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2596B1 - Hot-water supply apparatus and control mathod thereof - Google Patents

Hot-water supply apparatus and control ma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2596B1
KR101642596B1 KR1020140153550A KR20140153550A KR101642596B1 KR 101642596 B1 KR101642596 B1 KR 101642596B1 KR 1020140153550 A KR1020140153550 A KR 1020140153550A KR 20140153550 A KR20140153550 A KR 20140153550A KR 101642596 B1 KR101642596 B1 KR 101642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valve
conduit
heating
s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35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54234A (en
Inventor
한석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터텍
Priority to KR1020140153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2596B1/en
Publication of KR20160054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2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5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4Electric heating systems using electric heating of heat-transfer fluid in separate units of th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2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with forced circulation, e.g. by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8Electric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07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71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8Storage t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온수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복수의 분리된 난방 영역을 갖는 분리난방 온수매트를 위한 것으로서, 상기 온수매트의 분리된 난방 영역 각각으로 온수를 분리하여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분리관로들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관로들을 통한 온수 유동을 개별적으로 단속하는 밸브와; 난방 온도가 가장 높게 설정된 온수매트의 난방 영역과 연결되는 분리관로는 지속적으로 개방하고, 난방 온도가 낮게 설정된 온수매트의 난방영역과 연결되는 분리관로는 설정된 난방 온도에 따라 간헐적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온수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이용하면, 단일의 저장탱크, 히터, 펌프, 그리고 밸브만으로도 분리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음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hot water supply device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 a separate heating hot water mat having a plurality of separated heating areas and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parate pipes for separately supplying hot water to the separated heating areas of the hot water mat, A valve interlocking the hot water flow through the separate conduits; The separation pipe connected to the heating area of the hot water mat having the highest heating temperature is continuously opened and the separation pipe connected to the heating area of the hot water mat having a low heating temperature is intermittently opened according to the set heating temperatur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INDUSTRIAL APPLICABILITY According to the hot water supply device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hieve separate heating by using only a single storage tank, a heater, a pump, and a valv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crease in noise.

Description

온수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HOT-WATER SUPPLY APPARATUS AND CONTROL MATHOD THEREOF}[0001] HOT WATER SUPPLY APPARATUS AND CONTROL MATHOD THEREOF [0002]

본 발명은 온수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분리된 난방 영역을 갖는 분리난방 온수매트로부터 환수된 유체를 가열 후, 가열된 유체를 온수매트의 난방 영역별로 분리하여 다시 온수매트에 순환시키는 온수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t water suppl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t water supply devic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hot water supply device, To a hot water ma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최근에는 가정이나 야외 등에서 난방용으로 전기매트나 온수매트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특히 전기매트는 매트(mat)에 전기 가열선이 직접 배선되어 전자기파를 많이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하지만 온수매트는 매트에 전기 가열선 대신 온수가 순환되는 온수 호스가 배선되는 방식으로서, 전자기파의 위협을 염려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어 보다 선호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온수매트는 대형의 설비형 보일러 대신, 휴대 및 편의성을 위해 소형의 온수공급장치와 함께 구성되며, 열전달매체로서 다양한 유체가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물이 많이 선호되고 있다. Recently, electric mats and hot water mats have been used for heating in homes and outdoors. 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that an electric heating wire is directly wired to a mat to generate a large amount of electromagnetic waves. However, the hot water mat is a preferred method because the hot water hose is circulated in the mat instead of the electric heating wire, and there is no need to worry about the electromagnetic wave threat. In addition, the hot water mat is composed of a compact hot water supply device for portable and convenient use instead of a large type of boiler, and various fluids are used as a heat transfer medium and water is generally preferred.

온수공급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열전달매체인 유체(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물'로 한정하여 설명함)가 저장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 내 물을 가열하는 히터와, 온수매트로부터 물을 환수하고 히터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온수매트로 출수시키는 펌프로 구성된다.The hot water supply device includes a storage tank in which a fluid as a heat transfer medium (hereinafter, referred to as "wa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s stored, a heater for heating the water in the storage tank, And a pump for returning the water to the hot water mat and for discharging hot water heated by the heater to the hot water mat.

한편, 온수매트는 전체가 균일한 온도로 가열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대형 온수매트와 같은 일부의 경우 주난방부와 보조난방부로 분리 구성되어 부분별 상이한 온도로 난방이 가능하도록 제작되고 있다. 즉, 2인 이상이 사용할 수 있는 온수매트와 같은 일부의 경우, 온수배관이 상호 독립된 복수개의 배관으로 분리되어 구성되고, 분리 배관 각각에 저장탱크 및 히터, 펌프가 별도로 구비되어 각 저장탱크 내 물의 가열 정도를 달리함으로써 온수매트가 부분별 상이한 온도로 난방이 될 수 있도록 제작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ot water mat is generally heated to a uniform temperature, but in some cases, such as a large hot water mat, the hot water mat is divided into a main heating part and an auxiliary heating part. That is, in some cases such as a hot water mat which can be used by two or more persons, hot water pipes ar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independent pipes, and each of the separate pipes is provided with a storage tank, a heater and a pump separately, By changing the degree of heating, the hot water mat is made to be heated to different temperatures in different parts.

이와 같이 온수매트를 부분별 상이한 온도로 난방 가능하도록 제작할 경우, 단일 온수매트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사용자가 본인이 원하는 난방 온도를 선택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 기호에 따른 최적의 난방이 제공될 수 있다.When the hot water mat is heated to a different temperature, a plurality of users located on the single hot water mat can select the heating temperature desired by the user, so that optimal heating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can be provided.

그러나, 온수매트 내 복수의 분리 배관 각각마다 저장탱크 및 히터, 펌프가 별개로 구성되어 부품 비용이 상당하게 되므로 제작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복잡해져 대형화될 수밖에 없었으므로 보관 등에 번거로움이 따르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since the storage tank, the heater, and the pump are separately provid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eparate pipes in the hot water mat, the cost of the parts becomes considerable, and thus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In addition,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hassle was followed.

상기의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단일의 저장탱크 및 히터, 펌프만으로 온수매트를 부분별 상이한 온도로 난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 비용 상승 및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온수공급장치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충분히 만족될만한 결과가 도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For this reason, there has been attempted to develop a hot water supply device capable of heating a hot water mat at a different temperature by using only a single storage tank, a heater, and a pump, The results are not satisfactory enough.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1776호(공고일 2008. 01. 06)가 있다.A related prior art i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61776 (published on Jan. 6, 2008).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의 저장탱크, 히터 및 펌프를 포함하는 온수공급장치만으로 온수매트가 부분별 상이한 온도로 분리 난방될 수 있게 하는 온수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ot water suppl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hich enable a hot water mat to be separately heated to different temperatures by only a hot water supply device including a single storage tank, a heater and a pump.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수공급장치는, 복수의 분리된 난방 영역을 갖는 분리난방 온수매트를 위한 것으로서, 상기 온수매트의 분리된 난방 영역 각각으로 온수를 분리하여 공급하고, 분리되는 온수의 유동을 개별적으로 단속하며, 단일 온수 유입관으로부터 분기되는 복수의 분리관로들을 포함하는 밸브와; 난방 온도가 가장 높게 설정된 온수매트의 난방 영역과 연결되는 분리관로는 지속적으로 개방하고, 난방 온도가 낮게 설정된 온수매트의 난방영역과 연결되는 분리관로는 설정된 난방 온도에 따라 간헐적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ot water supply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separate heating zones for separating hot water into separate heating areas of the hot water mat, A valve comprising a plurality of separate conduits branching from a single hot water inlet pipe; The separation pipe connected to the heating area of the hot water mat having the highest heating temperature is continuously opened and the separation pipe connected to the heating area of the hot water mat having a low heating temperature is intermittently opened according to the set heating temperatur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상기 밸브는, 온수가 유입되는 단일의 유입관로 및 상기 유입관로로부터 분기되는 복수의 분리관로가 형성된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의 분리관로 각각에 설치되고, 탄성변형되어 상기 분리관로를 통한 온수 유동을 개폐하는 패킹;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패킹을 가압하여 상기 분리관로를 차단하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valve comprises: a valve body having a single inflow conduit into which hot water flows and a plurality of split conduits branching from the inflow conduit; A packing installed in each of the separation pipes of the valve body and elastically deformed to open and close the hot water flow through the separation pipe; And a solenoid which pressurizes the packing to shut off the separation pipe when power is applied thereto by the control unit.

