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3872B1 -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3872B1
KR101643872B1 KR1020130154065A KR20130154065A KR101643872B1 KR 101643872 B1 KR101643872 B1 KR 101643872B1 KR 1020130154065 A KR1020130154065 A KR 1020130154065A KR 20130154065 A KR20130154065 A KR 20130154065A KR 101643872 B1 KR101643872 B1 KR 101643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module
water
mai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40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68169A (en
Inventor
이재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4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872B1/en
Publication of KR20150068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1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8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9/20Portable or detachable small-scale multistage treatment devices, e.g. point of use or laboratory water purification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물을 여과하는 여과부가 배치되고 외형을 형성하는 메인케이싱을 구비하는 메인모듈; 및 상기 메인케이싱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케이싱과 별도로 형성된 서브케이싱을 구비하는 서브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모듈은 상기 서브케이싱에 형성되고 정수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형성하는 유입포트; 상기 서브케이싱에 형성되고 상기 유입포트에서 유입된 정수를 사용자의 취수요청시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포트; 및 상기 서브케이싱에 형성되고 상기 유입포트를 통해 유입된 정수를 외부에 전달하는 급수포트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ter purifier including: a main module having a filtering section for filtering water and a main casing forming an outer shape; And a sub-module disposed outside the main casing, the sub-module having a sub-casing formed separately from the main casing, the sub-module having an inlet port formed in the sub-casing and forming an inlet port for introducing purified water; A discharge port formed in the subcasing and discharging the purified water introduced from the inflow port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when a user requests to take the inflow; And a water supply port formed in the sub-casing and communicating purified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ort to the outside.

Description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모듈과 서브모듈로 구분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purifier divided into a main module and a submodule.

정수기는 물리적, 화학적 방법으로 물에 함유된 이물질이나 중금속 등 유해요소를 여과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스트레스, 환경오염 등으로 과다하게 발생한 체내 활성산소가 고혈압 당뇨 심장병과 같은 현대 성인병의 중요한 요인이 되고 또한 노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지적됨에 따라 수소가 풍부한 환원수를 음용하는 것이 체내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건강을 지키는데 도움이 된다는 이론이 등장하고 있다. 그외에도 정수기는 냉/정, 또는 냉/온 또는 냉/온/정수기로 구분될 수 있다. A water purifier is a device that filters harmful elements such as foreign substances and heavy metals contained in water by physical and chemical methods. Recently,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 active oxygen in the body, which is caused by stres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s an important factor of modern geriatric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diabetes, heart disease and promotes aging. Thus, drinking hydrogen- There is a theory that it helps to maintain health. In addition, the water purifier can be divided into cold / cold or cold / on or cold / on / water purifier.

그러나, 정수기의 기능이 다양화 될수록 정수기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as the function of the water purifier is diversified, the volume of the water purifier becomes larg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SUMMARY OF THE INVENTION [0006]

첫째, 정수기의 용적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First, it reduces the volume of the water purifier.

둘째, 필요에 따라 원하는 기능을 갖는 정수기를 별도로 구입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Second, a water purifier having a desired function can be purchased separately as needed.

셋째, 원하는 설치장소에 정수기를 분리가능하게 배치하는 것이다. Third, the water purifier is detachably disposed at a desired installation sit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물을 여과하는 여과부가 배치되고 외형을 형성하는 메인케이싱을 구비하는 메인모듈; 및 상기 메인케이싱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케이싱과 별도로 형성된 서브케이싱을 구비하는 서브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모듈은 상기 서브케이싱에 형성되고 정수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형성하는 유입포트; 상기 서브케이싱에 형성되고 상기 유입포트에서 유입된 정수를 사용자의 취수요청시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포트; 및 상기 서브케이싱에 형성되고 상기 유입포트를 통해 유입된 정수를 외부에 전달하는 급수포트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ter purifier including: a main module having a filtering part for filtering water and a main casing forming an outer shape; And a sub-module disposed outside the main casing, the sub-module having a sub-casing formed separately from the main casing, the sub-module having an inlet port formed in the sub-casing and forming an inlet port for introducing purified water; A discharge port formed in the subcasing and discharging the purified water introduced from the inflow port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when a user requests to take the inflow; And a water supply port formed in the sub-casing and communicating purified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ort to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방법은 물을 여과하는 여과부가 배치되고 외형을 형성하는 메인케이싱을 구비하는 메인모듈; 및 상기 메인케이싱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케이싱과 별도로 형성된 서브케이싱을 구비하는 서브모듈을 포함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서브모듈에 사용자가 출수명령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서브모듈에서 상기 메인모듈에 출수명령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모듈에서 상기 여과부와 원수 공급부사이의 유로를 단속하는 원수밸브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method for a water purifier, comprising: a main module having a filtering section for filtering water and a main casing forming an outer shape; And a sub-module disposed outside the main casing and having a sub-casing formed separately from the main casing, the water purifier further comprising: a user inputting an outgoing command to the sub-module; Transmitting an outgoing command signal to the main module in the sub module; And opening the raw water valve for interrupting the flow path between the filtration unit and the raw water supply unit in the main module.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정수기가 복합적인 기능을 포함할 필요가 없어 정수기의 크기가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Firs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ize of the water purifier is reduced because the water purifier does not need to include a complex function.

둘째, 별도로 구입한 정수기를 서로 연결할 수 있어 구입시점에 구애받지 않는 장점도 있다. Second, the water purifiers purchased separately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which is advantageous not at the time of purchase.

셋째, 정수기를 분리 또는 합체할 수 있어 공간활용도가 증가하는 장점도 있다. Third, the water purifier can be separated or incorporated, which also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space utilization.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의 수배관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의 전력공급방식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의 신호흐름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water pipe view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supply method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flow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 water purifi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의 수배관도이다. 도 1내지 도 3를 참조하면, 정수기는 저수조의 유무에 따라 직수형과 저장형으로 구분된다. 저장형 정수기는 여과된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를 포함한다. 저장형 정수기는 사용자의 요청시 저수조에 수용된 물을 제공한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water pipe view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o 3, the water purifier is classified into a direct water type and a storage typ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water tank. The storage type water purifier includes a water storage tank for storing the filtered water. The storage type water purifier provides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reservoir at the user's request.

직수형 정수기는 저수조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직수형 정수기는 사용자의 요청시마다 원수를 유입한다. 직수형 정수기는 사용자의 요청시마다 여과한 정수를 바로 공급할 수 있다. 케이싱 내부에는 원수를 여과하는 여과부(103)가 수용된다. 저수형 정수기의 경우 케이싱 내부에는 저수조가 수용된다. The water purifier may not include a water tank. The water purifier inflows raw water at every request of the user. The water purifier can supply the purified water directly at every user request. In the casing, a filtration part 103 for filtering raw water is accommodated. In the case of a low water type water purifier, a water tank is accommodated in the cas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물을 여과하는 여과부(103)가 배치되고 외형을 형성하는 메인케이싱(110)을 구비하는 메인모듈(100); 및 메인케이싱(110)의 외부에 배치되고 메인케이싱(110)과 별도로 형성된 서브케이싱(210)을 구비하는 서브모듈(200)을 포함하고, 서브모듈(200)은, 서브케이싱(210)에 형성되고 정수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형성하는 유입포트(230); 서브케이싱(210)에 형성되고 유입포트(230)에서 유입된 정수를 사용자의 취수요청시 케이싱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포트(240); 및 서브케이싱(210)에 형성되고 유입포트(230)를 통해 유입된 정수를 외부에 전달하는 급수포트(250)를 포함한다.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module 100 having a main casing 110 in which a filtration unit 103 for filtering water is disposed and forms an outer shape; And a sub-module 200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casing 110 and having a sub-casing 210 formed separately from the main casing 110. The sub-module 200 is formed on the sub- An inlet port 230 defining an inlet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flows; A discharge port 240 formed in the subcasing 210 and discharging the purified water introduced from the inflow port 230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when the user requests to take the inflow; And a water supply port 250 formed in the sub-casing 210 and transferring the purified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ort 230 to the outside.

