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8120B1 - Eeg-based neurofeedback method and apparatus for emotion regulation training - Google Patents

Eeg-based neurofeedback method and apparatus for emotion regulation train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8120B1
KR101648120B1 KR1020140104408A KR20140104408A KR101648120B1 KR 101648120 B1 KR101648120 B1 KR 101648120B1 KR 1020140104408 A KR1020140104408 A KR 1020140104408A KR 20140104408 A KR20140104408 A KR 20140104408A KR 101648120 B1 KR101648120 B1 KR 101648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otion
eeg
brain
power valu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44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20017A (en
Inventor
김성필
최준식
김상희
강재환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40104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120B1/en
Publication of KR20160020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0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1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2Analysis of electroencephalograms
    • A61B5/374Detecting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signals, e.g. detecting delta, theta, alpha, beta or gamma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6ECG or EEG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91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encephalography [E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5Electroencephalography [EEG] using bio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3Displaying an image simultaneously with additional graphical information, e.g. symbols, charts, function plo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5Input arrangements based on nervous system activity detection, e.g. brain waves [EEG] detection, electromyograms [EMG] detection, electrodermal response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08Other bio-electrical signals
    • A61M2230/10Electroencephalographic sign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sychia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syc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eurolog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정서 조절 훈련을 위한 뇌파 기반의 뉴로 피드백 방법은, 뇌파의 정서 반응을 유발시키기 위한 정서 자극을 표출하는 과정과, 표출되는 상기 정서 자극을 통해 변화하는 다중 채널의 뇌파를 측정하여 송출하는 과정과, 송출된 상기 다중 채널의 뇌파를 수신 및 신호 처리하여 각 채널별의 뇌신호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과정과, 변환된 각 뇌신호 데이터에 대해 각 채널별로 감마 파워 값을 계산하는 과정과, 각 채널들 중 선택 채널의 감마 파워 값을 정서 조절 지표로 전환하여 모니터 상에 표출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neurofeedback method based on the EEG for emotion regulation trai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expressing an emotional stimulus for inducing an emotional response of an EEG, measuring a multi-channel EEG that changes through the emotional stimulus, Calculating a gamma power value for each channel for each of the converted brain signal data; calculating a gamma power value for each channel based on the received brain signal data; And converting the gamma power value of the selected channel among the channels into an emotion control index and displaying the result on the monitor.

Description

정서 조절 훈련을 위한 뇌파 기반의 뉴로 피드백 방법 및 그 장치{EEG-BASED NEUROFEEDBACK METHOD AND APPARATUS FOR EMOTION REGULATION TRAINING}[0001] EEG-BASED NEUROFEEDBACK METHOD AND APPARATUS FOR EMOTION REGULATION TRAINING [0002]

본 발명은 뇌파 기반의 뉴로 피드백 기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능성 자기 공명 영상(fMRI) 대신에 뇌파(EEG)로부터 정서 조절 효과를 측정하고 이를 실시간 뉴로 피드백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정서 조절 훈련을 실현하는데 적합한 뇌파 기반의 뉴로 피드백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EG-based neurofeedback techniqu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emotion regulation training by measuring emotion control effect from EEG instead of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Based neurofeedback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izing the same.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정서 조절을 위한 뉴로 피드백 기술은 기능성 자기 공명 영상(fMRI) 기법을 이용하여 주로 개발되어 있다.As is well known, neurofeedback techniques for emotion regulation have been developed primarily using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techniques.

여기에서, 기능성 자기 공명 영상(fMRI) 기술은 각 뇌 영역의 활성화 정도를 상세히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특히 뇌에서의 정서 조절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피질하부(sub-cortical) 영역을 비교적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Here, the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technique has a merit that it can measure the degree of activation of each brain region in detail. In particular, the sub-cortical region in which the emotional regulation effect in the brain can be confirmed is relatively accurately There are advantages to be able to measure.

그러나, 종래의 기능성 자기 공명 영상 기술은 사용자가 MRI 스캐너에 들어가야만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유발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시간 분해율이 상대적으로 떨어져 실시간 뉴로 피드백에 최적화되어 있지 못하다는 단점을 갖는다.
However, the conventional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technique has a disadvantage that the user has to use the MRI scanner inconveniently, and the time resolution rate is relatively low to be optimized for real-time neurofeedback.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071508호(공개일: 2009. 07. 01)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9-0071508 (Published on 2009. 07. 01)

본 발명은 fMRI 대신 뇌파(EEG)로부터 정서 조절 효과를 측정하고 이를 실시간 뉴로 피드백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정서 조절 훈련을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ystem capable of effectively realizing emotional adjustment training by measuring the emotion regulation effect from EEG instead of fMRI and providing it as a real-time neuro feedback form.

본 발명은 정서 조절 방법 중에서 인지적 재해석(Cognitive Reappraisal) 기법에 기반하며 뇌파 특성 중 전두엽에서의 감마 파워를 통하여 정서 조절 효과를 실시간으로 나타낼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cognitive reappraisal technique in the emotion regulation method and suggests a system that can display the emotion regulation effect in real time through the gamma power in the frontal lobe among the EEG characteristics.

본 발명은 주어진 정서 자극에 대해 피험자가 본인의 감정을 자의적으로 억제, 유지 및 증가시킴에 따라 해당 전두엽 감마 파워가 동일하게 감소, 유지 및 증가되는 특성을 고려하여, 전두엽 감마파를 이용한 실시간 정서 조절 뉴로 피드백 시스템을 제안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time emotion control using a frontal gamma wave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in which a subject's own emotion is suppressed, maintained and increased in a given emotional stimulus so that the corresponding frontal gamma power is decreased, We propose a neuro feedback system.

본 발명은, 일 관점에 따라, 뇌파의 정서 반응을 유발시키기 위한 정서 자극을 표출하는 과정과, 표출되는 상기 정서 자극을 통해 변화하는 다중 채널의 뇌파를 측정하여 송출하는 과정과, 송출된 상기 다중 채널의 뇌파를 수신 및 신호 처리하여 각 채널별의 뇌신호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과정과, 변환된 각 뇌신호 데이터에 대해 각 채널별로 감마 파워 값을 계산하는 과정과, 각 채널들 중 선택 채널의 감마 파워 값을 정서 조절 지표로 전환하여 모니터 상에 표출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정서 조절 훈련을 위한 뇌파 기반의 뉴로 피드백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generating an EEG, the method comprising: expressing an emotional stimulus for inducing an emotional response of an EEG according to an aspect; measuring and transmitting multi-channel EEG changing through the emotional stimulus; A process of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EEG of the channel and converting it into brain signal data for each channel; calculating a gamma power value for each channel for each converted brain signal data;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rain-wave-based neurofeedback method for emotional adjustment training, which includes converting a power value into an emotion control index and displaying it on a monitor.

본 발명의 상기 정서 자극을 표출하는 과정은, 기 설정된 다수의 자극 종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자극 종류에 대응하는 정서 자극을 자극 DB로부터 인출하여 표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 of exposing the emotional stimul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rocess of selec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preset types of stimuli and a process of extracting an emotional stimulu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timulus type from the stimulus DB .

