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483B1 - Roll blind - Google Patents

Roll bli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483B1
KR101647483B1 KR1020140058942A KR20140058942A KR101647483B1 KR 101647483 B1 KR101647483 B1 KR 101647483B1 KR 1020140058942 A KR1020140058942 A KR 1020140058942A KR 20140058942 A KR20140058942 A KR 20140058942A KR 101647483 B1 KR101647483 B1 KR 101647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roll
winding
rod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89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31750A (en
Inventor
장성용
Original Assignee
(주)한국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윈텍 filed Critical (주)한국윈텍
Priority to KR1020140058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483B1/en
Publication of KR20150131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17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4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2009/405Two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롤 블라인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블라인드는, 서로 중첩되어 형성되는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3 스크린을 포함하는 롤 스크린과, 롤 스크린의 상단부가 고정되는 지지부와, 롤 스크린의 하단부가 고정되는 권취봉과, 권취봉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서로 연결된 한 쌍의 바디부, 및 일단부가 권취봉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한 쌍의 바디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권취부와, 일단부가 권취부에 연결되어 권취부를 끌어올리는 견인 스크린과,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견인 스크린의 타단부가 결합되어 견인 스크린을 감아 올리거나 풀어 내리는 견인롤, 및 견인롤을 회전 구동하는 견인수단을 포함하고, 탄성부재는 권취봉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롤 스크린을 감되, 견인 스크린이 권취부를 끌어 올리면 권취봉이 롤 스크린을 감아 올리고, 견인 스크린이 권취부를 풀어 내리면 권취봉이 롤 스크린을 풀어 내릴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oll blind is provided.
A roll bli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ll screen including a first screen and a second screen formed to overlap with each other, a plurality of third screens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screen and the second screen, A pair of body parts rotat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winding ro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pair of body parts connected at one end to the winding rod and at the other end to a pair of bodies A pulling screen connected to the winding section to pull up the winding section, a second end coupled to the support section an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pulling screen to wind up the pulling screen, And a pulling means for rotating the pulling roll, wherein the elastic member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winding rod to wind the roll screen , Winding up the winding rod roll screen raise the tow-screen, drag the winding parts, you can get off loose parts of the tow-screen winding down the winding rod loose roll screen.

Description

롤 블라인드{Roll blind}Roll blind

본 발명은 롤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롤 스크린을 권취하는 권취봉의 장력 조절이 간편하며, 투과되는 빛의 양을 쉽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의 롤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ll blind,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ll blind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tension of a winding rod for winding a roll screen is easily adjusted and the amount of transmitted light can be easily adjusted.

일반적으로, 롤 블라인드는 투명한 유리창 또는 유리벽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실내가 보이지 않도록 시야를 차단하거나, 외부로부터의 투광량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Generally, a roll blind is installed on a transparent window or a glass wall, and is used to cut off the field of view so that the room can not be seen from the outside, or to control the amount of light projected from the outside.

대부분의 롤 블라인드는 롤 스크린의 일 측을 상단부에 위치한 지지봉에 고정시키고, 롤 스크린의 타 측은 권취봉에 고정하여 권취봉에 롤 스크린을 감거나 풀어 유리창 또는 유리벽에 차단막을 형성한다. 이 때, 지지봉과 권취봉 사이에 연결된 견인체인이 권취봉을 상승 또는 하강시킴과 동시에 회전시켜 롤 스크린을 감아 올리거나 풀어 내린다.Most roll blinds fix one side of the roll screen to a support rod located at the upper end, and the other side of the roll screen is fixed to the wind-up stick to wind or unwind the roll screen on the wind-up bar to form a barrier film on the windshield or glass wall. At this time, the pulling chain connected between the support rod and the winding rope raises or lowers the winding rods and simultaneously rotates the roll rods up or down.

그러나, 견인체인을 사용하여 권취봉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다 보니, 견인체인이 끊어지거나 파손될 경우 제품의 수명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노출된 견인체인에 아이들이 걸려 다치는 등 안전 상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권취봉의 회전에 따른 롤 스크린의 감김 정도, 즉, 권취봉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조립-테스트-분해 등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였으며, 롤 스크린을 이중으로 사용할 경우 중첩된 롤 스크린 간의 무아레(moire) 현상이 발생하여 시야가 혼란스럽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traction chain is used to ascend or descend using a traction chain, if the traction chain is broken or broken, not only the life of the product is shortened but also safety problems such as hung up children in the exposed traction chain occur. Also, it is troublesome to repeatedly perform processes such as assembly-test-disassembly in order to adjust the degree of winding of the roll screen due to the rotation of the winding rod, that is, the tension of the winding ro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oire phenomenon occurs between the rolled screen and the confluence of the view.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64707호 2008. 07. 09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64707 2008. 07. 09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롤 스크린을 권취하는 권취봉의 장력 조절이 간편하며, 투과되는 빛의 양을 쉽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의 롤 블라인드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ll blind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tension of a winding rod for winding a roll screen is easily adjusted and the amount of transmitted light can be easily controlled.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matter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su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 블라인드는, 서로 중첩되어 형성되는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 상기 제1 스크린과 상기 제2 스크린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3 스크린을 포함하는 롤 스크린과, 상기 롤 스크린의 상단부가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롤 스크린의 하단부가 고정되는 권취봉과, 상기 권취봉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서로 연결된 한 쌍의 바디부, 및 일단부가 상기 권취봉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한 쌍의 바디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권취부와, 일단부가 상기 권취부에 연결되어 상기 권취부를 끌어올리는 견인 스크린과,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견인 스크린의 타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견인 스크린을 감아 올리거나 풀어 내리는 견인롤, 및 상기 견인롤을 회전 구동하는 견인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권취봉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롤 스크린을 감되, 상기 견인 스크린이 상기 권취부를 끌어 올리면 상기 권취봉이 상기 롤 스크린을 감아 올리고, 상기 견인 스크린이 상기 권취부를 풀어 내리면 상기 권취봉이 상기 롤 스크린을 풀어 내린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oll blind comprising: a first screen and a second screen formed to overlap with each other; a plurality of third screens connecting the first screen and the second screen; And a pair of body parts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rotatab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wind-up rod, and a pair of wind- A pulling screen connected to the winding rods and having an elastic member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air of body portions at the other end thereof, a pull screen connected at one end to the winding portion to pull up the winding portion, A traction roll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traction screen to wind up or unwind the traction screen,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provided with an elastic force to wind the roll screen so that when the pull screen pulls up the winding portion, the winding rod winds up the roll screen, When the screen unwinds the wind-up portion, the wind-up rod unwinds the roll screen.

상기 제1 스크린과 상기 제2 스크린은 빛을 투과하며, 상기 제3 스크린은 빛을 차단할 수 있다.The first screen and the second screen transmit light, and the third screen can block light.

상기 견인 스크린은 상기 제1 스크린 및 상기 제2 스크린과 중첩되며 빛을 투과시킬 수 있다.The traction screen overlaps the first screen and the second screen and is capable of transmitting light.

상기 제1 스크린, 상기 제2 스크린 및 견인 스크린은 각각 적어도 일부가 빛을 투과하는 망체로 형성되되, 상기 견인 스크린은 상기 제1 스크린과 상기 제2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와 서로 다른 격자 무늬를 갖을 수 있다.Wherein the first screen, the second screen, and the traction screen are each formed as a net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at least partially, the traction screen having different grid patterns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screen and the second screen have.

상기 한 쌍의 바디부를 연결하는 견인바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견인 스크린은 일 측이 상기 견인바에 고정될 수 있다.And a pull bar connecting the pair of body parts, wherein the pull screen can be fixed to the pull bar on one side.

상기 견인 스크린은 일 측이 상기 견인바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아래로 늘어져 상기 권취봉과 중첩될 수 있다.The traction screen may be overlapped with the wind-up bar with one side fixed to the drawbar and the lower end hanging down.

상기 한 쌍의 바디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소켓부와, 상기 소켓부의 내주부 또는 외주부에 결합되며,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걸림부가 형성된 링형의 탄성부재로서, 상기 걸림부에 제1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면 상기 소켓부를 압착하여 결합되며 상기 걸림부에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면 상기 소켓부와 결합이 해제되는 브레이크 스프링과, 상기 권취봉에 결합되며 상기 걸림부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상기 권취봉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1 구동돌기가 형성된 구동프레임과, 상기 구동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걸림부에 상기 제2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상기 브레이크 스프링의 제동을 해제하는 제2 구동돌기가 형성된 구동봉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ring-shaped elastic member coupled to one of the pair of body portions and coupled to an inner or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socket portion, the ring- A brake spring which is engaged with the socket portion to apply the pressure to the socket portion and releases the engagement with the socket portion when a pressure is applied to the socket portion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 driving frame rotatably coupled to the driving frame and applying a pressure to the engaging portion in the second direction to apply a braking force to the brake spring, And a second driving protrusion for releasing the second driving protrusion.

상기 소켓부는 상기 바디부의 외측과 상기 구동봉을 연통하는 관통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봉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구동봉을 회전시키는 조정구가 삽입되는 조정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ocket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driving rod, and the driving rod may include an adjusting hole through which the adjusting hole for rotating the driving rod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상기 소켓부는, 상기 권취봉에 결합되는 소켓 하우징과, 상기 소켓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소켓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소켓블록은 상기 바디부에 고정되어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The socket portion includes a socket housing coupled to the winding rod and a socket block rotatably coupled to the socket housing, wherein the socket block is fixed to the body portion so that rotation of the socket block can be restricted.

상기 제1 구동돌기와 상기 제2 구동돌기는 각각 돌출된 원호 형상이며, 서로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driving projection and the second driving projection may have an arcuate shape protruding from each other, and may be disposed on the same plane.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스크린과 상기 제2 스크린의 상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개폐롤과, 상기 개폐롤을 회전 구동하는 개폐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스크린과 상기 제2 스크린은 각각 상기 개폐롤의 서로 다른 위치에 평행하게 결합될 수 있다.An opening / closing roll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and having an upper end coupled to the first screen and an upper end of the second screen, and opening / closing means for rotating the opening / closing roll, wherein the first screen and the second screen May be coupled in parallel at different positions of the opening and closing roll, respectively.

본 발명에 따르면, 줄 형태의 견인체인 대신 면 형태의 견인 스크린을 이용하여 권취봉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므로, 안전 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견인 스크린이 롤 스크린의 전방에 배치되어 롤 스크린의 무아레 현상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권취봉의 내부에 수용된 스프링의 장력 조절이 간편하여 권취봉의 회전에 따른 롤 스크린의 권취 또는 권출 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not only to solve the safety problem, but also to arrange the traction screen in front of the roll screen and to prevent the moire of the roll screen The phenomenon can be blocked. Further, the tension of the spring contained in the winding rod can be easily adjusted, and the degree of winding or unwinding of the roll screen due to the rotation of the winding rod can be easily grasp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블라인드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롤 블라인드의 권취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롤 스크린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권취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소켓부와 탄성부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5의 소켓부와 탄성부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개략적인 작동도이다.
도 9는 롤 블라인드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10은 롤 블라인드의 투광량 조절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 블라인드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롤 블라인드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지지부의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14는 롤 블라인드의 투광량 조절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a roll bli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incis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inding portion of the roll blind of Fig. 1 cut away. Fig.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roll scree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inding portion disassemble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ocket portion and the elastic portion of FIG. 4 are coupled.
Figs. 6 to 8 are schematic operation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ocket portion and the elastic portion of Fig. 5;
Fig. 9 is an opera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roll blind.
10 is an opera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djusting the light projected amount of the roll blind.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a roll bli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oll blind of FIG. 11 in an exploded state.
1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the support portion.
Fig. 14 is an ope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light amount adjustment operation of the roll blind.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블라인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roll bli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FI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블라인드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a roll bli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블라인드(1)는 외부에서 실내가 보이지 않도록 시야를 차단하고 외부로부터의 투광량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이다. 롤 블라인드(1)는 볼체인(72)을 이용하여 롤 스크린(10)을 상하로 이동시키고, 개폐체인(도 2의 22 참조)을 이용하여 롤 스크린(10)의 투광량을 조절한다.The roll blind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used to block the field of view so that the room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and to control the amount of light projected from the outside. The roll blind 1 moves the roll screen 10 up and down using a ball chain 72 and adjusts the amount of light projected onto the roll screen 10 using an open / close chain (see 22 in FIG. 2).

롤 블라인드(1)는 견인 스크린(73)을 이용하여 권취봉(도 2의 31 참조)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므로, 제품의 수명이 연장될 뿐만 아니라 안전 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견인 스크린(73)이 롤 스크린(10)의 전방에 배치되므로, 롤 스크린(10)의 무아레 현상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아레(moire) 현상이라 함은, 주기적인 무늬가 겹쳐져서 원래의 격자무늬보다 크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롤 스크린(10)의 제1 스크린(11)과 제2 스크린(12)은 망 형태로 형성되어 무아레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롤 스크린(10)의 전방에 배치된 견인 스크린(73)이 이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권취봉(31)의 내부에 수용된 탄성부재(도 2의 58 참조)의 장력 조절이 간편하여 권취봉(31)의 회전에 따른 롤 스크린(10)의 권취 또는 권출 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간편한 조작으로 롤 스크린(10)의 투광량을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The roll blind 1 uses the traction screen 73 to raise or lower the winding rods (see 31 in Fig. 2), thereby prolonging the life of the product and solving safety problems. Further, since the traction screen 73 is disposed in front of the roll screen 10, the moire phenomenon of the roll screen 10 can be blocked. Here, the moire phenomenon is a phenomenon in which periodic patterns are overlapped and appear larger than the original grid pattern. The first screen 11 and the second screen 12 of the roll screen 10 are formed in the form of a net so that a moire phenomenon can be generated in which the tow screen 73 disposed in front of the roll screen 10 blocks . It is also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tension of the elastic member (refer to 58 in Fig. 2) accommodated in the winding rod 31 so that the degree of winding or unwinding of the roll screen 10 due to the rotation of the winding rod 31 can be easily grasped And the amount of light projected onto the roll screen 10 can be adjusted by a simple operation.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롤 블라인드(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roll blind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7. Fig.

