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565B1 - System and method for Things-based Social Network Servic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Things-based Social Network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565B1
KR101647565B1 KR1020140185140A KR20140185140A KR101647565B1 KR 101647565 B1 KR101647565 B1 KR 101647565B1 KR 1020140185140 A KR1020140185140 A KR 1020140185140A KR 20140185140 A KR20140185140 A KR 20140185140A KR 101647565 B1 KR101647565 B1 KR 101647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mart device
content
smart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51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75285A (en
Inventor
정현아
Original Assignee
정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아 filed Critical 정현아
Priority to KR1020140185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565B1/en
Publication of KR20160075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52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5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40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가 부착된 스마트 장치를 활용하여 사물을 인식하고, 인식된 상기 사물을 매개로 하여 메시지 또는 이미지,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서버에 저장하고, 제3자가 스마트 장치를 활용하여 상기 사물 또는 동종의 사물을 인식하면, 상기 사물을 매개로 하여 서버에 저장된 상기 메시지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보거나 공유할 수 있는 사물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an object using a smart device with a camera, stores multimedia contents such as a message, an image, and a moving picture on a server via the recognized objec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system for object-based social network service capable of viewing or sharing the message and multimedia contents stored in a server via the object when a similar object is recognized.

Description

사물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Things-based Social Network Service}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object-based social network service,

본 발명은 세상에 존재하는 사물을 매개로 하여 사람간의 사회 관계망을 구성하고자 하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의 형태로, 좀 더 자세하게 서술하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카메라 기능이 부착된 스마트 장치로 사물을 촬영하면 상기 사물을 인식하고, 텍스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형식의 콘텐츠를 남기면,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상기 인식된 사물을 하나의 key로 하여 상기 메시지 또는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다수의 제3자가 스마트 장치로 상기 사물을 인식하는 과정을 수행하면 상기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고, 친구를 맺을 수도 있으며, 답글 메시지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작성할 수 있는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ice method and system for constructing a social network among people through objects in the world.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device having a camera function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And stores the message or the content in a database by using the recognized object as a key in a server providing the service when the user captures the object and saves the content in the form of a text message or a multimedia format, And more particularly, to a network service method and system capable of browsing the message or multimedia content, making friends, and composing reply messages and multimedia contents by performing the process of recognizing the object with the smart device.

모바일 단말에 부착된 카메라로 사물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단말에 저장하고, 단말에 저장된 이미지를 소셜 네트워크 상에서 공유하는 기술이 광범위하게 퍼져 있다. A technique of shooting an object with a camera attached to a mobile terminal, storing the image in the terminal, and sharing the image stored in the terminal on a social network is widely spread.
또한 단말에 부착된 카메라로 사물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단말에 저장하고, 이 이미지를 서버에 업로드하고, 서버는 이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예컨데 상기 이미지와 유사한 다른 이미지 검색, 상기 이미지의 이름 등)를 검색하여, 검색된 정보를 단말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도 있다.Also, an object is photographed with a camera attached to the terminal, and the image is stored in the terminal, and the image is uploaded to the server. The server transmi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image (for example, another image search similar to the image, And provides the retrieved information to the terminal user.
상기 첫 번째 예는 단말에 부착된 카메라로 촬영한 사물의 이미지를 서버로 업로드하여 이 이미지를 불특정 다수 또는 특정 관계를 가진 사람에게 공유하는 기술이며, 상기 두 번째 예는 단말에 부착된 카메라로 촬영한 사물의 이미지를 서버로 업로드하여 이 이미지에 관련한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정보를 단말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이다.The first example is a technique of uploading an image of an object photographed by a camera attached to a terminal to a server and sharing the image with an unspecified number or a person having a specific relationship. Uploads an image of an object to a server, searches for information related to the image, and provides the retrieved information to the terminal user.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의 기술들은 불특정 다수 또는 특정 관련인과의 소통이나 정보의 공유를 위한 매개체로써 모바일 단말에 부착된 카메라로 촬영한 사물의 이미지를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인터넷 및 스마트 장치의 발달로 인해 세계 각처의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메시지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광범위하게 서비스 되고 있다.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들의 공통적인 점은 서비스 내에서 사람과 사람간의 관계를 맺을 때 사람을 매개로 관계를 맺는다는 점이다.
이를 다시 말하면, 사람의 프로파일 기반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이루어진다는 것인데, 예를 들어, A라는 사람이 B라는 사람과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로 관계를 형성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A가 B를 직접적으로 알게 되어 관계를 맺거나, 또는 A와 B를 모두 관계를 가진 제3자인 C를 통해 간접적으로 관계를 맺게 되는 경우이다.

즉, 서비스 되고 있는 대부분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사람을 매개로 하여 관계를 구축한 후 메시지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공유하고, 메시지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달면서 상호 소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세상에 존재하는 사물을 매개로 하여 디지털 매체에 기록 가능한 콘텐츠-상기 콘텐츠는 텍스트 메시지, 이미지, 동영상, 음악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포함-를 사용자들이 장소,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공유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사용자들은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을 통해 자유로운 콘텐츠 공유 및 상기 사용자들간의 사회적 관계를 구성할 수 있게 해준다.
The conventional ar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problem in that it is not able to utilize images of an object shot by a camera attached to a mobile terminal as an intermediary for communicating or sharing information with an unspecified number or a specific related person.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smart devices, a wide range of social network services are available to connect with people from around the world and exchange messages and multimedia contents.

A common point of these social network services is that they establish a relationship between people when they establish a relationship between people in a service.
In other words, a social network service is performed based on a person's profile. For example, a general method of forming a relationship with a person A by a person B is to know a person B directly, , Or indirectly through a third person, C, who has a relationship with both A and B.

