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7753B1 - Dlna 지원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Dlna 지원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7753B1
KR101657753B1 KR1020140020575A KR20140020575A KR101657753B1 KR 101657753 B1 KR101657753 B1 KR 101657753B1 KR 1020140020575 A KR1020140020575 A KR 1020140020575A KR 20140020575 A KR20140020575 A KR 20140020575A KR 101657753 B1 KR101657753 B1 KR 101657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information
dlna
network
ser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0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9074A (ko
Inventor
안호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40020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7753B1/ko
Publication of KR20150099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9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LNA 지원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서비스가 설치되고, DLNA 규격에 따라 네트워크의 다른 장치들과 통신하는 DLNA 지원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네트워크 접속을 확인하면 해당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처리를 준비하는 단계와; 기 설치된 복수 개의 서비스에 대응되는 각각의 서비스 정보를 모두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한 복수 개의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한 서비스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접속된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DLNA 지원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DLNA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DLNA 지원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서비스가 설치되고, DLNA 규격에 따라 네트워크의 다른 장치들과 통신하는 DLNA 지원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의 등장과 더불어 서로 다른 가전제품들, 특히 TV, 컴퓨터, NAS, 카메라 등의 각종 미디어 콘텐츠 공유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즉, 카메라에서 찍은 사진을 PC나 TV에서 보거나 PC에 저장되어 있는 영화를 대형 TV를 통해 보고, 스마트폰에 저장 된 사진을 프린트를 통해 인화하고, PC에 저장하는 등 서로 다른 기기들간의 콘텐츠 공유 및 활용에 대해 많은 사용자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런 요구와 더불어 새롭게 사람들에게 관심을 받고 있는 기술이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인데, DLNA는 DLNA인증을 통한 제품간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조사와 제품 종류에 관계없이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음악/사진/동영상)를 공유하고 재생할 수 있도록 규약을 정의하는 단체이자 해당 규약을 의미한다.
DLNA를 지원하는 단말기에는 복수 개의 서비스가 등록되어 있을 수 있는데, 네트워크상에서 제어되는 소규모 제어 단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특정 DLNA 단말기에 설치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하나의 서비스가 될 수도 있고,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복수 개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DLNA 단말기들은 네트워크에 구비된 타 단말과 서비스 단위로 통신하여 서비스를 활성화시켜왔다.
예를 들어 DLNA 단말기에 2 개의 서비스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DLNA 단말기는 네트워크에 제1 서비스에 해당하는 DLNA를 이용하여 통신하여 네트워크에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타 단말기의 서비스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이어서 제2 서비스에 해당하는 DLNA를 이용하여 통신하여 네트워크에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타 단말기의 서비스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해왔다.
이는 DLNA 단말기에 등록된 서비스가 많아질수록 그리고 네트워크상에 타 단말기 많아질수록 통신의 횟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며 단말내에 불필요한 DLNA 프로토콜을 서비스별로 저장하는 문제점을 유발시키고 있다.
공개특허 10-2010-0100566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DLNA 통신을 이용하여 타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DLNA 지원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서비스가 설치되고, DLNA 규격에 따라 네트워크의 다른 장치들과 통신하는 DLNA 지원 단말기는, 저장부와; 네트워크 접속을 확인하면 해당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처리를 준비하는 통신 준비부와; 상기 저장부로부터 기 설치된 복수 개의 서비스에 대응되는 각각의 서비스 정보를 모두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와; 상기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한 복수 개의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와; 상기 메시지 생성부에서 생성한 서비스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접속된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서비스가 설치되고, DLNA 규격에 따라 네트워크의 다른 장치들과 통신하는 DLNA 지원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네트워크 접속을 확인하면 해당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처리를 준비하는 단계와; 기 설치된 복수 개의 서비스에 대응되는 각각의 서비스 정보를 모두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한 복수 개의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한 서비스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접속된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DLNA 지원 단말기는 복수 개의 서비스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DLNA 규격에 따라 네트워크상의 타 단말기와 제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의 교환을 신속하기 수행할 수 있다.
