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391B1 -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의 무선 핸드오버 동안 자원을 절감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의 무선 핸드오버 동안 자원을 절감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391B1
KR101649391B1 KR1020117027442A KR20117027442A KR101649391B1 KR 101649391 B1 KR101649391 B1 KR 101649391B1 KR 1020117027442 A KR1020117027442 A KR 1020117027442A KR 20117027442 A KR20117027442 A KR 20117027442A KR 101649391 B1 KR101649391 B1 KR 101649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ssion
network
mobile device
service
technolo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7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2979A (ko
Inventor
샤하브 엠. 세이디
웨인 더블유. 발란타인
Original Assignee
구글 테크놀로지 홀딩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12451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64939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구글 테크놀로지 홀딩스 엘엘씨 filed Critical 구글 테크놀로지 홀딩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20022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2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2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8Reselection control by fixed network equipment
    • H04W36/385Reselection control by fixed network equipment of the cor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04W36/00698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using different RA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를 제1 네트워크 기술로부터 제2 네트워크 기술로 핸드오버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이 방법은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에 의해 다중 기술 무선 서비스 지역 내의 제1 무선 네트워크에서 제1 패킷 세션을 개시하는 단계, 및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에 의해 제1 무선 네트워크와 상이한 액세스 네트워크 기술을 지원하는 제2 무선 네트워크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또한 세션에 의해 지원되는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품질 요건을 확인하는 단계, 제1 세션이 제1 무선 네트워크 및 모바일 장치에 의한 QoS에 민감한 서비스 및 실시간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때,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에 의해 제2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제2 세션에 대한 초기 네트워크 진입 및 세션 설정 절차를 완료하는 단계, 및 어떤 QoS에 민감한 서비스 및 실시간 서비스도 모바일 장치 및 제1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지원되지 않을 때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에 의해 초기 네트워크 진입 및 세션 설정 절차를 완료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의 무선 핸드오버 동안 자원을 절감하는 방법{METHOD FOR CONSERVING RESOURCES DURING WIRELESS HANDOVER OF A MULTI-MODE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에 대한, 특히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품질 요건에 기초하여 서비스 제공 네트워크로부터 상이한 무선 기술을 사용하는 대상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완료하기 전에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에 의해 개시되는 네트워크 진입 및 세션 설정 절차에 있어서의 기술 상호간 핸드오버(intertechnology handover)에 관한 것이다.
통신사업자가, GSM, cdma2000, HRPD, UMTS 등을 포함하는 그의 기존의 2G 및 3G 네트워크와 함께, LTE 및 WiMAX와 같은 4G 무선 광대역 네트워크를 배포하기 시작함에 따라 이중 기술 무선 네트워크가 더 보편화되고 있다. 이들 이중 기술 네트워크는 무선 통신사업자의 네트워크 서비스 범위를 확장하기 위해 2G/3G 네트워크와 나란히, 특정 영역에서의 용량을 추가하기 위해 기존의 2G/3G 네트워크와 중복하는 4G 네트워크로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4G 네트워크의 형태로 배포될 수 있다. 이중 기술 네트워크의 일부 예는 LTE-HRPD, WiMAX-HRPD 네트워크, WiMAX-GERAN/UTRAN 네트워크, 3GPP2, WiMAX-WiFi 네트워크, 및 기타를 포함한다. 이들은 또한 공동 WiMAX-LTE 액세스 네트워크와 같은 이중 기술 4G 네트워크도 포함할 수 있다.
이중 기술 네트워크가 제공하는 확장된 네트워크 서비스 범위 및 네트워크 용량을 이용하기 위해, 다수의 공중 인터페이스 기술을 지원할 수 있는 이중 기술 모드/다중 기술 모드 모바일 장치(MS)가 필요하다. 이중 기술 무선 네트워크가 배포될 때, 무선 네트워크 통신 사업자는 핸드오버를 사용하는 단일 기술 네트워크에서 현재 이용가능한 그의 이중 기술 네트워크를 통해 고객에게 세션 연속성을 제공할 방법을 찾고 있다. 이것은 다중모드 MS 및 이기종 공동 액세스 네트워크(heterogeneous joint access network)에서 기술 상호간 핸드오버 지원을 필요로 한다. 서비스 제공 기술 네트워크에서의 열화하는 무선 조건, 이기종 네트워크 간의 부하 분산, 서비스 제공 네트워크에서의 일시적인 서비스 중단, 이중 모드 MS에 대한 통신사업자 정책, 높은 대역폭, 낮은 비용으로 인한 한 기술 네트워크 대 다른 기술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기본 설정, 또는 기타 이유로 인해, 기술 상호간 핸드오버가 필요하게 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네트워크에 의해 지원되는 패킷 세션은 하나 이상의 패킷 유형 서비스를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흐름' 또는 '서비스 인스턴스'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이들은, 예를 들어, 대기시간 지연이 허용될 수 없는 비디오 스트리밍, 게임, VoIP(voice over IP) 및 기타 실시간 서비스와 같은 서비스 품질(QoS)에 민감한 응용, 및 사용자 경험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고 대기시간 지연이 허용될 수 있는 낮은 QoS 요건을 갖는 이메일, 웹 브라우징, 또는 인스턴트 메시징과 같은 응용을 포함할 수 있다. 세션 연속성은 서비스 제공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또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이한 무선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는 대상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또는 네트워크 노드로의 핸드오버 동안에 기존의 패킷 데이터 세션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사용자 이동 동안에 기존의 패킷 데이터 세션의 세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패킷 세션이 현재의 서비스 제공 노드로부터 대상 노드로 핸드오버되어야만 한다. 기술 상호간 핸드오버의 경우에, 핸드오프에 관여된 서비스 제공 노드 및 대상 노드는 2가지 상이한 공중 인터페이스 기술 또는 RAT(radio access type, 무선 액세스 유형) 및 네트워크 표준 또는 기술을 지원한다. 따라서, 핸드오버 이전에, 새로운 세션이 먼저 설정되고, 패킷 세션이 대상 네트워크에서 설정되어야만 한다.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호 설정, 초기 네트워크 진입 또는 세션 등록은 모바일 장치와 네트워크 사이의 인증, 허가, 및 패킷 세션 등록 절차를 포함한다. 동종 기술 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는, 모바일 장치의 패킷 세션을 소스 또는 서비스 제공 노드로부터 대상 노드로 이동시키는 것을 최적화하기 위해, 표준화된 핸드오버 시그널링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기술 상호간 핸드오버 시그널링 프로토콜이 지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기술 상호간 핸드오버, 즉 서비스 제공 기술 네트워크로부터 이기종 대상 기술 네트워크로 패킷 데이터 세션을 핸드오버하는 것은, 모바일 장치와 서비스 제공 노드 사이에 활성인 패킷 세션이 제2 이기종 기술 노드로 핸드오프될 수 있기 전에, 먼저 대상 네트워크에서 초기 네트워크 진입 절차가 완료될 것을 필요로 한다.
