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728B1 - 수술용 나사핀 - Google Patents

수술용 나사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728B1
KR101638728B1 KR1020150019162A KR20150019162A KR101638728B1 KR 101638728 B1 KR101638728 B1 KR 101638728B1 KR 1020150019162 A KR1020150019162 A KR 1020150019162A KR 20150019162 A KR20150019162 A KR 20150019162A KR 101638728 B1 KR101638728 B1 KR 101638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inclination
spiral
cutting head
b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9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우성
Original Assignee
신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우성 filed Critical 신우성
Priority to KR1020150019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7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683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comprising bone transfixation elements, e.g. bolt with a distal cooperating element such as a n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6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나사핀을 뼈에 고정시키는 초기작업에서 나사핀의 드릴날부가 뼈의 내부로 진입하는 작업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는 수술용 나사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뼈에 박아 고정하기 위한 수술용 나사핀에 있어서, 원형봉(圓棒)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 단부에 뾰족하게 형성된 드릴날부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서 드릴날부와 연결되도록 몸체의 외면에 형성된 일측나선부를 포함하되, 상기 드릴날부는, 그 끝단에 상기 몸체의 중심축선이 만나는 첨단부를 가지고, 그 첨단부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절개되어 평면으로 형성된 절삭면과, 상기 절삭면의 정면을 향해 볼 때, 몸체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단면의 일측 경사와 타측 경사가 각각 30°~ 40°로 뾰족하게 형성된 형상이고, 절삭면의 측면을 향해 볼 때,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일측 경사가 30°~ 40°이고 타측 경사는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5°~ 10°인 절삭면의 경사가 되는 절삭머리부와, 상기 절삭머리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절삭면의 정면을 향해 볼 때, 상기 몸체를 중심축선과 50°~ 70°의 경사를 가지는 선으로 절개하여 들어가 절삭면과 만나도록 절개된 상측절개면을 포함하며, 상기 일측나선부의 하단부는 첨단부에서 소정간격을 두고 절삭머리부의 경사면에 위치하고, 상측절개면의 경사는 일측나선부의 나선이 기울어진 측과 같은 측으로 기울어진 경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술용 나사핀{A PIN INCLUDING SCREW PART FOR SURGICAL OPERATION}
본 발명은 수술용 나사핀에 관한 것으로, 골절부위가 움직이지 않도록 서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골절부위의 양쪽 뼈에 박아 고정시키는데 사용하는 수술용 나사핀이고, 특히 동물의 수술용으로 보다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수술용 나사핀에 관한 것이다.
골절이 발생한 부분의 외과적 수술에 있어서, 통상 골절부위의 부러진 양측을 서로 고정시키는 시술을 하게 된다. 그와 같은 시술을 위해 골절이 발생한 주위의 뼈에 복수의 나사핀을 박고, 외부에서 그 나사핀들을 서로 고정시키는 방식이 이용된다.
도 1은 골절된 부분(1)을 고정하기 위하여 종래 나사핀(2)을 뼈에 박아 고정하고 지지구조물(3)을 설치한 엑스레이 사진이다.
나사핀(2)의 전단부에 형성된 나선부가 뼈에 박혀 고정됨으로써 지지력를 발휘할 수 있다.
도 2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08811호에 개시된 것으로서, 그와 같이 골절부위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술용 나사핀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원형봉(圓棒) 형상의 몸체(5)와, 그 몸체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드릴날부(4)와, 상기 몸체(5)의 일측에서 상기 드릴날부(4)와 연결되도록 외면에 형성된 일측나선부(6)를 포함한다.
상기 드릴날부(4)는, 몸체(5)의 끝단에 첨단부(8a)를 가지도록 뾰족하게 형성된 절삭머리부(8)와, 중심축선(5a)을 중심으로 서로 회전대칭인 한 쌍의 절삭홈부(7)를 포함한다.
상기 절삭홈부(7)는, 상기 첨단부(8a)에서부터 중심축선(5a)의 방향으로 수직으로 깎인 절삭면(7b)과, 상기 첨단부(8a)에서부터 시작해서 상부는 점점 깊이가 얕아지는 오목한 라운드형상을 이루도록 깎인 칩안내면(7a,7c)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골절부위에 대한 수술시, 핸드척에 고정되는 수술용 나사핀(2)은 골절이 발생한 부근의 뼈에 드릴링에 의해 박아 고정하게 된다.