본 발명의 상기 정서 자극은,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기 설정 횟수만큼 반복 표출될 수 있다.The emotion sti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peatedly expressed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defined by the user.

본 발명의 상기 뇌파는, 전두엽 부위 두피에서 발생하는 전위차일 수 있으며, 무선 또는 유선신호로서 송출될 수 있다.The EE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potential difference generated in the frontal region scalp and may be transmitted as a wireless or wired signal.

본 발명의 상기 감마 파워 값은, 단기 푸리에 변환(Short-Time Fourier Transform), 웨이브렛 변환(Wavelet Transform), 힐버트 변환(Hilbert Transform), 경험적 모드 분해(Empirical Mode Decomposition)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The gamma power valu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alculated using any one of a Short-Time Fourier Transform, a Wavelet Transform, a Hilbert Transform, and an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

본 발명의 상기 정서 조절 지표는, 바 그래프 또는 꺽은선 그래프 형태로 상기 모니터 상에 실시간 표출될 수 있다.The emotion control index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splayed in real time on the monitor in the form of a bar graph or a line graph.

본 발명의 상기 정서 조절 지표는, 이전 정서 조절 지표 값들의 히스토리와 함께 상기 모니터 상에 표출될 수 있다.The emotional adjustment indi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splayed on the monitor with a history of previous emotion adjustment indicator values.

본 발명의 상기 표출시키는 과정은, 상기 선택 채널이 복수 개일 때 복수 채널의 감마 파워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상기 정서 조절 지표로 전환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number of the selected channels is plural, the average value of the gamma power of a plurality of channels may be calculated and converted to the emotion control index.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 따라, 기 설정된 다수의 자극 종류들에 대한 데이터들이 저장된 자극 DB와, 뇌파의 정서 반응을 유발시키기 위해 상기 다수의 자극 종류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정서 자극을 표출하는 정서 자극 제어부와, 표출되는 상기 정서 자극을 통해 변화하는 다중 채널의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 측정 센서부와, 측정된 상기 다중 채널의 뇌파를 무선 또는 유선신호로 전송하는 뇌파신호 전송부와, 전송된 상기 다중 채널의 뇌파를 수신하여 각 채널별의 뇌신호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뇌파신호 처리부와, 변환된 각 뇌신호 데이터에 대해 각 채널별로 감마 파워 값을 계산하는 감마파 추출부와, 각 채널들 중 선택 채널의 감마 파워 값을 정서 조절 지표로 전환하여 모니터 상에 표출시키는 정서 조절 뉴로 피드백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서 조절 훈련을 위한 뇌파 기반의 뉴로 피드백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imulus DB in which data on a predetermined plurality of types of stimuli are stored and a stimulus stimulus in which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stimulus types is selected to induce an emotional response of an EEG A brain wave signal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multi-channel brain waves changing through the emotional stimulus to be displayed, an EEG signal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measured multi-channel brain waves through a wireless or wired signal, An EEG signal processor for receiving the multi-channel EEG signals and converting them into brain signal data for each channel, a gamma-wave extractor for calculating a gamma power value for each channel for each converted brain signal data, And a emotion control neurofeedback control unit for converting the gamma power value of the selected channel into an emotion control indicator and displaying it on a monitor EEG Neurofeedback provides a device for controlled based training.

본 발명의 상기 뇌파 측정 센서부는, 전두엽에서 발생하는 상기 뇌파를 측정할 수 있다,The brain wave measurement senso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easure the brain waves generated in the frontal lobe.

본 발명의 상기 뇌파 측정 센서부는, 건식 또는 습식 전극을 사용할 수 있다.The EEG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a dry or wet electrode.

본 발명의 상기 뇌파신호 전송부는, 상기 뇌파를 무선 또는 유선신호로서 송출할 수 있다.The EEG signal transmit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transmit the EEG signal as a wireless or wired signal.

본 발명의 상기 뇌파신호 처리부는, 상기 다중 채널 형태로 수신된 뇌파를 각 채널 별로 뇌신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The EEG signal process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vert the brain waves received in the multi-channel form into brain signal data for each channel.

본 발명의 상기 감마파 추출부는, 단기 푸리에 변환(Short-Time Fourier Transform), 웨이브렛 변환(Wavelet Transform), 힐버트 변환(Hilbert Transform), 경험적 모드 분해(Empirical Mode Decomposition)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감마 파워 값을 계산할 수 있다.The gamma-wave extrac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xtract the gamma-ray using one of the short-time Fourier transform, the Wavelet transform, the Hilbert transform, and the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The gamma power value can be calculated.

본 발명의 상기 정서 조절 뉴로 피드백 제어부는, 상기 정서 조절 지표를 바 그래프 또는 꺽은선 그래프 형태로 상기 모니터 상에 실시간 표시할 수 있다.The emotion regulation neuro feedback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isplay the emotion regulation index in real time on the monitor in the form of a bar graph or a line graph.

본 발명의 상기 정서 조절 뉴로 피드백 제어부는, 상기 정서 조절 지표를 이전 정서 조절 지표들의 히스토리와 함께 상기 모니터 상에 표출시킬 수 있다.The emotional adjustment neuro feedback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isplay the emotional adjustment indicator on the monitor together with a history of previous emotional adjustment indicators.

본 발명의 상기 정서 조절 뉴로 피드백 제어부는, 상기 선택 채널이 복수 개일 때 복수 채널의 감마 파워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상기 정서 조절 지표로 전환할 수 있다.
The emotion regulation neuro feedback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alculate an average value of a plurality of channels of gamma power when the selection channels are plural and switch to the emotion regulation index.

본 발명은, 뇌파의 정서 반응을 유발시키기 위해 표출되는 정서 자극을 통해 변화하는 다중 채널의 뇌파를 측정하고, 각 채널별의 뇌신호 데이터로 변환한 후 변환된 각 뇌신호 데이터에 대해 각 채널별로 감마 파워 값을 계산하며, 각 채널들 중 선택 채널의 감마 파워 값을 정서 조절 지표로 전환하여 모니터 상에 표출시킴으로써, 사용자가 MRI 스캐너에 들어갈 필요 없이 실시간 뉴로 피드백에 최적화된 정서 조절 훈련을 실현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multi-channel EEG changes through emotion stimulation to induce an emotional response of EEG, converts it into brain signal data for each channel, The gamma power value is calculated and the gamma power value of the selected channel among the channels is switched to the emotion control indicator and displayed on the monitor so that the user can realize the emotion control training optimized for the real time neuro feedback without entering the MRI scanner hav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뇌파 기반의 뉴로 피드백 장치는 우울증 치료 프로그램, 외상 후 스트레스 치료 프로그램 등에 효과적으로 적응시킬 수 있다.
Further, the neurofeedback apparatus based on the EE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ffectively adapted to a depression treatment program, a post-traumatic stress treatment program, and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서 조절 훈련을 위한 뇌파 기반의 뉴로 피드백 장치에 대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뇌파 기반으로 정서 조절 훈련을 위한 뉴로 피드백을 처리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EEG-based neurofeedback apparatus for emotion regulation trai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in process of processing neurofeedback for emotion control training based on brain wav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범주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어야 할 것이다.First,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아울러, 아래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인 것으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 기술되는 기술사상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a user, an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서 조절 훈련을 위한 뇌파 기반의 뉴로 피드백 장치에 대한 블록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EEG-based neurofeedback apparatus for emotion regulation trai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뇌파 기반의 뉴로 피드백 장치는 데이터 저장부(110), 정서 자극 제어부(120), 뇌파 측정 센서부(130), 뇌파신호 전송부(140), 뇌파신호 처리부(150), 감마파 추출부(160) 및 정서 조절 뉴로 피드백 제어부(1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EEG-based neurofeedback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 storage unit 110, an emotion stimulation control unit 120, an EEG sensor 130, an EEG signal transmitting unit 140, A gamma-ray extractor 160, and an emotion-controlled neurofeedback controller 170, as shown in FIG.

