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434B1 - 웹하드에서의 모바일 다운로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웹하드에서의 모바일 다운로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434B1
KR101655434B1 KR1020140004477A KR20140004477A KR101655434B1 KR 101655434 B1 KR101655434 B1 KR 101655434B1 KR 1020140004477 A KR1020140004477 A KR 1020140004477A KR 20140004477 A KR20140004477 A KR 20140004477A KR 101655434 B1 KR101655434 B1 KR 101655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ing
javascript
user
mobile terminal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4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5188A (ko
Inventor
이종
김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릿지오브날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릿지오브날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릿지오브날리지
Priority to KR1020140004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434B1/ko
Publication of KR20150085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5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ultimedia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티브 X를 기반으로 하는 필터링 방식에서 사용하지 못하는 모바일 환경이나 다른 OS에서도 디지털 컨텐츠에 대하여 무분별한 불법 공유를 차단하고, 시장의 불법물을 근원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웹하드에서의 모바일 다운로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접속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웹페이지에 삽입된 필터링 자바스크립트의 삽입코드를 갖는 웹페이지(HTML) 파일을 전달하고, 웹페이지 파일에 포함된 컨텐츠의 목록 중 요청된 컨텐츠를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의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OSP의 웹서버와, 상기 OSP의 웹서버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서비스를 제공받고, 전달되는 필터링 자바스크립트가 구동되어 설치되는 필터링 모듈을 통해 수집되는 정보를 정산서버로 전달하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OSP의 웹서버로부터 전달되는 판매기록 및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서로 매칭시켜 OSP의 웹서버의 컨텐츠 판매기록을 검증하고, 검증된 컨텐츠 판매기록을 기초로 컨텐츠 판매에 대한 정산 업무를 처리하며, 컨텐츠 저작권 소유자(CP)에게 정산 내역을 제공하는 필터링 사업자의 정산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Description

웹하드에서의 모바일 다운로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mobile download in web hard}
본 발명은 웹하드에서의 업로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필터링을 통한 업로드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티브 X를 기반으로 하는 필터링 방식에서 사용하지 못하는 모바일 환경이나 다른 OS에서도 디지털 컨텐츠에 대하여 무분별한 불법 공유를 차단하고, 시장의 불법물을 근원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웹하드에서의 모바일 다운로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2011년 11월 20일 전기통신 사업법(22조 2항)의 개정에 따라 소위 말하는 "웹하드 등록제"가 시행이 되었으며, 이에 따라 웹하드에는 "적극적인 필터링"이 의무적으로 도입되기 시작 했다. 해당 내용을 보면 "특수한 유형의 부가통신사업(웹하드 서비스)"을 하기 위해서는 일련의 조건을 갖추어 방통위(현재의 미래창조과학부)에 등록을 하도록 하였으며 여기에는 "특수한 유형의 부가서비스 사업자"의 재무적, 기술적, 관리적 요건들이 명시되어 있다.
이 부분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부분은 기술적 기준에서 영상 및 음성에 대한 특징점 기반 필터링의 도입인데 이를 통하여 영상물 및 음원에 대하여 무분별한 불법 공유를 차단하고 시장의 불법물은 근원적으로 차단 한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방통위는 한국 저작권 위원회를 그 주관으로 하여 기술적 기준을 마련하고, 이에 따라 검증된 필터링 솔루션을 인증하면 "특수한 유형의 부가통신사업자"는 이를 의무적으로 탑재하여 사용자간에 공유되는 콘텐츠에 대하여 적극적 필터링을 수행한다.
도 1 은 종래의 웹하드에서 모바일 다운로드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웹하드에서 모바일 다운로드 모니터링 시스템은 컨텐츠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OSP의 웹서버(10)와, 상기 OSP의 웹서버(10)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소정의 비용을 지불하고 다운로드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와, 상기 OSP의 웹서버(10)로부터 전달되는 판매기록을 기초로 영상물 판매에 대한 정산 업무를 처리하고, 컨텐츠 저작권 소유자(CP)(40)에게 판매기록 및 저작권료 등을 제공하는 필터링 사업자의 정산서버(30)로 구성된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웹하드에서 모바일 다운로드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20)에서 웹브라우저를 실행시켜 OSP의 웹서버(10)에 접속한다(S1).
