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3726B1 - Beverage making and storage apparatus - Google Patents

Beverage making and storage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3726B1
KR101643726B1 KR1020150029798A KR20150029798A KR101643726B1 KR 101643726 B1 KR101643726 B1 KR 101643726B1 KR 1020150029798 A KR1020150029798 A KR 1020150029798A KR 20150029798 A KR20150029798 A KR 20150029798A KR 101643726 B1 KR101643726 B1 KR 101643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temperature
storage space
body portio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97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정용
김주환
정부윤
공병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세계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세계푸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세계푸드
Priority to KR1020150029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72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7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7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for brewing on a large scale, e.g. for restaurants, or for use with more than one brewing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07Lids, covers or knob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1Warming devices or supports for beverage containers
    • A47J31/4425Supports for beverage containers when filled or while being filled
    • A47J31/4453Supports for beverage containers when filled or while being filled interposed between means for keeping the beverage warm and the beverage container, e.g. spacers for raising the beverage container from the heated support plate in order to reduce heat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beverage manufacturing and storing apparatus which can automatically heat beverage and keep the same warm. The beverage manufacturing and storing apparatus comprises: a body part having a storage space formed on the inner part to store beverage; a temperature sensor mounted on the body part to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a heating part heating the beverag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and a control part receiving a sensing signal from the temperature sensor, and controlling the heating part when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is below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reby controlling to heat the beverage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higher.

Description

음료 제조 보관 장치{BEVERAGE MAKING AND STORAGE APPARATUS}[0001] BEVERAGE MAKING AND STORAGE APPARATUS [0002]

본 발명은 음료를 자동 가열 및 보온하는 것이 가능한 음료 제조 보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production storage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heating and keeping a beverage.

일반적으로 식혜는 전통적으로 음용 해오고 있는 전통 음료로서, 최근 상업적으로 제조되어 판매되고 있다.In general, Sikhye is a traditional drink that has been traditionally drunk and has been commercially manufactured and sold recently.

이러한 식혜는 제조 과정에서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끓이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식혜 등을 제조하는 원료를 가열 용기에 저장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동안 가열하여 식혜 음료를 제조한다. Such sikhye should be heated and boiled over a certain temperatur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this purpose, Sikhye beverage is prepared by heating a raw material for producing sikhye etc in a heating container for a predetermined time.

그러나 가열 용기를 이용하여 식혜를 끓이는 것은, 가열 용기의 저면에서 열을 공급받아 가열하는 바, 식혜를 효율적으로 가열하여 제조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However, boiling the sikhye using a heating vessel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roduce by heating the sikhye efficiently because the heat is supplied from the bottom of the heating vessel.

또한, 제조된 식혜 등의 음료를 보온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시용자의 기호에 맞는 식혜 등의 음료를 제조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Further, it is impossible to keep a drink such as sikhye, which is manufactured, in a warmed state, and it is difficult to produce a drink such as sikhye that is suitable for a user's tas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식혜 등의 음료를 자동 가열 및 보온하는 것이 가능한 음료 제조 보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everage production storage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heating and keeping beverages such as sikhy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음료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바디부와, 바디부에 설치되어 저장 공간에 저장된 음료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와, 저장 공간에 저장된 음료를 가열하는 히팅부와, 온도 센서의 센싱 신호를 전달받아 설정 온도 미만이면 히팅부를 제어하여 음료를 설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heating a beverage stored in a storage space, comprising: a body part having a storage space therein for storing a beverage; a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a temperature of the beverag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heating unit to control the beverage to be heated to a set temperature or higher when the sensed signal of the temperature sensor is received and is lower than the set temperature.

바디부는 상부로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며, 개구부에는 개폐 가능한 덮개부가 설치될 수 있다.The body portion may have an opening portion opened to the upper portion, and a cover portion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may be provided in the opening portion.

바디부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회전 휠이 설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rotating wheels may be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body part.

