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9022B1 -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9022B1
KR101659022B1 KR1020100018712A KR20100018712A KR101659022B1 KR 101659022 B1 KR101659022 B1 KR 101659022B1 KR 1020100018712 A KR1020100018712 A KR 1020100018712A KR 20100018712 A KR20100018712 A KR 20100018712A KR 101659022 B1 KR101659022 B1 KR 101659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acial expression
moving image
display unit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8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9590A (ko
Inventor
정철윤
홍성표
나재호
박일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8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9022B1/ko
Publication of KR20110099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9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2Signal amplitude transition in the zone between image portions, e.g. soft ed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4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for obtaining an image which is composed of whole input images, e.g. split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5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for obtaining an image which is composed of images from a temporal image sequence, e.g. for a stroboscopic effe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5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for obtaining an image which is composed of images from a temporal image sequence, e.g. for a stroboscopic effect
    • H04N5/2627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for obtaining an image which is composed of images from a temporal image sequence, e.g. for a stroboscopic effect for providing spin image effect, 3D stop motion effect or temporal freeze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프로그램, 동영상, 뮤직 비디오와 같은 콘텐츠로부터 사용자가 느끼는 감성을 검출할 수 있는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어 장치는, 사용자 얼굴을 포함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표시부를 통해 동영상을 재생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얼굴 표정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얼굴 표정이 미리설정된 표정 패턴과 매칭될 때 상기 표정이 매칭된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동영상의 이미지를 검출 및 표시하는 제어부로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CONTENT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텐츠 제어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입력 신호에 따라 동영상, 사진, 지도 데이터와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제어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송 프로그램, 동영상, 뮤직 비디오와 같은 콘텐츠로부터 사용자가 느끼는 감성을 검출할 수 있는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영상이 재생될 때 사용자의 감성이 검출된 시점에 대응하는 동영상의 이미지 및 재생 시점을 검출 및 기록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고, 편리하게 감성이 검출된 시점에 대응하는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영상이 재생될 때 사용자 얼굴 표정이 검출되면, 그 얼굴 표정을 포함하는 영상 및 사용자 얼굴 표정이 검출된 시점에 대응하는 동영상의 이미지 및 재생 시점을 감성 콘텐츠로서 저장 및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감성 콘텐츠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감성 콘텐츠가 선택되었을 때 그 감성 콘텐츠에 포함된 동영상 재생 시점부터 해당 동영상을 재생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고 빠르게 감성 콘텐츠에 대응하는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 데이터에 적용된 감성 콘텐츠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직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어 장치는, 사용자 얼굴을 포함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표시부를 통해 동영상을 재생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얼굴 표정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얼굴 표정이 미리설정된 표정 패턴과 매칭될 때 상기 표정이 매칭된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동영상의 이미지를 검출 및 표시하는 제어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한 얼굴 표정이 상기 미리설정된 표정 패턴과 매칭될 때 상기 인식한 얼굴 표정을 포함한 영상을 상기 동영상의 이미지와 함께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정이 매칭된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점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한 얼굴 표정을 포함한 영상, 상기 동영상의 이미지,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점을 감성 콘텐츠로서 저장부에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설정된 얼굴 표정 패턴에 매칭되는 표정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간 바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영상의 이미지, 상기 인식한 얼굴 표정이 상기 미리설정된 표정 패턴과 매칭될 때 상기 인식한 얼굴 표정을 포함한 영상, 상기 표정이 매칭된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점, 상기 미리설정된 얼굴 표정 패턴에 매칭되는 표정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감성 콘텐츠로서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간 바와 함께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한 얼굴 표정을 포함한 영상과 상기 동영상의 이미지를 썸네일 이미지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간 바와 함께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의 제1 영역에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고, 상기 표시부의 제2 영역에 상기 감성 콘텐츠를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간 바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감성 콘텐츠는 상기 동영상의 제목, 상기 동영상의 재생 날짜 및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작 시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인식한 얼굴 표정은 웃는 표정, 슬픈 표정, 놀란 표정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성 콘텐츠가 선택될 때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점부터 상기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성 콘텐츠 내의 상기 영상이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영상을 확대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감성 콘텐츠 내의 상기 동영상 이미지가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동영상 이미지를 확대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감성 콘텐츠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방송 프로그램 시작 시간과, 방송 프로그램 제목,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 등급, 방송 프로그램의 방영 시간, 방송 프로그램의 장르와, 상기 감성 콘텐츠를 포함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영상이 재생될 때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미리설정된 웃음 소리와 비교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가 상기 미리설정된 웃음 소리와 매칭될 때 상기 웃음 소리가 매칭된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동영상의 이미지 및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점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재생 시점 및 이미지를 기록 및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 신호가 상기 미리설정된 웃음 소리와 매칭될 때 사용자 얼굴을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상기 동영상의 이미지 및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점과 함께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어 방법은, 사용자 얼굴을 포함한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와; 표시부를 통해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와;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얼굴 표정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한 얼굴 표정이 미리설정된 표정 패턴과 매칭될 때 상기 표정이 매칭된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동영상의 이미지를 검출 및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은, 방송 프로그램, 동영상, 뮤직 비디오와 같은 콘텐츠로부터 사용자가 느끼는 감성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은, 동영상이 재생될 때 사용자의 감성이 검출된 시점에 대응하는 동영상의 이미지 및 재생 시점을 검출 및 기록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고, 편리하게 감성이 검출된 시점에 대응하는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은, 동영상이 재생될 때 사용자 얼굴 표정이 검출되면, 그 얼굴 표정을 포함하는 영상 및 사용자 얼굴 표정이 검출된 시점에 대응하는 동영상의 이미지 및 재생 시점을 감성 콘텐츠로서 저장 및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감성 콘텐츠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은, 감성 콘텐츠가 선택되었을 때 그 감성 콘텐츠에 포함된 동영상 재생 시점부터 해당 동영상을 재생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고 빠르게 감성 콘텐츠에 대응하는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은,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 데이터에 적용된 감성 콘텐츠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직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츠 제어 장치가 적용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2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근접 터치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츠 제어 장치가 적용된 차량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츠 제어 장치가 적용된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 5 및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츠 제어 장치가 적용된 화상 회의 시스템(영상 통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어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된 감성 콘텐츠를 나타낸 예시도 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된 감성 콘텐츠를 나타낸 예시도 이다.
도12 및 도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된 감성 콘텐츠를 확대한 예시도 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감성 콘텐츠를 포함하는 EPG 데이터를 나타낸 예시도 이다.
도16 및 도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EPG 데이터에 적용된 감성 콘텐츠를 확대한 예시도 이다.
