewer typically moves at least a bit, none of the above persons can see the stereoimage satisfactorily.

본 발명의 목적은, 입체이미지(stereo image)를 편안하고 3차원으로 만족할만한 품질로 감지하는 것을 예정하는 뷰어(viewer) 이외에, 적어도 한 명의 다른 뷰어(viewer)도 마찬가지로 가능한 편안하고 2차원 이미지로 (즉, 모노이미지(monoimage)로) 이들 입체이미지(stereoimage)의 가능한 이미지 콘텐츠를 좋은 품질로 감지할 수 있는 입체이미지(stereoimage)를 자동입체적으로(auto stereoscopically)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입체이미지(stereoimage)의 이미지 정보를 필요요건을 만족시키는 방식으로 재생하는 대응하는 스크린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t least one other viewer as well as a viewer which is intended to sense a stereo image in a comfortable and three-dimensional satisfactory quality, (Auto stereoscopically) display of stereoimages capable of sensing the possible image content of these stereoscopic images with good quality (i.e., with monoimage).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pose a corresponding screen that reproduces image information of a stereoscopic image in a manner satisfying a necessary requirement.

이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주요 청구항의 전문의 특징과 함께 주요 청구항의 특징적인 특징을 가지는 방법에 의해 또한 조화된 청구항의 특징을 가지는 스크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구체화 그리고 개선안은 종속항의 특징에서 개시한다. This object is achiev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by a screen having the features of the claims, further characterized by a method having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main claim, in addition to the features of the main claim. Advantageous embodiments and improvements of the invention are disclosed in the dependent claims.

제안된 방법에서, 제1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는 옆으로 어긋나 있고(offset) 각각 연속하는 두 영역에서 보이고, 반면 제2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는 상술한 두 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각각의 이들 두 영역보다 작은 입체영역(stereozone)에서 보이도록 동시에 감지할 수 있고 함께 입체이미지(stereoimage)를 생성하는, 제1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 및 제2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가 스크린에서 재생된다. In the proposed method, a first stereoscopic half-image is offset and appears in two successive regions, whereas a second stereoscopic half-image is seen in two successive regions, A stereoscopic half-image and a second half-image which are located between the regions and which are simultaneously detectable to be seen in a smaller stereozone than these two regions and which together produce a stereimage, - A stereoscopic half-image is reproduced on the screen.

그 결과 먼저 제1 뷰어의 한 눈은 제1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가 보이는 상술한 두 영역 중 하나에 위치하고 제1 뷰어의 다른 눈은 상술한 입체영역(stereozone)에 놓이도록 제1 뷰어의 머리 위치를 선택한다면, 제1 뷰어는 고품질의 입체이미지(stereoimage)를 볼 수 있다. 또한, 제2 뷰어의 두 눈이 더 작은 입체영역(stereozone) 옆의 비교적 큰 두 영역 중 하나에 있는 한, 스크린의 적어도 한 명의 제2 뷰어(viewer)는 마찬가지로 적어도 - 두 반-이미지(half-image) 중 하나에 대응하는 - 2차원 이미지 또는 모노이미지(monoimage)로서 이 입체이미지(stereoimage)의 이미지 콘텐츠를 적어도 감지할 수 있다. 그로 인하여 제2 뷰어는 모노이미지(monoimage)를 상실하지 않고 제1 뷰어(viewer) 옆으로 비교적 넓은 한계 안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제1 뷰어(viewer)가 3차원적인 이미지 정보를 볼 수 있는 스크린에서 한 명 이상의 다른 뷰어(viewer)도 볼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린다. 유리하게, 종래의 다자-스크린(multiperson screen)은 활성화를 위해 사용되는 채용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런 스크린으로 두 보완되는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의 이미지 정보에서 판독하는 다른 가능한 방법과 비교하여, 실제로 자동 입체적으로 볼 수 없지만 입체이미지(stereoimage)의 이미지 콘텐츠를 고품질의 모노이미지(monoimage)로 검출할 수 있는, 기술된 방법에서 가능한 큰 영역이 커버될 수 있다. 이것은 제1 뷰어(viewer)의 한눈을 위해서만 공간을 요구하기 때문에 입체영역(stereozone)이 아주 작을 수 있다는 사실에 기인하다. As a result, one eye of the first viewer is positioned in one of the above-mentioned two regions in which a first stereoscopic half-image is visible, and the other eye of the first viewer is positioned in the above-mentioned stereozone If one selects the head position of the viewer, the first viewer can see a stereoscopic image of high quality. Also, as long as the two eyes of the second viewer are in one of the two relatively large areas next to the smaller stereozone, at least one second viewer of the screen likewise has at least a half- image or a monoimage corresponding to one of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stereoscopic image. Thereby, the second viewer can freely move within a relatively wide margin beside the first viewer without losing the monoimage. Thus, for example, a possibility opens for a first viewer to view one or more other viewers on a screen where three-dimensional image information can be viewed. Advantageously, conventional multiperson screens can be used to implement the employed software used for activation. Compared to other possible methods of reading from image information of two complementary semi-stereoscopic half-images with such a screen, the image content of a stereoscopic image, which can not actually be viewed as stereoscopic, monoimage, which can detect large areas as much as possible.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stereozone can be very small, because it only requires space for the eyes of the first viewer.

용어 "입체영역(stereozone)"은 여기서는 이 용어의 다른 사용과 다소 다르게 사용되며, 뷰어(viewer)가 입체이미지(stereoimage)를 볼 수 있는 영역이 아니라 (여기서 제2 반-이미지라고 불리는) 두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 중 하나가 보이는 영역을 설명하여, 이 뷰어(view)의 두 눈 중 하나가 이 영역에 위치하면 뷰어는 입체이미지를 볼 수 있다. The term "stereozone" is used herein somewhat differently than the other uses of the term, and is intended to include not only the viewer's viewable stereoimage (but here the second half-image) - Describe the area where one of the stereoscopic half-images is visible, so that if one of the two eyes of this viewer is located in this area, the viewer can see the stereoscopic image.

스크린이 빔 스플리터 그리드(beam splitter grid)를 가진 매트릭스 스크린으로 디자인되는 경우, 방법은 제1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의 이미지 점이 제2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의 이미지 점보다 더 많은 매트릭스 스크린의 서브픽셀(subpixel)에서 각각 재생되는 것에 의해 특히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매트릭스 스크린으로, 또한 영역(area)에 걸쳐 분산되는 서브픽셀(subpixel)을 가지는 이미지 스크린이 기술되며, 그런 스크린에서 서브픽셀(subpixel)은 서로 수직인 행 및 열(line and column)로 배치되지 않고 다른 패턴을 형성한다. 서브픽셀(subpixel)은 다른 컬러로 지정될 필요가 없다. When the screen is designed as a matrix screen with a beam splitter grid, the method is such that the image point of the first half-image is the image of the second half-image of the stereoscopic image Can be achieved particularly easily by being reproduced in each subpixel of the matrix screen more than the point. An image screen is described that has a subpixel that is distributed over a matrix screen and over an area where the subpixels are not arranged in rows and column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reby forming another pattern. The subpixel does not need to be specified in another color.

기술된 유리한 방법에서 이미지 정보를 재생할 수 있는 제안된 자동입체 스크린(auto stereoscopic screen)은 적어도 하나의 가능한 작동 모드에서 두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의 이미지 정보를 서브픽셀(subpixel)로 분배하는 프로그래밍 기술에 의해 디자인된 제1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 및 제2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의 이미지 정보의 함수로서 매트릭스 스크린의 서브픽셀(subpixel)을 활성화하는 제어 유닛을 가져서 제1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의 이미지 점이 제2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의 이미지 점보다 더 많은 서브픽셀(subpixel)에서 각각 재생되며, 제1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는 옆으로 어긋나 있고(offset) 각 연속 하는 두 영역에서 보이고, 반면 제2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는 상술한 두 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각각의 이들 두 영역보다 작은 한 입체영역(stereozone)에서 보인다. A proposed auto stereoscopic screen capable of reproducing image information in the described advantageous manner is capable of displaying image information of two stereoscopic half-images in at least one possible mode of operation into a subpixel (Subpixel) of a matrix screen as a function of image information of a first stereoscopic half-image and a second stereoscopic half-image designed by a dispensing programming technique Control unit, so that the image points of the first half-image are reproduced respectively in more subpixels than the image points of the second semi-stereoscopic half-image, A stereoscopic half-image is offset laterally and seen in two consecutive regions, whereas a second stereoscopic half-image is seen in two consecutive regions, And is seen in one stereoscopic region smaller than each of these two regions.

자동입체 스크린(auto stereoscopic screen)의 매트릭스 스크린으로서 특히 액정 스크린, 즉 LCD 디스플레이가 적당하다. 예를 들면, OLED 디스플레이가 대안으로 사용된다. 빔 스플리터 그리드(beam splitter grid)는 원하는 함수를 수행하기 위해 슬롯 그리드(slot grid) 또는 스트립 그리드(strip grid) 또는 실린더 렌즈 그리드(cylinder lens grid)로서 공지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스텝 그리드(stepped grid), 퍼폴레이티드 그리드(perforated grid) 또는 구형렌즈 그리드(spherical lens grid)도 가능하다. As a matrix screen of an auto stereoscopic screen, a liquid crystal screen, i.e. an LCD display, is suitable. For example, an OLED display is used as an alternative. A beam splitter grid may be constructed in a known manner as a slot grid or a strip grid or a cylinder lens grid to perform a desired function. In addition, a stepped grid, a perforated grid, or a spherical lens grid is also possible.

