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5946B1 - Drying apparatus for umbrella - Google Patents

Drying apparatus for umbrell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5946B1
KR101645946B1 KR1020150021125A KR20150021125A KR101645946B1 KR 101645946 B1 KR101645946 B1 KR 101645946B1 KR 1020150021125 A KR1020150021125 A KR 1020150021125A KR 20150021125 A KR20150021125 A KR 20150021125A KR 101645946 B1 KR101645946 B1 KR 101645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pulley
insertion groove
delete delet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11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종인
김윤정
최종범
Original Assignee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21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94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9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drying an umbrella, efficiently removing rainwater on an umbrella and easily used.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apparatus for drying an umbrella, comprising: a main body of which an insertion groove unit is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umbrella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unit; and a blowing means supplying wind to the insertion groove unit to remove moisture of the umbrella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unit.

Description

우산 건조장치{Drying apparatus for umbrella}[0001] Drying apparatus for umbrella [

본 발명은 우산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mbrella drying apparatus.

우천시 빗물에 의해 의복 등이 젖지 않도록 우산을 사용하게 된다. 우산 사용후 실내로 들어갈 경우 우산에서 빗물이 바닥에 떨어질 수 있다. 바닥에 떨어진 빗물은 얼룩을 남기게 되고 바닥이 매끈하게 형성된 경우 바닥에 떨어진 빗물에 의해 사람들이 미끄러질 수 있다.In rain, umbrellas are used to keep clothing from getting wet by rainwater. If you enter the room after using the umbrella, rainwater may fall from the umbrella to the floor. Rain drops on the floor leave stains and when the floor is smooth, people can slide by the rain that falls on the floor.

그래서, 사람들은 실내로 들어오기 전에 직접 우산을 떨어서 빗물을 제거하거나, 아니면 우산함에 임시적으로 보관하기도 하기도 한다. 또는 실내에 준비된 비닐 주머니에 우산을 넣기도 한다.So, people drop the umbrella directly before entering the room to remove rainwater, or temporarily store it in an umbrella box. Or put an umbrella in a plastic bag prepared in the room.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우산을 처리하는 방법은 우산에 묻은 물기를 완전히 제거할 수도 없고 우산을 소지한 사람에게도 상당한 불편을 줄 수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generally, the method of treating the umbrella can not completely remove the moisture from the umbrella, and can also cause considerable inconvenience to the person carrying the umbrella.

특히,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백화점이나 극장 등의 대중 시절에서는 우천 시 사람들이 소지한 우산에 의하여 실내 환경이 더럽혀짐은 물론이고 타인에게도 피해를 줄 수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비에 젖은 우산을 소정 시간 내에 손쉽게 건조하는 장치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Especially, during the public days such as department stores and theaters, where many people gather, the umbrellas brought by the people in the rain often pollute the indoor environment, and in many cases, they can damage other people. Therefore, There is a growing need for an apparatus for easy drying.

본 발명은 소정 시간 내에 우산의 물기를 쉽게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 개선 및 소비자의 불편함이 개선되도록 하는 우산 건조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umbrella drying apparatus that can easily dry the moisture of an umbrella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reby improving the interior and the inconvenience of the consum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우산이 삽입되는 삽입홈부가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 형성된 본체 및 상기 삽입홈부에 삽입된 우산의 수분을 제거하도록 상기 삽입홈부로 바람을 공급하는 송풍수단을 포함하는 우산 건조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in which an insertion groove for inserting an umbrella is extend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air blowing means for supplying wind to the insertion groove to remove moisture of an umbrella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To provide an umbrella drying device.

상기 송풍수단은 상기 삽입홈부에 구비되며 바람이 배출되는 배출공 및 상기 배출공으로 바람을 공급하는 펌핑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lowing means may include a discharge hole provided in the insertion groove portion for discharging wind and a pumping portion for supplying wind to the discharge hole.

상기 배출공은 상기 삽입홈부의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discharge holes may be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insertion groove portion.

상기 배출공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바람이 공급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exhaust hole may be configured to be supplied with wind in at least two different directions.

상기 배출공은 상기 삽입홈부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discharge holes may be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ertion groove.

상기 본체는 배수부가 구비되되, 상기 삽입홈부는 상기 배수부측으로 경사져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body may have a drain portion, and the insertion groove portion may be inclined toward the drain portion.

상기 삽입홈부는 상측으로 단우산을 삽입하는 상부삽입홈부 및 상기 상부삽입홈부에 연결되어 하측으로 장우산을 삽입하는 하부삽입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sertion groove portion may include an upper insertion slot portion for inserting a short umbrella into the upper side and a lower insertion slot portion connected to the upper insertion slot portion and for inserting the changchujis into the lower side.

상기 상부삽입홈부는 단면상 이단 절곡된 형태로 두 개의 절곡면이 형성되되, 상기 각 절곡면에 상기 배출공이 각각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배출공을 통한 바람의 배출방향이 서로 달리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The upper insertion groove portion may have two bent surfaces in the form of two-folded in a cross-section, and the discharge holes may be provided on the respective bent surfaces, and the discharge directions of the wind through the discharge holes may be form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상기 본체는 우산의 삽입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The main body may be provided with a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an umbrella is inserted.

상기 본체는 상기 센서 및 상기 펌핑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 의한 우산의 감지 시 상기 펌핑부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and the pumping unit. The control unit may operate the pumping unit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umbrella is sensed by the sensor.

상기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메인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메인 감아걸기 전동장치, 상기 메인 감아걸기 전동장치의벨트와 연결되어 있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있고 우산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우산을 회전시킬 수 있는 우산 감아걸이 전동장치 및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의 상면을 따라 구르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main hoist gear transmission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ncluding a main drive motor, a base connected to a belt of the main hoisting gear transmission, a base mounted on the base, And a support portion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ase and rolling along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상기 우산 감아걸이 전동장치는 우산 구동모터, 제1 우산풀리 및 제2 우산풀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우산풀리의 하부측은 상기 베이스를 상하 관통하며, 상기 제2 우산풀리에는 상기 우산이 관통하는 구멍이 상하 관통되어 있고, 상기 우산 건조장치는, 상기 제2 우산풀리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우산을 지지하며 상기 우산의 길이에 따라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받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umbrella driving motor includes a umbrella driving motor, a first umbrella pulley and a second umbrella pulley,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umbrella pulley vertically passing through the base, and the second umbrella pulley passing through the umbrella And the umbrella dry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umbrella pulley and supporting the umbrella and the length of which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umbrella.

