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2938B1 - 레이저 침 및 레이저 침 시스템 - Google Patents

레이저 침 및 레이저 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2938B1
KR101652938B1 KR1020150018775A KR20150018775A KR101652938B1 KR 101652938 B1 KR101652938 B1 KR 101652938B1 KR 1020150018775 A KR1020150018775 A KR 1020150018775A KR 20150018775 A KR20150018775 A KR 20150018775A KR 101652938 B1 KR101652938 B1 KR 101652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laser
needle
optical core
laser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8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7001A (ko
Inventor
정병조
이상엽
박지훈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18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2938B1/ko
Publication of KR20160097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7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2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2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9Acupun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7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using laser l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레이저 침은 일단의 면으로 광 코어침이 삽입되고, 상기 일단과 대응하는 타단의 면으로부터 침관이 돌출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를 수용하는 수용부, 일 면에 상기 수용부가 접착되고, 상기 일 면과 대응하는 다른 일면은 상기 침관 및 상기 광 코어침이 침습되는 피부에 접촉하는 접착부, 및 레이저 빔을 발생시키는 광원을 포함하는 레이저 발생부와 연결되어 상기 레이저 빔을 상기 광 코어침으로 전달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이저 침 및 레이저 침 시스템{LASER NEEDLE AND LASER NEEDLE SYSTEM}
본원은 레이저 침 및 상기 레이저 침을 포함하는 레이저 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기장, 적외선, 레이저, 초음파 등을 치료수단으로 사용하는 전기침, 자기장(또는 자석)침, 적외선침, 초음파침 등에 의한 치료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치료방법은 비침습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서 주로 환부에 전류나 자기장, 적외선, 초음파 등을 가하여 자극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전기침, 자기장침, 적외선침, 초음파침 등을 이용한 치료방법은 환부를 비침습적으로 자극하는 시술방법으로서, 침습적인 시술 방법에 비해 높은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비침습적 시술효과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환부의 피부 속으로 매우 얇은 직경의 침을 삽입하여, 전류, 자기장, 적외선, 초음파 등을 환부에 직접 가하는 침습적 시술이 수행되고 있다. 다만, 최근들어 이러한 침습적 시술에 있어서, 직접 침습에 따른 환자의 고통을 최소화 하고, 침의 삽입 깊이에 따라 치료 효과를 달리하고, 치료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레이저 침에 대한 수요 및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088490 호(2011. 11. 30.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레이저 발생 장치와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며, 광축의 틀어짐을 최소화하여 레이저의 전달 효과를 높여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레이저 침 및 레이저 침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레이저 침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고, 침의 삽입 정도를 정확하게 파악함으로써, 환자의 고통을 최소화하고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레이저 침 및 레이저 침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침은 일단의 면으로 광 코어침이 삽입되고, 상기 일단과 대응하는 타단의 면으로부터 침관이 돌출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를 수용하는 수용부; 일 면에 상기 수용부가 접착되고, 상기 일 면과 대응하는 다른 일면은 상기 침관 및 상기 광 코어침이 침습되는 피부에 접촉하는 접착부; 및 레이저 빔을 발생시키는 광원을 포함하는 레이저 발생부와 연결되어 상기 레이저 빔을 상기 광 코어침으로 전달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결합부와 상기 수용부는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광 코어침은 상기 결합부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결합부의 나사 회전 횟수에 따라 상기 침관이 피부에 삽입되는 깊이가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는, 상기 나사선이 형성되는 제 1 본체; 및 상기 제 1 본체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침관의 삽입 깊이의 정도를 나타내는 복수의 표시선이 인쇄되어 있는 제 2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복수의 