먼저, 데이터 저장부(110)는 자극 DB(112)와 정보 DB(114)를 포함할 수 있는데, 자극 DB(112)에는 기 설정된 다양한 종류의 정서 유발을 위한 자극 정보(자극 데이터)들이 저장되는데, 이러한 자극은, 예컨대 사진 이미지, 시청각 동영상, 촉각 자극, 청각 자극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각 자극물은 밸런스(Valence)와 각성 값(Arousal Value)이 각각 할당되어 있으며, 밸런스와 각성 값의 범위는, 예컨대 0 - 7 사이로 정의(설정)될 수 있다.First, the data storage unit 110 may include a stimulus DB 112 and an information DB 114. Stimulus information (stimulus data) for generating various types of emotion set in advance is stored in the stimulus DB 112 Such stimuli can b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such as, for example, photographic images, audiovisual videos, tactile stimuli, auditory stimuli, and the like. Here, each stimulus is assigned a balance and an arousal value, and the range of the balance and arousal value can be defined, for example, between 0 and 7.

또한, 데이터 저장부(110) 내 정보 DB(114)에는 각 채널별로 계산된 감마 파워 값으로부터 전환된 정서 조절 지표 정보들이 후술하는 정서 조절 뉴로 피드백 제어부(170)로부터 전달되어 저장될 수 있다.The emotion control index information converted from the gamma power values calculated for each channel may be transmitted from the emotion control neuro feedback controller 170 to be described later and stored in the information DB 114 in the data storage unit 110. [

다음에, 정서 자극 제어부(120)는 뇌파의 정서 반응(즉, 뉴로 피드백을 통한 정서 조절 훈련 참가자의 정서 반응)을 유발시키기 위해 자극 DB(112)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자극 종류들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정서 자극(예컨대, 사진 이미지, 시청각 동영상, 촉각 자극, 청각 자극 등)으로 표출(제시)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정서 자극의 종류 선택은 랜덤(무작위)하게 진행되거나 혹은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진행될 수 있다.Next, the emotional stimulation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stimulation response of the emotional exercise training participant through the neurofeedback (that is, the emotional response of the emotional adjustment exercise participant through the neurofeedback) Alternatively, one or more functions may be selected and displayed (expressed) in an emotion stimulus (e.g., a photograph image, an audiovisual moving image, a tactile stimulus, an auditory stimulus, etc.). Here, the selection of the kind of the emotion stimulus can be performed randomly (randomly) or in a predetermined order.

그리고, 정서 자극의 표출 시간(또는 제시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정의(설정)될 수 있으며, 자극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사진 이미지는 2-5초, 동영상은 3-30초, 촉각 자극은 1-5초, 청각 자극은 3-30초 정도가 표출(제시)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presentation time (or presentation time) of the emotion stimulus can be defined (set) by the user and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stimulus. For example, it can be defined that the photographic image is expressed (expressed) in 2-5 seconds, the moving image is 3-30 seconds, the tactile stimulus is 1-5 seconds, and the auditory stimulus is 3-30 seconds.

또한, 자극 간의 휴지 시간도 수초 범위로 사용자에 의해 정의(설정)될 수 있으며, 정서 자극의 표출(제시) 횟수(반복 횟수)는 사용자에 의해 정의(설정)되거나 혹은 훈련 프로토콜에 의해 자동 결정될 수 있다.Also, the idle time between stimulations can be defined (set) by the user in a range of a few seconds, and the number of times of presentation (presentation) of the emotion stimulus can be defined (set) by the user or automatically determined by the training protocol have.

한편, 뇌파 측정 센서부(130)는 정서 자극 제어부(120)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표출되는 정서 자극을 통해 변화하는 다중 채널의 뇌파를 측정, 예컨대 전두엽에서 발생하는 뇌파를 측정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러한 뇌파 측정 센서부(130)는, 예컨대 건식 또는 습식 전극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뇌파는, 예컨대 전두엽 부위 두피에서 발생하는 전위차를 의미할 수 있다.Meanwhile, the EEG sensor 130 measures a multi-channel EEG that changes through emotion stimulation displayed under the control of the emotion stimulation controller 120, for example, measures a brain wave generated at the frontal lobe For example, a dry or wet electrode may be used as the EEG sensor unit 130. [ Here, the brain waves may mean, for example, a potential difference generated in the scalp area of the frontal region.

그리고, 뇌파신호 전송부(140)는 뇌파 측정 센서부(130)를 통해 측정된 다중 채널(전두엽 중심의 다중 채널)의 뇌파를 처리(예컨대, 연산, 증폭, 필터링 등)한 후 무선 또는 유선신호로 변조하여 전송(송출)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뇌파신호 전송부(140)는 무선 또는 무선 전송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송출되는 뇌신호는 ADC 처리된 디지털 데이터일 수 있다.The EEG signal transmitting unit 140 processes (e.g., computes, amplifies, filters, etc.) EEG signals of multiple channels (multiple channels centered on the frontal lobe) measured through the EEG sensor unit 130, The EEG signal transmitting unit 140 may be provided with a wireless or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Here, the transmitted brain signal may be ADC processed digital data.

다음에, 뇌파신호 처리부(150)는 뇌파신호 전송부(140)로부터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송된 다중 채널의 뇌파를 수신하여 변조 전의 원신호로 복조하고, 이 복조된 각 채널별의 뇌신호를 처리, 예컨대 뇌신호 데이터의 버퍼링, 뇌파 잡음 제거 등과 같은 처리를 통해 뇌신호 데이터로 변환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Next, the EEG signal processing unit 150 receives multi-channel EEG transmitted from the EEG signal transmitting unit 140 in a wireless or wired manner, demodulates the EEG signals into original signals before being modulated, processes the demodulated brain signals for each channel For example, buffering of brain signal data, elimination of brain wave noise, and the like, into brain signal data.

