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076B1 - 냉장고 선반 - Google Patents

냉장고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076B1
KR101649076B1 KR1020150065641A KR20150065641A KR101649076B1 KR 101649076 B1 KR101649076 B1 KR 101649076B1 KR 1020150065641 A KR1020150065641 A KR 1020150065641A KR 20150065641 A KR20150065641 A KR 20150065641A KR 101649076 B1 KR101649076 B1 KR 101649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gear
shelf
coupled
auxiliary
fixed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5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우
김봉갑
김용현
이은한
이치원
홍미인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65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0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Y02B40/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냉장고 선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냉장고 선반은, 본체의 저장실에 결합되는 주선반부재와, 주선반부재의 일측에 위치하는 보조선반부재와, 일단부가 주선반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보조선반부재에 결합되며, 일단부가 주선반부재에 슬라이딩 됨에 따라 타단부가 승강되는 위치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선반{SELF OF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 선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착이 용이하고,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냉장고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의 저온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로서, 보관하고자 하는 식품 등의 상태에 따라서 온도를 달리하여 냉동 또는 냉장 보관한다.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와 사용자의 기호가 다양해지는 것을 반영하여 대형화 및 다기능화의 추세에 있으며, 저장실 구성에 따라 그 형태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냉장고 내부에 구비된 선반과 서랍, 바스켓 등에 냉장 또는 냉동저장을 위한 다양한 식품들이 적절하게 보관되며, 서랍과 선반, 바스켓 등은 냉장고 내부를 구획하여 다양한 크기와 저장조건을 가지는 식품의 저온 저장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냉장고 내부의 저장실을 구획하는 선반은 다양한 크기의 식품 또는 식품이 담긴 용기의 수납을 위해 선반을 본체에 장착하는 위치를 조절하여 적절한 공간을 구성하게 된다.
다만, 종래의 냉장고 선반은 선반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선반을 냉장고 본체에서 분리 후 재 장착해야 하므로 과정이 번거로우며, 변경 가능한 높이가 제한되고, 저장물의 수납 및 확인 등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89446호(2013.08.12 공개, 발명의 명칭: 냉장고의 선반 이동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냉장고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저장물의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한 냉장고 선반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선반은: 본체의 저장실에 결합되는 주선반부재; 상기 주선반부재의 일측에 위치하는 보조선반부재; 및 일단부가 상기 주선반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보조선반부재에 결합되며, 일단부가 상기 주선반부재에 슬라이딩 됨에 따라 타단부가 승강되는 위치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위치조절부재는, 상기 주선반부재에 결합되는 고정랙기어부; 상기 고정랙기어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랙기어부; 및 일단부가 상기 이동랙기어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보조선반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랙기어부의 이동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보조선반부재를 승강시키는 회전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랙기어부는, 상기 주선반부재에 장착되며 상기 이동랙기어부가 맞물리는 고정랙기어; 및 상기 고정랙기어와 상기 주선반부재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고정랙기어를 상기 이동랙기어부 측으로 가압하는 고정랙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랙기어는, 상기 주선반부재에 수용되며, 상기 고정랙가압부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 고정랙기어판; 및 상기 고정랙기어판의 상기 이동랙기어부에 대향되는 면에 형성되며,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이동랙기어부의 이동 방향을 제한하는 고정랙기어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위치조절부재는, 상기 주선반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랙기어와 상기 이동랙기어를 이격시켜 상기 고정랙기어에 의한 상기 이동랙기어의 이동제한을 해제하는 이동제한해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연결부는, 일단부가 상기 이동랙기어부에 결합되어, 상기 주선반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고, 타단부가 상기 보조선반부재에 결합되는 제1회전연결부; 및 일단부가 상기 이동랙기어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회전연결부의 일단부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고, 타단부가 상기 보조선반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제1회전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회전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조선반부재는, 상기 회전연결부의 타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조선반부재는, 상기 주선반부재의 일측에 위치하고, 저장물이 안착되는 보조선반부; 및 상기 보조선반부에 결합되고, 장홀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연결부의 타단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조선반부는, 상기 주선반부재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보조선반; 및 상기 제1보조선반 또는 상기 연결부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제1보조선반에 평행하게 위치하여 저장물이 안착되는 제2보조선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선반은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선반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보조선반부재를 전후방으로 이동시켜 저장물의 수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이 장착된 냉장고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절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절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에서 보조선반부재가 승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B'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에서 보조선반부재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C'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에서 제2보조선반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선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이 장착된 냉장고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1)은 주선반부재(100), 보조선반부재(200) 및 위치조절부재(300)를 포함한다. 주선반부재(100)는 냉장고 본체(20)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저장실(2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냉장고(10)는 저장물(미도시)이 수용되도록 저장실(21)이 마련되는 냉장고 본체(20)와, 냉장고 본체(20)의 저장실(21)을 개폐하는 도어(30)를 포함하여 냉장고 본체(20)에 수용된 저장물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저장실(21)의 온도를 조절하는 장치에 해당한다.
