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127B1 - 지속적 콘텐츠 생성 및 맞춤형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지속적 콘텐츠 생성 및 맞춤형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127B1
KR101638127B1 KR1020160011157A KR20160011157A KR101638127B1 KR 101638127 B1 KR101638127 B1 KR 101638127B1 KR 1020160011157 A KR1020160011157 A KR 1020160011157A KR 20160011157 A KR20160011157 A KR 20160011157A KR 101638127 B1 KR101638127 B1 KR 101638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ata
terminal
contents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1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요섭
Original Assignee
박요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요섭 filed Critical 박요섭
Priority to KR1020160011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1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30017
    • G06F17/30023
    • G06F17/30058
    • G06F17/301

Landscapes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맞춤형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콘텐츠 제공 단말로부터 콘텐츠 제공자의 데이터, 콘텐츠 및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로 카테고리화되도록 제 1 분류를 실시하는 단계,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로 수준 및 난이도에 기반한 분류가 실시되도록 제 2 분류를 실시하는 단계, 콘텐츠를 분석하여 제 2 분류의 오차가 기 설정된 오차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재분류를 실시하는 단계, 콘텐츠 요청 단말로부터 수신된 콘텐츠 검색의 질의 데이터(Query Data)를 분석하는 단계, 질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카테고리의 콘텐츠의 리스트를 추출하여 콘텐츠 요청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속적 콘텐츠 생성 및 맞춤형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CONTINUOUS CONTENTS GENERATING AND CUSTOMIZED CONTENTS LIBRARY SERVICE}
본 발명은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콘텐츠 및 난이도에 따라 분류한 라이브러리를 형성함으로써, 학습자가 자신이 원하는 지식을 세분화하여 검색 및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폰 및 스마트 패드를 포함한 스마트 단말의 보급이 활발해지고, 다양한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이 연구 및 개발되어 활성화되면서, 교육 분야에서도 이를 기반으로 하는 강의 제공 및 학습을 위한 프로그램과 애플리케이션이 활발하게 개발 및 보급되기 이르렀다.
여기서,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원하는 콘텐츠를 요청하고, 이에 대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3-0076927호(2013.07.09 공개)에는, 지식과 경험을 기준으로 계층화 및 그룹화하여 지식 공유를 유도할 수 있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콘텐츠를 계층화 및 그룹화하는 것이 아니라, 콘텐츠를 제공하는 주체를 계층화 및 그룹화하는 것이기 때문에, 라이브러리로의 콘텐츠 수집(공급) 방식, 수집(공급)된 콘텐츠의 라이브러리화, 검증 및 맞춤형 제공화 등 라이브러리에 콘텐츠를 공급하는 방법과 학습자의 요청에 따른 맞춤형 콘텐츠 제공 방법에 대한 구성은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세분화된 지식 콘텐츠 분류가 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러닝(Learning) 콘텐츠를 원하는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세분화된 콘텐츠를 검색하기 쉽지 않아 중도에 검색을 포기하고 책이나 일방적으로 구성된 콘텐츠를 구입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콘텐츠 제공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를 메타 데이터를 기준으로 1차적으로 카테고리화하고, 수준 및 난이도를 기반으로 2차적으로 분류하며, 분류된 콘텐츠를 인증하고 분류의 정확도를 검증함으로써, 콘텐츠를 요청하는 사람이 자신이 원하는 부분의 지식을 세분화된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맞춤형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콘텐츠 제공 단말로부터 콘텐츠 제공자의 데이터, 콘텐츠 및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로 카테고리화되도록 제 1 분류를 실시하는 단계,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로 수준 및 난이도에 기반한 분류가 실시되도록 제 2 분류를 실시하는 단계, 콘텐츠를 분석하여 제 2 분류의 오차가 기 설정된 오차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재분류를 실시하는 단계, 콘텐츠 요청 단말로부터 수신된 콘텐츠 검색의 질의 데이터(Query Data)를 분석하는 단계, 질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카테고리의 콘텐츠 리스트를 추출하여 콘텐츠 요청 단말로 전송하고 이를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로 카테고리화하고 이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콘텐츠 제공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를 메타 데이터를 