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1060B1 - Smart liquid medicine stand - Google Patents

Smart liquid medicine sta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1060B1
KR101651060B1 KR1020140077029A KR20140077029A KR101651060B1 KR 101651060 B1 KR101651060 B1 KR 101651060B1 KR 1020140077029 A KR1020140077029 A KR 1020140077029A KR 20140077029 A KR20140077029 A KR 20140077029A KR 101651060 B1 KR101651060 B1 KR 101651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body
sensor unit
distance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70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00117A (en
Inventor
조성현
박세호
김원회
현지음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40077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060B1/en
Publication of KR20160000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1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0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6Holders for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2/00Accommodation for nursing, e.g. in hospitals, not covered by groups A61G1/00 - A61G11/00, e.g. trolleys for transport of medicaments or food; Prescription li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61M5/1415Stands, brackets or the like for supporting infusion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3/00Manipulators of master-slave type, i.e. both controlling unit and controlled unit perform corresponding spatial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3/00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 G01S3/80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7Mountings or tracking

Abstract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 약액걸이는 약품을 대상체로 공급하기 위하여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약품을 걸 수 있는 장착부가 구비된 상단을 갖는 걸이 몸체, 걸이 몸체의 하단에 구비되어 걸이 몸체를 움직일 수 있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 걸이 몸체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위치하고 걸이 몸체의 외측면 상에 구비되어 대상체의 위치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센서부 및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어 센서부가 감지한 대상체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손이 불편하거나 힘이 부족한 사용자도 쉽게 스마트 약액걸이와 함께 이동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이동 편의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the smart medicament receptacle includes a hook body having an upper end extending in one direction to supply a medicament to a target and having a mounting portion for hanging a medicament, a hook body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hook body, A sensor unit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ook body and positioned between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of the hook body to detect a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object and a sensor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and the driv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riving unit. Users who are uncomfortable with their hands or lack of strength can easily move with the smart medicinal solution hanger, thereby greatly increasing the mobility of the user.

Description

스마트 약액걸이{SMART LIQUID MEDICINE STAND}SMART LIQUID MEDICINE STAND

본 발명은 약액걸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emical solution hanger.

기존의 링거걸이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링거걸이를 직접 손으로 밀거나 잡아 당기면서 이동을 해야 한다. 특히, 손이 불편하거나 힘이 약한 사용자의 경우 상기 사용자는 상기 링거걸이를 밀거나 잡아 당기기가 어렵기 때문에 반드시 보호자를 동반하여야 상기 사용자가 이동할 수 있다.In the conventional ringer hanger, the user must move the ringer hanger by manually pushing or pulling the ringer hanger.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user having a hand inconvenient or weak in strength, the user can not move or push the langer hook.