기술 상호간 핸드오버 시에 대상 기술 노드에서 초기 네트워크 진입 절차를 완료하는 것은 시간이 걸리며, 그 결과 기술 상호간 핸드오버 동안 타당하지 않은 대기시간 지연 및 잠재적인 패킷 손실이 있게 된다. 모바일 장치 및 대상 기술 네트워크에 의해 지원되는 공중 인터페이스기술에 따라, 초기 네트워크 진입 절차의 완료는 달성하는 데 몇 초가 걸릴 수 있다. QoS에 민감한 실시간 서비스로 이루어진 패킷 데이터 세션을 핸드오프할 때 이들 지연이 타당하지 않다.
기술 상호간 핸드오버 동안 대기시간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중 또는 다중 기술 서비스 지역에 있는 다중 기술 모드 모바일 장치는 서비스 제공 기술 네트워크로부터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계속 수신하면서 기술 상호간 핸드오버가 실제로 필요하기 전에 대상 기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진입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다중모드 MS는 초기 네트워크 진입 절차를 완료하고 새로운 패킷 세션을 설정하기 위해 대상 기술 네트워크에 고유한 공중 인터페이스 시그널링을 통해 대상 기술 네트워크와 통신하면서 서비스 제공 네트워크를 통해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계속 수신한다. 따라서, 패킷 세션이 설정되고, 핸드오버가 필요할 때까지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에 대한 대상 기술 네트워크에서 패킷 세션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자원이 할당되고 '예약'된다. 기술 상호간 핸드오버가 필요하게 되거나 요구될 때, 기술 상호간 핸드오버 시에 대상 기술 네트워크에서 초기 네트워크 진입 절차 및 패킷 세션 설정을 완료해야만 하기보다는, 사용자의 서비스가 단지 서비스 제공 기술 노드로부터 대상 기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전 구성된 패킷 세션으로 이동되며, 그 결과 다른 방식으로 가능한 것보다 기술 상호간 핸드오버 동안 매끄러운 세션 연속성과 최소 데이터 손실이 얻어진다.
이중 또는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는 2개의 이기종 기술 노드로부터 동시에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하는 이중 수신기 회로를 포함한다. 이들 모바일 장치는 2개의 상이한 공중 인터페이스를 동시에 지원하도록 구성된 2개의 대상 노드 또는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게 하는 이중 송신기 회로를 포함한다. 이들은 또한 단일 송신기 회로를 갖는 모바일 장치를 포함하며, 이 경우 모바일 장치는 대상 네트워크로 보내지게 되어 있는 공중 인터페이스 시그널링을 그의 현재의 서비스 제공 네트워크 노드로 보내지게 되어 있는 시그널링 내에 '피기백'하거나 '캡슐화'함으로써 대상 기술 노드와 통신한다. 서비스 제공 네트워크는 이어서 서비스 제공 네트워크와 대상 네트워크 사이의 기술 상호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바일의 공중 인터페이스 시그널링을 대상 기술 네트워크로 전달한다.
대상 기술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 내에서, 특히 '중복' 유형 네트워크에서 주어진 때에 존재할 수 있는 다중모드 장치의 수가 주어진 경우, 이기종 서비스 제공 기술 네트워크에 있는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로부터의 잠재적인 기술 상호간 핸드오버를 위한 초기 네트워크 진입 절차 및 패킷 세션 사전 설정을 완료하기 위해 대상 기술 네트워크에서 소비되는 자원이 상당할 수 있다. 이 결과 대상 기술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성능의 저하 및 열화가 일어나는데, 그 이유는 대상 기술 네트워크에서 활성이거나 그 네트워크로 실제로 핸드오버하는 잠재적으로 수익을 창출할 모바일 장치에 할당될 수 있는 자원이 그 대신에 다른 서비스 제공 기술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를 받는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 - 장래의 언젠가에 대상 기술 네트워크로 핸드오버할 수도 있거나 어쩌면 전혀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 - 에 할당되기 때문이다.
장래에 있을 수도 있는 기술 상호간 핸드오버를 위해 대상 기술 네트워크에서 초기 네트워크 진입 절차가 완료되고 세션이 사전 설정되거나 예약되면, 핸드오버가 네트워크에 의해 개시되지 않는 한,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가 대상 기술 네트워크로 들어가는 핸드오버를 실제로 완료할 것이라는 보장이 없으며, 따라서 패킷 세션을 유지하는 것과 연관된 자원이 무기한으로 할당될 수도 있다. 따라서, 대상 기술 네트워크에서의 자원 요건을 최소화하면서 기술 상호간 핸드오버 동안 매끄러운 세션 연속성을 지원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
개별 도면들에 걸쳐 유사한 참조 번호가 동일하거나 기능상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고 있고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그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에 더 기술하고 다양한 원리들 및 이점들 모두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동작하는, 이중 무선 기술 서비스 범위를 갖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동작하는, 상이한 기술을 사용하는 네트워크들의 중복을 갖는 이중 기술 액세스 네트워크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기지국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당업자라면 도면에서의 구성요소가 간단 명료하도록 도시되어 있으며 반드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데 도움이 되도록 도면에서의 구성요소 중 몇몇 구성요소의 크기가 다른 구성요소에 대해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실시예가 주로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의 핸드오버 동안 무선 자원을 절감하는 방법과 관련한 방법 단계 및 장치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장치 구성요소 및 방법 단계가 적절한 경우 도면에서 종래의 심볼로 표현되어 있고, 도면은 본 명세서에서의 설명의 이점을 갖는 당업자에게 즉각 명백하게 될 상세한 내용으로 본 개시 내용을 불명료하게 하지 않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 데 관련있는 특정의 상세만을 도시하고 있다.
