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9860B1 - 웨잉호퍼 막힘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웨잉호퍼 막힘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9860B1
KR101639860B1 KR1020140029299A KR20140029299A KR101639860B1 KR 101639860 B1 KR101639860 B1 KR 101639860B1 KR 1020140029299 A KR1020140029299 A KR 1020140029299A KR 20140029299 A KR20140029299 A KR 20140029299A KR 101639860 B1 KR101639860 B1 KR 101639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air
coal
weir
disper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7023A (ko
Inventor
노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029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860B1/ko
Publication of KR20150107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7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3/00Preventing or removing incrustations
    • C10B43/14Preventing incrustation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웨잉호퍼 막힘 방지장치는, 웨잉호퍼 내에서 장입낙하하는 석탄을 회전하면서 분산시키는 콜 분산수단; 및 상기 웨잉호퍼 내에서 상기 콜 분산수단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웨잉호퍼의 하부 배출구 측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콜 분산수단은, 상기 웨잉호퍼 내의 상부에 배치되며, 회전하면서 장입낙하하는 석탄을 분산시키는 회전날개를 가진 회전바; 및 상기 웨잉호퍼의 측부에 장착되며, 상기 회전바의 양단부 각각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웨잉호퍼 내에서 장입낙하하는 석탄을 회전하면서 분산시키는 콜 분산수단과, 웨잉호퍼 내에서 하부 배출구 측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수단이 구성됨으로써, 석탄이 웨잉호퍼의 중앙에 집중평량 채탄되어 웨잉호퍼의 하부에 석탄이 다져짐에 따라 배출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웨잉호퍼 막힘 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from blocking of weighing hopper}
본 발명은 웨잉호퍼 막힘 방지장치로서, 웨잉호퍼의 하부에 석탄이 다져짐에 따라 배출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웨잉호퍼 막힘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크스 오븐은 석탄을 탄화실에 장입한 후 일정시간 고온에서 건류하면 코크스화 되고, 이를 탄화실에서 추출하고, 소화공정을 거쳐 냉간 코크스를 고로로 이송하여 쇳물을 녹이는 통기성 및 열원으로 이용되는데, 이와 같은 코크스오븐의 채탄작업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박에서 언로더로 하역된 후 여러 컨베이어라인을 거쳐 공장에 야적된 후, 코크스공장에 컨베이어 투입된 석탄은 1차적으로 코크스오븐의 콜벙커(11)에 저장이 되고, 상기 콜벙커(11) 내에 저장된 석탄은 코크스오븐에 설치된 탄화실에 맞추어 적정량의 석탄을 채탄하는 웨잉호퍼(12)에 채탄된다. 다음으로 이동설비인 장입차의 콜호퍼에 일정량의 석탄이 웨잉호퍼(12)에서 다시 채탄된 후, 상기 장입차를 통하여 코크스오븐의 탄화실에 장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콜벙커(11)와 장입차와 사이에 배치된 웨잉호퍼(12)는 자동채탄시스템에 의해 비워지면 채탄하고, 다시 비워지면 채탄하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설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콜벙커(11)에서 웨잉호퍼(12)로의 채탄작업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콜벙커(11)의 하부에는 벙커실린더(11a)로 개폐되는 벙커게이트(11b)가 각각 설치되어 있어 상기 벙커게이트(11b)가 개방되면 콜벙커(11)의 하부 배출구(12a)를 통하여 하측에 위치한 웨잉호퍼(12) 내부로 석탄을 낙하시키어 적정량 채워지면 상기 벙커실린더(11a)의 역작동으로 벙커게이트(11b)가 닫히어 석탄의 웨잉호퍼(12) 채탄작업을 중지되고, 다시 상기 웨잉호퍼(12) 내의 석탄이 장입차에 채탄되면, 벙커게이트(11b)의 개폐작동으로 채탄작업이 반복 수행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웨잉호퍼(12)의 하부 배출구(12a)는 빈게이트(13)에 의해 개폐되는데, 상기 빈게이트(13)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면 게이트프레임(13a), 상기 게이트프레임(13a)에 설치된 개폐플레이트(13b)가 구성되고, 복수 개의 개폐플레이트(13b)를 와이어(13c)가 연결하면서 와이어(13c)의 단부에는 웨이트(13d)가 설치된다. 