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2684B1 - Bipv에서의 이상 모듈 진단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Bipv에서의 이상 모듈 진단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2684B1
KR101642684B1 KR1020160024410A KR20160024410A KR101642684B1 KR 101642684 B1 KR101642684 B1 KR 101642684B1 KR 1020160024410 A KR1020160024410 A KR 1020160024410A KR 20160024410 A KR20160024410 A KR 20160024410A KR 101642684 B1 KR101642684 B1 KR 101642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voltage value
output voltage
string
a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4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기택
Original Assignee
(주)대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은 filed Critical (주)대은
Priority to KR1020160024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26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H02S50/10Testing of PV devices, e.g. of PV modules or single PV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9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to indicate that the value is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wind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40Testing power supp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016Circuit arrangements of general character for the devices
    • H01L31/02019Circuit arrangements of general character for the devic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021Circuit arrangements of general character for the devic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5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 H01L31/0504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specially adapted for series or parallel connection of solar cells in a modu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6Building materials integrated with PV modules, e.g. façade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BIPV에서의 이상 모듈 진단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각 벽면에 설치되는 태양광 모듈의 전압값을 측정하여, 각 벽면의 평균전압값을 연산하고, 이를 정상 동작시 각 벽면의 평균 전압값과 비교하여 전압값의 저하가 가장 적은 벽면을 검사대상영역으로 선정하도록 함으로써, 일사량의 저하에 따라 전압값이 떨어진 벽면을 제외하고 태양광 모듈의 이상 진단을 실시하도록 하여 더욱 정확한 고장의 검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태양광 모듈이 직렬로 연결된 스트링에서 이상이 발생한 모듈에서의 실측 출력전압값이 상승하는 것을 이용하여, 직렬 연결된 태양광 모듈 스트링 내 어느 하나의 모듈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을 초과하는 경우에 해당 스트링 내에 이상 발생 모듈이 발생한 것으로 진단함으로써, 스트링단에서의 이상 모듈 발생 여부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하나의 스트링 내에서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을 초과하는 모듈이 2 이상으로 이격된 경우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을 초과하는 모듈들 사이에 위치한 모듈을 이상 발생 모듈로 특정하거나 또는 하나의 스트링 내에서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을 초과하는 모듈이 특정 모듈에서부터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경우 해당 특정 모듈 전단의 모듈을 이상 발생 모듈로 특정함으로써, 스트링 내 이상 발생 모듈을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는 BIPV에서의 이상 모듈 진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BIPV에서의 이상 모듈 진단시스템 및 방법{A Module of Abnormal Condition Diagnosis System in BIPV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BIPV에서의 이상 모듈 진단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각 벽면에 설치되는 태양광 모듈의 전압값을 측정하여, 각 벽면의 평균전압값을 연산하고, 이를 정상 동작시 각 벽면의 평균 전압값과 비교하여 전압값의 저하가 가장 적은 벽면을 검사대상영역으로 선정하도록 함으로써, 일사량의 저하에 따라 전압값이 떨어진 벽면을 제외하고 태양광 모듈의 이상 진단을 실시하도록 하여 더욱 정확한 고장의 검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태양광 모듈이 직렬로 연결된 스트링에서 이상이 발생한 모듈에서의 실측 출력전압값이 상승하는 것을 이용하여, 직렬 연결된 태양광 모듈 스트링 내 어느 하나의 모듈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을 초과하는 경우에 해당 스트링 내에 이상 발생 모듈이 발생한 것으로 진단함으로써, 스트링단에서의 이상 모듈 발생 여부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하나의 스트링 내에서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을 초과하는 모듈이 2 이상으로 이격된 경우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을 초과하는 모듈들 사이에 위치한 모듈을 이상 발생 모듈로 특정하거나 또는 하나의 스트링 내에서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을 초과하는 모듈이 특정 모듈에서부터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경우 해당 특정 모듈 전단의 모듈을 이상 발생 모듈로 특정함으로써, 스트링 내 이상 발생 모듈을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는 BIPV에서의 이상 모듈 진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태양전지는 태양광의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장치이다. 태양전지는 태양광의 빛에너지로부터 전기를 발생시키는 셀(전기를 일으키는 최소단위, 이하 '셀'이라 한다), 상기 셀의 조합이며 각 셀에서 발생된 전기를 외부로 송출하는 셀모듈(전기를 꺼내는 최소단위, 이하 '모듈'이라 한다), 상기 모듈의 조합으로 정의되는 셀어레이(이하, '어레이'라 한다)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원발명의 배경이 되는 태양광발전장치의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55250호(2004.10.22), 10-1028159호(2011,04,01) 및 제10-1049786호(2011,07,11)에 기재되어 있다. 