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7516B1 - 출입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출입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7516B1
KR101637516B1 KR1020150037480A KR20150037480A KR101637516B1 KR 101637516 B1 KR101637516 B1 KR 101637516B1 KR 1020150037480 A KR1020150037480 A KR 1020150037480A KR 20150037480 A KR20150037480 A KR 20150037480A KR 101637516 B1 KR101637516 B1 KR 101637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authentication
authentication medium
medium
secu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7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규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to KR1020150037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75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C9/00007
    • G07C9/00015
    • G07C9/00103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출입 제어 장치는 사용자가 소지한 인증 매체의 출입 ID와 출입 ID에 대응하는 출입 유효 기간을 확인하고, 인증 매체로부터 마지막으로 인증된 인증 완료 정보를 수신하여 출입 인증을 수행한다. 그리고 출입 제어 장치는 출입 인증 성공 시 보안 영역의 출입문의 잠금을 해제한다.

Description

출입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NTRANCE AND EXIT}
본 발명은 출입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정 입문 및 부정 출문 방지를 위한 출입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용되고 있는 출입 통제 방식은 크게 2가지 방식이다. 첫 번째 방식은 출입 인증 서버에서 인증 정보를 미리 전송하여 개별 인증 제어 장치와 인증 매체간의 인증 절차를 이용하여 출입을 허용하는 방식이다. 두 번째 방식은 출입 인증 서버에 출입 인증 정보를 저장하고 출입 통제 기기는 인증 매체의 정보를 출입 인증 서버에 전송하여 출입 인증 서버의 인증 절차를 거쳐 출입을 허용하는 방식이다.
이들 출입 통제 방식은 일반화된 출입 통제 절차를 이용함으로써 출입자 관리가 쉽고, 인증 절차가 단순하여 많은 출입 통제 시스템에서 이용되고 있으나, 기업 연구소, 박람회, 군사 시설 등 세밀한 보안이 요구되는 시설에서는 기존 출입 통제 방식으로는 인증 매체 대여 및 부정 습득을 통한 출입자 확인이 어려워 정보의 유출 또는 심각한 보안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서버의 의존도를 줄이면서 보안 신뢰성 및 운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출입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보안 영역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출입 제어 장치에서 인증 매체를 소지한 사용자의 출입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출입 제어 방법은 상기 인증 매체의 출입 ID(identifier)와 상기 출입 ID에 대응하는 출입 유효 기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인증 매체의 출입 ID가 출입 허용 ID 리스트에 존재하고 상기 출입 ID에 대응하는 출입 유효 기간이 유효한 경우에, 상기 인증 매체로부터 마지막으로 인증된 인증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 매체의 인증 완료 정보를 토대로 출입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출입 인증 성공 시 상기 보안 영역의 출입문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인증 완료 정보는 상기 보안 영역의 보안 코드 및 상기 보안 영역에 대한 상기 인증 매체의 진입 또는 진출 상태를 나타내는 출입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입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 매체로부터 수신한 보안 코드와 출입 상태 정보가 인증 허용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인증 매체의 출입을 성공적으로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입은 상기 보안 영역의 입문을 포함하고, 상기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 매체로부터 수신한 보안 코드와 출입 상태 정보로부터 상기 인증 매체가 정상적으로 상기 보안 영역을 진출해 있는 상태이거나 상기 보안 영역을 진입하기 위해서 정상적으로 다른 보안 영역을 진입해 있는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상기 인증 매체의 출입을 성공적으로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입은 상기 보안 영역의 출문을 포함하고, 상기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 매체로부터 수신한 보안 코드와 출입 상태 정보로부터 상기 인증 매체가 상기 보안 영역을 정상적으로 진입해 있는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인증 매체의 출입을 성공적으로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완료 정보는 마지막으로 인증된 인증 시각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입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 매체로부터 수신한 보안 코드와 출입 상태 정보가 인증 허용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인증 시각 정보가 유효 시각 범위에 해당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입 제어 방법은 상기 출입 인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인증 완료 정보를 상기 인증 매체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보안 영역에 설치되어 인증 매체를 소지한 사용자의 출입을 인증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출입 제어 장치는 출입 ID(identifier) 확인부, 출입 상태 확인부, 잠금 해제부, 그리고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출입 ID 확인부는 인증 매체로부터 수시한 출입 ID가 기 저장된 출입 허용 ID 리스트에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출입 ID 정보에 해당하는 출입 유효 기간을 확인한다. 상기 출입 상태 확인부는 상기 인증 매체로부터 수신한 마지막 인증된 보안 영역의 보안 코드와 출입 상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인증 매체의 출입 인증을 수행한다. 상기 잠금 해제부는 상기 출입 인증 성공 시 상기 보안 영역의 출입문의 잠금을 해제한다. 