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0154B1 - Apparatus for preventing aspiration of patient with dysphagia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eventing aspiration of patient with dysphagi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0154B1
KR101640154B1 KR1020140142302A KR20140142302A KR101640154B1 KR 101640154 B1 KR101640154 B1 KR 101640154B1 KR 1020140142302 A KR1020140142302 A KR 1020140142302A KR 20140142302 A KR20140142302 A KR 20140142302A KR 101640154 B1 KR101640154 B1 KR 101640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head
angle
height
head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23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46445A (en
Inventor
장성호
장우혁
권혁규
이아영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42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154B1/en
Publication of KR20160046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4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1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6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head-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4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 A47C1/06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4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 A47C1/10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with head-rests; with pape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4/00Methods or devices enabl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perate an apparatus or a device not forming part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2/00Accommodation for nursing, e.g. in hospitals, not covered by groups A61G1/00 - A61G11/00, e.g. trolleys for transport of medicaments or food; Prescription li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feet
    • A61G15/125Head-re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1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head or 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the back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손상으로 인한 연하장애를 가진 환자들에게 적절한 자세를 유지시켜 흡인을 방지하도록 한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등받이부가 환자의 등에 착용되어 환자의 몸을 고정하며; 머리받침부가 등받이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환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환자의 머리를 고정하며; 높이조절부가 등받이부와 머리받침부 사이에 설치되어 환자의 머리 높이에 맞도록 머리받침부의 높이를 조절하며; 각도조절부가 등받이부와 머리받침부 사이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환자의 연하 보장 목 각도에 맞도록 머리받침부의 각도를 조절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reventing aspiration of a patient having dysphagia by maintaining a proper posture for patients having dysphagia due to various injuries, wherein the backrest is worn on the back of the patient to fix the patient's body; A headrest formed on the back of the backrest and worn on the head of the patient to fix the head of the patient;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is provided between the backrest and the headrest portion to adjust the height of the headrest portion to match the head height of the patient; The angle adjuster is rotatably provided between the backrest and the headrest to adjust the angle of the headrest to fit the patient's swollen neck angle.

Description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aspiration of patient with dysphagia}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reventing aspiration of a patient suffering from dysphagia,

본 발명은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 손상으로 인한 연하장애를 가진 환자들에게 적절한 자세를 유지시켜 흡인을 방지하도록 한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reventing aspiration of a dysphagic pati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preventing aspiration of a dysphagic patient,

연하란 구강 내의 음식물을 위장관까지 전달하는 일련의 기능을 말하는데, 여기에는 중추 및 말초 신경계의 여러 신경들에 의해 지배받는 괄약근을 비롯한 많은 두경부 근육들과 골격 및 기타 연부 조직들이 복잡하게 작용한다. 연하작용 경로 중 어느 부위에 이상이 생긴 경우에 이를 연하장애(Dysphagia), 삼킴장애 혹은 연하곤란이라 하는데, 그 주요 원인으로는 식이 섭취와 관련된 근육, 신경학계 이상을 들 수 있으며, 그 밖에 정신과적인 질환이나 약물 등도 연하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특히, 뇌졸중 환자는 대한민국에서 매년 10만 명씩 발생하고 있으며, 이 중에서 51~73(%)의 환자는 음식 섭취가 곤란한 연하장애를 겪고 있다.Swallowing refers to a series of functions of delivering food in the oral cavity to the gastrointestinal tract, which involves the complexity of many head and neck muscles, skeletal and other soft tissues, including sphincter muscles dominated by various nerves of the central and peripheral nervous system. Dysphagia, dysphagia, or dysphagia are the most common causes of dysphagia. Dysphagia, dysphagia, dysphagia, dysphagia, dysphagia, swallowing difficulty, Diseases or drugs can also cause dysphagia. In particular, 100,000 stroke patients are diagnosed every year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51 to 73 (%) of them suffer from dysphagia, which is difficult to ingest.

연하장애는 입술과 혀의 조절 약화뿐만 아니라 삼킴 반사의 지연, 인두 음식의 저류, 후두로의 음식 유입 등과 같은 다양한 증상을 보이고 있다. 또한, 뇌졸중 환자뿐만 아니라, 교통사고에 의한 두부/경추 손상, 뇌종양 등과 같은 중추신경계 손상의 환자 경우에서도 연하장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최근 증가하고 있는 두경부암 중에서 구강암과 인두암으로 인한 연하장애도 큰 문제가 되고 있다.Swallowing disorders have various symptoms such as delayed swallowing reflexes, retention of pharyngeal food, and food intake into the larynx, as well as weakening of the lips and tongue. In addition, there are frequent swallowing disorders in patients with central nervous system injuries such as head and neck injuries caused by traffic accidents as well as stroke patients. In recent years, among the head and neck cancers, It is becoming a big problem.

연하곤란 환자는 대부분 흡인(Aspiration)이 발생하는데, 정상인의 경우에는 기침 등을 통하여 이물질을 기도 밖으로 배출할 수 있지만, 연하곤란 환자의 경우에는 이러한 기능이 많이 저하되어 폐로 음식물이 유입되어 폐렴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는 무서운 합병증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기도에 막힌 음식물을 배출하는 능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질식(Asphyxia)으로 인한 즉사(Instantaneous Death)라는 무서운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식사라는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 충족이 생명에 위협을 주게 되는 상황이다.Most patients with dysphagia have aspiration. In the case of normal subjects, foreign substances can be released from the airway through a cough. In the case of patients with dysphagia, however, these functions are much lowered, Which can lead to terrible complications that can lead to death. In addition, as the ability to drain obstructed food in the airway is compromised, it can lead to dire consequences of asphyxia (Instantaneous Death). In other words, the fulfillment of human basic needs is a threat to life.

한국등록특허 제10-0870912호(2008.11.21 등록)는 연하보조용 전기자극장치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인체의 갑상설골에 부착하여 음식물의 삼킴 시점을 검출하는 음식삼킴시점 검출부와; 인체의 양쪽 악이복근(digastric muscle)에 부착되어 그 양쪽 악이복근(digastric muscle)에 전기 자극을 가하는 전극부착장치부와; 음식물 삼킴 시점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인체의 음식물 삼킴 시점을 판별한 다음 전극부착장치부가 그 부착된 인체로 전기 자극을 가하도록 제어하고, 전기자극장치의 기능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마이컴과; 마이컴의 고압의 펄스제어신호에 따라 전극펄스신호를 생성하여 전극부착장치부로 인가시키는 전극신호 생성회로부와; 전극부착장치부의 후면부에 그 몸체 단부가 상, 하, 좌, 우로 회전가능하게 연결 설치되고 그 전체몸체가 인체의 귀에 걸도록 형성되며, 그 몸체 내부로 전극신호 생성회로부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전극부착장치부로 전달하는 전선이 구비되는 고정걸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스트레인게이지의 움직임을 통해 환자가 삼키는 시점을 검출하고 그 검출신호를 이용하여 사람의 안면 양쪽악이복근(digastric muscle)에 그 부착된 전극부착구조물을 통해 전기 자극을 가함으로써, 연하곤란이 있는 환자들에게 연하 과정을 전기자극장치를 통해 도와주어 설골의 전, 상방 상승 정도 및 상승 패턴을 정상화시키므로 그에 따라 인체의 연하과정 치료효율을 극대화시키며, 또한 환자의 삼키는 시점을 정확히 계측하여 전기 자극을 적시에 인가하기 때문에 인체의 연하작용을 정밀하게 실행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연하보조용 장치의 정밀성도 상당히 향상시킬 수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70912 (registered on November 21, 2008) discloses an electric stimulation device for swallowing assist, which includes a food swallowing time detecting portion for detecting a swallowing time of food by attaching to a throat of a thigh of a human body; An electrode attachment unit attached to both digastric muscles of the human body and applying electrical stimulation to both digastric muscles of the human body; A microcomputer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electric stimulation device so as to control the electric stimulation of the human body to which the electrode attachment device detects the food swallowing time of the human body detected by the food swallowing time detection unit; An electrode signal generating circuit unit for generating an electrode pulse signal according to a high-voltage pulse control signal of the microcomputer and applying the pulse signal to the electrode attaching unit; The body is connect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electrode attachment device so as to be rotatable upward, downward, leftward and rightward. The entire body of the body is formed to hang on the ears of the human body. An electric signal applied from the electrode- And a fixing hook portion provided with an electric wire for transmitting to the atta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ique, by detecting the patient's swallowing time through the motion of the strain gauge and using the detection signal, electrical stimulation is applied through the electrode attachment structure attached to the digastric muscle on both sides of the human face, In patients with difficulty, the swallowing process is assisted through an electric stimulation device to normalize the elevation and elevation pattern of the hyoid bone, thereby maximizing the treatment efficiency of the human swallowing process, and accurately measuring the swallowing time of the patient Since the electric stimulation is applied in a timely manner, the swallowing action of the human body can be performed precisely, and accordingly, the precision of the parenteral assist device can be considerably improved.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2562호(2014.04.29 등록)는 연하장애를 겪고 있는 환자의 가슴 및 목 부위에 밀착시켜 연하장애 환자의 연하근육 운동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도로 숙련된 작업치료사의 도움 없이도 손쉽게 연하장애 환자의 연하근육 운동을 진행할 수 있으며, 또한 값싼 폴리카보네이트 소재 또는 금속 소재로 제작 가능하고, 그 사용 또한 용이하기 때문에 비용 측면에서 큰 이점을 가질 수 있는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손잡이부; 손잡이부의 일단부에 위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연하장애 환자의 가슴에 밀착되는 밀착부; 밀착부의 상단부에 연장 형성된 연장부; 연장부의 상단부에 위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부; 및 지지부의 상단부에 연장 형성되고, 상단부가 연하장애 환자의 턱과 목울대 사이 부분에 배치되는 운동부를 포함하며, 연하장애를 겪는 환자의 연하근육 강화를 위해, 운동 조력자가 손잡이부를 파지하여 밀착부를 환자의 가슴에 밀착하고, 운동부의 상단부가 환자의 턱과 목울대 사이에 배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연하장애 환자가 그의 머리 및 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끄떡거려 운동부의 상단부를 정해진 압력 이상의 힘으로 누르고 복원되는 운동을 정해진 수만큼 반복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72562 (Registered on Apr. 29, 2014) is capable of bringing swollen muscles of the swallowing patient in close contact with the chest and neck of a patient suffering swallowing disorder, and accordingly, a highly skilled occupational therapist It is possible to easily carry out swallowing muscle motion of a patient with dysphagia without any help, and also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by a cheap polycarbonate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and easy to use, so that it can be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ique, the handle portion; A tight fitting portion formed to extend upward in one end portion of the knob portion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hest of the dysphagic patient; An extension extending from an upper end of the tight contact portion; A support portion extending upward in an upper end por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And a motion part extending from an upper end of the support part and having an upper end disposed at a portion between a jaw and a neck of a patient having a dysphagia disorder. In order to strengthen the swallowing muscle of a patient suffering from dysphagia, the motion assistant grasps the grip part, And the upper part of the moving part is disposed between the jaw and the heel of the patient so that the swallowing disorder patient tilts at least one of his or her head and the jaw and presses the upper end of the moving part with a force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And the motion is repeatedly perform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을 방지하기 위한 자세 조절용 장치나 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특히,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들의 경우에 초기에 몸통을 제대로 가누지 못하거나 올바른 머리 자세를 유지하기 힘들기 때문에, 이로 인해 몸통은 식사 자세를 유지하기가 힘들고, 머리가 중심선에서 벗어난 자세를 취하게 되며, 이러한 자세에서 식사를 하는 경우에는 연하 반사를 일으키는데 방해가 되고, 흡인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흡인으로 폐렴을 유발시키고, 이에 폐렴으로 인하여 사망을 초래할 수도 있으며, 또한 최악의 상황으로 질식이 발생하고 질식으로 인한 즉사가 일어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을 방지하기 위한 올바른 자세에서의 식사가 중요하지만, 이를 위한 장치나 기구들의 개발이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적절한 올바른 식사 자세를 취하게 해 주는 기구나 장치 등을 개발함으로써, 연하곤란 환자들에게 편안하고 안전한 식사가 가능하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고 할 것이다.
In the conventional art as described above, there is no apparatus or mechanism for adjusting the posture for preventing aspiration of a patient suffering from swallowing difficulty. Particularly, in patients with central nervous system injuries, it is difficult to maintain proper body posture or to maintain proper head posture in the early stag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maintain the body posture, In such a posture, when eating, it may interfere with causing swallowing reflexes, inducing aspiration, and inducing pneumonia by such aspiration, resulting in death due to pneumonia. In addition, in the worst case, May result in death. Therefore, eating in the right posture to prevent aspiration of patients with dysphagia is important, but there is no development of devices and devices for this.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make comfortable and safe meals available to patients with dysphagia by developing devices and devices that allow them to take appropriate correct eating habits.

