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2502B1 - 신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신발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2502B1
KR101652502B1 KR1020150184396A KR20150184396A KR101652502B1 KR 101652502 B1 KR101652502 B1 KR 101652502B1 KR 1020150184396 A KR1020150184396 A KR 1020150184396A KR 20150184396 A KR20150184396 A KR 20150184396A KR 101652502 B1 KR101652502 B1 KR 101652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shoe
fixing member
coupled
horse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4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우
Original Assignee
박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우 filed Critical 박진우
Priority to KR1020150184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25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2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2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9/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assembling of the individual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 A43B3/242Collapsible or convertible characterised by the upp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 A43B3/246Collapsible or convertible characterised by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adjustable as to length or siz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신발의 전면부, 후면부, 기저부를 다양한 색상, 다양한 재질,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함으로써 계절에 맞게, 용도에 맞게, 상황에 맞게 신발 부위를 취사선택한 후, 해당 상황에 따라 조립하여 착화가능한 신발 어셈블리가 개시되어 있다.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인 신발 어셈블리는 일방은 개구가 되며, 바닥부와 덮개부로 이루어져 신발몸체의 전면부를 이루는 제1 어셈블리(100); 상기 제1 어셈블리(100)의 개구된 면과 결합하며, 바닥부와 덮개부로 이루어지되 덮개부의 상부에는 발목삽입을 위한 개구가 형성되어 신발몸체의 후면부를 이루는 제2 어셈블리(200); 및 상기 제1 어셈블리(100) 및 상기 제2 어셈블리(100)가 상면에 결합되고, 신발의 기저부를 이루는 제3 어셈블리(30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신발 어셈블리{SHOES ASSEMBLY}
본 발명은 신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의 몸체를 이루는 전면부, 신발의 몸체를 이루는 후면부, 신발의 바닥면을 이루는 기저부를 서로 각각 분리하여 조립가능하게 함으로써 신발 착용자가 계절별, 날씨별, 용도별, 상황별에 따라 신발의 전면부, 후면부, 기저부 각각을 취향에 맞도록 취사선택하여 조립하여 착용할 수 있는 신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신발은 전통적으로 사람의 발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해왔으나, 현대에는 이러한 기본 기능 이외에도 패션화 경향에 따른 추세에 따라, 신발의 미적감각을 향상시키는 기술 및 기능이 중요시되고 있으며, 신발 구매자의 신발 취사선택에도 이 점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반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형태가 한 가지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해당 신발을 한 번 구입하면 구입 후에 신발을 다양하게 연출하기가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에 착안하여 실용신안공개번호 91-5342호에서는 갑피에 지퍼를 달아 앞뒤의 갑피가 분리되는 신발을 개시하였으나, 이러한 구조는 신발 몸체 자체가 이등분으로 분리되지 못하고, 신발의 겉표피만 분리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계절별, 용도별, 상황별로 제작된 각 신발 부위를 서로 조립하여 사용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으며 이러한 과제도 암시하거나 예상하지 못하고 있는 한계가 있다. 또한, 공개특허 10-2013-0067351에서는 신발의 갑피전체와 중창 및 밑창이 서로 분리되는 신발을 개시하였으나, 이는 신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신발몸체인 신발갑피가 전체적으로 한 몸으로 이루어져서 신발의 다양한 연출이 불가능한 한계가 근본적으로 존재한다. 