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8474B1 - Atd-ab 모델 기반 적응 변조 전송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Atd-ab 모델 기반 적응 변조 전송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8474B1
KR101648474B1 KR1020160008105A KR20160008105A KR101648474B1 KR 101648474 B1 KR101648474 B1 KR 101648474B1 KR 1020160008105 A KR1020160008105 A KR 1020160008105A KR 20160008105 A KR20160008105 A KR 20160008105A KR 101648474 B1 KR101648474 B1 KR 101648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adaptive
modulation
atd
mod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8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택
김영호
김용이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8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4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488Multiresolu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15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 H04L1/0017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where the mode-switching is based on 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405Modifications of the signal spac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ransmission, e.g. reduction of the bit error rate, bandwidth, or average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TD-AB 모델 기반 적응 변조 전송 제어 방법을 공개한다. 본 발명은 ATD-AB 모델을 이용하여 수신 신호의 세기와 가용도 및 거리 값을 기반으로 대역폭과 관련하여 효율적이고 신뢰도 높은 우선순위 전송량을 설정할 수 있도록 가용신호 대 잡음비에 대한 계산식을 제공하고, 가용신호 대 잡음비를 이용하여 요구 페이드 마진을 만족하는 우선순위 전송량 설정과 적응적 전송 기법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ATD-AB 모델 기반 적응 변조 전송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ADAPTIVE MODULATION TRANSMISSION BASED ON ATD-AB MODEL}
본 발명은 적응 변조 전송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이크로웨이브 통신 시스템에서 링크 거리에 따른 가용도와 대역폭 할당 및 우선순위 전송량을 보장할 수 있는 ATD-AB(Adaptive Transmission Design for Availability Assurance using B-V) 모델에 기반한 적응 변조 전송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마이크로웨이브 무선 링크 전송 시스템(Microwave wireless link transmission system)은 고속으로 대용량의 데이터를 효율성을 극대화하여 안정적이고 경제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개선되고 있다. 특히 군에서는 미래 NCW(Network Centric Warfare)로의 전장 환경 변화에 발맞추어, 장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장소에 고정되는 네트워크 시설인 PTP(Point-To-Point) 및 PTM(Point-To-Multi) 마이크로웨이브 링크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군용 장거리 무선 통신 기반 시스템은 데이터 전송의 경제성뿐만 아니라 신뢰성이 매우 중요한 이슈이며, 경제성과 신뢰성을 모두 확보하기 위해 기존의 전송 방식을 혼용하여 적용이 가능한 개선된 전송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무선 전송 링크에는 열잡음과 간섭에 기인한 페이딩(fading)과 다중 경로(Multi-path)로 인해 야기되는 신호의 왜곡이 발생한다. 고 품질의 신뢰성을 지닌 망을 설계하기 위한 척도로써 일반적으로 가용도(Availability)가 사용된다. 가용도는 페이딩으로 인한 장애나 문제에도 불구하고 장애 없이 운용될 수 있는 시간 비율을 의미한다.
한편 마이크로웨이브 무선 링크에 대한 예측은 장거리 링크를 설계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이다. 장거리일수록 페이딩 발생 확률의 증가로 인해 고 신뢰도의 QoS(Quality of Service)를 지속적으로 보장하기 어려울 수 있다. 무선 링크에서 고 품질의 무선 링크를 지속적으로 보장하기 위해서는 링크 거리(link distance)에 따른 채널 페이딩 환경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기존의 마이크로웨이브 무선 링크 전송 시스템에서는 고정 변조방식(Fixed Modulation)을 주로 이용하였다. 고정 변조 방식에서 전송 속도의 변화는 없으나, 링크 거리가 서로 다른 경우에도 동일한 고정된 변조방식을 적용하고 있으므로, 링크 거리에 따른 페이딩 발생 확률의 증가로 무선 링크의 품질이 변화될 수 있다. 즉 높은 가용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는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를 개선하고 가변되는 무선 링크 환경에 적응하여 항시 높은 가용도로 고 품질의 신뢰성을 지닌 망을 유지하기 위해 AM(Adaptive Modulation)기법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링크 거리가 멀어져 페이딩 발생 시간이 길어지는 경우 AM 만으로는 가변되는 전송속도로 인해 전송 지연 등 QoS 보장하는데 한계가 있다.
B. L. Agba, R. Morin, and G. Bergeron, "Comparison of microwave links prediction methods: Barnett-vigants vs. ITU models," in Proc. PIERS, pp. 788-792, Xi'an, China, Mar. 2010.
본 발명의 목적은 수신 신호의 세기와 가용도 및 거리 값을 기반으로 대역폭과 관련하여 효율적이고 신뢰도 높은 우선순위 전송량을 ATD-AB 모델을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는 ATD-AB 모델에 기반한 적응 변조 전송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ATD-AB 모델에 기반한 적응 변조 전송 제어 방법은 적응적 변조 제어부, 스위치, 복수개의 패킷 그룹화부, 동적 맵핑부 및 복수개의 변복조부를 포함하는 적응 변조 전송 제어 장치의 적응 변조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응적 변조 제어부가 마이크로웨이브 통신 시스템의 프로파일 프로파일에 지정된 링크 거리(d), 대역폭(B), 중심 주파수(f) 및 비가용도(P)와 수신 신호의 세기(RL)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방식으로 ATD-AB 모델 기반 가용신호 대 잡음비(ASNR)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적응적 변조 제어부가 계산된 상기 가용신호 대 잡음비(ASNR)를 전송 기법 별 신호 대 잡음비(SNR)와 비교함으로써, 요구 페이드 마진(M)을 만족하는 우선순위 전송량(Cp)과 적응적 전송 기법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ATD-AB 모델 기반 가용신호 대 잡음비(ASNR)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파일을 참조하여 송신 출력(TP : Transmitter Power)과 이득(G)과 손실(L)을 이용하여 수신 신호 세기(RL : Receive Level)를 수학식
Figure 112016007470638-pat00001
에 따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TD-AB 모델 기반 가용신호 대 잡음비(ASNR)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가용신호 대 잡음비(ASNR)를 수학식
Figure 112016007470638-pat00002
(여기서 Δb 는 -3dB 대역폭에 대한 차이 값을 의미한다.)