도 2는 도 1의 롤 블라인드의 권취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롤 스크린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권취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소켓부와 탄성부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도 5의 소켓부와 탄성부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개략적인 작동도이다.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ound portion of the roll blind shown in Fig. 1, Fig.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roll screen,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ound por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the socket portion and the elastic portion of FIG. 4 are coupled with each other, and FIGS. 6 to 8 are schematic operation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socket portion and the elastic portion of FIG.

본 발명에 따른 롤 블라인드(1)는 3개의 스크린으로 구성된 롤 스크린(10)과, 롤 스크린(10)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지지부(20)와, 롤 스크린(10)의 타단부를 고정하는 권취부(30)와, 일단이 권취부(30)에 연결되는 견인 스크린(73)과, 견인 스크린(73)의 타단이 결합되는 견인롤(71), 및 견인롤(71)을 회전 구동하는 견인수단을 포함한다.The roll blind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oll screen 10 composed of three screens, a support 20 for fixing one end of the roll screen 10, a roll 20 for holding the other end of the roll screen 10, A pulling screen 71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pulling screen 73 is coupled and a pulling screen 71 to which the pulling roll 71 is rotatably driven Means.

롤 스크린(10)은 서로 중첩되어 형성되는 제1 스크린(11)과 제2 스크린(12), 및 제1 스크린(11)과 제2 스크린(12)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3 스크린(13)을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스크린(11)과 제2 스크린(12)은 서로 중첩되어 배치되되 빛을 투과하며, 제3 스크린(13)은 제1 스크린(11)과 제2 스크린(12) 사이에 삽입되되 빛을 차단한다. 다시 말해, 제1 스크린(11)과 제2 스크린(12)은 각각 적어도 일부가 빛을 투과하는 망체로 형성되고, 제3 스크린(13)은 빛의 투과를 차단하는 막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롤 스크린(10)은 제1 스크린(11)과 제2 스크린(12), 및 제3 스크린(13)의 중첩된 형상에 따라 빛을 투과 또는 차단할 수 있다.The roll screen 10 includes a first screen 11 and a second screen 12 formed to overlap with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third screens 13 connecting the first screen 11 and the second screen 12 ). 3, the first screen 11 and the second screen 12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transmit light, and the third screen 13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creen 11 and the second screen 12 12 to block light. In other words, each of the first screen 11 and the second screen 12 is formed as a mesh through which light is at least partially transmitted, and the third screen 13 is formed in a film shape that blocks transmission of light. Thus, the roll screen 10 can transmit or block light according to the overlapping shape of the first screen 11, the second screen 12, and the third screen 13.

예를 들어, 제1 스크린(11)과 제2 스크린(12) 사이에 제3 스크린(13)이 수직하게 배치된 경우, 제1 스크린(11)과 제2 스크린(12) 중 어느 하나를 투과한 빛은 제3 스크린(13)에 의해 차단되어 나머지 하나를 투과할 수 없다. 이 때, 복수의 제3 스크린(13)은 제1 스크린(11)과 제2 스크린(12) 사이에 수직하게 배치되되 일부가 서로 중첩되어 빛을 차단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스크린(11)과 제2 스크린(12) 사이에 제3 스크린(13)이 수평하게 배치된 경우, 제1 스크린(11)과 제2 스크린(12) 중 어느 하나를 투과한 빛은 나머지 하나를 투과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third screen 13 is vertically disposed between the first screen 11 and the second screen 12, any one of the first screen 11 and the second screen 12 can be transmitted One light is blocked by the third screen 13 and can not transmit the other one.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third screens 13 are vertically disposed between the first screen 11 and the second screen 12, and a part of them overlap with each other to block light. Conversely, when the third screen 13 is disposed horizontally between the first screen 11 and the second screen 12, the light transmitted through either one of the first screen 11 and the second screen 12 Can transmit the other one.

롤 스크린(10)의 일단부는 지지부(20)에 의해 고정된다. 지지부(20)는 롤 블라인드(1)의 지지 구조를 이루되 롤 스크린(10)의 상단부를 고정하는 부분으로, 천장 등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20)는 횡단면이 'ㄱ'자 형상을 이루되 양단이 밀폐된 프레임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부(20)는 롤 블라인드(1)의 지지 구조체 역할 뿐만 아니라 내부에 수용된 개폐롤(도 9의 21 참조) 및 개폐수단을 보호하고 먼지와 같은 이물질 등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One end of the roll screen (10) is fixed by a support (20). The supporting part 20 serves as a support structure for the roll blind 1 and fixes the upper end of the roll screen 10, and can be fixed to a ceiling or the like. The supporting portion 20 is formed in a frame structure having a transverse section of 'A' shape and closed at both ends. Therefore, the support portion 20 protects not only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roll blind 1 but also the opening and closing rolls (see 21 in Fig. 9) accommodated therein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and can prevent the penetration of foreign matter such as dust.

개폐롤(21)은 롤 스크린(10)의 너비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막대 또는 봉 형상의 부재로, 지지부(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개폐롤(21)은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스크린(11)과 제2 스크린(12)의 상단부가 각각 결합되는데, 이 때, 제1 스크린(11)이 결합되는 지점과 제2 스크린(12)이 결합되는 지점은 서로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여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스크린(11)과 제2 스크린(12)은 각각 개폐롤(21)의 서로 다른 위치에 평행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개폐롤(21)은 별도의 개폐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전 구동한다. 도면 상에는 개폐수단을 개폐체인(22)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개폐롤(21)을 회전 구동시킬 수 있는 구조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폐수단은 기어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개폐롤(21)은 외주면에 기어치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개폐수단은 개폐롤(21)의 기어치와 치합하며 개폐롤(21)을 회전 구동시킬 수도 있다.The open / close roll 2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20 by a bar or rod shaped member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roll screen 10. [ The opening and closing rolls 21 are respectively coupled with the upper ends of the first screen 11 and the second screen 1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t a point where the first screen 11 is coupled with the second screen 12, The points to which they are coupled can be positioned coplanar with each other and extended in parallel. In other words, the first screen 11 and the second screen 12 can be coupled in parallel at different positions of the opening and closing rolls 21, respectively. The opening and closing roll 21 is rotationally driven by a separate opening / closing means (not shown). Although the opening / closing means is shown as an opening / closing chain 22 in the drawing, the opening / closing means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in a structure capable of rotationally driving the opening / For example,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may be formed in a gear structure. At this time, the opening and closing rolls 21 may have gear teeth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n other words, the opening / closing means engages with the gear teeth of the opening / closing roll 21 and rotatably drives the opening / closing roll 21.

개폐체인(22)은 제1 스크린(11)의 결합 지점과 제2 스크린(12)의 결합 지점에 각각 결합되며, 지지부(2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개폐체인(22)을 당겨 개폐롤(21)을 회전시키면, 제1 스크린(11)이 제2 스크린(12)으로부터 이동하게 되며, 제3 스크린(13)은 제1 스크린(11)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제1 스크린(11)을 따라 이동한 제3 스크린(13)은 제1 스크린(11)과 제2 스크린(12) 사이에 수평하게 배치되거나 수직하게 배치되어 빛을 투과 또는 차단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chain 22 is coupled to the coupling point of the first screen 11 and the coupling point of the second screen 12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20. Therefore,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chain 22 is pulled to rotate the opening and closing roll 21, the first screen 11 is moved from the second screen 12 and the third screen 13 is moved from the first screen 11 . The third screen 13 moved along the first screen 11 may be dispos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between the first screen 11 and the second screen 12 to transmit or block light.

예를 들어, 제2 스크린(12)의 결합 지점에 결합된 개폐체인(22)을 하방으로 당길 경우, 개폐롤(21)이 회전하여 제1 스크린(11)의 결합지점이 제2 스크린(12)의 결합지점에 비해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1 스크린(11)이 제2 스크린(12)으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하며, 제3 스크린(13)은 제1 스크린(11)을 따라 이동하여 제1 스크린(11)과 제2 스크린(12) 사이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제3 스크린(13)이 수직하게 배치될 경우, 빛이 차단된다. 제3 스크린(13)에 의해 빛이 차단된 상태에서 제1 스크린(11)의 결합 지점에 결합된 개폐체인(22)을 하방으로 당길 경우, 개폐롤(21)이 회전하여 제1 스크린(11)의 결합지점이 제2 스크린(12)의 결합지점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1 스크린(11)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며, 제3 스크린(13)은 제1 스크린(11)과 제2 스크린(12) 사이에 수평하게 배치된다. 제3 스크린(13)이 수평하게 배치될 경우, 빛이 투과된다.For example, when the open / close chain 22 coupled to the engagement point of the second screen 12 is pulled downward, the opening / closing roll 21 rotates so that the engagement point of the first screen 11 is moved to the second screen 12 As shown in Fig. As a result, the first screen 11 moves upward from the second screen 12, and the third screen 13 moves along the first screen 11 to move the first screen 11 and the second screen 11 12, respectively. When the third screen 13 is arranged vertically, the light is blocked. When the open / close chain 22 coupled to the engagement point of the first screen 11 is pulled downward while the light is blocked by the third screen 13, the open / close roll 21 rotates and the first screen 11 Is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coupling point of the second screen 12. [ As a result, the first screen 11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third screen 13 is horizontally disposed between the first screen 11 and the second screen 12. When the third screen 13 is disposed horizontally, light is transmitted.

롤 스크린(10)의 타단부는 권취부(30)에 의해 고정된다. 권취부(30)는 지지부(20)의 하방에 위치하며, 지지부(20)로부터 이격되거나 근접하여 롤 스크린(10)을 권취 또는 권출한다. 권취부(30)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The other end of the roll screen (10) is fixed by a winding section (30). The winding portion 30 is located below the support portion 20 and winds or unwinds the roll screen 10 away from or close to the support portion 20. The winding unit 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한편, 개폐롤(21)의 일 측에는 견인부(도 9의 70 참조)가 배치된다. 견인부(70)는 권취부(30)를 끌어올리는 견인 스크린(73)을 권취 또는 권출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부(20)의 내측으로 수용된다. 다시 말해, 견인부(70)는 견인 스크린(73)을 권취 또는 권출하여 권취부(3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며, 권취부(30)는 상승 또는 하강하며 롤 스크린(10)을 권취 또는 권출한다.On the other hand, a pulling portion (see 70 in Fig. 9)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opening / closing roll 21. The pulling portion 70 is for retracting or winding up the pulling screen 73 for pulling up the winding portion 30 and is housed inside the supporting portion 20. [ In other words, the pulling portion 70 winds up or pulls up the pulling screen 73 to raise or lower the winding portion 30, and the winding portion 30 is lifted or lowered and the roll screen 10 is wound or unwound .

견인 스크린(73)은 일단부가 권취부(30)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타단부는 견인부(70)에 권취 또는 권출된다. 다시 말해, 견인 스크린(73)이 권취부(30)를 끌어 올리면 권취봉(31)이 롤 스크린(10)을 감아 올리고, 견인 스크린(73)이 권취부(30)를 풀어 내리면 권취봉(31)이 롤 스크린(10)을 풀어 내리는 구조이다. 견인 스크린(73)은 롤 스크린(10)과 동일한 너비를 갖되 제1 스크린(11)의 전방에 위치하며, 제1 스크린(11) 및 제2 스크린(12)과 중첩되며 빛을 투과시킨다. 다시 말해, 견인 스크린(73)은 적어도 일부가 빛을 투과하는 망체로 형성되되, 제1 스크린(11)과 제2 스크린(12) 중 적어도 하나와 서로 다른 격자 무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견인 스크린(73)은 제1 스크린(11) 및 제2 스크린(12)보다 큰 격자 무늬를 갖는 망체로 형성될 수 있다.One end of the traction screen 73 is connected to and fixed to the take-up unit 30, and the other end is wound or unwound from the traction unit 70. In other words, when the pulling screen 73 pulls up the winding section 30, the winding rod 31 rolls up the roll screen 10, and when the drawing screen 73 unwinds the winding section 30, Is unrolled from the roll screen 10. The traction screen 73 has the same width as the roll screen 10 but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first screen 11 and overlaps the first screen 11 and the second screen 12 to transmit light. In other words, the traction screen 73 may be formed to have at least a part of light-transmitting mesh, and may have a different grid pattern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screen 11 and the second screen 12. For example, the traction screen 73 may be formed of a mesh having a larger lattice pattern than the first screen 11 and the second screen 12.

전술한 대로, 제1 스크린(11)과 제2 스크린(12)은 적어도 일부가 빛을 투과하는 망체로 형성된다. 특히, 제1 스크린(11)과 제2 스크린(12)은 직조방식이 동일하여 동일한 크기 및 무늬를 갖는 망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무늬가 서로 겹쳐져 무아레 현상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 그러나, 제1 스크린(11)의 전방에 제1 스크린(11) 및 제2 스크린(12)과 다른 격자 무늬를 갖는 견인 스크린(73)이 배치됨으로써, 이러한 무아레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creen 11 and the second screen 12 are formed as a mesh through which light is at least partially transmitted. Particularly, the first screen 11 and the second screen 12 can be formed of a mesh having the same size and pattern and having the same weaving method, and therefore,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moire phenomenon occurs due to overlapping of the patterns. However, by arranging the trailing screen 73 having a different lattice pattern from the first screen 11 and the second screen 12 in front of the first screen 11, this moire phenomenon can be prevented.

