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0023B1 - Wireless communication double antenna for portable electronic appliance - Google Patents

Wireless communication double antenna for portable electronic appli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0023B1
KR101640023B1 KR1020150006341A KR20150006341A KR101640023B1 KR 101640023 B1 KR101640023 B1 KR 101640023B1 KR 1020150006341 A KR1020150006341 A KR 1020150006341A KR 20150006341 A KR20150006341 A KR 20150006341A KR 101640023 B1 KR101640023 B1 KR 101640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loop pattern
pattern
mode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63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정일
박종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엠텍
Priority to KR1020150006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02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0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0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 H01Q1/221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used in interrogator/reader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dual antenna for a mobile terminal. The antenna is based on a base film (10) and has a start terminal (21), a common terminal (23), and an end terminal outside while an external loop pattern (31) and an internal loop pattern (33) are connected by a connection pattern (32). The external loop pattern (31) from the start terminal (21) to the common terminal (23) is for first mode wireless communication (40), and together with the external loop pattern (31) from the start terminal (21) to the end terminal (24) through the connection pattern (32), the internal loop pattern (33) is for second mode wireless communication (50). Especially, as the second mode wireless communication (50) is realized by from the external loop pattern (31) to the internal loop pattern (330), the present invention can guarantee improved non-contact magnetic induction combination force.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무선통신 이중 안테나{WIRELESS COMMUNICATION DOUBLE ANTENNA FOR PORTABLE ELECTRONIC APPLIANCE}[0001] WIRELESS COMMUNICATION DOUBLE ANTENNA FOR PORTABLE ELECTRONIC APPLIANCE [0002]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무선통신 이중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타트단자로부터 공통단자에 이르는 외곽 루프패턴에 의해 제 1 모드 무선통신을 구현케 하고 스타트단자로부터 연결패턴을 지나 엔드단자에 이르는 외곽 루프패턴과 더불어 내곽 루프패턴에 의해 제 2 모드 무선통신을 확장 구현케 한 휴대 단말기용 무선통신 이중 안테나 휴대 단말기용 무선통신 이중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dual antenna for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communication dual antenna for a portable terminal which realizes a first mode wireless communication by an outer loop pattern from a start terminal to a common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dual antenna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ual antenna portable terminal for a portable terminal that extends a second mode wireless communication by an inner loop pattern in addition to an outer loop pattern.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윈도우를 보면서 인터넷 및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폰 등을 한 예로 들 수 있다.
Generally, a mobile terminal is an intelligent terminal that adds a computer support function such as an internet communication and an information search to a mobile phone, and is a smart phone that can utilize the Internet and various applications (application programs) while viewing a window displaying a screen .

선행기술문헌 1로서 공개특허 제2013-0113222호(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소개할 수 있다.Laid-Open Publication No. 2013-0113222 (an antenna and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the antenna) can be introduced as the prior art document 1.

도 1a는 선행기술문헌 1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FIG. 1A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ior art document 1. FIG.

이동 단말기(100)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udio / video (A / V) input unit 120, a user input unit 13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 memory 160, an interface unit 170, a control unit 180, a power supply unit 190, and the like.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고,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136), 터치 센서(정압/정전)(137)로 구성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14,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Audio / Video)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121 and a microphone 122. The user input unit 130 is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mobile terminal 100, A button 136 positioned on the side surface, and a touch sensor (static pressure / static electricity) 137.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키고,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40 senses the current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such as the open / clos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presence or absence of user contact, the orient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141. The output unit 150 generates an output related to visual, auditory or tactile sense, The display unit 151, the sound output module 152, the alarm unit 153, and the haptic module 154, for example.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memory unit 16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180 and temporarily store the input / output data (e.g., telephone directory, message, audio, For example.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 path for communication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interface unit 17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supplies power to each component in the mobile terminal 100 or transmits data to the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having an identification module, an audio I / O port, A video input / output (I / O) port, an earphone port,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170.

제어부(controller)(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voice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video communication, and the like. The control unit 180 may include a multimedia module 181 for multimedia playback.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and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전원 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배터리, 연결포트, 전원공급제어부 및 충전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include, for example, a battery, a connection port, a power supply control unit, and a charge monitoring unit.

도 1b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1B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1.

도 1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즉,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Referring to FIG. 1B, a camera 121 'may be further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hat is, the rear case 102. A flash 123 and a mirror 124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adjacent to the camera 121 '. The flash 123 illuminates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camera 121 '.

도 1c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안테나(200)가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커버(103)에 부착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1C is a plan view showing that the antenna 200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is attached to the rear cover 103 of the mobile terminal 100. FIG.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프론트 케이스(101), 리어 케이스(102), 후면커버(또는 배터리 커버)(103), 카메라(121'), 인터페이스(170), 마이크(122), 음향출력부(152'), 배터리(191), 배터리 장착부(104), USIM카드 장착부(105), 메모리카드 장착부(106)가 도시되어 있다.1A to 1C, a front case 101, a rear case 102, a rear cover (or a battery cover) 103, a camera 121 ', an interface 170, a microphone 122, A battery 191, a battery mounting portion 104, a USIM card mounting portion 105, and a memory card mounting portion 106 are shown.

리어 케이스(102) 표면에는 배터리 장착부(104), USIM카드 장착부(105) 및 메모리카드 장착부(106)와 같은 외장부품이 실장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실장되는 외장부품은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이 다양화되고 다양해진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rear case 102 may have a space on which external components such as the battery loading unit 104, the USIM card loading unit 105, and the memory card loading unit 106 may be mounted. In general, the external component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rear case 102 is for expanding the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 order to fulfill the diversified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

안테나(200)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이 다양화되면서 외부 장치 및 서버와 무선 통신을 할 필요성이 높아졌다.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방송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200), Wibro, HSDPA, GSM, CDMA, WCDMA, LTE 등 무선인터넷을 위한 안테나(200),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안테나(200) 등이 필요하다.The antenna 200 is required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nd a server while diversifying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 An antenna 200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such as an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of a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or an ESG (Electronic Service Guide) of a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An antenna 200 for a wireless Internet such as HSDPA, GSM, CDMA, WCDMA and LTE, a Bluetooth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UWB (Ultra Wideband), and an antenna 200 for ZigBe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이러한 안테나(200)는 전파의 수신을 위해 넓은 면적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다른 전자부품들의 영향을 받지 않기 위해 이동 단말기(100)의 표면쪽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전자부품이 실장 되지 않아 넓은 면적을 확보할 수 있는 후면커버(103)에 상기 안테나(200)를 배치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antenna 200 is formed on a large area for reception of radio waves and is located on the surface side of the mobile terminal 100 so as not to be influenced by other electronic components. Therefore, as shown in FIG. 1C, the antenna 200 is disposed on the rear cover 103, which can secure a large area without mounting an electronic component.

선행기술문헌 1의 안테나(200)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성기판(210), 2가지 종류의 패턴, 자성시트(230)를 주요구성으로 한다.The antenna 200 of the prior art document 1 has a soft substrate 210, two types of patterns, and a magnetic sheet 230 as shown in FIG. 1C.