방법의 바람직한 구체예는 매트릭스 스크린의 각각의 다수 선에서, 제1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의 이미지 점 중 하나를 재생하기 위하여 각각 활성화되는 인접한 서브픽셀(subpixel)의 각각 그룹이 직접 인접한 서브픽셀(subpixel) 또는 적어도 하나의 빈(blanked) 서브픽셀(subpixel)에 의해 거기서 분리된 서브픽셀과 번갈아 나타나고 또는 제2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의 이미지 점 중 하나를 재생하기 위하여 각각 활성화되는 인접한 서브픽셀(subpixel)의 작은 그룹과 번갈아 나타난다. 마찬가지로, 이미지 스크린의 제어 유닛은 상술한 작동 모드에서 적어도 매트릭스 스크린을 활성화하도록 디자인될 수 있어서, 매트릭스 스크린의 각각의 다수의 선에서, 제1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의 이미지 점 중 하나를 각각 재생하는 인접한 서브픽셀(subpixel)의 각 그룹이 직접 인접한 서브픽셀(subpixel) 또는 적어도 하나의 빈(blanked) 서브픽셀(subpixel)에 의해 거기서부터 분리된 서브픽셀(subpixel)과 번갈아 나타나며 또는 제2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의 이미지 점 중 하나를 각각 재생하는 인접한 서브픽셀(subpixel)의 작은 그룹과 번갈아 나타난다.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thod is characterized in that in each of a plurality of lines of the matrix screen, each group of adjacent subpixels activated respectively for reproducing one of the image points of the first half- Alternate with subpixels separated therefrom by adjacent subpixels or at least one blanked subpixel or reproduce one of the image points of a second stereoscopic half-image Alternating with a small group of adjacent subpixels that are each activated. Likewise, the control unit of the image screen can be designed to activate at least the matrix screen in the above-mentioned operating mode, so that in each of a plurality of lines of the matrix screen, one of the image points of the first stereoscopic half- Each group of adjacent subpixels reproducing one of them alternates with a subpixel separated therefrom by a directly adjacent subpixel or at least one blanked subpixel, Alternating with a small group of adjacent subpixels each reproducing one of the image points of the second semi-stereoscopic half-image.

종래의 다자-스크린(multiperson screen)은 비교적 넓은 거리(명목상 시거리)에서 보이도록 일반적으로 디자인된다. 제1 뷰어(viewer) 및 적어도 한 명의 제2 뷰어(viewer)가 더 편안하게 더 작은 거리에서 볼 수 있도록 여기서 제안된 방법을 위해, 두 반-이미지의 이미지 정보가 측면 방향으로 퍼져 있는, 매트릭스 스크린의 서브픽셀(subpixel)로 쓰여져서, 제1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가 완전히 보이는 두 영역 및 제2 반-이미지가 완전히 보이는 입체영역(stereozone)은 명목상 시거리만큼 스크린에서 간격을 가지는 평면보다 스크린에 가까운 시평면(viewing plane)에서 최대 너비를 가지며, 스크린이 다자-스크린(multiperson screen)으로서 작동할 때 시평면(viewing plane)에서 다수의 둘 이상의 뷰가 보인다. 입체이미지(stereoimage)가 제1 뷰어(viewer)에 의해 감지될 수 있도록, 시평면(viewing plane)에서 입체영역(stereozone)과 상술한 두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사이의 옆 간격은 평균 눈 간격, 즉 65mm 이하로 예정된다. 당연히 이것은 시평면(viewing plane)과 스크린 사이의 간격이 명목상 시거리에 일치하는 방법의 다른 구체예에도 또한 적용한다. Conventional multiperson screens are generally designed to be seen at relatively wide distances (nominal field of view). For the method proposed here so that a first viewer and at least one second viewer can be viewed at a smaller distance more comfortably, a matrix screen, in which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two half- Two regions in which the first half-image is completely visible and a second half-image in which the stereozone is completely visible are spaced apart on the screen by a nominal viewing distance Has a maximum width in the viewing plane closer to the screen than in the plane and has more than two views in the viewing plane when the screen operates as a multiperson screen. The lateral spacing between the stereozone and at least one of the two regions described above in the viewing plane is such that the average eye spacing, i. E. 65 mm, is sufficient to allow the stereoscopic image to be sensed by the first viewer. . This of course also applies to other embodiments of the method wherein the spacing between the viewing plane and the screen nominally coincides with the viewing distance.

동일한 목적을 위해, 제안된 스크린의 제어 유닛은 측면 방향으로 퍼져 있는, 매트릭스 스크린의 서브픽셀(subpixel)로 상술한 작동 모드로 두 반-이미지의 이미지 정보를 쓰는 대응하는 프로그래밍에 의하여 디자인될 수 있어, 제1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가 완전히 보이는 두 영역 및 제2 반-이미지가 완전히 보이는 입체영역(stereozone)은, 스크린이 다자-스크린(multiperson screen)을 형성하는 다른 작동 모드에서, 다수의 둘 이상의 뷰가 보이는, 평면보다 스크린에 가까운 시평면(viewing plane)에서 최대 너비를 가진다. 그런 자동입체(autostereoscopic) 스크린의 전형적인 구체예에서, 매트릭스 스크린이 상술한 다른 작동 모드로 활성화될 수 있어서 각 선에서 둘 이상의 뷰의 수에 대응하는 다수의 이미지 채널에 주기적으로 분배되고, 반면에 첫 번째-상술한 작동 모드의 서브픽셀(subpixel)은 다수의 서브픽셀(subpixel)에서 각각 형성된, 제1 반-이미지의 인접한 이미지 점의 영역 중점(area centre point) 사이의 평균 간격 및 마찬가지로 다수의 서브픽셀(subpixel)에서 각각 형성된, 제2 반-이미지의 인접한 이미지 점의 영역 중점(area centre point) 사이의 평균 간격이 매트릭스 스크린의 인접한 서브픽셀(subpixel) 사이의 간격의 정수배(integral multiple)에서 벗어난다. For the same purpose, the control unit of the proposed screen can be designed by corresponding programming to write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two half-images in the above-mentioned operating mode into a subpixel of a matrix screen sprea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 The two regions in which the first half-image is completely visible and the second half-image in which the stereozone is completely visible, can be used in other operating modes in which the screen forms a multiperson screen , And has a maximum width at a viewing plane closer to the screen than a plane where a plurality of two or more views are visible. In a typical embodiment of such an autostereoscopic screen, the matrix screen is periodically distributed to a number of image channel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wo or more views in each line, which can be activated in the other mode of operation described above, The subpixel of the above-mentioned operating mode has an average spacing between the area center points of adjacent image points of the first half-image respectively formed in a plurality of subpixels, The average spacing between the area center points of adjacent image points of the second half-image, each formed in the subpixel, deviates from an integral multiple of the spacing between adjacent subpixels of the matrix screen .

제1 뷰어(viewer)가 비교적 넓은 한계 안에서 움직이고 있는 동안에도, 제1 뷰어(viewer)가 혼란 없이 입체이미지(stereoimage)를 볼 수 있기 위하여, 제1 뷰어(viewer)의 머리 위치 및/또는 머리 움직임은 제안된 방법에서 또한 검출될 수 있고 스크린의 활성화가 제2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가 보이는 입체영역(stereozone) 및 이 입체영역(stereozone) 옆에 위치하고 제1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가 보이는 두 영역이 위치하거나 추적될 수 있도록 검출된 머리 위치 또는 머리 움직임의 함수로서 조정되거나 변경되어서, 뷰어(viewer)의 제1 눈은 상술한 두 영역 중 한 영역에 위치하거나 유지되며 뷰어(viewer)의 제2 눈은 상술한 입체영역(stereozone)에 위치하거나 유지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상술한 서브픽셀(subpixel) 그룹이 정교하게 단계적으로 또는 준-연속적으로(quasi continuously) 옆으로 이동할 수 있어서, 그룹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서브픽셀(subpixel)이 활성화되는 세기가 감소하고, 그리고 이전에 빈(blanked) 서브픽셀(subpixel) 또는 서브픽셀(subpixel)의 동일한 그룹의 반대에 위치한 가장자리에서 낮은 세기로 활성화된 서브픽셀(subpixel)은 대응하는 높은 세기, 즉 더 큰 밝기로 활성화된다. 이동은 서브픽셀(subpixel) 그룹의 세기 중점의 이동 및/또는 이들 그룹의 가장자리의 이동을 각각 의미한다. 또한, 두 반-이미지 중 하나에 처음 지정된 스크린의 개별 서브픽셀(subpixel) 또는 이미지 채널은 다른 반-이미지에 지정될 수 있다. In order to allow the first viewer to see the stereoscopic image without confusion even while the first viewer is moving within a relatively wide margin, the position of the head of the first viewer and / Can also be detected in the proposed method and the activation of the screen is controlled by a stereozone in which a second stereoscopic half-image is seen and a second half-stereoscopic image located next to the stereozone, the stereoscopic half-image is adjusted or changed as a function of the detected head position or head movement so that the two regions in which the two visible regions are located or tracked, so that the first eye of the viewer is located in one of the two regions described above And the second eye of the viewer is positioned or held in the above-mentioned stereozone. For this purpose, the above-described subpixel group can move finely stepwise or quasi continuously laterally, so that the intensity at which the subpixel located at the edge of the group is activated is reduced, And a subpixel activated at a low intensity at the edge of the previously located opposite of the same group of blanked subpixels or subpixels is activated with a corresponding high intensity, . Movement refers to the movement of the intensity center of a subpixel group and / or the movement of the edges of these groups, respectively. Also, an individual subpixel or image channel of a screen initially assigned to one of the two half-images may be assigned to another half-image.

상술한 옆 방향으로 퍼져 있는 것은 대응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두 반-이미지로 다양한 이미지 채널을 재분배하는 것은 선의 한 끝에서 다른 끝으로 각각 준-연속적으로(quasi continuously) 스크린의 각 선에서 이루어지며, 전제조건은 다자-스크린(multiperson screen)으로 스크린이 작동하는 동안 한 선의 서브픽셀(subpixel)이 다양한 뷰에 대응하는 이미지 채널로 주기적인 순서로 분배된다는 것이다. The above-described sprea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can be done in a corresponding way, and redistributing the various image channels in two half-images is done at each line of the screen quasi continuously from one end of the line to the other end, respectively , A prerequisite is that a subpixel of one line is distributed in periodic order to the image channels corresponding to the various views while the screen is operating in a multiperson screen.