이때, 장입차(14)에는 게이트실린더(14b)가 장착되어 상기 게이트실린더(14b)의 피스톤로드가 신장 시 개폐플레이트(13b)의 걸림부를 밀어서 개폐플레이트(13b)가 이동하여 웨잉호퍼(12)의 하부 배출구(12a)를 개방시키며, 피스톤로드의 수축 시 웨이트(13d)에 의해 개폐플레이트(13b)가 다시 역으로 이동하여 웨잉호퍼(12)의 하부 배출구(12a)를 폐쇄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채탄과정에 있어서 특히 우기시나 석탄수분건조설비(CMCP, Coal Moisture Control Plant) 휴지 시 수분이 과다포함됨으로써, 콜벙커(11)에 저장된 석탄이 웨잉호퍼(12)에 채탄 시 웨잉호퍼(12) 중앙에 집중적으로 떨어져 석탄이 다져지면서 하부 벽면에 부착됨으로써, 하부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웨잉호퍼(12)의 배출구(12a)가 막히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와 같이 막힌 웨잉호퍼(12)의 하부 배출구(12a)를 뚫기 위해, 막힌 부위를 작업자가 해머로 타격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작업자의 작업부하가 발생하며, 나아가 작업과정에서 작업자의 추락사고와 함께 빈게이트(13)에 대한 협착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석탄이 웨잉호퍼의 중앙에 집중평량 채탄되어 웨잉호퍼의 하부에 석탄이 다져짐에 따라 배출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웨잉호퍼 막힘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웨잉호퍼 막힘 방지장치는, 웨잉호퍼 내에서 장입낙하하는 석탄을 회전하면서 분산시키는 콜 분산수단; 및 상기 웨잉호퍼 내에서 상기 콜 분산수단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웨잉호퍼의 하부 배출구 측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콜 분산수단은, 상기 웨잉호퍼 내의 상부에 배치되며, 회전하면서 장입낙하하는 석탄을 분산시키는 회전날개를 가진 회전바; 및 상기 웨잉호퍼의 측부에 장착되며, 상기 회전바의 양단부 각각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삭제
이때, 상기 회전바는, 양단부가 상기 지지부재에 베어링체결된 회전축; 및 단면이 삼각뿔 형상으로 상기 회전축의 둘레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된 상기 회전날개;를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회전바는, 장입낙하하는 석탄이 상기 회전날개에 충돌되어 회전하거나, 상기 지지부재에 구비된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에어분사수단은, 상기 웨잉호퍼에 장착되되, 토출부가 상기 웨잉호퍼 내의 하부에 배치된 에어노즐; 및 상기 에어노즐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공급부는, 에어탱크로부터 상기 에어노즐과 연결된 에어호스; 상기 에어호스에 장착되어 에어 내의 응축수를 제거하는 수분분리기; 상기 에어호스에 장착된 개폐밸브; 및 상기 개폐밸브를 개폐제어하는 컨트롤박스;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웨잉호퍼의 하측에 배치된 빈게이트의 개폐플레이트에 터치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개폐플레이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터치센서에 터치되는 터치바가 상기 웨잉호퍼의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컨트롤박스는, 상기 터치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상기 터치센서의 작동에 따라 상기 개폐밸브를 개폐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웨잉호퍼 막힘 방지장치는, 웨잉호퍼 내에서 장입낙하하는 석탄을 회전하면서 분산시키는 콜 분산수단과, 웨잉호퍼 내에서 하부 배출구 측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수단이 구성됨으로써, 석탄이 웨잉호퍼의 중앙에 집중평량 채탄되어 웨잉호퍼의 하부에 석탄이 다져짐에 따라 배출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나아가, 이러한 웨잉호퍼의 하부 배출구 막힘을 사전에 방지함에 따라, 막힌 웨잉호퍼의 하부 배출구를 뚫기 위해, 막힌 부위를 작업자가 해머로 타격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작업자의 작업부하가 발생하며, 나아가 작업과정에서 작업자의 추락사고와 함께 빈게이트에 대한 협착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코크스오븐의 채탄작업에 있어서 석탄이 콜벙커로부터 장입차에 이르기까지 채탄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웨잉호퍼 막힘 방지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웨잉호퍼 막힘 방지장치에서 콜 분산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웨잉호퍼 막힘 방지장치에서 에어노즐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웨잉호퍼 막힘 방지장치에서 터치센서와 터치바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웨잉호퍼 막힘 방지장치는, 석탄이 웨잉호퍼의 중앙에 집중평량 채탄되어 웨잉호퍼의 하부에 석탄이 다져짐에 따라 배출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웨잉호퍼 내에서 장입낙하하는 석탄을 회전하면서 분산시키는 콜 분산수단과, 웨잉호퍼 내에서 하부 배출구 측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수단이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웨잉호퍼 막힘 방지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웨잉호퍼 막힘 방지장치에서 콜 분산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콜 분산수단은 웨잉호퍼(12) 내에서 장입낙하하는 석탄(1)을 회전하면서 분산시키는 콜 분산수단과, 상기 웨잉호퍼(12) 내에서 하부 배출구(12a) 측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콜 분산수단은 웨잉호퍼(12) 내의 상부에 배치된 회전바(110)와, 상기 웨잉호퍼(12)의 측부에서 상기 회전바(110)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2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회전바(110)는 