기준으로 1차적으로 카테고리화하고, 수준 및 난이도를 기반으로 2차적으로 분류하며, 분류된 콘텐츠를 인증하고 분류의 정확도를 검증함으로써, 콘텐츠를 요청하는 콘텐츠 요청자가 자신이 원하는 부분의 지식을 세분화된 최적의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공자는 단말을 통해 자신에게 강점이 있는 지식을 범위나 과정에 제한 없이 본 시스템에서 세분화하여 제시하는 수준, 난이도, 교과과정과 같은 항목 또는 자율지정에 따라 특정 부분만이라도 제공할 수 있고, 질의와 응답에서 응답은 질의자가 지정하는 자나 응답 가능한 모든 회원으로 구분할 수도 있으며, 해당 응답들도 세분화되어 라이브러리에서 콘텐츠화되게 하여 수준, 난이도, 교과과정과 같은 항목 또는 자율지정에 따라 세분화하여 수집하고 분류한 콘텐츠 라이브러리를 형성함으로써, 콘텐츠(지식)들 가운데 학습자(요청 단말)가 원하는(지정한) 세분화된 범위와 수준 및 난이도에 따라 검색해 개별적인 선택을 하게 하거나 학습자의 요청 내용에 따른 최적화된 맞춤형 콘텐츠가 자동적으로 구성되게 하여 이것을 제공함으로써 제공 콘텐츠와 요청자를 최적화로 연결해 학습자가 최적의 콘텐츠로 학습효과를 극대화하도록 맞춤형 콘텐츠를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콘텐츠 제공 단말(100),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 콘텐츠 요청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콘텐츠 제공 단말(100)과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콘텐츠 제공 단말(100)과 콘텐츠 요청 단말(400)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200)를 통하고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콘텐츠 제공 단말(100)과 콘텐츠 요청 단말(400)이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콘텐츠 제공 단말(100)과 콘텐츠 요청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 요청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콘텐츠 제공 단말(100) 및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요청 단말(400)은,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고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콘텐츠 제공 단말(1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200)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0)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콘텐츠 제공 단말(100),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 콘텐츠 요청 단말(400)은 도 1에 도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콘텐츠 제공 단말(100)은, 콘텐츠를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제공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 단말(100)은, 콘텐츠를 제공할 때, 콘텐츠의 데이터인 메타 데이터와 콘텐츠 제공자의 데이터를 함께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는, 문서,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영상 등 모든 종류의 콘텐츠일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 제공 단말(100)은,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카테고리화 및 난이도 분류가 되고 나면, 분류가 정확한지에 대한 확인을 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 단말(100)은,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오류 검증 이후 오류 수정 요청이 전송되는 경우, 콘텐츠를 수정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 제공 단말(100)은, 콘텐츠 요청 단말(400)로부터 질의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질의 데이터에 대한 답변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 제공 단말(100)은,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결제가 되는 경우 결제를 받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 단말(100)은,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신뢰도를 부여받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제공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콘텐츠 제공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콘텐츠 제공 단말(100)로부터 콘텐츠를 제공받고 라이브러리화시키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제공 단말(100)로부터 제공받은 콘텐츠는 1차적으로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도록 하고, 2 차적으로 난이도별로 분류될 수 있도록 하며, 3차적으로 분류된 콘텐츠를 검증하는 프로세스가 요구된다. 즉, 검증되지 않은 사용자로부터 수집되는 콘텐츠이기 때문에, 콘텐츠의 분류 및 검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해당 콘텐츠를 중개하는 사이트 및 사이트를 운영하는 회사의 이미지 및 신뢰도까지 낮아질 수 있기 때문에, 콘텐츠의 분류 및 검증 과정은 필수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콘텐츠 제공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콘텐츠를 메타 데이터에 기반하여 분류하되, 분류 결과도 검증하는 과정을 재수행하는 서버일 수 있고, 콘텐츠 자체의 검증도 수행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콘텐츠 요청 단말(400)로부터 콘텐츠 요청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질의 데이터(Query Data)를 분석하여 질의 데이터에 적합한 답변 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검색하고 분류하는 서버일 수 있다. 