이하에서는, 방송 프로그램, 동영상, 뮤직 비디오와 같은 콘텐츠로부터 사용자가 느끼는 감성을 검출할 수 있는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1 내지 도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츠 제어 장치가 적용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이동 전화기)(1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있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1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그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간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 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 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미리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 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이동 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및/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이동 단말기가 차량에 장착되었을 때 차량의 위치 확인 가능)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일례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GPS 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3개의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GPS 모듈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 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 모듈(115)로서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Wi-Fi Positioning System) 및/또는 하이브리드 위치추적 시스템(Hybrid Positioning System)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A/V(Audio/Video) 입력부(120)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상기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 형태에 따라 2개 이상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마이크(122)는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상기 통화 모드일 때, 상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센싱부(14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방위,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140)는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Headset port),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모듈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별 모듈은 포트를 통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전원을 수신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서, 상기 출력부(150)에는 디스플레이부(151)과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도시하지 않음)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도시하지 않음)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도시하지 않음)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에 전송한다. 이로써,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근접 센서(141)를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근접 터치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에서 근접 터치(proximity-touch)는, 포인터(pointer)가 화면에 실제로 터치는 되지 않고, 화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 접근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 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는,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방송 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람부(153)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상기 알람부(153)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될 때,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3)는 진동 수단을 통해 이동 단말기를 진동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알람부(153)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그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진동 수단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0)를 진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차량에서 사용자와의 접촉이 빈번한 곳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향 휠, 변속 기어 레버, 좌석 시트 등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지도 데이터,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Headset Port),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라 한다)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별 모듈은 포트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전원을 수신하여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상기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상기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90)는 상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수신하여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적용된 구성 요소의 기능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상기 음성 인식 모듈(182)은 사용자에 의해 발성된 음성을 인식하고, 그 인식된 음성 신호에 따라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적용된 내비게이션 세션(session)(300)은 지도 데이터 상에 주행 경로를 표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적용된 콘텐츠 제어 장치는, 사용자 얼굴을 포함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21)와; 동영상(예를 들면, 동영상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 뮤직 비디오 데이터 등과 같은 콘텐츠)을 재생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얼굴 표정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얼굴 표정이 미리설정된 표정 패턴과 매칭될 때 상기 표정이 매칭된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동영상의 이미지 및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점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재생 시점 및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저장부)(160)에 기록하는 제어부(180)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미리설정된 표정 패턴과 매칭되는 상기 인식한 얼굴 표정을 포함한 영상을 상기 검출한 재생 시점 및 이미지와 함께 상기 메모리(저장부)(160)에 기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미리설정된 표정 패턴과 매칭되는 상기 인식한 얼굴 표정을 포함한 영상을 상기 검출한 재생 시점 및 이미지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표시부)(151)에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인식한 얼굴 표정을 포함한 영상 및 상기 표정이 매칭된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동영상의 이미지를 썸네일 이미지(thumbnail image)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표시부)(151)에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미리설정된 표정 패턴과 매칭되는 상기 인식한 얼굴 표정을 포함한 영상을 상기 검출한 재생 시점 및 이미지와 함께 통신부(110)를 통해 서버에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서버는 동영상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 음악 데이터(뮤직 비디오) 등과 같은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가 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츠 제어 장치가 적용된 차량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교통 정보 및 각종 데이터(예를 들면, 프로그램, 실행 파일 등)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센터(30)와; 차량 내에 장착되고, 원거리 무선 통신망(20) 및/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교통 정보를 수신하고, 인공위성(10)을 통해 수신된 GPS 신호 및 상기 교통 정보를 근거로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텔래매틱스 단말기(200)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츠 제어 장치가 적용된 텔레매틱스 단말기(200)의 구성을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츠 제어 장치가 적용된 텔레매틱스 단말기(2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텔레매틱스 단말기(200)는 텔레매틱스 단말기(200)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예를 들면, 중앙 처리 장치, CPU)(212)와,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213)와, 각종 키 신호를 제어하는 키 제어부(211)와,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제어하는 LCD 제어부(214)를 내장한 메인 보드(210)로 구성된다.
상기 메모리(213)는 길 안내 정보를 디지털 지도상에 표시하기 위한 지도 정보(지도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213)는 차량이 현재 주행하는 도로 상황에 따른 교통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교통 정보 수집 제어 알고리즘 및 상기 알고리즘의 제어를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메인 보드(210)는 고유의 기기번호가 부여되어 차량에 내장된 이동 통신 단말기인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모듈(206), 차량의 위치 안내,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추적 등을 위한 GPS 신호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에 의해서 수집된 교통정보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로 송신하는 GPS 모듈(207), CD(compact disk)에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CD 데크(CD Deck)(208), 자이로 센서(gyro sensor)(209)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CDMA 모듈(206), GPS 모듈(207)은 안테나(204, 205)를 통해서 신호를 송신/수신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222)은 상기 메인 보드(210)에 연결되고, 안테나(223)를 통해서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메인보드(210)에는 인터페이스 보드(203)를 통해서 상기 LCD 제어부(214)의 제어를 받는 표시부(LCD)(201)와, 키 제어부(211)의 제어를 받는 프론트 보드(202)와 차량의 내부 및/또는 외부를 촬영하는 카메라(227)가 연결된다. 상기 표시부(201)는, 각종 비디오 신호, 문자 신호를 표시하고, 상기 프론트 보드(202)는 각종 키 신호 입력을 위한 버튼을 구비하고, 사용자 선택이 이루어진 버튼에 해당하는 키 신호를 메인 보드(210)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201)는 도2의 근접 센서 및 터치 센서(터치 스크린)을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보드(202)는 교통정보를 직접 입력하기 위한 메뉴 키를 구비하며, 상기 메뉴 키는 키 제어부(211)의 제어를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보드(217)는 상기 메인 보드(210)와 연결되고, 각종 오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상기 오디오 보드(217)는 오디오 보드(217)의 제어를 위한 마이크로컴퓨터(219),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218), 상기 마이크로컴퓨터(219)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16), 각종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215)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오디오 보드(217)는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라디오 안테나(220)와, 오디오 테이프를 재생하기 위한 테이프 데크(221)로 구성된다. 상기 오디오 보드(217)는 상기 오디오 보드(217)에서 신호 처리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예를 들면, 앰프)(226)를 더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음성 출력부(앰프)(226)는 차량 인터페이스(224)에 연결된다. 즉, 상기 오디오 보드(217)와 메인 보드(210)는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224)에 연결된다.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224)는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핸즈프리(225a), 탑승자 안전을 위한 에어백(225b),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속도 센서(225c) 등이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속도 센서(225c)는 차량 속도를 산출하고, 그 산출된 차량 속도 정보를 상기 중앙 처리 장치(212)에 제공한다.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200)에 적용된 내비게이션 세션(300)은, 지도 데이터 및 차량 현재 위치 정보를 근거로 길 안내 정보를 발생하고, 그 발생된 길 안내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상기 표시부(201)는 근접 센서를 통해 표시창 내에서 근접 터치를 감지한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부(201)는 포인터(예를 들면,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팬(stylus pen))가 근접 터치될 때 그 근접 터치의 위치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상기 제어부(212)에 출력한다.
음성 인식 장치(또는 음성 인식 모듈)(301)는 사용자에 의해 발성된 음성을 인식하고, 그 인식된 음성 신호에 따라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200)에 적용된 내비게이션 세션(session)(300)은, 지도 데이터 상에 주행 경로를 표시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위치가 상기 주행 경로에 포함된 사각지대로부터 미리설정된 거리 이내일 때 무선 통신(예를 들면,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주변 차량에 장착된 단말기(예를 들면, 차량 내비게이션 장치) 및/또는 주변 보행자가 휴대하고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자동으로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주변 차량에 장착된 단말기로부터 그 주변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주변 보행자가 휴대하고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주변 보행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텔레매틱스 단말기(200)에 적용된 콘텐츠 제어 장치는, 사용자 얼굴을 포함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227)와; 동영상(예를 들면, 동영상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 뮤직 비디오 데이터 등과 같은 콘텐츠)을 재생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얼굴 표정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얼굴 표정이 미리설정된 표정 패턴과 매칭될 때 상기 표정이 매칭된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동영상의 이미지 및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점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재생 시점 및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저장부)(213)에 기록하는 제어부(212)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212)는 상기 미리설정된 표정 패턴과 매칭되는 상기 인식한 얼굴 표정을 포함한 영상을 상기 검출한 재생 시점 및 이미지와 함께 상기 메모리(저장부)(213)에 기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12)는 상기 미리설정된 표정 패턴과 매칭되는 상기 인식한 얼굴 표정을 포함한 영상을 상기 검출한 재생 시점 및 이미지와 함께 상기 표시부(201)에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212)는 상기 인식한 얼굴 표정을 포함한 영상 및 상기 표정이 매칭된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동영상의 이미지를 썸네일 이미지(thumbnail image)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표시부(201)에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201)는 상기 미리설정된 표정 패턴과 매칭되는 상기 인식한 얼굴 표정을 포함한 영상을 상기 검출한 재생 시점 및 이미지와 함께 통신부(206)를 통해 서버에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서버는 동영상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 음악 데이터(뮤직 비디오) 등과 같은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가 될 수 있다.
도 5 및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츠 제어 장치가 적용된 화상 회의 시스템(영상 통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회의 시스템은 복수의 화상 회의 단말기(300) 및, 상기 복수의 화상 회의 단말기(300)를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하는 통신망(400)으로 구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상 회의 단말기(300)는, 통신부(501), 입력부(502), 저장부(503), 제어부(504), 표시부(505) 및, 음성 출력부(50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6에 도시된 화상 회의 단말기(300)의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6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화상 회의 단말기(3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화상 회의 단말기(3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화상 회의 단말기(300)는, 상기 화상 회의 시스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상 회의 단말기와 기설정된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화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와 제어 신호 등을 송수신한다.