본 실시예에서 저장실(21)은 음식물 등의 저장물을 냉동 보관하기 위한 냉동실(22)과, 냉장 보관하기 위한 냉장실(24)로 구분되어 저장물이 수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냉동실(22) 또는 냉장실(24) 단독으로 구비되거나, 혹은 다수 개의 냉동실(22) 또는 냉장실(24)을 포함하는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보조선반부재(200)는 주선반부재(100)의 일측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선반부재(200)는 주선반부재(100)의 일측, 구체적으로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할 수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측에 위치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선반부재(200)는 주선반부재(100)의 하측에 위치하며, 대략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위치조절부재(300)에 의하여 주선반부재(100)에 대한 위치가 조절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보조선반부재(20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주선반부재(100)에 대한 높이를 조절하여 저장실(21)을 효율적으로 구획할 수 있으며, 저장물의 수납 등을 용이하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절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절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A'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에서 보조선반부재가 승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도 7의 'B'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8을 참조하면, 위치조절부재(300)는 일단부(도 5 기준 상단부)가 주선반부재(10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도 5 기준 하단부)는 보조선반부재(200)에 결합되며, 일단부가 주선반부재(100)에 슬라이딩 됨에 따라 회전되어 타단부가 승강된다. 본 실시예에서 위치조절부재(300)는 고정랙기어부(310), 이동랙기어부(330) 및 회전연결부(370)를 포함한다.
고정랙기어부(310)는 주선반부재(10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랙기어부(310)는 고정랙기어(311) 및 고정랙가압부(315)를 포함한다.
고정랙기어(311)는 주선반부재(100)에 장착되며 이동랙기어부(330)가 일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맞물린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랙기어(311)는 고정랙기어판(312) 및 고정랙기어치(314)를 포함한다.