따라서, 링거걸이는 몸이 불편한 사용자가 약품을 계속 공급받으면서 동시에 쉽게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사용자의 이동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링거걸이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Therefore, the Ringer hanger should be able to easily move at the same time while the uncomfortable user keeps supplying the medicine.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a ringer hook that can increase the mobility of the user.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이동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약액걸이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dicine holder which can provide mobility.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스마트 약액걸이는 약품을 대상체로 공급하기 위하여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약품을 걸 수 있는 장착부가 구비된 상단을 갖는 걸이 몸체, 상기 걸이 몸체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걸이 몸체를 움직일 수 있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 상기 걸이 몸체의 상기 상단과 상기 하단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걸이 몸체의 외측면 상에 구비되어 상기 대상체의 위치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 및 상기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상기 대상체의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mentione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mart medicament holder comprising: a hook body having an upper end extending in one direction to supply a medicine to a target and having a mounting portion for hanging the medicine; A sensor unit disposed between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hanger body and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anger body to sens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hanger body, And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and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based on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object sensed by the sensor unit.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의 위치정보는 상기 걸이 몸체로부터의 상기 대상체의 방향정보 및 상기 걸이 몸체로부터의 상기 대상체의 거리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방향정보를 감지하는 방향 센서부, 및 상기 거리정보를 감지하는 거리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object may include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from the hook body and distance information of the object from the hook body.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 direction sensor unit for sensing the direction information, and a distance sensor unit for sensing the distance information.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방향 센서부는 상기 걸이 몸체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방향 센서 몸체, 상기 약품과 상기 대상체를 연결하여 상기 약품을 상기 대상체로 공급하기 위한 연결호스가 관통할 수 있는 감지홀, 및 상기 감지홀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호스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감지모듈은 상기 연결호스의 상기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대상체의 상기 방향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s, the direction sensor unit may include a direction sensor body install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hook body, a connection hose for connecting the medicine and the object to supply the medicine to the object, And a position sensing module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ensing hole for sensing a position of the connection hose. The position sensing module senses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hose and can sense the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은 제1 내측면 및 상기 제1 내측면을 마주보는 제2 내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감지모듈은 상기 제1 내측면에 구비되고 광을 생성할 수 있는 광원, 및 상기 제2 내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광을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inner surface may include a first inner surface and a second inner surface facing the first inner surface. The position sensing module may include a light source provided on the first inner surface and capable of generating light, and a receiver provided on the second inner surface and capable of receiving the light.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서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개의 레이저원들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레이저원들에 각각 대응하고 서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개의 CdS 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light source comprises a plurality of laser sour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receiv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CdS cells each corresponding to the laser sources and spaced from one another.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거리 센서부는 상기 걸이 몸체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거리 센서 몸체, 및 상기 거리 센서 몸체의 제1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대상체의 상기 거리정보를 감지하는 거리감지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s, the distance sensor unit may include a distance sensor body mounted on the hook body so as to be adjustable in height, and a distance sensor body provided on a first outer surface of the distance sensor body, Sensing module.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거리감지모듈은 초음파를 발생하여 상기 초음파를 상기 대상체로 입사시킬 수 있는 초음파원, 및 상기 초음파원에 인접하여 상기 초음파가 상기 대상체로부터 반사하여 생성되는 반사파를 감지하는 반사파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s, the distance sensing module may include an ultrasonic source that generates an ultrasonic wave to cause the ultrasonic wave to enter the object, and a sensing unit that senses a reflected wave generated by reflection of the ultrasonic wave from the object, And a reflected wave receiver for receiving the reflected wave.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거리 센서부는 상기 거리 센서 몸체의 제2 외측면에 구비된 움직임 표시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걸이 몸체가 좌회전, 우회전, 정지, 및 직진의 움직임으로 각각 움직이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움직임에 따른 표시내용을 상기 움직임 표시모듈이 각각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distance sensor unit may further include a motion display module provided on a second outer surface of the distance sensor body.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to move the hook body in a leftward, rightward, stop, and straight motion, respectively, and control the display unit to display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표시모듈은 상기 표시내용을 표시하기 위해 서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개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motion display module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D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display the display content.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방향 센서부는 상기 거리 센서부보다 상기 걸이 몸체를 따라 더 높게 위치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direction sensor portion may be positioned higher along the hook body than the distance sensor portion.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걸이 몸체와 상기 대상체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to maintain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hook body and the target body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MCU(micro controller unit)를 포함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micro controller unit (MCU).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전기에너지를 발생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상기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battery that generates electric energy, and a motor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and receives the electric energy to generate the driving force.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배터리, 상기 모터 및 상기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하여,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상기 전기에너지를 상기 모터 및 상기 제어부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전기에너지를 모터 전기에너지 및 제어부 전기에너지로 각각 변환하는 모터드라이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s, the driving unit electrically connects the battery, the motor, and the control unit, respectively, and supplies the electric energy to the motor and the control unit in order to supply the electric energy from the battery to the motor and the control unit. And a control unit electrical energy, respectively.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드라이브를 통하여 상기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motor through the motor drive.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 약액걸이는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하여 스스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약액걸이는 상기 사용자와 항상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사용자가 끌고 다닐 필요가 없다.The smart medicament rack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can move on its own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Since the smart drug solution can always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user, the smart drug solution need not be dragged by the user.

따라서, 손이 불편하거나 힘이 부족한 사용자도 쉽게 상기 스마트 약액걸이와 함께 이동할 수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이동 편의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Therefore, a user who is uncomfortable with his or her hand or lacks strength can easily move with the smart medicament holder, thereby greatly increasing the mobility of the user.