본 문서에서, 이러한 엔티티 또는 동작 간의 임의의 실제의 이러한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암시하지 않고, 단지 한 엔티티 또는 동작을 다른 엔티티 또는 동작과 구분하기 위해서 제1 및 제2, 상부 및 하부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포함한다", "포함하는" 또는 그의 임의의 다른 변형이 비배타적인 포함을 의미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일련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이들 구성요소 뿐만 아니라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거나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본래 가지고 있지 않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포함한다" 다음에 오는 구성요소는, 추가 제약조건 없이, 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부가의 동일한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가 하나 이상의 종래의 프로세서 및 소정의 비프로세서 회로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의 핸드오버 동안 무선 자원을 절감하는 방법의 기능들 중 일부, 대부분 또는 전부를 구현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독자적인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비프로세서 회로(non-processor circuit)는 무선 수신기, 무선 송신기, 신호 구동기, 클럭 회로, 전원 회로, 및 사용자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그에 따라, 이들 기능이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의 핸드오버 동안 무선 자원을 절감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방법의 단계로서 해석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일부 또는 모든 기능이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를 갖지 않는 상태 기계에 의해, 또는 각각의 기능 또는 소정의 기능 중 일부 조합이 커스텀 로직(custom logic)으로서 구현되는 하나 이상의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에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이 2가지 방법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기능의 방법 및 수단이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다. 게다가, 당업자가, 예를 들어, 이용가능한 시간, 현재의 기술, 및 경제적 고려사항에 기인한 어쩌면 상당한 노력 및 많은 설계 선택사항에도 불구하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개념 및 원리에 의해 안내될 때, 최소한의 실험으로 이러한 소프트웨어 명령어 및 프로그램 및 IC를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이 예상된다.
기술된 원리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에 의한 제1 세션에서 네트워크 진입 및 패킷 세션 서비스의 설정을 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중 또는 다중 기술 무선 서비스 지역에서 소스, 서비스 제공 또는 제1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지원되는 제1 세션은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에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는 다중 기술 무선 서비스 지역에서 대상 또는 제2 무선 네트워크를 검출하며, 이 때 모바일 장치는 서비스 제공 네트워크 및 대상 네트워크 둘다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이 방법은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가 서비스 제공 기술 네트워크에 의해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그의 현재의 활성 서비스에 대한 QoS 요건을 확인하는 것으로 계속된다. 서비스 제공 네트워크 및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패킷 서비스 또는 서비스들이 하나 이상의 QoS에 민감한 실시간 서비스를 포함할 때, 이 방법은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가 대상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제2 세션을 위한 네트워크 진입 및 세션 설정 절차를 개시하는 것으로 계속된다. 대상 기술 네트워크에서의 초기 네트워크 진입 절차 및 패킷 세션 설정의 완료 시에, 이 방법은 제1 패킷 세션을 통해 지원되는 QoS에 민감한 실시간 패킷 서비스를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에 제공하지 않도록 대상 네트워크에서의 제2 세션이 휴지 또는 유휴 상태에 있는 동안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가 서비스 제공 기술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를 계속하여 받는 것으로 계속된다.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는 기술 상호간 핸드오버가 요구될 때, 대상 기술 네트워크에서 초기 네트워크 진입 절차 또는 패킷 세션 설정을 완료할 필요없이, 대상 기술 네트워크로 핸드오버될 수 있다. 기술된 방법은 제1 및 제2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이중 모드 송신기 회로 또는 단일 모드 송신기 회로를 갖는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에 적용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그 후에 모바일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품질 요건이 QoS 민감 서비스(QoS sensitive service) 또는 실시간 서비스가 아닌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는 세션 개시가 완료된 후 즉각 대상 네트워크로 핸드오버될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지국 또는 시그널링 전달 기능과 같은 네트워크 엔티티가 소스, 서비스 제공, 또는 제1 무선 네트워크에서 제1 패킷 세션을 갖는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로부터의 초기 네트워크 진입 시그널링을 검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초기 네트워크 진입 시그널링은 대상 또는 제2 무선 네트워크에서 제2 패킷 세션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서비스 제공 및 대상 네트워크는 공통의 다중 기술 무선 서비스 지역에서 무선 서비스 범위를 제공하고 있을 수 있다. 이 방법은 또한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로부터의 초기 네트워크 진입 시그널링이,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의 제1 세션이 서비스 제공 네트워크에서 진행 중인 동안, 기술 상호간 핸드오버를 위한 대상 네트워크에서의 패킷 세션 예약을 위한 것인지를 판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이 방법은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에 의해 지원되고 서비스 제공 기술 네트워크에 의해 서비스되는 패킷 서비스에 대한 QoS 요건을 확인하는 것을 포함한다. 대상 기술 네트워크는,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에 의해 사용 중이고 서비스 제공 기술 노드에 의해 서비스되는 패킷 서비스 중 하나 이상이 QoS에 민감한 실시간 서비스를 포함하는 경우에만, 나중의 기술 상호간 핸드오버를 위해 네트워크 진입 및 패킷 세션 설정의 완료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게다가, 이 방법은 모바일 장치에 의해 사용 중이고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에 대한 서비스 제공 기술 네트워크에 의해 지원되는 QoS 민감 서비스가 확인되지 않을 때, 제2 세션에 대한 초기 네트워크 진입 시그널링 및/또는 패킷 세션 설정에 응답하여 초기 네트워크 진입 및/또는 패킷 세션 설정에 대한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의 요청을 거부하는 것을 포함한다. 대상 기술 노드에서 사용 중인 공중 인터페이스 기술에 따라,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 서비스에 대한 QoS 요건의 확인은 초기 네트워크 진입 또는 패킷 세션 설정 절차 동안에 확인될 수 있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개시된 원리가 동작하는 무선 시스템(100)에 대한 다중 기술 무선 서비스 지역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다중 기술 무선 서비스 지역은 제1 무선 기술을 사용하는 제1 네트워크(102), 예컨대 2G/3G 네트워크, 및 제2 무선 기술을 사용하는 제2 네트워크(104), 예컨대 WiMAX와 같은 4G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106)는 제1 또는 제2 네트워크(102, 104)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해될 있는 바와 같이, 2G/3G 네트워크 또는 4G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는 모바일 장치(106)가 처음에 동작하고 있는 서비스 제공 네트워크로서 동작할 수 있고, 4G 및 2G/3G 네트워크는, 각각, 모바일 장치에 대한 대상 네트워크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제1 또는 2G/3G 네트워크(102)는 메시지를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106)로 전송하고 그로부터 수신하는 다수의 기지국(108)을 포함한다. 알려진 바와 같이, 기지국(108)은, 일 실시예에서, PDSN/FA(packet data switch node/foreign agent, 패킷 데이터 스위치 노드/외부 에이전트)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112)에 연결되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및 패킷 제어 기능(110)과 통신한다. PDSN/FA에 부가하여, 코어 네트워크(112)는 로컬 AAA(authentication/authorization/accounting, 인증/허가/계정) 노드(116), 외부 에이전트(118), 및 네트워크(102/112)의 동작을 위한 기타 필요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시스템(100)은 공지된 방식으로 동작하는 홈 AAA 노드(120), 홈 에이전트(122) 및 과금 서버(124)를 포함하는 홈 서비스 공급자 네트워크를 포괄할 수 있다.
제2 또는 4G 네트워크(104)는 WiMAX 기지국 또는 기타 노드, 예컨대 eNodeB, AP(access point, 액세스 포인트) 등일 수 있는 기지국(126)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26)은 FA/RA(foreign agent/routing agent, 외부 에이전트/라우팅 에이전트)(118)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112)에 연결된다.