In other words, most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s being provided use a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messages and multimedia contents while sharing messages or multimedia contents after establishing relationships through peop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freely sharing contents that can be recorded on a digital medium through objects existing in the world, including multimedia contents such as text messages, images, movies, music, etc., And systems that enable users to freely share content and organize social relationships between users through the methods and system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수행함에 있어, 사람의 프로파일 기반이 아닌 세계 도처에 존재하고 있는 인식 가능한 사물을 기반으로 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으로,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방법을, 카메라 기능을 가진 스마트 로 사물을 촬영하여 인식하고, 공유 또는 남기고자 하는 텍스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서버에 올리고, 상기 사물을 자신의 스마트 로 인식한 다수의 사람들이 상기 사물을 인식한 후 남긴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열람하고, 열람한 메시지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올린 사람과 관계를 맺음으로써 세계 도처의 여러 사람들과 자유로운 소통이 가능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cial network service method and system based on recognizable objects existing all over the world not based on a profile of a person in performing a social network service, , A smart message having a camera function, a text message or a multimedia content intended to be shared or left to be photographed, to be recorded on a server, a message left after a large number of people who recognize the object as their own smart Or social network service method and system capable of freely communicating with various people all over the world by browsing multimedia contents and establishing a relationship with a person who uploads the read messages and multimedia contents.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사물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은,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object-based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사물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In a matter-based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스마트 장치로 촬영한 사물을 하나의 고유한 값으로 인식하는 사물 인식부;
An object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n object photographed by the smart device as a unique value;

상기 인식된 사물의 고유한 값을 매개로 내용을 작성할 수 있는 정보 입력부;
An information input unit capable of creating contents of the recognized object through a unique value;

상기 입력된 정보를 상기 인식된 사물의 고유한 값을 매개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An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input information in a database via a unique value of the recognized object;

사용자가 상기 사물의 고유한 값을 매개로 저장된 정보를 원하는 사람 또는 지역 또는 시간과 같이 여과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여과 정보 입력부;
A filtering information input unit for allowing a user to input filtering information such as a person or an area or time for which information is stored via the unique value of the object;

상기 인식된 사물의 고유한 값을 매개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여과 정보에 맞게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
An informatio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information stored in a database in accordance with filtering information through a unique value of the recognized object;

상기 인식된 사물과 연관하여 상기 정보 추출부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여과 정보에 맞게 화면에 보여주는 화면 출력부;
A screen output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in association with the recognized object on a screen in accordance with filtering information;

상기 인식된 사물과 연관하여 정보를 작성한 사람들과 관계를 맺거나 끊을 수 있는 소셜 관계부를 포함하고,
And a social relation part capable of establishing or breaking a relationship with the person who created the information in association with the recognized object,

상기 사물 인식부는 스마트 장치에 부착된 카메라에 포착된 사물을 인식하여 상기 사물에 대해 하나의 고유값을 할당하거나, 상기 인식된 사물이 이미 고유값이 할당된 사물일 경우 상기 고유값을 추출한다.
The object recognizing unit recognizes an object captured by a camera attached to the smart device and assigns an eigenvalue to the object or extracts the eigenvalue when the object has already been assigned an eigenvalue.

상기 "카메라에 포착된"이란 사물을 스마트 장치에 부착된 카메라로 스냅사진을 찍는 방법으로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방법을 통해 사물을 포착된 것을 의미한다.
The term " captured by a camera "means that an object is captured through a method of taking a snapshot with a camera attached to a smart device or a method of shooting a moving image.

상기 정보 입력부는 상기 사물 인식부에 의해 부여된 사물에 대한 고유값을 매개로 익명 또는 ID를 가진 사용자가 문자형태의 정보, 사진 또는 동영상을 입력할 수 있는 곳이다.
The information input unit is a place where an anonymous user or an ID user can input character type information, a photograph, or a moving image through the unique value of the object given by the object recognizing unit.

상기 정보 저장부는 상기 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문자형태의 정보, 사진, 동영상을 상기 사물에 대한 고유값 또는 상기 고유값과 상기 사용자의 ID를 매개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stores character type information, photographs, and moving pictures input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unit in a database via eigenvalues for the object or the eigenvalues and the ID of the user.

상기 여과 정보 입력부는 사용자가 스마트 장치로 사물을 인식한 후 상기 사물을 매개로 입력된 정보에 대해 여과하는 값을 선택적으로 입력하는 부분으로, 상기 사물을 매개로 작성된 정보에 대한 여과값으로 상기 사용자와 관계를 맺은 사람 또는 지역 또는 시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여과값을 입력하지 않으면 상기 사물을 매개로 작성된 모든 정보에 대한 것으로 간주한다.
The filtering information input unit selectively inputs a value for filtering information inputted through the object after the user recognizes the object with the smart device. The filtering information input unit inputs the filtering value for the information created through the object, Or a person or area or time that has a relationship with the user. If the user does not enter a filtration value, the object is regarded as all of the information created by the intermediary.

상기 정보 추출부는 인식된 사물에 대한 고유값을 매개로 저장된 모든 정보 중 사용자가 입력한 여과값에 일치하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부분이다.
Th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extracts, from the database, information matching the filtering value inputted by the user among all the information stored via the unique value of the recognized object.

상기 화면 출력부는 상기 정보 추출부로부터 추출된 정보를 스마트 장치의 화면에 출력하는 부분으로 출력하는 방식은 사물이 상기 카메라에 포착된 방법에 따라 달라진다. 스냅사진 찍는 방법에 의해 사물이 카메라에 포착된 경우 상기 사물의 고유값을 통해 확인되는 사물의 이름 또는 대표 이미지를 화면에 보여준 후, 상기 추출된 정보를 여과값에 따라 보여주게 된다. 동영상 찍는 방법에 의해 사물이 카메라에 포착된 경우 일반적인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법을 활용해서 포착된 사물 근방에 상기 추출된 정보를 화면에 보여주게 된다.
The screen output unit outputs the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to a portion for outputting on the screen of the smart device, depending on how the object is captured by the camera. When the object is captured by the camera by the snapshot method, the name or the representative image of the object identified through the eigenvalue of the object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extracted information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filtered value. When an object is captured by a camera by a video shooting method, a general augmented reality technique is used to display the extracted information on the screen in the vicinity of the captured object.

상기 소셜 관계부는 상기 화면 출력부를 통해 보여지는 정보를 통해 알 수 있는 사용자와 관계를 맺거나 관계를 끊을 수 있는 부분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정보 보기/보지않기, 사용자 원천 차단, 스팸등록 등 많은 소셜 관계와 연관된 다양한 부가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부분이다.The social relation unit may include a part that can be related to a user who can know through the information displayed through the screen output unit or a part that can break the relationship, and can display a lot of social information such as viewing / It is a part where various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lationship can be set.

