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3081B1 - Method of managing contents and system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of managing contents and system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3081B1
KR101643081B1 KR1020150015004A KR20150015004A KR101643081B1 KR 101643081 B1 KR101643081 B1 KR 101643081B1 KR 1020150015004 A KR1020150015004 A KR 1020150015004A KR 20150015004 A KR20150015004 A KR 20150015004A KR 101643081 B1 KR101643081 B1 KR 101643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all
function
terminal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50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병수
이창익
이혜진
한상호
정재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50015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08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0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51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04M1/650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storing speech in digital fo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04M1/72566

Abstract

Disclosed are a method and a system managing content. The method comprises: a step of executing an additional function, separated from a calling function for connecting a call, while the call is connected; a step of generating content information associated with generated content with regard to the additional function; and a step of displaying the content information on a call list includ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call connec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ropriate interface environment for an additional function which may be utilized, while a call is connected.

Description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METHOD OF MANAGING CONTENTS AND SYSTEM THEREOF}≪ Desc / Clms Page number 1 > METHOD OF MANAGING CONTENTS AND SYSTEM THEREOF &

본 명세서는 통화 연결 중 생성되는 컨텐츠의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ntent created during a call connection.

스마트 단말의 보급으로 사용자에게 다양한 부가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예컨대, 통화 연결 중에 통화 내용을 녹취하거나 메모를 남길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With the spread of smart terminals,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are provided to users. For example, a function of recording a call content or leaving a note during a call connection is provided.

공개특허 제2004-0005333호는 이동 통신의 통화 내용 저장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개특허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신 측과 통화하는 내용을 필요에 따라 서버에 저장하고, 나중에 인터넷으로 접속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된 이동 통신의 통화 내용 저장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4-0005333 discloses a communication content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Specifically, the patent discloses a system for storing contents of a mobile communication and a method for storing contents of a conversation with a receiver using a mobile terminal, will be.

한편, 다양한 부가 기능들은 그 용도에 맞는 적절한 인터페이스 환경에서 제공되어야 하나, 상기 공개특허는 구체적인 인터페이스에 관해서는 개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는, 부가 기능의 구체적인 인터페이스 환경에 관한 방안이 요구된다.On the other hand,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should be provided in an appropriate interface environment suitable for the purpose, but the disclosed patent can not disclose a specific interface.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concrete interface environment of the additional function that can increase the usability of the user.

본 명세서에 기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통화 중 이용될 수 있는 부가 기능을 위한 적절한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are intended to provide an appropriate interface environment for an add-on that may be used during a call.

일측에 따르면, 단말의 컨텐츠 관리 방법은, 통화 연결 중에 상기 통화 연결을 위한 통화 기능과 구별되는 부가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부가 기능과 관련하여 생성된 컨텐츠에 관해 컨텐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 연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목록에 상기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aging a content of a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executing an additional function different from a call function for the call connection during a call connection; Generating content information about content created in association with the additional function; And outputting the content information to a call list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call connection.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통화 목록에서 상기 통화 연결에 대응하는 위치에 출력될 수 있다.The content information may be outpu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all connection in the call list.

상기 부가 기능은, 녹음 기능, 메모 기능 또는 일정 관리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additional func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recording function, a memo function, and a schedule management function.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information may include an icon for identifying the type of the content.

상기 단말의 컨텐츠 관리 방법은, 상기 컨텐츠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컨텐츠의 관리를 위한 관리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management method of th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outputting a management screen for managing the content in response to a user input of the content information.

상기 부가 기능은 녹음 기능이고, 상기 컨텐츠는 녹음 파일일 수 있고, 이 때, 상기 단말의 컨텐츠 관리 방법은, 상기 컨텐츠 정보에 상기 녹음 파일의 텍스트 변환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dditional function may be a recording function, and the content may be a recording file. In this case, the content management method of th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a text conversion file of the recording file in the content information.

상기 단말의 컨텐츠 관리 방법은, 상기 텍스트 변환 파일의 텍스트 중 일정 지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녹음 파일에서 상기 일정 지점에 대응되는 부분을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management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producing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point in the recorded file 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certain point in the text of the text conversion file.

상기 단말의 컨텐츠 관리 방법은, 상기 텍스트 변환 파일의 텍스트 중 일정 구간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녹음 파일에서 상기 일정 구간에 대응되는 부분에 대한 반복 재생 기능 또는 공유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content management method comprises at least one of a repetition playback function or a sharing function for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section in the recorded file 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text of the text conversion file And a step of providing the second information.

상기 단말의 컨텐츠 관리 방법은, 상기 텍스트 변환 파일의 생성 이후에, 사용자에 의해 상기 녹음 파일에 대한 삭제 명령이 수신된 경우, 상기 텍스트 변환 파일의 삭제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management method of th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outputting a message inquiring whether or not to delete the text conversion file when a deletion command for the recorded file is received by the user after the generation of the text conversion file can do.

상기 텍스트 변환 파일에 대한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providing an editing function for the text conversion file.