그리고 사용자는 접속된 OSP의 웹서버(10)에 로그인한 후 컨텐츠의 목록 페이지로 이동한 후(S2), 컨텐츠의 목록 중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click)하여 다운로드 요청한다(S3).
그러면, OSP의 웹서버(10)가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가 다운로드 혹은 스트리밍의 형태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로 전송된다(S4).
이어, 상기 OSP의 웹서버(10)는 유료 컨텐츠가 다운로드 혹은 스트리밍될 경우 이에 대한 판매기록을 정산서버(30)로 전송한다(S5). 여기에서 상기 판매기록은 판매된 컨텐츠의 이름과 분류번호 및 가격, 판매된 컨텐츠의 소유자(CP)의 이름, 이를 구매한 사용자의 아이디(ID), 판매된 날짜 및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정산서버(30)는 OSP의 웹서버(10)로부터 전송받은 판매기록들을 누적하고 분류하여 DB에 저장하고, 정산서버(30)에 접속한 컨텐츠 저작권 소유자(CP)(40)에게 소유한 컨텐츠의 정산내역(판매기록, 저작권료 등)을 제공하여 확인시켜준다(S6).
문제는 기술기준 제정 당시 대부분의 웹하드 서비스는 PC 기반의 웹하드가 대부분이었고 일부 모바일 기반 서비스가 있기는 하였지만 그 시장 점유율이 미미하여 큰문제가 되지 않았는데, 모바일서비스를 필두로 사용자 OS 환경의 급속한 변화에 따라 기존의 Microsoft사의 Windows 환경을 중심으로 하던 시장의 환경이 다종의 OS 환경으로 급속하게 재편되었다는데 있다.
따라서 기존의 필터링 서비스를 위한 적극적 필터링 서비스는 대부분 사용자의 PC에 설치되고 Active X에 의하여 구동 되는 업로드 및 다운로드 클라이언트에 설치되는 것이 대부분인데 이로 인하여 업로드 및 다운로드 클라이언트는 대부분 MS사의 환경에 맞추어 져 있으며 이러한 방식은 통신 방식에 대한 기본적인 보안 규격의 이슈를 발생시켜 현재는 거의 모든 신형 OS에서 채택 되지 않는 모델이다.
간단히 말해 Active X는 웹에서 설치된 소프트웨어가 사용자의 PC의 자원에 대하여 시스템 레벨까지 접근하고 이는 인터넷과의 연결이 끊어져도 작동되는 것이 문제인데 현재는 대부분 샌드박스 모델이라는 형태로 웹으로 접속이 남아 있는 동안에 제한적인 자원에 대해서만 접근이 가능하도록 방식이 변경되었다. 하지만 기존의 필터링 방식은 Active X를 기반으로 만들어 졌기에 도 1에서와 같이 Active X를 사용하지 못하는 모바일 환경이나 다른 OS에서는 무용지물이라 할 수 있다.
특히 Active X를 채용 하지 못하면서 배상하는 문제점 중 제일 큰 것은 저작권 문제에 대하여 저작권자(40)의 신뢰가 떨어지는 OSP의 웹서버(10)를 운영하는 웹하드 사업자에게 필터링의 대부분이 맡겨지는 것이다. 이는 모든 저작권자(40)에게 나타나는 일반적인 상황인데 복제 판매권을 가지게 되는 웹하드 사업자의 복제 수량에 대한 판단을 정확히 하기 위하여 이전부터 도서 출판의 경우 저작권자의 도장이 날인된 인지를 발행 하거나 음반의 경우 그 생산 수량을 직접 체크 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써왔지만 인터넷의 경우 그 생산 수량을 직접 체크하기 어려워 항상 판매자와 저작권자에게는 상호 감시를 위한 견제책에 대하여 수많은 잡음이 이어왔다.