상기 밸브는, 상기 복수의 분리관로로 온수를 안내하는 하나의 유입관로 및 상기 분리관로가 한 쌍 형성된 밸브 바디와; 상기 밸브바디에 상기 분리관로들을 각각 막도록 설치되어, 상기 분리관로를 통한 온수 유동에 의해 탄성변형되며 상기 분리관로를 개방하는 한 쌍의 패킹과;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패킹을 가압하여 상기 패킹의 탄성변형을 제한하는 한 쌍의 솔레노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valve includes: a valve body having a pair of inlet pipes and a pair of separation pipes guiding hot water to the plurality of separation pipes; A pair of packings installed on the valve body so as to block the separation pipes, respectively, and elastically deformed by hot water flow through the separation pipe to open the separation pipe; And a pair of solenoids for pressing the packing to restrict elastic deformation of the packing when power is applied thereto by the control unit.

상기 한 쌍의 분리관로는 서로 대향되며, 상기 하나의 유입관로와 함께 'T'자 또는 'Y'자 형을 형성할 수 있다.The pair of separation lines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can form a 'T' character or a 'Y' character with the one inlet line.

상기 각각의 분리관로는, 상기 유입관로와 연결된 제1관로 및, 상기 제1관로의 끝에 확장 형성되며 상기 제1관로를 통한 온수 유동과 수직 방향 또는 소정 각도로 꺾인 방향으로 온수가 출수되는 출수구가 형성된 제2관로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패킹은, 상기 제2관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1관로를 통한 온수 유동과 상기 솔레노이드의 가압력에 따라 상기 제1관로를 단속할 수 있다.Wherein each of the separation conduits includes a first conduit connected to the inlet conduit and an outlet port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conduit for discharging hot wat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ot water flow through the first conduit, A second conduit formed therein; Each of the packings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conduit, and may control the first conduit according to the hot water flow through the first conduit and the pressing force of the solenoid.

상기 제1관로의 끝단은 상기 제2관로 내부로 돌출되며 끝으로 갈수록 뾰쪽하게 형성되어 상기 패킹과 접촉될 수 있다.The end of the first conduit protrudes into the second conduit and may be sharpened toward the end to be in contact with the packing.

상기 제2관로는 상기 제1관로에 대하여 반대쪽 면이 개방되어 상기 솔레노이드가 연결되며, 상기 패킹은 상기 제2관로 내부에 구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보다 확장 형성되어 상기 제2관로와 상기 솔레노이드 사이에 개재되는 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second channel is open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first channel, the solenoid is connected to the second channel, the packing includes a main body formed inside the second channel, And an extension portion interposed between the solenoids.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가장 높게 설정된 난방온도에 상응하는 온도로 온수를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heater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to heat the hot water to a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highest set heating temperature.

상기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온수를 상기 온수매트로 순환시키며, 상기 밸브의 전원이 온/오프(ON/OFF)될 때 구동 정지되는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pump driven by the controller to circulate the hot water to the hot water mat, and stopped when the power of the valve is turned on / off (ON / OFF).

또한,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수공급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제어부는 사전 저장된 난방 온도별 밸브의 분리관로 개폐 주기 또는 온수매트의 분리배관을 통해 난방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밸브의 분리관로를 간헐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a hot water supply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The separation pipe of the valve can be intermittently opened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sensor to be sensed.

또한,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수공급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밸브의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밸브의 구동전압이 초기정격전압에 도달한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상기 밸브의 구동전압을 낮추어 상기 밸브 전원의 온(ON)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hot water supply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pplying power to the valve to cause the valve to operat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fter reaching an initial rated voltage; The driving voltage of the valve can be lowered to maintain the ON state of the valve power supply.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밸브의 전원을 온/오프(ON/OFF)할 때, 상기 밸브의 구동전압을 일정 시간동안 일정하게 상승/하강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raise / lower the driving voltage of the valve constantly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power of the valve is turned on / off.

또한,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수공급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밸브의 전원이 온/오프(ON/OFF)될 때, 온수를 온수매트로 순환시키는 펌프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a hot water supply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circulating hot water to a hot water mat when the valve is powered on / off It is possible to stop the driving of the pump.

본 발명은, 밸브의 분리관로들 중 일부는 지속적으로 개방하고 나머지는 간헐적으로 개방하여 온수매트의 각 분리배관의 난방온도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단일의 저장탱크 및 히터, 펌프만으로 온수매트가 부분별 상이한 온도로 분리 난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분리 난방으로 인한 부품 수 증가에 따른 제작 비용 상승 및 대형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heating temperature of each of the separation pipes of the hot water mat by opening part of the isolation pipes of the valve continuously and intermittently opening the rest of the valves so that only the single storage tank, So that it is possible to separate and heat different temperatures, and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roblem of increase in production cost and increase in size due to increase in the number of parts due to the separate heating.

