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4922B1 - Tdd 통신에서의 시그널링 - Google Patents

Tdd 통신에서의 시그널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4922B1
KR101644922B1 KR1020157009763A KR20157009763A KR101644922B1 KR 101644922 B1 KR101644922 B1 KR 101644922B1 KR 1020157009763 A KR1020157009763 A KR 1020157009763A KR 20157009763 A KR20157009763 A KR 20157009763A KR 101644922 B1 KR101644922 B1 KR 101644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extended
frame structure
signaling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9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8376A (ko
Inventor
에바 라에헤트칸가스
에사 타파니 티로라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filed Critical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Publication of KR20150058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8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43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04B7/265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for structure of frame, bur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Bidirectional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시분할 듀플렉스 통신 방식 하에서 동작하는 제 1 노드에 의해, 확장 송신 부분(200)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를 적용하는 단계 ― 확장 송신 부분(200)은 시간 도메인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노드와 동일한 송신/수신 패턴 하에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노드에 의해 적용된 프레임 구조의 수신 부분(202, RX)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함 ―; 및 확장 송신 부분(2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 2 노드로의 특정 시그널링을 초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TDD 통신에서의 시그널링{SIGNALING IN TDD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들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통신 방식으로 수행되는 크로스-노드 시그널링(cross-node signaling)에 관한 것이다.
시분할 듀플렉스(TDD)는 기지국(BS, eNB) 및 사용자 단말(UT, UE)과 같은 2개의 노드들 사이의 하나의 가능한 통신 시나리오이다. 하프-듀플렉스 기술(half-duplex technology)에 따르면, 하나의 노드가 전송하는 동안, 연결된 노드는 수신하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르면, 청구항 제 1 항 및 제 14 항에서 명시된 바와 같은 방법들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르면, 청구항 제 15 항, 제 28 항, 및 제 29 항에서 명시된 바와 같은 장치들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르면, 청구항 제 30 항에서 명시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르면, 앞서-언급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을 캐리(carry)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배포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르면, 장치로 하여금,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를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르면, 장치로 하여금,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를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르면,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실시예에서, 시분할 듀플렉스 통신 방식 하에서 동작하는 제 1 노드는, 확장 송신 부분(extended transmission part)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를 적용하고, 확장 송신 부분은 시간 도메인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노드와 동일한 송신/수신 패턴 하에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노드에 의해 적용된 프레임 구조의 수신 부분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하고, 확장 송신 부분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 2 노드로의 특정 시그널링을 초래한다.
실시예에서, 시분할 듀플렉스 통신 방식 하에서 동작하는 제 2 노드는, 확장 수신 부분(extended reception part)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를 적용하고, 확장 수신 부분은 시간 도메인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2 노드와 동일한 송신/수신 패턴 하에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노드에 의해 적용된 프레임 구조의 송신 부분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하고, 확장 수신 부분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 1 노드로부터의 특정 시그널링의 수신을 초래한다.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 1 노드에 의해 적용된 프레임 구조의 오버랩하는 송신 부분은 디폴트 송신 부분 또는 확장 송신 부분이다.
실시예에서, 제 2 노드는, 미리 규정된 주파수에 따라 확장 수신 부분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를 특정 프레임들에 적용하고 디폴트 TDD 프레임 구조를 다른 프레임들에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2 노드는, 제 2 노드에 의해 적용된 프레임 구조의 정보를 제 1 노드에 제공할 수 있고, 정보는: 프레임의 길이, 시간 도메인에서의 송신-수신 스위칭 포인트들, RX 부분들의 수, TX 부분들의 수, 보호 기간(guard period)의 길이, 프레임 구조가 확장 RX 부분을 포함하는지의 여부, 디폴트/확장 RX 부분의 길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확장 RX 부분들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낸다.
실시예에서, 제 2 노드는 적용될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 1 노드에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확장 수신 부분은 보호 기간에 인접한 프레임 구조에 로케이팅(locate)되고, 따라서, 송신과 수신 사이의 스위칭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서 규정된다.
다음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들 및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며, 도면들에서,
도 1은 멀티-홉 TDD 기반 통신 시나리오를 표시하고;
도 2a 내지 도 2d는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확장 송신 부분 및/또는 확장 수신 부분의 이용을 도시하고;
도 3 및 도 4는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도시하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라, 확장 송신 또는 수신 부분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의 주파수가 어떻게 설정될 수 있는지를 도시하고;
도 6a 및 도 6b는 실시예에 따른 전체 네트워크에 공통인 시그널링 포지션을 나타내고;
도 7a 및 도 7b는 실시예에 따른 특정 시그널링 포지션을 도시하고;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시그널링을 도시하고;
도 9 및 도 10은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들을 도시한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예시적이다. 본 명세서가 본문의 여러 위치들에서 "하나의" 또는 "몇몇" 실시예(들)를 참조할 수 있지만, 이는 반드시, 각각의 참조가 동일한 실시예(들)에 대해 이루어지는 것, 또는 특정 특징만이 단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상이한 실시예들의 단일 특징들은 또한, 다른 실시예들을 제공하기 위해 조합될 수 있다.
듀플렉스 통신 시스템은, 양쪽 방향들로 서로 통신할 수 있는 2개의 연결된 노드들 또는 디바이스들로 구성된 포인트-투-포인트 시스템이다. 하나의 특정 유형의 듀플렉스 통신은 하프-듀플렉스 시스템이고, 하프-듀플렉스 시스템은 양쪽 방향들로, 그러나 (풀-듀플렉스에서와 같이 동시가 아닌) 한번에 단지 하나의 방향으로만 통신들을 제공한다. 투-웨이 데이터-링크들에 있어서, 이러한 하프-듀플렉스 시스템에서의 통신을 위한 시간 할당들은 엄격하게 미리 규정되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분할 듀플렉스(TDD)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상이한 시간 슬롯들의 할당에 의해, 업링크(UL)가 다운링크(DL)로부터 분리되는 일 유형의 하프 듀플렉스 통신 방식이다. 다시 말해, UE 및 eNB는 동시에 전송 및 수신하도록 허용되지 않는다.
비-제한적인 시나리오로서, 다음에서, 로컬 영역을 위해 최적화된 멀티-홉 통신 토폴로지를 이용하는 프레이밍된 하프-듀플렉스 TDD 기반 무선 백홀 릴레이 네트워크(framed half-duplex TDD based wireless backhaul relay network)를 고려해 본다. 그러나, 유선 백홀(예를 들어, 전용 파이버(dedicated fiber))의 이용이 배제되지는 않는다. 광역 셀룰러 시스템들과 달리, 로컬 영역 시스템들은, 부가적인 이용가능한 대역폭의 이점을 취하기 위해, 전형적인 오퍼레이터 배치 및 공유 스펙트럼 이용, 라이센스-면제 스펙트럼(license-exempt spectrum) 또는 화이트 스페이스(white space)들을 포함하는 로컬-액세스-전용 주파수 대역(local-access-only frequency band)을 활용할 수 있다. 추가의 가능한 이점으로서, 로컬 영역 시스템은 애드-혹 네트워크(ad-hoc network)들을 확립하기 위해 효율적인 디바이스-투-디바이스(D2D) 동작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D2D 동작은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논의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D2D 통신을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2개의 노드들 사이에 적용할 가능성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도 1은 멀티-홉 통신 토폴로지를 이용하는 이러한 프레이밍된 TDD 기반 무선 백홀 릴레이 네트워크의 예시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기능성은 또한, 셀프-백홀링(self-backhauling)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 링크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스터 노드(즉, 이러한 예시 경우에서, 액세스 포인트(AP)(100)) 및 무선 백홀 링크들을 통해 이러한 마스터 노드에 연결되는 다른 노드들(즉, 단일 홉을 갖는 AP(102) 및 멀티-홉을 갖는 AP(104))이 존재한다. 간략화를 위해, 이러한 노드들이 액세스 포인트들(AP들)인 것을 가정해 본다. 그러나, "슬레이브" AP들(102 및 104)은 고정형 릴레이들(인밴드) 또는 심지어 AP들로서 기능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그 다음으로, UE들(모바일 디바이스들)(106)은 시스템의 AP들(100 내지 104)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UE(106)와 AP(102) 사이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UE(106)는 AP(102)에 연결된다.