상기 화상 회의 시스템에 포함된 복수의 화상 회의 단말기(300)들은, 동종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단말기들이거나 또는, 이종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단말기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화상 회의 시스템에 포함된 복수의 화상 회의 단말기(300)들은, ITU-T(ITU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의 다자간 화상회의 권고안(H.323 등 포함),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의 권고안(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등 포함), ITU-T와 IETF가 공동 제안한 권고안(MEGACO(Media Gateway Control), H.248 등 포함) 또는, MGCP(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를 따르도록 설계되어, 단말기 종류에 관계없이 화상 회의가 가능하다.
상기 화상 회의 단말기(200)는, 화상 회의 전용 단말기,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노트북 컴퓨터,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등을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501)는, 상기 화상 회의 단말기(300)와 외부의 임의의 화상 회의 단말기 간의 음성 및 화상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상기 통신부(501)는, 화상 회의 시스템에 포함된 복수의 화상 회의 단말기(300) 간의 유/무선 통신 또는 상기 화상 회의 단말기(300)와 그 화상 회의 단말기(300)가 위치한 네트워크 간의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501)는, 상기 화상 회의 단말기(300)에 기설정된(또는, 랜덤하게 설정된) 고유 IP 주소를 근거로 상기 통신망(00)을 통해 외부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통신부(501)는, 상기 통신망(400)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화상 회의 단말기, 이동 단말기 등 포함),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및/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501)는,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 또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고,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502)는, 사용자가 상기 화상 회의 단말기(3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상기 입력부(502)는, 사용자에 의한 버튼 조작을 입력받거나,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터치/스크롤하는 등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다.
상기 입력부(502)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조그 휠, 조그 스위치, 조그 셔틀(Jog Shuttl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502)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도시하지 않음)와 카메라(도시하지 않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Microphone)는, 통화 모드,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화상 회의 모드 등에서 외부의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또한, 상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상기 음성 출력부(506)를 통해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통신부(501)를 통하여 외부 단말기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는, 화상 통화 모드, 촬영 모드, 화상 회의 모드 등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즉, 코덱(CODEC)에 따라 상기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해당 화상 데이터들을 각 규격에 맞도록 디코딩한다. 상기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상기 제어부(504)의 제어에 의해 상기 표시부(505)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상기 저장부(503)에 저장되거나 상기 통신부(501)를 통해 외부(화상 회의 시스템에 포함된 임의의 화상 회의 단말기 포함)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503)는, 상기 제어부(504)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음성 데이터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503)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503)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503)는, 상기 화상 회의 단말기(300) 및/또는 화상 회의 시스템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상기 저장부(503)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 UI)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 GUI)를 저장한다.
상기 저장부(503)는, 해당 단말기의 영상 코덱 설정 정보(비디오/오디오/코덱 설정 정보 등 포함), 호(call) 규격 설정 정보(H.323, SIP, MGCP, INAP(Intelligent Network Application Protocol), ISUP(ISUP, ISDN user part), TCAP(transmission control application part), MEGACO, H.248, V.35/RS-449/RS-530 설정 정보, ISDN(International Services Digital Network), 호출 기본 설정 정보 등 포함), 네트워크 설정 정보(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DNS(Domain Name Service), IP 주소, QoS 정보, 스트리밍(Streaming) 정보,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 간이 망 관리 프로토콜) 등 포함), 보안 설정 정보(방화벽(Firewall) 설정 정보 등 포함) 등을 포함하는 각종 관리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저장부(503)는, 상기 화상 회의 단말기(3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공유 정보,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일에 대한 설정 메뉴 정보(또는, 공유 정보) 및, 임의의 파일에 대한 공유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저장부(503)는, 상기 제어부(504)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임의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외부 단말기의 공유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504)는, 상기 화상 회의 단말기(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504)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화상 회의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504)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은, 상기 제어부(504)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상기 제어부(504)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504)는,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4)는, 상기 통신망(400)을 통해 연결된 외부의 임의의(또는, 특정) 화상 회의 단말기에 대해 해당 단말기의 관리 정보 전송을 위한 메시지를 발생하여, 상기 발생된 관리 정보 전송 요청 메시지를 상기 통신망(400)을 통해 상기 외부의 임의의 화상 회의 단말기에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504)는, 상기 화상 회의 단말기(30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의 임의의(또는, 특정) 화상 회의 단말기 간을 연결하는 상기 통신망(3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라우터 중에서, 상기 화상 회의 단말기(300)에 가장 인접한 라우터(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의 임의의 화상 회의 단말기의 관리 정보를 저장한 임의의 라우터)에 대해, 해당 단말기의 관리 정보 전송을 위한 메시지를 발생하여, 상기 발생된 관리 정보 전송 요청 메시지를 상기 화상 회의 단말기(300)에 가장 인접한 라우터에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504)는, 상기 외부의 임의의 화상 회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관리 정보 또는, 상기 화상 회의 단말기(300)에 가장 인접한 라우터로부터 전송된 관리 정보를 상기 저장부(503)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504)는, 상기 외부의 임의의 화상 회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관리 정보 또는, 상기 화상 회의 단말기(300)에 가장 인접한 라우터로부터 전송된 관리 정보를 파싱(Parsing)하고, 상기 파싱된 관리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코덱 설정 정보, 호 규격 설정 정보, 네트워크 설정 정보 및, 보안 설정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가 상기 표시부(505)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504)는,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상기 입력부(502)로부터 입력된 입력값을 근거로 상기 표시부(505)에 표시된 관리 정보를 재설정한다.
상기 제어부(504)는, 상기 재설정된 관리 정보를 상기 저장부(503)에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504)는, 상기 재설정된 관리 정보를 상기 통신망(400)을 통해 상기 외부의 임의의 화상 회의 단말기 및/또는 상기 화상 회의 단말기(300)에 가장 인접한 라우터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504)는, 상기 외부의 임의의 화상 회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화상 회의 단말기(300)의 관리 정보 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저장부(503)에 기저장된 상기 화상 회의 단말기(300)의 관리 정보를 상기 외부의 임의의 화상 회의 단말기에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504)는, 상기 외부의 임의의 화상 회의 단말기로부터 재설정된 관리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수신된 재설정된 관리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저장부(503)에 기저장된 관리 정보를 재설정(또는, 업데이트)한다.
상기 제어부(504)는, 상기 화상 회의 단말기(300)에 가장 인접한 라우터로부터 상기 화상 회의 단말기(300)의 관리 정보 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저장부(303)에 기저장된 상기 화상 회의 단말기(300)의 관리 정보를 상기 화상 회의 단말기(300)에 가장 인접한 라우터에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504)는, 상기 화상 회의 단말기(300)에 가장 인접한 라우터로부터 재설정된 관리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수신된 재설정된 관리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저장부(503)에 기저장된 관리 정보를 재설정한다.