또한 본 발명은, 밸브의 구조를 최적 설계함과 아울러, 밸브의 솔레노이드의 구동전압을 구동시간에 따라 제어하며, 아울러 밸브의 솔레노이드의 전원을 온/오프(ON/OFF)할 때 펌프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밸브의 동작 소음 및 유동 저항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optimally design the structure of the valve, control the driving voltage of the solenoid of the valve according to the driving time, and drive the pump when the solenoid of the valve is turned on / off So that the operation noise and the flow resistance noise of the valve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의 배관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매트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공급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도 3의 온수공급장치의 외형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공급장치의 난방온도 조절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공급장치의 내부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공급장치의 밸브의 일부가 절개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공급장치의 밸브의 동작을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공급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른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공급장치의 밸브의 시간-구동전압 그래프.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iping structure of a hot water 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iping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hot water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outline of a hot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the outer shape of the hot water supply device of Fig. 3;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heating temperature control unit of the hot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internal schematic diagram of a hot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valve of a hot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valve of the hot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 hot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time-driven voltage graph of a valve of a hot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avoid unnecessarily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매트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10)의 배관은 부분별로 난방 온도를 조절하여 분리 난방할 수 있도록, 상호 독립적으로 배관된 둘 이상의 분리배관(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온수배관은 2개의 분리배관(12), 즉 제1,제2 분리배관(12a,12b)으로 구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제1,제2 분리배관(12a,12b)은 온수공급장치(100)와 각각 분리 연결되어 상기 온수공급장치(100)에서 공급하는 온수의 유동을 안내한다. 이때, 상기 제1,제2 분리배관(12a,12b)은 상호 종방향으로 분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제2 분리배관(12a,12b)은 난방 후 식은 유동이 합류하여 다시 상기 온수공급장치(100)로 순환될 수 있도록, 그 출구부가 상기 온수공급장치(100)와 연결된 하나의 합류관(16)에 함께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제2 분리배관(12a,12b)에는 각각, 부분별 난방 온도 제어를 위해 제1,제2난방온도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부분별 난방 온도 제어를 위해서 단일의 온도센서(14)만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때에는 유입관으로 들어오는 온수의 온도만을 온도센서가 측정하고, 낮은 온도로 설정된 분리 난방 영역에 대해서는 온도 차에 따라 사전에 프로그램 된 바에 따라 분리관로의 개폐를 조절하여 온도 제어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ip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hot water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piping of the hot water mat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wo or more separate pipes 12, .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hot water pipe is limited to being composed of two separate pipes 12, namely, the first and second pipes 12a and 12b. The first and second separation pipes 12a and 12b are separately connected to the hot water supply device 100 to guide the flow of the hot water supplied from the hot water supply device 100. [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separation pipes 12a and 12b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outlet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ion pipes 12a and 12b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supply device 100 so that the flow after the heating can be joined and circulated to the hot water supply device 100 again. Can be connected together to the confluent pipe 16 of the main body. The first and second separation pipes 12a and 12b may be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heating temperature sensors for controlling a heating temperatur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ion pipes 12a and 12b. It is also possible to use only a single temperature sensor 14 for the partial heating temperature control. In this case, the temperature sensor measures only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coming into the inlet pip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temperature b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paration pipe as previously programmed.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수매트의 배관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상기 제1,제2 분리배관(12a,12b)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수매트(10)의 분리배관(12)과 동일,유사하게 구성되되, 다만 상호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iping structure of a hot water ma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eparation pipes 12a and 12b are forme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12) of the hot water mat (10), but are arranged in the mutually transverse direc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공급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의 온수공급장치의 외형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uter shape of the hot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the outer shape of the hot water supply device of FIG.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수공급장치(100)의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102)의 외측면에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난방 온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난방온도 조절부(104)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난방온도 조절부(104)는 노브(knob)의 회전에 따라 난방온도가 설정될 수 있는 다이얼(dial)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난방온도 조절부(104)는 분리 난방을 위해 온수매트(10)의 부분별 난방온도 조절이 가능토록, 온수매트(10)의 분리 난방수, 즉 온수매트(10)의 분리배관(12) 수에 상응하여 둘 이상의 노브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난방온도 조절부(104)는 상기 온수매트(10)의 각 분리배관(12)별로 상하 한 쌍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3 and 4,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2, which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hot water suppl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justment unit 104 may be configured. The heating temperature regulator 104 may be configured as a dial type in which the heating temperature can be se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knob. Particularly, the heating temperature controller 104 controls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mat 10 so that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mat 10 can be controlled for the separate heating. That is, ) ≪ / RTI > number. 5, the heating temperature controller 104 may be configured as a pair of upper and lower buttons for each of the separation pipes 12 of the hot water mat 10. [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공급장치의 내부 개략도이다.6 is an internal schematic view of a hot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수매트(10)의 온수공급장치(100)는, 저장탱크(110)와, 히터(120)와, 펌프(130)와, 밸브(150)와, 제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6, the hot water supply device 100 of the hot water ma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tank 110, a heater 120, a pump 130, a valve 150, And may include a control unit 200.

상기 저장탱크(110)는 열전달유체(예컨대, 물 등;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열전달유체를 '물'로 한정하여 설명함)가 저장된다.The storage tank 110 stores a heat transfer fluid (for example, water, etc., hereinafter, the heat transfer fluid is limited to 'wa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상기 저장탱크(110)의 일측에는 상기 온수매트(10)의 합류관(16)과 연결되어 상기 온수매트(10)로부터 물이 환수되는 환수구(112)가 하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110)의 또 다른 일측에는 상기 저장탱크(110)에서 일정 온도로 가열된 온수가 상기 온수매트(10)를 향해 출수되는 출수구(11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탱크(110)에서 상기 밸브(150)까지의 온수 유동은 상기 온수매트(10)의 분리난방과 상관없이 하나의 유동이므로, 상기 저장탱크(110)의 출수구(114)는 하나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One side of the storage tank 110 may be formed with a water inlet 112 connected to the confluent pipe 16 of the hot water mat 10 to return water from the hot water mat 10. A water outlet 114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torage tank 110 so that hot water heate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n the storage tank 110 is directed toward the hot water mat 10. [ At this time, the hot water flow from the storage tank 110 to the valve 150 is one flow irrespective of the separation heating of the hot water mat 10, so that even if only one outlet 114 of the storage tank 110 is formed It is acceptable.

한편 상기 저장탱크(110)의 내부에는 상기 저장탱크(110)의 출수구(114) 측에서 출수 온도를 측정하는 출수온도센서와, 상기 저장탱크(110)의 저,중,고 수위가 각각 측정될 수 있도록 3개의 수위센서들 등이 설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torage tank 110, an outflow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an outflow temperature at the outlet 114 of the storage tank 110 and a low temperature, middle and high water level of the storage tank 110 are respectively measured Three water level sensors or the like may be installed.

상기 히터(120)는 상기 저장탱크(110) 내부에 설치되어 저장탱크(110) 내 물을 가열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전기가열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기가열방식의 히터(120)의 경우, 상기 난방온도 조절부(104)를 통해 설정된 난방 온도에 상응하여 상기 히터(120)가 상기 저장탱크(110) 내 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난방온도 조절부(104) 및 상기 출수온도센서 등으로부터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히터(120)의 구동시간이나 구동전압 등을 제어할 수 있다.The heater 120 may be installed in the storage tank 110 to heat the water in the storage tank 110, for example, by an electric heating method. In the case of the heater 120 of the electric heating type, in order to heat the water in the storage tank 110 in accordance with the heating temperature set through the heating temperature adjusting unit 104, 200 may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heating temperature controller 104 and the outflow temperature sensor and control the driving time and the driving voltage of the heater 120.

상기 펌프(130)는 상기 저장탱크(110) 내 온수를 상기 온수매트(10)로 압출하고, 상기 온수매트(10)에서 식은 물을 상기 저장탱크(110)로 환수시켜 상기 저장탱크(110)와 상기 온수매트(10) 사이에 물을 지속적으로 순환시킨다. 이러한 펌프(130)는 상기 저장탱크(110)에서 출수되는 온수 유동을 따라, 상기 저장탱크(110)의 출수구(114)와 상기 밸브(15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펌프(130)는 다양한 구동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컨대 모터구동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pump 130 extrudes hot water from the storage tank 110 into the hot water mat 10 and returns the cooled water from the hot water mat 10 to the storage tank 110, And the hot water mat (10). The pump 13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outlet 114 of the storage tank 110 and the valve 150 along with the hot water flow out of the storage tank 110. The pump 130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driving methods, for example, a motor driving method.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공급장치(100)의 밸브(150)의 일부가 절개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공급장치(100)의 밸브(150)의 동작을 도시한 개략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valve 150 of the hot water suppl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valve 150 of the hot water suppl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150)는, 상기 저장탱크(110)로부터 상기 온수매트(10)의 제1,제2 분리배관(12a,12b)으로 출수되는 온수 유동을 각각 단속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밸브(150)는 밸브바디(160)와, 한 쌍의 패킹(170a,170b)과, 한 쌍의 솔레노이드(180a,180b) 등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7 and 8, the valve 150 controls the hot water flow from the storage tank 110 to the first and second separation pipes 12a and 12b of the hot water mat 10, respectively I will crack down. To this end, the valve 150 may include a valve body 160, a pair of packings 170a and 170b, and a pair of solenoids 180a and 180b.