본 발명의 핵심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세계 도처에 있는 사람 또는 스마트 장치가 인식 가능한 사물을 기반으로 한다는 점이다. 이는 사람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관계가 구축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비해 불특정 다수와 높은 자유도로 관계를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여과 방법을 통해 상기 사람 프로파일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동일한 정도의 서비스도 제공 가능한 효과를 준다.
The ess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people or smart devices everywhere in the world are based on recognizable objects in providing social network services. This can constitute an unspecified majority and a high degree of freedom in relation to a social network service in which a relationship is established based on a person profile, and can provide a service of the same degree as the person profile based social network service through various filtering methods Effect.

특히,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물건의 경우, 상기 물건을 제조하거나 판매하는 사람들이 본 발명을 통해 실시되는 서비스 또는 시스템을 활용하면 저렴한 비용의 광고가 가능하고, 지역 구분 없이 제품의 판매가 가능하게 된다.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merchandise to be sold commercially, a person who manufactures or sells the goods can use a service or a system implemented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to advertise at a low cost and sell the product regardless of the region.

또한 사물을 매개로 한 메시지 및 콘텐츠 전달 방법은 기존에 통용되는 문자메시지 또는 메일을 대체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method of delivering messages and contents through objects has the effect of replacing conventional text messages or mails.

기존의 문자메시지나 메일 시스템은 수신인을 지정-문자메시지의 경우 전화번호 또는 스마트폰 연락처에 저장된 사람이름, 메일의 경우 수신할 사람의 메일 주소-해야 하지만, 본 발명의 방법을 활용하면 하나의 사물을 매개로 메시지 및 콘텐츠를 전달 가능하다.
In the conventional text message or mail system, a recipient is specified. In the case of a text message, a telephone number or a name of a person stored in a smartphone contact, and a mail address of a person to be received are required. However,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message and the contents through the medium.

예를 들어 특정인들 사이에 약속된 사물을 지정하고, 상기 사물을 매개로 상기 특정인들이 공유한 메시지 및 콘텐츠가 발생할 경우 자동적으로 통지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기존의 문자메시지 및 메일을 대체 가능하다.For example, if a promised object is designated among specific persons, and a message and contents shared by the specific persons are automatically notified through the object, the conventional text message and mail can be substituted.

도1. 사물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도2. 증강현실을 이용한 사물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도3. 스냅 사진찍기를 이용한 사물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도4. 사물을 매개로 메시지 전달 방법;
도5. 사물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Fig. Object - based social network service method;
Fig. Object - based Social Network Service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3. Object - based social network service method using snapshot;
FIG. A method of delivering messages through objects;
Figure 5. A system for object-based social network service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term " and / or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the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도1은 사물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1 is a method of service-based social network service.

본 발명에 따른 사물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은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체화된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The object-based social network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specific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영국 런던에 있는 사용자(101)가 자신의 스마트폰(102)을 이용하여 슈퍼마켓에 있는 코카콜라 캔(105)을 촬영한 후 코카콜라를 인식하고(104) 상기 사용자(101)가 자신이 공유하고 싶은 메시지(103)를 입력한다. 시간이 지난 후 미국 뉴욕에 있는 사용자(106)는 자신의 거실 탁자에 있는 코카콜라 캔(110)을 사용자(106)의 스마트폰(107)을 이용하여 촬영한 후 코카콜라 캔임을 인식하면(109), 사용자(101)이 상기 코카콜라를 인식하여 남긴 메시지를 열람할 수 있다. 사용자(106)은 사용자(101)과 관계를 맺기 원할 경우 사용자(101)에게 관계 요청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고 사용자(106)은 사용자(101)의 요청에 응답 또는 거절함으로써 관계 맺음 요청에 응하거나 응하지 않을 수 있다.
A user 101 in London, after taking a picture of a Coca-Cola can 105 in a supermarket using his smartphone 102, recognizes Coca-Cola 104 and the user 101 sends a message (103). The user 106 in New York in the United States shoots the Coca-Cola can 110 in his living room table using the smartphone 107 of the user 106 and recognizes 109 the Coca-Cola can, The user 101 can recognize a message left by recognizing the Coca-Cola. The user 106 may send a relationship request message to the user 101 if he wants to establish a relationship with the user 101 and the user 106 either responds to the request or rejects the request of the user 101, .

이러한 방법을 통해 기존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사람 자체를 매개로 하여 사회적 관계를 맺는 것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방법은 인식이 가능한 사물을 매개로 사회적 관계를 맺고,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이다.
In this way, the existing social network service establishes a social relationship through the person himself, whereas the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establishing a social relationship and sharing necessary information through objects that can be recognized.

상기 서술한 서비스 방법에서 정보전달 및 사회적 관계를 위한 사물의 예로 코카콜라 캔을 들었으나, 우리 주위에 있는 인식이 가능한 모든 사물이 그 대상이 될 수 있다.
In the service method described above, Coca - Cola cans are examples of objects for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social relations, but all perceptible objects around us can be objects.

도2는 사물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에 있어 증강현실을 이용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FIG. 2 show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object-based social network service method using the augmented reality.