한국등록특허 제10-0870912호Korean Patent No. 10-0870912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2562호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72562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종 손상으로 인한 연하장애를 가진 환자들에게 적절한 자세를 유지시켜 흡인을 방지하도록 한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vice for preventing aspiration of a patient having dysphagia, do.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환자의 등에 착용되어 환자의 몸을 고정하기 위한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환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환자의 머리를 고정하기 위한 머리받침부;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머리받침부 사이에 설치되어 환자의 머리 높이에 맞도록 상기 머리받침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 및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머리받침부 사이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환자의 연하 보장 목 각도에 맞도록 상기 머리받침부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ckrest for fixing a body of a patient to be worn on a back of a patient; A headrest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ckrest for fixing the head of the patient by being worn on the head of the patient; A height adjuster installed between the backrest and the headrest to adjust a height of the headrest to match the head height of the patient; And an angle adjuster installed to be rotatable between the backrest and the headrest to adjust the angle of the headrest to fit the swallowing neck angle of the patient.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등받이부는, 환자의 등이 밀착되는 부분을 오목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backrest is characterized by a concave portion in which the back of the patient is adhere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등받이부는, 일 측이 양 측부에 연결 형성되고 다른 일 측이 체결수단을 구비하여, 환자의 등이 밀착되도록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환자의 몸을 고정시켜 주기 위한 몸고정수단; 일 측이 양 측부에 연결 형성되고 다른 일 측이 체결수단을 구비하여,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대상체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등받이고정수단; 및 양 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몸고정수단과 상기 등받이고정수단을 각각 연결해 주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backrest includes a body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the patient's body using fastening means so that one side is connected to both sides and the other side is fastening means, ; A backrest fixing means for connecting one side to both sides and the other side having a fastening means for fixing the fastening means to the fastening object; And connecting means formed on both sides for connecting the body fastening means and the backrest fastening means, respectively.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몸고정수단의 일 측 또는 상기 등받이고정수단의 일 측을 고정 연결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nnecting means is provided by fixing one side of the body fixing means or one side of the backrest fixing means.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몸고정수단과 상기 등받이고정수단이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전후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nnecting means forms a passage for allowing the body fixing means and the backrest fixing means to move back and forth in a state where the body fixing means and the backrest fixing means are integrally connecte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몸고정수단 또는 상기 등받이고정수단의 일 측을 권취하여 상기 몸고정수단 또는 상기 등받이고정수단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권취장치; 및 상기 권취장치의 회전을 고정시켜 조절된 길이를 유지하거나, 상기 권취장치의 회전 고정을 해제하기 위한 고정/해제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nnecting means includes a winding device for winding the body fixing means or the backrest fixing means and winding the one side of the body fixing means or the backrest fixing means to adjust the length of the body fixing means or the backrest fixing means; And a fixing / releasing device for holding the adjusted length by fixing the rotation of the winding device or releasing the rotation fixing of the winding devic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머리받침부는, 환자의 뒤통수가 밀착되는 부분을 오목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headrest portion is characterized by a concave portion in which the back of the patient is closely contacte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머리받침부는, 양 측부에 형성되어, 환자의 머리가 정준선에 유지되도록 환자의 머리를 지지하기 위한 머리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headres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head support means formed on both sides for supporting the head of the patient so that the patient's head is held at the correct lin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머리지지수단은, 양 측부에 회동장치를 구비시켜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의 측면 각도를 조절하여 환자의 머리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head support means is provided with a pivoting device on both sides to adjust the angle of head rotation of the patient by adjusting the side angle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머리받침부는, 양 측부에 형성되어, 환자의 머리를 감싸도록 밴딩하여 환자의 머리에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한 밴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headrest includes bending means formed on both sides for bending the head of the patient so as to provide a bearing force to the head of the patient.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등받이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내부에서 슬라이드 안내하기 위한 슬라이드홈부재; 상기 머리받침부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홈부재의 슬라이드 안내에 따라 슬라이딩하여 환자의 머리 높이에 맞게 상기 머리받침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슬라이드부재; 및 상기 슬라이드홈부재와 상기 슬라이드부재 사이를 고정시켜 상기 머리받침부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슬라이드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includes: a slide groove member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ckrest portion and guiding the slide guide therein; A slide member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headrest portion and sliding along the slide guide of the slide groove member to adjust a height of the headrest portion according to a head height of a patient; And a slide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height between the slide groove member and the slide member by keeping the height of the head support unit constant.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머리받침부 사이에 회동장치를 구비시켜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의 받침대 각도를 조절하여 환자의 목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adjusting unit is provided with a pivoting device between the backrest part and the headrest part to adjust the angle of the pedestal in the upward or downward direction to adjust the neck angle of the patient.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는,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받침부높이조절버튼,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버튼, 받침부각도조절버튼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받침부높이조절버튼을 입력받아 받침부높이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높이조절부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입력부로부터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버튼을 입력받아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머리받침부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입력부로부터 받침부각도조절버튼을 입력받아 받침부각도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각도조절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aspiration of the dysphagia patient includes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height adjustment button, a head support rotation angle adjustment button, and a sagittal angle adjustment button, which are input through input mean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by receiving a height adjustment control signal from the receiving unit from the input unit, receiving a head support rotation angle adjustment control signal from the input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headrest by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from the input unit and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angle control unit by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headrest.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입력부는,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자세세팅버튼, 자세시작버튼을 상기 제어부에 입력하며, 입력수단을 통해 선택되는 환자 특성 등급을 상기 제어부에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input unit inputs the posture setting button and the posture start button, which ar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to the control unit, and inputs the patient characteristic rating se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to the control unit.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자세세팅버튼을 입력받아 상기 머리받침부의 현재 환자 머리 회전 각도, 상기 높이조절부의 현재 환자 머리 높이, 상기 각도조절부의 현재 환자 목 각도를 확인하여 메모리부에 세팅시키며, 상기 입력부로부터 자세시작버튼을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부에 세팅해 둔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환자 머리 높이, 환자 목 각도를 판독하며, 판독한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환자 머리 높이, 환자 목 각도에 대응하는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제어신호, 받침부높이조절제어신호, 받침부각도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머리받침부, 상기 높이조절부, 상기 각도조절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posture setting button from the input unit and confirms the current patient head rotation angle of the headrest unit, the current patient head height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and the current patient neck angle of the angle adjustment unit, The patient's head rotation angle, the patient's head height, and the patient's neck angle set in the memory unit by receiving the posture start button from the input unit are read, and the read head rotation angle, the patient's head height, A height adjustment control signal for the support part, and a control signal for the support angle adjustment, and outputs the generated head support rotation angle control signal, the height adjustment part, and the angle adjustment part to the head support part, the height adjustment part and the angle adjustment part.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환자 특성 등급에 대응하는 표준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표준 환자 목 각도를 판독하며, 상기 머리받침부의 현재 환자 머리 회전 각도, 상기 높이조절부의 현재 환자 머리 높이, 상기 각도조절부의 현재 환자 목 각도를 확인하며, 판독한 표준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표준 환자 목 각도와 확인한 현재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현재 환자 목 각도의 차이 값을 계산한 후에, 계산된 차이 값에 대응하는 보상 환자 머리 회전 각도, 보상 환자 목 각도를 판독하며, 판독한 보상 환자 머리 회전 각도, 보상 환자 목 각도에 대응하는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제어신호, 받침부각도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머리받침부, 상기 각도조절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reads a standard patient's head rotation angle and a standard patient's neck angle corresponding to a patient characteristic rating input from the input unit, and determines a current patient's head rotation angle of the headrest, The head height, the current patient neck angle of the angle adjuster, and after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ad standard patient head rotation angle, the standard patient neck angle, the current patient head rotation angle, and the current patient neck angle, The compensated patient head rotation angle and compensated patient neck angle corresponding to the value are read, and the read compensated patient head rotation angle, the head support rotation angle adjustment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mpensation patient neck angle, To the headrest portion, and to the angle adjusting portion.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환자 머리 높이, 환자 목 각도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memory unit receives and registers information on a patient's head rotation angle, a patient's head height, and a patient's neck angle from the control unit.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메모리부는, 환자 특성을 등급별로 분류시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며, 각 환자 특성 등급에 대응하는 표준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표준 환자 목 각도를 미리 설정하여 등록하며,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환자 목 각도와 기 설정된 표준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표준 환자 목 각도의 차이 값에 대응하는 보상 환자 머리 회전 각도, 보상 환자 목 각도에 대한 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memory unit classifies and stores the patient characteristics classified into classes, stores the database, stores the standard patient's head rotation angle and the standard patient's neck angle corresponding to each patient's characteristic rating in advance, registers the patient's head rotation angle The information about the compensated patient's head rotation angle and the compensated patient neck angle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patient neck angle, the predetermined standard patient's head rotation angle and the standard patient neck angle, is preset and registere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머리받침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제어신호에 따라 머리지지수단을 좌우로 회전시켜 환자의 머리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환자의 머리를 정준선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headrest unit may be configured to position the head of the patient on the level line by adjusting the head rotation angle of the patient by rotating the head support mean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ccording to the head support rotation angle adjustment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받침부높이조절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머리받침부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머리받침부의 높이를 환자의 머리 높이에 맞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height adjuster is configur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headrest portion to match the head height of the patient by moving the headrest portion up and down according to a height adjustment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받침부각도조절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머리받침부를 상하로 회전시켜 상기 머리받침부의 각도를 환자의 연하 보장 목 각도에 맞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angle adjusting unit adjusts the angle of the headrest unit to be adjusted to the swallowing neck angle of the patient by rotating the headrest unit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a receiving angle control signal outputted from the controller .

