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7112B1 - 표시 레이턴시를 감소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레이턴시를 감소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7112B1
KR101657112B1 KR1020157008046A KR20157008046A KR101657112B1 KR 101657112 B1 KR101657112 B1 KR 101657112B1 KR 1020157008046 A KR1020157008046 A KR 1020157008046A KR 20157008046 A KR20157008046 A KR 20157008046A KR 101657112 B1 KR101657112 B1 KR 101657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device
mode
latency reduction
reduction mod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8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2158A (ko
Inventor
로엘로프 로더릭 콜렌브랜더
Original Assignee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아메리카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아메리카 엘엘씨 filed Critical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아메리카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50052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2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20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06F13/12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using hardware independent of the central processor, e.g. channel or peripheral process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5Details of game servers
    • A63F13/358Adapting the game course according to the network or server load, e.g. for reducing latency due to different connection speeds between cli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63Device-to-bus coupling
    • G06F13/4068Electrical coup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11Configuring for operating with peripheral devices; Loading of device dri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2Synchronisation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other units, e.g. other display units, video-disc p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5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 A63F2300/53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details of basic data processing
    • A63F2300/534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details of basic data processing for network load management, e.g. bandwidth optimization, latency redu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2Improving the response spe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2Frame memory handling
    • G09G2360/121Frame memory handling using a cache memo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2Networking asp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6Consumer Electronics Control, i.e. control of another device by a display or vice vers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0Use of a protocol of communication by packets in interfaces along the display data pipelin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2Use of DVI or HDMI protocol in interfaces along the display data pipelin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측면들은 출력 디바이스의 출력 모드를 제 1 출력 모드로부터 레이턴시 감소 모드로 자동으로 변경하는 것을 기술한다. 개시 신호 및 출력 데이터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 또는 신호 분배기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개시 신호 수신 시, 출력 디바이스는 출력 모드를 제 1 출력 모드로부터 레이턴시 감소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그 이후, 출력 디바이스는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출력 디바이스는 그 후 다시 제 1 출력 모드로 되돌아갈 수 있다. 이 요약은 조사관 또는 다른 독자가 기술적 개시의 요지를 빠르게 확인하게 할 요약을 필요로 하는 규칙들을 준수하도록 제공됨이 강조된다. 요약서는 그것이 청구항들의 범위 또는 의미를 해석하거나 제한하는데 사용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이해하고 제출된다.

Description

표시 레이턴시를 감소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ECREASING PRESENTATION LATENCY}
본 발명은 비디오 게임 에뮬레이션(video game emulation)에 관한 것이다. 그 중에서도, 이 출원은 출력 디바이스를 제 1 출력 모드로부터 레이턴시 감소 모드로 자동으로 변경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기술한다.
최신 텔레비젼들은 디스플레이된 비디오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텔레비젼들은 에지 강조들(edge enhancements)과 같은 디지털 신호 강조들을 수행할 수 있거나, 또는 텔레비젼은 화질을 개선하기 위해 버퍼를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이미지 프로세싱 단계들은 비디오 프레임들의 디스플레잉을 지연시킨다. 텔레비젼 모델 및 선택된 비디오 설정들에 따라, 부가적인 프로세싱으로 인한 지연은 50-100 ms이거나 훨씬 더 클 수 있다. 이 지연은 특히 플라즈마(plasma) 및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텔레비젼들과 관계가 있다. 오디오를 비디오와 동기화되게 유지하기 위해, 텔레비젼들은 유사한 양마다 오디오 신호를 지연시킬 수 있다.
그러나, 비디오 및 오디오가 동기화되는 경우라도, 비디오 게임들과 같이 지연들에 민감한 애플리케이션들을 이용하는 경우, 지연은 여전히 주의된다. 게이밍 시스템의 경우, 사용자가 텔레비젼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그의 동작들(예컨대, 게임 제어기 상의 버튼을 누르는 것)을 보기 전, 일정 시간이 소요된다. 사용자의 동작과 텔레비젼 상의 디스플레이 사이의 지연은 보통 레이턴시(latency) 또는 시스템 래그(system lag)로 지칭된다. 이 레이턴시는 게이밍 환경들을 빠르게 이동하는 것에 있어서 문제를 야기한다. 예를 들어, 1인칭 슈팅 게임(first-person shooter)에서 긴 레이턴시들은 사용자의 반응 시간을 감소시키고, 그에 따라 사용자가 들어오는 공격을 회피할 시간을 갖지 못하는 경우 그가 저격당하게 한다.
이 이유로 최신 텔레비젼들은 보통 몇몇 이미지 프로세싱 단계들이 레이턴시를 감소하기 위해 불능되는 "게임 모드"를 포함한다. 화질은 게임 모드를 이용함으로써 영향을 받을 수 있는 한편, 그것은 게이밍 커뮤니티에서 그것들을 위한 가치있는 절충으로 인식되어왔다. 게임 모드 옵션은 텔레비젼 지연으로 인한 레이턴시가 시스템의 전체 레이턴시의 중요 부분을 형성하는 클라우드 게이밍의 맥락에서 특히 중요하다.
그러나, 게임 모드와 표준 모드 사이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방법은 없다. 현재 사용자들은 게임 모드와 표준 모드 사이를 넘나들어야 하는데, 이는 번거로운 절차이다. 통상적으로 이는 메뉴에 들어가는 것 및 옵션들의 리스트로부터 게임 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수반한다. 또한, 게임 모드는 많은 화면 모드 옵션들 중 하나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많은 게이머들은 그들의 텔레비젼이 그러한 기능을 지원하는지 인식조차 하지 못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들은 그들이 감소시킬 수 없다고 추정하는 인지된 시스템 래그로 인해 클라우드-기반 게이밍을 채택하는 것을 늦출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그들이 플레잉을 시작할 때는 언제든지 게임 모드를 자동으로 선택하는 시스템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것은 본 발명의 측면들이 발생하는 이 맥락 내이다.
도 1은 로컬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 분배기, 및 출력 디바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측면에 따라 출력 디바이스가 단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에 연결되는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측면에 따라 출력 디바이스가 복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들 중 하나로부터 출력 디바이스로 전달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라우팅하는 분배기에 연결되는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측면에 따라 출력 디바이스의 출력 모드를 제 1 출력 모드로부터 레이턴시 감소 출력 모드로 자동으로 변경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부가적인 측면에 따라 출력 디바이스의 출력 모드를 제 1 출력 모드로부터 레이턴시 감소 출력 모드로 자동으로 변경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측면에 따라 레이턴시 감소 모드 개시 신호가 수신되는 때 및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가 수신되는 때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부가적인 측면에 따라 출력 디바이스가 출력 모드를 제 1 출력 모드로부터 레이턴시 감소 출력 모드로 자동으로 변경하는 방법을 위한 지시들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부가적인 측면에 따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이 출력 디바이스의 출력 모드를 제 1 출력 모드로부터 레이턴시 감소 출력 모드로 자동으로 변경하는 방법을 위한 지시들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부가적인 측면에 따라 분배기가 출력 디바이스의 출력 모드를 제 1 출력 모드로부터 레이턴시 감소 출력 모드로 자동으로 변경하는 방법을 위한 지시들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다음 상세한 설명이 예시의 목적을 위해 많은 특정한 상세 내용들을 포함하더라도,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 누구든지 다음 상세 내용들에 대한 많은 변형들 및 대안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아래 기술되는 본 발명의 측면들은 이 설명을 따르는 청구항들에 대한 일반성을 잃지 않고, 그리고 이 설명을 따르는 청구항들에 대한 제한을 부과하지 않고 제시된다.
본 발명의 측면들은 출력 디바이스의 출력 모드를 제 1 출력 모드로부터 레이턴시 감소 모드로 자동으로 변경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기술한다. 출력 디바이스는 출력 데이터와 함께 레이턴시 감소 모드 개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개시 신호 및 출력 데이터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디바이스 플랫폼 또는 신호 분배기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개시 신호 수신 시, 출력 디바이스는 출력 모드를 제 1 출력 모드로부터 레이턴시 감소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그 후에, 출력 디바이스는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출력 디바이스는 그 후 출력 모드를 다시 제 1 출력 모드로 되돌아갈 수 있다.