한편, 감마파 추출부(160)는 뇌파신호 처리부(150)로부터 전달되는 변환된 각 뇌신호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각 채널별(예컨대, 수 내지 수십의 다중 채널)로 감마 파워 값을 계산(매 주기 당 각 채널의 뇌신호로부터 감마파 파워 값을 계산)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뇌신호 데이터의 획득율은 뇌파 측정 센서부(130)에서의 샘플링율(Sampling rate)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일례로서 128 samples/s ~ 1000 samples/s 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Meanwhile, the gamma-ray extracting unit 160 acquires the converted brain signal data transmitted from the EEG signal processing unit 150 in real time and calculates a gamma power value for each channel (for example, several to several tens of channels) And calculating the gamma wave power value from the brain signal of each channel for each cycle). Here, the acquisition rate of the brain signal data acquired in real time may vary depending on the sampling rate in the EEG sensor 130, for example, in the range of 128 samples / s to 1000 samples / s .

보다 상세하게, 감마파 추출부(160)는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각 채널의 뇌신호를 일정 크기의 해당 버퍼에 일시적으로 저장하고(버퍼 개수와 채널 개수는 동일),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각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전파신호 데이터를 읽어 들인 후 단기 푸리에 변환(Short-Time Fourier Transform), 웨이브렛 변환(Wavelet Transform), 힐버트 변환(Hilbert Transform), 경험적 모드 분해(Empirical Mode Decomposition)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감마파의 파워를 각 채널별로 계산한다.More specifically, the gamma-ray extracting unit 160 temporarily stores the brain signals of each channel acquired in real time in a corresponding buffer of a predetermined size (the number of buffers and the number of channels are the same) The mobile station reads the stored radio signal data and then uses any one of a Short-Time Fourier Transform, a Wavelet Transform, a Hilbert Transform, and an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The power of the gamma wave is calculated for each channel.

일례로서, 감마파의 파워 계산에 단기 푸리에 변환을 적용할 경우, 버퍼의 크기는 사용자가 정의하는 사양에 따라 정해질 수 있는데, 예컨대 시스템의 목적에 따라 0.5-1초 정도의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As an example, if a short-term Fourier transform is applied to the power calculation of a gamma wave, the size of the buffer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defined by the user. For example, it may be set in the range of about 0.5-1 second have.

그리고, 버퍼 내 데이터를 읽어 들여 감마파의 파워를 계산하는 주기는 단기 푸리에 변환의 사양에 따라 정의될 수 있는데, 예컨대 시스템의 목적에 따라 0.1-0.5초 정도의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The period of reading the data in the buffer to calculate the power of the gamma wave can be defin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short-term Fourier transform. For example, it may be set in the range of about 0.1-0.5 second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system.

또한, 감마파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은 사용자에 의해 정의될 수 있는데, 정서 조절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에 따르면 30-50Hz 정도가 적정범위로 간주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equency band corresponding to the gamma wave can be defin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precedent studies related to emotion regulation, the appropriate range of about 30-50 Hz can be considered.

또한, 단기 푸리에 변환 사양 중 데이터에 적용하는 윈도우 함수는 사용자에 의해 정의될 수 있는데, 예컨대 해밍 윈도우(Hamming window)나 해닝 윈도우(Hanning window)가 적용될 수 있으며, 단기 푸리에 변환 사양, 즉 버퍼 크기, 감마파 파워 계산 주기, 감마 주파수 대역, 윈도우 함수 등은 감마파 추출 모듈을 설계할 때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다.The window function to be applied to the data in the short term Fourier transform specification can be defined by the user. For example, a Hamming window or a Hanning window can be applied, and the short-term Fourier transform specification, Gamma wave power calculation period, gamma frequency band, window function, etc. can be designated by the user when designing the gamma wave extraction module.

일례로서, 감마파 추출부(160)는 아래와 같은 모듈 동작의 예로서 감마파 파워를 계산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gamma wave extracting unit 160 can calculate the gamma wave power as an example of the following module operation.

EEG 채널 수 = 20Number of EEG channels = 20

샘플링율 = 500 samples/sSampling rate = 500 samples / s

버퍼 크기 = 0.5s = 250 samplesBuffer size = 0.5s = 250 samples

감마 파워 계산 주기 = 0.1s = 50 samplesGamma power calculation period = 0.1s = 50 samples

감마파 주파수 대역 = 30 - 50HzGamma wave frequency band = 30 - 50Hz

상기와 같이 지정된 경우, 매 1/500 s = 2ms 마다 20 채널로부터 20개의 뇌신호 값이 입력되고, 각 채널에 해당하는 버퍼에 최대 250 샘플만큼 입력되는 차례대로 저장되며(총 20개의 버퍼), 버퍼에 처음 250 샘플이 저장된 후부터 매 0.1초마다 현재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샘플들을 꺼내어 단기 푸리에 변환 기법을 적용한 후 30 - 50Hz에 해당하는 파워 값들을 추출하고 이를 평균한 값을 정서 조절 뉴로 피드백 제어부(170)에 전달한다.In the above case, 20 brain signal values are input from 20 channels every 1/500 s = 2ms, and a maximum of 250 samples are stored in a buffer corresponding to each channel (20 buffers in total) After the first 250 samples are stored in the buffer, the data samples stored in the current buffer are sampled every 0.1 second. After applying the short-term Fourier transform technique, power values corresponding to 30 to 50 Hz are extracted and the average value is sent to the emotion- (170).

이 경우, 현재 계산에 사용된 250개의 샘플과 다음 계산에 사용될 250개의 샘플 간에는 200개의 샘플이 서로 중복되며, 이러한 계산 과정을 각 버퍼마다 동일하게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In this case, 200 samples are duplicated between the 250 samples used for the current calculation and the 250 samples used for the next calculation, and this calculation process is performed simultaneously for each buffer.

다음에, 정서 조절 뉴로 피드백 제어부(170)는 각 채널들 중 선택 채널의 감마 파워 값을 정서 조절 지표로 전환하여 모니터 상에 표출, 즉 감마파 추출부(160)로부터 매 일정 주기마다 전달되는 채널별의 감마 파워 값을 획득하여 주어진 모든 채널의 감마 파워 값들 중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채널(들)의 감마 파워 값을 선택하거나 혹은 선택 채널이 복수일 경우 선택된 채널의 감마 파워 값의 평균값을 구한 평균된 감마 파워 값을 사용자가 지정한 옵션에 따라 정서 조절 지표로 전환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환된 정서 조절 지표는 데이터 저장부(110) 내 정보 DB(114)에 저장될 수 있다.Next, the emotion regulation neural feedback controller 170 switches the gamma power value of the selected channel among the channels to the emotion control index and displays it on the monitor, that is, A gamma power value of a given channel is obtained and a gamma power value of a channel (s) preset by the user is selected from among gamma power values of all given channels or an average value of gamma power values of a selected channel when a plurality of selected channels are obtained And the ability to switch gamma power values to emotion control indicators according to user-specified options. Here, the converted emotion control index may be stored in the information DB 114 in the data storage unit 110.

