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1279B1 - 개인 정보 보안 장치, 개인 정보 보안 기능을 구비한 컴퓨팅 단말장치, 스캐너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 정보 보안 장치, 개인 정보 보안 기능을 구비한 컴퓨팅 단말장치, 스캐너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279B1
KR101641279B1 KR1020150105148A KR20150105148A KR101641279B1 KR 101641279 B1 KR101641279 B1 KR 101641279B1 KR 1020150105148 A KR1020150105148 A KR 1020150105148A KR 20150105148 A KR20150105148 A KR 20150105148A KR 101641279 B1 KR101641279 B1 KR 101641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ile
information
secure
security
data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5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명빈
Original Assignee
송명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명빈 filed Critical 송명빈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45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 G06K9/20
    • G06K9/22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 정보 보안에 있어서,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한 이미지 파일에 대해 사용 횟수, 기간, 소멸기간 등의 사용 권한을 설정하고, 기설정된 특정 파일 리더기 등의 뷰어에서만 열람이나 사용이 가능한 특정 파일 포맷으로 변환하여 저장한 후 소멸기간이 도래하거나 사용 횟수, 기간이 만료된 이미지 파일에 대한 데이터 접근 발생 시 해당 이미지 파일을 삭제하여 개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에 대한 유출 위험을 종래와 비교하여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이미지 파일의 생성시점과 삭제시점에 이미지 파일의 생성과 삭제에 대한 정보를 해당 사용자에게 문자, 이메일 등으로 통보하여 개인 정보 제공에 대한 불안 심리를 해소시켜 관공서, 금융사, 통신사 등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처리하는 기관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개인 정보 보안 장치, 개인 정보 보안 기능을 구비한 컴퓨팅 단말장치, 스캐너 및 방법{APPARATUS, COMPUTING TERMINAL, SCANNER FOR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개인 정보 보안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한 이미지 파일에 대해 사용 횟수, 기간, 소멸기간 등의 사용 권한을 설정하고, 기설정된 특정 파일 리더기 등의 뷰어에서만 열람이나 사용이 가능한 특정 파일 포맷으로 변환하여 저장한 후 소멸기간이 도래하거나 사용 횟수, 기간이 만료된 이미지 파일에 대한 데이터 접근 발생 시 해당 이미지 파일을 삭제하여 개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에 대한 유출 위험을 낮춰 보안성을 높이도록 하며, 이미지 파일의 생성시점과 삭제시점에 이미지 파일의 생성과 삭제에 대한 정보를 해당 사용자에게 문자, 이메일 등으로 통보하여 개인 정보 제공에 대한 불안 심리를 해소시켜 사용자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개인 정보 보안 장치, 개인 정보 보안 기능을 구비한 컴퓨팅 단말장치, 스캐너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은행 등의 금융사, 관공서, 통신사 등에서 금융거래, 공문서 발급, 통신 서비스 가입 등의 경우 신분증, 신분증 사본이나 통장 사본, 주민등록등초본, 인감 증명서 등의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포함된 문서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이러한 요구에 따라 사용자가 신분증 또는 문서 등을 제출하는 경우 해당 기관에서는 사용자가 제출한 신분증 또는 문서 등에 대해 스캐너 등을 통해 이미지 파일로 생성하여 필요한 업무에 사용하게 된다.
이때, 위와 같은 신분증 사본, 통장 사본 등과 같은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은 해당 기관에서 필요한 업무에 사용된 이후에도 계속해서 해당 기관의 서버 등에 저장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위와 같이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이 해당 이미지 파일을 업무에 사용한 금융사, 관공서, 통신사 등의 기관의 서버 등에 계속해서 보관되는 경우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해당 기관에서 근무하는 사람에게 노출될 수 있는 위험이 있으며, 해당 기관의 서버가 외부로부터의 공격에 의해 해킹되는 경우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불특정 다수에게 유출될 위험성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불법적인 유통을 통해 불특정 다수에게 유출되는 경우 대출 사기 등 악의적인 목적에 사용될 수 있어 개인 정보가 유출된 해당 사용자에게 막대한 재정적 정신적 손해를 입힐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이러한 위험에 대비하여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다루는 기관에서는 통상적으로 위와 같은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 등을 보관하는 서버에 대해 외부로부터의 공격에 대응할 수 있는 방화벽 등의 보안 장치를 설치하거나, 내부 직원에 대해 보안 등급을 설정하여 관리하거나 보안 교육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 등이 해당 기관에 계속 저장되는 상태에서는 아무리 방화벽의 성능이 우수하다고 해도 해킹을 통한 정보 유출 가능성이 항상 존재하고 있으며, 또한 내부 직원에 대한 보안 관리를 아무리 철저히 수행한다 하더라도 내부 직원에 의해 정보 유출 가능성도 항상 존재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 등의 처리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보안 대책이 요구되어 왔다.
삭제
삭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10-2005-0048733호(공개일자 2005년 05월 25일)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한 이미지 파일에 대해 사용 횟수, 기간, 소멸기간 등의 사용 권한을 설정하고, 기설정된 특정 파일 리더기 등의 뷰어에서만 열람이나 사용이 가능한 특정 파일 포맷으로 변환하여 저장한 후 소멸기간이 도래하거나 사용 횟수, 기간이 만료된 이미지 파일에 대한 데이터 접근 발생 시 해당 이미지 파일을 삭제하여 개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에 대한 유출 위험을 낮춰 보안성을 높이도록 하며, 이미지 파일의 생성시점과 삭제시점에 이미지 파일의 생성과 삭제에 대한 정보를 해당 사용자에게 문자, 이메일 등으로 통보하여 개인 정보 제공에 대한 불안 심리를 해소시켜 사용자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개인 정보 보안 장치, 개인 정보 보안 기능을 구비한 컴퓨팅 단말장치, 스캐너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은 개인 정보 보안 장치로서,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을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이미지 파일을 읽어 들여 표시시키는 파일 로딩부와, 상기 이미지 파일의 사용 권한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메타데이터 정보로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 파일을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가 포함된 보안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에 대한 데이터 요청 수신 시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요청을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이미지 파일에 대해 기설정된 크기의 패킷 단위로 입력받은 후, 상기 패킷을 결합하여 상기 이미지 파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요청 수신 시,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에 설정된 열람 횟수를 확인하고, 상기 열람 횟수를 초과한 경우 상기 데이터 요청을 처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람 횟수를 초과하여 상기 데이터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보안 이미지 파일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요청 수신 시,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에 설정된 열람 기간을 확인하고, 상기 요청된 시점이 상기 열람 기간을 경과한 이후 시점인 경우 상기 데이터 요청을 처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람 기간이 경과된 이후 시점에 상기 데이터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보안 이미지 파일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의 소멸 기간을 확인하고, 상기 소멸 기간이 도래한 경우 해당 보안 이미지 파일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는, 상기 이미지 파일의 열람 횟수, 열람 기간 또는 소멸 기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환부는,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을 기설정된 특정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기설정된 파일 리더기 또는 뷰어를 통해서만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의 열람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환부는, 상기 이미지 파일이 표시되는 화면상 상기 이미지 파일에 대한 상기 사용 권한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를 생성시키고, 상기 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이미지 파일에 대한 사용 권한 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이 생성되는 시점과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이 소멸되는 시점에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의 생성과 소멸에 대한 정보를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에 대응되는 사용자에 등록된 휴대폰 또는 이메일로 전송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이 생성되는 시점과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이 소멸되는 시점에 상기 알림부로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의 생성과 소멸에 대한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알림부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환부는,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을 기설정된 방식으로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미지 파일은, 상기 개인 정보가 포함된 신분증, 문서 또는 이미지가 스캔되어 생성된 이미지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분증은, 주민등록증, 자격증 또는 운전 면허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문서는, 회원가입서, 대출신청서, 주민등록등초본, 인감증명서 또는 집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미지는, 도장 날인 이미지, 자필 서명 이미지 또는 지문 날인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미지 파일은, 외부의 스캐너를 통해 스캔된 후, 통신망을 통해 상기 입력부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 정보 보안 기능을 구비한 컴퓨팅 단말장치로서, 유/무선 통신망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한 이미지 파일을 입력받은 통신부와, 상기 이미지 파일을 읽어들여 표시시키고, 상기 이미지 파일의 사용 권한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메타데이터 정보로 생성하며, 상기 이미지 파일을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가 