이를 방어하기 위하여 기존의 필터링의 경우 필터링 된 횟수를 사용자 PC에서 Active X에 의하여 웹하드 사업자를 거치지 않은 로그를 수집 할 수 있었으나,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여타 OS 환경(모바일 환경이나 다른 OS)에서는 웹하드 업자를 통한 방법밖에는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해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나타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26486호 : 사용자 단말기를 기반으로 한 방송 컨텐츠 거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등록특허공보 제10-1302609호 : 불법 업로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판단 장치 및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액티브 X를 기반으로 하는 필터링 방식에서 사용하지 못하는 모바일 환경이나 다른 OS에서도 디지털 컨텐츠에 대하여 무분별한 불법 공유를 차단하고, 시장의 불법물을 근원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웹하드에서의 모바일 다운로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웹하드에서의 모바일 다운로드 모니터링 시스템의 특징은 접속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웹페이지에 삽입된 필터링 자바스크립트의 삽입코드를 갖는 웹페이지(HTML) 파일을 전달하고, 웹페이지 파일에 포함된 컨텐츠의 목록 중 요청된 컨텐츠를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의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OSP의 웹서버와, 상기 OSP의 웹서버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서비스를 제공받고, 필터링 모듈을 통해 웹서버로부터 전달되는 필터링 자바스크립트가 구동되어 수집되는 정보를 정산서버로 전달하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OSP의 웹서버로부터 전달되는 판매기록 및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서로 매칭시켜 OSP의 웹서버의 컨텐츠 판매기록을 검증하고, 검증된 컨텐츠 판매기록을 기초로 컨텐츠 판매에 대한 정산 업무를 처리하며, 컨텐츠 저작권 소유자(CP)에게 정산 내역을 제공하는 필터링 사업자의 정산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필터링 모듈은 모바일 기기용 프로그램(app)으로서, OSP의 웹서버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OSP의 웹서버는 필터링 자바스크립트 삽입코드를 웹페이지 내에 전부 삽입하거나 또는 필터링 자바스크립트 삽입코드를 별도의 파일로 만들어두고 이를 삽입하고자 하는 웹페이지 내에는 이 파일을 불러들이는 코드만 써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는 OSP의 웹서버에서 전달되는 웹페이지(HTML) 파일을 웹브라우저가 전송받아 이를 표시할 때, 웹페이지 내에 삽입된 필터링 자바스크립트의 삽입코드를 기반으로 지정된 필터링 자바스크립트를 필터링 사업자의 정산서버에 요청하여 다운로드 받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필터링 자바스크립트를 구동하면서 수집되는 정보는 현재 접속 중인 OSP의 웹서버의 IP, 현재 웹브라우저가 구동되고 있는 사용자의 IP, 현재 사용자의 웹브라우저에 열려있는 URL, 구동 중인 필터링 자바스크립트가 가지고 있는 고유 식별코드, 현재 사용자의 OS 및 웹브라우저 ID의 부수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필터링 모듈은 수집된 제 1 정보를 누적하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분석하고,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OS 및 웹브라우저 등의 사용에 대한 기록을 수집 및 통계 처리하여 분석하고, 이를 이용하는 필터링 자바스크립트 생성/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필터링 사업자의 정산서버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필터링 자바스크립트가 다운로드될 때마다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기록하는 누적/비교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웹하드에서의 모바일 다운로드 모니터링 방법의 특징은 (A) OSP의 웹서버에 접속된 모바일 단말기로 웹페이지에 삽입된 필터링 자바스크립트의 삽입코드를 갖는 웹페이지(HTML) 파일이 전달되는 단계와, (B)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웹페이지 파일을 웹브라우저가 전송받아 이를 표시할 때, 상기 웹페이지에 삽입된 필터링 자바스크립트의 삽입코드를 기반으로 지정된 필터링 자바스크립트가 필터링 사업자의 정산서버로 요청되는 단계와, (C) 상기 정산서버에서 필터링 자바스크립트 요청과 함께 수집되는 제 2 정보를 기록하여 저장하고, 요청된 필터링 자바스크립트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와, (D) 상기 정산서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다운로드된 필터링 자바스크립트가 구동되어 수집되는 제 1 정보를 필터링 모듈을 통해 전달받아 기록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E) 사용자의 컨텐츠 다운로드 요청으로 웹서버가 보유하고 있는 선택된 컨텐츠가 다운로드 혹은 스트리밍의 형태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컨텐츠가 다운로드될 때마다 필터링 자바스크립트 구동으로 수집되는 제 1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달받는 단계와, (F) 정산서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전달되는 