즉, 태양광발전장치는 상기와 같이 전기를 발생하는 태양전지를 이용한 발전방식에 태양전지로 구성된 모듈과 축전지 및 전력변환 인버터 등을 더 포함하면 태양광 발전장치(시스템)를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가동 운영과정에서 음영, 고장, 노화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수많은 모듈들 중에서 특정 모듈에 이상이 발생하게 되면, 이상이 발생한 해당 모듈에 대한 진단은 물론 교체 등이 이루어지는 유지보수가 무엇보다 중요해지고 있으나, 현재는 이상이 발생한 특정 모듈별 이상여부 진단을 하는 방식도 생소할 뿐더러 모듈별 진단을 실시하고자 하더라도 그 정확성을 담보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최근 태양광 발전장치는 건물과 일체로 형성되어 태양광에 의해 생산된 에너지를 직접 건물에 공급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BIPV: Building Intergrated Photovotaic System, 이하 'BIPV'라 함)이라 하는데, 최근 BIPV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을 건물의 외장재로 사용하여 건물의 각 벽면에 설치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BIPV의 경우에는 건물의 각 면에 주어지는 일사량이 진단 시점에 따라 서로 달라 태양광 모듈의 정확한 이상 진단이 더욱 어려웠으며,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측정 전압의 저하에 따라 모듈의 이상을 판단할 뿐이어서, 일사량에 의한 저하인지 모듈의 고장에 의한 저하인지를 구분하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 따라서, 일사량에 의한 전압의 저하임에도 고장으로 진단하거나, 고장에 의한 전압의 저하임에도 일사량에 의한 일시적 저하로 판단하여 모듈의 이상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없고, 이에 따라 정확하고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1208810호(2012. 11. 29. 등록)"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시스템 및 그것의 태양광 모듈 자체 진단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건물의 각 벽면에 설치되는 태양광 모듈의 전압값을 측정하여, 각 벽면의 평균전압값을 연산하고, 이를 정상 동작시 각 벽면의 평균 전압값과 비교하여 평균전압값의 저하가 가장 적은 벽면을 검사대상영역으로 선정하도록 함으로써, 일사량의 저하에 따라 전압값이 떨어진 벽면을 제외하고 태양광 모듈의 이상 진단을 실시하도록 하여 더욱 정확한 고장의 검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BIPV에서의 이상 모듈 진단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이 직렬로 연결된 스트링에서 이상이 발생한 모듈에서의 실측 출력전압값이 상승하는 것을 이용하여, 직렬 연결된 태양광 모듈 스트링 내 어느 하나의 모듈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을 초과하는 경우에 해당 스트링 내에 이상 발생 모듈이 발생한 것으로 진단함으로써, 스트링단에서의 이상 모듈 발생 여부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BIPV에서의 이상 모듈 진단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스트링 내에서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을 초과하는 모듈이 2 이상으로 이격된 경우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을 초과하는 모듈들 사이에 위치한 모듈을 이상 발생 모듈로 특정하거나 또는 하나의 스트링 내에서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을 초과하는 모듈이 특정 모듈에서부터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경우 해당 특정 모듈 전단의 모듈을 이상 발생 모듈로 특정함으로써, 스트링 내 이상 발생 모듈을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는 BIPV에서의 이상 모듈 진단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BIPV에서의 이상 모듈 진단시스템은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하나 이상의 태양광 모듈이 직렬로 연결된 스트링을 하나 이상 포함하고, 건물의 각 벽면에 설치되는 어레이; 상기 어레이의 각 모듈별 출력전압값을 측정하는 출력전압감지부; 상기 출력전압감지부에서 측정된 각 모듈별 출력전압값을 바탕으로 검사대상영역을 선정하는 검사영역선정부; 및 상기 검사영역선정부에서 선정된 영역별로 스트링 내 특정 모듈에의 이상 발생 여부를 진단하는 이상진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검사영역선정부는 상기 어레이가 설치된 각 벽면의 평균전압값을 비교하여 정상 동작시의 평균전압값 대비 평균전압값의 저하가 가장 적은 벽면을 검사대상영역으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BIPV에서의 이상 모듈 진단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검사영역선정부는 상기 출력전압감지부에서 측정된 전압값을 바탕으로 어레이가 설치된 각 벽면의 평균전압값을 계산하는 영역별평균전압연산모듈과, 상기 영역별평균전압연산모듈에 의하여 계산된 각 벽면의 평균전압값을 비교하여 정삭 동작시의 평균전압값 대비 전압값의 저하가 가장 적은 벽면을 검사대상영역으로 특정하는 검사영역특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BIPV에서의 이상 모듈 진단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검사영역특정모듈은 상기 영역별평균전압연산모듈에 의하여 계산된 각 벽면의 평균전압값 중 가장 높은 평균전압값을 가지는 벽면을 검사대상영역으로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BIPV에서의 이상 모듈 진단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검사영역특정모듈은 상기 영역별평균전압연산모듈에 의하여 계산된 각 벽면의 평균전압값 중 정상 동작시의 평균전압값과 동일한 평균전압값을 가지는 벽면을 검사대상영역으로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BIPV에서의 이상 모듈 진단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상진단부는 검사대상영역의 각 모듈별 출력전압값을 해당 모듈의 실효전압과 대비하여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모듈이 위치한 스트링 내 이상 발생 모듈의 존재를 진단하는 이상스트링진단모듈과, 하나의 스트링 내에서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을 초과하는 모듈이 2 이상인 경우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을 초과하는 모듈들 사이에 위치한 모듈을 이상 발생 모듈로 특정하는 이상모듈특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BIPV에서의 이상 모듈 진단방법은 하나 이상의 태양광 모듈이 직렬로 연결된 스트링을 하나 이상 포함하고, 건물의 각 벽면에 설치되는 어레이의 각 모듈별 출력전압값을 측정하는 출력전압감지단계; 상기 출력전압감지단계에서 측정된 각 모듈별 출력전압값을 바탕으로 검사대상영역을 선정하는 검사영역선정단계; 및 상기 검사영역선정단계에서 선정된 영역별로 스트링 내 특정 모듈에의 이상 발생 여부를 진단하는 이상진단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검사영역선정단계는 상기 어레이가 설치된 각 벽면의 평균전압값을 비교하여 정상 동작시의 평균전압값 대비 평균전압값의 저하가 가장 적은 벽면을 검사대상영역으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BIPV에서의 이상 모듈 진단방법에 있어서, 상기 검사영역선정단계는 상기 출력전압감지단계에서 측정된 전압값을 바탕으로 어레이가 설치된 각 벽면의 평균전압값을 계산하는 영역별평균전압연산단계와, 상기 영역별평균전압연산단계에서 계산된 각 벽면의 평균전압값을 비교하여 정삭 동작시의 평균전압값 대비 전압값의 저하가 가장 적은 벽면을 검사대상영역으로 특정하는 검사영역특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BIPV에서의 이상 모듈 진단방법에 있어서, 상기 검사영역특정단계는 상기 영역별평균전압연산단계에서 계산된 각 벽면의 평균전압값 중 가장 높은 전압값을 가지는 벽면을 검사대상영역으로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BIPV에서의 이상 모듈 진단방법에 있어서, 상기 검사영역특정단계는 상기 영역별평균전압연산단계에서 계산된 각 벽면의 평균전압값 중 정상 동작시의 평균전압값과 동일한 평균전압값을 가지는 벽면만을 검사대상영역으로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BIPV에서의 이상 모듈 진단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상진단단계는 검사대상영역의 각 모듈별 출력전압값을 해당 모듈의 실효전압과 대비하여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모듈이 위치한 스트링 내 이상 발생 모듈의 존재를 진단하는 이상스트링진단단계와, 하나의 스트링 내에서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을 초과하는 모듈이 2 이상인 경우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을 초과하는 모듈들 사이에 위치한 모듈을 이상 발생 모듈로 특정하는 