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547B1 -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8547B1
KR101658547B1 KR1020090073204A KR20090073204A KR101658547B1 KR 101658547 B1 KR101658547 B1 KR 101658547B1 KR 1020090073204 A KR1020090073204 A KR 1020090073204A KR 20090073204 A KR20090073204 A KR 20090073204A KR 101658547 B1 KR101658547 B1 KR 101658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cover
opening
camera
r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3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5800A (ko
Inventor
김경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3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547B1/ko
Publication of KR20110015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5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가 간편하여 개인이 소지하고 이동하며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모듈의 렌즈와 피사체를 확인하기 위한 반사경의 초점이 거의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반사경에서 확인되는 피사체의 모습과 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되는 이미지 사이에 오차가 거의 발생되지 않아 셀프카메라모드로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에도 정확한 사진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피사체의 모습을 확인하기 위한 반사경이 렌즈를 보호하기 위한 렌즈커버에 구비되므로, 반사경의 장착을 위한 별도의 공간이 요구되지 않아 공간활용도가 향상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별도의 구성이 하나의 구성으로 결합되어 단말기의 외관을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으므로 디자인의 설계자유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카메라, 렌즈, 커버, 반사경, 셀프카메라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A PORTABLE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휴대가 간편하여 개인이 소지하고 이동하며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말기는 전자회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출력하거나 처리하는 기기를 말한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는 수식이나 논리적 언어로 표현된 계산을 수행하는 모바일 컴퓨터(Mobile Computer) 및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휴대폰(Mobile phone)을 포함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는 동영상, 음악, 이미지 등 각종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용이하게 활용하고 감상할 수 있는 피디에이(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울트라모바일피씨(Ultra mobile PC) 및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등의 휴대용 디지털기기를 포함한다.
최근 기술이 발전하면서 여러 기술이나 성능이 하나로 융합되거나 합쳐지는 디지털 컨버전스(digital convergence)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데, 이와 같은 현상에 의하여 휴대용 단말기에는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이 구비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카메라 기능이 구비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자기 자신을 피사체로 하여 직접 촬영하는 경우가 많은데, 피사체(본인)를 확인하여 정확한 위치에서 촬영을 하기 위해서 카메라 렌즈의 주변에는 볼록 거울과 같은 반사경이 구비되었다.
이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가 간편하여 개인이 소지하고 이동하며 사용할 수 있도록 경박단소(輕薄短小)를 추구하고 디자인을 중요시하는 경향이 강하여 기기를 작동하기 위한 부품들이 설치되는 공간을 최적화하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반사경이 카메라 모듈의 주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경우, 상기 반사경에 확인되는 피사체의 위치와 상기 카메라 렌즈에 확인되는 피사체의 위치는 차이가 발생하여 정확한 사진을 촬영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반사경이 휴대용 단말기에서 카메라 모듈과 분리된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의 디자인 설계시 카메라 모듈과 반사경을 각각 고려하여야 하므로 디자인의 설계 자유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모듈에서 렌즈의 초점과 피사체를 확인하기 위한 반사경의 초점이 동일하게 구성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사체가 반사되는 반사경이 카메라모듈과 함께 구성되어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개구부가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개구부에 렌즈가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렌즈를 통과한 피사체의 광이미지를 결상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카메라모듈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빛을 반사시키는 렌즈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렌즈커버에는 피사체의 상이 맺히는 반사경이 상기 개구부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상기 반사경은 상기 렌즈커버에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에 선택적으 로 노출된다.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고, 전류가 인가되면 자기력에 의해 상기 렌즈커버를 회전시키는 구동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렌즈커버는 카메라촬영모드 중 셀프카메라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개구부를 닫고, 사진 촬영을 위한 전기신호가 전달되었을 때 상기 개구부를 개방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모듈의 렌즈와 피사체를 확인하기 위한 반사경의 초점이 거의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반사경에서 확인되는 피사체의 모습과 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되는 이미지 사이에 오차가 거의 발생되지 않아 셀프카메라모드로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에도 정확한 사진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피사체의 모습을 확인하기 위한 반사경이 렌즈를 보호하기 위한 렌즈커버에 구비되므로, 반사경의 장착을 위한 별도의 공간이 요구되지 않아 공간활용도가 향상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별도의 구성이 하나의 구성으로 결합되어 단말기의 외관을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으므로 디자인의 설계자유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휴대용 단말기에는 휴대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컴퓨터(mobile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피디에 이(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피엠피(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전면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단말기의 본체(10)는 바(bar)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본체(10)의 외관 및 골격은 