여과부(103)는 메인케이싱(110) 내부에 수용된다. 여과부(103)는 복수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과부(103)는, 세디먼트 필터(sediment filter), 프리카본 필터(pre-carbon filter),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reverse omosis membrane filter), 포스트카본 필터(post-carbon filter) 및 나노필터(nano-filter)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필터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터의 종류, 개수 및 순서는 정수장치의 여과방식 또는 정수장치에 요구되는 여과성능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The filtration part 103 is accommodated in the main casing 110. The filtering unit 103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lters. The filtration unit 103 may be a sediment filter, a pre-carbon filter, a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a post-carbon filter, and a nano filter filter, and the type, number, and order of the filters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filtration method of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or the filtration performance required of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

예를 들어, 상기 세디먼트 필터와 프리 카본필터가 일체화된 전처리 복합필터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역삼투막 필터 대신에 중공사막 필터(ultra filtration filter)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필터를 대신하거나 추가하여마이크로 필터(micro filter)나 다른 기능성 필터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세디먼트 필터는 부직포가 적용되어 원수에 함유된 이물질과 부유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For example, a pretreatment composite filter in which the sediment filter and the pre-carbon filter are integrated may be used, or an ultrafiltration filter may be provided in place of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It is also possible that a micro filter or another functional filter is provided instead of or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filter. Sediment filters can filter foreign matter and suspended matter contained in raw water by applying nonwoven fabric.

프리카본 필터는 계면 활성탄이 적용되어 원수에 함유된 염소 성분이나 냄새 등을 여과할 수 있다.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는 0. 001um정도의 미세한 입자를 여과할 수 있다. 포스트카본 필터는 프리카본 필터의 계면 활성탄보다 흡착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여 색소와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중공사막 필터는 가운데가 비어 있는 실 모양의 막이 적용되어 원수에 함유된 세균을 여과할 수 있다. The free carbon filter can filter chlorine components and odors contained in raw water by applying surfactant charcoal.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can filter fine particles of about 0.001um. The post-carbon filter is superior in adsorption power to the surfactant charcoal of the pre-carbon filter, so that the pigment and odor can be removed.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can filter the bacteria contained in the raw water by applying a hollow fiber membrane.

정수는 상온을 유지하는 상온수를 포함한다. 정수는 상온수보다 온도가 낮은 냉각수를 포함한다. 정수는 상온수보다 온도가 높은 온수를 포함한다. 저수형 정수기의 경우 케이싱 내부에는 저수조가 수용된다. 물받이(217)는 케이싱의 외부에 배치된다. 물받이(217)는 정수기에서 출수된 후 낙하하는 물을 저장한다. 물받이(217)는 케이싱에 탈거 가능하게 장착된다. 물받이(217)는 서브케이싱(210)에 장착된다. 메인모듈(100)은 메인케이싱(110)을 포함한다. 서브모듈(200)은 서브케이싱(210)을 포함한다. The constant includes the normal temperature water that maintains the normal temperature. The constant includes the cooling water whose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normal temperature. The constant includes hot water whose temperature is higher than normal temperature water. In the case of a low water type water purifier, a water tank is accommodated in the casing. The water receptacle 217 is disposed outside the casing. The water receiver 217 stores water to be dropped after leaving the water purifier. The water receptacle 217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casing. The water receiver 217 is mounted on the subcasing 210. The main module 100 includes a main casing 110. The sub-module 200 includes a sub-casing 210.

메인케이싱(110)과 서브케이싱(210)은 별도로 형성된다. 메인케이싱(110)과 서브케이싱(210)은 서로 다른 장소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케이싱(110)은 싱크대 하단에 배치될 수 있고, 서브케이싱(210)은 식탁에 배치될 수 있다. 유입포트(230)는 유입구를 형성한다. 유입구는 케이싱에 형성될 수 있다. 배출포트(240)는 배출구를 형성한다. 배출구는 케이싱에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배출포트(240)로부터 정수를 취수할 수 있다. 배출포트(240)의 하단에는 물받이(217)가 배치될 수 있다. 물받이(217)는 서브케이싱(210)의 외부에 배치된다. The main casing 110 and the sub-casing 210 are separately formed. The main casing 110 and the sub-casing 210 may be disposed at different places. For example, the main casing 110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sink, and the sub-casing 210 may be disposed at the table. The inlet port 230 forms an inlet. The inlet may be formed in the casing. The discharge port 240 forms an outlet. The outlet may be formed in the casing. The user can obtain the purified water from the discharge port 240. [ And a water receiver 217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ort 240. The water receptacle 217 is disposed outside the sub-casing 210.

물받이(217)는 정수기에서 출수된 후 낙하하는 물을 저장한다. 물받이(217)는 서브케이싱(210)에 탈거 가능하게 장착된다. 서브케이싱(210)에는 급수포트(250)가 형성된다. 서브모듈(200)이 복수로 구비된 경우, 급수포트(250)는 다른 서브모듈(200)로 공급되는 정수가 배출되는 곳이다.The water receiver 217 stores water to be dropped after leaving the water purifier. The water receiver 217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sub-casing 210. In the subcasing 210, a water supply port 250 is formed. When a plurality of sub modules 200 are provided, the water supply port 250 is where the purified water supplied to the other sub modules 200 is discharged.

서브모듈(200)은, 유입포트(230)와 급수포트(250)를 연결하는 전달배관(260); 전달배관(260)과 배출포트(240)를 연결하는 출수배관(270); 및 출수배관(270)을 개폐하는 출수밸브(271)를 포함한다. 서브모듈(200)은 유입포트(230)와 급수포트(250)를 연결하는 전달배관(260); 유입포트(230)를 통해 유입된 정수를 배출포트(240)로 유도하는 출수배관(270); 및 출수배관(270)을 개폐하는 출수밸브(271)를 포함한다. 출수배관(270)은 전달배관(260)으로부터 분지되어 정수를 공급받을 수도 있다.The sub-module 200 includes a delivery pipe 260 connecting the inlet port 230 and the water supply port 250; An outflow pipe 270 connecting the delivery pipe 260 and the discharge port 240; And an outflow valve 27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utflow pipe 270. The submodule 200 includes a delivery pipe 260 connecting the inlet port 230 and the water supply port 250; An outflow pipe 270 for leading the purified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ort 230 to the outlet port 240; And an outflow valve 27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utflow pipe 270. The outflow pipe 270 may be branched from the delivery pipe 260 to receive purified water.

전달배관(260)은 서브케이싱(210) 내부에 배치된다. 전달배관(260)은 정수가 유동한다. 출수배관(270)은 전달배관(260)과 출수배관(270)을 연결한다. 출수밸브(271)는 출수배관(270)을 단속한다. 출수배관(270)은 서브케이싱(210) 내부에 배치된다. 밸브는 솔레노이드밸브 solenoid valve일 수 있다. The delivery pipe 260 is disposed inside the subcasing 210. The delivery piping 260 flows at a constant flow rate. The outflow pipe 270 connects the delivery pipe 260 and the outflow pipe 270. The water outlet valve 271 controls the water outlet pipe 270. The outflow pipe 270 is disposed inside the sub-casing 210. The valve may be a solenoid valve.

출수배관(270)과 전달배관(260)과 출수밸브(271)는 서브케이싱(210) 내부에 수용된다. 출수배관(270)의 단부는 배출포트(340)과 연결된다. 배출포트(340)는 서브케이싱(210)의 외부로 돌출될 수도 있다. 출수배관(270)의 단부는 전달배관(260)과 연결될 수도 있다. 출수배관(270)은 유입포트(230)과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유입포트(230) 및 급수포트(250)은 서브케이싱(210)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서브케이싱(210) 외부에서 호스 또는 배관과 연결 가능하게 형성된다. 서브모듈(200)은, 케이싱 내부에 수용되고 유입된 정수와 열 에너지를 교환하는 열교환부(280, 290)를 포함한다. 열교환부(280, 290)는 서브케이싱(210) 내부에 배치된다. 열교환부(280, 290)는 냉각부(280) 및/또는 가열부(290)를 포함한다. The outflow pipe 270, the delivery pipe 260, and the outflow valve 271 are accommodated in the subcasing 210. The end of the outflow pipe 270 is connected to the exhaust port 340. The discharge port 340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subcasing 210. The end of the outflow pipe 270 may be connected to the delivery pipe 260. The outflow pipe 27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inflow port 230. The inflow port 230 and the water supply port 250 may protrude out of the subcasing 210 or may be connected to the hose or pipe outside the subcasing 210. The submodule 200 includes a heat exchange unit 280, 290 that is accommodated in the casing and exchanges the introduced purified water and heat energy. The heat exchange units 280 and 290 are disposed inside the subcasing 210. The heat exchange units 280 and 290 include a cooling unit 280 and / or a heating unit 290.

냉각부(280)는 냉매를 이용한 히트펌프 또는 열전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열전소자는 전류에 의해 의 흡수가 생기는 현상인 펠티에효과를 이용한 소자인 펠티에소자이다.  열전소자는 비드머스 텔루라이드 및 안티몬 텔 합금 등을 한 쌍으로 할 수 있다. 열전소자는 냉동 효과를 높이기 위해 복수로 조합될 수 있다. The cooling unit 280 may include a heat pump or a thermoelectric device using a coolant. A thermoelectric element is a Peltier element using a Peltier effect, which is a phenomenon in which heat is absorbed by an electric current . Thermoelectric devices can be a bead such as commerce telluride and antimony Tel alloy as a couple. The thermoelectric elements can be combined in plural to enhance the refrigeration effect .