이상모듈특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건물의 각 벽면에 설치되는 태양광 모듈의 전압값을 측정하여, 각 벽면의 평균전압값을 연산하고, 이를 정상 동작시 각 벽면의 평균 전압값과 비교하여 평균전압값의 저하가 가장 적은 벽면을 검사대상영역으로 선정하도록 함으로써, 일사량의 저하에 따라 전압값이 떨어진 벽면을 제외하고 태양광 모듈의 이상 진단을 실시하도록 하여 더욱 정확한 고장의 검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이 직렬로 연결된 스트링에서 이상이 발생한 모듈에서의 실측 출력전압값이 상승하는 것을 이용하여, 직렬 연결된 태양광 모듈 스트링 내 어느 하나의 모듈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을 초과하는 경우에 해당 스트링 내에 이상 발생 모듈이 발생한 것으로 진단함으로써, 스트링단에서의 이상 모듈 발생 여부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스트링 내에서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을 초과하는 모듈이 2 이상으로 이격된 경우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을 초과하는 모듈들 사이에 위치한 모듈을 이상 발생 모듈로 특정하거나 또는 하나의 스트링 내에서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을 초과하는 모듈이 특정 모듈에서부터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경우 해당 특정 모듈 전단의 모듈을 이상 발생 모듈로 특정함으로써, 스트링 내 이상 발생 모듈을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태양광 발전장치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IPV에서의 이상 모듈 진단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각 벽면의 평균전압값 중 가장 높은 평균전압값을 갖는 벽면을 검사대상영역으로 특정하는 경우를 도시한 참고도
도 4는 각 벽면의 평균전?갑 중 정상 동작시의 평균전압값과 동일한 평균전압값을 가지는 벽면만을 검사대상영역으로 특정하는 경우를 도시한 참고도
도 5는 일 스트링 내에서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을 초과하는 모듈이 이격되어 2 이상 측정된 경우를 도시한 참고도
도 6은 일 스트링 내에서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을 초과하는 모듈이 특정 모듈에서부터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도시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IPV에서의 이상 모듈 진단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BIPV에서의 이상 모듈 진단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태양광 발전장치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태양광 발전장치는, 실제 발전(발생)된 전기를 외부로 송출하는 최소단위인 태양광 모듈(10)이 복수개 모여 어레이(20)(어레이 내에는 복수의 모듈(10)들이 직렬로 연결된 스트링(12)이 하나 이상 포함됨)를 이루며, 대규모 태양광 발전의 경우 적게는 수십 개 많게는 수백 개 이상의 어레이(20)가 설치되어 운영되게 된다(한편, 태양광 발전장치에서는 이외에도 접속반(30), 인버터(40) 등의 설비와, 모니터링을 위한 센서(50), 송수신을 위한 코디네이터(60) 등의 장치가 포함되게 된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운영하다 보면, 태양광 모듈(10)의 전압이 저하(달리 표현하면, 해당 모듈의 효율이 저하)되게 되는데, 이때 전압 저하가 발생한 해당 모듈(10)을 정확하게 특정하고 해당 전압 저하의 원인을 운영자에게 고지시키게 되면 해당 모듈(10)에 대한 교체, 수리, 청소 등의 대응조치를 취하게 된다.
또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어 태양광에 의해 발생된 전기를 직접 건물에 공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BIPV)이라 한다.
상기 BIPV는 태양광에 의한 발전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건물의 각 외벽에 태양광 모듈(10)을 포함하는 어레이(20)가 설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접속반(30), 인버터(40), 센서(50), 코디네이터(60) 등의 구성이 건물 내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BIPV가 설치되는 건물의 각 외벽은 모두 다른 방향을 향하게 되므로, 태양의 위치에 따라 시시각각 일사량이 변하게 된다. 따라서, 각 태양광 모듈(10)의 전압을 측정한다고 하더라도 전압 저하의 원인이 일사량의 저하에 의한 것인지, 고장에 의한 것인지를 구분할 수 없어 정확한 고장의 진단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태양광 모듈(10)의 전압값을 측정하여, 각 벽면에서의 어레이(20)에 대한 평균전압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각 벽면에서의 평균전압값을 비교하여 전압 저하가 가장 적게 이루어진 벽면을 검사대상영역으로 선정함으로써 일사량의 저하가 발생한 벽면을 제외하고 이상 진단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고장이 발생한 태양광 모듈(10)을 더욱 정확하게 찾아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종래에 태양광 발전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단순히 어레이(20) 단에서 출력(전압)이 저하되는 것을 진단한 다음 해당 어레이에서는 점검자가 일일이 수동으로 해당 어레이의 각 모듈별로 계측하여 이상이 발생한 모듈을 특정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왔거나, 또는 모듈(10)들이 직렬로 연결된 스트링(12)에서의 출력(전압) 저하를 진단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왔으나, 모듈(10)들이 직렬로 연결된 스트링(12)에서는 어느 하나의 모듈(10) 출력(전압)이 저하되는 경우 그 주위 다른 모듈(10)들의 출력(전압)이 상보적으로 상승하여 스트링(12) 전체적으로는 어느 정도 출력(전압)을 동일하게 유지시키게 되므로, 이러한 종래 방식으로는 해당 어레이(20) 내지 스트링(12)에서 어느 모듈(10)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정확하게 진단하고 특정하는 것이 어려웠다.
또한, 최근에 개발되고 있는 모듈별 이상진단 시스템 역시, 각 모듈(10)별로 출력량(전압값)에 대한 계측은 하고는 있으나, 기존 방식 즉, 모듈(10)들 중의 실측 출력값(전압값)이 현저히 떨어지는 특정 모듈을 감지하여 이를 이상 모듈로 판단하는 방식의 적용에 있어서 이 경우 모듈(10)들이 직렬로 연결된 스트링(12)단에서 출력이 떨어지는 특정 모듈에 대한 보상 특성에 의해 다른 모듈들에서의 실측 출력값(전압값)이 갑자기 상승하여 전체적으로 스트링(12)단 전체의 출력값은 유지되는 현상으로 인해 정확한 이상 발생 모듈에 대한 특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모듈(10)이 직렬로 연결된 스트링(12)에서 이상이 발생한 모듈의 주변 모듈에서의 실측 출력전압값이 상승하는 것을 이용하여 스트링(12) 내에서의 이상 발생 모듈(10)의 정확한 진단과 특정을 할 수 있게 하는 새로운 진단 시스템 및 방법 또한 제시하고자 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IPV에서의 이상 모듈 진단시스템은,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하나 이상의 태양광 모듈(10)이 직렬로 연결된 스트링(12)을 하나 이상 포함하고, 건물의 각 벽면에 설치되는 어레이(20)의 각 모듈(10)별 출력전압값을 측정하는 출력전압감지부(70); 상기 출력전압감지부(70)에서 측정된 각 모듈(10)별 출력전압값을 바탕으로 검사대상영역을 선정하는 검사영역선정부(80); 및 상기 검사영역선정부(80)에서 선정된 영역별로 스트링 내 특정 모듈(10)에의 이상 발생 여부를 진단하는 이상진단부(90);를 포함하며, 상기 검사영역선정부(80)는 상기 어레이(20)가 설치된 각 벽면의 평균전압값을 비교하여 정상 동작시의 평균전압값 대비 전압값의 저하가 가장 적은 벽면을 검사대상영역으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력전압감지부(70)는 건물의 각 벽면에 설치되는 어레이(20) 내에 위치한 복수의 모듈(10)들에 대해 각 모듈(10)별로 출력전압값을 측정하여 제공하는 구성으로, 각 모듈(10)별로 장착된 전압센서 등이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출력전압감지부(70)에서 측정된 데이터는 유, 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후술할 검사영역선정부(80)와 이상진단부(90)에 제공된다.