고정랙기어판(312)은 주선반부재(100)에 수용되며, 고정랙가압부(315)에 의하여 이동랙기어부(330) 측으로 탄성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랙기어판(312)은 주선반부재(100)의 내측에 수용되며, 대략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고정랙기어치(314)는 고정랙기어판(312)의 이동랙기어부(330)에 대향되는 면에 돌출 형성되며,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동랙기어부(330)의 일방향 이동을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랙기어치(314)는 고정랙기어판(312)에서 돌출 형성되며, 고정랙기어판(312)의 대략 중심부에서 단부로 진행하면서 이동랙기어부(330) 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고정랙기어부(310)에 맞물린 이동랙기어부(330)는 고정랙기어판(312)의 대략 중심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므로, 이동랙기어부(330)와 결합되는 회전연결부(370)의 이동 또한 제한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보조선반부재(200)는 사용자가 보조선반부재(200)를 들어 올리는 경우 이동랙기어부(330)가 고정랙기어판(312)의 단부 측으로 이동되며, 사용자가 보조선반부재(200)를 들어 올리는 것을 멈추고, 보조선반부재(200)에 가하는 힘을 해소하는 경우, 이동랙기어부(330)의 이동이 고정랙기어부(310)에 의하여 제한되므로, 보조선반부재(200)가 자중 등에 의하여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고정랙가압부(315)는 고정랙기어(311)와 주선반부재(100)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랙기어(311)를 이동랙기어부(330) 측으로 가압하여, 이동랙기어부(330)와 고정랙기어부(310)가 맞물린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동랙기어부(330)는 고정랙기어부(3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랙기어부(330)는 회전연결부(370)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이동랙기어판(331)과, 이동랙기어판(331)에서 돌출 형성되며, 고정랙기어치(314)에 맞물리는 이동랙기어치(334)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이동랙기어부(330)는 고정랙기어치(314)에 의하여 고정랙기어부(310)의 대략 중심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다만, 고정랙기어부(310)가 이동랙기어부(330)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는 이동랙기어부(330)와 고정랙기어부(310)가 맞물린 상태가 해소되면서 이동랙기어부(330)가 고정랙기어부(310)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허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위치조절부재(300)는 이동제한해제부(350)를 더 포함한다. 위치조절부재(300)는 주선반부재(1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동에 따라 고정랙기어(311)와 이동랙기어부(330)를 이격시켜, 고정랙기어(311)에 의한 이동랙기어부(330)의 이동 제한을 해제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이동제한해제부(350)는 주선반부재(100)의 내측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일단부(도 7 기준 우측 단부)가 주선반부재(100)의 전방으로 노출되며, 타단부(도 7 기준 좌측 단부)는 고정랙기어부(310)에 사선 방향으로 접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이동제한해제부(250)의 일단부를 가압하면, 타단부가 고정랙기어부(310)를 이동랙기어부(330)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랙기어부(310)와 이동랙기어부(330)가 맞물린 상태를 해제시킨다.
회전연결부(370)는 일단부(도 7 기준 상단부)가 이동랙기어부(330)에 결합되고, 타단부(도 7 기준 하단부)가 보조선반부재(200)에 결합되며, 이동랙기어부(330)의 이동에 따라 회전되어 보조선반부재(200)를 승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연결부(370)는 제1회전연결부(371) 및 제2회전연결부(373)를 포함한다.
제1회전연결부(371)는 일단부가 이동랙기어부(330)에 결합되어 주선반부재(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고, 타단부가 보조선반부재(200)에 결합된다.
제2회전연결부(373)는 일단부가 이동랙기어부(330)에 결합되어 제1회전연결부(371)의 일단부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고, 타단부가 보조선반부재(200)에 결합되며, 제1회전연결부(37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회전연결부(371)와 함께 대략 'X' 형상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회전연결부(370)는 제1회전연결부(371)와 제2회전연결부(373)의 일단부가 한 쌍의 이동랙기어부(330)에 결합되어 이동랙기어부(330)와 함께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회전연결부(371)와 제2회전연결부(373)는 일단부가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상호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데, 보조선반부재(200)가 주선반부재(100) 측으로 상승하는 경우, 일단부가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보조선반부재(200)가 주선반부재(1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 경우, 일단부가 상호 접근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에서 보조선반부재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C'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보조선반부재(200)는 회전연결부(370)의 타단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후방(도 9 기준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 저장물의 수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선반부재(200)는 보조선반부(210) 및 연결부결합부(230)를 포함한다.
보조선반부(210)는 주선반부재(100)의 일측에 위치하고, 저장물이 안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선반부(210)는 대략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주선반부재(100)에 대한 높이가 조절되어 저장물이 안착된다.
연결부결합부(230)는 보조선반부(210)에 결합되고, 장홀(231)이 형성되어 회전연결부(370)의 타단부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보조선반부(210)는 연결부결합부(230)가 회전연결부(370)의 타단부에 대하여 이동됨으로써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보조선반부(210)의 전후방 이동 후 위치를 변동을 줄이기 위하여 장홀(231)의 내주면에는 기어치가 형성되어, 회전연결부(370)의 타단부와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에서 제2보조선반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보조선반부(210)는 제1보조선반(211) 및 제2보조선반(213)을 포함한다. 제1보조선반(211)은 주선반부재(100)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측에 저장물이 수용된다.
