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2439B1 - Apparatus for casing thumbtack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asing thumbta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2439B1
KR101652439B1 KR1020140167655A KR20140167655A KR101652439B1 KR 101652439 B1 KR101652439 B1 KR 101652439B1 KR 1020140167655 A KR1020140167655 A KR 1020140167655A KR 20140167655 A KR20140167655 A KR 20140167655A KR 101652439 B1 KR101652439 B1 KR 101652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pin
head portion
tray
cas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6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63858A (en
Inventor
차일혁
Original Assignee
차일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일혁 filed Critical 차일혁
Priority to KR1020140167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2439B1/en
Publication of KR20160063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8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2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24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MBUREAU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3M15/00Drawing-pins, Thumb-t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Packaging For Recording Disk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압정 케이스 장치는, 헤드부와 헤드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고정핀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압정이 보관되는 공간이 구비되며, 저면에는 압정이 정렬되는 정렬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및 하우징의 일측에서, 정렬공간의 상면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정렬된 압정을 외부로 빼내는 트레이를 포함한다. 이로써, 종래와 같이 압정이 케이스 보관된 상태가 불규칙적이어서 사용자가 압정을 빼낼 때 고정핀에 찔리거나 하여 다쳤던 문제를 해결하여, 안정적으로 압정을 트레이로 빼낼 수 있게 된다. The pushpin ca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 space for storing a plurality of pushpins having a head portion and a fixing pin extending from the head portion and an alignment space in which a pushpin is aligned, And a tra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alignment space so as to be slidable on an upper surface of the alignment space, for pulling out the aligned pushpins to the outside. As a result, the pushpin is irregularly stored in the case as in the prior art, thereby solving the problem that the pushpin is stuck to the pin when the user pulls out the pushpin, so that the pushpin can be stably pulled out to the tray.

Description

압정 케이스 장치 {APPARATUS FOR CASING THUMBTACK}[0001] APPARATUS FOR CASING THUMBTACK [0003]

본 발명은 압정 케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압정에 찔리지 않고 안전하게 압정을 케이스에서 인출할 수 있게 한 압정 케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shpin cas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ushpin case device capable of safely pulling a pushpin from a case without being pinched by the pushpin.

통상적으로 압정(T)은 게시판이나 벽면 등에 메모지나 서류를 포함한 부착물을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헤드부(T1)와, 헤드부(T1)의 하부측 중앙부분에서 연장되게 형성되는 고정핀(T2)으로 구성된다. Typically tack (T) is as being used to secure the attachment containing the note or document or the like board or wall surface, the head portion is formed of a plate in the form of circle (T 1) and a head portion (T 1) the underside of the central And a fixing pin (T 2 ) formed to extend from the portion.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압정(T)은 고정핀(T2)에 의하여 다칠 수 있기 때문에, 압정 케이스(10)에 담아 사용하게 된다. Since the pushpin 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an be hurt by the fixing pin T 2 , it is used in the pushpin case 10.

그러나, 압정 케이스(10)에 다수의 압정(T)이 담겨 있는 경우 서로 다른 상태로 담겨져 있게 되어 사용자가 압정(T)을 압정 케이스(10)로부터 인출할 때 고정핀(T2)에 찔려 다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경우도 많다.
However, the tack case 10 is impaled on the plurality of studs fixed pin (T 2) time when (T) is contained is able to each other contained in the other state the user to withdraw the studs (T) from the tack case 10 hurt There are many cases that occur frequentl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압정 케이스에서 안정적으로 압정을 빼낼 수 있는 압정 케이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ushpin case device capable of stably removing a pushpin from a pushpin cas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압정 케이스 장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고정핀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압정이 보관되는 공간이 구비되며, 저면에는 압정이 정렬되는 정렬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상기 정렬공간의 상면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정렬된 압정을 외부로 빼내는 트레이;를 포함한다. The pushpin ca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pace for storing a plurality of pushpins having a head portion and a fixed pin extending from the head portion and an alignment space in which a pushpin is aligned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housing; And a tray slidably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alignment space at one side of the housing, for extracting the aligned pushpins to the outside.