제 1 정보를 기록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G) 웹서버로부터 전달되는 판매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제 1 정보 및 상기 제 2 정보를 서로 매칭시켜 웹서버에서 전달된 판매기록을 검증하는 단계와, (H) 상기 검증된 컨텐츠 판매기록을 기초로 컨텐츠 판매에 대한 정산 업무를 처리하며, 컨텐츠 저작권 소유자(CP)에게 정산내역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A) 단계에서 필터링 자바스크립트의 삽입코드는 웹페이지 내에 전부 써넣거나, 필터링 자바스크립트 삽입코드를 별도의 파일로 만들어두고, 이를 삽입하고자 하는 페이지 내에 이 파일을 불러들이는 코드만 써넣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정보는 다운로드된 필터링 자바스크립트 내에 포함된 고유 식별코드, 필터링 자바스크립트의 다운로드를 요청한 사용자의 IP, 그 외에 확인 가능한 사용자의 기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정보는 현재 접속 중인 OSP의 웹서버의 IP, 현재 웹브라우저가 구동되고 있는 사용자의 IP, 현재 사용자의 웹브라우저에 열려있는 URL, 구동 중인 필터링 자바스크립트가 가지고 있는 고유 식별코드, 현재 사용자의 OS 및 웹브라우저 ID의 부수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필터링 모듈은 모바일 기기용 프로그램(app)으로서, OSP의 웹서버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필터링 모듈은 모바일 단말기에서 필터링 자바스크립트가 구동되면 필터링 모듈이 설치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결과, 필터링 모듈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경고창을 띄워 설치 안내와 함께 필터링 모듈을 설치할 수 있는 플레이스토어, T스토어와 같은 전자마켓으로 이동할 수 있는 링크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필터링 모듈을 설치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E) 단계는 제 1 정보가 모바일 단말기의 필터링 모듈로부터 암호화되어 정산서버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E) 단계는 웹서버에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컨텐츠가 다운로드 혹은 스트리밍될 경우 이에 대한 판매기록을 정산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웹하드에서의 모바일 다운로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필터링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웹서버의 웹페이지 내에 삽입하여 업로드되는 디지털 콘텐츠의 필터링을 정산서버에서 직접 모니터링할 수 있어, 웹하드 사업자의 복제 수량에 대한 판단을 보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업로드되는 디지털 콘텐츠의 필터링 시에 수집되는 필터링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이용하여 정산서버에서 불법 업로더의 악의적인 필터링 위변조나 우회와 같은 고의적인 필터링 회피로 인해 발생되는 불법 업로드되는 디지털 콘텐츠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이후 설치된 클라이언트에 기능을 추가함에 따라 기존의 Active X의 모든 기능을 도입하는 것 이상의 효과를 내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은 종래의 웹하드에서 모바일 다운로드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하드에서의 모바일 다운로드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 은 도 2의 필터링 모듈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하드에서의 모바일 다운로드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웹하드에서의 모바일 다운로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하드에서의 모바일 다운로드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웹하드에서의 모바일 다운로드 모니터링 시스템은 접속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0)로 웹페이지(110)에 삽입된 필터링 자바스크립트의 삽입코드를 갖는 웹페이지(HTML) 파일을 전달하고, 웹페이지 파일에 포함된 컨텐츠의 목록 중 요청된 컨텐츠를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의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OSP의 웹서버(100)와, 상기 OSP의 웹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서비스를 제공받고, 전달되는 필터링 자바스크립트가 구동되어 설치되는 필터링 모듈(220)을 통해 수집되는 제 1 정보를 정산서버(300)로 전달하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0)와, 상기 OSP의 웹서버(100)로부터 전달되는 판매기록 및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전달받은 제 1 정보를 서로 매칭시켜 OSP의 웹서버(100)의 컨텐츠 판매기록을 검증하고, 검증된 컨텐츠 판매기록을 기초로 컨텐츠 판매에 대한 정산 업무를 처리하며, 컨텐츠 저작권 소유자(CP)(400)에게 판매기록 및 저작권료 등을 제공하는 필터링 사업자의 정산서버(30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필터링 모듈(220)은 모바일 기기용 프로그램(app)으로서, OSP의 웹서버(100)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및 패드 등의 모바일 단말기(200)에 설치하여 사용된다.