웨잉호퍼(12) 내부에 배치되되 웨잉호퍼(12)의 상부에 배치되는데, 이는 웨잉호퍼(12)가 상부개방된 구조로서 상측의 콜벙커로부터 채탄되는 석탄(1)이 낙하 시, 웨잉호퍼(12) 내에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뿌려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웨잉호퍼(12) 내에 석탄(1)이 안착되기 전에 상당부분 상측에서 웨잉호퍼(12) 내의 전부분에 걸쳐 도달하도록, 상기 회전바(110)가 웨잉호퍼(12)의 상부에 배치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회전바(110)는 웨잉호퍼(12)의 상부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치됨으로써, 석탄(1)의 분산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20)는 웨잉호퍼(12)의 측부에 장착되며, 회전바(110)의 양단부 각각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내부에 회전바(110)를 지지하는 베어링부재(미도시)가 내장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바(110)에 대해 설명하자면, 양단부가 상기 지지부재(120)에 베어링체결된 회전축(111)과, 단면이 삼각뿔 형상으로 상기 회전축(111)의 둘레로부터 연장된 회전날개(11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회전날개(112)는 회전하면서 장입낙하하는 석탄(1)을 분산시키는 기능을 가지는데, 이와 같은 석탄(1)의 분산을 위해 단면이 삼각뿔 형상으로 회전축(111)의 둘레로부터 연장된 구조를 취한다.
이러한 회전날개(112)는 회전축(111)의 둘레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된 구조로서, 상측으로부터 낙하되는 석탄(1)을 회전하면서 때려서 분산시킨다. 이때, 상기 회전날개(112)에 있어서 단면이 삼각뿔 형상을 취함으로써,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회전날개(112)에 있어서 회전날개(112)들 사이의 사잇각이 커짐에 따라, 상측으로부터 장입낙하하는 석탄(1)이 끼이거나 나아가 끼임압박되어 정체되지 않고, 경사진 측면부(112a)를 타고 하측으로 용이하게 내려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회전바(110)는, 장입낙하하는 석탄(1)이 회전날개(112)에 충돌되어 회전하거나, 상기 지지부재(120)에 구비된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바(110)는 장입낙하하는 석탄(1)의 회전날개(112)에 대한 충돌로 인하여 회전함으로써 별도의 구동수단이 필요없이 구성될 수 있고, 이와는 다른 실시예로서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지지부재(120)에 구비된 구동모터(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회전바(110)는 단순히 장입낙하는 석탄(1)에 의해 회전하면서 석탄(1)을 분산시키는 경우, 별도의 동력이 필요없이 석탄(1)의 분산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석탄(1)의 분산을 위한 설비운용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별도의 구동수단인 구동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경우에는 설비운용비용은 일정 정도 소비될 수 있으나 석탄(1)의 분산력을 높일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회전바(110)는, 장입낙하하는 석탄(1)을 웨잉호퍼(12) 내에서 분산시킴으로써, 석탄(1)이 웨잉호퍼(12)의 하부 배출구(12a)에 집중낙하하지 않도록 함에 따라, 배출구(12a)에 석탄(1)이 편중낙하하여 다져짐에 따라 배출구(12a)를 막히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에어분사수단은 웨잉호퍼(12) 내에서 콜 분산수단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웨잉호퍼(12)의 하부 배출구(12a) 측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에어분사수단은 웨잉호퍼(12)에 장착되되 토출부(211)가 웨잉호퍼(12) 내의 하부에 배치된 에어노즐(210)과, 상기 에어노즐(210)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에어노즐(210)은 토출부(211)가 웨잉호퍼(12)의 하부에 배치되어 웨잉호퍼(12)의 하부 배출구(12a) 측으로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웨잉호퍼(12)의 배출구(12a)를 통해 석탄(1)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웨잉호퍼(12)의 배출구(12a)에 석탄(1)이 집중평량 채탄됨으로써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는 도 2의 웨잉호퍼 막힘 방지장치에서 에어노즐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웨잉호퍼 막힘 방지장치에서 터치센서와 터치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에어공급부(220)는 에어탱크로부터 에어노즐(210)과 연결된 에어호스(221), 상기 에어호스(221)에 장착되어 에어 내의 응축수를 제거하는 수분분리기(222), 상기 에어호스(221)에 장착된 개폐밸브(223), 및 상기 개폐밸브(223)를 개폐제어하는 컨트롤박스(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수분분리기(222)는 에어호스(221)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에 포함된 수분을 분리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수분분리기(222)는 웨잉호퍼(12) 내로 공급되는 에어의 수분을 분리함으로써, 웨잉호퍼(12) 내에서 분사되는 에어에 수분이 포함됨으로써 석탄(1)이 서로 뭉쳐서 다져짐에 따라 석탄(1)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잉호퍼(12)의 하측에 배치된 빈게이트의 개폐플레이트에 터치센서(230)가 장착되고, 개폐플레이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터치센서(230)에 터치되는 터치바(231)가 웨잉호퍼(12)의 하부에 장착되는 구조를 이루는데, 본 발명의 컨트롤박스는 터치센서(230)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터치센서(230)의 작동에 따라 개폐밸브(223)를 개폐제어하는 구성을 이룬다. 