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0820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0820B1
KR101650820B1 KR1020150082129A KR20150082129A KR101650820B1 KR 101650820 B1 KR101650820 B1 KR 101650820B1 KR 1020150082129 A KR1020150082129 A KR 1020150082129A KR 20150082129 A KR20150082129 A KR 20150082129A KR 101650820 B1 KR101650820 B1 KR 101650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yro sensor
display screen
cursor
display
meas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신
한윤기
Original Assignee
(주)굿게이트
(주)미디어그룹 사람과숲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굿게이트, (주)미디어그룹 사람과숲,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굿게이트
Priority to KR1020150082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8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2Head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 및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제 1 자이로 센서, 제 2 자이로 센서가 구비된 입력 장치로부터, 상기 제 2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을 수신부 및 상기 제 1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과 상기 제 2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되는 커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USING GYRO SENSO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과 관련된다.
종래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로 TV와 같이 특정 위치에 고정된 형태로 제공되었다. 그러나,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 Display, HMD)나 스마트 글래스와 같이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는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발전해 가고 있다.
HMD나 스마트 글래스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순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넘어 증강 현실 기술, 가상 현실 기술 등과 조합 되어 유저에게 다양한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기존 디스플레이 장치와 비교하여 현실감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54129호 (2015. 05. 20)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제 1 자이로 센서, 제 2 자이로 센서가 구비된 입력 장치로부터, 상기 제 2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을 수신부 및 상기 제 1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과 상기 제 2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되는 커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자이로 센서는,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 1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상기 컨텐츠의 시점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과 상기 제 2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되는 커서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과 상기 제 2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이 동일한 경우, 상기 커서가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중앙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요우각(yaw angle)과 상기 제 2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요우각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상기 커서의 좌우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요우각과 상기 제 2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요우각의 차이가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커서가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의 왼쪽 또는 오른쪽 끝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피치각(pitch angle)과 상기 제 2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피치각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상기 커서의 상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피치각과 상기 제 2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피치각의 차이가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커서가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의 위쪽 또는 아래쪽 끝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제 1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단계, 제 2 자이로 센서가 구비된 입력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측정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과 상기 제 2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되는 커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자이로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를 제어하는 단계는, 제 1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상기 컨텐츠의 시점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커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과 상기 제 2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되는 커서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커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과 상기 제 2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이 동일한 경우, 상기 커서가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중앙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커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요우각(yaw angle)과 상기 제 2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요우각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상기 커서의 좌우 이동을 제어하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커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요우각과 상기 제 2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요우각의 차이가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커서가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의 왼쪽 또는 오른쪽 끝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커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피치각(pitch angle)과 상기 제 2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피치각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상기 커서의 상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커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피치각과 상기 제 2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피치각의 차이가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커서가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의 위쪽 또는 아래쪽 끝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제 1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단계, 제 2 자이로 센서가 구비된 입력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측정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과 상기 제 2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되는 커서를 제어하는 단계를 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입력 장치에 각각 구비된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되는 커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시점과 커서가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의 현실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입력 장치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의 흐름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입력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비하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로서,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HMD, 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 글래스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고글과 같은 형태의 헤드 마운트 장치의 전면에 스마트 폰을 장착하여 HMD와 유사한 형태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자이로 센서를 구비하고, 제 1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시점(view point)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머리가 좌우로 움직이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시점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머리가 상하로 움직이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시점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컨텐츠와 함께 커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 장치(200)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
