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9623B1 - 디바이스에서 메시지 송신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바이스에서 메시지 송신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9623B1
KR101639623B1 KR1020130145916A KR20130145916A KR101639623B1 KR 101639623 B1 KR101639623 B1 KR 101639623B1 KR 1020130145916 A KR1020130145916 A KR 1020130145916A KR 20130145916 A KR20130145916 A KR 20130145916A KR 101639623 B1 KR101639623 B1 KR 101639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protection function
activated
input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5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1785A (ko
Inventor
김정환
박주희
이장혁
Original Assignee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5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623B1/ko
Publication of KR20150061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1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4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output devices, e.g. displays or moni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디바이스에서 상대 디바이스로의 메시지 송신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대화 창과 입력 창으로 구성된 서비스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요청된 후 상기 사용자에 의해 문자가 입력될 때까지의 어느 시점에서 상기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상기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을 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들을 메시지 보호를 위한 사전 설정에 의해 가공하여 상기 입력 창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의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 창에 표시된 메시지를 상기 상대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상기 상대 디바이스로 전송한 메시지를 상기 대화 창에 표시한다.

Description

디바이스에서 메시지 송신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ASSAGE IN A DIVICE}
본 발명은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디바이스에서 상대 디바이스로 메시지를 송신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보급은 우리 삶에 다양한 변화를 일으켰다. 대표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된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사용자 간의 정보 교환 (일 예로 메시지, 동영상, 음성, 파일 등의 교환)이 가능해졌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송신 또는 수신되는 메시지가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된다. 일 예로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시, 앞서 주고 받은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영역 (이하 ‘대화 창’이라 칭함)과, 송신할 메시지를 입력하기 위한 표시 영역 (이하 ‘입력 창’이라 칭함)으로 구성된 서비스 화면이 표시된다.
그 후 상대방과 주고 받은 메시지는 대화 창에 시간의 흐름에 의해 표시되고, 상대방에게 송신하기 위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는 입력 창에 표시된다. 상기 입력 창에 표시된 문자들은 사용자의 전송 요청에 의해 상기 대화 창의 마지막 송신 메시지로 표시된다.
따라서 공개된 장소에서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경우, 서비스 화면에 표시된 해당 정보가 제3자에게 노출될 수 있다. 특히 교환되는 정보가 주민 번호, 계좌 번호, 비밀 번호 등과 같이 보호가 필요한 개인 정보인 경우에는 더욱 보호가 필요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디바이스에서 전송을 위해 입력된 메시지 또는 전송이 완료된 메시지가 보호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송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디바이스에서 메시지 보호 기능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전송을 위해 입력되는 메시지 또는 전송이 완료된 메시지의 노출 방지를 위한 보호 여부를 결정하는 송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디바이스에서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을 시에 입력 메시지 및/또는 전송 메시지를 사전 설정에 의해 가공하여 표시하는 송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디바이스에서 전송되는 메시지 중 사용자가 직접 보호 여부를 판단하여, 보호가 필요한 메시지만을 개별적으로 보호하는 송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디바이스에서 메시지를 표시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대화 창과 입력 창으로 구성된 서비스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요청된 후 상기 사용자에 의해 문자가 입력되거나 상대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될 때까지의 어느 시점에서 상기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을 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들을 메시지 보호를 위한 사전 설정에 의해 가공하여 상기 입력 창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의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 창에 표시된 메시지를 상기 상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상대 디바이스로 전송한 메시지를 상기 대화 창에 전송 메시지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을 시, 상기 상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의 보호 기능 설정 식별자가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메시지의 보호 기능 설정 식별자가 활성화되어 있으면, 상기 수신한 메시지에 포함된 문자들을 메시지 보호를 위한 사전 설정에 의해 가공하여 상기 대화 창에 수신 메시지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메시지의 보호 기능 설정 식별자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수신한 메시지에 포함된 문자들을 가공하지 않고 상기 대화 창에 수신 메시지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활성화된 메시지 보호 기능의 해제를 위한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면, 상기 입력 창 또는 상기 대화 창에 가공되어 표시된 문자들을 가공 이전의 문자로 복원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을 시, 상기 상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메시지에 포함된 보호 기능 설정 식별자를 활성화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표시하는 디바이스는, 상기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메모리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대화 창과 입력 창으로 구성된 서비스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대 디바이스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전송부와,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요청된 후 상기 사용자에 의해 문자가 입력되거나 상대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될 때까지의 어느 시점에서 상기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을 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들을 메시지 보호를 위한 사전 설정에 의해 가공하여 상기 입력 창에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 창에 표시된 메시지를 상기 상대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상기 전송부를 제어하며, 상기 상대 디바이스로 전송한 메시지를 상기 대화 창에 전송 메시지로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을 시, 상기 상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의 보호 기능 설정 식별자가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며, 상기 수신한 메시지의 보호 기능 설정 식별자가 활성화되어 있으면, 상기 수신한 메시지에 포함된 문자들을 메시지 보호를 위한 사전 설정에 의해 가공하여 상기 대화 창에 수신 메시지로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며, 상기 수신한 메시지의 보호 기능 설정 식별자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수신한 메시지에 포함된 문자들을 가공하지 않고 상기 대화 창에 수신 메시지로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활성화된 메시지 보호 기능의 해제를 위한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면, 상기 입력 창 또는 상기 대화 창에 가공되어 표시된 문자들을 가공 이전의 문자로 복원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을 시, 상기 상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메시지에 포함된 보호 기능 설정 식별자를 활성화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시에 의하면, 사용자가 대화형 어플리케이션 사용 시 보호가 필요한 메시지를 개별적으로 보호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생활과 정보 유출에 대한 위험성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들간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의 일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디바이스들간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신호 처리 절차를 간략하게 보이고 있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송신하는 디바이스의 구성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 디바이스에서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5는 도 4에서의 메시지 보호 모드 서브루틴에 따른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6은 도 4에서의 메시지 비보호 모드 서브루틴에 따른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7a 내지 도 7f는 제1디바이스에서 문자, 문자들 또는 메시지를 표시한 예들을 보이고 있는 도면.