일측에 따르면, 단말의 컨텐츠 관리 방법은, 상대 단말과의 통화 내용을 녹음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통화 내용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어를 통해 상기 통화 내용을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ent management method of a terminal, comprising: recording a content of a call with a counterpart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search term from a user to search for the content of the call; And retrieving the contents of the call through the search word.

상기 단말의 컨텐츠 관리 방법은, 녹음된 상기 통화 내용에 대한 텍스트 변환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management method of th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a text conversion file for the recorded content.

상기 검색어를 통해 상기 통화 내용을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어를 상기 통화 내용에 대한 녹음 파일 또는 텍스트 변환 파일 중 적어도 하나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통화 내용을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searching for the content of the call through the search term may include searching the content of the call by comparing the search term with at least one of a recording file or a text conversion file for the content.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색어를 수신하는 단계는, 음성 또는 텍스트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색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receiving the search term from the user may include receiving the search term from the user via voice or text.

일측에 따르면, 단말은, 통화 연결 중에 상기 통화 연결을 위한 통화 기능과 구별되는 부가 기능을 실행하는 기능 관리부; 상기 부가 기능과 관련하여 생성된 컨텐츠에 관해 컨텐츠 정보를 생성하는 컨텐츠 관리부; 및 상기 통화 연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목록에 상기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 구성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includes: a function management unit that executes an additional function different from a call function for the call connection during a call connection; A content management unit for generating content information about content generated in association with the additional function; And a screen configuration unit for outputting the content information to a call list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call connection.

상기 화면 구성부는, 상기 통화 목록에서 상기 통화 연결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컨텐츠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The screen configuration unit may output the content informa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all connection in the call list.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information may include an icon for identifying the type of the content.

상기 화면 구성부는, 상기 컨텐츠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컨텐츠의 관리를 위한 관리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The screen configuration unit may output a management screen for managing the content in response to a user input of the content information.

상기 부가 기능은 녹음 기능이고, 상기 컨텐츠는 녹음 파일일 수 있고, 이 때, 상기 컨텐츠 관리부는 상기 녹음 파일의 텍스트 변환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The additional function may be a recording function, and the content may be a recording file, and the content management unit may generate a text conversion file of the recording file.

일측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은, 단말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통화 연결 중에 상기 통화 연결을 위한 통화 기능과 구별되는 부가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부가 기능과 관련하여 생성된 컨텐츠에 관해 컨텐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 연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목록에 상기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에 내장된 매체 또는 삽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a computer program includes the steps of executing an add-on, which is executed by a processor of a terminal, distinct from a call function for the call connection during a call connection; Generating content information about content created in association with the additional function; And outputting the content information to a call list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call connection, and the content information is stored in a medium embedded in the terminal or on an insertable medium.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통화 중에 생성된 다양한 컨텐츠를 직관적으로 인식하고 관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and manage various contents generated during a call.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녹음 파일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정보의 출력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녹음 파일의 텍스트 변환 파일의 출력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녹음 파일의 재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녹음 파일의 반복 재생, 공유 및 삭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녹음 파일의 검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를 위한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aging a recording f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utput screen of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utput screen of a text conversion file of a recording f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playback process of a recording f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repeatedly reproducing, sharing, and deleting a recorded f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earch process of a recorded f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9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terminal for content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but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to them.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xamples are used only to illustrat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embodiment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may be unnecessarily blurred.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단계(110)에서, 단말은 통화 연결 중에 통화 연결을 위한 통화 기능과 구별되는 부가 기능을 실행한다. 부가 기능은 통화 편의를 위한 기능으로, 녹음 기능, 메모 기능 및 일정 관리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통화 중 부가 기능을 실행하여 향상된 커뮤티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녹음 기능을 통해 통화 내용을 녹음하거나, 메모 기능을 통해 통화 관련 사항을 메모하거나, 일정 관리 기능을 통해 통화와 관련된 일정을 관리할 수 있다. 부가 기능은 통화 연결 중에 사용자 입력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in step 110, the terminal performs an additional function different from a call function for a call connection during a call connection. The additional function is a function for convenience of communication, and may include a recording function, a memo function, and a schedule management function. The user can perform enhanced communication by executing additional functions during the call. For example, a user can record a call through a recording function, record a call-related matter through a memo function, or manage a call-related schedule through a schedule management function. The additional function can be executed by user input during call connection.