이러한 종래의 신발들은 신발 착용자의 계절별, 용도별, 상황별에 따라 신발의 부위를 취사선택하여 조립착용하기도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신발의 분리되는 부분이 한정적이기에 다양한 패션수행기능을 발휘하기 불가능하고, 비가 오는 경우에는 신발이 분리되는 라인에 빗물 등이 스며들 수 있는 한계를 지니고 있기에 신발 기능의 충족 및 착용자의 니즈 및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는 미래 지향적인 신발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발의 몸체를 이루는 전면부와 후면부 및 신발의 기저부가 서로 분리되어 조립결합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신발의 부위를 세 부분으로 조립하여 결합사용하는 신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발의 전면부, 후면부, 기저부를 다양한 색상, 다양한 재질,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함으로써 계절에 맞게, 용도에 맞게, 상황에 맞게 신발 부위를 취사선택한 후, 해당 상황에 따라 조립하여 착화가능한 신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발이 서로 분리되는 라인에 빗물 등이 스며들지 않도록하는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수분유입방지가 가능한 신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행자의 편의성을 위하여 신발의 전면부 및 후면부 사이에 주름관을 형성하여 보행의 유연성이 증대된 신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인 신발 어셈블리는 일방은 개구가 되며, 바닥부와 덮개부로 이루어져 신발몸체의 전면부를 이루는 제1 어셈블리(100); 상기 제1 어셈블리(100)의 개구된 면과 결합하며, 바닥부와 덮개부로 이루어지되 덮개부의 상부에는 발목삽입을 위한 개구가 형성되어 신발몸체의 후면부를 이루는 제2 어셈블리(200); 및 상기 제1 어셈블리(100) 및 상기 제2 어셈블리(100)가 상면에 결합되고, 신발의 기저부를 이루는 제3 어셈블리(300)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 어셈블리(200)의 상기 제1 어셈블리(100)의 개구된 면과 결합하는 부위에는 주름관(220)이 형성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어셈블리(100)의 바닥부 및 상기 제2 어셈블리(200)의 바닥부에는 실리콘부재(250)가 형성되며, 상기 실리콘 부재(250)는 상기 제1 어셈블리(100) 및 상기 제2 어셈블리(200)의 바닥부면보다 아래까지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어셈블리(100) 및 상기 제2 어셈블리(200)가 상기 제3 어셈블리(300)의 상면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제3 어셈블리(300)의 일정 부위까지 덮어진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어셈블리(100)의 바닥부 외면 및 상기 제2 어셈블리(200)의 바닥부 외면에는 숫놈 말굽형 돌출부(270)가 형성되며, 이와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제3 어셈블리(300)의 상면 외면에는 암놈 말굽형 삽입부(370)가 형성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어셈블리(100)의 바닥부 및 상기 제2 어셈블리(200)의 바닥부에는 홈(280)이 형성된 제1 고정부재(290)가 하방으로 형성되며, 이와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제3 어셈블리(300)에는 상기 제1 고정부재가 내삽되도록 빈 공간(P)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고정부재(290)의 홈(280)에 끼움결합하도록 걸림턱(380)이 형성된 제2 고정부재(39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움직인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인 신발 어셈블리에 의하면 사용자의 니즈에 맞도록 신발의 전면부 및 후면부를 각각 취사 선택하여 조립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발의 구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서 경제적이기까지 하다.
둘째, 신발의 전면부 및 후면부가 기저부와 결합하는 부위에 실리콘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우천시 빗물이 신발 내부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신발 착화자의 보행에 유연성을 부여하도록 신발 전면부의 개구된 부위와 결합하는 후면부 부위에 주름관을 형성하여 보행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넷째, 신발의 전면부 및 후면부의 바닥부 외면에 말굽형 돌출부를 형성하고, 신발의 저면부 상면 외부에 말굽형 삽입부를 형성함으로써 신발조립의 체결력을 강화할 수 있다.
다섯째, 신발 조립의 편리성 및 체결성강화를 위하여 손가락으로 당기는 동작만으로 간단히 고정이 가능한 신발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신발은 계절에 따라 재질의 차이가 발생하며, 업무용패션 운동용패션 나들이패션 등의 상황에 따라 신발을 변경하여 착화할 필요성이 존재하는데,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이러한 상황변화에 유연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신발 어셈블리가 제공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어셈블리 및 제2 어셈블리에 실리콘부재(250)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도 2의 제1 어셈블리 및 제2 어셈블리가 제3 어셈블리에 안착된 모습이며, 도 3(b)는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실리콘 부재를 제거하고 설명한 설명도이다.
도 4(a)는 제1 어셈블리 및 제2 어셈블리의 바닥부 외면을 도시하고, 도 4(b)는 제3 어셈블리의 바닥부 외면을 도시하고, 도 4(c)는 본 발명을 발뒷꿈치 방향에서 바로 본 모습을 도시한다.