포함된 보안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보안 처리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미지 파일을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 파일에 대한 보안처리 요청 시 상기 보안 처리부를 제어하여 상기 이미지 파일이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로 생성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에 대한 데이터 요청 수신 시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요청을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요청 수신 시,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에 설정된 열람 횟수를 확인하고, 상기 열람 횟수를 초과한 경우 상기 데이터 요청을 처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람 횟수를 초과하여 상기 데이터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보안 이미지 파일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요청 수신 시,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에 설정된 열람 기간을 확인하고, 상기 요청된 시점이 상기 열람 기간을 경과한 이후 시점인 경우 상기 데이터 요청을 처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람 기간이 경과된 이후 시점에 상기 데이터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보안 이미지 파일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의 소멸 기간을 확인하고, 상기 소멸 기간이 도래한 경우 해당 보안 이미지 파일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는, 상기 이미지 파일의 열람 횟수, 열람 기간 또는 소멸 기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안 처리부는, 상기 이미지 파일이 표시되는 화면상 상기 이미지 파일에 대한 상기 사용 권한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를 생성시키고, 상기 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이미지 파일에 대한 사용 권한 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이 생성되는 시점과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이 소멸되는 시점을 감지하여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의 생성과 소멸에 대한 정보를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에 대응되는 사용자에 등록된 휴대폰 또는 이메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안 처리부는,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을 기설정된 방식으로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 정보 보안 기능을 구비한 스캐너로서,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포함된 신분증, 이미지 또는 문서를 스캔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스캔부와, 상기 이미지 파일의 사용 권한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메타데이터 정보로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 파일을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가 포함된 보안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보안 처리부와,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을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외부 컴퓨팅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안 처리부는,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로서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을 열람할 수 있는 열람 횟수 또는 열람 기간을 설정하여,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에 대해 상기 열람 횟수를 초과하여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에 대한 데이터 요청이 수신되거나 상기 열람 기간이 경과된 이후 상기 데이터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삭제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안 처리부는,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로서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이 소멸되는 소멸기간을 설정하여 상기 소멸 기간이 도래하는 경우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이 삭제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안 처리부는,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을 기설정된 특정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기설정된 파일 리더기 또는 뷰어를 통해서만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의 열람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 정보 보안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 파일을 읽어 들여 표시시키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 파일의 사용 권한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메타데이터 정보로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 파일을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가 포함된 보안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에 대한 데이터 요청 수신 시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요청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요청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요청 수신 시,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에 설정된 열람 횟수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요청이 상기 열람 횟수를 초과하여 발생한 경우 해당 보안 이미지 파일을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요청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요청 수신 시,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에 설정된 열람 기간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요청이 상기 열람 기간을 경과한 이후의 시점에 발생한 경우 해당 보안 이미지 파일을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환하는 단계이후,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의 소멸 기간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소멸 기간이 도래한 경우 해당 보안 이미지 파일을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파일이 표시되는 화면상 상기 이미지 파일에 대한 상기 사용 권한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를 생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이미지 파일에 대한 사용 권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받은 사용 권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이 생성되는 시점에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이 생성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에 대응되는 사용자에 등록된 휴대폰 또는 이메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이 소멸되는 시점에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이 소멸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에 대응되는 사용자에 등록된 휴대폰 또는 이메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는, 상기 이미지 파일의 열람 횟수, 열람 기간 또는 소멸 기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 정보 보안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로서,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포함된 신분증, 이미지 또는 문서를 스캔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스캔부와, 상기 이미지 파일의 사용 권한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메타데이터 정보로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 파일을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가 포함된 보안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보안 처리부와, 유/무선 통신망에 연결되며,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을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통신부와,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의 생성 요청 시 상기 보안 처리부를 구동하여 상기 스캔부로부터 스캔된 이미지 파일이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로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공서, 금융사, 통신사 등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처리하는 기관에서 개인 정보를 처리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한 이미지 파일에 대해 사용 횟수, 기간, 소멸기간 등의 사용 권한을 설정하고, 기설정된 특정 파일 리더기 등의 뷰어에서만 열람이나 사용이 가능한 특정 파일 포맷으로 변환하여 저장한 후 소멸기간이 도래하거나 사용 횟수, 기간이 만료된 이미지 파일에 대한 데이터 접근 발생 시 해당 이미지 파일을 삭제하도록 함으로써 개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에 대한 유출 위험을 종래와 비교하여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미지 파일의 생성시점과 삭제시점에 이미지 파일의 생성과 삭제에 대한 정보를 해당 사용자에게 문자, 이메일 등으로 통보하여 개인 정보 제공에 대한 불안 심리를 해소시켜 관공서, 금융사, 통신사 등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처리하는 기관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보호하는 개인 정보 보안 장치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 권한 설정 화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안 장치에서 이미지 파일에 대해 보안 처리를 수행하는 동작 제어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안 기능을 구비한 컴퓨팅 단말장치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안 기능을 구비한 스캐너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안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의 상세 블록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보호하는 개인 정보 보안 장치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안 장치(150)의 각 구성요소에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입력부(152)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image file)을 입력받는다. 이때, 입력부(152)는 위와 같은 이미지 파일의 입력에 있어서, 이미지 파일 전체를 입력받을 수도 있으며, 해당 이미지 파일을 기설정된 크기의 패킷 단위로 스트리밍 형식으로 입력받을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미지 파일을 패킷 단위로 입력받는 경우 입력부(152)는 입력받은 패킷을 결합하여 이미지 파일로 생성할 수 있다.
