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350B1 - 사물 인터넷 기반의 단말기 잠금 해제 방법 - Google Patents

사물 인터넷 기반의 단말기 잠금 해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6350B1
KR101656350B1 KR1020150053521A KR20150053521A KR101656350B1 KR 101656350 B1 KR101656350 B1 KR 101656350B1 KR 1020150053521 A KR1020150053521 A KR 1020150053521A KR 20150053521 A KR20150053521 A KR 20150053521A KR 101656350 B1 KR101656350 B1 KR 101656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ssion
unlocking
terminal
internet
mission exec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3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티지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티지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티지랩
Priority to KR1020150053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3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기반의 단말기 잠금 해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물 인터넷 또는 네트워크와 접속되어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단말기 잠금 해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화면 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대한 잠금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사용자에 의해 잠금 해제 개시 신호가 입력되면 잠금해제조건이 설정된 미션실행 시작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미션실행 시작신호에 의해 사물 인터넷과 연동하고, 상기 잠금해제조건에 해당하는 사물 인터넷의 사물과 통신하면서 미션 실행 인증 동작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미션 실행 인증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미션 실행 인증 정보가 상기 잠금해제조건을 만족하면 미션 실행 완료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미션 실행 완료 신호와 연동하여 상기 단말기의 잠금 해제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를 이용하기 위해서 어린이 또는 청소년이 게이미피케이션에서 활용되는 미션을 수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고, 미션 관련 놀이에 집중하여 자연스럽게 단말기에 대한 관심을 놀이로 유도하거나 단말기 사용을 적절히 조절하도록 하며, 어린이 또는 청소년들에게 단말기 사용에 대한 대체 행동들을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고, 이런 대체 행동을 통해 신체적 또는 정서적 활동을 증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사물 인터넷 기반의 단말기 잠금 해제 방법{Method for unlocking of Terminal based on Internet of Things }
본 발명은 사물 인터넷 기반의 단말기 잠금 해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게이미피케이션을 실행하여 단말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하도록 함으로써 어린이 또는 청소년이 자연스럽게 게이미피케이션에서 활용되는 미션을 수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단말기 잠금 해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스마트 기기의 잠금 시스템은 패스워드나 패턴을 이용한 암호를 활용하는 방식, 영상을 활용하는 방식, 음성을 활용하는 방식 또는 질의 응답을 활용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을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의 사용 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제한하는 잠금 모드를 실행하고 있다.
요즘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스마트 기기에 대한 사용 연령이 점점 낮아지면서 아동 또는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이 심각해지고 있다. 따라서, 자기 조절 능력이나 통제력이 부족한 아동 또는 청소년기의 특성상 적절한 수준의 사용 시간 관리가 필요하고, 아동 및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사용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2013년 여성 가족부에 의한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실태 조사 연구에 따르면, 전체 초등학생의 5%, 중학생의 9%, 고등학생의 11% 가량이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에 속한다. 또한, 5세 미만의 어린이들의 스마트폰 중독도 심각한 상태로 매일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5세 미만의 어린이들의 비율도 40%에 이른다.
이러한 어린이 또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을 해결하기 위한 스마트폰 키즈락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는데, 기존의 스마트폰 키즈락 시스템은 일정 시간 동안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면 잠기는 방식,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잠그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러한 스마트폰 키즈락 시스템은 잠금 해제를 위한 조건만 만족되면 잠금이 해제되므로 지만, 현실적으로 활용도가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 기술 자료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40564호의 모바일 단말기를 위한 동적 잠금 해제 방법 및 장치는 변화하는 잠금 이미지와 미리 설정된 잠금 이미지가 일치되는 경우에 스마트폰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이고,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26780호의 사용되는 멜로디 기반의 잠금 및 해제 방법은 등록된 멜로디와 일치하는 멜로디가 입력되는 경우에 잠금이 해제되는 것이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1163709호의 잠금 해제 시스템 및 방법은 영상 및 주변 음성이 기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모바일 단말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이고,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03456호의 이미지 패스워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의 로컬 잠금 장치 인증 시스템은 이미지를 인증 서버를 통해 인증 받아 잠금을 해제하는 것이며,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42253호의 모바일 단말에서의 디스플레이 잠금 상태의 해제 방법 및 그 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은 질의 응답을 통해서 모바일 단말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이다.
