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699B1 -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8699B1
KR101658699B1 KR1020140091218A KR20140091218A KR101658699B1 KR 101658699 B1 KR101658699 B1 KR 101658699B1 KR 1020140091218 A KR1020140091218 A KR 1020140091218A KR 20140091218 A KR20140091218 A KR 20140091218A KR 101658699 B1 KR101658699 B1 KR 101658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unit
upper cover
communication un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1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0172A (ko
Inventor
박희구
김홍석
김정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1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699B1/ko
Publication of KR20160010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0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제 1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제 1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물체의 유무 또는 상기 물체의 인접 여부를 센싱하기 위한 물체 감지부와, 상기 물체 감지부에 의하여 센싱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LED 조명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타 기기와의 통신 수행을 위한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체 감지부와 상기 무선 통신부는 단일의 상부 커버에 의해 보호되는 통신 수단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조명 장치{A 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명 장치에 대해서 개시한다.
최근 들어 계절과 무관하게 전력 부족 문제가 심각하게 되고, 환경에 대한 문제점 인식이 고조됨에 따라, 에너지 소비절감을 위하여 건축물에까지 에너지 효율 등급제가 시행되는 등 에너지 절감의 많은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조명 장치의 경우에, 조도가 높지만 소비 전력이 적고, 수명이 길어서 에너지 소비효율이 높은 LED 조명등으로 교체하는 등 많은 투자와 정부의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조명 장치에 통신 모듈이 결합되어, 외부의 컨트롤러에 의하여 조명 장치의 동작이 제어되는 등, 다양한 기능을 갖는 조명 장치로 발전되고 있다.
조명 장치에 복수의 센서가 마련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센서들에 대한 신호 간섭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송출한 전파를 수신하여 물체의 인접 여부를 감지하고, 지그비 등에 의한 무선 통신 기능 역시 가능한 경우에는, 물체 감지를 위한 신호의 방사 패턴과, 무선 통신을 위한 방사 패턴 사이에 간섭이 최소화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갖고, 이들 센서를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조명 장치에 있어서, 센서들 사이의 신호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제안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제 1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제 1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물체의 유무 또는 상기 물체의 인접 여부를 센싱하기 위한 물체 감지부와, 상기 물체 감지부에 의하여 센싱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LED 조명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타 기기와의 통신 수행을 위한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체 감지부와 상기 무선 통신부는 단일의 상부 커버에 의해 보호되는 통신 수단으로 구성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조명 장치에 의해서, 이종의 신호에 대한 송수신이 필요한 경우에, 방사되는 패턴들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신호들 사이의 간섭이 줄어드는 것에 의하여, 복수의 센싱 동작과, 그에 따른 조명의 제어가 보다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조명 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환경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조명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조명 장치에서 조명 수단과 통신 수단이 배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실시예의 통신 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라 물체 감지부를 이용하여 물체의 접근 여부를 센싱하기 위한 영역을 설정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라 물체 감지부를 구성하는 패드형의 송신기와 수신기를 배열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물체 감지부와 무선 통신부의 방사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자세히 설명하여 본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조명 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환경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발광 수단으로 LED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들(100,200)은 소정 간격을 두고서 차도를 비추도록 인도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의 조명 장치는 접근해오는 사람(20)이나 자동차(10)를 감지할 수 있도록 물체 감지부를 포함하고, 또한, 인접한 조명 장치들 사이에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외부의 컨트롤러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 장치가 차도와, 인도 일부를 조명하도록 설치되는 경우에, 차도의 되도록 많은 영역에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LED 소자의 배열과 렌즈의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조명 장치 쪽으로 사람(20)이나 자동차(10)가 접근하는 때에 빛이 조사되도록 설정된 경우라면, 사람(20)과 자동차(10)의 유무 또는 사람(20)과 자동차(10)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물체 감지부가 조명 장치에 마련된다.
