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0557B1 - A jelly roll tap plate assembly,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 jelly roll tap plate assembly,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0557B1
KR101650557B1 KR1020140071943A KR20140071943A KR101650557B1 KR 101650557 B1 KR101650557 B1 KR 101650557B1 KR 1020140071943 A KR1020140071943 A KR 1020140071943A KR 20140071943 A KR20140071943 A KR 20140071943A KR 101650557 B1 KR101650557 B1 KR 101650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mber
jelly roll
electrode
active materi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19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43030A (en
Inventor
홍영진
이영재
이성근
Original Assignee
(주)오렌지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렌지파워 filed Critical (주)오렌지파워
Priority to KR1020140071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557B1/en
Priority to CN201580000636.9A priority patent/CN105580183A/en
Priority to PCT/KR2015/005890 priority patent/WO2015190848A1/en
Priority to EP15771497.3A priority patent/EP3157088A4/en
Priority to US14/783,085 priority patent/US20160141736A1/en
Publication of KR20150143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30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5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7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8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wound or folded electrode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H01M50/627Filling po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젤리롤 전극 탭플레이트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공을 포함하는 젤리롤 형태의 전극 조립체에 플레이트 중공부를 구비하는 탭플레이트를 연결시킴으로써 젤리롤 내부의 중공을 전지 외부까지 연결하여 전지 내부의 발열에 의한 전지 열화를 막을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젤리롤 전극 탭플레이트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elly roll electrode tap plate assembly, an electrochem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jelly roll electrode tap assembly having a jelly roll type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hollow,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elly roll electrode tap plate assembly having a novel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battery deterioration due to heat generation inside a battery by connecting the hollow inside the roll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and an electrochem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Description

젤리롤 전극 탭플레이트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A jelly roll tap plate assembly,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elly roll electrode tap plate assembly, an electrochemical device including the jelly roll electrode tap plate assembly, an electrochem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젤리롤 전극 탭플레이트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공을 포함하는 젤리롤 형태의 전극 조립체에 플레이트 중공부를 구비하는 탭플레이트를 연결시킴으로써 젤리롤 내부의 중공을 전지 외부까지 연결시키는 새로운 구조의 젤리롤 전극 탭플레이트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elly roll electrode tap plate assembly, an electrochem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jelly roll electrode tap assembly having a jelly roll type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hollow, To a jelly roll electrode tab plate assembly having a new structure for connecting a hollow inside a roll to the outside of a battery, an electrochem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모바일 기기, 전기자동차, 에너지저장장치 등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러한 이차전지 중 높은 방전전압과 에너지밀도를 가지는 리튬이차전지에 대한 많은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상용화되어 다양한 기기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As the demand for mobile devices, electric vehicles, energy storage devices and the like is increasing, the demand for secondary batteries as energy sources is rapidly increasing. Many research and development of lithium secondary batteries having high discharge voltage and energy density among such secondary batteries Has been commercialized and applied to various devices.

이차전지는 전지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젤리롤이 원통형 또는 각형의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원통형 전지 또는 각형 전지와, 젤리롤 또는 적층 전극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된다.The secondary battery includes a cylindrical battery or a prismatic battery in which a jelly roll is embedded in a cylindrical or rectangular metal can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attery case and a pouch type battery in which a jelly roll or a laminated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pouch- Batteries.

또한, 전지케이스에 내장되는 전극조립체는 양극/분리막/음극으로 구성되는 충방전이 가능한 에너지 저장 소자로서, 활물질이 도포된 긴 시트형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하여 권취한 와인딩형 전극조립체(젤리롤)과, 소정 크기의 다수의 양극과 음극을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 전극조립체로 분류된다. 그 중, 와인딩형 전극조립체인 젤리롤은 생산성이 높고 체적당 에너지밀도가 높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Also, the electrode assembly incorporated in the battery case is a chargeable dischargeable energy storage device composed of a positive electrode / separator / negative electrode. The electrode assembly includes a winding type electrode assembly Jelly roll), and a stacked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positive electrodes and negative electrodes of a predetermined size are sequentially stacked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Among them, jelly roll, which is a winding type electrode assembly, has advantages of high productivity and high energy density per volume.

일반적인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는 원통형 캔, 캔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극조립체, 및 캔의 상부에 결합되는 캡 어셈블리로 구성되어 있다.A typical cylindrical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es a cylindrical can, an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ed in the can, and a cap assemb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an.

전극조립체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젤리롤 형으로 감은 구조로 되어 있으며, 양극에는 양극 리드가 부착되어 상부 캡 어셈블리에 접속되어 있고, 음극에는 음극 리드가 부착되어 캔의 하단에 접속되어 있다.The electrode assembly has a structure in which a separator is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nd is wound in a jelly roll shape. The positive electrode lead is attached to the upper cap assembly and the negative electrode lead is attached to the negative electrode. Respectively.

