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5121B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5121B1
KR101645121B1 KR1020150007751A KR20150007751A KR101645121B1 KR 101645121 B1 KR101645121 B1 KR 101645121B1 KR 1020150007751 A KR1020150007751 A KR 1020150007751A KR 20150007751 A KR20150007751 A KR 20150007751A KR 101645121 B1 KR101645121 B1 KR 101645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bracket
cover
hook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7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8552A (ko
Inventor
윤영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7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121B1/ko
Priority to US15/000,576 priority patent/US10222058B2/en
Publication of KR20160088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8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121B1/ko
Priority to US16/250,833 priority patent/US10982845B2/en
Priority to US17/191,597 priority patent/US11725812B2/en
Priority to US18/217,065 priority patent/US2023034112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4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wholly or partly by a radiant body, e.g. by a perforated plate
    • F24C3/047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23D14/10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with elongated tubular burner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00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 F24C1/02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adapted for the use of two or more kinds of fuel or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2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24C3/087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in baking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0Arrangement or mounting of igni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0Arrangement or mounting of ignition devices
    • F24C3/103Arrangement or mounting of ignition devices of electric igni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7/00Ignition devices associated with bur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에 배치되며, 다수의 가스 배출홀을 구비하는 버너; 상기 프레임 내에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배출홀 중 하나 이상에서 배출되는 혼합가스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부; 및 상기 버너에 대한 상기 점화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기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가열원의 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기이다. 조리기기의 일 예로, 오븐 레인지는, 음식물이 조리되는 오븐실 및 가스를 연소시켜서 상기 오븐실의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버너를 포함한다.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3997호(공개일 2010.02.10.)에는 오븐 레인지가 개시된다.
상기 오븐 레인지는, 오븐실을 형성하는 바닥면의 하방에 버너챔버가 구비되고, 상기 버너챔버에 상기 오븐실의 내부의 음식물을 대류가열시키기 위한 하부 버너가 설치된다.
선행문헌의 오븐 레인지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잇다.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버너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를 상기 버너챔버로부터 상기 오븐실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오븐실 및 버너챔버가 서로 연통된다. 그런데 상기 버너챔버는 상기 오븐실의 하방에 구비되므로, 상기 오븐실의 바닥면 일부가 개구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오븐실의 바닥면 일부가 개구되면, 상기 오븐실에서 음식물을 조리 또는 상기 오븐실의 내외부로 음식물을 출납하는 과정에서 음식물 찌꺼기 등이 상기 오븐실과 버너챔버의 개구된 부분을 통하여 상기 버너챔버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 찌꺼기 등에 의하여 제품이 오염될 우려가 발생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오븐실의 바닥면 일부가 개구되어 있으므로, 바닥면의 개구에 의해서 오븐실의 청소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오븐실의 하방에 하부 버너가 설치되므로, 버너 설치 공간 만큼 캐비티 용량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또한, 오븐실의 외측에 하부 버너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하부 버너로 공급되는 혼합가스의 점화를 위한 점화부의 교체나 점검의 필요 시 오븐실을 둘레싸는 외부 케이스를 분리시켜야 하므로, 작업이 복잡하고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실의 청소가 용이하며 용량이 증가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혼합가스의 점화를 위한 점화부로의 용이한 접근이 가능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에 배치되며, 다수의 가스 배출홀을 구비하는 버너; 상기 프레임 내에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배출홀 중 하나 이상에서 배출되는 혼합가스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부; 및 상기 버너에 대한 상기 점화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기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점화부를 상기 버너에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버너에 결합되는 제1브라켓과, 상기 점화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브라켓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제2브라켓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 중 어느 하나는 제1후크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1후크가 결합되는 후크 결합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후크가 상기 후크 결합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브라켓 및 상기 제2브라켓은 제1체결부재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조리실의 전후 방향으로 상기 제1브라켓 및 상기 제2브라켓을 체결시킨다.
또한, 상기 제2브라켓과 상기 점화부 중 어느 하나는 제2후크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2후크가 관통하는 후크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2후크가 상기 후크 관통홀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제2브라켓 및 상기 점화부는 제2체결부재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체결부재의 체결 높이와 상기 제2체결부재의 체결 높이가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브라켓은 체결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브라켓은 상기 체결 리브가 삽입되는 리브 삽입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 리브가 상기 리브 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브라켓 및 상기 제2브라켓이 상기 제1체결부재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화부는 점화봉을 포함하고, 상기 점화봉은 상기 버너의 다수의 가스 배출홀 중 하나 이상의 가스 배출홀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너는, 양단부가 이격된 버너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버너 튜브는 내주면과 외주면을 포함하며, 상기 내주면에 상기 다수의 가스 배출홀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너 튜브를 감싸는 버너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점화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버너 커버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너 커버는 공기가 통과하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와 상기 버너 튜브 사이 영역에 상기 점화봉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내에서 상기 버너를 감싸는 버너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점화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버너 커버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점화부를 상기 버너 커버에 결합시킬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에 배치되며, 상기 조리실과 구획된 연소 챔버를 형성하는 버너 커버; 상기 연소 챔버에 배치되며, 다수의 가스 배출홀을 구비하는 버너; 및 상기 연소 챔버에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배출홀 중 하나 이상에서 배출되는 혼합가스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점화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버너 또는 상기 버너 커버에 결합되는 제1브라켓과, 상기 점화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브라켓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제2브라켓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 중 어느 하나는 후크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후크가 결합되는 후크 결합홀을 포함하며, 상기 후크가 상기 후크 결합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브라켓 및 상기 제2브라켓은 체결부재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너 커버는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제1브라켓 및 상기 제2브라켓을 체결시킬 수 있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 내측에 위치된 버너에 대한 점화부의 위치가 고정 기구에 의해서 고정됨에 따라서, 점화부의 점검이나 교체 필요 시 점화부를 조리기기의 외부로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버너에 결합된 제1브라켓과 점화부에 결합된 제2브라켓이 후크에 의해서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을 최종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체결부재의 개수가 줄어들게 되어 작업 시간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체결부재의 체결 방향 또는 체결 해제 방향이 조리실의 전후 방향이므로, 사용자가 제1체결부재를 쉽게 체결 또는 체결 해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3체결부의 체결 리브가 버너 결합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체결부가 제1체결부재에 의해서 브라켓 체결부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체결부재의 체결 과정에서 버너 결합부에 대해서 브라켓 체결부가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버너의 내주면에 다수의 가스 배출홀이 형성되고, 다수의 가스 배출홀이 형성하는 영역을 공기가 통과하므로, 상기 버너의 화염의 열기에 의해서 조리실 내의 공기가 충분히 가열될 수 있다.