이러한 물체 감지부는 전파를 송출하고, 송출된 전파를 수신함으로써 물체의 유무를 감지하거나, 수신한 전파의 주파수 차이로부터 물체의 접근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레이더 장치가 그 예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조명 장치들(100,200) 사이에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며, 조명 장치들간에는 양방향 통신이 이루어지거나, 제 1 조명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만을 수신하는 제 2 조명 장치로 구성된 일방향 통신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터널 입구에 설치된 제 1 조명 장치는 물체 접근 여부를 센싱하기 위한 레이더와 같은 물체 감지부와, 소정의 정보(물체 인접 여부에 대한 사항)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부를 구비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본다. 이때, 상기 제 1 조명 장치와 인접하게 배치되면서, 터널 내에 설치된 제 2 조명 장치의 경우에는, 제 1 조명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수신부가 마련되는 것으로 조명의 온/오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제 1 조명 장치로부터 물체 감지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 기설정된 시간만큼 조명 온이 되도록 설정된다면, 제 2 조명 장치는 별도의 레이더 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한편, 위와 같은 조명 장치의 물체 감지 기능과, 조명 장치들 사이의 무선 통신을 위해서는, 조명 장치 내에 물체 감지부와 무선 통신부와 같은 센서들이 장착되어야 한다. 특히, 무선 신호를 이용한 물체 인식과, 무선 신호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의 경우에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 송출/수신에 의한 신호 간섭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체 감지를 위한 신호 송출은 사람(20)이나 자동차(10)가 접근하게 되는 물체 감지 영역(50)으로 레이더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신호가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그리고, 다른 기기(인접한 조명 장치나 원격 제어 장치 등)와 무선 통신을 위한 방향(60)이 상기 물체 감지 영역(50) 측으로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조명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2에는 상호간에 무선 통신이 가능한 복수의 조명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물체 감지부와 무선 통신부가 모두 마련되는 경우에 해당하는 제 1 조명 장치의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여 본다.
실시예의 조명 장치는 송출한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물체의 인접 여부를 센싱하는 물체 감지부(120)와, 상기 물체 감지부(120)의 센싱 결과에 따라 LED 광원으로 구성된 조명부(1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0)와, 제 1 조명 장치의 동작 상황 또는 물체 감지부(120)에 의하여 센싱된 결과의 정보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도록 하는 무선 통신부(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조명부(150), 물체 감지부(120) 및 무선 통신부(14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30)가 마련된다.
상기 물체 감지부(120)는 마이크로파와 같은 전자기파를 송출하는 송신기(121)와, 상기 송신기(121)로부터 송출된 전자기파를 수신하는 수신기(1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송신기(121)와 수신기(122)에 의한 전자기파의 송출과 수신에 기초하여, 물체와의 거리를 판단하거나 물체의 인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물체와의 거리는 상기 수신기(122)에 의해서 수신되는 전자기파의 수신 시간을 확인하는 것에 의하여 가능하고, 물체의 인접 여부는 수신된 전자기파의 주파수를 확인하는 것에 의하여 가능하다.
한편, 상기 무선 통신부(140)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타 기기로부터 전달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거나, 소정의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IEEE 802.15.4 표준에 해당하는 지그비(zigbee)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10~20m 이내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조명 장치들 사이에 무선 통신이 충분히 수행될 수 있다.
조명 장치에 따라서는, 인접한 다른 조명 장치로 무선 신호를 송출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일부 조명 장치의 경우에는 타 조명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무선 신호에 의존하여 동작될 수 있다. 설치되는 조명 장치의 위치에 따라서, 제 1 조명 장치에서만 레이더 시스템으로서 물체 감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 1 조명 장치와 인접하게 설치되는 제 2 조명 장치는 지그비 통신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무선 통신부만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제 2 조명 장치는, 상기 제 1 조명 장치의 무선 통신부(140)로부터 전달되는 무선 신호에 따라 조명부(250)의 동작을 제어하고, 제 2 조명 장치의 무선 통신부(240)로 수신되는 신호에는 물체의 감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제 2 조명 장치의 제어부(210)는 상기 무선 통신부(240)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부(250)의 동작 온/오프 및 동작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조명 장치의 무선 통신부(240)는 인접한 제 3 조명 장치로 상기 물체 감지부(120)에 의하여 센싱된 결과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조명 장치의 제어부(210)는 조명부(250)의 동작을 제어하면서, 상기 무선 통신부(240)를 통하여 제 2 조명 장치로 제어 신호를 송출한다. 여기서, 제어 신호는, 제 1 조명 장치의 물체 감지부(120)에 의한 센싱 정보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체 감지부(120)가 각각의 조명 장치에 모두 구성되지 않는 경우라도, 물체가 제 1 조명 장치에 접근한 다음, 제 2 조명 장치로 이동하는 경우에, 제 1 조명 장치와 제 2 조명 장치가 순차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물체 감지부(120)에서 전자기파를 송수신하여 물체 감지를 하는 때와, 인접한 조명 장치로 무선 신호를 송출하는 때에 상호간에 신호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실시예의 조명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도면과 함께 자세히 설명하여 본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조명 장치에서 조명 수단과 통신 수단이 배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앞선 도면에서 광원인 LED 어레이가 배치되는 광원부를 이하의 도면에서는 조명 수단(550)이라 하고, 물체 감지부와 무선 통신부가 마련되는 구성을 통신 수단(570)이라고 칭하여 본다.