상기 밸브바디(160)는 상기 펌프(130)를 통해 상기 저장탱크(110)의 온수가 유입되는 하나의 유입관로(162)와, 상기 온수매트(10)의 제1,제2 분리배관(12a,12b)과 연결된 복수의 분리관로들, 즉 제1,제2분리관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밸브바디(160)의 분리관로들은 한 쌍으로 구성된 경우, 상기 하나의 유입관로(162)와 함께 'T'자형으로 배치 설계될 수 있다.The valve body 160 includes one inlet pipe 162 through which the hot water of the storage tank 110 is introduced through the pump 130 and one inlet pipe 162 through which the hot water of the hot water mat 10 flows, , 12b), i.e., first and second separation conduit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isolation pipes of the valve body 160 are formed as a pair, they can be arranged in a 'T' shape together with the single inlet pipe 162.

'T'자형으로 배치 설계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분리관로는 서로 대향 배치되어 일자형으로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분리관로의 연결부분에 상기 유입관로(162)가 수직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밸브(150)가 상기 유입관로(162)를 중심으로 대칭형으로 설계될 수 있어 구조적으로 간소하고 균형적이며 상기 밸브(150)를 통해 온수 유동이 균일하게 분배될 수 있고, 온수 유동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어 유동 손실 저감 및 소음 저감 목적 등에 보다 부합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a 'T' -shaped design, the pair of separating ducts may be arranged opposite to each other and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and the inlet pipe 162 may be connected to a connecting portion of the pair of separating ducts in a vertical direction. Accordingly, the valve 150 can be designed symmetrically about the inlet line 162, so that it is structurally simple and balanced, the hot water flow can be uniformly distributed through the valve 150, and the hot water flow resistance It is possible to meet the purpose of reducing the flow loss and reducing the noise.

한편 상기 각각의 분리관로는, 상기 유입관로(162)와 연결된 제1관로(165)와, 상기 제1관로(165)의 끝에 확장 형성되며 상기 온수매트(10)의 분리배관(12)으로 온수가 출수되는 출수구(166a)가 형성된 제2관로(166)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관로(165)의 상기 제2관로(166)와 연결되는 끝단(165a)은 상기 제2관로(166) 내부로 일정 길이 돌출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관로(165)의 돌출된 부분은 적어도 끝부분이 끝으로 갈수록 뾰쪽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관로(165)의 돌출된 끝단에 상기 패킹(170a,170b)이 접촉되더라도 온수가 상기 패킹(170a,170b)을 탄성 변형시키면서 원활하게 제1관로(165)에서 제2관로(166)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2관로(166)의 출수구(166a)는 상기 제1관로(165)를 통한 온수 유동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온수 유동이 상기 밸브(150)의 패킹(170a,170b), 솔레노이드(180a,180b) 등과 구조적으로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출수될 수 있다. 상기 제2관로(166)의 출수구(166a)는 상기 제2관로(166)의 출수구(166a)를 통한 출수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의 관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관로(166)는 상기 제1관로(165)에 대하여 반대쪽 면이 개방되어 상기 솔레노이드(180a,180b)가 연결, 결합될 수 있다. Each of the separation lines includes a first conduit 165 connected to the inflow conduit 162 and a second conduit 165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first conduit 165 and connected to the separation pipe 12 of the hot water mat 10, And a second conduit 166 formed with an outlet 166a through which the outlet 166a is formed. The end 165a of the first conduit 165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it 166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protruding into the second conduit 166. In addition,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first channel 165 may be formed to be at least as sharp as the end portion thereof becomes closer to the end. Therefore, even if the packing 170a and 170b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rotruding end of the first conduit 165, the hot water smoothly flows from the first conduit 165 to the second conduit 166 ). ≪ / RTI > The outlet 166a of the second conduit 166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ot water flow through the first conduit 165 so that hot water flows through the packing 170a, , The solenoids (180a, 180b) and the like without being structurally interfered with. The outflow port 166a of the second conduit 166 may be formed as a conduit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outflow direction through the outflow port 166a of the second conduit 166. [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conduit 166 is open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first conduit 165, so that the solenoids 180a and 180b can be connected and coupled.

한편, 상기 밸브바디(160)의 분리관로들은 한 쌍으로 구성된 경우, 상기 하나의 유입관로(162)와 함께 'Y'자형으로 배치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때에는 상기 제2관로(166)의 출수구(166a)는 상기 제1관로(165)를 통한 온수 유동과 'Y'자형에 대응 되도록 비스듬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meantime, when the pair of the isolation pipes of the valve body 160 are formed as a pair,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them in a Y shape together with the single inlet pipe 162. At this time, The outlet port 166a may be formed in an oblique dir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hot water flow through the first channel 165 and the 'Y' shape.

상기 패킹(170a,170b)은 각각, 상기 밸브바디(160)의 분리관로들을 통한 온수 유동을 각각 단속토록, 상기 밸브바디(160)의 분리관로들의 갯수에 상응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패킹(170a,170b)은 상기 밸브바디(160)의 제1,제2분리관로(164a,164b)에 상응하여 한 쌍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패킹(170a,170b)은 온수 유동에 따른 수압에 의해 탄성 변형이 용이토록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킹(170a,170b)은 상기 제1관로(165)를 통한 온수 유동과 상기 솔레노이드(180a,180b)의 가압력에 따라 상기 제1관로(165)를 통한 온수 유동을 단속할 수 있도록, 확장 형성된 제2관로(166)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패킹(170a,170b)은 상기 제2관로(166) 내부에 구성되어 상기 제1관로(165)의 끝단에 접촉되는 본체부(172)와, 상기 본체부(172)보다 확장 형성되어 상기 제2관로(166)와 상기 솔레노이드(180a,180b) 사이에 개재되는 확장부(1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킹(170a,170b)의 본체부(172)는 일측이 상기 제1관로(165)의 끝단과 접촉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이든 무방하다. 상기 패킹(170a,170b)의 본체부(172)는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2관로(166)보다는 직경이나 폭이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제2관로(166)와 상기 패킹(170a,170b)의 본체부(172) 사이 간극을 통해 온수가 유동될 수 있다. 상기 패킹(170a,170b)의 확장부(174)는 상기 제2관로(166)와 상기 솔레노이드(180a,180b)를 구조적으로 차단함과 아울러 누수되지 않도록 밀봉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이든 무방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킹(170a,170b)의 확장부(174)는 상기 패킹(170a,170b)의 본체부(172)와 동심을 이루는 원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패킹(170a,170b)의 확장부(174)를 구성함에 따라, 상기 패킹(170a,170b)이 상기 제2관로(166)와 솔레노이드(180a,180b) 사이의 격벽 및 밀봉 역할을 겸하며 상기 패킹(170a,170b)이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씰링이나 패킹 고정부재 등 구성부품 수를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The packings 170a and 170b may be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the separation pipes of the valve body 160 so that hot water flow through the separation pipes of the valve body 160 is interrupted, respectively. That is, the packings 170a and 170b may be formed as a pair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isolation pipes 164a and 164b of the valve body 160. [ The packings 170a and 170b may be formed of rubber or the like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ed by the water pressure due to the hot water flow. The packings 170a and 170b are extended and formed so as to intermit the hot water flow through the first channel 165 according to the hot water flow through the first channel 165 and the pressing force of the solenoids 180a and 180b. And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channel 166. Particularly, the packing 170a and 170b may include a body 172 formed in the second conduit 166 and contacting an end of the first conduit 165, And an expansion part 174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channel 166 and the solenoids 180a and 180b. The body portion 172 of the packing 170a and 170b may have any shape as long as one side thereof can contact the end of the first channel 165. The main body 172 of the packing 170a and 170b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s shown in the figure. The main body 172 may have a smaller diameter or width than the second channel 166, The hot water may flow through the gap between the cap 166 and the body 172 of the packing 170a, 170b. The expansion part 174 of the packing 170a and 170b may be any shape as long as it can structurally block the second channel 166 and the solenoids 180a and 180b and seal the first channel 166 and the solenoids 180a and 180b so as not to leak. The expansion portions 174 of the packing 170a and 170b may be formed in a disk shape concentric with the body portion 172 of the packing 170a and 170b. The packing 170a and the packing 170b serve as a partition and seal between the second channel 166 and the solenoids 180a and 180b, Since the packings 170a and 170b can be fixed, it is very efficient in that the number of constituent parts such as sealing and packing fixing members can be reduced.