도 1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프-듀플렉스 기술을 이용하는 TDD 시스템에서, 무선 링크들을 통해 서로 통신하는 네트워크 노드들은 "반대(opposite)" 프레임 구조들을 가져야 하는데, 즉, 이웃하는 연결된 디바이스들/노드들은 차례차례 전송(TX) 및 수신(RX)한다. 예를 들어, AP(100)가 전송할 때, 이웃 AP(102)는 수신하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 유사하게, AP(102)가 전송할 때, 이웃 노드들(AP(100), AP(104), 및 UE(106))은 수신한다. 이러한 엄격한 TX/RX 스위칭 시간들의 존재는, 노드들(100 내지 106) 각각이 차례차례 이웃 노드(들)로부터 신뢰적으로 데이터를 리스닝(listen) 및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매우 중요할 수 있다.
그러나, 엄격한 스위칭 시간들은 문제점들을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홉 토폴로지를 이용한 이러한 하프-듀플렉스 TDD 시스템에서의 기준 신호(RS)의 송신을 고려해 본다. 기준 신호는, 근처의 UE들이 RS를 히어링(hear)하고 연결할 최상의 이용가능한 eNB/AP를 도출할 수 있도록, RS를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다운링크에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성을 위해 충분한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시스템의 각각의 AP(100 내지 104)는 자신의 TX 시간 동안, 시스템의 UE들(106)에 의해 히어링 및 측정될 수 있는 특정 기준 신호를 어딘가에서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이러한 RS 정보는, 서빙 AP(100, 102 또는 104)를, 현재의 AP로부터 예를 들어, 더 우수한 채널 컨디션들을 갖는 AP로 스위칭할 때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제, 도 1에 표시된 바와 같은 시나리오의 문제점은, 도 1의 TDD 프레임 구조 모델에 따르면, UE(106)는, UE(106)가 "RX" 모드에 있는 동안, 즉, UE(106)가 채널을 리스닝할 때 전송되는 RS들만을 히어링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 결과, 예를 들어, 도 1의 UE(106)는 AP(100) 또는 AP(104)에 의해 전송된 RS들을 히어링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RS들은 UE(106)가 "RX" 모드에 있지 않은 시간 동안 전송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RS 신호 측정들의 수신은 중요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들은 초기 액세스를 위해서뿐만 아니라 핸드오버 시나리오들을 위해서도 이용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LTE 핸드오버는 UE(106)가 이웃 셀들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들을 자신의 홈 셀에 리포팅하는 것에 기초한다.
동일한 문제점이 UL 방향에 대해 또한 유효하다. 예를 들어, UL 방향에서 유사한 기준 신호 송신들이 존재할 수 있다(예를 들어, UE(106)는, AP들(100 내지 104)이 UL RS를 리스닝 및 측정할 수 있도록, RS를 전송함). 이러한 유형의 RS는 LTE 용어에서 사운딩 기준 신호로 지칭된다. 마찬가지로, 앞서 설명된 문제점이, 디바이스-투-디바이스(D2D) 시나리오들에서 또한 유효하고, 여기서 동일한 TX/RX 패턴을 갖는 네트워크 노드들은 서로 히어링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은 제한 팩터(restricting factor), 예를 들어, D2D에서, 무선 자원 예약 요청들 및 확인응답들에 기초하는 자원 할당 시그널링일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문제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신호들이 네트워크의 모든 AP들(100 내지 104)로부터 네트워크의 모든 UE들(106)에 의해 실질적으로 동시에 리스닝될 수 있도록, 기존의 TDD 프레임 구조를 수정하고, 동일한 Tx/Rx 패턴을 따르는 네트워크 노드들 사이의 인터-노드(크로스-노드로도 알려짐) 기준 및 제어 시그널링을 위한 지원을 포함시키는 것이 제안되었다. 그 다음으로, 크로스-노드 신호들은 예를 들어, (예를 들어, 도 1의 UE(106)와 AP(104) 사이에서) 사용하기 위해 동일한 TX/RX 패턴을 갖는 이웃 노드들 사이의 통신에 대한 필요성 및/또는 경로 손실을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2a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TDD 통신 방식 하에서 동작하는 제 1 노드, 그러니까, 비제한적인 예로서 AP(100)가, 단계(300)에서, 확장 송신(TX) 부분(200)(수직선들로 마킹됨)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를 적용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확장 TX 부분(200)은 디폴트 TX 부분(도면들에서 TX로 마킹됨)에 인접할 수 있다. 도면들에서 두꺼운 검은 선들은 (도 2a에서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보호 기간을 통한 TX/RX 또는 RX/TX 스위치를 표시한다. 도면들로부터, 확장 TX 부분(200)이 시간 도메인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노드(100)와 동일한 TX/RX 패턴 하에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노드에 의해 적용된 프레임 구조의 수신(RX) 부분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할 수 있다는 것이 검출될 수 있다. 오버랩하는 RX 부분은 디폴트 RX 부분 또는 확장 RX 부분(202)(나중에 도시되는 바와 같음)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2 노드는 예를 들어, 도 2a 내지 도 2d에서 가정되는 바와 같이, UE(106)일 수 있다.
따라서, UE(106)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AP(100)와 동일한 디폴트 TX/RX 패턴을 적용할지라도, 제 1 노드(AP(100))는 유리하게, 시간 기간(204) 동안 정보를 (도 2a에서 점선 화살표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또한 UE(106)에 전송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UE(106)가 그러한 시간 기간들에서 유효한 RX 부분을 갖기 때문이다. UE(106) 및 AP(100)의 프레임 구조들이 전체 프레임에 걸쳐 동일한 TX/RX 패턴을 따를 필요가 없다는 것이 주목될 수 있다. 그러나, UE(106)에 의해 적용된 프레임 구조는, 특정 시그널링이 UE(106)에 전송될 프레임들의 부분들에 관해 AP(100)와 동일한 TX/RX 패턴을 따를 수 있다. 프레임의 특정 부분들, 이를 테면, 프레임들의 보호된 부분들만이 동일한 TX/RX 패턴을 따르고, 그 부분이 특정 시그널링이 통신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는 곳일지도 모른다. 프레임의 나머지는 동일한 TX/RX 패턴을 따르거나 따르지 않을 수 있다. 단계(302)에서, 제 1 노드(예를 들어, AP(100))는, 확장 TX 부분(2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 2 노드(예를 들어, UE(106))로의 특정 시그널링을 초래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 동일한 TDD TX/RX 패턴을 갖는 다른 노드로의 직접적 데이터 송신은 가능하지 않을 것인데, 그 이유는 TX로부터 RX로의 (그리고 그 반대의) 스위치가 TDD 통신 방식에서 엄격하게 동기화 및 제어되기 때문이다. 이는, TX로부터 RX로의 스위치가, 동일한 TX/RX 패턴을 갖는 2개의 TDD 노드들(AP(100) 및 UE(106))에서 (보호 패턴을 통해) 동시에 발생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도 2a 내지 도 2d에서 점선 위에 도시된 바와 같이, AP(100)와 UE(106) 사이에 어떠한 공통 데이터 통신 시간 윈도우도 존재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UE(106)가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AP(102)에 연결되는 것이 도 1로부터 추가로 확인될 수 있다. 다시 말해, UE(106)는, AP(100)와 확립된 직접 TDD 통신 연결을 갖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멀티-홉 시나리오는, 이웃 노드들이 반대 TX/RX 패턴들을 가질 것을 요구할 수 있기 때문에, 이는, AP(100) 및 UE(106)가 원래, 동일한 디폴트 TX/RX 패턴을 자신들의 TDD 통신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들이 서로 멀리 떨어진 2개의 홉들이기 때문이다.