에 따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TD-AB 모델 기반 가용신호 대 잡음비(ASNR)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대역폭(B)에 대한 -3dB 대역폭과의 차이 값(Δb)를 수학식
Figure 112016007470638-pat00003
에 따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응적 전송 기법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ATD-AB 모델 기반 가용신호 대 잡음비(ASNR)가 상기 복수개의 적응적 전송 기법 별 신호 대 잡음비(SNR) 이상인지 판별하는 단계; 상기 ATD-AB 모델 기반 가용신호 대 잡음비(ASNR)가 상기 복수개의 적응적 전송 기법 중 최고차 전송 기법에서의 신호 대 잡음비 이상이면, 상기 최고차 전송 기법을 고정 전송 기법으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ATD-AB 모델 기반 가용신호 대 잡음비(ASNR)가 상기 복수개의 적응적 전송 기법 별 신호 대 잡음비(SNR) 이상인 적응적 전송 기법 중 최저차 전송 기법으로부터 상기 최고차 전송 기법까지 상기 적응적 전송 기법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응적 전송 기법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포트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패킷의 속성을 분석하여, 상기 대역폭(B)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대역폭(B)에 따른 채널 수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스위치가 상기 적응적 변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복수개의 포트 중 상기 변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선택되는 포트를 통해 인가되는 복수개의 데이터 패킷을 상기 복수개의 패킷 그룹화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패킷 그룹화부가 상기 스위치에서 인가되는 상기 복수개의 데이터 패킷을 그룹핑하여 데이터 패킷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동적 맵핑부가 상기 복수개의 패킷 그룹화부로부터 상기 데이터 패킷 그룹을 인가받아 활성화된 상기 변복조부에 대응하여 분산하여, 상기 분산 데이터 패킷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변복조부가 상기 변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성화되어 각각 분산 데이터 패킷 그룹을 인가받아 상기 적응적 변조 제어부에서 설정된 상기 적응적 전송 기법에 따라 변조하여 전송하는 단계; 를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ATD-AB 모델 기반 적응 변조 전송 제어 방법은 B-V 모델을 이용하여 수신 신호의 세기와 가용도 및 거리 값을 기반으로 대역폭과 관련하여 효율적이고 신뢰도 높은 우선순위 전송량을 설정할 수 있도록 가용신호 대 잡음비에 대한 계산식을 제공하고, 가용신호 대 잡음비를 이용하여 요구 페이드 마진을 만족하는 우선순위 전송량 설정과 적응적 전송 기법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1 은 적응적 전송 기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우선순위 전송의 필요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TD-AB 모델 기반 적응 변조 전송 제어 장치가 적용된 마이크로웨이브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3 은 도2 의 적응 변조 전송 제어 장치의 전송 기법을 결정하는 적응적 변조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TD-AB 모델 기반 적응 변조 전송 제어 방법을 나타낸다.
도5 내지 도7 은 본 발명의 ATD-AB 모델에 기반한 적응 변조 전송 제어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1 은 적응적 전송 기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우선순위 전송의 필요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장애가 없는 이상적인 마이크로웨이브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신호의 세기를 나타내는 수신 감도의 최대값이 수신 레벨과 동일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실제 디지털 무선 시스템에서 수신 신호의 세기는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상조건 등의 다양한 조건에 의해 페이딩이 발생하게 됨에 따라 크게 낮아 질 수 있다. 마이크로웨이브 통신 시스템의 전체적인 페이드 마진은 기상 조건 등 작지만 발생될 수 있는 장애 발생 확률의 시간 비율을 고려하여야만 한다.
페이딩이 발생하였을 때 변조 기법은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페이딩이 발생하는 동안 더 강건한 변조 기법이 적용되도록 낮은 차수의 변조 기법으로 변경되어야 한다. 무선 채널 환경이 좋지 않은 경우 사용되는 낮은 차수의 변조 기법은 전송량이 줄어들어 성능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는 반면, 고품질 전송 보증이 가능하다.
(a)에서 페이딩이 발생하였을 때 심벌당 비트의 수가 높을 경우 전송 트래픽이 손실될 수 있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으므로,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낮은 변조 기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동일한 대역폭에서 전송량이 변화되어 전송됨에 따라 전송 시간의 비율에 대해 고려해야 한다.
만일 전송량에 대한 고려 없이 적응적 변조만을 적용하여 전송할 경우, 무선 채널 환경이 나빠지는 시간에 낮은 변조 기법을 활용하게 되어 전송량이 줄어든다. 그리고 전송량이 줄어들면, 음성 또는 실시간 데이터와 같은 필수적으로 전송되어야 할 데이터가 다른 데이터가 혼재되어 전송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무선 채널 환경에 무관하게 필수적으로 우선 전송해야 할 데이터의 트래픽과 지연 가능한 데이터의 트래픽을 분류하여 전송하고, 전송해야 할 데이터의 트래픽을 우선순위 전송량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1 의 (c)에서는 음성(Voice) 데이터가 우선순위 전송량으로 설정되어 페이딩 변화에 무관하게 항시 균일한 트래픽으로 전송되도록 설정되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우선순위 전송량은 항시 전송 가능한 전송량을 의미하므로, 우선순위 전송량에 대한 기준을 가용도에 의해 보장하도록 한다면, 가변되는 무선채널 환경에 대한 제한 사항을 극복하고 효과적으로 무선 전송의 최적화가 가능하다. 즉 마이크로웨이브 통신 시스템의 링크간에 우선순위 전송량이 보장됨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가변 변조를 위한 변조 기법은 일 예로 QPSK에서 1024QAM까지 고려될 수 있으며, 변조 기법이 변경되는 각 시간과 스위칭의 회수에 따라 에러가 발생될 수도 있다. 치명적인 페이딩 상태 하에서는 에러가 없는 스위칭이 필수적이다. 우선순위 트래픽의 설정에 의해 낮은 차수 변조 기법으로 스위칭 시에는 성능 저하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전송 심벌당 비트의 수가 많은 높은 차수의 변조 기법일수록 더 큰 신호 대 잡음비(SNR)가 요구된다. 예를 들면, 256QAM에서 최소 SNR값이 30dB 이상이 요구되는 반면에 QPSK 에서는 15dB가 적합하다. 즉 변조 기법의 차수가 높을 수록 수신 감도의 증가로 인해 페이드 마진은 줄어들게 됨을 알 수 있다.