상부 캡 어셈블리는 양극 단자를 형성하는 상단 캡, 전지 내부의 온도 상승 시 전지저항이 크게 증가하여 전류를 차단하는 PTC 소자, 전지 내부의 압력 상승 시 전류를 차단하거나 가스를 배기하는 안전벤트, 특정 부분을 제외하고 안전벤트를 캡 플레이트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가스켓, 양극에 연결된 양극 단자가 접속되어 있는 캡 플레이트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upper cap assembly includes a top cap that forms a positive terminal, a PTC element that significantly increases the battery resistance when the temperature rises in the battery, a safety vent that cuts off the current when the pressure in the battery rises or discharges the gas, A gasket for electrically separating the safety vent from the cap plate, and a cap plate to which a positive terminal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is connected are sequentially stacked.

그러나, 전술한 종래기술의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리드와 전극탭을 별도로 장착하여 외부로 빼는 구조가 일반적이므로 지속적인 충방전 과정에서 부피의 팽창 및 수축이 반복되는 경우 단전이나 쇼트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secondary battery has a structure in which an electrode lead and an electrode tab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assembly are separately mounted and taken out to the outside, when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battery are repeated in the course of continuous charging and discharging,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 safety accident such as the above may occur.

또한, 기존의 원통형 리튬이차전지는 전지의 사용 시 내부 저항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열이 내부에 축적되며, 특히 전지의 중앙부의 높은 온도 상승은 전지의 수명 성능 열화를 가속하게 된다. 이는 반복되는 충방전 과정에서 내부저항의 증가를 가져와 출력 특성이 떨어지고, 다수의 전지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전지 간의 성능 차이가 크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ylindrical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umulates heat generated due to internal resistance when the battery is used, and in particular, a high temperature rise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ttery accelerates deterioration of battery life. This leads to an increase in internal resistance during repeated charging and discharging, resulting in a decrease in output characteristics, and a disadvantage that a large difference in performance occurs between batteries when a plurality of batteries are connected and used.

(특허문헌 1) KR10-2009-0008060 A
(Patent Document 1) KR10-2009-0008060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지 내부의 열을 효율적으로 외부로 발산하도록 내부를 관통하는 중공을 포함하는 젤리롤 타입의 전지에 적용되며, 젤리롤 내부의 중공을 전지 외부까지 유지연결하여 종래 원통형 이차전지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축적을 최소화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중공형 젤리롤 전극 탭플레이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jelly roll type battery having a hollow,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ollow jelly roll electrode tab plate assembly of a new structure capable of minimizing heat accumulation generated inside a conventional cylindrical rechargeable battery and increasing productivit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분리막, 상기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순차적이고 반복적으로 적층되는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이 중심부에 젤리롤 중공부를 형성하면서 권취된 중공형 젤리롤; 및 상기 젤리롤의 양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탭플레이트 및 제 2 탭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젤리롤 전극 탭플레이트 조립체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llow jelly roll having a separator, a first electrode sequentially and repeatedly stacked with the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second electrode wound around the center of the jelly roll hollow part; And a first tab plate and a second tab plate electrical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jelly roll; And a jelly roll electrode tab plate assembly.

본 발명에 의한 젤리롤 전극 탭플레이트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 1 탭플레이트는, 제 1 판부재; 및 상기 젤리롤 중공부와 대응하여 상기 제 1 판부재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제 1 탭플레이트 중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jelly roll electrode tab plat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ab plate may include: a first plate member; And a first tab plate hollow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jelly roll hollow portion and formed at a center portion of the first plate member.

본 발명에 의한 젤리롤 전극 탭플레이트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부재는 상기 제 1 판부재의 제 1 면으로부터 제 2 면 방향으로 유입되는 제 1 판부재홈; 및 상기 제 1 판부재홈과 대응하여 상기 제 1 판부재의 제 2 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제 1 판부재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jelly roll electrode tap plat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late member may include: a first plate member groove that flows in from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 plate member toward the second surface; And a first plate member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second surface of the first plate member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plate member groove.

본 발명에 의한 젤리롤 전극 탭플레이트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부재는 전해액 주입을 위한 제 1 전해질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jelly roll electrode tap plat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plate member includes a first electrolyte hole for injecting an electrolyte solution.

본 발명에 의한 젤리롤 전극 탭플레이트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 2 탭플레이트는, 제 2 판부재; 및 상기 젤리롤 중공부와 대응하여 상기 제 2 판부재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제 2 탭플레이트 중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jelly roll electrode tap plat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tab plate may include: a second plate member; And a second tab plate hollow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jelly roll hollow portion and formed at a center portion of the second plate member.

본 발명에 의한 젤리롤 전극 탭플레이트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 2 판부재는 상기 제 2 판부재의 제 1 면으로부터 제 2 면 방향으로 유입되는 제 2 판부재홈; 및 상기 제 2 판부재홈과 대응하여 상기 제 2 판부재의 제 2 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제 2 판부재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jelly roll electrode tap plat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late member may include: a second plate member groove that is introduced from the first surface of the second plate member toward the second surface; And a second plate member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second surface of the second plate member in correspondence with the second plate member groove.

본 발명에 의한 젤리롤 전극 탭플레이트 조립체는 상기 제 1 탭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전극탭; 및 상기 제 2 탭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전극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jelly roll electrode tab plat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electrode tab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ab plate; And a second electrode tab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tab plate.