본 발명의 측면들은 출력 디바이스에 의해 콘텐츠 데이터 상에 수행되는 프로세싱 동작들의 수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레이턴시 감소 모드를 기술한다. 예로서, 및 제한이 아닌 것으로서, 출력 디바이스는 화질 또는 음질을 개선하기 위해 출력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레이턴시 감소 모드에서 이미지 또는 오디오 프로세싱은 콘텐츠 데이터를 출력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감소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측면을 따른 시스템(100)의 도식이다. 출력 디바이스(105)는 데이터 연결(109)를 거쳐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들(104)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분배기(106)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들(105)로부터 콘텐츠 데이터(210)를 수신할 수 있고, 콘텐츠 데이터의 원하는 스트림을 출력 디바이스(105)에 선택적으로 라우팅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들은 네트워크(160)를 통해 콘텐츠 제공자(107)로부터 콘텐츠 데이터(210)를 수신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104)은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or unit)(13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CPU(131)는 하나 이상의 다중 코어 프로세서들, 예컨대, 듀얼-코어(dual-core), 쿼드 코어(quad-core) 또는 셀 프로세서들(Cell processors)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104)은 메모리(132)(예컨대, RAM, DRAM, RO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CPU(131)는 프로그램(133)을 실행할 수 있고, 프로그램의 부분들은 메모리(132)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104)은 입력/출력(I/O; input/output) 회로들(141), 전원들(P/S; power supplies)(142), 클록(CLK)(143) 및 캐시(144)와 같은, 공지된 지원 회로들(14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및 제한이 아닌 것으로서, I/O 회로들(141)은 고화질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104)은 프로그램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디스크 드라이브, CD-ROM 드라이브, 테이프 드라이브 등과 같은, 대용량 저장 장치(134) 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104)은 디스플레이 유닛(137)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37)은 텍스트, 숫자들, 또는 그래픽 심볼들을 디스플레이하는 평판 스크린 또는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의 형태일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104)은 적외선(IR) 블래스터(148)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IR 블래스터(148)는 출력 모드를 변경하기 위해 출력 디바이스(105)에 지시하는 출력 디바이스(105)에 대한 명령들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기(145)는 I/O 회로(141)를 통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104)에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그것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104)에 직접 통합될 수 있다. 제어기(145)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104)과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어기(145)는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광 펜,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핸드-헬드 제어들(예컨대, 게임 제어기) 또는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측면들을 따라, 제어기(145)는 햅틱 응답(146)을 생성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104)은 Wi-Fi, 이더넷 포트, 또는 다른 통신 방법들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9)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9)는 전자 통신 네트워크(160)를 통해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적합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둘 이상의 몇몇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9)는 인터넷과 같은 광역 네트워크들 및 로컬 영역 네트워크들을 통해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104)은 네트워크(160)를 통해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을 거쳐 파일들을 위한 데이터 및/또는 요청들을 통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네트워크 설정들은 레이턴시를 위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104)상에서 조정될 수 있다. 예로서, 및 제한이 아닌 것으로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104)은 레이턴시에 영향을 미치는 네트워크 설정들(예컨대, 버퍼 크기들, 타임아웃들, 절전 설정들 등)을 가질 수 있다. 그러한 설정들이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그것들을 적절하게 조정하는 것은 사용자를 위한 전체 레이턴시 개선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예로서, 사용자가 1인칭 슈팅(FPS) 게임에서 총알을 발사하기 위해 게임 패드 상의 버튼을 누른다고 가정한다. 게임 패드에 대한 네트워크 설정들은 버튼을 누르는 이벤트가 서버에 더 일찍 도착하도록 조정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는 또한 그의 출력 디바이스 상에서 더 일찍 응답을 볼 것이다.
출원인은 이들 네트워크 설정들이 존재한다고 생각한다. 출원인은 네트워크 채널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당신이 가능한 한 빨리 네트워크 패킷들을 송신한다면 당신은 그것의 완전한 제한을 위해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및 당신이 당신의 배터리를 더 빨리 닳게 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맥락에서(예컨대, 네트워크 트랜시버는 시간의 더 큰 부분동안 턴 온될 것이다), 레이턴시 간 절충이 있을 것이라고 예상한다.
상기 구성요소들은 인터넷 시스템 버스(150)를 통해 서로 신호들을 교환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104)은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코드를 구동할 때 전용 컴퓨터가 되는 범용 컴퓨터일 수 있다. 예로서, 및 제한이 아닌 것으로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104)은 게이밍 콘솔(gaming console), 셋탑 박스(set top box), 케이블 박스, 개인용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전화, 셀 전화,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Blu-Ray) 플레이어,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 digital video recorder), 또는 다른 유사한 디바이스들, 또는 그것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일 수 있는 디바이스들의 다른 가능한 유형들은 로쿠 사운드브릿지(Roku SoundBridge) 네트워크 음악 플레이어, 사라토가(Saratoga)의 로쿠 사로부터 수신하는 DVP 인터넷 스트리밍 비디오, 캘리포니아, 커프테르티노(Cuptertino)의 애플 사로부터의 캘리포니아 또는 애플 TV 디지털 미디어 수신기와 같은, 스트리밍 미디어 플레이어들을 포함한다.
출력 디바이스(105) 는 중앙 처리 장치(CPU)(13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CPU(131’)는 하나 이상의 다중 코더 프로세서들, 예컨대, 듀얼-코어, 쿼드-코어 또는 셀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105)은 메모리(132’)(예컨대, RAM, DRAM, RO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CPU(131’)는 프로그램(133’)을 실행할 수 있고, 프로그램의 부분들은 메모리(132’)에 저장될 수 있다. 출력 디바이스(105)는 또한 입력/출력(I/O) 회로들(141’), 전원들(P/S)(142’), 클록(CLK)(143’) 및 캐시(144’)와 같은, 공지된 지원 회로들(14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및 제한이 아닌 것으로서, I/O 회로들(141’)은 고화질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디바이스(105)는 프로그램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디스크 드라이브, CD-ROM 드라이브, 테이프 드라이브 등과 같은, 대용량 저장 장치(134’)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출력 디바이스(105)는 디스플레이 유닛(137’) 및 출력 디바이스(105)와 출력 디바이스(105)에 대한 직접 액세스를 요구하는 사용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138’)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37’)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텍스트, 숫자들, 또는 그래픽 심볼들을 디스플레이하는 LCD, 플라즈마, LED, 또는 OLED와 같은, 평판 스크린 또는 음극선관(CRT)의 형태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138’)은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광 펜, 또는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디바이스(105)는 오디오 유닛(147’)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유닛(147’)은 스피커들의 형태일 수 있다. 예로서, 및 제한이 아닌 것으로서, 스피커들은 단일 스피커, 또는 서라운드 사운드 스피커 시스템(surround sound speaker system)과 같은 둘 이상의 스피커들의 시스템일 수 있다. 출력 디바이스(105)는 또한 분배기(106)로부터의 IR 블래스터(148”) 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104)으로부터의 IR 블래스터(148)로부터 명령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IR 수신기(149’)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명령 신호들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105)의 출력 모드를 변경하도록 출력 디바이스(105)에 지시할 수 있다. 출력 디바이스(105)는 Wi-Fi, 이더넷 포트, 또는 다른 통신 방법들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9’)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9’)는 전자 통신 네트워크(160)를 통해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적합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둘 이상의 몇몇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9’)는 인터넷과 같은 광역 네트워크들 및 로컬 영역 네트워크들을 통해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출력 디바이스(105)는 네트워크(160)를 통해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을 거쳐 파일들을 위한 데이터 및/또는 요청들을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은 내부 시스템 버스(150’)를 통해 서로 신호들을 교환할 수 있다. 출력 디바이스(105)는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코드를 구동할 때 특수 컴퓨터로 되는 범용 컴퓨터일 수 있다. 예로서, 및 제한이 아닌 것으로서, 출력 디바이스(105)는 텔레비젼, 프로젝터, 개인용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피커 시스템, 전체 하우스 스피커 시스템(즉, 건물 전체에 걸쳐 둘 이상의 룸들에 위치되는 일련의 스피커들), 전화, 또는 임의의 유사한 디바이스들, 또는 그것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출력 디바이스(105)로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가능한 디바이스들은 일본, 도쿄의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사로부터의 PS Vita와 같은, 휴대용 게임 콘손들 또는 모바일 전화들을 포함한다.