단계(120)에서, 단말은 부가 기능과 관련하여 생성된 컨텐츠에 관해 컨텐츠 정보를 생성한다. 부가 기능의 실행 중에 부가 기능과 관련하여 다양한 컨텐츠가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녹음 기능과 관련하여 녹음 파일이 생성될 수 있고, 메모 기능과 관련하여 메모 파일이 생성될 수 있고, 일정 관리 기능과 관련하여 일정 파일이 생성될 수 있다. 컨텐츠 정보는 생성된 컨텐츠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컨텐츠 정보는 컨텐츠의 종류, 컨텐츠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아이콘, 컨텐츠의 생성 시점, 컨텐츠의 저장 위치 및 컨텐츠의 용량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정보는 컨텐츠의 특성에 따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녹음 파일의 경우 재생 시간에 관한 정보를, 메모 파일의 경우 메모의 페이지 수를, 일정 파일의 경우 날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step 120, the terminal generates content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generated in association with the additional function. Various contents can be generated in association with the additional function during execution of the additional function. For example, a recording file can be created in connection with the recording function, a memo file can be created in connection with the memo function, and a schedule file can be generated in association with the schedule management function. The content information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generated content. For example, the conten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a type of content, an icon for identifying the type of the content, a generation time of the content, a storage location of the content, and a capacity of the content. The conten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 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the playback time in the case of a recorded file, the number of pages in a memo file, and date information in the case of a certain file may be included.

단계(130)에서, 단말은 통화 연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목록에 컨텐츠 정보를 출력한다. 단말은 컨텐츠 정보 중 노출이 필요한 일정 정보만을 통화 목록에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은 컨텐츠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아이콘을 통화 목록에 출력할 수 있다. 컨텐츠 정보는 통화 목록에서 컨텐츠와 관련된 통화 연결에 대응하는 위치에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컨텐츠 정보를 통해 어떤 통화에서 어떤 종류의 컨텐츠가 생성되었고, 그 간략한 내용은 무엇인지 식별할 수 있다.In step 130, the terminal outputs content information to a call list including information on call connection. The terminal can output only the schedule information of the content information that needs to be exposed to the call list. For example, the terminal may output an icon for identifying the type of content to the call list. The content information may be output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call connection associated with the content in the call list. Accordingly, the user can identify what kind of content is generated in a certain call through the content information, and what the brief content is.

단계(140)에서, 단말은 컨텐츠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컨텐츠의 관리를 위한 관리 화면을 출력한다. 컨텐츠의 관리란 컨텐츠의 조회, 수정 및 삭제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녹음 기능의 경우, 컨텐츠의 관리는 녹음 파일의 재생, 녹음된 내용 또는 텍스트 변환 파일의 수정, 및 녹음 파일 또는 텍스트 변환 파일의 삭제를 의미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 화면의 예시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In step 140, the terminal outputs a management screen for managing content in response to a user input of the content information. Management of contents may mean inquiry, modification and deletion of contents.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recording function, management of the content may mean playback of the recorded file, modification of the recorded content or the text conversion file, and deletion of the recorded file or text conversion file. An example of the content management screen is shown in Figs.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녹음 파일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aging a recording f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단계(141)에서, 단말은 녹음 파일의 텍스트 변환 파일을 생성한다. 단말은 STT(Speech To Text)를 위한 음성인식 동작을 통해 녹음 파일의 텍스트 변환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단말은 상기 단말과 통화 연결의 상대 단말의 음성을 구분하여 텍스트 변환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단말은 각 단말로부터 수신된 음성을 전화번호와 같은 별도의 식별자를 부여함으로써 구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in step 141, the terminal generates a text conversion file of a recording file. The terminal can generate a text conversion file of the recording file through the speech recognition operation for STT (Speech To Text). The terminal can generate a text conversion file by classifying the voice of the terminal of the call connection with the terminal. The terminal can distinguish the voice received from each terminal by giving a separate identifier such as a telephone number.

단계(142)에서, 단말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는 녹음 파일의 관리 화면에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해 버튼이나 텍스트 등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입력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탭 입력, 터치&홀드 입력, 더블 탭 입력, 드래그 입력, 패닝 입력, 플릭 입력, 드래그 앤드 드롭 입력, 스와이프 입력 및 핀치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step 142, the terminal receives user input. The user can perform user input on a button, text, or the like to execute various functions provided on the management screen of the recording file. The user input may include a user's tap input, touch & hold input, double tap input, drag input, panning input, flick input, drag and drop input, swipe input, and pinch input to the input area.

단계(143)에서, 단말은 재생 기능, 반복 재생 기능, 공유 기능, 편집 기능 또는 삭제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공한다. 재생 기능은 일정 지점에서 녹음 파일을 재생하는 기능을, 반복 재생 기능은 일정 구간에서 녹음 파일을 반복 재생하는 기능을, 공유 기능은 일정 구간을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기 위한 기능을, 편집 기능은 텍스트 변환 파일의 적어도 일부를 편집하는 기능을, 삭제 기능은 녹음 파일이나 텍스트 변환 파일을 삭제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각각의 기능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은 추후 도 4 내지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In step 143, the terminal provides at least one of a playback function, a repeat playback function, a sharing function, an editing function, or a delete function. The playback function allows you to play back a recorded file at a certain point. The repeat playback function allows you to play a recorded file repeatedly at a certain interval. The sharing function allows you to share a certain section with other users. A function of editing at least a part of a file, and a function of deleting a function of deleting a recording file or a text conversion file. The specific operation process of each function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FIG.