사용자 A라는 사람이 자신의 스마트폰(201)으로 테이블위에 있는 코카콜라 병(202)을 증강현실 모드(206)로 촬영하면 상기 코카콜라 병을 인식한 결과를 하나의 아이콘(207)으로 표현을 하여 상기 코카콜라 병이 인식되었음을 사용자 A에게 알리고, 여러 사람이 코카콜라 병을 매개로 남긴 메시지나 다양한 콘텐츠를 상기 스마트폰 화면을 증강시키는 방법-이러한 것을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이라고 함-으로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 도2의 예에서는 말풍선(203) 형태로 상기 메시지 및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한 것이다. 스마트 화면의 물리적인 크기의 한계로 인해 상기 메시지 및 콘텐츠를 표현하는데 있어 제한이 따르게 되므로 다양한 방식-최신 순, 친구관계 중 친밀도 순, 무작위 등의 선택에 의한 방법-으로 화면에 표현을 한다. 도2의 실시 예에서는 모든 메시지를 보여주는 방식(204)을 선택한 것이며, 경우에 따라서 친구들의 메시지만을 보는 방법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 A는 상기 인식된 코카콜라 병을 매개로 메시지 및 콘텐츠를 남길 수 있는데 상기 스마트폰(201)의 화면에 표현된 낙서하기 버튼(205)을 클릭하면 메시지 또는 콘텐츠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으로 전환된다. When a user A shoots the Coca-Cola bottle 202 on the table with his / her smartphone 201 in the augmented reality mode 206, the result of recognizing the Coca-Cola bottle is represented by one icon 207, Informs the user A that the Coca-Cola bottle has been recognized, and displays a message that a plurality of people have left Coca-Cola bottles or a variety of contents to enhance the smartphone screen, which is called Augmented Reality. In the example of FIG. 2, the message and the content are displayed in the form of a speech balloon 203.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physical size of the smart screen, there are limitations in expressing the message and contents. Therefore, various method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e order of the latest order, friendship order, intimacy order, and randomness. In the embodiment of FIG. 2, a method 204 for displaying all messages is selected. In some cases, only a message of friends may be viewed. The user A can leave messages and contents through the recognized Coca Cola bottles. If the user clicks the graffiti button 205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201, the screen is switched to a screen for inputting a message or a content .

상기 스마트폰 화면에 표시된 말풍선(203)을 클릭하면 상기 말풍선에 해당하는 메시지 또는 콘텐츠를 공유한 사용자-사용자 B라 칭한다-의 메인 페이지(211)로 이동한다. 상기 사용자 B의 메인 페이지에는 사용자 B의 사진이나 소개 메시지(208)를 볼 수 있고, 사용자 B가 사물을 매개로 공유한 다양한 메시지 및 콘텐츠(209)를 타임라인에 따라 살펴볼 수 있다. 도2의 실시 예는 사용자 B가 사용자 A와 친구관계일 때를 가정하였으며, 사용자 A는 사용자 B에게 안부메시지 남기기 버튼(210)을 클릭하여 메시지를 남길 수 있다. 만약 사용자 B와 사용자 A가 친구 관계가 아닐 경우, 사용자 B의 메인 페이지를 방문한 사용자 A가 사용자 B의 메인 페이지에서 친구 맺기 요청을 할 수 있고, 사용자 B는 사용자 A의 친구 맺기 요청을 승낙 또는 거절할 수 있다.
If the user clicks on the speech bubble line 203 displayed on the smartphone screen, the message moves to the main page 211 of the user B sharing the message o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peech bubble. The user B can view the photograph or introduction message 208 of the user B and the various messages and contents 209 shared by the user B via the objects on the main page. The embodiment of FIG. 2 assumes that the user B has a friend relationship with the user A, and the user A can click the leave message button 210 to leave the message. If the user B and the user A are not in a friendship relationship, the user A who visited the main page of the user B can make a friend making request on the main page of the user B, and the user B can accept or reject the friend making request of the user A can do.

도3은 사물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에 있어 스냅 사진 찍기를 이용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FIG. 3 shows a preferred embodiment using snapshot shooting in a method of object-based social network service.

사용자 A의 스마트폰(301)을 이용해 코카콜라 캔(308)을 스냅사진 모드(307)로 지정한 후 스냅사진을 찍는 방법으로 촬영을 하면 상기 코카콜라 캔을 인식했다는 결과(304)를 상기 스마트폰 화면에 표시를 하고, 코카콜라 캔을 매개로 하여 공유한 정보(302)를 타임라인에 따라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공유한 정보(302)는 모든 사람이 공유한 메시지 및 콘텐츠 혹은 친구들의 메시지 및 콘텐츠만을 선택하여 표시하게 할 수 있으며(305), 코카콜라 캔을 인식하여 콘텐츠를 공유한 장소(303)를 지정하여 조건에 일치하는 정보만을 나타나게 할 수 있다. 도2에서 제시한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이 사물에 낙서하기 버튼(306)을 클릭하여 메시지 및 콘텐츠를 남길 수 있다. If a snapshot mode 307 is designated as a snapshot mode 307 using the smartphone 301 of the user A and then snapshots are taken, a result 304 indicating that the Coca-Cola can is recognized is displayed on the smartphone screen And displays the shared information 302 via the Coca-Cola can on the screen in accordance with the time line. The shared information 302 may select and display only messages and contents shared by all persons or messages and contents of friends (305), recognize the Coca-Cola cans and designate a place 303 where the contents are shared Only the information matching the condition can be displayed. Similar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the graffiti button 306 may be clicked on this object to leave a message and content.

상기 스마트폰에 표시된 메시지(302)를 클릭하면 도2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상기 메시지를 공유한 사용자의 메인 페이지(211)로 화면이 전환된다.
When the message 302 displayed on the smartphone is clicked, the screen is switched to the main page 211 of the user who has shared the message described in the embodiment of FIG.

도4는 메시지 전달 방법에 있어서 특정 사물을 지정하여 특정인이 남긴 메시지를 통지 및 전달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FIG. 4 shows a preferred embodiment in which a specific object is specified in a message delivery method to notify and deliver a message left by a specific person.

사용자 A가 스마트폰(401)을 가지고 코카콜라 캔을 촬영한 후 상기 코카콜라 캔을 인식한 후-인식한 결과는 화면에 나타남(402)- 코카콜라 캔을 매개로 공유되는 콘텐츠가 발생하면 자동적으로 통지할 수 있도록 하고-도4의 실시 예에서는 Follow(403)를 체크-통지 조건을 지정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서울에서(405) 친구들(404)이 코카콜라 캔을 매개로 공유한 메시지나 콘텐츠가 발생할 경우에 한해서 자동 통지하도록 한다. 도4의 예에서는 친구들 중 SangHO, YongWOO, MyungSUK 세명의 친구에 한해(406) 서울에서 코카콜라 캔을 매개로 하여 공유한 메시지 및 콘텐츠가 발생할 경우에 사용자 A의 스마트폰(401)으로 자동 통지하도록 설정한 것이다.
After the user A shoots the Coca-Cola can with the smartphone 401 and recognizes the Coca-Cola can, the result of recogni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402). When the content shared via the Coca-Cola cans occurs, - In the embodiment of FIG. 4, a follow-up (403) check-notification condition can be specified. In this example, (405) in Seoul will automatically notify a friend (404) only when a message or content shared via a Coca-Cola can occurs. In the example of FIG. 4, only three friends (SangHO, YongWOO, MyungSUK) among the friends are set to automatically notify the smartphone 401 of the user A when a message and contents shared through the Coca-Cola can It is.