패턴은 크게 2가지 종류로 고주파용 패턴(220)과 저주파용 패턴(225)으로 구분된다. 즉,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고주파용 패턴(220)은 무선통신에 적합하고, 저주파용 패턴(225)은 주로 배터리의 무선충전에 적합하다.The patterns are roughly divided into a high frequency pattern 220 and a low frequency pattern 225 in two types. That is, different frequency bands are used. The high frequency pattern 220 is suitab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low frequency pattern 225 is mainly suitable for wireless charging of a battery.

이동 단말기(100)에 이용되는 무선충전기술은 전자기 유도 원리를 이용한다.The wireless charging technique us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utilizes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principle.

전자기 유도는 전류를 흘려 자기장을 형성하고, 그 위에 이동 단말기(100)를 놓으면 이동 단말기(100)에 장착된 저주파용 패턴, 즉 무선 충전용 코일(225)에 전류가 흘러 충전이 된다.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flows a current to form a magnetic field, and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placed on the magnetic field, a current flows through the low frequency pattern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that is, the wireless charging coil 225 to be charged.

전송하는 전력량에 따라 주파수가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와 같은 소형 가전제품에 이용되는 전력은 수백 ㎑이하로 비교적 낮은 주파수를 이용한다. Generally, the power used in a small household appliance such as the mobile terminal 100 uses a relatively low frequency of several hundreds kHz or less, although the frequency may vary depending on the amount of power to be transmitted.

무선통신은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이 다양화되면서, 전화통화를 위한 전파의 전송 이외에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의 기능을 위해서도 안테나가 필요하다. 특히 무선통신 기술에 따라 이용하는 주파수는 다르며,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무선 충전에 이용되는 주파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주파를 이용한다.As the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are diversified, an antenna is required for the functions of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 addition to transmission of radio waves for telephone conversation. Particularly, the frequency used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high frequency is used relative to the frequency used for wireless charging to transmit a large amount of data.

선행기술문헌 1의 무선 통신용 안테나(200)가 이용되는 통신 방식의 예로 근거리 무선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을 들 수 있다. 근거리 무선통신은 전자태그(RFID)의 일종으로 약 13.56㎒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비접촉식 무선통신 모듈이다.An example of a communication method in which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200 of the prior art document 1 is used is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a kind of RFID (non-contact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using a frequency band of about 13.56 MHz.

대략 10∼40㎝의 가까운 거리에서 단말기(100) 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로서, 통신거리가 짧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보안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해 주목받는 차세대 근거리 통신기술이다. 데이터 읽기와 쓰기를 모두 이용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처럼 기기간에 설정이 필요 없어 최근 이동 단말기(100)에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부가하고 있다.Is a technology for transmitting data between terminals 100 at a distance of approximately 10 to 40 cm, and is a next generation local area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is relatively notable in security and low in price because of its short communication distance. Data reading and writing can both be used, and it is not necessary to set up between devices like Bluetooth, so that a near-field communication function is recently add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그런데,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고주파용 패턴(220)과 저주파용 패턴(200)이 서로 물리적으로 완전 격리된 상태로 배치되므로 인하여 전체 면적이 상대적으로 커질 수밖에 없고, 특히 고주파용 패턴(220)은 10∼40㎝의 거리에서 전자기 유도작용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저주파용 패턴(220)보다 상대적으로 패터닝 길이가 커야만 하는데 저주파용 패턴(200)과의 이격된 상태에서 더 크게 권회되어야만 하여 점유공간을 넓고 크게 차지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In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1, since the high-frequency pattern 220 and the low-frequency pattern 200 are physically and completely isolated from each other, the entire area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relatively large. In particular, The pattern pattern 220 needs to have a patterning length relatively larger than that of the low frequency pattern 220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action at a distance of 10 to 40 cm. In the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low frequency pattern 200, It has to be widely circulated so that it occupies a large and occupied space.

도 2a는 선행기술문헌 2(공개특허 제2013-0123310호; 공진 방식 무선 전력 수신 시스템에서 공진단 장치)가 적용되는 공진 방식 무선 전력 수신 시스템에서 NFC 안테나 및 WPT 공진기의 평면상 배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2b는 NFC 안테나 및 WPT 공진기의 휴대용 단말기 상에서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다.2A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planar arrangement structure of an NFC antenna and a WPT resonator in a resonance type wireless power receiving system to which a prior art document 2 (Laid-Open Patent Application No. 2013-0123310; resonance stage device in a resonance type wireless power receiving system) is applied. And FIG. 2B shows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NFC antenna and the WPT resonator on the portable terminal.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먼저 선행기술문헌 2가 적용되는 무선 전력 수신 시스템,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에서 NFC 안테나(10) 및 WPT 공진기(20)의 기구적인 실장 상태를 살펴보면, 평면적으로 루프형 안테나 구조를 NFC 안테나(10)는 마찬가지로 루프형 안테나 구조를 가지는 WPT 공진기(2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Referring to FIGS. 2A and 2B, the mechanical mounting of the NFC antenna 10 and the WPT resonator 20 in a wireless power receiving system, for example, a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prior art document 2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Type antenna structure The NFC antenna 10 is installed so as to be located inside the WPT resonator 20 having the loop antenna structure.

또한, NFC 안테나(10)는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1) 뒷면에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배터리 부위에) 설치될 수 있으며, WPT 안테나(20)는 휴대용 단말기의 뒷면 커버(2)에 설치될 수 있다.The NFC antenna 10 may be install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main body 1 of the portable terminal 1 (on the battery part that can be removably installed), and the WPT antenna 20 may be installed on the back cover 2 of the portable terminal. .

이때, NFC 안테나(10)와 WPT 공진기(20) 사이에는 아이솔레이션 특성확보를 위해 적절히 설계된 이격 거리(Isolation d, Isolation h)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이격 거리에 의해 NFC 안테나(10)와 WPT 공진기(20)두 주파수(@13.56MHz, 6.78MHz)의 아이솔레이션 특성이 기구적으로 결정된다.At this time, a properly designed isolation distance (Isolation d, Isolation h) is generated between the NFC antenna 10 and the WPT resonator 20 in order to secure the isolation characteristic. This isolation distance mechanically determines the isolation characteristics of the two frequencies (@ 13.56 MHz, 6.78 MHz) of the NFC antenna 10 and the WPT resonator 20.

도 2c는 선행기술문헌 2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진 방식 무선 전력 수신 시스템에서 공진단 장치의 회로도이고, 부호 20은 고임피던스 회로이다.2C is a circuit diagram of a resonance stage device in a resonance type wireless power receiv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ior art document 2, and 20 is a high impedance circuit.

도 2c를 참조하여, 선행기술문헌 2의 특징에 따른 공진단 장치는 WPT 전력용 증폭기(Power Amplifier: PA)(미도시)에서 방출되는 체배 성분(harmonics)이 외부로 방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WPT 공진기(20)에 션트 캐패시터(shunt capacitor)(40)를 연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C, the resonance stage device according to the feature of the prior art document 2 includes a WPT resonator (not shown) to prevent the harmonics emitted from the WPT power amplifier (PA) 20 may be connected to a shunt capacitor 40.