냉각부(280)는 기상냉매에 기계적 에너지를 가하여 기상냉매를 압축하고 고온고압의 기상냉매를 토출하는 압축기와 기상냉매가 응축되고, 액화열를 방출하며 고온고압의 액상냉매를 토출하는 응축기와 교축작용을 통하여 고온고압의 액상냉매를 증발이 가능한 압력까지 감압하는 팽창밸브와 저온저압의 액상냉매가 기화열을 흡수하여 저온저압의 기상냉매로 변하는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를 유동하는 냉매는 냉수조에 수용된 정수로부터 기화열을 공급받는다. 냉수조에 수용된 정수는 냉각된다. The cooling unit 280 is a condenser that compresses the gaseous refrigerant by applying mechanical energy to the gaseous refrigerant and discharges the gaseous refrigerant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and the condenser that condenses the gaseous refrigerant and discharges the liquid heat and discharges the liquid refrigerant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An expansion valve for reducing the pressure of the liquid refrigerant at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to a pressure at which evaporation is possible, and an evaporator in which the low temperature low pressure liquid refrigerant absorbs the vaporization heat and changes into low temperature low pressure gaseous refrigerant. The refrigerant flowing in the evaporator is supplied with the heat of vaporization from the purified water contained in the cold water tank. The purified water contained in the cold water tank is cooled.

냉수조는 냉수를 배출한다. 직수형 정수기는 냉수조의 역할을 정수가 유동하는 배관이 담당할 수 있다. 가열부(290)는 전류가 인가되고 줄열을 발생하는 저항선과 저항선으로부터 줄열을 흡수하는 온수조를 포함한다. 온수조에 수용된 정수는 온수조로부터 열 에너지를 흡수하여 가열된다. 온수조는 온수를 배출한다. 직수형 정수기는 온수조의 역할을 정수가 유동하는배관이 담당한다. 제 1서브모듈(200a)은 가열부(290)를 포함한다. 제 1서브모듈(200a)의 출수배관(270)은 온수를 배출한다. 제 2서브모듈(200b)은 냉각부(280)를 포함한다. 제 2서브모듈(200b)의 출수배관(270)은 냉수를 배출한다. The cold water tank discharges cold water. In the water purifier, the piping in which the purified water flows can play the role of the cold water tank. The heating unit 290 includes a resistance wire to which a current is applied and which generates a joule heat, and a hot water tank that absorbs joule heat from the resistance wire. The water contained in the hot water tank is heated by absorbing heat energy from the hot water tank. The hot water tank discharges hot water. The water purifier is responsible for the role of the hot water tank in piping where the purified water flows. The first sub-module 200a includes a heating unit 290. [ The outflow pipe 270 of the first sub-module 200a discharges hot water. The second sub-module 200b includes a cooling unit 280. [ The outflow pipe 270 of the second sub-module 200b discharges cold wa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서브케이싱(210) 외부에 배치되어 배출포트(240)를 단속하는 조작부(212)를 포함한다. 조작부(212)는 출수배관(270)에 연결된다. 사용자는 조작부(212)를 밀거나 당겨 정수를 배출할 수 있다. 조작부(212)는 물받이(217)의 상측에 배치된다. 조작부(212)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조작부(212)가 버튼인 경우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하여 출수배관(270)을 단속할 수도 있다.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ration portion 212 disposed outside the sub-casing 210 to control the discharge port 240. The operation unit 212 is connected to the outflow pipe 270. The user can push or pull the operation unit 212 to discharge the purified water. The operating portion 212 is disposed above the water receiving portion 217. The operation unit 212 may be formed as a button, and when the operation unit 212 is a button, the solenoid valve may be controlled to intermittently control the outflow pipe 270.

메인모듈(100)과 서브모듈(200)은 연성재질의 호스(300)로 연결된다. 메인모듈(100)과 서브모듈(200)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연성재질의 호스(300)는 메인케이싱(110)과 서브모듈(200)을 서로 연결한다. 호스(300)는 유입포트(230)와 연결된다. 메인케이싱(110)에서 배출된 정수는 호스(300)를 통해 서브케이싱(210) 내부에 배치된 전달배관(260)과 연결된다. 메인모듈(100)과 서브모듈(200)은 금속재질의 배관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메인모듈(100)과 서브모듈(20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서로 체결될 수 있다. 메인모듈(100)과 서브모듈(200)은 서로 체결되어 하나의 외형을 가질수 있다. 서브모듈(200)은, 메인모듈(100)과 연결된 제 1서브모듈(200a); 및 제 1서브모듈(200a)과 연결된 제 2서브모듈(200b)을 포함하고, 제 1서브모듈(200a)의 급수포트(250)는 제 2서브모듈(200b)의 유입포트(230)와 연결된다. 서브모듈(200)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서브모듈(200)은 각각 다른 온도의 정수를 배출한다. 제 2서브모듈(200b)의 급수포트(250)는 제 3서브모듈(200c)의 유입포트(230)와 연결된다. 서브모듈(200)들은 서로 연성재질의 호스(300)로 연결될 수 있다. The main module 100 and the sub module 200 are connected to a hose 300 made of a soft material. The main module 100 and the sub module 2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lexible hose 300 connects the main casing 110 and the submodule 200 to each other. The hose 300 is connected to the inlet port 230. The purified water discharged from the main casing 110 is connected to the delivery pipe 260 disposed in the subcasing 210 through the hose 300. The main module 100 and the submodule 2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metal piping. The main module 100 and the sub module 200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e main module 100 and the sub module 20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o have a single outline. The sub-module 200 includes a first sub-module 200a connected to the main module 100; And the second sub module 200b connected to the first sub module 200a and the water supply port 250 of the first sub module 200a is connected to the inlet port 230 of the second sub module 200b do. The plurality of sub modules 200 may be provided. The submodule 200 discharges the purified water at different temperatures. The water supply port 250 of the second sub module 200b is connected to the inlet port 230 of the third sub module 200c. The submodules 2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flexible hose 300.

서브모듈(200)은, 서브케이싱(210)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서브케이싱(210) 내부에 수용된 전장품의 구동명령을 입력하는 버튼을 포함한다. 서브케이싱(210)의 전방에는 컨트롤패널(211)이 배치된다 서브모듈(200)이 복수로 배치된 경우, 각 서브모듈(200)은 선택버튼(214)을 구비한다. 선택버튼(214)은 각 서브모듈(200)에서 배출되는 정수의 온도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서브모듈(200a)은 가열부(290)를 포함하는 온수모듈이다. The sub-module 200 includes a button disposed in the sub-casing 210 and for inputting a drive command of the electric component accommodated in the sub-casing 210 by the user. A control panel 211 is disposed in front of the subcasing 210. When a plurality of submodules 200 are arranged, each submodule 200 includes a select button 214. [ The selection button 214 may display the temperature of the purified water discharged from each submodule 200. For example, the first sub-module 200a is a hot water module including a heating unit 290. [

제 1서브모듈(200a)은 온수버튼을 포함한다. 다른 예로, 제 2서브모듈(200b)은 냉각부(280)를 포함하는 냉수모듈이다. 제 2서브모듈(200b)은 냉수버튼을 포함한다. 또 다른 예로, 제 3서브모듈(200c)은 상온수를 배출한다. 제 3서브모듈(200c)은 상온수버튼을 포함한다. 온수버튼, 냉수버튼 및 상온수버튼은 선택버튼(214)일 수 있다. 온수 버튼을 누르고 조작 레버를 가압하면 온수가 배출될 수 있다. 냉수 버튼을 누르고 조작 레버를 가압하면 냉수가 배출될 수 있다. 상온수 버튼을누르고 조작 레버를 가압하면 정수가 배출될 수 있다. The first sub-module 200a includes a hot water button. In another example, the second sub-module 200b is a cold water module including a cooling unit 280. [ The second sub-module 200b includes a cold water button. In another example, the third sub-module 200c discharges the hot water. The third sub-module 200c includes a hot water button. The hot water button, the cold water button, and the hot water button may be the selection button 214. Pressing the hot water button and pressing the operating lever can drain hot water. When the cold water button is pressed and the operation lever is pressed, cold water may be discharged. Pressing the hot water button and pressurizing the operation lever can drain the water.

