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3768B1 - Glasses style wearable terminal for hearing impaired person - Google Patents

Glasses style wearable terminal for hearing impaired pers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3768B1
KR101653768B1 KR1020140172276A KR20140172276A KR101653768B1 KR 101653768 B1 KR101653768 B1 KR 101653768B1 KR 1020140172276 A KR1020140172276 A KR 1020140172276A KR 20140172276 A KR20140172276 A KR 20140172276A KR 101653768 B1 KR101653768 B1 KR 101653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m
information
optical device
wearable terminal
external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22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66896A (en
Inventor
오성우
문상혁
Original Assignee
오성우
문상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우, 문상혁 filed Critical 오성우
Priority to KR1020140172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3768B1/en
Publication of KR20160066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8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7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4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e.g. through the touch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4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e.g. through the touch sense
    • A61F11/045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e.g. through the touch sense using mechanical stimulation of nerv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syc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림과 앤드피스 및 다리부를 포함하는, 청각 장애인용 안경 스타일 웨어러블 단말기로서, 상기 림에 설치되는 광소자; 상기 림, 상기 앤드피스 및 다리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서 외부 음향을 획득하기 위한 복수의 마이크; 및 상기 복수의 마이크를 통해 획득되는 외부 음향을 분석하여 상기 외부 음향이 발생하는 위치까지의 거리 정보 및 방향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거리 정보 및 상기 방향 정보에 따라 상기 광소자의 발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청각 장애인용 안경 스타일 웨어러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yeglass-style wearable terminal for the hearing impaired, comprising a rim, an end piece, and a leg portion, the optical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microphones installed at any one of the rim, the endpiece, and the legs to acquire an external sound; And a controller for analyzing an external sound obtained through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to obtain distance information and direction information to a position where the external sound is generated and controlling light emission of the optical device according to the distance information and the direction inform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yeglass-style wearable terminal for the hearing impaired.

Description

청각 장애인용 안경 스타일 웨어러블 단말기{GLASSES STYLE WEARABLE TERMINAL FOR HEARING IMPAIRED PERSON}GLASSES STYLE WEARABLE TERMINAL FOR HEARING IMPAIRED PERSON [0001]

본 발명은, 청각 장애인용 안경 스타일 웨어러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ctacle-style wearable terminal for the hearing impaired person.

일반적으로 청각 장애인은 시각에 의해서만 주위의 상황을 판단하거나, 인식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일상 생활이나 특히, 보행 중 주위에서 들리는 차량의 경적음, 경고음 등 소리음이 들리지 않아 불안해하거나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다.In general, the hearing impaired can not but judge the circumstances of the surroundings only by the sight. In everyday life, in particular, the sound of a sound of a vehicle audible in the vicinity of walking, a warning sound, and the like may not be heard, leading to anxiety or an accident.

따라서, 청각 장애인이 안전하게 일상 생활 및 보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way for the hearing impaired to be able to walk safely in daily life and on foot.

본 발명은 청각장애인이 감지하기 어려운 소리를 시각화하여 장애인이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청각 장애인용 안경 스타일 웨어러블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wearable spectacle type wearable terminal for a hearing impaired person who visualizes a sound difficult to detect by a hearing impaired person so that a disabled person can appropriately cope with it.

상술한 목적을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청각 장애인용 안경 스타일 웨어러블 단말기는, 림과 앤드피스 및 다리부를 포함하는, 청각 장애인용 안경 스타일 웨어러블 단말기로서, 상기 림에 설치되는 광소자; 상기 림, 앤드피스 및 다리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서 외부 음향을 획득하기 위한 복수의 마이크; 및 상기 복수의 마이크를 통해 획득되는 외부 음향을 분석하여 상기 외부 음향이 발생하는 위치까지의 거리 정보 및 방향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거리 정보 및 상기 방향 정보에 따라 상기 광소자의 발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yeglass style wearable terminal for a hearing impaired person, comprising: a rim, an end piece, and a leg portion; ; A plurality of microphones installed at any one of the rim, the end piece, and the legs to acquire an external sound; And a controller for analyzing an external sound obtained through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to obtain distance information and direction information to a position where the external sound is generated and controlling light emission of the optical device according to the distance information and the direction information, .

여기서, 상기 청각 장애인용 안경 스타일 웨어러블 단말기에는, 상기 복수의 마이크가 이격 설치될 수 있다.Here, in the spectacle-style wearable terminal for the hearing impaired person,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may be spaced apart.