상기 솔레노이드(180a,180b) 또한 상기 밸브바디(160)의 제1,제2분리관로(164a,164b)에 상응하여 한 쌍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180a,180b)는 각각, 상기 패킹(170a,170b)을 중심으로 상기 제1관로(165)와 대향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관로(165)와 패킹(170a,170b), 그리고 솔레노이드(180a,180b) 순으로 일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관로(165)를 통한 온수 유동에 따른 수압력과 상기 솔레노이드(180a,180b)의 가압력 차이에 따라, 상기 패킹(170a,170b)이 상기 제1관로(165)와 상기 솔레노이드(180a,180b) 사이에서 원활하게 탄성변형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180a,180b)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이 전자구동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솔레노이드(180a,180b)는 솔레노이드 바디(184)와, 플랜지(18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 바디(184)는, 상기 패킹(170a,170b)과 일정 간격을 두고 일렬로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면 가압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플랜지(186)는 상기 솔레노이드 바디(184)의 가압력에 따라 상기 패킹(170a,170b)을 향해 전진하여 상기 패킹(170a,170b)을 가압하거나, 상기 패킹(170a,170b)으로부터 후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솔레노이드(180a,180b)는 상기 솔레노이드 바디(184)가 내장되며, 상기 바디밸브(150)와 구조적으로 결합되는 솔레노이드 하우징(182)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olenoids 180a and 180b may also be pair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and second isolation pipes 164a and 164b of the valve body 160. The solenoids 180a and 180b may be installed to face the first conduit 165 with the packing 170a and 170b as a center. That is, the first channel 165, the packings 170a and 170b, and the solenoids 180a and 180b may be arranged in a line. Accordingly, the packing 170a and 170b may be separated from the first channel 165 and the solenoid 180b depending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water pressure due to the hot water flow through the first channel 165 and the pressing force of the solenoids 180a and 180b. 180a, and 180b. The solenoids 180a and 180b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manners, and preferably, the solenoids 180a and 180b may be implemented by an electromagnetic driving method as follows. That is, the solenoids 180a and 180b may include a solenoid body 184 and a flange 186. The solenoid body 184 is installed in a line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acking 170a and 170b and generates a pressing force when power is applied thereto by the controller 200. [ The flange 186 may advance toward the packing 170a or 170b to press the packing 170a or 170b or move back from the packing 170a or 170b depending on the pressing force of the solenoid body 184 . The solenoids 180a and 180b may include a solenoid housing 182 in which the solenoid body 184 is embedded and which is structurally coupled to the body valve 150.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공급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른 블록도이다. 9 is a block diagram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hot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난방온도 조절부(104) 및 제1,제2 난방온도센서(14a,14b), 히터(120), 출수온도센서, 수위센서, 펌프(130), 그리고 밸브(150)의 솔레노이드(180a,180b) 등 온수공급장치(100)를 전체적으로 전자 제어하는 마이컴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2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온수매트(10)를 부분별로 나누어 사용하는 여러 사용자의 선택에 상응하여, 상기 온수매트(10)의 제1,제2 분리배관(12a,12b)을 통한 난방온도를 개별적으로 독립 제어하여, 상기 온수매트(10)가 분리 난방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9, the controller 200 controls the heating temperature controller 104, the first and second heating temperature sensors 14a and 14b, the heater 120, the outflow temperature sensor, the water level sensor, And the solenoids 180a and 180b of the valve 150. The hot water supply device 100 is a microcomputer that electronically controls the hot water supply device 100 as a whole. 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200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separation pipes 12a and 12b of the hot water mat 10 in accordance with the selection of various users using the hot water mat 10 by dividing the hot water mat 10, And 12b, respectively, so that the hot water mat 10 can be separately heated.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수공급장치의 작용 효과를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hot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FIG.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난방온도 조절부(104)를 통해 상기 온수매트(10)의 제1,제2 분리배관(12a,12b)의 난방온도(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제2난방온도'라 한다)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제2 난방온도는 상기 온수매트(10)의 부분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동일한 온도 또는 상이한 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난방온도는 60℃로 설정하고, 상기 제2난방온도는 40℃로 설정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난방온도를 '60℃', 제2난방온도를 '40℃'로 설정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설명한다.)4 and 5,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ion pipes 12a and 12b of the hot water mat 10 (hereinafter, First and second heating temperatures ").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heating temperatures may be set to the same temperature or different temperatures depending on the user's selection of the part of the hot water mat 10. For example, the first heating temperature may be set to 60 ° C, and the second heating temperature may be set to 40 ° C.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irst heating temperature is set to '60 ° C', and the second heating temperature is set to '40 ° C'.)

이와 같이 상기 난방온도 조절부(104)를 통해 상기 온수매트(10)의 제1,제2 분리배관(12a,12b)의 난방온도가 설정되면, 그 난방온도 정보가 상기 제어부(200)에 수신된다. When the heating temperatures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ion pipes 12a and 12b of the hot water mat 10 are set through the heating temperature control unit 104, the heating temperature information is received by the control unit 200 do.

그러면, 상기 제어부(200)는 수신된 난방온도 정보에 따라 상기 히터(120)의 구동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저장탱크(110)에서 출수되는 온수 온도가 높게 설정된 난방 온도에 상응하도록 상기 히터(120)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상기 저장탱크(110)의 출수온도가 제1난방온도인 '60℃'에 상응하도록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히터(120)의 구동시간과 구동전압 등을 제어한다. Then, the control unit 200 controls the driving of the heater 120 according to the received heating temperature information.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200 controls the driving of the heater 120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discharged from the storage tank 110 corresponds to a preset heating temperature.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00 controls the driving time and the driving voltage of the heater 120 so that the outflow temperature of the storage tank 110 corresponds to the first heating temperature '60 ° C.'.

이와 같이 상기 히터(120)에 의해 상기 저장탱크(110) 내 물이 가열되면,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 제어되는 펌프(130)에 의해 상기 저장탱크(110) 내 온수가 상기 저장탱크(110)의 출수구(114)를 통해 출수될 수 있다. When the water in the storage tank 110 is heated by the heater 120 as described above, the hot water in the storage tank 110 is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110 by the pump 130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200. [ (See FIG.