제2보조선반(213)은 제1보조선반(211) 또는 연결부결합부(2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제1보조선반(211)에 평행하게 위치하여 저장물이 안착된다.
즉 제2보조선반(213)이 회전하여 제1보조선반(211)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경우, 저장물은 제1보조선반(211) 및 제2보조선반(213)에 안착될 수 있으므로 보조선반부(210)에 저장물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다.
반면, 제2보조선반(213)이 회전하여 제1보조선반(211)에 대략 수직하게 위치하는 경우에는 보조선반부(210)에 저장물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이 줄어들지만, 보조선반부(210) 하측에 위치하는 저장물의 수납이 용이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1)의 작동원리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보조선반부재(200)를 주선반부재(100)에 대하여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보조선반부재(200)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보조선반부재(200)에 상측 방향 힘을 가하면, 제1회전연결부(371)의 하단부 및 제2회전연결부(373)의 하단부에 상측으로 작용하는 힘이 전달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회전연결부(371) 및 제2회전연결부(373)는 상호 회전 가능하게 대략 'X' 형태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주선반부재(100)의 높이가 고정된 상태에서 제1회전연결부(371) 및 제2회전연결부(373)의 하측에 상승방향 힘을 가하면, 제1회전연결부(371) 및 제2회전연결부(373)의 상단부가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랙기어부(330)는 고정랙기어부(310)와 맞물리는 형상에 의하여 제1회전연결부(371)와 제2회전연결부(373)가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이동만 가능하므로, 제1회전연결부(371)와 제2회전연결부(373)의 회전에 따라 제1회전연결부(371)와 제2회전연결부(373)가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과정을 따라 보조선반부재(200)는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사용자가 보조선반부재(200)를 상측으로 이동시킨 후 보조선반부재(200)에 가하는 힘을 해소하는 경우에도 보조선반부재(200)가 하강되지는 않는다. 상술할 바와 같이 이동랙기어부(330)는 고정랙기어부(310)에 대한 이동 방향이 제한되어 고정랙기어부(310)의 대략 중심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며, 이는 곧 제1회전연결부(371)와 제2회전연결부(373)의 상단부가 상호 접근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보조선반부재(200)에 자중에 의하여 하측으로 힘이 작용하면, 제1회전연결부(371)와 제2회전연결부(373)의 상단부가 상호 접근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는데, 이러한 방향으로의 이동은 고정랙기어부(310)와 이동랙기어부(330)에 의하여 제한되므로, 사용자가 보조선반부재(200)에 작용하는 힘을 제거하더라도 보조선반부재(200)가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보조선반부재(200)를 하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고정랙기어부(310)와 이동랙기어부(330)가 맞물리는 것을 해제해야 하며, 이러한 해제는 이동제한해제부(350)에 의하여 수행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이동제한해제부(350)를 대략 고정랙기어부(310)의 중심 방향으로 가압하면, 이동제한해제부(350)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해제부빗면(351)이 고정랙기어판(312)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해제부빗면(351)에 접하는 고정랙빗면(313)을 가압하게 고정랙기어판(312)을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고정랙기어판(312)이 상측으로 이동되면, 고정랙기어부(310)와 이동랙기어부(330)가 상호 이격되므로, 고정랙기어부(310)에 의한 이동랙기어부(330)의 이동제한이 해소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제한해제부(350)를 가압하여 고정랙기어부(310)와 이동랙기어부(330) 사이를 이격시킬 수 있으며, 이 때 보조선반부재(200)가 자중 등에 의하여 하측으로 이동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보조선반부재(200)는 승강뿐만 아니라 전후방으로의 이동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선반부재(200)는 장홀(231)에 회전연결부(370)가 결합된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보조선반부재(200)를 당기면, 회전연결부(370)에 대한 보조선반부재(200)의 위치가 변동되면서 보조선반부재(20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같은 원리로, 보조선반부재(200)를 후방으로 미는 간단한 과정을 거쳐 보조선반부재(200)가 원래 위치로 원복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보조선반부재(200)는 보조선반부(210)의 형상을 변경하여 저장물이 안착되는 공간을 조절하고, 보조선반부재(200)의 하측에 위치한 저장물의 확인 또는 수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단순히 제2보조선반(213)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가능한데, 제2보조선반(213)이 제1보조선반(211)에 평행하게 위치하는 경우 제1보조선반(211) 및 제2보조선반(213)에 저장물의 안착이 가능하다.