사용자는 재생 기능과 반복 재생 기능을 통해 통화 내용을 추후 다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에게 통화 내용을 알리고자 하는 경우에 공유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편집 기능을 통해 음성인식 과정에서 발생된 오류를 정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삭제 기능을 통해 불필요한 컨텐츠를 삭제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통화 기록 또는 통화 중 생성된 컨텐츠의 삭제 명령이 수신된 것에 대응하여, 단말은 통화 기록과 컨텐츠를 함께 삭제할 것인지 문의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텍스트 변환 파일의 생성 이후에, 사용자에 의해 녹음 파일에 대한 삭제 명령이 수신된 경우, 텍스트 변환 파일의 삭제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The user can check the contents of the call again later through the playback function and the repeat play function. In addition, the user can use the sharing function in order to inform the other users of the contents of the conversation. Also, the user can correct an error generated in the speech recognition process through the editing function. In addition, the user can delete unnecessary contents through the deletion func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may output a message asking whether to delete the call log and the contents, in response to the reception of the call log or the delete command of the content generated during the call. In addition, after the text conversion file is generated, the terminal may output a message inquiring whether or not to delete the text conversion file when a deletion command for the recording file is received by the user.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단계(150)에서, 단말은 상대 단말과의 통화 내용을 녹음한다. 통화 내용의 녹음은 앞서 설명된 녹음 기능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in step 150, the terminal records the call content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The recording of the conversation contents can be performed by the recording function described above.

단계(160)에서, 단말은 녹음된 통화 내용에 대한 텍스트 변환 파일을 생성한다. 단말은 STT(Speech To Text)를 위한 음성인식 동작을 통해 녹음 파일의 텍스트 변환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단말은 상기 단말과 통화 연결의 상대 단말의 음성을 구분하여 텍스트 변환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In step 160, the terminal generates a text conversion file for the recorded conversation contents. The terminal can generate a text conversion file of the recording file through the speech recognition operation for STT (Speech To Text). The terminal can generate a text conversion file by classifying the voice of the terminal of the call connection with the terminal.

단계(170)에서,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통화 내용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어를 수신한다. 검색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수신될 수 있다. 예컨대, 검색어는 음성 또는 텍스트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In step 170, the terminal receives a search term for searching for the content of the call from the user. Search terms can be received in a variety of ways. For example, the search term may be received via voice or text.

단계(180)에서, 단말은 수신된 검색어를 통해 통화 내용을 검색한다. 검색은 검색어와 통화 내용의 녹음 파일 또는 텍스트 변환 파일을 비교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은 검색어를 통화 내용에 대한 녹음 파일 또는 텍스트 변환 파일 중 적어도 하나와 비교함으로써, 통화 내용을 검색할 수 있다.In step 180, the terminal retrieves the content of the call through the received search term. The search can be performed by comparing the search word and the recorded file or the text conversion file of the call content. In other words, the terminal can search the contents of the conversation by comparing the search term with at least one of a recorded file or a text conversion file of the conversation contents.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정보의 출력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utput screen of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에서, 도 3의 (a)는 최근 통화 연결에 대한 요약 목록이 표시된 화면을 나타내고, 도 4의 (b)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통화 상대방에 대해 상세 목록이 표시된 화면을 나타낸다. 도 4의 (a) 및 (b)에서, 컨텐츠 정보는 통화 목록에서 통화 연결에 대응하는 위치에 출력되어 있다.In FIG. 4, FIG. 3 (a) shows a screen showing a summary list of recent call connections, and FIG. 4 (b) shows a screen showing a detailed list of the call parties selected by the user. 4A and 4B, the content information is output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all connection in the call list.

도 4의 (a)를 참조하면, 통화 목록에 컨텐츠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아이콘들(10)이 도시되어 있다. 아이콘(10)의 예시로 녹음 파일을 나타내는 아이콘(11), 메모 파일을 나타내는 아이콘(12) 및 일정 파일을 나타내는 아이콘(13)이 도시되어 있다. 동일한 상대방과의 통화에서 복수의 컨텐츠가 생성된 경우, 그 아이콘들(10)은 통화 목록에 모두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의 (a)를 참조하면 "박태훈"과의 통화에서 녹음 파일과 메모 파일이 생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특정 상대방과의 상세 통화 기록을 보기 위해, 특정 상대방에 대한 터치 입력 등의 사용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icons 10 for identifying the type of contents are shown in a call list. As an example of the icon 10, an icon 11 representing a recorded file, an icon 12 representing a memo file, and an icon 13 representing a schedule file are shown. When a plurality of contents are generated in a call with the same party, the icons 10 can be displayed in all of the call lists.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A, it is shown that a recording file and a memo file are generated in a call with "Park Tae Hoon ". The user can perform a user input such as a touch input to a specific counterpart in order to view a detailed call record with a specific counterpart.