메인모듈은 제 4서브모듈(200d)과 제 5서브모듈(200e)을 포함할 수 있다. 제 4서브모듈(200d)은 전해조를 포함하는 이온수모듈일 수 있다. 전해조는 정수에 전기적인 힘을 가해 산성이온수와 알칼리이온수를 생성한다. 제 5서브모듈(200e)은 첨가제공급장치가 구비된 미네랄수모듈일 수 있다. 첨가제공급장치는 Ca, K, Na, Mg 등의 미네랄을 포함한다. 제 5서브모듈(200e)은 미네랄이 포함된 정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제 6서브모듈(200f)은 별도의 수조일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서브모듈(200a), 제 2서브모듈(200b) 및 제 3서브모듈(200c)이 직수형 정수기일지라도 냉수 및/또는 온수의 사용량이 많아 냉수 또는 온수를 저장해두길 원한다면 별도의 수조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서브모듈은 커피메이커와 연결될 수도 있다. 커피메이커는 메인모듈로부터 직접 정수를 공급받거나, 온수모듈인 제 1서브모듈(200a)로부터 온수를 공급받을 수도 있다.The main module may include a fourth sub-module 200d and a fifth sub-module 200e. The fourth sub-module 200d may be an ionic water module including an electrolytic cell. The electrolytic cell generates acidic ionized water and alkaline ionized water by applying an electric force to the purified water. The fifth sub-module 200e may be a mineral water module equipped with an additive supply device. The additive feeder includes minerals such as Ca, K, Na, Mg, and the like. The fifth sub-module 200e can supply the user with an integer containing minerals. The sixth sub-module 200f may be a separate tank. If the first sub module 200a, the second sub module 200b, and the third sub module 200c are vertical type water purifiers, if the user desires to store cold water or hot water because the amount of cold water and / or hot water is large,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submodule may be connected to a coffee maker. The coffee maker may receive the purified water directly from the main module, or may receive hot water from the first sub module 200a, which is a hot water module.

서브모듈(200)은, 서브케이싱(210)에 배치되고 메인모듈(100)의 이상 여부를 알리는 경고부(216)를 포함한다. 경고부(216)는 메인모듈(100)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킨다. 복수의 서브모듈(200)과 메인모듈(100)은 서로 통신적으로 연결된다. 복수의 서브모듈(200)과 메인모듈(100)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sub-module 200 includes a warning unit 216 disposed in the sub-casing 210 and informing the main module 100 of the abnormality. The warning unit 216 recognizes the state of the main module 100 to the user. The plurality of sub modules 200 and the main module 100 ar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plurality of sub modules 200 and the main module 1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여과부(103)는 사용 기간이 제한될 수 있다. 여과부(103)는 주기적으로 교체가 필요할 수 있다. 메인모듈(100)은 메인제어부(101)를 포함한다. 메인제어부(101)는 여과부(103)의 교체 시기를 인식할 수 있다. 메인제어부(101)는 필터의 교체시기가 임박했거나, 현재 필터의 교체시기라고 판단하면 서브모듈(200)에 경고명령을 송출한다. 서브모듈(200)은 서브제어부(201)를 포함한다. 서브제어부(201)는 컨트롤패널(211)에 형성된 경고부(216)에 경고 명령을 송출한다. The period of use of the filtration unit 103 may be limited. The filtration unit 103 may be periodically replaced. The main module 100 includes a main control unit 101. [ The main control unit 101 can recognize the replacement timing of the filtration unit 103. [ The main control unit 101 sends a warning command to the sub module 20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placement time of the filter is imminent or that the current filter is to be replaced. The sub-module 200 includes a sub-control unit 201. The sub control unit 201 sends a warning command to the warning unit 216 formed on the control panel 211. [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의 전력공급방식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을 참조하면, 메인모듈(100)은,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파워코드(10); 및 파워코드(10)를 통해 유입된 전력을 외부로 공급하는 메인전력포트(20)를 포함하고, 서브모듈(200)은, 메인전력포트(20)와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외부전원은 AC전력을 공급한다. 파워코드(10)는 AC전력을 메인모듈(100)에 공급한다. 메인모듈(100)은 전력을 메인전력포트(20)를 통해 서브모듈(200)에 공급한다. 서브모듈(200)은 서브전력포트(30)를 구비한다.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supply method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main module 100 includes a power cord 10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 main power port 20 for externally supplying power received through the power cord 10. The sub module 20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power port 20 to receive power. The external power supply supplies AC power. The power cord 10 supplies AC power to the main module 100. The main module 100 supplies power to the submodule 200 through the main power port 20. The sub-module 200 has a sub-power port 30.

제 1서브모듈(200a)은 메인모듈(1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제 1서브모듈(200a)은 제 1서브전력포트(30)를 통해 제 2서브모듈(200b)에 전력을 공급한다. 메인모듈(100)은 AC전력을 DC전력으로 변환하는 AC/DC 컨버터(40)를 포함할 수 있다. AC/DC 컨버터(40)를 통해 변환된 DC전력은 서브모듈(200)로 전달된다. 각 서브모듈(200)은 서로 DC전력을 전달한다. 각 서브모듈(200)은 DC 전력연결부(35)를 통해 DC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The first sub-module 200a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main module 100. The first sub-module 200a supplies power to the second sub-module 200b through the first sub-power port 30. The main module 100 may include an AC / DC converter 40 for converting AC power to DC power. The DC power converted through the AC / DC converter 40 is transmitted to the sub-module 200. Each sub-module 200 transmits DC power to each other. Each sub-module 200 may supply DC power through a DC power connection 35. [

서브모듈(200)은, 메인모듈(1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제 1서브모듈(200a); 및 제 1서브모듈(200a)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제 2서브모듈(200b)을 포함한다. 제 1서브모듈(200a)은 제 1서브전력포트(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서브모듈(200b)은 제 2서브전력포트(3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모듈(100)은 AC전력을 서브모듈(200)에 공급할 수 있다. 서브모듈(200)은 다른 서브모듈(200)에 AC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 1서브모듈(200a)의 제 1서브전력포트(30)는 제 2서브모듈(200b)의 제 2서브전력포트(30)에 AC전력을 공급한다.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의 신호흐름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브모듈(200)은, 신호를 수신받는 서브수신부(60); 및 신호를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서브송신부(61)를 더 포함하고, 서브모듈(200)은 복수로 구비되어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서브모듈(200) 또는 메인모듈(100)과 통신적으로 연결된다.The sub module 200 includes a first sub module 200a receiving power from the main module 100; And a second sub-module 200b receiving power from the first sub-module 200a. The first sub-module 200a may include a first sub-power port 30. And the second sub-module 200b may include a second sub-power port 30. [ The main module 100 can supply AC power to the submodule 200. The sub-module 200 can supply AC power to the other sub-modules 200. [ The first sub-power port 30 of the first sub-module 200a supplies AC power to the second sub-power port 30 of the second sub-module 200b.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ignal flow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the sub-module 200 includes a sub-receiver 60 receiving a signal; And a sub-transmitter 61 for transmitting signals to an external device. The plurality of sub-modules 200 ar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ther sub-module 200 or the main module 100.

서브모듈(200)은 신호를 수신받는 서브수신부(60); 및 신호를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서브송신부(61)를 더 포함하고, 서브모듈(200)은 복수로 구비되어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서브모듈(200) 또는 메인모듈(100)과 통신적으로 연결된다.Sub-module 200 includes a sub-receiver 60 receiving a signal; And a sub-transmitter 61 for transmitting signals to an external device. The plurality of sub-modules 200 ar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ther sub-module 200 or the main module 100.

서브모듈(200)은 서브제어부(201)를 포함한다. 서브제어부(201)는 서브모듈(200)을 제어한다. 서브제어부(201)은 열교환부(280, 290) 및 출수밸브(271) 및 후술할 선택버튼(214) 및 출수버튼(215)으로부터 정보를 전달받는다.메인모듈(100) 또는 서브모듈(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사용자에 의하여 복수의 서브모듈(200) 중 어느 하나를 예비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구비된 선택버튼(214); 및 사용자에 의하여 복수의 서브모듈(200) 중 출수대상을 지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 출수버튼(215)을 포함하고, 서브송신부(61) 및 서브수신부(60)는, 선택버튼(214)과 연동하여 발생하는 선택신호와 출수버튼(215)과 연동하여 발생하는 출수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한다.The sub-module 200 includes a sub-control unit 201. The sub-control unit 201 controls the sub-module 200. The sub control unit 201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heat exchanging units 280 and 290 and the outflow valve 271 and a select button 214 and an outflow button 215 to be described later. At least one of the sub-modules 200 includes a selection button 214 provided for the user to select one of the plurality of sub-modules 200 in a preliminary manner; And an outgoing button 215 provided to allow the user to specify an outgoing destination among a plurality of sub modules 200. The sub transmitting section 61 and the sub receiving section 60 are connected to the selection button 214 And transmits or receives the generated selection signal and the outgoing signal gen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outgoing button 215.