표시선과 대응하여 상기 침관의 삽입 깊이의 정도를 나타내는 기준 표시선이 인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레이저 발생부의 커넥터에 삽입되는 커넥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발생부의 커넥터의 내부에는 자석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 본체는 마그네틱 성질을 가지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레이저 발생부의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 본체의 내부에는 클래딩으로 둘러싸인 광 코어가 관통하고, 상기 레이저 발생부의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 본체가 자석 결합하여 연결된 광 코어를 통해 상기 레이저 빔이 상기 광 코어침에 전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결합부 및 상기 커넥터 본체를 연결하는 커넥트 광섬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결합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접착부에는 상기 침관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광 코어침은 클래딩으로 둘러싸인 광섬유의 코어 말단을 노출시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침 시스템은 레이저 빔을 발생시키는 광원을 포함하는 레이저 발생부; 및 일단의 면에 광 코어침이 삽입되고, 상기 일단과 대응하는 타단의 면으로부터 침관이 돌출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를 수용하는 수용부, 일 면에 상기 수용부가 접착되고, 상기 일 면과 대응하는 다른 일면은 상기 침관 및 상기 광 코어침이 침습되는 피부에 접촉하는 접착부, 및 상기 레이저 발생부와 연결되어 상기 레이저 빔을 상기 광 코어침에 전달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레이저 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결합부와 상기 수용부는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레이저 침은 상기 결합부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결합부의 나사 회전 횟수에 따라 상기 침관이 피부에 삽입되는 깊이가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는,상기 나사선이 형성되는 제 1 본체; 및 상기 제 1 본체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침관의 삽입 깊이의 정도를 나타내는 복수의 표시선이 인쇄되어 있는 제 2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복수의 표시선과 대응하여 상기 침관의 삽입 깊이의 정도를 나타내는 기준 표시선이 인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레이저 발생부는 상기 커넥터부와 연결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레이저 발생부의 커넥터에 삽입되는 커넥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발생부의 커넥터의 내부에는 자석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 본체는 마그네틱 성질을 가지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레이저 발생부의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 본체의 내부에는 클래딩으로 둘러싸인 광 코어가 관통하고, 상기 레이저 발생부의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 본체가 자석 결합하여 연결된 광 코어를 통해 상기 레이저 빔이 상기 광 코어침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침 시스템은 레이저 빔을 발생시키는 광원을 포함하는 레이저 발생부; 및 상기 레이저 발생부로부터 레이저 빔을 전달받아 다수의 광 코어침을 통해 상기 레이저 빔을 피부 내로 전달하는 다채널 레이저 침;을 포함하되, 상기 다채널 레이저 침의 각각은, 일단의 면으로 광 코어침이 삽입되고, 상기 일단과 대응하는 타단의 면으로부터 침관이 돌출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를 수용하는 수용부, 일 면에 상기 수용부가 접착되고, 상기 일 면과 대응하는 다른 일면은 상기 침관 및 상기 광 코어침이 침습되는 피부에 접촉하는 접착부, 및 상기 레이저 발생부와 연결되어 상기 레이저 빔을 상기 광 코어침에 전달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침은 일단의 면으로 광 코어침이 삽입되고, 상기 일단과 대응하는 타단의 면으로부터 침관이 돌출되는 결합부; 및 레이저 빔을 발생시키는 광원을 포함하는 레이저 발생부와 연결되어 상기 레이저 빔을 상기 광 코어침으로 전달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레이저 발생부의 커넥터에 삽입되는 커넥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발생부의 커넥터의 내부에는 자석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 본체는 마그네틱 성질을 가지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침 시스템은 레이저 빔을 발생시키는 광원을 포함하는 레이저 발생부; 및 일단의 면에 광 코어침이 삽입되고, 상기 일단과 대응하는 타단의 면으로부터 침관이 돌출되는 결합부, 및 상기 레이저 발생부와 연결되어 상기 레이저 빔을 상기 광 코어침에 전달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레이저 침을 포함하되,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레이저 발생부의 커넥터에 삽입되는 커넥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발생부의 커넥터의 내부에는 자석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 본체는 마그네틱 성질을 가지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침 시스템은 레이저 빔을 발생시키는 광원을 포함하는 