본 발명에 의한 젤리롤 전극 탭플레이트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은, 제 1 집전체층; 상기 제 1 집전체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되는 제 1 활물질층; 및 상기 제 1 집전체층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는 제 1 활물질 무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jelly roll electrode tap plat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may include: a first current collector layer; A first active material layer applied to one surface or both surfaces of the first current collector layer; A first active material uncoated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current collector layer and not coated with the first active material; And a control unit.

본 발명에 의한 젤리롤 전극 탭플레이트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극은, 제 2 집전체층; 상기 제 2 집전체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되는 제 2 활물질층; 및 상기 제 2 집전체층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는 제 2 활물질 무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jelly roll electrode tap plat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electrode may include a second current collector layer; A second active material layer coat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layer; And a second active material uncoated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layer and not coated with the second active material; And a control unit.

본 발명에 의한 젤리롤 전극 탭플레이트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 1 활물질 무지부는 상기 제 1 집전체층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활물질 무지부는 상기 제 2 집전체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jelly roll electrode tap plat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ctive material uncoated portion is formed on the first current collector layer and the second active material uncoated portion is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layer .

본 발명에 의한 젤리롤 전극 탭플레이트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 1 활물질 무지부는 상기 분리막의 상부면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 2 활물질 무지부는 상기 분리막의 하부면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jelly roll electrode tap plat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ctive material uncoated portion extends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paration membrane, and the second active material uncoated portion extends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paration membrane.

본 발명에 의한 젤리롤 전극 탭플레이트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 1 활물질층의 넓이보다 제 2 활물질층의 넓이가 더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활물질층은 음극활물질을 포함한다. The jelly roll electrode tap plat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of the second active material layer is wid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active material layer. Preferably, the second active material layer includes a negative active material.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젤리롤 전극 탭플레이트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화학소자는 이차전지 또는 커패시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a jelly roll electrode tab plat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chemic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 secondary battery or a capacitor.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젤리롤 전극 탭플레이트 조립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jelly roll electrode tap plat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분리막, 상기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순차적이고 반복적으로 적층되는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이 중심부에 젤리롤 중공부를 형성하면서 권취하여 젤리롤을 형성하는 제 1 단계; A first step of sequentially and repeatedly laminating the separator, the separator, and the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step of forming a jelly roll by winding the second electrode around the center while forming a jelly roll hollow part;

제 1 탭플레이트 및 제 2 탭플레이트를 준비하는 제 2 단계;A second step of preparing a first tab plate and a second tab plate;

상기 젤리롤의 제 1 면에서 상기 제 1 탭플레이트의 제 1 탭플레이트 중공부를 상기 젤리롤 중공부와 대응하게 위치시키고, 제 1 판부재 홈 부분을 전기 용접하여 상기 제 1 판부재 돌출부가 상기 젤리롤의 제 1 활물질 무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제 3 단계; 및 The first tab plate hollow portion of the first tab plate is positioned correspondingly to the jelly roll hollow portion on the first surface of the jelly roll and the first plate member groove portion is electrically welded, A third step of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active material to the non-coated portion of the roll; And

상기 젤리롤의 제 2 면에서 상기 제 2 탭플레이트의 제 2 탭플레이트 중공부를 상기 젤리롤 중공부와 대응하게 위치시키고, 상기 제 2 탭플레이트의 제 2 판부재 홈 부분을 전기 용접하여 상기 제 2 판부재 돌출부가 상기 젤리롤의 제 2 활물질 무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의한 젤리롤 전극 탭플레이트 조립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The second tab plate hollow portion of the second tab plate is positioned correspondingly to the jellyroll hollow portion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jelly roll and the second plate member groove portion of the second tab plate is electrically welded, A fourth step of causing the plate member projection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active material uncoated portion of the jelly roll;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jelly roll electrode tap plat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젤리롤 전극 탭플레이트 조립체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 1 탭플레이트, 및 제 2 탭플레이트에 제 1 탭 및 제 2 탭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jelly roll electrode tap plat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tab and the second tab to the first tap plate and the second tap plate.

본 발명은 전지 내부의 열을 효율적으로 외부로 발산하도록 내부를 관통하는 중공을 포함하는 젤리롤 형태의 전극조립체에 상기 젤리롤 중공과 상응하는 중공부를 구비하는 탭 플레이트를 연결시킴으로써 젤리롤 내부의 중공을 구조적으로 전지 외부까지 유지연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원통형 이차전지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축적을 최소화하면서도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중공형 젤리롤 전극 탭플레이트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elly roll type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a hollow jelly roll type hollow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hollow portion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battery to effectively dissipate heat inside the batter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hollow jelly roll electrode tab plate assembly having a new structure that can be structurally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and thereby increase productivity while minimizing heat accumulation occurring inside the cylindrical rechargeable batter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형 젤리롤 전극 탭플레이트 조립체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젤리롤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
도 4는 도 3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모식도,
도 5는 도 1의 제 1 탭판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
도 6은 도 5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7은 도 1의 제 2 탭판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을 일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9는 제 1 탭판에 전극탭이 장착된 것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 및
도 10은 제 2 탭판에 전극탭이 장착된 것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ollow jelly roll electrode tab plat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laminated structure of the jelly roll of FIG. 2,
Fig. 4 is a schematic view of Fig. 3 viewed from one direc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tab plate in Fig. 1,
Fig. 6 is a side view of Fig. 5 taken in one direc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tab plate in Fig. 1,
Fig. 8 is a side view of Fig. 7 viewed from one direc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n one direction showing that an electrode tab is attached to the first tab plate,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n one direction showing that an electrode tab is attached to the second tab plate;

본 발명의 중공형 젤리롤 전극 탭플레이트 조립체를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 가능하다.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hollow jelly roll electrode tap plat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tegrally or separately. In addition, some components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usage form.