서브제어부(201)는 선택버튼(214)와 출수버튼(215)와 연결된다. 서브제어부(201)는 서브수신부(60)와 연결된다. 서브제어부(201)는 서브송신부(61)과 연결된다. 서브제어부(201)는 다른 서브모듈(200)로부터 전송된 선택신호 또는 출수신호를 서브송신부(61)로 전달한다. 서브수신부(60)는 다른 서브모듈(200)로부터 전송된 선택신호 또는 출수신호를 서브송신부(61)로 전달한다. The sub control unit 201 is connected to the select button 214 and the outflow button 215. The sub control unit 201 is connected to the sub receiving unit 60. The sub control unit 201 is connected to the sub transmission unit 61. The sub control unit 201 transmits the selection signal or the outgo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ther sub module 200 to the sub transmission unit 61. The sub-receiver 60 transmits the selection signal or the outgo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ther sub-module 200 to the sub-transmitter 61.

예를 들어, 제 3서브모듈(200c)의 선택버튼(214) 또는 출수버튼(215)가 눌려지면 서브제어부(201)은 이를 인식하여 서브송신부(61)로 전송한다. 제 3서브모듈(200b)의 서브송신부(61)은 제 2서브모듈(200b)의 서브수신부(60)로 선택신호를 전송한다. 제 2서브모듈(200b)의 서브수신부(60)로 전송된 정보는 곧바로 제 2서브모듈(200b)의 서브송신부(61)로 전송되어 제 1서브모듈(200a)로 전송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election button 214 or the exit button 215 of the third sub-module 200c is pressed, the sub-control unit 201 recognizes it and transmits it to the sub-transmission unit 61. [ The sub-transmitter 61 of the third sub-module 200b transmits a selection signal to the sub-receiver 60 of the second sub-module 200b. Th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sub-receiver 60 of the second sub-module 200b may be transmitted to the sub-transmitter 61 of the second sub-module 200b and transmitted to the first sub-module 200a.

사용자는 선택버튼(214)을 눌러 원하는 서브모듈(200)을 선택한다. 서브모듈(200)은 각각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위치도 각각 달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서브모듈(200a)이 온수배출기능을 갖고 사용자가 온수을 원한다면, 사용자는 제 1서브모듈(200a)을 지정하는 선택버튼(214)을 누른다.The user selects the desired sub-module 200 by pressing the select button 214. [ The submodule 200 may perform different functions and may be arranged in different positions. For example, if the first sub-module 200a has a hot water discharge function and the user wants hot water, the user presses the select button 214 to designate the first sub-module 200a.

사용자는 원하는 서브모듈(200)에서 정수가 출수되길 원한다면 출수버튼(215)을 누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온수의 출수를 원한다면 사용자는 제 1서브모듈(200a)을 지정하는 선택버튼(214)을 누른다. 선택버튼(214) 및/또는 출수버튼(215)은 메인모듈(100) 및/또는 서브모듈(200)에 형성될 수 있다.The user can press the exit button 215 if he wants the integer to be exited in the desired sub-module 200. For example, if the user wishes to take the hot water out, the user presses the select button 214 which designates the first sub-module 200a. The select button 214 and / or the exit button 215 may be formed in the main module 100 and / or the submodule 2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메인모듈(100)은 서브모듈(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메인수신부(50); 및 메인수신부(50)에서 선택신호를 수신하면 여과부(103)와 원수 공급부 사이의 유로를 폐쇄하는 원수밸브(3)를 더 포함하고, 복수의 서브모듈(200)은 서브수신부(60)에서 선택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의 취수요청시 배출포트(240)로 유동하는 정수의 유로를 폐쇄하는 출수밸브(271)를 더 포함한다.The main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receiving unit 50 for receiving signals from the sub module 200; And a raw water valve 3 for closing the flow path between the filtration unit 103 and the raw water supply unit upon receiving the selection signal from the main reception unit 50. The plural submodules 200 are connected to the sub- And a water outlet valve 271 for closing the flow path of the purified water flowing to the discharge port 240 upon receipt of the selection signal by the user.

서브송신부(61)는 출수신호 및 선택신호를 송신한다. 서브수신부(60)는 출수신호 및 선택신호를 수신한다. 서브모듈(200) 및 메인모듈(100)은 서로간에 선택신호와 출수신호를 송/수신한다.The sub-transmitter 61 transmits an outgoing signal and a select signal. The sub-receiver 60 receives an outgoing signal and a select signal. The sub module 200 and the main module 100 transmit / receive a selection signal and an outgoing signal between each other.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2서브모듈(200b)을 지정하는 선택버튼(214)을 누르면 제 2서브제어부(201)는 선택신호를 제 2서브송신부(61)를 통하여 제 1서브모듈(200a)과 제 3서브모듈(200c)로 전송한다. 선택신호는 신호A일 수 있다. 제 1서브수신부(60)는 제 2서브송신부(61)로부터 선택신호를 전송받는다. 제 1서브모듈(200a)은 메인모듈(100)에 선택신호를 전송한다. 제 1서브모듈(200a)과 제 3서브모듈(200c)은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출수밸브(271)를 폐쇄한다. 따라서, 제 1서브모듈(200a)과 제 3서브모듈(200c) 중 어느 하나가 출수 중 이었다면 출수는 중지된다. 한편, 메인제어부(101)는 원수밸브(3)를 폐쇄한다. 따라서, 필터는 더 이상 원수가 유입되지 않으므로 더 이상 정수를 배출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2중 안전장치를 통해 복수의 서브모듈(200)에서 물이 출수된다거나, 필터에 걸리는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presses the selection button 214 designating the second sub-module 200b, the second sub-controller 201 transmits a selection signal to the first sub-module 200a through the second sub- And the third sub-module 200c. The selection signal may be signal A. The first sub-reception unit 60 receives a selection signal from the second sub-transmission unit 61. The first sub-module 200a transmits a selection signal to the main module 100. [ The first sub-module 200a and the third sub-module 200c close the water outlet valve 271 when a selection signal is received. Therefore, if any one of the first sub-module 200a and the third sub-module 200c is out of the water, the outflow is stopped. On the other hand, the main control unit 101 closes the raw water valve 3. Therefore, the filter no longer emits purified water since the raw water no longer flows. This double safety device can prevent water from coming out of the plurality of sub modules 200 or overloading the fil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여과부(103)와 원수 공급부 사이의 유로를 단속하는 원수밸브(3)를 더 포함하고, 원수밸브(3)는 메인수신부(50)에서 출수신호를 수신하면 유로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제어부(101)는 원수밸브를 개방하여 여과부(103)로 원수를 공급한다. 여과부(103)을 통과한 정수는 메인모듈(100)에서 서브모듈(100)로 공급된다. 출수신호는 신호 B 및/또는 신호 C일 수 있다.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raw water valve 3 for interrupting the flow path between the filtration part 103 and the raw water supply part, and the raw water valve 3 receives the outgoing signal from the main receiving part 50 The flow path can be opened. The main control unit 101 opens the raw water valve and supplies the raw water to the filtration unit 103. [ The constants passed through the filtering unit 103 are supplied from the main module 100 to the submodule 100. The outgoing signal may be signal B and / or signal C.

서브송신부(61)는, 선택신호와 출수신호가 동일 서브모듈(200)에서 발생한 경우에만 출수신호 B를 송신한다. 서브제어부(201)는 출수버튼(215)과 선택버튼(214)과 연결된다. 서브제어부(201)는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제어부(201)는 선택버튼(214)이 자신을 선택했으나, 출수버튼(215)이 다른 서브모듈(200)을 선택한 경우 출수명령을 전송하지 않는다. 서브제어부(201)는 선택버튼(214)이 자신을 선택한 수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자신을 대상으로하는 출수버튼(215)이 눌려지지 않으면 출수명령을 전송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선택버튼(214)은 제 2서브모듈(200b)을 대상으로 눌려졌으나 출수버튼(215)은 제 1서브모듈(200a)을 대상으로 눌려진 경우 제 2서브제어부(201)는 명령을 취소하고 대기한다. The sub-transmitter 61 transmits the outgoing signal B only when the selection signal and the outgoing signal are generated in the same sub-module 200. The sub control unit 201 is connected to the outgoing button 215 and the selection button 214. The sub control unit 201 may include a memory (not shown). When the select button 214 selects itself but the outflow button 215 selects another sub module 200 Do not send an outgoing command. The sub control unit 201 does not transmit an outgoing command unless the outgoing button 215 for which the selection button 214 has selected itself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s pressed. For example, when the select button 214 is pushed to the second sub-module 200b but the outgoing button 215 is pressed to the first sub-module 200a, the second sub- Cancel and wait.

