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178B1 - 스트로 타입의 폐활량 회복 운동용 보조구 - Google Patents

스트로 타입의 폐활량 회복 운동용 보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6178B1
KR101656178B1 KR1020150036146A KR20150036146A KR101656178B1 KR 101656178 B1 KR101656178 B1 KR 101656178B1 KR 1020150036146 A KR1020150036146 A KR 1020150036146A KR 20150036146 A KR20150036146 A KR 20150036146A KR 101656178 B1 KR101656178 B1 KR 101656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transparent tube
transparent
weight
heavy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6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창익
Original Assignee
연창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창익 filed Critical 연창익
Priority to KR1020150036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1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1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improving respiratory fun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로 타입의 폐활량 회복 운동용 보조구에 관한것으로, 특히 폐활량 회복 운동용 보조구를 스트로(Straw) 타잎으로 간결하게 구성하여, 폐활량 재활에 필요한 환자라면도 누구라도 쉽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였고, 또한 일회 사용으로 제작하여 위생적으로도 별도의 유지 관리가 필요 없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트로 타입의 폐활량 회복 운동용 보조구{Spirometric Exercise Recovery Aid of a Straw-Type}
본 발명은 스트로 타입의 폐활량 회복 운동용 보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트로(Straw)타입의 간결한 구성에 의하여 누구라도 쉽게 휴대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스트로 타입의 폐활량 회복 운동용 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폐는 늑막(肋膜)이라고 하는 얇은 막 주머니에 둘러싸여 있으며, 각각은 기관지에 의해 기관(氣管)에 연결되어 있고 폐동맥에 의해 심장에 연결되어 있다. 각 폐의 안쪽에 폐의 바닥에서 꼭대기 쪽으로 약 2/3쯤 되는 곳을 문(門)이라 하는데, 기관지문은 폐동맥·폐정맥·림프혈관 등이 폐로 들어가는 지점이다. 주기관지는 폐로 들어가면 8~10개의 가지로 나뉘고 다시 더 작은 많은 가지로 나누어져 지름이 1㎝ 미만이다. 각 폐의 기관지 계통은 마치 거꾸로 세운 나뭇가지 같다. 이 가지들 가운데 가장 작은 것은 세기관지(細氣管枝)이며 폐포라고 하는 작은 공기주머니가 달려 있는데, 폐포에서 호흡기관과 모세혈관 사이의 산소와 이산화탄소 가스 교환이 일어난다. 각 폐는 엽(葉)으로 나누어지는데, 각 엽은 조직의 열구(裂溝)에 의해 서로 분리되며 내부에서 수백 개의 소엽으로 더 세분된다. 각 소엽들은 세기관지와 이와 연관된 가지들, 얇은 벽, 폐포덩어리 등을 포함하고 있다. 오른쪽 폐는 3개의 엽으로 나누어지는 반면 왼쪽 폐는 단지 2개의 엽으로만 되어 있는데 이는 왼쪽에 있는 심장이 뛸 때 왼쪽 폐도 함께 들썩거려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또한 폐는 호흡기능 외에도 폐는 다른 신체적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데 폐를 통해서 수분·알코올·약물 등이 흡수·배출될 수 있다. 정상적인 경우 매일 수분의 약 1/4이 폐를 통해 배출되고 에테르나 이산화질소 같은 마취기체가 폐를 통해 흡수되고 제거된다. 혈류에 있는 지방은 흔히 제거되어 폐포에 저장된다. 폐는 글리코겐(동물성 당)을 저장할 수 있고 대사도 하는데 이 과정은 간의 탄수화물 조절기능을 돕는다. 격렬한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사람은 기체를 교환할 수 있는 총폐표면 중 1/20만을 사용한다. 폐의 내압은 대기압과 같다. 폐는 약간 팽창한 상태로 되어 있는데 이는 폐를 덮고 있는 막과 흉벽 사이의 부분적인 진공때문이다. 횡격막과 늑간근(肋肝筋)의 수축으로 폐 주위의 압력이 대기에 비해 음압이 되면 공기는 폐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폐는 자주 감염되고 손상을 입는다. 일부 감염은 폐의 넓은 부위를 파괴하여 기능을 할 수 없게 만들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기능을 하는 폐에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 수술적 혹은 약물적 치료 방법과 아울러 회복 운동을 통하여 폐로 하여금 정상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고 있는데, 폐의 회복 운동을 위한 기구로는 하기 특허문헌 표시와 같은 회복 기구들이 공개되어 있다.