그리고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인증 매체와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출입은 상기 보안 영역의 입문을 포함하고, 상기 출입 상태 확인부는 상기 인증 매체로부터 수신한 보안 코드와 출입 상태 정보로부터 상기 인증 매체가 정상적으로 상기 보안 영역을 진출해 있는 상태인 경우에 상기 인증 매체의 출입을 성공적으로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출입은 상기 보안 영역의 입문을 포함하고, 상기 출입 상태 확인부는 상기 인증 매체로부터 수신한 보안 코드와 출입 상태 정보로부터 상기 보안 영역을 진입하기 위해서 정상적으로 다른 보안 영역을 진입해 있는 상태인 경우에 상기 인증 매체의 출입을 성공적으로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출입은 상기 보안 영역의 출문을 포함하고, 상기 출입 상태 확인부는 상기 인증 매체로부터 수신한 보안 코드와 출입 상태 정보로부터 상기 인증 매체가 상기 보안 영역을 정상적으로 진입해 있는 상태인 경우에 상기 인증 매체의 출입을 성공적으로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출입 상태 확인부는 상기 인증 매체로부터 수신한 보안 코드와 출입 상태 정보가 인증 허용 범위에 해당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인증 매체로부터 수신한 보안 코드와 출입 상태 정보가 인증 허용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에 마지막으로 인증된 인증 시각 정보가 유효 시각 범위에 해당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출입 상태 확인부는 상기 출입 인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상기 보안 영역의 보안 코드와 상기 보안 영역에 대한 출입 상태 정보 및 인증 시각 정보를 상기 인증 매체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인증 매체를 이용하여 부정 입문 및 출문 방지 프로세스를 간소화시킬 수 있고, 부정 입문 및 부정 출문의 실시간 감지가 가능하며, 상술한 인증 절차를 통하여 특정 지역의 출입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부정 입문 및 부정 출문 방지를 위해 서버 및 네트워크 운영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인증 매체를 이용하여 부정 입문 및 부정 출문 방지 절차가 출입 제어 장치와 인증 매체의 통신으로 이루어지므로, 안정성이 뛰어나고 서버의 의존도를 크게 줄일 수 있으며, 네트워크 장애 시 발생되는 이용자의 불편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인증 매체를 이용하여 부정 입문 및 부정 출문 방지가 가능한 출입 통제를 수행함으로써 출입자의 부정 이용을 최소화하여 명확한 직원의 출퇴근 관리가 가능하며, 인증 매체에 저장된 최종 인증 일시를 다양한 기능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입 통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입문 제어 장치와 출문 제어 장치의 구현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증 매체에 저장되는 인증 완료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안 영역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문 제어 장치의 입문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문 제어 장치의 출문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입 제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입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입 통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입문 제어 장치와 출문 제어 장치의 구현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출입 통제 시스템(1000)은 보안 영역(S1)에 대한 출입 보안 관리를 수행한다. 보안 영역(S1)은 회사, 공장, 연구소 등과 같이 보안이 중요한 사업장 내에 설정된 영역일 수 있다.
출입 통제 시스템(1000)은 인증 매체(100)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U1)가 정상적으로 출문을 하지 않은 인증 매체(100)를 가지고 입문을 시도하는 경우에 사용자(U1)의 입문을 제한한다. 출입 통제 시스템(1000)은 사용자(U1)가 정상적으로 입문을 하지 않은 인증 매체(100)를 가지고 외부로 출문을 시도하는 경우에 사용자(U1)의 출문을 제한한다.
이러한 출입 통제 시스템(1000)은 인증 매체(100), 출입 제어 장치(200, 300), 출입 잠금 장치(400) 및 출입 통제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 매체(100)는 인터넷 또는 로컬 네트워크를 통해 출입 ID(identifier) 관리가 가능하며 출입 인증을 위한 데이터 저장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매체(100)로는 무선 단말기 또는 IC 카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인증 매체(100)는 이동통신망, 인터넷, 또는 로컬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발급 시스템(미도시)을 통해 출입 ID 및 초기 정보를 메모리(110)에 저장한다. 출입 ID는 사원 번호와 같은 고유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초기 정보는 사용자 이름, 출입 ID를 발급 받은 날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초기 정보는 출입 ID에 대응하는 출입 유효 기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출입 유효 기간은 발급 시스템을 통해 갱신될 수 있다.
인증 매체(100)는 보안 영역(S1)의 출입(입문 또는 출문)을 위해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출입 제어 장치(200, 300)와 통신하며, 출입 제어 장치(200, 300)를 통해 입문 또는 출문 인증 절차를 수행하며, 출입 제어 장치(200, 300)에 의해 인증되면, 인증 완료 정보를 메모리(110)에 저장한다. 무선 통신 방식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인증 매체(100)는 보안 영역(S1)의 출입을 위해 메모리(110)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인증 완료 정보를 출입 제어 장치(200, 300)로 전송하고, 출입 제어 장치(200, 300)는 인증 완료 정보를 토대로 인증 매체(100)의 출입 인증을 수행한다.
출입 제어 장치(200)는 보안 영역(S1)으로 인증 매체(100)의 입문을 인증하는 장치로서, 이하 편의상 출입 제어 장치(200)를 입문 제어 장치(200)라 한다. 또한 출입 제어 장치(300)는 보안 영역(S1)으로부터 인증 매체(100)의 출문을 인증하는 장치로서, 이하 편의상 출입 제어 장치(300)를 출문 제어 장치(300)라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문 제어 장치(200)는 보안 영역(S1)을 기준으로 외부에 설치되며, 출입 잠금 장치(400)의 잠금을 제어한다. 출입 잠금 장치(400)의 잠금이 해제되는 경우에, 사용자(U1)는 보안 영역(S1)으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출문 제어 장치(300)는 보안 영역(S1)을 기준으로 내부에 설치되며, 출입 잠금 장치(400)의 잠금을 제어한다. 출입 잠금 장치(400)의 잠금이 해제되는 경우에, 사용자(U1)는 보안 영역(S1)으로부터 진출할 수 있다.