제 2서브모듈(200b)에서 발생한 출수신호B는 제 1서브모듈(200a)을 통해 메인모듈(100)로 전달된다. 메인제어부(101)는 출수신호가 인가되면 원수밸브(3)의 개방을 명령한다. 원수밸브(3)가 개방되면 필터는 정수를 배출한다. 제 2서브제어부(201)는 출수밸브(271)의 개방을 명령한다. 정수는 제 1서브모듈(200a)의 급수포트를 통해 제 2서브모듈(200b)로 향한다. The outgoing signal B generated in the second sub module 200b is transmitted to the main module 100 through the first sub module 200a. The main control unit 101 commands the opening of the raw water valve 3 when an outgoing signal is applied. When the raw water valve 3 is opened, the filter discharges purified water. The second sub-control unit 201 commands the opening of the outflow valve 271. [ The integer is directed to the second sub-module 200b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of the first sub-module 200a.

메인제어부(101)는 서브모듈(200)에 출수신호 C를 송신한다. 메인모듈(100)에서 송신한 출수신호C는 제 1서브모듈(200a)을 통해 제 2서브모듈(200b)로 전달된다. 제 2서브제어부(201)는 출수신호C를 인가받으면 출수밸브(271)를 개방한다. The main control unit 101 transmits the outgoing signal C to the sub module 200. [ The outgoing signal C transmitted from the main module 100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sub module 200b through the first sub module 200a. The second sub-control unit 201 opens the outflow valve 271 when the outgoing signal C is receiv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브모듈(200)은 복수로 구비되고, 복수의 서브모듈(200)은, 복수의 서브모듈(200) 중 나머지 서브모듈(200)들과 메인모듈(100)간에 데이터 링크로 기능하는 제 1서브모듈(200a)을 포함한다. 제 1서브모듈(200a)은 메인모듈(100)과 복수의 서브모듈(200)간 정보의 매개체 역할을 한다. 제 2서브모듈(200b)은 제 3서브모듈(200c)과 제 1서브모듈(200a)을 연결한다. A plurality of sub module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and a plurality of sub modules 200 are provided between the remaining sub modules 200 of the plurality of sub modules 200 and the main module 100 And a first sub module 200a functioning as a data link. The first sub module 200a serves as an intermediary of information between the main module 100 and the plurality of sub modules 200. [ The second sub-module 200b connects the third sub-module 200c with the first sub-module 200a.

서브모듈(200)은, 메인모듈(100)과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제 1서브모듈(200a); 및 제 1서브모듈(200a)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 2서브모듈(200b)을 포함하고, 제 1서브모듈(200a)은, 제 2서브모듈(200b)에 입력된 신호를 수신하는 제 1서브수신부(60); 및 제 2서브모듈(200b)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메인모듈(100)에 전송하는 제 1서브송신부(61)를 포함한다. The sub module 200 includes a first sub module 200a communicably connected to the main module 100; And a second submodule 200b communicably connected to the first submodule 200a. The first submodule 200a includes a first submodule 200b receiving a signal input to the second submodule 200b, A receiving unit 60; And a first sub-transmitter 61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cond sub-module 200b to the main module 100. [

상기 제 2서브모듈(200b)은, 상기 제 3서브모듈(200c)에 입력된 신호를 수신하는 제 2서브수신부(60); 및 상기 제 3서브모듈(200c)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상기 제 1서브모듈(200a)에 전송하는 제 2서브송신부(61)를 포함한다. 제 3서브모듈(200c)에 입력된 신호는 제 2서브모듈(200b)을 거쳐 제 1서브모듈(200a)로 전달된다. 제 2서브모듈(200b)에 입력된 신호는 제 3서브모듈(200c) 및 제 1서브모듈(200a)에 전송된다. 메인모듈(100)은 메인수신부(50)를 포함한다. 메인모듈(100)은 메인송신부(51)를 포함한다. The second sub-module 200b includes: a second sub-receiver 60 for receiving a signal input to the third sub-module 200c; And a second sub-transmitter (61)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hird sub-module (200c) to the first sub-module (200a). The signal input to the third sub-module 200c is transmitted to the first sub-module 200a via the second sub-module 200b. The signal input to the second sub-module 200b is transmitted to the third sub-module 200c and the first sub-module 200a. The main module 100 includes a main receiving unit 50. The main module 100 includes a main transmitter 51.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의 제어방법은 물을 여과하는 여과부(103)가 배치되고 외형을 형성하는 메인케이싱(110)을 구비하는 메인모듈(100); 및 메인케이싱(110)의 외부에 배치되고 메인케이싱(110)과 별도로 형성된 서브케이싱(210)을 구비하는 서브모듈(200)을 포함하는 정수기에 있어서, 서브모듈(200)에 사용자가 출수명령을 입력하는 단계(S7); 서브모듈(200)에서 메인모듈(100)에 출수명령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S9); 및 메인모듈(100)에서 여과부(103)와 원수공급부(1)사이의 유로를 단속하는 원수밸브(3)(S11)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a control method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module 100 having a main casing 110 in which a filtration unit 103 for filtering water is disposed, and which forms an outer shape; And a sub-module (200) having a sub-casing (210) disposed outside the main casing (110) and formed separately from the main casing (110), wherein the submodule (200) Inputting (S7); Transmitting (S9) an outgoing command signal to the main module (100) from the sub module (200); And opening the raw water valve (S11) for interrupting the flow path between the filtration part (103) and the raw water supply part (1) in the main module (100).

서브모듈(200)은, 상기 서브케이싱(210)에 형성되고 정수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형성하는 유입포트(230); 상기 서브케이싱(210)에 형성되고 상기 유입포트(230)에서 유입된 정수를 사용자의 취수요청시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포트(240); 및 상기 서브케이싱(210)에 형성되고 상기 유입포트(230)를 통해 유입된 정수를 외부에 전달하는 급수포트(250)를 포함한다. 원수밸브(3)는 직수형 정수장치로 유입되는 원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The submodule (200) comprises an inlet port (230) formed in the subcasing (210) and forming an inlet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flows; A discharge port 240 formed in the subcasing 210 and discharging the purified water introduced from the inlet port 230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when a user requests to take it; And a water supply port 250 formed in the sub-casing 210 and transferring the purified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ort 230 to the outside. The raw water valve (3) can regulate the flow rate of raw water flowing into the water purification typ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원수는 상수도 등의 원수공급부(1)로부터 공급되는 것으로, 원수밸브(3)의 개폐정도에 따라 직수형 정수장치로 유입되는 유량이 달라질 수 있다. 원수밸브(3)는 감압밸브일 수 있다. 서브모듈(200)이 복수로 배치된 경우, 각 서브모듈(200)은 선택버튼(214)을 구비한다. The raw water is supplied from a raw water supply unit 1 such as a water supply. The flow rate of the raw water may flow into the water purification typ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depending on the opening / closing degree of the raw water valve 3. The raw water valve 3 may be a pressure reducing valve. When a plurality of sub modules 200 are arranged, each sub module 200 has a select button 214.

선택버튼(214)은 각 서브모듈(200)에서 배출되는 정수의 온도를 표시할 수 있다. 예들 들어, 제 1서브모듈(200a)은 가열부(290)를 포함하는 온수모듈이다. 제 1서브모듈(200a)은 온수버튼을 포함한다. 온수버튼은 선택버튼(214)이다. 다른 예로, 제 2서브모듈(200b)은 냉각부(280)를 포함하는 냉수모듈이다. 제 2서브모듈(200b)은 냉수버튼을 포함한다. 냉수버튼은 선택버튼(214)이다. The selection button 214 may display the temperature of the purified water discharged from each submodule 200. For example, the first sub-module 200a is a hot water module including a heating unit 290. [ The first sub-module 200a includes a hot water button. The hot button is a select button 214. In another example, the second sub-module 200b is a cold water module including a cooling unit 280. [ The second sub-module 200b includes a cold water button. The cold water button is a select button 214.