또한, 정서 조절 뉴로 피드백 제어부(170)는 정서 자극 제어부(120)에서 전달되는 자극 상태 입력 값이 E(Emotion)일 경우, 정보 DB(114)로부터 베이스라인 파워 값을 획득하여 감마 파워 값(또는 그 평균값)에서 베이스라인 파워 값을 빼고, 이와 같이 베이스라인 처리된 감마 파워 값을 사용자가 지정한 옵션에 따라 정서 조절 지표로 전환할 수 있다. 물론, 정서 자극 제어부(120)에서 전달되는 자극 상태 입력 값이 N(Neutral)일 경우, 감마 파워 값(또는 그 평균값)을 베이스라인 파워 값으로 정보 DB(114)에 저장한다.The emotion control neural feedback controller 170 acquires the baseline power value from the information DB 114 and outputs the gamma power value (or the gamma power value) from the emotion stimulation control unit 120 when the stimulus state input value is E (Emotion) The averaged value), and the baseline-processed gamma power value can be switched to the emotion control index according to the option specified by the user. Of course, when the stimulation state input value transmitted from the emotion stimulation control unit 120 is N (Neutral), the gamma power value (or an average thereof) is stored in the information DB 114 as a baseline power value.

여기에서, 사용자 정서 조절 지표의 옵션으로는 1) 파워 값(별도의 변환 과정 없음), 2) 스케일 값(예컨대, 미리 정해진 최대 및 최소 값 범위 내의 값으로 치환하여 -1 ~ 1 사이의 값으로 변환), 3) 이산정수 값(파워 값을 가장 가까운 정수로 치환하고 스케일링을 적용하여 정서 조절 레벨로 표시) 등이 있다.Here, the options of the user emotion control index include 1) a power value (no additional conversion process), 2) a scale value (for example, a value between -1 and 1 by substituting a value within a predetermined maximum and minimum value range And 3) a discrete integer value (the power value is replaced with the closest integer and scaling is applied to the emotion control level).

그리고, 정서 조절 지표를 모니터(화면) 상에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구성, 예컨대 정서 조절 지표를 바 그래프 또는 꺽은선 그래프 형태로 실시간 표시할 수 있으며, 이전 정서 조절 지표들의 히스토리와 함께 모니터 상에 표출(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lso, the user interface design that displays the emotion control index on the monitor (screen) can be configured as desired by the user, for example, the emotion control index can be displayed in real time in the form of a bar graph or a line graph, Can be displayed (displayed) on the monitor together.

또한, 필요에 따라 자극 제시 후 휴지기를 갖기 전에 참가자가 경험한 정서 반응을 직접 주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화면에 평가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평가 단위는 자극물의 밸런스와 각성 값을 각각 입력하도록 제시될 수 있고, 입력 시간은 수 초 범위로 주어지며, 예컨대 5-포인트(point)나 7-포인트 스케일(point scale)로 평가되도록 제시될 수 있다.Also, if necessary, an evaluation input interface may be provided on the screen so that the participant can directly and personally evaluate the emotional response experienced before he / she has a rest period after the stimulus presentation. In this case, the evaluation unit inputs the balance and awakening value of the stimulus And the input time is given in the range of a few seconds and can be presented to be evaluated, for example, at a 5-point or 7-point scale.

따라서, 정서 자극이 표출(제시)되는 동안, 정서 조절 뉴로 피드백 제어부(170)로부터 출력되는 정서 조절 지표(뉴로 피드백 정서 조절 지표)가 화면상에 동시에 표시되기 때문에, 참가자는 정서 반응을 스스로 조절하며 조절 효과를 뉴로 피드백을 통해 관찰할 수 있다. 이때, 휴지기에도 뉴로 피드백 정서 조절 지표가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이때 참가자는 본인의 정서 반응을 원상태로 돌릴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Therefore, while the emotion stimulation is being displayed (presented), the emotion control index (neurofeedback emotion control index) output from the emotion control neuro feedback control unit 170 is simultaneously displayed on the screen, so that the participant adjusts the emotional reaction by itself Control effects can be observed through neurofeedback. At this time, the neurofeedback emotion control indicator may be set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even during the resting period, at which time the participant can help to turn his or her emotional reaction back to normal.

일례로서, 정서 조절 뉴로 피드백 제어부(170)는 아래와 같은 모듈 동작의 예로서 정서 조절 지표를 생성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emotion control neural feedback controller 170 may generate an emotion control index as an example of the following module operation.

모듈 동작의 예Example of Module Behavior

EEG 채널 수 = 20Number of EEG channels = 20

선택 채널 = F3, FzSelect channel = F3, Fz

감마파워 계산 주기 = 0.1sGamma power calculation period = 0.1s

저장된 베이스라인 파워 값 = 10Stored baseline power value = 10

정서 조절 지표 최대/최소치 = 10/-10Emotional adjustment index maximum / minimum = 10 / -10

자극상태 입력 값 = EStimulus state input value = E

정서 조절 지표 옵션 = 스케일 값Emotional Adjustment Indicator Option = Scale Value

정서 조절 지표 디스플레이 옵션 = 꺽은선 그래프Emotional Adjustment Index Display Option = Line Graph

상기한 바와 같이 지정된 경우, 감마파 추출부(160)로부터 0.1초에 한번씩 20개의 감마 파워 값을 전달받아서, 이 중 채널 인덱스 F3과 Fz에 해당하는 파워 값을 선택하여 2개의 파워 평균값을 구한 후, 예컨대 평균값이 14.78로 산출되었으면 정보 DB(114)로부터 베이스라인 파워 값, 예컨대 10을 획득하고, 베이스라인 파워 값인 10을 빼 주어, 베이스라인 처리된 값인 4.78을 최대치인 10으로 나누어 0.478을 구하며, 이 값(0.478)을 기존의 정서 조절 지표 히스토리와 함께 꺽은선 그래프로 모니터 상에 표출하는데, 이 경우 꺽은선 그래프는 모니터 상에서 매 0.1초마다 업데이트된다.In the above case, 20 gamma power values are received from the gamma wave extracting unit 160 every 0.1 second, and power values corresponding to the channel indices F3 and Fz are selected to obtain two power average values For example, if the average value is calculated to be 14.78, the base line power value of 10 is subtracted from the information DB 114, and the base line processed value 4.78 is divided by the maximum value of 10 to obtain 0.478, This value (0.478) is displayed on the monitor as a line graph with the existing emotion control indicator history, in which case the line graph is updated every 0.1 second on the monitor.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뇌파 기반의 뉴로 피드백 장치를 이용하여 정서 조절 훈련을 위한 뉴로 피드백을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a series of processes for providing neurofeedback for emotion control training using the neurofeedback apparatus based on the EE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뇌파 기반으로 정서 조절 훈련을 위한 뉴로 피드백을 처리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in process of processing neurofeedback for emotion control training based on brain wav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정서 자극 제어부(120)에서는 뉴로 피드백을 통한 정서 조절 훈련 참가자의 정서 반응을 유발시키기 위해 자극 DB(112)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자극 종류들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정서 자극을 표출(제시)한다(단계 202).2, the emotion stimulation control unit 120 selects one or more than one of a plurality of stimulation types stored in the stimulation DB 112 to induce an emotional response of a participant in emotion regulation training through neurofeedback (Step 202). ≪ / RTI >

여기에서, 정서 자극은, 예컨대 사진 이미지, 시청각 동영상, 촉각 자극, 청각 자극 등이 될 수 있으며, 정서 자극의 종류 선택은 랜덤(무작위)하게 진행되거나 혹은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정서 자극의 표출(제시)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정의(설정)될 수 있는데, 예컨대 사진 이미지는 2-5초, 동영상은 3-30초, 촉각 자극은 1-5초, 청각 자극은 3-30초 정도 등으로 정의될 수 있다.Here, the emotional stimulus may be, for example, a photograph image, an audiovisual moving image, a tactile stimulus, an auditory stimulus, and the like. The selection of the type of emotion stimulus may be random (random) or may proceed in a predetermined order. In addition, the presentation (presentation) time of emotional stimuli can be defined (set) by the user, for example, 2-5 seconds for photographic images, 3-30 seconds for moving images, 1-5 seconds for tactile stimuli, 3 -30 seconds, and so on.