방법의 유리한 개선안에서, 바람직하게 제2 뷰어(viewer)의 눈이 두 상술한 영역 중 하나를 떠나는 것이 방지된다면, 두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의 이미지 정보가 바뀌고, 동시에, 입체영역(stereozone) 및 상술한 두 영역이 눈 간격만큼 옆으로 이동하도록 추가로 적어도 한 명의 제2 뷰어(viewer)의 움직임이 검출되고 스크린의 활성화가 검출된 움직임의 함수로서 바뀐다. 이 목적을 위하여, 제1 뷰어의 제1 눈이 상술한 입체영역(stereozone)에 있고 다른 눈은 상술한 영역에 있도록 입체영역(stereozone)과 상술한 두 영역이 이동하며, 제1 뷰어(viewer)의 왼쪽 눈이 입체영역(stereozone)에 있었을 때 제1 뷰어(viewer)의 오른쪽 눈이 입체영역(stereozone)에 위치하게 되는 의미로 제1 및 제2 눈이 바뀐다. 따라서, 적어도 한 명의 제2 뷰어(viewer)의 움직임의 자유도, 즉 모노이미지(monoimage)를 상실하지 않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영역이 더 증가할 수 있다. 그로 인하여 반-이미지를 바꿔서 이전에 제1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이 왼쪽 반-이미지이고 제2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가 오른쪽 반-이미지일 때 제1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가 지금은 오른쪽 반-이미지이고 제2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가 지금 왼쪽 반-이미지, 또는 그 역을 예정한다. 이렇게 바뀌는 것에 의해 제1 뷰어(viewer)는 변화를 감지할 수 없고 여전히 정확한 입체이미지(stereoimage)를 볼 수 있고, 반면에 적어도 한 명의 제2 뷰어(viewer)는 실제로 이론적으로 제2 뷰어가 모노이미지(monoimage)로 볼 수 있는 두 반-이미지 사이의 점프(jump)를 감지하는 수 있지만, 이 감지할 수 없는 점프를 혼란(disturbing)으로서 경험할 수 없다. In the advantageous improvement of the method, if the eyes of the second viewer are preferably prevented from leaving one of the two aforementioned regions,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two stereoscopic half-images is changed and at the same time, the stereozone and the movement of at least one second viewer are detected so that the two areas described above move sideways by eye distance and the activation of the screen changes as a function of the detected movement. For this purpose, the stereozone and the above-mentioned two regions move so that the first eye of the first viewer is in the above-mentioned stereozone and the other eye is in the above-mentioned region, and a first viewer, The first and second eyes are changed in such a manner that the right eye of the first viewer is located in the stereozone when the left eye of the viewer is in the stereozone. Thus, the degree of freedom of movement of at least one second viewer, that is, the area that can freely move without losing a monoimage, can be further increased. Thereby changing the half-image so that when the first half-image is the left half-image and the second half-image is the right half-image, the first half- A stereoscopic half-image is now the right half-image and a second stereoscopic half-image now stands for the left half-image, or vice versa. By this change, the first viewer can not detect the change and still see the correct stereo image, while at least one second viewer actually theoretically allows the second viewer to view the mono image can detect a jump between two half-images that can be viewed as a monoimage, but can not experience this undetectable jump as disturbing.

정확하게 묘사된 장점을 성취할 수 있기 위해서, 스크린의 바람직한 구체예는 적어도 제1 뷰어(viewer)의 머리 위치를 검출하는 장치를 가지며, 제어 유닛은 검출된 머리 위치의 함수로서 매트릭스 스크린을 활성화하도록 디자인되며 머리 위치가 변하는 동안 제1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가 보이는 입체영역(stereozone) 및 이 입체영역(stereozone)의 옆에 위치하고 제1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가 보이는 두 영역이 위치되거나 추적되며, 뷰어(viewer)의 제1 눈이 상술한 두 영역 중 하나에 위치하거나 유지되며, 반면에 뷰어(viewer)의 제2 눈이 상술한 입체영역(stereozone)에 위치하거나 유지된다. 이 유형의 장치는 소위 추적 방법(tracking method)과 함께 본질적으로 공지되며 예를 들면 이미지 인식 프로그램(image recognition program)을 가지는 하나 또는 두 비디오 카메라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장치는 적어도 한 제2 뷰어(viewer)의 머리 위치를 검출하기에 적당할 수 있고, 제어 유닛은 제2 뷰어(viewer)의 검출된 머리 위치의 변화의 함수로서 매트릭스 스크린을 활성화하도록 디자인되며 제2 뷰어(viewer)의 한 눈이 상술한 두 영역 중 하나를 떠나는 것을 방지한다면, 두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의 이미지 정보가 바뀌고, 동시에 입체영역(stereozone) 및 상술한 두 영역이 눈 간격만큼 옆으로 이동한다. In order to be able to achieve the precisely described advantag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creen has at least a device for detecting the head position of the first viewer, and the control unit is designed to activate the matrix screen as a function of the detected head position And a stereoscopic half-image with a first stereoscopic half-image and a second stereoscopic half-image positioned next to the stereozone while the head position is changing. Two areas are located or tracked and the first eye of the viewer is located or maintained in one of the two areas described above while the second eye of the viewer is located in the above described stereozone maintain. This type of device is essentially known with a so-called tracking method and can be generated by one or two video cameras, for example with an image recognition program.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apparatus may be suitable for detecting the head position of at least one second viewer, and the control unit may activate the matrix screen as a function of the detected head position change of the second viewer And preventing one eye of the second viewer from leaving one of the two areas described above,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two stereoscopic half-images is changed and at the same time the stereoscopic and stereoscopic images, Both areas move sideways by eye space.

이어서 본 발명의 구체예를 도 1 내지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이미지 정보가 두 다른 뷰어(viewer)에게 디스플레이되는 자동입체(autostereoscopic) 스크린의 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상술한 뷰어 중 한 뷰어가 입체이미지(stereoimage)를 볼 수 있도록, 도 1의 스크린에서 다른 두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의 이미지 정보를 재생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스크린의 픽셀 평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두 뷰어(viewer) 중 한 뷰어가 움직인 후에 변경된 방법으로 활성화되는 동일한 스크린을 도 1에 대응하게 나타낸다.
도 5는 이 뷰어(viewer)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도시된 도일한 스크린을 대응하게 나타낸다.
도 6은 더 큰 거리에서 에러 없이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다르게 활성화된 상태의 동일한 스크린을 대응하게 나타낸다.
도 7은 어떻게 제1 뷰어(viewer)의 측면 이동이 이미지 정보지의 쓰기(writing-in)의 변화에 의해 보상될 수 있는지, 바 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Next, specific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Figure 1 schematically shows a view of an autostereoscopic screen in which image information is displayed to two different viewers.
Fig. 2 schematically shows a method for reproducing image information of two different stereoscopic half-images in the screen of Fig. 1 so that one of the viewers described above can see a stereoscopic image.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ixel plane of the screen of Figure 1;
Fig. 4 shows the same screen corresponding to Fig. 1, which is activated in a modified manner after one of the two viewers has moved.
Fig. 5 correspondingly shows the different screens shown within the extent that this viewer can move freely.
Fig. 6 correspondingly shows the same screen in a different activated state capable of detecting image information displayed without error at larger distances.
Figure 7 illustrates how the lateral movement of the first viewer can be compensated for by a change in the writing-in of the image information sheet, with reference to the bar chart.

도 1에, 자동입체(autostereoscopic) 스크린을 도시하며, 스크린은 많은 서브픽셀(subpixel)을 가지는 매트릭스 스크린(10) 및 상기 매트릭스 스크린(10)의 앞에 배치되고 매트릭스 스크린(10)의 서브픽셀에서 나오는 빛을 다수의 옆으로 어긋나 있는(offset) 시역(viewing zone; 12)의 다양한 영역으로 가이드하는데 적당한 빔 스플리터 그리드(11)를 가진다. 이 유형의 빔 스플리터 그리드(beam splitter grid; 11)는 또한 배리어 그리드(barrier grid)이라고 불릴 수 있다. 매트릭스 스크린(10)은 액정 스크린이며, 도 3에 픽셀 평면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스크린의 서브픽셀(13)이 다수의 선에 분배되고, 주기적인 순서로 각 선에서 (도 3에서 대문자 R, G, B로 표시된) 빨강, 녹색 및 파란 서브픽셀(13)이 번갈아 나타난다. 빔 스플리터 그리드(11)는 슬롯 그리드(slot grid) 또는 실린더 렌즈 그리드(cylinder lens grid)로서 디자인되며, 빔 스플리터 그리드(11)의 슬롯 또는 실린더 렌즈는 수직선에 약 20° 경사져 있다. 마지막으로, 스크린은 매트릭스 스크린(10)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프로그래밍 기술에 의해 디자인되고 다양한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의 이미지 정보의 함수로서 매트릭스 스크린(10)의 서브픽셀(13)을 활성화할 수 있는 제어 유닛(14)을 가진다. Figure 1 shows an autostereoscopic screen in which the screen comprises a matrix screen 10 with a number of subpixels and a plurality of subpixels arranged in front of the matrix screen 10 and coming out of the subpixels of the matrix screen 10. [ And a beam splitter grid 11 suitable for guiding light to various areas of a plurality of offset viewing zones 12. This type of beam splitter grid 11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barrier grid. The matrix screen 10 is a liquid crystal screen, the cross-section of a pixel plane is shown in Fig. 3, the subpixels 13 of the screen are distributed over a plurality of lines, and in each line (periodic R, G, and B) red, green, and blue subpixels 13 alternately. The beam splitter grid 11 is designed as a slot grid or cylinder lens grid and the slot or cylinder lens of the beam splitter grid 11 is inclined at about 20 degrees to the vertical line. Finally, the screen is designed by a programming technique to activate the matrix screen 10 and to activate the sub-pixels 13 of the matrix screen 10 as a function of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various stereoscopic half-images And a control unit 14 that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현재 관심사의 초점이 아닌 한 작동 모드에서, 스크린이 주기적인 순서로 매트릭스 스크린(10)의 서브픽셀(13)에 9개의 다른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의 이미지 정보가 재생되어,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 중 하나가 각각 옆으로 어긋나 있는(offset) 시역(viewing zone; 12)에서 보이는 다자-스크린(multiperson screen)으로 작동될 수 있다. 시역(viewing zone; 12)이 최대 너비를 가지는 평면(15)에서, 9개의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가 서로에 대하여 보완되는 방식으로 적당히 선택되는 경우, 몇몇 사람이 동시에 입체이미지(stereoimage)를 자동 입체적으로(auto stereoscopically) 감지할 수 있다. In the operating mode, which is not the focus of the current interest, the image information of nine different stereoscopic half-images is reproduced in the subpixel 13 of the matrix screen 10 in a periodic sequence of screens, One of the stereoscopic half-images can be operated as a multiperson screen at a viewing zone 12 offset from each other. In a plane 15 where the viewing zone 12 has a maximum width, if nine stereoscopic half-images are appropriately selected in a manner complementary to each other, stereoimage) can be auto stereoscopically detected.