입문 제어 장치(200)는 발급 시스템(미도시)을 통해 발급된 인증 매체(100)들의 출입 ID와 출입 유효 기간을 출입 허용 ID 리스트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또한 입문 제어 장치(200)는 해당 보안 영역(S1)에 대한 보안 코드를 저장하고 있으며, 인증 매체(100)의 메모리(110)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보안 영역(S1)에 대한 보안 코드와 출입 상태 정보를 토대로 인증 매체(100)의 입문을 인증한다. 입문 제어 장치(200)는 정상적으로 인증된 인증 매체(100)로 인증 완료 정보를 전송하며, 인증 완료 정보는 인증 매체(100)의 메모리(110)에 저장된다.
출문 제어 장치(300)는 발급 시스템(미도시)을 통해 발급된 인증 매체(100)들의 출입 ID와 출입 유효 기간을 출입 허용 ID 리스트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또한 출문 제어 장치(300)는 해당 보안 영역(S1)에 대한 보안 코드를 저장하고 있으며, 인증 매체(100)의 메모리(110)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보안 영역(S1)에 대한 보안 코드와 출입 상태 정보를 토대로 인증 매체(100)의 출문을 인증한다. 출문 제어 장치(300)는 정상적으로 인증된 인증 매체(100)로 인증 완료 정보를 전송하며, 인증 완료 정보는 인증 매체(100)의 메모리(110)에 저장된다.
입문 제어 장치(200) 및 출문 제어 장치(300)는 인증 매체(100)의 인증 결과를 출입 통제 서버(500)로 전송한다.
이러한 입문 제어 장치(200) 및 출문 제어 장치(300)는 통합된 하나의 출입 제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출입 통제 서버(500)는 입문 제어 장치(200) 및 출문 제어 장치(300)와 통신하며, 입문 제어 장치(200) 및 출문 제어 장치(300)로부터 전송된 인증 매체(100)의 인증 결과를 관리한다. 출입 통제 서버(500)는 인증 결과가 부정 인증에 해당하는 경우에 보안 영역(S1)에 설치된 경고 시스템을 제어하여 경고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증 매체에 저장되는 인증 완료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인증 매체(100)의 메모리(110)에 저장되는 인증 완료 정보는 출입 ID 정보, 보안 코드 정보, 출입 상태 정보, 인증 시각 정보 및 유효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출입 ID 정보는 인증 매체(100)의 출입 ID를 나타내고, 보안 코드 정보는 보안 영역(S1)의 보안 코드를 나타낸다. 출입 상태 정보는 보안 영역(S1)을 진입하였는지 보안 영역(S1)을 진출하였는지를 나타낸다. 출입 상태 정보는 보안 영역(S1)을 진입하는 경우 "IN"으로 표시되고, 보안 영역(S1)을 진출한 경우는 "OUT"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인증 시각 정보는 입문 제어 장치(200) 또는 출문 제어 장치(300)에 의해 인증된 날짜와 시각 정보를 나타낸다. 유효 기간은 유효한 사용 기간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인증 매체(100)가 보안 영역(S1)을 입문하고자 할 때 입문 제어 장치(200)가 인증 매체(100)의 입문을 정상적으로 인증하였다고 가정한다. 이때 인증 매체(100)의 메모리(110)에 저장되는 인증 완료 정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을 수 있다. 즉 출입 ID 정보에는 인증 매체(100)의 출입 ID인 "1234567890"이 저장되고, 보안 코드 정보에는 보안 영역(S1)의 코드인 "1"이 저장된다. 출입 상태 정보는 "IN"으로 저장되며, 인증 시각 정보는 입문 제어 장치(200)가 인증한 시각인 "2014-09-01 10:10:25"로 저장될 수 있다. 이렇게 인증 매체(100)에 저장된 인증 완료 정보는 인증 매체(100)가 보안 영역(S1)을 출문하고자 할 때 출문 제어 장치(300)가 인증 매체(100)의 출문을 인증하는 데 사용된다.
인증 매체(100)가 보안 영역(S1)을 출문하고자 하는 경우, 출문 제어 장치(300)는 인증 매체(100)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보안 영역의 보안 코드와 출입 상태 정보 및 인증 시각 정보를 토대로 인증 매체(100)의 출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매체(100)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정보가 도 3과 같다고 가정한다. 출문 제어 장치(300)는 인증 매체(100)의 보안 코드가 "1"이고, 상태 정보가 "IN"으로 되어 있으므로, 인증 매체(100)가 보안 영역(S1)을 정상적으로 진입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출문 제어 장치(300)는 인증 매체(100)의 마지막 인증 시각인 "2014-09-01 10:10:25"가 설정된 유효 시각 범위에 해당되는지 확인하고, 인증 매체(100)의 마지막 인증 시각이 설정된 유효 시각 범위에 해당되면 인증 매체(100)의 출문을 성공적으로 인증한다. 출문 제어 장치(300)는 인증 매체(100)의 출문 인증 성공으로 처리하면, 출입 잠금 장치(40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출문 제어 장치(300)가 인증 매체(100)의 출문을 정상적으로 인증하고, 인증 매체(100)를 소지한 사용자가 해당 보안 영역을 진출하고 나면, 출문 제어 장치(300)는 인증 완료 정보를 인증 매체(100)에 전송한다. 즉, 출입 ID 정보에는 인증 매체(100)의 출입 ID인 "1234567890"이 저장되고, 보안 코드 정보에는 보안 영역(S1)의 보안 코드인 "1"이 저장된다. 출입 상태 정보는 "OUT"으로 저장되며, 인증 시각 정보는 입문 제어 장치(200)가 인증한 시각인 "2014-09-01 11:10:25"로 저장될 수 있다. 이렇게 인증 매체(100)에 저장된 보안 코드 정보와 출입 상태 정보 및 인증 시각을 토대로 사용자가 보안 영역(S1)을 인증 시각에 진출했다는 것이 확인될 수 있다.