상기 OSP의 웹서버(100)는 필터링 자바스크립트 삽입코드를 웹페이지(110) 내에 전부 삽입할 수도 있지만, 필터링 자바스크립트 삽입코드를 별도의 파일로 만들어두고 이를 삽입하고자 하는 웹페이지 내에는 이 파일을 불러들이는 코드만 써 넣을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0)는 OSP의 웹서버(100)에서 전달되는 웹페이지(HTML) 파일을 웹브라우저(210)가 전송받아 이를 표시할 때, 웹페이지(110) 내에 삽입된 필터링 자바스크립트의 삽입코드를 기반으로 지정된 필터링 자바스크립트를 필터링 사업자의 정산서버(300)에 요청하여 다운로드 받아 구동하는 과정을 가진다. 이는 표준기술을 지원하는 모든 웹브라우저가 지원하는 표준적/통상적 기능이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필터링 자바스크립트를 구동하면서 수집되는 제 1 정보는 현재 접속 중인 OSP의 웹서버(100)의 IP와, 현재 웹브라우저가 구동되고 있는 사용자의 IP와, 현재 사용자의 웹브라우저에 열려있는 URL과, 구동 중인 필터링 자바스크립트가 가지고 있는 고유 식별코드와, 현재 사용자의 OS 및 웹브라우저 ID 등의 부수적인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필터링 모듈(220)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수집된 제 1 정보를 누적하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분석하고,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0)의 OS 및 웹브라우저 등의 사용에 대한 기록을 수집 및 통계 처리하여 분석하고, 이를 이용하는 필터링 자바스크립트 생성/관리 모듈(221)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필터링 자바스크립트 생성/관리 모듈(221)을 통해 OSP의 웹서버(100)의 서비스에서 파일을 다운로드받는 다운로드 클라이언트의 기능을 가질 수 있고, 또한 이러한 기본 기능 외에 보안, 모니터링 등의 기능을 통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필터링 사업자의 정산서버(300)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0)로 필터링 자바스크립트가 다운로드될 때마다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전달되는 제 1 정보를 기록하는 누적/비교 모듈(310)을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웹하드에서의 모바일 다운로드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또는 도 3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부재를 지칭한다. 이때, 사용자의 측면에서는 종래의 이용 순서는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하드에서의 모바일 다운로드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먼저 사용자가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웹브라우저를 실행시켜 OSP의 웹서버(10)에 접속하고, 접속된 OSP의 웹서버(100)에 로그인한다(S10).
그러면, OSP의 웹서버(100)에서 웹페이지(110)에 삽입된 필터링 자바스크립트의 삽입코드를 갖는 웹페이지(HTML) 파일을 인증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달한다(S20).
이때, 웹페이지(110)에 필터링 자바스크립트의 삽입코드를 삽입하는 방법은 필터링 자바스크립트 삽입코드를 웹페이지 내에 전부 써넣는 방법과, 필터링 자바스크립트 삽입코드를 별도의 파일로 만들어두고, 이를 삽입하고자 하는 페이지 내에는 이 파일을 불러들이는 코드만 써넣는 방법이 있다. 이 2가지 방법은 전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가지므로 어느 방법을 사용하든 필터링 자바스크립트가 실제로 구동될 경우 동일한 결과를 가져온다. 그리고 상기 필터링 자바스크립트는 원칙적으로 OSP의 웹서버(100)의 모든 웹페이지(110)에 삽입되지만, 다운로드가 일어나는 페이지에만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0)는 웹페이지 파일을 웹브라우저(210)가 전송받아 이를 표시할 때, 상기 웹페이지에 삽입된 필터링 자바스크립트의 삽입코드를 기반으로 지정된 필터링 자바스크립트를 필터링 사업자의 정산서버(300)에 요청하고(S30), 이를 다운로드 받는다(S40). 이때, 상기 정산서버(300)는 필터링 자바스크립트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0)로 다운로드될 때마다 누적/비교 모듈(310)에 제 2 정보를 기록하여 DB(320)에 저장한다(S50). 상기 제 2 정보는 다운로드된 필터링 자바스크립트 내에 포함된 고유 식별코드와, 필터링 자바스크립트의 다운로드를 요청한 사용자의 IP와, 그 외에 확인 가능한 사용자의 기타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정산서버(300)로부터 다운로드되는 필터링 자바스크립트 내에는 고유한 식별코드가 삽입될 수 있다. 이 식별코드는 현행 금융권에서 사용되는 OTP와 유사한 방식으로 특정한 시간에 따라 계속 변경되는 식별코드가 삽입되거나, 또는 필터링 자바스크립트의 다운로드 요청이 들어올 때마다 새로운 식별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삽입될 수 있다.