상기 설정 후, 사용자 A의 친구 SangHO(411)가 스마트폰(412)으로 서울에서 코카콜라 캔(413)을 촬영한 후 인식하고 상기 코카콜라 캔을 매개로 메시지(420)를 남기면 서버(414)로 메시지(420)가 전송되고 서버(414)는 사용자 A의 스마트폰(401)으로 읽을 메시지가 있다고 통지하고 통지를 받은 사용자 A는 메시지(420)를 서버로부터 전송 받은 후 열어볼 수 있다.
After the above setting, the friend SangHO 411 of the user A shoots the Coca-Cola can 413 in Seoul on the smartphone 412 and recognizes the message, and if the friend 420 leaves the message 420 via the Coke can, (420) is transmitted and the server (414) notifies the smartphone (401) of the user A that there is a message to be read and the user (A) who has received the notification can receive the message (420)

도5는 사물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자세한 사항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5 shows details of a system for object-based social network services.

먼저 사물을 인식한 후 상기 사물을 매개로 하여 공유한 메시지 및 콘텐츠를 스마트 장치 화면에 출력하는 시스템의 예를 설명한다.First, an example of a system for outputting a message and contents shared through the object after recognizing the object on the screen of the smart device will be described.

카메라가 부착된 스마트 장치(501)로 사물을 촬영하면 먼저 스마트 장치에 보관된 사물인식 캐시(502)를 검색한다. 사물인식 캐시(502)는 이전에 상기 스마트 장치 (501)로 촬영하여 인식한 사물에 대한 정보를 캐시하여 빠른 사물 인식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사물인식 캐시로 사물인식이 완료되었다면 사물인식 캐시로부터 상기 사물에 대한 고유값과 여과정보입력부의 여과값을 함께 통신망(530)을 통해 정보추출부(513)로 전달한다. When an object is photographed with the smart device 501 to which the camera is attached, the object recognition cache 502 stored in the smart device is first searched. The object recognition cache 502 performs a role of supporting quick object recognition by caching information on an object photographed and recognized by the smart device 501 in advance. If the object recognition is completed by the object recognition cache, the eigenvalue of the object and the filtering value of the filtering information input unit are transmitted from the object recognition cache together to th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513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530.

만약 상기 촬영된 사물이 사물인식 캐시(502)를 통해 적절한 정보를 찾지 못하면 상기 사물 이미지를 통신망(530)을 통해 사물인식부(511)로 전달하고, 상기 사물인식부(511)는 전달받은 상기 사물 이미지를 이용하여 사물 인식을 위한 데이터베이스(521)로부터 검색을 하고 상기 사물에 대한 인식을 완료한 후 상기 사물에 대한 고유값을 획득한다. 상기 고유값을 정보추출부(513)로 전달하고, 상기 여과정보입력부(504)는 여과값을 통신망(530)을 통해 정보추출부(513)로 전달한다. If the photographed object can not find appropriate information through the object recognition cache 502, the object image is transmitted to the object recognition unit 511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530. The object recognition unit 511 recognizes the object A search is made from a database 521 for object recognition using an object image, and an eigenvalue for the object is obtained after the recognition of the object is completed. The filtering information input unit 504 delivers the filtering value to th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513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530. Th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513 extracts the filtering value from the filtered information,

정보추출부(513)는 상기 사물에 대한 고유값 및 상기 여과값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522)로부터 상기 사물을 매개로 공유하는 메시지 또는 콘텐츠를 추출한다. 상기 추출된 메시지 및 콘텐츠는 스마트 장치(501)의 화면출력부(506)로 전달되어 화면에 출력한다.
Th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513 extracts a message or a content from the database 522 via the object using the eigenvalue and the filtering value for the object. The extracted message and contents are delivered to the screen output unit 506 of the smart device 501 and output to the screen.

하기 설명은 사물을 인식하고 이 사물을 매개로 공유할 메시지 및 콘텐츠를 입력하는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The following description relates to a system for recognizing an object and inputting a message and contents to be shared through the object.

상기 스마트 장치 화면에 출력하는 절차 이후, 정보입력부(503)는 스마트 장치(501)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공유할 메시지 및 콘텐츠를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정보입력부는 상기 메시지를 텍스트 형태로, 상기 콘텐츠를 이미지, 동영상, 음성, 음악 등의 형태로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메시지 및 상기 콘텐츠를 입력 완료하면 통신망(530)을 통해 상기 사물 고유값과 함께 정보저장부(512)로 전송하고 상기 정보저장부는 데이터베이스(522)로 정보를 저장한다. After the process of outputting to the smart device screen, the information input unit 503 provides a method of inputting a message and contents to be shared by a user using the smart device 501. [ The information input unit provides a method of inputting the message in text form and in the form of an image, a moving picture, a voice, a music, or the like. Upon inputting the message and the content from the user, the message and the content are transmitted to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512 together with the object eigenvalue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530, and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stores the information in the database 522.

스마트 장치(501)의 소셜관계입력부(505)는 상기 스마트 장치(501)로 인식한 사물 또는 상기 인식한 사물을 매개로 공유한 메시지 및 콘텐츠 또는 상기 메시지 및 상기 콘텐츠를 작성한 사람들과의 관계를 설정하고 해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소셜관계입력부에서 설정할 수 있는 대표적인 기능의 예시로, 인식된 사물을 매개로 한 메시지 및 콘텐츠에 대한 자동 통지 설정, 상기 메시지 및 콘텐츠를 작성한 사용자와의 관계 설정 기능이 있을 것이다.The social relation input unit 505 of the smart device 501 establishes a relationship between the message recognized by the smart device 501 or a message and content shared through the recognized object or the person who created the message and the content And release it. Examples of representative functions that can be set in the social relationship input unit include setting automatic notification of a message and a content mediated by the recognized object, and establish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message and the user who created the content.