또한, 버너가 배치되는 공간과 독립적인 공간에 팬이 배치되므로, 버너의 화염에 의해서 팬이 가열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후측벽 또는 일측벽에 상기 버너 어셈블리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버너 어셈블리가 상기 프레임의 하방에 위치하지 않고, 상기 프레임의 후측벽 또는 일측벽에 설치됨에 따라 상기 프레임의 바닥벽에 하방으로 함몰되는 함몰부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프레임의 용량이 증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프레임의 바닥벽에 외부로 노출되는 개구가 존재하지 않게 되어 이물질이 프레임을 통과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도어가 제거된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도 2에서 버너 어셈블리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너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너 기구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버너 기구의 제1커버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8은 도 5의 버너 기구의 제2커버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너에 점화부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버너에서 점화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점화부에 결합되는 제2브라켓의 사시도.
도 13은 점화부가 설치된 버너가 버너 커버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너 어셈블리가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수직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서 제2도어가 분리된 상태의 조리기기의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도어가 제거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1)는, 오븐부(oven unit: 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기기(1)는, 쿡탑부(cook-top unit: 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기기(1)는, 드로워부(drawer unit: 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기기(1)는, 컨트롤부(control unit: 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1)는 아우터 케이스(outer case: 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11)는 상기 오븐부(20)와 상기 드로어부(40)의 양측면 및 후면을 커버할 수 있다.
다만, 조리기기(1)의 종류에 따라 상기 쿡탑부(60) 및 드로워부(40)는 생략 가능하다.
상기 쿡탑부(60), 오븐부(20) 및 드로워부(40)는 각각 상기 조리기기(1)의 상부, 중앙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부(50)는 상기 조리기기(1)의 상면 후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쿡탑부(60)는 다수의 쿡탑 버너(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쿡탑 버너(61)는, 가스를 연소시켜서 발생되는 화염으로 음식물이 담겨진 용기 또는 음식물을 직접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상기 쿡탑부(60)의 전단부에는, 다수의 쿡탑 버너(61)를 조작하는 조작부(62)가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조작부(62)는 상기 쿡탑부(60)의 상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예로서, 상기 쿡탑부(60)는, 하나 이상의 전기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하나 이상의 전기히터는 상기 쿡탑부(6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쿡탑부(60)를 구성하는 가열원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오븐부(20)는, 음식물의 조리가 수행되는 조리실(22)을 형성하는 프레임(frame: 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1)은 일 예로 전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오븐부(20)는, 상기 조리실(22)에 수용된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버너 어셈블리(burner assembly: 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븐부(20)는, 상부 버너(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너 어셈블리(23)와 상기 상부 버너(24)는 동시에 작동할 수도 있고, 어느 하나만이 작동할 수도 있다.
상기 상부 버너(24)는 상기 프레임(21) 내에서 음식물의 상방에서 열을 음식물로 제공하고, 상기 버너 어셈블리(23)는 상기 프레임(21) 내에서 음식물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버너(24)는 일 예로 상기 프레임(21)의 상측벽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버너 어셈블리(23)는 상기 프레임(21)의 후측벽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오븐부(20)는, 상기 조리실(22)을 개폐하는 도어(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25)는 상기 조리기기(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도어(25)는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동하는 풀-다운(pull-down)방식으로 상기 조리실(22)을 개폐하며,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도어(25)의 작동 방식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도어(25)의 전면 상단에는 상기 도어(25)의 회전을 위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도어 핸들(2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부(40)는 음식물이 담겨지는 용기 등을 소정의 온도로 보온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드로워부(40)에는 용기가 수납되는 드로워(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41)는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서 상기 조리기기(1)에 인입되거나 상기 조리기기(1)에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드로어(41)의 전면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핸들(4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부(50)는 상기 조리기기(1)의 동작을 위한 조작신호, 구체적으로는, 상기 쿡탑부(60), 오븐부(20) 및 드로워부(40)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위한 조작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부(50)는 상기 조리기기(1)의 동작에 관한 각종 정보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서 버너 어셈블리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너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21)은, 양측벽(31)과, 바닥벽(32)과, 상측벽(33)과, 후측벽(35)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방"은 상기 조리기기(1)의 전면을 향하는 방향이고, "후방"은 상기 조리기기(1)의 후면을 향하는 방향이다.
그리고, 상기 조리실(22)에서 "전방"은 상기 오븐부(20)의 도어(25)를 향하는 방향이고, "후방"은 상기 프레임(21)의 후측벽(35)을 향하는 방향임을 밝혀둔다.
상기 프레임(21)의 후측벽(35)에 상기 버너 어셈블리(23)가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버너 어셈블리(23)가 상기 프레임(21)의 하방에 위치하지 않고, 상기 프레임(21)의 후측벽(35)에 설치됨에 따라 상기 프레임(21)의 바닥벽(32)에 하방으로 함몰되는 함몰부(32a)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프레임(21)의 용량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위에서는 상기 버너 어셈블리(23)가 상기 프레임(21)의 후측벽(35)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프레임(21)의 양측벽(31)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버너 어셈블리(23)는, 버너 기구(burner device: 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너 기구(100)는, 가스를 연소시켜 화염을 발생시기기 위한 버너(110)와, 상기 버너(110)를 커버하는 버너 커버(burner cover: 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너 어셈블리(23)는, 상기 버너 기구(100)를 커버하는 어셈블리 커버(assebly cover: 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너 어셈블리(23)는, 팬(fan: 210)과, 팬 모터(fan motor: 2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프레임 내에 위치"하는 것은 "프레임이 형성되는 공간 내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프레임(21)의 후측벽(35)에는 상기 버너(110)가 관통하기 위한 버너 홀(36)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버너(110)는 상기 프레임(21) 내에 위치되고, 일부가 상기 버너 홀(36)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21)의 후측벽(35)과 상기 아우터 케이스(1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1)의 상측벽(33)에는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홀(34)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배기홀(34)이 상기 상측벽(33)에 형성되지 않고, 상기 프레임(21)의 후측벽(35) 또는 양측벽(31) 중 일측벽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버너 커버(130)는, 제1커버(140)와, 제2커버(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커버(14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버너(110)의 앞쪽에서 상기 버너(110)를 커버하고, 상기 제2커버(14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버너(110)의 뒷쪽에서 상기 버너(110)를 커버한다.