상기 제어부(504)는, 상기 화상 회의 시스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의 임의의 단말기와 화상 회의 시스템이 동작 중인 경우,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화상 및/또는 음성 정보를 소정 신호 처리하여 상기 표시부(505) 및/또는 음성 출력부(506)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504)는, 상기 화상 회의 시스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의 임의의 단말기와 화상 회의 시스템이 동작 중인 경우, 상기 입력부(502)를 통해 입력된 화상 및/또는 음성 정보를 소정 신호 처리하여, 상기 신호 처리된 화상 및/또는 음성 정보를 상기 통신망(400)을 통해 상기 화상 회의 시스템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임의의 화상 회의 단말기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4)는, 상기 신호 처리된 화상 및/또는 음성 정보를 상기 표시부(505)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506)에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504)는, 상기 화상 회의 시스템에 연결된 임의의(또는, 특정) 화상 회의 단말기에 대해 상기 임의의 화상 회의 단말기에 구비된 특정 프로그램(응용 프로그램, 해당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파일, 임의의 파일 등 포함)의 공유 정보 전송 요청을 위한 메시지를 발생하여 상기 발생된 공유 정보 전송 요청 메시지(또는, 설정 메뉴 정보 전송 요청 메시지)를 상기 통신망(400)을 통해 상기 임의의 화상 회의 단말기에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504)는, 상기 공유 정보 전송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임의의 화상 회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공유 정보를 상기 표시부(505)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506)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입력부(502)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입력값을 근거로 상기 공유 정보를 재설정하여, 상기 저장부(503)에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504)는, 상기 재설정된 공유 정보를 상기 임의의 화상 회의 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504)는, 상기 화상 회의 시스템에 연결된 임의의(또는, 특정) 화상 회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저장부(503)에 기저장된 공유 정보에 대한 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저장부(503)에 기저장된 공유 정보를 상기 임의의 화상 회의 단말기에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504)는, 상기 임의의 화상 회의 단말기로부터 재설정된 공유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재설정된 공유 정보를 상기 저장부(503)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저장부(503)는, 기저장된 공유 정보를 상기 수신된 재설정된 공유 정보로 업데이트시키거나 또는, 상기 기저장된 공유 정보와는 별도로 상기 수신된 재설정된 공유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504)는, 상기 수신된 재설정된 공유 정보를 근거로 상기 화상 회의 단말기(300)에 구비된 특정 응용 프로그램 또는 파일을 실행하여, 상기 표시부(505)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506)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504)는, 상기 저장부(503)에 기저장된 공유 정보를 근거로 상기 화상 회의 단말기(300)에 구비된 특정 응용 프로그램 또는 파일을 실행하여, 상기 표시부(505)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506)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505)는, 상기 제어부(504)의 제어에 의해 소정 신호 처리된 신호에 포함된 화상 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표시부(505)는, 상기 제어부(504)에 의해 출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코덱 설정 정보, 호 규격 설정 정보, 네트워크 설정 정보 및, 보안 설정 정보를 포함한 관리 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505)는, 터치 스크린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받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505)는, 상기 관리 정보를 표시할 때, 상기 저장부(503)에 기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메뉴 화면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505)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다양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와 아이콘, 리스트 메뉴, 콤보 박스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뉴 화면 등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505)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505)는, 햅틱 모듈(Haptic Module)(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햅틱 모듈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상기 햅틱 모듈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상기 햅틱 모듈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햅틱 모듈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햅틱 모듈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햅틱 모듈은, 상기 화상 회의 단말기(200)의 구성 형태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음성 출력부(506)는, 상기 제어부(504)에 의해 소정 신호 처리된 신호에 포함된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음성 출력부(506)는, 스피커가 될 수도 있다.
상기 음성 출력부(506)는, 화상 회의 모드, 통화 모드, 녹음 모드 등에서 상기 통신부(501)로부터 수신되거나 상기 저장부(503)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화상 회의 단말기(300)는, 상기 화상 회의 단말기(3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Headset Port),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모듈은 화상 회의 단말기(3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별 모듈은 포트를 통하여 화상 회의 단말기(3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전원을 수신하여 화상 회의 단말기(3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화상 회의 단말기(3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화상 회의 단말기(3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화상 회의 단말기(3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화상 회의 단말기(3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화상 회의 단말기(3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상기 통신망(400)은, 복수의 화상 회의 단말기(300)들을 서로 연결한다.
상기 통신망(400)은, 브리지(Bridge), 게이트웨이(Gateway), 라우터(Router), 허브(Hub) 등을 포함한다.
상기 라우터는, 상기 통신망(400)을 통해 연결된 복수의 화상 회의 단말기들의 각각의 관리 정보를 포함한다. 즉, 상기 통신망(400)을 통해 연결되는 복수의 화상 회의 단말기들의 각각의 영상 코덱 설정 정보, 호 규격 설정 정보, 네트워크 설정 정보 및, 보안 설정 정보 등을 포함한 관리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라우터는, 상기 화상 회의 시스템에 연결된 임의의 화상 회의 단말기(300)로부터 관리 정보 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라우터에 기저장된 관리 정보를 상기 해당 화상 회의 단말기(300)에 전송한다.
상기 라우터는, 상기 화상 회의 시스템에 연결된 임의의 화상 회의 단말기(300)로부터 재설정된 관리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라우터에 기저장된 관리 정보를 상기 수신된 재설정된 관리 정보로 갱신하거나, 상기 수신된 재설정된 관리 정보를 상기 화상 회의 시스템에 연결된 특정 화상 회의 단말기(상기 임의의 화상 회의 단말기를 제외한 특정 화상 회의 단말기)에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상 회의 단말기(300)에 적용된 콘텐츠 제어 장치는, 사용자 얼굴을 포함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동영상(예를 들면, 동영상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 뮤직 비디오 데이터 등과 같은 콘텐츠)을 재생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얼굴 표정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얼굴 표정이 미리설정된 표정 패턴과 매칭될 때 상기 표정이 매칭된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동영상의 이미지 및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점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재생 시점 및 이미지를 상기 저장부(503)에 기록하는 제어부(504)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504)는 상기 미리설정된 표정 패턴과 매칭되는 상기 인식한 얼굴 표정을 포함한 영상을 상기 검출한 재생 시점 및 이미지와 함께 상기 저장부(503)에 기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4)는 상기 미리설정된 표정 패턴과 매칭되는 상기 인식한 얼굴 표정을 포함한 영상을 상기 검출한 재생 시점 및 이미지와 함께 상기 표시부(505)에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504)는 상기 인식한 얼굴 표정을 포함한 영상 및 상기 표정이 매칭된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동영상의 이미지를 썸네일 이미지(thumbnail image)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표시부(505)에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504)는 상기 미리설정된 표정 패턴과 매칭되는 상기 인식한 얼굴 표정을 포함한 영상을 상기 검출한 재생 시점 및 이미지와 함께 통신부(501)를 통해 서버에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서버는 동영상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 음악 데이터(뮤직 비디오) 등과 같은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도7 내지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200), 화상 회의 단말기에 적용될 뿐만 아니라, 카메라가 장착된 스마트 폰(smart phone), 카메라가 장착된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카메라가 장착된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카메라가 장착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카메라가 장착된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카메라가 장착된 데스크톱 컴퓨터, 카메라가 장착된 텔레비전, 카메라가 장착된 다양한 동영상 재생기 등에도 적용될 수도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어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어 장치(600)는, 사용자 얼굴을 포함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602)와; 동영상(예를 들면, 동영상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 뮤직 비디오 데이터 등과 같은 콘텐츠)을 재생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얼굴 표정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얼굴 표정이 미리설정된 표정 패턴과 매칭될 때 상기 표정이 매칭된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동영상의 이미지 