레이저 발생부; 및 상기 레이저 발생부로부터 레이저 빔을 전달받아 다수의 광 코어침을 통해 상기 레이저 빔을 피부 내로 전달하는 다채널 레이저 침;을 포함하되, 상기 다채널 레이저 침의 각각은, 일단의 면으로 광 코어침이 삽입되고, 상기 일단과 대응하는 타단의 면으로부터 침관이 돌출되는 결합부, 및 상기 레이저 발생부와 연결되어 상기 레이저 빔을 상기 광 코어침에 전달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레이저 발생부의 커넥터에 삽입되는 커넥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발생부의 커넥터의 내부에는 자석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 본체는 마그네틱 성질을 가지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레이저 침과 레이저 발생 장치를 용이하게 탈부착하며, 레이저 침과 레이저 발생장치 간의 광섬유의 광축의 틀어짐을 최소화하여 레이저의 전달 효과를 높이고,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환자의 피부 내에 삽입되는 레이저 침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고, 침의 삽입 정도를 정확하게 파악함으로써, 환자의 고통을 최소화하고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침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침의 결합부의 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침의 결합부의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침의 수용부 및 접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침의 커넥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침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침의 결합부의 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침의 결합부의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침의 수용부 및 접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침의 커넥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침 및 레이저 침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침 시스템(10)은 레이저 발생부(100) 및 레이저 침(2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레이저 발생부(100)는 레이저 빔을 발생시키는 광원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 발생부(100)의 일 면에는 레이저 침(200)과 연결되어 레이저 빔을 레이저 침(200)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 1 커넥터(111), 제2커넥터(112) 및 광섬유(113)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 발생부(100)의 일 면에는 상기 제 1 커넥터(111) 및 광섬유(113) 없이, 제 2 커넥터(112)가 돌출되어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침(200)은 결합부(210), 수용부(220), 접착부(230), 커넥터부(240) 및 침관(25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 침(200)은 결합부(210), 커넥터부(240) 및 침관(25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210)의 일단의 면으로 클래딩으로 둘러싸인 광코어를 포함하는 광 코어침(114)이 삽입되고, 결합부(210)의 내부를 관통한다. 또한, 결합부(210)에는 광 코어침(114)이 삽입되기 시작한 면과 대응하는 타단의 면으로부터 침관(250)이 돌출되어, 광 코어침(114)이 침관(250)에 삽입 및 안내될 수 있다. 도 2a에는 클래딩으로 둘러싸인 광 코어를 포함하는 광 코어침(114)만이 결합부(210) 및 침관(250)에 삽입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광 코어침(114)을 포함하는 광섬유(113)가 결합부(210) 내에 삽입되고, 침관(250) 내에만 클래딩으로 둘러싸인 광섬유의 코어 말단이 노출된 광 코어침(114)이 위치할 수도 있다. 광 코어침(114)은 클래딩으로 둘러싸인 광 코어의 말단을 노출시켜 형성되며, 침관(250)의 내부에 삽입되어 침관(250)과 함께 피부(18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 코어침(114)은 결합부(210)의 내부를 관통하면서, 결합부(21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결합부(210)의 내부에 광 코어침(114)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결합부(210)의 일단에 침관(250)이 돌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부(210)의 내부에 광 코어침(114)이 삽입되어 있는 침관(250)이 삽입 및 관통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210)는 제1본체(212) 및 제2본체(2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본체(214)는 제 1 본체(212)의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용부(220)에 결합부(210)가 삽입되었을 때, 제 2 본체(214)가 스토퍼(stopper)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본체(214)는 제 1 본체(212)로부터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본체(212)와 별도로 제작되어 제 1 본체(212)와 결합될 수도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210)의 제 1 본체(212)에는 나사선(216)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210)의 제 2 본체(214)에는 레이저 침(200)의 침관(250) 및 광 코어침(114)의 삽입 깊이의 정도를 나타내는 복수의 표시선(218)이 인쇄될 수 있다.