이러한 선행 기술들은 스마트폰 또는 모바일 기기 등의 단말기 사용을 제한하기 위해 잠그는 방식과 잠금을 해제하는 방식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어린이 또는 청소년들의 관심을 독서, 운동 또는 기타 놀이 등으로 유도하기 위한 메커니즘이 존재하지 않는다.
스마트폰의 중독 또는 사용을 제한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어린이 또는 청소년들의 행동을 자연스럽게 다른 행동으로 유도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해결책이다.
따라서, 어린이 또는 청소년들의 스마트 폰 등의 단말기에 대한 사용을 제한하거나 줄이기 위해서는 단말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과정에서 다른 놀이들로 관심을 유도하여 단말기의 사용 또는 관심을 놀이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거나, 단말기의 잠금 모드 해제시 연속되는 놀이 동작으로 인해 단말기에 대한 흥미를 점차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40564호 " 모바일 단말기를 위한 동적 잠금 해제 방법 및 장치 "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26780호 " 사용되는 멜로디 기반의 잠금 및 해제 방법 " 한국등록특허 제10-1163709호 " 잠금 해제 시스템 및 방법 "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03456호 " 이미지 패스워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의 로컬 잠금 장치 인증 시스템 "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42253호 " 모바일 단말에서의 디스플레이 잠금 상태의 해제 방법 및 그 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 "
본 발명은 사물 인터넷을 활용하여 시간과 행동에 기반한 게이미피케이션을 실행하여 단말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하도록 함으로써 어린이 또는 청소년이 자연스럽게 게이미피케이션에서 활용되는 미션을 수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단말기 잠금 해제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사물인터넷 기반의 단말기 잠금 해제 방법은, 사물 인터넷 또는 네트워크와 접속되어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단말기 잠금 해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화면 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대한 잠금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사용자에 의해 잠금 해제 개시 신호가 입력되면 잠금해제조건이 설정된 미션실행 시작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미션실행 시작신호에 의해 사물 인터넷과 연동하고, 상기 잠금해제조건에 해당하는 사물 인터넷의 사물과 통신하면서 미션 실행 인증 동작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미션 실행 인증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미션 실행 인증 정보가 상기 잠금해제조건을 만족하면 미션 실행 완료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미션 실행 완료 신호와 연동하여 상기 단말기의 잠금 해제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잠금해제조건은 사물 인터넷의 사물들을 이용하여 시간과 행동 기반의 게이미피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잠금해제조건은 상기 게이미피케이션을 실행하는 사용자에 대한 신체적 특징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신체적 특징 정보에 따라 미션 실행 시간, 미션 행동, 미션 성공 조건을 포함한 미션 실행 인증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물 인터넷의 사물은 상기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게이미피케이션 실행시 미션 실행 인증을 위한 시간과 행동 측정을 위한 측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단말기와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기반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션 실행 인증 동작을 수행한 결과가 상기 잠금해제조건에 만족되지 않은 경우에 미션 실패 신호를 출력하고, 기 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잠금 해제 개시 신호를 수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 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잠금 해제 개시 신호를 수용하는 단계는, 상기 미션 실패 신호의 발생 횟수 또는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을 반영하여 잠금해제조건을 기 설정된 조정 범위 