본 발명의 다른 한 특징에 따르면, 입력부를 통해 받침부높이조절버튼을 입력받는 경우에 받침부높이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키는 단계; 상기 받침부높이조절제어신호를 높이조절부에 출력하여 머리받침부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머리받침부의 높이를 환자의 머리 높이에 맞도록 조절하는 단계; 상기 입력부를 통해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버튼을 입력받아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키는 단계; 상기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제어신호를 머리받침부에 출력하여 머리지지수단을 좌우로 회전시켜 환자의 머리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환자의 머리를 정준선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입력부를 통해 받침부각도조절버튼을 입력받아 받침부각도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받침부각도조절제어신호를 각도조절부에 출력하여 상기 머리받침부를 상하로 회전시켜 상기 머리받침부의 각도를 환자의 연하 보장 목 각도에 맞도록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의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height of a pedestal, comprising: generating a pedestal height control signal when receiving a pedestal height control button through an input unit; Outputting the height adjustment control signal to the height adjuster to adjust the height of the headrest to match the head height of the patient by moving the headrest vertically; Receiving a head supporting rotation angle adjusting button through the input unit to generate a head supporting rotation angle adjusting control signal; A step of outputting the head support rotation angle control signal to the head support unit to rotate the head support unit to the left and right to adjust the head rotation angle of the patient to position the head of the patient on the canonical line;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angle of elevation of the pedestrian through the input unit; And adjusting the angle of the headrest portion to match the angle of the swallowing neck of the patient by rotating the headrest portion up and down by outputt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angle adjusting portion Thereby providing a method of operating the patient's suction preventing device.

본 발명에 의하면, 각종 손상으로 인한 연하장애를 가진 환자들에게 적절한 자세를 유지시켜 흡인을 방지하도록 한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연하곤란 환자에 대해서 흡인을 예방하기 위한 최적의 자세를 유지시켜 연하곤란 환자의 안전한 식사를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경에서 보호자(또는, 간호사, 간병사 등)가 연하곤란 환자의 안전한 식사를 쉽게 보조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evice for preventing aspiration of a patient having difficulty in swallowing in which sucking is prevented by maintaining a proper posture for patients having dysphagia due to various injuries, thereby providing an optimal posture (Or nurses, nurses, etc.) in various environments can easily provide a safe dietary supplement for patients having difficulty swallowing.

본 발명에 의하면,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을 방지하기 위한 자세 조절용으로 기존의 휠체어(또는, 의자 등)에 형성시켜 적절한 올바른 식사 자세를 취하도록 하는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환자가 독립적인 식사를 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흡인으로 고생하거나 흡인으로 인한 폐렴의 위험이 높은 환자들에게 큰 경제적인 부담 없이도 매우 효율적으로 편안하고 안전한 식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n apparatus for preventing aspiration of a dysphagic patient, which is formed on an existing wheelchair (or a chair, etc.) for adjusting the posture for preventing sucking of a dysphagic patient, Even if an independent meal can be made, it has the effect of making a comfortable and safe meal very efficiently without the great economic burden on patients who suffer from aspiration or are at high risk of aspiration-induced pneumonia.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등받이부의 등받이고정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머리받침부의 머리지지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머리받침부의 밴딩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등받이부의 장착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pparatus for preventing aspiration of a dysphagia patie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ackrest fixing means of the backrest portion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head supporting means of the headrest portion shown in Fig. 1. Fig.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bending unit of the headrest unit shown in Fig. 1. Fig.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mounting the backrest portion in Fig. 1.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suction preventing device for a dysphagate patie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 suction preventing device for a dysphagia patie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variously embodied and having various forms, so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Also, the purpose o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terms "first "," second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 include "or" have "are to be construed as including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 및 그 운용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device for preventing aspiration of a dysphagia patient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device for sucking dysphori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있는 등받이부의 등받이고정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있는 머리받침부의 머리지지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1에 있는 머리받침부의 밴딩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1에 있는 등받이부의 장착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pparatus for preventing aspiration of a dysphagusic patie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backrest fixing means of the backrest in Fig. 1,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ending means of the headrest portion shown in Fig. 1, and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mounting the backrest portion shown in Fig. 1. Fig.

도 1 내지는 도 5를 참조하면,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100)는, 등받이부(110), 머리받침부(120), 높이조절부(130), 각도조절부(140)를 포함한다.1 to 5, the suction preventing apparatus 100 of the dysphagic patient includes a backrest part 110, a headrest part 120, a height adjusting part 130, and an angle adjusting part 140 .

등받이부(110)는, 상부에 높이조절부(130)가 형성되며, 환자의 등에 착용되어 환자의 몸을 고정해 준다.The backrest part 110 is formed with a height adjusting part 130 at the upper part thereof, and is fixed to the back of the patient to fix the patient's body.

일 실시 예에서, 등받이부(110)는, 환자의 안전한 식사 자세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환자의 몸통이 편안하게 놀릴 수 있도록 환자의 등이 밀착되는 부분을 오목한 형태로 제공해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ackrest portion 110 may provide a concave portion of the back of the patient so that the patient's torso can comfortably tease to enable a safe eating posture of the patient.

일 실시 예에서, 등받이부(110)는, 몸고정수단(111), 등받이고정수단(112), 연결수단(113)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ackrest 110 may include body fastening means 111, backrest fastening means 112, and connecting means 113.

몸고정수단(111)은, 일 측이 연결수단(113)을 통해 등받이부(110)의 양 측부에 연결 형성되고, 다른 일 측이 벨트, 밴드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구비하여, 환자의 등이 오목한 부분에 밀착되도록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환자의 몸을 오목한 부분에 고정시켜 준다.The body fastening means 111 is connected at one side to both sides of the backrest 110 via the connecting means 113 and at the other side with fastening means such as a belt, And fixes the patient's body to the concave portion using the fastening means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cave portion.

등받이고정수단(11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이 연결수단(113)을 통해 등받이부(110)의 양 측부에 연결 형성되고, 다른 일 측이 벨트, 밴드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구비하여,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휠체어(또는, 의자 등)와 같은 고정대상체에 고정시켜 준다.2, one side of the backrest fixing means 112 is connected to both side portions of the backrest portion 110 through the connecting means 113, and the other side of the backrest fixing means 112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backrest fixing means 112 by fastening means such as a belt, And fixes it to a fixed object such as a wheel chair (or a chair or the like) by using fastening means.