이 때, 드릴링이 진행되어 드릴날부(8)가 피질골 내부로 진입한 상태에서는 절삭모서리에서 깎인 골조각이 절삭홈부(7)에 쌓이면서 칩안내면(7a,7c)을 따라 이동한 후 일측나선부(6)의 나선골로 진입 및 배출되게 된다.
그와 같이, 뼈에 고정된 나사핀(2)은 타 수술용 나사핀들과 연결로드(3)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골절부위(1) 주위에서 서로 간에 안정된 고정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수술용 나사핀을 사용시, 작업의 초기시점에서 골 내부로 나사핀(2)이 진행하기 위해서는, 드릴날부(4)를 여러 번 돌려 뼈를 부수고 원형봉 형상의 몸체(5)가 진입할 구멍을 먼저 형성해야 하며, 드릴날부(4)가 골조직에 완전히 진입한 시점에서야 일측나선부(6)가 형성된 몸체(5)가 진입하면서 안정적인 진행이 이루어질 수 있고, 드릴날부(4)가 그러한 구멍을 완전히 형성하기까지는 골을 덮고 있는 질긴 조직의 골막이 그 작업을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수술용 나사핀을 이용하여 골절부위의 수술을 진행하면, 수술용 나사핀을 뼈에 고정시키는 초기작업이 원활하지 않고, 숙련된 조작을 요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술한 수술용 나사핀을 길이가 5~10cm, 직경이 1~2mm 정도인 작은 치수의 애완동물용 나사핀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드릴날부의 형상을 보다 가공이 용이한 구조로 변경시킬 필요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나사핀을 뼈에 고정시키는 초기작업에서 나사핀의 드릴날부가 뼈의 내부로 진입하는 작업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는 수술용 나사핀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은 치수의 수술용 나사핀에서도 드릴날부를 형성시키는 가공이 비교적 용이한 구조의 수술용 나사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뼈에 박아 고정하기 위한 수술용 나사핀에 있어서, 원형봉(圓棒)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 단부에 뾰족하게 형성된 드릴날부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서 상기 드릴날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몸체의 외면에 형성된 일측나선부를 포함하되, 상기 드릴날부는, 그 끝단에 상기 몸체의 중심축선이 만나는 첨단부를 가지고, 그 첨단부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절개되어 평면으로 형성된 절삭면과, 상기 절삭면의 정면을 향해 볼 때, 상기 몸체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단면의 일측 경사와 타측 경사가 각각 30°~ 40°로 뾰족하게 형성된 형상이고, 상기 절삭면의 측면을 향해 볼 때, 상기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일측 경사가 30°~ 40°이고 타측 경사는 상기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5°~ 10°인 상기 절삭면의 경사가 되는 절삭머리부와, 상기 절삭머리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절삭면의 정면을 향해 볼 때, 상기 몸체를 상기 중심축선과 50°~ 70°의 경사를 가지는 선으로 절개하여 들어가 상기 절삭면과 만나도록 절개된 상측절개면을 포함하며, 상기 일측나선부의 하단부는 상기 첨단부에서 소정간격을 두고 상기 절삭머리부의 경사면에 위치하고, 상기 상측절개면의 경사는 상기 일측나선부의 나선이 기울어진 측과 같은 측으로 기울어진 경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일측나선부의 하단부가 상기 첨단부와 이격되는 거리는 상기 절삭머리부의 전체 길이의 30 ~ 70% 길이만큼인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뼈에 박아 고정하기 위한 수술용 나사핀에 있어서, 수직인 원형봉(圓棒) 형상의 몸체와, 그 몸체의 일측 단부에 뾰족하게 형성된 드릴날부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서 상기 드릴날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몸체의 외면에 형성된 일측나선부를 포함하되, 상기 드릴날부는 그 끝단에서 상기 몸체의 중심축선이 만나는 첨단부; 상기 몸체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단면의 일측 경사와 타측 경사가 각각 30°~ 40°로 뾰족한 형상인 절삭머리부; 상기 절삭머리부를 상기 첨단부에서부터 상하로 절개하는 것으로, 상기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5°~ 10°의 경사를 가지는 평면인 절삭면과, 상기 절삭머리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절삭면의 정면을 향해 볼 때 수평면과 20°~ 40°의 경사를 가지고 상기 절삭면과 만나도록 절개된 상측절개면으로 이루어진 절삭홈;을 포함하며, 상기 일측나선부의 하단부는 상기 첨단부에서 소정간격을 두고 상기 절삭머리부의 경사면에 위치하고, 상기 상측절개면의 경사는 상기 일측나선부의 나선이 기울어진 측과 같은 측으로 기울어진 경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일측나선부의 하단부는 상기 절삭머리부의 전체 높이의 30 ~ 70% 높이만큼 상기 첨단부로부터 높은 위치에서 시작되도록 