상기 버너 기구(100)는, 상기 버너(110)로 공급된 혼합가스의 점화를 위한 점화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너 기구(100)는, 상기 버너(110)에서 발생되는 화염의 안정화를 위한 스테빌라이져(stabilizer: 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화부(230)는 상기 프레임(21) 내에서 일 예로 상기 버너(11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점화부(230)가 상기 버너(1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점화부(23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버너 커버(13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버너 기구(100)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팬 모터(212)는 상기 프레임(21)의 후측벽(35)과 상기 아우터 케이스(11)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팬(210)은 상기 프레임(21)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팬 모터(212)의 축(213)은 상기 프레임(21)의 후측벽(35)을 관통하여 상기 팬(2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팬 모터(212)는 도시되지 않은 모터 마운트(motor mount)에 의해서 상기 프레임(21)의 후측벽(35) 또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1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는 상기 버너 기구(100)를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는 음식물의 조리과정에서 음식물 찌꺼기 등이 상기 버너 기구(100)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는, 전면 플레이트(191)와, 상기 전면 플레이트(191)에서 상기 프레임(21)의 후측벽(35)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193)와, 상기 연장부(193)에서 절곡되는 접촉부(19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플레이트(191)에는 상기 조리실(22)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192)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193)에는 상기 버너 기구(100)에 의해서 가열된 공기를 상기 조리실(22)로 토출시키는 공기 토출구(194)가 형성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 공기 토출구(194)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191)에 형성되거나 상기 전면 플레이트(191)와 상기 연장부(193) 각각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접촉부(195)는 상기 버너 기구(100)를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21)의 후측벽(35)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195)에는 도시되지 않은 체결부재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19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가 상기 프레임(21)의 후측벽(35)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의 하단은 상기 프레임(21)의 바닥벽(32)에 접촉할 수 있다. 즉, 상기 전면 플레이트(191)와 연장부(193) 및 접촉부(195)의 하단은 상기 프레임(21)의 바닥벽(32)에 접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191)와 연장부(193)가 상기 프레임(21)의 바닥벽(32)에 접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는 상기 프레임(21)의 바닥벽(32)의 함몰부(32a)와 상기 후측벽(35)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21)의 바닥벽(32)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버너 어셈블리(23)는 상기 버너(110)로 가스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 홀더(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 홀더(220)는 상기 프레임(21)의 후측벽(35)과 상기 아우터 케이스(11)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상기 프레임(21)의 후측벽(35)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프레임(21)의 외측에 단열재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단열재에 상기 노즐 홀더(220)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노즐 홀더(220)는 상기 프레임(21)의 후측벽(35)을 관통한 상기 버너(110)와 정렬되어 상기 버너(110)로 가스를 분사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너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버너 기구의 제1커버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버너 커버(130)는 가스가 연소되기 위한 연소 챔버(C)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소 챔버(C)에 상기 버너(11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버너 커버(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커버(140) 및 제2커버(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140)는, 제1플레이트(1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140)는, 상기 제1플레이트(14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148)와, 상기 제1연장부(148)에서 절곡되는 제1체결부(14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141)는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의 공기 흡입구(192)를 통하여 흡입된 상기 조리실(22)의 공기가 통과하는 제1개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의 공기 흡입구(192)는 그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 흡입구(192)는 다수의 홀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만, 상기 다수의 홀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기 흡입구(192)의 전체적인 윤곽은 일 예로 원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공기 흡입구(192)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제1커버(140)의 제1개구(142)를 원활히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개구(142)의 직경은 상기 공기 흡입구(192)의 윤곽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141)는 상기 제1개구(142)의 하방에 위치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141)의 강도 보강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1보강부(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제1보강부(144)는 가로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는 일 예로 다수의 제1보강부(144)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개시되나,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보강부(144)의 개수 및 배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예를 들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보강부(144)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제1보강부(144)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보강부(144)는 상기 제1플레이트(141)에서 전방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보강부(144)가 상기 제1플레이트(141)에서 상기 도어(25)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상기 제1플레이트(141)의 일부가 포밍될 수 있다.
상기 버너 어셈블리(23)가 상기 프레임(21)의 후측벽(35)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보강부(144)는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에 접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버너 어셈블리(23)가 상기 프레임(21)의 후측벽(35)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보강부(144)는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와 이격되고,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에 외력이 가해지거나 상기 제1플레이트(141) 또는 어셈블리 커버(190)가 열에 의해서 팽창하는 경우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와 접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1보강부(144)에 의해서, 상기 제1플레이트(141)의 열 변형이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플레이트(141)가 변형되더라도 상기 제1보강부(144)가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에 접촉함에 따라서 상기 제1플레이트(141)의 추가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다수의 제1보강부(144) 중 일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141)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141)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하나 이상의 제1보강부(144)가 상기 제1플레이트(141)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플레이트(141)는, 상기 제1개구(142)의 둘레부에 위치되어 강도 보강을 위한 제2보강부(1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개구(142)는 일 예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보강부(153)는 상기 제1개구(142)를 감싸는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개구(142)의 형상 및 개수에는 제한이 없고, 상기 제2보강부(153)의 형상 및 개수에도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제2보강부(153)는 상기 제1플레이트(141)에서 전방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보강부(153)가 상기 제1플레이트(141)에서 상기 도어(25)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상기 제1플레이트(141)의 일부가 포밍될 수 있다.
상기 버너 어셈블리(23)가 상기 프레임(21)의 후측벽(35)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보강부(153)는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에 접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버너 어셈블리(23)가 상기 프레임(21)의 후측벽(35)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보강부(153)는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와 이격되고,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에 외력이 가해지거나 상기 제1플레이트(141) 또는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가 열에 의해서 팽창하는 경우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141)의 제1개구(142)는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의 공기 흡입구(192)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의 공기 흡입구(192)를 통과한 공기가 유동 방향의 변화없이 상기 제1플레이트(141)의 제1개구(142)로 유동하므로 상기 프레임(21) 내에서의 공기 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141)는 상기 연소 챔버(C)로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1유입홀(143)를 구비하는 제1삽입부(1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유입홀(143)은 상기 제1플레이트(141)에서 상기 제1보강부(144)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도 6에는 일 예로 다수의 제1유입홀(143)이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도시되나,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유입홀(143)의 개수, 배치 및 형상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제1삽입부(151)는 상기 프레임(21)의 바닥벽(32)을 관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유입홀(143)은 상기 프레임(21)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21) 외측의 공기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유입홀(143)을 통하여 상기 연소 챔버(C)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141)는 상기 연소 챔버(C)로 공급된 공기를 상기 버너(110)에서 생성된 화염 측으로 가이드하여, 공기와 화염 간의 접촉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에어 가이드(air guide: 1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 가이드(146)는 상기 제1플레이트(141)에서 후방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에어 가이드(146)가 상기 제1플레이트(141)에서 상기 프레임(21)의 후측벽(35)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상기 제1플레이트(141)의 일부가 포밍될 수 있다.