바디부의 측면에는 충격을 완충하는 범퍼부재가 돌출될 수 있다.A bumper member that absorbs shocks may protrude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바디부의 측면에는 사용자가 파지(把持) 가능한 파지봉이 돌출될 수 있다.On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 grip rod capable of being gripped by a user can be protruded.

바디부에는 저장 공간에 저장된 음료를 인출하는 드레인 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part may further include a drain part for drawing out the beverag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드레인부는, 일단은 바디부의 저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바디부의 외부로 돌출하는 드레인 관과, 드레인 관을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ain portion may include a drain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other end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and an open / close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rain pipe.

드레인 관에는 저장 공간의 내부에서 개폐되는 마개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The drain pipe may be provided with a plug member which is opened and closed in the storage space.

바디부에는 상기 마개부재를 개폐하는 개폐기가 설치될 수 있다.The body part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 closing device for opening / closing the plug member.

개폐기는, 일단은 바디부의 외부로 돌출되고 타단은 마개부재에 연결되는 체인부재일 수 있다.The switch may be a chain member having one end projecting to the outside of the body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topper member.

바디부는 내부에 설치 공간이 형성된 스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body part may be formed of a steel material having an installation space formed therein.

바디부의 내부에는 단열재가 충진될 수 있다.The inside of the body part can be filled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단열재는 글라스 울(glass wool) 재질일 수 있다.The insulating material may be a glass wool material.

히팅부는, 바디부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1 히터와, 바디부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제2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at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heater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a second heater provid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히팅부의 온도를 센싱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히터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heater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unit and transmitting the sensed temperature to the control unit.

바디부의 저면은 상기 드레인부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may be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that is inclined toward the drain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의 온도를 자동으로 센싱하여, 설정 온도 이상으로 자동으로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식혜 등의 음료를 제조 과정에서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원활하게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여 음료의 제조 품질의 향상이 가능하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and automatically heat it to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moothly heat the beverage such as sikhye to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bevera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조된 음료를 설정 온도 이상으로 보온하는 것이 가능하여, 음료를 취식하는 사용자의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keep the prepared beverage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the user who drinks the bevera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를 가열하는 히팅부의 온도를 센싱하는 히터 온도 센서가 설치되어, 히팅부의 과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eater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beverage is provided, thereby preventing the heating unit from overheat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 보관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음료 제조 보관 장치의 저장 공간을 일부 개방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음료 제조 보관 장치의 저장 공간을 일부 개방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음료 제조 보관 장치의 덮개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everage production and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schematically showing a storage space of the beverage production storage apparatus of Fig. 1 partially opened. Fig.
Fig. 3 is a partial side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orage space of the beverage production storage apparatus of Fig. 1 partially opened. Fig.
Fig. 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id portion of the beverage production and storage apparatus of Fig. 1; Fi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에서 설명하는 음료 제조 보관 장치(100)는, 음료를 설정 온도 이상으로 유지 또는 가열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음료(13)는 식혜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열하는 과정이 필요한 소정의 음료에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beverage production storage device 100 described below relates to maintaining or heating a beverage at or above a set temperature. The beverage 13 describ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exemplified by the sikhy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everage 13 may be applied to a predetermined beverage requiring a heating proces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 보관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음료 제조 보관 장치의 저장 공간을 일부 개방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음료 제조 보관 장치의 저장 공간을 일부 개방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everage production and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schematically showing a storage space of the beverage production and storage apparatus shown in FIG. 1, Is a partial side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orage space of the beverage production storage apparatus of Fig. 1 partially opened.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 보관 장치(100)는, 음료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11)이 내부에 형성된 바디부(10)와, 바디부(10)에 설치되어 저장 공간(11)에 저장된 음료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40)와, 저장 공간(11)에 저장된 음료(13)를 가열하는 히팅부(60)와, 온도 센서(40)의 센싱 신호를 전달받아 설정 온도 미만이면 히팅부(60)를 제어하여 음료를 설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한다.1 to 3, a beverage manufacturing and storage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 having a storage space 11 in which a beverage is stored, A temperature sensor 40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11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1, a heating unit 60 for heating the beverage 13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1, 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heating unit 60 to heat the beverage to a preset temperature or higher.