수용부(220)는 결합부(2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결합부(210)를 수용할 수 있다. 수용부(220)의 내측면에는 상기 결합부(210)의 나사선(216)에 대응하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210)와 수용부(220)는 나사 결합되어(예를 들어, 수나사(볼트): 결합부(210), 암나사(너트): 수용부(220)), 결합부(210)는 수용부(220)에 수용될 수 있다. 수용부(220) 내에서의 결합부(210)의 나사 회전 횟수에 따라 레이저 침(200)의 침관(250)이 피부(180)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220)의 표면에는 결합부(210)의 제 2 본체(214)에 인쇄되어 있는 복수의 표시선(218)과 대응하여 레이저 침(200)의 침관(250)의 삽입 깊이의 정도를 나타낼 수 있는 기준 표시선(222)이 인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표시선(218)이 제 2 본체(214)에 인쇄되거나, 기준 표시선(222)이 수용부(220)에 인쇄된다라는 것은 제 2 본체(214) 또는 수용부(220)에 표시선(218) 또는 기준 표시선(222)이 삽입 형성된 것, 제 2 본체(214) 또는 수용부(220)의 표면에 표시선(218) 또는 기준 표시선(222)이 프린팅된 것, 표시선(218) 또는 기준 표시선(222)을 나타내는 스티커 등이 부착된 것 등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210)에 인쇄되어 있는 복수의 표시선(218) 중 가장 왼쪽의 표시선(제 1 표시선)이 수용부(220)에 표시되어 있는 기준 표시선(222)과 마주하도록 위치하는 경우, 침관(250)이 피부(180)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이며, 제 1 표시선과 인접하는 제 2 표시선이 기준 표시선(222)과 마주하도록 위치하는 경우, 침관(250)이 피부(180)에 1mm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표시선과 인접하는 제 3 표시선이 기준 표시선(222)과 마주하도록 결합부(210)가 수용부(220)에 삽입되는 경우, 침관(250)이 피부(180)에 2mm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표시선(218)이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또는 오른쪽으로부터 왼쪽으로 이동하면서 기준 표시선(222)과 마주하게 되는 경우, 침관(250)이 피부(180)에 1mm씩 깊게 삽입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침관(250)은 광 코어침(114)이 삽입이 가능하도록 속이 빈 중공형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공형 몸체는 시술하고자 하는 레이저 침의 용도에 따라 직경이 29G, 30G, 31G 인 규격 중에서 어느 하나의 규격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중공형 몸체의 내경이 광섬유의 코어의 외경보다는 큰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공형 몸체는 그 선단부에 첨예부를 형성하여 상기 첨예부와 함께 광 코어침(114)이 환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광 코어침(114)을 첨예부로 안내할 수 있다. 침관(250)은 수지계열 또는 금속 중의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의 피부 내에 삽입되는 레이저 침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고, 침의 삽입 정도를 정확하게 파악함으로써, 환자의 고통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 도 2a 및 도 2b에는 결합부(210) 및 수용부(220)가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결합부(210) 및 수용부(220)의 형상이 원통형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230)의 일 면(예를 들어, 윗면)에는 수용부(220)가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수용부(220)가 접착된 일 면과 대응하는 접착부(230)의 다른 일 면(예를 들어, 아랫면)은 침관(250) 및 광 코어침(114)이 침습되는 피부(180)와 접촉한다. 예를 들어, 수용부(220)의 아랫면은 파스와 같이 사용자의 피부(180)에 부착될 수 있는 점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230)에는 침관(250)이 관통하는 관통홀(23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부(230)와 수용부(22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침(200)은 레이저 발생부(100)로부터 레이저 빔을 레이저 침(200)의 광 코어침(114)으로 전달하기 위한 커넥터부(240)를 더 포함한다. 도 1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부(240)는 레이저 발생부(100)의 제 2 커넥터(112)에 삽입되는 커넥터 본체(242)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 발생부(100)의 제 2 커넥터(112)의 내부에는 자석(115)이 구비될 수 있다. 