입력 장치(200)는 제 2 자이로 센서를 구비하고, 제 2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움직임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입력 장치(200)는 사용자가 양 손으로 들고 조작할 수 있는 총의 형태를 가진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예 외에도, 사용자가 한 손으로 들고 조작하거나 사용자의 손이나 손가락에 부착 가능한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제 1 자이로 센서(130), 수신부(15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화상 표시 수단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컨텐츠를 표시한다. 이때, 화상 표시 수단은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LCD 패널, OLED 패널, PDP, 투명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는 동영상, 이미지, 게임, 웹 페이지, 가상 현실, 증강 현실 등 화상 표시 수단을 이용하여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자이로 센서(130)는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측정하여 측정값을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한편, 수신부(150)는 제 2 자이로 센서가 구비된 입력 장치(200)로부터 제 2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수신부(150)는 유선 케이블 내지는 IrDA, WiFi, Bluetooth, Zigbee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입력 장치(200)로부터 제 2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와 커서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제 1 자이로 센서(130)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제 1 자이로 센서(130)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시점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머리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돌리는 경우, 제어부(170)는 제 1 자이로 센서(130)에 의해 측정된 머리 움직임에 따라 화면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시점을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머리를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돌리는 경우, 제어부(170)는 제 1 자이로 센서(130)에 의해 측정된 머리 움직임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시점을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제 1 자이로 센서(130)의 측정값과 입력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제 2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되는 커서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제 1 자이로 센서(130)의 측정값과 입력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제 2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의 차이를 계산하고, 계산된 차이에 따라 커서를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제 1 자이로 센서(130)에 의해 측정된 요우각(yaw angle)과 제 2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요우각의 차이에 따라 화면 상에서 커서의 좌우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제 1 자이로 센서(130)에 의해 측정된 피치각과 제 2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피치각의 차이에 따라 화면 상에서 커서의 상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요우각은 상하 회전 각도를 의미하며, 피치각은 좌우 회전 각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자이로 센서(130)에 의해 측정된 요우각 및 피치각이 제 2 자이로 센서에 의해 요우각 및 피치각과 동일한 경우,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중앙에 커서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요우각에서 제 1 자이로 센서(130)에 의해 측정된 요우각을 뺀 값이 양의 값을 가지는 경우,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오른쪽으로 커서가 이동되도록 제어하고, 음의 값을 가지는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의 왼쪽으로 커서가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아래의 수학식 1에 따라 화면 상에 표시되는 커서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5056109449-pat00001
수학식 1에서 Δx는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커서의 좌우 이동 거리,
Figure 112015056109449-pat00002
은 제 1 자이로 센서(130)에 의해 측정된 요우각,
Figure 112015056109449-pat00003
는 제 2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요우각을 의미한다. 한편, α는 커서의 좌우 이동 감도를 조절하기 위한 파라미터이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 및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1 자이로 센서(130)에 의해 측정된 요우각과 제 2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요우각의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 이상인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커서가 좌측 또는 우측 끝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수학식 1에서
Figure 112015056109449-pat00004
Figure 112015056109449-pat00005
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화면 상의 왼쪽 끝에 커서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수학식 1에서,
Figure 112015056109449-pat00006
Figure 112015056109449-pat00007
보다 큰 경우,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화면 상의 오른쪽 끝에 커서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수학식 1에서
Figure 112015056109449-pat00008
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예를 들어, 아래의 수학식 2에 따라 화면 상에 표시되는 커서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15056109449-pat00009
수학식 1에서 Δy는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커서의 상하 이동 거리,
Figure 112015056109449-pat00010
은 제 1 자이로 센서(130)에 의해 측정된 피치각,
Figure 112015056109449-pat00011
는 제 2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피치각을 의미한다. 한편, β는 커서의 상하 이동 감도를 조절하기 위한 파라미터이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 및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1 자이로 센서(130)에 의해 측정된 피치각과 제 2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피치각의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 이상인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커서가 위쪽 또는 아래쪽 끝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수학식 2에서
Figure 112015056109449-pat00012
Figure 112015056109449-pat00013
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화면 상의 아래쪽 끝에 커서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수학식 2에서,
Figure 112015056109449-pat00014
Figure 112015056109449-pat00015
보다 큰 경우,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화면 상의 위쪽 끝에 커서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수학식 2에서
Figure 112015056109449-pat00016
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110), 제 1 자이로 센서(130), 수신부(150) 및 제어부(17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그 프로세서와 연결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프로세서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 내의 프로세서는 각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고,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명령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방법은 예를 들어, 전술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흐름도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컨텐츠를 표시한다(S310).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제 1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한다(S320).