이하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대표적인 실시 예에 대해 개시할 것이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정의하고 있는 개체들의 명칭들은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된 명칭들이 권리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시스템에 대해 동일 또는 용이한 변경에 의해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뿐만 아니라 하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 공지된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제안하는 기술적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디바이스를 통해 보호가 필요한 메시지를 송/수신 하는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보호가 필요한 메시지를 개별적으로 보호하는 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송신 디바이스는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을 시에 입력 메시지 및/또는 전송 메시지를 쉽게 확인이 어렵도록 가공, 치환, 변형 등을 행하여 표시한다. 후술될 설명에서는 문자 또는 문자들 또는 메시지를 쉽게 인지할 수 없도록 처리하는 것을 ‘가공’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통칭하도록 한다.
상기 입력 메시지는 사용자가 전송을 위해 입력하였으나 아직 전송되지 않은 메시지이고, 상기 전송 메시지는 입력 메시지로 표시된 후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대 디바이스로 전송된 메시지이다. 예컨대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시, 입력 창과 대화 창 등을 포함하는 서비스 화면이 표시되는데, 상기 입력 창은 입력 메시지를 표시하고, 상기 대화 창은 전송 메시지를 표시한다.
상기 입력 창에 입력 메시지를 가공하여 표시할지 여부와, 상기 대화 창에 전송 메시지를 가공하여 표시할 지 여부는 메시지 보호 기능의 활성화 여부에 의해 결정되도록 한다. 상기 메시지 보호 기능의 활성화는 사전에 미리 설정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이 구동 중인 상황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활성화될 수도 있다.
상기 메시지 보호 기능은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송/수신되는 모든 메시지에 대해 보호 기능을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전에 활성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일부 메시지에 제한적으로 보호 기능을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필요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체적인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들간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1디바이스(101), 기지국(103, 107), 네트워크(105), 제2디바이스(109)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디바이스(101)와 상기 제2디바이스(109)는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호 메시지를 송신 및 수신한다. 상호간에 메시지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디바이스(101)와 상기 제2디바이스(109)에는 동일한 대화형 어플리케이션 (111, 113)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화형 어플리케이션(111,113)은 카카오 톡, 마이 피플, 구글 톡 등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1디바이스(101)와 상기 제2디바이스(109)는 대화형 어플리케이션(111, 113)의 설치가 가능하다면, 반드시 동일한 종류의 디바이스일 필요는 없다. 예컨대 상기 제1디바이스(101)와 상기 제2디바이스(109)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어떠한 종류의 조합이라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디바이스(101)가 송신 디바이스이고, 제2디바이스(109)가 수신 디바이스임을 가정한다. 하지만 메시지를 교환할 두 디바이스가 대화형 어플리케이션만 설치되어 있다면, 그 반대의 가정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디바이스(101)는 대화형 어플리케이션(111)을 사용하여,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제1디바이스(101)에 의해 전송된 메시지는 제1기지국(103)을 거쳐 네트워크(105)로 전송된다. 제2디바이스(109)는 상기 제1디바이스(101)에 의해 네트워크(105)로 전송된 메시지를 제2기지국(107)을 통해 수신한다.
상기 제1디바이스(101)에 의해 전송되는 메시지는 사용자가 보호를 원하는 정보를 담고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사용자가 보호를 원하는 정보는 계좌번호, 주민등록번호 등과 같이 아주 개인적인 정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개인적인 정보를 전송할 때, 사용자는 해당 정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를 원할 시에 메시지 보호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보호 기능은 제1디바이스(101)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를 식별이 어렵도록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제공한다. 그 외에 상기 메시지 보호 기능은 제2디바이스(109)가 수신한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식별이 어렵도록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제공한다.
상기 메시지를 보내고자 하는 사용자는 보낸 메시지를 통해 전달할 정보에 대한 보호가 필요하다고 느낄 시, 제1디바이스(101)에서 지원하는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도록 설정할 것이다.
상기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된 제1디바이스(101)는 사용자에 의해 문자 또는 문자들이 입력될 시, 상기 입력된 문자 또는 문자들을 설정된 바에 따라 쉽게 인지하기 어렵도록 가공한다.
상기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된 제1디바이스(101)는 제2디바이스(109)로 실제 전송된 메시지 (이하 ‘전송 메시지’라 칭함)를 표시할 시에도 상기 전송 메시지를 쉽게 인지하기 어렵도록 설정된 바에 따라 가공한다.