상기 검사영역선정부(80)는 상기 출력전압감지부(70)에서 측정된 각 모듈(10)별 출력전압값을 바탕으로 검사대상이 되는 벽면을 선정하는 구성으로, 각 벽면에서의 평균전압값을 연산하여 정상 동작시의 평균전압값 대비 전압값의 저하가 가장 적은 벽면을 검사대상영역으로 선정하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BIPV에 있어서는 각 벽면이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으므로, 태양의 위치에 따라 각 벽면의 어레이(20)에 주어지는 일사량의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검사영역선정부(80)는 일사량의 저하에 의해 평균전압값의 저하가 발생하는 벽면을 제외하고 상기 이상진단부(90)에 의한 이상 진단을 실시하도록 함으로써 고장이 발생한 모듈(10)을 더욱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검사영역선정부(80)는 상기 출력전압감지부(70)에서 측정된 전압값을 바탕으로 어레이(20)가 설치된 각 벽면의 평균전압값을 계산하는 영역별평균전압연산모듈(810)과, 상기 영역별평균전압연산모듈(810)에 의하여 계산된 각 벽면의 평균전압값을 비교하여 정삭 동작시의 평균전압값 대비 전압값의 저하가 가장 적은 벽면을 검사대상영역으로 특정하는 검사영역특정모듈(820)을 포함한다.
상기 영역별평균전압연산모듈(810)은 상기 출력전압감지부(70)에서 측정된 출력전압값을 바탕으로 각 벽면에서의 평균전압값을 계산하는 구성으로, 각 벽면에서 모듈(10)별 출력전압값을 합하여, 각 벽면에서의 전체 모듈(10)개수로 나눔으로써 평균전압값을 구할 수 있다. 상기 영역별평균전압연산모듈(810)에서 계산된 각 벽면에서의 평균전압값은 상기 검사영역특정모듈(820)로 제공되어 검사대상이 되는 벽면을 특정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검사영역특정모듈(820)은 상기 영역별평균전압연산모듈(810)에 의하여 계산된 각 벽면의 평균전압값을 바탕으로 상기 이상진단부(90)의 진단 대상이 되는 검사대상영역을 특정하도록 한다. 상기 검사영역특정모듈(820)은 상기 영역별평균전압연산모듈(810)에 의하여 계산된 각 벽면의 평균전압값을 정상 동작시의 평균전압값과 비교하여 평균전압값의 저하가 가장 적은 벽면을 선택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검사영역특정모듈(820)은 시시각각 변하는 일사량에 의해 태양이 비추지 않는 곳에 위치하여 일사량의 저하가 발생한 벽면을 제외하고 이상 진단을 실시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상진단부(90)에 의하여 고장이 발생한 모듈(10)을 더욱 정확하게 찾아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검사영역특정모듈(820)은 일 예로, 상기 영역별평균전압연산모듈(810)에 의하여 계산된 각 벽면의 평균전압값 중 가장 높은 평균전압값을 가지는 벽면을 검사대상영역으로 특정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4개의 벽면에 어레이(20a, 20b, 20c, 20d)가 설치되고, 일사량의 저하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 동작시의 평균전압값이 18V라고 가정했을 때, 4개의 벽면(20a, 20b, 20c, 20d)에서 모두 다소의 평균전압값 저하가 발생했으나, 17V의 평균전압값을 나타내는 벽면(20b)에서 가장 높은 평균전압값을 나타내었으므로, 상기 벽면(20b)을 일사랑의 저하가 가장 적게 발생한, 즉 가장 많은 일사량을 받는 벽면으로 판단할 수 있고, 검사대상영역으로 특정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이상진단부(90)는 상기 벽면(20b)에 대해 이상 진단을 실시하여 이상이 발생한 모듈(10)을 특정할 수 있으며, 이렇게 특정된 모듈(10)은 일사량의 저하에 의한 영향을 가장 적게 받았으므로, 고장에 의해 이상이 발생했을 확률이 높고, 이에 따라 고장이 발생한 모듈(10)을 신속하게 찾아내어 고장에 따른 정확하고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검사영역특정모듈(820)은 다른 예로, 상기 영역별평균전압연산모듈(810)에 의하여 계산된 각 벽면의 평균전압값 중 정상 동작시의 평균전압값과 동일한 평균전압값을 가지는 벽면만을 검사대상영역으로 특정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4개의 벽면에 어레이(20a, 20b, 20c, 20d)가 설치되고, 일사량의 저하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 동작시의 평균전압값이 18V라고 가정했을 때, 20c와 20d의 벽면에서 정상 동작시의 평균전압값과 동일한 평균전압값인 18V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상기 검사영역특정모듈(820)은 20c와 20d의 벽면을 검사대상영역으로 특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이상진단부(90)에 의한 이상 진단이 시작되고, 이때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진단된 모듈(10)은 일사량의 저하에 의한 이상이 아니므로, 고장에 의해 이상이 발생했을 확률이 더욱 높고, 이에 따라 고장에 대한 더욱 정확하고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상진단부(90)는 상기 출력전압감지부(70)에서 측정된 각 모듈(10)별 출력전압값을 바탕으로 스트링(12) 내 특정 모듈(10)에의 이상 발생 여부를 진단하는 구성으로, 상기 검사영역선정부(80)에서 선정된 검사대상영역인 벽면에 대해서만 이상 발생 여부를 진단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이상진단부(90)는 각 모듈(10)별 출력전압값을 해당 모듈(10)의 실효전압(이하, 본 발명에서 '실효전압'이란, 일반적인 모듈(10)의 정상작동 상태에서 측정되는 전압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일 예로 특정 모듈(10)의 정격전압이 35V인 경우 실효전압은 대략 15~20V 정도로 측정됨)과 대비하여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모듈(10)이 위치한 스트링(12) 내 이상 발생 모듈(10)의 존재를 진단하는 이상스트링진단모듈(91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이상스트링진단모듈(91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듈(10)들이 직렬로 연결된 스트링(12)에서 특정 모듈(10)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이상 발생 모듈(10)에서의 출력전압값이 떨어지는 것을 감지하고 이를 기준값과 대비하여 판단하고자 하는 종래의 방식(이런 종래 방식은 정확도가 떨어지는 단점을 보임)에서 탈피하여, 오히려 이상이 발생한 모듈(10)의 주변 모듈(10)에서의 실측 출력전압값이 정상적인 경우의 실효전압 대비 상승하는 것을 이용함으로써, 스트링(12) 내에서의 이상 발생 모듈(10)의 존부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게 한다. 