바디부(10)는 내부에 음료(13)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11)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치 장소의 바닥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저장 공간(11)은 바디부(10)의 내부에 사각형 또는 라운드 형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0)의 하부에는 음료 제조 보관 장치(100)의 설치 위치의 이동을 위한 복수개의 회전 휠(15)이 설치될 수 있다.The body part 10 has a storage space 11 in which a beverage 13 is stored, and is installed to be movable on the floor of the installation place. The storage space 11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including a rectangular shape or a round shape inside the body part 10. A plurality of rotating wheels 15 for mov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beverage production and storage apparatus 100 may be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body part 10.

회전 휠(15)은 바디부(10)의 하부 가장자리의 둘레를 따라 4개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바디부(10)를 설치 공간에서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설치 공간의 바닥면에서 원활하게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 휠(15)은 별도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지 않은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별도의 구동 모터(미도시)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자동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rotary wheel 15 may be installed at four positions along the periphery of the lower edge of the body 10. Therefore, when the body part 10 is to be mov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installation space, it is possible to smoothly move the body part 10 on the floo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spac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otary wheel 15 is installed in a non-rotated state by a separate driving for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a separate driving motor (not shown) It is also possible to automatically move the posi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바디부(10)의 측면에는 바디부(10)의 이동 과정시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게 돌출되는 파지봉(17)이 설치될 수 있다.A gripping rod 17 is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body part 10 so that the gripping rod 17 can be gripped by the user during the movement of the body part 10.

파지봉(17)은 바디부(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즉, 파지봉(17)은 바디부(10)의 측면의 폭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양단이 절곡된 상태로 바디부(10)의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파지봉(17)은 스틸 재질로 형성되어 바디부(10)의 양단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The gripping rods 17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body part 10, respectively. That is, the gripper rod 17 is formed to have a long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part 10 and can be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part 10 in a state where both ends are bent. The gripper rod 17 is made of a steel material and can be fixed to both ends of the body part 10 by welding or the like.

따라서, 사용자는 음료 제조 보관 장치(100)를 이동 또는 회전시키고자 하는 경우, 파지봉(17)을 파지한 상태로 바디부(10)를 안정적으로 이동 또는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바디부(10)를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Therefore, when the user wishes to move or rotate the beverage production storage device 100, it is possible to stably move or rotate the body part 10 while grasping the gripper rod 17. The body 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바디부(10)의 측면에는 범퍼부(19)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바디부(10)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인접 설비와 바디부(10)의 측면이 접촉되어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bumper portion 19 may b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damage to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10 due to contact between the adjacent equipment and the body during the movement of the body 10 by the user.

바디부(10)는. 음료(13)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11)이 형성되며 상부는 개구부(14)가 형성된다. 개구부(14)에는 덮개부(20)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The body part (10) A storage space 11 in which the beverage 13 is stored is formed, and an opening 14 is formed in the upper part. The lid portion 20 can be provided in the opening portion 14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덮개부(20)는 바디부(10)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며, 개구부(14)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덮개부(20)는 바디부(10)의 상부의 개구된 부분에 양방향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The lid part 20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material of the body part 10 and is installed in the opening part 14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The lid portion 20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openable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open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

도 4는 도 1의 음료 제조 보관 장치의 덮개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Fig. 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id portion of the beverage production and storage apparatus of Fig. 1; Fi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20)는 바디부(10)의 개구된 상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덮개(21)와, 제1 덮개(21)에 인접하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덮개(23)를 포함할 수 있다. 참조 번호 20a는 덮개바를 말한다.4, the lid part 20 includes a first lid 21 rotatably installed at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opened upper part of the body part 10, And a second lid 23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adjacent to the first lid 23. [ Reference numeral 20a denotes a cover bar.

