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7891B1 - 적층식 방사선 조준기 및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적층식 방사선 조준기 및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7891B1
KR101657891B1 KR1020150056058A KR20150056058A KR101657891B1 KR 101657891 B1 KR101657891 B1 KR 101657891B1 KR 1020150056058 A KR1020150056058 A KR 1020150056058A KR 20150056058 A KR20150056058 A KR 20150056058A KR 101657891 B1 KR101657891 B1 KR 101657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on
hole
detector
body part
sphin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6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중
박수진
조병두
김혜미
김도현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56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78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6Diaphrag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61B6/032Transmission computed tomography [CT]
    • A61B6/035Mechanical aspects of 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0Arrangements for genera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 Nuclear Medic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층식 방사선 조준기 및 사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적층식으로 마련되는 조준기 몸체부, 몸체부홈 및 삽입부를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홀을 구비하는 조준기를 제공하여 촬영 부위에 따라 효과적으로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만드는 적층식 방사선 조준기 및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적층식 방사선 조준기 및 사용 방법{LAMINATING RADIATION COLLIMATOR AND METHOD FOR USING LAMINATING RADIATION COLLIMATOR}
본 발명은 적층식 방사선 조준기 및 사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촬영 대상(장기)에 따라 민감도 및 해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적층식 방사선 조준기 및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사선 조준기는 방사선이 필요한 부위에만 방사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만드는 장치로서, 영상 기록 범위를 제어하여 방사선 촬영을 보다 효과적으로 만드는 장치이다.
이러한 종래의 방사선 조준기들은 고정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제한적인 방향으로만 입사되는 방사선을 감지할 수 있어 해상도 및 민감도를 제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방사선 조준기들은 신체 부위 또는 촬영 목적에 맞는 방사선 조준기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9173호에 개시되어 있는 시준기 및 이를 이용한 검사 시스템은 다양한 방식의 콜리메이터(조준기, 시준기)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1304호에 개시되어 있는 감마선원을 이용한 산업용 단층촬영장치는 다양한 방식의 콜리메이터를 같이 제공하거나, 특정 부위를 효과적으로 촬영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917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130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적층식으로 마련되고, 콜리메이터의 홀 크기를 조절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조준기를 제공함으로써, 핵의학에서 사용되는 광자계수 검출기 기반에 적합한 방사선 조준기(ring type collimator)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특정 부위를 촬영하거나, 촬영부위에 따라 다양하게 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삽입부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방사선 촬영을 실시할 수 있게 만드는 적층식 방사선 조준기 및 사용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링 형상으로 마련되어 360도로 촬영이 가능하고, 적층식으로 마련되어 촬영 대상에 따라 조준기의 높이를 제어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촬영을 실시할 수 있게 만드는 적층식 방사선 조준기 및 사용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적층식 방사선 조준기는 하나 이상 구비되어 적층식으로 마련되는 링 형상의 조준기 몸체부, 상기 조준기 몸체부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상기 조준기 몸체부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몸체부홈, 상기 몸체부홈과 끼움 설치되는 삽입부 및 상기 조준기 몸체부 외부에 마련되는 검출기를 포함하는 적층식 방사선 조준기를 제공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른, 적층식 방사선 조준기 사용 방법은 조준기 몸체부를 촬영 부위에 따라 적층하는 단계, 상기 조준기 몸체부에 마련되는 몸체부홈에 삽입부를 끼움 설치하는 단계 및 조준기 몸체부 외부에 마련되는 검출기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층식 방사선 조준기 사용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층식 방사선 조준기는 자유롭게 변형이 가능한 링형태의 적층식 조준기 몸체부로 구비되기 때문에 촬영 부위(장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조준기 몸체부에 마련되는 몸체부홈을 이용하여 삽입부를 끼움 설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기 때문에 목적에 따라 삽입부에 마련되는 홀의 크기를 조절하여 다양한 민감도 및 해상도를 제공할 수 있게 만드는 조준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삽입부를 텅스텐 재질로 구비하고, 조준기 몸체부를 납 재질로 구비함으로써, 적층식 방사선 조준기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광자계수 검출기를 마련함으로써, 에너지 대역을 선택하여 검출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방사선 촬영을 실시할 수 있게 만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방사선 조준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방사선 조준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방사선 조준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방사선 조준기의 사용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방사선 조준기의 지지대의 적층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방사선 조준기의 삽입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홀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방사선 조준기 사용방법을 나타낸 플로어 차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이 위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적층식 방사선 조준기 사용방법을 나타낸 플로어 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방사선 조준기(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도 1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도 1에 도시되지 않는 구성은 별도로 참조도면을 표시하였다.
