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3144B1 - 풍력 발전 능동 제어 시스템의 성능 평가 시스템 - Google Patents

풍력 발전 능동 제어 시스템의 성능 평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3144B1
KR101643144B1 KR1020150043248A KR20150043248A KR101643144B1 KR 101643144 B1 KR101643144 B1 KR 101643144B1 KR 1020150043248 A KR1020150043248 A KR 1020150043248A KR 20150043248 A KR20150043248 A KR 20150043248A KR 101643144 B1 KR101643144 B1 KR 101643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active control
speed
generato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3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조성호
Original Assignee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대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대화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43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1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2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7/0276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controlling rotor speed, e.g. variable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5/00Transmission of mechanical pow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2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7/0272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by measures acting on the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2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7/028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controlling wind motor output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02E10/72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풍력 발전 능동 제어 시스템의 성능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저속에서도 발전 및 발전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풍력 발전 능동 제어 시스템의 성능을 분석 및 평가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풍속 조건에 따라 능동 제어 장치에 연결된 블레이드의 회전을 조절하여 발전기를 구동시키고, 상기 발전기에 의하여 발생된 전력을 충전기에 충전시키는 풍력 발전 능동 제어 시스템의 성능 평가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는 성능 평가 시스템이고,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속도를 증속 또는 감속하는 종감속 기어; 상기 능동 제어 장치(CVT, 모터)의 입력 및 출력 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모터의 입력 회전수 및 출력 회전수를 측정하는 제1 엔코터 및 제2 엔코더; 풍속에 대한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수를 계산하고, 상기 풍속에 따라 상기 계산된 블레이드의 회전수를 일정 배율로 증속 또는 감속하여 상기 발전기의 정격 출력을 제어하는 능동 제어부; 및 상기 발전기의 출력을 검출하는 출력 검출부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 능동 제어 시스템의 성능 평가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풍력 발전 능동 제어 시스템의 성능 평가 시스템{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OF ACTIVE CONTROL SYSTEM FOR WIND TURBI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풍력 발전 능동 제어 시스템의 성능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풍력 발전이란 공기의 유동이 가진 운동 에너지의 공기역학적(aerodynamic) 특성을 이용하여 로터(rotor)를 회전시켜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키고 이 기계적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얻는 기술이다.
이러한 풍력을 이용하는 풍력 발전기는 주요 구성 요소로서 날개(blade)와 허브(hub)로 구성된 로터와 회전에 의하여 구동되며 나셀(Nacelle) 내부에 위치되는 발전기로 구성된다.
이러한 풍력 발전기는 환경오염을 발생시키지 않고 무한정의 바람을 사용하므로, 세계적으로 환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요즘, 전기 에너지의 발전 장치로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풍력발전은 운전방식에 따라 일정속 운전과 가변속 운전으로 나뉜다. 이 중 일정속 운전은 풍속의 변화에 관계없이 터빈을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터빈 속도를 제어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으나 설계 풍속을 벗어나는 다른 풍속에서는 에너지 변환 효율이 낮다. 특히 우리나라처럼 풍속이 일정치 않은 지역에서는 항상 낮은 효율을 지니므로 대용량 풍력발전 시스템에서는 점차 사용하지 않는 추세이다.
이와 달리, 가변속 운전 방식의 풍력발전은 풍속에 따라 최대 전력점이 변화하기 때문에 터빈속도를 블레이드의 최적 주속비(풍속에 대한 블레이드 끝점 속도의 비)로 동작하도록 피치(pitch) 제어함으로써 항상 최대전력을 얻을 수 있게 하는 방식을 말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피치 제어 방식의 경우, 정격 운전 풍속보다 낮은 범위에서 정격 풍속보다 높은 범위로 변환되어 풍력 발전기가 운전이 될 환경에 많이 노출되기 쉽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산간 지역, 태풍, 돌풍 등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풍력 발전기의 발전기 측에 과도한 힘이 전달되기 쉽다.