본 발명에 따른 중공형 젤리롤 전극 탭플레이트 조립체(100)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hollow jelly roll electrode tab plate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described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1. 중공형 1. Hollow type 젤리롤Jelly roll 전극  electrode 탭플레이트Tab plate 조립체 (100) 구조 Assembly (100) Construc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형 젤리롤 전극 탭플레이트 조립체 (1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hollow jelly roll electrode tap plate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형 젤리롤 전극 탭플레이트 조립체(100)는 분리막(110), 상기 분리막(110)을 사이에 두고, 순차적이고 반복으로 적층되는 제 1 전극(120), 제 2 전극(130)이 중심부에 젤리롤 중공부(106)를 형성하면서 권취되는 중공형 젤리롤(105), 및 탭플레이트 중공부를 포함하고 젤리롤(105)의 양단에 각각 융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탭플레이트(141), 제 2 탭플레이트(14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젤리롤 전극 탭플레이트 조립체(100)는 제 1 전극(120) 및 제 2 전극(130)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탭(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 hollow jelly roll electrode tap plate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parator 110, a first electrode 120 that is sequentially and repeatedly stacked with the separator 110 therebetween, A hollow jelly roll 105 in which an electrode 130 is wound while forming a jelly roll hollow portion 106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a tab plate hollow portion which is fus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jelly roll 105, A first tap plate 141, and a second tap plate 142. [ The jelly roll electrode tap plate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lectrode tab 15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120 and the second electrode 130, respective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형 젤리롤 전극 탭플레이트 조립체(100)는 중공형 젤리롤을 전지 외부까지 구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탭플레이트 중공부를 포함하는 새로운 구조의 제 1 탭플레이트(141) 및 제 2 탭플레이트(142)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The hollow jelly roll electrode tap plate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tab plate 141 having a new structure including a tab plate hollow portion structurally connecting the hollow jelly roll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And a second tab plate 142. [0033]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젤리롤 전극 탭플레이트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 1 탭플레이트(141)는 제 1 판부재(141a), 및 상기 젤리롤 중공부와 대응하여 상기 제 1 판부재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제 1 탭플레이트 중공부(141e)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삽입홀(141e)은 상기 젤리롤 중공부와 대응하여 제 1 판부재(141a)의 중심을 관통하며, 이후 전지 조립 과정에서 제 1 삽입홀(141e)를 통하여 젤리롤 중공부로 내부 용기(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다.In the jelly roll electrode tap plat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ab plate 141 includes a first plate member 141a and a second plate member 141b corresponding to the jelly roll hollow portion, And a first tab plate hollow portion 141e formed on the first tab plate. The first insertion hole 141e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first plate member 141a in correspondence with the jelly roll hollow portion and is then inserted into the jelly roll hollow portion through the first insertion hole 141e, (Not shown) may be inser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젤리롤 전극 탭플레이트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 1 탭플레이트는 상기 젤리롤 중공부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제 1 탭플레이트 중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탭플레이트 중공부가 젤리롤 중공부와 연결되도록 젤리롤 전극 탭플레이트 조립체를 형성함으로써 젤리롤 내부의 중공을 전지 외부까지 연결할 수 있게 된다.
In the jelly roll electrode tap plat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ab plate includes a first tab plate hollow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jelly roll hollow portion, By forming the jelly roll electrode tab plate assembly to be connected to the roll hollow, the hollow inside the jelly roll can b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cell.

제 1 판부재(141a)는 상기 제 1 판부재의 제 1 면으로부터 제 2 면 방향으로 유입되는 제 1 판부재홈(141b); 및 상기 제 1 판부재홈과 대응하여 상기 제 1 판부재의 제 2 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제 1 판부재돌출부(141c);를 포함하고, 젤리롤 형태의 전극조립체와 연결되어, 전극조립체에서 전기화학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전류를 전극탭까지 전달하기 위해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금속 전도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plate member 141a includes: a first plate member groove 141b that flows in from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 plate member toward the second surface; And a first plate member protrusion (141c) protruding from a second surface of the first plate member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plate member groove, the first plate member protrusion being connected to an electrode assembly in the form of a jelly roll, It is preferable that the metal conductor is a metal conductor through which a current can flow so as to transmit the current generated by the chemical reaction to the electrode tab.