일 예로, 도 5를 참조하면, 태양광 모듈(10)들이 직렬로 연결된 하나의 스트링(12) 내에서 정상적인 경우 각 모듈(10)에서 측정되는 실측전압값은 모두 실효전압 범위(일 예로, 15~20V 정도) 내에서 나타나는 반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링(12) 내 특정 모듈(10-3, 10-4, 10-5)에서 이상(고장, 음영, 얼룩 등)이 발생한 경우 오히려 그 주변 모듈들(10-1, 10-2, 10-6 ~ 10-9)에서 측정되는 실측전압값이 실효전압보다 높게 측정되게 되는바, 상기 이상스트링진단모듈(910)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스트링(12) 내에서 모듈(10)별 출력전압값을 해당 모듈(10)의 실효전압과 대비하여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을 초과하는 경우가 나타나게 되면 해당 모듈(10)이 위치한 스트링(12) 내 이상 발생 모듈(10)이 존재하는 것으로 진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상진단부(90)는 이상 발생 모듈(10)의 존재가 감지된 해당 스트링(12) 내에서 이상이 발생한 모듈(10)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이상모듈특정모듈(9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상모듈특정모듈(920)은 일 예로, 하나의 스트링(12) 내에서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을 초과하는 모듈(10)이 이격되어 2 이상인 경우에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을 초과하는 모듈(10)들 사이에 위치한 모듈(10)을 이상 발생 모듈(10)로 특정하게 된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스트링(12) 내 특정 모듈(10-3, 10-4, 10-5)을 사이에 두고 그 좌우로 이격되어 있는 모듈들(10-1 ~ 10-2, 10-6 ~ 10-9)에서 측정되는 실측전압값이 실효전압 범위(일 예로, 15~20V 정도)보다 높게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이상모듈측정모듈(10)에서는 그 사이에 있는 특정 모듈(10-3, 10-4, 10-5)을 이상이 발생한 모듈로 특정하여 이상 발생 모듈의 위치도 정확하게 제시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이상모듈특정모듈(920)에서는 다른 예로, 하나의 스트링(12) 내에서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을 초과하는 모듈(10)이 특정 모듈(10)에서부터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경우에 해당 특정 모듈(10) 바로 전단의 모듈(10)을 이상 발생 모듈(10)로 특정하게 된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스트링(12) 내 특정 모듈(10-5)에서부터 그 이후로 연속적으로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 범위(일 예로, 15~20V 정도)보다 높게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이상모듈측정모듈(920)에서는 상기 특정 모듈(10-5) 바로 전단에 있는 10-4 모듈을 이상이 발생한 모듈로 특정하여 이상 발생 모듈(10-4)의 위치를 정확하게 제시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상기 스트링(12)에 모듈(10)들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실제 실측되어 나타나는 실측전압값은 이상이 발생한 모듈(10)의 좌우에서 높게 나타나는 경우 이외에도 이상이 발생한 모듈(10)의 후단부터 높게 나타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되는바, 상기 이상모듈특정모듈(920)에서는 이와 같은 경우에도(경우도 반영하여) 이상 발생 모듈(10)의 위치를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이상스트링진단모듈(910)은, 하나의 스트링(12) 내에서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 범위(일 예로, 15~20V)을 초과하는 모듈(10)의 측정된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 최대치(일 예로, 20V)의 1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스트링(12) 내 음영 또는 오염 발생 모듈(10)의 존재를 진단하고, 실효전압 최대치(일 예로, 20V)의 30%를 초과하는 경우 스트링(12) 내 고장 발생 모듈(10)의 존재를 진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이상스트링진단모듈(910)은 스트링(12) 내 특정 모듈(10)의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 범위(일 예로, 15~20V)을 초과하는 비율의 차이에 따라, 해당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 범위를 과도하게 초과하여 정격전압에 가깝게 나타나는 경우에는 스트링(12) 내 고장이 발생한 모듈(10)의 존재(이 경우, 고장 발생 모듈(10)의 출력전압값은 거의 0에 가까움)로 인해 그 주변 모듈(10)의 출력전압값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경우이므로 고장 발생 모듈(10)이 존재하는 것으로 진단하고, 이와 달리 해당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 범위를 약소하게 초과하는 정도인 경우에는 스트링(12) 내 상대적으로 약하게 출력이 저하된 모듈(10)의 존재(이 경우, 해당 모듈(10)은 음영이나 얼룩 등으로 인해 출력이 저하된 것으로 볼 수 있음)로 인해 그 주변 모듈(10)의 출력전압값이 약간 상승하게 되는 경우이므로 음영 또는 오염 발생 모듈(10)이 존재하는 것으로 진단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을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은 모듈(10)의 이상에 의해 전압의 저하가 발생할 경우, 그 주변의 모듈(10)들이 상보적으로 전압이 상승하게 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으로, 종래와는 다르게 측정되는 전압값이 상승하는 모듈(10)을 찾아내어 이상을 진단하고 이상이 발생한 모듈(10)을 특정할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건물에 설치되는 BIPV의 경우, 건물의 각 벽면이 다른 방향을 향하여 일사량의 편차가 발생하고, 각 벽면에 일사량의 저하가 발생할 경우, 일사량의 저하가 발생한 벽면 전체의 평균전압값이 저하되는 것에 착안하여 평균전압값의 저하가 적은 벽면만을 검사대상으로 함으로써 일사량의 저하에 따른 이상 진단을 줄이고, 고장에 따른 이상 진단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시각각 변하는 일사량에 의한 이상 진단을 배제하고 모듈(10)의 이상을 진단하도록 함으로써, 모듈(10)의 고장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시스템이 구현되는 BIPV에서의 이상 모듈 진단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IPV에서의 이상 모듈 진단방법은, 하나 이상의 태양광 모듈(10)이 직렬로 연결된 스트링(12)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어레이(20)의 각 모듈(10)별 출력전압값을 측정하는 출력전압감지단계(S10); 상기 출력전압감지단계(S10)에서 측정된 각 모듈(10)별 출력전압값을 바탕으로 검사대상영역을 선정하는 검사영역선정단계(S20); 및 상기 검사영역선정단계(S20)에서 선정된 영역별로 스트링 내 특정 모듈(10)에의 이상 발생 여부를 진단하는 이상진단단계(S30);를 포함하며, 상기 검사영역선정단계(S20)는 상기 어레이(20)가 설치된 각 벽면의 평균전압값을 비교하여 정상 동작시의 평균전압값 대비 전압값의 저하가 가장 적은 벽면을 검사대상영역으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력전압감지단계(S10)는 건물의 각 벽면에 설치되는 어레이(20) 내에 위치한 복수의 모듈(10)들에 대해 각 모듈(10)별로 출력전압값을 측정하여 제공하는 단계로, 각 모듈(10)별로 장착된 전압센서 등을 활용하여 측정하며, 출력전압감지단계(S10)에서 측정된 데이터는 상기 검사영역선정단계(S20) 및 이상진단단계(S30)에서 사용된다.