형성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일측나선부의 상단부는 나선의 외경이 상기 일측나선부의 중단부와 동일하게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측으로 가면서 나선골의 깊이가 점차 얕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나사핀은, 일측나선부의 하단부가 첨단부에서 소정간격을 두고 절삭머리부의 경사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드릴날부가 뼈에 완전히 진입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나선이 골조직에 결합되어 회전력에 의해 진행이 가능한 바, 나사핀을 뼈에 고정시키는 초기작업에서 나사핀의 드릴날부가 뼈의 내부로 진입하는 작업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나사핀은, 그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면서 골조직을 천공하는 드릴링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작은 치수의 수술용 나사핀에서도 드릴날부를 형성시키는 가공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나사핀은, 일측나선부의 상단부에서 상측으로 가면서 나선골의 깊이가 점차 얕아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골조직과 매우 밀착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견고한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수술용 나사핀을 이용하여 골절부위를 고정한 상태를 도시하는 엑스레이사진
도 2는 종래 골절부위의 고정에 사용되는 수술용 나사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나사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나사핀의 일측 단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나사핀에서 드릴날부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나사핀에서 일측나선부의 상단부를 도시하는 구성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나사핀을 핸드척에 물어 사용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나사핀을 이용하여 드릴링하는 초기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나사핀을 이용하여 드릴링이 진행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나사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나사핀이 골조직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나사핀(10)은 뼈에 박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형봉(圓棒) 형상의 몸체(20)와, 상기 몸체(20)의 일측 단부에 뾰족하게 형성된 드릴날부(30)와, 상기 몸체(20)의 일측에서 드릴날부(30)와 연결되도록 몸체(20)의 외면에 형성된 일측나선부(4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20)는 원통형상의 봉체로 형성된 것이고, 몸체(20)의 일측 단부에 드릴날부(30)가 형성되고 몸체(20)의 일측에서 외면에 일측나선부(40)가 형성된다. 몸체(20)가 수직으로 세워지면, 드릴날부(30)는 그 하단에 위치하고 일측나선부(40)는 몸체(20)의 하단에서 드릴날부(30)와 일부 겹치면서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몸체(20)의 중심축선(201)은 수직선이 된다.
상기 드릴날부(30)는 골조직을 천공하여 몸체(20)가 진입하도록 드릴링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서, 그 끝단에 상기 몸체(20)의 중심축선(201)이 만나는 첨단부(301)를 가지고, 그 첨단부(301)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절개되어 평면으로 형성된 절삭면(32)과, 뾰족한 형상의 절삭머리부(34)와, 절삭머리부(34)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절개면(36)을 포함한다.
상기 절삭머리부(34)는, 도 5의 (a)와 같이, 상기 절삭면(32)의 정면을 향해 볼 때, 상기 몸체(20)의 중심축선(201)을 중심으로 단면의 양측 경사(343,344) 즉, 일측경사(343)와 타측경사(344)가 각각 30°~ 40°범위 내의 경사각(α)으로 형성되어 그 양측 경사진 부분으로 인해 뾰족하게 형성된다. 그 경사각(α)은 각각 35°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그 절삭머리부(34)를 도 5의 (b)와 같이, 상기 절삭면(32)의 측면을 향해 볼 때, 중심축선(201)을 기준으로 일측 경사(341)가 30°~ 40°이고 타측 경사(321)는 상기 중심축선(201)을 기준으로 5°~ 10°인 절삭면(32)의 경사각(β)이 된다. 여기서 절삭면(32)의 경사는 절삭면(32)이 평면이므로 절삭면(32)을 측면에서 볼 때, 도 5의 (b)와 같이 나타나는 경사진 선(321)의 경사를 의미한다. 상기 중심축선(201)을 기준으로 일측 경사(341)는 35°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절삭면(32)은 첨단부(301)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절개되는 평면으로서, 절삭면(32)의 양측 경사진 모서리가 뼈를 깎는 실질적 드릴날이 된다.