동시에 인지할 수 있고 함께 입체이미지(stereoimage)를 생성하는 제1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 및 제2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가 스크린에서 재생되는 방법으로, 자동입체 스크린에 이미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다른 방법이 여기에 기술되며, 제어 유닛(14)은 제1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의 이미지 점이 제2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의 이미지 점보다 많은 서브픽셀(13)에서 재생되도록 그리고, 실제로 제 1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가 옆으로 어긋나 있고(offset) 각 연속하는 두 영역(16)에서 보이고, 제2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가 상술한 두 영역(16) 사이에 위치하고 각각의 이들 두 영역(16)보다 작은 입체영역(stereozone; 17)에서 보이도록 프로그래밍 기술에 의해 디자인된다. 그로 인하여 제어 유닛(14)은 스크린이 방금 기술된 방식으로 제1 작동 모드에서 작동될 수 있고, 반면에 다자-스크린(multiperson screen)으로서 이전에 설명한 방식으로 제2 작동 모드로 작동하는 수 있도록 디자인된다. In a method in which a first stereoscopic half-image and a second stereoscopic half-image, which can be recognized simultaneously and together generate a stereimage, are reproduced on a screen, Another method of displaying image information in a stereoscopic half-image is described herein, and the control unit 14 determines whether the image point of the first stereoscopic half-image is an image point of the second stereoscopic half- Pixels are reproduced in more subpixels 13 and indeed the first half-image is laterally offset and seen in each successive two regions 16, and the second half- is designed by a programming technique such that a stereoscopic half-image is located between the two regions 16 described above and is visible in a stereozone 17 that is smaller than each of these two regions 16. Thereby, the control unit 14 can be designed so that the screen can be operated in a first operating mode in the manner just described, while in a second operating mode in a manner previously described as a multiperson screen do.

도 1에서 검출될 수 있는 두 영역(16) 중 한 영역은 다른 영역(16)에서와 동일한 이미지 점이 보이고 빔 스플리터 그리드(11)의 인접한 슬롯 또는 렌즈를 통해서 각각 보일 수 있는 인접한 렌즈 영역에 관한 것이다. 또한, 더 옆으로 어긋나 있고(offset) 영역(16)에서와 같이 제1 반-이미지가 보일 수 있는 다른 영역이 있을 수 있고 - 영역(16) 너머의 다른 추가 영역, 즉 입체영역(17)에 인접한 렌즈 영역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선택된, 두 영역 및 그 사이에 위치한 하나의 입체영역(stereozone)의 구성은 대응하는 특성의 부가적인 다른 영역이 존재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One of the two regions 16 that can be detected in Figure 1 relates to an adjacent lens region in which the same image point as in the other region 16 is seen and which can be seen through an adjacent slot or lens respectively of the beam splitter grid 11 . There may also be other regions where the first half-image can be seen, such as in the offset region 16, and other additional regions beyond the region 16, i.e., the three-dimensional region 17, There may be an adjacent lens region. The construction of two regions and one stereozone located therebetween, selected herein,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f additional other regions of corresponding properties.

도 1에 제1 뷰어(18) 및 제2 뷰어(19)가 도시되어 있으며, 제1 뷰어(18)의 오른쪽 눈이 영역(16) 중 하나에 위치하고 뷰어(18)의 왼쪽 눈이 입체영역(17)에 위치하도록 제1 뷰어(18)의 머리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영역(16)에서 검출될 수 있는 제1 반-이미지가 오른쪽 반-이미지로, 입체영역(17)에서 검출될 수 있는 제2 반-이미지가 왼쪽 반-이미지로 선택되는 결과, 제1 뷰어(18)는 두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로 구성된 입체이미지(stereoimage)를 자동 입체적으로(auto stereoscopically) 감지할 수 있다. 제2 뷰어(19)의 왼쪽 눈 및 오른쪽 눈이 둘 다 영역(16) 중 하나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2 뷰어(19)는 입체이미지(stereoimage)를 볼 수는 없지만 2차원 이미지로서, 오른쪽 반-이미지의 경우, 두 반-이미지 중 하나의 이미지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뷰어(18)가 왼쪽 눈으로 왼쪽 반-이미지를 검출할 수 있도록 입체영역(17)이 정확하고 크게 선택된 결과, 품질이 좋은 적어도 하나의 모노이미지(monoimage)가 함께 검출될 수 있는 영역(16)은 가능한 넓은 표면 영역을 포함한다. 1 shows a first viewer 18 and a second viewer 19. The first viewer 18 is located in one of the regions 16 and the left eye of the viewer 18 is located in a three- 17 of the first viewer 18. The first viewer 18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viewer 18 is located. As a result that the first half-image which can be detected in the region 16 is selected as the right half-image and the second half-image which can be detected in the three-dimensional region 17 is selected as the left half-image, 18 can auto stereoscopically sense a stereo image composed of two stereoscopic half-images. Because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second viewer 19 are both located in one of the regions 16, the second viewer 19 can not see the stereoimage, but as a two-dimensional image, In the case of an image, it is possible to detect image information of one of the two half-images. As a result of the accurate and large selection of the three-dimensional area 17 so that the first viewer 18 can detect the left half-image with the left eye, at least one monoimage with good quality can be detected together 16 include as large a surface area as possible.

도 2에서, 어떻게 제1 뷰어(18)의 두 눈(20)이 두 영역(16) 중 한 영역 또는 입체영역(17)에 위치하게 되는지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한다. 또한 도 1 및 3에서, 스크린의 9개의 이미지 채널(1~9)이 특징화되며, 다자-스크린(multiperson screen)으로서 스크린이 작동하는 동안 이미지 채널은 9개의 다른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 또는 뷰에 대응한다. 도 3에서, 이 9개의 이미지 채널이 매트릭스 스크린(10)의 다른 서브픽셀(13)에 의해 형성되는지 알 수 있다. 그로 인하여 각 이미지 점은 3개의 선에 걸쳐 있고, 같은 수의, 빨강, 녹색 및 파란 서브픽셀(13)이 각 이미지 점을 디스플레이하기에 적당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3은 또한 영역(16) 및 입체영역(17)에 두 반-이미지를 분배하기 위해 어떻게 서브픽셀(13)이 여기서 기술된 작동 모드로 활성화되는지 설명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매트릭스 스크린(10)의 각 선에서, 각각 제1 반-입체 이미지의 이미지 점 중 하나를 재생하는 인접한 서브픽셀(13)의 그룹(21)이, 적어도 하나의 빈(blanked) 서브픽셀(22)에 의해 거기서부터 분리되는 직접 인접한 서브픽셀(subpixel) 또는 제2 반-입체이미지의 이미지 점 중 하나를 각각 재생하는 인접한 서브픽셀의 작은 그룹(23)과 번갈아 나타난다. 그룹(23)처럼 각각 매트릭스 스크린(10)의 3 선에 걸쳐 있는 그룹(21)은 각 선에서 도시된 단면에서 6개의 서브픽셀(13)을 각각 포함하며, 반면에 작은 그룹(23)은 여기서 각 선에 단지 두 서브픽셀(13)만 가진다. 이미지 채널(1~4) 및 이미지 채널(8, 9)은 제1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의 이미지 정보에 의해 채워져 있고, 반면 이미지 채널(5)은 비어 있고, 이미지 채널(6, 7)은 제2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의 이미지 정보에 의해 채워져 있도록, 여기에 생성된다. 2 schematically illustrates how the two eyes 20 of the first viewer 18 are located in one of the two regions 16 or in the three-dimensional region 17. do. Also in Figures 1 and 3, the nine image channels 1-9 of the screen are characterized and while the screen operates as a multiperson screen, the image channels are displayed in nine different stereoscopic half- image or view. In FIG. 3, it can be seen that these nine image channels are formed by the other subpixels 13 of the matrix screen 10. Thereby, each image point spans three lines, and the same number of red, green, and blue subpixels 13 can be used to display each image point. Figures 1-3 further illustrate how the subpixel 13 is activated in the operating mode described herein to distribute the two half-images to the region 16 and to the solid region 17. For this purpose, in each line of the matrix screen 10, a group 21 of adjacent subpixels 13, each reproducing one of the image points of the first semi-stereoscopic image, is divided into at least one blanked sub- Alternating with a small group 23 of adjacent subpixels each reproducing one of the directly adjacent subpixel or the image point of the second semi-stereoscopic image separated by the pixel 22 therefrom. A group 21 that spans three lines of the matrix screen 10 as each group 23 comprises six subpixels 13 in each of the cross-sections shown in each line, while a small group 23 contains Only two subpixels 13 are present in each line. The image channels 1 to 4 and the image channels 8 and 9 are filled by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first stereoscopic half-image while the image channels 5 are empty and the image channels 6 , 7 are generated here so that they are filled by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second stereoscopic half-image.