이로써, 종래와 같이 압정이 케이스 보관된 상태가 불규칙적이어서 사용자가 압정을 빼낼 때 고정핀에 찔리거나 하여 다쳤던 문제를 해결하여, 안정적으로 압정을 트레이로 빼낼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the pushpin is irregularly stored in the case as in the prior art, thereby solving the problem that the pushpin is stuck to the pin when the user pulls out the pushpin, so that the pushpin can be stably pulled out to the tray.

또한, 상기 정렬공간의 저면에는 상기 헤드부가 자력에 의하여 정렬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마그네틱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렬공간은, 상기 헤드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magnet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lignment space so that the head portion can maintain the alignment posture by the magnetic force. Preferably, the alignment space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head portion.

이로써, 케이스를 흔들어서 압정을 정렬공간에서 정렬되게 할 때 면적이 넓은 압정의 헤드부가 자력에 의하여 정렬공간의 저면에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좀 더 균일하면서 많은 압정이 자세정렬되어 위치될 수 있게 된다.
Thus, when the case is shaken to align the pushpins in the alignment space, the head portions of the pushpins having a large area are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lignment space by the magnetic force, so that more uniform and more pushpins can be positioned and positioned.

또한, 상기 트레이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로부터 상기 고정핀이 사이에 위치되게 이격되어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tray further includes a grip portion gripped by a user and a pair of support portions extending from the grip portion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fixing pin positioned therebetween.

이로써, 마그네틱의 자력에 의하여 헤드부가 정렬공간의 저면에 부착된 자세로 자세정렬된 상태에서 트레이가 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슬라이딩이동되면 고정핀이 한 쌍의 지지부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케이스를 뒤집으면 헤드부가 지지부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트레이가 슬라이딩 인출되면 압정도 안정적인 자세로 인출되게 된다.
Thus, when the tray is slid from one side of the housing in a state where the head is aligned in the attitude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lignment space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when the case is reversed while the fixing pin is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supports, When the tray is slidably pulled out while being held by the additional supporting portion, the tack is also drawn out in a stable posture.

또한, 상기 트레이는, 그 저면에 상기 압정의 헤드부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head portion of the pushpin is seated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이로써, 헤드부가 트레이의 안착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트레이가 슬라이딩이동되면 마그네틱의 자력을 극복하여 압정도 정렬공간의 저면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최종적으로 분리되어 트레이에 지지된 채 빼낼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when the tray is slidably moved in a state in which the head portion is seated on the seat portion of the tra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is overcome so that the tack is slidingly mov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lignment space, finally separated and supported on the tray.

종래와 같이 압정이 케이스 보관된 상태가 불규칙적이어서 사용자가 압정을 빼낼 때 고정핀에 찔리거나 하여 다쳤던 문제를 해결하여, 안정적으로 압정을 트레이로 빼낼 수 있게 된다.
The pushpin is irregularly stored in the case as in the prior art, thereby solving the problem that the pushpin is stuck to the fixing pin when the user pulls the pushpin, so that the pushpin can be stably pulled out to the tray.

또한, 케이스를 흔들어서 압정을 정렬공간에서 정렬되게 할 때 면적이 넓은 압정의 헤드부가 자력에 의하여 정렬공간의 저면에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좀 더 균일하면서 많은 압정이 자세정렬되어 위치될 수 있게 된다.
Also, when the case is shaken to align the pushpins in the alignment space, the head portions of the pushpins having a large area are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alignment space by the magnetic force, so that more uniform and more pushpins can be positioned and positioned.

또한, 마그네틱의 자력에 의하여 헤드부가 정렬공간의 저면에 부착된 자세로 자세정렬된 상태에서 트레이가 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슬라이딩이동되면 고정핀이 한 쌍의 지지부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케이스를 뒤집으면 헤드부가 지지부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트레이가 슬라이딩 인출되면 압정도 안정적인 자세로 인출되게 된다.
When the tray is slid from one side of the housing in a state in which the head is aligned in a posture in which the head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lignment space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when the case is reversed while the pin is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supports, When the tray is slidably pulled out while being held by the additional supporting portion, the tack is also drawn out in a stable posture.