그런데,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공진 방식 무선 전력 수신 시스템에서 공진단 장치 역시 NFC 안테나(10)와 WPT 공진기(20)가 서로 물리적으로 완전 격리된 상태로 배치되므로 인하여 전체 면적이 상대적으로 커질 수밖에 없으며 점유공간 또한 넓고 크게 차지할 수밖에 없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However, in the resonance-type wireless power receiv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2, since the NFC antenna 10 and the WPT resonator 20 are physically and completely isolated from each other, the total area of the NFC antenna 10 and the WPT resonator 20 are relatively large, The space is also wide and has a disadvantage that it occupies a large part.

도 3은 선행기술문헌 3(공개특허 제2013-0027403호)의 실시예에 따라 전력 공급 주파수 대역을 6.78㎒를 이용하는 경우 무선 전력전송 제어 장치(100)의 회로도이다.3 is a circuit diagram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100 when the power supply frequency band is 6.78 MHz in accordance with the embodiment of the prior art document 3 (Laid-Open Patent Application No. 2013-0027403).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전송 제어 장치(100)는 13.56㎒ 대역을 통신 주파수 대역으로 이용하고, 전력 공급 주파수 대역을 통신 주파수 대역과 다른 6.78㎒ 대역을 이용함으로써, 전력 공급 신호와 통신 신호의 세기를 높이더라도 규제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3,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100 uses the 13.56 MHz band as the communication frequency band and uses the power supply frequency band different from the communication frequency band as the 6.78 MHz band, Even if the intensity is increased, it will not be affected by the regulation.

또한, 선행기술문헌 3의 실시예에 따라 13.56㎒ 대역을 통신 주파수 대역으로 이용하고, 전력 공급 주파수 대역을 통신 주파수 대역과 다른 6.78㎒ 대역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 전력 전송 제어 장치(100)의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13.56 MHz band is used as the communication frequency band and the power supply frequency band is different from the communication frequency band using the 6.78 MHz ba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ior art document 3, The configuration can be configured differently.

예를 들면, 도 3과 같이 Power IC(120) 외부에 NFC IC(140)와의 무선 전력 전송제어 신호 송수신을 위한 별도의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a separate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 receiv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signal to / from the NFC IC 140 may be provided outside the Power IC 120.

더욱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전송 제어 장치(100)의 회로는 WPT 코일(410), NFC 코일(440), Power IC(420),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 Expander(422), ADC(Analog Digital Converter)(424), NFC IC(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3, the circuit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100 includes a WPT coil 410, an NFC coil 440, a Power IC 420, a GPIO (general purpose input / output) expander 422, An ADC (Analog Digital Converter) 424, and an NFC IC 430.

WPT 코일(410)은 POWER IC(420)와 연결될 수 있으며, 6.78㎒의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하여, 전력 공급 장치(TX)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POWER IC(420)로 제공한다. Power IC(420)는 무선 전력 수신에 필요한 각종 신호를 생성하고, 전력 공급 장치(TX)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그리고, Power IC(420)는 WPT 코일(410)을 수신한 전력에 따른 전압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 전송 제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활성화시킨다. 또한, 전력을 공급받는 동안,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얻어지는 전류 및 전압을 측정 및 조절하고, 일정 전압(VDC_out)을 출력한다.The WPT coil 410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IC 420 and resonates in a frequency band of 6.78 MHz to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TX and provide it to the POWER IC 420. The Power IC 420 generates various signals required for wireless power reception and operates according to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message received from the power supply TX. The power IC 420 activate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100 by using the voltage according to the power received by the WPT coil 410. Also, while receiving power, it measures and adjusts the current and voltage obtained by the supplied power, and outputs a constant voltage (VDC_out).

GPIO Expander(422)는 입출력 모듈로서, POWER IC(420)와 NFC IC(430)사이에서 POWER IC(420)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를 NFC IC(430)로 입력되도록 하고, NFC IC(430)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를 POWER IC(420)에 입력되도록 한다. ADC(424)는 POWER IC(420)와 NFC IC(430)가 주고 받는 신호에 대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POWER IC(420)와 NFC IC(430)간에 신호 송수신을 조절한다.The GPIO Expander 422 is an input / output module that allows a signal output by the POWER IC 420 to be input to the NFC IC 430 between the POWER IC 420 and the NFC IC 430, So that a signal output by the power IC 420 is input to the POWER IC 420. The ADC 424 converts an analog signal to a digital signal with respect to a signal exchanged between the POWER IC 420 and the NFC IC 430 and converts the digital signal into an analog signal and outputs the digital signal to the POWER IC 420 and the NFC IC 430, Thereby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ignals.

NFC IC(430)는 Power IC(420)에 의해 제공되는 전력에 따라 동작하며, NFC 코일(440)을 통해 전력 공급 장치(TX)와 NFC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NFC 코일(440)은 13.56㎒ 대역에서 전파 방사 및 전파 수신이 가능한 NFC 코일(Coil)로 구성될 수 있다.The NFC IC 430 operates in accordance with the power provided by the Power IC 420 and performs NFC communication with the power supply TX through the NFC coil 440. At this time, the NFC coil 440 may be composed of an NFC coil capable of radio wave radiation and radio wave reception in the 13.56 MHz band.

NFC IC(430)는 NFC 안테나(440)를 통해 전력 공급 장치(TX)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고, 수신된 신호에 따라 무선 전력 전송 제어 신호를 NFC IC 입출력부(431)를 이용하여 Power IC(420)로 전달한다. 이때 NFC IC 입출력부(431)는 SDA 단자와 SDC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SDA 단자는 무선 전력 전송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출력하고, SDC 단자는 클럭을 출력한다. 또한 선행기술문헌 3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전력 전송 제어 신호는 무선 전력 전송에 필요한 제어 신호로서, 전압, 전류, 온도 등의 조절이 가능하다.The NFC IC 430 analyzes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power supply TX through the NFC antenna 440 and output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signal to the power IC 431 using the NFC IC input / (420). At this time, the NFC IC input / output unit 431 may include an SDA terminal and an SDC terminal. The SDA terminal receives or outputs data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and the SDC terminal outputs a clock. Als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ior art document 3,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signal is a control signal required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it is possible to control voltage, current, temperature, and the like.

한편, 상기한 선행기술문헌 3의 실시예에서는 전력 공급 주파수 대역을 6.78㎒를 이용하고, 13.56㎒ 대역을 통신 주파수 대역으로 이용하는 경우를 예를 들었지만, 전력 공급 주파수 대역을 100∼200㎑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document 3, the case where the power supply frequency band is 6.78 MHz and the 13.56 MHz band is used as the communication frequency band has been described, but the power supply frequency band may be used at 100-200 kHz have.