즉, 키워드로만 검색하는 경우, 콘텐츠 요청자가 원하는 정확하면서 세분화된 검색 결과가 검출되지 않을 수 있고, 검색 결과 내에서도 한참을 재검색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 경우가 검색 엔진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불편함인데, 이러할 경우 사이트를 처음 이용하는 사용자의 불편함은 곧 사이트를 이용하지 않을 확률로 이어지기 때문에, 정확한 검색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나누어진 교과 과정 또는 수준에 따른 강의 콘텐츠가 아니라, 학습자가 자신이 원하는 부분만, 자신의 수준에 맞게 공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콘텐츠 요청 단말(400)로부터 피드백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콘텐츠 제공 단말(100)로 전송하여 콘텐츠 요청 단말(400)에서 피드백 데이터에 대한 답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콘텐츠 요청 단말(400)에서 결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고, 결제된 결제 금액을 콘텐츠 제공 단말(100)로 결제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요청 단말(400)는,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콘텐츠를 요청하는 질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 요청 단말(400)은,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콘텐츠의 리스트가 수신된 경우,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콘텐츠의 샘플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말일 수 있고, 샘플 데이터가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요청 단말(400)은, 콘텐츠에 대한 피드백 데이터를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고, 피드백 데이터에 대한 답변 데이터가 콘텐츠 제공 단말(100)로부터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경우, 이를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요청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요청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콘텐츠 요청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신부(310), 제 1 분류부(320), 제 2 분류부(330), 재분류부(340), 분석부(350), 전송부(360), 검증부(370), 추출부(380) 및 확인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 또는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콘텐츠 제공 단말(100) 및 콘텐츠 요청 단말(400)로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콘텐츠 제공 단말(100) 및 콘텐츠 요청 단말(400)은,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콘텐츠 제공 단말(100) 및 콘텐츠 요청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이때, 네트워크(200)의 연결은, 콘텐츠 제공 단말(100),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 콘텐츠 요청 단말(400)이, 네트워크(200)로 연결되어 있는 단말과 통신을 위해 통신 접점에 통신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통신 객체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신부(310)는, 콘텐츠 제공 단말(100)로부터 콘텐츠 제공자의 데이터, 콘텐츠 및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제공자의 데이터는 콘텐츠 제공 단말(100)의 등록을 위하여 요구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는 콘텐츠를 분류할 때 이용될 수 있다.
제 1 분류부(320)는,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로 카테고리화되도록 제 1 분류를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제 1 분류에 따른 카테고리화는, 해당 콘텐츠가 어떠한 영역의 콘텐츠인지를 분류하기 위한 작업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어의 미래시제라고 가정하면, 1 단계로 영어로 분류되고, 영어의 하위 노드로 문법으로 분류되며, 문법의 하위 노드로 시제로 분류되고, 시제의 하위 노드로 미래 시제로 분류될 수 있다.
제 2 분류부(320)는,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로 수준 및 난이도에 기반한 분류가 실시되도록 제 2 분류를 실시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예를 이용하면 동일한 미래 시제라고 할지라도 수준 및 난이도에 따라 다른 콘텐츠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메타 데이터에서 예를 들어, 토익 950점 이상자의 난이도, 또는 원어민 고교생 정도의 난이도 등으로 설명은 하였으나, 메타 데이터에는 기준 데이터로 입력된 경우, 예를 들어 초·중·고·대학생 수준 및 난이도 0에서 100으로 단계별로 난이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면, 각 단계별 난이도에 대한 부가설명을 제 2 분류부(320)에서 설정하여 콘텐츠 제공자가 단계별 난이도를 메타 데이터로 입력하는데 혼동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콘텐츠 제공자마다 배경지식이 달라 자신이 생각하기에는 어렵다고 생각하는데, 막상 다른 사람이 생각하기에는 어렵지 않은 난이도일 수도 있어 분류가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재분류부(340)는 콘텐츠 제공자의 메타 데이터로 분류된 난이도를 검증하는 과정을 거친다.