상기 제1디바이스(101)는 가공된 문자 또는 문자들 또는 가공된 전송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입력된 문자 또는 문자들 또는 전송 메시지가 원치 않게 주변 사람들에게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가공은 문자 또는 문자들 또는 메시지를 이미지, 애니메이션 등으로 대신하거나 모자이크 처리하는 것에 해당한다. 도 7a 내지 도 7f는 제1디바이스에서 문자, 문자들 또는 메시지를 표시한 예들을 보이고 있다.
도 7a는 상대 디바이스로부터 개인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수신되어 표시된 예를 보이고 있다.
즉 도 7a에서는 상대 디바이스로부터 ‘계좌 번호 알려줘~’라는 메시지가 수신되어, 서비스 화면을 구성하는 대화 창(710)에 ‘계좌 번호 알려줘~’라는 메시지(701)가 표시된 상황을 가정하고 있다. 상기 서비스 화면은 대화 창(701) 외에도 입력 창(720), 전송 요청 아이콘(730) 및 정보 입력을 위한 키들에 의해 구성된 키 패드(702)를 포함한다.
도 7b는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 (이하 ‘메시지 비보호 모드’라 칭함)에서 사용자가 상대방의 요청에 응답하여 개인 정보를 입력한 예를 보이고 있다.
즉 도 7b에서는 사용자가 키 패드(702)를 구성하는 숫자 키들을 조작하여 자신의 계좌 번호인 ‘123-4567-89123’을 입력함으로써, 입력 창(720)에 입력된 계좌 번호 ‘123-4567-89123’가 표시된 상황을 보이고 있다.
도 7c는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 (이하 ‘메시지 보호 모드’라 칭함)에서 사용자가 상대방의 요청에 응답하여 개인 정보를 입력한 예를 보이고 있다.
즉 도 7c에서는 사용자가 키 패드(702)를 구성하는 숫자 키들을 조작하여 자신의 계좌 번호인 ‘123-4567-89123’을 입력할 시, 상기 입력된 계좌 번호 ‘123-4567-89123’을 ‘***-****-*****’로 가공하고, 입력 창(720)에 상기 가공된 계좌 번호 ‘***-****-*****’가 표시된 상황을 보이고 있다.
도 7d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전송된 메시지가 대화 창(710)에 표시된 예를 보이고 있다.
즉 도 7d에서는 메시지 비보호 모드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어 상대 디바이스로 전송된 계좌 번호 ‘123-4567-89123’가 대화 창(710)에 표시(740)된 상황을 보이고 있다. 상기 계좌 번호는 가공되지 않고 표시됨에 따라 주변에 있는 사람에게 쉽게 노출 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도 7e는 메시지 보호 모드에서 사용자가 상대방의 요청에 응답하여 입력한 개인 정보를 전송한 후 가공하여 대화 창(710)에 표시한 예를 보이고 있다.
즉 도 7e에서는 메시지 비보호 모드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어 상대 디바이스로 전송된 계좌 번호 ‘123-4567-89123’를 특정 이미지(750)로 가공하고, 상기 가공한 이미지를 대화 창(710)에 표시한 상황을 보이고 있다.
도 7f는 메시지 보호 모드에서 사용자가 상대방의 요청에 응답하여 입력한 개인 정보를 전송한 후 가공하여 대화 창(710)에 표시한 다른 예를 보이고 있다.
즉 도 7f에서는 메시지 비보호 모드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어 상대 디바이스로 전송된 계좌 번호 ‘123-4567-89123’를 상기 계좌 번호를 구성하는 숫자 개수와 동일한 빈 박스로 가공되고, 상기 가공된 빈 박스들을 대화 창(710)에 표시(760)한 상황을 보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디바이스들간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신호 처리 절차를 간략하게 보이고 있다.
도 2에서 제1디바이스와 제2디바이스는 같은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설치된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됨을 가정하고 있다. 하지만 제1디바이스와 제2디바이스가 동일한 종류의 디바이스일 필요는 없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디바이스를 송신 디바이스로 가정하고, 제2디바이스를 수신 디바이스로 가정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디바이스는 사용자에 의해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요청이 접수되면,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송/수신되는 메시지에 대한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201단계). 이 단계에서 제1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1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보호가 필요한 메시지를 제2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해,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메시지 보호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보호가 필요한 메시지는, 계좌번호 등과 같이 타인에게 노출되는 것을 원치 않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디바이스는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된 후 사용자로부터 전송하고자 하는 문자 또는 문자들이 인가되면, 입력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상기 제1디바이스는 입력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다면, 상기 문자 또는 문자들을 쉽게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도록, 이미지, 애니메이션, 블라인드, 모자이크 등의 형태로 가공하여 표시한다. 상기 제1디바이스는 메시지 보호를 위해 문자 또는 문자들 단위가 아닌 입력된 문자들에 의해 구성된 입력 메시지 단위로 가공을 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디바이스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 메시지의 전송이 요청되면, 상기 입력 메시지를 전송한다 (203단계). 이때 상기 제1디바이스는 해당 전송 메시지가 메시지 보호 기능에 의해 전송됨을 알리기 위한 정보를 제2디바이스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디바이스는 전송 메시지를 표시하기 전에 전송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상기 제1디바이스는 전송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다면, 상기 전송 메시지를 쉽게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도록, 이미지, 애니메이션, 블라인드, 모자이크 등의 형태로 가공하여 표시한다.