대안적인 또는 부가적인 해결책은 도 2b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노드(106)의 디폴트 RX 부분을 확장하는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해, TDD 통신 방식 하에서 동작하는 제 2 노드(106)는, 단계(400)에서, 확장 RX 부분(202)(수평선들로 마킹됨)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확장 RX 부분(202)은 디폴트 RX 부분(도면들에서 RX로 마킹됨)에 인접할 수 있다. 확장 RX 부분(202)은 시간 도메인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UE(106)와 동일한 TX/RX 패턴 하에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노드(이를 테면, AP(100) 및/또는 AP(104))에 의해 적용된 프레임 구조의 TX 부분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한다. 오버랩하는 TX 부분은 디폴트 TX 부분 또는 확장 TX 부분(200)일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단계(402)에서, 제 2 노드(106)는, 시간 기간(206) 동안, 도 2b에서 점선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 RX 부분(202)에서 제 1 노드로부터 특정 시그널링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 TX 부분(200) 및 확장 RX 부분(202) 모두는 제 1 노드(100)로부터 제 2 노드(106)로의 데이터의 통신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도 2c에서 점선 화살표들로 도시된 바와 같이, 더 긴 시간 기간(208) 동안, 제 2 노드(106)로의 특정 시그널링의 통신을 허용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제 2 노드(106)에 여러 유형들의 데이터(이를 테면, RS, 제어 시그널링, 동기화 시그널링 등)를 전송하는데 있어서 유리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시간 윈도우가 도 2a 및 도 2b의 실시예들에서보다 더 길 수 있기 때문이다.
실시예에서, 특정 시그널링(이를 테면, RS의 브로드캐스트)을 위해 가능한 위치는, 보호 기간(GP) 오버헤드를 최소화하기 위해 프레임의 TX-RX 및 RX-TX 스위칭 포인트들 중 하나 또는 모두와 관련된다. 따라서, 확장 TX 부분(200) 및 확장 RX 부분(202) 중 적어도 하나는, TX 페이즈와 RX 페이즈 사이의 스위칭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GP 다음의 프레임에 로케이팅/위치된다. 제 1 노드가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 또는 기지국이고, 제 2 노드가 사용자 단말인 경우, TX로부터 RX로의 스위치 포인트는 또한, DL로부터 UL로의 ― 그리고 그 반대로의 ― 스위칭 포인트로 지칭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제안된 해결책은, TDD 프레임의 미리 결정된 DL 및/또는 UL 특정 신호 포지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실시예들은 적용된 프레임 구조 및 TDD 통신 방식의 프레이밍된 액세스의 특성들을 고려한다.
그러나, 주목되었을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2a 내지 도 2c는, 간략화 이유들 때문에, TX/RX 부분들 사이에 보호 기간들(GP들)을 도시하지 않는다. 그러나, 완성도를 위해, 도 2d는 대각선들을 갖는 블록들을 이용하여 이러한 GP들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연결된 eNB들/AP들이 eNB들/AP들 중 어느 하나의 GP 기간 동안에는 백홀 링크들 상에서 서로 전송하지 않는 것이 유념될 필요가 있다. 이는 크로스-노드 특정 시그널링 구조의 부분으로서 GP를 포함함으로써 보장될 수 있다.
도 2d로부터, UE(106)에 의해 적용된 프레임 구조의 확장 RX 부분(202)이 실시예에서, 시간 도메인에서, AP(100)에 의해 적용된 프레임 구조의 확장 TX 부분(200)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할 수 있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는 것이 추가로 검출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d에서 점선 화살표로 표시된 특정 시그널링은, 확장 RX 부분(202)과 확장 TX 부분(200)의 오버랩 동안(예를 들어, 시간 윈도우(210) 동안) 수행될 수 있다. 확장 TX 부분(200)이 더 긴 경우, 특정 시그널링은 대안적으로, 어떠한 확장 RX 부분(202)도 적용하지 않고서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확장 RX 부분(202)이 더 길도록 선택된 경우, 특정 시그널링은 어떠한 확장 TX 부분(200)도 적용하지 않고서 수행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d에서 수평 점선 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일한 TX/RX 패턴을 따르는 2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디폴트 TDD 프레임 구조와 비교하여, 공통 시그널링 포지션은 유리하게,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노드(이를 테면, 이러한 예에서 AP(100))의 TX 부분을 확장시킴으로써 및/또는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노드(이를 테면, 이러한 예에서 UE(106))의 RX 부분을 확장시킴으로써 프레임 구조들에 배열된다. 확장 TX/RX 포지션은, 주어진 노드가 동작하는 Tx/Rx 사이클의 페이즈에 따라, 디폴트 TX 또는 디폴트 RX 기간의 종료/시작에서 도입될 수 있다. 이는 유리하게, TX 부분 및 RX 부분(디폴트 TX/RX 부분 또는 확장 TX/RX 부분(200/202))이 오버랩하도록, 그리고 따라서, 동일한 TX/RX 패턴들을 따르는 이러한 네트워크 노드들 사이의 특정 시그널링을 위해 이용될 수 있는 필드 또는 시간 윈도우를 형성하도록 초래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특정 시그널링 위치는 TDD 프레임의 DL-UL 또는 UL-DL (또는 양쪽 모두) 스위칭 포인트(들)와 관련된다. 실시예에서, 확장 TX 및/또는 RX 부분(들)은, 프레임의 TX/RX 유연성을 제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유연한 TDD 프레임의 보호된 부분에 로케이팅된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근본적인 TDD 프레임 구조의 UL-DL 비율 유연성을 유지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특정 시그널링의 주파수(이를 테면, 얼마나 많은 시그널링 포지션들이 프레임에 존재하는지 및 이러한 시그널링 포지션을 포함하는 프레임들의 주파수)는 네트워크 레벨 상에서 미리 규정/구성될 수 있다. 그 결과, 노드들(100 및 106)은, 미리 규정된 주파수에 따라 확장 TX/RX 부분(200/202)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를 특정 프레임들에 적용할 수 있고, 디폴트 TDD 프레임 구조를 다른 프레임들에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실시예들은, 우세한 필요성들에 따라 네트워크에 의해 동적으로 재구성될 수 있다. 이는 도 5에 도시되고, 여기서 4개의 연속적인 프레임들이 AP(100)의 관점(point of view)에서 보여지지만, 유사한 표시가 UE(106)의 관점에서 수행될 수 있고, 확장 RX 부분들이 표시된다(DL 시그널링의 경우). 제 1 프레임(502)에서, 제 2 노드(들)로의 데이터의 송신을 위해 적용된 하나의 확장 TX 부분(500A)이 존재한다. 제 2 프레임(504)에서, 적용된 2개의 확장 TX 부분들(500B 및 500C)이 존재한다. 제 3 프레임(506)에서, 어떠한 확장 TX 부분들도 존재하지 않지만, 디폴트 TX 및 RX 부분들이 디폴트 TDD 프레임(506)을 위해 적용된다. 제 4 프레임(508)에서, 적용된 하나의 확장 TX 부분(500D)이 존재한다.