여기서, 상기 광소자는, 상기 림에 적어도 3방향으로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광소자의 발광 여부를 제어하고, 상기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광소자의 발광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Here, the optical element is installed in at least three directions in the rim,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whether or not the optical element is emitted based on the direction information, and controls the degree of light emission of the optical element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

여기서, 청각 장애인용 안경 스타일 웨어러블 단말기는, 상기 다리에 연결되는 목걸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목걸이의 중앙부에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판과, 상기 제어부, 상기 광소자 및 상기 마이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내장되는 케이싱이 부착될 수 있다.The eyeglass-style wearable terminal for a hearing-impaired person may further include a necklace connected to the leg, and a central portion of the necklace includes a substrate including the control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unit, A casing in which a built-in battery is installed.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음향의 음원이 전방인 경우, 상기 광소자의 발광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light source to prevent light emission from occurring when the sound source of the external sound is forward.

여기서, 청각 장애인용 안경 스타일 웨어러블 단말기는, 양다리에 각각 설치되는 진동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 정보 및 상기 방향 정보에 따라 상기 진동 모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Here, the eyeglass-style wearable terminal for the hearing impaired person may further include a vibration module provided on both legs, and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ibr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distance information and the direction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메모리부는, 음성 패턴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획득되는 외부 음향이 상기 음성 패턴 정보와 매칭되는지를 확인하고, 매칭되면, 경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Here, the memory unit may store voice pattern information, and the controller may check whether the external sound obtained through the microphone matches the voice pattern information, and generate alert information if the external sound is matched.

여기서, 상기 광소자는, 상기 림을 따라서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고 정보에 따라, 상기 림을 따라 설치되는 광소자 전체가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Here, the optical elements are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rim, and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entire optical devices provided along the rim to emit light according to the warning information.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청각 장애인이 감지하기 어려운 소리를 시각화하여 장애인이 적절히 위험에 대처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visualize a sound difficult for the hearing impaired person to perceive, so that a disabled person can appropriately cope with the danger.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측면에서 다가오는 물체를 감지하고, 물체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를 측정한 정보를 광소자의 발광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게 된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sense an approaching object on the side of the user and inform the user of the information of the magnitude of the sound generated in the object through the light emission of the optical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측면에서 다가오는 물체를 감지하고, 물체의 거리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양다리에 설치된 진동 모듈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roaching object can be detected from the side of a user, and distance information and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can be informed to a user through a vibration module installed on both side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청각 장애인용 안경 스타일 웨어러블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청각 장애인용 안경 스타일 웨어러블 단말기의 전자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청각 장애인용 안경 스타일 웨어러블 단말기의 진동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earable-style wearable terminal for the hearing impaired user,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electronic configuration of a spectacle-style wearable terminal for a hearing impaired person,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vibration module of a spectacle-style wearable terminal for a hearing impaired person,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청각 장애인용 안경 스타일 웨어러블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eyeglass-style wearable terminal for a hearing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different embodiments in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청각 장애인용 안경 스타일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청각 장애인용 안경 스타일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전체적으로 안경형상을 가지며, 림(10)과, 앤드피스(20), 다리(30), 브릿지(40), 목걸이(50) 및 케이싱(60)으로 구성될 수 있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earable eyeglass-style wear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n eyeglass-style wearable terminal 100 for a hearing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yeglass shape as a whole and includes a rim 10, an end piece 20, a leg 30, 40, a necklace 50, and a casing 60.

림(10)은, 전체적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안경으로 따지면 렌즈가 부착되는 부분이다.The rim 10 has a circular, elliptical, or polygonal shape as a whole, and is a portion to which a lens is attached by glasses.

다리(30)는, 앤드피스(20)를 통해 상기 림(10)의 일단과 연결되며, 착용자의 귀에 걸 수 있는 귀걸이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리(30)에는 복수의 마이크(120)가 부착될 수 있으며, 양쪽으로 2개의 복수의 마이크(121,122)를 통해 획든되는 외부 음향 정보를 분석하여 외부 물체의 거리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The leg 30 may include an ear piece 31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im 10 through the end piece 20 and hookable to the ear of the wearer. A plurality of microphones 120 may be attached to the legs 30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and direction information of an external object may be obtained by analyzing external sound information formed through the two microphones 121 and 122 do.

또한, 귀걸이부(31)에는 복수개의 진동 모듈(130)이 이격 설치된다. 이에 따라, 진동 모듈(130)의 동작을 통해 상기 외부 물체의 위치에 대해 파악할 수 있게 된다.A plurality of vibration modules 1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earring portion 31.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external object can be grasp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vibration module 130.