더 높은 변조 기법으로 스위칭 할 때, 통상적으로 송신출력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선형적인 출력 특성을 위해 백오프(Back off)가 필요해진다. 이것은 페이드 마진을 감소시켜 성능 저하를 초래할 수 있지만 에러 없는 스위칭을 통해 주요 트래픽에서 요구되는 페이드 마진 확보가 가능하다. 그리고 낮은 차수 변조의 이점이 링크 설계 시 활용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수신 신호의 세기와 가용도, 링크간 거리 및 우선순위 전송을 고려한 확률에 따른 시간의 비율에 대한 고려가 요구 된다. 그리고 페이딩이 발생하였을 때, 심벌당 비트의 수가 높은 경우 전송 트래픽이 손실될 수 있다는 것이 예측될 수 있으므로, 페이딩이 발생하는 경우 더 낮은 변조 기법을 활용하고 동일한 대역폭에서 전송량이 변화하여 보내어지는 시간의 비율이 고려되어야 한다.
도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TD-AB 모델 기반 적응 변조 전송 제어 장치가 적용된 마이크로웨이브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2 에서는 일예로 마이크로웨이브 통신 시스템에서 2개의 노드가 링크된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각각의 링크는 송수신 장치를 구비한다. 송수신 장치 각각은 적응적 변조 제어부(AM), 스위치(SW), 복수개의 패킷 그룹화부(RAG : Radio Aggregation Group), 동적 맵핑부(DPM : Dynamic Physical Mapping) 및 복수개의 변복조부(MD)를 구비한다.
우선 적응적 변조 제어부(AM)는 요구 가용도를 보장하기 위한 페이드 마진의 변화를 고려한 최적 변조 기법과 우선순위 트래픽, 최적 대역이 모두 고려된 적응적 전송 기법을 도출하고, 도출된 적응적 전송 기법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스위치(SW), 복수개의 패킷 그룹화부(RAG), 동적 맵핑부(DPM) 및 복수개의 변복조부(MD)를 제어한다.
스위치(SW)는 적응적 변조 제어부(AM)에서 설정된 적응적 전송 기법에 따라 이더넷 포트(Ethernet Port)를 통해 인가되는 복수개의 데이터 패킷 중 일부 데이터 패킷을 선택하여, 복수개의 패킷 그룹화부(RAG1, RAG2) 중 적응적 전송 기법에 대응하는 패킷 그룹화부(RAG1, RAG2)로 전달한다. 이때 복수개의 이더넷 포트 중 기설정된 개수의 포트는 우선순위 데이터 패킷을 인가받는 우선순위 포트이고, 스위치(SW)는 변조 제어부(AM)의 제어에 따라 적응적 전송 기법의 변경에 무관하게 우선순위 포트에서 인가되는 우선순위 데이터 패킷을 항시 복수개의 패킷 그룹화부(RAG1, RAG2) 중 대응하는 패킷 그룹화부(예를 들면 RAG1)로 전달한다.
복수개의 패킷 그룹화부(RAG1, RAG2) 각각은 스위치(SW)에서 인가되는 데이터 패킷을 묶어서 전송할 수 있도록 그룹화한다. 즉 복수개의 패킷 그룹화부(RAG1, RAG2) 각각은 기저대역 포트에서 입력된 패킷 신호를 무선 채널에 대해 묶어서 전송 수 있도록 그룹핑하여 데이터 패킷 그룹을 생성한다.
이때 복수개의 패킷 그룹화부(RAG1, RAG2) 중 적어도 하나의 패킷 그룹화부(RAG1)는 우선순위 데이터 패킷을 위해 구비되어 적응적 전송 기법의 변경에 무관하게 항시 우선순위 데이터 패킷을 인가받아 그룹화하여 우선순위 데이터 패킷 그룹을 생성한다. 그리고 우선순위 데이터 패킷을 그룹화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킷 그룹화부(RAG1)를 제외한 나머지 패킷 그룹화부(RAG2)는 적응적 변조 제어부(AM)에서 설정된 적응적 전송 기법에 따라 스위치(SW)에서 인가되는 데이터 패킷을 그룹화할 수 있다. 나머지 패킷 그룹화부(RAG2)는 설정된 적응적 전송 기법에 따라 스위치(SW)로부터 데이터 패킷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비활성화 될 수 있다.
동적 맵핑부(DPM)는 복수개의 패킷 그룹화부(RAG1, RAG2) 각각으로부터 데이터 패킷 그룹을 인가받고, 인가된 복수개의 데이터 패킷 그룹을 복수개의 변복조부(MD) 중 적응적 변조 제어부(AM)에서 설정된 적응적 전송 기법에 따라, 즉 적응적 변조 제어부(AM)의 제어에 따라 선택된 변복조부로 전송한다. 즉 동적 맵핑부(DPM)은 그룹화되어 입력되는 데이터 패킷 신호를 복수개의 무선 채널로 분산 전송하기 위해 복수개의 변복조부(MD)로 분산 전달한다.