반대로, 제2보조선반(213)을 회전시켜 제2보조선반(213)이 제1보조선반(211)에 대략 수직하게 위치하는 경우, 저장물을 보조선반부(210)에 안착할 수 있는 양이 줄어들지만, 보조선반부(210)의 하측에 위치하는 저장물의 수납 및 확인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냉장고 선반 10: 냉장고
20: 냉장고 본체 21: 저장실
22: 냉동실 24: 냉장실
30: 도어 100: 주선반부재
200: 보조선반부재 210: 보조선반부
211: 제1보조선반 213: 제2보조선반
230: 연결부결합부 231: 장홀
300: 위치조절부재 310: 고정랙기어부
311: 고정랙기어 312: 고정랙기어판
314: 고정랙기어치 315: 고정랙가압부
330: 이동랙기어부 350: 이동제한해제부
370: 회전연결부 371: 제1회전연결부
373: 제2회전연결부

Claims (9)

  1. 저장실에 결합되는 주선반부재;
    상기 주선반부재의 일측에 위치하는 보조선반부재; 및
    일단부가 상기 주선반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보조선반부재에 결합되며, 일단부가 상기 주선반부재에 슬라이딩 됨에 따라 타단부가 승강되는 위치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조절부재는,
    상기 주선반부재에 결합되는 고정랙기어부;
    상기 고정랙기어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랙기어부; 및
    일단부가 상기 이동랙기어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보조선반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랙기어부의 이동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보조선반부재를 승강시키는 회전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랙기어부는,
    상기 주선반부재에 장착되며 상기 이동랙기어부가 맞물리는 고정랙기어; 및
    상기 고정랙기어와 상기 주선반부재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고정랙기어를 상기 이동랙기어부 측으로 가압하는 고정랙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조절부재는,
    상기 주선반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랙기어와 상기 이동랙기어부를 이격시켜 상기 고정랙기어에 의한 상기 이동랙기어부의 이동제한을 해제하는 이동제한해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제한해제부의 후단부에는 해제부빗면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랙기어는,
    상기 주선반부재에 수용되며, 상기 고정랙가압부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 고정랙기어판;
    상기 고정랙기어판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해제부빗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고정랙기어판을 상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고정랙빗면; 및
    상기 고정랙기어판의 상기 이동랙기어부에 대향되는 면에 형성되며,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이동랙기어부의 이동 방향을 제한하는 고정랙기어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선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연결부는,
    일단부가 상기 이동랙기어부에 결합되어, 상기 주선반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고, 타단부가 상기 보조선반부재에 결합되는 제1회전연결부; 및
    일단부가 상기 이동랙기어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회전연결부의 일단부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고, 타단부가 상기 보조선반부재에 결합되는 제2회전연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선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선반부재는,
    상기 회전연결부의 타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선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선반부재는,
    상기 주선반부재의 일측에 위치하고, 저장물이 안착되는 보조선반부; 및
    상기 보조선반부에 결합되고, 장홀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연결부의 타단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선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선반부는,
    상기 주선반부재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보조선반; 및
    상기 제1보조선반 또는 상기 연결부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제1보조선반에 평행하게 위치하여 저장물이 안착되는 제2보조선반;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선반.