즉, 재분류부(340)는, 콘텐츠를 분석하여 제 2 분류의 오차가 기 설정된 오차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재분류를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재분류부(340)에서 콘텐츠를 분석하여 제 2 분류의 오차가 기 설정된 오차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재분류를 실시할 때, 콘텐츠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텍스트 중 메타 데이터와 관련된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재분류부(340)는, 메타 데이터와 관련된 기준 데이터를 웹 크롤러(Web Crawler)를 이용하여 검색하고, 검색된 기준 데이터를 정규화할 수 있다. 또한, 재분류부(340)는, 정규화된 기준 데이터와 콘텐츠의 분석 데이터의 매칭률이 기 설정된 매칭률 미만인 경우, 오차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재분류부(340)는, 분석 데이터를 기준으로 카테고리화를 재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난이도가 5 단계로 나뉘었고, 콘텐츠 제공자가 4 단계의 난이도로 설정하여 메타 데이터를 기재하였으며, 4 단계의 영문법 미래시제에는 A 내지 F라는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는데, A 내지 F라는 내용이 배제된 경우에는, 4 단계보다 낮은 단계의 콘텐츠와 비교하여 유사도가 기 설정된 유사도를 초과하는 콘텐츠에 매핑된 난이도로 재조정할 수 있다. 이때, 재분류부(340)에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지 않은 경우에는 기준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기준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된 경우에는 구축된 난이도별 기준 데이터와 새로 업로드되는 콘텐츠들을 비교하여 분류할 수도 있다. 이때, 기준 데이터는 개념 및 정의에 관련된 데이터일 수 있다.
분석부(350)는, 콘텐츠 요청 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콘텐츠 검색의 질의 데이터(Query Data)를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질의 데이터는 키워드를 포함할 수도 있지만 문장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키워드 형태로 검색하는 경우 자신이 원하는 답변이 포함된 콘텐츠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콘텐츠 요청 단말(400)은 키워드 형태일 수도 있지만 문장 형태로 질의 데이터를 요청할 수도 있다. 이때, 분석부(350)는 질의 데이터를 분석할 때, 구문 분석(Syntax Analysis)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구문 분석은 문장을 이루고 있는 구성 성분으로 분해하고, 구성 성분 간의 위계 관계를 분석하여 문장의 구조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구분 분석 알고리즘에서 파싱(Parsing)을 이용하여 일련의 문자열을 의미있는 토큰(Token)으로 분해하고, 이로 이루어진 파스 트리(Parse Tree)를 만듦으로써 구분을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구문 분석은 하향식 구문 분석(top-down parsing) 및 상향식 구문 분석(bottom-up parsing)을 포함하여 질의 데이터가 자연어일지라도 자연어의 진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전송부(360)는, 질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카테고리의 콘텐츠의 리스트를 추출하여 콘텐츠 요청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전송부(360)에서 질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카테고리의 콘텐츠의 리스트를 추출하여 콘텐츠 요청 단말(400)로 전송할 때, 질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답변 데이터의 유사도가 기 설정된 유사도를 초과하는 콘텐츠의 리스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콘텐츠의 리스트 중 답변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기 설정된 데이터량을 초과하는 콘텐츠의 리스트를 필터링할 수 있다.
검증부(370)는, 재분류부(340)에서 콘텐츠를 분석하여 제 2 분류의 오차가 기 설정된 오차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재분류를 실시한 후, 제 2 분류된 콘텐츠를 검증할 수 있다. 이때, 재분류부(340)는, 제 2 분류된 콘텐츠를 검증하고, 콘텐츠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하고, 메타 데이터와 관련된 인증 데이터를 웹 크롤러(Web Crawler)를 이용하여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재분류부(340)는, 인증 데이터와 추출된 텍스트를 비교할 때, 추출된 텍스트 중 용어 설명 또는 용어 정의에 기반한 텍스트를 인증 데이터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산출하고, 오차율이 기 오차율을 초과하는 경우, 콘텐츠 제공 단말(100)로 오차율이 산출된 부분의 콘텐츠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 데이터는 백과사전 등과 같은 인증 기관에서 인증을 받은 자료일 수 있다.