출력 디바이스(105)는 둘 이상의 출력 모드들을 가질 수 있다. 상이한 출력 모드들은 최적의 방식으로 콘텐츠 데이터(210)의 특정한 유형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로서, 및 제한이 아닌 것으로서, 케이블 박스로부터 전달되는 라이브 텔레비젼 방송 프로그램을 보는 것과 같은, 비-레이턴시 민감 애플리케이션들 하에서, 출력 디바이스는 콘텐츠 데이터 상에 부가적인 프로세싱을 구현할 수 있다. 예로서, 및 제한이 아닌 것으로서, 부가적인 프로세싱은 비디오 스트림의 각각의 프레임에 대한 에지 강조들 및/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대량 버퍼링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출력 디바이스는 레이턴시 감소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예로서, 및 제한이 아닌 것으로서, 레이턴시 감소 모드는 콘텐츠 데이터(210)의 부가적인 프로세싱을 감소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레이턴시 감소 모드는 "게임 모드"로 지칭될 수 있다. 상이한 출력 모드들은 상이한 프로그램들(133’)의 실행을 통해 또는 하드웨어 또는 펌웨어 또는 그것들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레이턴시 감소 모드의 추가를 포함하는, 부가적인 출력 모드들은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출력 디바이스(105)에 추가될 수 있다.
분배기(106)는 중앙 처리 장치(CPU)(13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CPU(131”)는 하나 이상의 다중 코어 프로세서들, 예컨대, 듀얼-코더, 쿼드-코어 또는 셀 프로세서와 같은, 하나 이상의 코-프로세서들 및 메인 프로세서를 갖는 프로세서 아키텍처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기(106)는 또한 메모리(132”)(예컨대, RAM, DRAM, RO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CPU(131”)는 프로그램(133”)을 실행할 수 있고, 프로그램의 부분들은 메모리(132”)에 저장될 수 있다. 분배기(106)는 또한 입력/출력(I/O) 회로들(141”), 전원들 (P/S)(142”), 클록(CLK)(143”) 및 캐시(144”)와 같은, 공지된 지원 회로들(14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및 제한이 아닌 것으로서, I/O 회로들(141”)은 고화질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분배기(106)는 프로그램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디스크 드라이브, CD-ROM 드라이브, 테이프 드라이브 등과 같은 대용량 저장 장치(134”)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기(106)는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137”) 및 분배기(106)와 분배기(106)에 대한 직접 액세스를 요구하는 사용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138”)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37”)은 텍스트, 숫자들, 또는 그래픽 심볼들을 디스플레이하는 평판 스크린 또는 음극선관(CRT)의 형태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138”)은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광 펜, 원격 제어,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또는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기(106)는 또한 적외선 IR 블래스터(148”)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IR 블래스터(148”)는 출력 모드를 변경하도록 출력 디바이스(105)에 지시하는 명령들을 출력 디바이스(105)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분배기(106)는 Wi-Fi, 이더넷 포트, 또는 다른 통신 방법들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9”)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9”)는 전자 통신 네트워크(160)를 통해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적합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둘 이상의 몇몇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9”)는 인터넷과 같은 광역 네트워크들 및 로컬 영역 네트워크들을 통해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분배기(106)는 네트워크(160)를 통해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을 거쳐 파일들을 위한 데이터 및/또는 요청들을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은 내부 시스템 버스(150”)를 통해 서로 신호들을 교환할 수 있다. 분배기(106)는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코드를 구동할 때 특수 컴퓨터로 되는 범용 컴퓨터일 수 있다. 예로서, 및 제한이 아닌 것으로서, 분배기는 셋탑 박스, 가정용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이퀄라이저, 믹서, 무선 허브, 또는 유사한 디바이스들 또는 그것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도 2a 및 2b는 레이턴시 민감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되는 콘텐츠 데이터(210)의 디스플레이에서 레이턴시를 감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측면들을 이용할 수 있는 두 개의 가능한 시스템 구성들을 도시한다. 도 2a 및 2b에서 점선 화살표들은 네트워크(160)를 통한 데이터의 전달을 표시하고, 실선 화살표들은 데이터 연결(109)을 통한 데이터의 이송을 표시한다. 예로서, 및 제한이 아닌 것으로서, 데이터 연결(109)은 유선 연결 또는 무선 연결일 수 있다. 유선 데이터 연결들(109)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HDMI 이더넷, 썬더볼트(Thunderbolt), 디스플레이 포트, 또는 동축 연결들과 같은 연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데이터 연결들(109)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Wi-Fi, 인터넷 무선 디스플레이(WiDi; internet wireless display), 유선 HD, 무선 HDMI, 블루투스, 또는 적외선 연결들과 같은 연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및 제한이 아닌 것으로서, 콘텐츠 데이터(210)는 비디오 스트림 및/또는 오디오 스트림일 수 있다. 예로서, 및 제한이 아닌 것으로서, 레이턴시 민감 애플리케이션은 클라우드 기반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비디오 게임, 비디오 컨퍼런싱, 비디오 채팅, 오디오 컨퍼런싱, 또는 건물의 별개의 룸들 내 다수의 스피커들을 통한 오디오 스트리밍일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원격 기계 상에서 구동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세션을 위한 데이터의 스트리밍을 수반하는, 원격 "데스크탑" 애플리케이션들은 레이턴시 민감 애플리케이션으로 간주될 수 있다. 원격 데스크탑 애플리케이션들의 예들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VNC, 시트릭스, 원격 데스크탑 프로토콜(RDP; Remote Desktop Protocol)과 같은 것을 포함한다. 그러한 애플리케이션들은 예컨대,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Microsoft Office), 어도비 포토샵(Adobe Photoshop) 등과 같은 종래 컴퓨터 애플리케이션들의 데스크탑 세션들의 원격 스트리밍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2a는 시스템 구성(200)을 도시하는 본 발명의 제 1 측면의 블록도이다. 시스템 구성(200)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104)으로부터 직접 레이턴시 민감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되는 콘텐츠 데이터(210)를 수신할 수 있는 출력 디바이스(105)를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104)은 콘텐츠 제공자(107)로부터 콘텐츠 데이터(210)를 수신할 수 있다. 예로서, 및 제한이 아닌 것으로서, 콘텐츠 제공자(107)는 케이블 회사, 비디오 게임 제공자, 또는 전화 서비스 제공자, 및 네트워크(160)를 통해 미디어 또는 데이터 통신을 전달하는 임의의 다른 회사일 수 있다.
도 2b는 시스템 구성(201)을 도시하는 본 발명의 제 2 측면의 블록도이다. 시스템 구성(201)은 분배기(106)로부터 레이턴시 민감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되는 콘텐츠 데이터(210)를 수신할 수 있는 출력 디바이스(10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배치는 둘 이상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들(104)이 각각 콘텐츠 데이터(210)를 단일 출력 디바이스(105)로 전달할 때 유용하다. 예로서, 및 제한이 아닌 것으로서, 분배기(106)는 게임 콘솔(104), 블루-레이 플레이어(104’), 및 케이블 박스(104”)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를(210) 수신할 수 있는 홈 시어터 시스템일 수 있다. 분배기(106)는 데이터 연결들(109) 중 어느 것이 임의의 소정 시간에 출력 디바이스(105) 상에 디스플레이될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디바이스(105)는 출력 디바이스(105)의 출력 모드를 발명의 방법(300)에 따라 제 1 출력 모드로부터 레이턴시 감소 모드로 자동으로 변경하기 위한 방법(300)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법(300)의 다양한 측면들은 출력 디바이스(105) 및/또는 출력 디바이스(105)의 동작들과 함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104) 상에서 구동하는 컴퓨터 실행가능한 지시들의 실행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출력 디바이스(105)는 특정 출력 디바이스 지시들(371)을 구현하도록, 예컨대, 적합한 프로그래밍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104)은 특정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 지시들(370)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a에서 점선 화살표들은 데이터 연결(109)을 통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104)과 출력 디바이스(105) 사이의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낸다.
레이턴시 민감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되는 콘텐츠 데이터(210)를 수신 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104)은 블록(372)에서 레이턴시 감소 모드 개시 신호(311)를 출력 디바이스(105)에 자동으로 전달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104)은 개시 신호(311)를 출력 디바이스(105)에 전달되고 있는 콘텐츠 데이터(210)를 포함하는 데이터 스트림으로 삽입할 수 있다. 예로서, 및 제한이 아닌 것으로서, 개시 신호(311)는 콘텐츠 데이터(210)를 포함하는 패킷을 위한 헤더로 삽입될 수 있거나, 또는 개시 신호(311)는 콘텐츠 데이터(210)뿐만 아니라 개개의 데이터 패킷으로서 송신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개시 신호(311)는 데이터 연결(109)을 통해 전달되는 명령 신호일 수 있다. 예로서, 및 제한이 아닌 것으로서, 개시 신호(311)는 가전제품 제어 (CEC; consumer electronics control) 명령일 수 있다. CEC는 디바이스들이 서로 제어하기 위해 HDMI 케이블들에 의해 부착되게 하하도록 설계되는 HDMI 표준의 특징이다. 특히, CEC는 원격 제어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AV.링크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일-선 양방향 직렬 버스이다. 이와 같이, 개시 신호(311)는 출력 모드를 레이턴시 감소 모드로 변경하도록 출력 디바이스(105)에 지시하는 HDMI 데이터 연결(109)을 통해 전달되는 CEC 명령일 수 있다. 또한 예로서, 및 제한이 아닌 것으로서, 개시 신호(311)는 IR 블래스터(148)에 의해 출력 디바이스(105)에 전달되는 IR 명령일 수 있다.