인증 매체(100)에 저장된 인증 완료 정보는 인증 매체(100)가 보안 영역(S1)을 입문하고자 할 때 입문 제어 장치(200)가 인증 매체(100)의 입문을 인증하는 데 사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안 영역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하나의 사업장은 도 1과 달리 복수의 보안 영역(S1, S2, S3)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보안 영역(S1, S2, S3)을 기준으로 외부에는 각 보안 영역(S1, S2, S3)의 입문 제어 장치(200)가 설치되며, 각 보안 영역(S1, S2, S3)을 기준으로 외부에는 각 보안 영역(S1, S2, S3)의 출문 제어 장치(300)가 설치될 수 있다. 각 보안 영역(S1, S2, S3)의 입문 제어 장치(200)와 출문 제어 장치(300)에는 각 보안 영역(S1, S2, S3)의 보안 코드가 저장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보안 영역(S1, S2, S3)의 입문 제어 장치(200)와 출문 제어 장치(300)는 각각 인증 매체(100)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인증 완료 정보를 토대로 각 보안 영역(S1, S2, S3)의 입문 및 출문 인증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입문 제어 장치(200)와 출문 제어 장치(300)에 저장되는 각 보안 영역(S1, S2, S3)의 보안 코드가 표 1과 같다고 가정한다.
Figure 112015026482811-pat00001
이때, 입문 제어 장치(200)와 출문 제어 장치(300)는 인증 매체(100)에 저장된 마지막 인증 완료 정보가 표 2과 같을 때 인증 매체(100)의 입문 및 출문 인증 성공으로 처리하고, 인증 완료 정보를 표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증 매체(100)에 저장할 수 있다.
Figure 112015026482811-pat00002
표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안 영역(S1)의 입문 위치에서 입문 제어 장치(200)는 인증 매체(100)에 마지막 저장된 인증 완료 정보인 "1, OUT, 2014-07-31 18:00:00"를 토대로 인증 매체(100)를 소지한 사용자가 보안 영역(S1)을 출문을 정상적으로 인증 받아서 보안 영역(S1)을 진출한 것을 확인하고, 인증 매체(100)의 입문을 성공적으로 인증할 수 있다. 그리고 입문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가 보안 영역(S1)을 진입한 상태임을 나타내기 위한 인증 완료 정보인 "1, IN, 2014-08-01 08:00:00"를 인증 매체(100)에 저장한다.
보안 영역(S2)의 입문 위치에서 입문 제어 장치(200)는 인증 매체(100)에 마지막 저장된 인증 완료 정보인 "1, IN, 2014-08-01 08:00:00"를 토대로 인증 매체(100)를 소지한 사용자가 보안 영역(S1)의 정상적인 입문 인증 후에 보안 영역(S1)을 진입한 것을 확인하고, 보안 영역(S2)에 대한 인증 매체(100)의 입문을 성공적으로 인증할 수 있다. 그리고 입문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가 보안 영역(S2)을 진입한 상태임을 나타내기 위한 인증 완료 정보인 "2, IN, 2014-08-01 08:10:00"를 인증 매체(100)에 저장한다.
보안 영역(S3)의 입문 위치에서 입문 제어 장치(200)는 인증 매체(100)에 마지막 저장된 인증 완료 정보인 "2, IN, 2014-08-01 08:10:00"를 토대로 인증 매체(100)를 소지한 사용자가 보안 영역(S2)의 정상적인 입문 인증 후에 보안 영역(S2)을 진입한 것을 확인하고, 보안 영역(S3)에 대한 인증 매체(100)의 입문을 성공적으로 인증할 수 있다. 그리고 입문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가 보안 영역(S3)을 진입한 상태임을 나타내기 위한 인증 완료 정보인 "3, IN, 2014-08-01 08:15:00"를 인증 매체(100)에 저장한다.
보안 영역(S3)의 출문 위치에서 입문 제어 장치(200)는 인증 매체(100)에 마지막 저장된 인증 완료 정보인 "3, IN, 2014-08-01 08:15:00"를 토대로 인증 매체(100)를 소지한 사용자가 보안 영역(S3)의 정상적인 입문 인증 후에 보안 영역(S3)을 진입한 것을 확인하고, 보안 영역(S3)에 대한 인증 매체(100)의 출문을 성공적으로 인증할 수 있다. 그리고 입문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가 보안 영역(S3)을 진출한 상태임을 나타내기 위한 인증 완료 정보인 "3, OUT, 2014-08-01 09:00:00"를 인증 매체(100)에 저장한다.
사용자가 보안 영역(S3)을 진출한 상태인 경우, 보안 영역(S2)에 진입해 있음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입문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가 보안 영역(S3)을 진출한 상태임을 나타내기 위한 인증 완료 정보로 예를 들면 "2, IN, 2014-08-01 09:00:00"을 인증 매체(10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증 완료 정보는 다양한 방법으로 저장될 수 있다.
보안 영역(S2)의 출문 위치에서 입문 제어 장치(200)는 인증 매체(100)에 마지막 저장된 인증 완료 정보인 "3, OUT, 2014-08-01 09:00:00"를 토대로 인증 매체(100)를 소지한 사용자가 보안 영역(S3)을 정상적인 인증 과정을 거쳐서 진출하여 보안 영역(S2)에 진입해 있는 상태인 것을 확인하고, 보안 영역(S2)에 대한 인증 매체(100)의 출문을 성공적으로 인증할 수 있다. 그리고 입문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가 보안 영역(S2)을 진출한 상태임을 나타내기 위한 인증 완료 정보인 "2, OUT, 2014-08-01 09:15:00"를 인증 매체(100)에 저장한다.