레이저 발생부(100)의 제 2 커넥터(112)에 삽입되는 커넥터 본체(242)는 자석(115)에 부착 가능한 마그네틱 성질을 가지는 금속 재질(예를 들어, 철)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발생부(100)의 제 2 커넥터(112) 및 커넥터 본체(242)의 내부에는 클래딩으로 둘러싸인 광 코어(114, 광 코어침 또는 그 일부)가 관통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발생부(100)의 제 2 커넥터(112) 및 커넥터 본체(242)가 자석 결합되면, 제 2 커넥터(112) 내의 광 코어와 커넥터 본체(242) 내의 광 코어가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연결된 광 코어(114)를 통해 레이저 발생부(100)로부터 레이저 빔이 레이저 침(2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레이저 발생부(100)와 레이저 침(200)은 각각 Magnetic Optical Axis-Free Connector(MOAFC)를 가지고 있어, 용이하게 결합 가능하며, 광 코어의 광축의 접합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부(240)는 결합부(210)와 커넥터 본체(242)를 연결하는 커넥트 광섬유(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섬유(113)를 통하지 않고, 커넥터 본체(242)가 결합부(21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위치할 수 있도 있다. 따라서, 레이저 빔의 광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침 시스템(10)에 따르면, 레이저 침(200)과 레이저 발생 장치(100)가 자석 결합을 통해 탈부착 됨으로써,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하며 레이저 침(200)과 레이저 발생 장치(100) 간의 광축의 틀어짐을 최소화하여 레이저의 전달 효과를 높이고,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발생부(100)는 광원 구동장치, 광원, 칼리메이팅 렌즈, 중성 농도 필터, 쵸퍼, 쵸퍼 제어기 및 대물렌즈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 구동장치는 광원에 연결되어 레이저 빔의 파워 및/또는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광원 구동장치는 치료의 목적에 따라 레이저 빔의 파워 및/또는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파워 및/또는 주파수를 가지는 레이저 빔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생성하도록 광원을 제어할 수 있다. 광원은 상기 광원 구동장치에서 조절되는 파워 및/또는 주파수에 따라 레이저 빔(예를 들면 660nm의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 빔)을 발생할 수 있다. 칼리메이팅 렌즈는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레이저 빔이 퍼지지 않고 간섭성(coherence) 평행광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중성농도(ND) 필터는 상기 칼리메이팅 렌즈에서 나오는 간섭성 평행광의 광량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쵸퍼는 상기 중성농도 필터와 대물렌즈 사이에 연결되어 레이저 빔을 원하는 주파수로 잘라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만약 강한 레이저 빔을 연속적으로 조사했을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에너지의 크기가 커져 환부에 상처(화상)을 줄 수 있으므로 이 쵸퍼를 사용하여 레이저 빔을 일정한 크기(주파수)로 잘라주어 화상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쵸퍼제어기는 상기 쵸퍼에 연결되어 쵸퍼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대물렌즈는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빔을 광섬유 및 광 코어침에 집광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침 시스템에 따르면, 레이저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빔을 전달받아 다수의 광 코어침을 통해 레이저 빔을 피부 내로 전달하는 다채널 레이저 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채널 레이저 침의 각각은 앞서 도 1 내지 도 4b를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침(200)의 구성과 동일하다. 즉, 다채널 레이저 침의 각각은 일단의 면으로 광 코어침이 삽입되고, 상기 일단과 대응하는 타단의 면으로부터 침관이 돌출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를 수용하는 수용부, 일 면에 상기 수용부가 접착되고, 상기 일 면과 대응하는 다른 일면은 상기 침관이 침습되는 피부에 접촉하는 접착부, 및 상기 레이저 발생부와 연결되어 상기 레이저 빔을 광 코어침에 전달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레이저 침 시스템은 빔 스플리터가 내장된 채널 분배기, 채널 분배기의 빔 스플리터가 분배하는 채널수에 대응되는 갯수의 광섬유로 구성되는 광섬유 다발, 상기 광섬유 다발로부터 각각의 광섬유를 분리해내어 각각의 레이저 침에 연결되는 광섬유(광 코어침)로 연결시키는 광섬유 분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레이저 침 시스템 100: 레이저 발생부
113: 광섬유 114: 광 코어침
200: 레이저 침 210: 결합부
220: 수용부 230: 접착부
240: 커넥터부 250: 침관

Claims (17)

  1. 일단의 면으로 광 코어침이 삽입되고, 상기 일단과 대응하는 타단의 면으로부터 침관이 돌출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를 수용하는 수용부;
    일 면에 상기 수용부가 접착되고, 상기 일 면과 대응하는 다른 일면은 상기 침관 및 상기 광 코어침이 침습되는 피부에 접촉하는 접착부; 및