추출부(380)는, 전송부(360)에서 질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카테고리의 콘텐츠의 리스트를 추출하여 콘텐츠 요청 단말(400)로 전송한 후, 콘텐츠 요청 단말(400)에서 선택한 콘텐츠의 샘플을 요구하는 샘플 요청 이벤트가 수신되는 경우, 콘텐츠 요청 단말(400)에서 입력된 질의 데이터와 대응되는 부분의 콘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추출부(380)는, 입력된 질의 데이터의 답변 데이터와 대응되는 부분의 콘텐츠가 출력되기 전의 기 설정된 부분의 콘텐츠를 콘텐츠 요청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추출부(380)는, 콘텐츠 요청 단말(400)로부터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결제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 선택된 콘텐츠를 콘텐츠 요청 단말(400)에서 출력되도록 콘텐츠 요청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와 대응되는 콘텐츠 내의 키워드는 콘텐츠의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와 대응되도록 태깅(Tagging)되고, 제 1 분류를 기준으로 콘텐츠는 난이도가 증가할수록 트리의 하위 노드에 배치되고, 난이도가 증가할수록 트리의 상위 노드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확인부(390)는, 전송부(360)에서 질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카테고리의 콘텐츠의 리스트를 추출하여 콘텐츠 요청 단말(400)로 전송한 후, 콘텐츠 요청 단말(400)에서 콘텐츠가 출력된 후, 콘텐츠 요청 단말(400)에서 출력된 콘텐츠 중 태깅된 키워드를 블라인드 처리하고, 콘텐츠 요청 단말(400)로부터 블라인드 처리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답변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확인부(390)는, 입력된 답변 데이터의 정답률이 기 설정된 정답률을 초과하는 경우, 콘텐츠에 매핑된 난이도보다 높은 난이도를 가진 콘텐츠인 하위 노드의 콘텐츠를 추출하여 콘텐츠 요청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 단말(100)에서 제공한 콘텐츠는 인증을 거쳐 업로드되고, 인증 결과에 기반하여 콘텐츠 제공 단말(100)에서 제공한 콘텐츠에 신뢰도가 태깅되고, 확인부(390)는, 전송부(380)에서 질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카테고리의 콘텐츠의 리스트를 추출하여 콘텐츠 요청 단말(400)로 전송한 후, 콘텐츠 요청 단말(400)에서 콘텐츠에 대한 질의 데이터가 생성되는 경우, 콘텐츠 제공 단말(100)로 질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확인부(390)는, 콘텐츠 제공 단말(100)에서 질의 데이터에 대한 답변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 콘텐츠 요청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확인부(390)는, 콘텐츠 요청 단말(400)에서 오류 확인 이벤트가 생성되는 경우, 오류 확인 결과에 기반하여 콘텐츠 제공 단말(100)로 콘텐츠 수정 요청을 전송하고, 오류 확인 결과 오류 확인 이벤트가 정당한 경우, 콘텐츠 제공 단말(100)의 콘텐츠에 대한 신뢰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요청 단말(400)에서 전송되는 질의 데이터는, 콘텐츠 요청을 위한 질의 데이터(Query Data)와, 콘텐츠 자체에 대한 질문인 질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서, 콘텐츠 요청 단말(400)은 콘텐츠 요청자의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리스트 업된 콘텐츠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콘텐츠의 범위는 초, 중, 고, 대학생 및 성인용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콘텐츠 제공 단말(100)은, 콘텐츠 이용자의 평가를 표시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평가가 기 설정된 기준 미만인 경우 콘텐츠가 삭제될 수도 있다. 이때, 콘텐츠 제공 단말(100)은 콘텐츠에 대한 샘플 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콘텐츠 요청 단말(400)은, 샘플 데이터를 열람하는 경우, 맞춤형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샘플 데이터에 기반하여 콘텐츠 요청자의 수준을 파악하고, 단원별, 항목별, 학습시간, 수준, 난이도, 콘텐츠 형태 등에 대해 자동(큐레이션)으로 학습 플랜을 구성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요청 단말(400)에서 학습 결과를 기 설정된 주기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주기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 요청 단말(400)은, 출력한 콘텐츠에 대한 피드백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한된 학습 기간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요청 단말(400)은 질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데, 콘텐츠 제공 단말(100) 또는 답변 가능한 모든 사람을 지정할 수도 있고, 답변 가능한 사용자의 조건을 지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콘텐츠 요청 단말(400)에서 질의한 데이터에 대한 답변이 게재되는 경우, 콘텐츠 요청 단말(400)로 직접 메세지가 전송될 수 있고, 모든 답변은 검증을 거쳐 검증 결과 인증이 된 답변은 콘텐츠 라이브러리에 세분화되도록 카테고리화되어 저장된 후 유료화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동 방법을 도 3를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a) 콘텐츠 제공 단말(100)에서 콘텐츠 및 이에 관련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경우,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b)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콘텐츠가 카테고리화되도록 1차적으로 분류한다. 또한, (c)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콘텐츠의 난이도에 따라 각 개념 또는 각 주제당 난이도가 어려울수록 하위 노드에 콘텐츠를 배치하고, 난이도가 쉬울수록 상위 노드에 배치하여 2차 분류한다.