상기 에어 가이드(146)는, 곡선부(146a)와, 상기 곡선부(146a)의 일단 또는 양단에 위치되는 직선부(146b, 146c)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에어 가이드(146)가 곡선부(146a) 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에어 가이드(146)의 곡선부(146a)는 일 예로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곡선부(146a)의 반경은 상기 제2보강부(153)의 반경 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곡선부(146a)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보강부(153)와 상기 제1보강부(14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개구(142)의 중심에서 곡선부(146a) 까지의 거리는 상기 버너(110)의 내주면 반경 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소 챔버(C)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에어 가이드(146)에 의해서 상기 버너(110)의 화염 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에어 가이드(146)는 상기 제1플레이트(141)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1플레이트(141)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 가이드(146)가 공기의 유동을 원활히 가이드하기 위하여 단면은 라운드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체결부(149)에는 상기 제2커버(160)와 체결부재에 의해서 체결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1체결홀(15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도 5의 버너 기구의 제2커버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 도 5,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2커버(160)는, 제2플레이트(1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160)는, 상기 제2플레이트(161)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165)와, 상기 제2연장부(165)에서 절곡되는 제2체결부(1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플레이트(161)는 상기 연소 챔버(C)에서 가열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2개구(1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개구(162)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개구(162)의 직경은 상기 제1개구(142)의 직경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2플레이트(161)는 상기 버너(110)가 체결되기 위한 버너 체결홀(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플레이트(161)는 상기 버너(110)가 상기 제2플레이트(161)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돌출부(1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164)는 상기 제2플레이트(161)에 상기 버너(11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버너(110)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164)가 상기 버너(110)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상기 제2플레이트(161)의 일부가 포밍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164)는 상기 버너(110)와 접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164)는, 상기 버너(110)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버너(110)와 인접할 수 있고, 상기 버너(110)에 외력이 가해지거나 상기 제2플레이트(161)가 변형되는 경우에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164)가 상기 버너(110)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경우든,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164)에 의해서 상기 버너(110)가 상기 제2플레이트(161)와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2플레이트(161)가 하나 이상의 돌출부(164)를 포함함에 따라서 상기 제2플레이트(161)의 열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버너(110)가 상기 제2커버(160)에 설치되고, 상기 제2커버(160)에 상기 제1커버(140)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버너(110)는 상기 제1커버(140)의 제1플레이트(141) 및 상기 제2플레이트(161)와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연소 챔버(C)로 유입된 상기 프레임(21) 외부의 공기는 상기 제1플레이트(141)와 상기 버너(110) 사이 및 상기 제2플레이트(161)와 상기 버너(110) 사이를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플레이트(161)가 다수의 돌출부(164)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다수의 돌출부(164)는 상기 버너(110)가 상기 제2커버(16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버너(110)와 전후 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플레이트(161)는 상기 스테빌라이져(180)가 체결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스테빌라이져 체결홀(16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166)는 상기 제1체결부(149)의 제1체결홀(150)을 관통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2체결홀(169)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1커버(140) 및 상기 제2커버(160) 각각이 제1체결부 및 제2체결부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제1커버(140)의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커버(160)의 제2연장부가 체결부재에 의해서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2커버(160)는 상기 프레임(21)의 바닥벽(32)을 관통하는 제2삽입부(16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삽입부(167)에는 하나 이상의 제2유입홀(167a)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2유입홀(167a)은 상기 프레임(21)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21) 외측의 공기가 상기 하나 이상의 제2유입홀(167a)을 통하여 상기 연소 챔버(C)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140)가 상기 제2커버(160)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커버(140)의 제1삽입부(151)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커버(160)의 제2삽입부(167)와 이격될 수 잇다.
도 8에는 일 예로 다수의 제2유입홀(167a)이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도시되나,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유입홀(167a)의 개수, 배치 및 형상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1커버(140)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제1유입홀(143)과 상기 제2커버(160)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제2유입홀(167a)에 의해서 상기 프레임(21) 외측의 공기가 상기 연소 챔버(C)로 원활히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160)는 상기 제2커버(160)를 상기 프레임(21)의 후측벽(35)에 설치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설치부(16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하나 이상의 설치부(168)는 상기 제2플레이트(161)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설치부(168)에 의해서 상기 제2커버(160)가 상기 프레임(21)의 후측벽(35)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플레이트(161)가 상기 프레임(21)의 후측벽(35)과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플레이트(161)와 상기 프레임(21)의 후측벽(35) 사이 공간에 상기 팬(21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팬(210)은 상기 버너 커버(130)가 형성하는 연소 챔버(C)의 외부의 별도의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제2커버(160)는 상기 버너(110)의 일부가 관통하기 위한 버너 관통부(1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너 관통부(171)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제2플레이트(161)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버너 관통부(171)가 상기 제2플레이트(161)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2플레이트(161)가 포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너 관통부(171)에는 버너 관통홀(17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버너 관통홀(172)은 상기 프레임(21)의 후측벽(35)에 형성되는 버너 홀(36)과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160)가 상기 프레임(21)의 후측벽(35)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버너 관통부(171)는 상기 프레임(21)의 후측벽(35)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버너 커버(130)의 제2개구(162)를 통과한 가열공기는 상기 버너 커버(130)와 상기 프레임(21)의 후측벽(35) 사이 공간을 유동한 후에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의 공기 토출구(194)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22)로 토출된다.