연결수단(113)은, 등받이부(110)의 양 측부에 형성되어 몸고정수단(111)과 등받이고정수단(112)을 각각 연결해 준다.The connecting means 113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ckrest 110 to connect the body fastening means 111 and the backrest fastening means 112 respectively.

일 실시 예에서, 연결수단(113)은, 몸고정수단(111)의 일 측을 고정 연결하여 설치하거나, 등받이고정수단(112)의 일 측을 고정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necting means 113 can be installed by fixing one side of the body fastening means 111, or by fixedly connecting one side of the backrest fastening means 112.

일 실시 예에서, 연결수단(113)은, 몸고정수단(111)과 등받이고정수단(112)이 일체로 연결된 상태의 경우에 몸고정수단(111)과 등받이고정수단(112)이 전후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connecting means 113 is configured such that the body fixing means 111 and the backrest fixing means 112 are moved back and forth when the body fixing means 111 and the backrest fixing means 112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Or the like.

일 실시 예에서, 연결수단(113)은, 몸고정수단(111)(또는, 등받이고정수단(112))의 일 측을 권취하여 몸고정수단(111)(또는, 등받이고정수단(11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권취장치(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와, 권취장치를 통해 몸고정수단(111)(또는, 등받이고정수단(112))의 길이를 조절한 후에 권취장치의 회전을 고정시켜 해당 조절된 길이를 유지하도록 하거나 권취장치의 회전 고정을 해제하기 위한 고정/해제장치(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necting means 113 is configured to wind one side of the body fastening means 111 (or the backrest fastening means 112) to the body fastening means 111 (or the backrest fastening means 112) (Or the backrest fixing means 112) through the winding device and adjusting the length of the body fixing means 111 (or the backrest fixing means 112) A fixing / releasing device (not shown in the drawing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or holding the rotation of the device in a fixed and lengthwise direction or releasing rotation of the winding device may be provided.

머리받침부(120)는, 등받이부(110)의 상부에 형성되고 환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환자의 머리를 고정해 준다.The headrest portion 120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ckrest portion 110 and is worn on the head of the patient to fix the head of the patient.

일 실시 예에서, 머리받침부(120)는, 환자의 안전한 식사 자세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환자의 머리가 편안하게 놀릴 수 있도록 환자의 뒤통수가 밀착되는 부분을 오목한 형태로 제공해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eadrest portion 120 may provide a recessed portion in which the back of the patient is closely contacted so that the patient's head can be comfortably laughed, in order to enable a safe eating posture of the patient.

일 실시 예에서, 머리받침부(120)는, 머리지지수단(121)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eadrest portion 120 may include a head support means 121.

머리지지수단(12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부에 형성되어 환자의 머리 회전 각도를 다양하게 제공하여, 환자의 머리가 정준선에 유지되도록 환자의 머리를 지지해 준다.The head support means 121 is formed on both sides to provide various degrees of head rotation of the patient, as shown in Fig. 3, to support the head of the patient so that the patient's head is kept at the normal line.

일 실시 예에서, 머리지지수단(121)은, 양 측부에 회동장치를 구비시켜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의 측면 각도를 조절하여 환자의 머리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ead support means 121 may be provided with pivotal devices on both sides to adjust the angle of head rotation of the patient by adjusting the side angle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일 실시 예에서, 머리지지수단(121)은, 환자 자기 자신이 스스로 머리를 가눌 수 있는 경우에 양 측면에서 환자의 머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ead support means 121 can be configured to support the patient ' s head on both sides when the patient can self-deflect itself.

일 실시 예에서, 머리받침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공기 머리 받침대 등과 같은 밴딩수단(1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eadrest portion 120 may further include a bending means 122, such as an aircraft headrest or the like, as shown in Fig.

밴딩수단(122)은 양 측부(또는, 머리지지수단(121)의 일 측)에 형성되어, 환자 자기 자신이 스스로 머리를 가눌 수 없는 경우에 환자의 머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환자의 머리(특히, 이마 부분)를 감싸도록 밴딩하여 환자의 머리에 지지력을 제공해 준다.The banding means 122 is formed on both sides (or one side of the head supporting means 121) to prevent the head of the patient from falling off when the patient himself can not hold his or her head. Banding to cover the head (especially the forehead) provides support for the patient's head.

높이조절부(130)는, 등받이부(110)와 머리받침부(120) 사이에 설치되어 환자의 머리 높이에 대응하도록 하기 위해서 머리받침부(120)의 높이를 조절해 준다.The height adjuster 130 is installed between the backrest 110 and the headrest 120 to adjust the height of the headrest 120 to correspond to the head height of the patient.

일 실시 예에서, 높이조절부(130)는, 슬라이드홈부재, 슬라이드부재, 슬라이드고정부재(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슬라이드홈부재는, 등받이부(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내부에서 슬라이드부재를 슬라이드 안내해 준다. 슬라이드부재는, 머리받침부(120)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드홈부재의 슬라이드 안내에 따라 슬라이딩하여 환자의 머리 높이에 맞게 머리받침부(120)의 높이를 조절해 준다. 슬라이드고정부재는, 슬라이드홈부재와 슬라이드부재 사이를 고정시켜 머리받침부(120)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해 준다.In one embodiment, the height adjuster 130 may include a slide groove member, a slide member, and a slide fixing member (not shown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lide groove member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ckrest portion 110 to guide the slide member in the slide. The slide member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headrest portion 120 and slides along the slide guide of the slide groove member to adjust the height of the headrest portion 120 according to the head height of the patient. The slide fixing member fixes the space between the slide groove member and the slide member to keep the height of the head support portion 120 constant.

각도조절부(140)는, 등받이부(110)와 머리받침부(120) 사이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환자의 목 각도(연하곤란 환자의 안전한 연하를 보장하기 위한 연하 보장 목 각도)에 대응하도록 하기 위해서 머리받침부(120)의 각도를 조절해 준다.The angle adjusting unit 140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between the backrest 110 and the headrest 120 to correspond to the neck angle of the patient The angle of the head rest 120 is adjusted.

일 실시 예에서, 각도조절부(140)는, 환자의 머리를 상측 방향으로 올리거나 하측 방향으로 숙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등받이부(110)와 머리받침부(120) 사이(또는, 높이조절부(130)의 상부)에 회동장치를 구비시켜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의 받침대 각도를 조절하여 환자의 머리 상하 각도(즉, 환자의 목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angle adjusting unit 14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backrest part 110 and the headrest part 120 (or between the backrest part 110 and the height adjusting part 120) so that the head of the patient can be raised in the upward direction or bowed in the downward direction, (I.e., the upper side of the patient's neck)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pedestal in the upward direction or the downward direction.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100)는,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휠체어(또는, 의자 등)에 장착될 수 있는데, 이때 등받이부(110)가 실제 휠체어(또는, 의자 등)에 장착될 수 있다. 우선 등받이부(110)의 등받이고정수단(112)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휠체어(또는, 의자 등)에 등받이부(110)를 고정시켜 준 후에, 등받이부(110)가 고정된 휠체어(또는, 의자 등)에 환자가 앉게 되면, 이에 등받이부(110)의 등받이고정수단(112)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환자의 등이 오목한 부분에 밀착되도록 환자의 몸을 오목한 부분에 고정시켜 주게 되며, 그런 다음에 높이조절부(130)는 환자의 머리 높이에 대응하도록 하기 위해서 머리받침부(120)의 높이를 조절하고, 각도조절부(140)는 환자의 목 각도(연하곤란 환자의 안전한 연하를 보장하기 위한 연하 보장 목 각도)에 대응하도록 하기 위해서 머리받침부(120)의 각도를 조절해 줌과 동시에, 머리받침부(120)는 환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환자의 머리를 고정해 줌으로써, 환자의 최적 삼킴 자세를 유지하도록 해 줄 수 있다.5, for example, the backrest 110 may be mounted on an actual wheelchair (or a chair or the like). In this case, May be mounted on an actual wheelchair (or a chair, etc.). First, the backrest fixing means 112 of the backrest 110 fixes the backrest 110 to the wheelchair (or the chair or the like) using the fastening means, and then the backrest fixing means 112 of the backrest 110 fixes the backrest 110, The backrest fixing means 112 of the backrest 110 fixes the patient's body to the concave portion so that the back of the patient's back is closely contacted with the concave portion using the fastening means, Next, the height adjuster 130 adjusts the height of the headrest 120 so as to correspond to the head height of the patient, and the angle adjuster 140 adjusts the neck angle of the patient The angle of the headrest 120 is adjust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neck angle of the patient, and the headrest 120 is worn on the head of the patient to fix the head of the patient, To maintain an optimal swallowing posture .

일 실시 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100)는, 연하곤란 환자의 안전한 연하를 보장하기 위한 자세를 만들 수 있도록 의자나 휠체어 등에 바로 형성시켜 줄 수 있으며, 이에 흡인으로부터 더욱 안전한 연하가 이루어질 수 있고 더 안전한 식사를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evice 100 for preventing aspiration difficulty in a dysphagia patien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be formed directly on a chair, a wheelchair, or the like so that a posture for assuring a safe swallowing of a dysphagic patient can be made, Therefore, a safer swallowing can be made from suction and a safer meal can be made.

