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4159B1 - 골프 어프로치 매트 - Google Patents

골프 어프로치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4159B1
KR101644159B1 KR1020140148047A KR20140148047A KR101644159B1 KR 101644159 B1 KR101644159 B1 KR 101644159B1 KR 1020140148047 A KR1020140148047 A KR 1020140148047A KR 20140148047 A KR20140148047 A KR 20140148047A KR 101644159 B1 KR101644159 B1 KR 101644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ball
line
mat
spring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8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0265A (ko
Inventor
김진우
Original Assignee
김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우 filed Critical 김진우
Priority to KR1020140148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159B1/ko
Publication of KR20160050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73Means for releasably holding a ball in position; Balls constrained to move around a fixed point, e.g. by tethering
    • A63B69/0079Balls tethered to a line or cor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63B2063/001Targets or goals with ball-return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라인과 연결 형성된 골프공의 제공으로 타격시 골프공의 이탈 현상은 물론 연속적인 골프공의 공급이 쉽게 구현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라인의 보관 및 취급성이 보다 용이할 수 있는 관련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더욱 섬세하고 정밀한 스윙 연습이 실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골프 어프로치 매트에 관한 것으로, 골프공(30)을 위치시켜 사용자의 어프로치 행위가 실시되게 유도하는 매트부(10); 상기 매트부(10)에 배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라인(40)을 인출시키거나 인입되게 하는 와인더(20); 상기 매트부(10)로부터 근거리 또는 원거리 이격 위치되고, 골프공(30)의 타격시 비산되는 해당 골프공(30)을 블로킹하여 되튐 현상을 유발시키는 표적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와인더(20)로부터 인출 내지 인입되는 라인(40)의 끝단은 골프공(30)과 일체형으로 연결 형성되며, 상기 라인(40)은 와인더(20)로부터 매트부(10)로 함몰된 상태 또는 매트부(10) 저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매트부(10)의 중앙으로 하여금 상향 인출되도록 구성하여, 어프로치한 골프공(30)이 표적부에 의해 되돌아오면서 매트부(10)의 중앙으로 재배치되게 유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와인더(20)는 중공의 내부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매트부(10)로의 안착이 유지되는 수용체(21)와, 수용체(21)의 내부 공간으로 개재되어 라인(40)의 권취 내지 권출을 유도하는 회전체(22)와, 회전체(22)의 중앙 영역으로 입설되고 라인(40)의 권취 또는 권출 행위시 유도되는 회전체(22)의 위치 가변에 기인하여 탄성력을 행사하는 스프링(23)과, 스프링(23)을 수용한 회전체(22)의 중앙 영역으로 일단이 인입되고 타단은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시켜 수용체(21) 외면에 대해 돌출 배치되는 작동레버(24)와, 작동레버(24)와 스프링(23), 회전체(22)를 내장한 상태의 수용체(21) 상단으로 고정 결합되는 커버(25)를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23)은 작동레버(24)의 일단에 형성된 끼움홀(27)과 회전체(22)의 중앙 영역 하방에 형성된 고정홀(28)에서 상하단 각각이 고정 결합되게 하여 스프링(23)의 탄성 복귀력에 기인한 회전체(22)의 회전 조작으로 라인(40)의 권취행위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소정의 라인(40)과 연결 형성된 골프공(30)의 구조로 인해 타격시 골프공(30)의 이탈 현상을 방지하면서도 연속적인 골프공(30)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골프 어프로치 매트{The mat for golf practice}