또한, (d)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2차 분류가 정확한지의 여부 및 콘텐츠가 정확한 내용을 담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기준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내용을 바탕으로 콘텐츠를 재분류 및 인증을 실시한다.
그리고, (e)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콘텐츠 요청 단말(400)에서 콘텐츠를 요청하는 경우, (f) 콘텐츠 요청 단말(400)에서 샘플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하고, 콘텐츠 요청 단말(400)에서 결제되거나 선택되는 경우,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하며, 피드백 데이터가 발생된 경우, 콘텐츠 제공 단말(100)에서 피드백 데이터가 출력되어 이에 대한 답변이 콘텐츠 요청 단말(400)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피드백 데이터는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및 도 3의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호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콘텐츠 제공 단말(100)로부터 콘텐츠 제공자 데이터, 콘텐츠 및 메타 데이터를 수신한다(S4100).
또한,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카테고리화를 실시하여 1차적으로 분류하고(S4200), 난이도에 따라 2차적으로 분류한 후(S4300), 기준 데이터 및 인증 데이터를 수집하여(S4400) 2차 분류 및 콘텐츠에 대한 오차를 확인하도록 한다(S4500).
이때, 2차 분류에 오차가 발생한 경우에는 S4300 단계로 복귀하고, 인증 데이터에 오차가 발생한 경우에는 콘텐츠 제공 단말(100)로 오류를 전송하여(S4600), 오류가 수정될 수 있도록 한다(S4700). 이때, 오류가 수정되도록 콘텐츠가 업데이트된 경우 증가된 신뢰도를 부여할 수 있다(S4710).
한편, 콘텐츠 요청 단말(400)에서 질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S4800),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대응하는 콘텐츠를 전송하고(S4810), 콘텐츠 요청 단말(400)에서 샘플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S4820).
다만, 콘텐츠 요청 단말(400)에서 질의한 답변 데이터가 출력되기 전, 콘텐츠를 블라인드 처리함으로써 결제를 유도하고(S4830), 콘텐츠 요청 단말(400)에서 결제가 된 경우(S4840, S4850), 결제 정보는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되어, 콘텐츠 요청 단말(400)에서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S4870).
그리고,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콘텐츠 요청 단말(400)로부터 피드백이 전송된 경우(S4880), 피드백 종류가 오류 피드백인 경우(S4900), 오류를 수정하도록 하고(S4920), 피드백 종류가 질문 데이터인 경우에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하도록 피드백 데이터를 콘텐츠 제공 단말(100)로 전송한다(S4910).
또한,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콘텐츠 제공 단말(100)에서 콘텐츠가 업데이트된 경우에는(S4930), 업데이트된 콘텐츠에 기반하여 데이터베이스를 동기화한다. 이때,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피드백 종류가 오류 피드백임이 검증된 경우에는(S4900), 콘텐츠 제공 단말(100)의 신뢰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S4940).
상술한 단계들(S4100~S494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4100~S494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4의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콘텐츠 제공 단말로부터 콘텐츠 제공자의 데이터, 콘텐츠 및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수신한다(S5100).
그리고 나서,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로 카테고리화되도록 제 1 분류를 실시한다(S5200).
또한,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로 난이도에 기반한 분류가 실시되도록 제 2 분류를 실시하고(S5300), 콘텐츠를 분석하여 제 2 분류의 오차가 기 설정된 오차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재분류를 실시한다(S5400).
여기서,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콘텐츠 요청 단말로부터 수신된 콘텐츠 검색의 질의 데이터(Query Data)를 분석하고(S5500), 질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카테고리의 콘텐츠의 리스트를 추출하여 콘텐츠 요청 단말로 전송한다(S5600).