복수개의 변복조부(MD) 각각은 변조부(MOD) 및 복조부(DEM)를 구비하고, 변조부(MOD)는 동적 맵핑부(DPM)에서 인가되는 분산 데이터 패킷 그룹을 적응적 변조 제어부(AM)에서 설정된 적응적 전송 기법에 따라 변조하여 무선 경로를 통해 전송한다. 복조부(DEM)는 무선 경로를 통해 인가되는 변조 신호를 설정된 적응적 전송 기법에 따라 복조하여 분산 데이터 패킷 그룹을 동적 맵핑부(DPM)로 전송한다.
여기서 복수개의 변복조부(MD) 중 적응적 전송 기법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변복조부(MD)가 동적 맵핑부(DPM)로부터 분산 데이터 패킷 그룹을 인가받아 변조하여 전송을 수행하며, 나머지 변복조부(MD)는 비활성화 될 수 있다.
도3 은 도2 의 적응 변조 전송 제어 장치의 전송 기법을 결정하는 적응적 변조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고, 도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TD-AB 모델 기반 적응 변조 전송 제어 방법을 나타낸다.
적응적 변조 제어부(AM)는 프로파일 저장부(110), 요구 페이드 마진 계산부(120), 링크 버짓 계산부(130), ASNR 계산부(140), 우선순위 전송량 계산부(150), 트래픽 속성 분석부(160), 채널수 설정부(170)를 포함한다.
프로파일 저장부(110)는 마이크로웨이브 통신 시스템의 프로파일이 저장된다. 여기서 프로파일에는 노드간 링크 거리(d)와 적응적 전송 기법에 적용될 수 있는 변조 기법 종류(본 발명에서는 QPSK, 8QAM ~ 1024QAM), 마이크로웨이브 통신 시스템의 설계 시에 지정되는 요구 가용도, 전송되는 신호의 중심 주파수(f), 기후 및 지형 인자(C), 송신 출력(TP), 이득(G) 및 손실(L) 요소 등에 대한 값이 포함될 수 있다.
요구 페이드 마진 계산부(120)는 먼저 프로파일 저장부(110)에 저장된 프로파일을 분석하여 링크 거리(d)와 요구 가용도를 확인하고, 확인된 링크 거리(d)와 요구 가용도를 이용하여 요구 페이드 마진(M)을 계산한다(S11).
링크 거리(d)는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노드 사이에 통신을 수행하는 채널의 경로 거리를 나타내며, 본 발명에서 복수개의 노드는 위치가 고정된 노드로서, 각 노드에 링크 거리가 프로파일 저장부(110)에 미리 저장된다.
한편 디지털 무선 중계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요구 가용도는 무선 전송 경로에서의 성능 목표치로서 ITU-R에서 권고에 의해 명시되어 있는 전송 품질을 기준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ITU-R 목표치는 고등급, 중등급, 지역 등급의 세가지로 분류하여 적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고등급에 대해서 적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고 등급 회선의 일부분을 형성할 실제 디지털 무선 전송 링크를 설정할 링크 거리(d)를 갖는 링크에서의 디지털 무선 중계 시스템에 대한 목표 비가용도는 ITU-R Rec. F.634-4, "Error performance objectives for real digitalradio-relay links forming part of the high-grade portion of internationaldigital connections at a bit rate below the primary rate within a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1997.[67] R. L. Freeman" 및 "Radio System Design for Telecommunications, JohnWiley & Sons, Inc., pp. 155∼162, 2007." 에서, 수학식 1 및 수학식 2와 같이 제안되어 있다.
Figure 112016007470638-pat00004
Figure 112016007470638-pat00005
본 발명에서는 수학식 1 및 2 에 따른 목표 비가용도를 기초로 지정된 요구 가용도가 프로파일 저장부에 미리 저장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프로파일에 지정된 링크 거리(d)와 요구 가용도가 확인되면, 프로파일 저장부(110)는 링크 거리(d) 및 요구 가용도에 대응하는 요구 페이드 마진(M)을 계산한다.
요구 페이드 마진(M)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먼저 가용도와 페이드 마진 사이의 상관 관계를 확인해야 한다. 마이크로웨이브 통신 시스템의 가용도와 페이드 마진 사이의 관계는 선행 문헌인 "B. L. Agba, R. Morin, and G. Bergeron, "Comparison of microwave links prediction methods: Barnett-vigants vs. ITU models," in Proc. PIERS, pp. 788-792, Xi'an, China, Mar. 2010."에서 이미 연구되었으며, 장거리 구간에서 B-V(Barnett-vigants) 모델의 다중 경로(Multipath)에 기인한 비가용도(P)가 ITU 모델에 비해 높은 결과가 나타남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B-V 모델의 비가용도(P)에서 도출되는 요구 페이드 마진(M)은 수학식 3과 같이 계산된다.
Figure 112016007470638-pat00006
(여기서 M은 페이드 마진을 나타내고, P는 비가용도이고, f는 전송되는 신호의 중심 주파수(GHz)를, d는 링크 거리(Km)를 나타내며, C는 기후 및 지형지수이다.)
링크의 비가용도(P)를 예측하는 방법은 ITU 에 의한 예측 모델이 제안되어 있으며, 수학식 3 에서 기후 및 지형 지수(C)는 위도와 경도에 의한 위치 정보와 해당 위치에서의 기후 조건에 따라 미리 지정된 값을 갖는다.
요구 페이드 마진(M)이 획득되면, 링크 버짓 계산부(130)가 링크 거리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통신 시스템 모델의 링크 버짓(link budget)을 계산한다(S12).