바디부(10)는 스틸 재질의 표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0)는 저장된 음료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내부에 단열재(16)가 설치될 수 있다.The body part 10 may be formed to have a surface of a steel material. The body portion 10 may be provided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16 therein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stored beverage.

단열재(16)는 음료(13)의 저장 온도를 효과적으로 유지시키며, 천연 소재인 모래와 재활용 가능한 유리로 이루어져 안전성의 확보가 가능한 글라스 울(glass wool)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열재(16)는 스틸 재질의 바디부(10)의 내부에 설치되어, 가열된 음료의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단열재(16)는 음료 제조 보관 장치(100)의 단열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덮개부(20)의 내부에도 설치될 수 있다.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6 may be formed of a glass wool material that effectively maintains the storag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13 and is made of sand, which is a natural material, and recyclable glass, thereby securing safety.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6 may be provided inside the body 10 of steel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heated beverage properly.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6 may also be installed inside the lid 20 to improve the heat insulating effect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storage device 100.

바디부(10)의 내부에는 내부에 저장된 음료(13)를 인출하도록 드레인부(30)가 설치될 수 있다.The drain part 30 may be installed in the body part 10 to draw out the beverage 13 stored therein.

드레인부(30)는, 바디부(10)에 연결되는 드레인 관(31)과, 드레인 관(31)을 개폐하는 개폐밸브(33)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ain portion 30 may include a drain pipe 31 connected to the body 10 and an opening and closing valve 3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rain pipe 31.

드레인 관(31)은 일단은 바디부(10)의 저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바디부(10)의 외부로 돌출된다. 드레인 관(31)의 돌출된 단부는 인출되는 음료를 담기 용이하도록 단부가 하방향으로 굴곡될 수 있다. 드레인 관(31)은 개폐밸브(33)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음료가 인출될 수 있다.One end of the drain pipe 31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art 10 and the other end is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part 10. The protruding end of the drain pipe (31) can be bent in the downward direction so as to easily receive the beverage to be drawn out. The drain pipe (31)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by the opening / closing valve (33) so that the drink can be drawn out.

개폐밸브(33)는 드레인 관(31)에 사용자에 의해 수동 개폐되는 회전 밸브로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개폐밸브(33)는 수동 개폐 타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솔레노이드밸브(미도시) 등과 같이 자동 개폐 제어되는 것으로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on-off valve 33 may be provided on the drain pipe 31 as a rotary valve that is manually opened or closed by a user. However, the open / close valve 33 is not limited to the manual opening / closing type, but may be modified to be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such as a solenoid valve (not shown).

한편, 드레인 관(31)은 개폐기(35)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rain pipe 31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switch 35.

개폐기(35)는 일단은 바디부(10)에 연결되고 타단은 마개부재(36)에 연결된 체인부재로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개폐기와 체인부재는 동일 참조 번호 35를 사용한다. The switch 35 may be connected to the body 10 at one end and a chain member connected to the stopper 36 at the other end. In the following, the switch and the chain member use the same reference numeral 35.

체인부재(35)의 일단은 사용자가 견인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바디부(10)의 외부로 일부분이 돌출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체인부재(35)를 당기면 마개부재(36)를 개방하여 음료(13)가 드레인 관(31)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One end of the chain member 35 may be installed in a state where a part of the chain member 35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 so that the user can pull it. Therefore, when the user pulls the chain member 35, the stopper member 36 can be opened to allow the beverage 13 to be drawn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pipe 31.

바디부(10)는 저장 공간(11)의 저면에 드레인부(30)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18)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음료(13)는 저장 공간(11)에서 소량이 잔류하는 경우에도 드레인부(30)를 통해 용이하게 인출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body portion 10 may be formed with a sloped surface 18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the drain portion 30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11. Therefore, even when a small amount of the beverage 13 remains in the storage space 11, the beverage 13 can be easily drawn out through the drain 30.