절삭면(32)은 첨단부(301)에서 상측방향으로 절개되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지 않고 중심축선(201)을 기준으로 앞쪽으로 5°~ 10°의 경사(β)인 상태로 상하로 평면이 형성된 것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7°의 경사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경사지게 절삭면(32)이 형성됨으로써, 도 5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절삭머리부(34)가 상측으로 가면서 그 두께가 점차 증가하게 되므로, 절삭머리부(34)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고, 절삭된 뼈조각을 경사방향으로 안내하여 상측절개면(36)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측절개면(36)은 절삭머리부(34)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도 5의 (a)와 같이, 상기 절삭면(32)의 정면을 향해 볼 때 수평면과 20°~ 40°의 경사(γ)를 가지고 상기 절삭면(32)과 만나도록 절개된 부분이다.
다시 말하면, 상측절개면(36)은 절삭면(32)의 정면을 향해 볼 때, 상기 몸체(20)를 상기 중심축선(201)과 50°~ 70°의 경사(90-γ)를 가지는 선(361)으로 절개하여 들어가 상기 절삭면(32)과 만나도록 절개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측절개면(36)과 절삭면(32)이 만남으로써 직선인 절개선(35)이 나타나고 있고, 그 절개선(35)은 명확히 나타나지 않고 라운드된 코너로 처리될 수도 있다.
상기 절삭면(32)과, 상측절개면(36)에 의해서 절삭머리부(34)는 절삭홈(50)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절삭홈(50)을 형성하는 2개의 평면은, 첨단부(301)에서부터 상하로 절개하는 것으로 상기 중심축선(201)을 기준으로 5°~ 10°의 경사를 가지는 평면인 절삭면(32)과, 절삭면(32)의 정면을 향해 볼 때 수평면과 20°~ 40°의 경사를 가지고 상기 절삭면(32)과 만나도록 절개된 상측절개면(36)이 되는 것이다.
상기 절삭면(32)의 경사각은 7°가 가장 바람직하고, 상측절개면(36)의 경사는 30°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상측절개면(36)은 30°로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절삭면(32)에 의해 안내되어 올라온 절삭된 뼈칩(chip;뼈조각)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부분이다.
상측절개면(36)에 의해 안내되어 배출되는 뼈칩이 일측나선부(40)의 나선을 타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측절개면(36)의 경사는 일측나선부(40)의 나선이 기울어져 있는 측으로 기울어진 경사이다. 이에 따라, 몸체(20)를 돌려 드릴링하면 상측절개면(36)을 벗어난 뼈칩이 원활히 나선으로 진입하여 나선을 타고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일측나선부(40)는 몸체(20)의 일측에서 드릴날부(30)와 연결되도록 몸체(20)의 외면에 형성됨으로써, 몸체(20)가 골조직의 내부에서 진행할 때, 나선이 골조직과 나선형상으로 결합함으로써 몸체(20)의 회전에 의해 골조직 내부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며, 드릴링에 의해 부서진 뼈칩이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역할도 한다.
상기 일측나선부(40)는 드릴날부(30)와 연결되되, 그 하단부는 드릴날부(30)에 일부 겹쳐서 설치된다.
즉, 일측나선부(40)의 하단부는 상기 첨단부(301)에서 소정간격을 두고 도 4 및 도 5와 같이, 절삭머리부(34)의 경사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절삭머리부(34)의 외면에서부터 이미 나선이 형성된 것이다. 그러나, 첨단부(301)로부터 소정의 높이까지는 일측나선부(40)의 나선이 형성되지 않고, 그 소정높이부터 일측나선부(40)의 나선(41)이 시작된다. 첨단부(301)로부터 일측나선부(40)의 나선이 시작되는 부분까지의 절삭머리부(34)는 골막을 찔러 골조직에 접근하고, 초기 천공을 하기 위한 부분이므로, 나선을 형성시키지 않는다.