기지국(108, 126)은 2G/3G 또는 4G 네트워크에서 각각 동작하는 데 필요한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공지된 구성에서 안테나(128), 프로세서(130), 메모리(132), 및 송수신기(134)를 포함한다.
휴대폰, 스마트폰, 랩톱 컴퓨터 또는 기타 유사한 휴대용 장치일 수 있는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106)는 또한 2G/3G 또는 4G 네트워크(102, 104)에서 동작하는 데 필요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모바일 장치는 안테나(136), 프로세서(138), 메모리(140) 및 송수신기(142)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네트워크 둘다에서 동작하기 위해, 모바일 장치는 이중 수신/이중 전송 송수신기 또는 이중 수신/단일 전송 송수신기 중 어느 하나를 지원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는 필요한 2G/3G 카드(144) 및 4G 카드(146), 예컨대 WiMAX 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는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106)가 동작하는 제1 네트워크(102), 제2 네트워크(104) 및 코어 네트워크(112)의 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네트워크(102)에 대한 서비스 지역과 제2 네트워크에 대한 서비스 지역의 배열은 중복 지역(150)이 제공되도록 되어 있다. 중복 지역(150)에서, 이동국(106)은 제1 네트워크(102) 또는 제2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도 1a는 다양한 네트워크 사이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에 따라 제1 네트워크에서의 무선 기술이 제2 네트워크에서의 무선 기술과 통신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152)가 제공된다. 제1 네트워크가 코어 네트워크(112)와 통신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154)가 제공되고, 제2 네트워크가 코어 네트워크(112)와 통신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156)가 제공된다.
중복 지역(150)에 있는 2개의 이기종 기술 네트워크(102, 104)로부터의 서비스, 예를 들어, 4G 네트워크로부터의 비디오 서비스 및 3G 네트워크로부터의 VoIP(voice over IP) 서비스를 동시에 수신하기 위해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106)가 사용될 수 있지만, 그의 주된 장점은, 기술 상호간 핸드오버 지원을 위해 이전에 배포된 무선 네트워크에 변경을 할 필요 없이, 이중 기술 무선 네트워크 사이에서 매끄러운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중 수신/이중 전송 송수신기(142)는, 대상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할 필요를 검출할 시에, 대상 기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진입 및 패킷 세션 설정을 개시하면서 동시에 무선 신호를 수신 및 전송하고 그의 서비스 제공 기술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를 수신한다. 대상 기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진입 및 패킷 세션 설정이 완료되면, 모바일 장치(106)는 필요할 때 서비스 제공 기술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대상 기술 무선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다중모드 이중 수신/단일 전송 송수신기(142)는 또한 기술 상호간 핸드오버 지원을 제공할 수 있다. 단일 송신기 다중모드 장치는 한번에 하나의 공중 인터페이스 기술을 통해서만 전송할 수 있고, 전송을 위해 2개의 네트워크(102, 104) 사이에서 "시분할 공유" 방식으로 할 수 없다. 대상 기술 네트워크에서 패킷 데이터 세션 및 세션을 설정하기 위해, 모바일 장치(106)는 대상 네트워크에 대한 시그널링을 서비스 제공 네트워크를 통해 고유의 공중 인터페이스 시그널링에 캡슐화하거나 '피기백'함으로써 그 시그널링을 전송한다. 이것은 터널링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다중모드 단일 송신기 장치로부터의 시그널링을 대상 기술 네트워크로 전송하기 위해 2개의 네트워크 사이에 시그널링 링크를 필요로 한다. 터널링의 경우, 정책 및 과금 규칙 기능, 홈 에이전트/로컬 이동성 앵커, 및 AAA가 2G/3G 네트워크 및 4G 네트워크 둘다를 지원하도록 공통 IP 코어가 사용된다.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106)는 또한 양쪽 네트워크에서 지원될 수 있다. SFF(Signaling Forwarding Function, 시그널링 전달 기능)은 2개의 이기종 액세스 네트워크 사이에서 모바일 장치에 대한 터널링 지원을 제공하는 논리적 엔티티이다. SFF는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가 제1 기술 네트워크에서 동작할 수 있게 하고, 또한 inter-RAN 인터페이스를 거쳐 IP 패킷에 캡슐화된 페이로드로서 전송되는 고유의 공중 인터페이스 신호를 사용하여 기지국 및 액세스 노드와 통신하기 위해 제2 네트워크에 의해 지원되는 공중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기술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게 함으로써, 2G/3G 또는 4G 네트워크에 대한 인터네트워킹 기능을 제공한다. SFF는 액세스 네트워크에 공존할 수 있거나, 독립형 엔티티일 수 있다.
단일 송신기 장치를 사용하여 기술 상호간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장점은 기술 상호간 핸드오버를 여전히 지원할 수 있으면서 이중 송수신기 장치보다 비용이 덜 든다는 것이다. 이들은 또한 배터리 용량 및 피크 전류 문제를 겪지 않는데, 그 이유는 이들이 한번에 하나의 기술에서만 전송하기 때문이다.