도 5로부터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확장 TX/RX 부분의 포지션은 프레임마다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네트워크로부터 획득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획득될 수 있다.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확장 TX/RX 부분들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를 적용하는 주파수는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될 수 있어서, 확장 TX/RX 부분이 규칙적으로 적용될 것이다. 대안적으로, 네트워크는, 필요할 때, 프레임 구조에 확장 TX/RX 부분을 적용하도록 노드들에 동적으로 명령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확장 TX/RX 부분들(200/202)이 존재할 수 있다. 도 5는 단지 예시적인 비-제한적 TDD 통신 방식을 도시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실시예에서, 특정 시그널링 포지션은 (특정 네트워크의 모든 셀들을 포함하는) 전체 네트워크에 대해 공통적이다. 이러한 실시예와 관련된 예는 도 6a 및 도 6b에 표시된다. 특정 시그널링이 비제한적인 예로서 다운링크에서의 RS의 브로드캐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추가로 가정해 본다. 이러한 네트워크-특정 경우에서, 몇몇 포인트에서, 근본적인 TDD 프레임 구조의 TX/RX 패턴들과 무관하게 네트워크의 모든 eNB들/AP들(100 내지 104)이 TX 모드에 있고 네트워크의 모든 UE들(106 내지 108)이 RX 모드에 있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실시예에서, 제 1 노드(100, 102, 또는 104)는, 특정 네트워크(604)와 각각 연관된 복수의 제 2 노드들(106 내지 108)로의, 확장 TX 부분(600A, 600B, 600C) 각각에서의 특정 시그널링을 초래할 수 있다. 이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 TX 부분들(600A, 600B, 600C)이 시간 도메인에서, 복수의 제 2 노드들(106 내지 108)에 의해 적용된 프레임 구조들의 RX 부분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하기 때문에 가능할 수 있다. 오버랩하는 RX 부분이 (도 6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디폴트 RX 부분 또는 확장 RX 부분(602A, 602B)일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다시 말해, 도 6의 예가 확장 TX 및 RX 부분들 모두에 적용되지만, 도 2a 및 도 2b와 관련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중 단지 하나만이 충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네트워크(604)의 모든 UE들(106 내지 108)은, 도 6b에서 점선 화살표들로 도시된 RS 신호들을 상이한 eNB/AP들(100 내지 104)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시에 히어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102)가 디폴트 TX 부분 동안 또한 RS 신호를 UE(106)에 전송할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주목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네트워크 노드들로부터 네트워크의 모든 UE들로의 동시적인 송신은, 핸드오버를 수행할 결정을 위해 개선된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노드(100 내지 108)는, 노드가 네트워크(604)의 인프라구조에 속하거나, 노드가 네트워크(604)의 노드들 중 하나에 연결될 때, 특정 네트워크(604)와 연관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단일 네트워크(604)는 당연히 복수의 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이 RS를 전송하기 위한 다운링크 시나리오를 도시하지만, 유사한 접근방식이 네트워크-특정 UL 기준 시그널링(예를 들어, 사운딩 시그널링) 또는 UL 자원 요청들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몇몇 포인트에서 네트워크의 모든 eNB들/AP들(100 내지 104)이 RX 모드에 있는 한편, 네트워크의 모든 UE들(106 내지 108)이 TX 모드에 있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전체 네트워크에 대해 공통인 RS 신호 포지션에 부가하여, 셀-특정, UE-특정, 또는 UE 그룹-특정 시그널링 포지션들이 원래의/디폴트 프레임 구조 위의 TDD 프레임들에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 제 1 노드(이를 테면, 노드(100))는: 특정 셀과 각각 연관된 복수의 제 2 노드들(즉, 셀-특정 시그널링), 특정 제 2 노드(즉, 노드-특정 시그널링), 제 2 노드들의 특정 그룹 중 적어도 하나로의 확장 Tx 부분에서의 특정 시그널링을 초래할 수 있고, 확장 Tx 부분은 시간 도메인에서,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노드(예를 들어, UE(106))에 의해 적용된 프레임 구조들의 RX 부분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한다. 유사한 접근방식이 UE(106)의 관점들로부터 취해질 수 있고, 이러한 경우, UE(106)의 확장 Rx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특정 셀과 각각 연관된 복수의 제 1 노드들, 특정 제 1 노드, 제 1 노드들의 특정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TX 부분과 오버랩한다.
이러한 경우의 예는 도 7a 및 도 7b에 표시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서빙 셀(102)의 TX 부분(706)은 이웃 셀(들)과 관련된 갭(704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갭(704B) 동안, 이웃 AP들(100, 104)은 도 7a 및 도 7b에서 점선 화살표들로 도시된 바와 같이, 셀(102)에 의해 서빙되는 UE(106)에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셀/UE-특정 시그널링은 이러한 실시예에서, 확장 TX 부분들(700A, 700C)에 그리고 대응하는 프레임 구조의 디폴트 TX 부분(706)에 로케이팅된다. 즉, AP(102)는 특정 시그널링을 전송하기 위해 임의의 확장 TX 부분을 반드시 적용할 필요는 없다. 이는, UE(108) ― AP(102)는 특정 신호들을 UE(108)에 전송하도록 구성됨 ― 가 확장 RX 부분(702B)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안적으로, AP(102)는 UE(108)에 의해 적용된 프레임 구조의 디폴트 RX 부분(708) 동안 RS를 UE(108)에 전송하기 위해 확장 TX 부분을 이용할 수 있다. AP(104)의 프레임 구조는 또한, AP(102)가 특정 시그널링을 AP(104)에 의해 서빙되는 UE(108)에 전송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704C 갭을 포함한다.
UE(106, 108) ― 특정 시그널링(이를 테면, RS)이 UE(106, 108)에 타겟팅됨 ― 는 참조 번호들(702A 및 702B)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자신들의 RX 부분을 확장할 수 있다. UE(106, 108)가 RX 모드에 있기 때문에, UE(106, 108)는, 점선 블록들(704B, 704C)로 예시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시간 동안 서빙 AP(102, 104)에 각각 어떠한 것도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연결된 UE에서의 프레임의 미사용 부분(non-used part of a frame with the attached UE)"은 유리하게, 무선 자원 관리와 같은 다른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대응하는 AP(102, 104)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UE-특정 시그널링이 크로스-링크 간섭을 겪을 수 있지만, 그들의 이웃 AP들로부터 RS 신호들을 리스닝하도록 구성되지 않은 다른 UE들(AP들(100 내지 104)에 연결됨)이 존재했다면, 그들의 프레임 구조들 또는 서빙 AP와의 상호작용은, 다른 UE들에 타겟팅된 RS 필드들에 의해 영향받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특정 시그널링의 더욱 동적이고 유연한 구성을 허용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네트워크의 각각의 노드가 타겟으로서 설정되지 않기 때문이다.