또한, 헤드부가 트레이의 안착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트레이가 슬라이딩이동되면 마그네틱의 자력을 극복하여 압정도 정렬공간의 저면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최종적으로 분리되어 트레이에 지지된 채 빼낼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tray is slid while the head is seated on the tra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ic head is overcome so that the tack is sli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lignment space and finally separated and supported on the tray.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압정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압정 케이스 장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압정 케이스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압정 케이스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ushpin cas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ushpin cas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ush pin case device shown in FIG. 2,
4 to 9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ush pin case device shown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압정 케이스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2 is a view showing a pushpin cas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압정 케이스 장치(100)는, 케이스(110) 및 트레이(1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a tack casing device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110 and a tray 130.

케이스(110)는 압정()이 보관되는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113) 및 하우징(113)의 보관공간으로 선택적으로 압정(T)을 보충할 때 보관공간이 개방되도록 하는 커버(111)를 포함한다. The case 110 includes a housing 113 having a space for storing the pushpin and a cover 111 for opening the storage space when the pushpin T is selectively replenished into the storage space of the housing 113 do.

하우징(113)은, 복수개의 압정(T)이 보관되는 공간을 구비하며, 저면에는 압정(T)이 정렬되는 정렬공간(113a)이 형성된다. The housing 113 has a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pushpins T are stored and an alignment space 113a in which the pushpins T are aligned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압정(T)은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 플레이트의 헤드부(T1)와, 헤드부(T1)의 저면 중앙부에서 연장형성되는 고정핀(T2)이 구비된다. The pushpin T is provided with a head portion T 1 of a circular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a fixing pin T 2 extending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d portion T 1 .

정렬공간(113a)에서 압정(T)이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면서 자세정렬이 되어 후술하는 트레이(130)에 의하여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면서 인출될 수 있다. The tack T can be pulled out while maintaining a stable posture by the tray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ile being aligned in the alignment space 113a.

따라서, 케이스 장치(100)를 흔들어 정렬공간(113a)으로 이동되어 정렬되는 압정을 보다 더 많이 확보할 수 있도록, 정렬공간(113a)의 저면에는 헤드부(T1)를 자력에 의하여 끌어당겨 부착될 수 있도록 마그네틱(15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the head portion T 1 is pulled by the magnetic forc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lignment space 113a so as to secure more tack to be aligned and moved to the alignment space 113a by shaking the casing device 100 It is preferable that the magnet 150 is installed.

이러한 마그네틱(150)에 의하여, 면적이 넓은 헤드부(T1)가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은 고정핀(T2)보다 더 마그네틱(150)에 의하여 끌어당겨지게 되어, 헤드부(T1)가 정렬공간(113a)의 저면에 부착되어 일정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With this magnetic (150), is be an area of a wide head portion (T 1) the area is pulled further pulled by the magnet 150 than the relatively small locking pins (T 2), the head portion aligned (T 1) And can be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pace 113a to maintain a constant posture.

이때, 마그네틱(150)의 자성은 외부 충격에 의하여 압정(T)이 이탈될 수 있을 정도의 자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magnetism of the magnet 150 has a magnetic property such that the tack T can be separated by an external impact.

즉, 케이스 장치(100)를 흔들면 보관공간에 보관되고 있는 압정(T)이 정렬공간(113a)으로 빠지게 되고, 이때 마그네틱(150)의 자력에 의하여 헤드부(T1)가 끌어당겨지게 되면서 헤드부(T1)가 정렬공간(113a)의 저면에 부착되면서 자세정렬이 된다. That is, when the case unit 100 is shaken, the pushpin T stored in the storage space falls into the alignment space 113a. At this time, the head portion T 1 is pull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150, The portion T 1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lignment space 113a, and the posture is aligned.

이때, 정렬공간(113a)의 폭은 압정(T)이 케이스 장치(100)가 흔들려질때 쉽게 빠질 수 있도록 헤드부(T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of the alignment space 113a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head portion T 1 so that the push pin T can be easily released when the casing device 100 is shaken.

트레이(130)는 상기와 같이 정렬공간(113a)에서 자세 정렬된 압정(T)을 케이스(110) 밖으로 안정적으로 빼내는 것으로서, 압정(T)이 정렬된 정렬공간(113a)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정렬된 압정을 지지하면서 빼내게 된다. The tray 130 stably removes the pushpins T aligned in the alignment space 113a from the case 110 as described above and is arranged to slide in the alignment space 113a in which the pushpins T are aligned The pushpin is supported and pulled out.