즉, 이미지 파일은 스캐너 등을 통해 이미지 파일로 생성되어 입력될 수도 있으며, 스캔 파일 스트리밍 방식을 통해 이미지 파일의 일부가 패킷 단위로 입력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이 패킷 단위로 입력되는 경우 입력부(152)는 입력받은 패킷을 결합하여 이미지 파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52)는 위와 같이 스트리밍 방식으로 이미지 파일을 입력받는 경우 이미지 파일 전체를 완성한 후 파일을 압축할 수도 있으며, 각 픽셀을 실시간으로 압축하면서 이미지 파일을 생성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스캔 파일 스트리밍 방식이라 함은 파일의 최소 단위 또는 최소 단위들의 일부 묶음을 계속 전송하여 전체를 완성하는 방식일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파일은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포함된 신분증, 문서 또는 이미지가 스캔되어 생성된 이미지 파일이거나, 사용자의 지문, 얼굴 윤곽 또는 홍채의 스캔 이미지일 수 있으며, 더하여 사용자 생체 정보의 스캔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이미지 파일은 예를 들어 은행, 관공서 등에서 금융 업무나 다양한 공문서 발급 시 필요한 개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개인 정보가 포함된 신분증은 예를 들어 주민등록증, 각종 자격증, 운전 면허증, 여권, 외국인 등록증, 공무원증 또는 사진과 개인정보(예: 주민번호, 전화번호, 주소, 사번 등)가 기재된 신분 증명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문서는 사용자가 각종 온라인/오프라인에서 특정 목적을 위해 가입하는 회원가입서, 대출신청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통장사본, 주민등록등초본, 인감증명서, 집문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라 함은 각종 도장 날인 이미지, 사용자의 자필 서명 이미지 또는 지문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위와 같은 이미지 파일이 개인 정보 보안 장치(150)와 연결되는 외부의 스캐너(scanner)(100)를 통해 생성되어 입력부(152)로 입력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예를 들어 입력부(152)가 스캐너(100)의 기능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포함된 신분증이나 문서를 직접 스캔하여 이미지 파일로 입력할 수도 있다.
파일 로딩부(file loading)(154)는 입력부(152)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로딩(loading)하여 해당 이미지 파일을 화면에 표시시킨다.
도 2의 (a)는 파일 로딩부(154)에 의해 표시되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 중 예를 들어 통장 사본에 대한 이미지 파일이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위 도 2의 (a)에서와 같이 파일 로딩부(154)에 의해 로딩되어 표시되는 이미지 파일의 화면은 개인 정보 보안 장치(150)에 별도로 구비된 표시부(도시하지 않음)에 표시될 수도 있으며, 개인 정보 보안 장치(150)와 연결되는 컴퓨팅 단말장치에 구비되는 표시부에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는 경우 이미지 파일이 표시되는 화면의 상부 일정 영역에는 이미지 파일에 대한 사용 권한 설정을 할 수 있는 다양한 모양의 아이콘으로 형성되는 메뉴(200)가 구성된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메뉴(200)는 이미지 파일에 대한 열람 횟수, 열람 기간, 소멸 기간 등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200)로서 후술되는 변환부(156)의 동작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변환부(156)는 파일 로딩부(152)에 읽어 들인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에 대해 해당 이미지 파일의 사용 권한을 입력 받아 설정하고, 이와 같이 설정한 사용 권한을 메타데이터(metadata) 정보로 생성한다.
이어, 변환부(156)는 위와 같이 생성한 메타데이터 정보를 해당 이미지 파일의 헤더(header) 등에 포함시켜 보안 이미지 파일로 변환시킨다.
이때, 변환부(156)는 이러한 보안 이미지 파일에 대해 개인 정보 보안 장치(150)와 연동하도록 개발되는 특정 파일 리더기(file reader) 등의 뷰어에서만 열람이나 사용이 가능하도록 기설정된 특정 파일 포맷으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이미지 파일의 사용 권한이라 함은 예를 들어 이미지 파일에 대한 열람 횟수, 열람 기간, 소멸 기간 등의 권한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사용 권한은 사용자의 요청이나 관공서, 금융사, 통신사 등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처리하는 기관에서 정해지는 규칙에 따라 설정될 수 있으며, 일정 열람 횟수나 기간 또는 소멸 기간이 경과하는 경우 해당 이미지 파일이 삭제되도록 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이미지 파일에 대한 사용 권한 설정은 관공서, 금융사, 통신사 등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처리하는 기관에 제출되는 개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이 사용 목적이 지난 후에도 폐기되지 않고 해당 기관의 서버 등에 지속적으로 보관됨에 따른 개인 정보의 유출 위험성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변환부(156)는 사용 권한을 설정함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2의 (a)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이미지 파일이 표시되는 화면상 이미지 파일에 대한 사용 권한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200)를 생성시켜 사용자가 이미지 파일에 대해 열람 횟수, 열람 기간, 소멸 기간 등과 같은 권한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의 (b)는 위와 같은 사용 권한 설정 화면 중 이미지 파일에 대한 소멸 기간을 설정하는 화면을 예시한 것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이미지 파일에 대해 날짜, 시간 등을 선택하여 소멸 기간을 설정할 수 있게 되며, 열람 횟수 나 열람 기간을 설정하는 것도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어, 변환부(156)는 위와 같이 사용 권한 설정 메뉴(200)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인식하여 이미지 파일에 대한 사용 권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고, 입력된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이미지 파일에 대해 열람 횟수, 열람 기간 또는 소멸 기간의 사용 권한 정보를 메타데이터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변환부(156)는 위와 같이 생성한 메타데이터 정보를 해당 이미지 파일의 헤더 등에 포함시켜 보안 이미지 파일로 변환시킨다. 이때, 이러한 보안 이미지 파일은 개인 정보 보안 장치(150)와 연동하도록 개발되는 특정 파일 리더기 등의 뷰어에서만 열람이나 사용이 가능하도록 기설정된 특정 파일 포맷으로 변환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이미지 파일의 파일명이 "통장사본.jpg" 등으로 최초 생성된 경우 변환부(156)를 통해 "통장사본.das" 등의 파일명으로 변환되어 개인 정보 보안 장치(150)와 연동하도록 개발되는 특정 파일 리더기 등의 뷰어에서만 열람이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특정 파일 포맷으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변환부(156)는 도 2의 (c)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통장사본.jpg" 파일의 소멸시효는 예를 들어 "2015년 04월 30일 09시 30분 입니다." 