이와 같은 도 5의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맞춤형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맞춤형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 제공 단말로부터 콘텐츠 제공자의 데이터, 콘텐츠 및 상기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로 카테고리화되도록 제 1 분류를 실시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로 난이도에 기반한 분류가 실시되도록 제 2 분류를 실시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를 분석하여 상기 제 2 분류의 오차가 기 설정된 오차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재분류를 실시하는 단계;
    콘텐츠 요청 단말로부터 수신된 콘텐츠 검색의 질의 데이터(Query Data)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질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카테고리의 콘텐츠의 리스트를 추출하여 상기 콘텐츠 요청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콘텐츠를 분석하여 상기 제 2 분류의 오차가 기 설정된 오차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재분류를 실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 2 분류된 콘텐츠를 검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분류된 콘텐츠를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메타 데이터와 관련된 인증 데이터를 웹 크롤러(Web Crawler)를 이용하여 수집하는 단계;
    상기 인증 데이터와 상기 추출된 텍스트를 비교할 때, 추출된 텍스트 중 용어 설명 또는 용어 정의에 기반한 텍스트를 상기 인증 데이터와 비교하여 오차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오차율이 기 오차율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 제공 단말로 상기 오차율이 산출된 부분의 콘텐츠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맞춤형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분석하여 상기 제 2 분류의 오차가 기 설정된 오차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재분류를 실시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텍스트 중 상기 메타 데이터와 관련된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메타 데이터와 관련된 기준 데이터를 웹 크롤러(Web Crawler)를 이용하여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기준 데이터를 정규화하는 단계;
    상기 정규화된 기준 데이터와 상기 콘텐츠의 분석 데이터의 매칭률이 기 설정된 매칭률 미만인 경우, 오차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분석 데이터를 기준으로 카테고리화를 재실시하는 단계
    를 수행함으로써 실행되는 것인, 맞춤형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카테고리의 콘텐츠의 리스트를 추출하여 상기 콘텐츠 요청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콘텐츠 요청 단말에서 선택한 콘텐츠의 샘플을 요구하는 샘플 요청 이벤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콘텐츠 요청 단말에서 입력된 질의 데이터와 대응되는 부분의 콘텐츠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질의 데이터의 답변 데이터와 대응되는 부분의 콘텐츠가 출력되기 전의 기 설정된 부분의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요청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요청 단말로부터 상기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결제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요청 단말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콘텐츠 요청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맞춤형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카테고리의 콘텐츠의 리스트를 추출하여 상기 콘텐츠 요청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질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답변 데이터의 유사도가 기 설정된 유사도를 초과하는 콘텐츠의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콘텐츠의 리스트 중 답변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기 설정된 데이터량을 초과하는 콘텐츠의 리스트를 필터링하는 단계
    를 수행함으로써 실행되는 것인, 맞춤형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와 대응되는 콘텐츠 내의 키워드는 상기 콘텐츠의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와 대응되도록 태깅(Tagging)되고,
    상기 제 1 분류를 기준으로 상기 콘텐츠는 난이도가 증가할수록 트리의 하위 노드에 배치되고, 상기 난이도가 증가할수록 트리의 상위 노드에 배치되고,
    상기 질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카테고리의 콘텐츠의 리스트를 추출하여 상기 콘텐츠 요청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콘텐츠 요청 단말에서 상기 콘텐츠가 출력된 후, 상기 콘텐츠 요청 단말에서 출력된 콘텐츠 중 상기 태깅된 키워드를 블라인드 처리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요청 단말로부터 상기 블라인드 처리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답변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답변 데이터의 정답률이 기 설정된 정답률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에 매핑된 난이도보다 높은 난이도를 가진 콘텐츠인 하위 노드의 콘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콘텐츠 요청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맞춤형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단말에서 제공한 콘텐츠는 인증을 거쳐 업로드되고, 상기 인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콘텐츠 제공 단말에서 제공한 콘텐츠에 신뢰도가 태깅되고,