그러나, 견인 스크린(73)이 제1 스크린(11)과 제2 스크린(12) 중 적어도 하나와 다른 격자 무늬를 갖는 망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견인 스크린(73)은 전면에 풍경, 로고 등의 디자인이 새겨진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However, the drawing screen 73 is not limited to being formed of a net having a grid pattern different from that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screen 11 and the second screen 12,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For example, the traction screen 73 may be formed of a translucent material having a design such as a landscape, a logo, etc. on the front surface thereof.

견인부(70)는 견인롤(도 9의 71 참조)과 견인수단(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견인롤(71)은 견인 스크린(73)의 너비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막대 또는 봉 형상의 부재로, 개폐롤(21)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견인롤(71)은 지지부(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견인 스크린(73)의 타단부가 결합되어 견인 스크린(73)을 감아 올리거나 풀어 내릴 수 있다. 견인롤(71)은 별도의 견인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전 구동한다. 도면 상에는 견인수단을 볼체인(72)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견인롤(71)을 회전 구동시킬 수 있는 구조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견인수단은 기어 구조로 형성되거나 전동 모터로 형성되어 견인롤(71)을 회전 구동시킬 수도 있다.The pulling portion 70 includes a pulling roll (see 71 in FIG. 9) and a pulling means (not shown). The pulling roll 71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as that of the opening and closing roll 21, with a bar or rod shaped member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pulling screen 73. The pulling roll 7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20 and the other end of the pulling screen 73 is engaged to pull up or down the pulling screen 73. The pulling roll 71 is rotationally driven by a separate pulling means (not shown). Although the drawing means is shown in the form of a ball chain 72 in the drawing,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rawing roll 71 can be variously modified to rotate the drawing roll 71. For example, the pulling means may be formed in a gear structure or may be formed of an electric motor to rotationally drive the pulling roll 71.

견인롤(71)은 개폐롤(21)보다 전방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견인롤(71)이 개폐롤(21)보다 전방 상측에 위치함으로써, 견인 스크린(73)이 롤 스크린(10)의 견인 역할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견인롤(71)은 단부에 연결된 루프(loop) 형태의 볼체인(72)에 의해 회전하여 견인 스크린(73)을 감아 올리거나 풀어 내린다.The pulling roll 71 may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opening / closing roll 21. Since the pulling roll 71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opening / closing roll 21, the pulling screen 73 can smoothly perform the pulling action of the roll screen 10. [ The pulling roll 71 is rotated by a ball chain 72 in the form of a loop connected to the end to wind up or unwind the pulling screen 73.

권취부(30)는 권취봉(31)과 한 쌍의 바디부(32) 및 탄성부재(58)를 포함한다.The winding section (30) includes a winding rod (31), a pair of body sections (32), and an elastic member (58).

권취봉(31)은 개폐롤(21)과 같이 롤 스크린(10)의 너비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막대 또는 봉 형상의 부재로,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만입 형성된 만입홈(31a)에 롤 스크린(10)의 하단부가 고정된다. 따라서, 권취봉(31)이 회전함에 따라 롤 스크린(10)이 권취 또는 권출된다. 만입홈(31a)은 권취봉(31)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며, 양 측이 개방되어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권취봉(31)은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홈(31b)이 형성되며, 양단이 한 쌍의 바디부(32)에 의해 지지된다.The winding rod 31 is a bar or rod member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roll screen 10 like the opening and closing roll 21 and is provided with a recessed groove 31a formed inward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 is fixed. Therefore, as the winding rod 31 rotates, the roll screen 10 is wound or unwound. At least one indentation groove 31a is formed in the winding rod 31, and both sides thereof may be open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Further, the winding rod 31 has a hollow groove 31b penetrating therethroug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both ends thereof are supported by a pair of body portions 32. As shown in Fig.

바디부(32)는 권취봉(31)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서로 연결되어 권취봉(31)을 지지하는 것으로, 소켓부(33)와 바디(42) 및 플러그(45)를 포함한다.The body portion 32 includes a socket portion 33, a body 42 and a plug 45 which are rotat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winding rod 31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support the winding rod 31 .

소켓부(33)는 일 측이 권취봉(31)의 단부에 삽입되어 권취봉(31)과 일체로 회전하는 것으로, 한 쌍의 바디부(32)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다. 소켓부(33)는 소켓하우징(34)과 커넥터(35)와 고정링(36), 및 소켓블록(37)을 포함한다.The socket portion 33 is coupled to one of the pair of body portions 32 by being inserted into the end portion of the winding rod 31 and rotating integrally with the winding rod 31 at one side. The socket section 33 includes a socket housing 34, a connector 35, a stationary ring 36, and a socket block 37.

소켓하우징(34)은 통 형상의 부재로, 외주면이 만입홈(31a)의 형상에 대응하여 함몰되어 있어 권취봉(31)에 결합될 수 있다. 소켓하우징(34)은 권취봉(31)에 결합되어 권취봉(31)과 일체로 회전하며,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통로(34a)가 형성된다. 제1 통로(34a)에는 커넥터(35)가 수용된다. 커넥터(35)는 소켓하우징(34)에 삽입 고정되어 소켓하우징(34)과 일체로 형성된다. 커넥터(35)는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 통로(35a)가 형성되며, 제2 통로(35a)에는 고정링(36)과 소켓블록(37)이 수용된다. 소켓블록(37)은 소켓하우징(3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 측에 통 형상의 돌출부(39)가 형성되고 타 측은 돌출부(39)로부터 확장되는 확장부(40)가 형성된다. 돌출부(39)는 외주면에 돌기가 형성되며, 확장부(40)는 돌출부(39)와 대향되는 측이 내측으로 만입되어 공간(37b)을 형성한다. 소켓블록(37)의 돌출부(39)는 커넥터(35)의 제2 통로(35a)에 삽입되고, 확장부(40)는 커넥터(35), 즉, 소켓하우징(34)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소켓블록(37)은 내측에 돌출부(39)와 확장부(40)를 관통하는 제3 통로(37a)가 형성되며, 공간(37b)에는 브레이크 스프링(41)이 개재된다.The socket housing 34 is a tubular member, and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recess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dentation groove 31a, and can be coupled to the winding rod 31. The socket housing 34 is coupled to the winding rod 31 and rotates integrally with the winding rod 31, and a first passage 34a penetr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inside. The connector 35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passage 34a. The connector 35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socket housing 34 and formed integrally with the socket housing 34. The connector 35 is formed with a second passage 35a penetr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the second passage 35a is received with the stationary ring 36 and the socket block 37. [ The socket block 37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ocket housing 34 and has a cylindrical protrusion 39 formed on one side and an extended portion 40 extending from the protrusion 39 on the other side. The protrusion 39 has a protrusio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ide of the protrusion 39 opposed to the protrusion 39 is recessed inward to form the space 37b. The projecting portion 39 of the socket block 37 is inserted into the second passage 35a of the connector 35 and the extended portion 40 is projected to the outside of the connector 35 or the socket housing 34. [ The socket block 37 has a third passage 37a passing through the protruding portion 39 and the extending portion 40 on the inner side and a brake spring 41 interposed on the space 37b.

브레이크 스프링(41)은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걸림부(41a)가 형성된 링 형상의 탄성부재로, 소켓부(33)의 내주부 또는 외주부에 결합된다. 다시 말해, 브레이크 스프링(41)은 소켓블록(37)의 공간(37b) 내측으로 수용되게 결합되거나 소켓블록(37)의 확장부(40) 외측으로 노출되게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브레이크 스프링(41)이 소켓부(33)의 내주부에 결합되는 구조를 보다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면 상에는 브레이크 스프링(41)의 양단부가 내측으로 굴절되어 링 형상을 이루는 구조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브레이크 스프링(41)은 양단부가 외측으로 굴절되어 링 형상을 이루거나, 링 형상 대신 판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브레이크 스프링(41)이 소켓부(33)의 내주부에 결합되는 경우, 걸림부(41a)는 내측으로 굴절되고, 브레이크 스프링(41)이 소켓부(33)의 외주부에 결합되는 경우, 걸림부(41a)는 외측으로 굴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rake spring 41 is a ring-shaped elastic member having at least one engaging portion 41a formed on at least one of both ends thereof, and is engaged with the inner or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socket portion 33. [ In other words, the brake spring 41 can be received in the space 37b of the socket block 37 or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extension portion 40 of the socket block 37. Hereinafter, the structure in which the brake spring 41 is coupled to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of the socket portion 33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Although the brake spring 41 is shown in a structure in which both end portions of the brake spring 41 are bent inward to form a ring shap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Or may be formed in a plate spring shape instead of a ring shape. That is, when the brake spring 41 is engaged with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of the socket portion 33, the engaging portion 41a is refracted inward, and when the brake spring 41 is engaged with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socket portion 33, The engaging portion 41a is preferably bent outward.

브레이크 스프링(41)은 걸림부(41a)에 제1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면 소켓부(33)를 압착하여 결합되며, 걸림부(41a)에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면 소켓부(33)와 결합이 해제된다. 여기서, 제1 방향이라 함은, 브레이크 스프링(41)이 소켓부(33)의 내주부에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브레이크 스프링(41)이 풀려 직경이 증가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도 5의 (b)에 도시된 A1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제2 방향이라 함은, 브레이크 스프링(41)이 소켓부(33)의 내주부에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브레이크 스프링(41)이 조여져 직경이 감소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도 5의 (b)에 도시된 A2 방향일 수 있다. 그러나,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브레이크 스프링(41)이 소켓부(33)에 결합된 상태에 따라 반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레이크 스프링(41)이 소켓부(33)의 외주부에 결합되는 경우, 제1 방향이라 함은, 브레이크 스프링(41)이 조여져 직경이 감소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제2 방향이라 함은, 브레이크 스프링(41)이 풀려 직경이 증가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브레이크 스프링(41)의 결합 및 해제 방식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The brake spring 41 presses the socket portion 33 by applying pressure in the first direction to the latch portion 41a and applies pressure to the latch portion 41a in the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engagement with the portion 33 is released. Here, the first direction refers to a direction in which the brake spring 41 is loosened to increase the diameter based on a state where the brake spring 41 is coupled to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of the socket portion 33. For example, May be the direction A1 shown in Fig. 5 (b). The second direction refers to a direction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brake spring 41 is reduced by tightening the brake spring 41 based on a state where the brake spring 41 is engaged with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of the socket portion 33. For example, May be the A2 direction shown in Fig. 5 (b). However,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can be reversed according to the state in which the brake spring 41 is coupled to the socket portion 33. [ For example, when the brake spring 41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socket portion 33, the first direction means a direction in which the brake spring 41 is tightened to reduce the diameter, and the second direction May mean a direction in which the brake spring 41 is released and the diameter increases. The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of the brake spring 41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소켓블록(37)의 돌출부(39)는 고정링(36)에 의해 커넥터(3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고정링(36)은 내측이 굴곡지게 형성되어 돌출부(39)에 형성된 돌기와 맞물리며 소켓블록(37)을 커넥터(35)에 결합시킨다.The projecting portion 39 of the socket block 37 is rotatably engaged with the connector 35 by the retaining ring 36. The stationary ring 36 is formed so as to be bent inward and engages with a protrusion formed on the protrusion 39 to engage the socket block 37 with the connector 35.

바디(42)는 소켓부(3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되 후술할 견인바(60)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 형상의 부재로 형성된다. 바디(42)는 상측에 견인구(42a)가 형성되고 하측에 권취구(42b)가 형성되며, 권취구(42b)의 외측으로 제1 체결구(42c)와 제2 체결구(42d)가 형성된다. 제1 체결구(42c)는 권취구(42b)의 양측에 배치되며, 제2 체결구(42d)는 권취구(42b)의 상측에 배치되되 견인구(42a)의 하측에 배치된다. 견인구(42a)의 상측에는 제1 바디돌기(43)가 형성되며, 권취구(42b)와 제1 체결구(43c) 및 제2 체결구(42d) 사이에는 제2 바디돌기(44)가 형성된다. 제1 바디돌기(43)와 제2 바디돌기(44)는 소켓부(33)와 접하는 바디(42)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제1 바디돌기(43)는 견인바(60)의 내측으로 수용되고 제2 바디돌기(44)는 플러그(45)의 내측으로 수용된다.The body 42 is formed of a plate-shaped member having a constant thickness by which the socket portion 33 is rotatably supported and the pull bar 60 to be described later is fixed. The body 42 has a draw opening 42a on the upper side and a winding opening 42b on the lower side and a first fastening opening 42c and a second fastening opening 42d are formed outside the winding opening 42b . The first fastening hole 42c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winding hole 42b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42d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winding hole 42b and below the drawing hole 42a. A first body protrusion 43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draw opening 42a and a second body protrusion 44 is formed between the winding opening 42b and the first and second fasteners 43c and 42d . The first body protrusion 43 and the second body protrusion 44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42 in contact with the socket portion 33. The first body protrusion 43 protrudes from the inner side of the drawbar 60 And the second body projection 44 is received inside the plug 45. As shown in Fig.