상기 일측나선부(40)의 하단부가 상기 첨단부(301)와 이격되는 거리는 절삭머리부(34)의 전체 길이의 30 ~ 70% 길이만큼의 거리이므로, 절삭머리부(34)가 10mm높이를 가지는 경우, 아래에서부터 3 ~ 7 mm 범위의 높이에서 일측나선부(40)가 시작되는 것이다. 절삭머리부(34)의 전체 높이(길이)의 중간위치에서 시작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와 같은 절삭머리부(34)의 나선의 구성은, 절삭머리부(34)가 골조직에 파고들어가는 중간에 나선이 골조직에 물리게 함으로써, 회전력에 의해 쉽게 절삭머리부(34)가 골조직에 파고들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나사핀의 경우, 절삭머리부(34)가 몸체(20)의 직경만큼 골조직을 부수어 완전히 천공하기 전까지는 일측나선부(40)가 골조직과 결합될 수 없고, 골막(D)의 방해를 받아 절삭머리부(34)가 골조직을 파내는 작업의 초기시점에서 작업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수술용 나사핀(10)은 절삭머리부(34)가 완전히 골조직에 진입하지 않고 소정깊이만 파고들어가더라도 이미 일측나선부(40)의 하단 나선이 골조직과 결합하게 되므로, 회전력에 의해 몸체(20)의 진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그 시점부터는 질긴 조직인 골막(D)의 방해를 받더라도 골조직으로의 진입이 비교적 용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일측나선부(40)의 상단부(43)는 나선의 외경이 상기 일측나선부(40)의 중단부와 동일하게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측으로 가면서 나선골의 깊이가 점차 얕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도 6에서 t1,t2,t3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측나선부(40)의 상단부(43)는 나선의 내경이 점차로 커지게 되어 나선골이 점차 얕아지고 나선의 높이가 점차 낮아진다. 다만, 나선의 외경은 일측나선부(40)의 전체에서 동일하므로 일측나선부(40)의 중단부에서의 높이가 상단부에서도 유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골조직에 본 실시예의 수술용 나사핀(10)이 진입하면서 일측나선부(40)의 상단부(43)가 골조직에 진입하게 되면, 나선골의 깊이가 점차 얕아지면서 골조직과 매우 밀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그 상태에서 수술용 나사핀(10)의 진입을 멈추고 고정상태로 하면, 수술용 나사핀(10)이 골조직과 매우 밀착된 상태로 견고한 고정력을 발휘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나사핀(10)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수술용 나사핀(10)은 도 7과 같이, 물어 고정시키는 핸드척(60)을 이용하여 수작업에 의해 골조직에 고정한다.
핸드척(60)에 고정된 수술용 나사핀(10)은 도 8과 같이, 골절발생 부위의 인근에 고정하기 위한 드릴링이 실시된다.
드릴링의 초기단계에서는 골막(D)이 골의 표면을 덮고 있으므로 골막(D)을 첨단부(301)가 찔러 첨단부(301)가 뼈와 접촉한 상태에서 몸체(20)를 회전시킨다.
도 9와 같이, 드릴날부(30)의 절삭머리부(34)는 드릴링이 진행되어 소정깊이만 진입하면, 절삭머리부(34)가 골조직에 완전히 진입하지 않았더라도 일측나선부(40)의 나선이 절삭머리부(34)의 경사면에 형성되어 있어 골조직과 나선의 결합이 이루어지기 시작한다.
골조직과 일측나선부(40)의 하단부의 결합이 이루어진 후에는, 회전력에 의해 나선이 물려 진입하므로, 몸체(20)의 진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그 시점부터 질긴 조직인 골막(D)의 방해에도 몸체(20)가 용이하게 골조직으로 진입을 시작한다.