브릿지(40)는, 림(10)과 림(10)을 연결하고, 상기 청각 장애인용 안경 스타일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착용자가 착용하였을 경우, 착용자의 코에 지지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The bridge 40 connects the rim 10 and the rim 10 and has a structure that is supported by the wearer's nose when the wearer wears the spectacles-style wearable terminal 100 for the hearing impaired person.

목걸이(50)는, 상기 다리(30)에 연결되어서 착용자의 목에 걸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목걸이(50)를 통해 청각 장애인용 안경 스타일 웨어러블 단말기(100)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청각 장애인용 안경 스타일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 보다 편리하게 걸고 다닐 수 도 있게 된다.The necklace 50 may be connected to the legs 30 so as to be hooked on the wearer's neck. The wearable spectacle-style wearable terminal 100 can be prevented from dropping through the necklace 50 and can be easily carried around when the spectacle-style wearable terminal 100 for the hearing impaired is not worn .

목걸이(50)에 걸려 있는 케이싱(60)에는 배터리 및 기판이 내장된다. 기판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60)가 실장된다. 이들의 기능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2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A battery and a board are housed in the casing (60) which is caught by the necklace (50). The control unit 1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substrate. These functions and operation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Fig.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청각 장애인용 안경 스타일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전자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청각 장애인용 안경 스타일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광소자(110), 복수의 마이크(120), 진동 모듈(130), 메모리(140), 배터리(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IG.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electronic configuration of a spectacle-style wearable terminal 100 for a hearing impaired person,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eyeglass-style wearable terminal 100 for a hearing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tical element 110, a plurality of microphones 120, a vibration module 130, a memory 140, a battery 150 And a control unit 160. The control unit 160 may be a microcomputer.

광소자(110)는, 청각 장애인용 안경 스타일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림(10)에 설치되어 거리 정보 및 방향 정보에 따라 발광하기 위해 구성된 것이다. 즉, 상기 광소자(110)는 상기 림(10)에 3방향으로 각각 설치될 수 있다..The optical element 110 is installed in the rim 10 of the wearable glasses-style wearable terminal 100 for emitting light according to distance information and direction information. That is, the optical elements 110 may be installed in the rim 10 in three directions, respectively.

복수의 마이크(120)는, 청각 장애인용 안경 스타일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양다리(30)에 이격 설치되어서 외부 음향을 획득하기 위해 구성된 것이다. 즉, 상기 복수의 마이크(120)는 상기 양다리(30)에 각각 하나씩 설치된다. 또한, 복수의 마이크(120)는 양다리(30) 뿐 아니라 앤드피스(20)나 림(10)에도 이격 설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microphones 1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legs 30 of the spectacle-style wearable terminal 100 for the hearing impaired person so as to obtain an external sound. That is,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120 are installed on the legs 30 one by one.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12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end piece 30 as well as the end piece 20 and the rim 10.

진동 모듈(130)은, 청각 장애인용 안경 스타일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귀걸이부(31)에 각각 설치되며, 착용자에게 소리가 발생한 곳에 거리 및 방향을 촉감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진동 모듈(130)은 상기 귀걸이부(31)에 각각 하나씩 설치된다. 여기서 진동 모듈(130)은 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키며, 후술하는 경고 정보에 대해서는 일반 이동 지시와는 상이한 촉감을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진동 모듈(130)을 대신하여 접촉 피부면에 대하여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부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진동 모듈(130)의 배치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The vibration module 130 is installed in the ear-piercing portion 31 of the wearable spectacle-style wearable terminal 100 for the hearing impaired, and transmits the distance and the direction of the sound to the wearer with touch. That is, one vibration module 130 is installed in each of the ear pieces 31. Here, the vibration module 130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can be sensed by the user, and transmits a tactile sensation different from the general movement instruction to the warning information to be described later. In place of the vibration module 130, a pin arrangement vertically moving with respect to the contact skin surface, a spraying force or suction force of the air through the injection port or the suction port, a touch on the skin surface, contact with an electrode, And various tactile effects such as an effect of reproducing a cold sensation using a heat absorbing or heatable element can be given. The arrangement and operation of the vibration module 1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메모리(140)는, 음성 패턴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음성 패턴 정보는, 상기 복수의 마이크(120)를 통해 획득되는 외부 음향과 매칭하여, 매칭되면, 경고 정보를 생성하는데 활용된다. 이러한 메모리(140)로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등이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패턴 정보는 비명소리나 자동차 경적음과 같이 사용자의 위험을 알릴 수 있는 음성의 패턴 정보를 의미한다.The memory 140 is configured to store voice pattern information. Here, the voice pattern information is used to generate warning information if it matches and matches external sounds acquired through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120. [ The memory 14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A random access memory (SRAM), a read-only memory (ROM),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and a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 Here, the voice pattern information means voice pattern information that can inform the user of the danger such as a screaming sound or a car sounding voice.