스크린이 기술된 방법으로 하나의 부분적인 영역 안에서만 활성화되고, 반면 이 부분적인 영역 밖에서, 모노이미지의 영상 정보만 쓰여져 있고, 각 이미지 점은 선당 9개의 서브픽셀(subpixel)을 채울 수 있다. 그러면 제1 뷰어(viewer)는 부분적인 영역에서 입체이미지만 감지할 수 있고, 대조적으로 이 영역 밖에서는 모노이미지(monoimage)만 감지할 수 있다. The screen is activated in only one partial area in the described manner, whereas outside this partial area only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mono image is written, and each image point can fill nine subpixels per line. The first viewer can then detect only the stereoscopic image in the partial area, and, in contrast, only the monoimage in this area.

기술한 스크린은 또한 도 1에서만 개략적으로 도시한, 제1 뷰어(18)의 머리 위치 및 제2 뷰어(19)의 머리 위치를 검출하는 장치(24)를 가진다. 예를 들면, 이 장치(24)는 대응하는 이미지 인식 프로그램을 가진 두 비디오 카메라로 생성될 수 있다. 장치(24)로, 특히 제2 뷰어(19)의 움직임이 지금 검출되고 제2 뷰어(19)의 눈이 두 영역(16) 중 하나를 떠나는 것이 방지된다면, 두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의 이미지 정보가 바뀌고, 동시에, 입체영역(17) 및 두 영역(16)이 약 65 mm의 눈 간격만큼 옆으로 이동되도록 매트릭스 스크린(10)의 활성화를 검출된 움직임의 함수로 제어 유닛(14)에 의해 바뀐다. 이것은 도 1에 대응하는 도 4에 도시되어 있으나, 도 4에서는 매트릭스 스크린(10)의 활성화가 변하지 않게, 제2 뷰어의 두 눈 전부에서 더 이상 제1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에 의해 제공된 2차원 이미지를 완전히 볼 수 없도록, 도 1의 상황에 비하여 제2 뷰어(19)의 머리 위치가 바뀌었다. 기술된 방법으로 매트릭스 스크린(10)의 활성화를 바꾸어서, 제1 및 제2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 가 바뀌었기 때문에, 지금, 왼쪽 반-이미지에 관련된 모노이미지(monoimage)를 제2 뷰어가 항상 볼 수 있도록 제2 뷰어(19)의 두 눈이 두 영역(16) 중 한 영역에 여전히 위치하도록 두 영역(16)이 이동된다. 제1 뷰어(18)의 한 눈이 입체영역(17)에 위치하고 다른 눈이 영역(16) 중 한 영역에 위치하도록 영역(16) 및 입체영역(17)을 정확하게 이동한다. 이전에, 도 1에 도시한 상황에서, 제1 뷰어(18)의 왼쪽 눈이 입체영역(17)에 및 제1 뷰어(18)의 오른쪽 눈이 영역(16) 중 한 영역에 위치하였으나, 지금은 제1 뷰어(18)의 오른쪽 눈이 입체영역(17)에 및 제1 뷰어(18)의 왼쪽 눈이 영역(16) 중 한 영역에 위치한다. 그러나 두 반-이미지를 바꿔서, 제1 뷰어(18)는 여전히 동일한 정확하게 재생된 입체이미지(stereoimage)를 본다. 도 1 및 4에서 예로 도시한 이미지 점에 있어서, 이미지 채널(1~4, 8, 9)이 이제 왼쪽 반-이미지에 관련된, 제1 반-입체이미지를 재생하고, 이미지 채널(5)은 여전히 비어 있고, 이미지 채널(6, 7)은 이제 오른쪽 반-이미지에 관련된 제2 반-입체이미지를 재생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에 의해 매트릭스 스크린의 활성화를 바꾸는 것이 구별된다.The described screen also has an apparatus 24 for detecting the head position of the first viewer 18 and the head position of the second viewer 19, schematically shown only in Fig. For example, the device 24 may be created with two video cameras with corresponding image recognition programs. If the movement of the second viewer 19 is now detected and the eyes of the second viewer 19 are prevented from leaving one of the two regions 16, then the two stereoscopic half-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matrix screen 10 is changed and at the same time the activation of the matrix screen 10 such that the three-dimensional region 17 and the two regions 16 are shifted sideways by an eye gap of about 65 mm, 14). This is illustrated in FIG. 4, which corresponds to FIG. 1, but in FIG. 4, the activation of the matrix screen 10 remains unchanged, and the second viewer is no longer in a stereoscopic half-image The head position of the second viewer 19 is changed in comparison with the situation of FIG. 1 so that the two-dimensional image provided by the second viewer 19 can not be completely viewed. Now that the first and second stereoscopic half-images have changed, by changing the activation of the matrix screen 10 in the manner described, the monoimage associated with the left half- The two regions 16 are moved such that the two eyes of the second viewer 19 are still located in one of the two regions 16 so that the viewer can always view. The region 16 and the three-dimensional region 17 are accurately moved so that one eye of the first viewer 18 is located in the three-dimensional region 17 and another eye is located in one of the regions 16. [ 1, the left eye of the first viewer 18 is located in the three-dimensional area 17 and the right eye of the first viewer 18 is located in one of the areas 16, but now The right eye of the first viewer 18 is located in the three-dimensional region 17 and the left eye of the first viewer 18 is located in one of the regions 16. However, by replacing the two half-images, the first viewer 18 still sees the same correctly reproduced stereoimage. Image channels 1 to 4, 8 and 9 now reproduce the first half-image associated with the left half-image, and the image channel 5 still reproduces the first half- And the image channels 6 and 7 are now distinguished from one another by changing the activation of the matrix screen by indicating the reproduction of the second half-image associated with the right half-image.

또한 동일한 특징이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로 제공되는 도 5에, 가장자리가 점선으로 표시된 두 영역(16')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 영역에서 기술된 측정 때문에, 매트릭스 스크린(10)의 활성화를 기술된 방식으로 변경해야 하도록 제2 뷰어(19)가 이동하면, 오른쪽 및 왼쪽 반-이미지 사이를 거의 감지할 수 없는 방식으로 점프(jump)할 수 있는, 뷰에서 모노이미지(monoimage)를 상실하지 않게 제2 뷰어(19)는 비교적 넓은 한계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5, where the same features are provid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different figures, there are shown two areas 16 'whose edges are indicated by dashed lines, and because of the measurements described in this area, the activation of the matrix screen 10 is described When the second viewer 19 is moved so as to change it in such a manner that it can jump in a way that can hardly be perceived between the right and left half-images, it does not lose the monoimage in the view The second viewer 19 can freely move to a relatively wide limit.

상술한 것처럼 스크린에 두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를 표시하는 것에서, 제어 유닛(14)에 의해 측면 방향으로 퍼져 있는, 매트릭스 스크린(10)에 쓰이며, 두 영역(16) 및 입체영역(17)이 각각 명목상의 시거리에 의해 스크린으로부터 간격을 두는 평면(15)보다 스크린에 가까운 시평면(viewing plane; 25)에서 최대 폭을 가지도록 거기에서 두 반-이미지의 이미지 정보가 서브픽셀(13)로 분배되며, 스크린이 다자-스크린(multiperson screen)으로 종래의 방식으로 작동될 때 입체이미지가 감지될 수 있다. 서브픽셀(13)이 각 선에서 주기적으로 이미지 채널(9)에 분배되고 각각의 이들 이미지 채널(9)이 9개의 다른 뷰 중에서 정확하게 하나에 일치하도록 스크린이 작동하고 다자-스크린(multiperson screen)으로 활성화되는 작동 방식과 다르게, (도 3의 그룹(21)에 대응하는) 다수의 서브픽셀에서 각각 형성된 제1 반-이미지의 인접 이미지 점의 영역 중점(area centre point) 사이의 평균 간격 및 (도 3에서 그룹(23)에 대응하는) 다수의 서브픽셀(13)에서 마찬가지로 각각 형성된 제2 반-이미지의 인접 이미지 점의 영역 중점(area centre point) 사이의 평균 간격이 인접 서브픽셀(13) 사이의 간격의 정수배에서 각각 약간 빗겨나가도록 두 반-이미지가, 여기서 기술된 작동 모드로, 서브픽셀(13)을 분배한다. 이미지 정보가 기술된 방식으로 퍼지지 않으면 두 영역(16) 및 입체영역(17)이 위치하는 곳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면 영역(16) 및 입체영역(17) 모두는 시역(viewing zone; 12)이 최대 너비를 가지는 평면(15)에서 최대 너비를 가지고, 또한 스크린이 다자-스크린(multiperson screen)으로 종래의 방식으로 작동하는 경우에 다양한 뷰를 볼 수 있다. 당연히, 두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의 표시 이미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기술한 방법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 중 하나에 의해 형성된 입체이미지(stereoimage) 또는 모노이미지(monoimage)를 특히 평면(15)에서 볼 수 있도록 정확하게 나타내지 않고 생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매트릭스 스크린(10)의 대응하는 활성화 또는 서브픽셀(13)의 이미지 정보의 대응하는 분배에 기인하여, 적어도 제1 뷰어(18)가 입체이미지(stereoimage)를 감지할 수 있도록, 입체영역(17) 및 두 영역(16) 중 적어도 한 영역 사이의 측면 간격이 평균 눈 간격 이하, 바람직하게는 65㎜ 이하인 것을 고려해야 한다. 일 구체예의 스크린에서, 시역(12)의 너비에 대응하는 평면(15)에서, 도 6에 도시된, 이미지 채널의 폭(k)은 약 65㎜의 평균 눈 간격만큼 크고, 또한 다른 구체예에서는 훨씬 작을 수도 있다. 반대로, K가 자릿수(order of magnitude)에서 평균 눈 간격과 일치한다면, 평면(15)에서 뷰를 위한 활성화는 예를 들면 도시된 이미지 채널(5)이 비여 있지 않고 두 영역(16)이 입체영역(17)까지 걸쳐 있도록 제1 반-이미지의 이미지 정보로 채워져 있도록 적용될 수 있다. 도 1 및 4의 상황과 비교하면, 또한 어떻게 제1 뷰어(18)의 추적이 옆 방향으로뿐만 아니라 시거리에서 상당한 변화가 실행될 수 있는지 보여준다. In the display of two stereoscopic half-images on the screen as described above , is used in the matrix screen 10, spreading laterally by the control unit 14, and the two areas 16 and the three- Image information of the two half-images is projected onto the sub-pixel (s) so that they have a maximum width at a viewing plane 25 closer to the screen than a plane 15 spaced from the screen by nominal viewing distance, 13) and stereoscopic images can be sensed when the screen is operated in a conventional manner with a multiperson screen. The screen is operated such that the subpixels 13 are periodically distributed to the image channel 9 at each line and each of these image channels 9 corresponds to exactly one of the nine different views and is displayed as a multiperson screen Unlike the manner in which it is activated, the average spacing between the area center points of adjacent image points of the first half-image formed in each of a number of subpixels (corresponding to group 21 of FIG. 3) The average spacing between the area center points of the adjacent image points of the second half-image which are likewise form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ubpixels 13 (corresponding to group 3 to group 23) Images are split slightly at an integer multiple of the spacing of the sub-pixels 13, in the operating mode described herein. Where the two regions 16 and the three-dimensional region 17 are located is shown in Fig. 6 unless the image information is spread in the described manner. Both the region 16 and the steric region 17 now have a maximum width in the plane 15 in which the viewing zone 12 has the maximum width and also the screen can be moved in a conventional manner to a multiperson screen If you are working, you can see various views. Of course, a described method for displaying display image information of two stereoscopic half-images is to use a stereoscopic image formed by one of the stereoscopic half-images (as shown in Fig. 6 stereoimage, or monoimage, particularly not in the plane 15 viewable. However, in this case, at least in the first viewer 18, due to the corresponding activation of the matrix screen 10 or the corresponding distribution of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subpixel 13, so that the stereoscopic image can be sensed, It is to be considered that the lateral spacing between at least one of the three-dimensional region 17 and the two regions 16 is not more than the average eye space, preferably not more than 65 mm.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screen, in the plane 15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field of view 12, the width k of the image channel shown in Fig. 6 is as large as the average eye spacing of about 65 mm, It may be much smaller. Conversely, if K matches the average eye spacing in order of magnitude, the activation for the view in the plane 15 is, for example, the case where the illustrated image channel 5 is not empty and the two regions 16 are in the three- Image information of the first half-image so as to cover the first half-image. Compared to the situation of Figures 1 and 4, it also shows how the tracking of the first viewer 18 can be carried out in the lateral direction as well as at the viewing distance.