373에서, 출력 디바이스(105)는 레이턴시 감소 모드 개시 신호(311)를 수신할 수 있다. 개시 신호(311)의 수신은 출력 디바이스(105)가 출력 모드를 제 1 출력 모드로부터 레이턴시 감소 모드로 변경하게 한다. 예로서, 및 제한이 아닌 것으로서, 제 1 출력 모드는 출력 디바이스(105)의 디폴트 출력 모드일 수 있거나 또는 그것은 영화 디스플레이 모드 또는 스포츠 채널 디스플레이 모드와 같은, 미디어의 특정한 유형들을 보기 위해 최적화된 대안적인 디스플레이 모드일 수 있다. 개시 신호(311)가 명령 신호가 아닐 때, 개시 신호(311)는 출력 디바이스(105)가 출력 모드를 레이턴시 감소 모드로 변경하기 위해 출력 모드 전환 프로그램을 실행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예로서, 출력 모드 전환 프로그램은 실행될 때 출력 디바이스가 출력 모드를 레이턴시 감소 모드로 변경하게 하는 출력 디바이스(105)의 메모리(132’)에 또는 CPU(131’) 상에 저장되는 프로그램(133’)일 수 있다. 개시 신호(311)가 CEC 명령 또는 IR 명령이면, 그 후 개시 신호(311)는 출력 디바이스(105)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출력 디바이스(105)가 부가적인 작동을 구동할 필요 없이 출력 모드를 레이턴시 감소 모드로 변경하게 할 것이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104)이 더 이상 레이턴시 민감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210)를 전달하지 않을 때,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104)은 블록(37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312)를 출력 디바이스에 전달할 수 있다.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312)는 그것이 콘텐츠 데이터(210)와 함께 송신되는 신호일 수 있거나, 또는 그것이 CEC 명령 신호 또는 IR 명령 신호일 수 있다는 점에서, 레이턴시 감소 코드 개시 신호(311)의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와 유사할 수 있다. 376에서, 출력 디바이스(105)는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312)를 수신할 수 있다.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312) 수신 시, 출력 디바이스(105)는 출력 모드를 다시 제 1 출력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블록(374)과 유사하게,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312)가 명령 신호가 아니면,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312)는 출력 디바이스(105)가 출력 모드를 다시 제 1 출력 모드로 변경하기 위해 출력 모드 스위칭 프로그램을 실행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312)가 CEC 명령 또는 IR 명령이면, 그 후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312)는 출력 디바이스(105)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출력 디바이스(105)가 부가적인 동작을 구동할 필요 없이 출력 모드를 다시 제 1 출력 모드로 자동으로 변경하게 할 것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디바이스(105)는 출력 디바이스(105)의 출력 모드를 발명의 방법(301)을 따라 제 1 출력 모드로부터 레이턴시 감소 모드로 자동으로 변경하기 위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법(301)의 다양한 측면들은 출력 디바이스(105) 및/또는 출력 디바이스(105)의 동작들과 함께 분배기(106) 상에서 구동하는 컴퓨터 실행가능한 지시들의 실행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출력 디바이스(105)는 특정 출력 디바이스 지시들(371’)을 구현하도록, 예컨대, 적합한 프로그래밍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분배기(106)는 특정 분배기 지시들(370’)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b에서 점선 화살표들은 데이터 연결(109)을 통한 분배기(106)와 출력 디바이스(105) 사이의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낸다.
방법(301)은 방법(300)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104)이 분배기(106)로 대체되는 것을 제외하고, 방법(300)의 것과 유사하다. 분배기(106)의 이용은 출력 디바이스(105)가 다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들(104)로부터 콘텐츠 데이터(210)를 선택적으로 수신하게 한다. 분배기(106)가 레이턴시 민감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되는 콘텐츠 데이터(210)를 전달할 때, 방법(301)이 이용될 수 있다.
레이턴시 민감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되는 콘텐츠 데이터(210) 수신 시, 분배기(106)는 블록(372’)에서 레이턴시 민감 모드 개시 신호(311)를 출력 디바이스(105)에 전달할 수 있다. 분배기(106)는 개시 신호(311)를 출력 디바이스(105)에 전달되는 콘텐츠 데이터(210)를 포함하는 데이터 스트림에 삽입할 수 있다. 예로서, 및 제한이 아닌 것으로서, 개시 신호(311)는 콘텐츠 데이터(210)를 포함하는 패킷을 위한 헤더에 삽입될 수 있거나, 또는 개시 신호(311)는 콘텐츠 데이터(210)뿐만 아니라 개개의 데이터 패킷으로서 송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측면들은 데이터 연결(109)을 통해 전달되는 명령 신호일 수 있는 개시 신호(311)를 기술한다. 예로서, 및 제한이 아닌 것으로서, 개시 신호(311)는 CEC 명령일 수 있다. 이와 같이, CEC 명령은 출력 모드를 레이턴시 민감 모드로 변경하도록 출력 디바이스(105)에 지시하기 위해 HDMI 데이터 연결(109)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예로서, 및 제한이 아닌 것으로서, 개시 신호(311)는 IR 블래스터(148”)에 의해 출력 디바이스(105)에 전달되는 IR 명령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측면들은 출력 디바이스(105)에 전달되는 콘텐츠 데이터(210)가 레이턴시 민감인 애플리케이션들을 구동하는 것으로 알려진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104)으로부터 비롯될 때, 레이턴시 감소 모드 개시 신호(311)를 출력 디바이스(105)에 전달하는 분배기(106)를 가지는 것을 포함한다. 예로서, 및 제한이 아닌 것으로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104)은 클라우드 기반 게이밍과 같은 레이턴시 민감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해 주로 사용되는 게이밍 콘솔일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게이밍 콘솔의 콘텐츠 데이터(210)가 출력 디바이스(105)에 라우팅되고 있을 때, 분배기(106)는 레이턴시 감소 개시 신호(311)를 항상 전달할 수 있다. 분배기(106)는 어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들(104)이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이력 사용, 디폴트 설정들, 및/또는 사용자 지정과 같은, 인자들에 근거한 개시 신호(311)에 의해 성취될 것인지를 미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력 사용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104)이 레이턴시 감소 모드를 이용하는 시간의 총 백분율을 계산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총 백분율이 50퍼센트 또는 임의의 다른 레벨과 같이, 임계값을 초과이면, 그 후 분배기는 개시 신호(311)를 전달할 것이다. 또한, 총 백분율은 하루 중의 시간, 주 중의 하루, 또는 월과 같은 인자들에 대해 조정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클라우드 기반 게이밍 세션들을 위해 밤 중에 특정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104)을 이용하는, 그리고 게임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래폼(104) 내 디스크 또는 메모리에 저장되는 게이밍 세션들을 위해 아침에 동일한 클랑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104)을 이용하는 패턴을 가지는 경우 유익할 수 있다.