이내에서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션 실행 완료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미션 실행 인증 정보를 분석하여 미션의 종류, 미션 실행 시간, 미션 행동, 미션 성공 조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경하여 상기 잠금해제조건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잠금 모드는 잠금 해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카운트한 시간이 설정 시간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잠금되도록 하는 방식 또는 상기 단말기의 관리자에 의해 수동으로 잠금되도록 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물 인터넷 기반의 단말기 잠금 해제 방법은, 사물 인터넷을 활용하여 시간과 행동에 기반한 게이미피케이션을 실행하여 단말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를 이용하기 위해서 어린이 또는 청소년이 게이미피케이션에서 활용되는 미션을 수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고, 미션 관련 놀이에 집중하여 자연스럽게 단말기에 대한 관심을 놀이로 유도하거나 단말기 사용을 적절히 조절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물 인터넷 기반의 단말기 잠금 해제 방법은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를 이용하기 위해서 독서, 운동, 학습 등을 활용한 게이미피케이션을 실행해야만 하므로 어린이 또는 청소년들에게 단말기 사용에 대한 대체 행동들을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고, 이런 대체 행동을 통해 신체적 또는 정서적 활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단말기 잠금 해제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말기와 사물 인터넷과의 연동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단말기 잠금 해제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말기와 사물 인터넷과의 연동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제3자의 단말기 사용을 제한하기 위해 패스워드 또는 패턴 등을 이용한 잠금 화면 설정 기능을 실행하거나, 특정 어플리케이션이나 기능에 대한 사용을 제한하는 잠금 설정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잠금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00)는 잠금 화면 설정 기능과 잠금 설정 어플리케이션을 적어도 하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S1)
여기서, 단말기(100)는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단말기, 태블릿 PC, 스마트 TV 등의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통신 기기일 수 있으며, 그 종류에 제한이 없다.
사물 인터넷 기반의 단말기 잠금 해제 방법은, 단말기(100)에 잠금 모드가 설정되고, 어린이나 청소년들이 단말기(100)를 사용하기 위해 단말기(100)의 화면을 터치하거나 특정 키를 누르게 되면 잠금 해제 개시 신호가 발생한다.(S2)
이때, 잠금 모드는 잠금 해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하여 카운트한 시간이 설정 시간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잠금되도록 설정될 수 있고, 단말기(100)의 관리자에 의해 수시로 잠금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잠금 해제 개시 신호와 연동하여 미션 실행 시작 신호가 발생하고, 미션 실행 시작 신호에 의해 단말기(100)는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해 사물 인터넷과의 통신을 개시한다.(S3)
이때, 사물 인터넷의 사물들(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와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통신 모듈(210) 및 게이미피케이션 실행시 사용자의 미션 실행 시간과 행동 측정을 위한 측정 모듈(220)을 포함한다.
예들 들어, 사물 인터넷의 사물들(200)은 통신 모듈(210)과 줄넘기 횟수와 시간을 카운팅할 수 있는 카운터와 타이머 등의 측정 모듈(220)이 설치된 줄넘기이거나, 통신 모듈(210)과 달리기 또는 걷기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와 타이머 등의 측정 모듈(220)이 설치된 신발이 될 수 있다.
한편, 게이미피케이션(Gamification)은 게임 요소를 기업의 비즈니스 등에 적용하는 것으로서, 게임이 아닌 분야에 대한 지식 전달, 행동 및 관심 유도 또는 마케팅 등에 게임의 매커니즘, 사고방식과 같은 게임의 요소를 접목시키는 것이다.
즉, 게이미피케이션은 소비자 대상 웹이나 모바일 사이트 등 게임이 아닌 어플리케이션에 해당 어플리케이션 사용을 권장하기 위해 게임 메커닉을 적용하고, 또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에서 바라는 행동을 하도록 유도하기도 한다.