그리고, 상기 저장탱크(110)로부터 출수된 온수는 상기 펌프(130)를 통해 상기 밸브(150)로 유동되며, 상기 밸브(150)에서 상기 온수매트(10)의 제1,제2 분리배관(12a,12b)으로 나뉘어진다. 따라서, 상기 저장탱크(110)로부터 출수되는 난방 온도는 제1난방온도로만 제어되지만, 최종적으로 상기 온수매트(10)의 제1,제2 분리배관(12a,12b)에 공급된 온수 온도는 상기 난방온도 조절부(104)를 통해 각각 설정된 제1,제2난방온도와 상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온수매트(10)의 부분별 난방 온도가 각각 개별적으로 독립 제어될 수 있어, 분리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hot water discharged from the storage tank 110 flows to the valve 150 through the pump 130 and flows into the first and second separation pipes of the hot water mat 10 12a, 12b.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su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separation pipes 12a and 12b of the hot water mat 10 is controlled by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discharged from the storage tank 110, And the first and second heating temperatures, respectively, set through the heating temperature controller 104. Therefore, the heating temperatures of the portions of the hot water mat 10 can be controll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so that the separate heating can be performed.

이하 상기 제어부(200)에 의한 상기 밸브(150)의 동작제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trol of the operation of the valve 150 by the controller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와 같이 제1,제2 난방온도(즉, 60℃, 40℃)가 서로 상이하면, 상기 제어부(200)는 다음과 같이 상기 밸브(150)의 동작을 제어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and second heating temperatures (i.e., 60 DEG C and 40 DEG C)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controller 2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valve 150 as follows.

난방 온도가 높게 설정된 온수매트(10)의 제1분리배관(12a)과 연결되는 제1분리관로는 지속적으로 개방되고, 난방 온도가 낮게 설정된 온수매트(10)의 제2분리배관(12b)과 연결되는 제2분리관로는 설정된 제2난방온도에 따라 개폐가 반복되면서 간헐적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온수매트(10)의 제1분리배관(12a)으로는 지속적으로 상기 저장탱크(110)의 출수온도이면서 설정된 제1난방온도인 '60℃'의 온수가 공급되며, 상기 온수매트(10)의 제1분리배관(12a)의 난방온도 또한 '60℃'로 계속 유지된다. 반면, 상기 온수매트(10)의 제2배관으로도 '60℃'의 온수가 공급되기는 하지만 간헐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상기 온수매트(10)의 제2분리배관(12b)의 난방온도가 설정된 제2난방온도인 '40℃'로 제어될 수 있다. The first separation pipe connected to the first separation pipe 12a of the hot water mat 10 having a high heating temperature is continuously opened and the second separation pipe 12b of the hot water mat 10, And the second separation pipe connected thereto is intermittently opened while being repeatedly opened and closed in accordance with the second heating temperature set. Accordingly, the first separation pipe 12a of the hot water mat 10 continuously receives the hot water of the '60 ° C' which is the first heating temperature set at the outgoing temperature of the storage tank 110,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first separation pipe 12a of the evaporator 10 is also kept at 60 ° C.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hot water of '60 ° C' is supplied to the second pipe of the hot water mat 10, it is supplied intermittently so that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second separation pipe 12b of the hot water mat 10 is finally set And can be controlled to a second heating temperature '40 ° C'.

이때 상기 제어부(200)는 미리 저장된 제2난방온도별 개폐주기에 따라, 상기 밸브(150)의 제2분리관로(164b)를 간헐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난방온도 조절부(104)를 통해 설정된 제2난방온도가 고온일수록, 즉 상기 제2난방온도와 제1난방온도의 차이가 작을수록 상기 밸브(150)의 제2분리관로(164b)의 개방 시간을 폐쇄 시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하고, 설정된 제2난방온도가 저온일수록, 즉 상기 제2난방온도와 제1난방온도의 차이가 클수록 상기 밸브(150)의 제2분리관로(164b)의 개방 시간을 폐쇄 시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게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troller 200 may intermittently open the second separation pipe 164b of the valve 150 according to the pre-stored opening / closing cycle of the second heating temperature. More specifically, the higher the second heating temperature set through the heating temperature controller 104, that is, the small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heating temperature and the first heating temperature, The opening time of the separation pipe 164b 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closing time, and as the set second heating temperature becomes lower, t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heating temperature and the first heating temperature becomes larger, The opening time of the separation pipe 164b can be made shorter than the closing time.

또는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온수매트(10)의 제2난방온도센서(14b)를 통해 측정된 상기 온수매트(10)의 제2분리배관(12b)의 실측 난방온도와 설정된 제2난방온도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밸브(150)의 제2분리관로(164b)를 간헐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2난방온도센서(14b)에 의해 측정된 실측 난방온도가 상기 제2난방온도가 낮으면, 상기 밸브(150)의 제2분리관로(164b)를 개방하고, 상기 제2난방온도센서(14b)에 의한 실측 난방온도가 상기 제2난방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밸브(150)의 제2분리관로(164b)를 폐쇄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200 determines whether the measured heating temperature of the second separation pipe 12b of the hot water mat 10 measured through the second heating temperature sensor 14b of the hot water mat 10 and the measured second heating temperature So that the second separation pipe 164b of the valve 150 can be opened intermittently. That is, when the actual heating temperature measured by the second heating temperature sensor 14b is lower than the second heating temperature, the second separation pipe 164b of the valve 150 is opened, and the second heating temperature When the measured heating temperature by the sensor 14b is higher than the second heating temperature, the second separation pipe 164b of the valve 150 can be closed.

이와 아울러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밸브(150)의 제2분리관로(164b)를 개폐할 때, 즉, 상기 밸브(150)의 솔레노이드(180a,180b)의 전원을 온/오프(ON/OFF)할 때, 상기 펌프(130)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밸브(150)의 솔레노이드(180a,180b)의 플랜지(186)가 전/후진하는 동안 상기 펌프(130)의 구동이 정지되기 때문에 상기 패킹(170a,170b)의 가압력 변화로 인한 유동 저항 소음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200 controls the solenoids 180a and 180b of the valve 150 to be turned on / off when the second separation line 164b of the valve 150 is opened or closed, ), The driving of the pump 130 can be stopped. Therefore, since the driving of the pump 130 is stopped while the flange 186 of the solenoids 180a and 180b of the valve 150 is moved back and forth, the flow resistance due to the pressing force change of the packing 170a and 170b Noise can be prevented.

한편, 상기 제1,제2 난방온도가 동일한 온도로 설정된다면, 상기 밸브(150)의 제1,제2분리관로(164a,164b)는 모두 지속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first and second heating temperatures are set to the same temperature, the first and second separation lines 164a and 164b of the valve 150 can be continuously opened.

이하, 상기 밸브(150)의 제2분리관로(164b)의 간헐적 개방 제어 동작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intermittent opening control operation of the second separation pipe 164b of the valve 1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솔레노이드(180b)에 전원이 온(ON)되면, 상기 제2솔레노이드(180b)의 플랜지(186)가 상기 제2패킹(170b)을 향해 전진하여 가압하기 때문에 상기 밸브(150)의 제2분리관로(164b)의 제1관로(165)를 통한 온수 유동에 의해 상기 제2패킹(170b)에 수압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제2패킹(170b)이 탄성변형되지 않고 상기 제1관로(165)를 막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밸브(150)의 제2분리관로(164b)를 통한 온수 유동은 제한되지만, 도 8에 실선으로 온수 유동(W)을 도시한 것처럼 지속적으로 개방되는 상기 밸브(150)의 제1분리관로(164a)를 통해서는 상기 온수매트(10)의 제1분리배관(12a)으로 온수가 지속적으로 공급된다.8, when the second solenoid 180b is turned on, the flange 186 of the second solenoid 180b advances toward the second packing 170b and presses the second solenoid 180b, The second packing 170b is elastically deformed even if water pressure is applied to the second packing 170b by the hot water flow through the first channel 165 of the second separation pipe 164b of the valve 150 So that the first channel 165 is blocked. Thus, although the hot water flow through the second separation line 164b of the valve 150 is limited, the first separation of the valve 150, which is continuously opened as shown by the solid line in FIG. 8, Hot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first separation pipe 12a of the hot water mat 10 through the pipeline 164a.