및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점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재생 시점 및 이미지를 저장부(605)에 기록하는 제어부(601)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미리설정된 표정 패턴과 매칭되는 상기 인식한 얼굴 표정을 포함한 영상을 상기 검출한 재생 시점 및 이미지와 함께 상기 저장부(605)에 기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미리설정된 표정 패턴과 매칭되는 상기 인식한 얼굴 표정을 포함한 영상을 상기 검출한 재생 시점 및 이미지와 함께 상기 표시부(603)에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인식한 얼굴 표정을 포함한 영상 및 상기 표정이 매칭된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동영상의 이미지를 썸네일 이미지(thumbnail image)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표시부(603)에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미리설정된 표정 패턴과 매칭되는 상기 인식한 얼굴 표정을 포함한 영상을 상기 검출한 재생 시점 및 이미지와 함께 통신부(604)를 통해 서버(7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서버(700)는 동영상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 음악 데이터 등과 같은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가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1)는 얼굴 표정을 인식하는 표정 인식부(60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표정 인식부(601-1)는 다양한 얼굴 표정들의 휘도 정보들을 미리 기록한 템플릿을 형성하고, 상기 템플릿을 상기 촬영된 영상과 매칭시키면서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얼굴 표정들을 인식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촬영된 영상을 휘도 데이터, 색상 데이터, 크로마 데이터로 변환하고, 휘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얼굴색을 나타내는 영역들에서의 수직 방향의 휘도 변화와, 상기 영역들의 화소들의 공간적인 분포를 기초로 얼굴을 인식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표정 인식부(601-1)는 눈, 입 등의 얼굴의 특징점을 검출하여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표정 인식부(601-1)를 통해 상기 인식한 얼굴을 포함하는 일 영역(얼굴 영역)의 크기가 얼굴 표정을 인식할 수 있는 크기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 얼굴 영역은 상기 얼굴을 포함하는 영역 또는 상기 얼굴의 경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영역 등과 같이 제작자, 사용자 등에 의해 임의로 설정가능하다. 또한, 상기 얼굴의 표정이라 함은 웃음, 슬픔, 놀람, 또는 눈 깜빡임(blink) 등이 있다.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표정 인식부(601-1)를 통해 복수의 얼굴 표정들을 인식하는 경우에는, 각 얼굴 표정을 인식할 수 있는 얼굴 영역 크기의 경계와 상기 인식한 얼굴 영역의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얼굴 영역의 표정을 인식하는 방법은 한국공개특허 10-2010-0011287, 한국공개특허 10-2010-0001409에도 개시되어 있으므로, 상기 얼굴 영역의 표정을 인식하는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어 장치의 동작을 도7 내지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상기 제어부(601)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동영상을 상기 표시부(603)를 통해 재생한다(S11). 여기서, 동영상은 영화, 드라마, 시크콤과 같은 동영상이거나 방송국 서버(700)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프로그램 또는 뮤직 비디오가 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동영상을 저장부(605)로부터 독출(Read)하고, 그 독출한 동영상을 상기 표시부(603)에 표시하거나, 상기 통신부(604)를 통해 상기 방송국 서버(700)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을 실시간 다운로딩하고, 그 다운로딩한 방송 프로그램을 상기 표시부(603)에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602)는 사용자의 요청 또는 자동적으로 사용자 얼굴을 포함한 영상을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제어부(601)에 전송한다(S12). 여기서, 상기 카메라(602)는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도록 설계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치 위치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카메라(602)는 텔레비전의 상단에 위치하거나, 이동 단말기의 표시부의 상단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고, 그 수신된 영상을 미리설정된 얼굴 표정 패턴들과 비교하고,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미리설정된 얼굴 표정 패턴들에 매칭되는 표정이 상기 표정 인식부(601-1)를 통해 검출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3). 예를 들면, 상기 표정 인식부(601-1)는 상기 영상으로부터 얼굴을 인식하고, 그 얼굴이 상기 미리설정된 웃는 표정, 슬픈 표정, 놀란 표정 중에서 어느 하나(예를 들면, 웃는 표정)와 매칭될 때, 상기 영상이 웃는 표정을 포함하는 영상임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제어부(601)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미리설정된 얼굴 표정 패턴들에 매칭되는 표정이 검출될 때, 상기 검출된 표정이 포함된 영상을 상기 저장부(605)에 기록(또는 저장)한다(S14).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미리설정된 얼굴 표정 패턴에 매칭되는 표정이 검출된 시점에 대응하는 동영상의 이미지를 검출(또는 캡쳐)하고, 그 검출한 동영상 이미지를 상기 저장부(605)에 기록(또는 저장)한다(S15).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미리설정된 웃는 얼굴 표정 패턴에 매칭되는 웃는 표정이 검출된 시점이 상기 동영상이 10분 50초 재생되었을 때라고 가정할 때 상기 동영상이 10분 50초 재생된 시점의 동영상 이미지를 검출(또는 캡쳐)하고, 그 검출한 동영상 이미지를 상기 저장부(605)에 기록(또는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미리설정된 얼굴 표정 패턴에 매칭되는 표정이 검출된 시점에 대응하는 동영상의 재생 시점을 검출하고, 그 검출한 동영상 재생 시점을 상기 저장부(605)에 기록(또는 저장)한다(S16).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미리설정된 웃는 얼굴 표정 패턴에 매칭되는 웃는 표정이 검출된 시점이 상기 동영상이 10분 50초 재생되었을 때라고 가정할 때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점을 10분 50초로 인식하고, 그 인식한 동영상 재생 시점을 상기 저장부(605)에 기록(또는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동영상의 제목 및 동영상 재생 날짜(동영상 재생 시작 시간 포함)를 상기 영상, 상기 동영상 이미지, 상기 동영상 재생 시점을 감성 콘텐츠로서 상기 저장부(605)에 기록(또는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601)는 사용자가 감성 콘텐츠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선택했을 때 또는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미리설정된 얼굴 표정 패턴에 매칭되는 표정이 검출되었을 때 자동적으로 상기 영상, 상기 동영상 이미지, 상기 동영상 재생 시점을 감성 콘텐츠로서 상기 표시부(603)에 표시한다(S17).
도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된 감성 콘텐츠를 나타낸 예시도 이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601)는 사용자에 의해 감성 콘텐츠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선택되었을 때 또는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미리설정된 얼굴 표정 패턴에 매칭되는 표정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표시부(603)의 제1 영역(예를 들면, 표시부의 상위 영역)에 동영상(9-1)을 재생한다.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표시부(603)의 제2 영역(예를 들면, 표시부의 하위 영역)에 상기 미리설정된 얼굴 표정 패턴에 매칭되는 표정이 검출된 시점에 대응하는 동영상의 이미지(9-3)과, 상기 미리설정된 얼굴 표정 패턴에 매칭되는 표정(예를 들면, 웃는 표정)을 나타내는 아이콘(9-4)과, 상기 미리설정된 얼굴 표정 패턴에 매칭되는 표정이 검출된 시점에 대응하는 동영상의 재생 시점(9-5)과, 상기 미리설정된 얼굴 표정 패턴에 매칭되는 표정이 포함된 영상(9-6)을 감성 콘텐츠로서 동영상 재생 시간 바(9-2)와 함께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동영상의 이미지(9-3)와 상기 영상(9-6)을 썸네일 이미지(thumbnail image)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표시부(603)에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동영상 재생 시간 바(9-2)에 동영상의 재생 시점(9-5)을 나타내고,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점(9-5)에 상기 동영상의 이미지(9-3)와, 상기 아이콘(9-4)과, 상기 영상(9-6)을 표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점(예를 들면, 동영상이 23분 재생된 시점)(9-5)에 사용자가 웃었음을 알 수 있고, 사용자가 웃었을 때의 장면과 사용자 영상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은, 방송 프로그램, 동영상(뮤직 비디오 포함)과 같은 콘텐츠로부터 사용자가 느끼는 감성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은, 방송 프로그램, 동영상(뮤직 비디오 포함)과 같은 콘텐츠가 재생될 때 사용자의 감성이 검출된 시점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이미지 및 재생 시점을 검출 및 기록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고, 편리하게 감성이 검출된 시점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은, 동영상이 재생될 때 사용자 얼굴 표정이 검출되면, 그 얼굴 표정을 포함하는 영상 및 사용자 얼굴 표정이 검출된 시점에 대응하는 동영상의 이미지 및 재생 시점을 감성 콘텐츠로서 저장 및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감성 콘텐츠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도7 및 도10-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200), 화상 회의 단말기에 적용될 뿐만 아니라, 카메라가 장착된 스마트 폰(smart phone), 카메라가 장착된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카메라가 장착된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카메라가 장착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카메라가 장착된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카메라가 장착된 데스크톱 컴퓨터, 카메라가 장착된 텔레비전, 카메라가 장착된 다양한 동영상 재생기 등에도 적용될 수도 있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상기 제어부(601)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동영상을 상기 표시부(603)를 통해 재생한다(S21). 여기서, 상기 동영상은 영화, 드라마, 시크콤과 같은 동영상이거나 방송국 서버(700)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프로그램 또는 뮤직 비디오가 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동영상을 저장부(605)로부터 독출(Read)하고, 그 독출한 동영상을 상기 표시부(603)에 표시하거나, 상기 통신부(604)를 통해 상기 방송국 서버(700)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을 실시간 다운로딩하고, 그 다운로딩한 방송 프로그램을 상기 표시부(603)에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602)는 사용자의 요청 또는 자동적으로 사용자 얼굴을 포함한 영상을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제어부(601)에 전송한다(S22). 