부연하면, 갑작스러운 돌풍 등으로 인해 정격 풍속 범위로 변환될 때, 풍력 발전기의 에어로 토크(즉, 로터의 토크)가 갑작스럽게 증가되어 풍력 발전기의 발전기 측으로 과도한 힘이 전달된다. 이때, 로터의 과도한 회전으로 인해 로터 하중이 발생하게 되며, 이는 풍력 발전기 내부의 구동 트레인(Drive-train), 샤프트(shaft)에 피해를 가하게 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90761호 '풍력 발전기'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35005호 '블레이드 피치 제어 장치, 풍력 발전 장치, 및 블레이드 피치 제어 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저속에서도 발전 및 발전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풍력 발전 능동 제어 시스템의 성능을 분석 및 평가할 수 있는 풍력 발전 능동 제어 시스템의 성능 평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풍력 발전 능동 제어 시스템의 성능 평가 시스템은 풍속 조건에 따라 능동 제어 장치에 연결된 블레이드의 회전을 조절하여 발전기를 구동시키고, 상기 발전기에 의하여 발생된 전력을 충전기에 충전시키는 풍력 발전 능동 제어 시스템의 성능 평가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는 성능 평가 시스템이고,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속도를 증속 또는 감속하는 종감속 기어; 상기 능동 제어 장치(CVT, 모터)의 입력 및 출력 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모터의 입력 회전수 및 출력 회전수를 측정하는 제1 엔코터 및 제2 엔코더; 풍속에 대한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수를 계산하고, 상기 풍속에 따라 상기 계산된 블레이드의 회전수를 일정 배율로 증속 또는 감속하여 상기 발전기의 정격 출력을 제어하는 능동 제어부; 및 상기 발전기의 출력을 검출하는 출력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종감속 기어는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수를 3배로 감속할 수 있다.
상기 능동 제어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수와 상기 발전기의 정격 출력을 위한 능동 제어 장치(CVT, 모터)로 변속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능동 제어부는 상기 능동 제어 장치(CVT, 모터)로 변속비를 -2.5배 내지 2.5배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발전기의 정격 출력을 위한 회전수는 200rp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 능동 제어 시스템의 성능 평가 시스템은 저속에서도 발전 및 발전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풍력 발전 능동 제어 시스템의 성능을 분석 및 평가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시스템 운용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 능동 제어 시스템의 성능 평가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감속 기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능동 제어 장치(CVT)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능동 제어 장치(모터)와 제1 엔코터 및 제2 엔코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 능동 제어 시스템의 이론 모듈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 능동 제어 시스템의 성능 평가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감속 기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능동 제어 장치(CVT)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능동 제어 장치(모터)와 제1 엔코터 및 제2 엔코더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 능동 제어 시스템의 이론 모듈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 능동 제어 시스템의 성능 평가 시스템은 저속에서도 발전 및 발전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풍력 발전 능동 제어 시스템의 성능을 분석 및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이고, 센서부(11), 감속 기어(20), 제1 엔코터(31), 제2 엔코더(32), 능동 제어 장치(30, 31), 출력 검출부(50) 및 제어부(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의 발전기(40)는 풍속이 어느 정도 유지되는 산지나 해상에 설치되어 바람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는 풍력 발전기(미도시)에 장착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풍력 발전기는 타워(미도시)의 단부에 너셀(미도시)을 회전제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너셀의 회전축에 블레이드(10)가 설치된다. 또한, 너셀의 내부에는 회전축에 로터(미도시)가 포함된 발전기(40)가 장착되는데, 풍력에 의해 블레이드(10)가 회전하면서 로터도 회전하게 되어 발전기(40)가 전기를 생산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블레이드(10)가 높은 발전 용량을 갖기 위해서는 대형화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러한 블레이드(10)의 대형화는 높은 무게 대 강성비를 요구되므로, 대형화에 따른 무게 증가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강성비를 확보하기 위해 복합소재(composite material)를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상기 복합 소재로는 GFRP(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와 PVC/발사우드가 흔히 혼용된다. 이때, 풍하중과 자중을 지지하기 위해 웹(shear web)이 위치하는 블레이드(10)의 중앙 부분은 강도가 높은 GFRP를 사용하고, 공기역학적 구조물을 형성하는 나머지 부분은 GFRP 스킨의 내부를 PVC 혹은 발사우드로 채워 넣어 무게를 줄이는 방법을 택하고 있다.
상기 능동 제어 장치(CVT(30))는 발전기(40)를 정격 회전(200rpm)시키기 위하여 발전기(40)에 무단변속 체인방식으로 맞물리거나 직접 연결되는 직접 방식으로 연결된다. 상기 능동 제어 장치(모터(31))는 일반 AC(Alternating Current), DC(Direct Current) 모터도 가능하고, 스텝핑(Stepping) 모터도 가능하다.