한편, 바디부(10)에는 저장된 음료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40)가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body part 10 may be provided with a temperature sensor 40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stored beverage.

온도 센서(40)는 바디부(10)의 저장 공간(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저장된 음료(13)의 온도를 센싱하여 제어부(50)로 전송한다. The temperature sensor 40 is installed inside the storage space 11 of the body part 10 and senses the temperature of the stored beverage 13 and transmits the sensed temperature to the controller 50.

제어부(50)는 온도 센서(40)의 센싱 신호를 전달받아, 음료(13)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제어부(50)는 음료(13)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미만으로 확인되면, 히팅부(60)를 제어하여 저장된 음료(13)를 설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한다. The control unit 50 receives the sensing signal of the temperature sensor 40 and confirms whether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13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heating unit 60 to heat the stored beverage 13 to a set temperature or highe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13 is confirmed to be lower than the set temperature.

제어부(50)는 바디부(10)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어 패널(51)에 설치되는 컨트롤부(53)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50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body 10 and may include a control unit 53 installed on the control panel 51.

제어 패널(51)은 컨트롤부(53)를 바디부에 설치하기 위한 부분으로, 플레이트 형상으로 바디부(10)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패널(51)에는 복수개의 컨트롤부(53)가 설치될 수 있다. The control panel 51 is a part for mounting the control part 53 on the body part and may b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part 10 in the form of a plate. The control panel 51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trol units 53.

컨트롤부(53)는 음료(13)의 온도를 표시하는 표시 기능과 음료(13)를 가열하는 온도를 설정하는 제어 버튼(55)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참조 번호 55는 전원 버튼을 말한다. 이와 같이, 컨트롤부(53)의 제어 작동에 의해 히팅부(60)가 작동되어, 저장 공간(11)에 저장된 음료(13)를 가열 및 보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control unit 53 may include a display function for displaying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13 and a control button 55 for setting the temperature for heating the beverage 13. [ Reference numeral 55 denotes a power button. Thus, the heating unit 60 is operated by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53, so that the beverage 13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1 can be heated and kept warm.

히팅부(60)는 바디부(10)의 저장 공간(11)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저장 공간(11)의 저면에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The heating unit 60 is installed inside the storage space 11 of the body part 10 and may b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11 in plurality.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히팅부(60)는 저장 공간(11)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1 히터(61)와, 저장 공간(11)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제2 히터(63)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heating unit 60 includes a first heater 61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11 and a second heater 63 install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11 .

제1 히터(61)는 바디부(10)의 내부에서 저장 공간(11)의 저면에 설치되어 음료(13)를 저장 공간(11)의 저면에서 가열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히터(63)는 바디부(10)의 내부에서 저장 공간(11)의 내벽면에 설치되어 음료(13)를 저장 공간(11)의 측면에 가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히팅부(60)는 저장 공간(11)의 내부에서 제1 히터(61)와 제2 히터(63)의 복수개로 설치됨으로써, 음료(13)를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The first heater 61 may b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11 in the body 10 to heat the beverage 13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11. The second heater 63 can be install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11 inside the body 10 to heat the beverage 13 to the side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11. [ As described above, the heating unit 60 is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11 as a plurality of the first heater 61 and the second heater 63, so that the beverage 13 can be effectively heated.

히팅부(60)는 전원 공급에 의해 발열되는 히팅 코일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히팅부(60)는 음료(13)의 온도가 설정 온도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회면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발열되어 음료(13)를 설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할 수 있다. The heating unit 60 may be installed as a heating coil that generates heat by power supply. Therefore, the heating unit 60 can generate heat under the control of the face-face control unit 50 to check that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13 is lower than the set temperature, and heat the beverage 13 to a set temperature or higher.

한편, 바디부(10)에는 히팅부(60)의 발열 온도를 센싱하는 히터 온도 센서(65)가 설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body 10 may be provided with a heater temperature sensor 65 for sensing the heat generation temperature of the heating unit 60.