드릴날부(30)의 절삭모서리에서 깎인 골조각은 절삭홈(50)에 쌓이면서 절삭면(32)을 따라 상승한 후, 상측절개면(36)에 안내되어 일측나선부(40)의 나선골로 진입한다.
이후, 도 10과 같이, 일측나선부(40)의 상단부(43)이 골조직에 진입하면, 그 나선골의 깊이가 점차 얕아지는 부분으로서 골조직과 매우 밀착된 상태가 될 수 있는 바, 그 상태에서 회전을 멈추고 견고한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한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나사핀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그 수술용 나사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일측나선부(40)와 이격되어 있는 수술용 나사핀의 중간부분에 센터나선부(70)가 설치된다.
상기 센터나선부(70)는 일측나선부(40)의 외경보다 큰 외경으로 형성하여 몸체(20)가 골조직에 진입한 후, 센터나선부(70)가 진입시에는 보다 긴밀하게 골조직에 결합되도록 한다.
도 12는 수술용 나사핀이 뼈를 관통하여 센터나선부(70)가 골조직과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수술시 도 1의 도면부호 9와 같은 설치상태에서 지지구조물(3)을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나사핀 20 : 몸체
30 : 드릴날부 32 : 절삭면
34 : 절삭머리부 35 : 절개선
36 : 상측절개면 40 : 일측나선부
43 : 상단부 50 : 절삭홈
70 : 센터나선부 201 : 중심축선
301 : 첨단부 321 : 타측 경사
341 : 일측 경사 343,344 : 경사
A,C; 피질골 D; 골막

Claims (5)

  1. 뼈에 박아 고정하기 위한 수술용 나사핀에 있어서,
    원형봉(圓棒) 형상의 몸체(20)와,
    상기 몸체(20)의 일측 단부에 뾰족하게 형성된 드릴날부(30)와,
    상기 몸체(20)의 일측에서 상기 드릴날부(30)와 연결되도록 상기 몸체(20)의 외면에 형성된 일측나선부(40)를 포함하되,
    상기 드릴날부(30)는,
    그 끝단에 상기 몸체(20)의 중심축선(201)이 만나는 첨단부(301)를 가지고, 그 첨단부(301)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절개되어 평면으로 형성된 절삭면(32)과,
    상기 절삭면(32)의 정면을 향해 볼 때, 상기 몸체(20)의 중심축선(201)을 기준으로 단면의 일측 경사와 타측 경사가 각각 30°~ 40°로 뾰족하게 형성된 형상이고, 상기 절삭면(32)의 측면을 향해 볼 때, 상기 중심축선(201)을 기준으로 일측 경사가 30°~ 40°이고 타측 경사는 상기 중심축선(201)을 기준으로 5°~ 10°인 상기 절삭면(32)의 경사가 되는 절삭머리부(34)와,
    상기 절삭머리부(34)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절삭면(32)의 정면을 향해 볼 때, 상기 몸체(20)를 상기 중심축선(201)과 50°~ 70°의 경사를 가지는 선으로 절개하여 들어가 상기 절삭면(32)과 만나도록 절개된 상측절개면(36)을 포함하며,
    상기 일측나선부(40)의 하단부는 상기 첨단부(301)에서 간격을 둔 상태로 이격되어 상기 절삭머리부(34)의 경사면에 위치하고,
    상기 상측절개면(36)의 경사는 상기 일측나선부(40)의 나선이 기울어진 측과 같은 측으로 기울어진 경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나사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나선부(40)의 하단부가 상기 첨단부(301)와 이격되는 거리는 상기 절삭머리부(34)의 전체 길이의 30 ~ 70%의 길이만큼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나사핀
  3. 뼈에 박아 고정하기 위한 수술용 나사핀에 있어서,
    수직인 원형봉(圓棒) 형상의 몸체(20)와,
    그 몸체(20)의 일측 단부에 뾰족하게 형성된 드릴날부(30)와,
    상기 몸체(20)의 일측에서 상기 드릴날부(30)와 연결되도록 상기 몸체(20)의 외면에 형성된 일측나선부(40)를 포함하되,
    상기 드릴날부(30)는
    그 끝단에서 상기 몸체(20)의 중심축선(201)이 만나는 첨단부(301);
    상기 몸체(20)의 중심축선(201)을 중심으로 단면의 일측 경사와 타측 경사가 각각 30°~ 40°로 뾰족한 형상인 절삭머리부(34); 및,
    상기 절삭머리부(34)를 상기 첨단부(301)에서부터 상하로 절개하는 것으로, 상기 중심축선(201)을 기준으로 5°~ 10°의 경사를 가지는 평면인 절삭면(32)과, 상기 절삭머리부(34)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절삭면(32)의 정면을 향해 볼 때 수평면과 20°~ 40°의 경사를 가지고 상기 절삭면(32)과 만나도록 절개된 상측절개면(36)으로 이루어진 절삭홈(50)을 포함하며,
    상기 일측나선부(40)의 하단부는 상기 첨단부(301)에서 간격을 둔 상태로 이격되어 상기 절삭머리부(34)의 경사면에 위치하고,