본 발명은 설치가 간편하고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면서 그린 에찌 주변에서 어프로치(피치 엔드 런, 런닝 어프로치) 할 때 빈번하게 유발되는 뒤땅, 땅볼, 생크 등을 방지하기 위해 정확한 어프로치 임팩트를 실전감 있게 연습할 수 있는 골프 어프로치 매트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라인과 연결 형성된 골프공의 제공으로 타격시 어프로치한 공의 리턴은 물론 연속적인 골프공의 공급이 쉽게 구현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라인의 보관 및 취급성이 보다 용이할 수 있는 관련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더욱 섬세하고 정밀한 스윙 연습이 실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골프 어프로치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를 잘하기 위해서는 볼(골프공)과 홀컵과의 거리 및 볼의 위치와 상태를 정확히 판단해야 함은 물론, 볼이 날아가는 방향과 거리를 일관성 있게 할 수 있도록 클럽을 두 손으로 쥐고 일정한 궤도에 따라 스윙하는 임팩트 동작, 그리고 다양한 종류의 어프로치샷(피치 엔트 런, 칩샷, 런닝 어프로치, 로브샷)과 벙커샷 등 그린까지 거리가 짧은 지점에서 핀을 향해 볼을 쳐 올리는 쇼트게임(short game)의 섬세한 타법도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 습득해야 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실내 및 옥상 등 비교적 좁은 장소에서도 간편하게 스윙 등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의 골프 연습용 구조물이 골프의 대중화 추세에 발맞추어 널리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스윙 연습용 기구의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01345, 공개특허 2002-0036155 및 공개특허 2003-0043103 등이 개시된 바 있고, 이들은 상면이 천연잔디와 유사한 융털 또는 그린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져 효율적인 스윙 연습을 할 수 있으며, 휴대 및 보관 시에는 두루마리 형태로 간편하게 말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사상으로는 연속적인 스윙 연습시 사용상 불편함이 초래되고, 그 구조가 지니는 특성에 기인하여 보다 효과적인 스윙 연습에 제한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소정의 라인과 연결 형성된 골프공의 관련 구조로 인해 타격시 골프공의 이탈 현상을 적극 방지하면서 연속적인 골프공의 공급이 구현될 수 있는 골프 어프로치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또한, 골프공과 연계된 라인의 보관 및 취급성이 보다 용이할 수 있는 관련 구조의 제공을 다른 해결 과제로 한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골프 어프로치 매트(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골프공(30)을 위치시켜 사용자의 어프로치 행위가 실시되게 유도하는 매트부(10); 상기 매트부(10)에 배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라인(40)을 인출시키거나 인입되게 하는 와인더(20); 상기 매트부(10)로부터 근거리 또는 원거리 이격 위치되고, 골프공(30)의 타격시 비산되는 해당 골프공(30)을 블로킹하여 되튐 현상을 유발시키는 표적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와인더(20)로부터 인출 내지 인입되는 라인(40)의 끝단은 골프공(30)과 일체형으로 연결 형성되며, 상기 라인(40)은 와인더(20)로부터 매트부(10)로 함몰된 상태 또는 매트부(10) 저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매트부(10)의 중앙으로 하여금 상향 인출되도록 구성하여, 어프로치한 골프공(30)이 표적부에 의해 되돌아오면서 매트부(10)의 중앙으로 재배치되게 유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와인더(20)는 중공의 내부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매트부(10)로의 안착이 유지되는 수용체(21)와, 수용체(21)의 내부 공간으로 개재되어 라인(40)의 권취 내지 권출을 유도하는 회전체(22)와, 회전체(22)의 중앙 영역으로 입설되고 라인(40)의 권취 또는 권출 행위시 유도되는 회전체(22)의 위치 가변에 기인하여 탄성력을 행사하는 스프링(23)과, 스프링(23)을 수용한 회전체(22)의 중앙 영역으로 일단이 인입되고 타단은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시켜 수용체(21) 외면에 대해 돌출 배치되는 작동레버(24)와, 작동레버(24)와 스프링(23), 회전체(22)를 내장한 상태의 수용체(21) 상단으로 고정 결합되는 커버(25)를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23)은 작동레버(24)의 일단에 형성된 끼움홀(27)과 회전체(22)의 중앙 영역 하방에 형성된 고정홀(28)에서 상하단 각각이 고정 결합되게 하여 스프링(23)의 탄성 복귀력에 기인한 회전체(22)의 회전 조작으로 라인(40)의 권취행위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소정의 라인(40)과 연결 형성된 골프공(30)의 구조로 인해 타격시 골프공(30)의 이탈 현상을 방지하면서도 연속적인 골프공(30)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삭제
삭제
한편, 상기 수용체(21)에는 작동레버(24)의 외부 돌출이 허용되도록 작동간(26)을 천공하고, 상기 작동간(26)은 작동레버(24)의 하향 및 측방향으로의 이동성 확보를 위해 '