라는 문구를 표시시켜 해당 이미지 파일이 소멸시효가 설정된 보안 이미지 파일로 정상적으로 변환되어 저장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알림부(158)는 제어부(160)에 제어에 따라 구동되며, 보안 이미지 파일이 생성되는 시점과 보안 이미지 파일이 소멸되는 시점에 보안 이미지 파일의 생성 정보 또는 소멸에 대한 정보를 보안 이미지 파일에 대응되는 사용자에 등록된 휴대폰(mobile phone) 또는 이메일(e-mail)로 전송한다. 알림부는 이러한 보안 이미지 파일의 생성 또는 소멸 정보를 사용자에 등록된 휴대폰 또는 이메일로 전송하기 위해 유/무 통신망을 통신사 서버 또는 인터넷 메일 서버 등에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미리 저장된 동작 프로그램에 따라 개인 정보 보안 장치(15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보안 이미지 파일에 대한 데이터 요청 수신 시 메타데이터 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 요청을 처리한다. 이때, 이러한 데이터 요청은 보안 이미지 파일에 대한 열람, 복사, 다운로드 등의 요청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어부(160)는 데이터 요청이 보안 이미지 파일에 대한 열람 요청인 경우, 메타데이터 정보에 기반하여 보안 이미지 파일에 설정된 열람 횟수를 확인하고, 열람 횟수를 초과한 경우 해당 이미지 파일에 대한 데이터 요청을 처리하지 않도록 하여 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데이터 요청 수신 시 메타데이터 정보에 기반하여 보안 이미지 파일에 설정된 열람 기간을 확인하고, 요청된 시점이 열람 기간을 경과한 이후 시점인 경우 해당 이미지 파일에 대한 데이터 요청을 처리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60)는 예들 들어 열람 횟수를 초과하거나 열람 기간을 경과한 이후 시점에 열람 요청이 수신되는 데이터 요청된 해당 보안 이미지 파일을 삭제하여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이 사용 목적이 지난 후에 무분별하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보안 이미지 파일의 메타데이터 정보를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검사하여 보안 이미지 파일의 소멸 기간을 확인하고, 소멸 기간이 도래한 보안 이미지 파일이 있는 경우 해당 보안 이미지 파일을 삭제하여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이 사용 목적이 지난 후에 무분별하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보안 이미지 파일이 생성되는 시점과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이 소멸되는 시점에 보안 이미지 파일의 생성과 소멸에 대한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알림부(158)로 인가함으로써, 알림부(158)를 통해 이미지 파일의 생성 정보 또는 소멸 정보가 보안 이미지 파일에 대응되는 사용자에 등록된 휴대폰 또는 이메일로 전송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자신의 개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의 생성 또는 소멸에 대한 정보를 통보받을 수 있어 개인 정보 제공에 대한 불안 심리가 어느 정도 해소될 수 있으며 해당 기관에 대한 신뢰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와 같은 개인 정보 보안 장치(150)는 독자적인 하드웨어 기반의 장치로 구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예를 들어, 이러한 개인 정보 보안 장치(150)는 PC 등과 같은 컴퓨팅 단말장치내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스캐너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탑재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안 장치(150)에서 이미지 파일에 대해 보안 처리를 수행하는 동작 제어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개인 정보 보안 장치(150)와 연결되는 스캐너(100) 등을 통해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이 생성되는 경우, 이러한 이미지 파일은 개인 정보 보안 장치(150)의 입력부(152)를 통해 개인 정보 보안 장치(150)로 입력될 수 있다(S300).
이때, 이러한 이미지 파일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포함된 신분증, 문서 또는 이미지가 스캔되어 생성된 이미지 파일이나, 또는 은행, 관공서 등에서 금융 업무나 다양한 공문서 발급 시 필요한 개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부(152)를 통해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이 입력되는 경우, 개인 정보 보안 장치(150)의 파일 로딩부(154)는 입력부(152)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로딩하여 해당 이미지 파일을 화면에 표시시킨다(S302).
이에 따라,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이 예를 들어 도 2의 (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화면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그러면, 개인 정보 보안 장치(150)의 변환부(156)에서는 파일 로딩부(154)에서 읽어 들인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에 대해 해당 이미지 파일의 사용 권한을 입력 받고(S304), 이와 같이 설정한 사용 권한을 메타데이터 정보로 생성한다(S306).
이어, 변환부(156)는 위와 같이 생성한 메타데이터 정보를 해당 이미지 파일의 헤더 등에 포함시켜 보안 이미지 파일로 변환시킨다(S308). 이때, 변환부(156)는 이러한 보안 이미지 파일에 대해 예를 들어 개인 정보 보안 장치(150)와 연동하도록 개발되는 특정 파일 리더기 등의 뷰어에서만 열람이나 사용이 가능하도록 기설정된 특정 파일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 파일의 사용 권한이라 함은 예를 들어 이미지 파일에 대한 열람 횟수, 열람 기간, 소멸 기간 등의 권한을 의미하는 것으로, 관공서, 금융사, 통신사 등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처리하는 기관에 제출되는 개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이 사용 목적이 지난 후에도 폐기되지 않고 해당 기관의 서버 등에 지속적으로 보관됨에 따른 개인 정보의 유출 위험성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어, 위와 같이 보안 이미지 파일이 생성되는 경우, 개인 정보 보안 장치(150)의 제어부(160)는 위와 같이 변환부(156)에 의해 보안 이미지 파일이 생성되는 시점에 보안 이미지 파일의 생성에 대한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알림부(158)를 통해 사용자에 등록된 휴대폰 또는 이메일로 전송할 수 있다(S310).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자신의 개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의 생성에 대한 정보를 통보받을 수 있어 개인 정보 제공에 대한 불안 심리가 어느 정도 해소될 수 있으며 해당 기관에 대한 신뢰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위와 같이 보안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상태에서 관공서, 금융사, 통신사 등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처리하는 기관의 관계자에 의해 보안 이미지 파일에 대한 열람 등과 같은 데이터 요청이 발생할 수 있다(S312).
이와 같이 데이터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 개인 정보 보안 장치(150)의 제어부(160)는 데이터 요청이 발생한 보안 이미지 파일을 검색하고(S314), 해당 보안 이미지 파일의 메타데이터 정보를 검사하여 보안 이미지 파일에 설정된 사용 권한을 검사하게 된다(S316). 이때, 이러한 데이터 요청은 보안 이미지 파일에 대한 열람, 복사, 다운로드 등의 요청이 될 수 있다.
이어, 제어부(160)는 보안 이미지 파일에 대한 사용 권한 내용이 포함된 메타데이터 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 요청을 처리하게 된다.