또한, 분배기(106)는 레이턴시 민감인 애플리케이션들을 전통적으로 이용하는 유형들로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들(104)의 특정 유형들을 인식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예로서, 분배기(106)는 레이턴시 민감 애플리케이션들을 이용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들인 것과 같이 게이밍 콘솔들을 인식할 수 있고, 따라서 게이밍 콘솔로부터 비롯되는 콘텐츠 데이터(210)의 전달 시, 개시 신호(311)를 추가하기 위한 디폴트들을 미리 결정하였다. 대안적으로, 케이블 박스와 같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104)은 전통적으로 레이턴시 민감 애플리케이션들을 구동하지 않는 것으로 보여질 수 있고, 이와 같이 디폴트는 케이블 박스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 데이터(210)와 함께 개시 신호를 추가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미리 결정된 디폴트들은 항상 사용자가 바라는 것이 아닐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 회사들은 더 많은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를 케이블 박스들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전달하기 시작한다.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통합되고, 연, 월, 일에 출원된, “PLAYBACK SYNCHRONIZATION IN A GROUP VIEWING A MEDIA TITLE”이라는 명칭의, Joseph Dodson 등이, 공유하는 특허 출원 13/631,622(대리인 참조 번호 SCEA12019US00)에 기술된 것들과 같은, 동시 그룹 감상 경험들 및 클라우드 기반 게이밍과 같은 애플리케이션들은 보다 보편화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통 레이턴시 민감 애플리케이션들의 이들 유형들에 대한 케이블 박스를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그들의 개인 선호도들에 가장 잘 맞도록 분배기(106)의 디폴트 설정들을 변경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373’에서, 출력 디바이스(105)는 레이턴시 감소 모드 개시신호(311)를 수신할 수 있다. 출력 디바이스(105)는 출력 모드를 제 1 출력 모드로부터 지연 감소 모드로 자동으로 변경함으로써 개시 신호(311)의 수신에 응답할 수 있다. 예로서, 및 제한이 아닌 것으로서, 제 1 출력 모드는 출력 디바이스(105)의 디폴트 출력 모드일 수 있거나 또는 그것은 영화 디스플레이 모드 또는 스포츠 채널 디스플레이 모드와 같은, 미디어의 특정한 유형들을 보기 위해 최적화된 대안적인 디스플레이 모드일 수 있다. 개시 신호(311)가 명령 신호가 아닐 때, 개시 신호(311)는 출력 디바이스(105)가 출력 모드를 레이턴시 감소 모드로 변경하기 위해 출력 모드 전환 프로그램을 실행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예로서, 출력 모드 전환 프로그램은 실행될 때 출력 디바이스(105)가 출력 모드를 레이턴시 감소 모드로 변경하게 하는 출력 디바이스(105)의 메모리(132’)에 또는 CPU(131’) 상에 저장되는 프로그램(133’)일 수 있다. 개시 신호(311)가 CEC 명령 또는 IR 명령이면, 그 후 개시 신호(311)는 출력 디바이스(105)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자동으로 출력 디바이스(105)가 부가적인 동작을 구동할 필요 없이 출력 모드를 레이턴시 감소 모드로 변경하게 할 것이다.
분배기(106)가 더 이상 레이턴시 민감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210)를 출력 디바이스(105)에 전달하지 않을 때, 분배기(106)는 블록(37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312)를 출력 디바이스에 자동으로 전달할 수 있다.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312)는 그것이 콘텐츠 데이터(210)와 함께 송신되는 신호일 수 있거나, 또는 그것이 CEC 명령 신호 또는 IR 명령 신호일 수 있다는 점에서, 레이턴시 감소 모드 개시 신호(311)의 것과 유사할 수 있다. 376’에서, 출력 디바이스(105)는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312)를 수신할 수 있다.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312) 수신 시, 출력 디바이스(105)는 출력 모드를 다시 제 1 출력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블록(374’)과 유사하게,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312)가 명령 신호가 아니라면,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312)는 출력 디바이스(105)가 출력 모드를 다시 제 1 출력 모드로 변경하기 위해 출력 모드 전환 프로그램을 실행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312)가 CEC 명령 또는 IR 명령이라면, 그 후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312)는 출력 디바이스(105)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출력 디바이스(105)가 부가적인 동작을 구동할 필요 없이 출력 모드를 다시 제 1 출력 모드로 자동으로 변경하게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측면들에 따라, 레이턴시 감소 모드 개시 신호(311) 및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312)는 도 4에서의 토큰 시스템(token system)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토큰 시스템의 사용은 개시 신호(311)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104) 또는 분배기(106)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전달되는 비-명령 신호일 때 구현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104) 또는 분배기(106)는 개시 신호(311)를 출력 디바이스(105)에 전달되는 콘텐츠 데이터(210)를 포함하는 데이터 스트림에 삽입할 수 있다. 예로서, 및 제한이 아닌 것으로서, 개시 신호(311)는 콘텐츠 데이터(210)를 포함하는 패킷을 위한 헤더에 삽입될수 있거나, 또는 개시 신호(311)는 컨텐츠 데이터(210) 외에 개개의 데이터 패킷으로서 송신될 수 있다. 일단 개시 신호(311)가 전달되면, 송신 디바이스(104 또는 106)는 레이턴시 감소 모드가 요구되는 한 콘텐츠 데이터(210)와 함께 토큰들을 계속 공급할 것이다. 예로서, 및 제한이 아닌 것으로서, 토큰들은 그 다음 콘텐츠 데이터(210)의 헤더에 전달될 수 있거나, 또는 그것은 콘텐츠 데이터(210) 외에 개개의 데이터 패킷들로서 전달될 수 있다. 토큰들은 콘텐츠 데이터(210)의 각각의 패킷과 함께 전달될 수 있거나, 또는 그것들은 매 1, 5, 또는 10초마다 또는 임의의 다른 원하는 간격 길이와 같은, 정기적인 간격들로 콘텐츠 데이터와 함께 전달될 수 있다. 레이턴시 감소 모드가 더 이상 요구되지 않을 때, 송신 디바이스(104 또는 106)는 토큰들의 전달을 중단할 수 있다. 토큰의 비-수신은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로 간주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출력 디바이스(105)는 출력 모드를 다시 제 1 상태로 변경하도록 지시될 것이다.
토큰 시스템은 방법(400)을 따라 구현될 수 있다. 방법(400)에서, 출력 디바이스(105)는 먼저 결정 블록(451)에서 그것이 현재 레이턴시 감소 모드에 있는지를 결정해야 한다. 그것이 레이턴시 감소 모드에 있지 않다면, 그 후 방법(400)은 출력 디바이스(105)가 레이턴시 감소 개시 신호(311)의 수신을 체크해야 하는 블록(456)으로 진행한다. 출력 디바이스(105)가 결정 블록(457)에서 개시 신호(311)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결정하면, 그 후 출력 디바이스(105)는 블록(458)으로 진행하고 레이턴시 감소 모드를 개시한다. 일단 레이턴시 감소 모드가 개시되면, 방법(400)은 블록(452)로 진행한다. 그러나 개시 신호(311)가 블록(457)에서 수신되지 않았으면, 그 후 방법(400)은 블록(459)로 진행하고 제 1 출력 모드에 남아있는다. 그 후에, 방법은 레이턴시 감소 개시 신호(311)를 계속 체크하기 위해 다시 블록(456)으로 계속된다.