    레이저 빔을 발생시키는 광원을 포함하는 레이저 발생부와 연결되어 상기 레이저 빔을 상기 광 코어침으로 전달하는 커넥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에는 상기 침관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결합부와 상기 수용부는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코어침은 상기 결합부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결합부의 나사 회전 횟수에 따라 상기 침관이 피부에 삽입되는 깊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나사선이 형성되는 제 1 본체; 및
    상기 제 1 본체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침관의 삽입 깊이의 정도를 나타내는 복수의 표시선이 인쇄되어 있는 제 2 본체,
    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복수의 표시선과 대응하여 상기 침관의 삽입 깊이의 정도를 나타내는 기준 표시선이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레이저 발생부의 커넥터에 삽입되는 커넥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발생부의 커넥터의 내부에는 자석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 본체는 마그네틱 성질을 가지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침.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발생부의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 본체의 내부에는 클래딩으로 둘러싸인 광 코어가 관통하고,
    상기 레이저 발생부의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 본체가 자석 결합하여 연결된 광 코어를 통해 상기 레이저 빔이 상기 광 코어침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침.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결합부 및 상기 커넥터 본체를 연결하는 커넥트 광섬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침.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결합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침.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코어침은 클래딩으로 둘러싸인 광섬유의 코어 말단을 노출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침.
  11. 레이저 빔을 발생시키는 광원을 포함하는 레이저 발생부; 및
    일단의 면에 광 코어침이 삽입되고, 상기 일단과 대응하는 타단의 면으로부터 침관이 돌출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를 수용하는 수용부, 일 면에 상기 수용부가 접착되고, 상기 일 면과 대응하는 다른 일면은 상기 침관 및 상기 광 코어침이 침습되는 피부에 접촉하는 접착부, 및 상기 레이저 발생부와 연결되어 상기 레이저 빔을 상기 광 코어침에 전달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레이저 침,
    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에는 상기 침관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침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결합부와 상기 수용부는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침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침은 상기 결합부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결합부의 나사 회전 횟수에 따라 상기 침관이 피부에 삽입되는 깊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침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나사선이 형성되는 제 1 본체; 및
    상기 제 1 본체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침관의 삽입 깊이의 정도를 나타내는 복수의 표시선이 인쇄되어 있는 제 2 본체,
    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복수의 표시선과 대응하여 상기 침관의 삽입 깊이의 정도를 나타내는 기준 표시선이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침 시스템.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발생부는 상기 커넥터부와 연결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레이저 발생부의 커넥터에 삽입되는 커넥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발생부의 커넥터의 내부에는 자석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 본체는 마그네틱 성질을 가지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침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발생부의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 본체의 내부에는 클래딩으로 둘러싸인 광 코어가 관통하고,
    상기 레이저 발생부의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 본체가 자석 결합하여 연결된 광 코어를 통해 상기 레이저 빔이 상기 광 코어침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침 시스템.