본 발명의 적층식 방사선 조준기(100)는 광자계수 검출기 기반에 적합한 링 타입의 조준기(Ring Type Collimator)를 이용하여 핵의학(Nuclear Medicine, 核醫學)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는 방사선을 검출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만드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동물을 대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적층식 방사선 조준기(100)는 조준기 몸체부(10), 몸체부홈(20), 삽입부(30) 및 검출기(4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조준기 몸체부(10)는 하나 이상 구비되어 적층식으로 마련되고 링 형상으로 마련된다. 즉 도 4를 참고하면, 조준기 몸체부(10)는 내부에 촬영 대상(5)이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는 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촬영 대상(5)은 방사선 동위 원소를 투약 받아 촬영 대상(5)에서 발산하는 방사선을 후술할 삽입부(30)를 통하여 검출기(40)를 이용하여 검출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만든다. 도 2를 참고하면, 조준기 몸체부(10)는 후술할 몸체부홈(20)을 조준기 몸체부(10)의 둘레면에 관통되도록 마련되어 방사선이 몸체부홈(20)을 통과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조준기 몸체부(10)는 촬영 대상(5)의 높이나 크기에 따라 하나 이상으로 적층되도록 마련되어 촬영 대상(5)에 맞게 조준기 몸체부(10)의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조준기 몸체부(10)는 납(Pb)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후술할 삽입부(30)는 텅스텐(tungsten) 재질로 마련되어 적층식 방사선 조준기(100)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만든다. 즉 조준기 몸체부(10)를 텅스텐의 제조하는 경우 전체적인 제품의 제조비용이 증가하나 조준기 몸체부(10)를 납 재질로 마련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조준기 몸체부(10)는 조준기 몸체부(10)와 조준기 몸체부(10)가 적층식으로 마련되어 촬영 대상(5)의 높이에 따라 다양하게 조준기 몸체부(1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몸체부홈(20)은 조준기 몸체부(10)의 둘레면에 구비되고 조준기 몸체부(10)를 관통하도록 마련되며 하나 이상으로 구비된다. 즉 조준기 몸체부(10)의 둘레면을 따라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몸체부홈(20)을 이용하여 후술할 삽입부(30)가 끼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도 1 및 도 3를 참고하면, 삽입부(30)는 상기 몸체부홈(20)과 끼움 설치되도록 구비된다. 삽입부(30)는 볼트 또는 마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삽입부(30)는 방사선이 투과되는 홀(60)을 구비하고, 홀(60)의 직경은 0.1 mm 내지 5 mm 직경으로 마련되어 홀(60) 크기에 따라 민감도(sensitivity) 및 해상도(resolution)가 제어되도록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0.5 mm, 1 mm 1.5 mm 및 2 mm 로 마련되어 촬영 부위(장기) 또는 목적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홀(60)은 핀홀(pin hole)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핀홀 방식은 촬영 대상(5) 방향으로 작은 구멍(핀홀)을 구비하고 삽입부(30)의 길이, 촬영 대상(5)의 거리 및 핀홀의 크기에 따라 해상도 및 민감도를 조절할 수 있게 만드는 방식이다. 핀홀은 0.1 mm 내지 5 mm 직경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핀홀의 크기에 따라 해상도 및 민감도를 제어할 수 있다. Pinhole collimation for ultra-high-resolution small-field-of-view spect(Phys. Med. Biol. 39, 1994, 425-437)을 참고하면, 핀홀의 넓이에 따라 해상도가 결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핀홀을 0.1 mm 내지 5 mm의 직경으로 구비하여 다양한 해상도를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각각의 삽입부(30)에 다양한 크기로 마련되는 핀홀을 이용하여 목적(장기 부위)에 따라 해상도 및 민감도를 제어할 수 있게 만든다. 하나의 삽입부(30)에는 하나의 핀홀이 마련되어 핀홀의 크기에 따라 해상도 및 민감도를 제어할 수 있다. 해상도가 증가하는 경우 민감도는 낮아지고 해상도가 감소하는 경우 민감도는 높아진다. 또한, 삽입부(30)를 많이 이용할수록 검출기(40)에 도달하는 방사선이 많아지도록 구비된다.