상기 받침부는, 상기 우산을 받치는 플레이트 및 일측이 상기 제2 우산풀리에 배치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플레이트와 연결된 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릴부의 와이어는 상기 우산의 길이에 따라 상기 릴부의 릴장치에서 풀릴 수 있다.The reel unit may include a plate for supporting the umbrella and a reel unit having one side disposed on the second umbrella pulley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plate, .

상기 우산 건조장치는 상기 제2 우산풀리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우산을 탄력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mbrella dry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unit disposed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umbrella pulley and fixing the umbrella in a resilient manner.

상기 제2 우산풀리의 내부에는 상기 구멍과 연결된 배치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배치공간에 일측이 위치하고 타측이 상기 구멍에 위치한 브래킷, 상기 구멍에 배치되어 있고, 일측이 상기 브래킷의 타측에 회전할 수 있게 힌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우산과 접할 수 있는 고정부재, 상기 힌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브래킷과 일 직선이 되도록 상기 고정부재에 탄성력을 가하는 비틀림 스프링 및 상기 배치공간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우산에 밀착되도록 상기 브래킷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고정부재의 타측은 쿠션을 갖는 완충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브래킷의 하부측으로는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And a second space formed in the second umbrella pulley and connected to the hole, wherein the fixing portion includes a bracket having one side in the arrangement space and the other side in the hole, the hole being disposed in the hole, A torsion spring coupled to the hinge and adapted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fixing member such that the fixing member is straight with the bracket; And an elastic member disposed in the arrangement space and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bracket so that the fixing member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mbrella,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member is formed of a cushioning material having a cushion, It may not rotate to the lower sid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삽입홈부를 따라서 우산을 삽입한 후, 소정 거리 이동하면서 자연스럽게 우산의 빗물이 제거된다. 이에 따라서 사용이 간편하여지게 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umbrella is inserted along the insertion groove, and the rainwater of the umbrella is naturally removed while moving a predetermined distance. This makes it easy to us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장우산과 단우산을 모두 건조시킬 수 있으면서, 각각의 우산에 따라 삽입홈부의 형상을 달리하여 건조작업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of the umbrella and the short umbrella can be dried, and the shape of the insertion groove is varied according to the umbrella, thereby achieving a more efficient drying oper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바람이 배출되는 배출공의 각도를 서로 달리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건조작업과 물기가 하측으로 유도되어 배수부로 제거되도록 하는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of the discharge hole through which the wind is discharged is form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so that the drying operation and the work for guiding the water to the lower side and being removed to the drainage portion are performed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공에 따라 바람을 공급하는 송풍유로를 두 개 이상 운영되도록 함으로써, 오작동 시 수리 및 검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or more blowing ducts for supplying wind according to the discharge holes are operated, thereby facilitating repair and inspection in the case of malfun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우산 감아걸기 전동장치에 의해 삽입홈부를 통과하면서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에 우산에는 탈수 효과가 발생한다. 우산에서 탈수된 빗물은 송풍수단에 의해 본체 내부로 흡입되므로 우산 건조장치 주변으로 떨어지지 않는다. 이에 우산에서 빗물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빗물에 의한 우산 건조장치의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mbrella is rotated in place while passing through the insertion groove by the umbrella-winding power transmission device. Therefore, the dehydration effect occurs in the umbrella. The rainwater dehydrated in the umbrella is sucked into the main body by the blowing means, so that it does not fall around the umbrella drying device. Thus, the rainwater can be completely removed from the umbrella, and the surroundings of the umbrella drying apparatus due to the rainwat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ntaminat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를 일측에서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에 있어서 삽입홈부가 경사져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에 있어서 배출공과 연결되는 송풍유로를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를 이용 장우산을 건조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를 이용 단우산을 건조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한 A부분 확대도.
도 10은 도 8에 도시한 Ⅹ-Ⅹ선을 따라 우산 건조장치 일부분을 자른 단면도.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제2 우산풀리를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XII-XII선을 따라 고정부를 자른 단면도.
도 13은 도 8에 도시한 릴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도 11에 도시한 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umbrella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an umbrella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among major components constituting an umbrella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nsertion groove portion is inclined in an umbrella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blowing passage connected to a discharge hole in an umbrella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umbrella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dry Changwoo Mountain.
7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hort umbrella is dried using an umbrella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mbrella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shown in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umbrella drying apparatus taken along the line X-X shown in Fig.
11 is a plan view of the second umbrella pulley shown in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xing portion taken along the line XII-XII shown in Fig.
1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reel unit shown in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xing portion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symbols,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First,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100)를 나타낸 사시도를 일측에서 나타낸 측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mbrella dry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an umbrella dry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100)는, 본체(110) 및 송풍수단을 포함한다.1 and 2, an umbrella dry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0 and a blowing means.

본체(110)에는 우산이 삽입되는 삽입홈부(111)가 형성되며 삽입홈부(111)는 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즉, 사용자는 우산을 본체(110)의 삽입홈부(111)에 위치시키고 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우산을 건조시킬 수 있다.The main body 110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portion 111 into which an umbrella is inserted and the insertion groove portion 111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 That is, the user can place the umbrella in the insertion groove 111 of the main body 110 and move the main body 1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to dry the umbrella.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삽입홈부(111)는 상부삽입홈부(112) 및 하부삽입홈부(115)를 포함한다. 상부삽입홈부(112)는 삽입홈부(111)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측으로 단우산을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하부삽입홈부(112)는 상부삽입홈부(112)와 연결되고, 삽입홈부(111)의 하측에 형성되어 하측으로 장우산을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insertion groove portion 111 includes an upper insertion groove portion 112 and a lower insertion groove portion 115. The upper insertion slot 112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sertion slot 111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lower insertion slot 112 is connected to the upper insertion slot 112 and the insertion slot 111 And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insert Changwoo acid into the lower side.