또 다른 예로, 제 3서브모듈(200c)은 상온수를 배출한다. 제 3서브모듈(200c)은 상온수버튼을 포함한다. 상온수버튼은 선택버튼(214)이다. 온수 버튼을 누르고 조작 레버를 가압하면 온수가 배출될 수 있다. 냉수 버튼을 누르고 조작 레버를 가압하면 냉수가 배출될 수 있다. 상온수 버튼을누르고 조작 레버를 가압하면 정수가 배출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211)은 출수명령을 입력받는 별도의 출수버튼(215)을 포함할 수도 있다. In another example, the third sub-module 200c discharges the hot water. The third sub-module 200c includes a hot water button. The hot water button is a selection button 214. Pressing the hot water button and pressing the operating lever can drain hot water. When the cold water button is pressed and the operation lever is pressed, cold water may be discharged. Pressing the hot water button and pressurizing the operation lever can drain the water. The control panel 211 may include a separate exit button 215 for receiving an outgoing comman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의 제어방법은 복수의 서브모듈(20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서브모듈(200) 선택단계(S1)를 포함하고, 출수명령 입력단계(S7)는, 서브모듈(200) 선택단계에서 선택된 서브모듈(2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메인모듈(100)은 메인제어부(101)를 포함한다. The method for controlling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 module 200 selection step S1 for selec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sub modules 200, Module 200 may be performed in the sub-module 200 selected in the selecting step. The main module 100 includes a main control unit 101. [

서브모듈(200)은 서브제어부(201)를 포함한다. 메인제어부(101)는 원수밸브(3)의 개폐를 조절한다. 서브제어부(201)는 출수밸브(271)의 개폐를 조절한다. 서브제어부(201)는 컨트롤패널(211)과 연결된다. 사용자가 선택버튼(214)을 누르면 서브제어부(201)는 이를 인식한다. The sub-module 200 includes a sub-control unit 201. The main control unit 101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raw water valve 3. [ The sub control unit 201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utflow valve 271. The sub control unit 201 is connected to the control panel 211. When the user presses the selection button 214, the sub control unit 201 recognizes this.

서브제어부(201)는 연결된 다른 서브모듈(200) 및/또는 메인모듈(100)에 신호를 전달한다. 예를 들어, 제 2서브모듈(200b)에 배치된 선택버튼(214)이 눌려지면, 제 2서브제어부(201)는 제 2서브송신부(61)에 신호의 전달을 명령한다. 제 2서브송신부(61)는 제 3서브수신부(60)와 제 1서브수신부(60)에 신호를 전달한다. 제 1서브수신부(60)에 전달된 정보는 제 1서브제어부(201)로 전달된다. 제 1서브제어부(201)는 제 1서브송신부(61)에 신호의 전달을 명령한다. 제 1서브송신부(61)는 메인제어부(101)에 신호를 전달한다. 출수명령도 동일한 과정을 거쳐 메인제어부(101) 및/또는 다른 서브제어부(201)로 전달될 수 있다. The sub control unit 201 transmits a signal to the other sub module 200 and / or the main module 100 connected thereto. For example, when the selection button 214 disposed in the second sub-module 200b is pressed, the second sub-control unit 201 commands the second sub-transmission unit 61 to transmit a signal. The second sub-transmitter 61 transmits a signal to the third sub-receiver 60 and the first sub-receiver 60. Th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first sub-receiver (60) is transmitted to the first sub-controller (201). The first sub-control unit 201 commands the first sub-transmission unit 61 to transmit a signal. The first sub-transmission unit 61 transmits a signal to the main control unit 101. [ The outgoing command may also be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 unit 101 and / or the other sub control unit 201 through the same process.

서브제어부(201)는 서브모듈(200) 선택단계에서 선택된 서브모듈(200)과 출수명령이 입력된 서브모듈(200)이 동일한 서브모듈(200)인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 1서브모듈(200a)의 선택버튼(214)이 눌려진 후 제 1서브모듈(200a)의 출수버튼(215)이 눌려지면 출수밸브(271)를 개방한다. 그러나, 제 1서브모듈(200a)의 선택버튼(214)이 눌려진 후 제 2서브모듈(200b)의 출수버튼(215)이 눌려지면 제 1서브제어부(201)와 제 2서브제어부(201)는 출수밸브(271)를 개방하지 않는다.The sub control unit 201 determines whether the sub module 200 selected in the sub module 200 selection step and the sub module 200 inputted with the outgoing command are the same sub module 200. [ For example, when the selection button 214 of the first sub-module 200a is pressed, the outflow valve 271 is opened when the outflow button 215 of the first sub-module 200a is pressed. However, if the exit button 215 of the second sub-module 200b is pressed after the selection button 214 of the first sub-module 200a is pressed, the first sub-control unit 201 and the second sub- The water outlet valve 271 is not opened.

각각의 서브모듈(200)은 서브제어부(201)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자신이 선택되고, 자신에게 출수명령이 입력됐는지 확인할 수 있고, 2가지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며, 리셋되거나, 나머지 조건이 만족할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Each sub-module 200 includes a sub-control unit 201.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or not the outgoing command has been input to itself, to satisfy two conditions, to be reset, or to wait until the remaining conditions are satisfied.

선택버튼(214)이 눌려지면 메인제어부(101)는 해당신호를 인식하고 원수밸브(3)의 폐쇄를 명령한다. 서브모듈(200) 선택단계가 수행되면 원수밸브(3)를 폐쇄(S5)할 수 있다. 버튼이 눌려지면 메인제어부(101)는 해당신호를 인식하고 원수밸브(3)의 폐쇄를 명령한다. 여과부(103)는 더 이상 원수가 유입되지 않으므로 더 이상 정수를 배출하지 않는다. 원수밸브(3)는 메인수신부(50)에서 출수신호를 수신하면 유로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제어부(101)는 원수밸브를 개방하여 여과부(103)로 원수를 공급한다. 여과부(103)을 통과한 정수는 메인모듈(100)에서 서브모듈(100)로 공급된다.When the selection button 214 is pressed, the main control unit 101 recognizes the signal and commands the water valve 3 to close. When the sub-module 200 selection step is performed, the raw water valve 3 may be closed (S5). When the button is depressed, the main control unit 101 recognizes the signal and instructs the raw water valve 3 to close. The filtration unit 103 no longer discharges the purified water since the raw water no longer flows. The raw water valve 3 can open the flow path when it receives an outgoing signal from the main receiving unit 50. The main control unit 101 opens the raw water valve and supplies the raw water to the filtration unit 103. [ The constants passed through the filtering unit 103 are supplied from the main module 100 to the submodule 100.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벙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메인모듈(100)은 싱크대 하단 등 보이지 않는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서브모듈(200)은 테이블, 식탁 등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한 곳에 배치된다. 사용자는 서브모듈(200)에 형성된 선택버튼(214)을 누른다. 각각의 모듈을 다른 온도의 정수를 공급한다. 사용자가 제 1서브모듈(200a)에 배치된 선택버튼(214)을 누르면 제 1서브송신부(61)는 메인모듈(100)에 신호를 전달한다. 또한, 제 1서브송신부(61)는 제 2서브모듈(200b)에도 신호를 전달한다. 제 2서브제어부(201)는 이를 인식하여 출수밸브(271)를 폐쇄한다.The main module 100 may be disposed at an invisible position such as the bottom of the sink. The sub-module 200 is disposed at a place where users can easily access, such as a table or a table. The user presses the select button 214 formed in the sub module 200. [ Each module supplies an integer of different temperature. When the user presses a selection button 214 disposed in the first sub-module 200a, the first sub-transmitter 61 transmits a signal to the main module 100. [ Also, the first sub-transmitter 61 transmits a signal to the second sub-module 200b. The second sub-control unit 201 recognizes this and closes the water outlet valve 271. [

한편, 메인제어부(101)는 원수밸브(3)의 폐쇄를 명령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느 서브모듈(200)로부터 취수 중 실수로 다른 서브모듈(200)의 선택버튼(214)을 누르더라도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control unit 101 instructs the raw water valve 3 to clos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malfunction even if the user presses the selection button 214 of another sub module 200 inadvertently while taking in the sub module 200 from the sub module 200.

이후, 사용자가 제 1서브모듈(200a)에 배치된 출수버튼(215)을 누르면 제 1서브송신부(61)는 메인모듈(100)에 신호를 전달한다. 또한, 제 1서브송신부(61)는 제 2서브모듈(200b)에도 신호를 전달한다. 제 2서브제어부(201)는 이를 인식하여 출수밸브(271)의 페쇄를 유지한다. 한편, 메인제어부(101)는 원수밸브(3)의 개방를 명령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실수로 복수의 서브모듈(200)을 선택한 경우라도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user presses an outgoing button 215 disposed on the first sub-module 200a, the first sub-transmitter 61 transmits a signal to the main module 100. [ Also, the first sub-transmitter 61 transmits a signal to the second sub-module 200b. The second sub-control unit 201 recognizes this and maintains the shutoff of the outflow valve 271. On the other hand, the main control unit 101 commands the opening of the raw water valve 3. Therefore, even if a user selects a plurality of submodules 200 by mistake, malfunctions can be prevented.

