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0125B1 - 이동용 접이식 거치대 - Google Patents

이동용 접이식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0125B1
KR101650125B1 KR1020140170850A KR20140170850A KR101650125B1 KR 101650125 B1 KR101650125 B1 KR 101650125B1 KR 1020140170850 A KR1020140170850 A KR 1020140170850A KR 20140170850 A KR20140170850 A KR 20140170850A KR 101650125 B1 KR101650125 B1 KR 101650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mounting portion
posture
mounting par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0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6455A (ko
Inventor
우창봉
Original Assignee
우창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창봉 filed Critical 우창봉
Priority to KR1020140170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125B1/ko
Publication of KR20160066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1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with a part resting on the floor and another leaning on the pers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거치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거치되는 거치부, 거치부를 자세 변경 가능하게 연결 지지하는 연결부재, 연결부재가 지지되며 지지면에 대해 높이 조절 가능한 한 쌍의 받침유닛 및, 거치부를 연결부재에 대해 자세 조정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자세 조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접이식 거치대가 게시된다.

Description

이동용 접이식 거치대{FORTABLE AND FOLDABLE LEAVING STAND}
본 발명은 이동용 접이식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이나 책 등을 거치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장소 및 자세로 볼 수 있도록 하는 이동용 접이식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게임기, 태블릿 PC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사람들은 이러한 전자기기를 적어도 한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오랜 시간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어 불편함이 있으며, 자세도 자유롭게 하지 못하여 오랜 시간 전자기기를 보게 되며, 목디스크나 척추 디스크 등 신체에 안 좋은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어린아이나 청소년 등과 같이 오랜 시간 스마트폰을 보는 경우에는 나쁜 자세가 굳어지게 되어 보다 안 좋은 영향을 주게 된다.
한편,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오랜 시간 동영상을 보는 경우에는, 스마트폰 등을 바닥이나 책상 등에 내려놓고 보게 되는데, 이 경우에도 시선이 아래로 가게 되어 있어서 오랜 시간 보는데 어려움이 있게 된다. 특히, 바닥이나 침대 등에 누워서 스마트폰을 보는 경우도 많은데, 이 경우에도 오랜 시간 스마트폰을 손으로 잡고 보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전자기기에 국한되지 않고, 책을 볼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어려움이 있다. 즉, 책상에 않아서 책 받침대에 책을 올려놓고 보는 경우 이외에, 손으로 잡고 봐야 하는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자세의 불편함과, 손을 자유롭게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154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이동이 가능하고, 다양한 자세에서 전자기기나 책 등을 거치하여 볼 수 있는 이동용 접이식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식 접이식 거치대는, 거치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거치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를 자세 변경 가능하게 연결 지지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가 지지되며 지지면에 대해 높이 조절 가능한 한 쌍의 받침유닛; 및 상기 거치부를 상기 연결부재에 대해 자세 조정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자세 조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거치부는, 판형의 거치부 몸체와; 상기 거치부 몸체에 설치되는 마그네트; 및 상기 거치부 몸체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재가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한 쌍이 구비되며, 각각의 일단은 상기 거치부의 연결축부에서 상기 자세 조정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받침부재의 상단에 연결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자세 조정부재는, 상기 연결축부를 통과하여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부재; 및 상기 볼트부재의 헤드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레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볼트부재의 결합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받침유닛은, 지지면에 닿아 지지되는 베이스부재; 상단이 상기 연결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호 결합되며 하부로 갈수록 서로 간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절곡 연장된 한 쌍의 상부 고정부재; 및 상기 상부 고정부재 각각의 하단과 상기 베이스부재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링크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링크부재를 상하로 접철되거나 펼쳐지도록 한 뒤 자세 고정시켜 상기 거치부의 높이를 조절 가능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며, 판형의 거치부 몸체와; 상기 거치부 몸체와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거치부 몸체와의 사이에 놓인 대상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전면커버부; 및 상기 전면커버부와 상기 거치부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이동용 접이식 거치대에 따르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책 등을 거치하여 두고 다양한 각도 및 자세로 변경하여 볼 수 있다.