특허문헌1은 마우스(Mouth)가 형성된 관을 복수개로 분기(分岐)하여, 각 분기관들의 내부 각각에는 들이쉼을 저지하고 내쉼에 저항을 제공하는 밸브들을 설치하여, 숨을 내쉬는 동작시에는 물론 숨을 들이마시는 동작시에도 중량체인 볼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저항을 받음에 따라 운동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 것이고,
특허문헌2는 투명체의 실린더 상부에 형성된 고무호스의 주입구를 입으로 불어서 실린더 내부의 운동구(球)가 중간위치에 계속 부유되도록 함으로써, 일정한 호흡량의 조절을 유지할수 있게 한 것이고,
특허문헌3은 공기튜브에 취구를 통하여 공기를 불어 넣는 폐활량 증진 기구에서,취구를 관으로 하고, 공기튜브는 평상시 무게에 의하여 늘어져 있다가 공기튜브에 공기가 가득차 팽팽해 졌을 때는 공기압력에 의하여 취구의 방향으로 일어나도록 하여 폐활량을 회복 운동을 할 수 있게 한것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1의 폐활량 증진 운동구는 관의 내부를 따라 이동되는 볼에 저항을 주기 위한 목적에서 밸브를 설치하고 있어서, 밸브 설치로 인해 구성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와 아울러 제작함에 비용 소요가 많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2 및 3의 경우에는 일측이 폐쇄된 통이나 혹은 고무 튜브에 입으로 공기를 불어 넣는 힘으로 중량체인 볼을 부유되게 하거나 혹은 튜브 자체를 팽창시키면서 폐활량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므로, 위생적으로 청결 유지 관리에 어려움이 있을 뿐 만아니라 호흡 중증 환자에게 사용함에는 다소 버겹게 느껴지게 할 수 있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어떠한 환자의 경우라도 쉽게 사용하게 할 수 있으면서 별도의 유지 관리가 전연 필요 없게 한 일회용 폐활량 회복 운동용 보조구이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KR 공개번호 10-2001-0017069호 KR 실용공고번호 20-1997-0004521호 KR 실용등록번호20-0300833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날숨과 들이쉼에 제공되는 관을 하나의 관으로된 스트로(Straw)타입의 간결한 구성으로 크기나 부피의 최소화를 달성하여,폐활량 재활에 필요한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쉽게 휴대하여 사용하게 할 수 있는 편리성을 갖게 한 스트로 타입의 일회용 폐활량 회복 운동용 보조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일회용으로도 제작이 가능하여 위생상으로도 별도의 유지 관리가 필요 없는 실용성을 갖게 한 스트로 타입의 일회용 폐활량 회복 운동용 보조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삭제
삭제
상기 목적들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스트로 타입의 폐활량 회복 운동용 보조구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스트로 타입의 일회용 폐활량 회복 운동용 보조구는, 투명 혹은 반투명 수지로 소정 길이와 직경을 이루며 내부가 투시되게 형성되는, 양단은 개구되고 내부는 중공(中空)구조를 이루는 투명관; 상기 투명관의 내경과 같거나 혹은 작게 형성되어 상기 투명관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투명관의 어느 일단부의 개구로부터 작용되는 호흡의 내쉼과 들이쉼에 의해 유발되는 호흡 압력 정도에 따라 상기 투명관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한 중량물; 및 상기 투명관의 양측에 직경이 축소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투명관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상기 중량물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는 중량물 이탈 방지부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명관은 단면에서보아 원형,반원형,럭비공 형 타원형,장원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피넛(Peanut)형, 및 클로버형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명관은 정면에서보아 직선형, 나선형, 파형(波形), ㄷ자형, ㄹ자형, 궁형(弓形), 코일형, 및 달팽이형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은 구체, 타원체, 반원체, 장구체(長球體), 원주(圓柱)체, 삼각체, 사각체, 다각체, 피넛형, 땅콩형, 클로버형, ㄷ형, I형, H형,및 동전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H형 중량물에는 절곡 가능한 텐션부를 형성하여, 상기 투명관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시 상기 텐션부가 절곡되어 상기 투명관의 내면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마찰 접촉되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에는 소공이 적어도 복수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명관에는 눈금부가 형성될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날숨과 들이쉼에 제공되는 관을 하나의 관으로 된 스트로(Straw)타입의 간결한 구성으로 하여, 안가(安價)로 대량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부여하고, 또한 간결한 구성에 따른 크기나 부피의 최소화가 달성되어 폐활량 재활에 필요한 환자라면도 누구라도 쉽게 휴대하여 사용하게 할 수 있게 한 효과를 부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회용으로도 제작이 가능하여 위생상으로도 별도의 유지 관리가 필요 없는 