이러한 트레이(130)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131) 및 상기 파지부(131)로부터 압정(T)의 고정핀(T2)이 사이에 위치되게 이격되어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부(133)를 포함한다. The tray 130 includes a grip portion 131 held by a user and a pair of support portions 131 extending from the grip portion 131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fixing pin T 2 of the push pin T 133).

이러한 구조로, 트레이(130)가 슬라이딩 이동되면 압정의 고정핀(T2)은 한 쌍의 지지부(133) 사이를 통과하게 되고, 헤드부(T1)는 반대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케이스(110)를 반대로 돌리면 압정(T)의 하중에 의하여 헤드부(T1)가 한 쌍의 지지부(133)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태가 되어, 트레이(130)가 압정(T)을 케이스(110) 밖으로 빼낼 수 있게 된다. With this structure, when the tray 130 is slidably moved, the fixing pin T 2 of the push pin passes between the pair of support portions 133, and in a state where the head portion T 1 is positioned on the opposite surface, The head portion T 1 is supported by the pair of support portions 133 by the load of the pushpin T so that the tray 130 can push the pushpin T into the case 110. [ You will be able to pull it out.

이와 같이 마그네틱(150)이 정렬공간(113a)에 마련되면, 케이스(110)를 반대로 돌린 후 케이스(110)에 충격을 가하면 압정(T)이 그 충격에 의하여 자성결합이 해제되면서 하중에 의하여 헤드부(T1)가 한 쌍의 지지부(133)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태가 되어 트레이(130)가 압정(T)을 케이스(110) 밖으로 빼낼 수 있게 된다. When the magnet 150 is provided in the alignment space 113a and the case 110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 case 110 is impacted, the tack T is released from magnetic coupling due to the impact, The tray T 1 is supported by the pair of supports 133 and the tray 130 can pull the pushpin T out of the case 110.

트레이(130)에 의하여 압정(T)을 안정적으로 외부로 빼내는 작동을 자세하게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130)를 외부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빼낸 상태에서 케이스(110)를 흔들어서 정렬공간(113a)으로 압정(T)이 빠지면서 헤드부(T1)가 마그네틱(150)에 의하여 부착된 자세로 자세정렬된 상태가 된다. 4, when the tray 130 is slid to the outside and the tray 110 is pulled out, the case 110 is shaken to move the tray 130 in the alignment space The head portion T 1 is in a posture-aligned state in a state in which the head portion T 1 is attached by the magnet 150.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130)를 하우징(113)의 일측에서 하우징(113)의 보관공간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정(T)의 고정핀(T2)이 한 쌍의 지지부(133) 사이에 위치되게 한 상태를 유지한다. 5, the tray 130 is slid from one side of the housing 113 to the storage space of the housing 113, so that the fixing pin T 2 of the push pin T ) Is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support portions 133. [0064]

이후, 이러한 상태를 유지한 채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를 뒤집게 되면, 헤드부(T1)가 지지부(113)에 지지된 상태가 되게 한다. 7 and 8, when the case 110 is retracted, the head portion T 1 is held by the supporting portion 113. [0052] As shown in FIGS.

이러한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130)를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빼내면 안정적으로 압정(T)을 빼낼 수 있게 된다.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9, when the tray 130 is slid outwardly and removed, the pushpins T can be pulled out stably.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트레이(130) 지지부(133)의 저면에 압정(T)의 헤드부(T1)가 안착되는 안착부(135)가 형성된다. 즉, 헤드부(T1)가 지지부(133)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안착부(135)에 헤드부(T1)가 안착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압정(T)을 빼낼 수 있게 된다.
The seating part 135 on which the head part T 1 of the push pin T is seated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art 133 of the tray 130. In this case, In other words, so that the head portion (T 1) is the head portion (T 1) mounted in a supported state by the support portion 133 on the receiving portions 135 can remove a more stable tack (T).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압정(T)이 일정한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트레이(130)를 따라 압정을 빼낼 수 있어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게 다치게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With this configuration, the pushpin T can be stably pulled along the tray 130 while the pushpin T maintains a constant posture, thereby solving the problem that the user is unintentionally injured.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바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만 한다. 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n all respect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 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압정 케이스 100 : 압정 케이스 장치
110 : 케이스 111 : 커버
113 : 하우징 130 : 트레이
131 : 파지부 133 : 지지부
T : 압정 T1 : 헤드부
T2 : 고정핀
10: Pushpin case 100: Pushpin case unit
110: Case 111: Cover
113: housing 130: tray
131: grip portion 133:
T: Tack T 1 : Head portion
T 2 : Fixing pin