링크 버짓은 노드들 사이의 통신 경로인 링크에 대해, 통신 시스템 사양 및 채널의 상태와 같은 각종 변수(parameters)를 확인하고 이득 및 손실 요인에 의한 신호 전력의 증감을 대수적으로 계산하는 것으로, 링크 버짓 계산부(130)는 2개의 노드 사이의 송신 주파수와 송신 출력 및 모든 이득(G)과 손실(L)이 확인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링크 거리가 미리 지정된 경우에는 수신 노드에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세기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링크 거리(d)가 프로파일에 미리 지정되어 있으므로, 링크 버짓 계산부(130)는 무선 링크에서 2개의 노드 사이의 모든 이득(G)과 손실(L)을 고려한 송신 출력(TP : Transmitter Power)과 수신 신호 세기(RL : Receive Level) 간의 관계식으로 수학식 4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6007470638-pat00007
수학식 4 에서 경로 손실(L)은 송신기와 수신기 간에 LOS(line of sight)환경이 보장되고 무선 링크 주변에 장애물이 없는 자유 공간 모델(Free space model)에서 수학식 5로 계산된다.
Figure 112016007470638-pat00008
(여기서 d는 링크 거리(km)이고 f는 주파수(MHz)이다.)
수학식 5 에 따라 링크 거리(d) 와 주파수(f) 에 따른 경로 손실값(L)과 가용한 송신 출력(TP)와 안테나 이득(G)를 적용하고, 전송라인에 의한 경로 손실값(L)을 더 포함하여 수학식 4로부터 무선 링크 구간에 대해 수신신호 세기(RL)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수학식 4 에 의해 계산되는 수신 신호의 세기(RL)와 별도로 링크 버짓 계산부(130)는 마이크로웨이브 통신 시스템에서 변조 기법에 따른 수신 감도(Rth)를 수학식 6에 따라 계산한다.
Figure 112016007470638-pat00009
(여기서 Rth는 적응적 전송 기법에서 전송 기법에 따라 가변되는 수신 감도를 나타내고, No는 열 잡음(dBm/Hz), Bn은 n MHz 채널 대역폭에서의 -3dB 대역폭(Hz)을 나타내며, NF는 잡음지수(dB), SNR은 시스템의 목표 신호 대 잡음비(dB)(BER=10-n)를 나타낸다.)
수학식 6에서 대역폭에 따라 수신감도(Rth)의 값이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링크 거리(d)에 대한 페이드 마진 변화를 고려한 AM 기법과 고 신뢰의 QoS 보장을 위한 효과적인 전송을 위해서는 대역폭(B)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링크 버짓 계산부(130)에서 수학식 4 에 따라 수신 신호 세기(RL)이 계산할 수 있고, 수학식 6 에 의해 수신 감도(Rth)가 계산되면, 페이드 마진은 상기한 바와 같이 수신 신호 세기(RL)과 수신 감도(Rth)사이의 차이를 나타내므로 수학식 7 로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6007470638-pat00010
수학식 7 에서 페이드 마진은 수학식 3의 요구 페이드 마진(M)과 별도로 마이크로웨이브 통신 시스템 모델에서 이론적으로 계산되는 페이드 마진을 나타낸다.
수학식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페이드 마진은 수신 감도(Rth)와 반비례 관계를 갖는다. 그리고 변조 기법이 고차 변조일 수록 더 큰 SNR이 요구됨에 따라 수신 감도(Rth)는 수학식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증가한다. 결과적으로 고차 변조 일수록 페이드 마진은 감소한다.
ASNR 계산부(140)는 수학식 7 을 응용하여 우선순위 트래픽 설정 전송량을 수학식 8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Figure 112016007470638-pat00011
수학식 8 은 수학식 7 의 페이드 마진 대신 요구 페이드 마진(M)을 대입하여 수신 신호 세기(RL)에서 요구 페이드 마진(M)을 차감한 값이 수신 감도(Rth) 이상임을 의미한다.
그리고 수학식 8 에서 수신 감도(Rth)에 수학식 6을 대입하고, 신호 대 잡음비(SNR)를 기준으로 정렬하면, 수학식 9가 획득될 수 있다.
Figure 112016007470638-pat00012
한편 신호 대 잡음비를 기준으로 정렬된 수학식 9에서 좌측항을 본 발명에서는 가용신호 대 잡음비(Available SNR : ASNR)로 설정한다.
즉 ASNR 계산부(140)는 가용신호 대 잡음비(ASNR)를 수학식 10과 같이 계산한다.
Figure 112016007470638-pat00013
수학식 10 에서 열 잡음(N0)는 실온에서 -174(dBm/Hz)이고, 잡음 지수(NF)는 일반적인 수신 잡음 지수인 3dB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수학식 10 은 수학식 11로 정리될 수 있다.
Figure 112016007470638-pat00014
수학식 11 에서 Δb 는 -3dB 대역폭에 대한 차이 값으로, 점유 주파수 대역폭(B)와 Δb 사이의 관계는 수학식 12와 같이 설정된다.
Figure 112016007470638-pat00015
한편 ASNR 계산부(140)는 변조 기법에 따른 전송 용량을 수학식 13 과 같이 N개의 파형(waveform)에 대한 전송용량(Rb)과 심볼레이트(Rs)와의 관계로 계산할 수 있다.
즉 ASNR 계산부(140)는 수학식 11 에서 대역폭(B)을 고려하여 수신 신호의 세기(RL)과 비가용도(P), 링크 거리(d), 중심 주파수(f)를 대입하여 가용신호 대 잡음비(ASNR)를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신호를 수신하는 링크 노드로부터 수신 감도를 직접적으로 전송받지 않고도 가용신호 대 잡음비(ASNR)를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가용 신호대 잡음비(ASNR)는 B-V 모델을 이용하여 가용도를 보장하기 위한 적응적 전송 기법 설계를 위한 ATD-AB(ATD-AB : Adaptive Transmission Design for Availability Assurance using B-V) 모델을 기반하여 도출된 결과물이다.
우선순위 전송량 설정부(150)는 변조 기법 및 대역 폭(B)에 따른 우선순위 전송량이 수학식 13 내지 16 에 의해 미리 계산되어 표1 과 같이 저장된다.
Figure 112016007470638-pat00016
(여기서, m은 심벌당 비트수로서 m=log2N이며, 일예로 변조 기법이 64QAM인 경우 N=64이고, 128QAM의 경우 N=128이다.)