도 4의 (b)를 참조하면, 특정 상대방에 대한 상세 목록이 도시되어 있다. 상세 목록에는 각각의 통화 연결에서 생성된 컨텐츠들이 표시되어 있다. 예컨대, 도 3의 (b)에서 "박태훈"과의 "7월 31일(화) 오후 04:42" 통화와 "7월 31일(월) 오전 11:21" 통화에서는 녹음 파일이 생성된 것이, "7월 31일(화) 오전 09:31" 통화에서는 메모 파일이 생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아이콘들(10)을 통해 생성된 컨텐츠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아이콘들(10)의 출력 위치를 통해 어떤 통화에서 컨텐츠들이 생성되었는지 인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4 (b), a detailed list of specific parties is shown. The detailed list shows the contents generated from each call connection. For example, in FIG. 3 (b), a recording file is generated in the "Monday, July 31, afternoon 04:42" and "July 31 (morning) 11:21" , "July 31 (Tue.) 09:31 am ", it is shown that a memo file is generated. The user can identify the type of content generated through the icons 10. [ In addition, the user may be able to know through which location the contents are generated on the call through the output location of the icons 10. [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녹음 파일의 텍스트 변환 파일의 출력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utput screen of a text conversion file of a recording f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텍스트 변환 파일의 출력 화면의 상태 창에는 컨텐츠의 식별을 위한 아이콘 및 통화를 식별하기 위한 날짜와 시간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텍스트 변환 파일의 출력 화면에는 텍스트 변환 파일의 텍스트(20)와 제어 영역(30)이 포함될 수 있다. 도 5의 텍스트(20)에서 각 사용자의 통화 내용은 전화번호로 식별되어 있다. 단말은 음성이 수신되는 루트를 통해 각 사용자의 통화 내용을 식별하고, 전화번호와 같은 별도의 식별자를 부여함으로써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 영역(30)은 음성 파일의 제어를 위한 영역으로, 음성 파일의 재생을 위한 다양한 제어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어 영역(30)은 뒤로 감기, 일시 정지, 재생 및 앞으로 감기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n icon for identifying the content and date and time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currency may be displayed in the status window of the output screen of the text conversion file. In addition, the output screen of the text conversion file may include the text 20 of the text conversion file and the control area 30. In the text 20 of FIG. 5, each user's call content is identified by a telephone number. The terminal can identify the contents of each user's call through the route on which the voice is received, and separately display them by assigning a separate identifier such as a telephone number. The control area 30 is an area for controlling the audio file, and may include various control buttons for reproducing the audio fil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the control area 30 may include a backward, pause, play, and forward button.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녹음 파일의 재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 playback process of a recording f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텍스트 변환 파일의 텍스트에서 일정 지점(21)이 표시되어 있다. 일측에 따르면, 사용자는 도 5에서 설명된 제어 영역(30) 외에도, 일정 지점(21)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통해 녹음 파일을 청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일정 지점(21)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녹음 파일에서 일정 지점(21)에 대응되는 부분을 청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은 텍스트 변환 파일의 텍스트 중 일정 지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녹음 파일에서 상기 일정 지점에 대응되는 부분을 재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 certain point 21 is displayed in the text of the text conversion file. According to one aspect, in addition to the control area 30 described in FIG. 5, a user can listen to a recorded file through a user input to a certain point 21. For example, the user can listen to a portion corresponding to a certain point 21 in the recorded file by performing a user input on the certain point 21, as shown in Fig. In other words, 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certain point in the text of the text conversion file, the terminal can reproduce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ertain point in the recorded file.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녹음 파일의 반복 재생, 공유 및 삭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repeatedly reproducing, sharing, and deleting a recorded f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텍스트 변환 파일의 텍스트에서 선택 영역(22)이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선택 영역(22)을 선택하기 위해 선택 영역(22)에 대한 홀드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선택 영역(22)에 강조 표시를 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선택 영역(22)에 대해 수행할 수 있는 기능 목록(25)을 표시할 수 있다. 기능 중에, 공유 기능(26)은 선택 영역(22)을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기 위한 기능을, 삭제 기능(27)은 선택 영역(22)을 삭제하기 위한 기능을, 편집 기능(28)은 선택 영역(22)을 삭제하기 위한 기능을 의미한다. 앞서 설명된 것처럼, 사용자는 관리 화면을 통해 컨텐츠들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a selection area 22 is displayed in the text of the text conversion file. The user may perform a hold input to the selection area 22 to select the selection area 22. [ In this case, the terminal can highlight the selection area 22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terminal may display a list of functions 25 that can be performed on the selection area 22. The editing function 28 is a function for deleting the selection area 22 and the editing function 28 is a function for deleting the selection area 22. [ (22).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conveniently manage the contents through the management screen.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녹음 파일의 검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earch process of a recorded f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8을 참조하면, 녹음 파일의 검색을 위한 검색창(29)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검색창(29)에 검색어를 입력함으로써 녹음 파일에서 원하는 내용을 검색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것처럼, 검색어는 음성 또는 텍스트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검색어를 통화 내용에 대한 녹음 파일 또는 텍스트 변환 파일 중 적어도 하나와 비교함으로써, 통화 내용을 검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a search window 29 for searching for recorded files is shown. The user can search for a desired content in the recorded file by inputting the search word into the search window 29. [ As described above, the search term may be received from the user via voice or text. Also, the terminal can search the contents of a call by comparing the search term with at least one of a recorded file or a text conversion file for the contents of the conversation.