또한, 방향 센서부 및 거리 센서부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위치정보를 매우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상기 스마트 약액걸이의 제어부는 상기 위치정보를 기초로 하여 구동부가 신속하게 구동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 약액걸이는 움직임의 신속성 및 정확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Further,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user can be grasped very accurately by using the direction sensor unit and the distance sensor unit, and the control unit of the smart medicine solution hanger can control the driving unit to be quickly driven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 Thus, the smart drug solution can significantly increase the speed and accuracy of movement.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may be variously expand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 약액걸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약액걸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방향 센서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거리 센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거리 센서부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도 4의 거리 센서부의 움직임 표시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스마트 약액걸이의 전기 신호 및 에너지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mart medicament hanger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mart medicament hanger of Fig. 1;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direction sensor unit of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tance sensor unit of FIG.
5 and 6 are sectional views showing the distance sensor unit of FIG.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motion display module of the distance sensor unit of FIG. 4;
8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electric signal and an energy flow of the smart medicament hanger of FIG.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For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isclosed herein, specific structural and functional descriptions are set forth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only,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in various forms,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Fi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having",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s a matter of principl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consistent with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in meaning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omitted.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 약액걸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약액걸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방향 센서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거리 센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거리 센서부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도 4의 거리 센서부의 움직임 표시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스마트 약액걸이의 전기 신호 및 에너지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mart medicament hanger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mart medicament hanger of Fig. 1;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direction sensor unit of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tance sensor unit of FIG. 5 and 6 are sectional views showing the distance sensor unit of FIG.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motion display module of the distance sensor unit of FIG. 4; 8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electric signal and an energy flow of the smart medicament hanger of FIG.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스마트 약액걸이는 약품(20)을 대상체(10)로 공급하기 위하여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걸이 몸체(100), 걸이 몸체(100)를 움직일 수 있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200), 걸이 몸체(100)의 외측면 상에 구비되어 대상체(10)의 위치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상기 위치정보를 기초로 하여 구동부(200)를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대상체(10)의 상기 위치정보는 걸이 몸체(100)로부터의 대상체(10)의 방향정보 및 걸이 몸체(100)로부터의 대상체(10)의 거리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방향정보를 감지하는 방향 센서부(300), 및 상기 거리정보를 감지하는 거리 센서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8, the smart medicament solution hanger includes a hanger body 100 extending in one direction to supply the medicament 20 to the object 10, a driving part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hanger body 100, A sensor unit 200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ok body 100 to sens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object 10 and a controller 200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200 based on the positional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unit, (500).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object 10 may include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10 from the hook body 100 and distance information of the object 10 from the hook body 100. In addition,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n orientation sensor unit 300 for sensing the direction information, and a distance sensor unit 400 for sensing the distance information.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걸이 몸체(100)는 연결호스(30)를 통하여 약품(20)을 대상체(10)로 공급하기 위하여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약품(20)을 걸 수 있는 장착부(110)가 구비된 상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걸이 몸체(100)는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장착부(110)는 약품(20)을 걸 수 있는 걸쇠일 수 있다. 걸이 몸체(100)는 상기 상단과 걸이 몸체(100)의 하단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일방향으로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hanger body 100 extends in one direction to supply the medicament 20 to the subject 10 through the connecting hose 30 and includes a mounting portion 110 Or the like. For example, the hook body 100 may have a cylindrical bar shape extending in one direction. In addition, the mounting portion 110 may be a latch capable of hanging the medicine 20. The hook body 100 may further include a length adjuster (not shown)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hook body 100 to adjust the length in the one direction.

구동부(200)는 걸이 몸체(100)의 상기 하단에 구비되어, 걸이 몸체(100)를 움직일 수 있는 구동력을 발생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200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hook body 100 to generate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hook body 100.

구동부(200)는 전기에너지를 발생하는 배터리(220), 배터리(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상기 구동력을 발생하여 휠(210)에 전달하는 모터(240)를 포함할 수 있다. 휠(210)은 상기 구동력을 지면에 전달하여 걸이 몸체(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휠(210)은 좌측 휠 및 우측 휠을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200 may include a battery 220 that generates electric energy and a motor 240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220 to generate the driving force to supply the electric energy to the wheel 210 have. The wheel 210 may transmit the driving force to the ground to move the hook body 100. For example, the wheel 210 may include a left wheel and a right wheel.

배터리(220)는 상기 전기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축전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220)는 직류 형태의 전기에너지를 발생하여 모터(240)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220)는 후술하는 방향 센서부(300), 거리 센서부(400), 및 제어부(500)에 상기 전기에너지를 공급하여 방향 센서부(300), 거리 센서부(400) 및 제어부(500)를 작동시킬 수 있다.The battery 220 may include a capacitor capable of storing the electrical energy. For example, the battery 220 may generate electric energy in the form of a direct current and supply it to the motor 240. The battery 220 also supplies the electric energy to the direction sensor unit 300, the distance sensor unit 400 and the control unit 50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direction sensor unit 300, the distance sensor unit 400, (500).

모터(240)는 배터리(220)가 발생한 상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상기 구동력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240)는 직류 모터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모터(240)는 무선으로 상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구동부(200)는 배터리(220) 대신 무선 에너지 수신모듈(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고, 모터(240)는 상기 무선 에너지 수신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상기 구동력을 발생할 수 있다.The motor 240 may generate the driving force by receiving the electric energy generated by the battery 220. For example, the motor 240 may be a DC motor. Alternatively, the motor 240 may receive the electric energy wirelessly. In this case, the driving unit 200 may include a wireless energy receiving module (not shown) instead of the battery 220, and the motor 240 may receive the driving energy by receiving electric energy received from the wireless energy receiving module Lt; / RTI >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구동부(200)는 배터리(220), 모터(240), 및 제어부(500)를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하여 배터리(220)로부터의 상기 전기에너지를 모터(240) 및 제어부(500)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전기에너지를 모터 전기에너지 및 제어부 전기에너지로 각각 변환하는 모터드라이브(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s, the driving unit 200 electrically connects the battery 220, the motor 240, and the control unit 500 to electrically connect the electric energy from the battery 220 to the motor 240 and the control unit 500, And a motor drive 230 for converting the electric energy into motor electric energy and control electric energy to supply the electric energy to the electric motor 500, respectively.