일 실시 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100)는, 연하곤란 환자의 안전한 연하를 보장하기 위한 보상적 전략 중에서 환자의 자세 변화(Postural Change)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환자의 자세 변화로는 고개 숙이기(Neck-flexion), 고개 비마비 측으로의 기울이기(Head-tilt), 고개 마비 측으로의 돌리기(Head-rotation) 등이 있다. 특히, 고개 숙이기 자세 변화가 가장 큰 효과를 나타내므로, 바람직하게는 각도조절부(140)에 의한 고개 숙이기 자세 변화를 수행하도록 한다. 여기서, 각도조절부(140)에 의한 고개 숙이기 자세 변화는, 연하 반사(Swallowing Reflex)의 지연이나, 혀 기저부(Base)의 수축력 약화, 후두 폐쇄(Laryngeal Closure) 감소 등이 있는 환자에게 유용하며, 또한 후두계곡(Valleculae)의 공간을 넓혀 줌으로써 음식이 인두를 통해 느린 속도로 지나갈 수 있도록 해 주며, 또한 후두 전정에 있는 음식이 나올 수 있도록 하여 흡인의 위험을 감소시켜 주며, 아울러 기도로 가는 통로를 좁혀 줌으로써 음식의 침범 정도를 낮추어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nti-suction device 100 of the dysphagia patien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performs a postural change of the patient in a compensatory strategy for ensuring safe swallowing of the dysphagic patient At this time, the patient's postural changes include neck-flexion, head-tilt to the paraplegia, and head-rotation to the paraplegia. Particularly, since the change in the posture of bowing has the greatest effect,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he bow posture change by the angle adjusting unit 140. The change of the posture of swinging by the angle adjuster 140 is useful for patients having delayed swallowing reflexes, weakening of the contractile force of the tongue base, and reduction of laryngeal closure, It also expands the space of the Valleculae, allowing food to pass through the pharynx at a slower rate, allowing food in the laryngeal vestibule to escape, reducing the risk of aspiration, By narrowing it can reduce the degree of invasion of food.

일 실시 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100)는, 연하곤란 환자의 안전한 연하를 보장하기 위한 자세를 취하도록 하는데, 이때 등받이부(110)에 의해서 환자의 몸통을 편안하게 바로 앉은 상태에서, 각도조절부(140)에 의해서 환자의 고개를 기 설정된 각도로 숙이도록 해 준다. 여기서, 각도조절부(140)에 의한 고개 숙이는 각도는 50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30~50도로 다양하게 각도를 변경하여도 효과에는 큰 차이가 없으므로, 각도조절부(140)는 연하곤란 환자의 신체적 특성이나 인지적인 특성 등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하여 각 개별 연하곤란 환자의 특성에 맞는 최적의 각도를 설정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흡인을 방지하기 위한 고개 숙임 각도를 조절해 준다.In one embodiment, the anti-suction device 100 of the dysphagia patien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akes a posture for assuring a safe swallowing of a patient having difficulty in swallowing. At this time, With the body sitting comfortably, the angle adjuster 140 allows the patient's head to bow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angle adjusting unit 140 may be disposed at an angle of about 50 to about 30 degrees to about 50 degrees. Considering various characteristics such as physical and cognitive characteristics, it adjusts the angle of the head to prevent sucking so as to set and provide the optimum angl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dividual dysphagia patient.

일 실시 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100)는, 각종 손상으로 인한 연하장애를 가진 환자들에게 적절한 자세를 유지시켜 흡인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연하곤란 환자에 대해서 흡인을 예방하기 위한 최적의 자세를 유지시켜 연하곤란 환자의 안전한 식사를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경에서 보호자(또는, 간호사, 간병사 등)가 연하곤란 환자의 안전한 식사를 쉽게 보조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100)는,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을 방지하기 위한 자세 조절용으로 기존의 휠체어(또는, 의자 등)에 형성시켜 적절한 올바른 식사 자세를 취하도록 함으로써, 환자가 독립적인 식사를 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흡인으로 고생하거나 흡인으로 인한 폐렴의 위험이 높은 환자들에게 큰 경제적인 부담 없이도 매우 효율적으로 편안하고 안전한 식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nti-aspiration device 100 of the dysphagia patien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prevent sucking by maintaining a proper posture in patients having dysphagia caused by various injuries, (Or nurses, nurses, etc.) in various environments can be easily assisted in safely eating the patients having difficulty swallowing by maintaining an optimal posture for preventing aspiration of the patient. can do. In addition, the apparatus 100 for preventing aspiration difficulty in a dysphagia patien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formed in an existing wheelchair (or a chair) for adjusting the posture for preventing aspiration of a patient having difficulty in swallowing, It is possible to make comfortable and safe meals in a highly efficient manner even without significant economic burden for patients suffering from aspiration or at high risk of aspiration-induced pneumonia, even if the patient is able to eat independently.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 suction preventing device for a dysphagate patie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200)는, 입력부(210), 제어부(220), 메모리부(230), 머리받침부(240), 높이조절부(250), 각도조절부(260), 디스플레이부(270)를 포함한다.6, the suction preventing device 200 of the dysphagia patient includes an input unit 210, a control unit 220, a memory unit 230, a headrest unit 240, a height adjustment unit 250, (260), and a display unit (270).

입력부(210)는, 운용자(또는, 보호자, 간호사, 간병사 등)가 키패드,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입력수단을 통해 머리받침부(24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받침부높이조절버튼을 입력하는 경우에 이를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받침부높이조절버튼을 제어부(220)에 입력해 주며, 운용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환자의 머리를 지지해 주기 위한 머리지지수단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버튼을 입력하는 경우에 이를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버튼을 제어부(220)에 입력해 주며, 운용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머리받침부(24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받침부각도조절버튼을 입력하는 경우에 이를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받침부각도조절버튼을 제어부(220)에 입력해 주며, 그런 후에 운용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환자의 흡인 방지 자세를 세팅하기 위한 자세세팅버튼을 입력하는 경우에 이를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자세세팅버튼을 제어부(220)에 입력해 주며, 또한 추후에 운용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환자에게 맞는 흡인 방지 자세를 자동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자세시작버튼을 입력하는 경우에 이를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자세시작버튼을 제어부(220)에 입력해 준다.The input unit 21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an operator (or a guardian, a nurse, a nursing staff, etc.) inputs a height adjustment button for a pedestal portion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headrest portion 240 through input means such as a keypad, The control unit 220 inputs the identified height adjustment button to the control unit 220 and controls the head support rotation angle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the head support unit for supporting the head of the patient through the input unit When the user inputs a button, the user confirms the input and inputs the identified head support rotation angle adjustment button to the control unit 220. When the operator inpu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angle of the head support unit 240 When the user inputs a button, the user confirms the input of the button, inputs the confirmed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unit 220, When the attitude setting button for setting is inputted, it is confirmed that the attitude setting button is set and the corresponding attitude setting button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220. In addition, the operator automatically provides the suction prevention posture The control unit 220 confirms the input of the posture start button for inputting the confirmed posture start button.

일 실시 예에서, 입력부(210)는, 운용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환자 특성 등급을 선택하는 경우에 이를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환자 특성 등급을 제어부(220)에 입력해 줄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put unit 210 may confirm the case of selecting the patient characteristic level through the input means, and may input the confirmed patient characteristic level to the control unit 220.

제어부(220)는, 입력부(210)로부터 입력되는 받침부높이조절버튼을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받침부높이조절버튼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받침부높이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켜 높이조절부(250)에 출력해 높이조절부(250)의 구동을 제어하며, 입력부(210)로부터 입력되는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버튼을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버튼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켜 머리받침부(240)에 출력해 머리받침부(240)의 구동을 제어하며, 입력부(210)로부터 입력되는 받침부각도조절버튼을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받침부각도조절버튼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받침부각도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켜 각도조절부(260)에 출력해 각도조절부(260)의 구동을 제어하며, 입력부(210)로부터 입력되는 자세세팅버튼을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자세세팅버튼에 따라 머리받침부(240)의 현재 환자 머리 회전 각도, 높이조절부(250)의 현재 환자 머리 높이, 각도조절부(260)의 현재 환자 목 각도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며, 해당 확인된 현재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현재 환자 머리 높이, 현재 환자 목 각도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부(230)에 세팅시켜 주며, 그런 후에 입력부(210)로부터 입력되는 자세시작버튼을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자세시작버튼에 따라 메모리부(230)에 세팅해 둔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환자 머리 높이, 환자 목 각도에 대한 정보를 판독하며, 해당 판독한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환자 머리 높이, 환자 목 각도에 대한 정보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제어신호, 받침부높이조절제어신호, 받침부각도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켜 머리받침부(240), 높이조절부(250), 각도조절부(260)에 출력해 준다.The control unit 220 checks the height adjust button of the pedestal portion input from the input unit 210 and generates a pedestal height adjusting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pedestal height adjusting button, And controls the driving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250 to check the head supporting rotation angle adjusting button inputted from the input unit 210 and to control the head supporting rotation angle adjusting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head supporting rotation adjusting angle button Generates a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headrest receiving unit 240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headrest receiving unit 240 and confirm the receiving attitude angle adjusting button inputted from the input unit 210, And controls the driving of the angle adjusting unit 260. The control unit 260 checks the attitude setting button input from the input unit 210 and outputs the detected attitude setting control signal Information on the current patient head rotation angle of the headrest part 240, the current patient head height of the height adjustment part 250, and the current patient neck angle of the angle adjustment part 260 according to the three setting buttons, Information on the current patient's head rotation angle, current patient's head height, and current patient neck angle is set in the memory unit 230, and then the posture start button input from the input unit 210 is checked,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s head rotation angle, the patient's head height, and the patient's neck angle set in the memory unit 230 according to the button is read,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read patient's head rotation angle, the patient's head height, The headrest rotation angle control signal, the pedestal height adjustment control signal, and the support incidence angle adjustment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ignals are generated and output to the headrest unit 240, the height adjustment unit 250, and the angle adjustment unit 260 Give.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220)는, 입력부(210)로부터 입력되는 환자 특성 등급을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환자 특성 등급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표준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표준 환자 목 각도에 대한 정보를 판독하며, 해당 판독한 표준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표준 환자 목 각도와 해당 확인된 현재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현재 환자 목 각도의 차이 값을 계산한 후에, 해당 계산된 차이 값에 대응하는 보상 환자 머리 회전 각도, 보상 환자 목 각도에 대한 정보를 판독하며, 해당 판독한 보상 환자 머리 회전 각도, 보상 환자 목 각도에 대한 정보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제어신호, 받침부각도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켜 머리받침부(240), 각도조절부(260)에 출력해 줄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220 confirms the patient characteristic class inputted from the input unit 210, and reads information on the standard patient's head rotation angle and the standard patient's neck angle corresponding thereto according to the identified patient characteristic class And after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ad standard patient head rotation angle, the standard patient neck angle, the identified current patient head rotation angle, and the current patient neck angle, the compensated patient head rotation angle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difference value , The information on the compensating patient neck angle is read and the corresponding head supporting rotation angle adjusting control signal and the supporting angle adjusting control signal are generated according to the read information of the compensating patient head rotation angle and the compensating patient neck angle The headrest unit 240, and the angle adjusting unit 260, respectively.