상기 제2디바이스는 수신 메시지를 설정된 화면 표시 모드에 따라 표시한다 (205단계). 상기 설정된 화면 표시 모드는 제2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써, 제1디바이스가 송신한 메시지를 보호하기 위하여 제공된 화면이다.
예컨대 상기 제2디바이스는 자신의 화면 표시 모드에서 보호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보호 기능 설정 식별자가 활성화되어 있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보호 기능에 의해 메시지를 표시한다. 상기 보호 기능에 의해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제2디바이스는 보호 기능에 상응한 설정 정보를 이용한다. 상기 설정 정보는 보호 기능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이다.
도 2에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제1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메시지 보호 기능에 의해 표시된 입력 메시지 또는 전송 메시지를 정상적인 형태로 표시할 수도 있다. 하지만 메시지 보호 기능에 의해 보호되고 있는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표시하는 것은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절차를 거쳐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절차는 비밀번호, 패턴, 지문인식 등의 다양한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해 구체적인 제안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송신하는 디바이스의 구성 예를 보이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송신 디바이스는 전송부(320), 제어부(3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 메모리(34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310)는 중앙처리장치(CPU)(312), 롬(ROM)(314), 램(RAM)(316)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는 표시부(332), 키 패드(334)를 포함한다.
상기 전송부(320)는 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대 디바이스와의 경로를 연결한다. 상기 상대 디바이스는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전송부(320)는 상대 디바이스와의 경로를 통해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메시지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상기 경로는 주파수, 시간과 같은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채널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는 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와의 정보 교환을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예컨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는 터치 스크린에 의한 구현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는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제어부(31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터치는 사용자의 신체 (예,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가 용이하도록 만들어진 장치 (예, 스타일러스 펜)가 접촉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의 표시부(332)는 송신 디바이스의 동작에 따른 화면을 표시한다. 예컨대 상기 표시부(332)는 송신 디바이스가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한 서비스 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332)는 서비스 화면의 입력 창에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 또는 문자들을 표시하고, 서비스 화면의 대화 창에 수신 메시지와 수신 메시지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332)는 메시지 보호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고려한 상기 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입력 창에 표시할 문자 또는 문자들 및/또는 표시 창에 표시할 전송 메시지를 사전 설정 또는 실시간 설정에 의해 가공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의 키 패드(334)는 다수의 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키 패드(334)는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된다. 상기 키 패드(334)는 물리적인 형태 또는 화면 상에 표시되어 사용자에 의한 조작이 가능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조작하는 모든 키, 버튼, 아이콘 등은 상기 키 패드(334)를 구성하는 요소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메모리(340)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SSD) 등과 같은 송신 디바이스의 내장 기록 매체 외에도 상기 송신 디바이스에 장착 가능한 메모리 카드 (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 등이 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310)는 송신 디바이스에서의 메시지 송신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전송부(3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 메모리(340)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310)의 롬(314)은 송신 디바이스의 초기 구동을 위한 구동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310)의 램(316)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송신 디바이스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구동시키기 위한 기록 영역으로 사용된다. 상기 제어부(310)의 CPU(312)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중 하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0)를 구성하는 CPU(312), 롬(314) 및 램(316)은 내부 버스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CPU(312)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메모리(340)에 설치된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고, 상기 호출된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램(316) 상에서 구동시킨다.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310)는 사용자에 의해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요청되면, 메모리(340)에 접근하여 사전에 설치된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고, 상기 호출한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을 내부 램(316)에서 구동한다. 상기 제어부(310)는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을 서비스하기 위한 서비스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330)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310)는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상기 제어부(310)는 사용자에 의해 문자가 입력되기 전에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310)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시점에서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0)는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을 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 또는 문자들을 가공하고, 상기 가공한 문자 또는 문자들을 입력 창에 표시하도록 표시부(332)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문자 또는 문자들을 가공하기 위한 설정을 미리 정의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310)는 메시지 보호 기능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메시지 보호 모드 또는 메시지 비보호 모드에 의한 메시지의 송신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메시지 보호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310)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 또는 문자들을 사전 설정에 의해 가공하여 표시부(332)의 입력 창에 표시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310)는 키 패드(334)로부터 사용자의 요청이 인가될 시, 상기 입력 창에 표시된 입력 메시지를 상대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전송부(320)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310)는 전송한 전송 메시지를 사전 설정에 의해 가공하여 표시부(332)의 대화 창에 표시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310)는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을 시, 전송부(320)를 제어하여 상대 디바이스로 최초 메시지의 전송 또는 전송하기에 앞서 향후 전송될 메시지에 메시지 보호 기능이 적용되었음을 상대 디바이스에게 알릴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0)는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을 시,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 또는 문자들을 가공하지 않고 입력한 그대로 표시부(332)의 입력 창에 표시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310)는 키 패드(334)로부터 사용자의 요청이 인가될 시, 상기 입력 창에 표시된 입력 메시지를 상대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전송부(320)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310)는 전송한 전송 메시지를 어떠한 가공도 하지 않고 표시부(332)의 대화 창에 표시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를 제어한다.