기술된 방법에서, 매트릭스 스크린(10)의 활성화는 머리가 움직이는 동안 입체영역(17) 및 이 입체영역(17) 옆에 위치한 두 영역(16)을 위치하고 추적하도록 장치(24)로 제2 뷰어(19)의 머리 위치 등을 검출하는 제1 뷰어(18)의 머리 위치 또는 머리 움직임의 함수로, 최종적으로 조정되거나 바뀌어서, 뷰어(18)의 눈(20) 중 정확하게 하나가 입체영역(17)에 위치하고 또한 뷰어(18)의 눈(20) 중 다른 하나가 영역(16) 중 하나에 위치하고 또한 머리 위치가 변하는 동안 항상 유지된다. 이것은 그룹(21) 또는 그룹(23) 중 하나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각 서브픽셀(13)이 활성화되는 세기가 감소할 때, 두 반-이미지의 이미지 점을 형성하는 서브픽셀(13)의 그룹(21) 및 그룹(23)이 미세하게 단계화되거나 또는 준-연속적으로 옆으로 이동되는 것에서, 반면에 이전에 비어 있던 서브픽셀(13) 또는 감소되는 세기로 활성화되는 서브픽셀이 대응하게 높은 세기로 동일한 그룹(21) 또는 그룹(23)의 서로 반대에 위치한 가장자리가 활성화는 것에 의해 일어난다. The activation of the matrix screen 10 allows the device 24 to position and track the stereoscopic region 17 and two regions 16 located next to the stereoscopic region 17 while the head is moving 19 or the head position of the first viewer 18 that detects the head position of the viewer 18 or the head position of the viewer 18 And the other one of the eyes 20 of the viewer 18 is located in one of the regions 16 and is always maintained while the head position is changed. This means that when the intensity at which each subpixel 13 located at the edge of one of the group 21 or the group 23 is activated decreases the group 21 of subpixels 13 forming the image points of the two half- ) And the group 23 are finely stepped or semi-continuously shifted sideways, whereas in the previously empty subpixel 13 or the subpixel activated by the reduced intensity are correspondingly equal in intensity The opposite edges of group 21 or group 23 are caused by activation.

도 7에서, 그룹(21, 23)의 서브픽셀(13)과 각각 인접한 서브픽셀(13) 사이에서 어떻게 세기가 재분배되는지를 설명한다. 도 7의 왼쪽 반에서 서로 배치된 5개의 이미지가 어떻게 그룹(21, 23) 및 그 결과 표시된 이미지 점이 두 인접한 서브픽셀(13)의 간격에 대응하는 양(d)만큼 왼쪽으로 이동될 수 있는지 나타내며, 반면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도 7의 오른쪽 반에서, 그룹(21, 23)이 대응하는 양(d)만큼 실제로 각각 4 단계로 오른쪽으로 이동될 수 있는지 나타낸다. 매트릭스 스크린(10)의 한 선에서 설명된 서브픽셀(13)이 활성화되는 세기 또는 밝기가 바-챠트 도면에서 바 높이로서 각각 표시된다. 이렇게 설명된 세기 또는 밝기 값은 그룹(21) 또는 그룹(23)에 의해 재생되는 각각 이미지 점에 대한 이미지 정보에서 생성되는 컬러 값 및 밝기 값으로 곱한다. 완전히 유사한 방법에서, 또한 이미지 정보의 상술한 퍼짐은 옆 방향에서 선의 한 말단에서 다른 말단까지 각 선에서의 서브픽셀(13)에 대하여, 이미지 채널이 그룹(21) 또는 그룹(23)으로 개별 서브픽셀(13)을 유사하게 미세하게 단계화된 방식으로 수신하는 옆 방향으로 편성될 수 있고, 그룹(21) 또는 그룹(23) 및 이어서 인접하는 그룹(21) 또는 그룹(23)이 옆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7, how the intensity is redistributed between the subpixels 13 of the groups 21 and 23 and the respective subpixels 13 will be described. The five images arranged in the left half of Figure 7 indicate how groups 21 and 23 and the resulting image point can be shifted to the left by an amount d corresponding to the spacing of two adjacent subpixels 13 , Whereas in a corresponding manner, in the right half of Figure 7, the group 21, 23 shows that it can actually be shifted to the right by four steps, respectively, by the corresponding amount d. The intensity or brightness at which the subpixel 13 described in one line of the matrix screen 10 is activated is displayed as a bar height in the bar charts, respectively. The intensity or brightness values described above are multiplied by a color value and a brightness value generated in the image information for each image point reproduced by the group 21 or the group 23. In a completely analogous manner, the above-mentioned spread of image information is also achieved in such a way that, for subpixels 13 at each line from one end of the line to the other end of the line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pixels 21 can be grouped in a lateral direction receiving the pixels 13 in a similarly finely staggered manner and the group 21 or group 23 and subsequently the adjacent group 21 or group 23 are moved laterally .

구체화에서 스크린에 실행할 수 있는 기술한 방법에 의하여, 이미지를 방해되지 않게 보는 것은 비교적 많은 뷰어에 있어 가능하며, 적어도 한 뷰어는 입체이미지(stereoimage)를 볼 수 있다. 사실, 다른 뷰어(viewer)는 모노이미지만 보지만, 적어도 방해되지 않게, 서로 보완되는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가 표시되는 특히 소위 유사(pseudo) 입체영역(stereozone)이 바뀌기는 것을 피한다. 도 7에 관하여 기술된 연동 패턴(interlocking pattern)에 의해 정밀하게 단계화된 방법으로 뷰어(viewer)를 추적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평면(15)과 스크린 사이의 명목상 시거리보다 작은 원하는 시간격(viewing spacing)이 조정되고 반대 방향으로 왼쪽 및 오른쪽 이미지 채널을 이동시켜 유지시킬 수 있다. 모든 경우, 가능한 많은 인접한 모노채널(monochannel)을 동일한 이미지 콘텐츠가 차지한다. By way of a description of what can be done on the screen in the embodiment, it is possible for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viewers to see the image unobstructed, and at least one viewer can see a stereoscopic image. In fact, other viewers only see mono images, but avoid changing the so-called pseudo stereozone in which stereoscopic half-images complementary to each other are displayed, at least in unimpeded . The viewer can be tracked in a precisely staged manner by the interlocking pattern described with respect to FIG. The desired viewing spacing, which is generally less than the nominal viewing distance between the plane 15 and the screen, can be adjusted and the left and right image channels can be moved and maintai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all cases, the same image content takes up as many contiguous monochannels as possible.