Figure 112014103923298-pat00001
'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라인과 연결 형성된 골프공의 관련 구조로 인해 타격시 골프공의 이탈 현상을 적극 방지하면서도 연속적인 골프공의 공급이 구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골프공과 연계된 라인의 보관 및 취급성이 보다 용이할 수 있도록 소정의 와인더를 채용하므로 사용상 크나큰 이점이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골프 어프로치 매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와인더의 관련 구성을 상세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와인더의 사용 양태를 예시적으로 구분하여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골프 어프로치 매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와인더의 관련 구성을 상세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와인더의 사용 양태를 예시적으로 구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설치가 간편하고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면서 실제 필드와 같은 느낌으로 스윙 동작을 완벽하게 연습할 수 있는 골프 어프로치 매트(100)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소정의 라인(40)과 연결 형성된 골프공(30)의 제공으로 타격시 골프공(30)의 이탈 현상은 물론 연속적인 골프공(30)의 공급이 쉽게 구현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라인(40)의 보관 및 취급성이 보다 용이할 수 있는 관련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더욱 섬세하고 정밀한 스윙 연습이 실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골프 어프로치 매트(100)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골프 어프로치 매트(100)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평면형으로 제공되는 매트부(10);와, 매트부(10) 상에 위치되어 타격 행위를 유도하는 골프공(30);과, 골프공(30)과 연결 형성되는 라인(40);과, 라인(40)의 권취 또는 권출을 유도하기 위한 와인더(20);로 구분 구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골프공(30)을 위치시켜 사용자의 스윙 행위가 실시되게 유도하는 매트부(10);와, 매트부(10)에 배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라인(40)을 인출시키거나 인입되게 하는 와인더(20);와, 매트부(10)로부터 근거리 또는 원거리 이격 위치되고 골프공(30)의 타격시 비산되는 해당 골프공(30)을 블로킹하여 되튐 현상을 유발시키는 표적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와인더(20)로부터 인출 내지 인입되는 라인(40)의 끝단은 골프공(30)과 일체형으로 연결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표적부(미도시함)는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으나 과녁과 같은 형태로 제공되어 골프공(30)의 비산시 스토퍼 역할이 병행되고, 사용자는 어프로치 연습시 이러한 표적부를 향해 골프공(30)의 타격이 행해지므로 거리 및 볼의 위치와 상태를 판단 가늠하는 기준으로 활용된다.
또한, 이러한 표적부와 본 발명의 매트부(10)는 타격된 골프공(30)이 표적부에 맞은 후 되돌아 올 수 있는 적정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와인더(20)는 골프공(30)에 결부된 라인(40)의 인출 내지 인입 정도를 조절하는 것은 물론, 매트(100) 사용 후 라인(40)의 완벽한 정리 및 보관의 편의성을 위하여 제공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와인더(20)는 매트부(10) 상에 돌출 배치하거나 매트부(10)의 상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된 안착 공간으로 인입 고정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이때 상기 라인(40)은 매트부(10) 상에 노출되거나 매트부(10)의 두께면이 제공하는 영역 내에서 함몰 배치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와인더(20)는 매트부(10) 선단에 해당하는 가장자리에 배치하여 골프 어프로치 행위시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해당 라인(40)은 최초 와인더(20)로부터 인출된 후 매트부(10)로 함몰되거나 매트부(10) 저면으로 위치되게 함으로써 매트부(10) 상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매트부(10)로 함몰된 상태 또는 매트부(10) 저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매트부(10)의 중앙으로 하여금 상기 라인(40)이 상향 인출되는 구조여야 한다. 이는, 어프로치한 골프공(30)의 되튐 현상을 고려한 것으로 표적부에 의해 되돌아오는 골프공(30)이 매트부(10)의 중앙으로 재배치되게 유도하는 수단으로 작용한다.