블록(451)에 대한 응답이 예이면, 그 후 방법(400)은 블록(452)로 진행한다. 블록(452)에서, 출력 디바이스(105)는 토큰을 체크하도록 지시되고 결정 블록(453)으로 진행한다. 출력 디바이스(105)가 블록(453)에서 토큰을 수신했다면, 그 후 방법은 블록(454)로 계속되고 출력 디바이스(105)는 레이턴시 감소 모드에 남아있을 것이다. 블록(454) 이후, 방법은 방법이 토큰을 다시 체크할 블록(452)으로 다시 진행함으로써 다시 루프를 시작한다. 그러나, 토큰이 블록(453)에서 수신되지 않았으면, 그 후 방법(400)은 블록(455)으로 계속된다. 블록(455)에서, 출력 디바이스(105)는 레이턴시 감소 모드를 종료하고 다시 제 1 출력 모드로 되돌아간다. 그 이후, 방법은 블록(456)으로 계속하고, 여기서 출력 디바이스는 개시 신호(311)를 체크하는 것을 시작할 것이다. 몇몇 구현들에서, 개시 신호(311)가 토큰의 형태일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라, 출력 디바이스는 그것들에게 제 1 출력 모드였던 것을 통지하는 콘텐츠 제공자(107), 분배기(106), 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104)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정보는 디바이스들(104, 106) 중 어느 하나로부터 또는 콘텐츠 제공자(107)로부터 질의의 결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출력 디바이스는 레이턴시 감소 모드 개시 신호(311) 수신 시, 정보를 다시 디바이스들(104, 106) 또는 콘텐츠 제공자(107)에 자동으로 전달할 수 있다. 신호가 출력 디바이스(105)에 의한 추가 프로세싱 없이 출력 모드를 다시 제 1 출력 모드로 되돌아가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은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312)가 CEC 명령, 또는 IR 명령과 같은 명령 신호일 때 유용하다.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측면들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104)은 예컨대, 레이턴시 감소의 결과를 질의할 수 있는 전용 하드웨어 또는 적합한 프로그래밍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낮은 레이턴시 모드로 이동하기 위해 출력 디바이스(105)의 실패가 있었다고 가정하면, '질의 결과 성능'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4)가 사용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통지를 나타내는 것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4)는 레이턴시가 너무 높기 때문에 클라우드 게이밍이 가능하지 않다는 메시지 서술을 제시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디바이스 지시들(581)의 세트는 예컨대, 출력 디바이스(105)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출력 디바이스 지시들(581)은 메모리(132’) 또는 대용량 저장 디바이스(134’)와 같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출력 디바이스 지시들(581)은 또한 프로세스 제어 프로그램(133’)의 부분일 수 있다. 583에서, 지시들은 레이턴시 감소 모드 개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지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이후, 출력 디바이스 지시들(581)은 584에서 출력 디바이스(105)가 출력 모드를 제 1 출력 모드로부터 레이턴시 감소 모드로 자동으로 변경하기 위한 지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586에서, 출력 디바이스(104)는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를 수신하도록 지시될 수 있다. 그 이후, 지시(581)는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587에서 출력 모드를 레이턴시 감소 모드로부터 다시 제 1 출력 모드로 자동으로 변경하기 위한 지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 지시들(680)의 세트는 예컨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104)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680)은 메모리(132) 또는 대용량 저장 디바이스(134)와 같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 지시들(680)은 또한 프로세서 제어 프로그램(133)의 부분일 수 있다. 682에서, 지시들은 레이턴시-민감 애플리케이션을 시작 또는 재개 시, 레이턴시 감소 모드 개시 신호를 출력 디바이스(105)에 자동으로 전달하기 위한 지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이후, 685에서, 지시들은 예컨대, 지연-민감 애플리케이션을 종료, 나가기 또는 중단 시, 종료 레이턴시 모드 신호를 출력 디바이스(105)에 자동으로 전달하도록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104)에 지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기 지시들(680)의 세트는 예컨대, 분배기(106)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분배기 지시들(680’)은 메모리(132”) 또는 대용량 저장 디바이스(134”)와 같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상에 형성될수 있다. 분배기 지시들(680’)은 또한 프로세스 제어 프로그램(133”)의 부분일 수 있다. 682’에서, 지시들은 레이턴시 감소 모드 개시 신호를 출력 디바이스(105)에 자동으로 전달하기 위한 지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이후, 685’에서, 지시들은 종료 레이턴시 모드 신호를 출력 디바이스(105)에 자동으로 전달하도록 분배기(106)를 지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측면들은 레이턴시 감소 모드가 출력 디바이스(105)에서 이용가능하지 않은 상황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몇몇 경우들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4)는 출력 디바이스에 질의하고 감소된 레이턴시 모드가 이용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4)는 출력 디바이스가 사용자에 경고를 나타냄으로써 및/또는 레이턴시 민감인 특정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를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감소된 레이턴시 모드에 들어갈 수 없다는 결정에 응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측면들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4)는 출력 디바이스가 낮은 레이턴시 모드에서 작동중인지 여부 또는 출력 디바이스가 그러한 모드에서도 작동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출력 디바이스(105)에 질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예컨대, 프로그램, 133에서의 적합한 지시들을 통해, 그러한 질의를 구현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부분 상에서 레이턴시 모드 질의를 구현할 수 있는 다수의 상이한 방법들이 있다. 예를 들어, '레이턴시 상황 질의'는 감소된 레이턴시 모드 전환을 개시하는데 사용되는 동일한 채널을 통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4)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감소된 레이터시 모드 전환'이 구현되는 방법에 따라 결과를 질의하는 방법이 있거나 없을 수 있다. HDMI-CEC의 경우, 상황 질의가 구현될 수 있으나, IR-블래스터를 사용하여 이것은 통신이 단-방향이기 때문에 비실용적일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레이턴시 모드 질의를 구현하는 하나의 가능한 방법은 레이턴시 모드 전환 신호를 출력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그 후 출력 디바이스의 레이턴시가 그 다음으로 변경되는지 확인하는 것일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이 유형의 기본 레이턴시 테스트는 카메라에 의해 보이고 출력 디바이스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테스트 패턴 및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4)에 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부분에 결합되는 카메라의 사용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웹캠 또는 모바일 전화는 레이턴시 감소 모드로의 또는 레인턴시 감소 모드로부터의 전환 전과 후 사이 레이턴시의 차이를 통지하기에 충분히 레이턴시-민감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서버-클라이언트 레이턴시는 예컨대, 카메라에 대한 게임패드 상의 버튼 누름들에 타이밍을 맞춤으로써, 테스트될 수 있다.
상기한 내용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완전한 기술이기는 하지만, 다양한 대안들, 변형들 및 등가물들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기술 내용을 참조로 하지 않고 결정되어야 하나, 대신, 그것들의 등가물들의 완전한 범위와 함께, 첨부된 청구항들을 참조로 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바람직한지 여부에 관계없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임의의 특징은 바람직한지 여부에 관계없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임의의 다른 특징과 조합될 수 있다. 아래의 청구항들에서, 부정관사 “하나”는, 명백하게 달리 언급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관사 이후의 아이템 중 하나 이상의 수량을 지칭한다. 그러한 제한이 주어진 청구항에서 어구 “위한 수단”을 사용하여 명백하게 언급되지 않는 한, 첨부된 청구항들이 기능식 수단의 제한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55)

  1. 출력 디바이스 상의 출력 모드를 제 1 출력 모드로부터 레이턴시(latency) 감소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지시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서, 컴퓨터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한 프로그램 지시들의 실행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이 방법을 수행하게 하고, 상기 방법은:
    a) 레이턴시 감소 모드 개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 모드를 상기 제 1 출력 모드로부터 상기 레이턴시 감소 모드로 자동으로 변경하는 단계로서, 상기 레이턴시 감소 모드는 상기 출력 디바이스가 상기 출력 디바이스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 데이터의 세트 상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동작들을 중단하게 하는, 상기 변경하는 단계;
    c)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 모드를 상기 레이턴시 감소 모드로부터 상기 제 1 출력 모드로 자동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턴시 감소 모드 개시 신호는 상기 출력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될 상기 콘텐츠 데이터와 함께 수신되는 토큰인, 상기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이턴시 감소 모드 개시 신호 및 상기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는 고-화질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연결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레이턴시 감소 모드 개시 신호 및 상기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는 가전 제품 통제(CEC; consumer electronics control) 명령들인, 상기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HDMI 연결은 무선 HDMI 연결인, 상기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이턴시 감소 모드 개시 신호 및 상기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는 적외선(IR) 블래스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큰은 상기 출력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그 다음 콘텐츠 데이터와 연속적으로 수신되며, 상기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는 상기 출력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서의 토큰의 결여인, 상기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토큰들은 정기적인 간격들로 수신되는, 상기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이턴시 감소 모드 개시 신호 및 상기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은 게이밍 콘솔인, 상기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은 셋탑 박스인, 상기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은 컴퓨터인, 상기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은 전화 시스템인, 상기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이턴시 감소 모드 개시 신호 및 상기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는 분배기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분배기는 콘텐츠 데이터를 복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들 중 하나로부터 상기 출력 디바이스에 선택적으로 라우팅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가 클라우드 기반 제공자로부터 상기 콘텐츠 데이터가 수신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으로부터 비롯되는 상기 출력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될 때, 상기 레이턴시 감소 모드 개시 신호 및 상기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를 전달하는, 상기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들 중 어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이 그것들의 콘텐츠 데이터가 상기 출력 디바이스에 선택적으로 라우팅될 때, 레이턴시 감소 모드 개시 신호를 포함해야 하는지를 미리 결정하는, 상기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들 중 어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이 그것들의 콘텐츠 데이터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이 이력 사용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출력 디바이스에 선택적으로 라우팅될 때, 레이턴시 감소 모드 개시 신호를 포함해야 하는지를 미리 결정하는, 상기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들 중 어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이 그것들의 콘텐츠 데이터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이 디폴트 설정들 및/또는 사용자 지정들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출력 디바이스에 선택적으로 라우팅될 때, 레이턴시 감소 모드 개시 신호를 포함해야 하는지를 미리 결정하는, 상기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는 비디오 게임인, 상기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는 비디오 스트림인, 상기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는 오디오 스트림인, 상기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21. 청구항 16에 있어서,
    오디오 스트림은 전화 대화인, 상기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2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는 원격 기계 상에서 구동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세션의 데이터 스트림인, 상기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2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 디바이스는 텔레이젼인, 상기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2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 디바이스는 프로젝터인, 상기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2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들인, 상기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26.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결합되는 메모리;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동안 메모리에서 구현되는 하나 이상의 지시들로서, 상기 지시들은 출력 디바이스 상의 출력 모드를 제 1 출력 모드로부터 레이턴시 감소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방법은:
    a) 레이턴시 감소 모드 개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 모드를 상기 제 1 출력 모드로부터 상기 레이턴시 감소 모드로 자동적으로 변경하는 단계로서, 상기 레이턴시 감소 모드는 상기 출력 디바이스가 상기 출력 디바이스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 데이터의 세트 상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동작들을 중단하게 하는, 상기 변경하는 단계;
    c)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 모드를 상기 레이턴시 감소 모드로부터 상기 제 1 출력 모드로 자동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턴시 감소 모드 개시 신호는 상기 출력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될 상기 콘텐츠 데이터와 함께 수신되는 토큰인, 상기 하나 이상의 지시들을 포함하는, 출력 디바이스.