그 결과, 입체이미지(stereoimage)를 감지할 수 있는 추적 영역의 옆의 오른쪽 및 왼쪽으로, 주위에 서 있는 사람이 방해되지 않은 이미지를 감지할 수 있는 넓은 모노영역(monozone)(영역(16))이 걸쳐 있다. 입체영역(17) 주위의 영역에 의해 그리고 옆의 모노영역(monozone)에 의해 생성된 연속 시역(viewing region)은 다자-스크린(multiperson screen)으로 스크린의 종래의 작동으로, 입체이미지(stereoimage)가 감지될 수 있는 영역(도 1에 시역(12)으로 생성된 상술한 영역)보다 더 큰 영역이다. 그로 인하여 입체영역(17) 및 영역(16)의 추적가능성(trackability) 때문에 입체이미지(stereoimage)를 감지하는 중앙 뷰어(18)를 위한 결과는 편안한 움직임 영역이다. 그로 인하여 추적은 영역(16) 내에서 (즉, 모노영역(monozones) 내에서) 보이지 않고 그러므로 나머지 뷰어(viewer) (특히 뷰어(19))를 혼란시키지 않는다. 반대로 제2 뷰어(19)의 움직임 때문에 스크린의 활성화가 바뀔 때 제1 뷰어(18)는 그 혼란을 알아챌 수 없다. As a result, a wide mono zone (area 16), in which a person standing on the periphery can perceive an unimpeded image, to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tracking area capable of sensing a stereo image, . The continuous viewing area created by the area around the stereoscopic area 17 and by the side monozone is a conventional operation of the screen with a multiperson screen, (The above-described area generated by the view area 12 in Fig. 1). The result for the central viewer 18, which senses stereoimage due to the trackability of the stereo region 17 and the region 16, is therefore a comfortable motion region. So that the tracking is not visible within the region 16 (i.e. within the monozones) and therefore does not disrupt the rest of the viewer (especially the viewer 19). Conversely, when the activation of the screen is changed due to the movement of the second viewer 19, the first viewer 18 can not notice the confusion.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내시경(endoscopic) OP 기술, 원격제어된 매니풀레이터 기술(remote-controlled manipulator) (예를 들면, 그립퍼(gripper)), 입체교육 및 훈련 시스템, 키오스크(kiosk) 시스템 또는 컴퓨터 게임에 있어서의 3D TV 컨트롤 모니터 또는 멀티미디어 3D 모니터 등의 완전히 다른 영역에 적용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example, with endoscopic OP techniques, remote-controlled manipulators (e.g., gripper), stereoscopic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s, kiosk systems, And can be applied to completely different areas such as a 3D TV control monitor or a multimedia 3D monitor in a game.

Claims (15)

빔 스플리터 그리드(11)를 가지는 매트릭스 스크린(10)으로 형성되고, 다수의 옆으로 어긋나 있는(offset) 시역(viewing zone; 12) 중 적어도 하나에서 각각 보이는 둘 이상의 다수의 뷰(view)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에 적당한 자동입체 스크린(autostereoscopic screen)에 이미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으로서, 입체이미지를 동시에 감지할 수 있고 함께 생성되는, 제1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 및 제2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가 상기 스크린에 재생되며,
상기 제1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가 옆으로 어긋나 있고 각각 연속하는 두 영역(16)에서 보이고, 상기 제2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가 상기 두 영역(16)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각각의 두 영역(16)보다 작은 입체영역(17)에서 보이도록 반-이미지가 상기 스크린에 재생되며,
상기 제1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의 이미지 점이 상기 제2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의 이미지 점보다 상기 스크린의 많은 서브픽셀(13)에서 각각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 plurality of views formed by a matrix screen 10 having a beam splitter grid 11 and viewed in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horizontally offset viewing zones 12, CLAIMS What is claimed is: 1. A method of displaying image information on an autostereoscopic screen suitable for: displaying a first stereoscopic half-image and a second semi-stereoscopic image, a stereoscopic half-image is reproduced on the screen,
Wherein the first stereoscopic half-image is laterally offset and is seen in two consecutive regions (16), and wherein the second stereoscopic half-image is between two regions (16) Image is reproduced on the screen so that it is visible in the three-dimensional area (17), which is located in a smaller area (16) than the respective two areas (16)
Characterized in that the image points of the first half-image are reproduced in a number of sub-pixels (13) of the screen, respectively, than the image points of the second half-image (stereoscopic half-image) Wa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 스크린(10)의 각각의 다수의 선에서, 상기 제1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의 이미지 점 중 하나를 재생하기 위해 각각 활성화되는 각각의 인접 서브픽셀(13)의 그룹(21)이 직접 인접한 서브픽셀(13) 또는 적어도 하나의 비어있는 서브픽셀(22)에 의해 거기서 분리되는 서브픽셀(13)과 번갈아 나타나거나 또는 상기 제2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의 이미지 점 중 하나를 재생하기 위해 각각 활성화되는 각각의 인접 서브픽셀(13)의 작은 그룹(23)과 번갈아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each of a plurality of lines of the matrix screen 10 a group of each adjacent subpixel 13 each activated to reproduce one of the image points of the first stereoscopic half- 21 alternate with subpixels 13 that are separated therefrom by directly adjacent subpixels 13 or by at least one empty subpixel 22 or alternately with a second subpixel 13 of a second stereoscopic half- Pixels (23) of each adjacent subpixel (13), each activated to reproduce one of the image poin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는 상기 매트릭스 스크린의 부분 영역만 커버하며, 상기 부분 영역 이외에서의 상기 제1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의 이미지 점은 상기 부분 영역 안에서보다도 더 많은 서브픽셀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semi-stereoscopic half-image covers only a partial area of the matrix screen, and wherein an image point of the first stereoscopic half-image other than the partial area is located in the partial area Pixels are formed by more sub-pixels than in the sub-pixe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반-이미지의 이미지 정보는 상기 매트릭스 스크린(10)의 서브픽셀(13)에 쓰여지며, 상기 제1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가 완전히 보이는 상기 두 영역(16) 및 상기 제2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가 완전히 보이는 상기 입체영역(17)이 상기 스크린이 다자-스크린(multiperson screen)으로 작동할 때 다수의 둘 이상의 뷰가 보이는 평면(15)보다 상기 스크린에 더 가까운 시평면(viewing plane; 25)에서 최대 너비를 가지도록 옆 방향으로 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mage information of the two semi-images is written to the subpixel 13 of the matrix screen 10 and the two regions 16 in which the first stereoscopic half- 2 The stereoscopic region 17, in which the stereoscopic half-image is completely visible, is more visible on the screen than the plane 15 in which a plurality of two or more views are visible when the screen is operated as a multiperson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aterally expanded so as to have a maximum width at a closer viewing plane (25).
제1항에 있어서,
제1 뷰어(18)의 머리 위치 또는 눈 위치가 검출되고 상기 스크린의 활성화가 검출된 머리 위치 또는 눈 위치의 함수로서 조정 또는 변경되어서 상기 제2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가 보이는 입체영역(17) 및 상기 입체영역(17)의 옆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가 보이는 두 영역(16)이 위치하거나 추적되어 상기 제1 뷰어(18)의 제1 눈(20)이 상기 두 영역(16) 중 하나에 위치 또는 유지되고 상기 제1 뷰어(18)의 제2 눈(20)이 상기 입체영역(17)에 위치 또는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ad position or eye position of the first viewer 18 is detected and the activation of the screen is adjusted or changed as a function of the detected head position or eye position so that the second stereoscopic half- Area 16 adjacent to the region 17 and the stereoscopic region 17 and in which the first stereoscopic half-image is visible is located or tracked so that the first portion of the first viewer 18 Characterized in that the eye (20) is positioned or held in one of the two regions (16) and the second eye (20) of the first viewer (18) is positioned or held in the stereoscopic region (17).
제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명의 제2 뷰어(19)의 머리 위치 또는 눈 위치 또는 머리 움직임 또는 눈 움직임이 검출되고 상기 스크린의 활성화가 상기 검출된 머리 위치 또는 눈 위치 또는 머리 움직임 또는 눈 움직임의 함수로서 변경되어 상기 제2 뷰어(19)의 한 눈이 상기 두 영역(16) 중 하나에서 떠나는 것을 방지한다면 상기 제1 및 제2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의 이미지 정보가 바뀌고, 동시에 상기 입체영역(17) 및 두 영역(16)이 눈 간격만큼 옆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head position or eye position or head movement or eye movement of at least one second viewer 19 is detected and the activation of the screen is changed as a function of the detected head position or eye position or head movement or eye movement, 2 viewer 19 is prevented from leaving one of the two areas 16,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tereoscopic half-images is changed, and at the same time, the stereoscopic areas 17 ) And the two regions (16) are shifted laterally by an eye gap.
적어도 하나의 다수의 옆으로 어긋나 있는(offset) 시역(viewing zone; 12)에서 각각 보이는 둘 이상의 다수의 뷰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에 적당하며, 다수의 서브픽셀(13)을 가지는 매트릭스 스크린(10), 적어도 하나의 상기 시역(12)으로 상기 서브픽셀(13)에서 나오는 빛을 가이드하기에 적당한 빔 스플리터 그리드(11) 및 제1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 및 제2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의 이미지 점의 함수로서 상기 매트릭스 스크린(10)의 상기 서브픽셀(13)을 활성화하는 제어 유닛(14)을 포함하는, 자동입체 스크린(autostereoscopic screen)으로서,
상기 제어 유닛(14)은 적어도 하나의 가능한 작동 모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의 이미지 정보를 상기 서브픽셀(13)로 분배하기 위해 프로그래밍 기술에 의해 디자인되어 상기 제1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의 이미지 점이 상기 제2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의 이미지 점보다 많은 서브픽셀(13)에서 재생되어 상기 제1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가 옆으로 어긋나 있고 각각 연속하는 두 영역(16)에서 보이고, 상기 제2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가 상기 두 영역(16) 사이에 위치하고 각각의 상기 두 영역(16)보다 작은 입체영역(17)에서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입체 스크린.
A matrix screen 10 having multiple subpixels 13 suitable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two or more multiple views respectively visible in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offset viewing zones 12, A beam splitter grid 11 suitable for guiding light from the subpixel 13 to at least one of the viewing zones 12 and a second stereoscopic half- 13. An autostereoscopic screen comprising a control unit (14) for activating said subpixel (13) of said matrix screen (10) as a function of an image point of a stereoscopic half-image,
The control unit 14 is designed by a programming technique to distribute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tereoscopic half-images to the subpixel 13 in at least one possible mode of operation An image point of the first half-image is reproduced in more subpixels (13) than the image point of the second semi-stereoscopic half-image, so that the first half- stereoscopic half-image is laterally shifted and is seen in two consecutive regions 16, and the second stereoscopic half-image is located between the two regions 16, 16. The stereoscopic screen as claimed in claim 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14)은 상기 매트릭스 스크린(10)의 각각의 다수 선에서, 상기 제1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의 이미지 점 중 하나를 각각 재생하는 인접하는 서브픽셀(13)의 각 그룹(21)이 직접 인접하는 서브픽셀(13) 또는 적어도 하나의 비어있는 서브픽셀(22)에 의해 거기서 분리되는 서브픽셀과 번갈아 나타나고 또는 제2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의 이미지 점 중 하나를 각각 재생하는 인접한 서브픽셀(13)의 작은 그룹(23)과 번갈아 나타나도록 적어도 상술한 작동 모드에서 상기 매트릭스 스크린(10)을 활성화하도록 디자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입체 스크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 unit 14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number of adjacent subpixels 13 that reproduce one of the image points of the first stereoscopic half-image, respectively, in each of a plurality of lines of the matrix screen 10 Each group 21 alternates with a subpixel which is separated therefrom by a directly adjacent subpixel 13 or at least one empty subpixel 22 or an image of a second stereoscopic half- Is designed to activate the matrix screen (10) in at least the above-described operating mode so that it alternates with a small group (23) of adjacent subpixels (13) each reproducing one of the point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 스크린(10)은 액정 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입체 스크린.
9. The method of claim 8,
Characterized in that the matrix screen (10) is a liquid crystal scree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빔 스플리터 그리드(11)는 슬롯 그리드(slot grid) 또는 스텝 그리드(stepped grid) 또는 퍼폴레이티드 그리드(perforated grid) 또는 실린더 렌즈 그리드(cylinder lens grid) 또는 구형렌즈 그리드(spherical lens gr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입체 스크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beam splitter grid 11 may be a slot grid or a stepped grid or a perforated grid or a cylinder lens grid or a spherical lens grid Features an autostereoscopic scree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매트릭스 스크린(10)의 상기 서브픽셀(13)로 상술한 작동 모드에서 두 반-이미지의 이미지 점을 쓰고, 상기 제1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가 완전히 보이는 상기 두 영역(16) 및 상기 제2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가 완전히 보이는 상기 입체영역(17)이 스크린이 다자-스크린(multiperson screen)을 형성하는 다른 작동 모드에서, 다수의 둘 이상의 뷰가 보이는 평면(15)보다 스크린에 가까운 시평면(25)에서 최대 너비를 가지도록 디자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입체 스크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 unit writes the image points of the two half-images in the above-mentioned operating mode to the sub-pixel (13) of the matrix screen (10), and the first half- In another mode of operation in which the two regions 16 and the second stereoscopic half-image are completely visible, the screen forms a multiperson screen, a plurality of two or more Is designed to have a maximum width at a viewing plane (25) closer to the screen than a plane (15) in which the view is visibl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픽셀(13)이 다수의 둘 이상의 뷰에 대응하는 다수의 이미지 채널로 주기적으로 각 선에서 분배되고 상술한 다른 작동 모드로 활성화될 수 있고, 상술한 첫 번째 작동 모드에서 서브픽셀(13)이 두 반-이미지로 분배되도록 상기 매트릭스 스크린(10)이 활성화되어 다수의 상기 서브픽셀(13)에서 각각 형성된, 제1 반 이미지의 인접한 이미지 점의 영역 중점(area centre point) 사이의 평균 간격 및 마찬가지로 다수의 상기 서브픽셀(13)에서 각각 형성된, 제2 반-이미지의 인접한 이미지 점의 영역 중점(area centre point) 사이의 평균 간격이 인접한 상기 서브픽셀(13) 사이의 간격의 정수배에서 각각 빗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입체 스크린.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ubpixels 13 are periodically distributed on each line to a plurality of image channel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two or more views and can be activated in the other operation mode described above, The average interval between the area center points of adjacent image points of the first half image formed in the plurality of subpixels 13 by activating the matrix screen 10 to be distributed to the two half- Likewise, the average spacing between the area center points of adjacent image points of the second half-image form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ubpixels 13 deviates from an integer multiple of the spacing between adjacent subpixels 13, Wherein the display screen is a display screen.
제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명의 제1 뷰어(18)의 머리 위치를 검출하는 장치(2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14)은 검출된 머리 위치 또는 머리 움직임의 함수로서 상기 매트릭스 스크린(10)을 활성화하도록 디자인되어서 상기 제2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가 보이는 입체영역(17) 및 상기 입체영역(17)의 옆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가 보이는 두 영역(16)이 머리 위치가 변하는 동안 위치되거나 추적되어 상기 제1 뷰어(18)의 제1 눈(20)이 상기 두 영역(16) 중 하나에 위치하거나 유지되며 상기 제1 뷰어(18)의 제2 눈(20)이 상기 입체영역(17)에 위치하거나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입체 스크린.
9. The method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an apparatus (24) for detecting a head position of at least one first viewer (18), the control unit (14) activating the matrix screen (10) as a function of detected head position or head movement A stereoscopic region 17 which is designed such that a second stereoscopic half-image is visible and a second region which is located next to the stereoscopic region 17 and in which the first stereoscopic half- The first viewer 20 of the first viewer 18 is positioned or maintained in one of the two areas 16 while the second viewer 16 is positioned or tracked while the head position is changing, And the second eye (20) is positioned or held in the stereoscopic region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24)는 적어도 한 명의 제2 뷰어(19)의 머리 위치를 검출하며, 상기 제어 유닛(14)은 상기 제2 뷰어(19)의 검출된 머리 위치의 변화의 함수로서 상기 매트릭스 스크린(10)의 활성화를 변화시키도록 디자인되어 상기 제2 뷰어(19)의 눈이 상기 두 영역(16) 중 하나를 떠나지 않도록 한다면 상기 두 반-입체이미지(stereoscopic half-image)의 이미지 정보를 바꾸고 동시에 상기 입체영역(17) 및 상기 두 영역(16)을 눈 간격만큼 옆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입체 스크린.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device 24 detects the head position of at least one second viewer 19 and the control unit 14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matrix screen 20 as a function of the detected head position change of the second viewer 19 10 so that the eyes of the second viewer 19 do not leave one of the two areas 16,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two stereoscopic half-images can be changed and simultaneously And the three-dimensional area (17) and the two areas (16) are moved laterally by an eye space.
KR1020100090398A 2009-09-15 2010-09-15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formation and autostereoscopic screen KR10165999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41784.2 2009-09-15
DE102009041784.2A DE102009041784B4 (en) 2009-09-15 2009-09-15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formation and autostereoscopic screen
US31007910P 2010-03-03 2010-03-03
US61/310,079 2010-03-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123A KR20110100123A (en) 2011-09-09
KR101659998B1 true KR101659998B1 (en) 2016-09-27