상기 소셜관계입력부를 통해 설정된 값은 통신망(530)을 통해 소셜관계부(514)로 전송되며, 상기 소셜관계부는 각종 소셜관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522)에 저장한다.The value set through the social relationship input unit is transmitted to the social relation unit 514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530, and the social relation unit stores various social relationship information in the database 522. [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relevant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 appended claims are to be consider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해당사항 없음.None.

Claims (18)

카메라가 부착된 스마트 장치를 이용한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장치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PC와 같이 운영체제를 통해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장치이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스마트 장치에 자체적으로 탑재되어 있거나, 상기 스마트 장치와 독립된 외부 기기로써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를 포함함-,
제1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장치에 부착된 카메라로 인식 가능한 사물을 촬영하는 단계(a);
제1사용자의 스마트 장치에서 상기 촬영한 사물에 대해 하나의 고유한 값을 부여하고, 제1사용자가 작성했거나 공유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상기 고유한 값을 데이터베이스의 key값으로 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b)-상기 콘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음성을 포함한 디지털 매체에 기록이 가능한 모든 콘텐츠를 포함;
제2사용자-상기 제2사용자는 제1사용자를 포함한 제3자-가 스마트 장치에 부착된 카메라로 상기 사물 또는 동종의 사물을 촬영하는 단계(c);
상기 제2사용자가 촬영한 상기 사물에 대하여 상기 key값과 동일한 key값을 추출하는 단계(d);
제1사용자가 작성했거나 공유하고자 저장한 상기 콘텐츠를 상기 key값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단계(c); 및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된 상기 콘텐츠를 제2사용자의 스마트 장치에 출력하는 단계(d)-상기 스마트 장치는 디스플레이 화면, 스피커와 같이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출하는 장치를 말함-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A network service method on-line using a smart device with a camera, the smart service device comprising: a smart phone; a tablet PC; a notebook PC; and an application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Wherein the smart device is mounted on the smart device or is detachable as an external device independent of the smart device,
(A) photographing an object recognizable by a camera attached to the smart device by a first user;
Assigning a unique value to the photographed object from the smart device of the first user and storing the unique value in the database as the key value of the database, b) the content includes all content capable of being recorded on a digital medium, including text, images, moving pictures, and voices;
(C) a third user, including a first user, photographing the object or a similar object with a camera attached to the smart device;
(D) extracting a key value equal to the key value with respect to the object captured by the second user;
(C) extracting the content created by the first user or stored for sharing by using the key value from the database; And
(D) outputting the content extracted from the database to a smart device of a second user, wherein the smart device is a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to a user such as a display screen and a speaker. Way.
정정청구에 의한 청구항 삭제
Deletion of claim by corrective claim
정정청구에 의한 청구항 삭제
Deletion of claim by corrective claim
카메라가 부착된 스마트 장치를 이용한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장치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PC와 같이 운영체제를 통해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장치이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스마트 장치에 자체적으로 탑재되어 있거나, 상기 스마트 장치와 독립된 외부 기기로써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를 포함함-,

제1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장치에 부착된 카메라로 인식 가능한 사물을 촬영하는 단계(a);
제1사용자가 촬영한 사물에 대해 스마트 장치에서 상기 촬영한 사물에 대해 제3자가 작성했거나 공유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전달받기 위한 매개체로 지정하는 단계(b);
상기 사물에 대해 하나의 고유한 값을 부여하고 상기 고유한 값을 데이터베이스의 key값으로 할당하고, 상기 key값에 상기 사물에 대해 제3자가 작성한 콘텐츠 전달 매개체임을 표현하는 값과 대응시키고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c);
제2사용자가 스마트 장치에 부착된 카메라로 상기 사물 또는 동종의 사물을 촬영하고 제2사용자가 작성했거나 공유하고자 하는 제3자의 콘텐츠를 입력하는 단계(d);
제1사용자의 스마트 장치로 제2사용자로부터 상기 콘텐츠가 입력되었음을 디스플레이 화면이나 소리로 알려주는 통지 단계(e);
제1사용자의 스마트 장치로 상기 콘텐츠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하는 단계(f)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A network service method on-line using a smart device with a camera, the smart service device comprising: a smart phone; a tablet PC; a notebook PC; and an application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Wherein the smart device is mounted on the smart device or is detachable as an external device independent of the smart device,