배터리(150)는, 상기 제어부(160), 상기 광소자(110) 및 상기 복수의 마이크(1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150)는 상기 다리(30)에 연결되는 목걸이(50)의 중앙부에 위치한 케이싱(60)에 내장된다.The battery 150 is configured to supply power to the control unit 160, the optical device 110, and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120. The battery 150 is installed in a casing 60 locat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necklace 50 connected to the legs 30.

제어부(160)는, 상기 복수의 마이크(120)를 통해 획득되는 외부 음향을 분석하여 외부 음향이 발생하는 위치까지의 거리 정보 및 방향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거리 정보 및 상기 방향 정보에 따라 상기 광소자(110)의 발광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광소자(110)의 발광 여부를 제어하고, 상기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광소자(110)의 발광 정도를 제어한다. 즉, 착용자는 발광정도에 따라 외부 음향이 발생하는 위치가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확신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광소자(110)는 상기 림(10)에 적어도 3방향으로 각각 설치되어서 음향의 발생 방향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외부 음향의 음원이 전방인 경우, 상기 광소자(110)의 발광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즉, 청각 장애인이 전방은 주시하므로 굳이 광소자를 발광시켜 외부 물체의 이동중을 인지 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거리 정보 및 상기 방향 정보에 따라 상기 진동 모듈(13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복수의 마이크(120)를 통해 획득되는 외부 음향이 상기 음성 패턴 정보와 매칭되는지를 확인하고, 매칭되면, 경고 정보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패턴이 상기 메모리(140)에 저장된 음성 패턴 정보와 매칭이 되면, 사용자에게 경고 정보를 알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경고 정보에 따라, 상기 림(10)을 따라서 나란히 설치되는 광소자(110) 전체가 발광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60 analyzes the external sound obtained through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120 to obtain distance information and direction information to a position where external sounds are generated, And functions to control the light emission of the element 110. 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whether or not the optical element 110 emits light based on the direction information, and controls the degree of light emission of the optical element 110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That is, the wearer can be sure of how much the position where the external sound is generated depends on the degree of light emission. Here, the optical elements 110 are installed in the rim 10 in at least three directions, respectively, so as to inform the user of the direction of sound generation. In addition,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light source 110 to emit light when the sound source of the external sound is forward. In other words, since a person with a hearing impairment is watching ahead, it is not necessary to recognize the moving of an external object by emitting an optical element. Also,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vibration module 130 according to the distance information and the direction information. Also, the controller 160 checks whether external sounds obtained through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120 are matched with the voice pattern information, and generates alert information if they match. Accordingly, when the voice pattern received through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120 is matched with the voice patter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40, the user can be informed of the warning information. In addition,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entire optical device 110 installed along the rim 10 to emit light according to the warning informa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청각 장애인용 안경 스타일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진동 모듈(13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각 장애인용 안경 스타일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진동 모듈(130)은 4개의 서브 진동 모듈(130-1~130-4)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진동 모듈(130)은 이동 방향 또는 외부 물체의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즉, 제 1 서브 진동 모듈(130-1)은 전방을 의미하며, 제 2 서브 진동 모듈(130-2)은 상방, 제 3 서브 진동 모듈(130-3)은 후방, 제 4 서브 진동 모듈(130-4)은 하방에 대응하게 구성된다.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vibration module 130 of a spectacle-style wearable terminal 100 for a hearing impaired person,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he vibration module 130 of the spectacle-style wearable terminal 100 for a hearing impaired person may include four sub-vibration modules 130-1 to 130-4, and each vibration module 130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r the direction of the external object. That is, the first sub-oscillation module 130-1 means forward, the second sub-oscillation module 130-2 is above, the third sub-oscillation module 130-3 is behind, and the fourth sub- 130-4 are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downward direction.