모터드라이브(230)는 배터리(220)가 발생하는 전기에너지를 모터(240)에 공급하기에 적합한 전기에너지인 상기 모터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드라이브(230)는 상기 전기에너지를 모터(240)를 구동시키기에 적합한 전류 및 전압을 가진 상기 모터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모터(240)에 공급할 수 있다.The motor drive 230 may convert the electrical energy generated by the battery 220 into the motor electrical energy that is suitable for supplying the motor 240 with electric energy. For example, the motor drive 230 may convert the electrical energy into motor electrical energy having a current and voltage suitable for driving the motor 240 and supply the motor electrical energy to the motor 240.

또한, 모터드라이브(230)는 배터리(220)가 발생하는 전기에너지를 제어부(500)에 공급하기에 적합한 전기에너지인 상기 제어부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드라이브(230)는 상기 전기에너지를 제어부(500)에 포함된 칩들을 구동하기에 적합한 전기에너지인 상기 제어부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제어부(500)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터드라이브(230)를 통하여 모터(240)를 제어할 수 있다.The motor drive 230 may convert the electrical energy generated by the battery 220 into the control electrical energy that is suitable for supplying the control unit 500 with the electrical energy. For example, the motor drive 230 may convert the electric energy into the control unit electrical energy, which is an electrical energy suitable for driving the chips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500, and supply the electrical energy to the control unit 500. Also, the controller 500 may control the motor 240 through an electrically connected motor drive 230.

방향 센서부(300)는 걸이 몸체(100)의 상기 상단과 상기 하단 사이에 위치하고, 걸이 몸체(100)의 상기 외측면 상에 구비되어 대상체(10)의 방향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The direction sensor unit 300 is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hook body 100 and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ok body 100 to sense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10. [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 센서부(300)는 걸이 몸체(100)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방향 센서 몸체(305), 약품(20)과 대상체(10)를 연결하여 약품(20)을 대상체(10)로 공급하기 위한 연결호스(30)가 관통할 수 있는 감지홀(350), 및 감지홀(350)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연결호스(30)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감지모듈은 연결호스(30)의 상기 위치를 감지하여 대상체(10)의 상기 방향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3, the direction sensor unit 300 includes a direction sensor body 305 install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hanger body 100, a medicine sensor 20 connected to the object 10, A detection hole 350 through which the connection hose 30 for supplying the connection hose 30 to the object 10 can be inserted and a position detection unit 350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etection hole 350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hose 30 Modules. The position sensing module senses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hose 30 and senses the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10.

방향 센서 몸체(305)는 걸이 몸체(100)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 센서 몸체(305)는 걸이 몸체(100)가 관통할 수 있고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된 관통홀(310)을 가질 수 있다. 방향 센서 몸체(305)는 관통홀(310)을 통하여 삽입되는 걸이 몸체(100)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방향 센서 몸체(305)는 걸이 몸체(100)에 방향 센서부(30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향 센서 몸체(305)는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direction sensor body 305 may be install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hook body 100. For example, the direction sensor body 305 may have a through hole 310 extending through the hook body 100 and extending in one direction. The direction sensor body 305 can move up and down along the hook body 100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310. In addition, the direction sensor body 305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ortion (not shown) for fixing the direction sensor portion 300 to the hook body 100. The direction sensor body 305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one direction.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은 제1 내측면(312) 및 제1 내측면(312)을 마주보는 제2 내측면(31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내측면(314)은 제1 내측면(312)보다 관통홀(310)에 더 인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감지모듈은 제1 내측면(312)에 구비되고 광(L1, L2)을 생성할 수 있는 광원(320, 322), 및 제2 내측면(314)에 구비되고 광(L1, L2)을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330, 332)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s, the inner surface may include a first inner surface 312 and a second inner surface 314 facing the first inner surface 312. For example, the second inner side 314 may be closer to the through hole 310 than the first inner side 312. The position sensing module includes light sources 320 and 322 provided on the first inner surface 312 and capable of generating light L1 and L2 and light beams L1 and L2 provided on the second inner surface 314, Lt; RTI ID = 0.0 > L2, < / RTI >

감지홀(350)은 약품(20)과 대상체(10)를 연결하여 약품(20)을 대상체(10)로 공급하기 위한 연결호스(30)가 관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홀(350)은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detection hole 350 may penetrate the connection hose 30 for connecting the medicine 20 and the object 10 to supply the medicine 20 to the object 10. For example, the detection hole 350 may extend in one direction.

광원(320, 322)은 제1 내측면(312)에 구비되고 광(L1, L2)을 생성할 수 있다. 광원(320, 322)은 반경방향으로 진행하는 평행광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320, 322)은 서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개의 레이저원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light sources 320 and 322 are provided on the first inner side 312 and can generate light L1 and L2. The light sources 320 and 322 may generate parallel light traveling in the radial direction. For example, the light sources 320 and 322 may include a plurality of laser sour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수신기(330, 332)는 제2 내측면(314)에 구비되고 광원(320, 322)에서 발생되는 광(L1, L2)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기(330, 332)는 상기 레이저원들에 각각 대응하고 서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개의 CdS 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CdS 셀은 황화 카드뮴(CdS)의 광전도 효과를 이용한 광센서로, 광이 입사하면 저항의 크기가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CdS 셀의 저항의 크기를 측정하면, 상기 광의 입사 여부를 알 수 있다.The receivers 330 and 332 can receive the lights L1 and L2 that are provided on the second inner side 314 and generated by the light sources 320 and 322. [ For example, the receivers 330 and 332 may include a plurality of CdS cell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laser sources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Each of the CdS cells is a photosensor using a photoconductive effect of cadmium sulfide (CdS), and the magnitude of the resistance may change when light is incident. Therefore, if the magnitude of the resistance of the CdS cell is measured, whether the light is incident or not can be determined.