다음, 보안 영역(S1)의 출문 위치에서 입문 제어 장치(200)는 인증 매체(100)에 마지막 저장된 인증 완료 정보인 "2, OUT, 2014-08-01 09:15:00"를 토대로 인증 매체(100)를 소지한 사용자가 보안 영역(S2)을 정상적인 인증 과정을 통해서 진출하여 보안 영역(S1)에 진입해 있는 상태인 것을 확인하고, 인증 매체(100)의 출문을 성공적으로 인증할 수 있다. 그리고 입문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가 보안 영역(S1)을 진출한 상태임을 나타내기 위한 인증 완료 정보인 "1, OUT, 2014-08-01 09:25:00"를 인증 매체(100)에 저장한다.
이렇게 인증 매체(100)에 저장된 인증 완료 정보인 "1, OUT, 2014-08-01 09:25:00"는 보안 영역(S1)의 입문 위치에서 입문 제어 장치(200)가 인증 매체(100)의 입문을 인증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문 제어 장치의 입문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인증 매체(100)는 보안 영역의 입문을 위해 입문 제어 장치(200)와 통신한다.
인증 매체(100)는 인증 매체(100)에 저장된 출입 ID 정보 및 출입 유효 기간 정보를 입문 제어 장치(200)로 전송하고, 입문 제어 장치(200)는 인증 매체(100)로부터 출입 ID 정보 및 출입 유효 기간 정보를 수신한다(S502).
입문 제어 장치(200)는 인증 매체(100)로부터 수신한 출입 ID 정보가 기 저장된 출입 허용 ID 리스트에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504). 입문 제어 장치(200)는 출입 허용 ID 리스트에 출입 ID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 출입 유효 기간이 유효한지 확인한다(S506). 입문 제어 장치(200)는 출입 ID 정보에 해당하는 출입 유효 기간이 만료되지 않은 경우에 출입 유효 기간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입문 제어 장치(200)는 출입 ID 정보에 해당하는 출입 유효 기간이 유효하지 않거나, 인증 매체(100)로부터 수신한 출입 ID 정보가 기 저장된 출입 허용 ID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인증 매체(100)의 입문 인증 실패로 처리하고, 인증 결과를 출입 통제 서버(500)로 전송한다(S520).
입문 제어 장치(200)는 출입 유효 기간이 유효한 경우, 인증 매체(100)에 보안 영역의 보안 코드와 출입 상태 정보 및 인증 시각 정보를 요청한다. 인증 매체(100)는 최종 출입한 보안 영역의 보안 코드와 출입 상태 정보 및 인증 시각 정보를 입문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다.
입문 제어 장치(200)는 인증 매체(100)로부터 인증 매체(100)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보안 영역의 보안 코드와 출입 상태 및 인증 시각 정보를 수신하고(S508), 수신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인증 매체(100)의 입문 인증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입문 제어 장치(200)는 인증 매체(100)로부터 수신한 보안 코드와 출입 상태가 인증 허용 범위에 해당하는지 확인한다(S510). 입문 제어 장치(200)는 인증 매체(100)로부터 수신한 보안 코드와 출입 상태를 토대로 인증 매체(100)를 소지한 사용자가 해당 보안 영역을 정상적으로 출문한 상태이거나 해당 보안 영역을 진입하기 위해 현재 위치해 있는 보안 영역을 정상적으로 입문한 상태인 것이 확인되면 인증 매체(100)로부터 수신한 보안 코드와 출입 상태가 인증 허용 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매체(100)의 현재 위치가 보안 영역(도 4의 S3)의 입문 위치인 경우에, 입문 제어 장치(200)는 인증 매체(100)로부터 수신한 보안 코드와 출입 상태로부터 사용자가 보안 영역(S2)을 진입(IN)해 있거나 보안 영역(S3)을 진출(OUT)해 있는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인증 매체(100)로부터 수신한 보안 코드와 출입 상태가 인증 허용 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입문 제어 장치(200)는 인증 매체(100)로부터 수신한 보안 코드와 출입 상태가 인증 허용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입문 인증 실패로 처리하고, 인증 결과를 출입 통제 서버(500)으로 전송한다(S520).
한편, 입문 제어 장치(200)는 인증 매체(100)로부터 수신한 보안 코드와 출입 상태가 인증 허용 범위에 해당되면, 인증 매체(100)에서 전송한 인증 시각 정보가 유효 시각 범위에 해당하는지 확인한다(S512).
입문 제어 장치(200)는 인증 매체(100)에서 전송한 인증 시각 정보가 유효 시각 범위에 해당되면, 인증 매체(100)의 입문 인증 성공으로 처리하고, 인증 결과를 출입 통제 서버(500)으로 전송한다(S514).
다음, 입문 제어 장치(200)는 출입 잠금 장치(400)를 해제한다(S516). 그러면, 사용자는 해당 보안 영역을 진입한다.
입문 제어 장치(200)는 보안 영역을 진입하였다는 정보를 나타내는 인증 완료 정보를 인증 매체(100)에 전송한다(S518).
반면, 입문 제어 장치(200)는 인증 매체(100)에서 전송한 인증 시각 정보가 유효 시각 범위를 벗어나면, 인증 매체(100)의 입문 인증 실패로 처리하고, 인증 결과를 출입 통제 서버(500)으로 전송한다(S520).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문 제어 장치의 출문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인증 매체(100)는 보안 영역의 입문을 위해 출문 제어 장치(300)와 통신한다.