상부삽입홈부(112)는 단면 상 이단 절곡된 형태로 두 개의 절곡면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부삽입홈부(112)는 제1절곡면(113) 및 제2절곡면(114)을 포함하며, 이들은 서로 다른 경사도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후술할 송풍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바람의 송풍 방향을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The upper insertion groove portion 112 has two bent surfaces formed in a two-folded shape in cross section. More specifically, the upper insertion groove portion 112 includes a first folding surface 113 and a second folding surface 114, which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inclination angles and are provided by a blowing means It is possible to form the air blowing direction differently.

송풍수단은 삽입홈부(111)에 삽입된 우산의 수분을 제거하도록 삽입홈부로 바람을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송풍수단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송풍수단은 삽입홈부(111)에 구비되며 바람이 배출되는 배출공(150)과,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배출공(150)으로 바람을 공급하는 펌핑부를 포함한다. 펌핑부는 본체(1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체(110)의 외부에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blowing means is a component for supplying wind to the insertion groove portion so as to remove the moisture of the umbrella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portion 11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lowing means is provided in the insertion groove 111 and includes a discharge hole 150 through which the wind is discharged and a discharge hole 150 through which the air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hole (not shown in FIGS. 1 and 2) 150 for supplying the wind. The pumping unit may b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10,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outside the main body 110.

그리고 배출공(150)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출공(150)은 삽입홈부(111)의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삽입홈부(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And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150 may be provided. Specifically, a plurality of the discharge holes 150 may be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insertion groove 111, and a plurality of the discharge holes 150 may b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ertion groove 111.

본 실시예의 경우, 배출공(150)은 삽입홈부(111)의 상하 방향, 길이 방향 모두를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된다. 즉 배출공(150)은 횡 방향 및 종 방향으로 배열되어 삽입홈부(111) 전체 면으로부터 송풍된 바람을 분사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150 are provided along both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ertion groove 111. That is, the discharge hole 150 is arranged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wind blowing from the entire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111 can be sprayed.

또한 배출공(150)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바람이 공급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바람의 송풍 방향을 다양화하여 우산의 건조를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제거된 물이 효율적으로 배수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Also, the discharge hole 150 may be configured to wind at least two or more different directions. That is, it is possible to diversify the wind direction of the wind so that the umbrella can be dried more quickly and effectively, and at the same time, the removed water can be efficiently drained.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배출공(150)은 전술한 펌핑부에 의해 송풍되는 바람이 유동하는 경로인 송풍유로에 연결되며, 구체적으로 송풍유로는 상부삽입홈부(112)에 형성된 배출공(150)에 연결된 제1송풍유로(171) 및 하부삽입홈부(115)에 형성된 배출공(150)에 연결된 제2송풍유로(172)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charge hole 150 is connected to the blowing passage, which is a path through which the wind blown by the above-described pumping portion flows. Specifically, the blowing passage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hole 150 formed in the upper insertion groove portion 112 And a second air flow passage 172 connected to the discharge hole 150 formed in the first air flow passage 171 and the lower insertion recess 115.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본체(110)에는 우산의 삽입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센서(130)가 구비된다. 즉, 센서(130)는 우산이 삽입홈부(111)에 삽입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센서(130)는 삽입홈부(111)의 입구 측에 설치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 sensor 130 to detect whether or not an umbrella is inserted. That is, the sensor 130 can sense whether the umbrella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11. For this purpose, the sensor 130 may be installed at the entrance side of the insertion groove 111.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among major components constituting the umbrella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체(110)는, 센서(130) 및 펌핑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펌핑부(170)의 작동을 다양한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The main body 11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18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130 and the pumping unit 170. The control unit 180 is provid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umping unit 170 in various manners.

본 실시예의 경우, 제어부(180)는 센서(130)에 의한 우산의 감지 시 상기 펌핑부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작동하도록 제어하며, 이에 따라 우산의 과건조를 방지하고, 전기 사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pumping part to operate for a preset time when sensing the umbrella by the sensor 130, thereby preventing over-drying of the umbrella and reducing the amount of electricity used have.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에 있어서 삽입홈부(111)가 경사져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insertion groove 111 is inclined in an umbrella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부(111)의 바닥면에는 배수부(105)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우산으로부터 탈락된 물기는 삽입홈부(111) 바닥면의 배수부(105)를 통해 본체(1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a drainage unit 105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111. Accordingly, the water removed from the umbrella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 through the drainage part 105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part 111.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삽입홈부(111)의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효과적으로 배수를 수행하기 위해, 삽입홈부(111)는 배수부(105)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홈부(111) 바닥면의 어느 부분에서도 배수부(105) 측으로 물이 흘러 배수부(105)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Further,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insertion groove portion 111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drainage portion 105, in order to effectively drain water in the entir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insertion groove portion 111. Therefore, water can be discharged from the drainage part 105 through the drainage part 105 at any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part 111.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 배수부(105)는 삽입홈부(111)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심 측에 구비되며, 삽입홈부(111)의 바닥면은 배수부(105)의 양측으로 일정 각도(θ)만큼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물의 유동 거리를 최소화하여 원활한 배수를 수행할 수 있다.The drainage section 105 is provided on the center sid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ertion groove section 111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section 111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drainage section 105 And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n angle?. Accordingly, the flow distance of water can be minimized and the drainage can be smoothly performed.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에 있어서 배출공과 연결되는 송풍유로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n air flow path connected to the discharge hole in the umbrella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본체(110)의 내부에는 펌핑부(170)가 구비되며, 본체(110)에는 펌핑부(170)로부터 송풍되는 바람을 배출공 측으로 유동시키는 송풍유로가 더 구비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 pumping portion 170, and the main body 110 further includes an air blowing passage for allowing the air blown from the pumping portion 170 to flow to the discharge hole side do.

