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3578B1 - A management method for water supply and drinage facilities - Google Patents

A management method for water supply and drinage faciliti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3578B1
KR101643578B1 KR1020140004501A KR20140004501A KR101643578B1 KR 101643578 B1 KR101643578 B1 KR 101643578B1 KR 1020140004501 A KR1020140004501 A KR 1020140004501A KR 20140004501 A KR20140004501 A KR 20140004501A KR 101643578 B1 KR101643578 B1 KR 101643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data
amount
facility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45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84461A (en
Inventor
황용우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04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578B1/en
Publication of KR20150084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44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5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전생애주기가 기획단계, 시공단계, 운영단계, 폐기 및 재활용 단계로 구분되는 단계,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기획단계의 수집 데이터가 라이프 사이클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는 단계,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시공단계의 수집 데이터가 라이프 사이클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는 단계,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운영단계의 수집 데이터가 라이프 사이클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는 단계, 라이프 사이클 데이터베이스와 국가 엘씨아이 데이터베이스가 연계되는 단계, 라이프 사이클 데이터베이스에 기입력된 자료와 국가 엘씨아이 데이터베이스에 기입력된 자료를 이용하여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기획단계, 시공단계, 운영단계 또는 폐기단계의 투입자재량, 에너지 사용량, 탄소배출량 또는 비용이 산출되는 단계 및 상하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시공단계, 운영단계 또는 폐기단계의 투입 자재량, 에너지 사용량, 탄소 배출량 또는 비용이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aging a water supply or sewerage facility, wherein the entire life cycle of the water supply or sewage facility is classified into a planning stage, a construction stage, an operation stage, a disposal and recycling stage, a collection of a planning stage of a water or sewage facility A step in which data is input to the life cycle database; a step in which collected data of a construction stage of a water supply or sewerage facility is inputted into a life cycle database; a step in which collected data of an operation stage of a water supply or sewerage facility is inputted into a life cycle database; Using the data entered in the lifecycle database and the data entered in the country's El Cayo database, it is possible to use the data in the planning, construction, operation, or disposal phase of the water or sewer facility The step of calculating the amount of energy, the amount of energy used, the amount of carbon emissions or the cost, and the step of displaying the disposer's discretion, the energy consumption, the carbon emission or the cost of the construction phase, operation phase or disposal phase of the water supply or sewage facility .

Description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관리 방법{A management method for water supply and drinage facilities}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A management method for water supply and drinage facilities

본 발명은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관리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전 일생과정을 통하여 연속적으로 효율적인 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전 일생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aging a water supply or sewerage facil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managing the entire lifetime of a water supply or sewerage facility capable of continuously and efficiently managing the entire life cycle of a water supply or sewage facility.

현재 인간사회에 있어, 에너지(energy) 공급 시설과 더불어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은 도시를 지탱하는 가장 중요한 인프라(infra) 시설로 여겨진다. In the present human society, water supply or sewage facilities, along with energy supply facilities, are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infra facilities to support the city.

이러한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은 수질, 대기, 폐기물의 3대 사후처리시설 중의 하나로서 인간 생활의 최종 산물을 자연으로 환원시키는 접점이라는 점에서 그 기능, 역할 그리고 친환경성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This water or sewage facility is one of the three post-treatment facilities of water quality, air and waste, and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its function, role and eco-friendliness in that it is a point of returning the final product of human life to nature.

특히, 지속가능발전의 개념 도입 후 경제적인 발전 뿐만 아니라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의 개념이 함께 포함되어 있는 발전의 중요성이 중시되고 있다.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development that incorporates the concepts of 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s well as economic development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is emphasized.

하지만, 현재의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관리 방법은 단순히 기능적 요인과 사후 평가에 치중하는 경향이 있다.However, the current management of water or sewer facilities tends to focus solely on functional factors and post evaluation.

현재의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상당수는 고도 경제성장기에 건설된 것이며, 이러한 시설의 갱신 시기가 가까워지고 있다. 또한,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설비기기의 적절한 운영이나 갱신은 내진성을 높이는 등 라이프 라인(life line) 확보를 위해서도 중요한 시책이다.또한, 세수 부족이나 국가 예산의 절감, 수요량 감소에 의한 수도요금 수입의 감소에 의하여 설비기기의 유지 관리나 갱신에 사용할 수 있는 예산은 점점 감소하고 있다. Many of the current water or sewer facilities are built in high economic growth periods, and the time for renewal of these facilities is approaching. In addition, proper operation or renewal of equipment of waterworks or sewerage facilities is an important measure for ensuring the life line, such as increasing the earthquake resistance. Due to the decline, the budget available for maintenance or renewal of equipment is decreasing.

그리고, 이러한 자산의 운용에는 단지 소정의 기간 동안 사용한 후에 갱신을 도모한다는 것만이 아니고, 적정한 보수 점검과 유지보수, 연명 조치를 실시함으로써, 설비기기의 기능을 확보하는 시책도 포함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of such assets includes not only an attempt to update after us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but also a measure for ensuring the function of the equipment by carrying out proper maintenance, maintenance, and longevity measures.

그 때문에, 상수도나 하수도 시스템(system) 전체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하여 자산의 적정한 운용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it is required to integrate the entire water supply system and the sewerage system into one system to manage the proper management of the assets.

하지만, 기존의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은 시공 및 운영 등의 과정에 있어 각 데이터들이 통합적으로 관리되지 못하여, 이러한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관리가 투입되는 비용이나 기대 여명에 따라 적절히 관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existing waterworks or sewage facilities have problems in that they can not be properly managed according to the expense or life expectancy of the management of such waterworks or sewage facilities because the data are not integratedly managed in construction and operation processes.

또한, 시공 및 운영단계에서의 데이터들이 적절히 관리되지 못하여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폐기시점 및 재활용 시점을 적절히 산출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ata at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stages are not appropriately managed and the point of time of disposal or recycling of waterworks or sewage facilities can not be calculated properl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기획단계, 시공단계, 운영단계, 폐기 및 재활용 단계를 아우르는 전단계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러한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관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supply system and a sewage treatment facility, which are based on data collected at all stages including planning, construction, operation, And to provide a management method that can operate efficiently.