예를 들어, 연결호스(30)가 광원(322)에서 생성된 광(L2)의 경로 상에 위치하는 경우에 수신기(332)는 광(L2)을 수신할 수가 없다. 이와는 달리, 연결호스(30)가 광원(320)에서 생성된 광(L1)의 경로 상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 수신기(330)는 광(L1)을 수신할 수가 있다. 따라서, 연결호스(30)는 대상체(10)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수신기(332)의 광(L2)의 수신으로부터 연결호스(30)의 위치를 감지할 때 방향 센서부(300)는 대상체(10)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ceiver 332 can not receive the light L2 when the connecting hose 30 is located on the path of the light L2 generated by the light source 322. [ Alternatively, the receiver 330 may receive the light L1 if the connecting hose 30 is not located on the path of the light L1 generated by the light source 320. [ Therefore, when the connection hose 30 is connected to the object 10, the direction sensor unit 300 senses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hose 30 from the reception of the light L2 of the receiver 332, Can sense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거리 센서부(400)는 걸이 몸체(100)의 상기 상단과 상기 하단 사이에 위치하여, 걸이 몸체(100)의 상기 외측면 상에 구비되어 대상체(10)의 상기 거리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The distance sensor unit 400 is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hook body 100 and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ok body 100 to sense the distance information of the object 10.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 센서부(400)는 걸이 몸체(100)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거리 센서 몸체(405), 및 거리 센서 몸체(405)의 제1 외측면(402)에 구비되어 대상체(10)의 상기 거리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거리감지모듈(420)을 포함할 수 있다.4 and 5, the distance sensor unit 400 includes a distance sensor body 405 which is adjustably adjustable in height on the hanger body 100, and a first outer side surface 405 of the distance sensor body 405, And a distance detection module 420 provided in the vehicle body 402 and capable of detecting the distance information of the object 10.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거리감지모듈(420)은 초음파를 발생하여 상기 초음파를 대상체(10)로 입사시킬 수 있는 초음파원(422), 및 초음파원(422)에 인접하여 상기 초음파가 대상체(10)로부터 반사하여 생성되는 반사파를 감지하는 반사파 수신기(424)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s, the distance sensing module 420 includes an ultrasonic source 422 that generates ultrasonic waves and allows the ultrasonic waves to be incident on the object 10, and an ultrasonic source 422 that is adjacent to the ultrasonic source 422, And a reflection wave receiver 424 for sensing a reflection wave generated by reflection from the reflection wave receiver 10.

거리 센서 몸체(405)는 걸이 몸체(100)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리 센서 몸체(405)는 걸이 몸체(100)가 관통할 수 있고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된 관통홀(410)을 가질 수 있다. 거리 센서 몸체(405)는 관통홀(410)을 통하여 삽입되는 걸이 몸체(100)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거리 센서 몸체(405)는 걸이 몸체(100)에 거리 센서부(40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리 센서 몸체(405)는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된 팔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distance sensor body 405 may be install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hook body 100. For example, the distance sensor body 405 may have a through hole 410 extending through the hook body 100 and extending in one direction. The distance sensor body 405 can move up and down along the hook body 100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410. The distance sensor body 405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unit (not shown) for fixing the distance sensor unit 400 to the hook body 100. For example, the distance sensor body 405 may have an octagonal column shape extending in one direc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원(422)은 거리 센서 몸체(405)의 제1 외측면(402)에 구비되어 상기 초음파를 발생하여 상기 초음파를 대상체(10)로 입사시킬 수 있다. 또한, 반사파 수신기(424)는 초음파원(422)에 인접하여 거리 센서 몸체(405)의 제1 외측면(402)에 구비되어 상기 초음파가 대상체(10)로부터 반사하여 생성되는 상기 반사파를 감지할 수 있다.6, the ultrasonic source 422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outer side surface 402 of the distance sensor body 405 to generate the ultrasonic wave and make the ultrasonic wave incident on the target body 10. The reflected wave receiver 424 is provided on the first outer side surface 402 of the distance sensor body 405 adjacent to the ultrasonic wave source 422 to sense the reflected wave generated by the reflection of the ultrasonic wave from the object 10 .