이 때, 상기 제2커버(160)가 상기 프레임(21)의 후측벽(35)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버너 관통부(171)는 상기 프레임(21)의 후측벽(35)과 접촉함에 따라서, 가열공기가 상기 버너 관통홀(172)을 통하여 상기 연소 챔버(C)로 재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가열공기가 상기 프레임(21)의 후측벽(35)의 버너 홀(36)을 통하여 상기 프레임(21)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너에 점화부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은 버너에서 점화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는 점화부에 결합되는 제2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너(110)는, 양단부가 이격되는 버너 튜브(burner tube: 11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버너 튜브(111)는 비 원형(non-annular)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버너 튜브(111)의 적어도 일부는, "U"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너 튜브(111)의 제1단부(111a)에는 가스와 공기가 공급되는 공급부(120)가 구비되고, 상기 버너 튜브(111)의 제2단부(111b)는 막혀있다.
상기 공급부(120)는 상기 버너 튜브(111)의 제1단부(111a)에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급부(120)를 통하여 공급된 가스와 공기는 상기 제1단부(111a)에서 유동 방향이 변화된 후에 상기 버너 튜브(111)를 따라 제2단부(111b)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공급부(120)를 통하여 공급된 가스 및 공기는 상기 버너 튜브(111) 내에서 일 방향으로만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버너 튜브(111)는 전체적으로 곡선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1단부(111a)와 상기 제2단부(111b) 중 하나 이상이 직선 형태로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이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버너 튜브(111)는, 내주면(inner periphery: 112)과 외주면(outer periphery: 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너 튜브(111)의 내주면(112)에는 다수의 가스 배출홀(gas outlet hole: 114, 115)이 구비된다. 다수의 가스 배출홀(114, 115)은 다수 열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열(row)"은 상기 버너 튜브(111)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된 가스 배출홀의 집합을 의미한다.
상기 다수 열의 가스 배출홀(114, 115)은, 다수의 제1가스 배출홀(114)과, 다수의 제2가스 배출홀(11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는 일 예로 2열의 가스 배출홀(114, 115)이 상기 버너 튜브(111)의 내주면(112)에 구비되나, 본 실시 예에서 가스 배출홀의 열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즉, 1열의 가스 배출홀이 상기 버너 튜브(111)의 내주면(112)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어느 한 열의 가스 배출홀(114, 115)은 상기 버너 튜브(111)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어느 한 열의 가스 배출홀(114)은 다른 한 열의 가스 배출홀(115)와 이격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인접하는 두 열의 가스 배출홀(114, 115)에서 발생되는 화염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인접하는 두 열의 가스 배출홀(114, 115)은 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어느 한 열의 인접하는 가스 배출홀(114) 사이 영역과 대응하는 영역에 다른 한 열의 가스 배출홀(115)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스 배출홀(114, 115)에서의 혼합가스의 배출량이 많으면 화염이 커지게 된다. 상기 버너 튜브(110) 내에서 상기 제2단부(111b)는 막혀있으므로, 상기 제2단부(111b) 측으로 혼합가스가 쏠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단부(111a) 측의 가스 배출홀의 직경과 상기 제2단부(111b) 측의 가스 배출홀의 직경이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제2단부(111b) 측의 혼합가스의 양이 많으므로 상기 제2단부(111b) 측의 가스 배출홀의 화염이 크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버너 튜브(111)의 가스 배출홀(114, 115)에서의 화염의 크기가 전체적으로 균일해지도록, 상기 제2단부(111b) 측의 가스 배출홀의 직경이 상기 제1단부(111a) 측의 가스 배출홀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버너 튜브(111)의 길이를 이등분하는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2단부(111b)를 포함하는 부분의 가스 배출홀의 직경이 상기 제1단부(111a)를 포함하는 버너 튜브(111)의 가스 배출홀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버너 튜브(111)의 내주면(112)의 반경은, 상기 제2커버(160)의 제2개구(162)의 반경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2개구(162)가 비원형인 경우에는 상기 버너 튜브(111)의 내주면(112)의 반경은 상기 제2개구(162)의 최대 길이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버너 튜브(111)에는 상기 버너 튜브(111)를 상기 제2커버(160)에 설치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설치부(12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설치부(126)는 일 예로 상기 제2커버(160)에 스크류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설치부(126)와 상기 제2커버(160)의 결합 방식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설치부(126)가 상기 제2커버(160)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버너 튜브(111)는 상기 제2커버(160)의 제2플레이트(161)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120)는 상기 노즐 홀더(220)와의 정렬을 위한 다수의 가이드(121, 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가이드(121, 122)는 서로 이격되며, 상기 프레임(21) 외측의 공기는 다수의 가이드(121, 122)의 사이 공간을 통하여 상기 노즐 홀더(220)에서 분사된 가스와 함께 상기 공급부(12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120)는 상기 제2커버(160)의 버너 관통홀(172)과 상기 프레임(21)의 후측벽(35)의 버너 홀(36)을 관통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버너의 내주면에 다수의 가스 배출홀이 형성되고, 다수의 가스 배출홀이 형성하는 영역을 공기가 통과하므로, 상기 버너의 화염의 열기에 의해서 조리실 내의 공기가 충분히 가열될 수 있다.