기술된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106)는 2G/3G 및 4G 네트워크(102, 104)와 같은 서비스 제공 및 대상 네트워크 사이에서 매끄러운 세션 연속성을 제공할 수 있다. 매끄러운 세션 연속성은 낮은 대기시간 지연 및 최소한의 패킷 손실로 핸드오버를 용이하게 하며, 실시간의 QoS에 민감한 응용에 필요하다. 기술 상호간 핸드오버 동안 매끄러운 세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서비스 제공 기술 네트워크에서 기존의 패킷 데이터 세션과 연관된 패킷 서비스를 계속하면서 대상 기술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장치(106)에 대해 새로운 호 및 패킷 세션이 사전 설정될 수 있다. 기술 상호간 핸드오버가 필요하게 될 때, 서비스 제공 네트워크에서의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와 연관된 패킷 세션은 이어서 대상 기술 네트워크에서의 사전 등록된 패킷 세션으로 이동 또는 '핸드오프'됨으로써, 핸드오버 시에 새로운 호 및 세션이 설정될 필요가 있는 경우 일어나게 될 대기시간 지연를 최소화한다. 따라서, 핸드오버가 일어나기 전에 호 설정 및 패킷 세션을 완료하는 것은 대기시간 지연을 감소시키고 핸드오버 동안의 패킷 손실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의 호(초기 네트워크 진입) 및 패킷 세션을 설정하는 것에 의한 사전 등록은 인증, 허가 및 등록 절차가 완료될 것을 필요로 한다. 이것은 처리 자원이 호 또는 세션에 할당될 것을 필요로 한다. 호 또는 세션이 설정되면, 호를 유지하기 위해 자원이 호, 예를 들어, 인증 컨텍스트, 호 컨텍스트, 패킷 컨텍스트 등에 할당되어야만 한다. 이중 기술 또는 경계 서비스 지역 내의 모든 다중모드 장치에 대해 이것이 필요한데, 그 이유는 그렇지 않은 경우 VoIP 또는 실시간 스트리밍 비디오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에 대해 핸드오버 대기시간이 타당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초기 네트워크 진입 및 패킷 세션 설정을 사용하는 사전 등록은 VoIP 및 스트리밍 비디오와 같은 QoS 민감 서비스에 대해 기술 상호간 핸드오버 동안 대기시간 지연을 최소화하는 데 유익하다. 그러나, 사전 등록이 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징, 파일 다운로드, 문자 메시지 보내기 등과 같은 낮은 QoS 요건을 갖는 서비스에 대해서는 그렇게 필요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이들 서비스가 심각한 서비스 또는 사용자 경험의 열화 없이 지연을 쉽게 허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 네트워크에서 사용자의 패킷 세션에 의해 지원되는 VoIP, 비디오, 또는 게임과 같은 QoS에 민감한 또는 실시간 서비스가 있는 경우 호 설정 및 대상 네트워크에의 사전 등록을 제공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사용자의 세션이 낮은 QoS 요건을 갖는 비실시간의 민감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 대상 기술 네트워크에서의 조기 호 설정 및 세션 사전 등록이 꼭 수행될 필요는 없고, 서비스 제공 기술 네트워크에서의 무선 조건의 열화 또는 기술 상호간 핸드오버를 수행하라는 네트워크 명령과 같은 어떤 이유로 기술 상호간 핸드오버가 필요하게 될 때까지 지연될 수 있다. 임의의 주어진 때에 이중 기술 서비스 지역에 많은 수의 이중 모드 장치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활성인 실시간 서비스를 갖지 않는 이러한 장치에 대해 핸드오버가 필요할 때까지 잠재적인 대상 기술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진입 및 세션 사전 등록을 지연시키는 것은 대상 기술 네트워크에서의 처리 부하 및 자원 요건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것은 자원을 해제시켜 수익을 창출하는 호를 지원하는 데 이용가능하게 만들 것이다.
도 2는 이중 기술 네트워크 내의 대상 네트워크에서 초기 네트워크 진입 및 패킷 세션 설정 동작을 완료하는 동작을 하고 있는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106)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106)는 서비스 제공 네트워크에 현재의 호 또는 패킷 세션을 가지고 있다. 서비스 제공 네트워크가 2G/3G 패킷 네트워크 또는 4G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지만, 이 예에서, 서비스 제공 네트워크가 2G/3G 네트워크(102)로 간주될 것이고, 이중 기술 서비스 지역 내의 대상 네트워크가 4G 네트워크(104)로 간주될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모바일 장치(106)는 대안의 네트워크가 이용가능한지를 판정하기 위해 공중 인터페이스를 계속 모니터링(202)한다. 어떤 시점에서, 4G 네트워크가 검출(204)될 것이다. 대안의 기술 네트워크가 검출되거나 발견될 때, 모바일 장치는 대상 기술 네트워크에서 패킷 세션을 설정하기 위해 대상 네트워크에서 초기 네트워크 진입 절차를 완료할지를 결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진입을 수행하기 전에 모바일 장치가 고려할 한가지 기준은 연결에 대한 서비스 품질 요건이다. 따라서, 모바일 장치는 서비스 제공 네트워크를 통해 현재의 패킷 세션에 대해 현재 수신하고 있는 패킷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품질 요건을 확인(206)한다. 서비스 품질 요건이 현재의 세션이 하나 이상의 QoS에 민감한 또는 실시간 서비스를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모바일 장치는 경로(208)를 따라 진행한다. 서비스 품질 레벨이 그와 같이 나타나기 때문에, 모바일 장치는 대상 네트워크, 이 경우에, 4G 네트워크에서 초기 네트워크 진입 및 세션 설정/사전 등록 절차를 개시(210)한다. 초기 네트워크 진입 및 사전 등록/세션/설정 절차를 완료한 후에, 모바일 장치(106)는, 대상 네트워크로부터 패킷 서비스를 수신하지 않고, 서비스 제공 네트워크로부터 패킷 서비스를 계속하여 수신(212)한다. 따라서, 대상 네트워크에서의 제2 세션은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에 제1 패킷 세션을 통해 지원되는 QoS에 민감한 실시간 패킷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도록 여전히 휴지 또는 유휴 상태에 있다.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가 서비스 제공 네트워크로부터 대상 네트워크로의 기술 상호간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정(214)할 때까지 이 상태가 경로(213)를 따라 계속된다. 서비스 제공 네트워크에서의 타당하지 않은 신호 마진(signal margin)과 같은 이러한 기술 상호간 핸드오버가 필요한 많은 알려진 이유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때에, 모바일 장치(106)는 초기 네트워크 진입 절차 및 세션 설정/사전 등록이 완료되었는지를 판정(216)한다. 그러한 경우, 모바일 장치는 경로(218)를 따라 계속되고, 네트워크 진입 및 세션 등록/설정 절차를 완료할 필요 없이, 서비스 제공 네트워크로부터 대상 네트워크로의 기술 상호간 핸드오버를 완료(220)한다.
단계(206)로 되돌아가서,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106)는 서비스 제공 네트워크에서 현재 지원되는 그의 서비스 중 어느 것도 QoS에 민감하지 않거나 실시간 요건을 갖지 않는 것으로 판정하고, 모바일 장치는 경로(222)를 따라 단계(212)로 진행하여 서비스 제공 네트워크(102)로부터 계속하여 패킷 서비스를 수신한다. 어떤 시점에서, 실시간 또는 QoS 민감 서비스는 서비스 제공 네트워크(102)에서 동작하는 동안 모바일 장치의 패킷 세션에 추가(224)될 수 있다. QoS 민감 서비스 또는 실시간 서비스가 추가된 후에, 프로세스는 단계(210)로 되돌아가서, 모바일 장치는 대상 네트워크(104)로의 기술 상호간 핸드오버를 위해 네트워크 진입 절차 및 세션 사전 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는 이어서, 단계(214)에서 기술 상호간 핸드오버가 필요하게 될 때 이전에, 초기 네트워크 진입 절차 및 세션 설정을 완료하였을 것이다. 단계(216)로 되돌아가서,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106)는 세션 설정이 수행되지 않았고 대상 네트워크(104)에서 세션 사전 등록이 없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는 따라서 경로(226)를 따라 진행하여, 대상 네트워크에서 호 설정/네트워크 진입 및 세션 설정/세션에 대한 등록 절차를 완료(228)한다. 이들 동작이 완료되면, 모바일 장치는 단계(220)로 진행하여, 대상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완료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가 핸드오버가 필요한 것을 검출한 후에 대상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가 완료된다. 최초의 호 또는 세션이 QoS에 민감한 또는 실시간 세션에 대한 것인 그 상황에서, 대상 네트워크에서의 제2 세션에 대한 호 설정 및 사전 등록이 사전에 개시되지만, 덜 민감하거나 비실시간인 세션에서의 제2 세션에 대한 호 설정이 서비스 제공 네트워크로부터 대상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 때까지 지연된다. 대안의 실시예에서, 이중 서비스 범위 구역에 있는 동안 모바일 장치 단계(204)가 대안의 기술 네트워크를 검출할 시에,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에 대해 지원되는 임의의 QoS 민감 서비스가 있는지를 고려하는 단계(206) 없이, 대상 기술에서 초기 네트워크 진입 및 세션 설정 절차를 완료(210)하는 것이 가능하다. 세션 설정 후에, 단계(220)에서 대상 기술 네트워크로의 기술 상호간 핸드오버가 완료된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 기술 네트워크에서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의 패킷을 지원하는 데 사용되는 자원이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QoS 민감 서비스의 존재 여부에 따라 즉각 해제된다.