아울러, 에어호스(221)에는 압력계(224)가 장착되어 상기 컨트롤박스가 압력계(224)와 전기적으로 연계됨으로써 에어호스(221)를 통해 고압에어의 분사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례로서 개폐플레이트가 일측으로 이동되어 웨잉호퍼(12)의 하부 배출구(12a)를 개방하는 경우, 개폐플레이트의 터치센서(230)에 웨잉호퍼(12)의 터치바(231)가 접촉되어 온 상태로 됨으로써, 컨트롤박스가 터치센서(230)로부터 이를 수신하여 에어호스(221)에 장착된 개폐밸브(223)를 개방함에 따라, 에어노즐(210)을 통해 고압의 에어가 웨잉호퍼(12) 내에서 배출구(12a) 측으로 분사하여 개방된 배출구(12a)를 통한 석탄(1)의 원활한 배출을 돕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웨잉호퍼(12) 내에서 장입낙하하는 석탄(1)을 회전하면서 분산시키는 콜 분산수단과, 웨잉호퍼(12) 내에서 하부 배출구(12a) 측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수단이 구성됨으로써, 석탄(1)이 웨잉호퍼(12)의 중앙에 집중평량 채탄되어 웨잉호퍼(12)의 하부에 석탄(1)이 다져짐에 따라 배출구(12a)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웨잉호퍼(12)의 하부 배출구(12a) 막힘을 사전에 방지함에 따라, 막힌 웨잉호퍼(12)의 하부 배출구(12a)를 뚫기 위해, 막힌 부위를 작업자가 해머로 타격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작업자의 작업부하가 발생하며, 나아가 작업과정에서 작업자의 추락사고와 함께 빈게이트(13)에 대한 협착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2 : 웨잉호퍼 12a : 배출구
13 : 빈게이트 110 : 회전바
111 : 회전축 112 : 회전날개
112a : (회전날개의) 측면부 120 : 지지부재
210 : 에어노즐 211 : 토출부
220 : 에어공급부 221 : 에어호스
222 : 수분분리기 223 : 개폐밸브
224 : 압력계 230 : 터치센서
231 : 터치바

Claims (7)

  1. 삭제
  2. 웨잉호퍼(12) 내에서 장입낙하하는 석탄(1)을 회전하면서 분산시키는 콜 분산수단; 및
    상기 웨잉호퍼(12) 내에서 상기 콜 분산수단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웨잉호퍼(12)의 하부 배출구(12a) 측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콜 분산수단은,
    상기 웨잉호퍼(12) 내의 상부에 배치되며, 회전하면서 장입낙하하는 석탄(1)을 분산시키는 회전날개(112)를 가진 회전바(110); 및
    상기 웨잉호퍼(12)의 측부에 장착되며, 상기 회전바(110)의 양단부 각각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120);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잉호퍼 막힘 방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바(110)는,
    양단부가 상기 지지부재(120)에 베어링체결된 회전축(111); 및
    단면이 삼각뿔 형상으로 상기 회전축(111)의 둘레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된 상기 회전날개(112);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잉호퍼 막힘 방지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바(110)는,
    장입낙하하는 석탄(1)이 상기 회전날개(112)에 충돌되어 회전하거나,
    상기 지지부재(120)에 구비된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잉호퍼 막힘 방지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분사수단은,
    상기 웨잉호퍼(12)에 장착되되, 토출부(211)가 상기 웨잉호퍼(12) 내의 하부에 배치된 에어노즐(210); 및
    상기 에어노즐(210)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220);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잉호퍼 막힘 방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부(220)는,
    에어탱크로부터 상기 에어노즐(210)과 연결된 에어호스(221);
    상기 에어호스(221)에 장착되어 에어 내의 응축수를 제거하는 수분분리기(222);
    상기 에어호스(221)에 장착된 개폐밸브(223); 및
    상기 개폐밸브(223)를 개폐제어하는 컨트롤박스;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잉호퍼 막힘 방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웨잉호퍼(12)의 하측에 배치된 빈게이트의 개폐플레이트에 터치센서(230)가 장착되고,
    상기 개폐플레이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터치센서(230)에 터치되는 터치바(231)가 상기 웨잉호퍼(12)의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컨트롤박스는, 상기 터치센서(230)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상기 터치센서(230)의 작동에 따라 상기 개폐밸브(223)를 개폐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잉호퍼 막힘 방지장치.