또한, 각 단계에서 투입되는 자재량, 에너지 사용량, 탄소 배출량 또는 비용을 실시간적으로 계산하여 이를 기초로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을 관리할 수 있는 효율적인 관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we will provide an efficient management method that can manage the waterworks or sewage facilities based on real-time calculation of the amount of capital, energy consumption, carbon emission or cost input at each stag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전 생애주기가 기획단계, 시공단계, 운영단계, 폐기 및 재활용 단계로 구분되는 단계; 상기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기획단계의 수집 데이터가 라이프 사이클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는 단계; 상기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시공단계의 수집 데이터가 라이프 사이클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는 단계; 상기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운영단계의 수집 데이터가 라이프 사이클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는 단계; 상기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폐기 및 재활용 단계의 수집데이터가 라이프 사이클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는 단계; 상기 라이프 사이클 데이터베이스와 국가 엘씨아이 데이터베이스가 연계되는 단계; 상기 라이프 사이클 데이터베이스에 기입력된 자료와 상기 국가 엘씨아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기획단계, 시공단계, 운영단계 또는 폐기단계의 투입자재량, 에너지 사용량, 탄소배출량 또는 비용이 산출되는 단계; 상기 상하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시공단계, 운영단계 또는 폐기단계의 투입 자재량, 에너지 사용량, 탄소 배출량 또는 비용이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of dividing a whole life cycle of a water supply or sewage facility into a planning stage, a construction stage, an operation stage, a disposal and a recycling stage; Inputting collected data of a planning stage of the waterworks or sewerage facility into a life cycle database; Inputting collection data of a construction stage of the waterworks or sewerage facility to a life cycle database; Inputting collected data of the operational stage of the waterworks or sewerage facility into the life cycle database; Inputting collected data of a disposal and recycling stage of the waterworks or sewerage facility into a life cycle database; Linking the life cycle database with a national Elisa database; Using the data entered in the life cycle database and the country's LCIF database, the disposer's discretion, energy consumption, carbon emissions or costs in the planning, construction, operation or disposal phases of the waterworks or sewerage system are calculated step; And displaying the disposer's discretion amount, energy consumption amount, carbon emission amount, or cost of the construction step, the operation step or the disposal step of the water supply / sewage or sewage facility through a display unit. do.

또한,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전생애주기가 기획단계, 시공단계, 운영단계, 폐기 및 재활용 단계로 구분되는 단계에서, 상기 기획단계는 상기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이 착공되기 이전까지의 단계이고, 상기 시공단계는 상기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이 착공되는 시점부터 착공이 완료되는 시점까지의 단계이며, 상기 운영단계는 상기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착공이 완료되는 시점부터 상기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폐기 결정되는 시점까지의 단계이고, 상기 폐기 및 재활용 단계는 상기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착공이 폐기 결정되는 시점부터 상기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이 폐기가 완료되는 시점까지의 단계를 지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In the stage where the entire life cycle of the water supply or sewerage facility is divided into a planning stage, a construction stage, an operation stage, a disposal and a recycling stage, the planning stage is a stage before the tap water or sewage facility is started, Wherein the operation step is a step from the time when the construction of the water supply or sewerage facility is completed to the time when the water supply or sewage facility is completed, Wherein the disposal and recycling step refers to a stage from the time when the start of the water supply or sewage facility is determined to be discarded to the time when the water supply or sewage facility is completed to be disposed. .

또한, 상기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기획단계의 수집 데이터가 라이프 사이클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는 단계에서, 상기 기획단계의 수집 데이터는 상기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설계 보고서, 설계 내역서, 일위 대가표, 최신건설공사 표준품셈, 소요자원 집계표, 중기사용내역서, 중기기초자료, 자재 및 에너지별 온실가스 배출 원단위로부터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at the stage where the collected data of the planning stage of the waterworks or sewerage facility is inputted into the life cycle database, the collected data of the planning stage includes design reports of the waterworks or sewerage facilities, design statements, And a method for managing a water supply or sewage facility,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llected from a collection of resources, an aggregate table, a medium-term use statement, a medium-term basic data, and a greenhouse gas emission standard per material and energy.

또한,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시공단계의 수집 데이터가 라이프 사이클 평가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는 단계에서, 상기 시공단계의 수집 데이터는 상기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설계 보고서, 설계 내역서, 일위 대가표, 최신건설공사 표준품셈, 소요자원 집계표, 중기사용내역서, 중기기초자료, 자재 및 에너지별 온실가스 배출 원단위로부터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at the stage where the collected data of the construction stage of the waterworks or sewerage facility is input to the life cycle evaluation database, the collected data of the construction stage includes the design report of the waterworks or sewerage facility, the design statement, And a method for managing a water supply or sewage facility,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llected from a collection of resources, an aggregate table, a medium-term use statement, a medium-term basic data, and a greenhouse gas emission standard per material and energy.

또한, 상기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운영단계의 수집 데이터가 라이프 사이클 평가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는 단계에서, 상기 운영단계의 수집 데이터는 상기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내 장비들의 사용 데이터, 배출물질 데이터, 자재 및 장비 사용 내역서로부터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collecting data of the operating stage of the waterworks or sewerage facility into the life cycle evaluation database, the collected data of the operating stage may include usage data of the waterworks, sewage data, materials and equipment And a method of managing a water supply or sewerage facility.

또한, 상기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내 장비들의 사용 데이터는 전력사용량, 용수사용량, 약품별 사용량으로 구성되고, 상기 배출물질 데이터는 산화탄소, 질소산화물, 황산화물로 구성되는 대기 배출물의 데이터와 생화학적 산소요구량 값, 화학적 산소요구량 값, 고형물 처리 값으로 측정되는 수계 배출물 데이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Also, the usage data of the equipment in the waterworks or sewerage facility is composed of electric power consumption, water consumption amount, and usage amount per drug, and the emission data includes data of air emission composed of carbon oxide, nitrogen oxide, and sulfur oxide and biochemical oxygen Water demand data, chemical oxygen demand value, and solids processing value, which are measured by a demand value, a chemical oxygen demand value, and a solids processing value.

또한, 상기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폐기 및 재활용 단계의 수집데이터가 라이프 사이클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는 단계에서, 상기 폐기 및 재활용 단계의 수집 데이터는 상기 시공단계에서 수집 데이터가 상기 폐기 및 재활용 단계의 수집 데이터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collecting data in the disposal and recycling stage of the waterworks or sewerage facility, the collected data in the disposal and recycling stage may be collected by collecting the collected data in the disposal and recycling stage And a control method of a water supply or sewerage facility.