도 3은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106)에 대한 이중 기술 서비스 지역의 대상 네트워크(104)에서의 호 설정 및 등록의 일부로서 동작하는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대상 네트워크에 있는 기지국(126) 또는 기타 네트워크 엔티티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300)이다. 주기적으로, 대상 네트워크(104) 내의 엔티티는 기술 상호간 핸드오버를 위해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106)의 호 설정/네트워크 진입 및 패킷 세션 설정/사전 등록에 대한 요청을 수신(302)할 것이다. 이 요청은 모바일 장치(106)로부터 서비스 제공 네트워크에 의해 수신되는 공중 인터페이스 시그널링에 응답하여 서비스 제공 네트워크(102)에서 동작하고 있는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106)로부터 직접 또는 기지국(108) 또는 서비스 제공 네트워크 내의 기타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인터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대상 네트워크(104)는 호 설정 요청이 대상 네트워크(104)에서의 세션에 대한 지연된 기술 상호간 핸드오버 및 사전 등록에 대한 것인지를 판정(304)한다. 지연된 기술 상호간 핸드오버를 위한 것이 아닌 경우, 대상 네트워크(104)는 경로(306)를 따라 진행하고, 대상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진입 및 세션 설정/사전 등록 절차를 시작한다. 또한, 대상 네트워크(104)는 적절한 때에 대상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완료할 수 있다.
대상 네트워크 엔티티가 호 설정 및 등록 요청이 지연된 기술 상호간 핸드오버에 대한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대상 네트워크 엔티티가 경로(310)를 따라 진행하여, 모바일의 패킷 세션에 대해 임의의 QoS에 민감한 실시간 서비스가 현재 존재하는지를 판정(312)한다. 그러한 경우, 기지국은 경로(314)를 따라 진행하여, 단계(308)에서 초기 네트워크 진입 및 세션 설정/세션 사전 등록 절차를 완료한다. 한편, 기지국이 QoS에 민감한 실시간 서비스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기지국(126)은 경로(316)를 따라 진행하여, 네트워크 진입 및 세션 사전 등록을 거부(318)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서비스 제공 네트워크에서의 현재 세션 및 대상 네트워크에서의 제2 세션에 대해 지원되는 모바일 장치 서비스에 대한 QoS 요건을 판정하는 모바일 장치(106) 및 대상 네트워크(104)는 호 설정 및 사전 등록 절차가 완료되어야만 하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계값 서비스 품질이 설정될 수 있고, 요구된 서비스 품질이 임계값보다 큰 경우, 대상 네트워크에 대해 호 설정 또는 사전 등록이 완료될 수 있다. QoS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호 설정 또는 사전 등록이 완료될 필요가 없다.
상기 설명에 따르면, QoS 민감 서비스 또는 응용의 존재에 따라 기술 상호간 핸드오버를 위해 대상 기술 네트워크에서 초기 네트워크 진입 및 세션 설정/사전 등록을 완료할지를 결정하는 방법이 있다. 이중 모드 장치에서 QoS에 민감한 실시간 서비스가 활성이 아닌 경우, 기술 상호간 핸드오버를 위해 대상 기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진입 및 세션 사전 등록이 완료되지 않을 것이다. 이중 모드 장치에 의해 현재 지원되는 서비스의 QoS 요건에 기초하여 기술 상호간 핸드오버를 위한 네트워크 진입 및 세션 설정/사전 등록을 지연하기로 한 결정이 MS 또는 네트워크에서 행해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 기술된 2가지 예시적인 실시예에 나타내어져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 핸드오버가 필요할 때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가 대상 네트워크에서 동작하기 위해 네트워크 진입 및 세션 설정/사전 등록이 완료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의 실시예가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하의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에 따라, 이상의 설명 및 도면이 제한적인 의미가 아니라 예시적인 의미로 보아야 하며, 모든 이러한 수정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점, 장점,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 및 임의의 이점, 장점 또는 해결책이 얻어지거나 보다 두드러지게 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구성요소(들)이 특허청구범위 중 일부 또는 그 전부의 중요한, 요구된 또는 필수적인 특징 또는 구성요소인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의 계류 중에 행해진 보정을 포함하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발행된 특허청구범위의 모든 등가물에 의해서만 정의된다.