예를 들어, 초음파원(422)이 상기 초음파를 발생하는 시각과 반사파 수신기(424)가 상기 반사파를 수신하는 시각의 차이, 즉 시차를 거리 센서부(400)가 감지하여 상기 초음파의 속도와 상기 시차를 곱하여 반으로 나누면 대상체(10)로부터의 상기 거리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istance sensor unit 400 detec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when the ultrasonic wave source 422 generates the ultrasonic wave and the time when the reflected wave receiver 424 receives the reflected wave, that is, the time difference, The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object 10 can be sensed.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거리 센서부(400)는 거리 센서 몸체(405)의 제2 외측면(404)에 구비된 움직임 표시 모듈(4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제어부(500)는 걸이 몸체(100)가 좌회전, 우회전, 정지, 및 직진의 움직임으로 각각 움직이도록 구동부(200)를 제어하고, 상기 움직임에 따른 표시내용을 움직임 표시모듈(430)이 각각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7, in the exemplary embodiments, the distance sensor portion 400 further includes a motion display module 430 provided on the second outer surface 404 of the distance sensor body 405 . 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driving unit 200 so that the hook body 100 moves leftward, rightward, stop, and straight forward, respectively, and displays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motion in the movement display module 430 Can be controlled.

예를 들어, 움직임 표시모듈(430)은 상기 표시내용을 표시하기 위해 서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개의 LED들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otion display module 4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D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display the display contents.

제어부(500)는 방향 센서부(300), 거리 센서부(400), 및 구동부(500)와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어 방향 센서부(300) 및 거리 센서부(400)가 감지한 대상체(10)의 상기 방향정보 및 상기 거리정보를 기초로 하여 구동부(5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MCU(micro controller unit)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500)는 모터드라이브(230)를 통하여 모터(2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상기 방향정보 및 상기 거리정보를 기초로 하여 걸이 몸체(100)와 대상체(10)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구동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5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rection sensor unit 300, the distance sensor unit 400 and the driving unit 500 to detect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object 10 sensed by the direction sensor unit 300 and the distance sensor unit 400, The driving unit 500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direction information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500 may include a micro controller unit (MCU).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500 can control the motor 240 through the motor drive 230.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500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200 to maintain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hook body 100 and the target body 10 based on the direction information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선 화살표로 표시된 것은 전기 신호의 흐름이다. 예를 들어, 방향 센서부(300)는 대상체(10)의 상기 방향정보를 감지하여 제어부(5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거리 센서부(400)의 거리감지모듈(420)은 대상체(10)의 상기 거리정보를 감지하여 제어부(500)로 전달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a solid line arrow indicates a flow of electric signals. For example, the direction sensor unit 300 senses the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10 and transmits the direc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500. The distance sensing module 420 of the distance sensor 400 senses the distance information of the object 10 and transmits the distance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500.

제어부(500)는 상기 방향정보 및 상기 거리정보를 기초로 하여 모터드라이브(230)를 통하여 모터(2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걸이 몸체(100)가 좌회전, 우회전, 정지, 및 직진의 움직임으로 각각 움직이도록 구동부(200)를 제어하고, 상기 움직임에 따른 표시내용을 거리 센서부(400)의 움직임 표시모듈(430)이 각각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500 may control the motor 240 through the motor drive 230 based on the direction information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driving unit 200 to move the hook body 100 in a leftward, rightward, stop, and straight motion, respectively, and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distance sensor unit 400 And the display module 430 may be displayed.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점선 화살표로 표시된 것은 전기에너지의 흐름이다. 배터리(220)에서 발생되는 전기에너지는 모터드라이브(230)를 통하여 모터(240) 및 제어부(500)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500)로 전달된 전기에너지는 제어부(500)에 포함된 상기 MCU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에너지는 제어부(500)와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된 방향 센서부(300) 및 거리 센서부(400)를 구동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ure 8, the dashed arrows indicate the flow of electrical energy. The electric energy generated in the battery 220 can be transmitted to the motor 240 and the control unit 500 through the motor drive 230. The electric energy transferred to the control unit 500 may drive the MCU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500. The electric energy may drive the direction sensor unit 300 and the distance sensor unit 400, which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00.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 약액걸이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대상체(10)의 상기 위치정보를 기초로 하여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약액걸이는 자동으로 대상체(10)와 항상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어, 수동으로 끌고 다닐 필요가 없다.The smart drug solution holde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can be moved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body 10 sensed by the sensor unit. The smart medicament holders can always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object 10 automatically,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drag them manually.

따라서, 상기 스마트 약액걸이는 쉽게 대상체(10)와 함께 이동할 수 있어서 상기 스마트 약액걸이의 이동 편의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smart drug solution can easily move together with the object 10, thereby greatly increasing the mobility of the smart drug solution holder.

또한, 방향 센서부(300) 및 거리 센서부(400)를 이용하여 대상체(10)의 상기 위치정보를 매우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제어부(500)는 상기 위치정보를 기초로 하여 구동부(200)가 신속하게 구동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 약액걸이는 움직임의 신속성 및 정확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10 can be accurately grasped by using the direction sensor unit 300 and the distance sensor unit 400, and 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driving unit 200 It can be controlled so as to be driven quickly. Thus, the smart drug solution can significantly increase the speed and accuracy of movement.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possible.