반면, 상기 제2솔레노이드(180b)의 전원이 오프(OFF)되면, 도 8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솔레노이드(180b)의 플랜지(186)가 상기 제2패킹(170b)으로부터 후진하여 더 이상 상기 제2패킹(170b)을 가압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밸브(150)의 제2분리관로(164b)의 제1관로(165)를 통한 온수 유동에 따른 수압에 의해 상기 제2패킹(170b)이 탄성 변형되면서 온수가 상기 밸브(150)의 제2분리관로(164b)의 제1관로(165)로부터 상기 제2관로(166)로 유동되며 상기 제2관로(166)의 출수구(166a)를 통해 상기 온수매트(10)의 제2분리배관(12b)으로 출수된다. 물론, 상기 밸브(150)의 제1분리관로(164a)를 통해서도 지속적으로 상기 온수매트(10)의 제1분리배관(12a)으로 온수가 공급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ower of the second solenoid 180b is turned off, the flange 186 of the second solenoid 180b is retracted from the second packing 170b as shown by a dotted line in FIG. The second packing 170b is not pressed by the second packing 170b due to the water pressure due to the hot water flow through the first channel 165 of the second separation pipe 164b of the valve 150, The hot water flows from the first conduit 165 of the second separation conduit 164b of the valve 150 to the second conduit 166 and the outlet 166a of the second conduit 166 is elastically deformed, To the second separation pipe (12b) of the hot water mat (10). Of course, hot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first separation pipe 12a of the hot water mat 10 through the first separation pipe 164a of the valve 150. [

이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솔레노이드(180b)의 전원이 온/오프(ON/OFF)되는 동안,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2솔레노이드(180b)의 구동전압을 일정 시간동안(t1,t3) 일정하게 상승/하강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2솔레노이드(180b)의 플랜지(186)가 서서히 전,후진하기 때문에 상기 제2솔레노이드(180b) 자체 동작 소음은 물론 급격한 유동 저항 변화로 인한 소음이 방지될 수 있다.10, while the power of the second solenoid 180b is turned on / off, the controller 200 sets the driving voltage of the second solenoid 180b to a predetermined time (T1, t3). Therefore, since the flange 186 of the second solenoid 180b is gradually moved forward and backward, the noise due to the sudden change in the flow resistance as well as the operation noise of the second solenoid 180b itself can be prevented.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솔레노이드(180b)의 플랜지(186)를 상기 제2패킹(170b)을 향해 전진시켜 상기 밸브(150)의 제2분리관로(164b)를 폐쇄하는데 필요한 초기정격전압(V1)이 온수 유동에 따른 수압 등에 따라 미리 설정되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2솔레노이드(180b)의 전원이 온(ON)될 때 일정 시간 동안(t1) 상기 제2솔레노이드(180b)의 구동전압을 초기정격전압(V1)까지 상승시킨다. 10, the flange 186 of the second solenoid 180b is advanced toward the second packing 170b to close the second separation pipe 164b of the valve 150 The control unit 200 controls the first solenoid 180b to be turned on when the power of the second solenoid 180b is turned on for a predetermined time t1, The driving voltage of the solenoid 180b is raised to the initial rated voltage V1.

나아가,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2솔레노이드(180b)의 구동전압이 초기정격전압에 도달한 후 일정시간(t2)이 지나면, 상기 제2솔레노이드(180b)의 전원이 오프(OFF)되기 전까지 상기 밸브(150)의 구동전압을 초기정격전압(V1)에서 유지정격전압(V2)으로 낮추어 상기 제2솔레노이드(180b) 전원의 온(ON)상태를 유지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2솔레노이드(180b)에 의해 상기 밸브(150)의 제2분리관로(164b)가 폐쇄되고 나면, 상기 제2솔레노이드(180b)의 구동전압을 유지정격전압(V2)으로 낮추더라도 상기 밸브(150)의 제2분리관로(164b)의 폐쇄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아울러 전기를 절감할 수 있고 상기 솔레노이드(180a,180b)의 전기 저항에 따른 발열 온도를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가진게 된다.Further, when the predetermined time t2 is reached after the drive voltage of the second solenoid 180b reaches the initial rated voltage, the controller 200 controls the second solenoid 180b until the power of the second solenoid 180b is turned off The driving voltage of the valve 150 is lowered from the initial rated voltage V1 to the maintaining rated voltage V2 to maintain the ON state of the power supply of the second solenoid 180b. Therefore, even if the driving voltage of the second solenoid 180b is lowered to the sustaining voltage V2 after the second separation line 164b of the valve 150 is closed by the second solenoid 180b, The closed state of the second isolation conduit 164b of the valve 150 can be continuously maintained and the electricity can be saved and the effect of reducing the heat generation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electrical resistance of the solenoids 180a and 180b .

물론, 상기와 반대로 제1난방온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되고 제2난방온도가 높게 설정되는 경우에는, 상기와 반대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저장탱크(110)의 출수온도가 상기 제2난방온도에 상응하도록 상기 히터(120)를 제어하고, 상기 밸브(150)의 제2분리관로(164b)는 지속적으로 개방하고 상기 밸브(150)의 제1분리관로(164a)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간헐적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밸브(150)를 제어하면 된다.In contrast, when the first heating temperature is set relatively low and the second heating temperature is set high, the control unit 200 determines that the outflow temperature of the storage tank 110 is higher than the second heating temperature The second separation line 164b of the valve 150 is continuously opened and the first separation line 164a of the valve 150 is intermittently operated as described above The valve 150 may be controlled so as to be opened.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would be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 온수매트 12: 분리배관
100: 온수공급장치 104: 난방온도 조절부
110: 저장탱크 120: 히터
130: 펌프 150: 밸브
160: 밸브바디 162: 유입관로
164a: 제1분리관로 164b: 제2분리관로
170a: 제1패킹 170b: 제2패킹
180a: 제1솔레노이드 180b: 제2솔레노이드
10: Hot water mat 12: Separation piping
100: hot water supply unit 104: heating temperature control unit
110: Storage tank 120: Heater
130: pump 150: valve
160: valve body 162: inlet pipe
164a: first separation duct 164b: second separation duct
170a: first packing 170b: second packing
180a: first solenoid 180b: second solenoid

Claims (14)