상기 감속 기어(20)는 블레이드(10)의 회전 속도를 증속 또는 감속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감속 기어(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10)의 회전 속도(RPM)를 증속하기 위하여, 베벨 기어로 서로 교차하여 운동을 전달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감속 기어(20)를 통하여 블레이드(10)의 회전수(rpm)를 3배로 증속할 수 있다. 이러한 감속 기어(20)의 감속 기어비는 종감속 및 발전기(40) 정격 회전수(rprm)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1 엔코터(32)는 능동 제어 장치(CVT(30))의 입력 단에 설치되어 블레이드(10)의 입력 회전수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상기 제2 엔코더(32)는 능동 제어 장치(CVT(30))의 출력 단에 설치되어 블레이드(10)의 출력 회전수 또는 발전기(40)의 입력 회전수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상기 제1 엔코더(31) 및 제2 엔코더(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능동 제어 장치(CVT(30))의 입력단 및 출력단의 입력 회전수 및 출력 회전수를 검출하여 능동 제어부(60)로 제공하고, 능동 제어부(60)는 능동 제어 장치(모터(31))를 통하여 능동 제어 장치(CVT(30))가 블레이드(10)의 회전수를 증속 또는 감속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능동 제어부(6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되어 풍속에 대한 블레이드(10)의 회전수를 계산하고, 제1 엔코더(32)에 의하여 측정된 회전수에 따라 상기 계산된 블레이드(10)의 회전수를 일정 배율로 증속 또는 감속하여 발전기(40)의 정격 출력을 제어한다. 이러한 능동 제어부(60)는 블레이드(10)의 회전 속도(RPM)를 +2.5 내지 -2.5로 증속 또는 감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능동 제어부(60)는 블레이드(10)와 감속 기어(20)를 통해서 입력된 회전 속도를 증속 또는 감속시켜 발전기(40)를 정격 회전수(200rpm)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증속 또는 감속은 능동 제어 장치(CVT(30), 모터(31))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능동 제어부(60)의 동작을 위하여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능동 제어 장치(CVT(30))는 디스크와 체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능동 제어부(60)는 미리 설정된 제어 프로그램(PLC)을 통해서 제1 엔코더(입력) 측에서 능동 제어 장치(모터(31))로 능동 제어 장치(CVT(30))를 일정한 회전수(rpm)로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증속시키고, 제2 엔코더(32)(출력) 측에서 정격값(200rpm) 이상으로 검출되는 경우 능동 제어 장치(모터(31))로 능동 제어 장치(CVT(30))를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감속시킴으로써, 발전기(40)를 정격 회전수(200rpm)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발전기(40)의 정격 회전수(200rpm)로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능동 제어 장치(모터(31))의 추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이를 위하여 빠른 능동 제어 장치(모터(31))를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능동 제어 장치(모터(31))의 추종시간은 15초, 10초, 5초 순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능동 제어부(60)는 기동 풍속(4m/s)의 의한 변속(증속) 과정에서 풍속이 멈추거나 재 풍속시 변속(증속)에 의한 부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변속(감속)함으로써, 부하를 줄여 기동 풍속(4m/s)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능동 제어부(60)는 능동 제어 장치(CVT(30))의 증감속의 변속을 수동 모드 및 자동 모드로 제어가 가능하다.
상기 출력 검출부(50)는 능동제어형 풍력시스템의 출력(전압, 전류)을 검출하는데 사용되며, 또한 돌풍 및 태풍에 의한 시스템의 보호를 위하여 브레이킹 시스템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풍력 발전 능동 제어 시스템의 성능 평가 시스템은 항력형 수직형 풍력 발전기의 특성상 저속에서도 발전 및 발전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풍력 발전 능동 제어 시스템의 성능을 분석 및 평가하고자 다음과 같은 알고리즘을 거치게 된다.