말한 바와 같이, 시그널링의 포지션 및 주파수는 셀- 또는 UE-특정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UE-특정 시그널링 포지션 및 주파수는 UE(106), UE(106)에 연결된 AP(102), 및 UE 특정 RS를 전송하는 AP들(100, 104)에 의해 알려질 수 있다.
실시예는 이웃 셀들 사이의 특정 시그널링(RS, 제어 신호들, 동기화 신호들 등) 포지션의 코디네이션(coordination)을 제공한다. 이러한 코디네이션은 예를 들어, 시그널링을 전송/수신하기 위해 이용되는 자원들 및 특정 시그널링의 포지션/타이밍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노드(이를 테면, AP(100))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노드(이를 테면, 다른 AP(102, 104) 및/또는 UE들(106, 108))에 의해 적용된 프레임 구조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정보는: 프레임의 길이, 시간 도메인에서의 송신-수신 스위칭 포인트(들), RX 부분들의 수, TX 부분들의 수, 보호 기간의 길이, 프레임 구조가 확장 RX 부분을 포함하는지의 여부, 디폴트/확장 RX 부분의 길이, 확장 RX 부분들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제 1 노드(100)는 그 후, 정보에 기초하여, 적용될 프레임 구조를 결정할 수 있다. 제 1 노드(100)는 이러한 정보를 예를 들어, X2 시그널링을 통해, 백홀 링크들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 2 노드는, 제 1 노드에 의해 적용된 이러한 프레임 구조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그 다음으로, 제 2 노드는 적용될 프레임 구조를 도출할 수 있다. 제 1 노드 또는 제 2 노드가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할 수 있는 하나의 결정은, 어떠한 확장 TX 부분 또는 어떠한 확장 RX 부분이 프레임에 필요한지 필요하지 않은지이다. 예를 들어, 다른 노드가 이미 확장 TX 부분을 적용한 경우, 제 2 노드는 확장 RX 부분을 갖는 프레임 구조를 이용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노드(100)는 적용될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를 네트워크로부터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노드(102 내지 108)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낮은 복잡성을 제공하는데, 그 이유는 제 1 노드(100)가 프레임 구조 그 자체를 결정할 필요가 없이 네트워크로부터 또는 다른 노드로부터 이를 직접적으로 획득하기 때문이다. eNB들은 예를 들어, 이러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X2 인터페이스를 적용할 수 있고, 릴레이들은 무선 백홀 채널들을 이용할 수 있고, UE는 예를 들어, 제어 시그널링, 데이터의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또는 초기 연결 프로세스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 몇몇이 (도 1, 도 6a,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멀티-홉 통신 토폴로지를 이용하는 하프-듀플렉스 TDD 기반 무선 백홀 릴레이 네트워크를 참조함으로써 설명되었지만, 제안된 해결책은 또한 UL 시그널링에 유사하게 적용가능하며, 제 1 노드는 사용자 단말일 수 있고, 제 2 노드는 기지국일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이는, 예를 들어, DL 시그널링에 부가하여, 프레임에 UL 시그널링 필드가 또한 존재하는 예를 이용하여 도 8에 도시된다. 그 외에는, 근본적인 시나리오는 도 6b에서와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네트워크의 모든 AP들(100 내지 104)이, AP들(100 내지 104)의 근본적인 TX/RX 패턴과 무관하게 실질적으로 동시에 UE들(106, 108) 모두로부터 UL 사운딩 신호들 또는 UL 자원 요청들(또는 임의의 다른 UL 시그널링 등등)을 리스닝할 수 있다. 전송된 UL 신호들은 도 8에서 점선 화살표들로 도시된다. DL 특정 시그널링을 이용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UL 시그널링 주파수 및 포지션이 구성될 수 있다. 부가하여, UL 관련 시그널링의 확장 RX/TX 부분들의 포지션 및 주파수는 대안적으로, 셀-, 노드 그룹 또는 노드-특정이도록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D2D/메시 통신 시나리오들이 유리하게, 제안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D2D 경우에서, 제 1 노드 및 제 2 노드는 예를 들어, 모두 사용자 단말들이다. 이러한 D2D 사용 경우는 유리하게, D2D 네트워크의 부분인 모든 UE들이 서로 통신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통신은, Tx/Rx 패턴들의 복잡한 할당 없이, 모든 UE들로부터 디스커버리/자원 요청 신호들을 수신할 능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노드 및 제 2 노드는 모두가 예를 들어, 릴레이 스테이션들, 액세스 포인트 또는 기지국들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노드는, 기지국, 릴레이 스테이션, 액세스 포인트 또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거나, 기지국, 릴레이 스테이션, 액세스 포인트 또는 사용자 단말이거나, 기지국, 릴레이 스테이션, 액세스 포인트 또는 사용자 단말에 포함될 수 있다.
유사하게, 기준 신호들이 몇몇 예들에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이용되었지만, 실시예들은 또한, 제어 신호들과 같은 임의의 정보의 시그널링을 위해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시그널링은 또한 또는 부가적으로 다른 정보를 커버하도록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옵션을 더 가까이 살펴본다.