  27.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출력 디바이스에서, 상기 출력 디바이스 상의 출력 모드를 제1 출력 모드로부터 레이턴시 감소 모드로 변경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a)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레이턴시 감소 모드 개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 모드를 상기 제 1 출력 모드로부터 상기 레이턴시 감소 모드로 자동으로 변경하는 단계로서, 상기 레이턴시 감소 모드는 상기 출력 디바이스가 상기 출력 디바이스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 데이터의 세트 상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동작들을 중단하게 하는, 상기 변경하는 단계;
    c)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 모드를 상기 레이턴시 감소 모드로부터 상기 제 1 출력 모드로 자동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레이턴시 감소 모드 개시 신호는 상기 출력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될 상기 콘텐츠 데이터와 함께 수신되는 토큰인, 방법.
  28. 출력 디바이스 상의 출력 모드를 제 1 출력 모드로부터 레이턴시 감소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지시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서, 컴퓨터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한 프로그램 지시들의 실행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이 다음 단계들:
    a) 콘텐츠 데이터뿐만 아니라 레이턴시 감소 모드 개시 신호를 출력 디바이스에 자동으로 전달하는 단계; 및
    b) 상기 콘텐츠 데이터가 더 이상 레이턴시 민감인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되지 않을 때,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를 상기 출력 디바이스에 자동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하고,
    상기 레이턴시 감소 모드 개시 신호는 상기 출력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될 상 콘텐츠 데이터와 함께 전달되는 토큰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29.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레이턴시 감소 모드 개시 신호 및 상기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는 고-화질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30.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레이턴시 감소 모드 개시 신호 및 상기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는 가전 제품 통제(CEC) 명령들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31.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HDMI 연결은 무선 HDMI 연결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32.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레이턴시 감소 모드 개시 신호 및 상기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는 적외선(IR) 블래스터에 의해 전달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33.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토큰은 상기 출력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그 다음 콘텐츠 데이터와 연속적으로 전달되며, 상기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는 상기 출력 디바이스에 전달되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서의 토큰의 결여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34. 청구항 33에 있어서,
    상기 토큰들은 정기적인 간격들로 전달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35.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레이턴시 감소 모드 개시 신호 및 상기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에 의해 전달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36.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은 게이밍 콘솔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37.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은 셋탑 박스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38.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은 컴퓨터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39.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은 전화 시스템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40.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상기 출력 디바이스가 낮은 레이턴시 모드에서 작동 중인지 여부 또는 상기 출력 디바이스가 상기 레이턴시 감소 모드 개시 신호를 자동으로 전달한 후 그러한 모드에서 작동할 수도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상기 출력 디바이스에 질의하기 위해 개시하도록 구성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41.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레이턴시 감소 모드 개시 신호 및 상기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는 분배기에 의해 전달되고, 상기 분배기는 콘텐츠 데이터를 복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들 중 하나로부터 상기 출력 디바이스에 선택적으로 라우팅하도록 구성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42.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가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상기 콘텐츠 데이터가 수신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으로부터 비롯되는 상기 출력 디바이스에 전달될 때, 상기 레이턴시 감소 모드 개시 신호 및 상기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를 전달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43.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들 중 어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이 그것들의 콘텐츠 데이터가 상기 출력 디바이스에 선택적으로 라우팅될 때, 레이턴시 감소 모드 개시 신호를 포함해야 하는지를 미리 결정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44.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들 중 어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이 그것들의 콘텐츠 데이터가 상기 복수의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들에 대한 이력 사용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출력 디바이스에 선택적으로 라우팅될 때, 레이턴시 감소 모드 개시 신호를 포함해야 하는지를 미리 결정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45.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들 중 어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이 그것들의 콘텐츠 데이터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플랫폼이 디폴트 설정들 및/또는 사용자 지정들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출력 디바이스에 선택적으로 라우팅될 때, 레이턴시 감소 모드 개시 신호를 포함해야 하는지를 미리 결정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46.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는 비디오 게임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47.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는 비디오 스트림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48.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는 오디오 스트림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49. 청구항 48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스트림은 전화 대화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50.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는 원격 기계 상에서 구동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세션의 데이터 스트림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51.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출력 디바이스는 텔레비젼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52.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출력 디바이스는 프로젝터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53. 청구항 28 있어서,
    상기 출력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들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54.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결합되는 메모리;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동안 메모리에서 구현되는 하나 이상의 지시들로서, 상기 지시들은 출력 디바이스 상의 출력 모드를 제 1 출력 모드로부터 레이턴시 감소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방법은:
    a) 콘텐츠 데이터뿐만 아니라 레이턴시 감소 모드 개시 신호를 출력 디바이스에 자동으로 전달하는 단계로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는 레이턴시 민감인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되는, 상기 전달하는 단계; 및
    b) 상기 콘텐츠 데이터가 더 이상 레이턴시 민감인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되지 않을 때,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를 상기 출력 디바이스에 자동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턴시 감소 모드 개시 신호는 상기 출력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될 상기 콘텐츠 데이터와 함께 전달되는 토큰인, 디바이스.
  55.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에서, 상기 디바이스 상의 출력 모드를 제1 출력 모드로부터 레이턴시 감소 모드로 변경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a)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콘텐츠 데이터뿐만 아니라 레이턴시 감소 모드 개시 신호를 출력 디바이스에 자동으로 전달하는 단계로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는 레이턴시 민감인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되는, 상기 전달하는 단계; 및
    b)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콘텐츠 데이터가 더 이상 레이턴시 민감인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되지 않을 때, 종료 레이턴시 감소 모드 신호를 상기 출력 디바이스에 자동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레이턴시 감소 모드 개시 신호는 상기 출력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될 상기 콘텐츠 데이터와 함께 전달되는 토큰인, 방법.