하지만 상기 제어부(310)는 메시지 비보호 모드에서도 사용자에 의해 메시지 보호가 요청될 시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 또는 문자들에 대해 메시지 보호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310)는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한 시점과 사용자에 의해 문자가 입력된 시점 사이에 존재하는 임의의 시점에서 사용자가 메시지 보호를 요청하였다면, 그 후 입력 메시지를 사전 설정에 의해 가공하여 입력 창에 표시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310)는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한 시점과 사용자에 의해 입력 메시지에 대한 전송이 요청된 시점 사이에 존재하는 임의의 시점에서 사용자가 메시지 보호를 요청하였다면, 그 후 전송 메시지를 사전 설정에 의해 가공하여 대화 창에 표시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0)는 메시지 비보호 모드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전송 메시지에 대한 보호가 이루어질 시, 전송부(320)를 제어하여 상대 디바이스로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전송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보호 기능이 적용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의 가공은 대상 메시지의 원 내용을 정상적으로 인지할 수 없도록 변형시키는 것을 말한다. 예컨대 상기 가공은 대상 메시지를 다른 이미지 또는 애니메이션 등으로 대체하거나 대상 메시지의 내용을 블라인드 또는 모자이크 등으로 처리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로부터 구동중인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요청이 접수되면, 상기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종료하기 위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 디바이스에서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송신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요청되는 지를 감시한다 (410단계). 상기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은 송신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된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한 아이콘을 사용자가 선택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한 아이콘은 해당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을 내려 받아 설치함에 의해 생성된다.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사용자에 의해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요청되면, 사전에 설치된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구동한다 (412단계). 상기 송신 디바이스에 의한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은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을 서비스하기 위한 서비스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을 서비스하기 위한 서비스 화면은 대화 창과 입력 창을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화면은 사용자의 문자 입력을 위한 키 패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화 창은 상대방에게 보낸 메시지와 상대방으로부터 받은 메시지를 발생 순서에 의해 표시하기 위한 표시 창이다. 상기 입력 창은 사용자가 상대방에게 보내기 위해 입력하는 문자들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창이다. 상기 입력 창에 표시되는 문자들, 즉 메시지는 상대방에게 발송되기 전의 메시지에 해당한다. 상기 입력 창에 표시된 메시지는 사용자에 의해 수정이 가능하다.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메시지 보호 기능에 의해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메시지 서비스가 수행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414단계). 즉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메시지 보호 기능의 활성화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에 대한 판단을 사용자에 의해 대화형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요청된 후 사용자가 메시지 송신을 위해 문자를 입력할 때까지의 어느 시점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어느 시점은 사용자에 의해 대화형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요청된 시점과 사용자가 메시지 송신을 위해 문자를 입력한 시점 사이에 존재하는 임의의 시점이다.
상기 사용자는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여부와 상관없이 메시지 보호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설정이 가능하다. 상기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었다는 것은 사용자가 송신을 위해 입력된 메시지 및/또는 이미 송신이 완료된 메시지에 대한 보호를 요청하였음을 의미한다.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메시지 보호 기능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메시지 보호 모드 서브루틴 또는 메시지 비보호 모드 서브루틴에 의해 메시지를 송신한다 (416단계, 418단계).
상기 메시지 보호 모드 서브루틴은 송신을 위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들을 사전 설정에 의해 가공하여 입력 창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 창에 표시된 입력 메시지를 상대 디바이스로 전송하며, 상기 전송한 전송 메시지를 대화 창에 표시하는 동작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시지 보호 모드 서브루틴에서는 대화 창에 표시되는 전송 메시지에 대해서도 사전 설정에 의해 가공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전송 메시지를 가공하여 표시하기 위해, 상기 전송 메시지도 메시지 보호 기능의 적용 대상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메시지 보호 기능의 적용 대상에 전송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을 시에 한하여, 상기 전송 메시지를 사전 설정에 의해 가공하여 대화 창에 표시한다. 즉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메시지 보호 기능의 적용 대상에 전송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입력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보호 기능의 적용 여부와 무관하게 전송 메시지에 대해서는 메시지 보호 기능을 적용하지 않는다.
하지만 전송 메시지가 메시지 보호 기능의 적용 대상이 아니었으나 특정 전송 메시지에 대해서만 메시지 보호 기능을 적용할 것이 사용자에 의해 요청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특정 전송 메시지에 한해서만 메시지 보호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송신 디바이스는 특정 전송 메시지만을 설정에 의해 가공하여 대화 창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입력 메시지의 가공을 위한 사전 설정과 상기 전송 메시지의 가공을 위한 사전 설정은 서도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사전 설정은 입력 메시지 또는 전송 메시지를 어떠한 형태로 가공할 것인지에 대해 미리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메시지 보호 모드의 적용을 전체 적용 또는 일부 적용으로 구분하여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즉 메시지 보호 모드를 입력 메시지에 한하여 적용하거나 입력 및 전송 메시지에 모두 적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상세 설정에 따라 입력 메시지 및/또는 전송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보호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을 시, 상대 디바이스로 최초 메시지의 전송 또는 전송하기에 앞서 향후 전송될 메시지에 메시지 보호 기능이 적용되었음을 상대 디바이스에게 알릴 수 있다.