또한, 상기 라이프 사이클 데이터베이스에 기입력된 자료와 상기 국가 엘씨아이 데이터베이스에 기입력된 자료를 이용하여 상기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기획단계, 시공단계, 운영단계 또는 폐기단계의 투입자재량, 에너지 사용량, 탄소배출량 또는 비용이 산출되는 단계에서, 상기 투입 자재량은 작업량에 일위대가표 상 자재 투입물량을 곱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by using the data inputted in the life cycle database and the data inputted in the country's electronic child database, the discretionary amount of the user in the planning stage, construction stage, operation stage or disposal stage of the water or sewage facility, Wherein the amount of the input material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work amount by the input amount of the table material i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carbon emission amount or the cost.

또한, 상기 라이프 사이클 데이터베이스에 기입력된 자료와 상기 국가 엘씨아이 데이터베이스에 기입력된 자료를 이용하여 상기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기획단계, 시공단계, 운영단계 또는 폐기단계의 투입자재량, 에너지 사용량, 탄소배출량 또는 비용이 산출되는 단계에서, 상기 에너지 사용량은 작업량에 단위 작업량당 장비 사용시간 및 연비를 곱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by using the data inputted in the life cycle database and the data inputted in the country's electronic child database, the discretionary amount of the user in the planning stage, construction stage, operation stage or disposal stage of the water or sewage facility, Wherein the energy usage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workload by the equipment usage time per unit workload and the fuel consumption ratio at a stage where the carbon emission amount or the cost is calculated.

또한, 상기 라이프 사이클 데이터베이스에 기입력된 자료와 상기 국가 엘씨아이 데이터베이스에 기입력된 자료를 이용하여 상기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기획단계, 시공단계, 운영단계 또는 폐기단계의 투입자재량, 에너지 사용량, 탄소배출량 또는 비용이 산출되는 단계에서, 상기 탄소배출량은 자재투입에 따른 탄소배출량, 장비 사용에 따른 탄소배출량, 전력 사용에 따른 탄소배출량, 열 사용에 따른 탄소배출량, 상수도 사용에 따른 탄소배출량, 약품 사용에 따른 탄소배출량으로 구성되고, 상기 자재투입에 따른 탄소배출량은 투입자재량에 탄소배출계수를 곱하여 산출되고, 상기 장비 사용에 따른 탄소배출량은 에너지 사용량에 순발열량을 곱하고, 여기에 배출계수를 곱한 이후에, '44/12'를 곱하여 산출되며, 상기 전력 사용에 따른 탄소배출량은 전력사용량에 전력 간접배출계수를 곱하여 산출되고, 상기 열 사용에 따른 탄소배출량은 열 사용량에 열 간접 배출계수를 곱하여 산출되며, 상기 상수도사용에 따른 탄소배출량은 상수도사용량에 탄소배출계수를 곱하여 산출되고, 상기 약품투입에 따른 탄소배출량은 투입약품량에 약품의 탄소배출계수를 곱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by using the data inputted in the life cycle database and the data inputted in the country's electronic child database, the discretionary amount of the user in the planning stage, construction stage, operation stage or disposal stage of the water or sewage facility, At the stage where the carbon emissions or costs are calculated, the carbon emissions are the carbon emissions from input of materials, the carbon emissions from equipment use, the carbon emissions from power use, the carbon emissions from heat use, The amount of carbon emission from the input of the material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amount of carbon monoxide emitted by the input of the user by the carbon emission factor, and the amount of carbon emission from the use of the equipment is multiplied by the net calorific power to the amount of energy used, Multiplied by ' 44/12 ', and the carbon emission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by the electric indirect emission coefficient, and the carbon emission amount according to the heat use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heat use amount by the thermal indirect emission coefficient, and the carbon emission amount according to the use of the water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water use amount by the carbon emission coefficient And the carbon emission amount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chemical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amount of the input chemical by the carbon emission coefficient of the chemical, and provides a method of managing the water or sewage facility.

또한, 상기 라이프 사이클 데이터베이스에 기입력된 자료와 상기 국가 엘씨아이 데이터베이스에 기입력된 자료를 이용하여 상기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기획단계, 시공단계, 운영단계 또는 폐기단계의 투입자재량, 에너지 사용량, 탄소배출량 또는 비용이 산출되는 단계에서, 상기 비용은 현재가치환산법 또는 연등가액환산법으로 계산되고, 이에 사용되는 현재가치환산계수(PWF, Present worth factor)는

Figure 112014003707163-pat00001
식에 의해서 계산되고, 연등가액현재가치환산계수(PWAF, Present worth of anuity factor)는
Figure 112014003707163-pat00002
식에 의해서 계산되며, 현재가치연등가액환산계수(PPF, Periodic payment factor)는
Figure 112014003707163-pat00003
식에 의해서 계산되고, 상기 식들에서, i는 할인율을, n은 내용연수를 나타내고, 할인율 i는
Figure 112014003707163-pat00004
식에 의해서 계산되며, i'은 명목할인율, j는 물가상승율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by using the data inputted in the life cycle database and the data inputted in the country's electronic child database, the discretionary amount of the user in the planning stage, construction stage, operation stage or disposal stage of the water or sewage facility, At the stage where the carbon emission amount or cost is calculated, the cost is calculated by the current value conversion method or the equivalent value conversion method, and the Present Value factor (PWF)
Figure 112014003707163-pat00001
(PWAF, Present worth of anuity factor) is calculated by the equation
Figure 112014003707163-pat00002
, And the present value of the PPF (periodic payment factor)
Figure 112014003707163-pat00003
, Where i represents the discount rate, n represents the useful life, and the discount rate i is
Figure 112014003707163-pat00004
, I 'is a nominal discount rate, and j is an inflation rat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managing a water supply or sewerage facility.