이때, 제 1 자이로 센서는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자이로 센서가 구비된 입력 장치(200)로부터, 사용자의 움직임 측정값을 수신한다(S330).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제어한다(S340).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시점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과 제 2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되는 커서를 제어한다(S350).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과 제 2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되는 커서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과 제 2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이 동일한 경우, 커서가 디스플레이 화면의 중앙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요우각과 제 2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요우각의 차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커서의 좌우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요우각과 상제 2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요우각의 차이가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커서가 디스플레이 화면 상의 왼쪽 또는 오른쪽 끝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피치각과 제 2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피치각의 차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커서의 상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피치각과 상제 2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피치각의 차이가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커서가 디스플레이 화면 상의 위쪽 또는 아래쪽 끝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방법들을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디스플레이부
130: 제 1 자이로 센서
150: 수신부
170: 제어부
200: 입력 장치

Claims (19)

  1.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제 1 자이로 센서;
    제 2 자이로 센서가 구비된 입력 장치로부터, 상기 제 2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을 수신부; 및
    상기 제 1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과 상기 제 2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되는 커서를 제어하되, 상기 제 1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과 상기 제 2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이 동일한 경우, 상기 커서가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중앙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이로 센서는,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측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 1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상기 컨텐츠의 시점을 이동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요우각(yaw angle)과 상기 제 2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요우각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상기 커서의 좌우 이동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요우각과 상기 제 2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요우각의 차이가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커서가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의 왼쪽 또는 오른쪽 끝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피치각(pitch angle)과 상기 제 2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피치각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상기 커서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피치각과 상기 제 2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피치각의 차이가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커서가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의 위쪽 또는 아래쪽 끝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제 1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단계;
    제 2 자이로 센서가 구비된 입력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측정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과 상기 제 2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되는 커서를 제어하되, 상기 제 1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과 상기 제 2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이 동일한 경우, 상기 커서가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중앙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이로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제어하는 단계는, 제 1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상기 컨텐츠의 시점을 이동시키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커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요우각(yaw angle)과 상기 제 2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요우각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상기 커서의 좌우 이동을 제어하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커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요우각과 상기 제 2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요우각의 차이가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커서가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의 왼쪽 또는 오른쪽 끝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7.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커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피치각(pitch angle)과 상기 제 2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피치각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상기 커서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커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피치각과 상기 제 2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피치각의 차이가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커서가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의 위쪽 또는 아래쪽 끝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9.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제 1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단계;
    제 2 자이로 센서가 구비된 입력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측정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과 상기 제 2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되는 커서를 제어하되, 상기 제 1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과 상기 제 2 자이로 센서의 측정값이 동일한 경우, 상기 커서가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중앙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20150082129A 2015-06-10 2015-06-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1650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129A KR101650820B1 (ko) 2015-06-10 2015-06-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129A KR101650820B1 (ko) 2015-06-10 2015-06-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0820B1 true KR101650820B1 (ko) 2016-08-24

Family

ID=56884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129A KR101650820B1 (ko) 2015-06-10 2015-06-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08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6264A (ko) * 2017-08-08 2019-02-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전방향 가상현실 네비게이션을 위한 제자리 걸음을 이용한 인터랙션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1992A (ko) * 2003-04-23 2004-11-03 싸이트라스텔레콤(주) 사이버 포인터 시스템
KR20130093886A (ko) * 2012-02-15 2013-08-23 (주)일렉콤 가상현실 사격 시뮬레이션 시스템
KR20150054129A (ko) 2013-11-11 2015-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1992A (ko) * 2003-04-23 2004-11-03 싸이트라스텔레콤(주) 사이버 포인터 시스템
KR20130093886A (ko) * 2012-02-15 2013-08-23 (주)일렉콤 가상현실 사격 시뮬레이션 시스템
KR20150054129A (ko) 2013-11-11 2015-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6264A (ko) * 2017-08-08 2019-02-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전방향 가상현실 네비게이션을 위한 제자리 걸음을 이용한 인터랙션 장치 및 방법
KR102108962B1 (ko) * 2017-08-08 2020-05-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전방향 가상현실 네비게이션을 위한 제자리 걸음을 이용한 인터랙션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93476B2 (en) Menu navigation in a head-mounted display
US10096167B2 (en) Method for executing functions in a VR environment
EP3433706B1 (en) Virtual-reality navigation
EP3564788B1 (en) Three-dimensional user input
KR102284821B1 (ko) 가상 현실 환경에서의 내비게이션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KR102161510B1 (ko)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547379B2 (en) Method, air mouse, and set top box for controlling air mouse
US9779702B2 (en) Method of controlling head-mounted display system
JP2017102732A5 (ko)
CN111066081B (zh) 用于补偿虚拟现实的图像显示中的可变显示设备等待时间的技术
KR10165082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JP6522092B1 (ja) 表示システム及び表示方法
JP2005149175A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20101878A (ko)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선박운항시뮬레이터용 망원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운항시뮬레이터용 망원경 화면 구현방법
KR20180055637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60039939A (ko)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및 그 제어 방법
JP2019043312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542641B1 (ko) 핸드 트래킹을 이용한 재활 훈련 장치 및 작동 방법
JP2012150208A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6093362A (ja) ゲーム空間内における仮想カメラ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ゲーム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