Claims (5)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고정핀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압정이 보관되는 공간이 구비되며, 저면에는 압정이 정렬되는 정렬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일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상기 정렬공간의 상면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정렬된 압정을 외부로 빼내는 트레이;를 포함하는 압정 케이스 장치.
A housing having a head portion and a fixing pin extending from the head portion and having a space for storing a plurality of tacking pads, an alignment space in which a tack is aligned, and a cove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one side of the housing, An enclosing case;
And a tray slidably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alignment space at one side of the housing to extract the aligned pushpins to the out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공간의 저면에는 상기 헤드부가 자력에 의하여 정렬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마그네틱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정 케이스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gnet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lignment space so that the head portion can maintain the alignment posture by the magnetic for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공간은,
상기 헤드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정 케이스 장치.
3. The apparatus of claim 2,
And the diameter of the head portion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head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로부터 상기 고정핀이 사이에 위치되게 이격되어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정 케이스 장치.
3. The apparatus of claim 2,
And a pair of support portions extended from the grip portion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fixing pin interposed therebetwee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그 저면에 상기 압정의 헤드부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정 케이스 장치.
5. The apparatus of claim 4,
And a seat portion on which a head portion of the pushpin is seated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thereof.
KR1020140167655A 2014-11-27 2014-11-27 Apparatus for casing thumbtack KR1016524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655A KR101652439B1 (en) 2014-11-27 2014-11-27 Apparatus for casing thumbt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655A KR101652439B1 (en) 2014-11-27 2014-11-27 Apparatus for casing thumbta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858A KR20160063858A (en) 2016-06-07
KR101652439B1 true KR101652439B1 (en) 2016-09-02

Family

ID=56192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655A KR101652439B1 (en) 2014-11-27 2014-11-27 Apparatus for casing thumbta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2439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5099U (en) * 1982-02-19 1983-08-25 栗秋 研一 Thumbtack storage case
JPH0258997U (en) * 1988-10-19 1990-04-27
JPH0467098U (en) * 1990-10-17 1992-06-15
JPH1016493A (en) * 1996-06-28 1998-01-20 Aisin Kiko Kk Case for pushp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858A (en) 201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56620B2 (en) magnet
KR102177757B1 (en) Detachable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ion apparatus usable with the same
US20100208423A1 (e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ejecting an external device
US10074403B2 (en) Tool-less storage device adaptor tray with slider mechanism
US20160037913A1 (en) Versatile racks and related assemblies and methods
US8637780B2 (en) Portal and method for storing cables for electronic devices
CN103790449A (en) Latch assembly
KR101652439B1 (en) Apparatus for casing thumbtack
CN103790450A (en) Movable latch
JP2016537848A (en) Holding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in automobiles
KR101300759B1 (en) Tool box individual with drawer locking device
KR101165952B1 (en) Connecting device for upper plates of table.
CN107529332A (en) Component suction nozzle for part placement equipment
KR200452746Y1 (en) Bookcase to take out a book conveniently
JP6955191B2 (en) Tray fixing mechanism and optical distribution frame
CN205485811U (en) Dismantle hard disk device fast
CN215129342U (en) Operation seam needle safety box
JP2010249765A (en) Preparation storage case
KR101895070B1 (en) A portable magnet separator
US20120181491A1 (en) E-Zee Push
KR20070058805A (en) Seat double folding restricting device of vehicle
JP5919581B1 (en) Fixing device
KR20160002123A (en) Roll paper holder
TW201723727A (en) Sever system and constraint mechanism thereof
KR930022169A (en) HDD detachable structure and method of portable compu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