소켓하우징(34)과 바디(42) 사이에는 플러그(45)가 개재된다. 플러그(45)는 일 측이 소켓부(33)의 내측으로 수용되고 타 측이 바디(42)에 고정 결합되어 소켓부(33)를 바디부(32)로부터 회전시킬 수 있다. 플러그(45)는 일 측에 통 형상의 수용부(46)가 형성되고, 타 측은 수용부(46)로부터 확장되는 고정부(47)가 형성된다. 수용부(46)는 외주면이 커넥터(35)의 제2 통로(35a)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내주면이 소켓블록(37)의 돌출부(39)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소켓부(33)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즉, 소켓블록(37)은 플러그(45)에 의해 바디부(32)에 고정되어 회전이 제한된다. 고정부(47)는 외주면이 소켓하우징(34)의 내측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므로, 플러그(45)는 소켓하우징(34)의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다. 이 때, 고정부(47)는 일 측이 소켓하우징(34)의 외측으로 일부 돌출되며, 내측이 만입 형성되어 제2 바디돌기(44)가 수용될 수 있다. 고정부(47)는 권취구(42b)과 제1 체결구(42c) 및 제2 체결구(42d)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권취돌기(48)와 체결홀(45b) 및 체결돌기(49)가 형성된다. 권취돌기(48)와 체결돌기(49)는 각각 권취구(42b)와 제2 체결구(42d)를 향해 돌출되어 권취구(42b)와 제2 체결구(42d)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권취돌기(48)는 내측이 관통되어 권취홀(45a)이 형성되며, 권취홀(45a)은 제3 통로(37a)와 연통될 수 있다. 체결홀(45b)은 제1 체결구(42c)와 연통되며 내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수나사로 체결시킬 수 있다.A plug 45 is interposed between the socket housing 34 and the body 42. The plug 45 can be received in one side of the socket portion 33 and the other side is fixedly coupled to the body 42 to rotate the socket portion 33 from the body portion 32. The plug 45 has a tubular receiving portion 46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a fixed portion 47 extending from the receiving portion 46 at the other side. The housing portion 46 is formed so that its outer peripheral surface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second passage 35a of the connector 35 and its inn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rojecting portion 39 of the socket block 37, As shown in Fig. That is, the socket block 37 is fixed to the body portion 32 by the plug 45, and rotation is restricted. Sinc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47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inner shape of the socket housing 34, the plug 45 can be received inside the socket housing 34. At this time, the fixing part 47 is partially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socket housing 34 on one side, and the second body protrusion 44 can be received on the inside. The fixing portion 47 is provided with a winding projection 48, a fastening hole 45b and a fastening protrusion 49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winding opening 42b, the first fastening hole 42c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42d, . The winding projection 48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49 can protrude toward the winding hole 42b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42d and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winding hole 42b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42d. The winding protrusion 48 penetrates inside to form a winding hole 45a, and the winding hole 45a can communicate with the third passage 37a. The fastening hole 45b communicates with the first fastening hole 42c and is threaded inward, and can be fastened with a male screw.

한편, 권취봉(31)의 내측에는 탄성부(50)가 수용된다. 탄성부(50)는 권취봉(31)의 중공홈(31b)에 수용되며, 일단부가 한 쌍의 바디부(32) 중 어느 하나에 결속된다. 탄성부(50)는 고정체(51)와 구동체(52) 및 탄성부재(58)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elastic portion 50 is housed inside the winding rod 31. The elastic portion 50 is accommodated in the hollow groove 31b of the winding rod 31 and one end is bound to one of the pair of body portions 32. [ The elastic portion 50 includes a fixing body 51, a driving body 52, and an elastic member 58.

고정체(51)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 형상의 부재로, 외주면이 권취봉(31)에 형성된 중공홈(31b)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중공홈(31b)에 고정 삽입된다. 고정체(51)는 권취봉(31)의 중공홈(31b)에 삽입되어 권취봉(31)과 일체로 회전한다. 고정체(51)는 일 측에 고정봉(59)이 결합된다. 고정봉(59)은 막대 또는 봉 형상의 부재로, 일단부가 고정체(51)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구동체(52)에 결합된다.The fixture 51 is a plate-shaped member having a constant thickness and is formed in a manner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hollow groove 31b formed in the winding rod 31 and fixedly inserted in the hollow groove 31b. The fixing member 51 is inserted into the hollow groove 31b of the winding rod 31 and rotates integrally with the winding rod 31. [ The fixing member 51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xing member 51. The fixing rod 59 is a bar or rod-like member, and one end thereof is coupled to the fixing body 51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upled to the driving body 52.

구동체(52)는 바디부(32)에 결속되어 회전 고정되는 것으로, 구동프레임(53)과 구동봉(55)을 포함한다.The driving body 52 includes a driving frame 53 and a driving rod 55 which are coupled to the body 32 and are rotationally fixed.

구동프레임(53)은 일 측에 고정봉(59)이 결합되고 타 측은 소켓블록(37)의 확장부(40)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구동프레임(53)은 고정체(51)에 의해 권취봉(31)에 결합되며, 소켓블록(37)을 향하는 측에 제1 구동돌기(54)가 형성된다. 제1 구동돌기(54)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이 브레이크 스프링(41)의 내측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므로, 브레이크 스프링(41)의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다. 즉, 제1 구동돌기(54)는 브레이크 스프링(41)의 내측에서 걸림부(41a)에 제1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권취봉(31)의 회전을 제한한다. 그러나, 제1 구동돌기(54)가 브레이크 스프링(41)의 내측에서 걸림부(41a)에 제1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브레이크 스프링(41)이 소켓부(33)의 외주부에 결합되는 경우, 제1 구동돌기(54)는 브레이크 스프링(41)의 외측에서 걸림부(41a)에 제1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권취봉(31)의 회전을 제한할 수도 있다. 구동프레임(53)에는 구동봉(55)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driving frame 53 has the fixing rod 59 attach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protruding toward the extension portion 40 of the socket block 37. The driving frame 53 is coupled to the winding rod 31 by the fixing member 51 and the first driving projection 54 is formed on the side facing the socket block 37. The first drive projection 54 can be received inside the brake spring 41 becaus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inner shape of the brake spring 41 as shown in Fig. That is, the first driving projection 54 applies pressure in the first direction to the engaging portion 41a on the inner side of the brake spring 41 to restrict the rotation of the winding rod 31. [ However, the first driving projection 54 is not limited to the pressure applied to the engaging portion 41a in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the brake spring 41. [ For example, when the brake spring 41 is engaged with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socket portion 33, the first drive projection 54 exerts a pressure in the first direction on the outer side of the brake spring 41 to the engagement portion 41a The rotation of the winding rod 31 may be restricted. A driving rod (55) is rotatably coupled to the driving frame (53).

구동봉(55)은 막대 또는 봉 형상의 부재로, 소켓부(33)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소켓블록(37)의 제3 통로(37a)를 통과한다. 즉, 구동봉(55)은 제3 통로(37a)를 통과하여 커넥터(35) 및 소켓하우징(34)의 내측에 위치하며, 단부가 플러그(45)의 권취돌기(48)에 형성된 권취홀(45a)에 수용된다. 구동봉(55)의 단부가 권취홀(45a)에 수용됨으로써, 권취구(42b)를 통해 구동봉(55)을 조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소켓부(33)의 제1 통로(34a)와 제2 통로(35a)와 제3 통로(37a) 및 공간(37b)은 서로 연통되어 관통홀(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하며, 관통홀은 권취홀(45a) 및 권취구(42b)를 통해 바디부(32)의 외측과 구동봉(55)을 연통한다. 구동봉(55)은 중앙에 조정구(100)가 삽입되는 조정홀(38)이 형성되어 있어, 권취홀(45a)과 관통홀을 통과한 조정구(10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구동봉(55)과 조정구(100)의 조작에 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The driving rod 55 is a rod or rod member protruding toward the socket portion 33 and passing through the third passage 37a of the socket block 37. [ That is, the driving rod 55 passes through the third passage 37a and is located inside the connector 35 and the socket housing 34. The end of the driving rod 55 is wound on the winding hole 48 formed in the winding projection 48 of the plug 45 45a. The end of the driving rod 55 is accommodated in the winding hole 45a so that the driving rod 55 can be operated through the winding hole 42b. In other words, the first passage 34a, the second passage 35a, the third passage 37a, and the space 37b of the socket portion 33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form a through hole (not shown) The hole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32 through the winding hole 45a and the winding opening 42b and the driving rod 55. The driving rod 55 is formed with an adjusting hole 38 into which the adjusting hole 100 is inserted at the center and can be rotated by the adjusting hole 100 passing through the winding hole 45a and the through hole.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rod 55 and the adjusting port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구동봉(55)의 외주면에는 제2 구동돌기(56)가 형성된다. 제2 구동돌기(56)는 구동봉(55)에 고정되어 구동봉(55)과 일체로 움직이며,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스프링(41)의 걸림부(41a) 사이에 개재된다. 제2 구동돌기(56)는 걸림부(41a)에 제2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브레이크 스프링(41)의 제동을 해제한다. 제1 구동돌기(54)와 제2 구동돌기(56)는 각각 소켓부(33)를 향해 돌출된 원호 형상이며, 서로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A second driving projection (56)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iving rod (55). The second driving projection 56 is fixed to the driving rod 55 and integrally moves with the driving rod 55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41a of the brake spring 41, . The second drive projection 56 applies a pressure to the latching portion 41a in the second direction to release the braking of the brake spring 41. [ The first driving projection 54 and the second driving projection 56 are respectively in the shape of an arc protruding toward the socket portion 33 and are arranged on the same plane.

탄성부재(58)는 고정체(51)와 구동체(52) 사이에 개재된다. 탄성부재(58)는 일단부가 고정체(51)에 연결되어 고정체(51)와 일체로 회전하고, 타단부는 구동체(52)에 연결되어 구동체(52)와 회전 고정된다. 다시 말해, 탄성부재(58)는 일단부가 고정체(51)를 통해 권취봉(3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구동체(52)를 통해 한 쌍의 바디부(32)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다. 고정체(51)와 구동체(52)는 고정봉(59)과 결합되는 측에 각각 고정돌기(57)가 돌출 형성되므로, 탄성부재(58)의 양단을 연결할 수 있다. 탄성부재(58)는 권취봉(31)이 롤 스크린(10)을 감을 수 있도록 권취봉(31)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도면 상에는 탄성부재(58)가 스프링 형태로 형성된 구조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권취봉(31)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부재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58)는 고무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elastic member (58) is interposed between the fixing body (51) and the driving body (52).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58 is connected to the fixing body 51 and rotates integrally with the fixing body 51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driving body 52 to be rotatably fixed to the driving body 52. In other words,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58 is connected to the winding rod 31 via the fixing body 51,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air of body portions 32 through the driving body 52 do. Since the fixing member 51 and the driving body 52 are formed with the fixing protrusions 57 protruding from the side where the fixing member 59 is engaged with the fixing member 59, both ends of the elastic member 58 can be connected. The elastic member 58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winding rods 31 so that the winding rods 31 can wind the roll screen 10. Although the elastic member 58 is shown in the form of a spring in the figure,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members capable of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winding rod 31. For example, the elastic member 58 may be formed in a rubber band shape.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구동봉(55)과 조정구(100)의 조작 방법 및 소켓부(33)와 브레이크 스프링(41)의 결합 및 해제 방식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6 to 8, a method of operating the driving rod 55 and the adjusting port 100, and a coupling and disengagement method of the socket portion 33 and the brake spring 4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6은 구동봉에 조정구를 결합하여 권취봉, 즉, 탄성부재의 장력을 조절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탄성부재의 장력을 조절할 때 브레이크 스프링이 해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브레이크 스프링이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ension rod of a winding rod, that is, an elastic member, is adjusted by coupling an adjusting rod to a driving rod,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rake spring is released when the tension of the elastic member is adjusted .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rake spring is engaged.

먼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소켓부(33)와 탄성부(50)를 체결한 후, 구동봉(55)의 중앙에 형성된 조정홀(38)에 막대 또는 봉 형상의 조정구(100)를 삽입한다. 조정구(100)는 바디(42)의 권취구(42b)를 통해 조정홀(38)에 삽입되며, 구동봉(55)에 고정된다. 고정체(51)가 삽입된 권취봉(31)의 일단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조정구(10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구동봉(55)이 회전하여 탄성부재(58)에 탄성 에너지가 저장된다. 다시 말해, 구동체(52)와 연결된 탄성부재(58)의 일단은 회전하고 고정체(51)와 연결된 탄성부재(58)의 타단은 고정되므로, 탄성부재(58)가 비틀어지며 탄성 에너지를 저장하게 된다. 이 때, 소켓하우징(34)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며, 소켓블록(37)은 구동봉(55)과 함께 회전한다.6, after the socket portion 33 and the elastic portion 50 are fastened, a bar or rod-shaped adjusting hole 100 is formed in the adjusting hole 38 formed at the center of the driving rod 55, . The adjusting port 100 is inserted into the adjusting hole 38 through the winding hole 42b of the body 42 and is fixed to the driving rod 55. [ When the adjusting rod 10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in a state where one end of the winding rod 31 inserted with the fixing body 51 is fixed, the driving rod 55 rotates and elastic energy is stored in the elastic member 58 . In other words,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58 connected to the driving body 52 rotates and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58 connected to the fixing body 51 is fixed, so that the elastic member 58 is twisted, . At this time, the socket housing 34 is held in a fixed state, and the socket block 37 rotates together with the driving rod 55.