그런데, 선행기술문헌 3에 따른 무선 전력전송 제어 장치 역시 WPT 코일(410)과 NFC 코일(440)이 서로 물리적으로 완전 격리된 상태로 배치되므로 인하여 전체 면적이 상대적으로 커질 수밖에 없으며 점유공간 또한 넓고 크게 차지할 수밖에 없는 한계를 안고 있다.
However, since the WPT coil 410 and the NFC coil 440 are physically and completely isolated from each other, the total area of the WPT coil 410 and the NFC coil 440 are relatively large, It has limitations that can not be overcome.

선행기술문헌 1 - 공개특허 10-2013-0113222(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Prior Art Document 1 - Patent Document 10-2013-0113222 (Antenna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선행기술문헌 2 - 공개특허 제2013-0123310호(공진 방식 무선 전력 수신 시스템에서 공진단 장치)Prior Art Document 2 - Laid-Open Patent Application No. 2013-0123310 (resonance stage device in a resonance type wireless power receiving system) 선행기술문헌 3 - 공개특허 제2013-0027403호(무선 전력전송 제어 장치)Prior Art Document 3 - Publication No. 2013-0027403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Device)

본 발명의 목적은 스타트단자로부터 공통단자에 이르는 외곽 루프패턴에 의해 제 1 모드 무선통신을 구현케 하고, 스타트단자로부터 연결패턴을 지나 엔드단자에 이르는 외곽 루프패턴과 더불어 내곽 루프패턴에 의해 제 2 모드 무선통신을 확장 구현케 한 휴대 단말기용 무선통신 이중 안테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alize a first mode wireless communication by an outer loop pattern extending from a start terminal to a common terminal, and to provide an outer loop pattern extending from a start terminal to an end terminal through a connection pattern, Mode wireless communication in which a wireless communication dual antenna for a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본 발명의 목적은 제 2 모드 무선통신이 외곽 루프패턴을 비롯한 내곽 루프패턴에 이르기까지 함께 확장 구현되어 배가된 비접촉 자기유도 결합력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용 무선통신 이중 안테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communication dual antenna for a portable terminal, which enables a second mode wireless communication to be extended and extended to an inner loop pattern including an outer loop pattern, thereby doubling the non-contact magnetic inductive coupling force.

본 발명의 목적은 제 2 모드 무선통신으로 내곽 루프패턴뿐만 아니라 외곽 루프패턴까지 확장 활용토록 하여 무선통신 효율의 배가된 보장은 물론이거니와 더 나아가 내곽 루프패턴 및 외곽 루프패턴의 길이 및 크기의 축소까지 가능케 하여 전체 점유공간을 더불어 줄일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용 무선통신 이중 안테나를 제공함에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that not only can be extended to an outer loop pattern as well as an inner loop pattern in a second mode wireless communication, thereby doubl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efficiency, and further reducing the length and size of the inner loop pattern and outer loop patter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communication dual antenna for a portable terminal, which can reduce the total occupied spa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플렉시블한 베이스필름과, 외부의 스타트단자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베이스필름의 가장자리에서 안쪽으로 권회되는 외곽 루프패턴과, 상기 외곽 루프패턴으로부터 상기 베이스필름의 안쪽으로 이어지는 연결패턴과, 상기 연결패턴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베이스필름의 중심을 향하여 권회된 후 외부의 엔드단자에 연결되는 내곽 루프패턴과, 상기 연결패턴에 조인되어 외부로 인출되는 공통단자를 포함하고,A connection pattern extending from the outer loop pattern to an inner side of the base film; and a connection pattern extending from the outer loop pattern to the inner side of the base film, An inner loop pattern which is wound toward the center of the base film and connected to an outer end terminal of the base film, and a common terminal joined to the connection pattern and drawn out to the outside,

상기 스타트단자로부터 상기 공통단자에 이르는 상기 외곽 루프패턴은 제 1 모드 무선통신을 구현하고,Wherein the outer loop pattern from the start terminal to the common terminal implements a first mode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스타트단자로부터 상기 연결패턴을 지나 상기 엔드단자에 이르는 상기 외곽 루프패턴과 더불어 내곽 루프패턴은 제 2 모드 무선통신을 확장 구현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And the inner loop pattern extending from the start terminal to the end terminal through the connection pattern extends the second mode wireless communication as a basic feature of the technical structure.

본 발명에 따라 스타트단자로부터 공통단자에 이르는 외곽 루프패턴에 의해 제 1 모드 무선통신을 구현케 할 수 있고, 스타트단자로부터 연결패턴을 지나 엔드단자에 이르는 외곽 루프패턴과 더불어 내곽 루프패턴에 의해 제 2 모드 무선통신을 확장 구현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ode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realized by the outer loop pattern extending from the start terminal to the common terminal. In addition to the outer loop pattern extending from the start terminal to the end terminal through the connection pattern, 2 mode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extended.

본 발명은 제 2 모드 무선통신이 외곽 루프패턴을 비롯한 내곽 루프패턴에 이르기까지 함께 확장 구현되어 배가된 비접촉 자기유도 결합력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second mode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expanded and extended to the inner loop pattern including the outer loop pattern, thereby doubling the non-contact magnetic inductive coupling force.

본 발명은 제 2 모드 무선통신으로 내곽 루프패턴뿐만 아니라 외곽 루프패턴까지 확장 활용토록 하여 무선통신 효율의 배가된 보장은 물론이거니와 더 나아가 내곽 루프패턴 및 외곽 루프패턴의 길이 및 크기의 축소까지 가능케 하여 전체 점유공간을 더불어 줄일 수 있도록 할 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tended not only to the inner loop pattern but also to the outer loop pattern by the second mode wireless communication, thereby doubl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efficiency, and further reducing the length and size of the inner loop pattern and the outer loop patter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otal occupied space.

도 1a는 선행기술문헌 1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1b는 선행기술문헌1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1c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안테나가 이동 단말기의 후면커버에 부착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
도 2a는 선행기술문헌 2가 적용되는 공진 방식 무선 전력 수신 시스템에서 NFC 안테나 및 WPT 공진기의 평면상 배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2b는 선행기술문헌 2의 NFC 안테나 및 WPT 공진기의 휴대용 단말기 상에서의 배치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2c는 선행기술문헌 2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진 방식 무선 전력 수신 시스템에서 공진단 장치의 회로도.
도 3은 선행기술문헌 3의 실시예에 따라 전력 공급 주파수 대역을 6.78㎒를 이용하는 경우 무선 전력전송 제어 장치의 회로도.
도 4는 선행문헌들에서 도출해 낼 수 있는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용 무선통신 이중 안테나를 본 발명에 대비되도록 나타낸 평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무선통신 이중 안테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무선통신 이중 안테나를 나타내는 등가 회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무선통신 이중 안테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무선통신 이중 안테나를 나타내는 등가 회로도.
1A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ior art document 1;
1B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prior art document 1;
1C is a plan view showing that the antenna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1 is attached to the back cover of the mobile terminal.
FIG. 2A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lanar arrangement structure of an NFC antenna and a WPT resonator in a resonance-type wireless power receiving system to which the prior art document 2 is applied; FIG.
2B is a structural view showing an arrangement structure of an NFC antenna and a WPT resonator of a prior art document 2 on a portable terminal.
2C is a circuit diagram of a resonance stage device in a resonance type wireless power receiv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ior art document 2. FIG.
Fig. 3 is a circuit diagram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using a power supply frequency band of 6.78 MHz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ior art document 3; Fig.
FIG. 4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ual antenna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be derived from the prior art documents.
5A is a plan view show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ual antenna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B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ual antenna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A is a plan view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ual antenna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B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ual antenna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무선통신 이중 안테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ual antenna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a plurality of embodiments thereof may exist. You will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se benefits.