상기 검사영역선정단계(S20)는 상기 출력전압감지단계(S10)에서 측정된 각 모듈(10)별 출력전압값을 바탕으로 검사대상이 되는 벽면을 선정하는 단계로, 각 벽면에서의 평균전압값을 연산하여 정상 동작시의 평균전압값 대비 전압값의 저하가 가장 적은 벽면을 검사대상영역으로 선정하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BIPV에 있어서는 각 벽면이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으므로, 태양의 위치에 따라 각 벽면의 어레이(20)에 주어지는 일사량의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검사영역선정단계(S20)는 일사량의 저하에 의해 평균전압값의 저하가 발생하는 벽면을 제외하고 상기 이상진단부(90)에 의한 이상 진단을 실시하도록 함으로써 고장이 발생한 모듈(10)을 더욱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검사영역선정단계(S20)는 상기 출력전압감지단계(S10)에서 측정된 전압값을 바탕으로 어레이(20)가 설치된 각 벽면의 평균전압값을 계산하는 영역별평균전압연산단계(S21)와, 상기 영역별평균전압연산단계(S21)에 의하여 계산된 각 벽면의 평균전압값을 비교하여 정삭 동작시의 평균전압값 대비 전압값의 저하가 가장 적은 벽면을 검사대상영역으로 특정하는 검사영역특정단계(S22)를 포함한다.
상기 영역별평균전압연산단계(S21)는 상기 출력전압감지단계(S10)에서 측정된 출력전압값을 바탕으로 각 벽면에서의 평균전압값을 계산하는 단계로, 각 벽면에서 모듈(10)별 출력전압값을 합하여, 각 벽면에서의 전체 모듈(10)개수로 나눔으로써 평균전압값을 구할 수 있다. 상기 영역별평균전압연산단계(S21)에서 계산된 각 벽면에서의 평균전압값은 상기 검사영역특정단계(S22)로 전달되어 검사대상이 되는 벽면을 특정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검사영역특정단계(S22)는 상기 영역별평균전압연산단계(S21)에서 계산된 각 벽면의 평균전압값을 바탕으로 상기 이상진단단계(S30)에서의 진단 대상이 되는 검사대상영역을 특정하도록 한다. 상기 검사영역특정단계(S22)는 상기 영역별평균전압연산단계(S21)에 의하여 계산된 각 벽면의 평균전압값을 정상 동작시의 평균전압값과 비교하여 평균전압값의 저하가 가장 적은 벽면을 선택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검사영역특정단계(S22)는 시시각각 변하는 일사량에 의해 태양이 비추지 않는 곳에 위치하여 일사량의 저하가 발생한 벽면을 제외하고 이상 진단을 실시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상진단단계(S30)에서 고장이 발생한 모듈(10)을 더욱 정확하게 찾아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검사영역특정단계(S22)는 일 예로, 상기 영역별평균전압연산단계(S21)에서 계산된 각 벽면의 평균전압값 중 가장 높은 평균전압값을 가지는 벽면을 검사대상영역으로 특정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4개의 벽면에 어레이(20a, 20b, 20c, 20d)가 설치되고, 일사량의 저하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 동작시의 평균전압값이 18V라고 가정했을 때, 4개의 벽면(20a, 20b, 20c, 20d)에서 모두 다소의 평균전압값 저하가 발생했으나, 17V의 평균전압값을 나타내는 벽면(20b)에서 가장 높은 평균전압값을 나타내었으므로, 상기 벽면(20b)을 일사랑의 저하가 가장 적게 발생한, 즉 가장 많은 일사량을 받는 벽면으로 판단할 수 있고, 검사대상영역으로 특정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이상진단단계(S30)에서는 상기 벽면(20b)에 대해 이상 진단을 실시하여 이상이 발생한 모듈(10)을 특정할 수 있으며, 이렇게 특정된 모듈(10)은 일사량의 저하에 의한 영향을 가장 적게 받았으므로, 고장에 의해 이상이 발생했을 확률이 높고, 이에 따라 고장이 발생한 모듈(10)을 신속하게 찾아내어 고장에 따른 정확하고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검사영역특정단계(S22)는 다른 예로, 상기 영역별평균전압연산단계(S21)에서 계산된 각 벽면의 평균전압값 중 정상 동작시의 평균전압값과 동일한 평균전압값을 가지는 벽면만을 검사대상영역으로 특정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4개의 벽면에 어레이(20a, 20b, 20c, 20d)가 설치되고, 일사량의 저하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 동작시의 평균전압값이 18V라고 가정했을 때, 20c와 20d의 벽면에서 정상 동작시의 평균전압값과 동일한 평균전압값인 18V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상기 검사영역특정단계(S22)는 20c와 20d의 벽면을 검사대상영역으로 특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이상진단단계(S30)에 의한 이상 진단이 시작되고, 이때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진단된 모듈(10)은 일사량의 저하에 의한 이상이 아니므로, 고장에 의해 이상이 발생했을 확률이 더욱 높고, 이에 따라 고장에 대한 더욱 정확하고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상진단단계(S30)는 상기 출력전압감지단계(S10)에서 측정된 각 모듈(10)별 출력전압값을 바탕으로 스트링(12) 내 특정 모듈(10)에의 이상 발생 여부를 진단하는 단계로, 상기 검사영역선정부(80)에서 선정된 검사대상영역인 벽면에 대해서만 이상 발생 여부를 진단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이상진단단계(S30)는 각 모듈(10)별 출력전압값을 해당 모듈(10)의 실효전압과 대비하여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모듈(10)이 위치한 스트링(12) 내 이상 발생 모듈(10)의 존재를 진단하는 이상스트링진단단계(S31)와, 이상 발생 모듈(10)의 존재가 감지된 해당 스트링(12) 내에서 이상이 발생한 모듈(10)의 위치를 특정하는 이상모듈특정단계(S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상스트링진단단계(S3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듈(10)들이 직렬로 연결된 스트링(12)에서 특정 모듈(10)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이상 발생 모듈(10)에서의 출력전압값이 떨어지는 것을 감지하고 이를 기준값과 대비하여 판단하고자 하는 종래의 방식(이런 종래 방식은 정확도가 떨어지는 단점을 보임)에서 탈피하여, 오히려 이상이 발생한 모듈(10)의 주변 모듈(10)에서의 실측 출력전압값이 정상적인 경우의 실효전압 대비 상승하는 것을 이용함으로써, 스트링(12) 내에서의 이상 발생 모듈(10)의 존부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게 한다. 일 예로, 도 5를 참조하면, 태양광 모듈(10)들이 직렬로 연결된 하나의 스트링(12) 내에서 정상적인 경우 각 모듈(10)에서 측정되는 실측전압값은 모두 실효전압 범위(일 예로, 15~20V 정도) 내에서 나타나는 반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링(12) 내 특정 모듈(10-3, 10-4, 10-5)에서 이상(고장, 음영, 얼룩 등)이 발생한 경우 오히려 그 주변 모듈들(10-1, 10-2, 10-6 ~ 10-9)에서 측정되는 실측전압값이 실효전압보다 높게 측정되게 되는바, 상기 이상스트링진단단계(S31)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스트링(12) 내에서 모듈(10)별 출력전압값을 해당 모듈(10)의 실효전압과 대비하여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을 초과하는 경우가 나타나게 되면 해당 모듈(10)이 위치한 스트링(12) 내 이상 발생 모듈(10)이 존재하는 것으로 진단하게 된다.