효과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이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로 타입의 폐활량 회복 운동용 보조구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1의 I-I선 방향에 따른 부분 생략 종(從)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II선 방향에 따른 절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중량물 이탈 방지부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a 내지 도 5h는 도 1의 투명관에 대한 단면(斷面)구조의 변형예들을 각각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a 내지 도 6g는 도1 표시의 투명관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a 내지 도 7l은 도2 표시의 중량물에 대한 변형예들을 각각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a 내지 8c는 도 7표시의 중량물중 I형, H형 및 동전형 중량물이 투명관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 상태를 일부만을 발췌하여 확대 표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2 표시의 중량물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의거 본 발명에 따른 스트로 타입의 폐활량 회복 운동용 보조구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로 타입의 폐활량 회복 운동용 보조구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1의 I-I선 방향에 따른 부분 생략 종(從)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II선 방향에 따른 절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로 타입의 폐활량 회복 운동용 보조구(100)는, 투명 혹은 반투명 수지로 소정 길이와 직경을 이루게 하여 내부가 투시되게 형성된 투명관(110)을 구비하고 있다. 이 투명관(110)은 양단은 개구되고 내부는 중공(中空)구조를 이루게 형성되는데, 투명관(110)의 일단부에는 사용자들의 입술부분으로 편안하게 물을 수 있도록 하고자 편평한 마우스(Mouth)부(112)를 형성할 수 있다. 마우스부(112)의 형성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투명관(110)을 성형하는 투명수지로는 인체에 무해한 무색.무취조건을 갖는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P.C), PET가 사용될 수 있고, 반투명수지로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이 사용될 수 있다. 투명관(110)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중량물(120)의 이동 상황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투명관(110)의 내부에는 투명관(110)의 내경과 같거나 혹은 작게 형성된 중량물(120)이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투명관(110)의 내부에서 중량물(120)이 투명관(110)의 양단 개구들(113a,113b)를 통하여 이탈됨이 없도록 하고자, 투명관 (110)의 직경을 축소시켜 만든 중량물 이탈 방지부(114a,114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량물(120)은 중량물 이탈 방지부(114a,114b)의 사이에서 만 자유롭게 이동되고, 그 이상의 이동은 중량물 이탈 방지부(114a,114b)에 의하여 저지되어 중량물의 이탈이 방지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을 사용 환자들이 폐활량 증진 운동을 위하여 사용 함에는, 예컨데, 도1의 표시와 같이 투명관(110)을 한손으로 파지하여 투명관(110)을 직립형태로 위치되게 하거나 혹은 비스듬하게 세워지는 형태로 위치되게 한 상태에서 투명관(110)의 마우스부(112)에 입을 대고 숨을 들여 쉬게 되면, 투명관(1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있던 중량물(120)은 개구(113a)를 통하여 들여 쉬는 숨으로부터 발생되는 흡입력이 투명관(110)의 내부로 미치게 하여 중량물(120)을 상부로 이동 시키게 된다. 중량물(120)의 이동은 투명관(110)의 투명으로 사용자들이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투명관(110)으로부터 중량물(120)의 이동량은 투명관(110)에 눈금 표시부(116)를 형성하여 수시로 정확하게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중량물(120)의 이동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기 위하여 중량물(120)의 색을 투명관(110)과 대비되는 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투명관(110)의 하부로부터 중량물(120)의 이동량은 사용자가 들이 쉬게 되는 숨의 흡입력 즉, 폐활량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사용환자들의 폐활량에 따라서 중량물(120)을 투명관(110)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수 있다. 