인증 매체(100)는 인증 매체(100)에 저장된 출입 ID 정보 및 출입 유효 기간 정보를 출문 제어 장치(300)로 전송하고, 출문 제어 장치(300)는 인증 매체(100)로부터 출입 ID 정보 및 출입 유효 기간 정보를 수신한다(S602).
출문 제어 장치(300)는 인증 매체(100)로부터 수신한 출입 ID 정보가 기 저장된 출입 허용 ID 리스트에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604). 출문 제어 장치(300)는 출입 허용 ID 리스트에 출입 ID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 출입 유효 기간이 유효한지 확인한다(S606).
출문 제어 장치(300)는 출입 ID 정보에 해당하는 출입 유효 기간이 유효하지 않거나, 인증 매체(100)로부터 수신한 출입 ID 정보가 기 저장된 출입 허용 ID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인증 매체(100)의 입문 인증 실패로 처리하고, 인증 결과를 출입 통제 서버(500)로 전송한다(S620).
출문 제어 장치(300)는 출입 유효 기간이 유효한 경우, 인증 매체(100)에 보안 영역의 보안 코드와 출입 상태 정보 및 인증 시각 정보를 요청한다. 인증 매체(100)는 최종 출입한 보안 영역의 보안 코드와 출입 상태 정보 및 인증 시각 정보를 출문 제어 장치(300)로 전송한다.
출문 제어 장치(300)는 인증 매체(100)로부터 인증 매체(100)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보안 영역의 보안 코드와 출입 상태 및 인증 시각 정보를 수신하고(S608), 수신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인증 매체(100)의 출문 인증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출문 제어 장치(300)는 인증 매체(100)로부터 수신한 보안 코드와 출입 상태가 인증 허용 범위에 해당하는지 확인한다(S610). 출문 제어 장치(300)는 인증 매체(100)로부터 수신한 보안 코드와 출입 상태를 토대로 인증 매체(100)를 소지한 사용자가 해당 보안 영역을 정상적으로 입문한 상태인 것이 확인되면 인증 매체(100)로부터 수신한 보안 코드와 출입 상태가 인증 허용 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매체(100)의 현재 위치가 보안 영역(도 4의 S3)의 출문 위치인 경우에, 출문 제어 장치(300)는 인증 매체(100)로부터 수신한 보안 코드와 출입 상태로부터 사용자가 보안 영역(S3)을 진입(IN)해 있는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인증 매체(100)로부터 수신한 보안 코드와 출입 상태가 인증 허용 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출문 제어 장치(300)는 인증 매체(100)로부터 수신한 보안 코드와 출입 상태가 인증 허용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입문 인증 실패로 처리하고, 인증 결과를 출입 통제 서버(500)으로 전송한다(S620).
한편, 출문 제어 장치(300)는 인증 매체(100)로부터 수신한 보안 코드와 출입 상태가 인증 허용 범위에 해당되면, 인증 매체(100)에서 전송한 인증 시각 정보가 유효 시각 범위에 해당하는지 확인한다(S612).
출문 제어 장치(300)는 인증 매체(100)에서 전송한 인증 시각 정보가 유효 시각 범위에 해당되면, 인증 매체(100)의 출문 인증 성공으로 처리하고, 인증 결과를 출입 통제 서버(500)으로 전송한다(S614).
다음, 출문 제어 장치(300)는 출입 잠금 장치(400)를 해제한다(S616). 그러면, 사용자는 해당 보안 영역을 진출한다.
출문 제어 장치(300)는 보안 영역을 진출하였다는 정보를 나타내는 인증 완료 정보를 인증 매체(100)에 전송한다(S618).
반면, 출문 제어 장치(300)는 인증 매체(100)에서 전송한 인증 시각 정보가 유효 시각 범위를 벗어나면, 인증 매체(100)의 출문 인증 실패로 처리하고, 인증 결과를 출입 통제 서버(500)으로 전송한다(S620).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입 제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출입 제어 장치(700)는 출입 ID 확인부(710), 출입 상태 확인부(720), 잠금 해제부(730), 저장부(740) 및 송수신부(750)를 포함한다. 출입 제어 장치(700)는 입문 제어 장치(200)일 수 있으며, 출문 제어 장치(300)일 수도 있다.
출입 ID 확인부(710)는 인증 매체(100)로부터 수신한 출입 ID 정보가 기 저장된 출입 허용 ID 리스트에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출입 ID 정보에 해당하는 출입 유효 기간을 확인한다. 출입 ID 확인부(710)는 출입 ID 정보에 해당하는 출입 유효 기간이 유효하지 않거나, 인증 매체(100)로부터 수신한 출입 ID 정보가 기 저장된 출입 허용 ID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출입(입문 또는 출문) 인증 실패로 처리하고, 인증 실패 정보를 송수신부(740)를 통해 출입 통제 서버(500)로 전송한다.
출입 상태 확인부(720)는 인증 매체(100)로부터 수신한 출입 ID 정보가 기 저장된 출입 허용 ID 리스트에 존재하고 출입 ID 정보에 해당하는 출입 유효 기간이 유효할 경우에, 인증 매체(100)로부터 수신한 보안 코드와 출입 상태가 인증 허용 범위에 해당하는지 확인하고, 인증 매체(100)에서 전송한 인증 시각 정보가 유효 시각 범위에 해당하는지 확인한다.
출입 상태 확인부(720)는 인증 매체(100)로부터 수신한 보안 코드와 출입 상태가 인증 허용 범위에 해당하고, 인증 매체(100)에서 전송한 인증 시각 정보가 유효 시각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에, 출입 인증 성공으로 처리하고, 인증 성공 정보를 송수신부(750)를 통해 출입 통제 서버(500)로 전송한다.