100: 걸이 몸체 110: 장착부
200: 구동부 210: 휠
220: 배터리 230: 모터드라이브
240: 모터 300: 방향 센서부
305: 방향 센서 몸체 310: 관통홀
320: 광원 330: 수신기
350: 감지홀 400: 거리 센서부
405: 거리 센서 몸체 410: 관통홀
420: 거리감지모듈 430: 움직임 표시모듈
500: 제어부
100: Hook body 110:
200: driving part 210: wheel
220: Battery 230: Motor drive
240: motor 300: direction sensor unit
305: direction sensor body 310: through hole
320: light source 330: receiver
350: detection hole 400: distance sensor unit
405: Distance sensor body 410: Through hole
420: distance detection module 430: motion display module
500:

Claims (15)

약품을 대상체로 공급하기 위하여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약품을 걸 수 있는 장착부가 구비된 상단을 갖는 걸이 몸체;
상기 걸이 몸체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걸이 몸체를 움직일 수 있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
상기 걸이 몸체의 상기 상단과 상기 하단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걸이 몸체의 외측면 상에 구비되어, 상기 대상체의 위치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 및 상기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상기 대상체의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체의 위치정보는 상기 걸이 몸체로부터의 상기 대상체의 방향정보 및 상기 걸이 몸체로부터의 상기 대상체의 거리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방향정보를 감지하는 방향 센서부, 및 상기 거리정보를 감지하는 거리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 센서부는
상기 걸이 몸체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방향 센서 몸체;
상기 약품과 상기 대상체를 연결하여 상기 약품을 상기 대상체로 공급하기 위한 연결호스가 관통할 수 있는 감지홀; 및
상기 감지홀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호스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감지모듈은 상기 연결호스의 상기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대상체의 상기 방향정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약액걸이.
A hook body extending in one direction to supply a medicine to a target body and having a top provided with a mounting portion for hanging the medicine;
A driving unit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hook body to generate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hook body;
A sensor unit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hook body and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ook body to sens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object; And
And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and the driving unit and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based on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object sensed by the sensor unit,
Wherei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includes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from the hook body and distance information of the object from the hook body,
Wherein the sensor unit includes a direction sensor unit for sensing the direction information and a distance sensor unit for sensing the distance information,
The direction sensor unit
A direction sensor body install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hook body;
A sensing hole through which the connection hose for connecting the medicine to the object and supplying the medicine to the object can penetrate; And
And a position sensing module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ensing hole for sensing a position of the connection hose,
Wherein the position sensing module senses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hose and senses the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은 제1 내측면 및 상기 제1 내측면을 마주보는 제2 내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감지모듈은 상기 제1 내측면에 구비되고 광을 생성할 수 있는 광원; 및 상기 제2 내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광을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약액걸이.
2. The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inner surface includes a first inner surface and a second inner surface facing the first inner surface,
Wherein the position sensing module comprises: a light source provided on the first inner surface and capable of generating light; And a receiver provided on the second inner surface and capable of receiving the ligh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서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개의 레이저원들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레이저원들에 각각 대응하고 서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개의 CdS 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약액걸이.The smart drug solution holder of claim 4, wherein the light source includes a plurality of laser sour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receiver includes a plurality of CdS cells corresponding to the laser sources and spaced from each other.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센서부는
상기 걸이 몸체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거리 센서 몸체; 및
상기 거리 센서 몸체의 제1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대상체의 상기 거리정보를 감지하는 거리감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약액걸이.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tance sensor unit
A distance sensor body install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hook body; And
And a distance sensing module provided on a first outer surface of the distance sensor body to sense the distance information of the objec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감지모듈은 초음파를 발생하여 상기 초음파를 상기 대상체로 입사시킬 수 있는 초음파원; 및
상기 초음파원에 인접하여 상기 초음파가 상기 대상체로부터 반사하여 생성되는 반사파를 감지하는 반사파 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약액걸이.
[7] The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the distance sensing module comprises: an ultrasonic source for generating an ultrasonic wave and allowing the ultrasonic wave to enter the object; And
And a reflected wave receiver for sensing a reflected wave generated by reflection of the ultrasonic wave from the object adjacent to the ultrasonic wave sour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센서부는 상기 거리 센서 몸체의 제2 외측면에 구비된 움직임 표시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걸이 몸체가 좌회전, 우회전, 정지, 및 직진의 움직임으로 각각 움직이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움직임에 따른 표시내용을 상기 움직임 표시모듈이 각각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약액걸이.
7. The distance sensor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distance sensor unit further comprises a motion display module provided on a second outer surface of the distance sensor body,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unit to move the hook body in a leftward rotation, a rightward rotation, a stop, and a straight movement, respectively, and controls the motion display module to display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Distance.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9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표시모듈은 상기 표시내용을 표시하기 위해 서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개의 LE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약액걸이.The smart drug solution hanger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motion display module includes a plurality of LED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display the display cont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센서부는 상기 거리 센서부보다 상기 걸이 몸체를 따라 더 높게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약액걸이.The smart medicament recepta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rection sensor unit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distance sensor unit along the hook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걸이 몸체와 상기 대상체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약액걸이.The smart drug solution hang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riving unit to maintain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hook body and the target body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2 is abandoned in setting registration fe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MCU(micro controller uni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약액걸이.The smart medicament hang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omprises a micro controller unit (MCU).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3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 registration fe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전기에너지를 발생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상기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약액걸이.The smart drug solution hang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iving unit comprises a battery for generating electric energy and a mo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to generate the driving force by receiving the electric energy.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배터리, 상기 모터 및 상기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하여,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상기 전기에너지를 상기 모터 및 상기 제어부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전기에너지를 모터 전기에너지 및 제어부 전기에너지로 각각 변환하는 모터드라이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약액걸이.14. The apparatus of claim 13, wherein the driving unit electrically connects the battery, the motor, and the control unit to each other to supply the electric energy from the battery to the motor and the control unit, Further comprising a motor drive for converting the electrical energy into electric energy, respectively.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5 is abandoned in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payment.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드라이브를 통하여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약액걸이.15. The smart drug solution holder of claim 14,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motor through the motor drive.
KR1020140077029A 2014-06-24 2014-06-24 Smart liquid medicine stand KR1016510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029A KR101651060B1 (en) 2014-06-24 2014-06-24 Smart liquid medicine sta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029A KR101651060B1 (en) 2014-06-24 2014-06-24 Smart liquid medicine stan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117A KR20160000117A (en) 2016-01-04
KR101651060B1 true KR101651060B1 (en) 2016-08-25