또한, 이와 같은 진동 모듈(130)이 양쪽의 귀걸이부(31)에 각각 설치되므로, 좌우 분리 진동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vibration module 130 is installed on both the ear pieces 31,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left and right vibration parts.

이상과 같이 구성됨으로써, 복수의 마이크(120)로부터 획득되는 외부 음향에 대한 거리 정보 및 방향 정보를 기초로 하여 물체위치가 전방인 경우, 제 1 서브 진동 모듈(130-1)이, 물체의 위치가 상방인 경우 제 2 서브 진동 모듈(130-2)이, 물체 위치가 후방인 경우, 제 3 서브 진동 모듈(130-3)이, 물체 위치가 하방인 경우, 제 4 서브 진동 모듈(130-4)이 동작하여 착용자가 어디에 외부 물체가 있는지를 인지하게 된다.
With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object position is forward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and the direction information on the external sound obtained from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120, the first sub-vibration module 130-1 detects the position of the object The second sub-vibration module 130-2 is arranged such that the third sub-vibration module 130-3 is located in the rear of the fourth sub-vibration module 130-2 when the object position is down, 4) operate to recognize where the wearer has an external object.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청각 장애인이 감지하기 어려운 소리를 시각화하여 장애인이 적절히 위험에 대처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visualize a sound difficult for the hearing impaired person to perceive, so that a disabled person can appropriately cope with the danger.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측면에서 다가오는 물체를 감지하고, 물체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를 측정한 정보를 광소자의 발광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게 된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sense an approaching object on the side of the user and inform the user of the information of the magnitude of the sound generated in the object through the light emission of the optical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측면에서 다가오는 물체를 감지하고, 물체의 거리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양다리에 설치된 진동 모듈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roaching object can be detected from the side of a user, and distance information and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can be informed to a user through a vibration module installed on both sides.

상기와 같은 청각 장애인용 안경 스타일 웨어러블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above-described eyeglass-style wearable terminal for a hearing impaired pers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may be modified so that all or a part of the embodiments are selectively combined, .

100 : 청각 장애인용 안경 스타일 웨어러블 단말기
110 : 광소자
111 ~ 114 : 광소자
111 : 우측 광소자
112 : 좌측 광고자
113 : 후방 광소자
114 : 전방 광소자
120 : 복수의 마이크
121 : 우 마이크
122 : 좌 마이크
130 : 진동 모듈
140 : 메모리
150 : 배터리
160 : 제어부
10 : 림
20 : 앤드피스
30 : 다리
31 : 귀걸이부
40 : 브릿지
50 : 목걸이
60 : 케이싱
100: Hearing-impaired eyeglass style wearable terminal
110: optical element
111 to 114: Optical element
111: Right optical element
112: left advertiser
113: rear optical element
114: front optical element
120: Multiple microphones
121: Wu Mike
122: Left microphone
130: vibration module
140: Memory
150: Battery
160:
10: rim
20: And Peace
30: Bridge
31: Earring section
40: Bridge
50: Necklace
60: casing

Claims (8)