실시예에서, 특정 시그널링은, 서빙 eNB/AP(102, 104)로부터 마스터 eNB/AP(100)로의 멀티-홉 무선 백홀에서 추정된 레이턴시를 나타내는 링크들의 품질 및/또는 홉들의 수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특정 시그널링은, 멀티-홉 무선 백홀 시나리오에서 UE와 서빙 eNB/AP 사이의 링크(이를 테면, AP(102)로부터 UE(106)로의 링크)뿐만 아니라 백홀 링크들의 나머지(도 1, 도 6a, 및 도 7a에서 점선들로 도시됨)도 고려할 때, 최상의 채널 컨디션들 및 최소의 레이턴시를 갖는 루트(route)를 결정하기 위해 UE(106, 108)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특정 시그널링은, eNB/AP(100 내지 104)가 임의의 UE(106, 108)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지의 여부, 및/또는 특정 가입자 및/또는 UE 그룹들(예를 들어, 상이한 오퍼레이터들)과 같은 몇몇 제한들이 존재하는지의 여부의 정보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특정 시그널링은 eNB/AP(100 내지 104)의 능력 및 UE(106, 108)를 서빙할 관련된 백홀 링크에 관한 다른 정보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특정 시그널링은 1차 및/또는 2차 동기화 신호들(PSS/SSS)과 같은 동기화 신호들을 포함한다. 동기화 신호들은 UE-발생 셀 변경(UE-originated cell change)(예를 들어, 핸드-오버)을 개시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특정 시그널링은 (예를 들어, 이용가능한 랜덤 액세스 자원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를 포함한다. 특정 시그널링은 또한, 이웃 셀에 대응하는 시스템 정보를 캐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특정 시그널링은 무선 자원 할당 시그널링, 예약 요청들 및 확인응답들, 이를 테면, RTS(ready-to-send) 및/또는 CTS(clear-to-send) 유형의 자원 할당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특정 시그널링은 RS/사운딩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UE와 eNB/AP 사이의 링크의 채널 추정을 위해 이용되는 기준 신호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 신호는 따라서, DL 기준 신호 또는 UL 기준 신호(예를 들어, 사운딩 신호)일 수 있다. RS 신호들은 유리하게, 실질적으로 동시에 서빙 셀 및 이웃 셀(들) 모두에 관한 측정들을 위해 UE들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특정 시그널링은 2개의 D2D 가능 디바이스(D2D capable device)들 사이의 디바이스-투-디바이스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특정 시그널링은 인터-셀 직교 신호들의 송신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유리하게 총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시그널링이 AP들(100 내지 104)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DL 기준 신호들과 관련되는 경우, 기준 신호의 설계는 유리하게, 동일한 신호가 그 자신 및 이웃 셀들 모두와 관련된 측정들에서 이용될 수 있도록 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 기준 신호는 인터-셀 직교 기준 신호이다. 기준 신호는 전송 AP와 수신 UE 사이의 채널의 채널 품질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를 캐리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셀 RS의 사용은, 총 RS 오버헤드를 적당한 레벨로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준 신호는 특정 노드(이를 테면, UE)에 대해 타겟팅된 노드-특정 기준 신호이고, 이것만이 네트워크의 설계에서 더 큰 유연성을 허용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같은 제어 회로소자(CTRL)(902, 1002),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PROG)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904, 1004)를 포함하는 장치들(900 및 1000)을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PROG)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각각의 장치(900, 1000)로 하여금, 설명된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를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도 9 및 도 10은 단지 장치들의 프로세싱 시스템들을 이해하기 위해 요구되는 엘리먼트들 및 기능적인 엔티티들만을 도시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다른 컴포넌트들은 간략성의 이유들로 생략되었다. 장치들이 또한 다른 기능들 및 구조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장치들(900, 1000) 각각은, 말한 바와 같이, 각각의 장치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를 수행하도록 초래하는 제어 회로소자(902, 1002), 예를 들어, 칩, 프로세서, 마이크로 제어기, 또는 이러한 회로소자들의 조합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제어 회로소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분리된 논리 회로로,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임베딩된 적합한 소프트웨어가 제공된 분리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 회로소자들 각각은, 통신 능력들을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포트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메모리(904, 1004)는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회로소자에 의해 실행가능한 소프트웨어(PROG)를 저장할 수 있다.
장치들(900, 1000)은 추가로, 장치에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의 무선 통신 능력들을 제공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컴포넌트들(TRX)(906, 1006)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 컴포넌트들은 증폭기, 필터, 주파수-변환기, 변조기(복조기), 및 인코더/디코더 회로소자들 및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안테나들과 같은 표준의 잘-알려진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들(900, 1000)은 또한,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키패드, 마이크로폰, 터치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들(908, 1008)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각각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말한 바와 같이, 장치들(900, 1000)은 각각의 제어 회로소자(902, 1002)에 연결된 메모리들(904, 100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메모리는 또한, 각각의 제어 회로소자에 통합될 수 있고, 따라서, 어떠한 메모리도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메모리는 반도체 기반 메모리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자기 메모리 디바이스들 및 시스템들, 광학 메모리 디바이스들 및 시스템들, 고정형 메모리 및 착탈식 메모리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데이터 저장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장치(900, 1000)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단말 디바이스, 예를 들어, 컴퓨터(PC), 랩톱, 타블로이드 컴퓨터, 셀룰러폰, 커뮤니케이터, 스마트폰, 팜 컴퓨터(palm computer), 또는 임의의 다른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장치(900, 1000)는 이러한 단말 디바이스에 포함된다. 또한, 장치(900, 1000)는 플러그-인 유닛, "USB 동글(USB dongle)", 또는 임의의 다른 종류의 유닛과 같은, 연결성을 제공하는 (장치에 연결될) 모듈이거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닛은 장치 내부에 설치되거나 커넥터를 이용하여 또는 심지어 무선으로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장치(900, 1000)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또는 피코 영역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와 같은 AP이거나, AP를 포함하거나, AP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장치(900, 1000)는 기지국 또는 릴레이 스테이션이거나, 기지국 또는 릴레이 스테이션을 포함하거나, 기지국 또는 릴레이 스테이션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장치(900)는 제 1 노드, 즉, 특정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노드(이를 테면, 실시예들 중 몇몇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이용된 바와 같은 AP(100))일 수 있다. 제어 회로소자(902)는 적용될 TDD 프레임의 지식을 획득하기 위한 TDD 프레임 결정 회로소자(910)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소자(910)는 예를 들어, 프레임이 확장 TX 기간을 포함하는지 포함하지 않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송신 회로소자(912)는 예를 들어, 확장 TX 부분 동안 특정 시그널링을 타겟 제 2 노드(들)에 전송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장치(1000)는 제 2 노드, 즉, 특정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노드(이를 테면, 실시예들 중 몇몇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이용된 바와 같은 UE(106))일 수 있다. 제어 회로소자(1002)는 적용될 TDD 프레임의 지식을 획득하기 위한 TDD 프레임 결정 회로소자(1010)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소자(1010)는 예를 들어, 프레임이 확장 RX 기간을 포함하는지 포함하지 않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회로소자(1002)는 또한, 예를 들어, 확장 RX 부분 동안 제 1 노드(들)로부터 특정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회로소자(10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회로소자'는: (a)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회로소자만으로의 구현들과 같은 하드웨어-단독 회로 구현들, 및 (b) 회로들과 소프트웨어(및/또는 펌웨어)의 조합들, 이를 테면 (적용가능한 바와 같이): (i) 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ii) 장치로 하여금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함께 동작하는 메모리(들), 소프트웨어, 및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를 포함하는 프로세서(들)/소프트웨어의 부분들, 및 (c)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가 물리적으로 존재하지 않을지라도, 동작을 위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를 필요로 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부분과 같은 회로들 모두를 나타낸다. 이러한 '회로소자'의 정의는 본원에서의 이러한 용어의 모든 사용들에 적용된다. 추가의 예로서, 본원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회로소자'는 또한, 단지 프로세서(또는 다수의 프로세서들) 또는 프로세서의 부분 및 프로세서의(다수의 프로세서들의) 동반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구현을 커버할 것이다. 