상기 이상모듈특정단계(S32)는 일 예로, 하나의 스트링(12) 내에서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을 초과하는 모듈(10)이 이격되어 2 이상인 경우에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을 초과하는 모듈(10)들 사이에 위치한 모듈(10)을 이상 발생 모듈(10)로 특정하게 된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스트링(12) 내 특정 모듈(10-3, 10-4, 10-5)을 사이에 두고 그 좌우로 이격되어 있는 모듈들(10-1 ~ 10-2, 10-6 ~ 10-9)에서 측정되는 실측전압값이 실효전압 범위(일 예로, 15~20V 정도)보다 높게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이상모듈특정단계(S32)에서는 그 사이에 있는 특정 모듈(10-3, 10-4, 10-5)을 이상이 발생한 모듈로 특정하여 이상 발생 모듈의 위치도 정확하게 제시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이상모듈특정단계(S32)에서는 다른 예로, 하나의 스트링(12) 내에서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을 초과하는 모듈(10)이 특정 모듈(10)에서부터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경우에 해당 특정 모듈(10) 바로 전단의 모듈(10)을 이상 발생 모듈(10)로 특정하게 된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스트링(12) 내 특정 모듈(10-5)에서부터 그 이후로 연속적으로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 범위(일 예로, 15~20V 정도)보다 높게 측정되는 경우에, 상기 이상모듈특정단계(S32)에서는 상기 특정 모듈(10-5) 바로 전단에 있는 10-4 모듈을 이상이 발생한 모듈로 특정하여 이상 발생 모듈(10-4)의 위치를 정확하게 제시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상기 스트링(12)에 모듈(10)들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실제 실측되어 나타나는 실측전압값은 이상이 발생한 모듈(10)의 좌우에서 높게 나타나는 경우 이외에도 이상이 발생한 모듈(10)의 후단부터 높게 나타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되는바, 상기 이상모듈특정단계(S32)에서는 이와 같은 경우에도(경우도 반영하여) 이상 발생 모듈(10)의 위치를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이상스트링진단단계(S31)는, 하나의 스트링(12) 내에서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 범위(일 예로, 15~20V)을 초과하는 모듈(10)의 측정된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 최대치(일 예로, 20V)의 1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스트링(12) 내 음영 또는 오염 발생 모듈(10)의 존재를 진단하고, 실효전압 최대치(일 예로, 20V)의 30%를 초과하는 경우 스트링(12) 내 고장 발생 모듈(10)의 존재를 진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이상스트링진단단계(S31)는 스트링(12) 내 특정 모듈(10)의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 범위(일 예로, 15~20V)를 초과하는 비율의 차이에 따라, 해당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 범위를 과도하게 초과하여 정격전압에 가깝게 나타나는 경우에는 스트링(12) 내 고장이 발생한 모듈(10)의 존재(이 경우, 고장 발생 모듈(10)의 출력전압값은 거의 0에 가까움)로 인해 그 주변 모듈(10)의 출력전압값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경우이므로 고장 발생 모듈(10)이 존재하는 것으로 진단하고, 이와 달리 해당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 범위를 약소하게 초과하는 정도인 경우에는 스트링(12) 내 상대적으로 약하게 출력이 저하된 모듈(10)의 존재(이 경우, 해당 모듈(10)은 음영이나 얼룩 등으로 인해 출력이 저하된 것으로 볼 수 있음)로 인해 그 주변 모듈(10)의 출력전압값이 약간 상승하게 되는 경우이므로 음영 또는 오염 발생 모듈(10)이 존재하는 것으로 진단하게 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모듈 12: 스트링
20: 어레이 30: 접속반
40: 인버터 50: 센서
60: 코디네이터 70: 출력전압감지부
80: 검사영역선정부 810: 영역별평균전압연산모듈
820: 검사영역특정모듈 90: 이상진단부
910: 이상스트링진단모듈 920: 이상모듈특정모듈

Claims (10)

  1.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하나 이상의 태양광 모듈이 직렬로 연결된 스트링을 하나 이상 포함하고, 건물의 각 벽면에 설치되는 어레이;
    상기 어레이의 각 모듈별 출력전압값을 측정하는 출력전압감지부;
    상기 출력전압감지부에서 측정된 각 모듈별 출력전압값을 바탕으로 검사대상영역을 선정하는 검사영역선정부; 및
    상기 검사영역선정부에서 선정된 영역별로 스트링 내 특정 모듈에의 이상 발생 여부를 진단하는 이상진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검사영역선정부는 상기 어레이가 설치된 각 벽면의 평균전압값을 비교하여 정상 동작시의 평균전압값 대비 평균전압값의 저하가 가장 적은 벽면을 검사대상영역으로 선정하고,
    상기 이상진단부는 검사대상영역의 각 모듈별 출력전압값을 해당 모듈의 실효전압과 대비하여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모듈이 위치한 스트링 내 이상 발생 모듈의 존재를 진단하는 이상스트링진단모듈과, 하나의 스트링 내에서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을 초과하는 모듈이 2 이상인 경우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을 초과하는 모듈들 사이에 위치한 모듈을 이상 발생 모듈로 특정하는 이상모듈특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PV에서의 이상 모듈 진단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영역선정부는
    상기 출력전압감지부에서 측정된 전압값을 바탕으로 어레이가 설치된 각 벽면의 평균전압값을 계산하는 영역별평균전압연산모듈과, 상기 영역별평균전압연산모듈에 의하여 계산된 각 벽면의 평균전압값을 비교하여 정삭 동작시의 평균전압값 대비 전압값의 저하가 가장 적은 벽면을 검사대상영역으로 특정하는 검사영역특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PV에서의 이상 모듈 진단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영역특정모듈은
    상기 영역별평균전압연산모듈에 의하여 계산된 각 벽면의 평균전압값 중 가장 높은 평균전압값을 가지는 벽면을 검사대상영역으로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PV에서의 이상 모듈 진단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영역특정모듈은
    상기 영역별평균전압연산모듈에 의하여 계산된 각 벽면의 평균전압값 중 정상 동작시의 평균전압값과 동일한 평균전압값을 가지는 벽면을 검사대상영역으로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PV에서의 이상 모듈 진단시스템.