수학식 13 에서 전송용량(Rb)은 변조 전단계의 이론적 데이터 전송용량이다.
또한 대역폭(B)은 수학식 14 로써 획득될 수 있다.
Figure 112016007470638-pat00017
(여기서 B는 점유대역폭(Occupied Bandwidth)을 나타내고, K(α)는 롤오프 팩터(roll-off factor)(α)에 대한 함수로서 ITU-R F. 1191에 권고되어 있다. 그리고 fCLK는 주파수를 나타낸다.)
링크 거리(d)에서의 우선순위 전송량(Cp)은 수학식 13 에 따라 수학식 15 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6007470638-pat00018
(여기서 Rsn 은 n MHz 채널 대역폭에서의 심벌레이트를 나타낸다.)
수학식 15 의 n MHz 채널 대역폭에서의 심벌레이트(Rsn)는 수학식 16 으로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6007470638-pat00019
여기서 Rs30, Rs40, Rs26 은 각각 채널 대역폭 30(MHz), 40(MHz), 56(MHz)에 대한 심벌 레이트(Rsn)를 의미한다. 그리고 수학식 15 에서 m 은 수학식 13과 마찬가지로 심벌당 비트수로서 m=log2N이며, 본 발명에서는 적응적 전송 기법으로 QPSK로부터 1024QAM까지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므로, 심벌당 비트수(m)는 2 ~ 10까지의 자연수로 나타난다.
Figure 112016007470638-pat00020
표1 에서 SNR8Q 는 8QAM 변조시의 SNR값이며, SNR16Q ... SNR1024Q 또한 동일한 의미이다.
그리고 우선순위 전송량 설정부(150)는 ASNR 계산부(140)에서 산출된 가용신호 대 잡음비(ASNR)를 표1 에 대입하여 가용신호 대 잡음비(ASNR)가 설정 가능한 최고차 전송 기법에서의 신호 대 잡음비(SNRMax.n-QAM) 이상인지 판별한다(S13). 본 발명에서는 최고차 전송 기법이 1024 QAM 인 것으로 설정하였으므로, 가용신호 대 잡음비(ASNR)가 1024 QAM 변조 기법에서의 신호 대 잡음비(SNR1024Q) 이상인지 판별한다.
만일 가용신호 대 잡음비(ASNR)가 최고차 전송 기법에서의 신호 대 잡음비(SNRMax.n-QAM) 이상이면, 최고차 전송 기법에서도 요구 페이드 마진(M)을 만족할 수 있는 수신 감도(Rth)가 획득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우선순위 전송량 설정부(150)는 최고차 전송 기법(여기서는 1024 QAM 변조 기법)으로 고정 변조 기법을 이용하는 것으로 설정한다(S15). 그리고 트래픽 속성 분석부(160) 및 채널수 설정부(170)는 각각 고정 변조 기법에서의 대역폭(B)와 채널 수를 결정한다(S16).
반면 가용신호 대 잡음비(ASNR)가 최고차 전송 기법에서의 신호 대 잡음비(SNRMax.n-QAM) 미만이면, 우선순위 전송량 설정부(150)는 표1 에서 가용신호 대 잡음비(ASNR)에 대응하는 최저차 전송 기법을 확인하고, 확인된 최저차 전송 기법에 대응하는 우선순위 전송량을 설정한다(S17).
표1 에서 우선순위 전송량은 QAM 변조 기법에 대응하는 심벌당 비트수(m)를 확인하고 대역폭에 맞는 심벌레이트(Rsn)를 곱하여 계산할 수 있다. 최대 변조 기법은 별도로 설정할 필요 없이 사용 가능한 최고차 전송 기법(여기서는 1024 QAM 변조 기법)이 적용된다.
한편, 트래픽 속성 분석부(160)는 무선 전송 링크에서 채널 환경이 페이딩의 발생으로 열악해지는 경우 적응 변조 기반 우선순위 트래픽 전송을 통해 링크의 품질 저하에 대한 대비가 가능하도록 트래픽 속성을 분석한다(S18). 트래픽 속성 분석부(160)는 가용도 보장을 위한 우선순위 트래픽 속성에 의한 전송량을 설정하고, 주파수 자원을 고려하여 기존 대역폭 또는 추가 가용 대역폭 할당을 통해 최저 전송량과 최대 전송량에서의 전송 트래픽의 속성을 반영하여 일반 트래픽 전송량을 설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트래픽 속성 분석부(160)는 분석된 트래픽 속성에 따라 적응적 전송 기법을 설정한다(S19). 이때 설정되는 적응적 전송 기법은 우선순위 전송량 설정부(150)에서 확인된 최저차 전송 기법으로부터 사용 가능한 최고차 전송 기법(여기서는 1024 QAM 변조 기법) 사이의 변조 기법 중 하나가 선택된다.
이후 채널수 설정부(170)는 트래픽 속성 분석부(160)에서 선택된 변조 기법에 따라 분산 전송을 수행할 채널 수를 설정한다(S20).
그리고 채널수 설정부(170)는 설정된 전체 채널의 전송량이 보내고자 하는 전송량 이상인지, 그리고 각 채널별 신호 대 간섭비(Carrier-to-Interference Ratio: C/I)가 기설정된 보호비 이상인지 판별한다(S21). 만일 설정된 전체 채널의 전송량이 보내고자 하는 전송량 이상이고, 채널별 신호 대 간섭비(C/I)가 보호비 이상인 것으로 판별되면, 선택된 변조 기법과 채널 수 및 우선순위 전송량을 저장한다.
그러나 설정된 전체 채널의 전송량이 보내고자 하는 전송량 미만이거나, 채널별 신호 대 간섭비(C/I)가 보호비 미만이면, 다시 가용신호 대 잡음비(ASNR)를 계산한다(S13).