또한, 거치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연령대가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자세에서 대상물을 거치한 상태로 볼 수 있다.
또한, 간단하게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고, 구조가 간단하므로 휴대가 가능하여 쉽게 이동 및 휴대하여 원하는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접이식 거치대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거치부를 발췌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서 거치부와 연결부재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자세 조정부재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 각각은 거치부를 다양한 자세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받침유닛을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받침유닛을 다양한 형태로 변형시켜 사용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거치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접이식 거치대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접이식 거치대(100)는 거치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거치되는 거치부(110)와, 상기 거치부(110)를 자세 변경 가능하게 연결 지지하는 연결부재(120)와, 상기 연결부재(120)가 지지되며 지지면에 대해 높이 조절 가능한 한 쌍의 받침유닛(130) 및 자세 조정부재(140)를 구비한다.
상기 거치부(110)는 판형의 거치부 몸체(111)와, 거치부 몸체(111)에 설치되는 마그네트(113) 및 거치부 몸체(111)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재(120)가 연결되는 연결축부(115)를 구비한다.
상기 거치부 몸체(111)는 판 형상을 가지며, 금속재질 또는 플라스틱 등의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 몸체(111)에는 마그네트(113)가 설치된다. 이 마그네트(113)는 판형 구조를 가지며, 거치부 몸체(111) 내부에 삽입되게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거치부 몸체(111)의 표면에 접착제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 몸체(111)에 마그네트 장착부(111a)가 인입되게 형성되고, 그 장작부(111a)에 마그네트(113)가 삽입되어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축부(115)는 거치부 몸체(111)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후단부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거치부 몸체(111)에는 연결부재(120)가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축공(115a)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120)는 한 쌍이 구비되며, 각각은 거치부 몸체(111)의 연결축부(11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결부(121)와, 타단에 마련되어 상기 받침유닛(13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부(123)를 구비한다.
연결부재(120)는 대략 사각 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 일단에 마련되는 제1연결부(121)는 그 단부로부터 인입 형성된 나사홀로서, 후술할 자세 조정부재(140)가 연결축부(115)의 축공(115a)을 통과하여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제2연결부(123)는 연결부재(120)의 타단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받침유닛(130)과 축볼트(132)에 의해 결합되어, 그 축볼트(132)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축볼트(132)가 결합되는 구멍을 포함한다. 따라서 축볼트(132)를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연결부재(120)를 회동시켜 자세를 변경한 후, 축볼트(132)를 조이게 되면, 자세 변경된 상태로 연결부재(12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받침유닛(130)은 한 쌍이 구비되며, 각각은 연결부재(120)의 타단과 결합되어 연결부재(120)를 지지면으로부터 원하는 높이에 위치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받침유닛(130)은 높낮이 조절 가능한 접철구조를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각 받침유닛(130)은 지지면에 닿아 지지되는 베이스부재(131)와, 상단이 상기 연결부재(120)를 사이에 두고 상호 결합되며 하부로 갈수록 서로 간격이 벌어지도록 절곡 연장된 한 쌍의 상부 고정부재(133)와, 상기 상부 고정부재(133) 각각의 하단과 상기 베이스부재(131)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링크부재들(135,136)을 구비한다.
베이스부재(131)와 상부 고정부재(133) 및 링크부재(135,136)는 봉 형상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사각 단면구성을 가지는 것이 좋다. 이러한 구성의 받침유닛(130)은 금속재질 또는 플라스틱 등의 수지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재(131)는 지지면 즉, 바닥에 닿는 부분으로서, 수평상태로 유지되며, 그 양단 각각에 링크부재(135,136)가 각도 조절 가능하게 링크 연결된다.
한 쌍의 상부 고정부재(133)는 연결부재(120)와 연결되는 상단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며, 하부로 갈수록 그 간격이 벌어지도록 절곡되어 연장된 구성을 가진다. 즉, 상부 고정부재(133)의 상단은 연결부재(120)와 축볼트(132)에 의해 결합되며, 축볼트(132)를 조이거나 풀어서 연결부재(120)의 연결각도를 조절할 서 있게 된다.