또한, 버너의 내주면에서 화염이 발생됨에 따라서 화염 간의 간격이 가스 배출홀에서 멀어질수록 가까워지게 되어, 공기 유동에 의해서 화염이 꺼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점화부(230)는 고정 기구에 의해서 상기 버너(110)와의 상대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점화부(230)는 상기 고정 기구에 의해서 상기 버너(11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버너(110)에 결합되는 제1브라켓(bracket: 250)과, 상기 점화부(230)에 결합되는 제2브라켓(2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260)은 상기 제1브라켓(250)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260)은 상기 제1브라켓(250)에 직접 연결되거나 별도의 연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제1브라켓(250)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2브라켓(260)이 상기 제1브라켓(250)에 직접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브라켓(250)은 상기 버너(110)에서 상기 공급부(120)와 인접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250)은 상기 버너(110)에 결합되는 버너 결합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너 결합부(252)는 상기 버너(110)의 외측에 용접 결합되거나 상기 버너(110)의 외측에 구비된 체결부(미도시)에 스크류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250)은 상기 제2브라켓(260)과 결합되기 위한 브라켓 결합부(2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결합부(254)는 상기 버너 결합부(252)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버너 결합부(25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250)이 상기 버너(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브라켓(250)은 상기 버너 튜브(111)의 제1단부(111a)와 제2단부(111b)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결합부(254)는, 상기 제2브라켓(260)과 결합되기 위한 제1후크(2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결합부(254)는, 상기 제2브라켓(260)과 제1체결부재(270)에 의해서 체결되기 위한 제1체결홀(2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제1후크(256)과 상기 제1체결홀(255)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후크(256)는 상기 제1체결홀(255)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후크(256)가 상기 제1체결홀(255)의 하방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2브라켓(260)은, 상기 제1브라켓(250)과 체결되기 위한 제1체결부(2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261)는, 상기 제1후크(256)가 결합되는 후크 결합홀(264)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1후크(256)가 상기 제2브라켓(260)에 구비되고, 상기 후크 결합홀(264)이 상기 제1브라켓(250)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체결부(261)는, 상기 제1체결부재(270)에 의해서 상기 제1브라켓(260)과 체결되기 위한 제2체결홀(26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260)의 제1후크(256)가 상기 후크 결합홀(264)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부재(270)가 상기 제2체결홀(265) 및 제1체결홀(255)에 체결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후크 결합홀(264)과 상기 제2체결홀(265)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후크 결합홀(264)은 상기 제2체결홀(265)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후크 결합홀(264)이 상기 제2체결홀(265)의 하방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2브라켓(260)은, 상기 점화부(230)와 체결되기 위한 제2체결부(2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262)는 상기 제1체결부(261)에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262)는, 상기 점화부(230)와 결합되기 위한 제2후크(26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262)는, 상기 점화부(230)와 체결될 제2체결부재(243)가 관통하기 위한 제3체결홀(26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제2후크(268)와 상기 제3체결홀(267)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3체결홀(267)은 상기 제2후크(268)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3결합홀(267)이 상기 제2후크(268)의 하방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2체결홀(265)에 체결되는 제1체결부재(270)와, 상기 제3체결홀(267)에 체결되는 제2체결부재(243) 간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2브라켓(260)에서 상기 제2체결홀(265)과 상기 제3체결홀(267)은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2에는 일 예로 제3체결홀(267)이 상기 제2체결홀(265) 보다 높게 위치되는 것이 도시되나,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즉, 상기 제1체결부재(270)와 제2체결부재(243)의 체결 높이가 다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체결부재(270)의 체결 방향은,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조리실(22)의 전후 방향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체결부재(270)의 체결 방향은 상기 버너 커버(130)의 개구(142, 162)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260)은, 상기 제1브라켓(250)의 버너 결합부(252)에 결합되는 제3체결부(2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체결부(263)는 상기 제2체결부(262)에서 절곡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제3체결부(263)는 상기 제1체결부(261)와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제3체결부(263)는 상기 버너 결합부(252)에 결합되기 결합 리브(26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리브(269)는 일 예로 상기 버너 결합부(252)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버너 결합부(252)는 상기 결합 리브(269)가 삽입되기 위한 리브 삽입홀(2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화부(230)는, 체결 가이드(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 가이드(240)는 상기 제2후크(268)가 관통하기 위한 후크 관통홀(2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 가이드(240)는 상기 제2체결부재(243)가 체결되기 위한 제4체결홀(2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후크(268)가 상기 후크 관통홀(241)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제2체결부재(243)가 상기 제4체결홀(242) 및 상기 제3체결홀(267)에 체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체결 가이드(240)가 제2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브라켓(260)이 상기 제2후크가 관통하는 후크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점화부가 설치된 버너가 버너 커버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점화부(230)의 일부는 상기 버너 커버(130)의 버너 관통부(171)에 위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고정 기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버너 커버(130)의 버너 관통부(171)가 형성하는 영역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브라켓(250) 및 상기 제2브라켓(260)에 체결된 제1체결부재(270)는 상기 버너 관통부(171)에 체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브라켓(250) 및 상기 제2브라켓(260)에 체결된 제1체결부재(270)는 상기 버너 관통부(171) 및 상기 프레임(21)의 후측벽(35)에 체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고정 기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버너 관통부(171)가 형성하는 영역 내에 위치됨에 따라서 상기 버너 커버(130)의 전후 방향 폭이 증가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점화부(230)는 점화봉(232)(ignition bar)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화봉(232)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점화봉(232)은 고온으로 가열되는 부분으로서, 혼합가스가 점화봉(232)에 접촉함에 따라서 혼합가스가 점화될 수 있다.
상기 점화부(230)가 상기 고정 기구에 의해서 상기 버너(1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점화봉(232)은 상기 버너(110)의 내주면(112)과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점화봉(232)은 상기 버너(110)의 내주면(112)과 상기 제2개구(162) 사이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점화봉(232)은 상기 버너(110) 내주면(112)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가스 배출홀(114, 115)과 마주볼 수 있다. 즉, 상기 버너(110)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가스 배출홀(114, 115)을 통하여 배출된 혼합가스가 상기 점화봉(232) 측으로 유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혼합가스의 점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버너 어셈블리의 조립 방법 및 상기 점화부의 분리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프레임(21)의 외측에서 상기 프레임(21)의 후측벽(35)에 노즐 홀더(220)와 팬 모터(212)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팬(210)을 상기 프레임(21)의 후측벽(35)의 전방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팬(210)에 상기 팬 모터(212)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커버(160)를 상기 프레임(21)의 내측에서 상기 프레임(21)의 후측벽(35)에 체결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제2커버(160)에 상기 버너(110)를 설치한다. 그 다음, 상기 버너(110)에 점화부(230)를 설치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버너(110)에 결합된 제1브라켓(250)에 상기 점화부(230)가 결합된 제2브라켓(260)을 결합시킬 수 있다. 먼저, 상기 제1브라켓(250)의 제1후크(256)가 상기 제2브라켓(260)의 후크 결합홀(264)을 관통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부재(270)를 상기 제2체결홀(265) 및 상기 제1체결홀(255)에 체결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체결부재(270)는 조리실의 전후 방향으로 상기 각 체결홀(255, 265)에 체결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제2커버(160)에 상기 제1커버(140)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를 상기 프레임(21) 내에서 상기 프레임(21)의 후측벽(35)에 결합시키면 상기 버너 어셈블리(23)의 조립은 완료된다.
다음으로, 상기 점화부(230)를 상기 조리기기(1)에서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도어(25)를 개방시킨다.