특히, 각 서비스에 매칭된 서비스 그룹 아이디를 전송함으로써, 네트워크상의 타 단말기가 자신이 DLNA 지원 단말기를 제어함에 있어서 추가로 설치할 수 있는 서비스의 존재를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LNA 지원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DLNA 지원 단말기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LNA 지원 단말기의 제어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LNA 지원 단말기의 프로그램 계층을 종래의 DLNA 지원 단말기와 비교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LNA 지원 단말기가 네트워크의 타 단말기와 통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종래의 DLNA 지원 단말기가 네트워크의 타 단말기와 통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LNA 지원 단말기(100)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DLNA 지원 단말기(100)는 네트워크-예를 들어 댁내에 구비된 네트워크-에 접속된 타 단말기(200)와 DLNA 규격에 따라 통신하는데, 본 실시예에서 DLNA 지원 단말기(100)는 댁내에 구비된 DLNA 텔레비전이고 타 단말기(200)는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된 스마트폰 또는 프린터인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DLNA 지원 단말기(100)에는 복수 개의 서비스가 등록되어 있다고 가정하는데, 여기서 서비스는 각 특별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할 수도 있고, 또는 각 어플리케이션의 하부 모듈에 해당할 수도 있으며, 더 나아가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제어의 최소 단위에 해당할 수도 있다.
이러한 DLNA 지원 단말기(100)의 구체적인 기능에 대해서는 도 2의 기능 블록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DLNA 지원 단말기(100)는 저장부(110), 통신 준비부(120), 정보 추출부(130), 메시지 생성부(140), 메시지 전송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110)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서비스가 등록 및 저장되어 있는데, 특히 각 서비스에 대응되는 서비스 정보와 서비스 그룹 정보가 해당 서비스에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정보는 예를 들어 각 서비스에 대한 해쉬값일 수 있는데, 이를 위해 DLNA 지원 단말기(100)는 서비스가 등록될 때마다 해당 서비스에 대응되는 해쉬값을 산출하여 저장부(110)에 저장해 놓을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서비스 그룹 정보는 서로 다른 서비스들 중 동일한 종류의 것들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서로 다른 서비스들도 동일한 서비스 그룹 정보에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총 4 개의 서비스(제1 서비스, 제2 서비스, 제3 서비스, 제4 서비스)가 DLNA 지원 단말기(100)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그 중 제1 서비스 그룹 아이디에는 제1 서비스와 제2 서비스가 매칭될 수 있고, 제2 서비스 그룹 아이디에는 제3 서비스와 제4 서비스가 매칭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저장부(110)에는 복수 개의 각 서비스에 매칭된 각각의 명령어 리스트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명령어 리스트는 각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모아 놓은 정보로서, 이러한 명령어 리스트를 수신한 네트워크상의 타 단말기(200)는 해당 명령어 리스트에 포함된 명령어들에 의해 DLNA 지원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저장부(110)에는 장치 정보가 추가로 저장될 수 있는데, 여기서 장치 정보는 상술한 각종 서비스들이 등록된 DLNA 지원 단말기(100)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고, 예를 들어 DLNA 지원 단말기(100)의 네트워크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준비부(120)는 네트워크 접속을 확인하면 해당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처리를 준비한다. 여기서 통신 준비부(120)는 물리적으로 랜선의 연결이 감지됨에 따라 네트워크 접속을 확인할 수도 있고, 또는 물리적 랜선 연결 후 PING 신호의 전송에 따른 응답이 수신되거나, 아이피 할당을 위한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신호를 전송하여 그에 따른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 네트워크의 접속을 확인할 수 있다.
통신 처리를 위한 준비에는 DCHP 서버 등으로부터 수신되는 아이피를 자신의 네트워크 주소로 할당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준비부(120)는 동적 아이피 할당을 위한 DHCP 서버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DHCP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아이피를 자신의 네트워크 주소로 할당하면 되지만, DHCP 서버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자동 IP(AUTO IP)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아이피 할당 기술은 기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정보 추출부(130)는 저장부(110)로부터 기 설치된 복수 개의 서비스에 대응되는 각각의 서비스 정보를 모두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정보 추출부(130)는 저장부(110)에 2 개의 서비스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그 2 개의 서비스에 각각 대응되는 서비스 정보를 모두 추출하는 것이다.