복수의 분리된 난방 영역을 갖는 분리난방 온수매트를 위한 온수공급장치로서,
상기 온수매트의 분리된 난방 영역 각각으로 온수를 분리하여 공급하고, 분리되는 온수의 유동을 개별적으로 단속하며, 단일의 온수 유입관로로부터 분기되는 복수의 분리관로를 포함하는 밸브; 및
난방 온도가 가장 높게 설정된 온수매트의 난방 영역과 연결되는 분리관로는 지속적으로 개방하고, 난방 온도가 낮게 설정된 온수매트의 난방영역과 연결되는 분리관로는 설정된 난방 온도에 따라 간헐적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물이 저장되며, 일측에는 상기 온수매트로부터 물이 환수되는 환수구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내부에서 가열된 온수가 출수되는 출수구가 형성되는 저장탱크;
상기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온수를 상기 온수매트로 순환시키며, 상기 저장탱크의 상기 출수구와 상기 밸브 사이에 배치되는 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펌프 및 상기 밸브는 상기 저장탱크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밸브는
상기 온수가 유입되는 단일의 유입관로 및 상기 유입관로로부터 분기되는 복수의 분리관로가 형성된 밸브바디;
상기 분리관로 각각에 설치되고, 탄성 변형되어 상기 분리관로를 통한 온수 유동을 개폐하는 패킹; 및
상기 패킹을 중심으로 상기 분리관로와 대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패킹을 가압하여 상기 분리관로를 차단하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분리관로는
상기 유입관로와 연결된 제1관로; 및
상기 제1관로의 끝에 확장 형성되며 상기 제1관로를 통한 온수 유동과 수직 방향 또는 소정 각도로 꺾인 방향으로 온수가 출수되는 출수구가 형성된 제2관로를 포함하며,
상기 패킹은
상기 제2관로 내부에 구성되어 상기 제1관로의 끝단에 접촉되며 원기둥 형태의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보다 확장 형성되어 상기 제2관로와 상기 솔레노이드 사이에 게재되며 상기 본체부와 동심을 이루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킹은 상기 제2관로와 솔레노이드 사이의 격벽 및 밀봉 역할을 겸하며, 상기 제1관로를 통한 온수 유동에 따른 수압력과 상기 솔레노이드의 가압력 차이에 따라 패킹이 제1관로와 상기 솔레노이드 사이에서 탄성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공급장치.
A hot water supply device for a separate heating hot water mat having a plurality of separate heating zones,
A valve separating and supplying hot water to each of the separated heating zones of the hot water mat, individually controlling the flow of separated hot water,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separation lines branched from a single hot water inflow conduit; And
The separation pipe connected to the heating area of the hot water mat having the highest heating temperature is continuously opened and the separation pipe connected to the heating area of the hot water mat having a low heating temperature is intermittently opened according to the set heating temperature. A control unit
Lt; / RTI >
A storage tank in which water is stored, a water inlet port through which the water is returned from the hot water mat is formed at one side, and a water outlet port through which hot water heated inside is formed at the other side;
Further comprising a pump driven by the control unit to circulate the hot water to the hot water mat and disposed between the outlet of the storage tank and the valve,
Wherein the pump and the valve are disposed below the storage tank,
The valve
A valve body having a single inflow conduit into which the hot water flows and a plurality of split conduits branching from the inflow conduit;
A packing installed in each of the separation pipes and elastically deformed to open and close the hot water flow through the separation pipe; And
And a solenoid which is installed to face the separating duct with respect to the packing and which pressurizes the packing to block the separating duct when power is applied thereto by the control unit,
Each of the separation ducts
A first conduit connected to the inflow conduit; And
And a second conduit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first conduit and having an outlet port through which hot water flows ou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ot water flow through the first conduit or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packing
A main body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being formed inside the second channel and contacting the end of the first channel; And
And an enlarged portion formed between the second conduit and the solenoid and extending in a circular plate shape concentric with the main body portion,
Wherein the packing serves also as a partition between the second conduit and the solenoid and serves as a seal between the second conduit and the solenoid, and that the packing is elastically deformed between the first conduit and the solenoid, depending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water pressure due to the hot water flow through the first conduit and the solenoid. Wherein the hot water supply device is adapted to deform the hot water supply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관로는 2개이고 서로 대향 위치하며, 상기 유입관로와 함께 'T'자 또는 'Y'자 형을 형성하는 온수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paration conduits are two and opposed to each other, forming a 'T' or 'Y' shape together with the inlet condui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로의 끝단은 상기 제2관로 내부로 돌출되며 끝으로 갈수록 뾰쪽하게 형성되어 상기 패킹과 접촉되는 것인 온수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end of the first conduit protrudes into the second conduit and is sharpened toward the end to be in contact with the packing.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가장 높게 설정된 난방온도에 상응하는 온도로 상기 저장탱크 내의 온수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온수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heater installed inside the storage tank and heating the hot water in the storage tank to a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highest heating temperatur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 제3항, 제5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온수공급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밸브의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밸브의 구동전압이 초기정격전압에 도달한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상기 밸브의 구동전압을 낮추어 상기 밸브 전원의 온(ON)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공급장치의 제어방법.
A method for controlling a hot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5 and 7,
Wherein the control unit lowers the driving voltage of the valve by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driving voltage of the valve reaches the initial rated voltage by applying power to the valve to maintain the ON state of the valve power supply Control method for hot water supply.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밸브의 전원을 온/오프(ON/OFF)할 때, 상기 밸브의 구동전압을 일정 시간동안 일정하게 상승/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공급장치의 제어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valve to increase or decrease the driving voltage of the valve constantly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valve is turned on / off.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153550A 2014-11-06 2014-11-06 Hot-water supply apparatus and control mathod thereof KR1016425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550A KR101642596B1 (en) 2014-11-06 2014-11-06 Hot-water supply apparatus and control ma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550A KR101642596B1 (en) 2014-11-06 2014-11-06 Hot-water supply apparatus and control ma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234A KR20160054234A (en) 2016-05-16
KR101642596B1 true KR101642596B1 (en) 2016-07-26

Family

ID=56109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3550A KR101642596B1 (en) 2014-11-06 2014-11-06 Hot-water supply apparatus and control ma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259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337Y1 (en) * 2000-12-19 2001-09-25 윤용호 Hot water heating device that automatically controls the heating environment for each heating compartment
KR101066664B1 (en) * 2009-03-05 2011-09-27 이제택 Hot water heating be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6981A (en) * 1993-06-04 1994-12-20 Tgk Co Ltd Pilot type solenoid valve
KR100446422B1 (en) * 2002-01-18 2004-09-01 박광희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n and close of a Electronic Valve and Method theref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337Y1 (en) * 2000-12-19 2001-09-25 윤용호 Hot water heating device that automatically controls the heating environment for each heating compartment
KR101066664B1 (en) * 2009-03-05 2011-09-27 이제택 Hot water heating b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234A (en) 2016-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8421B1 (en) Cold and Hot water creation module with thermoelement and 3way-valve and its boiler also its mat
KR20100105114A (en) Proportional flow-rate control system using pressure difference
KR100872414B1 (en) Hot-water circulayion device
KR101642596B1 (en) Hot-water supply apparatus and control mathod thereof
KR101320865B1 (en) Cold and hot mat
KR101206945B1 (en) Hot water system
KR101912877B1 (en) A method of control for water mat with temperature sensor and solenoid valve
KR101471724B1 (en) Pressure Steam Sterilizer
EP3540324B1 (en) Heating medium circulation system
KR101454195B1 (en) Hot-water circulation device
KR101464126B1 (en) A water valve of 3-way for four seasons water mat
JP2015140968A (en) Storage type water heater
KR20170068763A (en) Water saving device of instantaneous boiler and method thereof
CN212619283U (en) Instant heating assembly, instant cooling and instant heating structure and gas water heater
KR20140084870A (en) Hybrid hot water mat with separate heating zone
KR20140059408A (en) Boiling and recirculating apparatus for hot-water heating type mat
KR20140140233A (en) The mat for circulating hot and cool water
KR101464690B1 (en) Small inverter electric boiler
KR101458419B1 (en) Cold and Hot water creation module with magnetic superconductor and its boiler also its mat
KR101902461B1 (en) Dishwasher
KR20160003902A (en) Warm Water Supply Apparatus And, Hot-Water Mat Including The Same
KR101196335B1 (en) Hot and Cold Water Dispenser and Sterilization Method for the same
KR101556884B1 (en) Valve element for separation heating type warm water supply apparatus and, separation heating type warm water suppl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514602B1 (en) Floor heating and hot water supply apparatus using heat of compression air
KR101117944B1 (en) Hea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