도 4는 선행문헌들에서 도출해 낼 수 있는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용 무선통신 이중 안테나를 본 발명에 대비되도록 나타낸 평면도이다.FIG. 4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ual antenna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be derived from the prior art documents.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용 무선통신 이중 안테나는 플렉시블한 베이스필름(100)을 기본으로 하면서, 외부의 제 1 스타트단자(111) 및 제 1 엔드단자(112)에 각각 연결되어 베이스필름(100)의 가장자리에 권회되는 외곽 루프패턴(320)을 독립적으로 구비하고, 나아가 외부의 제 2 스타트단자(121) 및 제 2 엔드단자(122)에 각각 연결되어 외곽 루프패턴(320)으로부터 이격되는 베이스필름(100)의 중앙에 권회되는 내곽 루프패턴(330)을 독립적으로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4, a wireless communication dual antenna for a portable terminal is connected to an external first start terminal 111 and a first end terminal 112, respectively, based on a flexible base film 100, The outer loop pattern 320 is independently connected to the second start terminal 121 and the second end terminal 122 on the outer side of the film 100, And an inner loop pattern 330 wound around the center of the base film 100 to be spaced apart.

이때, 외곽 루프패턴(320)은 대략 10∼40㎝의 가까운 거리에서 13.56㎒ 주파수 대역의 비접촉 자기유도 결합력(Non-Contact Magnetic Inductive Coupling Power)으로 외부의 단말기 상호간 데이터를 전송키 위한 NFC 및 RFID를 제 1 모드 무선통신(400)으로 활용토록 할 수 있고, 내곽 루프패턴(330)은 전자기 유도원리, 즉 유도자계 원리에 따라 전류를 흘려 자기장을 형성하고 그 위에 휴대 단말기를 놓으면 100∼200㎑ 대역에서 구현되는 비접촉 자기유도 결합력으로 배터리의 충전을 가능케 하는 WPT를 제 2 모드 무선통신(500)으로 활용케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uter loop pattern 320 includes NFC and RFID for transmitting mutual external terminal data in non-contact magnetic induction coupling power in a frequency band of 13.56 MHz at a distance of approximately 10 to 40 cm The inner loop pattern 330 can be used as the first mode wireless communication 400. In the inner loop pattern 330, a magnetic field is formed by flowing a current according to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principle, that is, the induction magnetic field principle, The second mode wireless communication 500 can utilize the WPT that enables the battery to be charged by the non-contact magnetic inductive coupling force implemented in the second mode wireless communication 500. [

그런데,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용 무선통신 이중 안테나는 외곽 루프패턴(320)이 제 1 스타트단자(111) 및 제 1 엔드단자(112)에 의해 베이스필름(100)의 외곽에 독립적으로 구비되고, 나아가 내곽 루프패턴(330)이 제 2 스타트단자(121) 및 제 2 엔드단자(122)에 의해 베이스필름(100)의 중심에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제 1 모드 무선통신(400) 및 제 2 모드 무선통신(500)의 비접촉 자기유도 결합력에 대한 효율을 통신환경에 따라 극대화시킬 수 없는 한계를 안고 있다.In general, the wireless communication dual antenna for a portable terminal has the outer loop pattern 320 independently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base film 100 by the first start terminal 111 and the first end terminal 112, The loop pattern 330 is independently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base film 100 by the second start terminal 121 and the second end terminal 122 so that the first mode wireless communication 400 and the second mode wireless communication It is impossible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non-contact magnetic induction coupling force of the antenna 500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특히,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을 가능케 하는 WPT의 제 2 모드 무선통신(500)으로 활용되는 내곽 루프패턴(330)이 외곽 루프패턴(320) 안쪽의 베이스필름(100)의 제한된 영역에 독립적으로 패터닝되어 권회되는 횟수가 적을 뿐만 아니라 전체 길이 역시 짧을 수밖에 없어, 즉 인덕턴스가 작아 배터리의 충전효율을 극대화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을 낳고 있는 것이다.
Particularly, the inner loop pattern 330 used as the second mode wireless communication 500 of the WPT, which enables battery charging of the portable terminal, is patterned independently in a limited region of the base film 100 inside the outer loop pattern 320, The number of turns is small and the total length is also short. In other words, the inductance is small and the charging efficiency of the battery can not be maximized.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무선통신 이중 안테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무선통신 이중 안테나를 나타내는 등가 회로도이다.FIG. 5A is a plan view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ual antenna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B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ual antenna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무선통신 이중 안테나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한 베이스필름(10)과, 외부의 스타트단자(21)로부터 시작하여 베이스필름(10)의 가장자리에서 안쪽으로 권회되는 외곽 루프패턴(31)과, 외곽 루프패턴(31)으로부터 베이스필름(10)의 안쪽으로 이어지는 연결패턴(32)과, 연결패턴(32)으로부터 시작하여 베이스필름(10)의 중심을 향하여 권회된 후 외부의 엔드단자(24)에 연결되는 내곽 루프패턴(33)과, 연결패턴(32)에 조인되어 외부로 인출되는 공통단자(23)를 포함한다.5A and 5B, a wireless communication dual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exible base film 10, a flexible antenna 20, A connecting pattern 32 extending from the outer loop pattern 31 to the inside of the base film 10 and a connecting pattern 32 extending from the connecting pattern 32 to the center of the base film 10 An inner loop pattern 33 connected to the outer end terminal 24 after being wound on the connection pattern 32 and a common terminal 23 joined to the connection pattern 32 and drawn out to the outside.