하우징(12)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2)은 설계조건에 따라 제1하우징(14) 및 제2하우징(16)으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하우징(14)과 제2하우징(16)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상기 하우징(12)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스테인레스스틸(STS) 또는 티타늄(Ti)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12)의 내부에는 각종 메모리(ROM 및 RAM), 인터럽트 컨트롤러, 메인기판 및 배터리 등 기기의 작동에 필요한 구성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10)에는 디스플레이부(20), 사용자입력부(30), 음향출력부(40), 마이크(42) 및 카메라어셈블리(10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1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메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구동회로에 의해서, 각 화 소의 발광상태가 서로 달리 구현되어 전체적으로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를 말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상기 본체(1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화면에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및 일렉트로 루미네센스(Electro-Luminescence, EL) 표시장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등과 같이 메트릭스 형태로 화소가 배치되어 동작되는 모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에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에는 사용자 입력부(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30)는 설계조건에 따라 상기 하우징(12)의 전면, 후면 또는 측면 등에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30)는 상기 본체(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촉각을 느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30)는 음향의 출력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20)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30)는 제1사용자 입력부(132), 제2사용자 입력부(132)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사용자 입력부(132)는 상기 하우징(12)의 전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2사용자 입력부(134)는 상기 하우징(12)의 측면에 구비된다.
상기 제1사용자 입력부(32)는 상기 본체(10)의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 등의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거나, 상기 본체(10)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2사용자 입력부(34)는 음향출력부(40)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20)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또는 사진촬영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에는 음향출력부(40)가 구비된다. 상기 음향출력구(40)는 신호 수신, 통화모드,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또는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생성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음향출력부(40)는 상기 본체(1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출력부(40)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에는 마이크(42)가 구비된다. 상기 마이크(42)는 통화모드, 녹음모드 또는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상기 마이크(42)에서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 등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4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10)에는 인터페이스부(50), 플래쉬(60) 및 카메라어셈블리(10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측면에는 인터페이스부(60)가 구비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60)는 상기 본체(1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의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물리적 /가상적 매개체이다. 상기 인터페이스부(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입출력(Input/Output) 포트, 비디오 입출력(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상기 인터페이스부(6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단말기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상기 본체(1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60)는 단말기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본체(1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본체(1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전원은 상기 본체(1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상기 본체(10)의 배면에는 플래쉬(60)가 구비된다. 상기 플래쉬(60)는 순간적인 섬광을 발생시킴으로써 촬영 장면을 밝히는 장치이다. 상기 플래쉬(60)는 카 메라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상기 플래쉬(60)는 카메라어셈블리(10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카메라어셈블리(100)는 사진을 찍기 위한 카메라모듈(102)과, 카메라케이스(110)와, 빛을 반사하는 반사경(130)이 구비된 렌즈커버(12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모듈(102)은 촬영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디지털 저장매체에 저장한다.
상기 카메라모듈(102)에는 피사체의 광 이미지를 입사 받을 수 있도록 다수의 렌즈로 구성되는 렌즈부(104) 및 상기 렌즈부(104)를 통해 전달되는 광 이미지를 결상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이미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렌즈부(104)는 빛을 모으거나 발산시켜 광학적 상을 맺게 하는 물체로서, 볼록렌즈와 오목렌즈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모듈(102)은 후술할 프레임(200)의 개구부(202)에 렌즈부(104)가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렌즈부(104)를 통과한 피사체의 광이미지를 결상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모듈(102)은 필름 없이 전자 센서를 이용하여 영상을 감지하고, 그 영상정보를 JPEG, TIFF, Raw 포맷, GIF 등의 디지털 이미지 파일 형식이나 MPEG, DV, MJPEG 등의 디지털 동영상 파일 형식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카메라 어셈블리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카메라케이스(110)는 상기 카메라모듈(102)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구비된다. 상기 카메라케이스(110)는 상기 카메라모듈(102)을 보호하는 동시에 렌즈커버(102)의 작동을 위한 구성이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카메라케이스(110)에는 개방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개방부(112)는 후술할 프레임(200, 도 6 참조))에 형성되는 개구부(202)에 대응되어 실질적으로 구분되지는 않으므로, 이하 개구부(202)로 통칭한다. 상기 개구부(202)에는 카메라모듈(102)의 렌즈부(104)가 위치된다.