상기 투명관(110)의 최상부 위치나 혹은 그밖의 다른 위치로 이동되어 졌던 중량물(120)은 사용자들의 들이 쉬는 숨이 약화되어 흡입력이 떨어지는 순간 중량물(120)의 자중으로 원래 하부 위치로 낙하되게 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중량물(12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투명관(110)의 내경과 거의 같은 직경을 이루게 하여 마찰 운동을 하면서 이동되게 한 것에 의해, 사용환자들의 내쉬는 숨에 의한 분출압력으로 하부의 원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투명관(110)을 통한 중량물(120)의 상,하 이동은 사용자들의 내쉼과 들이쉼에 따른 반복호흡으로 지속적으로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들의 폐활량 회복이나 증진 운동을 더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데, 본 발명의 보조구(100)를 사용한 반복적인 운동에 의하여 중량물(120)을 투명관(110)의 최상부 위치까지 지속적으로 이동 시킬수 있게 되면, 사용 환자들의 폐활량이 정상적으로 회복되거나 증진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부피가 작은 슬림 사이즈로 제작 가능 하므로 환자들로 하여금 상시 휴대하고 다니면서 본인의 폐활량 회복이나 증진 운동을 하게할 수 있고, 또한 개인용으로만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재 사용시에도 물 세척만으로도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유리한 점이 있고, 일회용으로 제작 시에는 별도의 위생 처리 없이 사용할수 있는 편리한 점이 있다.
도 4는 도 1의 중량물 이탈 방지부분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투명관(110)의 내부에 이동되게 수용된 중량물(120)을 투명관(110)의 양단 개구를 통하여 외부로 이탈되지 못하게 하는 작용을 하는 중량물 이탈 방지부(114a,114b)를, 상기 도2의 실시예와는 달리 투명관(110)의 일부를 내측으로 돌출되게 하여 투명관(110)에 대한 직경의 축소 효과를 가져오게 함으로써, 중량물(1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 밖의 구성이나 작용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여 별도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a 내지 도 5h는 도 1의 투명관 단면(斷面)구조의 변형예들을 각각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도1 실시예의 투명관(110)의 단면 형태를, 타원형 투명관(110a), 장원형 투명관(110b), 그리고 각형(角形)을 이루는 삼각형 투명관(110c), 사각형 투명관(110d),육각형 투명관(110e), 클로버형 투명관(110f), 피넛형 투명관(110g), 및 반원형 투명관(110h)중 어느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투명관들의 구성은 중량물에 저항력을 부여하여 사용환자들에게 폐활량 증진 운동의 강도를 강하게 하도록 할수 있다. 그 밖의 구성이나 작용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여 별도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a 내지 6g는 도1 표시의 투명관의 또 다른 변형예를 정면에서 보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도1 표시의 직관 형태의 투명관(110)을, 파형 투명관(1110a) 혹은 나선형 투명관(1110b)으로 형성하거나 혹은 궁형,ㄷ자형 및 ㄹ자형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투명관들(1110c,1110d,1110e)로 형성할수 있다.
또는 도 6f의 달팽이형 투명관(1110f) 혹은 도 6g의 산형 투명관(1110g)으로 도 구성할 수 있음을 충분히 예견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투명관들(1110a,1110b,1110c,1110d,1110e,1110f,1110g)에 형성된 원형이나 혹은 굴곡에서 절곡 각도들은 중량물이 이동함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는 도 1의 투명관(110)에는 일부에 주름부를 설치하여 임의 방향으로 완만하게 절곡되게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투명관들의 구성 역시 중량물에 저항력을 부여하여 사용환자들에게 폐활량 회복이나 증진 운동 효과를 배가시키는 이익을 주게 할 수 있다. 그 밖의 구성이나 작용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여 별도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a 내지 도 7l은 도2 표시의 중량물에 대한 변형예들을 각각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도 2 표시의 구체(球體) 중량물(120)은, 럭비공과 같은 타원체 중량물(120a), 장구체(長球體) 중량물(120b), 삼각체 중량물(120c), 사각체 중량물(120d), 다각체 중량물(120e), 클로버형태 중량물(120f), 피넛형 중량물(102g), 원주형 중량물(120h), ㄷ자형 중량물(120i), I형 중량물(120j) 및 H형 중량물(120k), 동전형 중량물(120l)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중량물 또한 투명관들에 대한 중량물의 저항력을 부여하여 사용환자들에게 폐활량 회복이나 증진 운동 효과를 배가 시킬수 있다. 그 밖의 작용은 상기 실시예의 중량물과 동일하여 별도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a ,8b,8c는 도 7표시의 중량물에서 I형, H형 중량물 및 동전형 중량물이 투명관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 상태를 일부만을 발췌하여 확대 표시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도 8a는 도 7표시의 I형 중량물(120i)이 투명관(110)의 내부를 따라 이동되게 수용된 상태이고, 도 8b는 H형 중량물(120j)이 투명관(110)의 내부를 따라 이동되게 수용된 상태인데, H형 중량물(120j)은 도 7k에서 보아 양쪽 높이를 투명관(110)의 지름보다는 더 크게 형성하여, 투명관(11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시 일부가 절곡되어 텐션부(122k)로 작용되게 하여, 이 텐션부(122k)로 하여금 투명관(110)의 내면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마찰 접촉되게 하면서 이동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도 8c는 동전형 중량물(120l)이 투명관(110)의 내부를 따라 이동되게 수용된 상태이다.