    상기 질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카테고리의 콘텐츠의 리스트를 추출하여 상기 콘텐츠 요청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콘텐츠 요청 단말에서 상기 콘텐츠에 대한 질의 데이터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콘텐츠 제공 단말로 상기 질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제공 단말에서 상기 질의 데이터에 대한 답변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 요청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요청 단말에서 오류 확인 이벤트가 생성되는 경우, 오류 확인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콘텐츠 제공 단말로 콘텐츠 수정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오류 확인 결과 상기 오류 확인 이벤트가 정당한 경우, 상기 콘텐츠 제공 단말의 콘텐츠에 대한 신뢰도를 감소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맞춤형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60011157A 2016-01-29 2016-01-29 지속적 콘텐츠 생성 및 맞춤형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38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157A KR101638127B1 (ko) 2016-01-29 2016-01-29 지속적 콘텐츠 생성 및 맞춤형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157A KR101638127B1 (ko) 2016-01-29 2016-01-29 지속적 콘텐츠 생성 및 맞춤형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8127B1 true KR101638127B1 (ko) 2016-07-11

Family

ID=56499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1157A KR101638127B1 (ko) 2016-01-29 2016-01-29 지속적 콘텐츠 생성 및 맞춤형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81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401B1 (ko) 2016-09-06 2018-06-25 주식회사 코리아잡스쿨 맞춤형 교육관리 시스템
KR20220102133A (ko) * 2019-12-11 2022-07-19 구글 엘엘씨 타겟팅 및 기타 설정을 개선하기 위한 콘텐츠 제공자 추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3630A (ko) * 2008-08-22 2010-03-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카테고리 태그 정보를 이용한 웹 페이지 분류 방법, 그 시스템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20120014059A (ko) * 2004-03-15 2012-02-15 야후! 인크. 사용자 주석이 통합된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47219A (ko) * 2012-10-09 2014-04-22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콘텐츠 서버
KR101406288B1 (ko) * 2014-01-02 2014-06-12 진종원 평생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4059A (ko) * 2004-03-15 2012-02-15 야후! 인크. 사용자 주석이 통합된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23630A (ko) * 2008-08-22 2010-03-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카테고리 태그 정보를 이용한 웹 페이지 분류 방법, 그 시스템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20140047219A (ko) * 2012-10-09 2014-04-22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콘텐츠 서버
KR101406288B1 (ko) * 2014-01-02 2014-06-12 진종원 평생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401B1 (ko) 2016-09-06 2018-06-25 주식회사 코리아잡스쿨 맞춤형 교육관리 시스템
KR20220102133A (ko) * 2019-12-11 2022-07-19 구글 엘엘씨 타겟팅 및 기타 설정을 개선하기 위한 콘텐츠 제공자 추천
KR102605598B1 (ko) 2019-12-11 2023-11-23 구글 엘엘씨 타겟팅 및 기타 설정을 개선하기 위한 콘텐츠 제공자 추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ipton et al. A review of statistical methods for generalizing from evaluations of educational interventions
US10671620B2 (en) Method for recommending a teacher in a network teaching system
US10963513B2 (en) Data system and method
Struijs et al. Official statistics and big data
US10776885B2 (en) Mutually reinforcing ranking of social media accounts and contents
US111022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re appropriate question/answer responses based upon profiles
US10803104B2 (en) Digital credential field mapping
US202400058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metadata about content stored in a repository
Riggs Mobile responsive websites and local planning departments in the US: Opportunities for the future
KR101450453B1 (ko) 컨텐츠 추천 방법 및 장치
WO2020033117A9 (en) Dynamic and continous onboarding of service providers in an online expert marketplace
KR101638127B1 (ko) 지속적 콘텐츠 생성 및 맞춤형 콘텐츠 라이브러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014998A (ko) 가격기준 검색을 이용한 가성비 맛집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2202451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between repositories
Nilpong et al. Factors affecting intention to use of government websites in Thai elder: The webqual model
CN113076453A (zh) 域名分类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Iorshase et al. A well-built hybrid recommender system for agricultural products in Benue State of Nigeria
JP7003481B2 (ja) ソーシャル・メディア・アカウントおよびコンテンツの相互に補強するランキング
KR101863721B1 (ko) 모바일 리서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1406288B1 (ko) 평생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084460A (ko) 기계학습을 위한 학습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생성된 학습 데이터를 이용한 소셜 미디어 분석 장치
KR102324179B1 (ko) 영유아 기관정보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74976B1 (ko) 온라인 기반 교육 인프라 비교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
Arthana et al. Prototype Development of Garsupati: A Single Access to Open Educational Resources
Gao et al. Fast NLP-based Pattern Matching in Real Time Tweet Recommend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