도 9은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를 위한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 9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terminal for content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9을 참조하면, 단말(200)은 기능 관리부(210), 컨텐츠 관리부(220) 및 화면 구성부(230)를 포함한다. 기능 관리부(210), 컨텐츠 관리부(220) 및 화면 구성부(230)는 각각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모듈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terminal 200 includes a function management unit 210, a content management unit 220, and a screen configuration unit 230. The function management unit 210, the content management unit 220, and the screen configuration unit 230 may be implemented by one or more hardware modules or software modules, respectively.

기능 관리부(210)는 통화 연결 중에 통화 연결을 위한 통화 기능과 구별되는 부가 기능을 실행한다. 부가 기능은 녹음 기능, 메모 기능 또는 일정 관리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 기능은 통화 연결 중에 사용자 입력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The function management unit 210 executes an additional function different from the call function for the call connection during the call connection. The additional func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recording function, a memo function, or a schedule management function. The additional function can be executed by user input during call connection.

컨텐츠 관리부(220)는 부가 기능과 관련하여 생성된 컨텐츠에 관해 컨텐츠 정보를 생성한다. 부가 기능의 실행 중에 부가 기능과 관련하여 다양한 컨텐츠가 생성될 수 있다. 컨텐츠 관리부(220)는 부가 기능과 관련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부가 기능이 녹음 기능이고, 컨텐츠는 녹음 파일인 경우, 컨텐츠 관리부(220)는 녹음 파일의 텍스트 변환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컨텐츠 정보는 생성된 컨텐츠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컨텐츠 정보는 컨텐츠의 종류, 컨텐츠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아이콘, 컨텐츠의 생성 시점, 컨텐츠의 저장 위치 및 컨텐츠의 용량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정보는 컨텐츠의 특성에 따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녹음 파일의 경우 재생 시간에 관한 정보를, 메모 파일의 경우 메모의 페이지 수를, 일정 파일의 경우 날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management unit 220 generates content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generated in association with the additional function. Various contents can be generated in association with the additional function during execution of the additional function. The content management unit 220 may perform processing related to the additional function. For example, when the additional function is a recording function and the content is a recording file, the content management unit 220 can generate a text conversion file of the recording file. The content information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generated content. For example, the conten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a type of content, an icon for identifying the type of the content, a generation time of the content, a storage location of the content, and a capacity of the content. The conten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 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the playback time in the case of a recorded file, the number of pages in a memo file, and date information in the case of a certain file may be included.

화면 구성부(230)는 통화 연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목록에 컨텐츠 정보를 출력한다. 화면 구성부(230)는 통화 목록에서 통화 연결에 대응하는 위치에 컨텐츠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화면 구성부(230) 컨텐츠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컨텐츠의 관리를 위한 관리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정보는 컨텐츠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The screen configuration unit 230 outputs the content information to the call list includ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call connection. The screen configuration unit 230 may output the content informa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all connection in the call list. In addition, the screen configuration unit 230 may output a management screen for managing the content in response to user input of the content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content information may include an icon for identifying the type of the content.

화면 구성부(230)는 컨텐츠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컨텐츠의 관리를 위한 관리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컨텐츠의 관리란 컨텐츠의 조회, 수정 및 삭제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녹음 기능의 경우, 컨텐츠의 관리는 녹음 파일의 재생, 녹음된 내용 또는 텍스트 변환 파일의 수정, 및 녹음 파일 또는 텍스트 변환 파일의 삭제를 의미할 수 있다.The screen configuration unit 230 may output a management screen for managing the content in response to a user input of the content information. Management of contents may mean inquiry, modification and deletion of contents.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recording function, management of the content may mean playback of the recorded file, modification of the recorded content or the text conversion file, and deletion of the recorded file or text conversion file.

그 밖에, 기능 관리부(210), 컨텐츠 관리부(220) 및 화면 구성부(230)에 관해서는 앞서 설명된 단말(200)의 동작이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s of the terminal 200 described above may be applied to the function management unit 210, the content management unit 220, and the screen configuration unit 230.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to be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s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For exampl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ques described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s, and / or that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Lt; / RTI > or equivalents, even if it is replaced or replac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20)