또한, 본 발명은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계획, 시공, 운영 또는 폐기 및 재활용 단계에서 발생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목록에 따라 정리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데이터 수집부가 입력받은 데이터를 전달받아 각 목록에 따라 저장하는 라이프 사이클 데이터베이스; 상기 라이프 사이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값을 호출하여 상기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각 단계에서 발생되는 투입 자재량, 에너지 사용량, 탄소 배출량 또는 비용을 계산하는 계산부; 및 상기 계산부가 계산한 값이나 상기 라이프 사이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값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data collection unit for receiving data generated in the planning, construction, operation, or disposal and recycling of a water supply or sewage facility and organizing the data into a list; A lifecycle database for receiving data received by the data collector and storing the data according to each list; A calculation unit for calling a value stored in the life cycle database to calculate an amount of input user, amount of energy used, carbon emission amount, or cost generated at each stage of the water supply or sewerage facility;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calculated value or the value stored in the life cycle databas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또는 하수도시설의 관리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managing a water supply or sewerag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전 과정 관리기법(LCM, Life cycle management)을 적용하여, 이러한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환경성 및 경제성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LCM (Life Cycle Management) of waterworks or sewerage facilities can be applied to immediately confirm the environmental and economical efficiency of such waterworks or sewerage facilities.

둘째, 복수의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 간의 운영과정을 실시간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각 시설의 비교를 통하여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각 관리단계에서 신속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since the operation process between multiple waterworks or sewage facilities can be confirmed in real time, it is possible to support rapid decision making at each management stage of the waterworks or sewage facilities through comparison of each facility.

셋째,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기획, 시공, 운영, 폐기 및 재활용의 각 단계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탄소배출량을 줄이는 방향으로 시설관리를 할 수 있으므로,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의 달성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Third, since carbon emissions from each stage of planning, construction, operation, disposal and recycling of waterworks or sewerage facilities can be confirmed, facility management can be carried out to reduce carbon emissions based on these data. Therefore, It contributes to the achievement of the reduction target.

도면 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관리 방법이 수행되는 각 단계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면 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관리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1 is a flowchart showing steps of a method of managing a water supply or sewerage facil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management apparatus of a water supply or sewerage facil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are herein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도면 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관리 방법이 수행되는 각 단계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FIG. 1 is a flowchart showing steps of a method of managing a water supply or sewerage facil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관리 방법은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전생애주기가 세부적인 단계로 구분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S1-1) 그리고, 이러한 각 세부 단계는 기획단계, 시공단계, 운영단계, 폐기 및 재활용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First, a method of managing a water supply or sewerage facil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by dividing a whole life cycle of a water supply or sewage facility into detailed steps (S1-1) Can be divided into a planning stage, a construction stage, an operation stage, a disposal and a recycling stage.

이러한 각 세부 단계는 다음의 기준에 따라서 구분될 수 있다. Each of these sub-steps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먼저,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계획단계는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이 착공되기 이전까지의 단계를 아울러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First, the planning stage of a water supply or sewerage facility may refer to the steps up to the start of a water supply or sewerage facility.

그리고, 시공단계는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이 착공되는 시점부터 착공이 완료되는 시점까지의 단계를 지칭하는 것일 수 있으며, 운영단계는 착공이 완료되는 시점부터 폐기 결정되는 시점까지의 단계를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The construction phase may refer to a stage from the start of the construction of the water supply or sewerage system to the completion of the construction, and the operation phase may refer to a stage from the completion of the start of construction to the time of the completion of the construction have.

마지막으로 폐기 및 재활용 단계는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이 폐기 결정되는 시점부터 폐기가 완료되는 시점까지를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Finally, the disposal and recycling stage may refer to the point from when the waterworks or sewerage facility is discarded to when the disposal is completed.

따라서,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관리 방법은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전생애주기를 일정한 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에서 소모하는 에너지나 탄소 배출량 등을 계산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ethod of managing the waterworks or the sewage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alculate the energy consumed or the carbon emissions at each step by dividing the entire life cycle of the waterworks or the sewage facilities into predetermined stages.

그러므로, 단순히 사후적으로 경험칙에 의하여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을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집계된 데이터(data)를 기반으로 각 단계별 투입되는 자재와 에너지 사용량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Therefore, rather than merely managing the waterworks or sewerage facilities according to empirical rules,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predict the amount of materials and energy used at each stage based on the aggregated data.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전생애주기가 각 단계별로 구분된 이후에는 각 단계별 수집 데이터가 라이프 사이클 데이터베이스(100)으로 입력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S1-2)After the life cycle of the waterworks or sewerage facilities is divided into stages, the collected data for each step may be inputted to the life cycle database 100. (S1-2)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획단계에서 수집된 데이터, 시공단계에서 수집된 데이터, 운영단계에서 수집된 데이터가 라이프 사이클 데이터베이스(100, life cycle database)에 입력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데이터의 수집은 데이터수집부(200)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data collected at the planning stage, the data collected at the construction stage, and the data collected at the operational stage may be input to the life cycle database 100. The data collection unit 200 may collect the data.

기획 및 시공단계에서의 데이터 수집은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설계 보고서, 설계 내역서, 일위 대가표, 최신건설공사 표준품셈, 소요자원 집계표, 중기사용내역서, 중기기초자료, 자재 및 에너지별 온실가스 배출원단위 등을 데이터수집부(200)에 인가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이러한 자료들을 넘겨받은 데이터수집부(200)는 각 자료를 목록과 자료값으로 나누어 이를 라이프 사이클 데이터베이스(100)에 입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Data collection in the planning and construction phase includes design reports of waterworks or sewerage facilities, design statements, standard price tables, the latest construction standard items, the required resource tables, the mid-term use statements, the medium-term basic data, Or the like to the data collecting unit 200. That is, the data collecting unit 200 receiving these data may divide each data into lists and data values, and input the data into the life cycle database 100.

운영단계에서의 데이터 수집은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내 장비들의 사용 데이터, 배출물질 데이터, 자재 및 장비 사용 내역서 등을 데이터수집부(200)가 넘겨받음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장비 사용 데이터는 전력 사용량, 용수사용량, 약품별 사용량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배출물질 데이터는 산화탄소, 질소산화물, 황산화물로 구성되는 대기 배출물의 데이터와 생화학적 산소요구량 값, 화학적 산소유구량 값, 고형물 처리 값으로 측정되는 수계 배출물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Data collection at the operational stage may be accomplished by the data collection unit 200 taking over usage data, emissions data, materials and equipment usage statements, etc. in the water or sewerage facility. The equipment usage data may include power usage, water usage, usage by drug, and the emission data may include data on atmospheric emissions consisting of carbon oxides, nitrogen oxides, and sulfur oxides, biochemical oxygen demand values, chemical oxygen A sediment amount value, and a water-based emission data measured as a solids treatment value.