즉, 베이스필름(10)을 기본으로 하면서 외부에 스타트단자(21), 공통단자(23) 및 엔드단자(24)만을 구비시키고, 외곽 루프패턴(31)과 내곽 루프패턴(33)이 연결패턴(32)에 의해 연결되도록 한 상태에서, 스타트단자(21)로부터 공통단자(23)에 이르는 외곽 루프패턴(31)은 제 1 모드 무선통신(40)을 구현케 하고, 스타트단자(21)로부터 연결패턴(32)을 지나 엔드단자(24)에 이르는 외곽 루프패턴(31)과 더불어 내곽 루프패턴(33)은 제 2 모드 무선통신(50)을 구현케 하여, 특히 제 2 모드 무선통신(50)이 외곽 루프패턴(31)을 비롯한 내곽 루프패턴(33)에 이르기까지 함께 확장 구현되도록 한 것이다.That is, only the start terminal 21, the common terminal 23 and the end terminal 24 are provided externally while the base film 10 is used as a base, and the outer loop pattern 31 and the inner loop pattern 33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ttern The outer loop pattern 31 extending from the start terminal 21 to the common terminal 23 realizes the first mode wireless communication 40 and is connected to the start terminal 21 In addition to the outer loop pattern 31 extending from the connection pattern 32 to the end terminal 24, the inner loop pattern 33 implements the second mode wireless communication 50, in particular the second mode wireless communication 50 Is extended together with the inner loop pattern 33 including the outer loop pattern 31. [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무선통신 이중 안테나는 베이스필름(10)에 권회되는(패터닝되는) 제 1 모드 무선통신(40) 및 제 2 모드 무선통신(50)을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시키지 아니하고 연결패턴(32)을 중심으로 스타트단자(21)에서부터 엔드단자(24)에 이르기까지 전체적으로 이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연결패턴(32)에 공통단자(23)를 조인한 것으로, 특히 제 2 모드 무선통신(50)이 외곽 루프패턴(31)을 비롯한 내곽 루프패턴(33)에 이르기까지 함께 확장 구현되도록 하여 무선통신 효율의 극대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dual antenna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independently form the first mode wireless communication 40 and the second mode wireless communication 50 that are wound (patterned) on the base film 10, The common terminal 23 is joined to the connection pattern 32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terminal 32 is entirely connected to the end terminal 24 from the start terminal 21 to the center terminal 32. In particular, Is extended to the inner loop pattern 33 including the outer loop pattern 31 so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efficiency can be maximized.

이때, 제 2 모드 무선통신(50)은 외곽 루프패턴(31) 및 내곽 루프패턴(33)과 함께 확장 구현되어 배가된 비접촉 자기유도 결합력(Non-Contact Magnetic Inductive Coupling Power)을 보장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second mode wireless communication 50 is extended with the outer loop pattern 31 and the inner loop pattern 33 to be able to guarantee the non-contact magnetic induction coupling power doubled will be.

이러한 특징을 살려, 제 1 모드 무선통신(40)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이고, 제 2 모드 무선통신(50)은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또는 WPT(Wireless Power Transfer)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제 1 모드 무선통신(40)은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또는 WPT(Wireless Power Transfer)이고, 제 2 모드 무선통신(50)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irst mode wireless communication 40 may be an NFC or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d the second mode wireless communication 50 may be an MST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or a WPT (Wireless Power Transfer) The first mode wireless communication 40 may be MST or WPT and the second mode wireless communication 50 may b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 Or a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제 1 모드 무선통신(40)이 NFC 또는 RFID이고 제 2 모드 무선통신(50)이 MST 또는 WPT이거나, 그 반대의 경우로 구현케 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구현은 통신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first mode wireless communication 40 may be NFC or RFID and the second mode wireless communication 50 may be MST or WPT, or vice versa, depending on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구체적으로, NFC, RFID 및 MST는 이미 공지된 것으로서 대략 10∼40㎝의 가까운 거리에서 13.56∼15㎒ 주파수 대역으로 외부의 단말기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고, WPT는 전자기 유도원리, 즉 유도자계 원리에 따라 전류를 흘려 자기장을 형성하고 그 위에 휴대 단말기를 놓아 100∼200㎑ 대역에서 배터리의 충전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Specifically, NFC, RFID, and MST are already known, and data can be transmitted in an external terminal period in a frequency band of 13.56 to 15 MHz at a distance of about 10 to 40 cm, and WPT is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principle, A magnetic field is formed by flowing a current according to the current, and the portable terminal is placed on the magnetic field to allow the battery to be charged in the 100 to 200 kHz band.

한편, 제 1 모드 무선통신(40)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타트단자(21) 및 공통단자(23) 사이의 외곽 루프패턴(31) 자체의 비접촉 자기유도 결합력인 L1값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반면, 제 2 모드 무선통신(50)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타트단자(21) 및 엔드단자(24) 사이의 내곽 루프패턴(33)에 의한 L2값뿐만 아니라 외곽 루프패턴(31)의 L1값을 합체한 확장된 비접촉 자기유도 결합력으로 무선통신 효율의 배가를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5B, the first mode wireless communication 40 may be implemented with an L1 value which is the non-contact magnetic induction coupling force of the outer loop pattern 31 itself between the start terminal 21 and the common terminal 23 While the second mode wireless communication 50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L2 value by the inner loop pattern 33 between the start terminal 21 and the end terminal 24 as well as the outer loop pattern 31 ) L1 value of the non-contact magnetic inductive coupling forc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efficiency can be doubl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 2 모드 무선통신(50)을 내곽 루프패턴(33)뿐만 아니라 외곽 루프패턴(31)까지 확장 활용토록 하여 무선통신 효율의 배가된 보장은 물론이거니와 더 나아가 내곽 루프패턴(33) 및 외곽 루프패턴(31)의 길이 및 크기의 축소까지 가능케 하여 전체 점유공간을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second mode wireless communication 50 is extended to the outer loop pattern 31 as well as the inner loop pattern 33, but the wireless communication efficiency is doubled as well as the inner loop pattern 33 and the outer loop pattern 31 can be reduced so that the total occupied space can be greatly reduced.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무선통신 이중 안테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무선통신 이중 안테나를 나타내는 등가 회로도이다.FIG. 6A is a plan view show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ual antenna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B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ual antenna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무선통신 이중 안테나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한 베이스필름(10)과, 외부의 스타트단자(21)로부터 시작하여 베이스필름(10)의 가장자리에서 안쪽으로 권회되는 외곽 루프패턴(31)과, 외곽 루프패턴(31)으로부터 베이스필름(10)의 안쪽으로 이어지는 연결패턴(32)과, 연결패턴(32)으로부터 시작하여 베이스필름(10)의 중심을 향하여 권회된 후 외부의 엔드단자(24)에 연결되는 내곽 루프패턴(33)과, 연결패턴(32)에 조인되어 외부로 인출되는 공통단자(23)를 포함하며, 스타트단자(21)에 조인되어 공통단자(23) 및 엔드단자(24) 사이에 배치되는 보조단자(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6A and 6B, a wireless communication dual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exible base film 10, a flexible antenna 10, A connecting pattern 32 extending from the outer loop pattern 31 to the inside of the base film 10 and a connecting pattern 32 extending from the connecting pattern 32 to the center of the base film 10 An inner loop pattern 33 connected to the outer end terminal 24 after being wound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ad terminal 21 and a common terminal 23 joined to the connection pattern 32 and led out to the outside, And an auxiliary terminal 22 disposed between the common terminal 23 and the end terminal 24. [