KR1020150065641A 2015-05-11 2015-05-11 냉장고 선반 KR101649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641A KR101649076B1 (ko) 2015-05-11 2015-05-11 냉장고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641A KR101649076B1 (ko) 2015-05-11 2015-05-11 냉장고 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9076B1 true KR101649076B1 (ko) 2016-08-18

Family

ID=56874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641A KR101649076B1 (ko) 2015-05-11 2015-05-11 냉장고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07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00702A (zh) * 2017-04-28 2018-11-13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冰箱
KR20190095114A (ko) * 2018-02-05 2019-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111623577A (zh) * 2020-06-08 2020-09-04 重庆医药高等专科学校 疫苗专用冷藏箱
CN114739093A (zh) * 2019-07-12 2022-07-12 Lg电子株式会社 冰箱
US11571063B2 (en) 2021-02-17 2023-02-07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Adjustable organizer shelf system
KR20230027718A (ko) * 2021-08-20 2023-02-28 (주)로컬앤로지스 빌트인 타입의 양념 냉장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265A (ja) * 1992-07-22 1994-02-08 Sharp Corp 冷蔵庫用棚装置
KR950007302Y1 (ko) * 1992-11-06 1995-09-06 이헌조 냉장고의 선반 승강장치
KR20040059043A (ko) * 2002-12-27 2004-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선반 설치구조
KR20150000683A (ko) * 2013-06-25 2015-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265A (ja) * 1992-07-22 1994-02-08 Sharp Corp 冷蔵庫用棚装置
KR950007302Y1 (ko) * 1992-11-06 1995-09-06 이헌조 냉장고의 선반 승강장치
KR20040059043A (ko) * 2002-12-27 2004-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선반 설치구조
KR20150000683A (ko) * 2013-06-25 2015-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00702A (zh) * 2017-04-28 2018-11-13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冰箱
CN108800702B (zh) * 2017-04-28 2021-07-06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冰箱
KR20190095114A (ko) * 2018-02-05 2019-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620153B1 (ko) 2018-02-05 2024-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114739093A (zh) * 2019-07-12 2022-07-12 Lg电子株式会社 冰箱
CN114739093B (zh) * 2019-07-12 2024-01-05 Lg电子株式会社 冰箱
CN111623577A (zh) * 2020-06-08 2020-09-04 重庆医药高等专科学校 疫苗专用冷藏箱
US11571063B2 (en) 2021-02-17 2023-02-07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Adjustable organizer shelf system
KR20230027718A (ko) * 2021-08-20 2023-02-28 (주)로컬앤로지스 빌트인 타입의 양념 냉장고
KR102655037B1 (ko) 2021-08-20 2024-04-05 주식회사 로컬그룹 빌트인 타입의 양념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9076B1 (ko) 냉장고 선반
US10914508B2 (en) Refrigerator
KR101618128B1 (ko) 냉장고
EP2438373B1 (en) Refrigerator
US9803916B2 (en) Refrigerator
EP3104106B1 (en) Refrigeration device
KR20100138098A (ko) 높이조절 수납부재가 구비된 냉장고
US9803915B2 (en) Refrigerator
EP3152502B1 (en) Refrigerator
CN102042740A (zh) 带有分体式搁架的冰箱
US20180058749A1 (en) Refrigerator
EP3911903B1 (en) Refrigerator
KR20170112654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서랍장치
KR101022900B1 (ko) 냉장고
KR101750543B1 (ko) 냉장고
KR101846174B1 (ko) 냉장고
KR102465631B1 (ko) 냉장고용 높이조절 선반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519154B1 (ko) 냉장고용 서랍식 수납장치
KR101495353B1 (ko) 냉장고
KR20150106231A (ko) 냉장고
KR101427276B1 (ko) 냉장고의 선반 승강 장치
WO2017134219A1 (en) A drawer comprising phase changing material and a refrigerator wherein the same is used
WO2018121836A1 (en) An egg shelf
KR20130088580A (ko) 냉장고의 높낮이 조절용 선반
KR20090083653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