상기 메시지 비보호 모드 서브루틴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들을 가공 없이 입력 창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 창에 표시된 메시지를 상대 디바이스로 전송하며, 상기 전송한 메시지를 대화 창에 표시하는 동작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메시지 비보호 모드 서브루틴에서도 사용자에 의해 메시지 보호가 요청될 시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들에 대해 메시지 보호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한 시점과 사용자에 의해 문자가 입력된 시점 사이에 존재하는 임의의 시점에서 사용자가 메시지 보호를 요청하였다면, 그 후 입력 메시지를 사전 설정에 의해 가공하여 입력 창에 표시한다.
다른 예로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한 시점과 사용자에 의해 입력 메시지에 대한 전송이 요청된 시점 사이에 존재하는 임의의 시점에서 사용자가 메시지 보호를 요청하였다면, 그 후 전송 메시지를 사전 설정에 의해 가공하여 대화 창에 표시한다.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메시지 비보호 모드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전송 메시지에 대한 보호가 이루어질 시,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전송 메시지에 메시지 보호 기능이 적용되었음을 상대 디바이스에게 알릴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입력 또는 전송 메시지에 대한 가공은 대상 메시지의 원 내용을 정상적으로 인지할 수 없도록 변형시키는 것을 말한다. 예컨대 상기 가공은 대상 메시지를 다른 이미지 또는 애니메이션 등으로 대체하거나 대상 메시지의 내용을 블라인드 또는 모자이크 등으로 처리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구동중인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종료를 요청하는지를 감시한다 (420단계). 상기 구동중인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종료는 사용자가 송신 디바이스의 서비스 화면에 표시된 종료 버튼을 조작함에 의해 요청될 수 있다.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구동중인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요청이 감지될 때까지 메시지 보호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고려한 메시지 전송 동작 (메시지 보호 모드 서브루틴, 메시지 비보호 모드 서브루틴)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구동중인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요청이 감지될 시, 현재 구동중인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종료한다.
도 5는 도 4에서의 메시지 보호 모드 서브루틴에 따른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송신 디바이스는 메시지 보호 모드 서브루틴이 개시될 시, 사용자에 의해 메시지 전송을 위한 문자들이 입력되는 지를 감시한다 (510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한 문자 입력은 서비스 화면을 구성하는 키 패드의 키들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들을 사전 설정에 의해 가공하여 입력 창에 표시한다 (512단계). 즉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전송할 완전한 입력 메시지를 가공하여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전송할 메시지를 구성할 문자 또는 문자들 단위로 가공하여 표시한다.
하지만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전송할 입력 메시지를 구성하는 모든 문자들이 입력된 후, 상기 입력 메시지를 가공하여 입력 창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사용자에 의해 완전한 입력 메시지가 입력될 때까지 입력 창에는 어떠한 문자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그 이유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들을 가공하지 않고 입력 창에 표시한 후, 전송할 메시지가 완전히 입력될 시에 가공하여 표시할 경우, 가공 전에 입력된 문자들에 대한 보호가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송신 디바이스가 문자를 가공하기 위한 설정과 전체 메시지를 가공하기 위한 설정은 서로 다르게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문자를 가공하기 위한 설정은 다른 문자들의 가공에 따른 표시들과의 관계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나, 전체 메시지를 가공하기 위한 설정은 상호 관계를 고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사용자에 의해 전송 요청이 있는지를 감시한다 (514). 상기 전송 요청은 서비스 화면을 구성하는 전송 버튼을 사용자가 누름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전송 요청이 감지될 시, 현재 입력 창에 표시된 내용이 전송할 메시지라고 판단하여, 상기 입력 창에 표시된 가공되지 않은 메시지를 상대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516단계). 만약 상기 송신 디바이스와 상대 디바이스 간의 사전 약속에 의해, 입력 창에 표시된 가공 메시지를 상기 상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대 디바이스는 사전 약속에 의해, 가공 메시지로부터 가공 전의 메시지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전송 요청이 감지되지 않을 시, 입력 메시지를 구성할 문자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가공하여 입력 창에 표시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입력 메시지를 전송하면, 상기 전송 메시지를 사전 설정에 의해 가공한 후, 상기 가공된 전송 메시지를 대화 창에 표시한다 (518단계). 이때 상기 가공된 전송 메시지는 앞에서도 밝힌 바와 같이 이미지 또는 애니메이션 등이거나 가공 전 전송 메시지를 모자이크 등에 의해 처리한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전송 메시지를 가공하여 대화 창에 표시한 후, 사용자가 현재 대화 서비스의 종료를 요청하는지를 판단한다 (520단계).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현재 대화 서비스의 종료를 요청하였다면, 도 4의 메인 루틴의 42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현재 대화 서비스의 종료를 요청하지 않으면, 상기 510단계로 리턴하여 다음 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도 6은 도 4에서의 메시지 비보호 모드 서브루틴에 따른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송신 디바이스는 메시지 비보호 모드 서브루틴이 개시될 시, 사용자에 의해 메시지 전송을 위한 문자들이 입력되는 지를 감시한다 (610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한 문자 입력은 서비스 화면을 구성하는 키 패드의 키들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를 입력 창에 표시한다 (612단계).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사용자에 의해 전송 요청이 있는지를 감시한다 (614). 상기 전송 요청은 서비스 화면을 구성하는 전송 버튼을 사용자가 누름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전송 요청이 감지될 시, 현재 입력 창에 표시된 메시지를 상대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616단계).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전송 요청이 감지되지 않을 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를 입력 창에 표시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입력 메시지를 전송하면, 사용자에 의해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었는지를 판단한다 (618단계). 상기 메시지 보호 기능의 활성화는 메시지 비보호 모드 서브루틴에 따른 동작이 시작된 시점과 사용자에 의해 입력 창에 표시된 메시지의 전송이 요청된 시점 사이에 존재하는 임의의 시점에서 사용자가 메시지 보호를 요청함에 의해 설정된다.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었을 시, 전송 메시지를 소정의 설정에 의해 가공한 후, 상기 가공된 전송 메시지를 대화 창에 표시한다 (620단계). 상기 가공된 전송 메시지는 앞에서도 밝힌 바와 같이 이미지 또는 애니메이션 등이거나 가공 전 전송 메시지를 모자이크 등에 의해 처리한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지 않았을 시, 어떠한 가공도 행하지 않은 전송 메시지를 대화 창에 표시한다 (622단계).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가공 또는 가공하지 않은 전송 메시지를 대화 창에 표시한 후, 사용자가 현재 대화 서비스의 종료를 요청하는지를 판단한다 (624단계).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현재 대화 서비스의 종료를 요청하였다면, 도 4의 메인 루틴의 42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현재 대화 서비스의 종료를 요청하지 않으면, 상기 610단계로 리턴하여 다음 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메시지 비보호 모드로 동작할 시, 송신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문자 또는 문자들을 가공하여 입력 창에 표시하는 것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았다.