구동봉(55)이 회전함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봉(55)의 외주면에 결합된 제2 구동돌기(56)가 일체로 회전한다. 제2 구동돌기(56)는 브레이크 스프링(41)의 걸림부(41a) 사이에 개재되므로, 회전하며 브레이크 스프링(41)의 걸림부(41a)에 제2 방향으로 압력을 가한다. 브레이크 스프링(41)의 걸림부(41a)에 제2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짐으로써, 브레이크 스프링(41)은 내측으로 조여져 직경이 감소하게 되며 소켓블록(37)과의 결합이 해제된다. 브레이크 스프링(41)과 소켓블록(37)의 결합이 해제됨으로써, 걸림부(41a)가 제2 구동돌기(56)의 회전 방향으로 밀릴 수 있으며, 걸림부(41a)가 밀린 만큼 브레이크 스프링(41)이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탄성부재(58)는 비틀어지며 탄성 에너지를 저장한다.As the driving rod 55 rotates, the second driving projection 56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iving rod 55 integrally rotates as shown in Fig. The second driving projection 56 is interposed between the engaging portions 41a of the brake springs 41 and thus rotates and applies pressure to the engaging portions 41a of the brake springs 41 in the second direction. The brake spring 41 is tightened inward to reduce the diameter of the brake spring 41 and the engagement with the socket block 37 is released by applying pressure to the latching portion 41a of the brake spring 41 in the second direction. The engagement of the brake spring 41 and the socket block 37 is released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41a can be pushed in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second driving projection 56. When the engaging portion 41a is pushed, ). As this process is repeated, the elastic member 58 is twisted and stores elastic energy.

이러한 구조를 통해, 롤 스크린(10)을 권취봉(31)에 장착하고 바디(42)와 권취봉(31)을 조립한 상태에서도 탄성부재(58)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권취구(42b)를 통해 조정구(100)를 이용하여 구동봉(55)을 조작할 수 있어 권취봉(31)을 바디(42)로부터 분리하지 않더라도 간편하게 탄성부재(58)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권취봉(31)의 회전에 따른 롤 스크린(10)의 권취 또는 권출 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With this structure, the tension of the elastic member 58 can be adjusted even when the roll screen 10 is attached to the winding rod 31 and the body 42 and the winding rod 31 are assembled. In other words, the driving rod 55 can be operated by using the adjusting opening 100 through the winding opening 42b so that the tension of the elastic member 58 can be easily adjusted without separating the winding rod 31 from the body 42 Can be adjusted. As a result, the degree of winding or unwinding of the roll screen 10 due to the rotation of the winding rod 31 can be easily grasped.

한편, 고정된 권취봉(31)의 일단을 놓을 경우, 저장된 탄성 에너지가 소멸되면서 탄성부재(58)를 역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러한 복원력에 의해 권취봉(31)은 회전하며 롤 스크린(10)을 권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one end of the fixed winding rod 31 is placed, the stored elastic energy disappears and the elastic member 58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By this restoring force, the winding rod 31 can rotate and wind the roll screen 10.

반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돌기(54)가 회전하며 브레이크 스프링(41)의 걸림부(41a)에 제1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면, 브레이크 스프링(41)은 외측으로 풀려 직경이 증가하게 된다. 브레이크 스프링(41)은 직경이 증가하여 소켓블록(37)의 내측면에 압착되며, 이에 따라 브레이크 스프링(41)과 소켓블록(37)은 결합된다. 따라서, 브레이크 스프링(41)은 회전이 제한되며, 권취봉(31)의 회전도 제한된다.8, when the first driving projection 54 rotates and applies a pressure to the latching portion 41a of the brake spring 41 in the first direction, the brake spring 41 is released to the outside, . The brake spring 41 increases in diameter and is pressed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socket block 37 so that the brake spring 41 and the socket block 37 are engaged. Therefore, the rotation of the brake spring 41 is restricted, and the rotation of the winding rod 31 is also restricted.

한편, 한 쌍의 바디부(32)는 견인바(60)에 의해 연결된다. 견인바(60)는 권취봉(31)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양단이 각각 바디(42)에 결합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만입 형성된 견인홈(60a)에 견인 스크린(73)의 일 측이 고정된다. 견인홈(60a)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바(60)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어 견인 스크린(73)의 일단을 수용하며, 개방된 양측에 각각 제1 바디돌기(43)가 삽입된다. 견인홈(60a)의 하방에는 견인홀(60b)이 형성된다. 견인홀(60b)은 견인바(60)의 내측 하부에 형성되되, 바디(42)의 견인구(42a)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견인홀(60b)은 견인구(42a)와 연통되며 내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수나사로 체결시킬 수 있다. 견인홈(60a)의 양측에는 제1 바디돌기(43)가 삽입되고, 연통된 견인구(42a)와 견인홀(60b)에 수나사가 체결됨으로써, 견인바(60)는 바디(42)에 고정된다.On the other hand, the pair of body portions 32 are connected by the pull bars 60. The pull bars 60 ar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take-up rods 31 so that both ends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body 42 and one side of the pull screen 73 is fixed to the pulling grooves 60a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 4, the pulling groove 60a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pulling bar 60 to receive one end of the pulling screen 73 and the first body projection 43 is inserted do. A traction hole 60b is formed below the traction groove 60a. The traction hole 60b is formed in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pull bar 60 and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ull hole 42a of the body 42. [ The pulling hole 60b communicates with the pulling port 42a and is threaded inward and can be tightened with a male screw. The first body protrusion 43 is inserted into both sides of the pulling groove 60a and the pull bar 60 is fixed to the body 42 by fastening the male screw to the pulling hole 42a and the pulling hole 60b, do.

견인바(60)의 견인홈(60a)에는 도 1에 도시된 별도의 견인 스크린(73a)의 일 측이 고정될 수도 있다. 견인 스크린(73a)는 상단부가 견인홈(60a)에 수용되어 고정되고, 하단부는 웨이트바(74)에 고정된 상태로 아래로 늘어져 권취봉(31)과 중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견인 스크린(73a)이 권취봉(31)과 중첩된 상태로 배치됨으로써, 권취부(30)의 구조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견인 스크린(73a)은 권취부(30)의 가림막 역할을 하여 롤 블라인드(1)의 전체적인 미관을 향상시키고, 권취부(30)에 롤 스크린(10) 이외의 물체가 함께 말리는 것을 방지한다.One side of the traction screen 73a shown in FIG. 1 may be fixed to the traction groove 60a of the traction bar 60. The trailing screen 73a can be arranged so that its upper end portion is received and fixed in the pulling groove 60a and the lower end portion is overlapped with the take-up rod 31 while being fixed to the weight bar 74 in a downward direction. By arranging the drawing screen 73a in a state of being overlapped with the winding rod 3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ructure of the winding unit 30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at is, the traction screen 73a serves as a curtain of the winding unit 30 to improve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roll blind 1 and prevent the objects other than the roll screen 10 from being wound together with the winding unit 30 .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블라인드(1)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roll blind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Fig.

도 9는 롤 블라인드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고, 도 10은 롤 블라인드의 투광량 조절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Fig. 9 is an ope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roll blind, and Fig. 10 is an ope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djusting the projection amount of the roll blin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블라인드(1)는 견인 스크린(73)을 이용하여 권취봉(31)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므로, 제품의 수명이 연장될 뿐만 아니라 안전 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견인 스크린(73)이 롤 스크린(10)의 전방에 배치되어 롤 스크린(10)의 무아레 현상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권취봉(31)의 내부에 수용된 탄성부재(58)의 장력 조절이 간편하여 권취봉(31)의 회전에 따른 롤 스크린(10)의 권취 또는 권출 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간편한 조작으로 롤 스크린(10)의 투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The roll blind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ises or lowers the winding rod 31 by using the traction screen 73 so that the life of the product is prolonged and the safety problem can be solved, The screen 73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roll screen 10 to block the moire phenomenon of the roll screen 10. [ The tension of the elastic member 58 accommodated in the winding rod 31 can be easily adjusted so that the degree of winding or unwinding of the roll screen 10 due to the rotation of the winding rod 31 can be easily grasped, The amount of light projected onto the roll screen 10 can be adjusted.

먼저, 도 9를 참조하여 롤 블라인드(1)의 개폐동작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개폐동작이라 함은, 롤 스크린(10)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 감아 올리거나 풀어 내리는 것을 의미한다.First,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roll blind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Here,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means that the roll screen 10 is lifted or lowered to be lifted or lowered.

도 9의 (a)는 롤 스크린을 풀어 내리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의 (b)는 롤 스크린을 감아 올리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9 (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ll screen is unrolled, and Fig. 9 (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ll screen is rolled up.

롤 스크린(10)은 상단부가 개폐롤(21)에 고정되고, 하단부는 권취봉(31)에 고정되어 권취된다. 견인 스크린(73)은 상단부가 견인롤(71)에 고정되어 권취되며, 하단부가 견인바(60)에 고정된다.The upper end of the roll screen 10 is fixed to the opening / closing roll 21, and the lower end thereof is fixed to the winding rod 31 and wound. The traction screen 73 is fixed at the upper end to the pulling roll 71 and wound, and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pulling bar 60.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롤(71)의 일 측에 연결된 볼체인(72)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견인롤(71)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견인롤(71)이 회전함으로써, 견인롤(71)에 권취되어 있던 견인 스크린(73)이 풀어 내려지며, 견인 스크린(73)이 고정된 견인바(60)는 점차 하강한다. 견인바(60)가 하강함에 따라 권취봉(31)에 권취되어 있던 롤 스크린(10)은 권출된다. 권취봉(31)은 회전하며 롤 스크린(10)을 풀어 내리고, 권취봉(31)의 회전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고정체(도 6의 51 참조)도 회전한다. 고정체(51)가 구동체(도 5의 52 참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빠르게 회전함으로써, 탄성부재(58)의 일 측이 타 측에 대해 회전하여 탄성 에너지가 저장된다.As shown in Fig. 9 (a), when the ball chain 72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ulling roll 71 is rotated clockwise, the pulling roll 71 also rotates clockwise. The traction roll 71 is rotated so that the traction screen 73 wound on the traction roll 71 is released and the traction bar 60 to which the traction screen 73 is fixed is gradually lowered. As the pull bar 60 is lowered, the roll screen 10 wound around the winding rod 31 is unwound. The winding rod 31 rotates and unwinds the roll screen 10 and rotates the fixed body (refer to 51 in Fig. 6) accommodated therein by the rotation of the winding rod 31. Fig. As the fixture 51 rotates relative to the driver (see 52 in Fig. 5) relatively quickly, 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58 rotates about the other side, and elastic energy is stored.

탄성 에너지가 저장된 탄성부재(58)에는 복원력이 작용하게 되며, 견인바(60)는 복원력이 가해지는 회전 방향으로 롤 스크린(10)을 밀착하여 고정한다. 이 때, 탄성부재(58)의 회전으로 저장된 탄성 에너지에 의해 권취봉(31)은 롤 스크린(10)을 권취함과 동시에 상승한다. 그러나, 권취부(30)의 자중이 더 크도록 형성되어 탄성부재(58)의 복원력으로는 롤 스크린(10)이 권취되지 않는다.A restoring force is applied to the elastic member 58 in which the elastic energy is stored, and the pull bar 60 is closely fixed to the roll screen 10 in the rotating direction in which the restoring force is applied. At this time, due to the elastic energy stored by the rotation of the elastic member 58, the winding rod 31 is lifted at the same time the roll screen 10 is wound. However, the weight of the winding portion 30 is formed so as to be larger, and the roll screen 10 is not woun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58.

반대로,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체인(72)을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견인롤(71)도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견인롤(71)이 회전함으로써, 권출되어 있던 견인 스크린(73)은 견인롤(71)에 다시 권취되고, 견인바(60)는 점차 상승한다. 이 때, 견인바(60)가 상승한 거리만큼 탄성부재(58)에 저장되어 있던 탄성 에너지가 소멸된다. 따라서, 권취봉(31)이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롤 스크린(10)이 권취봉(31)에 감아 올려진다.Conversely, as shown in Fig. 9 (b), when the ball chain 72 is rotated counterclockwise, the traction roll 71 also rotates counterclockwise. As the drawing roll 71 rotates, the drawn screen 73 is rewound to the drawing roll 71, and the drawing bar 60 gradually rises. At this time, the elastic energy stored in the elastic member 58 is lost by the distance at which the pull bar 60 is lifted. Therefore, the winding rod 31 is rotated, and thereby the roll screen 10 is wound up on the winding rod 31.

이어서, 도 10을 참조하여, 롤 블라인드(1)의 투광량 조절 동작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투광량 조절 동작이라 함은, 제1 스크린(11)과 제2 스크린(12) 및 제3 스크린(13)의 중첩 정도를 변화시켜 롤 스크린(10)을 투과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것을 의미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10, the operation of adjusting the light projected amount of the roll blind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ere, the operation of adjusting the amount of light to be emitted means adjusting the amount of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roll screen 10 by varying the degree of overlap between the first screen 11, the second screen 12 and the third screen 13 .

도 10의 (a)는 롤 스크린에 의해 빛이 차단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의 (b)는 롤 스크린에 의해 빛이 투과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10 (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light is blocked by a roll screen, and FIG. 10 (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light is transmitted by a roll screen.