차페부(30`)는 몸체부홈(20)과 끼움 설치된다. 차폐부(30`)는 홀(60)을 구비하지 않는 삽입부(30)를 말하는 것으로서 방사선이 투과될 수 없도록 홀(60)이 막힌 형태의 마개이다. 이는 사용하지 않는 몸체부홈(20)을 차폐하여 방사선이 투과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검출기(40)에서 방사선을 측정할 수 있게 만든다. 즉 홀(60)을 구비하는 삽입부(30)를 이용하여 방사선을 검출하는 몸체부홈(20) 이외의 다른 몸체부홈(20)은 차폐부(30`)를 이용하여 차폐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페부(30`)는 마개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검출기(40)는 조준기 몸체부(10) 외부에 마련된다. 검출기(40)는 방사선 선량을 검출하는 장치로서, 삽입부(30)를 통하여 투과는 방사선 선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조준기 몸체부(10) 외부에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검출기(40)는 광자계수 검출기로 마련될 수 있으며, 광자계수 검출기는 에너지 대역을 선택하여 검출할 수 있는 검출기(40)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범위의 에너지 대역을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검출기다. 즉 선택적으로 필요한 대역만을 검출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만든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방사선 촬영 대상(5)은 조준기 몸체부(10) 내부에 위치하고, 방사선 촬영 대상(5)은 방사선 동위 원소를 제공받아 방사선을 발산하며 검출기(40)는 방사선 촬영 대상(5)에 발산하는 방사선을 삽입부(30)를 통하여 검출하도록 마련된다. 즉 방사선 촬영 대상(5)은 방사선 동위 원소를 투약 받아 방사선을 발산하고 방사선은 촬영 대상(5)이 특정 물질들에 의하여 감약되는 정도를 검출하며 이러한 방사선 검출에 의하여 영상화 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방사선은 감마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감마선은 원자핵 내부의 에너지 준위변화에 따라 알파선 및 베타선과 함께 방출되는 고에너지 전자기파이다. 감마선은 동위 원소에서 발생하는 감마선을 검출하는 것으로서 핵의학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감마선은 알파선 및 베타선에 비하여 좋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방사선을 검출할 수 있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지지대(50)는 조준기 몸체부(10)와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2개 이상으로 마련되어 조준기 몸체부(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마련될 수 있으며, 조준기 몸체부(10) 하부에 마련되는 지지대(50)는 적층식으로 마련되어 조준기 몸체부(10)의 높이를 제어할 수 있게 만든다. 또한, 지지대(50)는 조준기 몸체부(10)의 직경과 같거나 직경보다 큰 크기로 마련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조준기 몸체부(10)를 지지할 수 있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지지대(50)는 조준기 몸체부(10)와 같은 납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대(50)는 적층식으로 마련되고 지지대(50)의 높이는 5 내지 50 mm 로 구비될 수 있다. 지지대(50)의 높이가 5 내지 50 mm 로 마련되는 경우는 소동물의 방사선 촬영에 사용되어 소동물의 촬영 부위(장기) 높이에 따라 촬영을 실시할 수 있게 만든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조준기 몸체부(10) 및 지지대(50)는 서로 체결될 수 있는 돌출부(미도시) 및 둘출부홈(미도시)을 구비하여 보다 견고하게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조준기 몸체부(10) 하부면에는 하나 이상 마련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다른 조준기 몸체부(10) 또는 지지대(50)에 마련되는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돌출부홈을 구비하여 서로 체결될 수 있게 구비된다. 이는 조준기 몸체부(10)와 조준기 몸체부(10) 또는 조준기 몸체부(10)와 지지대(50)를 보다 효과적으로 체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돌출부 및 돌출부홈은 상기 몸체부홈(20)과 겹치지 않는 부위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적층식 방사선 조준기 사용 방법에 있어서, 적층하는 단계(S20), 삽입부(30)를 끼움 설치하는 단계(S30) 및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4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적층하는 단계(S20)는 조준기(100)의 조준기 몸체부(10)를 촬영 부위에 따라 적층하는 단계(S20)이다. 이 단계(S20)에서는 촬영 대상(5)의 촬영 부위에 따라 조준기 몸체부(10)를 적층하는 단계(S20)로서, 지지대(50)를 이용하여 조준기 몸체부(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조준기 몸체부(10)의 적층시켜 필요한 범위만큼을 적층시킬 수 있게 만들 수 있다. 이는 방사선 촬영을 위한 준비단계이다.