서브모듈(200)과 메인모듈(100)을 서로 호스(300)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경제적 사정이나, 여유공간,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브모듈(200)을 일부만 구입할 수도 있고, 순차적으로 구입할 수도 있다. 또한, 각 서브모듈(200)은 급수포트(250)와 서브전력포트(3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서브모듈(200)을 직렬로 연결할 수 있어 서브모듈(200)간 조립이 간편하고, 호스(300) 또는 배관 연결이 용이해진다. The sub module 200 and the main module 1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hose 300. [ Accordingly, the user can purchase only a part of the sub module 200 in consideration of the desired economic situation, free space, and necessity, or purchase the sub module 200 sequentially. Since each sub module 200 includes the water supply port 250 and the sub power port 30,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sub modules 200 in series, so that assembly between the sub modules 200 is simple, 300) or piping connection is facilitat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9)

물을 여과하는 여과부가 배치되고 외형을 형성하는 메인케이싱을 구비하는 메인모듈; 및
상기 메인케이싱의 외부에 배치되고, 각각이 상기 메인케이싱과 별도로 형성된 서브케이싱을 구비하는 제 1, 2, 3 서브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2, 3 서브모듈 각각은,
상기 서브케이싱에 형성되고 정수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형성하는 유입포트;
상기 서브케이싱에 형성되고 상기 유입포트에서 유입된 정수를 사용자의 취수요청시 상기 서브케이싱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포트;
상기 배출포트를 개폐하는 출수밸브;
상기 서브케이싱에 형성되고 상기 유입포트를 통해 유입된 정수를 다른 서브모듈의 유입포트로 전달하는 급수포트;
신호를 수신받는 서브수신부;
신호를 전송하는 서브송신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출수신호를 인가하는 선택버튼; 및
상기 선택버튼을 통해 인가된 출수신호에 따라 상기 출수밸브를 제어하는 서브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부에 의해 여과되어 상기 메인모듈로부터 배출된 정수가 상기 제 1, 2, 3 서브모듈로 차례로 전달되도록, 상기 제 1 서브모듈의 급수포트와 상기 제 2 서브모듈의 유입포트가 연결되고, 상기 제 2 서브모듈의 급수포트가 상기 제 3 서브모듈의 유입포트와 연결되며,
상기 제 2 서브모듈의 서브제어부는,
상기 제 2 서브모듈의 선택버튼을 통해 출수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 2 서브모듈의 서브송신부를 통해 상기 제 1 서브모듈의 서브수신부와 상기 제 3 서브모듈의 서브수신부로 각각 상기 출수신호를 전송함과 아울러, 제 2 서브모듈의 출수밸브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 1 서브모듈과 상기 제 3 서브모듈의 서브제어부들은 각각, 상기 서브수신부를 통해 입력된 출수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서브모듈의 출수밸브와 상기 제 3 서브모듈의 출수밸브를 차단하는 정수기.
A main module having a main casing in which a filtration part for filtering water is arranged and forms an outer shape; And
And first, second and third submodules disposed outside the main casing and each having a subcasing formed separately from the main casing,
Eac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b-
An inlet port formed in the subcasing and defining an inlet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flows;
A discharge port formed in the subcasing and discharging the purified water introduced from the inflow port to the outside of the subcasing when a user requests to take it;
A water outlet valve for opening / closing the discharge port;
A water supply port formed in the subcasing and transferring the purified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flow port to an inflow port of another submodule;
A sub-receiver receiving the signal;
A sub-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signal;
A selection button for applying an outgoing signal according to a user operation; And
And a sub control section for controlling the water outlet valve according to an outgoing signal applied through the selection button,
The water inlet port of the first submodule and the inlet port of the second submodule are connected so that the purified water filtered by the filtration unit and sequentially discharged from the main module are sequentially transferred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bmodules, The water supply port of the second submodule is connected to the inlet port of the third submodule,
The sub-control unit of the second sub-
When the outgoing signal is applied through the select button of the second sub-module, the outgo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ub-receiver of the first sub-module and the sub-receiver of the third sub-module via the sub-transmitter of the second sub- The water outlet valve of the second sub-module is opened,
And the sub-controllers of the first sub-module and the third sub-module respectively block the water outlet valve of the first sub-module and the water outlet valve of the third sub-module according to an outgoing signal inputted through the sub-receiv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모듈은,
상기 유입포트와 상기 급수포트를 연결하는 전달배관;
상기 유입포트를 통해 유입된 정수를 상기 배출포트로 유도하는 출수배관; 및
상기 출수배관을 개폐하는 출수밸브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b-
A delivery pipe connecting the inflow port and the water supply port;
An outflow pipe for leading the purified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flow port to the discharge port; And
And a water outlet valve for opening / closing the water outlet pip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배관은 상기 전달배관으로부터 분지되어 정수를 공급받는 정수기.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outflow pipe is branched from the delivery pipe to receive purified wat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배관과 상기 전달배관과 상기 출수밸브는 상기 서브케이싱 내부에 수용된 정수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outflow pipe, the delivery pipe, and the outflow valve are housed in the subcasing.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모듈은,
상기 케이싱 내부에 수용되고 유입된 정수와 열 에너지를 교환하는 열교환부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ub-
And a heat exchange unit accommodated in the casing and exchanging the introduced purified water and heat energ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케이싱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포트를 단속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operating portion disposed outside the sub-casing and controlling the discharge port.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모듈은,
상기 서브케이싱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모듈의 이상 여부를 알리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b-
Further comprising a warning unit disposed in the subcasing and notifying of an abnormality of the main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모듈은,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파워코드; 및
상기 파워코드를 통해 유입된 전력을 외부로 공급하는 메인전력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모듈은,
상기 메인전력포트와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는 정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module includes:
A power cord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d a main power port for supplying power externally supplied through the power cord,
The sub-
And connected to the main power port to receive powe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모듈은,
상기 메인모듈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제 1서브모듈; 및
상기 제 1서브모듈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연결된 제 2서브모듈을 더 포함하는 정수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ub-
A first sub-module receiving power from the main module; And
And a second submodule coupled to receive power from the first submodu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모듈은,
상기 제 1 서브모듈의 서브송신부로부터 상기 출수신호를 수신하는 메인수신부; 및
상기 여과부와 원수 공급부 사이의 유로를 단속하는 원수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수밸브는,
상기 메인수신부에서 상기 출수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유로를 개방하는 정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module includes:
A mai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outgoing signal from a sub-transmitting unit of the first sub-module; And
Further comprising a raw water valve for interrupting a flow path between the filtration unit and the raw water supply unit,
Wherein the raw-
And when the main signal receiver receives the outgoing signal, opens the channe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154065A 2013-12-11 2013-12-11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438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065A KR101643872B1 (en) 2013-12-11 2013-12-11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065A KR101643872B1 (en) 2013-12-11 2013-12-11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169A KR20150068169A (en) 2015-06-19
KR101643872B1 true KR101643872B1 (en) 2016-07-29

Family

ID=53515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065A KR101643872B1 (en) 2013-12-11 2013-12-11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87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559B1 (en) * 2018-12-20 2021-12-03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system with moving outlet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4035B1 (en) * 2009-12-07 2012-08-1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of purifier
KR101374778B1 (en) * 2012-04-03 2014-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er pur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169A (en) 2015-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27587B (en) Multi-water-temperature purifying system with heating tank and water purifier
CN105036432B (en) Multi-functional platform-type water purifier
CN101731714B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reating carbonated water from the atmosphere and method for making carbonated drink
US5484538A (en) Multiple service water purifier and dispenser and process of purifying water
US9045359B2 (en) Reverse osmosis negative-ion water dispenser
CN103300721A (en) Reverse osmosis air energy heat pump water dispenser
JP2007225252A (en) Electric water heater with water purifier
US20150143830A1 (en) A refrigerator appliance and a method for monitoring a water filter assembly within the same
CN102992451A (en) Multifunctional water purifier
KR20220093863A (en) water purifier
KR101643872B1 (en)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0011598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potable water
KR102332233B1 (en) Water treating apparatus
WO2005039735A1 (en) Water purifier which supplies normal, cool (and hot) water in sink
KR20060117608A (en) A clean water system
KR102163335B1 (en) Module type water purifier
KR20150068170A (en)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0836276A (en) Tap water outlet mechanism
KR101374778B1 (en) Water purifier
KR102288070B1 (en) Water treating apparatus
CN205011486U (en) Multi -functional mesa formula purifier
CN114508854A (en) Drinking water supply system and ice machine
CN208949059U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water purification device
KR20150068173A (en) water purifier
KR102502949B1 (en) Instantaneous water cooling and heating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