상기 렌즈커버(120)는 프레임(200)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상기 개구부(20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빛을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렌즈커버(120)는 설계조건에 따라 두 개 이상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1렌즈커버(122)와 제2렌즈커버(1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렌즈커버(122) 및 상기 제2렌즈커버(126)는 상호 대칭되게 구비되어,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회전하여 상기 개구부(202)를 개폐한다. 상기 제1렌즈커버(122) 및 상기 제2렌즈커버(126)는 대략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호 접합하여 원형의 상기 개구부(202)를 폐쇄한다.
상기 렌즈커버(120)에는 피사체의 상이 맺히는 반사경(130)이 상기 개구부(202)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상기 반사경(130)은 상기 렌즈커버(120)에 볼록하게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202)에 선택적으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렌즈커버(120)는 카메라촬영모드 중 셀프카메라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개구부(202)를 닫고, 사진 촬영을 위한 전기신호가 전달되었을 때 상기 개 구부(202)를 개방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반사경(130)은 제1렌즈커버(122)에 형성되는 제1반사경(132)과, 상기 제2렌즈커버(126)에 형성되는 제2반사경(1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반사경(130)은 다수 개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다수 반사경(132,136)은 서로 결합에 의하여 하나의 볼록렌즈를 형성하게 된다.
볼록거울은 구(球,sphere) 바깥쪽을 반사면으로 하는 구면거울을 말하며, 빛을 발산시켜 상이 실물보다 축소되어 보인다. 따라서, 상기 반사경(130)은 그 크기가 매우 작으면서도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반사경(130)과 상기 렌즈부(104)는 상기 개구부(202)에 구비되고, 상기 반사경(130)은 상기 렌즈부(104)에 대응되게 구비되므로, 상기 반사경(130)과 상기 렌즈부(104)의 초점은 거의 동일하게 구성되어 사진촬영이 보다 정확해 질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반사경(130)이 상기 렌즈커버(120)에 구비되면, 피사체를 확인하기 위한 거울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상기 본체(10)의 외관이 깔끔해지고 디자인을 위한 설계자유도가 향상된다.
상기 반사경(130)은 볼록거울을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렌즈커버(120)는 상기 개구부(202)에 대응되는 부분이 볼록하게 구비되어 일정한 곡률의 구면을 형성하고, 이와 같은 구면에 반사코팅으로 빛을 반사하는 반사경(130)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설계조건에 따라 상기 렌즈커버(120)가 편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되고, 볼록거울 형태의 다른 구성을 장착하여 상기 반사경(130)을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렌즈커버(120)에는 결합공(140)과 가이드돌기(142)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공(140)은 상기 렌즈커버(120)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돌기(142)는 후술할 구동유닛(190)에 의해 발생하는 구동력이 상기 렌즈커버(120)에 전달되도록 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렌즈커버가 닫힌 상태를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렌즈커버가 열린 상태를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렌즈커버(120)는 평상시 상기 카메라모듈(102) 및 렌즈부(104)를 은폐하여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렌즈커버(120)에 구비된 반사경(130)은 빛을 반사하여 사물의 모습을 비추는 역할을 하는데, 사용자가 셀프카메라모드에 의하여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반사경(130)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피사체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반사경(130)을 이용하여 피사체의 위치를 확인하고 촬영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렌즈커버(120)가 상기 개구부(202)를 개방하여 상기 렌즈부(104)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 렌즈부(104)가 개방됨과 동시에 상기 카메라모듈(102)은 피사체의 모습을 촬영하여 디지털저장매체에 저장함으로써 사진 촬영이 완료된다.