도 9는 도2 표시의 중량물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실시예는 중량물(120)에 이 중량물(120)을 관통하는 소공(122)을 적어도 한개 이상 형성한 것을 표시한 것이다. 소공(122)의 설치는 상기 타원체 중량물(120a), 장구체(長球體) 중량물(120b), 삼각체 중량물(120c), 사각체 중량물(120d), 다각체 중량물(120e), 클로버형태 중량물(120f), 피넛형 중량물(102g), 원주형 중량물(120h), ㄷ자형 중량물(120i), I형 중량물(120j), H형 중량물(120k), 및 동전형 중량물(120l) 모두에 적용될수 있다. 소공(122)의 설치는 중량물의 이동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중량물들은 타재료로 형성할수 있으나, 투명관과의 마찰 계수를 고려하여 투명관과 같은 재료로써 중량을 갖게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그 밖의 중량물에 대한 작용은 상기 일 실시예와 동일하여 별도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호흡기 질환과 관련하여 폐활량 회복 및 증진 운동이 필요로 한 사람이나 흡연 억제에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모두 적용하여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여러 가지 특징을 참조하고 조합하여 다양하고 변형된 구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설명된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함을 지적해둔다.
100 : 폐활량 회복 운동용 보조구
110 : 투명관
114a,114b : 중량물 이탈방지부
120 : 중량물(重量物)
122 : 소공(小孔)

Claims (7)

  1. 투명 혹은 반투명 수지로 소정 길이와 직경을 이루며 내부가 투시되게 형성되는, 양단은 개구되고 내부는 중공(中空)구조를 이루며, 양측에 직경이 축소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서 이동되는 중량물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는 중량물 이탈 방지부를 갖는 투명관을 형성하되, 이 투명관은 중량물이 마찰저항을 받으며 이동하도록 단면(斷面)은 원형,반원형, 타원형, 장원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피넛(Peanut)형, 및 클로버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이루게 하면서 정면 형상은 나선형, 파형(波形), ㄷ자형, ㄹ자형, 궁형(弓形), 코일형, 및 달팽이형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하고,
    상기 중량물은 상기 투명관의 어느 일단부의 개구로부터 작용되는 호흡의 내쉼과 들이쉼에 의해 유발되는 호흡 압력 정도에 따라 상기 투명관을 따라 마찰 저항을 받으며 이동될 수 있게 하고자 구체, 타원체, 반원체, 장구체(長球體), 원주(圓柱)체, 삼각체, 사각체, 다각체, 피넛형, 땅콩형, 클로버형, ㄷ형, I형, H형 및 동전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 타입의 폐활량 회복 운동용 보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H형 중량물에는 절곡 가능한 텐션부를 형성하여, 상기 투명관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시 상기 텐션부가 절곡되어 상기 투명관의 내면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마찰 접촉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 타입의 폐활량 회복 운동용 보조구.
  6.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에는 소공이 적어도 복수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 타입의 폐활량 회복 운동용 보조구.