여기서, 상기 카메라(602)는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도록 설계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치 위치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고, 그 수신된 영상을 미리설정된 얼굴 표정 패턴들과 비교하고,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미리설정된 얼굴 표정 패턴들에 매칭되는 표정이 상기 표정 인식부(601-1)를 통해 검출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3). 예를 들면, 상기 표정 인식부(601-1)는 상기 영상으로부터 얼굴을 인식하고, 그 인식한 얼굴이 상기 미리설정된 웃는 표정, 슬픈 표정, 놀란 표정 중에서 어느 하나(예를 들면, 웃는 표정)와 매칭될 때, 상기 영상이 웃는 표정을 포함하는 영상임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제어부(601)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미리설정된 얼굴 표정 패턴들에 매칭되는 표정이 검출될 때, 상기 검출된 표정이 포함된 영상을 상기 저장부(605)에 기록(또는 저장)한다(S24).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미리설정된 얼굴 표정 패턴에 매칭되는 표정이 검출된 시점에 대응하는 동영상의 이미지를 검출(또는 캡쳐)하고, 그 검출한 동영상 이미지를 상기 저장부(605)에 기록(또는 저장)한다(S25).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미리설정된 웃는 얼굴 표정 패턴에 매칭되는 웃는 표정이 검출된 시점이 상기 동영상이 10분 50초 재생되었을 때라고 가정할 때 상기 동영상이 10분 50초 재생된 시점의 동영상 이미지를 검출(또는 캡쳐)하고, 그 검출한 동영상 이미지를 상기 저장부(605)에 기록(또는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미리설정된 얼굴 표정 패턴에 매칭되는 표정이 검출된 시점에 대응하는 동영상의 재생 시점을 검출하고, 그 검출한 동영상 재생 시점을 상기 저장부(605)에 기록(또는 저장)한다(S26).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미리설정된 웃는 얼굴 표정 패턴에 매칭되는 웃는 표정이 검출된 시점이 상기 동영상이 10분 50초 재생되었을 때라고 가정할 때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점을 10분 50초로 인식하고, 그 인식한 동영상 재생 시점을 상기 저장부(605)에 기록(또는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동영상의 제목 및 동영상 재생 날짜(동영상 재생 시작 시간 포함)를 상기 영상, 상기 동영상 이미지, 상기 동영상 재생 시점과 함께 감성 콘텐츠로서 상기 저장부(605)에 기록(또는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601)는 사용자가 감성 콘텐츠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선택했을 때 또는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미리설정된 얼굴 표정 패턴에 매칭되는 표정이 검출되었을 때 자동적으로 상기 영상, 상기 동영상 이미지, 상기 동영상 재생 시점을 감성 콘텐츠로서 상기 표시부(603)에 표시한다(S27).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표시부(603)에 표시된 감성 콘텐츠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S28), 상기 감성 콘텐츠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을 때 상기 동영상 재생 시점부터 상기 동영상을 재생한다(S29).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표시부(603)에 표시된 상기 동영상의 제목 및 동영상 재생 날짜(동영상 재생 시작 시간 포함), 상기 영상, 상기 동영상 이미지, 상기 동영상 재생 시점 중에서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때 상기 동영상 재생 시점부터 상기 동영상을 재생한다.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표시부(603)에 표시된 상기 동영상의 제목 및 동영상 재생 날짜(동영상 재생 시작 시간 포함), 상기 동영상 재생 시점 중에서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때 상기 동영상 재생 시점부터 상기 동영상을 재생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영상이 선택되면 그 선택된 영상을 확대하여 상기 표시부(603)에 표시하고, 상기 동영상 이미지가 선택될 때 그 선택된 동영상 이미지를 확대하여 상기 표시부(603)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된 감성 콘텐츠를 나타낸 예시도 이다.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601)는, 사용자에 의해 감성 콘텐츠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선택되었을 때 또는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미리설정된 얼굴 표정 패턴에 매칭되는 표정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동영상의 개요 정보(11-1)와 상기 감성 콘텐츠를 상기 표시부(603)에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동영상이 "다크 나이트"일 때 "다크 나이트"의 개요 정보를 상기 저장부(402)로부터 독출(Read)하고, 그 독출한 개요 정보(요약 정보)를 상기 표시부(403) 상에 표시한다. 상기 개요 정보는 "다크 나이트" 대표(포스터) 이미지, "다크 나이트" 영화의 감독 정보, 배우 정보(배우의 프로필, 대표작 등), 작가 정보, 상영일(Release date) 정보, 장르 정보, 수상(Awards) 정보, 뉴스데스크(NewsDes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요 정보는 상기 영화 관련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아이콘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미리설정된 얼굴 표정 패턴에 매칭되는 표정이 검출된 시점에 대응하는 동영상의 이미지(11-3)와, 상기 미리설정된 얼굴 표정 패턴에 매칭되는 표정(예를 들면, 공포(또는 놀람 표정), 눈물(또는 슬픈 표정), 웃는 표정)을 나타내는 아이콘(11-2)과, 상기 미리설정된 얼굴 표정 패턴에 매칭되는 표정이 검출된 시점에 대응하는 동영상의 재생 시점(11-6)과, 상기 미리설정된 얼굴 표정 패턴에 매칭되는 표정이 포함된 영상(11-4), 상기 동영상의 재생 날짜 및 재생 시작 시간(11-5)을 감성 콘텐츠로서 상기 표시부(603)에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601)는 감성 콘텐츠로서 상기 동영상의 제목을 상기 표시부(603)에 더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표시부(603)에 표시된 상기 동영상의 제목 및 동영상 재생 날짜(동영상 재생 시작 시간 포함), 상기 동영상 재생 시점 중에서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때 상기 동영상 재생 시점부터 상기 동영상을 재생한다.
도12 및 도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된 감성 콘텐츠를 확대한 예시도 이다.
도12 및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동영상 이미지(11-3가 선택될 때 그 선택된 동영상 이미지(11-3)를 확대(확대도, 12-1)하여 상기 표시부(603)에 표시하고, 상기 영상(11-4)이 선택되면 그 선택된 영상(11-4)을 확대(확대도, 13-1)하여 상기 표시부(603)에 표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은, 감성 콘텐츠가 선택되었을 때 그 감성 콘텐츠에 포함된 동영상 재생 시점부터 해당 동영상을 재생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고 빠르게 감성 콘텐츠에 대응하는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도14 내지 도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200), 화상 회의 단말기에 적용될 뿐만 아니라, 카메라가 장착된 스마트 폰(smart phone), 카메라가 장착된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카메라가 장착된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카메라가 장착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카메라가 장착된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카메라가 장착된 데스크톱 컴퓨터, 카메라가 장착된 텔레비전, 카메라가 장착된 다양한 동영상 재생기 등에도 적용될 수도 있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상기 제어부(601)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동영상을 상기 표시부(603)를 통해 재생한다(S31). 여기서, 동영상은 영화, 드라마, 시크콤과 같은 동영상이거나 방송국 서버(700)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프로그램 또는 뮤직 비디오가 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동영상을 저장부(605)로부터 독출(Read)하고, 그 독출한 동영상을 상기 표시부(603)에 표시하거나, 상기 통신부(604)를 통해 상기 방송국 서버(700)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을 실시간 다운로딩하고, 그 다운로딩한 방송 프로그램을 상기 표시부(603)에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602)는 사용자의 요청 또는 자동적으로 사용자 얼굴을 포함한 영상을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제어부(601)에 전송한다(S32). 여기서, 상기 카메라(602)는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도록 설계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치 위치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카메라(602)는 텔레비전의 상단에 위치하거나, 이동 단말기의 표시부의 상단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고, 그 수신된 영상을 미리설정된 얼굴 표정 패턴들과 비교하고,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미리설정된 얼굴 표정 패턴에 매칭되는 표정이 상기 표정 인식부(601-1)를 통해 검출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3). 예를 들면, 상기 표정 인식부(601-1)는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얼굴을 인식하고, 그 얼굴이 상기 미리설정된 웃는 표정, 슬픈 표정, 놀란 표정 중에서 어느 하나(예를 들면, 웃는 표정)와 매칭될 때, 상기 촬영된 영상이 웃는 표정을 포함하는 영상임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제어부(601)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미리설정된 얼굴 표정 패턴들에 매칭되는 표정이 검출될 때, 상기 검출된 표정이 포함된 영상을 상기 저장부(605)에 기록(또는 저장)한다(S34).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미리설정된 얼굴 표정 패턴에 매칭되는 표정이 검출된 시점에 대응하는 동영상의 이미지를 검출(또는 캡쳐)하고, 그 검출한 동영상 이미지를 상기 저장부(605)에 기록(또는 저장)한다(S35).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미리설정된 웃는 얼굴 표정 패턴에 매칭되는 웃는 표정이 검출된 시점이 상기 동영상이 10분 50초 재생되었을 때라고 가정할 때 상기 동영상이 10분 50초 재생된 시점의 동영상 이미지를 검출(또는 캡쳐)하고, 그 검출한 동영상 이미지를 상기 저장부(605)에 기록(또는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미리설정된 얼굴 표정 패턴에 매칭되는 표정이 검출된 시점에 대응하는 동영상의 재생 시점을 검출하고, 그 검출한 동영상 재생 시점을 상기 저장부(605)에 기록(또는 저장)한다(S36).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미리설정된 웃는 얼굴 표정 패턴에 매칭되는 웃는 표정이 검출된 시점이 상기 동영상이 10분 50초 재생되었을 때라고 가정할 때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점을 10분 50초로 인식하고, 그 인식한 동영상 재생 시점을 상기 저장부(605)에 기록(또는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미리설정된 얼굴 표정 패턴에 매칭되는 표정(예를 들면, 공포(또는 놀람 표정), 눈물(또는 슬픈 표정), 웃는 표정)을 나타내는 아이콘과, 상기 동영상의 제목 및 동영상 재생 날짜(동영상 재생 시작 시간 포함)를 상기 영상, 상기 동영상 이미지, 상기 동영상 재생 시점과 함께 감성 콘텐츠로서 상기 저장부(605)에 기록(또는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601)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미리설정된 얼굴 표정 패턴에 매칭되는 표정이 검출된 시점에 대응하는 동영상의 이미지와, 상기 미리설정된 얼굴 표정 패턴에 매칭되는 표정(예를 들면, 공포(또는 놀람 표정), 눈물(또는 슬픈 표정), 웃는 표정)을 나타내는 아이콘과, 상기 미리설정된 얼굴 표정 패턴에 매칭되는 표정이 검출된 시점에 대응하는 동영상의 재생 시점과, 상기 미리설정된 얼굴 표정 패턴에 매칭되는 표정이 포함된 영상, 상기 동영상의 재생 날짜 및 재생 시작 시간을 포함하는 감성 콘텐츠를 상기 통신부(604)에 출력한다.
