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4696B1 - 전자선 치료를 위한 고글 타입형 안구 차폐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선 치료를 위한 고글 타입형 안구 차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4696B1
KR101644696B1 KR1020140097638A KR20140097638A KR101644696B1 KR 101644696 B1 KR101644696 B1 KR 101644696B1 KR 1020140097638 A KR1020140097638 A KR 1020140097638A KR 20140097638 A KR20140097638 A KR 20140097638A KR 101644696 B1 KR101644696 B1 KR 101644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ing
goggle
lens
eyebal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7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5112A (ko
Inventor
정주영
윤도군
김영록
서태석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97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696B1/ko
Publication of KR20160015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9/022Use of special optical filters, e.g. multiple layers, filters for protection against laser light or light from nuclear explosions, screens with different filter properties on different parts of the screen; Rotating slit-dis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6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 A61F9/065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use of particular optical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8Devices or methods enabling eye-patients to replace direct visual perception by another kind of percep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02C7/088Lens systems mounted to specta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02C9/04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by fitting over or clamping 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눈 부위의 종양, 특히, 눈꺼풀(eyelid)과 결막의 외부 방사선 치료 시 안구 구조를 보호하기 위한 차폐 장치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고글과 같이 안면에 착용하는 방식으로 차폐체를 제작하고, 상기 차폐체의 중심부에 부착되는 렌즈를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환자의 망막 따위와 같은 안구 구조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선 치료를 위한 고글 타입형 안구 차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 테두리가 절개되어 개방부가 형성되되, 고글 형태로 구성되는 차폐장치 본체; 및 상기 절개부를 통해 삽입되되, 표면에 안구에 조사되는 방사선을 차폐하는 차폐체가 부착되는 렌즈;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선 치료를 위한 고글 타입형 안구 차폐장치{Apparatus for eye shields using goggle-type in electron beam treatment}
본 발명은 눈 부위의 종양, 특히, 눈꺼풀(eyelid)과 결막의 외부 방사선 치료 시 안구 구조를 보호하기 위한 차폐 장치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고글과 같이 안면에 착용하는 방식으로 차폐체를 제작하고, 상기 차폐체의 중심부에 부착되는 렌즈를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환자의 망막 따위와 같은 안구 구조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선 치료를 위한 고글 타입형 안구 차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구 주위, 특히 눈꺼풀에 발생되는 종양의 90% 이상은 피부의 기저 세포종(basal cell carcinoma)이고 편평 상피 세포암(squamous cell carcinoma), 흑색종(melanoma), 피지암(sebaceous carcinoma, meibomian gland carcinoma) 그리고 메르켈 세포 암종(merkel cell carcinoma) 등이다. 또한 상기 눈꺼풀 관련 주변과 결막에 생기는 종양은 외부 빔 방사선 요법(external beam radiation therapy, EBRT)을 주로 시행하여 치료하며 안전성과 효용성은 이미 입증되었다.
상기한 눈꺼풀 주변의 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외부방사선치료(EBRT) 시 전자선(electron beam)을 이용하는데, 눈꺼풀 주변의 종양 이외의 정상 조직은 외부의 차폐체로 보호하고 있다. 종래에 사용되는 차폐체는 미국 특허 5487394A호 tungsten eye shields for electron beam treatment;와 같이 콘택트 렌즈 타입을 채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콘택트 렌즈 타입은 텅스텐과 알루미늄 재질을 이용하여 반구형으로 3.0 mm 정도의 두께를 가지고 광학 구조물을 차폐하는 기술로 상용화되어 있다. 이는 15 MeV의 방사선 에너지로 치료 시 납을 이용하였을 때 4.5 mm의 두께를 가지는 것보다는 바람직한 치료의 실시예이다.
그러나 상기한 컨택트 렌즈 타입의 차폐체는 환자가 안구에 직접 탈착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첫 번째로는, 전자선을 이용하는 치료에 있어서 상기 텅스텐과 알루미늄의 재질의 물질과의 상호작용 시 후방 산란 등과 같은 불필요한 선량이 누적되고 정상 조직에 전달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텅스텐과 알루미늄의 두께 결정을 각각 달리하여 여러 모델을 양산하여 투과율과 후방 산란을 보정할 수 있다. 하지만 눈꺼풀 이하 바닥 부분에 접착되는 안구의 불필요한 선량에 대한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도 없을뿐더러 눈꺼풀의 처방 선량도 차폐체에 의해 증가하는 실정이다.
두 번째로는, 외부방사선치료(EBRT)는 보통 20회 정도 분할하여 치료를 시행하게 되는데 이때마다 안구 차폐체를 탈/부착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는 위생상 감염 관리에 신경을 써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세 번째로는, 상기 컨택트 렌즈 타입은 환자에게 직접적으로 불편함을 끼치게 된다. 방사선 치료 시 환자의 시선은 한쪽으로 고정되어 있어야 하는데 차폐체가 눈에 끼워지게 되면 안구의 불필요한 운동이 발생하게 되어 치료 효율의 저하가 생긴다.