그리고, 송풍유로는 상부삽입홈부(112)에 형성된 배출공(150)에 연결된 제1송풍유로(171) 및 하부삽입홈부(115)에 형성된 배출공(150)에 연결된 제2송풍유로(172)를 포함한다.The air flow path includes a first air flow path 171 connected to the discharge hole 150 formed in the upper insertion groove part 112 and a second air flow path 172 connected to the discharge hole 150 formed in the lower insertion groove part 115. [ .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1송풍유로(171) 및 제2송풍유로(172)는 삽입홈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를 가지며, 각각 복수 개가 구비된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4,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air passage 171 and the second air passage 172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ertion groove, and a plurality of the air passage 171 and the second air passage 172 are provided.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펌핑부(170) 역시 복수 개가 구비되고, 각 펌핑부(170)는 제1송풍유로(171) 및 제2송풍유로(172)에 각각 연결된다. 이에 따라서 제1송풍유로(171) 및 제2송풍유로(172) 중 어느 하나의 송풍유로만을 통해 바람을 독립적으로 유동시킬 수 있어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오작동 시 빠른 대처가 가능하게 된다.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pumping units 170 are also provided, and each pumping unit 170 is connected to the first air passage 171 and the second air passage 172, respectively.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dependently flow wind through only one of the first air duct 171 and the second air duct 172,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waste of electric power, and enabling quick action in case of malfunction .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를 이용 장우산을 건조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를 이용 단우산을 건조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drying an umbrella using an umbrella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drying a umbrella using an umbrella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 건조장치의 삽입홈부를 장우산(10)이 통과하는 경우, 센서는 이를 감지하여 하부삽입홈부(115)의 배출공과 연결된 펌핑부를 가동하여 장우산의 전체 길이에 걸쳐 효과적인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when the insertion groove portion of the umbrella drying device is passed through the changchu acid 10, the sensor senses it and operates the pumping portion connected to the discharge hole of the lower insertion groove portion 115, Drying can be performed.

이때 하부삽입홈부(115)의 배출공과 연결된 펌핑부만을 가동할 수도 있으나, 상부삽입홈부(112)의 배출공과 연결된 펌핑부를 동시에 가동하여 장우산(10)의 상단 부분을 함께 건조시키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t this time, only the pumping portion connected to the discharge hole of the lower insertion groove 115 may be operated, but the upper portion of the changchu acid 10 may be dried together by simultaneously operating the pumping portion connected to the discharge hole of the upper insertion groove 112 Of course.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 건조장치의 삽입홈부를 단우산(20)이 통과하는 경우, 상기 센서는 이를 감지하여 상부삽입홈부(112)의 배출공과 연결된 펌핑부를 가동하여 단우산(20)을 효과적으로 건조할 수 있다.7, when the umbrella 20 passes through the insertion groove portion of the umbrella drying device, the sensor senses it and activates the pumping portion connected to the discharge hole of the upper insertion groove portion 112 to open the umbrella 20 ) Can be effectively dried.

이때, 상기 단우산(20)은 하부삽입홈부(115)에는 노출되지 않으므로, 하부삽입홈부(115)의 배출공과 연결된 펌핑부는 구동되지 않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short umbrella 20 is not exposed to the lower insertion groove 115, the pumping part connected to the exhaust hole of the lower insertion groove 115 is not driven, thereby reducing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n umbrella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3. FIG.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한 A부분 확대도이며, 도 10은 도 8에 도시한 Ⅹ-Ⅹ선을 따라 우산 건조장치 일부분을 자른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제2 우산풀리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XII-XII 선을 따라 고정부를 자른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8에 도시한 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mbrella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shown in FIG. 8, and FIG. 10 is a cross-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II-XII in Fig. 11, and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II-XII in Fig. Sectional view showing the reel unit shown in the drawing.

도 8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200)는 본체(110), 송풍수단, 메인 감아걸기 전동장치(210), 베이스(220), 우산 감아걸기 전동장치(230), 지지부(240), 고정부(250) 및 받침부(260)를 포함한다.8 to 13, the umbrella dry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110, a blowing means, a main hoisting and driving gear 210, a base 220, an umbrella driving gear 230 A supporting portion 240, a fixing portion 250, and a receiving portion 260.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110) 및 송풍수단은 도 1 내지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 및 송풍수단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송풍수단의 경우 삽입홈부(111)로 바람을 배출하는 것이 아니고, 삽입홈부(111)의 공기를 본체(110) 내부로 흡입하는 구조일 수 있다.Since the main body 110 and the blow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directly applied to the main body and the blowing mea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S. 1 to 7, the duplicat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air blowing means, the air may be sucked into the main body 110 rather than the air is discharg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11.

본 실시예에 따른 메인 감아걸기 전동장치(210)는 삽입홈부(111)를 기준으로 본체(110)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본체(110)의 상면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The main hoisting and driving apparatus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10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with respect to the insertion groove 111.

메인 감아걸기 전동장치(210)는 본체(110)의 상면에 간격을 두고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제1 메인풀리(212), 제2 메인풀리(213), 제1 메인풀리(212)와 제2 메인풀리(213)를 동력 연결하는 메인벨트(214) 및 제1 메인풀리(212)를 회전시키는 메인 구동모터(211)를 포함한다. 제1 메인풀리(212), 제2 메인풀리(213) 및 메인벨트(214)는 V풀리, V벨트 또는 스프라켓, 체인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hoisting and driving apparatus 210 includes a first main pulley 212, a second main pulley 213, a first main pulley 212 and a second main pulley 212 rotatabl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 main belt 214 for power coupling the main pulley 213 and a main drive motor 211 for rotating the first main pulley 212. The first main pulley 212, the second main pulley 213 and the main belt 214 may be formed of a V-pulley, a V-belt, a sprocket, a chain, or the like.

베이스(220)는 기설정된 넓이와 길이를 갖는다. 베이스(220)의 일측은 메인벨트(214)와 힌지(221) 연결되어 있으며 메인벨트(214)를 따라 이동한다. 베이스(220)는 힌지(221)를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다. 베이스(220)는 메인벨트(214)를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The base 220 has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One side of the base 220 is connected to the main belt 214 and the hinge 221 and moves along the main belt 214. The base 220 can be moved with respect to the hinge 221. The base 220 is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main belt 214.