통화 연결 중에 상기 통화 연결을 위한 통화 기능과 구별되는 부가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부가 기능과 관련하여 생성된 컨텐츠에 관해 컨텐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 연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목록에 상기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통화 목록은 최근 통화 연결에 관한 요약 목록 및 상기 요약 목록에서 선택된 통화 상대방에 관한 상세 목록을 포함하고,
상기 상세 목록은 상기 통화 상대방과의 제1 통화 중에 생성된 컨텐츠에 관한 제1 아이콘 및 상기 통화 상대방과의 제2 통화 중에 생성된 컨텐츠에 관한 제2 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요약 목록은 상기 통화 상대방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을 포함하는,
단말의 컨텐츠 관리 방법.
Performing an additional function different from a call function for the call connection during call connection;
Generating content information about content created in association with the additional function; And
And outputting the content information to a call list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call connection
Lt; / RTI >
Wherein the call list includes a summary list of recent call connections and a detailed list of call parties selected from the summary list,
Wherein the detailed list includes a first icon relating to content created during a first call with the calling party and a second icon relating to content created during a second call with the calling party,
Wherein the summary list includes the first icon and the second icon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calling party,
A content management method of a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통화 목록에서 상기 통화 연결에 대응하는 위치에 출력되는,
단말의 컨텐츠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ent information includes:
And outputting,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all connection in the call list,
A content management method of a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기능은,
녹음 기능, 메모 기능 또는 일정 관리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의 컨텐츠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dd-
A recording function, a memo function, or a schedule management function,
A content management method of a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아이콘을 포함하는,
단말의 컨텐츠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ent information includes:
And an icon for identifying the type of the content,
A content management method of a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컨텐츠의 관리를 위한 관리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컨텐츠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outputting a management screen for managing the content in response to a user input of the content information.
A content management method of a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기능은 녹음 기능이고, 상기 컨텐츠는 녹음 파일이고,
상기 녹음 파일의 텍스트 변환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컨텐츠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ditional function is a recording function, the content is a recording file,
Further comprising generating a text conversion file of the recording file,
A content management method of a termi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변환 파일의 텍스트 중 일정 지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녹음 파일에서 상기 일정 지점에 대응되는 부분을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컨텐츠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Reproducing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ertain point in the recording file 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certain point in the text of the text conversion file,
A content management method of a termi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변환 파일의 텍스트 중 일정 구간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녹음 파일에서 상기 일정 구간에 대응되는 부분에 대한 반복 재생 기능 또는 공유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컨텐츠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Providing at least one of a repeat playback function or a share function for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section in the recording file 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text of the text conversion file ,
A content management method of a termi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변환 파일의 생성 이후에, 사용자에 의해 상기 녹음 파일에 대한 삭제 명령이 수신된 경우, 상기 텍스트 변환 파일의 삭제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컨텐츠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outputting a message inquiring whether or not to delete the text conversion file when a deletion command for the recorded file is received by the user after the generation of the text conversion file.
A content management method of a termi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변환 파일에 대한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컨텐츠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providing an editing function for the text conversion file.
A content management method of a terminal.
상대 단말과의 통화 내용을 녹음하는 단계;
녹음된 상기 통화 내용에 대한 텍스트 변환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 변환 파일의 텍스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에서 일정 지점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일정 지점에 적용할 기능에 관한 기능 목록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기능 목록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능을 상기 일정 지점에 적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 목록은 선택 영역을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기 위한 공유 기능, 선택 영역을 삭제하기 위한 삭제 기능 및 선택 영역을 편집하기 위한 편집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의 컨텐츠 관리 방법.
Recording a call content with a counterpart terminal;
Generating a text conversion file for the recorded conversation contents;
Outputting a text of the text conversion file;
Receiving a user's selection input for a point in the text;
Outputting a function list related to a function to be applied to the certain point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input; And
Applying the function selected by the user to the certain point in the function list
Lt; / RTI >
Wherein the function list includes at least one of a sharing function for sharing the selection area with another user, a deletion function for deleting the selection area, and an editing function for editing the selection area.
A content management method of a terminal.
삭제delete 제1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통화 내용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검색어를 통해 상기 통화 내용을 검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색어를 통해 상기 통화 내용을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어를 상기 통화 내용에 대한 녹음 파일 또는 텍스트 변환 파일 중 적어도 하나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통화 내용을 검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의 컨텐츠 관리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search term from a user to search for the content of the call;
Searching the contents of the call through the search wor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earching for the contents of the call through the search word includes:
Comparing the search word with at least one of a recording file or a text conversion file for the content of the call,
The content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색어를 수신하는 단계는,
음성 또는 텍스트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색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컨텐츠 관리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tep of receiving the search term from the user comprises:
Receiving the search query from the user via voice or text;
A content management method of a terminal.
통화 연결 중에 상기 통화 연결을 위한 통화 기능과 구별되는 부가 기능을 실행하는 기능 관리부;
상기 부가 기능과 관련하여 생성된 컨텐츠에 관해 컨텐츠 정보를 생성하는 컨텐츠 관리부; 및
상기 통화 연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목록에 상기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 구성부
를 포함하고,
상기 통화 목록은 최근 통화 연결에 관한 요약 목록 및 상기 요약 목록에서 선택된 통화 상대방에 관한 상세 목록을 포함하고,
상기 상세 목록은 상기 통화 상대방과의 제1 통화 중에 생성된 컨텐츠에 관한 제1 아이콘 및 상기 통화 상대방과의 제2 통화 중에 생성된 컨텐츠에 관한 제2 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요약 목록은 상기 통화 상대방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을 포함하는,
단말.
A function management unit for executing an additional function different from a call function for the call connection during call connection;
A content management unit for generating content information about content generated in association with the additional function; And
And outputting the content information to the call list including the call connection information,
Lt; / RTI >
Wherein the call list includes a summary list of recent call connections and a detailed list of call parties selected from the summary list,
Wherein the detailed list includes a first icon relating to content created during a first call with the calling party and a second icon relating to content created during a second call with the calling party,
Wherein the summary list includes the first icon and the second icon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calling party,
Terminal.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구성부는,
상기 통화 목록에서 상기 통화 연결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는,
단말.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screen-
And outputting the content informa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all connection in the call list,
Terminal.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아이콘을 포함하는,
단말.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content information includes:
And an icon for identifying the type of the content,
Terminal.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구성부는,
상기 컨텐츠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컨텐츠의 관리를 위한 관리 화면을 출력하는,
단말.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screen-
And outputting a management screen for managing the content in response to a user input of the content information,
Terminal.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기능은 녹음 기능이고, 상기 컨텐츠는 녹음 파일이고, 상기 컨텐츠 관리부는 상기 녹음 파일의 텍스트 변환 파일을 생성하는,
단말.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additional function is a recording function, the content is a recording file, and the content management unit generates a text conversion file of the recording file,
Terminal.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단말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통화 연결 중에 상기 통화 연결을 위한 통화 기능과 구별되는 부가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부가 기능과 관련하여 생성된 컨텐츠에 관해 컨텐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 연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목록에 상기 컨텐츠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통화 목록은 최근 통화 연결에 관한 요약 목록 및 상기 요약 목록에서 선택된 통화 상대방에 관한 상세 목록을 포함하고,
상기 상세 목록은 상기 통화 상대방과의 제1 통화 중에 생성된 컨텐츠에 관한 제1 아이콘 및 상기 통화 상대방과의 제2 통화 중에 생성된 컨텐츠에 관한 제2 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요약 목록은 상기 통화 상대방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에 내장된 매체 또는 삽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A computer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to execute:
Performing an additional function different from a call function for the call connection during call connection;
Generating content information about content created in association with the additional function; And
And outputting the content information to a call list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call connection
Lt; / RTI >
Wherein the call list includes a summary list of recent call connections and a detailed list of call parties selected from the summary list,
Wherein the detailed list includes a first icon relating to content created during a first call with the calling party and a second icon relating to content created during a second call with the calling party,
Wherein the summary list comprises the first icon and the second icon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calling party,
A terminal-embedded medium or an insertable medium,
Computer program.
KR1020150015004A 2015-01-30 2015-01-30 Method of managing contents and system thereof KR1016430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004A KR101643081B1 (en) 2015-01-30 2015-01-30 Method of managing contents and syste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004A KR101643081B1 (en) 2015-01-30 2015-01-30 Method of managing contents and system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3081B1 true KR101643081B1 (en) 2016-07-26