미국 등록특허 5,487,394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눈꺼풀(eyelid)과 결막의 외부 방사선 치료 시 안구 구조를 보호하기 위한 차폐 장치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고글과 같이 안면에 착용하는 방식으로 차폐체를 제작하고, 상기 차폐체의 중심부에 부착되는 렌즈를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환자의 망막 따위와 같은 안구 구조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선 치료를 위한 고글 타입형 안구 차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 테두리가 절개되어 개방부가 형성되되, 고글 형태로 구성되는 차폐장치 본체; 및 상기 절개부를 통해 삽입되되, 표면에 안구에 조사되는 방사선을 차폐하는 차폐체가 부착되는 렌즈;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폐장치 본체는, 상기 개방부의 양측부에 상기 렌즈를 삽입하기 위해 형성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환자의 안구 위치 또는 종양의 진행 상태 및 형태에 따라 상기 가이드를 통하여 교체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자선 치료를 위한 고글 타입형 안구 차폐장치에 의하면, 첫째, 눈꺼풀 및 각막 치료 시에 방사선 차폐 관리를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으며 감염 관리를 손쉽게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후방 산란과 같은 전달 선량의 증가로 인한 안구 홍반 등과 같은 2차적 문제를 제거할 수 있으며, 이렇게 되면 수술적 요법에 의존하는 안구 치료에서 방사선 치료가 활성화되고, 방사선을 이용하여 안구를 치료하는 모든 기관에서 차폐장치를 구매 및 제작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과 같이 고글 타입의 방사선 차폐장치를 이용하면 환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사용하는 병원 및 기업에서 막대한 수익 창출이 있어 경제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넷째, 제품화하기가 쉽고, 맞춤형 제작을 하는 업체측에서도 고글 형태에 고려한다면 방사선을 이용하여 안구를 치료하는 모든 기관에서의 사용이 용이하게 되므로 사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선 치료를 위한 고글 타입형 안구 차폐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전자선 치료를 위한 고글 타입형 안구 차폐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선 치료를 위한 고글 타입형 안구 차폐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자선 치료를 위한 고글 타입형 안구 차폐장치는, 상부 테두리가 절개되어 개방부(11)가 형성되되, 고글 형태로 구성되는 차폐장치 본체(1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차폐장치 본체(10)의 후면에는 안면에 착용하기 용이하도록 다리(13)가 결합되어 회동된다.
상기 차폐장치 본체(10)는 상기 개방부(11)의 양측부에 상기 렌즈(20)를 삽입하기 위해 형성되는 가이드(12)가 더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12)는 내측으로 소정깊이 함몰되도록 형성하여 후술할 렌즈(20)가 상기 가이드(12)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절개부(11)를 통해 삽입되되, 표면에 안구에 조사되는 방사선을 차폐하는 차폐체(21)가 부착되는 렌즈(20)가 구비된다. 상기 렌즈(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12)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렌즈(20)는, 환자의 안구 위치 또는 종양의 진행 상태 및 형태에 따라 상기 가이드(12)를 통하여 교체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12)를 통해 삽입된 후에 차폐장치 본체(1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별도의 잠금장치와 같은 것으로 확실하게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환자는 치료에 사용되는 에너지 및 횟수에 따라 제작될 보상체 (compensator) 즉, 차폐체(21)가 표면에 부착된 렌즈(20)를 고글 형태의 차폐장치 본체(10)에 삽입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환자마다 종양 조직의 모양 및 에너지에 따라 방사선 차폐체의 형태가 달라지므로, 이에 대응되도록 렌즈마다 차폐체의 위치를 다르게 제작하여 교체가 가능하도록 가이드(12)가 구비된 차폐장치 본체(10)를 사용하여 방사선 치료 시 차폐를 수행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전자선 치료를 위한 고글 타입형 안구 차폐장치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6 MeV 이상의 에너지 범위에서 안구 및 이와 관련된 정상 조직에 대한 처리를 특정 절차 없이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후방 산란과 같은 전달 선량의 증가로 인한 안구 홍반 등과 같은 2차적 문제를 제거할 수 있으며, 이렇게 되면 수술적 요법에 의존하는 안구 치료에서 방사선 치료가 활성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방사선 차폐장치를 이용하면 환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사용하는 병원 및 기업에서 막대한 수익 창출이 있어 경제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고글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품화하기가 쉽고, 맞춤형 제작을 하는 업체 측에서도 마운트에 고려한다면 방사선을 이용하여 안구를 치료하는 모든 기관에서의 사용이 용이하게 되므로 사용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전자선 치료를 위한 고글 타입형 안구 차폐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차폐장치 본체
11 : 개방부
12 : 가이드
13 : 다리
20 : 렌즈
21 : 차폐체

Claims (3)

  1. 상부 테두리가 절개되어 개방부(11)가 형성되되, 고글 형태로 구성되는 차폐장치 본체(10); 및
    상기 개방부(11)를 통해 삽입되되, 표면에 안구에 조사되는 방사선을 차폐하는 차폐체(21)가 부착되는 렌즈(20);를 포함하되,
    상기 차폐장치 본체(10)는,
    상기 개방부(11)의 양측부에 상기 렌즈(20)를 삽입하기 위해 형성되는 가이드(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렌즈(20)는,