실시예의 조명 장치(500)는 스탠드(1)와 같은 지지 수단에 의하여 바닥을 조명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외형을 형성하는 커버(501)와, LED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이 바닥을 향하도록 조명 장치의 배면에 마련되는 조명 수단(550)과, 조명 대상 영역에 대해서 물체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아래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통신 수단(570)을 포함한다.
상기 통신 수단(570)은 상기 조명 수단(550)에 의하여 조명될 수 있는 영역에 대한 물체의 인접 여부를 센싱하기 위하여 송출되는 전자기파가 지면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특히, 상기 통신 수단(570)은 내장된 복수개의 센서들에서 발생되는 신호의 간섭을 최소화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실시예의 통신 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통신 수단(500)은 그 내부에 레이더 장치인 물체 감지부(120)와, 상기 물체 감지부(120)를 통한 전자기파의 송출 및 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물체 감지 회로(520)와, 지그비 등과 같은 방법으로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 통신부(140)와, 상기 무선 통신부(14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무선 통신 회로(5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물체 감지 회로(520)와 무선 통신 회로(540)는 서로 다른 PCB로 이루어지거나, SoC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제어부의 기능을 한다.
또한, 통신 수단(500)은 상기 물체 감지부(120)와 무선 통신부(140)와 같은 센서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측을 지지하는 바텀 프레임(571)을 포함한다. 특히, 통신 수단(500)의 외형을 구성하는 커버는 상기 물체 감지부(120)와 무선 통신부(140) 각각이 위치하는 영역에 대하여 다른 형상을 갖는다.
상세히, 통신 수단(500)은 상기 바텀 프레임(571) 상에 위치하고 내부에 센서들이 수용되는 측면부(574)와, 상기 측면부(574)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물체 감지부(120) 상측에 위치하는 제 1 상부 커버(572)와, 상기 측면부(574)로부터 연장되면서 상기 무선 통신부(140) 상측에 위치하는 제 2 상부 커버(573)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제 1 상부 커버(572)는 내부에 수용된 물체 감지부(120) 상측에 위치하는 커버로서, 상기 물체 감지부(120)로부터 송출되는 전자기파와 수신되는 전자기파의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평평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상기 물체 감지부(120)를 구성하는 송신기 또는 수신기의 상부면과 평행한 면을 갖도록 상기 제 1 상부 커버(57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물체 감지부(120)를 구성하는 송신기와 수신기에 의한 신호의 송출시 또는 수신시에 전자기파 파형의 왜곡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상부 커버(572)는 물체 감지부의 송신기 또는 수신기 상부면과 평행한 면이 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상부 커버(573)는 상기 제 1 상부 커버(572)의 일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면서 수용된 무선 통신부(140)를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무선 통신부(140)는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안테나로서, 상기 물체 감지부(120)와는 소정 거리를 두고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무선 통신부(140)는 무선 통신 회로(540)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무선 통신부(140)를 보호하기 위한 상기 제 2 상부 커버(573)는 상기 무선 통신부(140) 상측 및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통신 수단(500) 내에 수용되는 물체 감지부(120)의 위치와, 제 1 상부 커버(572)의 형상에 대해서는 도 7에 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신기와, 각각의 송신기와 쌍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기로 이루어진 물체 감지부(120)는 플레이트 형상의 물체 감지 회로(520)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커버(572)는 굴곡이 제로에 가까운 평평한 영역의 레이더 신호 통과 영역(572a)을 포함하고, 상기 레이더 신호 통과 영역(572a)의 수직 하방에는 상기 물체 감지부(120)가 위치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물체 감지부(120)에 의한 전자기파의 송신과 수신시 빛 굴절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체 감지 회로(520)의 하측에는 무선 통신 회로(54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통신 회로(540)에는 수직 상방으로 연장형성된 무선 통신부(140)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물체 감지 회로(520)와 무선 통신 회로(540)로 이루어진 회로부 하측에는 후크(577a) 결합이 가능한 하측 덮개(577)가 위치한다. 