Claims (8)

  1.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에 의해, 제1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제1 세션에서 서비스를 개시하는 단계;
    상기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와 상이한 액세스 네트워크 기술을 지원하는 제2 무선 네트워크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 요건을 판정하는 단계;
    상기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판정된 서비스가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및 모바일 장치에 의한 QoS 민감 서비스(QoS sensitive service) 및 실시간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때, 기술 상호간 핸드오버를 위해 상기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에 의해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제2 세션에 대한 사전 등록 세션 설정 절차들을 완료하는 단계 - 상기 사전 등록 세션 설정 절차들의 완료 후에, 상기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에서 여전히 휴지 상태(dormant)에 있음 - ;
    핸드오버가 필요할 때까지 상기 제1 세션 및 상기 제2 세션을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유지하는 단계 이후에 핸드오버가 필요할 때 상기 제1 세션으로부터 상기 제2 세션으로 핸드오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판정된 서비스가 QoS 민감 서비스 및 실시간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지 않을 때, 상기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에 의해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상기 제2 세션에 대한 세션 설정 절차들을 완료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션에 대한 어떤 QoS 민감 서비스도 확인되지 않고 핸드오버가 필요하게 될 때,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상기 제2 세션에 대해 상기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에 의해 네트워크 진입 및 세션 설정 절차들을 완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1 무선 네트워크에서 제1 세션을 갖는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로부터 초기 네트워크 진입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 여기서 세션 설정은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와 상이한 액세스 네트워크 기술을 지원하는 제2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제2 세션에 대한 것임 -;
    상기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에서 진행 중인 제1 세션을 가지는 동안 상기 제2 세션에 대한 세션 설정 절차들이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로의 지연된 기술 상호간 핸드오버를 위한 것인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품질 요건을 판정하는 단계;
    상기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판정된 서비스가 QoS 민감 서비스 및 실시간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때 상기 제2 세션에 대한 상기 세션 설정 절차들을 완료하는 단계 - 상기 세션 설정 절차들의 완료 후에, 상기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에서 여전히 휴지 상태에 있음 -;
    핸드오버가 필요할 때까지 상기 제1 세션 및 상기 제2 세션을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유지하는 단계 이후에 핸드오버가 필요할 때 상기 제1 세션으로부터 상기 제2 세션으로 핸드오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판정된 서비스가 QoS 민감 서비스들 및 실시간 서비스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지 않을 때 상기 제2 세션에 대한 세션 설정 절차들을 완료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션에 대한 서비스 품질 요건이 상기 제1 세션의 상기 서비스 품질 요건은 민감한 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것이 아니라고 나타낼 때, 상기 제2 세션에 대한 세션 설정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에게 세션 설정을 거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17027442A 2009-05-21 2010-05-10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의 무선 핸드오버 동안 자원을 절감하는 방법 KR1016493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040109P 2009-05-21 2009-05-21
US61/180,401 2009-05-21
US12/774,106 US8194615B2 (en) 2009-05-21 2010-05-05 Method for conserving resources during wireless handover of a dual mode mobile station
US12/774,106 2010-05-0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2939A Division KR20140109504A (ko) 2009-05-21 2010-05-10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의 무선 핸드오버 동안 자원을 절감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979A KR20120022979A (ko) 2012-03-12
KR101649391B1 true KR101649391B1 (ko) 2016-08-19

Family

ID=4312451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2939A KR20140109504A (ko) 2009-05-21 2010-05-10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의 무선 핸드오버 동안 자원을 절감하는 방법
KR1020117027442A KR101649391B1 (ko) 2009-05-21 2010-05-10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의 무선 핸드오버 동안 자원을 절감하는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2939A KR20140109504A (ko) 2009-05-21 2010-05-10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의 무선 핸드오버 동안 자원을 절감하는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3) US8194615B2 (ko)
EP (1) EP2433399B1 (ko)
JP (1) JP5534371B2 (ko)
KR (2) KR20140109504A (ko)
CN (1) CN102428680B (ko)
BR (1) BRPI1011170B1 (ko)
MX (1) MX2011011322A (ko)
RU (1) RU2549132C2 (ko)
WO (1) WO20101350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65676B2 (en) * 2008-08-07 2012-09-11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Hybrid network resource and policy management with mobility support
KR101446028B1 (ko) * 2009-10-28 2014-10-01 알까뗄 루슨트 패킷 스위칭된 도메인으로부터 회로 스위칭된 도메인으로 비디오 호를 핸드 오버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KR101707543B1 (ko) * 2010-06-24 2017-02-16 주식회사 케이티 Pmip 기반의 서비스에 따른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그 시스템
US8700782B2 (en) * 2010-08-18 2014-04-15 Microsoft Corporation Directing modalities over different networks in multimodal communications
US8086238B1 (en) 2011-06-15 2011-12-27 Metropcs Wireless, Inc. HLR-dual circuit switched and packet switched registration support
US9049631B2 (en) * 2011-07-26 2015-06-02 At&T Mobility Ii Llc Usage based radio access technology selection
US9307489B2 (en) * 2012-02-20 2016-04-05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ferred data traffic (application) mode
US9686164B1 (en) * 2012-04-12 2017-06-20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Packet allocation schema for 3G and 4G routers
US8761788B2 (en) * 2012-05-11 2014-06-2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ata throughput optimization in DSDS scenarios
US8639233B1 (en) 2012-07-23 2014-01-28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Data session continuity between wireless networks
CN103905476B (zh) * 2012-12-25 2018-12-2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文件传输的方法、装置及系统
WO2015161441A1 (en) * 2014-04-22 2015-10-29 Qualcomm Incorporated Receiving embms on a single-radio-multiple-standby user equipment
US9838948B2 (en) * 2014-07-29 2017-12-05 Aruba Networks, Inc. Deep packet inspection (DPI) aware client steering and load balancing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infrastructure
KR102183961B1 (ko) * 2016-08-23 2020-11-27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서비스 확립 방법 및 기기
KR102366074B1 (ko) * 2017-07-11 2022-02-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네트워크에서 WiFi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10798617B1 (en) * 2019-01-23 2020-10-06 Cisco Technology, Inc. Providing low latency traffic segregation for mobile edge computing network environments
US11544211B2 (en) * 2019-04-19 2023-01-03 Parallel Wireless, Inc. VRAN with PCIe fronthaul
US11540192B1 (en) * 2020-08-03 2022-12-27 T-Mobile Innovations Llc Handover of wireless devices based on resource availability
US11445410B2 (en) 2021-01-21 2022-09-13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delivery responsive to user equipment (UE) handover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49291A1 (en) * 2006-04-20 2007-10-25 Sanjiv Nanda Wireless handoffs between multiple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3089400A (en) 1998-12-18 2000-07-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system for intersystem soft handoff
SE512607C2 (sv) 1998-12-18 2000-04-10 Ericsson Telefon Ab L M Förfarande och anordning vid radiokommunikation
EP1488581B1 (de) * 2002-07-05 2005-08-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übertragung von datenpaketen in einem mobilfunksystem und entsprechendes mobilfunksystem
US7280505B2 (en) 2002-11-13 2007-10-09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inter-technology handoff from WLAN to cellular network
KR100492137B1 (ko) * 2003-02-15 2005-06-0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아이피 망에서의 빠른 핸드오버 방법