  17. 레이저 빔을 발생시키는 광원을 포함하는 레이저 발생부; 및
    상기 레이저 발생부로부터 레이저 빔을 전달받아 다수의 광 코어침을 통해 상기 레이저 빔을 피부 내로 전달하는 다채널 레이저 침,
    을 포함하되,
    상기 다채널 레이저 침의 각각은,
    일단의 면으로 광 코어침이 삽입되고, 상기 일단과 대응하는 타단의 면으로부터 침관이 돌출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를 수용하는 수용부, 일 면에 상기 수용부가 접착되고, 상기 일 면과 대응하는 다른 일면은 상기 침관 및 상기 광 코어침이 침습되는 피부에 접촉하는 접착부, 및 상기 레이저 발생부와 연결되어 상기 레이저 빔을 상기 광 코어침에 전달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에는 상기 침관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레이저 침 시스템
KR1020150018775A 2015-02-06 2015-02-06 레이저 침 및 레이저 침 시스템 KR101652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775A KR101652938B1 (ko) 2015-02-06 2015-02-06 레이저 침 및 레이저 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775A KR101652938B1 (ko) 2015-02-06 2015-02-06 레이저 침 및 레이저 침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3978A Division KR101652941B1 (ko) 2016-07-04 2016-07-04 레이저 침 및 레이저 침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001A KR20160097001A (ko) 2016-08-17
KR101652938B1 true KR101652938B1 (ko) 2016-09-01

Family

ID=56873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8775A KR101652938B1 (ko) 2015-02-06 2015-02-06 레이저 침 및 레이저 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293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240B1 (ko) 2007-07-20 2008-10-30 광주과학기술원 반도체 레이저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이저 침
KR101163370B1 (ko) 2009-07-02 2012-07-12 광주과학기술원 다중 파장 레이저 침 장치
KR101487737B1 (ko) 2012-03-21 2015-01-29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체내 직접 조사 가능한 레이저 침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490B1 (ko) * 2009-06-29 2011-11-30 광주과학기술원 광섬유에 금속을 전기 도금한 침습형 침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240B1 (ko) 2007-07-20 2008-10-30 광주과학기술원 반도체 레이저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이저 침
KR101163370B1 (ko) 2009-07-02 2012-07-12 광주과학기술원 다중 파장 레이저 침 장치
KR101487737B1 (ko) 2012-03-21 2015-01-29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체내 직접 조사 가능한 레이저 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001A (ko)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6382B2 (en) Apparatus for optical stimulation of nerves and other animal tissue
Alt et al. Let there be light—optoprobes for neural implants
KR101652941B1 (ko) 레이저 침 및 레이저 침 시스템
US20010056278A1 (en) Method of treating intervertebral discs by inserting a diffuser directly into the annulus
US2008007720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imulation of nerves and automated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US8652185B2 (en) Apparatus for stimulating the brain and measuring the light induced neuronal activ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5107329A (ja) 腫瘍同定及びアブレーションのための光学分光法を利用した針カテーテル
KR101010957B1 (ko) 다채널 레이저 침 시스템
US20150032190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omnidirectional tissue illumination
KR102151923B1 (ko) 니들 레이저 치료 시스템
CN106659536B (zh) 具有放射分布模式的光纤激光手术器械
US10206742B2 (en) Fiber embedded hollow spikes for percutaneous delivery of laser energy
KR101366753B1 (ko) 광섬유를 이용한 의료용 마스크 장치
CA2826556A1 (en) Fiber embedded hollow needle for percutaneous delivery of laser energy
EP2595698B1 (en) Cochlear implant hearing instrument
ATE441458T1 (de) Lasernadel zur durchführung einer kombinierten lasernadel-elektroakupunktur
CN108056810B (zh) 一种非侵入式锁固骨骼的定位系统及方法
KR101652938B1 (ko) 레이저 침 및 레이저 침 시스템
US9149647B2 (en) Method for deep tissue laser treatments using low intensity laser therapy causing selective destruction of Nociceptive nerves
CN103018823B (zh) 一种复合玻璃光纤束器件
US11592606B2 (en) Positioning device for positioning a light-conducting fibre in a calibration port
US20080287933A1 (en) Multifiber Instrument for Contact Laser Surgery
LT6795B (lt) Lazerinės terapijos šviesolaidinis zondas
KR101776847B1 (ko) 관절염 치료를 위한 최소 침습적 레이저 침 시스템
You et al. Selective stimulation of bullfrog sciatic nerve by gold nanorod assisted combined electrical and near-infrared stim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