롤 스크린(10)을 권취 또는 권출하여 일정한 위치에 배치한 후,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롤(21)의 일 측에 연결된 개폐체인(22)을 당겨 개폐롤(21)을 회전시킨다. 이 때, 제2 스크린(12)과 연결된 개폐체인(22)을 하방으로 당기며, 개폐롤(21)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개폐롤(21)이 회전함에 따라, 개폐롤(21)에 고정된 제1 스크린(11)과 제2 스크린(12) 사이의 간격이 최소화되고, 제3 스크린(13)은 수직하게 배열된다. 제3 스크린(13)이 수직하게 배열됨으로써, 빛의 투과가 차단된다. 이 때, 제1 스크린(11)과 제2 스크린(12)은 완전히 밀착되어 하나의 스크린처럼 동작할 수 있다.The roll screen 10 is wound or unwound and arrang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then the open / close chain 22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open / close roll 21 is pulled as shown in FIG. 10 (a) ). At this time, the open / close chain 22 connected to the second screen 12 is pulled downward, and the opening / closing roll 21 is rotated clockwise. As the opening and closing roll 21 rotates,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screen 11 and the second screen 12 fix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roll 21 is minimized, and the third screen 13 is arranged vertically. By arranging the third screen 13 vertically, light transmission is blocked. At this time, the first screen 11 and the second screen 12 are completely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can operate as one screen.

반대로,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크린(11)과 연결된 개폐체인(22)을 하방으로 당기면 개폐롤(21)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개폐롤(21)이 회전함에 따라, 제1 스크린(11)과 제2 스크린(12) 사이의 간격이 최대화되고, 제3 스크린(13)이 수평하게 배열된다. 제3 스크린(13)이 수평하게 배열됨으로써, 롤 스크린(10)의 측면 형상이 사다리 형상으로 유지되며, 빛이 투과된다. 이 때, 롤 스크린(10)의 전방에 위치한 견인 스크린(73)은 제1 스크린(11)과 제2 스크린(12) 중 적어도 하나와 다른 격자 무늬를 갖도록 형성되므로, 제1 스크린(11)과 제2 스크린(12)이 중첩되어 발생하는 무아레 현상을 차단한다.Conversely, as shown in Fig. 10 (b), when the open / close chain 22 connected to the first screen 11 is pulled downward, the opening and closing roll 21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s the opening and closing roll 21 rotates,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screen 11 and the second screen 12 is maximized, and the third screen 13 is arranged horizontally. By arranging the third screen 13 horizontally, the side surface shape of the roll screen 10 is maintained in a ladder shape, and light is transmitted. At this time, since the traction screen 73 located in front of the roll screen 10 is formed to have a grid pattern different from that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screen 11 and the second screen 12, The second screen 12 is overlapped to block the moire phenomenon that occurs.

이하,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 블라인드(1)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roll blind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4. Fig.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 블라인드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롤 블라인드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지지부의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oll blind of FIG. 11, and FIG. 1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roll bli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 블라인드(1)는 개폐롤(21)을 회전 구동하는 개폐수단이 기어 구조로 형성되며, 바디부(32)가 바디(42), 플러그(45) 및 육각봉(311)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 블라인드(1)는 개폐롤(21)을 회전 구동하는 개폐수단이 기어 구조로 형성되며, 바디부(32)가 바디(42), 플러그(45) 및 육각봉(311)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를 중점적으로 설명하되,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나머지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사항으로 대신한다.The roll blind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opening and closing roll 21 is formed in a gear structure and the body portion 32 is formed by the body 42, (311). The roll blind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opening and closing roll 21 is formed in a gear structure and the body portion 32 is formed by the body 42, (311), which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ccordingly, the description of the remaining components will be replaced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unless otherwise noted.

지지부(20)는 내부에 개폐롤(21)과 견인롤(71)을 수용하며, 지지프레임(23)과 제1 지지바디(24) 및 제2 지지바디(25)를 포함한다.The supporting portion 20 accommodates the opening and closing roll 21 and the drawing roll 71 and includes a supporting frame 23 and a first supporting body 24 and a second supporting body 25.

지지프레임(23)은 제1 지지바디(24)와 제2 지지바디(25)를 연결하는 것으로, 내부에 수용된 개폐롤(21)과 견인롤(71)의 길이, 즉, 롤 스크린(10)과 견인 스크린(73)의 너비에 따라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지지프레임(23)은 개폐롤(21)과 견인롤(71)의 상면 또는 전후면에 걸쳐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과 전면을 연결하여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23)은 양단에 각각 제1 지지바디(24)와 제2 지지바디(25)가 결합되며, 제1 지지바디(24)와 제2 지지바디(25) 사이에는 개폐롤(21)과 견인롤(71)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supporting frame 23 connects the first supporting body 24 and the second supporting body 25 to each other and the length of the opening roll 21 and the pulling roll 71 accommodated therein, And the length of the traction screen 73 may vary. The support frame 23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r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opening and closing roll 21 and the pull roll 71.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 Shape. The first support body 24 and the second support body 25 ar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upport frame 23 and the opening and closing roll 21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support body 24 and the second support body 25, And a pulling roll 71 are rotatably coupled.

제1 지지바디(24)는 지지프레임(23)의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1 회전축(241)과 제2 회전축(242)을 포함하며, 제1 회전축(241)에는 견인롤(71)이 삽입되고 제2 회전축(242)에는 개폐롤(21)이 삽입된다. 이 때, 제1 회전축(241)은 제2 회전축(242)보다 상측에 위치하며, 제2 회전축(242)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전방이라 함은, 도 12의 -x 방향으로 진행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제1 회전축(241)이 제2 회전축(242)보다 상측에 위치하되 전방에 배치됨으로써, 견인 스크린(73)이 롤 스크린(10)의 견인 역할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The first supporting body 24 includes a first rotating shaft 241 and a second rotating shaft 242 protru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supporting frame 23 and a pulling roll 71 is attached to the first rotating shaft 241 And an opening / closing roll 21 is inserted into the second rotation shaft 242. At this time, the first rotation shaft 241 is positioned above the second rotation shaft 242, and may be disposed forward of the second rotation shaft 242. Here, the forward direction means a direction going in the -x direction in FIG. The first rotary shaft 241 is located above the second rotary shaft 242 but is disposed in front of the second rotary shaft 242 so that the traction screen 73 can smoothly perform the pulling motion of the roll screen 10.

제1 회전축(241)에는 스위치 기어(243)와 스프링(244)과 제1 구동기어(245) 및 제1 하우징(251)이 차례로 삽입되며, 단부가 확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전축(241)의 단부가 확장 형성됨으로써, 제1 회전축(241)에 삽입된 스위치 기어(243), 스프링(244), 제1 구동기어(245), 및 제1 하우징(251)이 제1 회전축(24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회전축(242)에는 제1 클러치 기어(247)와 제2 클러치 기어(248)가 차례로 삽입되며, 제1 회전축(241)과 같이 단부가 확장 형성되어 제1 클러치 기어(247)와 제2 클러치 기어(248)가 제2 회전축(242)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switch gear 243, a spring 244, a first driving gear 245, and a first housing 251 are inserted into the first rotary shaft 241 in order, and an end portion thereof can be extended. The spring 244, the first drive gear 245 and the first housing 251 inserted into the first rotation shaft 241 are formed in the first rotation shaft 241 by the extended end of the first rotation shaft 241, It is possible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first rotary shaft 241. The first clutch gear 247 and the second clutch gear 248 are inserted into the second rotary shaft 242 in order and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clutch gear 247 is extended like the first rotary shaft 24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lutch gear 248 from separating from the second rotation shaft 242. [

제1 구동기어(245)는 견인롤(71)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견인 스크린(73)을 개폐하고, 제1 클러치 기어(247)와 제2 클러치 기어(248)는 개폐롤(21)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롤 스크린(10)의 투광량을 조절한다.The first driving gear 245 opens and closes the traction screen 73 by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to the traction roll 71. The first clutch gear 247 and the second clutch gear 248 apply rotational force To control the amount of light projected onto the roll screen (10).

제1 구동기어(245)는 볼체인(72)에 의해 구동되는 체인기어일 수 있으며, 스위치 기어(243)와 함께 제1 회전축(241)에 삽입된다. 제1 구동기어(245)와 스위치 기어(243)는 일 측이 서로 체결되어 있어 볼체인(72)으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되면 함께 회전한다. 이 때, 제1 구동기어(245)와 스위치 기어(243) 사이에는 스프링(244)이 개재되며, 제1 구동기어(245)의 외측으로는 하우징(246)이 배치된다. 하우징(246)은 외측 형상이 견인롤(71)의 내측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므로, 견인롤(71)의 내측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drive gear 245 may be a chain gear driven by the ball chain 72 and is inserted into the first rotation shaft 241 together with the switch gear 243. The first driving gear 245 and the switch gear 243 are coupled to each other at one side and rotate together when a driving force is transmitted from the ball chain 72. A spring 244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drive gear 245 and the switch gear 243 and a housing 246 is disposed outside the first drive gear 245. Since the outer shape of the housing 246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inner shape of the pull roll 71, it can be inserted and fixed inside the pull roll 71.

제1 구동기어(245)는 볼체인(72)에 의해 회전하여 견인롤(71)을 회전시키며, 견인롤(71)이 회전함에 따라 견인 스크린(73)이 감아 올려지거나 풀어 내려질 수 있다. 그러나, 제1 구동기어(245)가 체인기어로 형성되거나 제1 구동기어(245)와 스위치 기어(243)가 분리 형성되는 구조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제1 구동기어(245)의 종류 및 제1 구동기어(245)와 스위치 기어(243)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동기어(245)는 동력을 전달하는 방식에 따라 각종 기어 또는 풀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구동기어(245)와 스위치 기어(243)는 일체로 형성되어 함께 회전할 수도 있다. The first drive gear 245 is rotated by the ball chain 72 to rotate the traction roll 71 and the traction screen 73 can be rolled up or lowered as the traction roll 71 rotate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driving gear 245 is formed of a chain gear or the first driving gear 245 and the switch gear 243 are separately formed. The structure of the first drive gear 245 and the switch gear 243 can be variously modified. For example, the first drive gear 245 may be formed of various gears or pulleys according to a method of transmitting power, and the first drive gear 245 and the switch gear 243 may be integrally formed, It is possible.

제1 클러치 기어(247)는 웜휠 기어(worm wheel gear, 247a)와 래칫 기어(ratchet gear, 247b)가 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클러치 기어(247)는 외주면을 따라 웜휠 기어(247a)가 형성되고, 회전축 방향(도 12의 y 방향)으로 래칫 기어(247b)가 형성된다. 웜휠 기어(247a)는 개폐봉(26)에 형성된 제2 구동기어(261)와 치합하며 동력을 전달받는다. 제2 구동기어(261)는 개폐봉(26)의 외주면을 따라 웜 기어(worm gear) 형태로 형성되며, 웜휠 기어(247a)와 접하는 개폐봉(26)의 외주면에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개폐봉(26)은 일단부가 제1 지지바디(24)의 외측으로 노출되므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제2 클러치 기어(248)는 제1 클러치 기어(247)와 접하는 면에 래칫 기어(248a)가 형성되므로, 제1 클러치 기어(247)의 래칫 기어(247b)와 치합하여 회전할 수 있다.The first clutch gear 247 may be formed of a combination of a worm wheel gear 247a and a ratchet gear 247b. In other words, the first clutch gear 247 is provided with the worm wheel gear 247a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and the ratchet gear 247b is formed in the rotational axis direction (the y direction in Fig. 12). The worm wheel gear 247a is engaged with the second driving gear 261 formed on the opening / closing rod 26 and receives power. The second driving gear 261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worm gear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rod 26 and partially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rod 26 in contact with the worm wheel gear 247a. The opening / closing rod 26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supporting body 24 at one end thereof, so that it can be operated by the user. The second clutch gear 248 is rotatable by engaging with the ratchet gear 247b of the first clutch gear 247 since the ratchet gear 248a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clutch gear 248 in contact with the first clutch gear 247. [

즉, 사용자가 개폐봉(26)을 회전시키면, 제2 구동기어(261)가 회전하여 제1 클러치 기어(247)와 제2 클러치 기어(248)를 회전시키며, 제2 클러치 기어(248)가 회전함에 따라 개폐롤(21)이 회전하여 롤 스크린(10)의 투광량이 조절된다. 개폐롤(21)을 회전 구동하는 개폐수단이 기어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좀 더 안정적으로 개폐롤(21)을 회전시킬 수 있다.That is, when the user rotates the opening / closing rod 26, the second drive gear 261 rotates to rotate the first clutch gear 247 and the second clutch gear 248, and the second clutch gear 248 rotates The opening / closing roll 21 is rotated and the amount of light projected onto the roll screen 10 is adjusted.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opening / closing roll 21 is formed in a gear structure,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roll 21 can be rotated more stably.

제1 지지바디(24)는 제1 지지커버(27)와 결합하여 내측에 스위치 기어(243), 제1 클러치 기어(247), 및 개폐봉(26)의 일부를 수용한다. 이 때, 제1 구동기어(245), 하우징(246), 제2 클러치 기어(248), 및 제1 회전축(241)과 제2 회전축(242) 및 개폐봉(26)의 일부는 제1 지지커버(27)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제2 클러치 기어(248)는 외측 형상이 개폐롤(21)의 일 측 단부에 수용된 제2 하우징(254)의 내측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므로, 제2 하우징(254)의 내측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body 24 is engaged with the first support cover 27 and accommodates a part of the switch gear 243, the first clutch gear 247, and the opening / closing rod 26 on the inner side. At this time, the first driving gear 245, the housing 246, the second clutch gear 248, and a part of the first rotating shaft 241, the second rotating shaft 242, and the opening /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ver 27. Since the outer shape of the second clutch gear 248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inner shape of the second housing 254 accommodated in one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roll 21, the second clutch gear 248 can be inserted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housing 254 have.