또한, 정보 추출부(130)는 저장부(110)에서 복수 개의 서비스 각각에 대한 서비스 그룹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고, 상기 정보 추출부(130)는 상기 복수 개의 서비스에 매칭된 각각의 명령어 리스트를 모두 추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정보 추출부(130)는 저장부(110)로부터 장치 정보를 추출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메시지 생성부(140)는 정보 추출부(130)에서 추출한 복수 개의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정보 추출부(130)에서 추출한 2 개의 서비스 정보가 해쉬값인 경우, 메시지 생성부(140)는 그 2 개의 해쉬값을 모두 포함하는 서비스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메시지 생성부(140)는 복수 개의 서비스 각각에 대한 서비스 그룹 정보를 서비스 알림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또한, 메시지 생성부(140)는 서비스 알림 메시지에 장치 정보를 포함시킬 수도 있다.
메시지 전송부(150)는 메시지 생성부(140)에서 생성한 서비스 알림 메시지를 접속된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전송부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타 단말기(200)들이 해당 서비스 알림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도록 브로드캐스팅 방식에 의해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알림 메시지의 전송은 uPnP(Universal Plug And Play)의 규격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DLNA 규격은 통신망의 타 단말기와의 통신 중 일부를 이처럼 uPnP 규격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메시지 전송부(150)는 정보 추출부(130)에서 추출한 복수 개의 명령어 리스트를 해당하는 서비스 정보에 매칭시켜 접속된 네트워크로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메시지 전송부(150)는 명령어 리스트를 상술한 서비스 알림 메시지와 같이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송출할 수도 있고, 명령어 리스트를 요청한 타 단말기(200)에만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메시지 전송부(150)가 명령어 리스트를 전송하는 과정은 DLNA 규격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LNA 지원 단말기(100)의 제어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DLNA 지원 단말기(100)는 서비스가 등록될 때마다 그 등록된 서비스에 대응되는 해쉬값을 생성하여 저장한다(단계 S1). 본 실시예에서 DLNA 지원 단말기(100)에는 두 개의 서비스(제1 서비스, 제2 서비스)가 등록되어 있는 상태라 가정한다. 여기서 각 서비스는 예를 들어 리모컨의 제어에 반응하는 서비스일 수도 있고, 기 저장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일 수도 있다.
네트워크 접속이 감지된 경우(단계 S3) DLNA 지원 단말기(100)는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주소 즉, IP 주소를 획득하여 설정한다(단계 S5).
그리고 DLNA 지원 단말기(100)는 기 저장되어 있는 서비스에 대응되는 각각의 해쉬값(해쉬#1, 해쉬#2)을 모두 추출한다(단계 S7).
또한 DLNA 지원 단말기(100)는 장치 정보로써, IP 주소를 추출하고, 추출한 IP 주소와 앞서 추출한 해쉬값을 모두 포함하는 서비스 알림 메시지를 생성한다(단계 S9).
예를 들어 서비스 알림 메시지에는 'IP주소/해쉬#1/해쉬#2 '와 같은 구조로 앞서 추출한 정보들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서비스 알림 메시지에는 각 서비스들에 매칭된 그룹 아이디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는 서비스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타 장치가 그룹 아이디를 이용하여 자신에게 저장되어 있지 않은 서비스를 확인하고, 그 서비스의 처리를 위해 필요한 서비스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DLNA 지원 단말기(100)에 설치된 제1 서비스와 제2 서비스가 모두 제1 그룹 아이디에 매칭되어 있고 타 단말기(200)에는 제1 서비스만 설치되어 있는 경우, 서비스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타 단말기(200)는 제1 그룹 아이디에 자신에게 이미 설치되어 있는 제1 서비스 이외에도 제2 서비스가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서비스의 설치를 위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DLNA 지원 단말기(100)는 생성한 서비스 알림 메시지를 uPnP 방식으로 네트워크에 한 번에 송출할 수 있다(단계 S13). 여기서 한 번에 송출한다는 것은 물리적인 횟수가 1회라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지만, 네트워크상의 다른 단말기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서비스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그 형성된 통신 채널로 전송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새로운 통신 채널을 형성할 때까지의 전 과정이 한 번에 송출하는 과정에 포함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타 단말기(200)들은 DLNA 지원 단말기(100)에 등록된 복수 개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한꺼번에 수신할 수 있다.