또한, 폐기 단계에서는 시공단계에서 투입된 모든 자재가 폐기 처리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시공단계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폐기 단계에서 사용될 수 있다.Also, in the disposal step, all the materials input in the construction step can be seen as being disposed of, so that the collected data can be used in the disposal step by using the data collected in the construction step.

이렇게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각 단계에서 사용되는 투입자재량, 에너지 사용량 등을 계산하기 위한 데이터의 입력이 완료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관리 방법은 라이프 사이클 데이터베이스(100)를 국가 엘씨아이(LCI, Life cycle inventroy) 데이터베이스(500)에 연결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S1-3)When the input of data for calculating the disposer discretion amount, the energy use amount, and the like used in each stage of the water supply or sewage facility is completed, the method of managing the water supply or sewerag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by the life cycle database 100 ) To the life cycle inventory (LCI) database 500. (S1-3)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관리 방법은 이렇게 국가 엘씨아이 데이터베이스(500)와 라이프 사이클 데이터베이스(100)을 연동함으로써 향후 계산에 사용될 값들을 국가 엘씨아이 데이터베이스(500)로부터 호출할 수 있다.A method of managing a water supply or sewerage facil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managing a water supply or sewerage facility in which a value to be used in future calculations is called from a country code database 500 by linking the country code database 500 and the life cycle database 100 .

국가 엘씨아이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된 이후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관리 방법은 각 단계의 투입자재량, 에너지 사용량, 탄소 배출량 또는 비용을 계산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S1-4) 이러한 과정은 라이프 사이클 데이터베이스(100)와 국가 엘씨아이 데이터베이스에 기입력된 자룔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The method of managing a water supply or sewerage facil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after calculating the input user discretion, energy usage amount, carbon emission amount, or cost of each step after being connected to the national Elisa database. S1-4) This process can be calculated using the lifecycle database 100 and the data entered in the national Elisa databas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관리 방법에서 각 단계에서 사용되는 투입 자재량을 구하는 방법은 작업량에 일위대가표 상 자재 투입물량을 곱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이를 식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In the method of managing the water supply or sewerag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amount of the input material used in each step can be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work amount by the amount of input of the table material. Th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gure 112014003707163-pat00005

Figure 112014003707163-pat00005

그리고, 에너지 사용량은 작업량에 단위 작업량당 장비 사용시간 그리고 연비를 곱하여 산출할 수 있으며, 이는 다음 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The energy consumption can be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workload by the equipment usage time per unit workload and the fuel consumption, as shown in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14003707163-pat00006

Figure 112014003707163-pat00006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관리 방법에서 탄소배출량은 자재투입에 따른 탄소배출량, 장비 사용에 따른 탄소배출량, 전력 사용에 따른 탄소배출량, 열 사용에 따른 탄소배출량과 약품 사용에 따른 탄소배출량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the method of managing waterworks or sewerage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bon emission amount is determined by the amount of carbon input from the input of materials, the amount of carbon emitted by the use of equipment, the amount of carbon used by power use, And the amount of carbon emissions associated with that.

자재 투입량에 따른 탄소배출량은 다음의 식에 따라서 계산될 수 있다.Carbon emissions from material inputs can b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Figure 112014003707163-pat00007
Figure 112014003707163-pat00007

그리고, 장비 사용에 따른 탄소 배출량은 다음의 식을 따라서 계산될 수 있다.And, carbon emissions from equipment use can b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Figure 112014003707163-pat00008
Figure 112014003707163-pat00008

또한, 전력사용에 따른 탄소 배출량은 다음 식에 따라서 계산될 수 있다.In addition, carbon emissions from power use can b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Figure 112014003707163-pat00009

Figure 112014003707163-pat00009

이와 유사하게, 열(스팀) 사용에 의한 탄소배출량도 다음의 식에 의해서 계산될 수 있다.Similarly, the amount of carbon emissions from the use of heat (steam) can b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14003707163-pat00010
Figure 112014003707163-pat00010

마지막으로, 상수도사용에 따른 탄소배출량과 약품투입에 따른 탄소배출량은 아래의 식에 의해서 산출될 수 있다.
Finally, carbon emissions from tap water use and carbon emissions from drug input can b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14003707163-pat00011

Figure 112014003707163-pat00011

Figure 112014003707163-pat00012

Figure 112014003707163-pat00012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관리 방법의 각 단계에서 쓰이는 비용은 발생시점이 서로 다른 비용을 모두 현재가치로 환산하여 집계한 결과를 제시하여야 하므로, 현재가치환산법 또는 연등가액환산법을 통하여 계산될 수 있다. The cost of each step of the management method of the waterworks or sewerage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alculated by converting all the costs having different origination points to the present value, Can be calculated through the longevity valuation method.

현재가치환산법에 의하여 비용이 계산되는 경우,If the cost is calculated by the present value conversion method,

현재가치환산계수(PWF, Present worth factor)는 The present value factor (PWF)

Figure 112014003707163-pat00013
(i는 할인율, n은 내용연수)
Figure 112014003707163-pat00013
(i is a discount rate, and n is a useful life)

식에 의해서 계산될 수 있다.Can be calculated by the equation.

그리고, 연등가액현재가치환산계수(PWAF, Present worth of anuity factor)는The present value of an au- tity factor (PWAF)

Figure 112014003707163-pat00014
식에 의해서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4003707163-pat00014
Can be calculated by the equation.

또한, 연등가액환산법에 사용되는 현재가치연등가액환산계수(PPF, Periodic payment factor)는 In addition, the present value of the periodic payment factor (PPF)

Figure 112014003707163-pat00015
식에 의해서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4003707163-pat00015
Can be calculated by the equation.

그리고, 위의 식에서 사용되는 할인율 i는And, the discount rate i used in the above equation is

Figure 112014003707163-pat00016
(i'은 명목할인율, j는 물가상승율)
Figure 112014003707163-pat00016
(i 'is nominal discount rate, j is inflation rate)

식에 의해서 계산될 수 있다.Can be calculated by the equation.