제 1 판부재홈(141b)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판부재(141a)의 중심을 지나면서 제 1 판부재(141a)의 제 1 면으로부터 제 2 면 방향으로 유입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판부재홈(141b)는 '+'자 형태로 오목하게 파이도록 형성된다. 제 1 융착부재(141c)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판부재홈(141b)과 대응하여 제 1 판부재(141a)의 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다.The first plate member groove 141b flows from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 plate member 141a to the second surface direction through the center of the first plate member 141a as shown in Fig. More specifically, the first plate member groove 141b is formed so as to be recessed in a '+' shape. The first fusing member 141c protrudes from one surface of the first plate member 141a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plate member groove 141b as shown in Fig.

제 1 판부재홈(141b)을 따라서 제 1 탭플레이트와 전극 조립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레이저 용접, 스팟 용접, 초음파 용접이 행해지고, 그에 따라 제 1 판부재돌출부(141c)가 전극조립체의 제 1 무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젤리롤 전극 탭플레이트 조립체에 있어서, 제 1 판부재(141a)는 제 1 판부재홈(141b)을 1개 이상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며, 제 1 판부재는 제 1 판부재홈에 의해 복수개의 영역으로 나눠질 수 있다. Laser welding, spot welding, and ultrasonic welding are perform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tab plate and the electrode assembly along the first plate member groove 141b so that the first plate member projecting portion 141c contacts the first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on-conductive portion. In the jelly roll electrode tab plat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late member 141a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plate member groove 141b, And can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by the plate member grooves.

제 1 판부재(141a)는 케이스 내에 본 발명에 의한 젤리롤 전극 탭플레이트 조립체를 케이스에 수용하여 전지를 조립한 이후 전해액 주입을 위한 전해질홀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first plate member 141a may include an electrolyte hole for injecting an electrolyte after the battery is assembled by housing the jelly roll electrode tab plat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case.

전해질홀(141d)은 제 1 판부재홈(141b)에 의해 구획된 제 1 판부재(141a)의 복수개의 영역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관통 형성되어 전해질이 유입될 수 있는 통로의 역할을 하며, 본 발명의 도 5에서는 제 1 전해질홀(141d)이 3개로 형성되어 있으나, 그 개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The electrolyte hole 141d is formed through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regions of the first plate member 141a partitioned by the first plate member groove 141b and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electrolyte can flow, In FIG. 5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lyte holes 141d are formed in three, but the number of the first electrolyte holes 141d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as necessary.

제 2 탭플레이트(142)은 제 2 판부재(142a), 및 상기 젤리롤 중공부와 대응하여 상기 제 2 판부재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제 2 탭플레이트 중공부(142e);를 포함한다. The second tab plate 142 includes a second plate member 142a and a second tab plate hollow portion 142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plate member corresponding to the jelly roll hollow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젤리롤 전극 탭플레이트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 2 탭플레이트는 상기 제 1 탭플레이트와 마찬가지로, 상기 젤리롤 중공부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제 2 탭플레이트 중공부(142e)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탭플레이트 중공부가 젤리롤 중공부와 연결되어 젤리롤 전극 탭플레이트 조립체를 형성함으로써 젤리롤 내부의 중공을 전지 외부까지 연결할 수 있게 된다.
In the jelly roll electrode tab plat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tab plate includes a second tab plate hollow portion 142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jelly roll hollow portion, like the first tab plate, And the second tab plate hollow portion is connected to the jelly roll hollow portion to form a jelly roll electrode tab plate assembly, so that the hollow inside the jelly roll can b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상기 제 2 판부재(142a)는 제 2 판부재홈(142b), 및 제 2 융착부재(142c) 를 포함하고, 젤리롤 형태의 전극조립체와 연결되어, 전극조립체에서 전기화학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전류를 전극탭까지 전달하기 위해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금속 전도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plate member 142a includes a second plate member groove 142b and a second fusing member 142c and is connected to an electrode assembly in the form of a jelly roll so that the electrode assembly It is preferable that the metal conductor is a metal conductor through which electric current can flow so as to transmit a current to the electrode tab.

제 2 판부재홈(142b)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판부재(142a)의 중심을 지나면서 제 2 판부재(142a)의 제 1 면으로부터 제 2 면 방향으로 유입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제 2 판부재홈(142b)은 '+'자 형태로 오목하게 파이도록 형성된다. The second plate member groove 142b flows from the first surface of the second plate member 142a to the second surface direction through the center of the second plate member 142a as shown in Figure 7, And the second plate member groove 142b is formed so as to concave in a '+' shape.

제 2 판부재돌출부(142c)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판부재홈(142b)과 대응하여 제 2 판부재(141a)의 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다. The second plate member protrusion 142c protrudes from one surface of the second plate member 141a in correspondence with the second plate member groove 142b as shown in Fig.