그리고 상부 고정부재(133)의 하단과 베이스부재(131) 사이에 각각 복수의 링크부재들(135,136)을 서로 링크 연결하여 상호 접철되거나 펼쳐지게 되어 높이 조절 가능하게 조립된다. 링크부재들(135,136)간의 연결은 물론, 링크부재들(135,136)과 베이스부재(131) 및 상부 고정부재(133) 간의 연결도 조임볼트(137)에 의해 조여지거나 조임이 풀릴 수 있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조임볼트(137)를 풀어서 링크부재들(135,136)을 펼쳐지게 하거나 접히게 조절하여 전체적인 높이를 원하는 높이로 조절한 후, 조임볼트(137)를 다시 조이면 높이 조절된 상태로 자게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받침유닛(130)을 복수의 링크부재들(135,136)을 이용하여 접철가능한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높이 조절 가능한 다양한 공지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자세 조정부재(140)는 거치부(110)를 연결부재(120)에 대해 회전시켜서 자세 조정한 후, 자세 고정시킬 수 있도록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자세 조정부재(140)의 일예로서, 일단에 볼트부재(141)와, 볼트부재(141)의 헤드(141b)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레버부재(143)를 구비한다.
볼트부재(141)는 나사부(141a)와, 나사부(141a)가 연결되는 헤드(141b)를 가진다. 나사부(141a)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축부(115)의 축공(115a)을 통과하여 연결부재(120)의 제1연결부(121)에 스크류 결합된다.
그리고 헤드(141b)에는 레버부재(143)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홀이 형성되며, 그 결합홀에 레버부재(143)를 연결한 상태로, 레버부재(143)를 회전시켜서 볼트부재(141)를 조이거나, 느슨하게 풀어서 연결부재(120)와 거치부(110) 간의 체결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볼트부재(141)를 초기에 연결하여 조일 때에는 레버부재(143)를 분리한 상태로 헤드(141b)를 회전시켜서 조이고, 거의 조여진 상태에서 완전하게 조여지기 전에 레버부재(143)를 헤드(141b)에 연결하여 레버부재(143)를 소위 지렛대 원리에 의해 작은 힘으로 회전시켜서 볼트부재(141)를 강하제 조여서 고정하거나, 고정된 상태를 느슨하게 풀 수 있다. 즉, 도 5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상태를 풀린 상태로서, 이 상태에서는 거치대(110)를 회전시켜 자세를 원하는 자세로 변경할 수 있으며, 자세 변경 후에는 다시 레버부재(143)를 이용하여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시키면 볼트부재(141)가 완전하게 조여져서 거치부(110)를 자세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볼트부재(141)의 회전에 의해 조임력을 보다 강화시킬 수 있도록 연결축부(115)에 접하는 헤드(141b)의 접촉면은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접이식 거치대(100)에 의하면, 거치부(110)에 스마트폰(10) 등을 거치하면 거치부(110)에 마련된 마그네트(113)에 의해 스마트폰(10) 등의 전자기기가 원하는 자세로 밀착되어 지지된다. 이때, 스마트폰(10)의 케이스에 별도로 판 형의 마그네트를 설치할 경우 거치부(10)에 더욱 견고하게 자력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거치부(110)에 스마트폰(10) 등의 전자기기를 부착한 상태에서, 거치부(110)의 자세를 자세 조정부재(140)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즉,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110)에 거치된 스마트폰(10)의 화면이 전방 즉, 수평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면, 사용자가 앉은 자세에서 스마프폰(10)의 화면을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110)를 도 6a의 상태에서 대략 90도 각도 회전시켜서 스마트폰(10)의 화면이 하방향으로 향하도록 자세를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스마트폰(10)을 화면을 볼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는 자유로운 자세로 스마트폰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받침부재(130)를 이용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거치부(110)에 거치된 스마트폰(10)의 화면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부재들(135,136)을 완전히 펼쳐서 고정할 경우, 거치부(110)를 최대한 지면에서 높은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않은 자세에서 대략 눈높이에 위치시켜 스마트폰(10)의 화면을 고개를 숙이지 않고도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링크부재들(135,136)을 자유롭게 자세 변경시켜서 거치부(1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부재(135,136)의 자세를 변경시킴으로써, 거치부(110)의 위치를 변경함은 물론, 거치대(100)의 외형도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거치부(110)의 자세를 다양하게 하여 앉은 자세에서 거치부(110)에 거치된 스마트폰(10)을 보거나, 도 6b와 같이 거치부(110)를 회전시킨 상태에서는 누운 자세에서도 스마트폰(10)을 볼 수 있게 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거치대(100)의 경우에는 구조가 간단하고 분해 및 조립이 간편하므로, 이동 및 휴대가 가능하므로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10 및 도 11은 거치부(210)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거치부(10)는 연결부재에 연결되며 판형상을 가지는 거치부 몸체(211)와, 상기 거치부 몸체(211)와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연결되며 거치부 몸체(211)와의 사이에 놓인 대상물(30)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전면커버부(213) 및, 전면커버부(213)와 거치부 몸체(211)를 연결하는 연결부(215)를 구비한다.
거치부몸체(211)에는 연결부재가 연결되는 연결축부(217)가 설치되어, 앞서 도 2를 통해 설명한 거치부(110)와 마찬가지로 연결부재(120)가 연결축부(217)에 동일한 방법에 의해 연결되고, 자세 조정부재(140)에 의해 자세 조절 가능하게 된다.
전면커버부(213)는 연결부(215)에 의해 그 하단이 거치부몸체(211)의 하단과 연결되고, 거치부몸체(211)와는 소정 간격을 두도록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전면커버부(213)는 아크릴 등의 투명한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거치부몸체(211)와의 사이에 거치되는 대상물(30)을 전면커버부(213)를 통해 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대상물(30)은 책이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거치부(210)는 독서대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물론, 거치부(210)에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을 놓고 볼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스마트폰 100..이동용 접이식 거치대
110..거치부 120..연결부재
130..받침유닛 140..자세 조정부재