림과 앤드피스 및 다리부를 포함하는, 청각 장애인용 안경 스타일 웨어러블 단말기로서,
상기 림에 적어도 3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광소자;
상기 림, 상기 앤드피스 및 다리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서 외부 음향을 획득하기 위한 복수의 마이크; 및
상기 복수의 마이크를 통해 획득되는 외부 음향을 분석하여 상기 외부 음향이 발생하는 위치 까지의 거리 정보 및 방향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광소자의 발광 여부를 제어하고, 상기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광소자의 발광 정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청각 장애인용 안경 스타일 웨어러블 단말기.
A wearable eyeglass-style wearable terminal comprising a rim, an endpiece, and a leg portion,
An optical element provided in at least three directions on the rim;
A plurality of microphones installed at any one of the rim, the endpiece, and the legs to acquire an external sound; And
Analyzing an external sound obtained through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to obtain distance information and direction information to a position where the external sound is generated, and controlling whether or not the optical device emits light based on the direction information, And controls a degree of light emission of the optical device based on the light intensity of the optical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마이크는 이격 설치되는, 청각 장애인용 안경 스타일 웨어러블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에 연결되는 목걸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목걸이의 중앙부에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판과, 상기 제어부, 상기 광소자 및 상기 마이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내장되는 케이싱이 부착되는, 청각 장애인용 안경 스타일 웨어러블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necklace connected to the leg,
And a casing including the control unit, and a casing in which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unit, the optical device, and the microphone is mounted is attached to a central portion of the neckl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음향의 음원이 전방인 경우, 상기 광소자의 발광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청각 장애인용 안경 스타일 웨어러블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light source to prevent light emission of the optical device when the sound source of the external sound is forward.
제 1 항에 있어서,
양다리에 각각 설치되는 진동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 정보 및 상기 방향 정보에 따라 상기 진동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청각 장애인용 안경 스타일 웨어러블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vibration module mounted on each of the legs,
Wherein,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vibr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distance information and the direction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음성 패턴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획득되는 외부 음향이 상기 음성 패턴 정보와 매칭되는지를 확인하고, 매칭되면, 경고 정보를 생성하는, 청각 장애인용 안경 스타일 웨어러블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emory unit for storing voice pattern information,
Wherein,
A wearable spectacle type wearable terminal for a hearing impaired person which confirms whether external sound obtained through the microphone matches with the voice pattern information and generates warning information when matche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소자는 상기 림을 따라서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고 정보에 따라, 상기 림을 따라 설치되는 광소자 전체가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청각 장애인용 안경 스타일 웨어러블 단말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optical elements are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rim,
Wherein,
And controls the entire optical device installed along the rim to emit light according to the warning information.
KR1020140172276A 2014-12-03 2014-12-03 Glasses style wearable terminal for hearing impaired person KR1016537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276A KR101653768B1 (en) 2014-12-03 2014-12-03 Glasses style wearable terminal for hearing impaired pers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276A KR101653768B1 (en) 2014-12-03 2014-12-03 Glasses style wearable terminal for hearing impaired pers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896A KR20160066896A (en) 2016-06-13
KR101653768B1 true KR101653768B1 (en) 2016-09-07

Family

ID=56191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2276A KR101653768B1 (en) 2014-12-03 2014-12-03 Glasses style wearable terminal for hearing impaired pers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376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438B1 (en) 2017-08-03 2019-02-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Escape direction guide system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408B1 (en) * 2017-11-09 2019-08-30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Tactile cognitive type sound direction guide device
KR102036853B1 (en) * 2017-12-08 2019-11-26 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Emitting type sound direction guide device
KR20200136245A (en) 2019-05-27 2020-12-07 박민석 Eyeglass style terminal for the hearing impaired
CN111986456A (en) * 2020-07-25 2020-11-24 崔永利 Photometry and ranging type eye protection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79182A (en) * 2008-09-29 2010-04-08 Nagoya Institute Of Technology Wearable sound recogni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4707A (en) * 2012-05-07 2013-11-15 한국과학기술원 Hearing aid apparatus presenting visually to direction of sound sour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1518115B1 (en) * 2013-05-02 2015-05-06 안태영 Glasses for the dea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79182A (en) * 2008-09-29 2010-04-08 Nagoya Institute Of Technology Wearable sound recognition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438B1 (en) 2017-08-03 2019-02-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Escape direction guide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896A (en) 2016-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3768B1 (en) Glasses style wearable terminal for hearing impaired person
JP2016186786A (en) Wearable smart device for hazard detection and warning based on image and audio data
US20170111740A1 (en) 3D Sound Field Using Bilateral Earpieces System and Method
JP2019512294A (en) Skin beauty equipment
ATE427725T1 (en) OPHTHALMOLOGICAL DEVICE
US20160089215A1 (en) Hands-free lighting system
RU2016110406A (en) GOGGLES AND METHOD FOR DETERMINING HUMAN EYE PAPER CENTERS OF HUMAN EYES
WO2016071754A3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tical isolation in 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PL1663087T3 (en) Control device for a surgical laser
KR101750526B1 (en) Therapy glass
KR101518115B1 (en) Glasses for the deaf
TW200501917A (en) Laser irradiation device, and skin care device equipped with such a device
KR20190004490A (en) Walking guide system
JP2014225090A (en) Gas alarm system
KR102036853B1 (en) Emitting type sound direction guide device
JP2013236812A (en) Light irradiation device
KR101632169B1 (en) Voice road guide system for a person who is visually handicapped
JP2016139881A (en) Head mount display
US20170314775A1 (en) Rechargeable illuminating shoes
KR20160066354A (en) Wearabl teminal for visually handicapped person
KR101525468B1 (en) Hearing assistant system
ES2442391B1 (en) PORTABLE DETECTION OF OBJECTS DEVICE
KR102026614B1 (en) Vibration belt for detecting sound and informing
KR102418366B1 (en) smart circle device
JP2016117456A (en) Vehicle notification system and vehicle notific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