하지만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메시지 비보호 모드 서브루틴에 따른 동작이 시작된 후 사용자에 의한 전송 요청이 있기 전까지의 임의의 시점에서 사용자에 의해 메시지 보호 요청이 있을 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 또는 문자들을 소정의 설정에 의해 가공하여 입력 창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시들에서는 입력 또는 전송 메시지를 설정에 따라 표시한 것으로, 애니메이션, 모자이크, 이미지를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밖에 입력 또는 전송 메시지를 설정 외에 다른 형태로도 대체하여 표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4)

  1. 대화형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디바이스에서 메시지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화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대화 창과 입력 창으로 구성된 서비스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대화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요청된 후 문자가 입력되거나 상대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될 때까지의 어느 시점에서 상기 대화형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을 시, 입력되는 문자들을 메시지 보호를 위한 사전 설정에 의해 가공하여 상기 입력 창에 표시하는 과정과,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 창에 표시된 메시지를 상기 상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상대 디바이스로 전송한 메시지를 메시지 보호를 위한 사전 설정에 의해 가공하여 상기 대화 창에 전송 메시지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을 시, 상기 상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의 보호 기능 설정 식별자가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메시지의 보호 기능 설정 식별자가 활성화되어 있으면, 상기 수신한 메시지에 포함된 문자들을 메시지 보호를 위한 사전 설정에 의해 가공하여 상기 대화 창에 수신 메시지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메시지의 보호 기능 설정 식별자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수신한 메시지에 포함된 문자들을 가공하지 않고 상기 대화 창에 수신 메시지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활성화된 메시지 보호 기능의 해제를 위한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면, 상기 입력 창 또는 상기 대화 창에 가공되어 표시된 문자들을 가공 이전의 문자로 복원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을 시, 상기 상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메시지에 포함된 보호 기능 설정 식별자를 활성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표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메시지로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전송 요청이 있기 전 어느 시점 또는 상기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대화 창에 표시되는 메시지도 상기 메시지 보호 기능의 적용 대상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대화 창에 표시되는 메시지도 상기 메시지 보호 기능의 적용 대상이라 판단될 시, 상기 상대 디바이스로 전송한 메시지를 메시지 보호를 위한 사전 설정에 의해 가공하여 상기 대화 창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메시지 표시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한 후 문자가 입력되기 전 어느 시점에서 메시지 보호가 요청될 시, 상기 입력되는 문자들을 메시지 보호를 위한 사전 설정에 의해 가공하여 상기 입력 창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메시지 표시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한 후 상기 전송 요청이 있기 전 어느 시점에서 메시지 보호가 요청될 시, 상기 상대 디바이스로 전송한 메시지를 메시지 보호를 위한 사전 설정에 의해 가공하여 상기 대화 창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메시지 표시방법.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한 후 상기 전송 요청이 있기 전 어느 시점에서 메시지 보호가 요청될 시, 상기 전송되는 메시지가 상기 메시지 보호 기능이 적용되었음을 상기 상대 디바이스에게 알리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메시지 표시방법.
  7. 제1항 내지 제4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에 의한 가공은 상기 입력되는 문자들 또는 상기 상대 디바이스로 전송한 메시지를 애니메이션 또는 이미지로 대체하거나 모자이크 처리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표시방법.