Family

ID=43603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398A KR101659998B1 (en) 2009-09-15 2010-09-15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formation and autostereoscopic screen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59998B1 (en)
DE (1) DE102009041784B4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20648B4 (en) 2017-09-07 2023-08-10 OSRAM Opto Semiconductors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3D display element, 3D display system, method of operating a 3D display element and method of operating a 3D display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15018A1 (en) * 2005-03-28 2006-09-28 Rieko Fukushima Image display apparatus
US20080055547A1 (en) * 2003-03-28 2008-03-06 Kabushiki Kaisha Toshiba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method
US20080117233A1 (en) 2005-01-26 2008-05-22 Jonathan Mather Multiple-Viewer Multiple-View Display And Display Controll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623682D0 (en) * 1996-11-14 1997-01-08 Philips Electronics Nv Auto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DE102006031799B3 (en) * 2006-07-06 2008-01-31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Method for autostereoscopic display of image information with adaptation to changes in the head position of the view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55547A1 (en) * 2003-03-28 2008-03-06 Kabushiki Kaisha Toshiba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method
US20080117233A1 (en) 2005-01-26 2008-05-22 Jonathan Mather Multiple-Viewer Multiple-View Display And Display Controller
US20060215018A1 (en) * 2005-03-28 2006-09-28 Rieko Fukushima Image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9041784B4 (en) 2015-11-19
DE102009041784A1 (en) 2011-03-24
KR20110100123A (en) 2011-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19484B2 (en) Information three-dimensional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US8358335B2 (en)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formation and autostereoscopic screen
US8633972B2 (en)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formation and autostereoscopic screen
JP5296962B2 (en) Barrier devic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6012764B2 (en) Autostereoscopic display and 3D image display method
US9319663B2 (en) Image display using matrix screen and periodic grating having a fixed period
KR20150004323A (en)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drive method
CN101107644A (en) Multi-view display device
TWI583175B (en) Position indicator for 3d display
KR102141520B1 (en) Autostereoscopic multi-view image display apparatus
US20160142704A1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US9930322B2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KR101614005B1 (en) A monitor and a method for representing autostereoscopically perceivable pictures
JP6195607B2 (en) Autostereoscopic screen and method for reproducing 3D images
KR101471654B1 (en) Apparatus for 3-dimensional displaying having modified delta pixel structure
KR101669498B1 (en)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formation and autostereoscopic screen
KR101659998B1 (en)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formation and autostereoscopic screen
KR102271171B1 (en) Glass-free multiview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image processing thereof
KR101767479B1 (en) A method for representing picture information and a screen
KR101853064B1 (en) Three 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EP3720126A1 (en) Autostereoscopic multi-viewer display device
EP3720125A1 (en) Autostereoscopic multi-viewer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