한편, 본 발명의 와인더(20)는 하기와 같은 구성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중공의 내부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매트부(10)로의 안착이 유지되는 수용체(21);와, 수용체(21)의 내부 공간으로 개재되어 라인(40)의 권취 내지 권출을 유도하는 회전체(22);와, 회전체(22)의 중앙 영역으로 입설되고 라인(40)의 권취 또는 권출 행위시 유도되는 회전체(22)의 위치 가변에 기인하여 탄성력을 행사하는 스프링(23);과, 스프링(23)을 수용한 회전체(22)의 중앙 영역으로 일단이 인입되고 타단은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시켜 수용체(21) 외면에 대해 돌출 배치되는 작동레버(24);와, 작동레버(24)와 스프링(23), 회전체(22)를 내장한 상태의 수용체(21) 상단으로 고정 결합되는 커버(2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23)은 작동레버(24)의 일단과 회전체(22)의 중앙 영역 하방에서 상하단 각각이 고정 결합되는 것에 특징이 있고, 이를 위해 도 3에서와 같이 스프링(23)의 양단에 고정되는 끼움홀(27)과 고정홀(28)을 부가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사용자가 어프로치 연습을 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매트(100)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최초 매트부(10)의 균일한 편평도를 구현할 수 있는 적정 위치에 펼침 전개한 후 와인더(20)로부터 충분하게 라인(40)을 인출시켜 매트부(10) 상에 위치시키고, 스윙 연습을 위한 충분한 라인(40)의 인출이 완료되면 작동레버(24)를 하향시킨 후 연속적으로 측방향 회전시킴으로써 와인더(20)의 작동을 중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라인(40)의 길이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목적으로 하는 스윙을 연습하게 되고, 연습이 종료되면 재차 작동레버(24)의 록킹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스프링(23)의 탄성 복귀력에 기인한 회전체(22)의 회전 조작으로 라인(40)의 권취 행위가 실시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와인더(20)의 작동 행위와 관련하여 상세 기재하면 다음과 같다.
라인(40)이 감겨진 상태의 와인더(20)는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라인(40)을 인출하는 과정에서 회전체(22)의 회전이 유도되는바, 이러한 회전체(22)의 회전 조작은 이와 결부된 스프링(23)의 꼬임 현상을 초래하게 된다.
즉, 회전체(22)가 강제 회전되면서 스프링(23) 또한 회전 방향으로의 트위스트 형태가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작동레버(24)를 하향시키게 되면 자연스럽게 해당 스프링(23)은 상하 압축된 형태로 구속되므로 회전체(22)와 함께 더 이상의 회전운동은 허용되지 않게 된다. 이후, 도 4에서와 같이 작동레버(24)의 하향 위치에서 작동레버(24)의 수평방향으로 수용체(21) 상에 형성된 작동간(26)이 허용하는 공간상으로 작동레버(24)를 측방향(수평방향) 회전시키게 되면 인위적인 압력 행사 없이도 완벽한 스프링(23)의 구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용체(21)에는 작동레버(24)의 외부 돌출이 허용되도록 작동간(26)을 천공하고, 상기 작동간(26)은 작동레버(24)의 하향 및 측방향으로의 이동성 확보를 위해 '
Figure 112014103923298-pat00002
'의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골프 어프로치 매트(100)에 의하면, 소정의 라인(40)과 연결 형성된 골프공(30)의 관련 구조로 인해 타격시 골프공(30)의 이탈 현상을 적극 방지하면서도 연속적인 골프공(30)의 공급이 구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골프공(30)과 연계된 라인(40)의 보관 및 취급성이 보다 용이할 수 있도록 소정의 와인더(20)를 채용하므로 사용상 크나큰 이점이 기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매트부 20. 와인더
21. 수용체 22. 회전체
23. 스프링 24. 작동레버
25. 커버 26. 작동간
27. 끼움홀 28. 고정홀
30. 골프공 40. 라인
100. 매트

Claims (4)

  1. 실내외에서 어프로치 연습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골프용 매트에 있어서,
    골프공(30)을 위치시켜 사용자의 어프로치 행위가 실시되게 유도하는 매트부(10); 상기 매트부(10)에 배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라인(40)을 인출시키거나 인입되게 하는 와인더(20); 상기 매트부(10)로부터 근거리 또는 원거리 이격 위치되고, 골프공(30)의 타격시 비산되는 해당 골프공(30)을 블로킹하여 되튐 현상을 유발시키는 표적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와인더(20)로부터 인출 내지 인입되는 라인(40)의 끝단은 골프공(30)과 일체형으로 연결 형성되며,
    상기 라인(40)은 와인더(20)로부터 매트부(10)로 함몰된 상태 또는 매트부(10) 저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매트부(10)의 중앙으로 하여금 상향 인출되도록 구성하여, 어프로치한 골프공(30)이 표적부에 의해 되돌아오면서 매트부(10)의 중앙으로 재배치되게 유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와인더(20)는 중공의 내부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매트부(10)로의 안착이 유지되는 수용체(21)와, 수용체(21)의 내부 공간으로 개재되어 라인(40)의 권취 내지 권출을 유도하는 회전체(22)와, 회전체(22)의 중앙 영역으로 입설되고 라인(40)의 권취 또는 권출 행위시 유도되는 회전체(22)의 위치 가변에 기인하여 탄성력을 행사하는 스프링(23)과, 스프링(23)을 수용한 회전체(22)의 중앙 영역으로 일단이 인입되고 타단은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시켜 수용체(21) 외면에 대해 돌출 배치되는 작동레버(24)와, 작동레버(24)와 스프링(23), 회전체(22)를 내장한 상태의 수용체(21) 상단으로 고정 결합되는 커버(25)를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23)은 작동레버(24)의 일단에 형성된 끼움홀(27)과 회전체(22)의 중앙 영역 하방에 형성된 고정홀(28)에서 상하단 각각이 고정 결합되게 하여 스프링(23)의 탄성 복귀력에 기인한 회전체(22)의 회전 조작으로 라인(40)의 권취행위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소정의 라인(40)과 연결 형성된 골프공(30)의 구조로 인해 타격시 골프공(30)의 이탈 현상을 방지하면서도 연속적인 골프공(30)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어프로치 매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21)에는 작동레버(24)의 외부 돌출이 허용되도록 작동간(26)을 천공하고,
    상기 작동간(26)은 작동레버(24)의 하향 및 측방향으로의 이동성 확보를 위해 '
    Figure 112015098972049-pat00003
    '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골프 어프로치 매트.