그 다음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관리 방법이 각 단계에서 사용된 투입 자재량, 에너지 사용량, 탄소배출량 또는 비용 등을 사용자에게 표시부(400)을 통하여 제공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5)Next, a method of managing a water supply or sewerage facil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400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for example, the user's discretionary amount, energy usage amount, carbon emission amount, (S1-5) may be performed.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관리 방법은 각 단계별 자재, 에너지 사용량 등을 실시간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관리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ethod of managing the waterworks or the sewerag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firm material and energy usage of each step in real time, and the management according to the step can be performed more efficiently.

도면 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관리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a management apparatus of a water supply or sewerage facil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600)의 관리 장치는 라이프 사이클 데이터베이스(100), 데이터수집부(200), 계산부(300), 표시부(400), 국가 엘씨아이 데이터베이스(5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management apparatus of the water supply or sewage facility 6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fe cycle database 100, a data collection unit 200, a calculation unit 300, a display unit 400, ), And the like.

데이터수집부(200)는 앞서 살펴본 각 단계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각 목록을 분석하여 라이프 사이클 데이터베이스(100)에 입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data collecting unit 200 collects the data of each of the above-mentioned steps, analyzes each list, and inputs the collected data to the life cycle database 100.

그리고, 라이프 사이클 데이터베이스(100)는 이러한 각 단계의 데이터를 입력받아서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lifecycle database 100 may receive and store the data of each stage.

또한, 계산부(300)은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아서, 라이프 사이클 데이터베이스(100)에 접속하여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여 원하는 목록의 값을 계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표시부(400)은 이러한 처리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lculation unit 300 may receive the user's selection, access the life-cycle database 100, collect necessary data, and calculate a desired list value. The display unit 400 may perform such processing And can provide a result to the us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 : 라이프 사이클 데이터베이스
200 : 데이터수집부
300 : 계산부
400 : 표시부
500 : 국가 엘씨아이 데이터베이스
600 :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
100: Life cycle database
200: Data collecting unit
300:
400:
500: National Elcie Database
600: Water or sewage facility