제 2 판부재홈(142b)을 따라서 제 2 탭플레이트와 전극 조립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레이저 용접, 스팟 용접, 초음파 용접이 행해지고, 그에 따라 제 2 판부재돌출부(142c)가 전극조립체의 제 2 무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Laser welding, spot welding, and ultrasonic welding are perform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econd tab plate and the electrode assembly along the second plate member groove 142b so that the second plate member projecting portion 142c contacts the second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on-conductive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젤리롤 전극 탭플레이트 조립체는 상기 제 1 탭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전극탭; 및 상기 제 2 탭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전극탭;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전극탭(151)은 전해질홀(141d)이 형성되지 않은 제 1 판부재(141a)에 부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젤리롤 탭 플레이트 조립체에서 생성되는 전류를 외부로 흐를수 있도록 전도체로 이루어진다. 제 2 전극탭(152)은 제 2 판부재에 부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 1 전극탭(151)과 같이 전도체로 이루어진다.
The jelly roll electrode tab plat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electrode tab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ab plate; And a second electrode tab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tab plate. The first electrode tab 15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plate member 141a on which the electrolyte hole 141d is not formed and is made of a conductor so that current generated in the jellyroll tab plate assembly can flow to the outside . The second electrode tab 152 is attached to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plate member and is made of a conductor like the first electrode tab 15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젤리롤 전극 탭플레이트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젤리롤(105)은 분리막(110), 상기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순차적이고 반복적으로 적층되는 제 1 전극(120), 및 제 2 전극(130)을 포함한다.In the jelly roll electrode tap plat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jelly roll 105 includes a separator 110, a first electrode 120 sequentially and repeatedly stacked with the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Two electrodes 130 are formed.

분리막(110)은 양극과 음극간의 접촉을 물리적으로 분리하면서 수십 나노미터 크기의 기공을 통해 이온을 통과시킴으로써 전지의 기능을 수행한다. 분리막(110)은 양극과 음극간의 접촉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활물질층(121) 및 제 2 활물질층(122)보다 넓게 형성된다.
The separator 110 physically separates the contact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battery by passing ions through pores having a size of several tens of nanometers. The separator 110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first active material layer 121 and the second active material layer 122 as shown in FIG. 4 in order to effectively prevent contact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제 1 전극(120)은 제 1 집전체층(121), 상기 제 1 집전체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되는 제 1 활물질층(122); 및 상기 제 1 집전체층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는 제 1 활물질 무지부(123)을 포함한다.The first electrode 120 includes a first current collector layer 121, a first active material layer 122 coated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first current collector layer 121, And a first active material uncoated portion 123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current collector layer and not coated with the first active material.

제 1 활물질층(122)은 제 1 집전체층(121)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될 수 있다.The first active material layer 122 may be appli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first current collector layer 121.

또한, 제 1 활물질층(122)은 제 1 집전체층(121)의 일측면에 제 1 활물질 무지부(123)를 형성하면서 제 1 집전체층(121)에 도포된다. 제 1 활물질층(122)이 도포되지 않은 제 1 무지부(12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막(110)보다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앞서 설명한 제 1 탭플레이트(141)가 상기 제 1 무지부(123)에 전기적으로 융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무지부는 앞서 설명한 제 1 탭플레이트(141)의 제 1 돌출부재(141c) 부분과 융착되며, 융착되는 과정에서 제 1 판부재(141a) 자체와도 융착될 수 있다.
The first active material layer 122 is applied to the first current collector layer 121 while forming the first active material uncoated portion 123 on one side of the first current collector layer 121. The first uncoated portion 123 not coated with the first active material layer 122 is formed to protrude to one side of the separator 110 as shown in FIG. 4, and the first tab plate 141, And is electrically fused to the non-coated portion 123. More specifically, the first non-coated portion may be fused with the first protruding member 141c of the first tab plate 141 described above and may be fused with the first plate member 141a itself in the process of fusing.

제 2 전극(130)은 제 2 집전체층(131), 상기 제 2 집전체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되는 제 2 활물질층(132), 및 상기 제 2 집전체층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는 제 2 활물질 무지부(133)을 포함한다.The second electrode 130 may include a second current collector layer 131, a second active material layer 132 coated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layer, and a second current collector layer 132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layer. And a second active material uncoated portion 133 to which the second active material is not applied.

제 2 활물질 무지부(13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막(110)보다 타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앞서 설명한 제 2 탭플레이트(142)가 상기 제 2 무지부(133)에 전기적으로 융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2 무지부는 앞서 설명한 제 2 탭플레이트(142)의 제 2 돌출부재(142c) 부분과 융착되며, 융착되는 과정에서 제 2 판부재(142a) 자체와도 융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second active material uncoated portion 133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ther side of the separator 110, and the second tab plate 142 described abov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non-coated portion 133 do.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unprinted portion may be fused with the second protruding member 142c of the second tab plate 142 described above, and may be fused with the second plate member 142a itself in the process of fusion.

전술한 제 1 전극(120) 및 제 2 전극(130)은 분리막(110)을 사이에 두고 양면에 적층되며, 이때 제 1 집전체층(121)의 제 1 활물질 무지부(123)는 상기 제 1 집전체층의 상부에 형성되고, 제 2 집전체층(131)의 제 2 활물질 무지부 (133)는 상기 제 2 집전체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이후 탭플레이트와 전극조립체를 연결시키기 위해 바람직하다. 젤리롤 전극조립체의 활물질 무지부와 탭플레이트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연결을 위하여 제 1 활물질 무지부(123)는 분리막(110)의 일측면으로부터 외주면으로 연장형성되고, 제 2 활물질 무지부(133)는 분리막(110)의 타측면으로부터 외주면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electrode 120 and the second electrode 130 are stacked on both sides of the separator 110 with the first active material uncoated portion 123 of the first current collector layer 121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second active material uncoated portion 133 of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layer 131 is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layer, desirable. The first active material uncoated portion 123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separator 110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econd active material uncoated portion 133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separator 110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 safe and efficient connection of the active material non- Is preferably formed to extend from the other side of the separation membrane 110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또한, 제 1 활물질층(121)과 제 2 활물질층(131) 중 넓게 형성된 어느 하나가 음극으로 사용되며, 본 발명에서는 제 2 전극(130)이 음극에 해당한다.
Any one of the first active material layer 121 and the second active material layer 131 may be used as a negative electrod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electrode 130 corresponds to a negative electrode.