KR1020140148047A 2014-10-29 2014-10-29 골프 어프로치 매트 KR101644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047A KR101644159B1 (ko) 2014-10-29 2014-10-29 골프 어프로치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047A KR101644159B1 (ko) 2014-10-29 2014-10-29 골프 어프로치 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265A KR20160050265A (ko) 2016-05-11
KR101644159B1 true KR101644159B1 (ko) 2016-07-29

Family

ID=56025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8047A KR101644159B1 (ko) 2014-10-29 2014-10-29 골프 어프로치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15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6001U (ja) 1996-08-10 1998-02-20 榮 章 徐 ゴルフ用スイング練習装置
KR200267395Y1 (ko) * 2001-12-10 2002-03-12 강현구 반복 골프연습기
KR200361265Y1 (ko) * 2004-06-01 2004-09-07 이광실 휴대용 탄성 와인더
KR101228940B1 (ko) 2012-09-18 2013-02-01 (주)당나귀골프 퍼팅가이드줄이 구비된 휴대용 홀컵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6001U (ko) * 1989-05-24 1991-04-26
KR100450378B1 (ko) * 2001-02-16 2004-10-06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이동 작업이 용이한 승,하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6001U (ja) 1996-08-10 1998-02-20 榮 章 徐 ゴルフ用スイング練習装置
KR200267395Y1 (ko) * 2001-12-10 2002-03-12 강현구 반복 골프연습기
KR200361265Y1 (ko) * 2004-06-01 2004-09-07 이광실 휴대용 탄성 와인더
KR101228940B1 (ko) 2012-09-18 2013-02-01 (주)당나귀골프 퍼팅가이드줄이 구비된 휴대용 홀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265A (ko)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8263B2 (en) Golf tee set
US9089755B2 (en) Golf practice mat
US20150209644A1 (en) Tennis Training Apparatus
US20080064532A1 (en) Golf tee
US20130053158A1 (en) Portable golf putting target
EP1894607B1 (en) Golf tee set
KR20080084621A (ko) 조정가능한 골프 티 세트
KR101644159B1 (ko) 골프 어프로치 매트
US20020193172A1 (en) Putting practice device
WO2013121576A1 (ja) ゴルフ用ティ
US20070021240A1 (en) Pivoting golf tee
KR102388088B1 (ko) 골프 퍼팅 장치
JP2002263227A (ja) ボール取り出し装置及びホールカップ装置
US20070032316A1 (en) High performance flexible golf ball tee apparatus
US20040254036A1 (en) Hand-eye trainer
KR20130000321U (ko) 골프티
KR102253570B1 (ko) Ob 방지용 골프티
KR200486832Y1 (ko) 골프 스윙 연습기
KR200438370Y1 (ko) 내부 이동부재를 갖는 야구배트
US7128655B2 (en) Putting practice golf cup
US9468833B1 (en) Golf training aid for putting
KR20110129684A (ko) 골프연습용 구조물
US8858367B2 (en) Golf swing practice target device
KR100629966B1 (ko) 퍼팅 연습용 골프공
JP5740579B2 (ja) ゴルフ練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