삽입부(30)를 끼움 설치하는 단계(S30)는 조준기 몸체부(10)에 마련되는 몸체부홈(20)에 삽입부(30)를 끼움 설치하는 단계(S30)이다. 구체적으로 삽입부(30)는 상기 기술한 방식의 삽입부(30)를 이용할 수 있으며, 촬영에 사용되지 않는 몸체부홈(20)은 방사선 차폐부(30`)로 방사선을 차폐하도록 마련되어 필요 부위에서 방사선이 투과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40)는 조준기 몸체부(10) 외부에 마련되는 검출기(40)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40)로 삽입부(30)를 통과한 방사선을 검출기(40)를 이용하여 검출하고 이 검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방사선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이다. 상기 기술한 방식의 삽입부(30)를 이용하여 촬영 목적에 따라 다른 삽입부(30)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만들고, 필요시에는 각기 다른 삽입부(30)를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 보다 효과적으로 방사선을 검출하고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만든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적층하는 단계(S20) 이전에 방사선 동위 원소를 투약한 촬영 대상이 조준기 몸체부(10) 중앙에 위치되는 단계(S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촬영 대상을 조준기 몸체부(10)의 중앙에 위치시켜 조준기 몸체부(10)가 적층될 위치를 지정하게 만들고, 방사선 동위 원소를 투약한 촬영 대상(5)에서 발산하는 방사선을 검출하여 영상을 획득하게 만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요지와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5 : 촬영 대상,
10 : 조준기 몸체부, 20 : 몸체부홈,
30 : 삽입부, 30` : 차폐부,
40 : 검출기,
50 : 지지대, 60 : 홀
100 : 적층식 방사선 조준기,
S10 : 대상이 위치되는 단계,
S20 : 적층하는 단계,
S30 : 삽입부를 끼움 설치하는 단계,
S40 :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Claims (13)

  1. 하나 이상 구비되어 적층식으로 마련되는 링 형상의 조준기 몸체부(10);
    상기 조준기 몸체부(10)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상기 조준기 몸체부(10)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몸체부홈(20);
    상기 몸체부홈(20)과 끼움 설치되는 삽입부(30) 및
    상기 조준기 몸체부(10) 외부에 마련되는 검출기(40)를 포함하는 적층식 방사선 조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30)는 방사선이 투과되는 홀(60)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홈(20)과 끼움 설치되는 차폐부(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홀(60)의 직경은 0.1 mm 내지 5 mm의 직경으로 마련되어 상기 홀(60)의 크기에 따라 민감도 및 해상도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방사선 조준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60)은 핀홀(pinhole) 방식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방사선 조준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40)는 광자계수 검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방사선 조준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은 감마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방사선 조준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준기 몸체부(10)와 연결되는 지지대(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방사선 조준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50)는 적층식으로 마련되고,
    상기 지지대(50)의 높이는 5 내지 50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방사선 조준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준기 몸체부(10)는 납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삽입부(30)는 텅스텐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방사선 조준기.
  9. 제 1 항에 있어서,
    방사선 촬영 대상(5)은 상기 조준기 몸체부(10)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방사선 촬영 대상(5)은 방사선 동위 원소를 제공받아 방사선을 발산하며,
    상기 검출기(40)는 상기 방사선 촬영 대상(5)에서 발산하는 방사선을 상기 삽입부(30)를 통하여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방사선 조준기.
  10. 조준기 몸체부(10)를 촬영 부위에 따라 적층하는 단계(S20);
    상기 조준기 몸체부(10)에 마련되는 몸체부홈(20)에 삽입부(30)를 끼움 설치하는 단계(S30) 및
    상기 조준기 몸체부(10) 외부에 마련되는 검출기(40)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40)를 포함하는 적층식 방사선 조준기 사용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30)는 방사선이 투과되는 홀(60)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홈(20)과 끼움 설치되는 차폐부(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홀(60)의 직경은 0.1 mm 내지 5 mm의 직경으로 마련되어 상기 홀(60)의 크기에 따라 민감도 및 해상도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방사선 조준기 사용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30)는 홀(60)을 구비하고,
    상기 홀(60)의 크기에 따라 감도 및 해상도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방사선 조준기 사용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하는 단계(S20) 이전에
    방사선 동위 원소를 투약한 촬영 대상(5)이 상기 조준기 몸체부(10) 중앙에 위치되는 단계(S10)를 더 포함하는 적층식 방사선 조준기 사용 방법.