상기 통신부(604)는 상기 감성 콘텐츠를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700)에 전송한다(S37). 여기서, 상기 서버(700)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EPG)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송국 서버가 될 수 있다.
상기 서버(700)는 다양한 사용자들로부터 상기 감성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감성 콘텐츠를 상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EPG) 데이터에 적용시키고, 상기 감성 콘텐츠가 적용된 EPG 데이터를 방송 프로그램과 함께 상기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통신부(604)에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감성 콘텐츠를 포함하는 EPG 데이터를 도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감성 콘텐츠를 포함하는 EPG 데이터를 나타낸 예시도 이다.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서버(700)는 방송 프로그램 시작 시간과, 방송 프로그램 제목,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 등급, 방송 프로그램의 방영 시간, 방송 프로그램의 장르 등을 포함하는 EPG 데이터에 상기 감성 콘텐츠를 더 포함시킨다.
상기 감성 콘텐츠는 상기 미리설정된 얼굴 표정 패턴에 매칭되는 표정(예를 들면, 공포(또는 놀람 표정), 눈물(또는 슬픈 표정), 웃는 표정)을 나타내는 아이콘(15-1)과, 상기 미리설정된 얼굴 표정 패턴에 매칭되는 표정이 검출된 시점에 대응하는 동영상의 이미지(15-2)와, 상기 미리설정된 얼굴 표정 패턴에 매칭되는 표정이 포함된 영상(15-3)과, 상기 미리설정된 얼굴 표정 패턴에 매칭되는 표정이 검출된 시점에 대응하는 동영상의 재생 시점(15-4)을 포함하며, 더보기 항목(1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더보기 항목(15-5)이란 특정 동영상(예를 들면, 한편의 영화)에 적용된 다수의 감성 콘텐츠들을 상기 EPG 데이터에 모두 표시할 수 없을 때 상기 특정 동영상에 적용된 다수의 감성 콘텐츠들을 서브 화면상에 표시하기 위한 항목이다. 즉,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더보기 항목(15-5)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특정 동영상에 적용된 다수의 감성 콘텐츠들을 상기 서버(700)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다수의 감성 콘텐츠들을 상기 표시부(603)에 표시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통신부(604)를 통해 상기 서버(700)로부터 상기 감성 콘텐츠를 포함하는 EPG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8).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통신부(604)를 통해 상기 서버(700)에 EPG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EPG 데이터에 감성 콘텐츠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통신부(604)를 통해 상기 서버(700)로부터 상기 감성 콘텐츠를 포함하는 EPG 데이터가 수신될 때, 상기 감성 콘텐츠를 포함하는 EPG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603)에 표시한다(S39).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감성 콘텐츠 중에서 상기 미리설정된 얼굴 표정 패턴에 매칭되는 표정(예를 들면, 공포(또는 놀람 표정), 눈물(또는 슬픈 표정), 웃는 표정)을 나타내는 아이콘(15-1) 또는 상기 미리설정된 얼굴 표정 패턴에 매칭되는 표정이 검출된 시점에 대응하는 동영상(예를 들면, 영화1)의 재생 시점(재생 시점 정보)(15-4)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때 상기 동영상(예를 들면, 영화1)의 재생 시점(재생 시점 정보)(15-4)부터 상기 동영상(예를 들면, 영화1)을 재생한다.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더보기 항목(15-5)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특정 동영상(예를 들면, 영화1)에 적용된 다수의 감성 콘텐츠들(예를 들면, 웃음 콘텐츠, 눈물(또는 슬픔) 콘텐츠, 공포(또는 놀람) 콘텐츠)을 상기 서버(700)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다수의 감성 콘텐츠들을 상기 표시부(603)에 표시한다.
도16 및 도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EPG 데이터에 적용된 감성 콘텐츠를 확대한 예시도 이다.