용어 '회로소자'는 또한, 예를 들어, 그리고 특정 엘리먼트에 적용가능한 경우, 기저대역 집적 회로, 또는 모바일폰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서버, 셀룰러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유사한 집적 회로를 커버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법들 및 방법들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법들은 하드웨어(하나 또는 둘 이상의 디바이스들), 펌웨어(하나 또는 둘 이상의 디바이스들), 소프트웨어(하나 또는 둘 이상의 모듈들), 또는 이들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 있어서, 실시예들의 장치(들)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들, DSP(digital signal processor)들, DSPD(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들, PLD(programmable logic device)들,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들,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있어서, 구현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칩셋(예를 들어, 프로시저들, 기능들 등)의 모듈들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들은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에 또는 프로세서 외부에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 외부에 구현되는 경우에, 메모리 유닛은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진 바와 같이,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시스템들의 컴포넌트들은, 이와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양상들의 달성들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부가적인 컴포넌트들에 의해 보완되고 및/또는 재배열될 수 있고, 이들은,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바와 같이, 주어진 도면들에서 제시된 바로 그 구성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설명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은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규정된 컴퓨터 프로세스의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소스 코드 형태, 오브젝트 코드 형태, 또는 어느 정도 중간 형태일 수 있고,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을 캐리할 수 있는 임의의 엔티티 또는 디바이스일 수 있는 몇몇 종류의 캐리어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판독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배포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 매체는 예를 들어, 기록 매체, 컴퓨터 메모리, 판독-전용 메모리, 전기 캐리어 신호, 원격통신 신호, 및 소프트웨어 배포 패키지(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첨부 도면들에 따른 예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주 내에서 여러 방식들로 수정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그러므로, 모든 단어들 및 표현들은 넓게 해석되어야 하며, 이들은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시하도록 의도된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본 발명의 개념이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또한, 설명된 실시예들은 다양한 방식들로 다른 실시예들과 조합 ― 그러나, 조합되도록 요구되지는 않음 ― 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Claims (30)

  1. 방법으로서,
    시분할 듀플렉스 통신 방식 하에서 동작하는 제 1 노드에 의해, 확장 송신 부분(extended transmission part)(200)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를 적용하는 단계 ― 상기 확장 송신 부분(200)은 시간 도메인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 1 노드와 동일한 송신/수신 패턴 하에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노드에 의해 적용된 프레임 구조의 수신 부분(202, RX)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함 ―; 및
    상기 확장 송신 부분(200)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노드로의 특정 시그널링을 초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노드에 의해 적용된 프레임 구조의 오버랩하는 수신 부분(202, RX)은 디폴트 수신 부분(RX) 또는 확장 수신 부분(extended reception part)(202)인,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노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노드는 서로 사이에 확립된 직접 시분할 듀플렉스 통신 연결을 갖지 않는,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미리 규정된 주파수에 따라 상기 확장 송신 부분(200)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를 특정 프레임들에 적용하는 단계; 및
    디폴트 TDD 프레임 구조를 다른 프레임들에 적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특정 네트워크(604)와 각각 연관된 복수의 제 2 노드들로의, 상기 확장 송신 부분(200)에서의 특정 시그널링을 초래하는 단계 ― 상기 확장 송신 부분(200)은 시간 도메인에서, 상기 복수의 제 2 노드들에 의해 적용된 프레임 구조들의 수신 부분(202, RX)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함 ―
    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특정 셀과 각각 연관된 복수의 제 2 노드들, 특정 제 2 노드, 및 제 2 노드들의 특정 그룹 중 적어도 하나로의, 상기 확장 송신 부분(200)에서의 특정 시그널링을 초래하는 단계 ― 상기 확장 송신 부분(200)은 시간 도메인에서, 상기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노드에 의해 적용된 프레임 구조들의 수신 부분(202, RX)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함 ―
    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노드에 의해 적용된 프레임 구조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정보는, 프레임의 길이, 시간 도메인에서의 송신-수신 스위칭 포인트들, RX 부분들의 수, TX 부분들의 수, 보호 기간(guard period)의 길이, 프레임 구조가 확장 RX 부분을 포함하는지의 여부, 디폴트/확장 RX 부분의 길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확장 RX 부분들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냄 ―; 및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적용될 프레임 구조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604)로부터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노드로부터의, 적용될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의 수신을 초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시그널링은, 기준 신호의 브로드캐스트, 사운딩 신호의 브로드캐스트, 제어 시그널링, 동기화 신호, 자원 할당 시그널링, 확인응답, 적용될 송신-수신 패턴, 멀티-홉 시나리오에서의 홉들의 수, 시스템 정보, 디바이스-투-디바이스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는 노드-특정 기준 신호인,
    방법.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노드에 의해 적용된 프레임 구조는 갭(704B)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갭(704B) 동안, 다른 노드들이 상기 특정 시그널링을, 상기 제 1 노드에 의해 서빙되는 노드에 전송할 수 있는,
    방법.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노드는 기지국, 릴레이 스테이션, 액세스 포인트, 또는 사용자 단말인,
    방법.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송신 부분(200)은 보호 기간에 인접한 프레임 구조에 로케이팅(locate)되고, 이에 따라, 송신과 수신 사이의 스위칭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14. 방법으로서,
    시분할 듀플렉스 통신 방식 하에서 동작하는 제 2 노드에 의해, 확장 수신 부분(202)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를 적용하는 단계 ― 상기 확장 수신 부분(202)은 시간 도메인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 2 노드와 동일한 송신/수신 패턴 하에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노드에 의해 적용된 프레임 구조의 송신 부분(200, TX)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함 ―; 및
    상기 확장 수신 부분(202)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노드로부터의 특정 시그널링의 수신을 초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5.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902),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904)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904)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902)를 이용하여, 상기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시분할 듀플렉스 통신 방식에서, 확장 송신 부분(200)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를 적용하고 ― 상기 확장 송신 부분(200)은 시간 도메인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장치와 동일한 송신/수신 패턴 하에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노드에 의해 적용된 프레임 구조의 수신 부분(202, RX)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함 ―, 그리고
    상기 확장 송신 부분(200)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노드로의 특정 시그널링을 초래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노드에 의해 적용된 프레임 구조의 오버랩하는 수신 부분(202, RX)은 디폴트 수신 부분(RX) 또는 확장 수신 부분(202)인,
    장치.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노드는 서로 사이에 확립된 직접 시분할 듀플렉스 통신 연결을 갖지 않는,
    장치.
  18.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904)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902)를 이용하여, 상기 장치로 하여금,
    미리 규정된 주파수에 따라 상기 확장 송신 부분(200)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를 특정 프레임들에 적용하고, 그리고
    디폴트 TDD 프레임 구조를 다른 프레임들에 적용하게 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19.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904)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902)를 이용하여, 상기 장치로 하여금,
    특정 네트워크(604)와 각각 연관된 복수의 제 2 노드들로의, 상기 확장 송신 부분(200)에서의 특정 시그널링을 초래하게 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확장 송신 부분(200)은 시간 도메인에서, 상기 복수의 제 2 노드들에 의해 적용된 프레임 구조들의 수신 부분(202, RX)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하는,
    장치.
  20.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904)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902)를 이용하여, 상기 장치로 하여금,
    특정 셀과 각각 연관된 복수의 제 2 노드들, 특정 제 2 노드, 및 제 2 노드들의 특정 그룹 중 적어도 하나로의, 상기 확장 송신 부분(200)에서의 특정 시그널링을 초래하게 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확장 송신 부분(200)은 시간 도메인에서, 상기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노드에 의해 적용된 프레임 구조들의 수신 부분(202, RX)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하는,
    장치.
  21.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904)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902)를 이용하여,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노드에 의해 적용된 프레임 구조의 정보를 획득하게 하고 ― 상기 정보는, 프레임의 길이, 시간 도메인에서의 송신-수신 스위칭 포인트들, RX 부분들의 수, TX 부분들의 수, 보호 기간의 길이, 프레임 구조가 확장 RX 부분을 포함하는지의 여부, 디폴트/확장 RX 부분의 길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확장 RX 부분들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냄 ―, 그리고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적용될 프레임 구조를 결정하게 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22.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904)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902)를 이용하여, 상기 장치로 하여금,
    네트워크(604)로부터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노드로부터의, 적용될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의 수신을 초래하게 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23.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시그널링은, 기준 신호의 브로드캐스트, 사운딩 신호의 브로드캐스트, 제어 시그널링, 동기화 신호, 자원 할당 시그널링, 확인응답, 적용될 송신-수신 패턴, 멀티-홉 시나리오에서의 홉들의 수, 시스템 정보, 디바이스-투-디바이스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을 포함하는,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는 노드-특정 기준 신호인,
    장치.