우선, 본 풍력 발전 능동 제어 시스템의 성능 평가 시스템은 능동 제어부(30)의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구성 장치들의 값을 검출하여 구동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능동 제어부(30)는 풍속에 대한 블레이드(10)의 회전수(rpm)를 계산하여 모터(31)의 입력값으로 하고, 1차 블레이드(10)의 회전수(rpm)를 증속을 위해 종감속(3배)시키며, 저풍속과 고풍속에서도 능동 제어 장치(CVT(30))로 증속 또는 감속(변속비 -2.5~+2.5)하여 발전기(40)를 일정한 정격 회전수(rpm)로 회전시키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풍력 발전 능동 제어 시스템의 성능 평가 시스템은 블레이드(10), 감속 기어(20), 능동 제어 장치(CVT(30)), 발전기(40) 순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즉, 본 풍력 발전 능동 제어 시스템의 성능 평가 시스템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속에 의한 블레이드(10)의 회전수를 발전기(40)의 정격 회전수(200rpm)로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1축은 능동 제어 장치(CVT(30))의 입력에는 풍속에 의하여 블레이드(10)가 회전하고, 2축은 이러한 블레이드(10)를 감속 기어(20)를 통하여 회전을 증속(9/3배)시키며, 3축은 능동 제어 장치(CVT(30), 모터(31))를 통하여 블레이드(10) 회전을 증감속(±2.5배)시켜, 발전기(40)를 정격 회전(200rpm)으로 구동시켜 전기를 생산가능한 지 여부를 출력 검출부(50)를 통하여 검출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능동 제어 장치(모터(31))의 외표면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오염방지 코팅용 조성물이 코팅된다. 상기 오염방지 코팅용 조성물은 붕산 및 탄산나트륨이 1 : 0.01 ~ 1 : 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붕산 및 탄산나트륨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 10 중량%이다. 또한, 상기 붕산 및 탄산나트륨은 몰비로서 1 : 0.01 ~ 1 : 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기재의 코팅성이 저하되거나 코팅후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코팅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붕산 및 탄산나트륨은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기재의 코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코팅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이러한 오염방지 코팅용 조성물이 적용되는 기재는 유리, 수지, 세라믹 및 금속 재료 그리고 기재 표면상에 유기물 또는 무기물이 코팅되어 있는 재료가 바람직하고, 본 발명에서 적용되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하게는 유리재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을 기재 상에 코팅하는 방법으로는 침적법, 스프레이법, 플로우법 또는 러빙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기재의 크기가 크고 곡면의 대량생산 제조공정에 응용할 경우에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 조성물에 의한 코팅이 이루어진 경우 기재상의 최종 코팅막 두께는 500 ~ 2000 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 2000 Å이다. 상기 코팅막의 두께가 500 Å 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 Å을 초과하면 코팅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한편, 기재상에 도포된 막의 제거에는 세정제로서 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방법으로서는 세정수조에서의 침적, 초음파 장치에 의한 제거 및 고압스프레이에 의한 분사 등이 있고, 바람직하게는 고압스프레이에 의한 분사방법을 이용하는 것이다.
또한, 센서부(11)의 외표면에는 오지시 및 수명단축의 원인이 되는 표면오염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리콘 성분을 포함한 코팅층이 형성된다. 상기 코팅층은 미생물 및 부유물 등의 부착을 억제하여 오지시를 방지하고 센서부(11)의 사용기간을 반영구적으로 연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코팅액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우선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용액에 디메틸디클로로실란 용액을 부피비로 2-5% 용해시켜 코팅액을 제조한다. 이때, 상기 디메틸디클로로실란 용액의 함량이 2%에 미치지 못하면 코팅의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고, 5%를 초과하면 코팅층이 너무 두꺼워져 효율이 떨어진다. 상기와 같은 비율로 용해된 코팅액은 코팅시간 및 코팅두께를 고려하여 용액의 점도가 0.8-2cp(센티포아제)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점도가 너무 낮으면 코팅시간을 오래해야 하며, 점도가 너무 높으면 코팅이 두껍게 일어나고 건조가 안되며 또한 불균일한 코팅으로 인하여 센서의 오지시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조된 코팅용액으로 센서부(11)의 표면을 1㎛이하의 두께로 코팅한다. 이때, 코팅층의 두께가 1㎛를 초과하면 오히려 센서의 감도를 저하시키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코팅층의 두께를 1㎛이하로 한정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두께로 코팅하는 방법으로서는 센서부(11) 표면에 2-3회 정도 분사하는 스프레이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모터(31)의 외면에는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온도변색층이 도포될 수 있다. 이 온도변색층은,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색이 변하는 두 가지 이상의 온도변색물질이 자동 조타 제어 장치의 표면에 코팅되어 온도 변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리됨으로써 단계적인 온도 변화를 판단할 수 있고, 온도변색층 위에는 온도변색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막층이 코팅된다.