지지부(240)는 메인벨트(214)를 따라 이동하는 베이스(220)가 처지지 않도록 베이스(220)를 지지한다. 지지부(240)는 베이스(220) 들 마다 결합되어 있다. 즉, 지지부(240)의 상면은 베이스(220)의 하면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240)의 하면에는 바퀴(241)가 결합되어 있고, 바퀴(241)는 본체(110)의 상면과 마찰되어 구를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240 supports the base 220 so that the base 220 moving along the main belt 214 is not sagged. The supports 240 are coupled to the bases 220.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240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220. A wheel 241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240 and the wheel 241 can be engag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to form a hole.

우산 감아걸기 전동장치(230)는 베이스(220) 들 마다 배치되어 있다. 우산 감아걸기 전동장치(230)는 베이스(220)의 상면에 간격을 두고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제1 우산풀리(232), 제2 우산풀리(233), 제1 우산풀리(232)와 제2 우산풀리(233)를 동력 연결하는 우산벨트(234) 및 제1 우산풀리(232)를 회전시키는 우산 구동모터(231)를 포함한다. 제1 우산풀리(232), 제2 우산풀리(233) 및 우산벨트(234)는 V풀리, V벨트 또는 스프라켓, 체인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umbrella-wrapping transmission device 230 is disposed for each of the bases 220. The umbrella hoisting transmission 230 includes a first umbrella pulley 232, a second umbrella pulley 233, a first umbrella pulley 232 and a second umbrella pulley 232 installed to be rotatabl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220 at intervals, An umbrella drive motor 231 for rotating the first umbrella pulley 232 and an umbrella belt 234 for power-connecting the umbrella pulley 233. The first umbrella pulley 232, the second umbrella pulley 233 and the umbrella belt 234 may be formed of a V-pulley, a V-belt or a sprocket, a chain, or the like.

제2 우산풀리(233)의 하면 적어도 일부분은 베이스(220)를 관통한다. 베이스(220)와 제2 우산풀리(233) 사이에는 제2 우산풀리(233)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베어링(235)이 배치되어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umbrella pulley 233 passes through the base 220. A bearing 235 is disposed between the base 220 and the second umbrella pulley 233 to support the second umbrella pulley 233 so that the second umbrella pulley 233 can rotate.

제2 우산풀리(233)의 중앙에는 우산이 통과하는 상하 관통하는 구멍(23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우산풀리(233)의 내부에는 구멍(236)과 연결된 배치공간(237)이 형성되어 있다. 배치공간(237)은 제2 우산풀리(233)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umbrella pulley 233 is formed with a hole 236 through which an umbrella passes. Inside the second umbrella pulley 233, an arrangement space 237 connected to the hole 236 is formed. The arrangement space 237 is formed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umbrella pulley 233.

고정부(250)는 각 배치공간(237) 마다 배치되어 있으며, 구멍(236)을 통과한 우산의 둘레면에 밀착되어 우산을 고정한다. 고정부(250)는 브래킷(251), 고정부재(252) 비틀림 스프링(254) 및 탄성부재(255)를 포함한다.The fixing portion 250 is disposed for each of the arrangement spaces 237 and closely contacts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mbrella passing through the hole 236 to fix the umbrella. The fixing part 250 includes a bracket 251, a fixing member 252, a torsion spring 254, and an elastic member 255.

브래킷(251)은 일측이 배치공간(237)에 위치하고 타측이 구멍(236)에 위치한다. 브래킷(251)이 배치공간(237)에서 빠지지 않도록 브래킷(251)의 일측에는 배치공간(237)의 둘레면에 걸리는 플랜지(251a)가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251)의 타측 하부에는 구멍(236)의 중심을 향해 기설정된 길이로 돌출된 걸림턱(251b)이 형성되어 있다.One side of the bracket 251 is located in the arrangement space 237 and the other side is located in the hole 236. A flange 251a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racket 251 so as to prevent the bracket 251 from falling out of the arrangement space 237. A locking protrusion 251b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bracket 251 so as to protrude to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center of the hole 236. [

고정부재(252)는 기설정된 길이로 형성되어 있고 구멍(236)에 배치되어 있다. 고정부재(252)의 일측은 걸림턱(251b)에 배치되어 브래킷(251)의 타측에 힌지(253) 연결되어 있다. 고정부재(252)는 힌지(253)를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다. 브래킷(251)은 걸림턱(251b)에 걸리므로 힌지(253)를 기준으로 걸림턱(251b) 상부측으로만 회전된다.The fixing member 252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disposed in the hole 236. One side of the fixing member 252 is disposed on the latching jaw 251b and the hinge 253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bracket 251. [ The fixing member 252 can be moved with respect to the hinge 253. Since the bracket 251 is caught by the latching jaw 251b, the bracket 251 is rotated only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latching jaw 251b with respect to the hinge 253.

고정부재(252)의 우산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고정부재(252)의 타측 부분은 완충재로 형성되어 있다. 완충재는 우산이 구멍(236)을 통과할 때 우산을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우산이 구멍(236)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The other portion of the fixing member 252 which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umbrella of the fixing member 252 is formed of a cushioning material. The cushioning material elastically urges the umbrella when the umbrella passes through the hole (236) so that the umbrella does not move in the hole (236).

비틀림 스프링(254)은 고정부재(252)가 반듯한 상태를 유지하여 걸림턱(251b)에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여한다.The torsion spring 254 applies a resilient force such that the fixing member 252 maintains a flat state and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engagement step 251b.

탄성부재(255)는 배치공간(237)에 배치되어 있으며 브래킷(251)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고정부재(252)의 타측이 우산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도록 한다.The elastic member 255 is disposed in the arrangement space 237 and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bracket 251 so that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member 252 is elastical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mbrella.

받침부(260)는 구멍(236)을 통과한 우산을 받치는 것으로 플레이트(261) 및 릴부(262)를 포함한다.The receiving portion 260 supports the umbrella passing through the hole 236 and includes a plate 261 and a reel portion 262.

플레이트(261)는 제2 우산풀리(233) 하부측에 위치하며 구멍(236)을 통과한 우산의 하단을 받친다. 플레이트(261)는 우산의 길이에 따라 그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플레이트(261)는 릴부(262)에 의해 제2 우산풀리(233)에 매달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plate 261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umbrella pulley 233 and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umbrella passing through the hole 236. The position of the plate 261 may vary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umbrella. The plate 261 can be held in a state of being held by the second umbrella pulley 233 by the reel portion 262. [

릴부(262)는 플레이트(261)와 연결된 와이어(263) 및 와이어(263)를 감거나 푸는 드럼, 와이어가 감기도록 드럼을 회전시키는 스파이럴 스프링(spiral spring)으로 이루어진 릴장치(264)를 포함한다.The reel unit 262 includes a reel unit 264 consisting of a spiral spring for rotating the drum so that the wire is wound by a wire that winds and unwinds the wire 263 and the wire 263 connected to the plate 261 .