Claims (6)

  1. 거치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거치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를 자세 변경 가능하게 연결 지지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가 지지되며 지지면에 대해 높이 조절 가능한 한 쌍의 받침유닛; 및
    상기 거치부를 상기 연결부재에 대해 자세 조정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자세 조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판형의 거치부 몸체와;
    상기 거치부 몸체에 설치되는 마그네트; 및
    상기 거치부 몸체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재가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축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세 조정부재는,
    상기 연결축부를 통과하여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부재; 및
    상기 볼트부재의 헤드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레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볼트부재의 결합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접이식 거치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한 쌍이 구비되며, 각각의 일단은 상기 거치부의 연결축부에서 상기 자세 조정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받침유닛의 상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접이식 거치대.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유닛은,
    지지면에 닿아 지지되는 베이스부재;
    상단이 상기 연결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호 결합되며 하부로 갈수록 서로 간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절곡 연장된 한 쌍의 상부 고정부재; 및
    상기 상부 고정부재 각각의 하단과 상기 베이스부재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링크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링크부재를 상하로 접철되거나 펼쳐지도록 한 뒤 자세 고정시켜 상기 거치부의 높이를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접이식 거치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며, 판형의 거치부 몸체와;
    상기 거치부 몸체와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거치부 몸체와의 사이에 놓인 대상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전면커버부; 및
    상기 전면커버부와 상기 거치부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접이식 거치대.




KR1020140170850A 2014-12-02 2014-12-02 이동용 접이식 거치대 KR101650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850A KR101650125B1 (ko) 2014-12-02 2014-12-02 이동용 접이식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850A KR101650125B1 (ko) 2014-12-02 2014-12-02 이동용 접이식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455A KR20160066455A (ko) 2016-06-10
KR101650125B1 true KR101650125B1 (ko) 2016-08-22

Family

ID=56190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0850A KR101650125B1 (ko) 2014-12-02 2014-12-02 이동용 접이식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012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406Y1 (ko) * 2000-03-15 2000-08-16 조은정보시스템주식회사 각도 조정이 가능한 자석식 핸드폰 거치대
KR101038917B1 (ko) * 2011-02-23 2011-06-03 정선근 컴퓨터 키보드용 이동식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8326A (ko) * 2011-06-15 2012-12-26 이봉용 버스용 스마트폰 거치대
KR20140115608A (ko) * 2013-03-21 2014-10-01 조규호 차량용 핸드폰 거치대
KR101391547B1 (ko) 2013-08-29 2014-05-27 임영철 차량용 휴대폰 충전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406Y1 (ko) * 2000-03-15 2000-08-16 조은정보시스템주식회사 각도 조정이 가능한 자석식 핸드폰 거치대
KR101038917B1 (ko) * 2011-02-23 2011-06-03 정선근 컴퓨터 키보드용 이동식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455A (ko) 2016-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4830B2 (en) Holder for tablet personal computer
TWI524770B (zh) 支撐裝置
CN103016918B (zh) 显示器支撑架
CN202647104U (zh) 一种可调整角度的平板电脑用支架
US20120307441A1 (en) Keyboard dock and computer system
US9062811B2 (en) Support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CN103914273A (zh) 显示装置
WO2008126189A1 (ja) スタンドおよび電子機器システム
TW201332355A (zh) 平板式顯示裝置之支撐架結構
TW200724004A (en) Support apparatus
CN103511803A (zh) 一种可折叠电子产品支架
CN203202530U (zh) 可调整倾斜角的平板电脑架
KR101650125B1 (ko) 이동용 접이식 거치대
CN203703537U (zh) 万向支架
KR200485749Y1 (ko) 설치각도 가변형 이젤
CN203309460U (zh) 一种用于手机或平板电脑支架的连接管
KR200467039Y1 (ko) 크기 조절 기능이 구비된 단말기 거치대
KR200470995Y1 (ko)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
CN204292415U (zh) 便携式电子设备保护套
US20150041244A1 (en) Universal Tablet Holder
US20150144672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CN104571301A (zh) 平板电脑基座
KR20150144476A (ko) 평면모니터용 스마트폰 거치대
CN203979799U (zh) 电子产品支撑组合架
CN202698079U (zh) 显示装置的保护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