히터 온도 센서(65)는 히팅부(60)의 제1 히터(61) 및 제2 히터(63)의 온도를 센싱하여 제어부(50)로 전송한다. 따라서, 제어부(50)는 히팅부(60)의 발열 온도가 설정 온도 미만으로 확인되면 히팅부(60)의 발열 온도를 재설정하여 설정 온도 이상으로 발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히팅부(60)는 히터 온도 센서(65)에 의해 온도 조절이 적절하게 이루어지며 과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heater temperature sensor 65 senses temperatures of the first heater 61 and the second heater 63 of the heating unit 60 and transmits them to the control unit 50. Accordingly, when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heating unit 60 is less than the set temperature, the controller 50 can reset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heating unit 60 and control the heating unit 60 to generate heat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Accordingly,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unit 60 is appropriately controlled by the heater temperature sensor 65,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overheating.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음료 제조 보관 장치(100)는 저장 공간(11)에 저장된 음료(13)의 온도를 자동으로 센싱하여, 설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 또는 보온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식혜 등의 음료(13)를 제조 과정에서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원활하게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여, 음료의 제조 품질의 향상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beverage production storage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automatically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13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1 and maintain heating or keeping the temperature above the set temperatur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moothly heat the beverage 13 such as sikhye to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beverage production quality.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or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10...바디부 11...저장 공간
14...개구부 15...회전 휠
17...파지봉 20...덮개부
21...제1 덮개 23...제2 덮개
30...드레인부 31...드레인 관
33...개폐밸브 35...개폐기
36...마개부재 40...온도 센서
50...제어부 51...제어 패널
53...컨트롤부 55...전원 버튼
60...히팅부 61...제1 히터
63...제2 히터 65...히터 온도 센서
10 ... body part 11 ... storage space
14 ... opening 15 ... rotating wheel
17 ... < tb >< tb >
21 ... first lid 23 ... second lid
30 ... drain portion 31 ... drain pipe
33 ... open / close valve 35 ... open / close valve
36 ... plug member 40 ... temperature sensor
50 ... control unit 51 ... control panel
53 ... control section 55 ... power button
60 ... heating portion 61 ... first heater
63 ... second heater 65 ... heater temperature sensor

Claims (14)

음료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 공간에 저장된 음료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
상기 저장 공간에 저장된 상기 음료를 가열하는 히팅부;
상기 온도 센서의 센싱 신호를 전달받아 설정 온도 미만이면, 상기 히팅부를 제어하여 상기 음료를 설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 공간에 저장된 음료를 인출하는 드레인 부;
를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부는,
일단은 상기 바디부의 저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바디부의 외부로 돌출하는 드레인 관 및 상기 드레인 관을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드레인 관에는 상기 저장 공간의 내부에서 개폐되는 마개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마개부재를 개폐하는 개폐기가 설치되는 음료 제조 보관 장치.
A body portion having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beverage is stored;
A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in the body part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beverag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A controller receiving the sensed signal of the temperature sensor and controlling the heating unit to heat the beverage to a preset temperature or higher when the sensed temperature is lower than a set temperature; And
A drain part installed in the body part to draw out the beverag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Lt; / RTI >
The drain portion
A drain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other end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and an opening / closing valve for opening / closing the drain pipe,
Wherein the drain pipe is provided with a stopper member which is opened and closed in the storage space, and the body unit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pper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부로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에는 개폐 가능한 덮개부가 설치되는 음료 제조 보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portion is provided with an opening portion opened to the upper portion, and a cover portion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is provided in the opening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회전 휠이 설치되는 음료 제조 보관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plurality of rotating wheels ar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측면에는 충격을 완충하는 범퍼부재가 돌출되는 음료 제조 보관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bumper member for cushioning an impact protrudes from a sid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측면에는 사용자가 파지(把持) 가능한 파지봉이 돌출되는 음료 제조 보관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grip rod capable of being gripped by a user is protrude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는, 일단은 상기 바디부의 외부로 돌출되고 타단은 상기 마개부재에 연결되는 체인부재인 음료 제조 보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witch is a chain member having one end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topper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내부에 설치 공간이 형성된 스틸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단열재가 충진되는 음료 제조 보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part is formed of a steel material having an installation space formed therein, and a heat insulating material is filled in the body par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글라스 울(glass wool) 재질인 음료 제조 보관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s made of glass woo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는,
상기 바디부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1 히터; 및
상기 바디부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제2 히터;
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 보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ing unit includes:
A first heater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A second heater installed on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he beverage manufacturing storage device comprising: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의 온도를 센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히터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 보관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a heater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unit and transmitting the sensed temperature to the control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저면은 상기 드레인부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는 음료 제조 보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has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the drain portion.
KR1020150029798A 2015-03-03 2015-03-03 Beverage making and storage apparatus KR1016437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798A KR101643726B1 (en) 2015-03-03 2015-03-03 Beverage making and storag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798A KR101643726B1 (en) 2015-03-03 2015-03-03 Beverage making and storage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3726B1 true KR101643726B1 (en) 2016-07-28