제2 지지바디(25)는 제1 지지바디(24)와 함께 견인롤(71) 및 개폐롤(21)을 지지하며, 견인롤(71)과 개폐롤(21)의 회전축 역할을 하는 제1 샤프트(253)와 제2 샤프트(256)를 포함한다. 견인롤(71)과 제1 샤프트(253) 사이에는 제1 하우징(251)과 제1 코일스프링(252)이 개재되며, 개폐롤(21)과 제2 샤프트(256) 사이에는 제2 하우징(254)과 제2 코일스프링(255)이 개재된다. 제1 하우징(251)은 견인롤(71)과 결합되어 제1 샤프트(253)에 견인롤(71)을 고정시키며, 제2 하우징(254)은 개폐롤(21)과 결합되어 제2 샤프트(256)에 개폐롤(21)을 고정시킨다. 제1 코일스프링(252)은 견인롤(71)과 제1 샤프트(253) 사이에서 완충 작용을 하며, 견인롤(71)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코일스프링(255)은 개폐롤(21)과 제2 샤프트(256) 사이에서 완충 작용을 하며, 개폐롤(21)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The second supporting body 25 supports the pulling roll 71 and the opening and closing roll 21 together with the first supporting body 24 and is provided with a first supporting body 24 and a second supporting body 25 which serve as rotation axes of the pulling roll 71 and the opening / And includes a shaft 253 and a second shaft 256. The first housing 251 and the first coil spring 252 are interposed between the pulling roll 71 and the first shaft 253 and the second housing 251 and the first coil spring 252 are interposed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roll 21 and the second shaft 256. [ 254 and the second coil spring 255 are interposed. The first housing 251 is engaged with the pulling roll 71 to fix the pulling roll 71 to the first shaft 253 and the second housing 254 is coupl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roll 21 to engage the second shaft 256). The first coil spring 252 acts as a buffer between the pulling roll 71 and the first shaft 253 so that the pulling roll 71 can rotate smoothly. The second coil spring 255 acts as a buffer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rolls 21 and the second shaft 256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rolls 21 can rotate smoothly.

한편, 권취부(30)는 권취봉(31)과 한 쌍의 바디부(32) 및 탄성부재(58)를 포함하며, 바디부(32)는 바디(42)와 플러그(45) 및 육각봉(311)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winding portion 30 includes a winding rod 31, a pair of body portions 32, and an elastic member 58. The body portion 32 includes a body 42, a plug 45, (311).

바디(42)는 권취봉(3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되 견인바(60)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측 중앙에 견인구(42a)가 형성되고 하측 중앙에 제1 체결구(42c)가 형성된다. 견인구(42a)의 상측에는 제1 바디돌기(43)가 형성되며, 제1 체결구(42c)의 외측으로 제2 바디돌기(44)가 형성된다. 제1 바디돌기(43)와 제2 바디돌기(44)는 권취봉(31)과 접하는 바디(42)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제1 바디돌기(43)는 견인바(60)의 내측으로 수용되고 제2 바디돌기(44)는 플러그(45)를 관통하여 권취봉(31)의 내측으로 수용된다. 제2 바디돌기(44)는 내측 중앙에 후술할 육각봉(311)이 삽입되는 육각구(42e)가 형성되며, 육각구(42e)와 제1 체결구(42c)는 서로 연통된다.The body 42 rotatably supports the take-up rod 31 and fixes the draw bar 60. A draw pin 42a is formed at the upper center and a first fastener 42c is formed at the lower center . A first body protrusion 43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pull tab 42a and a second body protrusion 44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first fastener 42c. The first body protrusion 43 and the second body protrusion 44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42 in contact with the winding rod 31. The first body protrusion 43 protrudes from the inner side of the pulling bar 60 And the second body projection 44 is received in the inside of the winding rod 31 through the plug 45. The second body protrusion 44 has a hexagonal hole 42e in which a hexagonal bar 311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The hexagonal hole 42e and the first coupling hole 42c communicate with each other.

플러그(45)는 제2 바디돌기(44)에 삽입되어 일 측이 바디(42)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접하고, 타 측이 권취봉(31)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도면 상에는 플러그(45)의 외측 형상이 십(十)자 형태로 형성되어 권취봉(31)에 삽입되는 구조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러그(45)는 권취봉(31)에 삽입되는 측의 외측 형상이 권취봉(31)의 중공홈(31b)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플러그(45)는 권취봉(31)의 내측으로 고정 삽입되어 권취봉(31)과 일체로 회전한다.The plug 45 is inserted into the second body projection 44 so that one side rotatably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42 and the other side is inserted to the inside of the winding rod 31. Although the outer shape of the plug 45 is shown in the figure as being formed in a ten-sided shape and inserted into the wind-up stick 31,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For example, the outer shape of the plug 45 to be inserted into the take-up rod 31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hollow groove 31b of the take-up rod 31. [ The plug 45 is fixedly inserted into the winding rod 31 and rotates integrally with the winding rod 31.

한 쌍의 바디(42)는 육각봉(311)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육각봉(311)은 외측 형상이 육각형인 봉 형태의 부재로, 권취봉(31)의 중공홈(31b)을 관통하여 양단부가 각각 바디(42)에 형성된 육각구(42e)에 삽입 고정된다. 그러나, 육각봉(311)의 외측 형상이 육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삼각형, 오각형 등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 제2 바디돌기(44)에 형성된 육각구(42e)는 육각봉(311)의 외측 형상에 대응하여 변형될 수 있다. 육각봉(311)은 양단부의 내측에 각각 나사홀(311a)이 형성된다. 나사홀(311a)은 제1 체결구(42c)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1 체결구(42c)와 연통되며, 내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수나사로 체결시킬 수 있다. 제1 체결구(42c)와 나사홀(311a)에 수나사가 체결됨으로써, 육각봉(311)은 바디에 고정된다.The pair of bodies 4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hexagonal bar 311. The hexagonal bar 311 is a rod-like member whose outer shape is hexagonal and passes through the hollow groove 31b of the winding rod 31 and is inserted and fixed in a hexagonal hole 42e formed in the body 42 at both ends. However, the outer shape of the hexagonal bar 311 is not limited to a hexagonal shape, and may be formed of a polygon such as a triangle, a pentagon, or the like. At this time, the hexagonal hole 42e formed in the second body projection 44 may be deformed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hexagonal bar 311. [ The hexagonal bar 311 is formed with threaded holes 311a on the inner side of both end portions thereof. The threaded hole 311a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hole 42c, communicates with the first fastening hole 42c, is threaded inward, and can be fastened with a male screw. When the male screw is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hole 42c and the screw hole 311a, the hexagonal bar 311 is fixed to the body.

권취봉(31)의 중공홈(31b)에는 고정체(51)와 구동체(52) 및 탄성부재(58)가 수용된다.The holding groove 31b of the winding rod 31 accommodates the fixing body 51, the driving body 52, and the elastic member 58.

고정체(51)는 내부가 관통된 통 형상의 부재로, 권취봉(31)의 중공홈(31b)에 고정 삽입되어 권취봉(31)과 일체로 회전한다. 다시 말해, 고정체(51)는 권취봉(31)과 육각봉(311) 사이에 개재되어 권취봉(31)과 일체로 회전한다. 이 때, 고정체(51)를 관통하는 관통구(도시되지 않음)는 내측 형상이 육각봉(311)의 외측 둘레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고정체(51)는 육각봉(311)의 외측에서 권취봉(31)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고정체(51)의 외측 형상이 십(十)자 구조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고정체(51)는 외측 형상이 중공홈(31b)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The fixing member 51 is a tubular member having a through hole therein and is fixedly inserted into the hollow groove 31b of the winding rod 31 and rotates integrally with the winding rod 31. [ In other words, the fixing member 51 is interposed between the winding rod 31 and the hexagonal bar 311 and rotates integrally with the winding rod 31. Since the inner shape of the through hole (not shown) passing through the fixture 51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outer periphery of the hexagonal bar 311 at this time, the fixture 51 is wound around the hexagonal bar 311 And can rotate together with the rod (31). Although the outer shape of the fixing member 51 is shown as having a ten-figure structure on the drawing, the shape of the fixing member 51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outer shape of the fixing member 51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hollow groove 31b It is possible.

구동체(52)는 내부가 관통된 통 형상의 부재로, 권취봉(31)과 육각봉(311) 사이에 개재된다. 이 때, 구동체(52)를 관통하는 관통구(도시되지 않음)는 내측 형상이 육각봉(311)의 외측 둘레보다 약간 큰 육각형으로 형성되어 육각봉(311)의 외측에 고정될 수 있다.The driving body 52 is a tubular member having an inner portion penetrated,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winding rod 31 and the hexagonal bar 311. At this time, a through hole (not shown) passing through the driving body 52 may have a hexagonal shape whose inner shape is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exagonal bar 311 and may be fixed to the outside of the hexagonal bar 311.

탄성부재(58)는 고정체(51)와 구동체(52) 사이에 개재된다. 탄성부재(58)는 일단부가 고정체(51)에 연결되어 고정체(51)와 일체로 회전하고, 타단부는 구동체(52)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다시 말해, 탄성부재(58)는 일단부가 고정체(51)를 통해 권취봉(3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구동체(52)를 통해 육각봉(311)에 연결된다. 고정체(51)와 구동체(52)는 외주면에 각각 회전축 방향(도 12의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방형의 홈이 형성되므로, 탄성부재(58)의 양단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탄성부재(58)는 일단이 구동체(52)에 의해 육각봉(311)에 고정되고 타단이 고정체(51)에 의해 권취봉(31)에 연결되어, 권취봉(31)이 롤 스크린(10)을 감을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구동체(52)를 육각봉(311)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고정체(51)를 회전시키면, 탄성부재(58)가 비틀어지며 탄성 에너지가 저장된다. 이 상태로 고정체(51)를 권취봉(31)의 중공홈(31b)에 삽입하면, 탄성 에너지가 소멸되면서 탄성부재(58)를 역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로 인해, 고정체(51)와 권취봉(31)이 회전하며 롤 스크린(10)을 감을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58) is interposed between the fixing body (51) and the driving body (52).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58 is connected to the fixing body 51 and rotates integrally with the fixing body 51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driving body 52 and fixed. In other words,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58 is connected to the winding rod 31 via the fixing body 51,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hexagonal bar 311 through the driving body 52. Both ends of the elastic member 58 can be inserted and fixed since the fixed body 51 and the driving body 52 are formed with rectangular grooves extending in the rotational axis direction (y direction in Fig. 12)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58 is fixed to the hexagonal bar 311 by the driving body 52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winding rod 31 by the fixing member 51 so that the winding rod 31 is rotated by the roll screen 10 can be wound. That is, when the fixing member 51 is rotated while the driving body 52 is fixed to the hexagonal bar 311, the elastic member 58 is twisted and elastic energy is stored. When the fixing member 51 is inserted into the hollow groove 31b of the winding rod 31 in this state, the elastic energy is lost and the elastic member 58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As a result, the fixing body 51 and the winding rods 31 rotate and the roll screen 10 can be wound.

이하,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 블라인드(1)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roll blind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14는 롤 블라인드의 투광량 조절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Fig. 14 is an ope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light amount adjustment operation of the roll blind. Fig.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를 롤 블라인드(1)는 제2 구동기어(261)가 형성된 개폐봉(26)을 회전시켜 개폐롤(21)을 회전 구동하며, 개폐롤(21)이 회전함에 따라 롤 스크린(10)의 투광량이 조절된다.The roll blind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the opening and closing roll 21 by rot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rod 26 formed with the second driving gear 261 and rotates the opening and closing roll 21 as the opening and closing roll 21 rotates The light amount of the roll screen 10 is adjusted.

도 14의 (a)는 롤 스크린에 의해 빛이 차단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의 (b)는 롤 스크린에 의해 빛이 투과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4 (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light is blocked by a roll screen, and Fig. 14 (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light is transmitted by a roll screen.

롤 스크린(10)의 투광량을 조절하기 전, 볼체인(72)을 회전시켜 롤 스크린(10)을 일정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볼체인(72)의 회전에 의해 제1 구동기어(245)가 회전하며, 제1 구동기어(245)는 견인롤(71)을 회전시켜 견인 스크린(73)을 감아 올리거나 풀어 내린다. 견인 스크린(73)에 의해 롤 스크린(10)은 권취봉(31)에 감아 올려지거나 풀어 내려진다. 롤 스크린(10)의 전방에 위치한 견인 스크린(73)은 롤 스크린(10)의 무아레 현상을 차단한다.The roll screen 10 can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y rotating the ball chain 72 before adjusting the amount of light projected onto the roll screen 10. [ The first drive gear 245 rotates by the rotation of the ball chain 72 and the first drive gear 245 rotates the draw roll 71 to wind up or unroll the draw screen 73. The roll screen 10 is rolled up or pulled down by the winding rods 31 by the traction screen 73. A traction screen 73 located in front of the roll screen 10 blocks the moire phenomenon of the roll screen 10.