즉, 제어부(160)는 데이터 요청 수신 시, 예를 들어 메타데이터 정보에 기반하여 보안 이미지 파일에 설정된 열람 횟수를 확인한 후(S318), 열람 횟수를 초과한 경우 데이터 요청을 처리하지 않고, 해당 보안 이미지 파일을 삭제하여(S320)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이 사용 목적이 지난 후에 무분별하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데이터 요청 수신 시, 메타데이터 정보에 기반하여 보안 이미지 파일에 설정된 열람 기간을 확인한 후(S322), 데이터 요청된 시점이 열람 기간을 경과한 이후 시점인 경우 데이터 요청을 처리하지 않고, 해당 보안 이미지 파일을 삭제하여(S320)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이 사용 목적이 지난 후에 무분별하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어, 제어부(160)는 위와 같이 보안 이미지 파일이 삭제되는 경우, 보안 이미지 파일이 삭제되는 시점에 보안 이미지 파일의 삭제에 대한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알림부(158)를 통해 사용자에 등록된 휴대폰 또는 이메일로 전송한다(S326).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자신의 개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의 소멸에 대한 정보를 통보받을 수 있어 개인 정보 제공에 대한 불안 심리가 어느 정도 해소될 수 있으며 해당 기관에 대한 신뢰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제어부(160)는 데이터 요청 수신 시 데이터 요청된 보안 이미지 파일의 열람 횟수가 열람 기간이 남아 있는 것으로 검사되는 경우 해당 보안 이미지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S328).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안 기능을 구비한 컴퓨팅 단말장치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안 기능을 구비한 컴퓨팅 단말장치(450)의 각 구성요소에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통신부(452)는 유/무선 통신망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입력받는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위와 같은 이미지 파일이 컴퓨팅 단말장치(450)와 연결되는 외부의 스캐너(400)를 통해 생성된 후, 컴퓨팅 단말장치(450)와 스캐너(400)간 연결된 통신망을 통해 통신부(452)로 입력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이미지 파일은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포함된 신분증, 문서 또는 이미지가 스캔되어 생성된 이미지 파일이거나, 사용자의 지문, 얼굴 윤곽 또는 홍채의 스캔 이미지일 수 있으며, 더하여 사용자 생체 정보의 스캔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이미지 파일은 예를 들어 은행, 관공서 등에서 금융 업무나 다양한 공문서 발급 시 필요한 개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개인 정보가 포함된 신분증은 예를 들어 주민등록증, 각종 자격증, 운전 면허증, 여권, 외국인 등록증, 공무원증 또는 사진과 개인정보(예: 주민번호, 전화번호, 주소, 사번 등)가 기재된 신분 증명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문서는 사용자가 각종 온라인/오프라인에서 특정 목적을 위해 가입하는 회원가입서, 대출신청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통장사본, 주민등록등초본, 인감증명서, 집문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라 함은 각종 도장 날인 이미지, 사용자의 자필 서명 이미지 또는 지문 이미지 등이 될 수 있다.
키입력부(454)는 컴퓨팅 단말장치(450)의 다양한 동작 요청을 위한 다수의 숫자키 및 기능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소정의 키를 누를 때 해당하는 키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460)로 출력한다.
표시부(456)는 제어부(460)의 제어에 따라 컴퓨팅 단말장치(450)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며, 키입력부(454)에서 발생되는 키데이터 및 제어부(460)의 각종 정보신호를 입력받아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파일에 대한 보안 이미지 파일 처리 시 보안 처리부(458)에 의해 로딩된 이미지 파일을 보안 이미지 파일 변환을 위한 메뉴와 함께 화면상에 표시시킬 수 있다.
보안 처리부(458)는 통신부(452)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을 로딩하여 화면에 표시시킨다.
도 2의 (a)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 중 예를 들어 통장 사본에 대한 이미지 파일이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러한 이미지 파일의 화면은 컴퓨팅 단말장치(450)의 표시부(456)상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보안 처리부(458)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에 대해 해당 이미지 파일의 사용 권한을 입력 받고, 이와 같이 입력 받은 사용 권한을 메타데이터 정보로 생성한다.
이어, 보안 처리부(458)는 위와 같이 생성한 메타데이터 정보를 해당 이미지 파일의 헤더 등에 포함시켜 보안 이미지 파일로 변환시킨다. 이때, 보안 처리부(458)는 이러한 보안 이미지 파일을 열 수 있도록 개발되는 특정 파일 리더기 등의 뷰어에서만 열람이나 사용이 가능하도록 기설정된 특정 파일 포맷으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이미지 파일의 사용 권한이라 함은 예를 들어 이미지 파일에 대한 열람 횟수, 열람 기간, 소멸 기간 등의 권한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사용 권한은 사용자의 요청이나 관공서, 금융사, 통신사 등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처리하는 기관에서 정해지는 규칙에 따라 설정될 수 있으며, 일정 열람 횟수나 기간 또는 소멸 기간이 경과하는 경우 해당 이미지 파일이 삭제되도록 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이미지 파일에 대한 사용 권한 설정은 관공서, 금융사, 통신사 등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처리하는 기관에 제출되는 개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이 사용 목적이 지난 후에도 폐기되지 않고 해당 기관의 서버 등에 지속적으로 보관됨에 따른 개인 정보의 유출 위험성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보안 처리부(458)는 사용 권한을 설정함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2의 (a)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이미지 파일이 표시되는 화면상 이미지 파일에 대한 사용 권한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200)를 생성시켜 사용자가 이미지 파일에 대해 열람 횟수, 열람 기간, 소멸 기간 등과 같은 권한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의 (b)는 위와 같은 사용 권한 설정 화면 중 이미지 파일에 대한 소멸 기간을 설정하는 화면을 예시한 것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이미지 파일에 대해 날짜, 시간 등을 선택하여 소멸 기간을 설정할 수 있게 되며, 열람 횟수 나 열람 기간을 설정하는 것도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어, 보안 처리부(458)는 위와 같이 사용 권한 설정 메뉴(200)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인식하여 이미지 파일에 대한 사용 권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고, 입력된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이미지 파일에 대해 열람 횟수, 열람 기간 또는 소멸 기간의 사용 권한 정보를 메타데이터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제어부(460)는 메모리부(462)에 저장된 동작 프로그램에 따라 컴퓨팅 단말장치(45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6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파일에 대한 보안 이미지 파일 처리 요청이 있는 경우 보안 처리부(458)를 구동하여 이미지 파일이 보안 이미지 파일로 생성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이미지 파일이 외부에 연결된 스캐너(400)로부터 생성되어 통신부(452)를 통해 수신되어 컴퓨팅 단말장치(450)로 입력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이러한 이미지 파일은 USB 등과 같은 이동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컴퓨팅 단말장치(450)로 입력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460)는 위와 같이 생성된 보안 이미지 파일에 대한 데이터 요청 수신 시 메타데이터 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 요청을 처리한다. 이때, 이러한 데이터 요청은 보안 이미지 파일에 대한 열람, 복사, 다운로드 등의 요청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어부(460)는 데이터 요청이 보안 이미지 파일에 대한 열람 요청인 경우, 메타데이터 정보에 기반하여 보안 이미지 파일에 설정된 열람 횟수를 확인하고, 열람 횟수를 초과한 경우 해당 이미지 파일에 대한 데이터 요청을 처리하지 않도록 하여 한다. 또한, 제어부(460)는 데이터 요청 수신 시 메타데이터 정보에 기반하여 보안 이미지 파일에 설정된 열람 기간을 확인하고, 요청된 시점이 열람 기간을 경과한 이후 시점인 경우 해당 이미지 파일에 대한 데이터 요청을 처리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460)는 예들 들어 열람 횟수를 초과하거나 열람 기간을 경과한 이후 시점에 열람 요청이 수신되는 데이터 요청된 해당 보안 이미지 파일을 삭제하여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이 사용 목적이 지난 후에 무분별하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460)는 보안 이미지 파일의 메타데이터 정보를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검사하여 보안 이미지 파일의 소멸 기간을 확인하고, 소멸 기간이 도래한 보안 이미지 파일이 있는 경우 해당 보안 이미지 파일을 삭제하여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이 사용 목적이 지난 후에 무분별하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460)는 보안 이미지 파일이 생성되는 시점과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이 소멸되는 시점에 보안 이미지 파일의 생성과 소멸에 대한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통신부(452)를 통해 사용자에 등록된 휴대폰 또는 이메일로 전송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자신의 개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의 생성 또는 소멸에 대한 정보를 통보받을 수 있어 개인 정보 제공에 대한 불안 심리가 어느 정도 해소될 수 있으며 해당 기관에 대한 신뢰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안 기능을 구비한 스캐너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안 기능을 구비한 스캐너(500)의 각 구성요소에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스캔부(506)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포함된 신분증, 이미지 또는 문서를 스캔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한다.