출입 상태 확인부(720)는 인증 매체(100)로부터 수신한 보안 코드와 출입 상태가 인증 허용 범위에 해당하지 않거나 인증 매체(100)에서 전송한 인증 시각 정보가 유효 시각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 출입(입문 또는 출문) 인증 실패로 처리하고, 인증 실패 정보를 송수신부(750)를 통해 출입 통제 서버(500)로 전송한다.
출입 상태 확인부(720)는 출입 인증 성공으로 처리하고 나서, 인증 완료 정보를 송수신부(750)를 통해 인증 매체(100)로 전송한다.
잠금 해제부(730)는 출입 인증 성공 시 출입 잠금 장치(400)의 잠금을 해제한다.
저장부(740)는 출입 허용 ID 리스트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740)는 해당 보안 영역의 보안 코드 정보를 저장한다.
송수신부(750)는 인증 매체(100) 및 출입 통제 서버(500)와 출입 인증을 위한 정보를 송수신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입 제어 장치 및 방법의 적어도 일부 기능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결합된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나 기타 칩셋,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현되는 프로세서가 출입 ID 확인부(710), 출입 상태 확인부(720) 및 잠금 해제부(730)의 기능을 수행하고, 송수신기(transceiver)가 송수신부(75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광학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다양한 형태의 RAM과 같은 영구 또는 휘발성 저장 장치가 저장부(74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출입 제어 장치(200, 300)와 인증 매체(100)간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서 출입 인증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출입 인증 동작 시 출입 통제 서버(500)의 의존도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출입 통제 서버(500)와의 통신 지연이나 출입 통제 서버(500)의 장애 발생 시에도 실시간으로 출입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출입 통제 시스템의 구축 비용이나 서버 관리 비용 등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3)

  1. 적어도 하나의 보안 영역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출입 제어 장치에서 인증 매체를 소지한 사용자의 출입을 제어하는 방법에서,
    상기 인증 매체의 출입 ID(identifier)와 상기 출입 ID에 대응하는 출입 유효 기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인증 매체의 출입 ID가 출입 허용 ID 리스트에 존재하고 상기 출입 ID에 대응하는 출입 유효 기간이 유효한 경우에, 상기 인증 매체로부터 상기 인증 매체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인증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 매체의 인증 완료 정보를 토대로 출입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출입 인증 성공 시 상기 보안 영역의 출입문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출입 인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인증 완료 정보를 상기 인증 매체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인증 완료 정보는 상기 보안 영역의 보안 코드 및 상기 보안 영역에 대한 상기 인증 매체의 진입 또는 진출 상태를 나타내는 출입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출입 제어 방법.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출입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 매체로부터 수신한 보안 코드와 출입 상태 정보가 인증 허용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인증 매체의 출입을 성공적으로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입 제어 방법.
  4. 제3항에서,
    상기 출입은 상기 보안 영역의 입문을 포함하고,
    상기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 매체로부터 수신한 보안 코드와 출입 상태 정보로부터 상기 인증 매체가 정상적으로 상기 보안 영역을 진출해 있는 상태이거나 상기 보안 영역을 진입하기 위해서 정상적으로 다른 보안 영역을 진입해 있는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상기 인증 매체의 출입을 성공적으로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입 제어 방법.
  5. 제3항에서,
    상기 출입은 상기 보안 영역의 출문을 포함하고,
    상기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 매체로부터 수신한 보안 코드와 출입 상태 정보로부터 상기 인증 매체가 상기 보안 영역을 정상적으로 진입해 있는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인증 매체의 출입을 성공적으로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입 제어 방법.
  6. 제3항에서,
    상기 인증 완료 정보는 마지막으로 인증된 인증 시각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입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 매체로부터 수신한 보안 코드와 출입 상태 정보가 인증 허용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인증 시각 정보가 유효 시각 범위에 해당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출입 제어 방법.
  7. 삭제
  8. 적어도 하나의 보안 영역에 설치되어 인증 매체를 소지한 사용자의 출입을 인증하는 출입 제어 장치로서,
    인증 매체로부터 수신한 출입 ID(identifier)가 기저장된 출입 허용 ID 리스트에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출입 ID 정보에 해당하는 출입 유효 기간을 확인하는 출입 ID 확인부,
    상기 인증 매체에 저장된 마지막 인증 완료 정보를 토대로 상기 인증 매체의 출입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출입 인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인증 완료 정보를 생성하는 출입 상태 확인부,
    상기 출입 인증 성공 시 상기 보안 영역의 출입문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 해제부, 그리고
    상기 인증 매체로부터 상기 인증 매체에 저장된 마지막 인증 완료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출입 상태 확인부로 전달하고, 생성된 인증 완료 정보를 상기 인증 매체로 전송하는 송수신부
    를 포함하며,
    상기 인증 완료 정보는 상기 보안 영역의 보안 코드 및 상기 보안 영역에 대한 상기 인증 매체의 진입 또는 진출 상태를 나타내는 출입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출입 제어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출입은 상기 보안 영역의 입문을 포함하고,
    상기 출입 상태 확인부는 상기 인증 매체로부터 수신한 보안 코드와 출입 상태 정보로부터 상기 인증 매체가 정상적으로 상기 보안 영역을 진출해 있는 상태인 경우에 상기 인증 매체의 출입을 성공적으로 인증하는 출입 제어 장치.