도 5는 제1 고정부재(290)와 제2 고정부재(390)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인 신발 어셈블리는 세 가지 구성요소인 제1 어셈블리, 제2 어셈블리 및 제3 어셈블리가 서로 분리되어 조립결합이 가능하다. 제1 어셈블리(100)는 신발 몸체의 전면부를 이루는 부분으로 일방은 개구가 되며, 바닥부와 덮개부로 이루어진다. 제2 어셈블리(200)는 상기 제1 어셈블리(100)의 개구된 면과 결합하며, 바닥부와 덮개부로 이루어지되 덮개부의 상부에는 발목삽입을 위한 개구가 형성되어 신발몸체의 후면부를 이룬다. 제3 어셈블리(300)는 신발의 기저부를 이루는 부분으로 상기 제1 어셈블리(100) 및 상기 제2 어셈블리(100)가 상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조립이 가능한 세 가지 분리구조로 인하여 제1 어셈블리(100) 및 제2 어셈블리(200)의 디자인을 다양하게 취사선택하여 조립결합이 가능하고, 용도별 계절별 취향별 목적별로 다양하게 신발모양을 변형하여 취사 선택하여 착화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어셈블리(100)의 색상은 붉은색상으로 선택하고, 제2 어셈블리(200)의 색상을 흰색으로 선택하여 조립하면 신발의 전면과 후면을 다양한 색상으로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디자인 및 재질이 다양한 어셈블리를 조합하여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하다.
주름관(220)은 상기 제2 어셈블리(200)에 형성되는데, 상기 제1 어셈블리(100)의 개구된 면과 결합하는 부위에 탄력적으로 연장되는 주름관(220)을 형성함으로써 착화자의 보행 유연성을 증대시키도록 한다.
실리콘부재(250)는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어셈블리(100)의 바닥부 및 상기 제2 어셈블리(200)의 바닥부에 형성되며, 상기 실리콘 부재(250)는 상기 제1 어셈블리(100) 및 상기 제2 어셈블리(200)의 바닥부면보다 아래까지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어셈블리(100) 및 상기 제2 어셈블리(200)가 상기 제3 어셈블리(300)의 상면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제3 어셈블리(300)의 일정 부위까지 덮어진다. 즉, 후술하는 제1 고정부재(290) 및 제2 고정부재(390) 위로 실리콘부재(250)가 덮어지게 된다. 실리콘부재(250)로 인하여 우천시에 빗물 등이 신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숫놈 말굽형 돌출부(270)는 도 3(b)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어셈블리(100)의 바닥부 외면 및 상기 제2 어셈블리(200)의 바닥부 외면에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제3 어셈블리(300)의 상면 외면에는 암놈 말굽형 삽입부(370)가 형성된다. 보행방향쪽으로 말굽형상으로 구조화함에 따라서 지면에로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보행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보행력을 강화한다. 또한, 암놈형과 숫놈형으로 돌출부(270)와 삽입부(370)를 구성함에 따라서 신발 어셈블리의 체결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제1 고정부재(29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어셈블리(100)의 바닥부 및 상기 제2 어셈블리(200)의 바닥부에 하방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 고정부재(290)에 홈(280)을 형성하여 후술하는 걸림턱(380)이 홈(280)에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한다.