플레이트(261)에 우산이 접하여 플레이트(261)의 무게가 증가하면 스파이럴 스프링은 드럼을 회전시키지 못한다. 다만, 우산의 무게가 제거되어 플레이트(261)의 무게만 존재하면 스파이럴 스프링이 작동하여 와이어(263)가 드럼에 감길 수 있다.When the weight of the plate 261 increases due to the umbrella contacting the plate 261, the spiral spring can not rotate the drum. However, if the weight of the umbrella is removed and only the weight of the plate 261 exists, the spiral spring may be actuated and the wire 263 may be wound on the drum.

한편, 도 1 내지 도 7의 실시예에서 우산을 감지하는 센서가 본체(110)에 설치되어 삽입홈부(111)에 우산이 삽입되었음을 감지하였으나, 본 실시예에 센서는 플레이트(261)에 배치되어 있다. 구멍(236)을 관통한 우산이 플레이트(261)에 접하면 잠시 대기 시간을 갖은 후 메인 감아걸기 전동장치(210), 우산 감아걸기 전동장치(230) 및 송풍수단이 작동할 수 있다.1 to 7, a sensor for detecting the umbrella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110 to detect that the umbrella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11. In this embodiment, the sensor is disposed on the plate 261 have. When the umbrella passing through the hole 236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late 261, the main hoisting driving gear 210, the umbrella hoisting gearing gear 230 and the blowing means can be operated after a short waiting time.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건조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umbrella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8 내지 도 13을 다시 참조하면, 우산을 접은 상태에서 구멍(236)을 통과시키면 고정부재(252)의 끝이 우산에 접하며 우산의 끝은 플레이트(261)에 접한다. 고정부재(252)의 끝은 탄성부재(255)의 탄성력에 의해 우산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완충력에 의해 그 끝이 우산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어느 정도 휘어진 상태로 우산에 밀착되어 구멍(236) 내에서 우산이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다.8 to 13, when the umbrella is folded and passed through the hole 236, the end of the fixing member 252 is in contact with the umbrella, and the end of the umbrella is in contact with the plate 261. The end of the fixing member 252 is held in close contact with the umbrella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55. The end of the fixing member 25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mbrella in a state in which the end thereof is bent to some extent in the direction of insertion of the umbrella, ), The umbrella is fixed so as not to move.

우산의 길이에 따라 릴부(262)에서 와이어(263)가풀리고 플레이트(261)는 제2 우산풀리(23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플레이트(261)가 우산을 받치고 있어 우산은 구멍(236)에서 빠지지 않는다. 이에 고정부(250)와 받침부(260)에 의해 우산은 제2 우산풀리(233)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umbrella, the wire 263 is unwound from the reel 262 and the plate 261 moves away from the second umbrella pulley 233. The plate 261 rests against the umbrella so that the umbrella does not fall out of the hole 236. The umbrella is fixed to the second umbrella pulley 233 by the fixing unit 250 and the receiving unit 260.

플레이트(261)에 우산이 접하면 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제어부가 신호를 인가받고, 제어부는 메인 감아걸기 전동장치(210), 우산 감아걸기 전동장치(230) 및 송풍수단이 작동하도록 신호를 인가한다.When the umbrella touches the plate 261, the sensor senses this, and the control unit receives a signal, and the control unit applies a signal to operate the main hoist driving power unit 210, the umbrella hoisting power transmission unit 230 and the blowing unit .

메인 감아걸기 전동장치(210)의 작동으로 베이스(220)는 본체(110)의 상면에서 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우산 감아걸기 전동장치(230)는 베이스(220) 상에서 회전한다. 우산이 제2 우산풀리(233)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2 우산풀리(233)에 의해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된다. 우산의 회전으로 원심력이 발생하여 우산에 묻은 빗물은 우산에서 떨어지게 된다. 이때 송풍수단이 삽입홈부(111) 내의 공기를 흡입하므로 빗물은 본체(110)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빗물이 본체(110) 내부로 흡입되므로 우산 건조장치가 설치된 바닥으로 빗물이 떨어지지 않아 빗물에 의한 바닥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The base 220 is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by the operation of the main hoisting and turning apparatus 210 and the umbrella hoisting and turning apparatus 230 is rotated do. Since the umbrella is fixed to the second umbrella pulley 233, the second umbrella pulley 233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 and is rotated in place by the second umbrella pulley 233. The centrifugal force is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umbrella, and the rainwater on the umbrella falls off the umbrella. At this time, since the air blowing means sucks the air in the insertion groove 111, the rainwater can be sucked into the main body 110. Since the rainwater is sucked into the main body 110, the rainwater does not fall down to the floor provided with the umbrella drying device, thereby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floor due to rainwater.

우산이 삽입홈부(111)를 통과하면 우산에 묻은 빗물은 우산에서 이탈한 상태가 된다. 삽입홈부(111)를 통과한 우산을 제2 우산풀리(233)에서 뽑아낸다. 이때 브래킷(251)과 힌지(253) 연결된 고정부재(252)는 우산의 이동방향으로 힌지(253)를 기준으로 회전한다.When the umbrella passes through the insertion groove 111, the rainwater on the umbrella is separated from the umbrella. The umbrella passing through the insertion groove portion 111 is pulled out from the second umbrella pulley 233. At this time, the fixing member 252 connected to the bracket 251 and the hinge 253 rotates about the hinge 253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mbrella.