그리고, 제 2 모드 무선통신(50)은 스타트단자(21)를 비롯한 보조단자(22)로부터 연결패턴(32)을 지나 엔드단자(24)에 이르는 외곽 루프패턴(31)과 더불어 내곽 루프패턴(33)에 의해 확장 구현되도록 한다.The second mode wireless communication 50 includes an outer loop pattern 31 extending from the auxiliary terminal 22 including the start terminal 21 to the end terminal 24 via the connection pattern 32, 33).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무선통신 이중 안테나는 베이스필름(10)에 권회되는(패터닝되는) 제 1 모드 무선통신(40) 및 제 2 모드 무선통신(50)을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시키지 아니하고 연결패턴(32)을 중심으로 스타트단자(21)에서부터 엔드단자(24)에 이르기까지 전체적으로 이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연결패턴(32)에 공통단자(23)를 조인한 것으로, 특히 제 2 모드 무선통신(50)이 외곽 루프패턴(31)을 비롯한 내곽 루프패턴(33)에 이르기까지 함께 확장 구현되도록 하여 무선통신 효율의 극대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As shown in FIG. 6A, the wireless communication dual antenna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ode wireless communication 40 and a second mode wireless communication 50 that are wound (patterned) on a base film 10 And the common terminal 23 is joined to the connection pattern 32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pattern 32 is entirely formed from the start terminal 21 to the end terminal 24 without being formed independently. The second mode wireless communication 50 is extended to the inner loop pattern 33 including the outer loop pattern 31 so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efficiency can be maximized.

이때, 제 2 모드 무선통신(50)은 외곽 루프패턴(31) 및 내곽 루프패턴(33)과 함께 확장 구현되어 배가된 비접촉 자기유도 결합력(Non-Contact Magnetic Inductive Coupling Power)을 보장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second mode wireless communication 50 is extended with the outer loop pattern 31 and the inner loop pattern 33 to be able to guarantee the non-contact magnetic induction coupling power doubled will be.

이러한 특징을 살려, 제 1 모드 무선통신(40)은 NFC 또는 RFID이고, 제 2 모드 무선통신(50)은 MST 또는 WPT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제 1 모드 무선통신(40)은 MST 또는 WPT이고, 제 2 모드 무선통신(50)은 NFC 또는 RFID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irst mode wireless communication 40 may be NFC or RFID and the second mode wireless communication 50 may be MST or WPT. On the other hand, the first mode wireless communication 40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May be MST or WPT, and the second mode wireless communication 50 may be NFC or RFID.

제 1 모드 무선통신(40)이 NFC 또는 RFID이고 제 2 모드 무선통신(50)이 MST 또는 WPT이거나, 그 반대의 경우로 구현케 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구현은 통신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first mode wireless communication 40 may be NFC or RFID and the second mode wireless communication 50 may be MST or WPT, or vice versa, depending on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구체적으로, NFC, RFID 및 MST는 이미 공지된 것으로서 대략 10∼40㎝의 가까운 거리에서 13.56∼15㎒ 주파수 대역으로 외부의 단말기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고, WPT는 전자기 유도원리, 즉 유도자계 원리에 따라 전류를 흘려 자기장을 형성하고 그 위에 휴대 단말기를 놓아 100∼200㎑ 대역에서 배터리의 충전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Specifically, NFC, RFID, and MST are already known, and data can be transmitted in an external terminal period in a frequency band of 13.56 to 15 MHz at a distance of about 10 to 40 cm, and WPT is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principle, A magnetic field is formed by flowing a current according to the current, and the portable terminal is placed on the magnetic field to allow the battery to be charged in the 100 to 200 kHz band.

한편, 제 1 모드 무선통신(40)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타트단자(21), 보조단자(22) 및 공통단자(23) 사이의 외곽 루프패턴(31) 자체의 비접촉 자기유도 결합력인 L1값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반면, 제 2 모드 무선통신(50)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타트단자(21), 보조단자(22) 및 엔드단자(24) 사이의 내곽 루프패턴(33)에 의한 L2값뿐만 아니라 외곽 루프패턴(31)의 L1값을 합체한 확장된 비접촉 자기유도 결합력으로 무선통신 효율의 배가를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mode wireless communication 40 is a non-contact magnetic induction coupling force of the outer loop pattern 31 itself between the start terminal 21, the auxiliary terminal 22 and the common terminal 23 as shown in Fig. L2 mode communication between the start terminal 21, the auxiliary terminal 22 and the end terminal 24, as shown in FIG. 6B, while the second mode wireless communication 50 can be implemented with the L1 value The magnitude of the radio communication efficiency can be doubled by the expanded non-contact magnetic induction coupling force by combining the L2 value of the outer loop pattern 31 and the L1 value of the outer loop pattern 31. [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 2 모드 무선통신(50)을 내곽 루프패턴(33)뿐만 아니라 외곽 루프패턴(31)까지 확장 활용토록 하여 무선통신 효율의 배가된 보장은 물론이거니와 더 나아가 내곽 루프패턴(33) 및 외곽 루프패턴(31)의 길이 및 크기의 축소까지 가능케 하여 전체 점유공간을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second mode wireless communication 50 is extended to the outer loop pattern 31 as well as the inner loop pattern 33, but the wireless communication efficiency is doubled as well as the inner loop pattern 33 and the outer loop pattern 31 can be reduced so that the total occupied space can be greatly reduced.

이때, 보조단자(22)는 휴대 단말기 내의 메인 회로기판에 본 발명인 휴대 단말기용 무선통신 이중 안테나가 접속될 경우 기존 네 개의 단자를 접속시키기 위한 설계를 특별히 바꾸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호환성 있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고려한 것이다.At this time,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ual antenn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main circuit board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auxiliary terminal 22 can be easily and compatibly connected even if the design for connecting the existing four terminals is not changed. will be.

다른 한편으로, 베이스필름(10)은 폴리이미드필름, PET필름 또는 PVC필름일 수 있고, 연결패턴(32)에 조인된 공통단자(23)의 패턴라인 그리고 엔드단자(24)에 연결된 패턴라인 등은 상호간 크로스(Cross)되지 않도록 비아홀(Via Hall) 등을 통해 베이스필름(10)의 상면, 하면 또는 양면에 나누어 패터닝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the base film 10 may be a polyimide film, a PET film, or a PVC film, and may be patterned by a pattern line of the common terminal 23 joined to the connecting pattern 32 and a pattern line May be patterned on the upper surface, the lower surface, or both surfaces of the base film 10 through a via hole or the like so as not to cross each other.

본 발명은 테블릿 PC나 스마트 폰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 산업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 portable terminal industry field such as a tablet PC and a smart phone.