(A) photographing an object recognizable by a camera attached to the smart device by a first user;
(B) designating, as a medium for receiving a content created by a third party or intended to be shared with the photographed object, from the smart device with respect to the object photographed by the first user;
Assigning a unique value to the object, assigning the unique value to a key value of the database, associating the key value with a value representing that the content is a content delivery medium created by a third party for the object, (C);
(D) capturing the object or a similar object with a camera attached to the smart device by a second user and inputting a content of a third party that the second user has created or wants to share;
A notification step (e) of notifying the smart device of the first user of the input of the content from the second user on a display screen or a sound;
(F) of extracting the content from the database to the smart device of the first user and delivering it via the network
Lt; RTI ID = 0.0 > 1, < / RTI >
정정청구에 의한 청구항 삭제
Deletion of claim by corrective claim
4항에 있어서,
단계(b)에서 상기 콘텐츠 전달 매개체를 특정 사용자와 논리적으로 결합하여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단계(e)에서 제2사용자가 상기 특정 사용자일 경우에만 통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4,
Designating in step (b) said content delivery vehicle logically combining with a particular user;
And only when the second user is the specific user in step (e).
카메라가 부착된 스마트 장치를 이용한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장치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PC와 같이 운영체제를 통해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장치이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스마트 장치에 자체적으로 탑재되어 있거나, 상기 스마트 장치와 독립된 외부 기기로써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를 포함함-,
제1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장치에 부착된 카메라로 인식 가능한 사물을 촬영하는 단계(a);
제1사용자의 스마트 장치에서 상기 촬영한 사물에 대해 하나의 고유한 값을 부여하고, 제1사용자가 작성했거나 공유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상기 고유한 값을 데이터베이스의 key값으로 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b)-상기 콘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음성을 포함한 디지털 매체에 기록이 가능한 모든 콘텐츠를 포함;
제2사용자-상기 제2사용자는 제1사용자를 포함한 제3자-가 스마트 장치에 부착된 카메라로 상기 사물 또는 동종의 사물을 촬영하는 단계(c);
상기 제2사용자가 촬영한 상기 사물에 대하여 상기 key값과 동일한 key값을 추출하는 단계(d);
제1사용자가 작성했거나 공유하고자 저장한 상기 콘텐츠를 상기 key값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단계(c); 및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된 상기 콘텐츠를 제2사용자의 스마트 장치에 출력하는 단계(d)-상기 스마트 장치는 디스플레이 화면, 스피커와 같이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출하는 장치를 말함-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A network service method on-line using a smart device with a camera, the smart service device comprising: a smart phone; a tablet PC; a notebook PC; and an application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Wherein the smart device is mounted on the smart device or is detachable as an external device independent of the smart device,
(A) photographing an object recognizable by a camera attached to the smart device by a first user;
Assigning a unique value to the photographed object from the smart device of the first user and storing the unique value in the database as the key value of the database, b) the content includes all content capable of being recorded on a digital medium, including text, images, moving pictures, and voices;
(C) a third user, including a first user, photographing the object or a similar object with a camera attached to the smart device;
(D) extracting a key value equal to the key value with respect to the object captured by the second user;
(C) extracting the content created by the first user or stored for sharing by using the key value from the database; And
(D) outputting the content extracted from the database to a smart device of a second user, wherein the smart device is a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to a user such as a display screen and a speaker. system
정정청구에 의한 청구항 삭제
Deletion of claim by corrective claim
정정청구에 의한 청구항 삭제
Deletion of claim by corrective claim
카메라가 부착된 스마트 장치를 이용한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장치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PC와 같이 운영체제를 통해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장치이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스마트 장치에 자체적으로 탑재되어 있거나, 상기 스마트 장치와 독립된 외부 기기로써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를 포함함-,

제1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장치에 부착된 카메라로 인식 가능한 사물을 촬영하는 단계(a);
제1사용자가 촬영한 사물에 대해 스마트 장치에서 상기 촬영한 사물에 대해 제3자가 작성했거나 공유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전달받는 매개체로 지정하는 단계(b);
상기 사물에 대해 하나의 고유한 값을 부여하고, 상기 고유한 값을 데이터베이스의 key값으로 할당하고, 상기 key값에 상기 사물에 대해 제3자가 작성한 콘텐츠 전달 매개체임을 표현하는 값과 대응시키고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c);
제2사용자가 스마트 장치에 부착된 카메라로 상기 사물 또는 동종의 사물을 촬영하고 제2사용자가 작성했거나 공유하고자 하는 제3자의 콘텐츠를 입력하는 단계(d);
제1사용자의 스마트 장치로 제2사용자로부터 상기 콘텐츠가 입력되었음을 디스플레이 화면이나 소리로 알려주는 통지 단계(e);
제1사용자의 스마트 장치로 상기 콘텐츠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하는 단계(f)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A network service method on-line using a smart device with a camera, the smart service device comprising: a smart phone; a tablet PC; a notebook PC; and an application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Wherein the smart device is mounted on the smart device or is detachable as an external device independent of the smart device,

(A) photographing an object recognizable by a camera attached to the smart device by a first user;
(B) designating, by the smart device, an object that the first user has photographed or a content that the third party has created or intends to share with the photographed object;
Assigns a unique value to the object, assigns the unique value to the key value of the database, associates the key value with a value representing that the content is a content delivery medium created by the third party for the object, (C) recording;
(D) capturing the object or a similar object with a camera attached to the smart device by a second user and inputting a content of a third party that the second user has created or wants to share;
A notification step (e) of notifying the smart device of the first user of the input of the content from the second user on a display screen or a sound;
(F) of extracting the content from the database to the smart device of the first user and delivering it via the network
The network service system comprising:
정정청구에 의한 청구항 삭제
Deletion of claim by corrective claim
10항에 있어서,
단계(b)에서 상기 콘텐츠 전달 매개체를 특정 사용자와 논리적으로 결합하여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단계(e)에서 제2사용자가 상기 특정 사용자일 경우에만 통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10,
Designating in step (b) said content delivery vehicle logically combining with a particular user;
Only when the second user is the specific user in step (e). ≪ RTI ID = 0.0 >

카메라가 부착된 스마트 장치를 이용한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장치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PC와 같이 운영체제를 통해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장치이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스마트 장치에 자체적으로 탑재되어 있거나, 상기 스마트 장치와 독립된 외부 기기로써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를 포함함-,
제1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장치에 부착된 카메라로 인식 가능한 사물을 촬영하는 단계(a);
제1사용자의 스마트 장치에서 상기 촬영한 사물에 대해 하나의 고유한 값을 부여하고, 제1사용자가 작성했거나 공유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상기 고유한 값을 데이터베이스의 key값으로 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b)-상기 콘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음성을 포함한 디지털 매체에 기록이 가능한 모든 콘텐츠를 포함;
제2사용자-상기 제2사용자는 제1사용자를 포함한 제3자-가 스마트 장치에 부착된 카메라로 상기 사물 또는 동종의 사물을 촬영하는 단계(c);
상기 제2사용자가 촬영한 상기 사물에 대하여 상기 key값과 동일한 key값을 추출하는 단계(d);
제1사용자가 작성했거나 공유하고자 저장한 상기 콘텐츠를 상기 key값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단계(c); 및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된 상기 콘텐츠를 제2사용자의 스마트 장치에 출력하는 단계(d)-상기 스마트 장치는 디스플레이 화면, 스피커와 같이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출하는 장치를 말함-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A network service method on-line using a smart device with a camera, the smart service device comprising: a smart phone; a tablet PC; a notebook PC; and an application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Wherein the smart device is mounted on the smart device or is detachable as an external device independent of the smart device,
(A) photographing an object recognizable by a camera attached to the smart device by a first user;
Assigning a unique value to the photographed object from the smart device of the first user and storing the unique value in the database as the key value of the database, b) the content includes all content capable of being recorded on a digital medium, including text, images, moving pictures, and voices;
(C) a third user, including a first user, photographing the object or a similar object with a camera attached to the smart device;
(D) extracting a key value equal to the key value with respect to the object captured by the second user;
(C) extracting the content created by the first user or stored for sharing by using the key value from the database; And
(D) outputting the content extracted from the database to a smart device of a second user, wherein the smart device is a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to a user such as a display screen and a speaker.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is recorded
정정청구에 의한 청구항 삭제
Deletion of claim by corrective claim
정정청구에 의한 청구항 삭제
Deletion of claim by corrective claim
카메라가 부착된 스마트 장치를 이용한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장치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PC와 같이 운영체제를 통해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장치이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스마트 장치에 자체적으로 탑재되어 있거나, 상기 스마트 장치와 독립된 외부 기기로써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를 포함함-,