플레이트(261)에서 우산의 무게가 제거되어 와이어(263)는 릴장치(264)의 스파일러 스프링 작동으로 역회전하는 드럼에 감긴다. 플레이트(261)는 와이어를 따라 제2 우산풀리(233) 방향으로 이동하여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The weight of the umbrella is removed from the plate 261, and the wire 263 is wound on a drum that is rotated counterclockwise by a spiler spring action of the reel unit 264. [ The plate 261 moves along the wire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umbrella pulley 233 and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그리고, 우산이 구멍(236)을 완전하게 통과하면 힌지(253) 상부측으로 회전한 고정부재는 비틀림 스프링(254)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When the umbrella passes completely through the hole 236, the fixing member rotated to the upper side of the hinge 253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orsion spring 254.

따라서, 우산 감아걸기 전동장치(230)에 의해 삽입홈부(111)를 통과하면서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에 우산에는 탈수 효과가 발생한다. 우산에서 탈수된 빗물은 송풍수단에 의해 본체 내부로 흡입되므로 우산 건조장치(200) 주변으로 떨어지지 않는다. 이에 우산에서 빗물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빗물에 의한 우산 건조장치(200)의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umbrella-wrapping power transmission device 230 rotates in place while passing through the insertion groove portion 111. [ Therefore, the dehydration effect occurs in the umbrella. The rainwater dehydrated in the umbrella is sucked into the main body by the blowing means, so that the rainwater does not fall around the umbrella drying apparatus 200. Therefore, the rainwater can be completely removed from the umbrella, and the surroundings of the umbrella drying apparatus 200 due to the rainwat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ntaminated.

다음으로 도 1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본 실시예는 도 8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진다. 다만 고정부(250)의 구조가 다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250)는 제2 우산풀리(233)의 구멍에 배치되어 있고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 부분은 우산이 관통할 수 있도록 상하 관통되어 있다.This embodiment has most of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fixing part 250 is different. The fixing portion 2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in the hole of the second umbrella pulley 233 and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the central portion is vertically penetrated so that the umbrella can penetrate.

고정부(250)는 우산의 직경에 따라 관통 부분의 직경이 변화할 수 있도록 고정부(250)의 내부 측은 방사형태로 복수 절개되어 있다. 우산이 관통할 때 절개된 부분이 휘어지면서 우산을 고정하며 고정된 우산을 받침부(260)가 받치게 된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8 내지 도 13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The inner side of the fixing part 250 is cut in a radial shape so that the diameter of the penetrating par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umbrella. When the umbrella penetrates, the incised portion is bent to fix the umbrella, and the fixed umbrella is supported by the receiving portion 260. In other respects,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FIGS. 8 to 13 may be applied as it i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0, 200: 우산 건조장치 110: 본체
111: 삽입홈부 112: 상부삽입홈부
113: 제1절곡면 114: 제2절곡면
115: 하부삽입홈부 130: 센서
150: 배출공 170: 펌핑부
171: 제1송풍유로 172: 제2송풍유로
180: 제어부 210: 메인 감아걸기 전동장치
211: 메인 구동모터 212: 제1 메인풀리
213: 제2 메인풀리 214: 메인벨트
220: 베이스 221, 253: 힌지
230: 우산 감아걸기 전동장치 231: 우산 구동모터
232: 제1 우산풀리 233: 제2 우산풀리
234: 우산벨트 235: 베어링
236: 구멍 237: 배치공간
240: 지지부 241: 바퀴
250: 고정부 251: 브래킷
251a: 플랜지 251b: 걸림턱
252: 고정부재 254: 비틀림 스프링
255: 탄성부재 260: 받침부
261: 플레이트 262: 릴부
263: 와이어 264: 릴장치
100, 200: umbrella drying apparatus 110: main body
111: insertion groove portion 112: upper insertion groove portion
113: first bending face 114: second bending face
115: lower insertion groove 130: sensor
150: exhaust hole 170:
171: first blowing channel 172: second blowing channel
180: control unit 210: main take-
211: main drive motor 212: first main pulley
213: second main pulley 214: main belt
220: base 221, 253: hinge
230: Umbrella hoisting gear transmission 231: Umbrella driving motor
232: 1st umbrella pulley 233: 2nd umbrella pulley
234: Umbrella belt 235: Bearing
236: hole 237: placement space
240: support portion 241:
250: fixing part 251: bracket
251a: flange 251b:
252: Fixing member 254: Torsion spring
255: elastic member 260:
261: plate 262:
263: wire 264: reel device

Claims (15)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우산이 삽입되는 삽입홈부가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 형성된 본체와, 상기 삽입홈부에 삽입된 우산의 수분을 제거하도록 상기 삽입홈부로 바람을 공급하는 송풍수단을 구비하는 우산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메인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메인 감아걸기 전동장치;
상기 메인 감아걸기 전동장치의벨트와 연결되어 있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있고 우산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우산을 회전시킬 수 있는 우산 감아걸이 전동장치; 및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의 상면을 따라 구르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건조장치.
An umbrella drying apparatus having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n umbrella is inserted is formed to exten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an air blowing means for supplying wind to the insertion groove to remove moisture of an umbrella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A main hoisting gear transmission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ncluding a main drive motor;
A base connected to a belt of the main hoisting and driving gear;
An umbrella hoisting gear transmission installed in the base and capable of coupling an umbrella and capable of rotating the umbrella; And
And a support portion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ase and rolling along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 감아걸이 전동장치는 우산 구동모터, 제1 우산풀리 및 제2 우산풀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우산풀리의 하부측은 상기 베이스를 상하 관통하며, 상기 제2 우산풀리에는 상기 우산이 관통하는 구멍이 상하 관통되어 있고,
상기 제2 우산풀리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우산을 지지하며 상기 우산의 길이에 따라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건조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umbrella driving motor includes a umbrella driving motor, a first umbrella pulley and a second umbrella pulley,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umbrella pulley vertically passing through the base, and the second umbrella pulley passing through the umbrella Holes are vertically penetrated,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umbrella pulley and supporting the umbrella, the length of which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umbrella.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우산을 받치는 플레이트; 및
일측이 상기 제2 우산풀리에 배치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플레이트와 연결된 릴부;를 포함하며,
상기 릴부의 와이어는 상기 우산의 길이에 따라 상기 릴부의 릴장치에서 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건조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0030]
A plate for supporting the umbrella; And
And a reel unit having one side disposed on the second umbrella pulley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plate,
Wherein the wire of the reel unit is unwound from the reel unit of the reel unit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umbrella.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우산풀리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우산을 탄력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건조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a fixing portion disposed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umbrella pulley and elastically fixing the umbrella.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우산풀리의 내부에는 상기 구멍과 연결된 배치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배치공간에 일측이 위치하고 타측이 상기 구멍에 위치한 브래킷;
상기 구멍에 배치되어 있고, 일측이 상기 브래킷의 타측에 회전할 수 있게 힌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우산과 접할 수 있는 고정부재;
상기 힌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브래킷과 일 직선이 되도록 상기 고정부재에 탄성력을 가하는 비틀림 스프링; 및
상기 배치공간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우산에 밀착되도록 상기 브래킷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의 타측은 쿠션을 갖는 완충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브래킷의 하부측으로는 회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건조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econd umbrella pulley having an arrangement space connected to the hole,
The fixing unit includes:
A bracket having one side in the arrangement space and the other side in the hole;
A fixing member disposed in the hole and hinged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racket so as to be rotatable on the other side of the bracket and capable of contacting with the umbrella on the other side;
A torsion spring coupled to the hinge and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fixing member such that the fixing member is straight with the bracket; And
And an elastic member disposed in the arrangement space and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bracket so that the fixing member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mbrella,
Wherein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member is formed of a cushioning material having a cushion, and the fixing member does not rotate to the lower side of the bracket.
KR1020150021125A 2015-02-11 2015-02-11 Drying apparatus for umbrella KR1016459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125A KR101645946B1 (en) 2015-02-11 2015-02-11 Drying apparatus for umbrell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125A KR101645946B1 (en) 2015-02-11 2015-02-11 Drying apparatus for umbrell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5946B1 true KR101645946B1 (en) 2016-08-08