여기서, 온도변색층은, 각각 40℃ 이상 및 60℃ 이상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을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온도변색층은 모터(31)의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여 도료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온도변색층은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색깔이 변하는 온도변색물질이 모터(31)의 표면에 코팅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온도변색물질은 일반적으로 1~10㎛의 마이크로캡슐 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마이크로캡슐 내에 전자 공여체와 전자 수용체의 온도에 따른 결합 및 분리현상으로 인해 유색 및 투명색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온도변색물질은 색의 변화가 빠르고, 40℃, 60℃, 70℃, 80℃, 등의 다양한 변색온도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변색온도는 여러 방법으로 쉽게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변색물질은 유기화합물의 분자 재배열, 원자단의 공간 재배치 등의 원리에 의한 다양한 종류의 온도변색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온도변색층은 서로 다른 변색 온도를 가지는 두 가지 이상의 온도변색물질을 코팅하여 온도 변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온도변색층은 상대적으로 저온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과 상대적으로 고온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이상 및 60℃이상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을 사용하여 온도변색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모터(31)의 온도 변화를 단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도료의 온도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모터(31)를 최적의 상태에서 운용할 수 있으며, 과열에 의한 모터(31)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보호막층은 온도변색층 위에 코팅되어서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온도변색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온도변색층의 변색 여부를 쉽게 확인함과 동시에 온도변색물질이 열에 약한 것을 고려하여 단열 효과를 가지는 투명 코팅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풍력 발전 능동 제어 시스템의 성능 평가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블레이드 20: 감속 기어
30: 능동 제어 장치(CVT) 31: 능동 제어 장치(모터)
32: 제1 엔코더 33: 제2 엔코더
40: 발전기 50: 출력 검출부

Claims (5)

  1. 풍속 조건에 따라 능동 제어 장치(CVT(30), 모터(31))에 연결된 블레이드(10)의 회전을 조절하여 발전기(40)를 구동시키고, 상기 발전기(40)에 의하여 발생된 전력을 충전기에 충전시키는 풍력 발전 능동 제어 시스템의 성능 평가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는 성능 평가 시스템이고,
    상기 블레이드(10)의 회전 속도를 증속 또는 감속하는 종감속 기어(20);
    상기 능동 제어 장치(CVT(30))의 입력 및 출력 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블레이드(10)의 입력 회전수 및 출력 회전수를 측정하는 제1 엔코터(31) 및 제2 엔코더(32);
    풍속에 대한 상기 블레이드(10)의 회전수를 계산하고, 상기 풍속에 따라 상기 계산된 블레이드(10)의 회전수를 일정 배율로 증속 또는 감속하여 상기 발전기(40)의 정격 출력을 제어하는 능동 제어 장치(CVT(30), 모터(31));
    상기 블레이드(10)의 능동 제어 장치(CVT(30), 모터(31))를 수동 및 자동 모드로 제어하는 능동 제어부(60); 및
    상기 발전기(40)의 출력을 검출하는 출력 검출부(50)를 포함하고,
    상기 능동 제어부(60)는 풍속에 대한 블레이드(10)의 회전수(rpm)를 계산하여 모터(31)의 입력값으로 하고, 블레이드(10)의 회전수(rpm) 증속을 위해 종감속(3배)시키며, 저풍속과 고풍속에서도 능동 제어 장치(CVT(30))로 증속 또는 감속(변속비 -2.5~+2.5)하여 발전기(40)를 일정한 정격 회전수(rpm)로 회전시키고,
    풍속에 의한 블레이드(10)의 회전수를 발전기(40)의 정격 회전수(200rpm)로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1축은 능동 제어 장치(CVT(30))의 입력에 의하여 블레이드(10)가 회전하고, 2축은 이러한 블레이드(10)를 감속 기어(20)를 통하여 회전을 증속(9/3배)시키며, 3축은 능동 제어 장치(CVT(30), 모터(31))를 통하여 블레이드(10) 회전을 증감속(±2.5배)시켜, 발전기(40)를 정격 회전(200rpm)으로 구동시킨 다음, 전기를 생산가능한 지 여부를 출력 검출부(50)를 통하여 검출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능동 제어부(60)는 상기 제1 및 제2 엔코터(32, 33)를 통하여 상기 블레이드(10)의 회전수를 상기 발전기(40)의 정격 출력을 위하여 제어 프로그램으로 상기 능동 제어 장치(CVT(30), 모터(31))의 변속비를 조절하는 자동 모드와 고정된 변속비로 조절이 가능한 수동 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능동 제어 장치(CVT(30), 모터(31))는 상기 블레이드(10)의 변속비를 -2.5배 내지 2.5배로 조절할 수 있으며, 조절 속도를 상기 능동 제어 장치(모터(31))의 구동 방식(AC, DC, 스텝 방식)으로 추종 시간을 빠르거나 느리게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모터(31)의 외표면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위한 오염방지 코팅용 조성물이 500 ~ 2000 Å의 두께로 코팅되거나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온도변색층이 도포되되, 상기 오염방지 코팅용 조성물은 붕산 및 탄산나트륨이 1 : 0.01 ~ 1 : 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붕산 및 탄산나트륨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 10 중량%이며, 상기 온도변색층은 1~10㎛의 마이크로캡슐 구조로 구성된 온도변색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능동 제어 시스템의 성능 평가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 검출부(50)는 상기 발전기(40)의 정격 출력(전압, 전류) 검출과 돌풍 및 태풍에 의한 시스템의 보호를 위한 브레이킹 시스템을 더 구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능동 제어 시스템의 성능 평가 시스템.