도16 및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미리설정된 얼굴 표정 패턴에 매칭되는 표정이 검출된 시점에 대응하는 동영상의 이미지(15-2)가 선택될 때 그 선택된 동영상 이미지(15-2)를 확대하고, 그 확대한 동영상 이미지(16-1)를 상기 표시부(603)에 표시하고, 상기 미리설정된 얼굴 표정 패턴에 매칭되는 표정이 포함된 영상(15-3)이 선택되면 그 선택된 영상(15-3)을 확대하고, 그 확대한 영상(17-1)을 상기 표시부(603)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감성 콘텐츠에 포함된 상기 동영상의 이미지(15-2)와 상기 영상(15-3)은 썸네일 이미지(thumbnail image)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은, EPG 데이터에 적용된 감성 콘텐츠를 통해 사용자가 방송 프로그램을 선별적으로 감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EPG 데이터에 적용된 감성 콘텐츠를 확인함으로써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직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동영상이 재생될 때 마이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미리설정된 웃음 소리와 비교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가 상기 미리설정된 웃음 소리와 매칭될 때 상기 웃음 소리가 매칭된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동영상의 이미지 및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점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재생 시점 및 이미지를 저장부(605)에 기록 및 상기 표시부(603)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601)는 상기 오디오 신호가 상기 미리설정된 웃음 소리와 매칭될 때 사용자 얼굴을 포함하는 영상(예를 들면, 인물 사진)을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을 상기 동영상의 이미지 및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점과 함께 상기 표시부(603)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은, 방송 프로그램, 동영상, 뮤직 비디오와 같은 콘텐츠로부터 사용자가 느끼는 감성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은, 동영상이 재생될 때 사용자의 감성이 검출된 시점에 대응하는 동영상의 이미지 및 재생 시점을 검출 및 기록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고, 편리하게 감성이 검출된 시점에 대응하는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은, 동영상이 재생될 때 사용자 얼굴 표정이 검출되면, 그 얼굴 표정을 포함하는 영상 및 사용자 얼굴 표정이 검출된 시점에 대응하는 동영상의 이미지 및 재생 시점을 감성 콘텐츠로서 저장 및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감성 콘텐츠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은, 감성 콘텐츠가 선택되었을 때 그 감성 콘텐츠에 포함된 동영상 재생 시점부터 해당 동영상을 재생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고 빠르게 감성 콘텐츠에 대응하는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은,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 데이터에 적용된 감성 콘텐츠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직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601: 제어부 602: 카메라
603: 표시부 604: 통신부
605: 저장부 700: 서버

Claims (34)

  1. 사용자 얼굴을 포함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표시부의 제1 영역 상에서 동영상을 재생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얼굴 표정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얼굴 표정이 미리설정된 표정 패턴과 매칭될 때 상기 표정이 매칭된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점과 상기 동영상의 이미지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동영상의 재생 시점과 상기 동영상의 이미지를 상기 표시부의 제2 영역 상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한 얼굴 표정이 상기 미리설정된 표정 패턴과 매칭될 때 상기 인식한 얼굴 표정을 포함한 영상을 상기 동영상의 이미지와 함께 상기 표시부의 제2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어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한 얼굴 표정을 포함한 영상, 상기 동영상의 이미지,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점을 감성 콘텐츠로서 저장부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설정된 얼굴 표정 패턴에 매칭되는 표정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상기 표시부의 제2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간 바를 상기 표시부의 제2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영상의 이미지, 상기 인식한 얼굴 표정이 상기 미리설정된 표정 패턴과 매칭될 때 상기 인식한 얼굴 표정을 포함한 영상, 상기 표정이 매칭된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점, 상기 미리설정된 얼굴 표정 패턴에 매칭되는 표정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감성 콘텐츠로서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간 바와 함께 상기 표시부의 제2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한 얼굴 표정을 포함한 영상과 상기 동영상의 이미지를 썸네일 이미지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간 바와 함께 상기 표시부의 제2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어 장치.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성 콘텐츠는,
    상기 동영상의 제목, 상기 동영상의 재생 날짜 및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작 시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한 얼굴 표정은,
    웃는 표정, 슬픈 표정, 놀란 표정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어 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성 콘텐츠가 선택될 때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점부터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어 장치.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성 콘텐츠 내의 상기 영상이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영상을 확대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감성 콘텐츠 내의 상기 동영상 이미지가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동영상 이미지를 확대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어 장치.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성 콘텐츠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데이터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어 장치.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방송 프로그램 시작 시간과, 방송 프로그램 제목,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 등급, 방송 프로그램의 방영 시간, 방송 프로그램의 장르와, 상기 감성 콘텐츠를 포함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어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영상이 재생될 때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미리설정된 웃음 소리와 비교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가 상기 미리설정된 웃음 소리와 매칭될 때 상기 웃음 소리가 매칭된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동영상의 이미지 및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점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재생 시점 및 이미지를 기록 및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 신호가 상기 미리설정된 웃음 소리와 매칭될 때 사용자 얼굴을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상기 동영상의 이미지 및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점과 함께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어 장치.
  18. 사용자 얼굴을 포함한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와;
    표시부의 제1 영역 상에서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와;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얼굴 표정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한 얼굴 표정이 미리설정된 표정 패턴과 매칭될 때 상기 표정이 매칭된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점과 상기 동영상의 이미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한 동영상의 재생 시점과 상기 동영상의 이미지를 상기 표시부의 제2 영역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인식한 얼굴 표정이 상기 미리설정된 표정 패턴과 매칭될 때 상기 인식한 얼굴 표정을 포함한 영상을 상기 동영상의 이미지와 함께 상기 표시부의 제2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어 방법.
  20. 삭제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한 얼굴 표정을 포함한 영상, 상기 동영상의 이미지,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점을 감성 콘텐츠로서 저장부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어 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설정된 얼굴 표정 패턴에 매칭되는 표정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상기 표시부의 제2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어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간 바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어 방법.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의 이미지, 상기 인식한 얼굴 표정이 상기 미리설정된 표정 패턴과 매칭될 때 상기 인식한 얼굴 표정을 포함한 영상, 상기 표정이 매칭된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점, 상기 미리설정된 얼굴 표정 패턴에 매칭되는 표정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감성 콘텐츠로서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간 바와 함께 상기 표시부의 제2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어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인식한 얼굴 표정을 포함한 영상과 상기 동영상의 이미지를 썸네일 이미지로 각각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각각 변환된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간 바와 함께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어 방법.
  26. 삭제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감성 콘텐츠는,
    상기 동영상의 제목, 상기 동영상의 재생 날짜 및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작 시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어 방법.
  28.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한 얼굴 표정은,
    웃는 표정, 슬픈 표정, 놀란 표정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어 방법.
  29.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감성 콘텐츠가 선택될 때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점부터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어 방법.
  30.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감성 콘텐츠 내의 상기 영상이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영상을 확대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감성 콘텐츠 내의 상기 동영상 이미지가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동영상 이미지를 확대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어 방법.
  31.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감성 콘텐츠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데이터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어 방법.
  32. 제21항에 있어서,
    방송 프로그램 시작 시간과, 방송 프로그램 제목,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 등급, 방송 프로그램의 방영 시간, 방송 프로그램의 장르와, 상기 감성 콘텐츠를 포함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어 방법.
  3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이 재생될 때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미리설정된 웃음 소리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오디오 신호가 상기 미리설정된 웃음 소리와 매칭될 때 상기 웃음 소리가 매칭된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동영상의 이미지 및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점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한 동영상의 이미지 및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점을 기록 및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어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의 이미지 및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점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 신호가 상기 미리설정된 웃음 소리와 매칭될 때 사용자 얼굴을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와;
    상기 촬영된 영상을 상기 동영상의 이미지 및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점과 함께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어 방법.
KR1020100018712A 2010-03-02 2010-03-02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659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712A KR101659022B1 (ko) 2010-03-02 2010-03-02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712A KR101659022B1 (ko) 2010-03-02 2010-03-02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9590A KR20110099590A (ko) 2011-09-08
KR101659022B1 true KR101659022B1 (ko) 2016-09-23

Family

ID=44952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8712A KR101659022B1 (ko) 2010-03-02 2010-03-02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90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2704B1 (ko) * 2013-10-22 2020-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출력 장치
US9538226B2 (en) 2013-12-06 2017-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operating moving pictures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660124B1 (ko) 2018-03-08 2024-04-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동영상 감정 학습용 데이터 생성 방법, 동영상 감정 판단 방법, 이를 이용하는 동영상 감정 판단 장치
CN111859025A (zh) * 2020-07-03 2020-10-30 广州华多网络科技有限公司 表情指令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4709A (ja) 2003-09-19 2005-04-07 Fuji Xerox Co Ltd 動画検索システム及び動画検索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8135825A (ja) * 2006-11-27 2008-06-12 Toshiba Corp データ再生装置及びデータ再生方法
JP2009253931A (ja) * 2008-04-11 2009-10-29 Casio Comput Co Ltd 電子データ編集装置、電子データ編集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1016A (ko) * 2008-05-21 2009-11-25 박영민 시청자 반응 측정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4709A (ja) 2003-09-19 2005-04-07 Fuji Xerox Co Ltd 動画検索システム及び動画検索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8135825A (ja) * 2006-11-27 2008-06-12 Toshiba Corp データ再生装置及びデータ再生方法
JP2009253931A (ja) * 2008-04-11 2009-10-29 Casio Comput Co Ltd 電子データ編集装置、電子データ編集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9590A (ko) 2011-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7621B1 (ko)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9116565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KR101562588B1 (ko)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197617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911803B1 (ko) 휴대용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0929054B (zh) 多媒体信息应用界面显示方法及装置、终端、介质
RU2653305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KR101688145B1 (ko) 동영상 재생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WO2021135678A1 (zh) 生成剪辑模板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5244048A (zh) 音频播放控制方法和装置
CN104090735B (zh) 一种图片的投影方法及装置
KR2017013110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128261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02983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70154625A1 (en) Video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CN113490010B (zh) 基于直播视频的互动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5744133A (zh) 视频补光方法及装置
CN111010610A (zh) 一种视频截图方法及电子设备
KR101659022B1 (ko)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04853223A (zh) 视频流的插播方法及终端设备
KR101612807B1 (ko)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97151A (ko)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1691103B1 (ko) 영상 통화 시스템의 주소록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06534750A (zh) 显示控制方法及装置
KR101646141B1 (ko)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