    환자의 안구 위치 또는 종양의 진행 상태 및 형태에 따라 상기 가이드(12)를 통하여 교체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선 치료를 위한 고글 타입형 안구 차폐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40097638A 2014-07-30 2014-07-30 전자선 치료를 위한 고글 타입형 안구 차폐장치 KR101644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638A KR101644696B1 (ko) 2014-07-30 2014-07-30 전자선 치료를 위한 고글 타입형 안구 차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638A KR101644696B1 (ko) 2014-07-30 2014-07-30 전자선 치료를 위한 고글 타입형 안구 차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112A KR20160015112A (ko) 2016-02-12
KR101644696B1 true KR101644696B1 (ko) 2016-08-01

Family

ID=55355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7638A KR101644696B1 (ko) 2014-07-30 2014-07-30 전자선 치료를 위한 고글 타입형 안구 차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69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8250A (ja) * 2003-06-04 2004-12-24 Optimed Ltd 検眼用レンズの改良
US20100053540A1 (en) * 2008-08-29 2010-03-04 Kerr Corporation Laser Filtering Optica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347U (ko) * 2007-08-03 2009-02-06 김소영 분리형 안경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8250A (ja) * 2003-06-04 2004-12-24 Optimed Ltd 検眼用レンズの改良
US20100053540A1 (en) * 2008-08-29 2010-03-04 Kerr Corporation Laser Filtering Optica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112A (ko) 2016-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en et al. Ocular complications following I-125 brachytherapy for choroidal melanoma
Biewald et al. Endoresection of large uveal melanomas: clinical results in a consecutive series of 200 cases
SG10201900957PA (en) Applicat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to the human iris
Munier et al. New developments in external beam radiotherapy for retinoblastoma: from lens to normal tissue‐sparing techniques
Finger et al. Risk factors for cataract after palladium-103 ophthalmic plaque radiation therapy
Kang et al. Long-term results of Gamma Knife surgery for uveal melanomas
WO2018204903A3 (en)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EYELIDS
Krema et al. A comparison between 125Iodine brachytherapy and stereotactic radiotherapy in the management of juxtapapillary choroidal melanoma
US20190008683A1 (en) Contact lens for corrective corneal crosslinking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Sas-Korczyńska et al. Preliminary results of proton radiotherapy for choroidal melanoma–the Kraków experience
KR101511914B1 (ko) 방사선 치료시에 사용하는 고글 형태의 환자맞춤형 안구 차폐장치
Karim et al. Ethmoid and upper nasal cavity carcinoma: treatment, results and complications
Beykin et al. Pars plana vitrectomy to repair retinal detachment following brachytherapy for uveal melanoma
Barabino et al. Radiotherapy-induced ocular surface disease
Kondziolka et al. The principles of skull base radiosurgery
Murthy et al. Electron beam radiotherapy for the management of recurrent extensive ocular surface squamous neoplasia with orbital extension
KR101644696B1 (ko) 전자선 치료를 위한 고글 타입형 안구 차폐장치
Cantley et al. Influence of eye size and beam entry angle on dose to non-targeted tissues of the eye during stereotactic x-ray radiosurgery of AMD
Lane et al. Uveal Malignant Melanoma–Management Options: Proton Beam Radiotherapy
Kubicka-Trząska et al. Ruthenium-106 plaque therapy for diffuse choroidal hemangioma in sturge-weber syndrome
Fionda et al. Ocular brachytherapy (interventional radiotherapy): preserving the vision
Tocco et al. Porocarcinoma of the eyelid treated with proton beam radiotherapy: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Morrison et al. Delivered dose changes in COMS plaque-based ocular brachytherapy arising from vitrectomy with silicone oil replacement
Kumar et al. Safety and efficacy of indigenously developed Ruthenium-106 eye plaque for brachytherapy of a spectrum of ocular tumors: A case series
Khan et al. Factors predictive of developing radiation retinopathy (RR) and vision loss following plaque brachytherapy for uveal melanom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