  5. 삭제
  6. 하나 이상의 태양광 모듈이 직렬로 연결된 스트링을 하나 이상 포함하고, 건물의 각 벽면에 설치되는 어레이의 각 모듈별 출력전압값을 측정하는 출력전압감지단계;
    상기 출력전압감지단계에서 측정된 각 모듈별 출력전압값을 바탕으로 검사대상영역을 선정하는 검사영역선정단계; 및
    상기 검사영역선정단계에서 선정된 영역별로 스트링 내 특정 모듈에의 이상 발생 여부를 진단하는 이상진단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검사영역선정단계는 상기 어레이가 설치된 각 벽면의 평균전압값을 비교하여 정상 동작시의 평균전압값 대비 평균전압값의 저하가 가장 적은 벽면을 검사대상영역으로 선정하고,
    상기 이상진단단계는 검사대상영역의 각 모듈별 출력전압값을 해당 모듈의 실효전압과 대비하여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모듈이 위치한 스트링 내 이상 발생 모듈의 존재를 진단하는 이상스트링진단단계와, 하나의 스트링 내에서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을 초과하는 모듈이 2 이상인 경우 출력전압값이 실효전압을 초과하는 모듈들 사이에 위치한 모듈을 이상 발생 모듈로 특정하는 이상모듈특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PV에서의 이상 모듈 진단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영역선정단계는
    상기 출력전압감지단계에서 측정된 전압값을 바탕으로 어레이가 설치된 각 벽면의 평균전압값을 계산하는 영역별평균전압연산단계와, 상기 영역별평균전압연산단계에서 계산된 각 벽면의 평균전압값을 비교하여 정삭 동작시의 평균전압값 대비 전압값의 저하가 가장 적은 벽면을 검사대상영역으로 특정하는 검사영역특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PV에서의 이상 모듈 진단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영역특정단계는
    상기 영역별평균전압연산단계에서 계산된 각 벽면의 평균전압값 중 가장 높은 전압값을 가지는 벽면을 검사대상영역으로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PV에서의 이상 모듈 진단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영역특정단계는
    상기 영역별평균전압연산단계에서 계산된 각 벽면의 평균전압값 중 정상 동작시의 평균전압값과 동일한 평균전압값을 가지는 벽면만을 검사대상영역으로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PV에서의 이상 모듈 진단방법.
  10. 삭제
KR1020160024410A 2016-02-29 2016-02-29 Bipv에서의 이상 모듈 진단시스템 및 방법 KR101642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410A KR101642684B1 (ko) 2016-02-29 2016-02-29 Bipv에서의 이상 모듈 진단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410A KR101642684B1 (ko) 2016-02-29 2016-02-29 Bipv에서의 이상 모듈 진단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2684B1 true KR101642684B1 (ko) 2016-07-26

Family

ID=56681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4410A KR101642684B1 (ko) 2016-02-29 2016-02-29 Bipv에서의 이상 모듈 진단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26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3338B1 (ko) 2022-11-30 2023-06-15 (주)에스케이솔라에너지 고장 조기검출을 통해 사고예방이 가능하고 발전효율이 우수한 bipv 태양광시스템
KR102608835B1 (ko) 2023-02-20 2023-12-01 박기주 복수의 bipv 패널들 각각의 전압차를 보정하는 bipv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208B1 (ko) * 2011-06-09 2011-09-07 이앤에이치(주) 마이크로 인버터를 갖춘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장치
KR20110123397A (ko) * 2010-05-07 2011-11-15 (주)엘지하우시스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시스템 및 그것의 태양광 모듈 자체 진단 방법
JP2012103082A (ja) * 2010-11-10 2012-05-31 Irf:Kk 太陽光発電パネルの診断装置、遮音壁、建造物用窓ガラス設備、乗物用窓ガラス設備及び太陽光発電パネルの保守管理システム
JP2013051293A (ja) * 2011-08-30 2013-03-14 Jx Nippon Oil & Energy Corp 太陽光発電を最適化する演算装置、太陽光発電を最適化する方法、太陽光発電システム、及び太陽光発電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3397A (ko) * 2010-05-07 2011-11-15 (주)엘지하우시스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시스템 및 그것의 태양광 모듈 자체 진단 방법
JP2012103082A (ja) * 2010-11-10 2012-05-31 Irf:Kk 太陽光発電パネルの診断装置、遮音壁、建造物用窓ガラス設備、乗物用窓ガラス設備及び太陽光発電パネルの保守管理システム
KR101063208B1 (ko) * 2011-06-09 2011-09-07 이앤에이치(주) 마이크로 인버터를 갖춘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장치
JP2013051293A (ja) * 2011-08-30 2013-03-14 Jx Nippon Oil & Energy Corp 太陽光発電を最適化する演算装置、太陽光発電を最適化する方法、太陽光発電システム、及び太陽光発電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3338B1 (ko) 2022-11-30 2023-06-15 (주)에스케이솔라에너지 고장 조기검출을 통해 사고예방이 가능하고 발전효율이 우수한 bipv 태양광시스템
KR102608835B1 (ko) 2023-02-20 2023-12-01 박기주 복수의 bipv 패널들 각각의 전압차를 보정하는 bipv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02891B2 (en) Automatic generation and analysis of solar cell IV curves
KR101631267B1 (ko) 태양광 모듈별 이상 여부를 효율적으로 진단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5403608B2 (ja) 太陽電池アレイの診断方法、及び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
KR102065351B1 (ko) 태양광 발전 관리 시스템
US8744791B1 (en) Automatic generation and analysis of solar cell IV curves
TWI586066B (zh) Solar power generation monitoring method and the solar power generation monitoring system used in the method
KR102051402B1 (ko) IoT 기반 태양광발전 진단시스템
KR101028884B1 (ko) 유브이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부분 방전량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532163B1 (ko) 태양광발전 상태진단 평가시스템
US9515602B2 (en) Solar array condition monitoring through controlled inverter voltage sweeping
KR20190066135A (ko)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고장 진단 시스템
KR101642684B1 (ko) Bipv에서의 이상 모듈 진단시스템 및 방법
KR101664953B1 (ko) 태양광 모듈 진단시스템
US20190123684A1 (en) Method for detecting faults in a photovoltaic module
KR20170126623A (ko) 멀티변수를 기반으로 한 태양광 발전설비의 효율성 진단시스템
KR101631266B1 (ko) 직렬 연결된 태양광 모듈 스트링에서의 이상 모듈 진단 시스템 및 방법
US10069460B2 (en) Determining the power density distribution of a photovoltaic generator from temporal profiles of its electrical power
WO2016085008A1 (ko) 태양광 모듈별 이상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2440143B1 (ko) 태양광 모듈의 음영 및 고장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
KR101642680B1 (ko)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시스템
JP2008171860A (ja) 中古太陽電池モジュールを用いた太陽光発電システムの施工方法
KR101664954B1 (ko) 센싱 데이터를 줄인 태양광 발전 진단장치
KR101642681B1 (ko) 센서의 선택적 제어를 이용하는 태양광발전 진단 시스템
US9644958B2 (en) Method for the validation of solar altitude-dependent measured values of several measurement channels
JP6354946B2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の異常診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