그리고, 회로부와 하측 덮개(577) 사이에는 수분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환형의 실링 부재(576)가 개재된다. 또한, 상기 통신 수단(500)은 조명 장치의 하면에 결합되며, 바텀 프레임(571) 외측에 마련되는 나사 삽입홀(571a)을 관통하는 나사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통신 수단(500)의 하부에는 하측 덮개(577)가 위치하고, 상기 하측 덮개(577)의 일측에 마련되는 후크(577a)는 바텀 프레임(571)의 측벽(574)과 후크 결합하게 된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통신 수단(500)이 조명 장치에 결합되는 때에, 상기 하측 덮개(577)가 조명 장치 내주면에 접하는 부분이 되고, 상기 제 1 상부 커버(572)로부터 제 2 상부 커버(573)로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조명 장치 내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의 통신 수단에서는, 조명부와 무선 통신부 사이에 물체 감지부가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무선 통신부에 의하여 송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방사 패턴 내에, 물체 감지를 위한 레이더 장치의 전자기파 송수신의 방사 패턴이 위치하도록 하는 것과 관련된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라 물체 감지부를 이용하여 물체의 접근 여부를 센싱하기 위한 영역을 설정하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라 물체 감지부를 구성하는 패드형의 송신기와 수신기를 배열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물체 감지부와 무선 통신부의 방사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도면부호 10A 방향은 조명하고자 하는 대상 영역이 되는 도로폭 등이 될 수 있으며, 도면부호 10B 방향은 자동차 또는 사람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예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자동차는 도 10에서 좌에서 우측, 또는 우에서 좌측으로 통행하게 되며, 물체 검출부는 좌에서 우로 이동하는 물체 또는 우에서 좌로 이동하는 물체를 센싱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타겟 방향이 되는 물체의 이동 방향을 고려하여 물체 검출부의 송신기와 수신기가 설치되어야 하며, 접근하는 물체의 방향을 따라 송신기와 수신기가 배열되어야 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체가 이동하는 방향(10B)으로 송신기들(121a,121b,121c,121d)과, 각각의 송신기에 대응되는 수신기들(122a,122b,122c,122d)이 배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한 쌍의 송신기(121a) 수신기(122a)는 감지 대상의 물체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이것은 제 1 송신기(121a)로부터 송출된 전자기파가 물체에서 반사된 후 제 1 수신기(122a)로 입사되는 때에 해당 전자기파의 방사 패턴을 고려한 설계이다. 나머지 각각의 송신기와 수신기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며, 도 11에는 4쌍의 패드형 송신기와 수신기가 어레이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외부 기기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140)는 상기 물체 감지부(120)에 대하여 조명 대상 영역의 방향인 10A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선 통신부(140)는 상기 물체 감지부(120)와 소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며, 특히, 상기 물체 감지부(120)로부터 10A 방향(조명 대상 영역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물체 감지부(120)를 구성하는 송신기와, 상기 송신기와 쌍이 되는 수신기를 연결하는 가상선에 대해서, 상기 무선 통신부(140)는 상기 가상선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도 12와 같은 방사 패턴을 얻을 수 있다. 즉, 제 1 방향(예를 들면, 좌우측 방향)으로 제 1 신호(레이더 신호)가 방사되어야 하는 경우에, 제 2 신호를 방사하는 구성요소는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양 신호간의 간섭을 줄일 수 있다.