  7. 삭제
KR1020150036146A 2015-03-16 2015-03-16 스트로 타입의 폐활량 회복 운동용 보조구 KR101656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146A KR101656178B1 (ko) 2015-03-16 2015-03-16 스트로 타입의 폐활량 회복 운동용 보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146A KR101656178B1 (ko) 2015-03-16 2015-03-16 스트로 타입의 폐활량 회복 운동용 보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6178B1 true KR101656178B1 (ko) 2016-09-08

Family

ID=56950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6146A KR101656178B1 (ko) 2015-03-16 2015-03-16 스트로 타입의 폐활량 회복 운동용 보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1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72676A (zh) * 2023-06-25 2023-09-01 南京中医药大学 一种重症肺结核患者的肺康复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3616A (en) * 1981-06-09 1983-09-13 K-Med, Inc. Expiratory breathing exercise device
US5246010A (en) * 1990-12-11 1993-09-21 Biotrin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xhalation analysis
KR970004521A (ko) 1995-06-07 1997-01-29 김광호 비동기식 전달모드 적응계층을 이용하는 유사동기식 디지탈 계위 유닛에 있어서 신호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010017069A (ko) 1999-08-06 2001-03-05 정진구 폐활량 증진 운동구
US20010052344A1 (en) * 2000-06-16 2001-12-20 Rajiv Doshi Methods and devices for improving breathing in patients with pulmonary disease
KR200300833Y1 (ko) 2002-10-26 2003-01-17 이택현 폐활량 증진 기구
CN201609571U (zh) * 2010-02-12 2010-10-20 王歆 呼吸功能训练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3616A (en) * 1981-06-09 1983-09-13 K-Med, Inc. Expiratory breathing exercise device
US5246010A (en) * 1990-12-11 1993-09-21 Biotrin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xhalation analysis
KR970004521A (ko) 1995-06-07 1997-01-29 김광호 비동기식 전달모드 적응계층을 이용하는 유사동기식 디지탈 계위 유닛에 있어서 신호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010017069A (ko) 1999-08-06 2001-03-05 정진구 폐활량 증진 운동구
US20010052344A1 (en) * 2000-06-16 2001-12-20 Rajiv Doshi Methods and devices for improving breathing in patients with pulmonary disease
KR200300833Y1 (ko) 2002-10-26 2003-01-17 이택현 폐활량 증진 기구
CN201609571U (zh) * 2010-02-12 2010-10-20 王歆 呼吸功能训练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72676A (zh) * 2023-06-25 2023-09-01 南京中医药大学 一种重症肺结核患者的肺康复装置
CN116672676B (zh) * 2023-06-25 2023-10-20 南京中医药大学 一种重症肺结核患者的肺康复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vies et al. The respiratory system: basic science and clinical conditions
Sarkar et al. Physical signs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Mortola et al. Motion of the rib cage and the abdomen in tetraplegic patients
Grotberg Respiratory fluid mechanics and transport processes
Bourke et al. Respiratory medicine
US20190351161A1 (en) A breathing device
CN109847280A (zh) 一种智能腹式呼吸理疗训练仪
Barach et al. Physical methods simulating cough mechanisms: use in poliomyelitis, bronchial asthma, pulmonary emphysema, and bronchiectasis
Castile et al. Effects of posture on flow-volume curve configuration in normal humans
Bourke et al. Lecture notes: respiratory medicine
KR101656178B1 (ko) 스트로 타입의 폐활량 회복 운동용 보조구
Campbell et al. Expiratory air-flow pattern in tracheobronchial collapse
US9770566B2 (en) Spirometer device with visual aid for therapeutic breathing
Blom Monitoring of respiration and circulation
Watchie Cardiovascular and pulmonary physical therapy: a clinical manual
Derenne et al. History of diaphragm physiology: the achievements of Galen
US20190217155A1 (en) Bi-Directional Oxygenation Apparatus for a Non-Intubated Patient
CN205598547U (zh) 一种全麻后呼吸运动训练器
CN112494895A (zh) 一种小儿内科肺功能康复理疗器
CN209253866U (zh) 一种抢救肺心病人用装置
CN209360686U (zh) 心电图导联线防缠绕伸缩装置
CN213789846U (zh) 一种呼吸训练系统
Gross Lung volumes and their significance for pharyngeal and esophageal swallowing function
CN203591508U (zh) 心内科用人工呼吸器
Whittemore The respirator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