타 장치로부터 응답이 있거나 서비스에 대한 명령어 요청이 있는 경우(단계 S15), DLNA 지원 단말기(100)는 요청받은 각 서비스에 매칭된 각각의 명령어 리스트를 모두 추출하고(단계 S17), 그 추출한 명령어 리스트를 각 서비스의 해쉬값에 매칭시켜 요청한 타 장치에 DLNA 규격에 따라 전송한다(단계 S19). 이처럼 명령어 리스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과정이 일종의 페어링 과정에 해당한다.
상술한 예에서는 타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있는 경우 명령어 리스트를 전송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타 장치로부터의 요청이 없더라도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네트워크에 명령어 리스트를 송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a)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LNA 지원 장치에 구비되는 프로그램 계층 구조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동 도면을 살펴보면, 제1 계층에는 안드로이드와 같은 OS가 구비되어 있고, 제2 계층에는 각 서비스에 대한 해쉬값을 저장 관리하는 Profile XML 모듈과, 각 서비스들에 대한 통합적인 정보를 생성하여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DLNA 모듈이 구비되어 있으며, 제3 계층에는 각 서비스와 홈 포털 플랫폼을 연결시키는 가상화 엔진이 구비되어 있으며, 제4 계층에는 각각의 서비스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는 종래의 계층 구조인 도 4(b)와 비교하면 그 차이를 분명히 알 수 있다.
종래의 계층 구조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계층에 안드로이드와 같은 OS가 구비되고, 제2 계층에 각 서비스와 그 서비스에 대한 DLNA 통신을 처리하는 별개의 DLNA 모듈들이 함께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DLNA 지원 단말기들은 각각의 서비스마다 DLNA 규격에 따른 통신을 별도로 수행하게 되지만, 본원발명에 따른 DLNA 지원 단말기(100)는 각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한꺼번에 취합하여 한 번의 통신으로 복수 개의 서비스들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로 송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이러한 본원발명과 종래 기술과의 차이점을 분명히 알 수 있다.
도 5는 본원발명에 따른 DLNA 지원 단말기(100)가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어느 하나의 타 단말기(200)와 통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종래의 DLNA 지원 단말기가 네트워크상의 타 단말기와 통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본원발명의 DLNA 지원 단말기(100)와 타 장치간의 통신은 기기들간 네트워크로 연결된 것을 확인하는 제1 과정, uPnP로 상호간 제1 서비스 및 제2 서비스의 존재를 확인하는 제2 과정, DLNA로 제1 서비스 및 제2 서비스의 명령어를 교환하는 제3 과정(페어링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반해 도 6을 참조하면, 종래의 DLNA 지원 단말기와 타 장치의 통신은 기기들간 네트워크로 연결된 것을 확인하는 제1 과정, uPnP로 상호간 제1 서비스의 존재를 확인하는 제2 과정, DLNA로 제1 서비스의 명령어를 교환하는 제3 과정(페어링 과정), uPnP로 상호간 제2 서비스의 존재를 확인하는 제4 과정, DLNA로 제2 서비스의 명령어를 교환하는 제5 과정(페어링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본원발명에 따르면 종래보다 2 번의 신호 교환 과정이 생략될 수 있는 것이다.
도 5와 도 6은 네트워크의 타 단말기(200)가 한 개인 경우의 예를 들었지만, 타 단말기(200)의 개수가 많아지면 본원발명에 따른 효과가 더욱 커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DLNA 지원 단말기 200 : 타 단말기
110 : 저장부 120 : 통신 준비부
130 : 정보 추출부 140 : 메시지 생성부
150 : 메시지 전송부

Claims (9)

  1. 복수 개의 서비스가 설치되고, DLNA 규격에 따라 네트워크의 다른 장치들과 통신하는 DLNA 지원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네트워크 접속을 확인하면 해당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처리를 준비하는 단계와;
    (b) 기 설치된 복수 개의 서비스에 대응되는 각각의 서비스 정보를 모두 추출하고, 각 서비스 정보에 매칭된 서비스 그룹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에서 추출한 복수 개의 서비스 정보 및 각 서비스 정보에 매칭된 서비스 그룹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서비스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d) 상기 (c) 단계에서 생성한 서비스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접속된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지원 단말기의 제어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e) 상기 복수 개의 서비스에 매칭된 각각의 명령어 리스트를 모두 추출하는 단계와;
    (f) 상기 (e) 단계에서 추출한 복수 개의 명령어 리스트를 해당하는 서비스 정보에 매칭시켜 상기 접속된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지원 단말기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장치 정보를 추가로 추출하고,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서비스 알림 메시지에 상기 장치 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지원 단말기의 제어방법.