키입력부(502)는 스캐너(500)의 다양한 동작 요청을 위한 다수의 숫자키 및 기능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소정의 키를 누를 때 해당하는 키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510)로 출력한다.
표시부(504)는 제어부(510)의 제어에 따라 스캐너(500)의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파일에 대한 보안 이미지 파일 처리 시 보안 처리부(508)에 의해 로딩된 이미지 파일을 보안 이미지 파일 변환을 위한 메뉴와 함께 화면상에 표시시킬 수 있다.
통신부(512)는 보안 이미지 파일을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외부의 개인용 PC 등과 같은 컴퓨팅 단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510)는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스캐너(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보안 처리부(508)는 이미지 파일의 사용 권한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메타데이터 정보로 생성하고, 이미지 파일을 메타데이터 정보가 포함된 보안 이미지 파일로 변환한다. 이때, 보안 처리부(508)는 이러한 보안 이미지 파일을 열 수 있도록 개발되는 특정 파일 리더기 등의 뷰어에서만 열람이나 사용이 가능하도록 기설정된 특정 파일 포맷으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보안 처리부(508)는 사용 권한을 설정함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2의 (a)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이미지 파일이 표시되는 화면상 이미지 파일에 대한 사용 권한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200)를 생성시켜 사용자가 이미지 파일에 대해 열람 횟수, 열람 기간, 소멸 기간 등과 같은 권한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의 (b)는 위와 같은 사용 권한 설정 화면 중 이미지 파일에 대한 소멸 기간을 설정하는 화면을 예시한 것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이미지 파일에 대해 날짜, 시간 등을 선택하여 소멸 기간을 설정할 수 있게 되며, 열람 횟수 나 열람 기간을 설정하는 것도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어, 보안 처리부(508)는 위와 같이 사용 권한 설정 메뉴(200)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인식하여 이미지 파일에 대한 사용 권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고, 입력된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이미지 파일에 대해 열람 횟수, 열람 기간 또는 소멸 기간의 사용 권한 정보를 메타데이터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즉, 보안 처리부(508)는, 메타데이터 정보로서 보안 이미지 파일을 열람할 수 있는 열람 횟수 또는 열람 기간을 설정하여, 예를 들어 보안 이미지 파일이 전송된 PC등에서 관리자 등에 의해 보안 이미지 파일에 대한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 열람 횟수를 초과하거나 열람 기간이 경과된 경우에는 해당 보안 이미지 파일이 삭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보안 처리부(508)는 메타데이터 정보로서 보안 이미지 파일이 소멸되는 소멸기간을 설정하여 소멸 기간이 도래하는 경우 보안 이미지 파일이 삭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안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보안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650)의 각 구성요소에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키입력부(600)는 휴대용 단말(650)의 다양한 동작 요청을 위한 다수의 숫자키 및 기능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소정의 키를 누를 때 해당하는 키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606)로 출력한다. 위와 같은 키입력부(600)는 제조사별, 국가별로 문자 배열의 차이가 있다. 또한, 키입력부(600)는 스마트폰(smart phone), 테블릿 PC 등에서는 물리적인 키패드(keypad) 대신,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필요 시마다 표시부(604)상에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형식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오디오부(610)는 제어부(606)의 제어를 받아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무선신호로 변조하고,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복조하여 스피커(SPK)에 음성신호로서 송출한다.
통신부(608)는 유/무선 통신망에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표시부(604)는 제어부(606)의 제어에 따라 휴대용 단말(650)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며, 키입력부(600)에서 발생되는 키데이터 및 제어부(606)의 각종 정보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한다.
이미지 입력부(612)는 제어부(606)에 의해 구동되며,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포함된 신분증, 이미지 또는 문서에 대한 이미지 파일을 생성한다. 이러한 이미지 입력부(612)는 스캐너 등을 통해 신분증, 이미지 또는 문서 등을 스캔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할 수도 있으며, 카메라 등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안 처리부(614)는 제어부(606)에 의해 구동되며, 이미지 파일의 사용 권한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메타데이터 정보로 생성하고, 이미지 파일을 메타데이터 정보가 포함된 보안 이미지 파일로 변환한다. 이때, 보안 처리부(614)는 이러한 보안 이미지 파일을 열 수 있도록 개발되는 특정 파일 리더기 등의 뷰어에서만 열람이나 사용이 가능하도록 기설정된 특정 파일 포맷으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보안 처리부(614)는 사용 권한을 설정함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2의 (a)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이미지 파일이 표시되는 화면상 이미지 파일에 대한 사용 권한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200)를 생성시켜 사용자가 이미지 파일에 대해 열람 횟수, 열람 기간, 소멸 기간 등과 같은 권한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606)는 메모리부(602)에 저장된 동작 프로그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65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위와 같은 동작 프로그램은 휴대용 단말의 동작에 필요한 기본적인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 뿐만 아니라, 표시부(604)와 키입력부(600)를 연결하고, 데이터의 입/출력을 관리하거나, 휴대용 단말(650)의 내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을 동작시키도록 제조 시 미리 프로그램밍(programing)되는 소프트웨어(software)를 통칭한다.