이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구동되는 웹브라우저(210)는 정산서버(300)로부터 다운로드된 필터링 자바스크립트를 구동하고, 필터링 자바스크립트를 구동으로 수집되는 제 1 정보를 필터링 모듈(220)로 전달한다(S60).
이때, 상기 필터링 모듈(220)은 모바일 기기용 프로그램(app)으로서, OSP의 웹서버(100)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및 패드 등의 모바일 단말기(200)에 설치하여 사용된다. 또한 상기 제 1 정보는 현재 접속 중인 OSP의 웹서버(100)의 IP와, 현재 웹브라우저가 구동되고 있는 사용자의 IP와, 현재 사용자의 웹브라우저에 열려있는 URL과, 구동 중인 필터링 자바스크립트가 가지고 있는 고유 식별코드와, 현재 사용자의 OS 및 웹브라우저 ID 등의 부수적인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0)는 필터링 자바스크립트가 구동되면 필터링 모듈이 설치되어 있는가를 우선 확인한 후, 필터링 모듈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경고창을 띄워 설치 안내와 함께 필터링 모듈을 설치할 수 있는 플레이스토어 혹은 T스토어 등으로 이동할 수 있는 링크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필터링 모듈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사용자는 OSP의 웹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컨텐츠의 목록 중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click)하여 다운로드 요청하면(S70), OSP의 웹서버(10)가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가 다운로드 혹은 스트리밍의 형태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달된다(S80).
그리고 OSP의 웹서버(100)에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0)로 컨텐츠가 다운로드될 때마다 필터링 모듈(220)은 필터링 자바스크립트 구동으로 수집되는 제 1 정보를 정산서버(300)로 전달한다(S90). 이때, 상기 필터링 모듈(220)은 필요한 경우 전달되는 제 1 정보들을 암호화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OSP의 웹서버(100)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0)로 유료 컨텐츠가 다운로드 혹은 스트리밍될 경우 이에 대한 판매기록을 정산서버(300)로 전송한다(S100). 여기에서 상기 판매기록은 판매된 컨텐츠의 이름과 분류번호 및 가격, 판매된 컨텐츠의 소유자(CP)의 이름, 이를 구매한 사용자의 아이디(ID), 판매된 날짜 및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필터링 사업자의 정산서버(300)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0) 및 OSP의 웹서버(100)로부터 제 1 정보 및 판매기록 정보가 전달되면 누적/비교 모듈(310)에 각각 기록하여 DB(320)에 저장한다(S110).
그리고 상기 정산서버(300)는 OSP의 웹서버(100)로부터 전달되는 판매기록 정보 및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전달받은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를 서로 매칭시켜 OSP의 웹서버(100)가 판매기록을 누락하거나, 부정적인 방법으로 판매를 하고 있는지를 검증한다(S120).
상기 검증하는 방법을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제 1 정보와 제 2 정보에서 사용자 IP와 고유 식별코드가 동일하다면 제 1 정보와 제 2 정보의 사용자가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만약 제 1 정보와 제 2 정보의 기록상 동일한 사용자의 컨텐츠 다운로드가 확인되었음에도 OSP의 웹서버(100)의 판매기록 정보에 동일한 다운로드 기록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OSP의 웹서버(100)가 의도적으로 판매기록을 누락하고 있거나, OSP의 웹서버(100)의 판매기록 시스템이 비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가장 이상적인 경우에는 제 1 정보, 제 2 정보 및 판매기록 정보의 누적횟수가 동일해야 한다. 제 1 정보, 제 2 정보 및 판매기록 정보의 누적수치가 통계적으로 비정상적일 정도로 큰 차이를 보인다면 OSP의 웹서버(100)가 의도적으로 판매기록을 누락하고 있거나, OSP의 웹서버(100)의 판매기록 시스템이 비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만약 제 1 정보에 기록된 OSP의 웹서버(100)의 IP가 전기통신사업법 22조 2항에 의해 보고된 서버의 IP가 아닐 경우 OSP의 웹서버(100)는 부정한 방법으로 정보를 전송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검증된 컨텐츠 판매기록을 기초로 컨텐츠 판매에 대한 정산 업무를 처리하며, 컨텐츠 저작권 소유자(CP)(400)에게 판매기록 및 저작권료 등의 정산내역을 제공하여 확인시켜준다(S130).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접속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웹페이지에 삽입된 필터링 자바스크립트의 삽입코드를 갖는 웹페이지(HTML) 파일을 전달하고, 웹페이지 파일에 포함된 컨텐츠의 목록 중 요청된 컨텐츠를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의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OSP의 웹서버와,