KR1020150043248A 2015-03-27 2015-03-27 풍력 발전 능동 제어 시스템의 성능 평가 시스템 KR101643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248A KR101643144B1 (ko) 2015-03-27 2015-03-27 풍력 발전 능동 제어 시스템의 성능 평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248A KR101643144B1 (ko) 2015-03-27 2015-03-27 풍력 발전 능동 제어 시스템의 성능 평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3144B1 true KR101643144B1 (ko) 2016-07-27

Family

ID=56617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3248A KR101643144B1 (ko) 2015-03-27 2015-03-27 풍력 발전 능동 제어 시스템의 성능 평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1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53631A (zh) * 2021-04-09 2021-07-23 北京国电思达科技有限公司 风电机组叶轮防超速系统、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0864A (ja) * 1992-12-28 1994-07-19 Kawatetsu Techno Res Corp 変速出力装置
KR20120090761A (ko) 2010-11-30 2012-08-17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풍력 발전기
KR20120135005A (ko) 2011-03-11 2012-12-12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블레이드 피치 제어 장치, 풍력 발전 장치, 및 블레이드 피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0864A (ja) * 1992-12-28 1994-07-19 Kawatetsu Techno Res Corp 変速出力装置
KR20120090761A (ko) 2010-11-30 2012-08-17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풍력 발전기
KR20120135005A (ko) 2011-03-11 2012-12-12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블레이드 피치 제어 장치, 풍력 발전 장치, 및 블레이드 피치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53631A (zh) * 2021-04-09 2021-07-23 北京国电思达科技有限公司 风电机组叶轮防超速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18581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wind turbine
EP1906192B1 (en) Apparatus for evaluating sensors and/or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n apparatus that includes a sensor
DK2287464T3 (en) Passive de-icing for wind turbine blades
CA2465271C (en) Rotor with extendable blades and control criteria therefor
US8810055B2 (en) Wind turbine control methods and systems
US9869298B2 (en) Rotational positioning system in a wind turbine
EP2670979B1 (en) System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nd turbine
EP2644888A2 (e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voiding overspeed of a wind turbine
EP2757253B1 (en) Method of starting a wind turbine
CN102182633B (zh) 一种大型风电机组独立变桨控制方法及装置
CN202117846U (zh) 一种大型风电机组独立变桨控制装置
US20130088009A1 (en) Method to Prevent Over Torque of Yaw Drive Components in a Wind Turbine
US112618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wind turbines during extreme wind direction change
KR101723175B1 (ko)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피치 조절장치
KR101138525B1 (ko) 풍력발전기
KR101643143B1 (ko) 풍력 발전 능동 제어 시스템
JP6282187B2 (ja) 風車及びその停止方法
KR101643144B1 (ko) 풍력 발전 능동 제어 시스템의 성능 평가 시스템
EP2957767B1 (en) Methods and systems to operate a wind turbine
ITVR20120178A1 (it) Turbina e sistema di controllo della sovra-potenza di detta turbina
CN101338734A (zh) 储能式风力发电装置
KR20140083832A (ko) 피치 가변 블레이드를 갖는 풍력발전기
KR101242766B1 (ko) 로터 하중 저감 장치가 설치된 풍력 발전기 및 로터 하중 저감 장치가 설치된 풍력 발전기의 로터 하중 저감 방법
JP2019100262A (ja) 風力発電装置の評価方法および設計方法
CN207660773U (zh) 一种风力发电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