도5 내지 도7 은 본 발명의 ATD-AB 모델 기반 적응 변조 전송 제어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5 내지 도7 에서 활용된 시뮬레이션 조건은 표2 와 같다.
Figure 112016007470638-pat00021
제안된 기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도1 과 수학식 11 및 15에 근거한 동작을 통해 표2 의 파라미터 값으로 MatLab을 활용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성능을 분석하기 위해 군용 마이크로웨이브 통신 거리에 대해 적용 가능한 장치의 파라미터 수치를 입력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한 모의 실험을 실시하여 ASNR, 전송량, 비가용도 비교를 통해 분석하였다.
제안한 수학식 11에서 요구 비가용도를 수학식 2 에서 거리별로 산출된 값을 적용하였으며, 표3 은 수신신호 세기(RL)를 -40(dBm)으로 가정하였고, 신호 대 잡음비(SNR (BER=10E-6)) 기준은 ITU-R F.1101에 제시된 값을 근거로 하였다.
표3 은 우선순위 전송을 위한 전송량과 최대 전송량에 대해 거리별로 계산한 결과이다.
Figure 112016007470638-pat00022
전송량은 Guard frame, QoS파라미터, 데이터 압축 전송 등에 의해 변동될 수 있다.
요구 가용도를 보장하기 위한 대역폭을 고려한 최저 QAM과 최대 QAM의 선정이 가능하다.
대역폭이 클수록 장거리에서 전송효율이 취약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대역폭에 따른 ASNR 값의 차이가 전송하고자 하는 심벌당 비트 수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거리에 따라 고정 변조의 경우 가용도는 변화할 수 있으며, 가변 변조 적용 시 장거리일수록 심벌당 전송 비트의 수를 고려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다이버시티 방식은 적용하지 않은 경우의 결과이므로 실제 장거리의 경우 다이버시티 방식을 적용할 경우 요구 가용도보다 개선된 결과로 나타난다.
도5 는 링크 거리 100(km)에서 최저 QAM 과 최대 QAM 시의 3가지 대역폭에 대한 비가용도(P) 변화를 나타낸다. 가용도 보장을 위해 적응 변조 기반 거리에 따른 우선순위 트래픽 설정과 전송 설계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심벌 당 비트 수가 많은 QAM 변조와 대역폭이 클수록 비가용도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6 의 전송량 시뮬레이션은 각 거리에서 본 발명이 적용된 AM 기법에 의한 최저 QAM에 해당하는 심벌당 비트(Priority Capacity), 여기서 최대 QAM의 심벌당 10개 비트가 전송되는 변조 기법으로 동작(Average Capacity)하는 환경과 고정 변조(Fixed Modulation)로 동작하는 환경으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도6 은 대역폭 30MHz, 40MHz, 56MHz 에 대한 모의실험 결과이다. 거리에 따라 전송하고자 하는 전체 전송량은 평균 전송량보다 적어야 하고 요구 가용도를 충족하는 우선순위 전송량을 통해 효과적인 전송이 가능함을 나타내고 있다. 평균 전송량이 장거리일수록 수신신호 세기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더라도 우선순위 전송량에 대한 차이는 대역폭이 적을수록 적어지며, 전송효율이 더 높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 7은 거리에 따른 요구가용도 대비 본 발명의 기법 적용 동작에 의한 우선순위 전송과 고정1024QAM 전송시의 비가용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응적 전송 기법이 적용된 경우, 거리에 따라 요구 비가용도 이하를 유지하는 양호한 결과 값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적응적 변조 제어부, 스위치, 복수개의 패킷 그룹화부, 동적 맵핑부 및 복수개의 변복조부를 포함하는 적응 변조 전송 제어 장치의 적응 변조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응적 변조 제어부가 마이크로웨이브 통신 시스템의 프로파일에 지정된 링크 거리(d), 대역폭(B), 중심 주파수(f) 및 비가용도(P)와 수신 신호의 세기(RL)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방식으로 ATD-AB 모델 기반 가용신호 대 잡음비(ASNR)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적응적 변조 제어부가 계산된 상기 ATD-AB 모델 기반 가용신호 대 잡음비(ASNR)를 전송 기법 별 신호 대 잡음비(SNR)와 비교함으로써, 요구 페이드 마진(M)을 만족하는 우선순위 전송량(Cp)과 적응적 전송 기법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응적 변조 제어부가 복수개의 데이터 패킷이 인가되는 복수개의 포트 중 설정된 상기 우선순위 전송량(Cp)과 상기 적응적 전송 기법에 대응하는 포트를 선택하고, 상기 스위치, 상기 복수개의 패킷 그룹화부, 상기 동적 맵핑부 및 상기 복수개의 변복조부를 제어하여, 선택된 상기 포트를 통해 인가된 데이터를 설정된 상기 우선순위 전송량(Cp)과 상기 적응적 전송 기법에 따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스위치가 상기 적응적 변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복수개의 포트 중 상기 변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선택되는 포트를 통해 인가되는 복수개의 데이터 패킷을 상기 복수개의 패킷 그룹화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패킷 그룹화부가 상기 스위치에서 인가되는 상기 복수개의 데이터 패킷을 그룹핑하여 데이터 패킷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동적 맵핑부가 상기 복수개의 패킷 그룹화부로부터 상기 데이터 패킷 그룹을 인가받아 활성화된 상기 변복조부에 대응하여 분산하여, 분산 데이터 패킷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변복조부가 상기 변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성화되어 각각 분산 데이터 패킷 그룹을 인가받아 상기 적응적 변조 제어부에서 설정된 상기 적응적 전송 기법에 따라 변조하여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D-AB 모델 기반 적응 변조 전송 제어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ATD-AB 모델 기반 가용신호 대 잡음비(ASNR)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파일을 참조하여 송신 출력(TP : Transmitter Power)과 이득(G)과 손실(L)을 이용하여 수신 신호 세기(RL : Receive Level)를 수학식
    Figure 112016007470638-pat00023

    에 따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D-AB 모델 기반 적응 변조 전송 제어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ATD-AB 모델 기반 가용신호 대 잡음비(ASNR)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ATD-AB 모델 기반 가용신호 대 잡음비(ASNR)를 수학식
    Figure 112016007470638-pat00024

    (여기서 Δb 는 -3dB 대역폭에 대한 차이 값을 의미한다.)