메모리부(230)는, 제어부(220)의 제어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제어부(220)로부터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환자 머리 높이, 환자 목 각도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해 둔다.The memory unit 230 stores programs and data necessary for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ler 220. The controller 230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s head rotation angle, the patient's head height, and the patient's neck angle from the controller 220 and registers them.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부(230)는, 환자의 신체적 특성이나 인지적인 특성 등에 대한 환자 특성을 등급별로 분류시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해 두며, 각 환자 특성 등급에 대응하여 환자에 대한 연하 방지가 확실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표준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표준 환자 목 각도를 미리 시험 및 테스트 등을 통해 설정하여 등록해 둘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부(230)는, 제어부(220)로부터 입력되는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환자 목 각도와 기 설정된 표준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표준 환자 목 각도의 차이 값에 대응하여 제어부(220)로부터 입력되는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환자 목 각도를 보상해 주기 위한 보상 환자 머리 회전 각도, 보상 환자 목 각도에 대한 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등록해 둘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mory unit 230 classifies the patient characteristics, such as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r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 into classes and stores the data in a database. The memory unit 230 stores the patient characteristics, The standard patient head rotation angle and the standard patient neck angle can be set and registered by testing and testing in advance. The memory unit 230 receives the input from the controller 220 corresponding to the patient's head rotation angle, the patient's neck angle, the predetermined standard patient's head rotation angle, and the standard patient neck angle input from the control unit 220 The patient's head rotation angle, the compensated patient's head rotation angle to compensate the patient's neck angle, and the compensated patient's neck angle can be preset and registered.

머리받침부(240)는, 환자의 등에 착용되어 환자의 몸을 고정해 주기 위한 등받이의 상부(즉, 각도조절부(260)의 상부)에 형성되고 환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환자의 머리를 고정해 주며, 제어부(220)로부터 출력되는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제어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머리지지수단을 좌우로 회전시켜 환자의 머리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환자의 머리를 정준선에 위치시켜 준다.The headrest portion 240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ckrest (i.e., the upper portion of the angle adjusting portion 260) for fixing the patient's body by being worn on the back of the patient and is worn on the head of the patient, And controls the head rotation angle of the patient by rotating the head supporting means to the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head support rotation angle adjustment control signal outputted from the controller 220 to position the head of the patient on the canonical line.

높이조절부(250)는, 등받이의 상부와 머리받침부(240) 사이에 설치되어, 제어부(220)로부터 출력되는 받침부높이조절제어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머리받침부(240)를 상하로 이동시켜 머리받침부(240)의 높이를 환자의 머리 높이에 맞도록 조절해 준다.The height adjusting unit 250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backrest and the headrest unit 240 and adjusts the height of the headrest unit 240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adjustment control signal There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headrest portion 240 to match the head height of the patient.

각도조절부(260)는, 등받이와 머리받침부(240) 사이(즉, 높이조절부(25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제어부(220)로부터 출력되는 받침부각도조절제어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머리받침부(240)를 상하로 회전시켜 머리받침부(240)의 각도를 흡인 방지를 위한 환자의 목 각도(즉, 연하 보장 목 각도)에 맞도록 조절해 준다.The angle adjusting unit 260 is rotatably installed between the backrest and the headrest unit 240 (i.e., the upper portion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250) Accordingly, the headrest portion 240 is rotated up and down to adjust the angle of the headrest portion 240 to match the neck angle of the patient (that is, the neck angle).

디스플레이부(270)는,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제어부(220)의 제어 동작 상태, 머리받침부(240), 높이조절부(250), 각도조절부(260)의 동작 상태 등을 화면에 디스플레이시켜 준다.
The display unit 270 displays a control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 unit 220, an operation state of the headrest unit 240, the height adjustment unit 250, the angle adjustment unit 260, .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device for preventing aspiration of a dysphagia pat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우선 등받이를 환자의 등에 착용시켜 환자의 몸을 고정해 준 후에, 운용자(또는, 보호자, 간호사, 간병사 등)가 키패드,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입력수단을 통해 머리받침부(24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받침부높이조절버튼을 입력하는 경우에, 입력부(210)에서는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받침부높이조절버튼을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받침부높이조절버튼을 제어부(220)에 입력해 주게 된다.7, an operator (or a guardian, a nurse, a nursing staff, etc.) may be attached to the headrest 240 (e.g., a nurse, a nursing staff, etc.) through input means such as a keypad, a touch screen, The input unit 210 checks the height adjustment button of the support unit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and controls the height adjustment button of the support unit to the control unit 220, .

제어부(220)에서는, 입력부(210)로부터 입력되는 받침부높이조절버튼을 확인하여(S701), 해당 단계 S701에서 확인한 받침부높이조절버튼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받침부높이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준다(S702).The control unit 220 checks the height adjust button of the pedestal portion input from the input unit 210 in step S701 and generates a pedestal height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edestal height control button in step S701 (S702).

상술한 단계 S702에서 생성시킨 받침부높이조절제어신호는, 등받이의 상부와 머리받침부(240)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높이조절부(250)에 출력된다. 이때, 높이조절부(250)에서는, 제어부(220)로부터 출력되는 받침부높이조절제어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머리받침부(240)를 상하로 이동시켜 머리받침부(240)의 높이를 환자의 머리 높이에 맞도록 조절해 주게 된다(S703).The receiver height adjustment control signal generated in step S702 is output to the height adjuster 250 provided between the top of the back and the head receiver 240. [ The height adjuster 250 adjusts the height of the headrest 240 by vertically moving the headrest 240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adjustment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220, (S703).

상술한 단계 S703에서 환자의 머리 높이를 조절해 준 다음에, 운용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환자의 머리를 지지해 주기 위한 머리지지수단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버튼을 입력하는 경우에, 입력부(210)에서는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버튼을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버튼을 제어부(220)에 입력해 주게 된다.When the operator adjusts the head height of the patient in step S703 and then inputs a head support rotation angle adjustment button for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head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head of the patient through the input means The input unit 210 checks the head support rotation angle adjustment button input through the input means and inputs the identified head support rotation angle adjustment button to the controller 220. [

제어부(220)에서는, 입력부(210)로부터 입력되는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버튼을 확인하여(S704), 해당 단계 S704에서 확인한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버튼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준다(S705).The control unit 220 checks the head support rotation angle adjustment button input from the input unit 210 in step S704 and controls the head support rotation angle adjustment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head support rotation angle adjustment button identified in step S704 (S705).

상술한 단계 S705에서 생성시킨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제어신호는, 등받이의 상부(즉, 각도조절부(26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머리받침부(240)에 출력된다. 이때, 머리받침부(240)를 환자의 머리에 착용시켜 환자의 머리를 고정해 준 상태에서, 머리받침부(240)는 제어부(220)로부터 출력되는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제어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머리지지수단을 좌우로 회전시켜 환자의 머리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환자의 머리를 정준선에 위치시켜 주게 된다(S706).The head support rotation angle adjustment control signal generated in step S705 is output to the head support unit 240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ckrest (i.e., the upper portion of the angle adjustment unit 260). At this time, in a state where the headrest portion 240 is worn on the head of the patient and the head of the patient is fixed, the headrest portion 240 responds to the headrest rotation angle adjustment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220 The head supporting means is rotated left and right to adjust the head rotation angle of the patient so that the head of the patient is positioned on the normal line (S706).

상술한 단계 S706에서 환자의 머리 회전 각도를 조절해 준 다음에, 운용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머리받침부(24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받침부각도조절버튼을 입력하는 경우에, 입력부(210)에서는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받침부각도조절버튼을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받침부각도조절버튼을 제어부(220)에 입력해 주게 된다.When the operator inputs the anchor angle control button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head receiver 240 through the input means after the angle of the head rotation of the patient is adjusted in the step S706, The control unit 220 confirms the received image intensities of the images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and inputs the images of the received images into the controller 220. [

제어부(220)에서는, 입력부(210)로부터 입력되는 받침부각도조절버튼을 확인하여(S707), 해당 단계 S707에서 확인한 받침부각도조절버튼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받침부각도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준다(S708).The control unit 220 checks the sagittal angle control button input from the input unit 210 in step S707 and generates a sagittal angl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agittal angle control button in step S707 (S708).