    상기 상측절개면(36)의 경사는 상기 일측나선부(40)의 나선이 기울어진 측과 같은 측으로 기울어진 경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나사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나선부(40)의 하단부는 상기 첨단부(301)로부터 상기 절삭머리부(34)의 전체 높이의 30 ~ 70% 높이만큼 높은 위치에서 시작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나사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나선부(40)의 상단부(43)는 나선의 외경이 상기 일측나선부(40)의 중단부와 동일하게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측으로 가면서 나선골의 깊이가 점차 얕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나사핀
KR1020150019162A 2015-02-09 2015-02-09 수술용 나사핀 KR101638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162A KR101638728B1 (ko) 2015-02-09 2015-02-09 수술용 나사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162A KR101638728B1 (ko) 2015-02-09 2015-02-09 수술용 나사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8728B1 true KR101638728B1 (ko) 2016-07-11

Family

ID=56499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9162A KR101638728B1 (ko) 2015-02-09 2015-02-09 수술용 나사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87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6693A (ko) * 2008-04-25 2008-06-23 주식회사 명화금속 드릴형 나사못
KR100929987B1 (ko) * 2009-05-13 2009-12-07 주식회사 미라텍 임플란트
KR20120005575U (ko) * 2011-01-26 2012-08-03 (주) 코웰메디 치과용 임플란트 매식체
JP2013525008A (ja) * 2010-04-30 2013-06-20 グローバス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ッド ロック式骨ねじおよびその利用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6693A (ko) * 2008-04-25 2008-06-23 주식회사 명화금속 드릴형 나사못
KR100929987B1 (ko) * 2009-05-13 2009-12-07 주식회사 미라텍 임플란트
JP2013525008A (ja) * 2010-04-30 2013-06-20 グローバス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ッド ロック式骨ねじおよびその利用方法
KR20120005575U (ko) * 2011-01-26 2012-08-03 (주) 코웰메디 치과용 임플란트 매식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5782B2 (en) Bone screw
US11357557B2 (en) Bone joint reaming tool
US9498267B2 (en) Bone plate
US9364242B2 (en) Drilling device for forming a curved osseous channel within the body of a vertebra
US7232442B2 (en) Humeral nail
CA2928274C (en) A device for bone support with improved rotational stability
US20160100870A1 (en) Bone Implants
EP2421450B1 (en) Tissue anchor insertion system
US20130123862A1 (en) Arthrodesis implant and buttr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9520528A (ja) 骨板
JP2017536887A (ja) 鈍い先端の骨ねじ
JP2009520528A5 (ko)
KR20110063332A (ko) 뼈 나사
KR102307160B1 (ko) 천공 투관침
JP5731703B1 (ja) 骨穿孔器具
KR101702097B1 (ko) 리머와 드릴 안내 장치
KR101638728B1 (ko) 수술용 나사핀
EP3376972B1 (en) Surgical tunneling instrument with expandable section
US201902011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rgically Placing A Dental Implant
CN211094600U (zh) 自攻骨钉和骨折固定系统
CN111603238A (zh) 锚钉固定定位器
US11701132B2 (en) Lateral cortex penetrator
CN111067601A (zh) 经皮椎弓根穿刺扩孔器
KR20140008811A (ko) 수술용 나사핀
KR102230600B1 (ko) 골 나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