Family

ID=55164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029A KR101651060B1 (en) 2014-06-24 2014-06-24 Smart liquid medicine sta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106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2420A (en) * 2018-12-28 2020-07-08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Mobile type ringer pole with safety lighting for fall damage prevention
KR20230025158A (en) 2021-08-13 2023-02-2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Ringer pole assisting robot and ringer pole assistng method using robo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017B1 (en) * 2016-07-11 2017-02-28 이지호 Autonomic flight type multi-function ringer stand
CN108852711A (en) * 2018-05-16 2018-11-23 青岛大学附属医院 A kind of mobile intravenous administration allotment center medication fr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0747A (en) 2001-11-01 2003-05-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Autonomous moving device and system for operating the same
JP2003310712A (en) 2002-04-22 2003-11-05 Kuniichi Miyaji Polyfunctional drip stan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397B1 (en) * 2010-08-20 2017-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Clea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0747A (en) 2001-11-01 2003-05-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Autonomous moving device and system for operating the same
JP2003310712A (en) 2002-04-22 2003-11-05 Kuniichi Miyaji Polyfunctional drip stand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조동경. 전자식 이동식 링거 걸이. 제31회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 2009년 6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2420A (en) * 2018-12-28 2020-07-08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Mobile type ringer pole with safety lighting for fall damage prevention
KR102201394B1 (en) 2018-12-28 2021-01-08 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Mobile type ringer pole with safety lighting for fall damage prevention
KR20230025158A (en) 2021-08-13 2023-02-2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Ringer pole assisting robot and ringer pole assistng method using rob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117A (en) 2016-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1060B1 (en) Smart liquid medicine stand
US8500143B2 (en) Walking assistance device with detection members
CN101612950A (en) Intelligent tracking assisting luggage rack
CN103393526B (en) Guide stick for guiding blind person to avoid obstacles and obstacle avoiding method for guide stick
CN109116586B (en) Multifunctional intelligent glasses
CN106575402A (en) Smart shopping guide system
WO2018122173A1 (en) Smart bottle holder
US10780928B2 (en) Electric vehicles, electric vehicle systems and methods of control
WO2007069170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 optimization of a field generator
US20150108731A1 (en) Baby walker system with a braking mechanism for movement control
US20130261844A1 (en) Traffic Cone and a Traffic Cone System
KR102154818B1 (en) Electric Golf Cart having Function of Tracking Moving Object and Tracking Method of the Same
CN1918455A (en) Power supply device for low power switching sensors of a modular system
US11857050B2 (en) Smart luggage cas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n assisting luggage case
CN109621090B (en) Infusion tube dripping speed measuring device and infusion tube control equipment
CN205970422U (en) Printer lacks paper autonomous system with ultrasonic distance measuring sensor
CN205339349U (en) A autonomic tracker for intelligent wheelchair
KR101323383B1 (en) Non-contacting meterial length measurement device
EP3199464A1 (en) Automatic postage label attachment device
KR101095567B1 (en) Information output devices
JP5906375B2 (en) Toilet equipment
CN111513443A (en) Automatic following case based on infrared array temperature measurement sensor and UWB ranging
CN208255420U (en) The obstacle detection of robot and anti-fall device and robot
KR102210373B1 (en) Apparatus for intravenous fluid monitoring
CN112532778A (en) But cell-phone dull and stereotyped support of automatically regulated dist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