그 다음,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를 상기 프레임(21)의 후측벽(35)에서 분리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커버(160)에서 제1커버(140)를 분리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체결부재(270)의 체결을 해제한다. 이 때, 상기 제1체결부재(270)는 조리실(22)의 전후 방향으로 체결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재(270)의 체결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브라켓(260)의 후크 결합홀(264)에서 상기 제1후크(256)가 빠지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점화부(230)가 결합된 제2브라켓(260)이 상기 제1브라켓(250)과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점화부(230)를 상기 조리기기(1)의 외부로 꺼낼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점화부(230)와 상기 제2브라켓(260)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프레임 내측에 위치된 버너에 대한 점화부의 위치가 고정 기구에 의해서 고정됨에 따라서, 점화부의 점검이나 교체 필요 시 점화부를 조리기기의 외부로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버너에 결합된 제1브라켓과 점화부에 결합된 제2브라켓이 후크에 의해서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을 최종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체결부재의 개수가 줄어들게 되어 작업 시간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체결부재의 체결 또는 체결 해제 방향이 조리실의 전후 방향이므로, 사용자가 제1체결부재를 쉽게 체결 또는 체결 해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3체결부의 체결 리브가 버너 결합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체결부가 제1체결부재에 의해서 브라켓 체결부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체결부재의 체결 과정에서 버너 결합부에 대해서 브라켓 체결부가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너 어셈블리가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21)의 바닥벽(32)에는 상기 버너 커버(130)의 삽입부(151, 167)가 관통하는 관통홀(32b)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버너 커버(130)의 삽입부(151, 167)가 상기 관통홀(32b)을 관통함에 따라서 상기 삽입부(151, 167)는 상기 프레임(21)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부(151)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삽입부(167)는 서로 이격되어 제3유입홀(167b)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210)은 상기 연소 챔버(C) 외부 공간인 배기 유로(P1)에 배치된다. 상기 배기 유로(P1)는 상기 버너 커버(130)의 외면과 상기 프레임(21)의 후측벽(35)과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상기 버너(110)의 내주면에 다수의 가스 배출홀(114, 115)이 형성되고, 상기 연소 챔버(C)와 독립적인 배기 유로(P1)에 상기 팬(210)이 배치됨에 따라서, 상기 버너(110)의 화염에 의해서 상기 팬(210)이 가열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너(110)의 화염과 공기가 접촉하여 가열된 후에 상기 팬(210) 측으로 유동함에 따라서 상기 화염의 열기에 의해서 상기 공기가 충분히 가열될 수 있다.
또한, 공기가 버너(110)의 내주면에서 발생되는 화염에 의해서 연소 챔버(C)에서 가열된 후에 팬(210) 측으로 유동되므로, 상기 팬(210)의 회전에 따른 공기 유동에 의해서 화염이 팬(210) 측으로 꺽이더라도 화염이 공기를 가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버너 어셈블리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버너 어셈블리(23)가 작동 시작하면, 상기 노즐 홀더(220)에서 상기 버너(110)의 공급부(120)로 가스가 분사된다. 그러면, 상기 공급부(120) 주변의 공기(A1)(프레임 외측의 공기임)가 가스와 함께 상기 공급부(120)로 공급된다. 이 때, 상기 공급부(120) 주변의 공기(A1)는 상기 공급부(120)로 공급되는 가스 주변이 저압으로 형성됨에 따라 압력 차에 의해서 자연적으로 상기 공급부(120)로 공급된다(자연 급기 방식임).
따라서, 자연 급기 방식으로 공기가 상기 공급부(120)로 공급되는 경우, 가스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충분히 상기 공급부(120)로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버너(110)에서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가스의 불완전 연소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불완전 연소에 의한 일산화탄소의 발생량이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버너 커버(130)의 삽입부(151, 167)가 상기 프레임(21)의 바닥벽(32)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21)의 외측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연소 챔버(C)로 상기 버너(110)의 혼합가스의 연소를 위한 추가 공기(A2)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너 커버(130)에 구비되는 다수의 유입홀(143, 167a, 167b)이 상기 프레임(21)의 외측에 위치됨에 따라서, 상기 연소 챔버(C)로 상기 버너(110)의 혼합가스의 연소를 위한 추가 공기(A2)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연소 챔버(C)로 유입된 추가 공기(A2)는 상기 버너(110)를 향하여 유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버너(110)는 상기 제1커버(140)의 제1플레이트(141)와 상기 제2커버(160)의 제2플레이트(161)와 이격되기 때문에, 상기 연소 챔버(C)의 공기는 상기 버너(110)와 상기 제1플레이트(141) 사이 공간 및 상기 버너(110)와 상기 제2플레이트(161) 사이 공간을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소 챔버(C)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버너(110)에 형성된 제1가스 배출홀(114)과 제2가스 배출홀(115) 측으로 원활히 유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커버(140)에 에어 가이드(146)가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추가 공기(A2)가 상기 에어 가이드(146)에 의해서 제1가스 배출홀(114) 측으로 안내되므로, 추가 공기(A2)가 상기 제1가스 배출홀(114) 측으로 충분히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버너(110)로 혼합가스가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점화부(230)에 의해서 혼합가스가 점화되어 상기 버너(110)에서 화염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팬 모터(212)가 온되어 상기 팬(210)이 회전된다.
상기 팬(210)이 회전되면, 상기 조리실(22) 내의 공기는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의 공기 흡입구(192)를 통하여 상기 연소 챔버(C)로 유입된다. 이 때, 상기 연소 챔버(C)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버너(110)의 내주면(112)이 형성하는 영역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연소 챔버(C)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버너(110)에서 발생된 화염에 의해서 가열된 후에 상기 연소 챔버(C)에서 배출된다.
상기 연소 챔버(C)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제2커버(160)와 상기 프레임(21)의 후측벽(35) 사이의 배기 유로(P1)를 유동한 후에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의 공기 배출구(194)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22)로 배출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버너 커버(130)가 독립적인 연소 챔버(C)를 형성하고, 상기 버너 커버(130)에 의해서 상기 연소 챔버(C)와 상기 배기 유로(P1)가 구획된다.