다음에, 뇌파 측정 센서부(130)에서는 정서 자극 제어부(120)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표출되는 정서 자극을 통해 변화하는 다중 채널의 뇌파를 측정, 예컨대 전두엽에서 발생하는 뇌파를 측정하여 뇌파신호 전송부(140)로 전달한다(단계 204). 여기에서, 뇌파는, 예컨대 전두엽 부위 두피에서 발생하는 전위차를 의미할 수 있다.Next, the EEG sensor 130 measures multi-channel EEGs that change through emotion stimulation expressed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from the emotion stimulation controller 120, for example, measures the EEG occurring at the frontal lobe, (Step 204). Here, the brain waves may mean, for example, a potential difference generated in the scalp area of the frontal region.

이에 응답하여, 뇌파신호 전송부(140)에서는 뇌파 측정 센서부(130)로부터 전달되는 측정된 다중 채널(전두엽 중심의 다중 채널)의 뇌파에 대해, 예컨대 연산, 증폭, 필터링 등의 처리를 수행한 후 무선 또는 유선신호로 변조하여 뇌파신호 처리부(150)로 전송(송출)한다(단계 206).In response, the EEG signal transmitting unit 140 performs processing such as computation, amplification, filtering, and the like on the measured multi-channel (multi-channel centered at the frontal lobe) transmitted from the EEG sensor unit 130 Modulated into a wireless or wired signal and transmitted (transmitted) to the EEG signal processing unit 150 (step 206).

이어서, 뇌파신호 처리부(150)에서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송되어 수신되는 다중 채널의 뇌파를 변조 전의 원신호로 복조하고, 이 복조된 각 채널별의 뇌신호를 처리(예컨대, 뇌신호 데이터의 버퍼링, 뇌파 잡음 제거 등)하여 뇌신호 데이터로 변환한 후 감마파 추출부(160)로 전달한다(단계 208).Then, the EEG signal processing unit 150 demodulates the multi-channel EEG transmitted by radio or wire to the original signal before modulation, processes the demodulated brain signals for each channel (for example, buffering of brain signal data, Brain wave noise elimination, etc.), converts it into brain signal data, and transmits it to the gamma wave extracting unit 160 (step 208).

다음에, 감마파 추출부(160)에서는 뇌파신호 처리부(150)로부터 전달되는 변환된 각 뇌신호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각 채널별(예컨대, 수 내지 수십의 다중 채널)로 감마 파워 값을 계산(매 주기 당 각 채널의 뇌신호로부터 감마파 파워 값을 계산)한 후 정서 조절 뉴로 피드백 제어부(170)로 전달한다(단계 210). 여기에서, 뇌신호 데이터의 획득율은 뇌파 측정 센서부(130)에서의 샘플링율(Sampling rate)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일례로서 128 samples/s ~ 1000 samples/s 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Next, the gamma wave extracting unit 160 acquires the converted brain signal data transmitted from the EEG signal processing unit 150 in real time and calculates a gamma power value for each channel (for example, several to several tens of channels) (The gamma wave power value is calculated from the brain signal of each channel per cycle) and then transmitted to the emotion regulation neural feedback controller 170 (step 210). Here, the acquisition rate of the brain signal data may vary depending on the sampling rate of the EEG sensor 130, for example, it may have a range of 128 samples / s to 1000 samples / s.

여기에서, 각 채널별 감마파의 파워 계산은, 예컨대 단기 푸리에 변환, 웨이브렛 변환, 힐버트 변환, 경험적 모드 분해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Here, the power calculation of the gamma wave for each channel can be performed using any one of, for example, short-term Fourier transform, wavelet transform, Hilbert transform, or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이후, 정서 조절 뉴로 피드백 제어부(170)에서는 감마파 추출부(160)로부터 매 일정 주기마다 전달되는 채널별의 감마 파워 값을 획득하여 주어진 모든 채널의 감마 파워 값들 중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채널(들)의 감마 파워 값을 선택하거나 혹은 선택 채널이 복수일 경우 선택된 채널의 감마 파워 값의 평균값을 구한 평균된 감마 파워 값을 사용자가 지정한 옵션에 따라 정서 조절 지표로 전환하여 모니터 상에 표출(제시)한다(단계 212).Thereafter, the emotion regulation neural feedback controller 170 obtains a gamma power value for each channel transmitted at every predetermined period from the gamma wave extractor 160, obtains a gamma power value for each given channel, The average gamma power value obtained by obtaining the average value of the gamma power values of the selected channel when a plurality of selected channels are selected is displayed on the monitor on the monitor in accordance with the option specified by the user (Step 212).

여기에서, 정서 조절 지표는 바 그래프 또는 꺽은선 그래프 형태로 모니터 상에 실시간 표출될 수 있으며, 이전 정서 조절 지표들의 히스토리와 함께 모니터 상에 표출될 수 있다.Here, the emotion control indicator can be displayed in real time on the monitor in the form of a bar graph or a line graph, and can be displayed on the monitor together with a history of previous emotion control indicators.

그리고, 정서 자극 제어부(120)로부터 전달되는 자극 상태 입력 값이 E(Emotion)일 경우, 정서 조절 뉴로 피드백 제어부(170)에서는 감마 파워 값(또는 그 평균값)에서 베이스라인 파워 값을 빼고, 이와 같이 베이스라인 처리된 감마 파워 값을 사용자가 지정한 옵션에 따라 정서 조절 지표로 전환한다. 물론, 정서 자극 제어부(120)로부터 전달되는 자극 상태 입력 값이 N(Neutral)일 경우, 감마 파워 값(또는 그 평균값)을 베이스라인 파워 값으로 정보 DB(114)에 저장한다.When the stimulus state input value transmitted from the emotion stimulation control unit 120 is E (Emotion), the emotion control neuro feedback control unit 170 subtracts the baseline power value from the gamma power value (or its average value) The baseline processed gamma power value is converted to an emotion control indicator according to the option specified by the user. Of course, when the stimulation state input value transmitted from the emotion stimulation control unit 120 is N (Neutral), the gamma power value (or its average value) is stored in the information DB 114 as a baseline power valu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등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is easy to see that this is possible. That is,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refo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 데이터 저장부 120 : 정서 자극 제어부
130 : 뇌파 측정 센서부 140 : 뇌파신호 전송부
150 : 뇌파신호 처리부 160 : 감마파 추출부
170 : 정서 조절 뉴로 피드백 제어부
110: Data storage unit 120: Emotion stimulation control unit
130: EEG sensor part 140: EEG signal transmission part
150: EEG signal processing unit 160: Gamma wave extracting unit
170: emotion regulation neurofeedback control section