Claims (12)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계획, 시공, 운영 또는 폐기 및 재활용 단계에서 발생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목록에 따라 정리하는 데이터 수집부에서 이루어지는 단계로서,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전생애주기가 기획단계, 시공단계, 운영 단계, 폐기 및 재활용 단계로 구분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수집부가 입력받은 데이터를 전달받아 각 목록에 따라 저장하는 라이프 사이클 데이터베이스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단계로서, 상기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기획단계의 수집 데이터가 라이프 사이클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시공단계의 수집 데이터가 라이프 사이클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운영단계의 수집 데이터가 라이프 사이클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폐기 및 재활용 단계의 수집데이터가 라이프 사이클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는 단계;
상기 라이프 사이클 데이터베이스와 국가 엘씨아이 데이터베이스가 연계되는 단계;
상기 라이프 사이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값을 호출하여 상기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각 단계에서 발생되는 투입 자재량, 에너지 사용량, 탄소 배출량 또는 비용을 계산하는 계산부에서 이루어지는 단계로서, 상기 라이프 사이클 데이터베이스에 기입력된 자료와 상기 국가 엘씨아이 데이터베이스에 기입력된 자료를 이용하여 상기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기획단계, 시공단계, 운영단계 또는 폐기단계의 투입자재량, 에너지 사용량, 탄소배출량 또는 비용이 산출되는 단계;
상기 계산부가 계산한 값이나 상기 라이프 사이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값을 표시하는 표시부에서 이루어지는 단계로서, 상기 상하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시공단계, 운영단계 또는 폐기단계의 투입 자재량, 에너지 사용량, 탄소 배출량 또는 비용이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프 사이클 데이터베이스에 기입력된 자료와 상기 국가 엘씨아이 데이터베이스에 기입력된 자료를 이용하여 상기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기획단계, 시공단계, 운영단계 또는 폐기단계의 투입자재량, 에너지 사용량, 탄소배출량 또는 비용이 산출되는 단계에서,
상기 비용은 현재가치환산법 또는 연등가액환산법으로 계산되고,
이에 사용되는 현재가치환산계수(PWF, Present worth factor)는
Figure 112016022166941-pat00023
식에 의해서 계산되고,
연등가액현재가치환산계수(PWAF, Present worth of anuity factor)는
Figure 112016022166941-pat00024
식에 의해서 계산되며,
현재가치연등가액환산계수(PPF, Periodic payment factor)는
Figure 112016022166941-pat00025
식에 의해서 계산되고,
상기 식들에서, i는 할인율을, n은 내용연수를 나타내고,
할인율 i는
Figure 112016022166941-pat00026
식에 의해서 계산되며,
i'은 명목할인율, j는 물가상승율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관리 방법.
The data collection unit receives data generated during the planning, construction, operation, or disposal and recycling of water or sewage facilities and arranges them in accordance with the list. The entire life cycle of the water or sewage facilities is divided into planning, , An operational phase, a disposal and recycling phase;
Wherein the data collected by the data collection unit is received and stored in accordance with each list, the collected data being input to the life cycle database of the planning stage of the water supply or sewage facility; Inputting collected data of a construction stage of a facility into a life cycle database; inputting collected data of an operation stage of the waterworks or sewerage facility into a life cycle database; And collecting data of a disposal and recycling stage of the water or sewage facility into a life cycle database;
Linking the life cycle database with a national Elisa database;
And a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n input user discretion amount, an energy usage amount, a carbon emission amount, or a cost, which is generated at each step of the water supply or sewerage facility by calling a value stored in the life cycle database, Calculating the disposer discretion amount, energy consumption amount, carbon emission amount, or cost in the planning stage, construction stage, operation stage or disposal stage of the waterworks or sewerage facility using the data and the data inputted in the national Elisa eye database;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value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unit or a value stored in the life cycle databas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inputting disposer discretion amount, energy consumption amount, carbon emission amount or cost of the construction step, operation step or disposal step of the water / Displayed through a display unit;
Lt; / RTI >
Using the data inputted in the life cycle database and the data inputted in the country's electronic child database, the disposer's discretion amount, energy consumption amount, carbon emission amount in the planning stage, construction stage, operation stage or disposal stage of the water or sewage facility Or at a cost calculated,
The cost is calculated using the present value conversion method or the royalties valuation method,
The Present Value Factor (PWF) used here is
Figure 112016022166941-pat00023
Lt; / RTI >
Present value of anuity factor (PWAF)
Figure 112016022166941-pat00024
Lt; / RTI >
Current value The PPF (periodic payment factor)
Figure 112016022166941-pat00025
Lt; / RTI >
In the above equations, i represents the discount rate, n represents the useful life,
The discount rate i
Figure 112016022166941-pat00026
Lt; / RTI >
i is a nominal discount rate, and j is an inflation rate.
제1항에 있어서,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전생애주기가 기획단계, 시공단계, 운영단계, 폐기 및 재활용 단계로 구분되는 단계에서,
상기 기획단계는 상기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이 착공되기 이전까지의 단계이고,
상기 시공단계는 상기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이 착공되는 시점부터 착공이 완료되는 시점까지의 단계이며,
상기 운영단계는 상기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착공이 완료되는 시점부터 상기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폐기 결정되는 시점까지의 단계이고,
상기 폐기 및 재활용 단계는 상기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착공이 폐기 결정되는 시점부터 상기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이 폐기가 완료되는 시점까지의 단계를 지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the stage where the entire life cycle of a water or sewerage facility is divided into a planning stage, a construction stage, an operational stage, a disposal and recycling stage,
The planning step is a step until the water supply or sewerage facility is constructed,
The construction step is a step from the time when the water supply or sewerage facility is constructed to the time when the construction is completed,
The operation step is a step from the completion of the construction of the water supply or sewage installation to the disposal of the water supply or sewage installation,
Wherein the disposal and recycling step refers to a stage from the time when the start of the waterworks or sewerage facility is determined to be discarded to the point at which the water or sewage facility is completely disposed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기획단계의 수집 데이터가 라이프 사이클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는 단계에서,
상기 기획단계의 수집 데이터는
상기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설계 보고서, 설계 내역서, 일위 대가표, 최신건설공사 표준품셈, 소요자원 집계표, 중기사용내역서, 중기기초자료, 자재 및 에너지별 온실가스 배출 원단위로부터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of collecting data at the planning stage of the water supply or sewerage facility into the life cycle database,
The collected data of the planning step
The waterworks are collected from the design report of the waterworks or sewerage facilities, the design statement, the senior price table, the latest construction standard item, the required resource sheet, the mid-term use statement, the medium basic data, Or management of sewer facilities.
제1항에 있어서,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시공단계의 수집 데이터가 라이프 사이클 평가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는 단계에서,
상기 시공단계의 수집 데이터는
상기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설계 보고서, 설계 내역서, 일위 대가표, 최신건설공사 표준품셈, 소요자원 집계표, 중기사용내역서, 중기기초자료, 자재 및 에너지별 온실가스 배출 원단위로부터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the stage where the collected data of the construction stage of the water supply or sewerage facility is inputted into the life cycle evaluation database,
The collected data of the construction step
The waterworks are collected from the design report of the waterworks or sewerage facilities, the design statement, the senior price table, the latest construction standard item, the required resource sheet, the mid-term use statement, the medium basic data, Or management of sewer faciliti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운영단계의 수집 데이터가 라이프 사이클 평가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는 단계에서,
상기 운영단계의 수집 데이터는
상기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내 장비들의 사용 데이터, 배출물질 데이터, 자재 및 장비 사용 내역서로부터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of inputting the collected data of the operational stage of the waterworks or sewerage facility into the life cycle evaluation database,
The collected data of the operating step
Wherein the data is collected from usage data, emissions data, materials and equipment usage statements of the equipment in the water or sewer facilit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내 장비들의 사용 데이터는 전력사용량, 용수사용량, 약품별 사용량으로 구성되고,
상기 배출물질 데이터는
산화탄소, 질소산화물, 황산화물로 구성되는 대기 배출물의 데이터와 생화학적 산소요구량 값, 화학적 산소요구량 값, 고형물 처리 값으로 측정되는 수계 배출물 데이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관리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Usage data of the equipment in the waterworks or sewerage facilities is composed of power consumption, water consumption,
The emission data
Wherein said data are data of atmospheric emissions consisting of carbon dioxide, nitrogen oxides, and sulfur oxides, and biochemical oxygen demand values, chemical oxygen demand values, and water-based emissions data measured as solids treatment values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폐기 및 재활용 단계의 수집데이터가 라이프 사이클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는 단계에서,
상기 폐기 및 재활용 단계의 수집 데이터는
상기 시공단계에서 수집 데이터가 상기 폐기 및 재활용 단계의 수집 데이터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of collecting data of the disposal and recycling stage of the waterworks or sewerage facility into the life cycle database,
The collected data of the discarding and recycling step
Wherein the collected data is input as collected data in the disposal and recycling step in the construction ste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프 사이클 데이터베이스에 기입력된 자료와 상기 국가 엘씨아이 데이터베이스에 기입력된 자료를 이용하여 상기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기획단계, 시공단계, 운영단계 또는 폐기단계의 투입자재량, 에너지 사용량, 탄소배출량 또는 비용이 산출되는 단계에서,
상기 투입 자재량은 작업량에 일위대가표 상 자재 투입물량을 곱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Using the data inputted in the life cycle database and the data inputted in the country's electronic child database, the disposer's discretion amount, energy consumption amount, carbon emission amount in the planning stage, construction stage, operation stage or disposal stage of the water or sewage facility Or at a cost calculated,
Wherein the input material amount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work amount by the input amount of the table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프 사이클 데이터베이스에 기입력된 자료와 상기 국가 엘씨아이 데이터베이스에 기입력된 자료를 이용하여 상기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기획단계, 시공단계, 운영단계 또는 폐기단계의 투입자재량, 에너지 사용량, 탄소배출량 또는 비용이 산출되는 단계에서,
상기 에너지 사용량은 작업량에 단위 작업량당 장비 사용시간 및 연비를 곱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Using the data inputted in the life cycle database and the data inputted in the country's electronic child database, the disposer's discretion amount, energy consumption amount, carbon emission amount in the planning stage, construction stage, operation stage or disposal stage of the water or sewage facility Or at a cost calculated,
Wherein the energy usage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workload by the equipment usage time per unit workload and the fuel mile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프 사이클 데이터베이스에 기입력된 자료와 상기 국가 엘씨아이 데이터베이스에 기입력된 자료를 이용하여 상기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기획단계, 시공단계, 운영단계 또는 폐기단계의 투입자재량, 에너지 사용량, 탄소배출량 또는 비용이 산출되는 단계에서,
상기 탄소배출량은 자재투입에 따른 탄소배출량, 장비 사용에 따른 탄소배출량, 전력 사용에 따른 탄소배출량, 열 사용에 따른 탄소배출량, 상수도 사용에 따른 탄소배출량, 약품 사용에 따른 탄소배출량으로 구성되고,
상기 자재투입에 따른 탄소배출량은 투입자재량에 탄소배출계수를 곱하여 산출되고,
상기 장비 사용에 따른 탄소배출량은 에너지 사용량에 순발열량을 곱하고, 여기에 배출계수를 곱한 이후에, '44/12'를 곱하여 산출되며,
상기 전력 사용에 따른 탄소배출량은 전력사용량에 전력 간접배출계수를 곱하여 산출되고,
상기 열 사용에 따른 탄소배출량은 열 사용량에 열 간접 배출계수를 곱하여 산출되며,
상기 상수도사용에 따른 탄소배출량은 상수도사용량에 탄소배출계수를 곱하여 산출되고,
상기 약품투입에 따른 탄소배출량은 투입약품량에 약품의 탄소배출계수를 곱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또는 하수도 시설의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Using the data inputted in the life cycle database and the data inputted in the country's electronic child database, the disposer's discretion amount, energy consumption amount, carbon emission amount in the planning stage, construction stage, operation stage or disposal stage of the water or sewage facility Or at a cost calculated,
The carbon emissions are composed of carbon emissions from material inputs, carbon emissions from equipment use, carbon emissions from power use, carbon emissions from heat use, carbon emissions from water use, and carbon emissions from drug use,
The amount of carbon emission from the input of the material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amount of carbon stock by the carbon emission factor,
The carbon emission from the use of the equipment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energy usage by the net calorific value, multiplying it by the emission factor, then multiplying by '44 / 12 '
The carbon emission amount according to the power use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by the electric indirect emission coefficient,
The carbon emissions from the use of the heat are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heat use by the thermal indirect emission factor,
The carbon emissions from the tap water use are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tap water consumption by the carbon emission factor,
Wherein the carbon emission amount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chemical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input chemical amount by the carbon emission coefficient of the chemical.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004501A 2014-01-14 2014-01-14 A management method for water supply and drinage facilities KR1016435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501A KR101643578B1 (en) 2014-01-14 2014-01-14 A management method for water supply and drinage faciliti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501A KR101643578B1 (en) 2014-01-14 2014-01-14 A management method for water supply and drinage faciliti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4461A KR20150084461A (en) 2015-07-22
KR101643578B1 true KR101643578B1 (en) 2016-07-29