도 14의 (a)를 참조하면, 개폐봉(26)이 제1 회전 방향(도 14의 (a)에서 시계 방향, 화살표 참조)으로 회전하면, 제2 구동기어(261)와 웜휠 기어(247a)가 서로 맞물리며 제1 클러치 기어(도 13의 247 참조)가 회전한다. 제1 클러치 기어(247)에 의해 제2 클러치 기어(도 13의 248 참조)도 회전하며, 이에 따라, 개폐롤(2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개폐롤(2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개폐롤(21)에 고정된 제1 스크린(11)과 제2 스크린(12) 사이의 간격이 최소화된다. 이 때, 복수의 제3 스크린(13)은 제1 스크린(11)과 제2 스크린(12) 사이에 수직하게 배열되어 빛의 투과를 차단한다.14 (a),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rod 26 rotates in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clockwise direction in FIG. 14 (a)), the second drive gear 261 and the worm wheel gear 247a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clutch gear (see 247 in Fig. 13) is rotated. The first clutch gear 247 also rotates the second clutch gear (see 248 in Fig. 13), thereby causing the opening and closing roll 21 to rotate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screen 11 and the second screen 12 fix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roll 21 is minimized by rot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roll 21 in the clockwise direction.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third screens 13 are vertically arranged between the first screen 11 and the second screen 12 to block the transmission of light.

반대로,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봉(26)을 제2 회전 방향(도 14의 (b)에서 반 시계 방향, 화살표 참조)으로 회전하면, 제2 구동기어(261)와 웜휠 기어(247a)가 맞물리며 제1 클러치 기어(247)가 회전한다. 제1 클러치 기어(247)에 의해 제2 클러치 기어(248)도 회전하며, 이에 따라 개폐롤(21)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개폐롤(21)의 회전에 의해 제1 스크린(11)과 제2 스크린(12) 사이의 간격이 최대화된다. 이 때, 복수의 제3 스크린(13)은 제1 스크린(11)과 제2 스크린(12) 사이에 수평하게 배열되어 빛을 투과한다.14 (b),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rod 26 is rotated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counterclockwise in FIG. 14 (b), see arrows), the second drive gear 261 is rotated, And the worm wheel gear 247a engage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clutch gear 247 rotates. The second clutch gear 248 is also rotated by the first clutch gear 247,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roll 21 is rotated counterclockwise.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screen 11 and the second screen 12 is maximized by the rotation of the opening / closing roll 21.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third screens 13 are arranged horizontally between the first screen 11 and the second screen 12 to transmit light.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 롤 블라인드 10: 롤 스크린
11: 제1 스크린 12: 제2 스크린
13: 제3 스크린 20: 지지부
21: 개폐롤 22: 개폐체인
23: 지지프레임 24: 제1 지지바디
25: 제2 지지바디 26: 개폐봉
27: 제1 지지커버 30: 권취부
31: 권취봉 31a: 만입홈
31b: 중공홈 32: 바디부
33: 소켓부 34: 소켓하우징
34a: 제1 통로 35: 커넥터
35a: 제2 통로 36: 고정링
37: 소켓블록 37a: 제3 통로
37b: 공간 38: 조정홀
39: 돌출부 40: 확장부
41: 브레이크 스프링 41a: 걸림부
42: 바디 42a: 견인구
42b: 권취구 42c: 제1 체결구
42d: 제2 체결구 42e: 육각구
43: 제1 바디돌기 44: 제2 바디돌기
45: 플러그 45a: 권취홀
45b: 체결홀 46: 수용부
47: 고정부 48: 권취돌기
49: 체결돌기 50: 탄성부
51: 고정체 52: 구동체
53: 구동프레임 54: 제1 구동돌기
55: 구동봉 56: 제2 구동돌기
57: 고정돌기 58: 탄성부재
59: 고정봉 60: 견인바
60a: 견인홈 60b: 견인홀
70: 견인부 71: 견인롤
72: 볼체인 73, 73a: 견인 스크린
74: 웨이트바 100: 조정구
241: 제1 회전축 242: 제2 회전축
243: 스위치 기어 244: 스프링
245: 제1 구동기어 246: 하우징
247: 제1 클러치 기어 247a: 웜휠 기어
247b: 래칫 기어 248: 제2 클러치 기어
248a: 래칫 기어 251: 제1 하우징
252: 제1 코일스프링 253: 제1 샤프트
254: 제2 하우징 255: 제2 코일스프링
256: 제2 샤프트 261: 제2 구동기어
311: 육각봉 311a: 나사홀
1: Roll blind 10: Roll screen
11: first screen 12: second screen
13: Third screen 20: Support
21: open / close roll 22: open / close chain
23: support frame 24: first support body
25: second support body 26: opening / closing rod
27: first support cover 30:
31: winding rod 31a: indent groove
31b: hollow groove 32:
33: socket portion 34: socket housing
34a: first passage 35: connector
35a: second passage 36: retaining ring
37: socket block 37a: third passage
37b: space 38: adjusting hole
39: protrusion 40:
41: Brake spring 41a:
42: body 42a:
42b: winding hole 42c: first fastening hole
42d: second fastener 42e: hexagonal
43: first body projection 44: second body projection
45: plug 45a: winding hole
45b: fastening hole 46:
47: fixing part 48: winding projection
49: fastening protrusion 50: elastic part
51: Fixture 52:
53: driving frame 54: first driving projection
55: driving shaft 56: second driving projection
57: fixing protrusion 58: elastic member
59: fixing rod 60: pull bar
60a: Traction groove 60b: Traction hole
70: pull portion 71: pull roll
72: ball chain 73, 73a: traction screen
74: Weight bar 100:
241: first rotating shaft 242: second rotating shaft
243: switch gear 244: spring
245: first driving gear 246: housing
247: first clutch gear 247a: worm wheel gear
247b: ratchet gear 248: second clutch gear
248a: ratchet gear 251: first housing
252: first coil spring 253: first shaft
254: second housing 255: second coil spring
256: second shaft 261: second drive gear
311: hexagonal bar 311a: screw hole

Claims (11)

서로 중첩되어 형성되며 빛을 투과하는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 상기 제1 스크린과 상기 제2 스크린 사이를 연결하며 빛을 차단하는 복수의 제3 스크린을 포함하는 롤 스크린;
상기 롤 스크린의 상단부가 고정되는 지지부;
상기 롤 스크린의 하단부가 고정되는 권취봉과, 상기 권취봉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서로 연결된 한 쌍의 바디부, 및 일단부가 상기 권취봉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한 쌍의 바디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권취부;
일단부가 상기 권취부에 연결되어 상기 권취부를 끌어올리며, 상기 제1 스크린 및 상기 제2 스크린과 중첩되며 빛을 투과시키는 견인 스크린;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견인 스크린의 타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견인 스크린을 감아 올리거나 풀어 내리는 견인롤; 및
상기 견인롤을 회전 구동하는 견인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권취봉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롤 스크린을 감되,
상기 견인 스크린이 상기 권취부를 끌어 올리면 상기 권취봉이 상기 롤 스크린을 감아 올리고, 상기 견인 스크린이 상기 권취부를 풀어 내리면 상기 권취봉이 상기 롤 스크린을 풀어 내리는 롤 블라인드.
A roll screen including a first screen and a second screen formed to overlap with each other and transmitting light, and a plurality of third screens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screen and the second screen and blocking light;
A support for fixing an upper end of the roll screen;
A pair of body parts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rotatab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wind-up rod, one end connected to the wind-up rod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air of body parts A winding part including an elastic member connected to the winding part;
A traction scree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winding section to pull up the winding section and to overlap the first screen and the second screen and transmit the light;
A traction roll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an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traction screen to wind up or unwind the traction screen; And
And pulling means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pulling roll,
Wherein the elastic member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winding rod to wind the roll screen,
Wherein the winding screen pulls up the roll screen when the traction screen pulls up the winding section, and the winding rod releases the roll screen when the traction screen releases the winding s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린, 상기 제2 스크린 및 상기 견인 스크린은 각각 적어도 일부가 빛을 투과하는 망체로 형성되되, 상기 견인 스크린은 상기 제1 스크린과 상기 제2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와 서로 다른 격자 무늬를 갖는 롤 블라인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creen, the second screen, and the traction screen are each formed as a net through which light is at least partially transmitted, wherein the traction screen has different grid patterns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screen and the second screen Roll blind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바디부를 연결하는 견인바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견인 스크린은 일 측이 상기 견인바에 고정되는 롤 블라인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ulling bar connecting the pair of body parts, wherein the pulling screen is secured to the pulling bar at one sid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스크린은 일 측이 상기 견인바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아래로 늘어져 상기 권취봉과 중첩되는 롤 블라인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traction screen has one side fixed to the pull bar and the lower end hanging down to overlap the winding rod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바디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소켓부;
상기 소켓부의 내주부 또는 외주부에 결합되며,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걸림부가 형성된 링형의 탄성부재로서, 상기 걸림부에 제1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면 상기 소켓부를 압착하여 결합되며 상기 걸림부에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면 상기 소켓부와 결합이 해제되는 브레이크 스프링;
상기 권취봉에 결합되며 상기 걸림부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상기 권취봉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1 구동돌기가 형성된 구동프레임;
상기 구동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걸림부에 상기 제2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상기 브레이크 스프링의 제동을 해제하는 제2 구동돌기가 형성된 구동봉을 더 포함하는 롤 블라인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ocket portion coupled to one of the pair of body portions;
A ring-shaped elastic member coupled to an inner or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socket portion and having a locking portion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opposite ends thereof, wherein when the locking portion is compressed in a first direction, A brake spring for releasing engagement with the socket portion when a pressure is applie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first spring;
A driving frame coupled to the winding rods and having a first driving protrusion for restricting rotation of the winding rods by applying pressure in the first direction to the locking rods;
And a second driving protrusion rotatably coupled to the driving frame and releasing the braking force of the brake spring by applying a pressure to the engaging portion in the second direction.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는 상기 바디부의 외측과 상기 구동봉을 연통하는 관통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봉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구동봉을 회전시키는 조정구가 삽입되는 조정홀을 더 포함하는 롤 블라인드.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ocket portion further includes a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driving rod, and the driving rod further includes an adjusting hole through which the adjusting rod for rotating the driving rod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는,
상기 권취봉에 결합되는 소켓 하우징과, 상기 소켓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소켓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소켓블록은 상기 바디부에 고정되어 회전이 제한되는 롤 블라인드.
8. The socket according to claim 7,
A socket housing coupled to the take-up bar; and a socket block rotatably coupled to the socket housing,
Wherein the socket block is fixed to the body portion and rotation is restricted.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돌기와 상기 제2 구동돌기는 각각 돌출된 원호 형상이며, 서로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는 롤 블라인드.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driving projection and the second driving projection are each in the form of a protruding arc and are arranged on the same plane with each oth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스크린과 상기 제2 스크린의 상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개폐롤;
상기 개폐롤을 회전 구동하는 개폐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스크린과 상기 제2 스크린은 각각 상기 개폐롤의 서로 다른 위치에 평행하게 결합되는 롤 블라인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opening / closing roll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and having an upper end coupled to the first screen and an upper end of the second screen, respectively;
Closing means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opening / closing roll,
Wherein the first screen and the second screen are coupled in parallel at different positions of the open / close roll, respectively.
KR1020140058942A 2014-05-16 2014-05-16 Roll blind KR1016474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942A KR101647483B1 (en) 2014-05-16 2014-05-16 Roll bli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942A KR101647483B1 (en) 2014-05-16 2014-05-16 Roll blin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1750A KR20150131750A (en) 2015-11-25
KR101647483B1 true KR101647483B1 (en) 2016-08-23

Family

ID=54845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8942A KR101647483B1 (en) 2014-05-16 2014-05-16 Roll bli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48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0983B1 (en) * 2018-12-17 2022-09-06 주식회사 해솔텍스 multiplex structure fabric blind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408B1 (en) 2009-11-28 2010-02-19 곽재석 A double fabric blind
KR101259614B1 (en) 2012-02-16 2013-05-28 (주)한국윈텍 Roll blin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0098A (en) 2007-01-04 2007-02-16 안은로 Roll blind winding roll device using Roman shade winding device
KR20130059855A (en) * 2011-11-29 2013-06-07 주식회사 코인 Dark vertical tilting rolbeulraindeu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408B1 (en) 2009-11-28 2010-02-19 곽재석 A double fabric blind
KR101259614B1 (en) 2012-02-16 2013-05-28 (주)한국윈텍 Roll bli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1750A (en) 2015-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2300B2 (en) Window blind
CA2819085C (en) Single cord operated clutch for roller blind
TWI468579B (en) Retractable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and control system for extending and retracting an architectural coverings
EP1455049B1 (en) Control system for architectural coverings with reversible drive and single operating element
EP1728963B1 (en) Control system for architectural coverings with reversible drive and single operating element
KR100994401B1 (en) Safety roll screen blind apparatus
AU2012203213B2 (en) Roll blind having noiseless bidirectional clutch
US8695680B2 (en) Disabling device for window treatment
US20050109471A1 (en) Window covering lifting system and method
KR102089142B1 (en) Window shade
US11866992B2 (en) Cordless operating safety blind
KR101492020B1 (en) Roll blind
KR101647483B1 (en) Roll blind
KR200460163Y1 (en) Driving Device of Roll Screen
JP5859801B2 (en) Solar shading device
JP5315009B2 (en) blind
KR20190089465A (en) A two-way clutch module for a hoist device and the hoist device using the same
KR101928458B1 (en) Codeless blind
KR20170011136A (en) A safety device of a shade drive apparatus and the shade drive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012859B1 (en) Roll blind safety handle and roll blind comprising the same
TW202308545A (en) Curtain operated by cord capable of installing the cord winding mechanism and the transmission mechanism at any position of the curtain track, and the cord passes through the openings of the curtain track to allow operation
CA2777054C (en) Roll blind having noiseless bidirectional clutch
JP2020020106A (en) Lifting/lowering type screen device with brake mechanism
KR20140042608A (en) Winding cassete for winding type sceen apparatus, winding type sceen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tension adjusting assembly used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