또한, 제어부(60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보안 이미지 파일의 생성 요청 시 보안 처리부(614)를 구동하여 이미지 입력부(612)로부터 입력된 이미지 파일이 보안 이미지 파일로 생성되도록 제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 정보 보안에 있어서,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한 이미지 파일에 대해 사용 횟수, 기간, 소멸기간 등의 사용 권한을 설정하고, 기설정된 특정 파일 리더기 등의 뷰어에서만 열람이나 사용이 가능한 특정 파일 포맷으로 변환하여 저장한 후 소멸기간이 도래하거나 사용 횟수, 기간이 만료된 이미지 파일에 대한 데이터 접근 발생 시 해당 이미지 파일을 삭제하여 개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에 대한 유출 위험을 종래와 비교하여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이미지 파일의 생성시점과 삭제시점에 이미지 파일의 생성과 삭제에 대한 정보를 해당 사용자에게 문자, 이메일 등으로 통보하여 개인 정보 제공에 대한 불안 심리를 해소시켜 관공서, 금융사, 통신사 등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처리하는 기관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100 : 스캐너 150 : 개인 정보 보안 장치
152 : 입력부 154 : 파일 로딩부
156 : 변환부 158 : 알림부
160 : 제어부

Claims (42)

  1.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이미지 파일을 읽어 들여 표시시키는 파일 로딩부와,
    상기 이미지 파일의 사용 권한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메타데이터 정보로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 파일을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가 포함된 보안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에 대한 데이터 요청 수신 시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요청을 처리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부는,
    상기 이미지 파일이 표시되는 화면상 상기 이미지 파일에 대한 상기 사용 권한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를 생성시키고, 상기 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이미지 파일에 대한 사용 권한 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정보 보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이미지 파일에 대해 기설정된 크기의 패킷 단위로 입력받은 후, 상기 패킷을 결합하여 상기 이미지 파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정보 보안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요청 수신 시,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에 설정된 열람 횟수를 확인하고, 상기 열람 횟수를 초과한 경우 상기 데이터 요청을 처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정보 보안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람 횟수를 초과하여 상기 데이터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보안 이미지 파일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정보 보안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요청 수신 시,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에 설정된 열람 기간을 확인하고, 상기 요청된 시점이 상기 열람 기간을 경과한 이후 시점인 경우 상기 데이터 요청을 처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정보 보안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람 기간이 경과된 이후 시점에 상기 데이터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보안 이미지 파일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정보 보안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의 소멸 기간을 확인하고, 상기 소멸 기간이 도래한 경우 해당 보안 이미지 파일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정보 보안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는,
    상기 이미지 파일의 열람 횟수, 열람 기간 또는 소멸 기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정보 보안 장치.
  9.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이미지 파일을 읽어 들여 표시시키는 파일 로딩부와,
    상기 이미지 파일의 사용 권한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메타데이터 정보로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 파일을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가 포함된 보안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에 대한 데이터 요청 수신 시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요청을 처리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부는,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을 기설정된 특정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기설정된 파일 리더기 또는 뷰어를 통해서만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의 열람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정보 보안 장치.
  10. 삭제
  11.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이미지 파일을 읽어 들여 표시시키는 파일 로딩부와,
    상기 이미지 파일의 사용 권한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메타데이터 정보로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 파일을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가 포함된 보안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에 대한 데이터 요청 수신 시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요청을 처리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이 생성되는 시점과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이 소멸되는 시점에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의 생성과 소멸에 대한 정보를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에 대응되는 사용자에 등록된 휴대폰 또는 이메일로 전송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정보 보안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이 생성되는 시점과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이 소멸되는 시점에 상기 알림부로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의 생성과 소멸에 대한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알림부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정보 보안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을 기설정된 방식으로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정보 보안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파일은,
    상기 개인 정보가 포함된 신분증, 문서 또는 이미지가 스캔되어 생성된 이미지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정보 보안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신분증은,
    주민등록증, 자격증 또는 운전 면허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정보 보안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는,
    회원가입서, 대출신청서, 주민등록등초본, 인감증명서 또는 집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정보 보안 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는,
    도장 날인 이미지, 자필 서명 이미지 또는 지문 날인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정보 보안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파일은,
    상기 사용자의 지문, 얼굴 윤곽 또는 홍채의 스캔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정보 보안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파일은,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의 스캔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정보 보안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파일은,
    외부의 스캐너를 통해 스캔된 후, 통신망을 통해 상기 입력부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정보 보안 장치.
  21. 유/무선 통신망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한 이미지 파일을 입력받은 통신부와,
    상기 이미지 파일을 읽어들여 표시시키고, 상기 이미지 파일의 사용 권한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메타데이터 정보로 생성하며, 상기 이미지 파일을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가 포함된 보안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보안 처리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미지 파일을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 파일에 대한 보안처리 요청 시 상기 보안 처리부를 제어하여 상기 이미지 파일이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로 생성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에 대한 데이터 요청 수신 시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요청을 처리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 처리부는,
    상기 이미지 파일이 표시되는 화면상 상기 이미지 파일에 대한 상기 사용 권한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를 생성시키고, 상기 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이미지 파일에 대한 사용 권한 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정보 보안 기능을 구비한 컴퓨팅 단말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요청 수신 시,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에 설정된 열람 횟수를 확인하고, 상기 열람 횟수를 초과한 경우 상기 데이터 요청을 처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정보 보안 기능을 구비한 컴퓨팅 단말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람 횟수를 초과하여 상기 데이터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보안 이미지 파일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정보 보안 기능을 구비한 컴퓨팅 단말장치.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요청 수신 시,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에 설정된 열람 기간을 확인하고, 상기 요청된 시점이 상기 열람 기간을 경과한 이후 시점인 경우 상기 데이터 요청을 처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정보 보안 기능을 구비한 컴퓨팅 단말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람 기간이 경과된 이후 시점에 상기 데이터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보안 이미지 파일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정보 보안 기능을 구비한 컴퓨팅 단말장치.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의 소멸 기간을 확인하고, 상기 소멸 기간이 도래한 경우 해당 보안 이미지 파일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정보 보안 기능을 구비한 컴퓨팅 단말장치.
  27.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는,
    상기 이미지 파일의 열람 횟수, 열람 기간 또는 소멸 기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정보 보안 기능을 구비한 컴퓨팅 단말장치.
  28. 삭제
  29. 유/무선 통신망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한 이미지 파일을 입력받은 통신부와,
    상기 이미지 파일을 읽어들여 표시시키고, 상기 이미지 파일의 사용 권한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메타데이터 정보로 생성하며, 상기 이미지 파일을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가 포함된 보안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보안 처리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미지 파일을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 파일에 대한 보안처리 요청 시 상기 보안 처리부를 제어하여 상기 이미지 파일이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로 생성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에 대한 데이터 요청 수신 시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요청을 처리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이 생성되는 시점과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이 소멸되는 시점을 감지하여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의 생성과 소멸에 대한 정보를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에 대응되는 사용자에 등록된 휴대폰 또는 이메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정보 보안 기능을 구비한 컴퓨팅 단말장치.
  30.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처리부는,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을 기설정된 방식으로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정보 보안 기능을 구비한 컴퓨팅 단말장치.