본 발명에 의한 젤리롤 전극 탭플레이트 조립체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jelly roll electrode tap plat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먼저, 제 1 단계로 분리막, 상기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순차적이고 반복적으로 적층되는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이 중심부에 젤리롤 중공부를 형성하면서 권취하여 중공형 젤리롤을 형성한다. First, in a first step, a separator,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which are sequentially and repeatedly stacked with the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are wound up while forming a jellyroll hollow portion at the center thereof to form a hollow jellyroll.

이후, 제 1 탭플레이트 및 제 2 탭플레이트를 준비하고, 상기 중공형 젤리롤의 제 1 면에서 상기 제 1 탭플레이트의 제 1 탭플레이트 중공부를 상기 젤리롤 중공부와 대응하게 위치시키고, 상기 제 1 탭플레이트의 제 1 판부재 홈 부분을 전기 용접하여 상기 제 1 판부재 돌출부가 상기 젤리롤의 제 1 활물질 무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Thereafter, a first tab plate and a second tab plate are prepared, the first tab plate hollow portion of the first tab plate is positioned correspondingly to the jelly roll hollow portion on the first surface of the hollow jellyroll, The first plate member groove portion of the first tab plate is electrically weld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plate member projecting portion to the first active material uncoated portion of the jelly roll.

이후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젤리롤의 제 2 면에서 상기 제 2 탭플레이트의 제 2 탭플레이트 중공부를 상기 젤리롤 중공부와 대응하게 위치시키고, 상기 제 2 탭플레이트의 제 2 판부재 홈 부분을 전기 용접하여 상기 제 2 판부재 돌출부가 상기 젤리롤의 제 2 활물질 무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젤리롤 전극 탭플레이트 조립체를 제조하게 된다.
Thereafter, the second tab plate hollow portion of the second tab plate is positioned correspondingly to the jellyroll hollow portion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jellyroll in the same manner, and the second plate member groove portion of the second tab plate is welded And the second plate member protrus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active material uncoated portion of the jelly roll, thereby manufacturing the jellyroll electrode tab plate assembly.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nged.

100 : 젤리롤 조립체
105 : 젤리롤
110 : 분리막
120 : 제 1 전극
121 : 제 1 집전체층
122 : 제 1 활물질층
123 : 제 1 활물질 무지부
130 : 제 2 전극
131 : 제 2 집전체층
132 : 제 2 활물질층
133 : 제 2 활물질 무지부
140 : 탭판조립체
141 : 제 1 탭판
141a : 제 1 판부재
141b : 제 1 판부재홈
141c : 제 1 융착부재
141d : 제 1 전해질홀
141e : 제 1 삽입홀
142 : 제 2 탭판
142a : 제 2 판부재
142b : 제 2 판부재홈
142c : 제 2 융착부재
142d : 제 2 삽입홀
150 : 전극탭
151 : 제 1 전극탭
152 : 제 2 전극탭
100: jelly roll assembly
105: Jelly roll
110: Membrane
120: first electrode
121: 1st collecting layer
122: first active material layer
123: first active material uncoated portion
130: second electrode
131: 2nd collecting layer
132: second active material layer
133: Second active material uncoiled portion
140:
141: first tab plate
141a: first plate member
141b: first plate member groove
141c: first fusing member
141d: first electrolyte hole
141e: first insertion hole
142: second tab plate
142a: second plate member
142b: second plate member groove
142c: second fusing member
142d: second insertion hole
150: electrode tab
151: first electrode tab
152: second electrode tab

Claims (17)