    상기 OSP의 웹서버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서비스를 제공받고, 필터링 모듈을 통해 웹서버로부터 전달되는 필터링 자바스크립트가 구동되어 수집되는 정보를 정산서버로 전달하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OSP의 웹서버로부터 전달되는 판매기록 및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서로 매칭시켜 OSP의 웹서버의 컨텐츠 판매기록을 검증하고, 검증된 컨텐츠 판매기록을 기초로 컨텐츠 판매에 대한 정산 업무를 처리하며, 컨텐츠 저작권 소유자(CP)에게 정산 내역을 제공하는 필터링 사업자의 정산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하드에서의 모바일 다운로드 모니터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모듈은 모바일 기기용 프로그램(app)으로서, OSP의 웹서버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하드에서의 모바일 다운로드 모니터링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OSP의 웹서버는 필터링 자바스크립트 삽입코드를 웹페이지 내에 전부 삽입하거나 또는 필터링 자바스크립트 삽입코드를 별도의 파일로 만들어두고 이를 삽입하고자 하는 웹페이지 내에는 이 파일을 불러들이는 코드만 써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하드에서의 모바일 다운로드 모니터링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는 OSP의 웹서버에서 전달되는 웹페이지(HTML) 파일을 웹브라우저가 전송받아 이를 표시할 때, 웹페이지 내에 삽입된 필터링 자바스크립트의 삽입코드를 기반으로 지정된 필터링 자바스크립트를 필터링 사업자의 정산서버에 요청하여 다운로드 받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하드에서의 모바일 다운로드 모니터링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필터링 자바스크립트를 구동하면서 수집되는 정보는 현재 접속 중인 OSP의 웹서버의 IP, 현재 웹브라우저가 구동되고 있는 사용자의 IP, 현재 사용자의 웹브라우저에 열려있는 URL, 구동 중인 필터링 필터링 자바스크립트가 가지고 있는 고유 식별코드, 현재 사용자의 OS 및 웹브라우저 ID의 부수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하드에서의 모바일 다운로드 모니터링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모듈은 수집된 제 1 정보를 누적하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분석하고,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OS 및 웹브라우저 등의 사용에 대한 기록을 수집 및 통계 처리하여 분석하고, 이를 이용하는 필터링 자바스크립트 생성/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하드에서의 모바일 다운로드 모니터링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사업자의 정산서버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필터링 자바스크립트가 다운로드될 때마다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기록하는 누적/비교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하드에서의 모바일 다운로드 모니터링 시스템.
  8. 삭제
  9. (A) OSP의 웹서버에 접속된 모바일 단말기로 웹페이지에 삽입된 필터링 자바스크립트의 삽입코드를 갖는 웹페이지(HTML) 파일이 전달되는 단계와,
    (B)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웹페이지 파일을 웹브라우저가 전송받아 이를 표시할 때, 상기 웹페이지에 삽입된 필터링 자바스크립트의 삽입코드를 기반으로 지정된 필터링 자바스크립트가 필터링 사업자의 정산서버로 요청되는 단계와,
    (C) 상기 정산서버에서 필터링 자바스크립트 요청과 함께 수집되는 제 2 정보를 기록하여 저장하고, 요청된 필터링 자바스크립트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와,
    (D) 상기 정산서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다운로드된 필터링 자바스크립트가 구동되어 수집되는 제 1 정보를 필터링 모듈을 통해 전달받아 기록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E) 사용자의 컨텐츠 다운로드 요청으로 웹서버가 보유하고 있는 선택된 컨텐츠가 다운로드 혹은 스트리밍의 형태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컨텐츠가 다운로드될 때마다 필터링 자바스크립트 구동으로 수집되는 제 1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달받는 단계와,
    (F) 정산서버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전달되는 제 1 정보를 기록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G) 웹서버로부터 전달되는 판매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제 1 정보 및 상기 제 2 정보를 서로 매칭시켜 웹서버에서 전달된 판매기록을 검증하는 단계와,
    (H) 상기 검증된 컨텐츠 판매기록을 기초로 컨텐츠 판매에 대한 정산 업무를 처리하며, 컨텐츠 저작권 소유자(CP)에게 정산내역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하드에서의 모바일 다운로드 모니터링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필터링 자바스크립트의 삽입코드는
    웹페이지 내에 전부 써넣거나, 필터링 자바스크립트 삽입코드를 별도의 파일로 만들어두고, 이를 삽입하고자 하는 페이지 내에 이 파일을 불러들이는 코드만 써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하드에서의 모바일 다운로드 모니터링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보는 다운로드된 필터링 자바스크립트 내에 포함된 고유 식별코드, 필터링 자바스크립트의 다운로드를 요청한 사용자의 IP, 그 외에 확인 가능한 사용자의 기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하드에서의 모바일 다운로드 모니터링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현재 접속 중인 OSP의 웹서버의 IP, 현재 웹브라우저가 구동되고 있는 사용자의 IP, 현재 사용자의 웹브라우저에 열려있는 URL, 구동 중인 필터링 자바스크립트가 가지고 있는 고유 식별코드, 현재 사용자의 OS 및 웹브라우저 ID의 부수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하드에서의 모바일 다운로드 모니터링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모듈은 모바일 기기용 프로그램(app)으로서, OSP의 웹서버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하드에서의 