상술한 단계 S708에서 생성시킨 받침부각도조절제어신호는, 등받이와 머리받침부(240) 사이(즉, 높이조절부(25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각도조절부(260)에 출력된다. 이때, 각도조절부(260)에서는, 제어부(220)로부터 출력되는 받침부각도조절제어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머리받침부(240)를 상하로 회전시켜 머리받침부(240)의 각도를 흡인 방지를 위한 환자의 목 각도(즉, 연하 보장 목 각도)에 맞도록 조절해 주게 된다(S709).The airstream degree adjustment control signal generated in step S708 is transmitted to the angle adjuster 260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between the backrest and the headrest unit 240 (i.e., the top of the height adjuster 250) . At this time, the angle adjusting unit 260 rotates the head receiving unit 240 up and down correspondingly to the receiving angle control signal outputted from the controller 220 so as to prevent the angle of the head receiving unit 240 from being sucked (I.e., the neck angle of the swallowing neck) for the patient (step S709).

상술한 단계 S709에서 환자의 연하 보장 목 각도를 조절해 준 후에, 운용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환자의 흡인 방지 자세를 세팅하기 위한 자세세팅버튼을 입력하는 경우에, 입력부(210)에서는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자세세팅버튼을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자세세팅버튼을 제어부(220)에 입력해 주게 된다.In the case where the operator inputs the posture setting button for setting the suction preventing posture of the patient through the input means after adjusting the swallowing neck angle of the patient in the step S709, The control unit 220 confirms the input posture setting button and inputs the confirmed posture setting button.

제어부(220)에서는, 입력부(210)로부터 입력되는 자세세팅버튼을 확인하여(S710), 해당 단계 S710에서 확인한 자세세팅버튼에 따라 머리받침부(240)의 현재 환자 머리 회전 각도, 높이조절부(250)의 현재 환자 머리 높이, 각도조절부(260)의 현재 환자 목 각도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며, 해당 확인된 현재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현재 환자 머리 높이, 현재 환자 목 각도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부(230)에 세팅시켜 준다(S711).The control unit 220 checks the posture setting button input from the input unit 210 in step S710 and adjusts the current patient's head rotation angle of the headrest unit 240 according to the posture setting button confirmed in step S710, 250, and information on the identified current patient's head rotation angle, current patient's head height, and current patient's neck angle, (Step S711).

상술한 단계 S711에서 현재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현재 환자 머리 높이, 현재 환자 목 각도에 대한 정보를 세팅해 준 후에, 운용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환자에게 맞는 흡인 방지 자세를 자동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자세시작버튼을 입력하는 경우에, 입력부(210)에서는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자세시작버튼을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자세시작버튼을 제어부(220)에 입력해 주게 된다.After setting information on the current patient's head rotation angle, the current patient's head height, and the current patient's neck angle in the above-described step S711, an operator can input an attitude start button The input unit 210 checks the posture start button input through the input means and inputs the confirmed posture start button to the control unit 220. [

제어부(220)에서는, 입력부(210)로부터 입력되는 자세시작버튼을 확인하여(S712), 해당 단계 S712에서 확인한 자세시작버튼에 따라 메모리부(230)에 세팅해 둔 환자 머리 높이,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환자 목 각도에 대한 정보를 판독하며, 해당 판독한 환자 머리 높이,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환자 목 각도에 대한 정보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받침부높이조절제어신호,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제어신호, 받침부각도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준다(S713).The control unit 220 checks the posture start button input from the input unit 210 in step S712 and displays the patient head height set in the memory unit 230 according to the posture start button confirmed in step S712, , The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 neck angle is read a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ad height of the patient head, the patient's head rotation angle, and the neck angle of the patient is read, and the corresponding head height adjustment control signal, head support rotation angle adjustment control signal, And generates a brightness control signal (S713).

상술한 단계 S713에서 생성시킨 받침부높이조절제어신호,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제어신호, 받침부각도조절제어신호는, 각각 높이조절부(250), 머리받침부(240), 각도조절부(260)에 출력된다. 이때, 높이조절부(250)는 제어부(220)로부터 출력되는 받침부높이조절제어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머리받침부(240)를 상하로 이동시켜 머리받침부(240)의 높이를 환자의 머리 높이에 맞도록 자동적으로 조절해 주며, 또한 머리받침부(240)는 제어부(220)로부터 출력되는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제어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머리지지수단을 좌우로 회전시켜 환자의 머리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환자의 머리를 정준선에 자동적으로 위치시켜 주며, 또한 각도조절부(260)는 제어부(220)로부터 출력되는 받침부각도조절제어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머리받침부(240)를 상하로 회전시켜 머리받침부(240)의 각도를 흡인 방지를 위한 환자의 목 각도(즉, 연하 보장 목 각도)에 맞도록 자동적으로 조절해 준다(S714).The headrest height adjustment control signal, the head support rotation angle adjustment control signal, and the support incidence angle adjustment control signal generated in step S713 are respectively transmitted to the height adjustment unit 250, the head support unit 240, the angle adjustment unit 260 . At this time, the height adjusting unit 250 moves the head receiving unit 240 up and down correspondingly to the receiving unit height adjusting control signal outputted from the controller 220 to adjust the height of the head receiving unit 240 to the head The head supporting unit 240 rotates the head supporting mean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head supporting rotation angle adjusting control signal outputted from the control unit 220, And the angle adjusting unit 260 adjusts the angle of the headrest 240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angle of the elevation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220, So that the angle of the head restraint 240 is automatically adjusted to match the neck angle of the patient to prevent the suction (i.e., the swollen neck angle) (S714).

상술한 단계 S714에서 환자 머리 높이,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환자 목 각도를 자동적으로 조절해 준 후에, 운용자가 입력수단을 통해 환자 특성 등급을 선택하는 경우에, 입력부(210)에서는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환자 특성 등급을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환자 특성 등급을 제어부(220)에 입력해 주게 된다.When the operator selects the patient characteristic level through the input means afte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patient's head height, the patient's head rotation angle, and the patient's neck angle in the above-described step S714, the input unit 210 inputs And inputs the identified patient characteristic class to the control unit 220. [0050] FIG.

제어부(220)에서는, 입력부(210)로부터 입력되는 환자 특성 등급을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환자 특성 등급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표준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표준 환자 목 각도에 대한 정보를 판독하며, 해당 판독한 표준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표준 환자 목 각도와 해당 확인된 현재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현재 환자 목 각도의 차이 값을 계산한 후에, 해당 계산된 차이 값에 대응하는 보상 환자 머리 회전 각도, 보상 환자 목 각도에 대한 정보를 판독하며, 해당 판독한 보상 환자 머리 회전 각도, 보상 환자 목 각도에 대한 정보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제어신호, 받침부각도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켜 머리받침부(240), 각도조절부(260)에 출력해 줄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220 checks the patient characteristic grades inputted from the input unit 210 and reads information on the standard patient's head rotation angle and the standard patient's neck angle corresponding thereto according to the identified patient characteristic grades, After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andard patient head rotation angle, the standard patient neck angle, the identified current patient head rotation angle, and the current patient neck angle, the compensated patient head rotation angle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difference value, And generates a head support rotation angle control signal and a support rotation angl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ad information of the compensated patient head rotation angle and the compensated patient neck angle, ), And output it to the angle adjusting unit 260.

머리받침부(240)는 제어부(220)로부터 출력되는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제어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머리지지수단을 좌우로 회전시켜 환자의 머리 회전 각도를 보상해 줄 수 있으며, 또한 각도조절부(260)는 제어부(220)로부터 출력되는 받침부각도조절제어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머리받침부(240)를 상하로 회전시켜 머리받침부(240)의 각도를 흡인 방지를 위한 환자의 목 각도(즉, 연하 보장 목 각도)에 맞도록 보상해 줄 수 있음으로써, 환자의 최적 삼킴 자세를 유지하도록 해 줄 수 있으며, 흡인으로부터 더욱 안전한 연하가 이루어질 수 있고 더 안전한 식사를 할 수 있다.
The head supporting part 240 can compensate the rotation angle of the head of the patient by rotating the head supporting mean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head supporting rotation angle adjusting control signal outputted from the controller 220, The controller 260 controls the angle of the headrest 240 by rotating the headrest 240 in the vertic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angle of the airstream outputted from the controller 220, (Ie, swollen neck angle), thereby allowing the patient to maintain an optimal swallowing attitude, more safe swallowing from the aspiration, and safer eating.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apparatus and / or method, but may be implemented by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100, 200: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
110: 등받이부
111: 몸고정수단
112: 등받이고정수단
113: 연결수단
120, 240: 머리받침부
121: 머리지지수단
122: 밴딩수단
130, 250: 높이조절부
140, 260: 각도조절부
210: 입력부
220: 제어부
230: 메모리부
270: 디스플레이부
100, 200: Anti-suction device for patients with difficulty swallowing
110:
111: Body fixing means
112: backrest fixing means
113: Connection means
120, 240: headrest portion
121: Head supporting means
122: Banding means
130, 250:
140, 260:
210:
220:
230: memory unit
270:

Claims (10)