분리막, 상기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순차적이고 반복적으로 적층되는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이 중심부에 젤리롤 중공부를 형성하면서 권취된 젤리롤;
상기 젤리롤의 상부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젤리롤 중공부와 대응하는 제1 플레이트 중공부가 중심부에 형성되는 제1 판부재;
상기 제 1 판부재의 제 1 면으로부터 제 2 면 방향으로 유입되는 제 1 판부재홈;
상기 제 1 판부재홈과 대응하여 상기 제 1 판부재의 제 2 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제 1 판부재돌출부;
상기 젤리롤의 하부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젤리롤 중공부와 대응하는 제2 플레이트 중공부가 중심부에 형성되는 제2 판부재;
상기 제2 판부재의 제1 면으로부터 제2 면 방향으로 유입되는 제2 판부재홈;
상기 제2 판부재홈과 대응하여 상기 제2 판부재의 제2 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제2 판부재돌출부;
상기 제 1 판부재에 부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극탭; 그리고,
상기 제2 판부재에 부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극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전극은 제 1 집전체층과, 상기 제 1 집전체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되는 제1 활물질층과, 상기 제 1 집전체층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는 제1 활물질 무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전극은 제2 집전체층과, 상기 제1 활물질층의 넓이보다 더 넓게 상기 제 2 집전체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되는 제2 활물질층과, 상기 제2 집전체층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는 제2 활물질 무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활물질 무지부는 상기 제 1 집전체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막의 일측면으로부터 외주면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 2활물질 무지부는 상기 제 1 집전체층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막의 타측면으로부터 외주면으로 연장형성되는 젤리롤 전극 탭플레이트 조립체.
A jelly roll wound around the separator,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sequentially and repeatedly stacked with the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forming a jelly roll hollow in the center;
A first plate memb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jellyroll roll, the first plate member having a central hollow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jellyroll hollow portion;
A first plate member groove that flows in from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 plate member toward the second surface;
A first plate member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second surface of the first plate member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plate member groove;
A second plate memb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jelly roll, wherein a second plate hollow corresponding to the jelly roll hollow is formed at the center;
A second plate member groove that is introduced from the first surface of the second plate member toward the second surface;
A second plate member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second surface of the second plate member in correspondence with the second plate member groove;
A first electrode tab attached to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plate member; And,
And a second electrode tab attached to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plate member,
Wherein the first electrode comprises a first current collector layer, a first active material layer coated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first current collector layer, and a second current collector layer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current collector layer, A first non-active material uncoated portion,
Wherein the second electrode comprises a second current collector layer and a second active material layer coated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layer so as to be wider than the first active material layer; And a second active material uncoated portion in which the second active material is not applied,
Wherein the first active material uncoated portion is formed on the first current collector layer and extends from one sid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parator,
Wherein the second active material uncoated portion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current collector layer and extends from the other side of the separator to an outer peripheral surf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부재는 전해액 주입을 위한 제 1 전해질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롤 전극 탭플레이트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plate member comprises a first electrolyte hole for injecting an electrolyte solu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071943A 2014-06-13 2014-06-13 A jelly roll tap plate assembly,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6505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943A KR101650557B1 (en) 2014-06-13 2014-06-13 A jelly roll tap plate assembly,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01580000636.9A CN105580183A (en) 2014-06-13 2015-06-11 Electrochemical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PCT/KR2015/005890 WO2015190848A1 (en) 2014-06-13 2015-06-11 Electrochemical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15771497.3A EP3157088A4 (en) 2014-06-13 2015-06-11 Electrochemical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4/783,085 US20160141736A1 (en) 2014-06-13 2015-06-11 Electrochemical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943A KR101650557B1 (en) 2014-06-13 2014-06-13 A jelly roll tap plate assembly,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3030A KR20150143030A (en) 2015-12-23
KR101650557B1 true KR101650557B1 (en) 2016-09-12

Family

ID=55082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1943A KR101650557B1 (en) 2014-06-13 2014-06-13 A jelly roll tap plate assembly,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055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9054B1 (en) * 2016-06-28 2024-0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Rechargeable battery
KR102410911B1 (en) * 2017-10-11 2022-06-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2466850B1 (en) * 2018-10-05 2022-11-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Rechargeable battery
KR102420876B1 (en) * 2021-08-20 2022-07-14 주식회사 유로셀 Jelly roll and current collector plate assembly for secondary cell
KR20230039264A (en) * 2021-09-14 2023-03-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EP4350873A1 (en) * 2021-11-19 2024-04-10 LG Energy Solution, Ltd. Electrode assembly, battery,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same
SE545951C2 (en) * 2022-02-16 2024-03-26 Northvolt Ab An electrode roll, an electrode disc and a cylindrical secondary cel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2330A (en) * 1996-10-08 1998-04-28 Nissan Motor Co Ltd Cylindrical battery and battery assembly using the battery
KR100684740B1 (en) * 2006-10-30 2007-0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Secondary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3030A (en) 2015-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0557B1 (en) A jelly roll tap plate assembly,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808922B2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JP7484992B2 (en) Energy storage element
US6379840B2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KR102085343B1 (en)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module
JP4672678B2 (en) Battery module
KR102051109B1 (en) Battery Module
KR101255171B1 (e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3155226A (en) Integral battery tab
JP7446444B2 (e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disconnection prevention lay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326069B1 (en) Cap Assembly of Improved Productivity and Cylindrical Battery Cell Employed with the Same
KR101781826B1 (en)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Having Two More Cathode and Anode Tabs
KR20160019016A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fuse
KR20200024249A (en) Battery cell
CN111902968A (en)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1393643B2 (en) Electrochemical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CN116387638A (en) Cylindrical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174919B1 (en)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KR20150039381A (e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50045623A (en)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KR20220011030A (en) The pressing pad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KR102335696B1 (en) The Current Interrupt Device And The Cap Assembly
KR101810269B1 (en) The secondary battery with increased bonding strength between electrode assembly and the battery case
CN219591473U (en) Cylindrical battery
US11315743B2 (en) Method of producing electrochemical device using two welding electrodes to weld lead pl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