Family

ID=56712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1125A KR101645946B1 (en) 2015-02-11 2015-02-11 Drying apparatus for umbrell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946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88637A (en) * 2017-11-22 2018-03-13 吕玉荣 A kind of office umbrella device for recycling rainwater
KR101973382B1 (en) 2018-10-11 2019-04-29 (주)스페이스링크 Umbrella dryer using jet blade art
KR20200134856A (en) * 2019-05-24 2020-12-02 이경원 A Water Elimination Apparatus of Umbrella
KR20200142911A (en) * 2019-06-14 2020-12-23 정종현 umbrella dryer
KR20210085221A (en) * 2019-12-30 2021-07-0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Umbrella drying device
KR102426506B1 (en) 2021-08-19 2022-07-29 (주)스페이스링크 Rainwater removal device for umbrella using jet blade technolog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3314A (en) * 1997-07-11 1999-03-26 Yoshiki Tagata Water removing machine from umbrella
JP2004020004A (en) * 2002-06-14 2004-01-22 Yoshimasa Yokoyama Dehydration device for wet umbrella
KR20100012664U (en) * 2009-06-12 2010-12-22 이선주 An umbrella drying machine
KR20130050530A (en) * 2011-11-08 2013-05-16 전유삼 Umbrella storage and carrying out device with rainwater dehydr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3314A (en) * 1997-07-11 1999-03-26 Yoshiki Tagata Water removing machine from umbrella
JP2004020004A (en) * 2002-06-14 2004-01-22 Yoshimasa Yokoyama Dehydration device for wet umbrella
KR20100012664U (en) * 2009-06-12 2010-12-22 이선주 An umbrella drying machine
KR20130050530A (en) * 2011-11-08 2013-05-16 전유삼 Umbrella storage and carrying out device with rainwater dehydratio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88637A (en) * 2017-11-22 2018-03-13 吕玉荣 A kind of office umbrella device for recycling rainwater
KR101973382B1 (en) 2018-10-11 2019-04-29 (주)스페이스링크 Umbrella dryer using jet blade art
KR20200134856A (en) * 2019-05-24 2020-12-02 이경원 A Water Elimination Apparatus of Umbrella
WO2020242044A1 (en) * 2019-05-24 2020-12-03 이경원 Device for removing water from umbrella
KR102353607B1 (en) * 2019-05-24 2022-01-21 이경원 A Water Elimination Apparatus of Umbrella
KR20200142911A (en) * 2019-06-14 2020-12-23 정종현 umbrella dryer
KR102260608B1 (en) * 2019-06-14 2021-06-03 정종현 umbrella dryer
KR20210085221A (en) * 2019-12-30 2021-07-0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Umbrella drying device
KR102333109B1 (en) * 2019-12-30 2021-11-30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Umbrella drying device
KR102426506B1 (en) 2021-08-19 2022-07-29 (주)스페이스링크 Rainwater removal device for umbrella using jet blade technolog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5946B1 (en) Drying apparatus for umbrella
US8950084B2 (en) Semi-dry method of washing machine and the ventilating structure, control apparatus for the same
KR101630968B1 (en) Auto Elevating Type Drying Apparatus
KR20130143409A (en) Rainwater removal device of umbrella
KR102011662B1 (en) Apparatus for Removing Rainwater from Umbrella
KR100568521B1 (en) Clothes Drying Apparatus
KR20090085170A (en) Umbrella dryer
KR20000000395A (en) Roof structure of the open and close type
JP2003056982A (en) Dewatering apparatus for umbrella
KR20180122885A (en) Separable automatic umbrella dryer
KR102017609B1 (en) Drying apparatus for umbrella
KR101253580B1 (en) Foot dryer
KR200297008Y1 (en) dehydration device for automatic of umbrella
KR102180100B1 (en) Eco-friendly centrifugal dehydrator
KR100450995B1 (en) Fire-hose drying tower using hot air circulation system
KR20100128673A (en) Umbrella dryer
KR20130037755A (en) A dryer for umbrella
JP4512561B2 (en) Rectangular cloth unfolding device
KR101307885B1 (en) Drying device for a folding umbrella
KR101789727B1 (en) Apparatus for drying of fire hose
KR102051264B1 (en) drying hanger
KR102304875B1 (en) Umbrella dryer
KR100438023B1 (en) Safety apparatus for laundering dry hanger
KR101320259B1 (en) Heat insulation curtain opening and closing system for a greenhouse
KR101250233B1 (en) Umbrella dr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