KR100762615B1 (ko) * 2004-11-26 2007-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과 이를 위한 핸드오프 방법
KR100597423B1 (ko) * 2005-01-25 2006-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아이피(Mobile IP) 환경에 있어서,이동국(Mobile Node)의 등록 방법 및 상기방법에 의한 이동 아이피 네트워크 시스템
US7813319B2 (en) 2005-02-04 2010-10-12 Toshiba America Research, Inc. Framework of media-independent pre-authentication
US20060276189A1 (en) 2005-04-01 2006-12-0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upporting inter-technology handover using IEEE 802.16 handover procedures
US8213382B2 (en) * 2005-05-30 2012-07-0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Technique for controlling handovers within a multi-radi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574212B2 (en) 2005-06-22 2009-08-11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mmunication sessions during multi-mode mobile station handoff
US20070153728A1 (en) * 2005-12-30 2007-07-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of cell-switch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P1821488B1 (en) * 2006-02-15 2012-08-08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ssion mobility
US20080056201A1 (en) * 2006-03-22 2008-03-06 Broadcom Corporation, A California Corporation Interference parameter reporting from client devices to access point for use in modifying wireless operations
KR101377948B1 (ko) * 2006-04-28 2014-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모드 이동 단말의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US7590092B2 (en) 2006-05-30 2009-09-15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inter-technology handoff of a hybrid access terminal
JP4864797B2 (ja) 2006-09-11 2012-02-01 Kddi株式会社 P−cscf高速ハンドオフシステム及びp−cscf高速ハンドオフ方法
US8331315B2 (en) * 2007-02-16 2012-12-1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dia independent handover for smart phone architecture
US7894400B2 (en) 2007-02-16 2011-02-22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Handover between an IEEE 802.16 WiBro network and a UMTS network using media independent handover function
US8446875B2 (en) 2007-02-23 2013-05-21 Toshiba America Research, Inc. Media independent pre-authentication supporting fast-handoff in proxy MIPv6 environment
JP2008236079A (ja) 2007-03-16 2008-10-02 Kyocera Corp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JP4941039B2 (ja) * 2007-03-23 2012-05-30 富士通東芝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移動無線端末装置
US8577369B2 (en) * 2007-04-11 2013-11-05 Apple, Inc. Seamless and vertical call handoff solution architecture
US8331314B2 (en) 2007-04-20 2012-12-1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ormant session management associated with handover
US20080305796A1 (en) 2007-06-05 2008-12-11 Michael Francis Dolan Method for performing inter-technology handovers utilizing tunnels
JP5160152B2 (ja) 2007-06-28 2013-03-13 京セラ株式会社 無線端末、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BRPI0812618A2 (pt) * 2007-07-09 2015-09-15 Interdigital Tech Corp procedimentos otimizados de gerenciamento de mobilidade usando procedimentos de tunelamento pré-registro.
US8009612B2 (en) * 2007-07-17 2011-08-30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of establishing an HRPD signal link
KR20090017864A (ko) * 2007-08-16 2009-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망간 핸드오버 방법 및 시스템
JP5414980B2 (ja) 2007-08-28 2014-02-12 京セラ株式会社 無線端末、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US8134978B2 (en) * 2007-10-29 2012-03-1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Integration of 802.21 media independent handover functionality to radio interface layer and telephony server
US8447349B2 (en) * 2008-02-15 2013-05-21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technology handoff of a multi-mode mobile station
US9148769B2 (en) * 2008-05-07 2015-09-2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pparatus and method to enable mobile stations to identify calls based on predetermined values set in a call header
US8971955B2 (en) * 2008-05-11 2015-03-0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mode terminal operations in overlaid networks
US20090290556A1 (en) * 2008-05-23 2009-11-26 Pouya Taaghol Wireless network handover with single radio operation
US8774805B2 (en) * 2008-07-11 2014-07-08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adio access technology-specific routing for multi-mode mobile devices
US9020505B2 (en) * 2008-09-17 2015-04-28 Qualcomm Incorporated Quick system selection and acquisition for multi-mode mobile devices
US20100195641A1 (en) * 2009-02-04 2010-08-05 Grasstell Networks Llc Seamless multi-mode voice
US8265661B2 (en) * 2009-02-11 2012-09-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idle mode operation in multi-mode mobile stations
US8126521B2 (en) * 2009-02-27 2012-02-28 Research In Motion Limited Multi-mode user input system and method
US20100267383A1 (en) * 2009-04-15 2010-10-21 Kyriaki Konstantinou Determining and selecting the most preferred available network for devices capable of 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i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49291A1 (en) * 2006-04-20 2007-10-25 Sanjiv Nanda Wireless handoffs between multiple network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R 23.861 v1.0.0 (2009.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1011170B1 (pt) 2021-04-13
EP2433399B1 (en) 2018-07-25
JP5534371B2 (ja) 2014-06-25
RU2549132C2 (ru) 2015-04-20
US8194615B2 (en) 2012-06-05
US20140286311A1 (en) 2014-09-25
WO2010135098A1 (en) 2010-11-25
CN102428680B (zh) 2016-11-02
MX2011011322A (es) 2011-11-18
US8750249B2 (en) 2014-06-10
CN102428680A (zh) 2012-04-25
KR20120022979A (ko) 2012-03-12
EP2433399A1 (en) 2012-03-28
KR20140109504A (ko) 2014-09-15
BRPI1011170A2 (pt) 2016-03-15
US9094878B2 (en) 2015-07-28
US20120236831A1 (en) 2012-09-20
US20100296483A1 (en) 2010-11-25
RU2011152121A (ru) 2013-08-27
JP2012525808A (ja) 2012-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9391B1 (ko) 다중모드 모바일 장치의 무선 핸드오버 동안 자원을 절감하는 방법
US11197216B2 (en) Handling of collision between SR procedure and PDU session establishment procedure for PDU session handover
JP7145319B2 (ja) リリースおよびリダイレクトが続く再開の要求
EP273265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telecommunications connections
EP3152954B1 (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protocol for integrated wlan/3gpp radio access technologies
US20110176511A1 (en) Reducing resource allocations for inter-technology handover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20090207812A1 (en) Dual radio handovers beween wimax and 3gpp
KR101394347B1 (ko) 이종망간의 패킷 전달 방법 및 장치
US20070010252A1 (en) Method and base station controller for handover of simultaneous voice and data sessions
US2014002301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eiving Data in Radio Access System Supporting Multi-Radio Access Technology
US20100046477A1 (en) Method for Hand-Over In A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US20140204904A1 (en) Optimized Offloading to WLAN in 3GPP-RAT Mobility
EP1839450A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ext transfer across heterogeneous networks
US20120108197A1 (en) Radio base station and method
WO2019160546A1 (en) Session mobility for packet data unit connectivity services
WO2020001226A1 (zh) 重定向的方法、通信系统和通信装置
CN102177748A (zh) 一种网络切换方法、终端、网关和网络系统
KR20100066875A (ko) 시간지연을 방지하는 이종망간 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JP7088230B2 (ja) ネットワーク指示の処理装置、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US20130165121A1 (en) Reducing data optimized session negotiation time and facilitating active handoff
KR20110009566A (ko) Mih 서버 기반의 미디어 세션 연속성 지원을 위한 핸드오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507

Effective date: 2016022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255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507

Effective date: 201602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