Claims (17)

뇌파의 정서 반응을 유발시키기 위한 정서 자극을 표출하는 과정과,
표출되는 상기 정서 자극을 통해 변화하는 다중 채널의 뇌파를 측정하여 송출하는 과정과,
송출된 상기 다중 채널의 뇌파를 수신 및 신호 처리하여 각 채널별의 뇌신호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과정과,
변환된 각 뇌신호 데이터에 대해 각 채널별로 감마 파워 값을 계산하는 과정과,
각 채널들 중 선택 채널의 감마 파워 값을 기 지정된 옵션에 따라 정서 조절 지표로 전환하여 모니터 상에 표출시키는 과정
을 포함하고,
상기 기 지정된 옵션은,
파워 값, 기 정해진 최대 및 최소값 범위 내의 값으로 치환하여 -1 ~ 1 사이의 값으로 변환한 스케일 값, 상기 파워 값을 가장 가까운 정수로 치환한 후 스케일링을 적용하여 정서 조절 레벨로 표시하는 이산정수 값을 포함하는
정서 조절 훈련을 위한 뇌파 기반의 뉴로 피드백 방법.
A process of expressing an emotional stimulus for inducing an emotional response of an EEG,
Measuring and transmitting multi-channel EEGs that change through the emotional stimulus to be displayed;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transmitted multi-channel EEG signals into brain signal data for each channel;
Calculating a gamma power value for each of the converted brain signal data,
A process of converting the gamma power value of the selected channel among the channels into the emotion control index according to the predefined option and displaying it on the monitor
/ RTI >
The pre-
A power value, a scale value converted into a value between -1 and 1 by replacing the power value with a value within a predetermined maximum and minimum value range, a discrete integer that displays the power value as the emotion control level by applying scaling after replacing the power value with the closest integer Containing a value
Brain - based neurofeedback method for emotion regulation train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서 자극을 표출하는 과정은,
기 설정된 다수의 자극 종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자극 종류에 대응하는 정서 자극을 자극 DB로부터 인출하여 표출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정서 조절 훈련을 위한 뇌파 기반의 뉴로 피드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displaying the emotional stimulus comprises: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preset types of stimuli;
A process of fetching and expressing the emotion stimulu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type of stimulation from the stimulation DB
A neurofeedback method based on EEG for emotional adjustment training.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서 자극은,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기 설정 횟수만큼 반복 표출되는
정서 조절 훈련을 위한 뇌파 기반의 뉴로 피드백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motion stimulation may include:
It is repeatedly displayed as many times as the preset number defined by the user
Brain - based neurofeedback method for emotion regulation train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뇌파는,
전두엽 부위 두피에서 발생하는 전위차인
정서 조절 훈련을 위한 뇌파 기반의 뉴로 피드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EG includes:
The frontal area is the potential difference
Brain - based neurofeedback method for emotion regulation training.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뇌파는,
무선 또는 유선신호로서 송출되는
정서 조절 훈련을 위한 뇌파 기반의 뉴로 피드백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EEG includes:
Transmitted as a wireless or wired signal
Brain - based neurofeedback method for emotion regulation train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마 파워 값은,
단기 푸리에 변환(Short-Time Fourier Transform), 웨이브렛 변환(Wavelet Transform), 힐버트 변환(Hilbert Transform), 경험적 모드 분해(Empirical Mode Decomposition)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계산되는
정서 조절 훈련을 위한 뇌파 기반의 뉴로 피드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amma power value,
Is calculated using any one of a short-time Fourier transform, a wavelet transform, a Hilbert transform, and an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Brain - based neurofeedback method for emotion regulation train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서 조절 지표는,
바 그래프 또는 꺽은선 그래프 형태로 상기 모니터 상에 실시간 표출되는
정서 조절 훈련을 위한 뇌파 기반의 뉴로 피드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motional adjustment index includes:
Displayed in real time on the monitor in the form of a bar graph or a line graph
Brain - based neurofeedback method for emotion regulation training.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서 조절 지표는,
이전 정서 조절 지표 값들의 히스토리와 함께 상기 모니터 상에 표출되는
정서 조절 훈련을 위한 뇌파 기반의 뉴로 피드백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emotional adjustment index includes:
Displayed on the monitor with a history of previous emotion control indicator values
Brain - based neurofeedback method for emotion regulation train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출시키는 과정은,
상기 선택 채널이 복수 개일 때 복수 채널의 감마 파워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상기 정서 조절 지표로 전환하는
정서 조절 훈련을 위한 뇌파 기반의 뉴로 피드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displaying step,
Calculating a mean value of gamma power of a plurality of channels when the number of the selected channels is plural, and switching to the emotion control index
Brain - based neurofeedback method for emotion regulation training.
기 설정된 다수의 자극 종류들에 대한 데이터들이 저장된 자극 DB와,
뇌파의 정서 반응을 유발시키기 위해 상기 다수의 자극 종류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정서 자극을 표출하는 정서 자극 제어부와,
표출되는 상기 정서 자극을 통해 변화하는 다중 채널의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 측정 센서부와,
측정된 상기 다중 채널의 뇌파를 무선 또는 유선신호로 전송하는 뇌파신호 전송부와,
전송된 상기 다중 채널의 뇌파를 수신하여 각 채널별의 뇌신호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뇌파신호 처리부와,
변환된 각 뇌신호 데이터에 대해 각 채널별로 감마 파워 값을 계산하는 감마파 추출부와,
각 채널들 중 선택 채널의 감마 파워 값을 기 지정된 옵션에 따라 정서 조절 지표로 전환하여 모니터 상에 표출시키는 정서 조절 뉴로 피드백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기 지정된 옵션은,
파워 값, 기 정해진 최대 및 최소값 범위 내의 값으로 치환하여 -1 ~ 1 사이의 값으로 변환한 스케일 값, 상기 파워 값을 가장 가까운 정수로 치환한 후 스케일링을 적용하여 정서 조절 레벨로 표시하는 이산정수 값을 포함하는
정서 조절 훈련을 위한 뇌파 기반의 뉴로 피드백 장치.
A stimulus DB in which data for a plurality of preset types of stimuli are stored,
An emotion stimulation control unit for selecting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stimulation types to express an emotional stimulus in order to induce an emotional response of an EEG;
A brain wave measuring sensor unit for measuring multi-channel brain waves that change through the emotional stimulus,
An EEG signal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multi-channel EEG measured as a wireless or wired signal,
An EEG signal processing unit for receiving the transmitted EEG signals and converting them into brain signal data for each channel;
A gamma wave extracting unit for calculating a gamma power value for each of the converted brain signal data,
The emotion control neurofeedback control unit for converting the gamma power value of the selected channel among the channels into the emotion control index according to the predefined option,
Lt; / RTI >
The pre-
A power value, a scale value converted into a value between -1 and 1 by replacing the power value with a value within a predetermined maximum and minimum value range, a discrete integer that displays the power value as the emotion control level by applying scaling after replacing the power value with the closest integer Containing a value
Neuro - feedback device based on EEG for emotion regulation training.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뇌파 측정 센서부는,
전두엽에서 발생하는 상기 뇌파를 측정하는
정서 조절 훈련을 위한 뇌파 기반의 뉴로 피드백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EEG sensor unit includes:
Measuring the EEG occurring in the frontal lobe
Neuro - feedback device based on EEG for emotion regulation training.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뇌파 측정 센서부는,
건식 또는 습식 전극을 사용하는
정서 조절 훈련을 위한 뇌파 기반의 뉴로 피드백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EEG sensor unit includes:
Using dry or wet electrodes
Neuro - feedback device based on EEG for emotion regulation training.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뇌파신호 전송부는,
상기 뇌파를 무선 또는 유선신호로서 송출하는
정서 조절 훈련을 위한 뇌파 기반의 뉴로 피드백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EEG signal transmitter includes:
And transmitting the brain waves as wireless or wire signals
Neuro - feedback device based on EEG for emotion regulation training.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감마파 추출부는,
단기 푸리에 변환(Short-Time Fourier Transform), 웨이브렛 변환(Wavelet Transform), 힐버트 변환(Hilbert Transform), 경험적 모드 분해(Empirical Mode Decomposition)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감마 파워 값을 계산하는
정서 조절 훈련을 위한 뇌파 기반의 뉴로 피드백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gamma-
The gamma power value is calculated using any one of a Short-Time Fourier Transform, a Wavelet Transform, a Hilbert Transform, and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Neuro - feedback device based on EEG for emotion regulation training.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정서 조절 뉴로 피드백 제어부는,
상기 정서 조절 지표를 바 그래프 또는 꺽은선 그래프 형태로 상기 모니터 상에 실시간 표시하는
정서 조절 훈련을 위한 뇌파 기반의 뉴로 피드백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emotion control neuro feedback control unit comprises:
The emotion control indicator is displayed on the monitor in real time in the form of a bar graph or a line graph
Neuro - feedback device based on EEG for emotion regulation training.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정서 조절 뉴로 피드백 제어부는,
상기 정서 조절 지표를 이전 정서 조절 지표들의 히스토리와 함께 상기 모니터 상에 표출시키는
정서 조절 훈련을 위한 뇌파 기반의 뉴로 피드백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emotion control neuro feedback control unit comprises:
Wherein the emotional adjustment indicator is displayed on the monitor together with a history of previous emotional adjustment indicators
Neuro - feedback device based on EEG for emotion regulation training.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정서 조절 뉴로 피드백 제어부는,
상기 선택 채널이 복수 개일 때 복수 채널의 감마 파워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상기 정서 조절 지표로 전환하는
정서 조절 훈련을 위한 뇌파 기반의 뉴로 피드백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emotion control neuro feedback control unit comprises:
Calculating a mean value of gamma power of a plurality of channels when the number of the selected channels is plural, and switching to the emotion control index
Neuro - feedback device based on EEG for emotion regulation training.
KR1020140104408A 2014-08-12 2014-08-12 Eeg-based neurofeedback method and apparatus for emotion regulation training KR1016481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408A KR101648120B1 (en) 2014-08-12 2014-08-12 Eeg-based neurofeedback method and apparatus for emotion regulation trai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408A KR101648120B1 (en) 2014-08-12 2014-08-12 Eeg-based neurofeedback method and apparatus for emotion regulation train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017A KR20160020017A (en) 2016-02-23
KR101648120B1 true KR101648120B1 (en) 2016-08-17