10 : 베이스필름 21 : 스타트단자
22 : 보조단자 23 : 공통단자
24 : 엔드단자 31 : 외곽 루프패턴
32 : 연결패턴 33 : 내곽 루프패턴
40 : 제 1 모드 무선통신 50 : 제 2 모드 무선통신
10: Base film 21: Start terminal
22: auxiliary terminal 23: common terminal
24: end terminal 31: outer loop pattern
32: connection pattern 33: inner loop pattern
40: first mode wireless communication 50: second mode wireless communication

Claims (5)

플렉시블한 베이스필름(10)과, 외부의 스타트단자(21)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베이스필름(10)의 가장자리에서 안쪽으로 권회되는 외곽 루프패턴(31)과, 상기 외곽 루프패턴(31)으로부터 상기 베이스필름(10)의 안쪽으로 이어지는 연결패턴(32)과, 상기 연결패턴(32)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베이스필름(10)의 중심을 향하여 권회된 후 외부의 엔드단자(24)에 연결되는 내곽 루프패턴(33)과, 상기 연결패턴(32)에 조인되어 외부로 인출되는 공통단자(23)를 포함하고,
상기 스타트단자(21)로부터 상기 공통단자(23)에 이르는 상기 외곽 루프패턴(31)은 제 1 모드 무선통신(40)을 구현하고,
상기 스타트단자(21)로부터 상기 연결패턴(32)을 지나 상기 엔드단자(24)에 이르는 상기 외곽 루프패턴(31)과 더불어 내곽 루프패턴(33)은 제 2 모드 무선통신(50)을 확장 구현하고,
상기 스타트단자(21) 및 엔드단자(24) 사이에 상기 공통단자(23)가 배치되고,
상기 스타트단자(21)에 조인되어 상기 공통단자(23) 및 엔드단자(24) 사이에 배치되는 보조단자(2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모드 무선통신(50)은 상기 스타트단자(21)를 비롯한 상기 보조단자(22)로부터 상기 연결패턴(32)을 지나 상기 엔드단자(24)에 이르는 상기 외곽 루프패턴(31)과 더불어 내곽 루프패턴(33)에 의해 확장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무선통신 이중 안테나.
An outer loop pattern 31 which is wound from the edge of the base film 10 inwardly starting from an outer start terminal 21 and an outer loop pattern 31 extending from the outer loop pattern 31 to the base A connecting pattern 32 extending to the inside of the film 10 and an inner loop pattern 32 connected to the outer end terminal 24 after being wound from the connecting pattern 32 to the center of the base film 10, (33), and a common terminal (23) joined to the connection pattern (32) and drawn out to the outside,
The outer loop pattern 31 from the start terminal 21 to the common terminal 23 implements the first mode wireless communication 40,
The inner loop pattern 33 along with the outer loop pattern 31 extending from the start terminal 21 to the end terminal 24 through the connection pattern 32 is expanded and implemented as the second mode wireless communication 50. [ and,
The common terminal 23 is disposed between the start terminal 21 and the end terminal 24,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terminal (22) joined to the start terminal (21) and disposed between the common terminal (23) and the end terminal (24)
The second mode wireless communication 50 includes the outer loop pattern 31 extending from the auxiliary terminal 22 including the start terminal 21 to the end terminal 24 via the connection pattern 32, And the inner loop pattern (33).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드 무선통신(50)은 상기 외곽 루프패턴(31) 및 내곽 루프패턴(33)과 함께 확장 구현되어 배가된 비접촉 자기유도 결합력(Non-Contact Magnetic Inductive Coupling Power)을 보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무선통신 이중 안테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mode wireless communication 50 is expanded and multiplied together with the outer loop pattern 31 and the inner loop pattern 33 to ensure a non-contact magnetic induction coupling power doubled A wireless communication dual antenna for a portable termina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드 무선통신(40)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이고,
상기 제 2 모드 무선통신(50)은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또는 WPT(Wireless Power Transf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무선통신 이중 안테나.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mode wireless communication 40 is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Wherein the second mode wireless communication (50) is MST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or WPT (Wireless Power Transf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드 무선통신(40)은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또는 WPT(Wireless Power Transfer)이고,
상기 제 2 모드 무선통신(50)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무선통신 이중 안테나.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mode wireless communication 40 may be MST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or WPT (Wireless Power Transfer)
Wherein the second mode wireless communication (50) is a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or a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KR1020150006341A 2015-01-13 2015-01-13 Wireless communication double antenna for portable electronic appliance KR1016400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341A KR101640023B1 (en) 2015-01-13 2015-01-13 Wireless communication double antenna for portable electronic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341A KR101640023B1 (en) 2015-01-13 2015-01-13 Wireless communication double antenna for portable electronic appli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0023B1 true KR101640023B1 (en) 2016-07-18

Family

ID=56679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6341A KR101640023B1 (en) 2015-01-13 2015-01-13 Wireless communication double antenna for portable electronic appli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002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9564A1 (en) * 2017-09-22 2019-03-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Wireless charging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O2020046074A3 (en) * 2018-08-31 2020-04-23 주식회사 아모텍 Combo antenna module
US11728564B2 (en) 2019-11-27 2023-08-15 AQ Corporation Smartphone antenna in flexible PCB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9302A (en) * 2010-07-07 2012-01-26 Nec Tokin Corp Antenna module and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device
KR20130027403A (en) 2011-09-07 2013-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KR20130113222A (en) 2012-04-05 2013-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Antenna and mobile terminal therein
KR20130123310A (en) 2012-05-02 2013-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Resonator circuit for resonanc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KR20140090536A (en) * 2013-01-09 2014-07-17 (주)드림텍 Loop antenna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9302A (en) * 2010-07-07 2012-01-26 Nec Tokin Corp Antenna module and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device
KR20130027403A (en) 2011-09-07 2013-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KR20130113222A (en) 2012-04-05 2013-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Antenna and mobile terminal therein
KR20130123310A (en) 2012-05-02 2013-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Resonator circuit for resonanc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KR20140090536A (en) * 2013-01-09 2014-07-17 (주)드림텍 Loop antenna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9564A1 (en) * 2017-09-22 2019-03-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Wireless charging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O2020046074A3 (en) * 2018-08-31 2020-04-23 주식회사 아모텍 Combo antenna module
US11539401B2 (en) 2018-08-31 2022-12-27 Amotech Co., Ltd. Combo antenna module
US11728564B2 (en) 2019-11-27 2023-08-15 AQ Corporation Smartphone antenna in flexible PCB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4322B1 (en) Wireless communication multiplex antenna for portable electronic appliance
KR101554129B1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10886602B2 (en) Mobile terminal and coil antenna module
KR101554133B1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9577468B2 (en) Wireless charging receiving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1649259B1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or wireless communications
KR101706628B1 (en) Wireless charging module for portable electronic appliance
KR102309066B1 (en) Electronic device and antenna apparatus thereof
US20160254678A1 (en) Multi-turn coil on metal backplate
JP2012200136A (en) Power reception device, and non-contact power supply system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having the same
KR101640023B1 (en) Wireless communication double antenna for portable electronic appliance
KR101649258B1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or wireless communications
TW201539855A (en) Hand-held device with multiple NFC reading directions
KR101465441B1 (en) Wireless communications fpcb set for portable appliance
KR101572022B1 (en) Near field communication antenna and portable terminal
KR101785295B1 (en) Low frequency antenna for portable electronic appliance
KR101723843B1 (en) Portable electronic appliance
US8779982B2 (en) System for reducing antenna gain deterioration
KR101575956B1 (en) Dual type charging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KR101801185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170032498A (en) Portable electronic appliance
KR20170070875A (en) Portable electronic appliance
KR20150117742A (en) Portable electronic appliance
KR20170133539A (en) Portable electronic appliance
KR20170133543A (en) Portable electronic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