이하, 상기 렌즈커버(120)의 개폐동작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프레임과 구동유닛을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렌즈커버가 닫힌 상태의 내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렌즈커버가 열린 상태의 내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카메라케이스(110)의 내부에는 프레임(200)과 상기 구동유닛(210)이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200)은 상기 카메라케이스(110)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그 내측에는 원형의 개구부(202)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202)는 상기 렌즈(104) 및 상기 렌즈커버(120)가 구비되기 위한 공간이다.
상기 프레임(200)에는 상기 렌즈커버(120)의 결합공(140)에 삽입되는 회전축(204)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204)은 상기 프레임(200)의 상면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렌즈커버(120)의 결합공(140)을 관통한다.
상기 프레임(200)에는 구동유닛(210)이 구비된다. 구동유닛(210)은 전류가 인가되면 자기력에 의해 상기 렌즈커버(120)를 회전시킨다. 상기 구동유닛(210)은 상기 프레임(200) 상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플레이트(220)와, 상기 플레이트(22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플레이트(220)는 대략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2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220)는 상기 구동부(24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렌즈커버(120)를 회전시켜 상기 개구 부(202)를 개폐하는 동력 전달체 역할을 한다.
상기 플레이트(220)에는 곡선을 이루는 호(弧) 형상의 구동슬릿(222)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슬릿(222)은 후술할 구동부(240)의 구동축(248)이 삽입되고, 상기 플레이트(220)는 구동축(248)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플레이트(220)에는 상기 구동슬릿(222)과 분리된 가이드슬릿(224)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릿(224)은 곡선을 이루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렌즈커버(120)에 구비된 가이드돌기(142)가 삽입된다. 즉, 상기 플레이트(220)의 회전이 상기 가이드돌기(142)를 이동시켜 상기 렌즈커버(120)가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 구동부(240)는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렌즈커버(12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구동부(240)는 상기 프레임(200)에서 상기 개구부(202)에 대하여 편심된 위치에 장착된다.
상기 구동부(240)는 코일(242), 요크(244), 자석(246) 및 구동축(248)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코일(242)에 전원이 인가되면 자기력에 의해 상기 구동축(248)이 원형을 그리며 회전하게 되는 구조로 구비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요크(244)의 일측 단부(직선측)를 마주하는 상기 자석(246)의 일부가 S극이고, 상기 요크(244)의 타측 단부(곡선측)을 마주하는 상기 자석(246)의 일부가 N극인 상태에서, 상기 코일(242)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요크(244)의 일측 단부(직선측)에 S극, 타측 단부(곡선측)에 N극이 형성되면, 상기 요크(244)의 S극이 상기 자석(246)의 S극을 밀어내는 동시에 N극을 끌어당기려는 힘이 작용하여 상기 구동축(248)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200)에서 상기 개구부(202)에 대하여 편심된 위치에 장착된 상기 구동부(240)의 작동에 의해 상기 구동축(248)이 원형을 그리며 회전하면, 상기 구동축(248)은 상기 구동슬릿(222)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이로 인해 상기 구동슬릿(222)이 형성된 상기 플레이트(220)는 상기 개방구(202)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플레이트(2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슬릿(224)도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가이드슬릿(224)에는 상기 가이드돌기(142)가 삽입되어 있는 바, 상기 가이드돌기(142)는 상기 가이드슬릿(224)을 따라 슬라이딩하게 되고, 결국 상기 렌즈커버(120)는 상기 프레임(200)과의 힌지결합된 부위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개구부(202)를 개폐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셀프카메라촬영을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10)에서 카메라촬영모드가 선택되면(S300), 상기 구동유닛(210)에 전류가 인가되어 상기 렌즈커버(120)가 열리게 되고(S310), 촬영모드 선택단계(S320)에서 일반모드 또는 셀카(셀프카메라)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촬영모드 선택단계(S320)에서 일반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0)에서 피사체의 모습을 확인하며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S330).
한편, 사용자가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기 위해서 상기 촬영모드 선택단 계(S320)에서 셀카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렌즈커버(120)가 상기 개구부(202)를 차폐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모습(피사체)를 상기 렌즈커버(120)에 구비된 상기 반사경(130)을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S400).