Claims (9)

  1. 제 1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제 1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물체의 유무 또는 상기 물체의 인접 여부를 센싱하기 위한 물체 감지부와,
    상기 물체 감지부에 의하여 센싱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조명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타 기기와의 통신 수행을 위한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체 감지부와 상기 무선 통신부는 단일의 상부 커버에 의해 보호되는 통신 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물체 감지부는, 제 1 신호를 송출하는 송신기와, 상기 제 1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로 구성되고,
    상기 송신기와 수신기가 배열되는 방향과 상기 무선 통신부의 안테나의 연장방향은 서로 교차되는 조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 감지부와 무선 통신부는 상기 상부 커버 내에 수용되고,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물체 감지부 상측에 위치하는 제 1 상부 커버와, 상기 무선 통신부 상측에 위치하는 제 2 상부 커버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부 커버는 상기 물체 감지부의 수직 상방에 위치하는 영역이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지는 조명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부 커버는 상기 물체 감지부의 상부면과 평행한 면이 적어도 일부 형성되는 조명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와 수신기가 배열되는 방향과 상기 무선 통신부의 안테나의 연장방향은 서로 수직한 조명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상부 커버를 향하여 연장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상부 커버는 상기 무선 통신부의 측면과 단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조명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 감지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 보다 상기 조명에 더 인접하게 배치되는 조명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조명 장치의 본체에 결합되는 바텀 프레임과, 상기 바텀 프레임 상에 결합되는 상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바텀 프레임 및 상부 커버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상기 물체 감지부에 의한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물체 감지 회로와,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한 신호의 송신 또는 수신기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 통신 회로가 수용되는 조명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회로와 바텀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바텀 프레임에 착탈가능한 하측 덮개가 더 제공되는 조명 장치.
KR1020140091218A 2014-07-18 2014-07-18 조명 장치 KR101658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218A KR101658699B1 (ko) 2014-07-18 2014-07-18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218A KR101658699B1 (ko) 2014-07-18 2014-07-18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172A KR20160010172A (ko) 2016-01-27
KR101658699B1 true KR101658699B1 (ko) 2016-09-21

Family

ID=55309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1218A KR101658699B1 (ko) 2014-07-18 2014-07-18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6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276B1 (ko) 2010-07-22 2010-12-14 이흥태 무선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2138A (ko) * 2004-02-17 2005-08-22 서정수 교통감지 무선 송신기
KR20100054651A (ko) * 2008-11-14 2010-05-25 김종석 가로등의 연동점등 제어시스템
KR102191568B1 (ko) * 2014-05-26 2020-12-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통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276B1 (ko) 2010-07-22 2010-12-14 이흥태 무선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172A (ko) 2016-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63859C2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людей и/или передвижных машин в шахтовых полостях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rfid-технологии и инженерная система выемки руды из длинного очистного забоя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данного способа
US9179526B2 (en) Lighting system with illuminance control
EP2084945B1 (en) Lighting device for floors
KR100826828B1 (ko) Rfid를 이용한 이동 로봇의 위치 인식 장치 시스템 및방법
KR102246174B1 (ko) 맨홀뚜껑 및 이를 이용한 맨홀관리시스템
CN103718222A (zh) 用于在侵略环境中警告危险情况的报警系统
CN101300099B (zh) 用于在工件上定位工具的显示设备
CN104813139A (zh) 用于设施的系统和用于操作系统的方法
US10634299B2 (en) Motion sensor based lighting fixture operation
JP2018166047A (ja) 照明システム
KR101658699B1 (ko) 조명 장치
JP2015106814A (ja) 電波送信装置及び位置測定システム
KR102129440B1 (ko) 연성회로기판에 기반한 통신 장치
US20170123043A1 (en) Medical device system and a method for locating medical devices and mobile control units of said medical device system
JP2008301004A (ja) Rfidタグとrfidタグ通信装置における通信制御方式
CN103314306A (zh) 包括多个对象检测模块的系统
KR102172023B1 (ko) Rfid를 이용한 주차감지장치
CN104067291A (zh) 向无线通信系统中的至少一个移动部件、尤其是rfid系统的rfid标签供能的方法和系统
JP2015175615A (ja) 位置情報システム
KR101272405B1 (ko) 멀티 홉 기반의 컨테이너 보안시스템 및 장치
CN113924504A (zh) 用于Li-Fi通信和地理定位的电子设备
EP3749918B1 (en) Electronic distance measurement and corresponding method for configuring an assembly comprising a low power light source
KR20180029705A (ko) 비콘을 이용한 주차 차량 감지 장치 및 방법
JP7411530B2 (ja) ワイヤレス給電システム
KR101785048B1 (ko) 휴대 장치의 차량 실내외 위치 판별을 위한 차량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