Family

ID=53874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4501A KR101643578B1 (en) 2014-01-14 2014-01-14 A management method for water supply and drinage faciliti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57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4403B1 (en) 2022-05-24 2022-10-17 티오더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staurant service based on user location using beacons
KR102491635B1 (en) 2022-08-22 2023-01-27 (주)이콘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remote control of water supply facilitie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458B1 (en) 2016-05-02 2017-04-03 주식회사 호성건설 Management agency system based on sewerage,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979B1 (en) * 2007-09-29 2010-01-0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Assessment Environment Impact during Life Cycle of Sustainable Building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상수도학회지 학술논문/2013.04/LCM 기법을 이용한 하수처리장 개선에 따른 탄소배출량 및 에너지 자립율 평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4403B1 (en) 2022-05-24 2022-10-17 티오더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staurant service based on user location using beacons
KR20230163909A (en) 2022-05-24 2023-12-01 주식회사 티오더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service in a restaurant where beacons are installed
KR102491635B1 (en) 2022-08-22 2023-01-27 (주)이콘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remote control of water supply facilitie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4461A (en) 201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fosu-Adarkwa et al. Forecasting CO2 emissions of China's cement industry using a hybrid Verhulst-GM (1, N) model and emissions' technical conversion
Dagoumas et al. Review of models for integrating renewable energy in the generation expansion planning
Gawusu et al. The dynamics of green supply chain management within the framework of renewable energy
Sharma et al. Life cycle cost analysis of municipal solid waste management scenarios for Mumbai, India
Gallet The value of green infrastructure: A guide to recognizing its 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al benefits
Goswein et al. Dynamic assessment of construction materials in urban building stocks: a critical review
Generowicz et al. Assessment of waste management technology using BATNEEC options, technology quality method and multi-criteria analysis
Ubando et al. Fuzzy mixed integer non-linear programming model for the design of an algae-based eco-industrial park with prospective selection of support tenants under product price variability
Kayal et al. An economic index for measuring firm’s circularity: The case of water industry
Sweerts et al. Evaluating the role of unit size in learning-by-doing of energy technologies
Piluso et al. Sustainability assessment of industrial systems under uncertainty: A fuzzy logic based approach to short-term to midterm predictions
KR101643578B1 (en) A management method for water supply and drinage facilities
Moumouni et al. A system dynamics model for energy planning in Niger
Menikpura et al. Climate co-benefits of energy recovery from landfill gas in developing Asian cities: A case study in Bangkok
Li et al. An integrated two-stage optimization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long-term waste-management strategies
ThiKimOanh et al. Modelling and evaluating municipal solid waste management strategies in a mega-city: The case of Ho Chi Minh City
Kotagodahetti et al. Long-term feasibility of carbon capturing in community energy systems: A system dynamics-based evaluation
Melillo et al. First results of remote building characterisation based on smart meter measurement data
Balode et al. The contradictions between district and individual heating towards green deal targets
Clos et al. Energy benchmarking as a tool for energy-efficient wastewater treatment: Reviewing international applications
Huang et al. Regional heuristic interval recourse power system analysis for electricity and environmental systems planning in Eastern China
Seo et al. Carbon Footprint Reduction through Residential Building Stock Retrofit: A Metro Melbourne Suburb Case Study
Anshassi et al. Replacing recycling rates with life-cycle metrics as government materials management targets
Ghoushchi et al.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waste management literature from 2000 to 2015
Wang et al. Hybrid inexact optimization approach with data envelopment analysis for environment management and planning in the city of Beijing, Chi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