  5.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6. 복수 개의 서비스가 설치되고, DLNA 규격에 따라 네트워크의 다른 장치들과 통신하는 DLNA 지원 단말기에 있어서,
    저장부와;
    네트워크 접속을 확인하면 해당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처리를 준비하는 통신 준비부와;
    상기 저장부로부터 기 설치된 복수 개의 서비스에 대응되는 각각의 서비스 정보를 모두 추출하고, 상기 각 서비스 정보에 매칭된 서비스 그룹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와;
    상기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한 복수 개의 서비스 정보 및 각 서비스 정보에 매칭된 서비스 그룹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서비스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와;
    상기 메시지 생성부에서 생성한 서비스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접속된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지원 단말기.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추출부는 상기 저장부로부터 장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서비스 알림 메시지에 상기 장치 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지원 단말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추출부는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복수 개의 서비스에 매칭된 각각의 명령어 리스트를 모두 추출하고,
    상기 메시지 전송부는 상기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한 복수 개의 명령어 리스트를 해당하는 서비스 정보에 매칭시켜 상기 접속된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지원 단말기.
KR1020140020575A 2014-02-21 2014-02-21 Dlna 지원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57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575A KR101657753B1 (ko) 2014-02-21 2014-02-21 Dlna 지원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575A KR101657753B1 (ko) 2014-02-21 2014-02-21 Dlna 지원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9074A KR20150099074A (ko) 2015-08-31
KR101657753B1 true KR101657753B1 (ko) 2016-09-19

Family

ID=54060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0575A KR101657753B1 (ko) 2014-02-21 2014-02-21 Dlna 지원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775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999B1 (ko) * 2010-05-07 2011-06-03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Dlna 디바이스 및 dlna 게이트웨이로 구성된 dlna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게이트웨이 서버 및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0566A (ko) 2009-03-05 2010-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Dlna 시스템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10070612A (ko) * 2009-12-18 2011-06-24 주식회사 케이티 Dlna 기반의 콘텐츠 통합 관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999B1 (ko) * 2010-05-07 2011-06-03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Dlna 디바이스 및 dlna 게이트웨이로 구성된 dlna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게이트웨이 서버 및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9074A (ko) 2015-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25566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registering personal cloud apparatus in user portal server thereof
KR101330807B1 (ko) 증강 현실을 활용한 데이터 공유 장치 및 방법
WO2017101419A1 (zh) 投屏方法
EP2263361B1 (en) Service delivery to a consumer electronic de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unit for access and service control
EP242417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US20150134727A1 (en) Cloud-based data server providing home appliance management service and method thereof
US85426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setup of wireless device through a single interface
US9936036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directly establishing a unique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a plurality of devices
RU2593272C2 (ru)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таким устройством
CN102970385B (zh) 一种上位机与下位机的自动连接方法
CN105812402B (zh) 基于物联网的文件传输方法和装置
EP2958026B1 (en) Device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US20140006569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ssociating a device to a network
US20140204224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03476027A (zh) 一种移动终端的文件传输方法
CN104283873A (zh) 基于多网卡设备下数字媒体服务器的实现方法及系统
JP5975955B2 (ja) ゲートウェイ装置におけるデバイス装置の設定方法、デバイス装置設定システム及びデバイス装置設定プログラム
CN103179186A (zh) 通信系统、网络存储器、服务器装置以及通信方法
JP6454076B2 (ja) 中継装置、通信装置、それらの制御方法、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657753B1 (ko) Dlna 지원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3414713A (zh) 一种访问云端媒体资源的方法、装置和dlna设备
US20150067050A1 (en) Method and system for social networking in a multi-screen environment
CN106452998B (zh) 一种提供服务的方法和装置
US9258436B2 (en) Method of easily configuring a network camera
JP2007228583A (ja) デバイスの制御許容方法及びそれを利用した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