  31.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포함된 신분증, 이미지 또는 문서를 스캔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스캔부와,
    상기 이미지 파일의 사용 권한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메타데이터 정보로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 파일을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가 포함된 보안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보안 처리부와,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을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외부 컴퓨팅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 처리부는,
    상기 이미지 파일이 표시되는 화면상 상기 이미지 파일에 대한 상기 사용 권한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를 생성시키고, 상기 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이미지 파일에 대한 사용 권한 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정보 보안 기능을 구비한 스캐너.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처리부는,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로서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을 열람할 수 있는 열람 횟수 또는 열람 기간을 설정하여,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에 대해 상기 열람 횟수를 초과하여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에 대한 데이터 요청이 수신되거나 상기 열람 기간이 경과된 이후 상기 데이터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삭제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정보 보안 기능을 구비한 스캐너.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처리부는,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로서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이 소멸되는 소멸기간을 설정하여 상기 소멸 기간이 도래하는 경우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이 삭제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정보 보안 기능을 구비한 스캐너.
  34.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포함된 신분증, 이미지 또는 문서를 스캔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스캔부와,
    상기 이미지 파일의 사용 권한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메타데이터 정보로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 파일을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가 포함된 보안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보안 처리부와,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을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외부 컴퓨팅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 처리부는,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을 기설정된 특정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기설정된 파일 리더기 또는 뷰어를 통해서만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의 열람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정보 보안 기능을 구비한 스캐너.
  35.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 파일을 읽어 들여 표시시키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 파일의 사용 권한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메타데이터 정보로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 파일을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가 포함된 보안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에 대한 데이터 요청 수신 시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요청을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로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파일이 표시되는 화면상 상기 이미지 파일에 대한 상기 사용 권한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를 생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이미지 파일에 대한 사용 권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받은 사용 권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로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정보 보안 방법.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요청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요청 수신 시,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에 설정된 열람 횟수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요청이 상기 열람 횟수를 초과하여 발생한 경우 해당 보안 이미지 파일을 삭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정보 보안 방법.
  37.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요청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요청 수신 시,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에 설정된 열람 기간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요청이 상기 열람 기간을 경과한 이후의 시점에 발생한 경우 해당 보안 이미지 파일을 삭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정보 보안 방법.
  38.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 파일을 읽어 들여 표시시키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 파일의 사용 권한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메타데이터 정보로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 파일을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가 포함된 보안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에 대한 데이터 요청 수신 시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요청을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하는 단계이후,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의 소멸 기간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소멸 기간이 도래한 경우 해당 보안 이미지 파일을 삭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정보 보안 방법.
  39. 삭제
  40.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 파일을 읽어 들여 표시시키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 파일의 사용 권한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메타데이터 정보로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 파일을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가 포함된 보안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에 대한 데이터 요청 수신 시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요청을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이 생성되는 시점에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이 생성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에 대응되는 사용자에 등록된 휴대폰 또는 이메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이 소멸되는 시점에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이 소멸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에 대응되는 사용자에 등록된 휴대폰 또는 이메일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정보 보안 방법.
  41.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는,
    상기 이미지 파일의 열람 횟수, 열람 기간 또는 소멸 기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정보 보안 방법.
  42.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포함된 신분증, 이미지 또는 문서에 대해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이미지 입력부와,
    상기 이미지 파일의 사용 권한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메타데이터 정보로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 파일을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가 포함된 보안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보안 처리부와,
    유/무선 통신망에 연결되며,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을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통신부와,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의 생성 요청 시 상기 보안 처리부를 구동하여 상기 이미지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이미지 파일이 상기 보안 이미지 파일로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 처리부는,
    상기 이미지 파일이 표시되는 화면상 상기 이미지 파일에 대한 상기 사용 권한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를 생성시키고, 상기 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이미지 파일에 대한 사용 권한 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정보 보안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
KR1020150105148A 2015-04-29 2015-07-24 개인 정보 보안 장치, 개인 정보 보안 기능을 구비한 컴퓨팅 단말장치, 스캐너 및 방법 KR1016412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212 2015-04-29
KR20150060212 2015-04-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1279B1 true KR101641279B1 (ko) 2016-07-20

Family

ID=56680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5148A KR101641279B1 (ko) 2015-04-29 2015-07-24 개인 정보 보안 장치, 개인 정보 보안 기능을 구비한 컴퓨팅 단말장치, 스캐너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12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4886A (ko) * 2021-05-14 2022-11-22 주식회사 카카오엔터프라이즈 콘텐츠 보안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9069A (ko) * 2000-12-30 2002-07-12 김지한, 김재형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한 홍채인식시스템 및홍채인증시스템
KR20050048733A (ko) 2003-11-20 2005-05-25 보임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신분증 전용 동시 스캔 프린터
KR20090095232A (ko) * 2008-03-05 2009-09-09 세광이엔아이 주식회사 자동 문서 관리 시스템
KR20110029038A (ko) * 2009-09-14 2011-03-22 사단법인 금융결제원 공인 인증서 유효기간 운용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9069A (ko) * 2000-12-30 2002-07-12 김지한, 김재형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한 홍채인식시스템 및홍채인증시스템
KR20050048733A (ko) 2003-11-20 2005-05-25 보임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신분증 전용 동시 스캔 프린터
KR20090095232A (ko) * 2008-03-05 2009-09-09 세광이엔아이 주식회사 자동 문서 관리 시스템
KR20110029038A (ko) * 2009-09-14 2011-03-22 사단법인 금융결제원 공인 인증서 유효기간 운용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4886A (ko) * 2021-05-14 2022-11-22 주식회사 카카오엔터프라이즈 콘텐츠 보안 방법 및 장치
KR102538230B1 (ko) * 2021-05-14 2023-05-31 주식회사 카카오엔터프라이즈 콘텐츠 보안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1069B2 (en) Online identity verification platform and process
EP2573986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creasing the security of electronic messages
KR101676215B1 (ko) 추가적 검증에 의해 아날로그 디지털 서명으로 전자문서에 사인하는 방법
US923012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creasing the security of electronic messages
JP5637817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
KR102375287B1 (ko) 제 3자 검증에 사용되는 신분 등록 및 액세스 제어 방법
KR101641279B1 (ko) 개인 정보 보안 장치, 개인 정보 보안 기능을 구비한 컴퓨팅 단말장치, 스캐너 및 방법
JP2008040912A (ja) 認証機能付きファクシミリ送受信システム、装置、送受信方法、送受信用プログラム
KR101559915B1 (ko) 커플 지문에 의한 스마트폰의 공유 데이터 관리 시스템
CN115277117A (zh) 文件查看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US201401438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ssword Recovery
TWM624781U (zh) 整合生物辨識資訊之電子文件自動簽名裝置及其系統
CA2804465C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creasing the security of electronic messages
RU2699234C1 (ru)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безопасн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электронного документа
KR102383050B1 (ko)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발신번호 변경 기기
JP4830516B2 (ja) 通信システム
CN115906025A (zh) 电子证照生成方法、装置、电子证照系统、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电子设备
TWM602664U (zh) 證件數位化驗證系統
CN116204895A (zh) 一种访问特定数据的方法及终端
KR100668529B1 (ko) 이동통신서비스 온라인 가입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KR10152476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팸 필터링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460399A (zh) 水印数据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5203737A (zh) 显示数据的方法和电子设备
JP2008252154A (ja) 電子オンライ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