제1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장치에 부착된 카메라로 인식 가능한 사물을 촬영하는 단계(a);
제1사용자가 촬영한 사물에 대해 스마트 장치에서 상기 촬영한 사물에 대해 제3자가 작성했거나 공유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전달받는 매개체로 지정하는 단계(b);
상기 사물에 대해 하나의 고유한 값을 부여하고, 상기 고유한 값을 데이터베이스의 key값으로 할당하고, 상기 key값에 상기 사물에 대해 제3자가 작성한 콘텐츠 전달 매개체임을 표현하는 값과 대응시키고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c);
제2사용자가 스마트 장치에 부착된 카메라로 상기 사물 또는 동종의 사물을 촬영하고 제2사용자가 작성했거나 공유하고자 하는 제3자의 콘텐츠를 입력하는 단계(d);
제1사용자의 스마트 장치로 제2사용자로부터 상기 콘텐츠가 입력되었음을 디스플레이 화면이나 소리로 알려주는 통지 단계(e);
제1사용자의 스마트 장치로 상기 콘텐츠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하는 단계(f)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A network service method on-line using a smart device with a camera, the smart service device comprising: a smart phone; a tablet PC; a notebook PC; and an application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Wherein the smart device is mounted on the smart device or is detachable as an external device independent of the smart device,

(A) photographing an object recognizable by a camera attached to the smart device by a first user;
(B) designating, by the smart device, an object that the first user has photographed or a content that the third party has created or intends to share with the photographed object;
Assigns a unique value to the object, assigns the unique value to the key value of the database, associates the key value with a value representing that the content is a content delivery medium created by the third party for the object, (C) recording;
(D) capturing the object or a similar object with a camera attached to the smart device by a second user and inputting a content of a third party that the second user has created or wants to share;
A notification step (e) of notifying the smart device of the first user of the input of the content from the second user on a display screen or a sound;
(F) of extracting the content from the database to the smart device of the first user and delivering it via the network
And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for network service.
정정청구에 의한 청구항 삭제
Deletion of claim by corrective claim
16항에 있어서,
단계(b)에서 상기 콘텐츠 전달 매개체를 특정 사용자와 논리적으로 결합하여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단계(e)에서 제2사용자가 상기 특정 사용자일 경우에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6. The method of claim 16,
Designating in step (b) said content delivery vehicle logically combining with a particular user;
And only when the second user is the specific user in step (e). ≪ Desc / Clms Page number 20 &gt ;
KR1020140185140A 2014-12-21 2014-12-21 System and method for Things-based Social Network Service KR1016475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5140A KR101647565B1 (en) 2014-12-21 2014-12-21 System and method for Things-based Social Network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5140A KR101647565B1 (en) 2014-12-21 2014-12-21 System and method for Things-based Social Network Ser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285A KR20160075285A (en) 2016-06-29
KR101647565B1 true KR101647565B1 (en) 2016-08-10

Family

ID=56365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5140A KR101647565B1 (en) 2014-12-21 2014-12-21 System and method for Things-based Social Network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56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133B1 (en) * 2007-10-16 2008-09-3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System for providing offline object information by using mobile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1331162B1 (en) 2013-06-11 2013-11-20 오드컨셉 주식회사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based upon visual information of subject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7701A (en) * 2008-03-12 2009-09-16 (주)휴먼아이티 Method for providing goods information
KR101011985B1 (en) * 2008-03-31 2011-01-31 팅크웨어(주) Method and system of offering various service with map using virtual point of interes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133B1 (en) * 2007-10-16 2008-09-3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System for providing offline object information by using mobile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1331162B1 (en) 2013-06-11 2013-11-20 오드컨셉 주식회사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based upon visual information of subje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285A (en) 201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83862B2 (en) Routing messages by message parameter
US9451092B2 (en) Mobile device messaging application
EP3713159B1 (en) Gallery of messages with a shared interest
JP6401865B2 (en) Photo sharing method, apparatu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10021246B2 (en) Identifying information pertinent to an emergent event through social media postings
US20160182875A1 (en) Gallery of Videos Set to an Audio Time Line
US10945094B2 (en) Social media systems and methods and mobile devices therefor
US20100251137A1 (en) Mobile Device Messaging Application
CN108282395B (en) Message interaction method and related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puter storage medium
JP2015513162A (en) Method and terminal for associating information
JP6143973B2 (en) Reply method, apparatus, termina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or incoming call
CN104021398A (en) Wearable intelligent device and method for assisting identity recognition
CN107423386B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electronic card
EP3172713A1 (en) A chat system
CN104268151A (en) Contact person grouping method and device
CN105426904A (en) Photo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device
KR101647565B1 (en) System and method for Things-based Social Network Service
CN107239490B (en) Method and device for naming face imag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07169042B (en)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pictures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20120080379A (en) Method and apparatus of annotating in a digital camera
US10432894B2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US1013588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CN110807116A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data processing device
KR100711193B1 (en) Display method of photo image in wireless photo chatting
Gowdham et al. A Review on the Google Glass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