이러한 게이미피케이션은 직원 교육 프로그램, 건강, 기타 개인 활동, 재정 서비스 웹 사이트, 개인용 온라인 쇼핑, 기초 교육, 익스트림 스포츠, 건강 복지, 대중교통, 정부, 기타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물 인터넷 기반의 단말기 잠금 해제 방법에서 게이미피케이션은 어린이 또는 청소년들이 스마트 기기 등의 단말기(100)의 잠금 모드를 해제하기 위해 사물 인터넷과 연동하여 독서, 운동, 놀이 등으로 관심을 자연스럽게 유도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사물 인터넷 기반의 단말기 잠금 해제 방법은, 미션 실행 시작 신호에 의해 단말기의 화면에 잠금해제조건에 대한 미션 메시지를 출력하고, 사물 인터넷의 특정 사물과 통신하면서 미션 실행 인증 동작을 수행한다.(S4, S5, S6)
이때, 잠금해제조건은 사물 인터넷의 사물들을 활용하여 시간과 행동 기반의 게이미피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연령이나 성별 등의 신체적 특징 정보를 고려하여 게이미피게이션에 대한 미션 실행 시간, 미션 행동, 미션 성공 조건을 포함한 미션 실행 인증 정보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초등학생인 경우에, 10분 동안 줄넘기 100회, 10분 동안 걷기 10000보, 10분 동안 훌라우프 100회 등으로 미션 실행 인증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미취학 아동인 경우에, 5분 동안 줄넘기 20회, 10분 동안 소리내서 책읽기 2권 또는 동화스토리 듣기 2회 등으로 미션 실행 인증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단말기에서 미션 실행 인증 동작은 잠금해제조건에 해당하는 사물과 통신하면서 시간을 측정하고, 미션 실행 인증을 위한 사용자 행동을 측정한 측정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다.
사물 인터넷 기반의 단말기 잠금 해제 방법은 사물인터넷을 통해 수집되는 시간과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잠금 해제 조건에 설정된 미션 실행 인증 정보를 모두 만족하는지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미션 실행 인증 동작이 잠금 해제 조건을 만족된 경우에 미션 실행 완료 신호를 출력한다.(S7, S8)
사물 인터넷 기반의 단말기 잠금 해제 방법은 미션 실행 완료 신호가 출력되면, 단말기(100)의 화면에 미션 성공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고, 단말기(100)의 잠금 모드가 해제되어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S9)
반면에, 사물 인터넷 기반의 단말기 잠금 해제 방법은 사용자의 미션 실행 인증 동작이 잠금 해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에 미션 실패 신호를 출력하고, 기 설정된 대기 시간 동안 사용자로부터 잠금 해제 개시 신호가 입력되더라도 이를 수용하지 않고, 대기 시간이 경과된 후에 잠금 해제 개시 신호를 수용하여 사용자의 미션 실행 인증 동작을 허용한다.(S10) 이때, 미션 실패 신호에 의해 단말기(100)의 화면에 미션 실패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사물 인터넷 기반의 단말기 잠금 해제 방법은 미션 실패 신호가 출력되면, 미션 실패 신호의 발생 횟수를 측정하여 누적하고, 누적된 미션 실패 신호의 발생 횟수가 설정 횟수 이상일 경우에 잠금 해제 조건의 미션 실행 인증 정보의 미션 실행 시간, 미션 행동, 미션 성공 조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하향 조정할 수 있다.
또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단말기 잠금 해제 방법은 미션 실행 완료 신호가 출력되면, 미션 실행이 완료된 미션 실행 인증 정보, 특히 미션 실행 시간 등을 고려하여 잠금 해제 조건을 단계별로 상향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 해제 조건이 "10분 동안 줄넘기 100회"인 경우에, 미션 실행 인증 정보가 미션 실행 1회에 10분에 줄넘기 100회, 미션 실행 2회에 8분에 줄넘기 100회, 미션 실행 3회에 5분에 줄넘기 100회라면, 다음 단계인 "10분 동안 줄넘기 150회"로 잠금 해제 조건을 재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물 인터넷 기반의 단말기 잠금 해제 방법은, 단말기(100)의 관리자, 즉 부모 또는 보호자가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이나 단말기의 관심도 등에 따라 잠금해제조건을 단계별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정할 수 있고, 잠금해제조건에 해당하는 미션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사물 인터넷 기반의 단말기 잠금 해제 방법은, 단말기(100)의 관리자가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이미지 정보와 사용자별 잠금해제조건을 등록할 수 있고,등록된 이미지 정보와 현재 이미지 정보가 일치할 경우에 사용자별 잠금해제조건에 따라 서로 다른 미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사물 인터넷 기반의 단말기 잠금 해제 방법은 네트워크상에서 다운로드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잠금해제 개시신호, 미션 실행 시작 신호, 미션실행 완료 신호 또는 미션실패신호와 연동하여 단말기(100)의 화면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물 인터넷 기반의 단말기 잠금 해제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업데이트 사항들을 