환자의 등에 착용되어 환자의 몸을 고정하기 위한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환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환자의 머리를 고정하기 위한 머리받침부;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머리받침부 사이에 설치되어 환자의 머리 높이에 맞도록 상기 머리받침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 및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머리받침부 사이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환자의 연하 보장 목 각도에 맞도록 상기 머리받침부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등받이부는,
일 측이 상기 등받이부의 양 측부에 연결 형성되고 다른 일 측이 체결수단을 구비하여, 환자의 등이 밀착되도록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환자의 몸을 고정시켜 주기 위한 몸고정수단;
일 측이 상기 등받이부의 양 측부에 연결 형성되고 다른 일 측이 체결수단을 구비하여,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대상체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등받이고정수단; 및
상기 등받이부의 양 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몸고정수단과 상기 등받이고정수단을 각각 연결해주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몸고정수단과 상기 등받이고정수단이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전후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머리받침부는,
상기 머리받침부의 양 측부에 형성되어, 환자의 머리가 정준선에 유지되도록 환자의 머리를 지지하기 위한 머리지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머리지지수단은, 양 측부에 회동장치를 구비시켜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의 측면 각도를 조절하여 환자의 머리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
A backrest for fixing the body of the patient by being worn on the back of the patient;
A headrest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ckrest for fixing the head of the patient by being worn on the head of the patient;
A height adjuster installed between the backrest and the headrest to adjust a height of the headrest to match the head height of the patient; And
And an angle adjusting unit installed to be rotatable between the backrest and the headrest to adjust the angle of the headrest to match the neck angle of the patient,
Wherein the backrest comprises:
Body fixing means for fixing the patient's body using fastening means such that one side is connected to both side portions of the back portion and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fastening means and the patient's back is closely contacted;
Backrest fixing means for fixing one side of the backrest to the stationary object using the fastening means and the other side of the backrest being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backrest; And
And a connecting mea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ckrest for connecting the body fastening means and the backrest fastening means,
The connecting means forms a passage for allowing the body fixing means and the backrest fixing means to move back and forth in a state where they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headrest (100)
And head supporting mea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eadrest portion for supporting the head of the patient so that the head of the patient is held at the normal line,
Wherein the head supporting means is provided with a pivoting device on both sides so as to adjust the angle of the head of the patient by adjusting the side angle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몸고정수단 또는 상기 등받이고정수단의 일 측을 권취하여 상기 몸고정수단 또는 상기 등받이고정수단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권취장치; 및 상기 권취장치의 회전을 고정시켜 조절된 길이를 유지하거나, 상기 권취장치의 회전 고정을 해제하기 위한 고정/해제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means comprises: a winding device for winding one side of the body fixing means or the backrest fixing means and adjusting the length of the body fixing means or the backrest fixing means; And a fixing / releasing device for holding the adjusted length by fixing the rotation of the winding device or releasing the rotation fixing of the winding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받침부는,
상기 머리받침부의 양 측부에 형성되어, 환자의 머리를 감싸도록 밴딩하여 환자의 머리에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한 밴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
The headrest according to claim 1,
And banding means formed on both side portions of the headrest portion for bending the head of the patient so as to provide a bearing force to the head of the pati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등받이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내부에서 슬라이드 안내하기 위한 슬라이드홈부재;
상기 머리받침부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홈부재의 슬라이드 안내에 따라 슬라이딩하여 환자의 머리 높이에 맞게 상기 머리받침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슬라이드부재; 및
상기 슬라이드홈부재와 상기 슬라이드부재 사이를 고정시켜 상기 머리받침부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슬라이드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height adjuster comprises: a slide groove member formed on the backrest and guiding the slide guide therein;
A slide member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headrest portion and sliding along the slide guide of the slide groove member to adjust a height of the headrest portion according to a head height of a patient; And
And a slide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height between the slide groove member and the slide member to keep the height of the head support unit constant.
제1항에 있어서,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받침부높이조절버튼,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버튼, 받침부각도조절버튼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받침부높이조절버튼을 입력받아 받침부높이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높이조절부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입력부로부터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버튼을 입력받아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머리받침부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입력부로부터 받침부각도조절버튼을 입력받아 받침부각도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각도조절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height adjustment button, a head support rotation angle adjustment button, and a support incidence angle adjustment button, which are input through input means;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by receiving a height adjustment control signal of the receiving unit from the input unit and receiving a head supporting rotation angle adjusting button from the input unit to generate a head supporting rotation angle adjusting control signal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headrest unit and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input unit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angle of the control unit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angle control unit,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자세세팅버튼을 입력받아 상기 머리받침부의 현재 환자 머리 회전 각도, 상기 높이조절부의 현재 환자 머리 높이, 상기 각도조절부의 현재 환자 목 각도를 확인하여 메모리부에 세팅시키며, 상기 입력부로부터 자세시작버튼을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부에 세팅해 둔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환자 머리 높이, 환자 목 각도를 판독하며, 판독한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환자 머리 높이, 환자 목 각도에 대응하는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제어신호, 받침부높이조절제어신호, 받침부각도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머리받침부, 상기 높이조절부, 상기 각도조절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
8. The apparatus of claim 7,
A current patient's head rotation angle of the headrest, a current patient's head height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and a current patient's neck angle of the angle adjustment unit are set in a memory unit by receiving a posture setting button from the input unit, The patient's head rotation angle, the patient's head height, and the patient's neck angle set in the memory unit upon receipt of the button are read, and the read head rotation angle, the patient's head height, Wherein the control unit generates the signal, the pedestal height adjustment control signal, the pedestal height adjustment control signal, and outputs the signal to the headrest, the height adjuster, and the angle adjust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환자 특성 등급에 대응하는 표준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표준 환자 목 각도를 판독하며, 상기 머리받침부의 현재 환자 머리 회전 각도, 상기 높이조절부의 현재 환자 머리 높이, 상기 각도조절부의 현재 환자 목 각도를 확인하며, 판독한 표준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표준 환자 목 각도와 확인한 현재 환자 머리 회전 각도, 현재 환자 목 각도의 차이 값을 계산한 후에, 계산된 차이 값에 대응하는 보상 환자 머리 회전 각도, 보상 환자 목 각도를 판독하며, 판독한 보상 환자 머리 회전 각도, 보상 환자 목 각도에 대응하는 머리지지회전각도조절제어신호, 받침부각도조절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머리받침부, 상기 각도조절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
8. The apparatus of claim 7,
A standard patient's head rotation angle and a standard patient's neck angle corresponding to a patient characteristic grade input from the input unit, and the current patient's head rotation angle of the headrest, the current patient's head height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After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ad standard patient head rotation angle, the standard patient neck angle, the current patient head rotation angle, and the current patient neck angle, the compensated patient head rotation angle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difference value A head support rotation angle adjustment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mpensated patient head rotation angle, a compensated patient neck angle, and a head support angle control signal, To the suction port of the patient.
삭제delete
KR1020140142302A 2014-10-21 2014-10-21 Apparatus for preventing aspiration of patient with dysphagia KR1016401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302A KR101640154B1 (en) 2014-10-21 2014-10-21 Apparatus for preventing aspiration of patient with dysphagi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302A KR101640154B1 (en) 2014-10-21 2014-10-21 Apparatus for preventing aspiration of patient with dysphagi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445A KR20160046445A (en) 2016-04-29
KR101640154B1 true KR101640154B1 (en) 2016-07-15

Family

ID=55915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2302A KR101640154B1 (en) 2014-10-21 2014-10-21 Apparatus for preventing aspiration of patient with dysphagi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015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0377A (en) 2022-02-09 2023-08-17 이가은 Straw for taking pill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182B1 (en) * 2019-12-17 2021-06-0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Anti-head drop pillow for rehabilitation patients in tilt table stand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786Y1 (en) 2002-01-24 2002-05-16 박홍재 head rest
JP2003325596A (en) 2002-05-13 2003-11-18 Fuji Kogyo Kk Head receiver
JP2012016583A (en) * 2010-06-10 2012-01-26 Yoshida Dental Mfg Co Ltd Chair with headres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9184A (en) * 1997-09-25 1999-04-13 Matsumoto Gishi Seisakusho:Kk Mountable/demountable head posture control device
KR100870912B1 (en) 2007-08-23 2008-11-28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for the act of swallowing
KR200472562Y1 (en) 2014-04-03 2014-05-07 박지수 Exercise equipment for strengthening swallowing muscl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786Y1 (en) 2002-01-24 2002-05-16 박홍재 head rest
JP2003325596A (en) 2002-05-13 2003-11-18 Fuji Kogyo Kk Head receiver
JP2012016583A (en) * 2010-06-10 2012-01-26 Yoshida Dental Mfg Co Ltd Chair with headres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0377A (en) 2022-02-09 2023-08-17 이가은 Straw for taking pil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445A (en) 2016-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2640B1 (en)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EP3205241B1 (en) Headrest adjusting device and method
Zhang et al. A real-time auto-adjustable smart pillow system for sleep apnea detection and treatment
CN110859469B (en) Intelligent pillow
US20190059589A1 (en) Smart sea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8620448B1 (en) Non-invasive, wireless, portable device applicable to the finger to reduce the risk of sudden infant death syndrome and reduce the risk of apnea, slower heart rate, and heart arrest in all age groups
CN104582661A (en) Sleeping position-controlling bed system
WO2011082346A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alyzing, and/or adjusting sleep conditions
KR20230070311A (en) Wearable device for reducing shortness of breath in sleeping subjects
CN106859887A (en) The nursing mattress of sleeping position conversion is realized based on detection breathing
CN105078102A (en) Sleeping posture detection method and pillow with adjustable height
CN107468358A (en) System is rescued in a kind of muscular function training
KR102193742B1 (en)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sleep management based on internet of things
CN11342336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sleep apnea
KR101640154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aspiration of patient with dysphagia
CN211067751U (en) Ophthalmic postoperative rehabilitation assembly
JP4175278B2 (en) Sleep apnea syndrome prevention device
KR102437655B1 (en) Tension type training device to strengthen the larynx
CN109602534A (en) A kind of mandible go forward device for preventing snoring with intelligent automatic adjusting
KR20170069822A (en) health care chair structure
CN110916422B (en) Active intervention guiding lateral-lying snore stopping mattress system
KR101667671B1 (en) wearable electrical stimulation correction apparatus
US6165134A (en) Apparatus for facilitating respiratory rhythm control
JP2019005518A (en) Health measurement device of simple-style operational bioinstrumentation system in which carry bag attached with multi-cassette type drone to be able to float and move
CN218127734U (en) Electric b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