제2 고정부재(390)는 홈(280)이 형성된 제1 고정부재(290)와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제3 어셈블리(300) 상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3 어셈블리(300)의 상면에는 상기 제1 고정부재(290)가 내삽되도록 빈 공간(P)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고정부재(290)의 홈(280)에 끼움결합하도록 제2 고정부재(390)에는 걸림턱(380)이 형성되어, 제2 고정부재(39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제1 어셈블리 200 : 제2 어셈블리
220 : 주름관 250 : 실리콘부재
270 : 숫놈 말굽형 돌출부 290 : 제1 고정부재
300 : 제3 어셈블리 370 : 암놈 말굽형 삽입부 380 : 걸림턱 390 : 제2 고정부재

Claims (5)

  1. 일방은 개구가 되며, 바닥부와 덮개부로 이루어져 신발몸체의 전면부를 이루는 제1 어셈블리(100);
    상기 제1 어셈블리(100)의 개구된 면과 결합하며, 바닥부와 덮개부로 이루어지되 덮개부의 상부에는 발목삽입을 위한 개구가 형성되어 신발몸체의 후면부를 이루는 제2 어셈블리(200); 및
    상기 제1 어셈블리(100) 및 상기 제2 어셈블리(200)가 상면에 결합되고, 신발의 기저부를 이루는 제3 어셈블리(3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어셈블리(200)의 상기 제1 어셈블리(100)의 개구된 면과 결합하는 부위에는 주름관(22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어셈블리(100)의 바닥부 및 상기 제2 어셈블리(200)의 바닥부에는 실리콘부재(250)가 형성되며, 상기 실리콘 부재(250)는 상기 제1 어셈블리(100) 및 상기 제2 어셈블리(200)의 바닥부면보다 아래까지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어셈블리(100) 및 상기 제2 어셈블리(200)가 상기 제3 어셈블리(300)의 상면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제3 어셈블리(300)의 일정 부위까지 덮어지며,
    상기 제1 어셈블리(100)의 바닥부 외면 및 상기 제2 어셈블리(200)의 바닥부 외면에는 숫놈 말굽형 돌출부(270)가 형성되며, 이와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제3 어셈블리(300)의 상면 외면에는 암놈 말굽형 삽입부(37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셈블리(100)의 바닥부 및 상기 제2 어셈블리(200)의 바닥부에는 홈(280)이 형성된 제1 고정부재(290)가 하방으로 형성되며, 이와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제3 어셈블리(300)에는 상기 제1 고정부재(290)가 내삽되도록 빈 공간(P)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고정부재(290)의 홈(280)에 끼움결합하도록 걸림턱(380)이 형성된 제2 고정부재(39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어셈블리.
KR1020150184396A 2015-12-22 2015-12-22 신발 어셈블리 KR101652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396A KR101652502B1 (ko) 2015-12-22 2015-12-22 신발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396A KR101652502B1 (ko) 2015-12-22 2015-12-22 신발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2502B1 true KR101652502B1 (ko) 2016-08-30

Family

ID=56886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4396A KR101652502B1 (ko) 2015-12-22 2015-12-22 신발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250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4513A (ja) * 1989-09-14 1991-05-01 Brother Ind Ltd タッピングマシン
JP3104513B2 (ja) * 1993-12-28 2000-10-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アキュムレータ
KR20020060966A (ko) * 1999-11-12 2002-07-19 해리 밀러 컴퍼니, 인크. 신축 가능한 신발 및 신발 조립체
KR200333499Y1 (ko) * 2003-08-27 2003-11-15 이준호 삼단 분리가 가능한 구두
KR200365262Y1 (ko) * 2004-07-29 2004-10-20 김성민 실외화 겸용 슬리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4513A (ja) * 1989-09-14 1991-05-01 Brother Ind Ltd タッピングマシン
JP3104513B2 (ja) * 1993-12-28 2000-10-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アキュムレータ
KR20020060966A (ko) * 1999-11-12 2002-07-19 해리 밀러 컴퍼니, 인크. 신축 가능한 신발 및 신발 조립체
KR200333499Y1 (ko) * 2003-08-27 2003-11-15 이준호 삼단 분리가 가능한 구두
KR200365262Y1 (ko) * 2004-07-29 2004-10-20 김성민 실외화 겸용 슬리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95251S1 (en) Shoe decoration
USD881543S1 (en) Sole for footwear
USD851375S1 (en) Shoe outsole
USD845596S1 (en) Shoe outsole
USD820569S1 (en) Shoe outsole
USD833722S1 (en) Shoe outsole
USD854298S1 (en) Shoe
USD804792S1 (en) Shoe outsole
USD844309S1 (en) Shoe outsole
USD847477S1 (en) Shoe outsole
USD821719S1 (en) Shoe outsole
USD850771S1 (en) Shoe sole
USD899759S1 (en) Shoe
USD841950S1 (en) Shoe midsole
USD819944S1 (en) Shoe outsole
USD846253S1 (en) Shoe outsole
USD801664S1 (en) Shoe upper
USD849378S1 (en) Shoe outsole
USD802269S1 (en) Shoe outsole
USD794298S1 (en) Shoe outsole
USD814160S1 (en) Shoe outsole
USD814159S1 (en) Shoe outsole
USD840143S1 (en) Shoe outsole
USD849383S1 (en) Shoe outsole
USD846248S1 (en) Shoe outso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