다운로드받아 반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단말기 잠금 해제 방법은 어린이 또는 청소년들이 단말기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게이미피케이션을 실행하게 되고, 학습, 운동, 독서 등을 응용한 게이미피케이션을 실행하면서 자연스럽게 단말기 사용에 대한 관심이 놀이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단말기 잠금 해제 방법은, 일정 시간 단위로 단말기의 잠금모드가 실행되는 경우에 단말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게이미피케이션의 미션을 실행해야만 하므로 단말기의 사용 시간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고, 미션에 따라 신체적 또는 정서적 활동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그만큼 어린이 또는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에 대한 의존도 또는 관심도를 낮출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단말기 200 : 사물 인터넷의 사물
210 : 통신 모듈 220 : 측정 모듈

Claims (9)

  1. 사물 인터넷 또는 네트워크와 접속되어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단말기 잠금 해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화면 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대한 잠금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사용자에 의해 잠금 해제 개시 신호가 입력되면 사물 인터넷의 사물들을 이용하여 시간과 행동 기반의 게이미피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하는 잠금해제조건이 설정된 미션실행 시작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미션실행 시작신호에 의해 사물 인터넷과 연동하고, 상기 잠금해제조건에 해당하는 사물 인터넷의 사물과 통신하면서 미션 실행 인증 동작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미션 실행 인증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미션 실행 인증 정보가 상기 잠금해제조건을 만족하면 미션 실행 완료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미션 실행 완료 신호와 연동하여 상기 단말기의 잠금 해제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단말기 잠금 해제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해제조건은 상기 게이미피케이션을 실행하는 사용자에 대한 신체적 특징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신체적 특징 정보에 따라 미션 실행 시간, 미션 행동, 미션 성공 조건을 포함한 미션 실행 인증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단말기 잠금 해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 인터넷의 사물은 상기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게이미피케이션 실행시 미션 실행 인증을 위한 시간과 행동 측정을 위한 측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단말기 잠금 해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단말기와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기반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단말기 잠금 해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션 실행 인증 동작을 수행한 결과가 상기 잠금해제조건에 만족되지 않은 경우에 미션 실패 신호를 출력하고, 기 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잠금 해제 개시 신호를 수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단말기 잠금 해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잠금 해제 개시 신호를 수용하는 단계는,
    상기 미션 실패 신호의 발생 횟수 또는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을 반영하여 잠금해제조건을 기 설정된 조정 범위 이내에서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단말기 잠금 해제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션 실행 완료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미션 실행 인증 정보를 분석하여 미션의 종류, 미션 실행 시간, 미션 행동, 미션 성공 조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경하여 상기 잠금해제조건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단말기 잠금 해제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모드는 잠금 해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카운트한 시간이 설정 시간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잠금되도록 하는 방식 또는 상기 단말기의 관리자에 의해 수동으로 잠금되도록 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단말기 잠금 해제 방법.