KR1020140029299A 2014-03-13 2014-03-13 웨잉호퍼 막힘 방지장치 KR101639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299A KR101639860B1 (ko) 2014-03-13 2014-03-13 웨잉호퍼 막힘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299A KR101639860B1 (ko) 2014-03-13 2014-03-13 웨잉호퍼 막힘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023A KR20150107023A (ko) 2015-09-23
KR101639860B1 true KR101639860B1 (ko) 2016-07-14

Family

ID=54245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299A KR101639860B1 (ko) 2014-03-13 2014-03-13 웨잉호퍼 막힘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98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89506A (zh) * 2019-09-26 2019-12-20 方凌晨 一种用于热电厂燃料运输的堆煤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366B1 (ko) * 2018-06-27 2020-06-22 주식회사 포스코 부착탄 자동제거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5561A (ja) * 1992-10-26 1994-05-17 Sumitomo Metal Ind Ltd 石炭塔内の石炭付着防止方法
JPH11302658A (ja) * 1998-04-23 1999-11-02 Sumitomo Metal Ind Ltd コークス炉の石炭装入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149271B1 (ko) * 2009-03-26 2012-05-25 현대제철 주식회사 원료 장입 장치
KR101320562B1 (ko) * 2010-11-11 2013-10-2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혼합물 장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89506A (zh) * 2019-09-26 2019-12-20 方凌晨 一种用于热电厂燃料运输的堆煤装置
CN110589506B (zh) * 2019-09-26 2021-05-28 国能濮阳热电有限公司 一种用于热电厂燃料运输的堆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023A (ko) 201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9860B1 (ko) 웨잉호퍼 막힘 방지장치
CN107249747A (zh) 粉碎装置
KR102427200B1 (ko) 제설제의 소포장 장치
CN101975516A (zh) 球团鼓风环冷机给料斗安全溜槽
CN110332413B (zh) 管道加热设备
KR101377222B1 (ko) 코크스 오븐 장입차의 석탄 장입 장치
US8939329B2 (en) Sewage silo with centripetal action discharge arm
CN106362887A (zh) 自动撒盐机
KR20150124807A (ko) 덤프형 이동식 아스콘 보온차량
CN208585683U (zh) 刮板式提升机
CN201914705U (zh) 一种输送设备卸料分配装置
KR101235761B1 (ko) 미분탄 제조설비에서의 슈트내 부착탄 제거장치
CN206624387U (zh) 液晶玻璃生产用给料机和用于玻璃窑炉的加料系统
EP2935783A2 (de) Vorrichtung zum abteufen eines schachts
KR20150065333A (ko) 호퍼 내부의 부착물 제거장치
JP2012127549A (ja) パイライト排出装置及びボイラ設備
KR101994651B1 (ko) 샌드 팩터용 투입호퍼 리프팅 장치
Živanić et al. „Possibilities of Material Flow Propagation Through Conveyor Loading Devices “
CN205418634U (zh) 带有百叶片防尘结构的空气炮
JP3834380B2 (ja) 高炉マッド自動充填装置
CN201876142U (zh) 球团鼓风环冷机给料斗安全溜槽
CN109718980A (zh) 一种改进型用于飞轮喷防锈油的装置
KR101597262B1 (ko) 원료 처리장치
CN219750967U (zh) 提升机及输送系统
KR102125366B1 (ko) 부착탄 자동제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