KR1020157008046A 2012-10-04 2013-09-20 표시 레이턴시를 감소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6571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709873P 2012-10-04 2012-10-04
US61/709,873 2012-10-04
US13/790,289 US9086995B2 (en) 2012-10-04 2013-03-08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decreasing presentation latency
US13/790,289 2013-03-08
US13/790,269 2013-03-08
US13/790,269 US8990446B2 (en) 2012-10-04 2013-03-08 Method and apparatus for decreasing presentation latency
PCT/US2013/060882 WO2014055265A1 (en) 2012-10-04 2013-09-20 Method and apparatus for decreasing presentation latency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4612A Division KR101707637B1 (ko) 2012-10-04 2013-09-20 표시 레이턴시를 감소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2158A KR20150052158A (ko) 2015-05-13
KR101657112B1 true KR101657112B1 (ko) 2016-09-13

Family

ID=5043366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8046A KR101657112B1 (ko) 2012-10-04 2013-09-20 표시 레이턴시를 감소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167024612A KR101707637B1 (ko) 2012-10-04 2013-09-20 표시 레이턴시를 감소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4612A KR101707637B1 (ko) 2012-10-04 2013-09-20 표시 레이턴시를 감소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5) US9086995B2 (ko)
EP (1) EP2891145B1 (ko)
JP (1) JP2014075789A (ko)
KR (2) KR101657112B1 (ko)
CN (1) CN105828213B (ko)
WO (1) WO20140552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86995B2 (en) 2012-10-04 2015-07-21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decreasing presentation latency
US9332216B2 (en) 2014-03-12 2016-05-03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Video frame rate compensation through adjustment of vertical blanking
EP2953370A1 (en) * 2014-06-05 2015-12-09 Ziggo B.V. Minimizing input lag in a remote GUI TV application
US9563367B2 (en) * 2014-08-26 2017-02-07 HGST Netherlands B.V. Latency command processing for solid state drive interface protocol
US9396702B2 (en) 2014-12-23 2016-07-19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America Llc Latency tester
US10744407B2 (en) 2015-09-08 2020-08-18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LLC Dynamic network storage for cloud console server
US9813468B2 (en) 2015-09-08 2017-11-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ireless control of streaming computing device
US11206393B2 (en) * 2017-09-22 2021-12-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play latency measurement system using available hardware
KR102480310B1 (ko) * 2017-11-06 2022-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706812B2 (en) * 2018-05-30 2020-07-07 Ati Technologies Ulc Source-side tone mapping based on native color gamut and brightness of display
US11703834B2 (en) * 2018-07-31 2023-07-18 Canon Kabushiki Kaisha Production system, and method of producing article
CN109587546B (zh) * 2018-11-27 2020-09-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视频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CN116389794A (zh) * 2019-02-20 2023-07-04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启用超高清联盟指定参考模式(uhda-srm)的技术
CN111991800A (zh) * 2019-02-22 2020-11-27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游戏角色控制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BR112021025587A2 (pt) * 2019-07-17 2022-02-01 Dolby Int Ab Gerenciamento de latência para entrega de conteúdo
US11323766B2 (en) * 2019-10-03 2022-05-03 Dolby International Ab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udio/video content to a rendering device
KR20210057354A (ko) 2019-11-12 2021-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22036737A (ja) * 2020-08-24 2022-03-08 キヤノン株式会社 投影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N114339339B (zh) * 2021-01-14 2024-02-23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外接设备及播放模式切换方法
EP4295578A2 (en) * 2021-02-17 2023-12-27 Sonos Inc. Wireless streaming of audio-visual content and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display user interactions
KR20230106445A (ko) * 2022-01-06 2023-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서버 컴퓨터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112964A (ko) * 2022-01-21 2023-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776507B1 (en) 2022-07-20 2023-10-03 Ivan Svirid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display latenc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27401A1 (en) 2007-07-25 2009-01-29 Graham Loveridge Methods and apparatus for latency control in display devices
US20100013855A1 (en) * 2008-07-16 2010-01-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ically calibrating picture settings on a display in accordance with media stream specific characteristics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87520B1 (en) 2001-01-24 2009-09-08 3Dlabs Inc. Ltd. Image display system with visual server
KR100500232B1 (ko) 2002-11-06 2005-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영상제어시스템 및 영상제어방법
US20060012586A1 (en) 2004-07-15 2006-01-19 David Ochs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display device settings based on a predetermined code
DE102005016427A1 (de) 2005-04-08 2006-10-12 Schaeffler Kg Bund mit stirnseitigen Zähnen für eine antreibbare Radnabe
JP4551343B2 (ja) * 2006-02-28 2010-09-29 シャープ株式会社 映像処理装置、及び映像処理方法
US8698812B2 (en) 2006-08-04 2014-04-15 Ati Technologies Ulc Video display mode control
JP2008042703A (ja) * 2006-08-09 2008-02-21 Sharp Corp 画面表示モード切換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及び画面表示モード切換方法
US8935738B2 (en) * 2006-12-13 2015-01-1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interactive video content
US20080168519A1 (en) * 2007-01-05 2008-07-10 Radiospire Networks,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multiple audio/video sources to an audio/video sink
CN101627625A (zh) * 2007-03-13 2010-01-13 索尼株式会社 通信系统、发送装置、发送方法、接收装置以及接收方法
KR20080110079A (ko) * 2007-06-14 2008-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av 기기 정보 또는 프로그램 정보에 따라 환경을설정하는 환경설정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2009033415A (ja) * 2007-07-26 2009-02-12 Sony Corp 表示システム、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再生装置、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094610A (ja) * 2007-10-04 2009-04-30 Sharp Corp テレビジョン受信機及びテレビゲームシステム
US8419545B2 (en) * 2007-11-28 2013-04-16 Ailive,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objects in a videogame
US8754904B2 (en) * 2011-04-03 2014-06-17 Lucidlogix Software Solutions, Ltd. Virtualization method of vertical-synchronization in graphics systems
JP2009141940A (ja) * 2008-08-22 2009-06-25 Hitachi Ltd 映像表示装置、表示パネル及び映像処理装置
US8860893B2 (en) * 2008-08-22 2014-10-14 Sony Corporation DTV with detachable HDMI inputs
US8559746B2 (en) * 2008-09-04 2013-10-15 Silicon Image,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moothing of edges in images to remove irregularities
US20100205628A1 (en) * 2009-02-12 2010-08-12 Davis Bruce L Media processing methods and arrangements
JP2011120024A (ja) * 2009-12-03 2011-06-16 Canon Inc 映像表示システム
JP2011124925A (ja) * 2009-12-14 2011-06-23 Sony Corp 出力制御装置、出力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出力制御システム
US9104238B2 (en) * 2010-02-12 2015-08-11 Broadcom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enhanced motion detection
EP2563018A4 (en) * 2010-04-20 2013-05-01 Sharp Kk DELIVERY DEVICE, SOURCE APPARATUS, TELEVISION SET, SYSTEM, DELIVERY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9055281B2 (en) * 2010-05-20 2015-06-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ource device and sink device and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media service and related data
US8542320B2 (en) * 2010-06-17 2013-09-24 Son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to control a non-gesture controlled device using gesture interactions with a gesture controlled device
US20120229460A1 (en) 2011-03-12 2012-09-13 Sensio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Resource Usage in a Graphics Pipeline
CA2868276A1 (en) * 2011-03-23 2013-09-27 Mgestyk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system for interfacing with computers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through gestures by using depth sensing and methods of use
US20140092004A1 (en) * 2012-09-28 2014-04-03 Ashok K. Mishra Audio information and/or control via an intermediary device
US20140096169A1 (en) 2012-09-28 2014-04-03 Joseph Dodson Playback synchronization in a group viewing a media title
US9086995B2 (en) 2012-10-04 2015-07-21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decreasing presentation latency
CN103716550B (zh) * 2012-10-04 2017-09-26 索尼电脑娱乐美国公司 用于减少呈现等待时间的方法和装置
US10353633B2 (en) 2013-12-19 2019-07-16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LLC Mass storage virtualization for cloud computing
US9497358B2 (en) 2013-12-19 2016-11-15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America Llc Video latency reduction
US9332216B2 (en) 2014-03-12 2016-05-03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Video frame rate compensation through adjustment of vertical blanking
US9396702B2 (en) * 2014-12-23 2016-07-19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America Llc Latency tes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27401A1 (en) 2007-07-25 2009-01-29 Graham Loveridge Methods and apparatus for latency control in display devices
US20100013855A1 (en) * 2008-07-16 2010-01-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ically calibrating picture settings on a display in accordance with media stream specific characterist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75789A (ja) 2014-04-24
EP2891145A1 (en) 2015-07-08
US8990446B2 (en) 2015-03-24
KR101707637B1 (ko) 2017-02-16
KR20160110534A (ko) 2016-09-21
US20140101342A1 (en) 2014-04-10
US20170220496A1 (en) 2017-08-03
US20140101341A1 (en) 2014-04-10
CN105828213A (zh) 2016-08-03
US9086995B2 (en) 2015-07-21
EP2891145B1 (en) 2018-03-28
US20150301960A1 (en) 2015-10-22
EP2891145A4 (en) 2016-06-15
US10002088B2 (en) 2018-06-19
WO2014055265A1 (en) 2014-04-10
US9626308B2 (en) 2017-04-18
CN105828213B (zh) 2019-05-14
KR20150052158A (ko) 2015-05-13
USRE49144E1 (en) 202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7112B1 (ko) 표시 레이턴시를 감소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978423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managing output of an HDMI source
US9648073B2 (en) Streaming control for real-time transport protocol
KR102268442B1 (ko) 다수의 디바이스에서 동기화된 미디어 콘텐츠 재생 동안 품질 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들, 시스템들 및 매체들
JP5049265B2 (ja) 同期されたメディア体験
CN107371044B (zh) 电子设备互动方法、电子设备、用户终端及服务器
US10375438B2 (en) Method for content projection and mobile terminal
JP2016527750A (ja) メディアコンテンツを提示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および媒体
WO2017113708A1 (zh) 视频播放方法及装置
CN103716550B (zh) 用于减少呈现等待时间的方法和装置
US11838589B2 (en) Port-connected television upgrader device
CN111345043B (zh) 多设备媒体交换
US20120284419A1 (en) Processing Media Streams
US11005976B2 (en) Delivery of media content to a media device via multiple data packet streams
CN115278319A (zh) 一种投屏数据传输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WO2023036013A1 (zh) 游戏直播交互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8913727B2 (en) Presence transmission method, video display device, and video display system
KR20130113554A (ko) 백그라운드 버퍼링을 이용한 ip 기반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 콘텐츠 수신 장치 및 방법
KR20130027305A (ko) 서비스 관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