상기 반사경(130)을 통해 피사체의 위치를 확인한 후, 사진 촬영을 위해 촬영버튼(사용자입력부 등)을 누르게 되면(S410), 상기 렌즈커버(120)가 열리면서 상기 개구부(202)를 개방하여 상기 렌즈부(104)가 노출되고(S420), 상기 카메라모듈(102)은 피사체의 이미지를 획득하게 된다.(S430)
이와 같이 상기 카메라모듈(102)을 통해 사진 촬영이 완료되면, 상기 렌즈커버(120)가 닫히게 되고(S440),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S450).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전면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카메라 어셈블리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렌즈커버가 닫힌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렌즈커버가 열린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프레임과 구동유닛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렌즈커버가 닫힌 상태의 내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렌즈커버가 열린 상태의 내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셀프카메라촬영을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20: 디스플레이부
30: 사용자 입력부 100: 카메라어셈블리
102: 카메라모듈 104: 렌즈부
110: 카메라케이스 120: 렌즈커버
130: 반사경 140: 결합공
142: 가이드돌기 200: 프레임
202: 개구부 204: 회전축
210: 구동유닛 220: 플레이트
222: 구동슬릿 224: 가이드슬릿
240: 구동부 242: 코일
244: 요크 246: 자석
248: 구동축

Claims (7)

  1. 개구부가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개구부에 렌즈가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렌즈를 통과한 피사체의 광이미지를 결상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카메라모듈;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빛을 반사시키는 렌즈커버;
    상기 렌즈커버에 구비되고 상기 렌즈와 동일한 초점을 갖는 반사경; 및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고 전류 인가 시 자기력에 의해 상기 렌즈커버를 회전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은, 카메라 촬영 모드 중 셀프 카메라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렌즈커버가 상기 개구부를 닫도록 하고, 사진 촬영을 위한 전기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렌즈커버가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카메라 촬영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렌즈커버가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카메라 촬영 모드 중 일반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개방된 개구부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090073204A 2009-08-10 2009-08-10 휴대용 단말기 KR101658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204A KR101658547B1 (ko) 2009-08-10 2009-08-10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204A KR101658547B1 (ko) 2009-08-10 2009-08-10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800A KR20110015800A (ko) 2011-02-17
KR101658547B1 true KR101658547B1 (ko) 2016-09-21

Family

ID=43774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3204A KR101658547B1 (ko) 2009-08-10 2009-08-10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54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0454A (ja) 2005-11-17 2007-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カメラモジュールのシャッター駆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502B1 (ko) * 2002-10-29 2005-03-10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
KR100474035B1 (ko) * 2002-10-29 2005-03-10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
KR20050100759A (ko) * 2004-04-14 2005-10-20 주식회사 팬택 본인의 촬영이 용이한 이동 통신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0454A (ja) 2005-11-17 2007-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カメラモジュールのシャッター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800A (ko) 201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41522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EP2411900B1 (en)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touch screen functionality
CN106331450B (zh) 摄像头旋转装置和终端
KR10166196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RU2452123C2 (ru) Тонкая активная крышка камеры для электр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US9609099B2 (en) Mobile terminal
US20080122945A1 (en) Shutter key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with image sensor
EP1832091A1 (en) Flipper phone configuration
KR102267895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에 결합하는 보조 장치
CN209488641U (zh) 摄像头模组和电子设备
KR20210098292A (ko)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799996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amera pop-up structure
CN111880888A (zh) 预览封面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6791339A (zh) 成像系统及其控制方法
KR20160098871A (ko) 방수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JP3738195B2 (ja) 携帯電話端末
KR20150084159A (ko) 이동 단말기
KR101454238B1 (ko) 확장 모듈 및 그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658547B1 (ko) 휴대용 단말기
KR20090077605A (ko) 휴대 단말기
CN112312055B (zh) 电子设备及图像处理方法
KR101480453B1 (ko) 휴대 단말기
JP2003188953A (ja) 携帯電話装置
KR101604749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제조방법
KR101649635B1 (ko)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