Family

ID=56681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9798A KR101643726B1 (en) 2015-03-03 2015-03-03 Beverage making and storage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72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08990A (en) * 2017-05-30 2020-01-17 埃沃咖股份公司 Automatic hot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5403A (en) * 1996-11-13 1998-08-05 최진호 Heater Control Device of Vending Machine
KR200183396Y1 (en) * 1999-11-30 2000-05-15 이강길 Movable stand for serving food
JP2003325354A (en) * 2002-05-13 2003-11-18 Tiger Vacuum Bottle Co Ltd Electric pot
KR200436936Y1 (en) * 2007-01-03 2007-10-18 박수용 Vessel for keeping carbonated bevera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5403A (en) * 1996-11-13 1998-08-05 최진호 Heater Control Device of Vending Machine
KR200183396Y1 (en) * 1999-11-30 2000-05-15 이강길 Movable stand for serving food
JP2003325354A (en) * 2002-05-13 2003-11-18 Tiger Vacuum Bottle Co Ltd Electric pot
KR200436936Y1 (en) * 2007-01-03 2007-10-18 박수용 Vessel for keeping carbonated bevera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08990A (en) * 2017-05-30 2020-01-17 埃沃咖股份公司 Automatic hot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3088B1 (en) Unmanned coffee drink manufacturing system
US10104992B2 (en) Tea maker
EP3076830B1 (en) Tea-steeping appliances
KR101643726B1 (en) Beverage making and storage apparatus
US10165880B2 (en) Tumbler having Peltier device
CN102818428A (en) Refrigerator
KR200468072Y1 (en) Electric fryer
EP2265155B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housing and dispensing liquid
CN103776229B (en) There is the refrigerator of the hatch door for the inner portion for being used for sensible refrigerator compartment on door
KR20140092253A (en) Cooling apparatus for feeding bottle
RU2523710C2 (en) Kettle with device for lifting mesh infusion preparation container
WO2014102042A1 (en) An ice dispensing unit comprising a cutting means
US1988223A (en) Closure for heat-insulated containers
JP4160196B2 (en) Insulated container
JP6210783B2 (en) Beverage supply equipment
WO2013097999A1 (en) A hot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US20110239869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housing and dispensing liquid
JP3867407B2 (en) Electric water heater
EP3616579B1 (en) Kitchen appliance comprising means of supporting containers intended to be immersed into the appliance's tank
EP3801147B1 (en) A coffee machine
JP3205304U (en) Food and beverage production device
JPH0719898Y2 (en) Carpot device
CN207670275U (en) A kind of intelligent control food car
AU2016204253B2 (en) Improved Tea Maker
JP6093957B2 (en) Beverage container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