  10. 제8항에서,
    상기 출입은 상기 보안 영역의 입문을 포함하고,
    상기 출입 상태 확인부는 상기 인증 매체로부터 수신한 보안 코드와 출입 상태 정보로부터 상기 보안 영역을 진입하기 위해서 정상적으로 다른 보안 영역을 진입해 있는 상태인 경우에 상기 인증 매체의 출입을 성공적으로 인증하는 출입 제어 장치.
  11. 제8항에서,
    상기 출입은 상기 보안 영역의 출문을 포함하고,
    상기 출입 상태 확인부는 상기 인증 매체로부터 수신한 보안 코드와 출입 상태 정보로부터 상기 인증 매체가 상기 보안 영역을 정상적으로 진입해 있는 상태인 경우에 상기 인증 매체의 출입을 성공적으로 인증하는 출입 제어 장치.
  12. 제8항에서,
    상기 출입 상태 확인부는 상기 인증 매체로부터 수신한 보안 코드와 출입 상태 정보가 인증 허용 범위에 해당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인증 매체로부터 수신한 보안 코드와 출입 상태 정보가 인증 허용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에 마지막으로 인증된 인증 시각 정보가 유효 시각 범위에 해당하는지 확인하는 출입 제어 장치.
  13. 삭제
KR1020150037480A 2015-03-18 2015-03-18 출입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637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480A KR101637516B1 (ko) 2015-03-18 2015-03-18 출입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480A KR101637516B1 (ko) 2015-03-18 2015-03-18 출입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7516B1 true KR101637516B1 (ko) 2016-07-07

Family

ID=56500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7480A KR101637516B1 (ko) 2015-03-18 2015-03-18 출입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751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7061A (ko) * 2017-09-05 2019-03-14 주식회사 슈프리마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KR20190027060A (ko) * 2017-09-05 2019-03-14 주식회사 슈프리마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KR20190033288A (ko) 2017-09-21 2019-03-29 주식회사 탑웨어 드론을 이용한 고가품 박람회 또는 전시장 보안시스템
KR20190033286A (ko) 2017-09-21 2019-03-29 이경석 드론과의 무선통신을 통한 암호코드 송수신 방식을 통한 고가품 박람회 또는 전시장 보안시스템
KR20190033285A (ko) 2017-09-21 2019-03-29 이경석 스테레오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을 이용하여 머신러닝 기법과 암호코드 송수신 방식을 통한 고가품 박람회 또는 전시장 보안시스템
US11386733B2 (en) 2017-09-05 2022-07-12 Suprema Inc.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2446A (ja) * 2004-08-31 2006-03-16 Systemneeds Inc 入退室時の利用者認証による電子機器の電源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2446A (ja) * 2004-08-31 2006-03-16 Systemneeds Inc 入退室時の利用者認証による電子機器の電源制御システム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7061A (ko) * 2017-09-05 2019-03-14 주식회사 슈프리마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KR20190027060A (ko) * 2017-09-05 2019-03-14 주식회사 슈프리마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US11386733B2 (en) 2017-09-05 2022-07-12 Suprema Inc.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102473183B1 (ko) * 2017-09-05 2022-12-05 주식회사 슈프리마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KR102473182B1 (ko) * 2017-09-05 2022-12-05 주식회사 슈프리마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US11651638B2 (en) 2017-09-05 2023-05-16 Suprema Inc.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20190033288A (ko) 2017-09-21 2019-03-29 주식회사 탑웨어 드론을 이용한 고가품 박람회 또는 전시장 보안시스템
KR20190033286A (ko) 2017-09-21 2019-03-29 이경석 드론과의 무선통신을 통한 암호코드 송수신 방식을 통한 고가품 박람회 또는 전시장 보안시스템
KR20190033285A (ko) 2017-09-21 2019-03-29 이경석 스테레오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을 이용하여 머신러닝 기법과 암호코드 송수신 방식을 통한 고가품 박람회 또는 전시장 보안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7516B1 (ko) 출입 제어 방법 및 장치
US9892584B1 (en) Managing electronic keys
AU2016273888B2 (en) Controlling physical access to secure areas via client devices in a networked environment
US11721149B2 (en) Door access control via a mobile device
US95082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controlled access to physical spaces
US9589398B2 (en) Distribution of premises access information
US20110291798A1 (en) Wireless Encrypted Control of Physical Access Systems
KR102534167B1 (ko) 제 3 자를 위한 승강기 요청 허가 시스템
US20120038454A1 (en) G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Remote Unlocking by Validated Users
JP2012144899A (ja) 電子鍵管理装置、施錠・開錠システム、電子鍵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9245383A1 (en) Improved access control system and a method thereof controlling access of persons into restricted areas
JP2009150192A (ja) 入場制限装置及び入場制限システム
KR102019097B1 (ko) 코드표시를 통한 차량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US20220014388A1 (en) Virtual security guard
US11455854B2 (en) Access control for property management
US11599872B2 (en) System and network for access control to real property using mobile identification credential
JP6120434B2 (ja) ゲートの電子鍵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電子鍵管理方法
IT201900011634A1 (it) Sistema di sblocco di accessi di una struttura e metodo associato
KR102001607B1 (ko) 위치 정보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를 운영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268117B1 (ko)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
JP2014066079A5 (ko)
JP2007079777A (ja) 認証サーバおよび携帯端末および認証システムおよび認証方法および認証プログラム
JP2014158222A (ja) 鍵配信システム
KR102019093B1 (ko) 코드표시를 통한 차량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US20230072114A1 (en) Access control system and a method therein for handling access to an access-restricted physical resour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