  8. 대화형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표시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대화형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메모리와,
    상기 대화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대화 창과 입력 창으로 구성된 서비스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대 디바이스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전송부와,
    상기 대화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요청된 후 문자가 입력되거나 상대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될 때까지의 어느 시점에서 상기 대화형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을 시, 입력되는 문자들을 메시지 보호를 위한 사전 설정에 의해 가공하여 상기 입력 창에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 창에 표시된 메시지를 상기 상대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상기 전송부를 제어하며, 상기 상대 디바이스로 전송한 메시지를 메시지 보호를 위한 사전 설정에 의해 가공하여 상기 대화 창에 전송 메시지로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을 시, 상기 상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의 보호 기능 설정 식별자가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며, 상기 수신한 메시지의 보호 기능 설정 식별자가 활성화되어 있으면, 상기 수신한 메시지에 포함된 문자들을 메시지 보호를 위한 사전 설정에 의해 가공하여 상기 대화 창에 수신 메시지로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며, 상기 수신한 메시지의 보호 기능 설정 식별자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수신한 메시지에 포함된 문자들을 가공하지 않고 상기 대화 창에 수신 메시지로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활성화된 메시지 보호 기능의 해제를 위한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면, 상기 입력 창 또는 상기 대화 창에 가공되어 표시된 문자들을 가공 이전의 문자로 복원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을 시, 상기 상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메시지에 포함된 보호 기능 설정 식별자를 활성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 요청이 있기 전 어느 시점 또는 상기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대화 창에 표시되는 메시지도 상기 메시지 보호 기능의 적용 대상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대화 창에 표시되는 메시지도 상기 메시지 보호 기능의 적용 대상이라 판단될 시, 상기 상대 디바이스로 전송한 메시지를 메시지 보호를 위한 사전 설정에 의해 가공하여 상기 대화 창에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한 후 문자가 입력되기 전 어느 시점에서 메시지 보호가 요청될 시, 상기 입력되는 문자들을 메시지 보호를 위한 사전 설정에 의해 가공하여 상기 입력 창에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한 후 전송 요청이 있기 전 어느 시점에서 메시지 보호가 요청될 시, 상기 상대 디바이스로 전송한 메시지를 메시지 보호를 위한 사전 설정에 의해 가공하여 상기 대화 창에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시지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을 시, 상기 상대 디바이스로 최초 메시지를 전송할 때 또는 전송하기에 앞서 향후 전송될 메시지가 상기 메시지 보호 기능에 의해 전송될 것임을 상기 상대 디바이스에게 알리도록 상기 전송부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3. 삭제
  14.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들 또는 상기 상대 디바이스로 전송한 메시지를 애니메이션 또는 이미지로 대체하거나 모자이크 처리하는 것에 의해 가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KR1020130145916A 2013-11-28 2013-11-28 디바이스에서 메시지 송신장치 및 방법 KR101639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5916A KR101639623B1 (ko) 2013-11-28 2013-11-28 디바이스에서 메시지 송신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5916A KR101639623B1 (ko) 2013-11-28 2013-11-28 디바이스에서 메시지 송신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785A KR20150061785A (ko) 2015-06-05
KR101639623B1 true KR101639623B1 (ko) 2016-07-15

Family

ID=53499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5916A KR101639623B1 (ko) 2013-11-28 2013-11-28 디바이스에서 메시지 송신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96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326B1 (ko) * 2017-09-04 2018-06-14 주식회사 와임 분할 기능을 이용한 소셜 미디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137540B1 (ko) * 2018-06-05 2020-07-24 주식회사 와임 분할 기능을 이용한 소셜 미디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648350B1 (ko) * 2021-05-18 2024-03-15 주식회사 카카오 서명된 컨텐츠를 전달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9389B1 (ko) 2005-09-12 2006-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생활 보호 문자 출력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그 문자 출력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0314A (ko) * 2005-11-10 2007-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메시지 표시방법
KR20130079155A (ko) * 2011-12-22 2013-07-1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9389B1 (ko) 2005-09-12 2006-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생활 보호 문자 출력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그 문자 출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785A (ko) 2015-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59480B (zh) 屏幕共享
CN107079031B (zh) 经由与第二设备的通信对第一设备的基于用户认证的批准
CN111124339B (zh) 一种界面分享方法及电子设备
EP3132621B1 (en)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apparatus and system
CN103974025A (zh) 在机密数据输入期间中止屏幕共享的方法和设备
WO2019227488A1 (zh) 一种查看信息内容的方法及终端
EP21873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rypting user data
CN108616499B (zh) 一种应用程序的鉴权方法、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314441B (zh) 基于多区域控制的终端控制方法、装置和终端
EP264528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nd presenting first aid guide in portable terminal
JP2020502657A (ja) 認証されたログインのため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KR102425307B1 (ko) 잠금 모드, 중급 모드, 그리고 해제 모드에서의 데이터 처리 단말들과 관련된 방법들
US9984232B2 (en) Method of operating security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CN106416170A (zh) 分享屏幕的方法、分享设备及接收设备
CN108319873B (zh) 柔性屏终端安全认证控制方法、终端及计算机存储介质
CN111462785B (zh) 录音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CN111290695A (zh) 基于优先级控制的终端控制方法、装置和终端
CN111324248A (zh) 终端控制方法、装置、终端、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09313535A (zh) 提供远程键盘服务
KR101639623B1 (ko) 디바이스에서 메시지 송신장치 및 방법
CN108710806B (zh) 一种终端解锁方法、移动终端
CN108153460B (zh) 一种图标隐藏方法及终端
CN110210206B (zh) 一种权限管理方法及终端
CN111414097A (zh) 一种交互方法、交互系统和显示设备
CN110536001A (zh) 一种通话方法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