Family

ID=55448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4408A KR101648120B1 (en) 2014-08-12 2014-08-12 Eeg-based neurofeedback method and apparatus for emotion regulation train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12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63792B (en) * 2017-09-21 2023-11-21 北京大智商医疗器械有限公司 Nerve feedback device, system and method
WO2020100144A1 (en) * 2018-11-15 2020-05-22 The Medical Research, Infrastructure and Health Services Fund of the Tel Aviv Medical Center Resilience training
CN109549643B (en) * 2018-11-19 2021-11-05 浙江升腾生物科技有限公司 Intelligence training instrument
KR20210017336A (en) 2019-08-08 2021-02-17 박문석 The brain relaxation device using the Internet of Things(Io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257B1 (en) 2007-07-20 2007-08-23 (주)락싸 Brain wav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9805A (en) * 2006-11-01 2008-05-07 강만희 Apparatus and method for neuro feedback
WO2009084898A2 (en) 2007-12-27 2009-07-09 Korea Institute Of Brain Science (Kibs) System and method for analysing brain wave
KR20110023426A (en) * 2009-08-31 2011-03-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arameter selective type neuro feedback method, apparatus using thereof and neuro feedback system using thereof
KR20120105297A (en) * 2011-03-15 2012-09-2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Emotional response measurement apparatus and emotional response measurement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257B1 (en) 2007-07-20 2007-08-23 (주)락싸 Brain wa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017A (en) 201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8120B1 (en) Eeg-based neurofeedback method and apparatus for emotion regulation training
US9144405B2 (en) User health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3D glasses and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6892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audio siganl, method for controlling volume
US10390722B2 (en) Method for quantifying the perceptive faculty of a person
CN102821681A (en) Brain wave measuring device, electric noise estim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electric noise estimation method
US11134898B2 (en) Electronic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2019032097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llecting and processing bioelectrical signals
KR102143920B1 (en) Visual stimulation-based brain-computer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information thereof
Higashi et al. Signal correlation between wet and original dry electrodes in electroencephalogram according to the contact impedance of dry electrodes
JP2019136183A (en) Emotion identification device
EP3698710A1 (en) Brain wave measurement system, brain wave measurement method, program,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JP6359926B2 (en) Communication support method and communication support system
JP6365229B2 (en) Multisensory interface control method, multisensory interface control device, and multisensory interface system
KR20110040089A (en) Apparatus for detecting concentration power based on eeg and system using the same
Garcia et al. Capturing pictures from human vision using SSVEP and lock-in amplifier
KR20170092757A (en) System for providing concentration distinction contents using electroencephalogram, and method thereof
KR101660332B1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cognitive fatigue based on tactile stimuli
CN109965873B (en) Biological function measurement and analysis system, method and recording medium
EP3698712A1 (en) Brain wave assessment system, brain wave assessment method, program, and non-transient recording medium
KR2014013376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US20230233143A1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for the detection of pain related symptoms
EP3782537A1 (en) Biometric information evaluating device and biometric information evaluating method
Yildirim et al. Warning System for Drivers according to Attention and Meditation Status Using Brain Computer Interface
KR102361994B1 (en) Battle game system
JP6680825B2 (en) EEG evaluation method and evalua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