KR1020150056058A 2015-04-21 2015-04-21 적층식 방사선 조준기 및 사용 방법 KR101657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058A KR101657891B1 (ko) 2015-04-21 2015-04-21 적층식 방사선 조준기 및 사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058A KR101657891B1 (ko) 2015-04-21 2015-04-21 적층식 방사선 조준기 및 사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7891B1 true KR101657891B1 (ko) 2016-09-19

Family

ID=57103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6058A KR101657891B1 (ko) 2015-04-21 2015-04-21 적층식 방사선 조준기 및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789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75338B1 (en) * 2007-03-07 2008-05-20 General Electric Company Swappable collimators method and system
US7569826B2 (en) * 2007-03-30 2009-08-04 General Electric Company Adjustable collimators method and system
KR100931304B1 (ko) 2008-02-16 2009-12-11 한국원자력연구원 감마선원을 이용한 산업용 단층촬영장치
KR20140002537A (ko) * 2012-06-29 2014-01-08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방사선 검출 기구 및 방사선 단층촬영 장치, 및 방사선 검출 기구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KR101429173B1 (ko) 2013-08-05 2014-08-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시준기 및 이를 이용한 검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75338B1 (en) * 2007-03-07 2008-05-20 General Electric Company Swappable collimators method and system
US7569826B2 (en) * 2007-03-30 2009-08-04 General Electric Company Adjustable collimators method and system
KR100931304B1 (ko) 2008-02-16 2009-12-11 한국원자력연구원 감마선원을 이용한 산업용 단층촬영장치
KR20140002537A (ko) * 2012-06-29 2014-01-08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방사선 검출 기구 및 방사선 단층촬영 장치, 및 방사선 검출 기구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KR101429173B1 (ko) 2013-08-05 2014-08-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시준기 및 이를 이용한 검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il et al. The influence of bowtie filtration on cone‐beam CT image quality
US8063376B2 (en) Large bore PET and hybrid PET/CT scanners and radiation therapy planning using same
JP6310551B2 (ja) 放射線療法治療の案内および検証のための検出器
JP5837724B2 (ja) 可変型ピンホールタイプコリメータ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放射線画像装置
US11000701B2 (en) Dual-layer detector for soft tissue motion tracking
US4124804A (en) Compton scatter scintillation camera system
Buckley et al. Investigation of the radiation dose from cone‐beam CT for image‐guided radiotherapy: A comparison of methodologies
US10631795B2 (en) Variable pinhole collimator and radiographic imaging device using same
US10124193B2 (en) X-ray therapy system and irradiation field determining method
Star‐Lack et al. A piecewise‐focused high DQE detector for MV imaging
JP2018526623A (ja) 積層検出器を用いる同時x線及びガンマ光子イメージングのためのデバイス及び方法
US20180140265A1 (en) Radiation therapy system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5659976B2 (ja) 乳房検診用放射線撮影装置
JP5630391B2 (ja) 乳房検診用放射線撮影装置
Manohar et al. A benchtop cone‐beam x‐ray fluorescence computed tomography (XFCT) system with a high‐power x‐ray source and transmission CT imaging capability
US8384015B2 (en) Calibration source and methods for calibrating a nuclear medicine imaging system
EP2783240B1 (en) Gantry-free spect system
US6803580B2 (en) Pet and spect systems with attenuation correction
US76570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ual energy radiography
KR101657891B1 (ko) 적층식 방사선 조준기 및 사용 방법
US20070085011A1 (en) Method and imaging system for generation of a scintigraphic exposure of a patient
JP7437050B2 (ja) 核医学撮像装置
Russo et al. Distribution of absorbed dose in cone-beam breast computed tomography: A phantom study with radiochromic films
CN111067558B (zh) 图像重建方法、装置、设备及多层螺旋ct系统
Kirvan et al. Performance characterization of a MVCT scanner using multislice thick, segmented cadmium tungstate‐photodiode detec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