    에 따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D-AB 모델 기반 적응 변조 전송 제어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ATD-AB 모델 기반 가용신호 대 잡음비(ASNR)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대역폭(B)에 대한 -3dB 대역폭과의 차이 값(Δb)를 수학식
    Figure 112016007470638-pat00025

    에 따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D-AB 모델 기반 적응 변조 전송 제어 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적 전송 기법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ATD-AB 모델 기반 가용신호 대 잡음비(ASNR)가 상기 복수개의 적응적 전송 기법 별 신호 대 잡음비(SNR) 이상인지 판별하는 단계;
    상기 ATD-AB 모델 기반 가용신호 대 잡음비(ASNR)가 상기 복수개의 적응적 전송 기법 중 최고차 전송 기법에서의 신호 대 잡음비 이상이면, 상기 최고차 전송 기법을 고정 전송 기법으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ATD-AB 모델 기반 가용신호 대 잡음비(ASNR)가 상기 복수개의 적응적 전송 기법 별 신호 대 잡음비(SNR) 이상인 적응적 전송 기법 중 최저차 전송 기법으로부터 상기 최고차 전송 기법까지 상기 적응적 전송 기법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D-AB 모델 기반 적응 변조 전송 제어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적 전송 기법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포트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패킷의 속성을 분석하여, 상기 대역폭(B)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대역폭(B)에 따른 채널 수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D-AB 모델 기반 적응 변조 전송 제어 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160008105A 2016-01-22 2016-01-22 Atd-ab 모델 기반 적응 변조 전송 제어 방법 KR101648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105A KR101648474B1 (ko) 2016-01-22 2016-01-22 Atd-ab 모델 기반 적응 변조 전송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105A KR101648474B1 (ko) 2016-01-22 2016-01-22 Atd-ab 모델 기반 적응 변조 전송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8474B1 true KR101648474B1 (ko) 2016-08-16

Family

ID=56854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8105A KR101648474B1 (ko) 2016-01-22 2016-01-22 Atd-ab 모델 기반 적응 변조 전송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47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8339A (ko) * 2010-02-26 2011-09-01 한국과학기술원 적응 변조 및 부호화 모드와 다이버시티 모드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멀티캐스트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스케줄링 방법
KR20150016916A (ko) * 2013-08-05 2015-02-13 아카데미아 고르니초-헛니차 임. 스타니슬라바 스타시차 비 크라코비 컴퓨터 네트워킹에서의 패킷들의 다중 경로 라우팅을 위한 장치 및 그의 사용 방법
KR101553882B1 (ko) * 2015-04-15 2015-09-17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적응적 변조 기법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8339A (ko) * 2010-02-26 2011-09-01 한국과학기술원 적응 변조 및 부호화 모드와 다이버시티 모드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멀티캐스트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스케줄링 방법
KR20150016916A (ko) * 2013-08-05 2015-02-13 아카데미아 고르니초-헛니차 임. 스타니슬라바 스타시차 비 크라코비 컴퓨터 네트워킹에서의 패킷들의 다중 경로 라우팅을 위한 장치 및 그의 사용 방법
KR101553882B1 (ko) * 2015-04-15 2015-09-17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적응적 변조 기법 제어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 L. Agba, R. Morin, and G. Bergeron, "Comparison of microwave links prediction methods: Barnett-vigants vs. ITU models," in Proc. PIERS, pp. 788-792, Xi'an, China, Mar. 2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0967B2 (en) Method for performing an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917583B2 (en) Channel sounding for improved system performance
TWI389519B (zh) 多載波通信系統中用於決定通道品質及執行適應性調變/編碼之方法及裝置
CA2659878C (en) Method of estimating signal-to-noise ratio, method of adjusting feedback information transmission,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transceiver thereof
KR101105093B1 (ko) 빠른 다른 섹터 간섭(osi)과 느린 osi와의 상호 작용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50288483A1 (en) METHOD, eNB, TERMINAL AND SYSTEM FOR ADAPTIVELY ADJUSTING MODULATION CODING SCHEME AND REFERENCE SIGNAL PATTERN
US20050259629A1 (en) Adapting uplink/downlink subframe ratio in time division duplex physical frames
CN101690365B (zh) 在无线通信系统中分配数据的方法
CN101641923A (zh) 估计信噪比的方法、调节反馈信息传输的方法、使用所述方法的自适应调制和编码方法,及其收发信机
TWI521914B (zh) 頻道品質資訊報告技術
US7804802B2 (en) Establishing parameters for transmiss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Mai et al. Adaptive multi-rate designs for hybrid FSO/RF systems over fading channels
US20080084829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link adaptation
US9577728B1 (en) Multiple user MIMO rate prediction based on single user SNR feedback
KR101620997B1 (ko) Atd-ab 모델 기반 적응 변조 전송 제어 장치
KR101648475B1 (ko) Atd-ai 모델 기반 적응 변조 전송 제어 방법
KR101621004B1 (ko) Atd-ai 모델 기반 적응 변조 전송 제어 장치
KR101553882B1 (ko) 적응적 변조 기법 제어 장치
WO2021190870A1 (en) Multiple modulation scheme signalling in a single resource allocation
US1167759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N102802264A (zh) 一种部分频率复用的资源分配方法与装置
Hoang et al. Cross-layer adaptive transmission: Optimal strategies in fading channels
US201202956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697654B1 (en) Determining effective carrier-to-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in OFDMA systems
KR101648474B1 (ko) Atd-ab 모델 기반 적응 변조 전송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