KR1020150053521A 2015-04-16 2015-04-16 사물 인터넷 기반의 단말기 잠금 해제 방법 KR101656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521A KR101656350B1 (ko) 2015-04-16 2015-04-16 사물 인터넷 기반의 단말기 잠금 해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521A KR101656350B1 (ko) 2015-04-16 2015-04-16 사물 인터넷 기반의 단말기 잠금 해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6350B1 true KR101656350B1 (ko) 2016-09-12

Family

ID=56950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3521A KR101656350B1 (ko) 2015-04-16 2015-04-16 사물 인터넷 기반의 단말기 잠금 해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3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815A (ko) * 2017-01-02 2018-07-11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폰 기반의 손목터널증후군 예방 시스템을 이용한 손목터널증후군 예방 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9915A (ko) * 2007-04-03 2008-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 보안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100865856B1 (ko) * 2007-11-15 2008-10-29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 단말의 작동 제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KR20090003456A (ko) 2007-06-12 2009-01-12 (주)솔메이즈 이미지 패스워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의 로컬잠금장치인증 시스템
KR101163709B1 (ko) 2011-02-14 2012-07-09 주식회사 차후 잠금 해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40454A (ko) * 2011-10-14 2013-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잠금 자동해제 장치 및 방법
KR20130040564A (ko) 2011-10-14 2013-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단말기를 위한 동적 잠금 해제 방법 및 장치
KR20130126780A (ko) 2012-04-13 2013-11-2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되는 멜로디 기반의 잠금 및 해제 방법
KR20130142253A (ko) 2012-06-19 2013-12-30 유영택 모바일 단말에서의 디스플레이 잠금 상태의 해제 방법 및 그 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
KR20140025680A (ko) * 2012-08-22 2014-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9915A (ko) * 2007-04-03 2008-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 보안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20090003456A (ko) 2007-06-12 2009-01-12 (주)솔메이즈 이미지 패스워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의 로컬잠금장치인증 시스템
KR100865856B1 (ko) * 2007-11-15 2008-10-29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 단말의 작동 제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KR101163709B1 (ko) 2011-02-14 2012-07-09 주식회사 차후 잠금 해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40454A (ko) * 2011-10-14 2013-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잠금 자동해제 장치 및 방법
KR20130040564A (ko) 2011-10-14 2013-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단말기를 위한 동적 잠금 해제 방법 및 장치
KR20130126780A (ko) 2012-04-13 2013-11-2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되는 멜로디 기반의 잠금 및 해제 방법
KR20130142253A (ko) 2012-06-19 2013-12-30 유영택 모바일 단말에서의 디스플레이 잠금 상태의 해제 방법 및 그 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
KR20140025680A (ko) * 2012-08-22 2014-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815A (ko) * 2017-01-02 2018-07-11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폰 기반의 손목터널증후군 예방 시스템을 이용한 손목터널증후군 예방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vingstone et al. European research on children’s internet use: Assessing the past and anticipating the future
Holloway et al. The Internet of toys
Lai et al. Blending student technology experiences in formal and informal learning
US9069458B2 (en) Kid mode user interface with application-specific configurability
US20120215328A1 (en) Physical activity monitoring and recording system and device
Crowley et al. Gamification of citizen sensing through mobile social reporting
Lim et al. Facework on Facebook: The online publicness of juvenile delinquents and youths-at-risk
Smith et al. Children’s digital playgrounds as data assemblages: Problematics of privacy, personalization, and promotional culture
Jeffreys et al. Celebrity-inspired, fan-driven: doing philanthropy through social media in mainland China
US20150243175A1 (en) Automated disciplinary and motivational system
Roshan et al. Exploring How Parents in Economically Depressed Communities Access Learning Resources.
Kuru et al. Understanding and measuring mobile Facebook use: Who, why, and how?
Siddiqui et al. A survey on cybersecurity challenges and awareness for children of all ages
Ohmer et al. RU connected? Engaging youth in designing a mobile application for facilitating community organizing and engagement
Prasad et al. Understanding parents’ concerns with smart device usage in the home
KR101656350B1 (ko) 사물 인터넷 기반의 단말기 잠금 해제 방법
Hadji Breaking boundaries. The opportunities for using social media in civil society networking, activism and civic engagement
Chen et al. If you built a sandbox: How children, network diversity, and community interventions are related to Google Fiber signup in disadvantaged urban communities
Koutropoulos Academic check-ins: mobile gamification for increasing motivation
Antonelli et al. Usability of 4to24: A Transition Application for Parents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Hina et al. A relational study of critical threats and risks affecting the potential usage of collaborative pattern
Al-Nuaim Context-aware mobile interface design for M-government
Hariche et al. Web-enabled social cohesion: Harnessing participation
US20160300502A1 (en) Governing access to software based on completion of educational tasks
Fotouhi-Ghazvini1&2 et al. Implementing mixed reality games for mobile language lear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