따라서, 상기 배기 유로(P1)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연소 챔버(C)로 재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위의 실시 예에서는 제1브라켓(250)이 버너(110)에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제1브라켓(250)이 상기 버너 커버(130)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커버(160)에 상기 제1브라켓(250)이 결합되고, 상기 제1브라켓(250)에 상기 제2브라켓(260)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제2브라켓(260)이 상기 제1브라켓(250)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버너에 대한 상기 점화부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에서 제2도어가 분리된 상태의 조리기기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이전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오븐부의 개수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2)는, 다수의 오븐부(300, 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오븐부(300, 400)는, 제1오븐부(300)와, 상기 제1오븐부(300)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2오븐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오븐부(300, 400)는 각각 도어(310, 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오븐부(300, 400) 중 하나 이상에는 버너 어셈블리(430)가 구비된다. 상기 버너 어셈블리(430)의 구조는 제1실시 예에서 설명한 버너 어셈블리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6에는 일 예로 상기 제2오븐부(400)에 버너 어셈블리(430)가 구비되나, 제1오븐부(300)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다수의 오븐부(300, 400) 각각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조리기기 21: 프레임
23: 버너 어셈블리 110: 버너
130: 버너 커버 190: 어셈블리 커버
210: 팬 212: 팬 모터
230: 점화부 250: 제1브라켓
260: 제2브라켓

Claims (19)

  1. 조리실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에 배치되며, 다수의 가스 배출홀을 구비하는 버너;
    상기 프레임 내에 배치되며, 상기 버너를 감싸는 버너 커버;
    상기 프레임 내에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배출홀 중 하나 이상에서 배출되는 혼합가스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부; 및
    상기 버너에 대한 상기 점화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버너에 결합되는 제1브라켓과,
    상기 제1브라켓과 결합되며, 상기 점화부를 지지하는 제2브라켓과,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 및 상기 버너 커버를 체결하는 제1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 중 어느 하나는 제1후크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1후크가 결합되는 후크 결합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후크가 상기 후크 결합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 및 상기 버너 커버는 상기 제1체결부재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는 조리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재는 상기 조리실의 전후 방향으로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 및 상기 버너 커버를 체결시키는 조리기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라켓과 상기 점화부 중 어느 하나는 제2후크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2후크가 관통하는 후크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2후크가 상기 후크 관통홀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제2브라켓 및 상기 점화부는 제2체결부재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는 조리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재의 체결 높이와 상기 제2체결부재의 체결 높이가 다른 조리기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라켓은 체결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브라켓은 상기 체결 리브가 삽입되는 리브 삽입홀을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리브가 상기 리브 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 및 상기 버너 커버가 상기 제1체결부재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는 조리기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부는 점화봉을 포함하고,
    상기 점화봉은 상기 버너의 다수의 가스 배출홀 중 하나 이상의 가스 배출홀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조리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는, 양단부가 이격된 버너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버너 튜브는 내주면과 외주면을 포함하며, 상기 내주면에 상기 다수의 가스 배출홀이 구비되는 조리기기.
  12. 삭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 커버는 공기가 통과하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와 상기 버너 튜브 사이 영역에 상기 점화봉이 위치되는 조리기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내에서 상기 버너를 감싸는 버너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점화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버너 커버 내에 위치되는 조리기기.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점화부를 상기 버너 커버에 결합시키는 조리기기.
  16. 조리실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에 배치되며, 상기 조리실과 구획된 연소 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조리실의 공기가 통과하는 개구를 구비하는 버너 커버;
    상기 연소 챔버에 배치되며, 다수의 가스 배출홀을 구비하는 버너;
    상기 연소 챔버에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배출홀 중 하나 이상에서 배출되는 혼합가스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부; 및
    상기 연소 챔버에 배치되며, 상기 점화부를 상기 버너 커버에 구비되는 개구와 상기 버너의 사이영역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기구는, 상기 버너에 결합되는 제1브라켓과, 상기 제1브라켓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점화부를 지지하는 제2브라켓과,
    상기 점화부가 상기 제2브라켓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브라켓을 상기 제1브라켓 및 상기 버너 커버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7. 삭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 중 어느 하나는 후크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후크가 결합되는 후크 결합홀을 포함하며,
    상기 후크가 상기 후크 결합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브라켓 및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버너 커버에 체결될 수 있는 조리기기.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개구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제1브라켓 및 상기 제2브라켓을 상기 버너 커버에 체결시키는 조리기기.
KR1020150007751A 2015-01-16 2015-01-16 조리기기 KR101645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751A KR101645121B1 (ko) 2015-01-16 2015-01-16 조리기기
US15/000,576 US10222058B2 (en) 2015-01-16 2016-01-19 Cooking device
US16/250,833 US10982845B2 (en) 2015-01-16 2019-01-17 Cooking device
US17/191,597 US11725812B2 (en) 2015-01-16 2021-03-03 Cooking device
US18/217,065 US20230341123A1 (en) 2015-01-16 2023-06-30 Cook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751A KR101645121B1 (ko) 2015-01-16 2015-01-16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8552A KR20160088552A (ko) 2016-07-26
KR101645121B1 true KR101645121B1 (ko) 2016-08-02

Family

ID=56407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7751A KR101645121B1 (ko) 2015-01-16 2015-01-16 조리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4) US10222058B2 (ko)
KR (1) KR1016451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121B1 (ko) * 2015-01-16 2016-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ITUB20152351A1 (it) * 2015-07-21 2017-01-21 Tecno Spa Porta da forno
KR101708649B1 (ko) * 2015-09-25 2017-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 오븐 레인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8043B2 (ja) * 1991-12-05 2001-06-18 味の素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38231A (en) * 1965-06-08 1967-08-29 Harper Wyman Co Gas oven ignition
FR2079466A5 (ko) * 1970-02-02 1971-11-12 Capic Caillarec Ets
JP2751493B2 (ja) * 1989-12-07 1998-05-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焦点制御装置
JP3178043U (ja) * 2012-06-15 2012-08-30 株式会社 エコグリル 圧電点火機構を備えたコンロ
KR101469329B1 (ko) * 2012-11-27 2014-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 오븐 레인지
KR101645121B1 (ko) * 2015-01-16 2016-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8043B2 (ja) * 1991-12-05 2001-06-18 味の素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25812B2 (en) 2023-08-15
US20160209027A1 (en) 2016-07-21
US20210190312A1 (en) 2021-06-24
US10982845B2 (en) 2021-04-20
KR20160088552A (ko) 2016-07-26
US20230341123A1 (en) 2023-10-26
US20190154254A1 (en) 2019-05-23
US10222058B2 (en) 201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4505B1 (ko) 조리기기
KR101564503B1 (ko) 조리기기
KR101564504B1 (ko) 조리기기, 버너 및 버너 어셈블리
US20230341123A1 (en) Cooking device
US11391468B2 (en) Cooking device
KR101707749B1 (ko) 조리기기
KR101672634B1 (ko) 조리기기
US11125447B2 (en) Cooking apparatus
KR101671109B1 (ko) 조리기기
EP3150920B1 (en) Gas oven range
KR101671110B1 (ko) 조리기기
KR101623634B1 (ko)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