Family

ID=56681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5004A KR101643081B1 (en) 2015-01-30 2015-01-30 Method of managing contents and system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08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0968A (en) * 2003-02-05 2004-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realizing memo function in mobile terminal
JP2005210497A (en) * 2004-01-23 2005-08-04 Mitsubishi Electric Corp Personal digital assistant
KR20060101600A (en) * 2005-03-21 2006-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recording voice signals and mobile phone using the same
KR100695209B1 (en) * 2006-03-22 2007-03-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storing content of electronic boo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0968A (en) * 2003-02-05 2004-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realizing memo function in mobile terminal
JP2005210497A (en) * 2004-01-23 2005-08-04 Mitsubishi Electric Corp Personal digital assistant
KR20060101600A (en) * 2005-03-21 2006-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recording voice signals and mobile phone using the same
KR100695209B1 (en) * 2006-03-22 2007-03-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storing content of electronic boo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446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tuating function of portable terminal
US8631350B2 (en) Graphical context short menu
CN102272789B (en) Enhanced voicemail usage through automatic voicemail preview
EP1309157B1 (en) Method for displaying data for multitasking operation i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US20050262521A1 (en) User specified transfer of data between applications
US8509398B2 (en) Voice scratchpad
US8316322B2 (en) Method for editing playlist and multimedia reproduc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CN103823677A (en) Routing user data entries to applications
KR10182029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oice recognition device in vehicle
US20140206324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call rejection function
US10750001B2 (en) Contact-note application and services
US20150012846A1 (en) Method, System and Mobile Terminal for Deleting Chat Record
US8340640B2 (en) Transcription systems and methods
CN102045462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ified interface for heterogeneous session management
KR101643081B1 (en) Method of managing contents and system thereof
CN102789365A (en) File folder creation method and device
KR102530669B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to write memo for audio file through linkage between app and web
CN10537923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message function in connection with note function
KR20170005590A (en) Voice Call Recording Method And Terminal Threof
CN110045895B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system, medium, and computing device
CN103327171A (en) Talking and writing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with function of talking and writing short message
KR102427213B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to manage together text conversion record and memo for audio file
KR101081126B1 (en) System and method setting a keypa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110046950A1 (en) Wireless Dictaphone Features and Interface
JP2014022818A (en) Voice recording/reproduction device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