모바일 다운로드 모니터링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모듈은 모바일 단말기에서 필터링 자바스크립트가 구동되면 필터링 모듈이 설치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결과, 필터링 모듈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경고창을 띄워 설치 안내와 함께 필터링 모듈을 설치할 수 있는 플레이스토어, T스토어와 같은 전자마켓으로 이동할 수 있는 링크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필터링 모듈을 설치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하드에서의 모바일 다운로드 모니터링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제 1 정보가 모바일 단말기의 필터링 모듈로부터 암호화되어 정산서버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하드에서의 모바일 다운로드 모니터링 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웹서버에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컨텐츠가 다운로드 혹은 스트리밍될 경우 이에 대한 판매기록을 정산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하드에서의 모바일 다운로드 모니터링 방법.
KR1020140004477A 2014-01-14 2014-01-14 웹하드에서의 모바일 다운로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655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477A KR101655434B1 (ko) 2014-01-14 2014-01-14 웹하드에서의 모바일 다운로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477A KR101655434B1 (ko) 2014-01-14 2014-01-14 웹하드에서의 모바일 다운로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5188A KR20150085188A (ko) 2015-07-23
KR101655434B1 true KR101655434B1 (ko) 2016-09-09

Family

ID=53875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4477A KR101655434B1 (ko) 2014-01-14 2014-01-14 웹하드에서의 모바일 다운로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4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98746B1 (en) * 2015-08-06 2021-10-06 Huawei Technologies Co., Ltd. Offloading web security services to client sid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373B1 (ko) * 2012-11-28 2013-08-08 재단법인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 거래사실인증 토큰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판매 사업자의 부정정산 방지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486B1 (ko) 2012-11-02 2013-01-25 심명섭 사용자 단말기를 기반으로 한 방송 컨텐츠 거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302609B1 (ko) 2013-04-30 2013-09-04 주식회사 한국인터넷기술원 불법 업로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판단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373B1 (ko) * 2012-11-28 2013-08-08 재단법인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 거래사실인증 토큰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판매 사업자의 부정정산 방지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5188A (ko) 2015-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5686B2 (en) Security systems and methods for encoding and decoding content
US11132463B2 (en) Security systems and methods for encoding and decoding digital content
US11741264B2 (en) Security systems and methods for social networking
US8090660B2 (en) Pay per use security billing method and architecture
CN105760716A (zh) 电子证书管理
WO20121550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lead verification
CA3103222C (en) Security systems and methods for encoding and decoding digital content
CN103648049A (zh) 一种实现安全播放视频的方法和装置
US9438610B2 (en) Anti-tampering server
KR101655434B1 (ko) 웹하드에서의 모바일 다운로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0508010B1 (ko) 인증을 통해 온라인으로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및 시스템
KR101344242B1 (ko) 디앤에스를 이용한 불법 브라우저 차단 방법
US20160337318A1 (en) Anti-tampering system
CN115134143B (zh) 一种全域物联网设备认证方法、装置及存储介质
Altpeter Informed Consent? A Study of “Consent Dialogs” on Android and iOS
JP2008192075A (ja) コンテンツ提供方法
KR20150066351A (ko) 디지털 컨텐츠의 다운로드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00110089A (ko) 임베디드 페이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