  25.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 의해 적용된 프레임 구조는 갭(704B)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갭(704B) 동안, 다른 노드들이 상기 특정 시그널링을, 상기 장치에 의해 서빙되는 노드에 전송할 수 있는,
    장치.
  26.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각각의 노드는 기지국, 릴레이 스테이션, 액세스 포인트, 또는 사용자 단말인,
    장치.
  2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송신 부분(200)은 보호 기간에 인접한 프레임 구조에 로케이팅되고, 이에 따라, 송신과 수신 사이의 스위칭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28.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02),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1004)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1004)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02)를 이용하여, 상기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시분할 듀플렉스 통신 방식에서, 확장 수신 부분(202)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를 적용하고 ― 상기 확장 수신 부분(202)은 시간 도메인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장치와 동일한 송신/수신 패턴 하에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노드에 의해 적용된 프레임 구조의 송신 부분(200, TX)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함 ―, 그리고
    상기 확장 수신 부분(202)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노드로부터의 특정 시그널링의 수신을 초래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9. 장치로서,
    상기 장치로 하여금 제 1 항, 제 2 항 및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수단
    을 포함하는,
    장치.
  30.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장치에 로딩될 때, 제 1 항, 제 2 항 및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57009763A 2012-09-19 2012-09-19 Tdd 통신에서의 시그널링 KR1016449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2/068400 WO2014056517A1 (en) 2012-09-19 2012-09-19 Signaling in tdd commun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376A KR20150058376A (ko) 2015-05-28
KR101644922B1 true KR101644922B1 (ko) 2016-08-02

Family

ID=46880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9763A KR101644922B1 (ko) 2012-09-19 2012-09-19 Tdd 통신에서의 시그널링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628252B2 (ko)
EP (1) EP2898610B1 (ko)
JP (1) JP6084693B2 (ko)
KR (1) KR101644922B1 (ko)
CN (1) CN104641574B (ko)
IN (1) IN2015DN01892A (ko)
WO (1) WO20140565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91658T3 (es) 2013-01-18 2018-11-28 Hmd Global Oy Descubrimiento en un sistema de comunicación
WO2016085383A1 (en) 2014-11-24 2016-06-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sing a precoded multi-carrier modulation schem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07005981B (zh) * 2014-11-24 2021-01-22 瑞典爱立信有限公司 在所确定的第三时频资源集合中的传输和接收
CN106341774B (zh) * 2015-07-10 2020-03-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网络设备及用户设备
US10439791B2 (en) * 2015-08-11 2019-10-08 Kyocera Corporation Time division duplex (TDD) communication configuration for unconnected base stations
WO2017082650A1 (ko) * 2015-11-10 2017-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Fdr 시스템에서 tx/rx capability의 변경과 관련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07820263B (zh) * 2016-09-13 2020-07-21 北京佰才邦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配置方法及装置
JP6602813B2 (ja) * 2017-04-24 2019-11-06 株式会社東芝 通信中継システム及び方法
FI20185326A1 (en) * 2018-04-06 2019-10-07 Nokia Technologies Oy Monitoring in wireless backhaul networks
US10700775B2 (en) 2018-05-11 2020-06-3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Resource coordination for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US20210385858A1 (en) * 2020-06-04 2021-12-09 Qualcomm Incorporated Random access procedure selection by an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nod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6103B2 (en) * 2003-03-03 2008-03-1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ulti user detection using equalization and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WO2004102891A1 (en) 2003-05-15 2004-11-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wireless relaying networks
US8675549B2 (en) * 2005-10-27 2014-03-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of serving sector maintena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GB2440985A (en) * 2006-08-18 2008-02-20 Fujitsu Ltd Wireless multi-hop communication system
CN101370160B (zh) * 2007-08-13 2011-12-21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tfci信息的调制方法及装置
US8310961B2 (en) * 2007-10-08 2012-11-13 Nokia Siemens Networks Oy Techniques for link utilization for half-duplex and full-duplex stations in a wireless network
CN101425839B (zh) * 2007-10-31 2011-09-14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确定数据发送偏移量的方法、系统和装置
EP2323278A1 (en) * 2008-08-27 2011-05-18 Kyocera Corporation Radio relay station, radio relay method, radio communication system, position management device, radio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101520697B1 (ko) * 2008-08-29 2015-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릴레이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제어정보 전송방법
KR101738162B1 (ko) * 2009-04-10 2017-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포지셔닝 참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US8897235B2 (en) * 2009-12-18 2014-11-25 Qualcomm Incorporated Protection of broadcast signals in heterogeneous networks
EP2658145A2 (en) * 2010-12-20 2013-10-3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configuring frames for device co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834935A1 (en) 2012-04-03 2015-02-11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Frame format in communications
US9197376B2 (en) * 2012-08-03 2015-11-24 Broadcom Corporation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bundling operation within communication system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G RAN WG2 Meeting #57, R1-091989 (2009.05.0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56517A1 (en) 2014-04-17
US20150256319A1 (en) 2015-09-10
CN104641574B (zh) 2018-06-15
KR20150058376A (ko) 2015-05-28
EP2898610B1 (en) 2020-10-28
JP2015534757A (ja) 2015-12-03
IN2015DN01892A (ko) 2015-08-07
EP2898610A1 (en) 2015-07-29
JP6084693B2 (ja) 2017-02-22
CN104641574A (zh) 2015-05-20
US9628252B2 (en) 2017-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4922B1 (ko) Tdd 통신에서의 시그널링
CN109565852B (zh) 具有无线回程的无线网络中的动态资源分配
CN109845324B (zh) 用于辅助毫米波系统中的定向同步的方法和装置
US11973711B2 (en) Electronic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CN109479312B (zh) 一种在无线网络中协调信令和资源分配的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介质
US11265871B2 (en) Relay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US10440722B2 (en)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methods, base station, relay node and communications terminal
US20220123879A1 (en) System and method to allocate positioning reference signals in a communication system
EP3235300B1 (en) Methods, base station, mobile node and relay node
US100158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scheduling periods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mode of operation
WO2020095458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JP7379477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CN114846747A (zh) 侧行链路上的准共址源选择和指示
US11770166B2 (en) Dynamic scheduling of user equipment (UE) antenna resources
CN110870370A (zh) 在随机接入期间对波束对链路的配置
CN115039443B (zh) 一种通信方法及通信装置
US11737163B2 (en) Sidelink 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configuration
CN115119318B (zh) 用于侧行通信的方法及装置
US20230337239A1 (en) Multiplexing of pur and srs
KR20150088743A (ko) Lte 스몰셀의 셀 기준 신호 송수신 장치
EP3114892B1 (en) Configuration of wireless terminals based upon discovery of other wireless terminals in the vicinity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s
KR20150088742A (ko) Lte 스몰셀의 온 오프 정보 송수신 장치
CN115942486A (zh) 一种通信方法及通信装置
CN118104163A (zh) 终端装置、网络装置及其方法
KR20160054396A (ko) 비면허 대역을 통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